KR102217303B1 -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303B1
KR102217303B1 KR1020190070955A KR20190070955A KR102217303B1 KR 102217303 B1 KR102217303 B1 KR 102217303B1 KR 1020190070955 A KR1020190070955 A KR 1020190070955A KR 20190070955 A KR20190070955 A KR 20190070955A KR 102217303 B1 KR102217303 B1 KR 102217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weight
liver func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090A (ko
Inventor
최연길
Original Assignee
최연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길 filed Critical 최연길
Priority to KR102019007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30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3Bupleu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7Digestive system
    • A61K35/413Gall bladder; B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4Amomum, e.g. round cardam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기능 및 간질환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원시호, 토산사, 오미자, 대황, 치자, 인진, 그리고 우담즙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LIVER DISEASE AND IMPROVING LIVER FUNCTION}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간은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각종 대사작용, 해독, 분해, 합성 및 분비를 담당하고 500 가지가 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매우 중요한 장기이다. 구체적으로, 간은 에너지 대사를 관리할 수 있어 음식물에서 흡수된 모든 영양소들이 간에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물질로 대사되어 전신에 공급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간은 약 2,000여종의 효소, 알부민, 응고 인자들의 혈청 단백, 답즙산, 인지질,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 등을 합성하고 저장하며 분배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간은 해독 및 분해 기능을 가져 약물, 술, 독성 물질 등을 해독시키므로 간세포가 손상되기 쉽고, 이에 따란 약물성, 독성, 알코올성 간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간은 각종 대사 산물을 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설하는 기능, 그리고 면역 기능을 가짐으로써 우리의 생명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간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증상으로서, 상습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에 대량의 중성 지방이 쌓이는 알코올성 지방간, 간세포의 괴사나 변성을 일으키는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간섬유증 등의 알코올성 간질환, 비만 또는 대사 질환에 의해 간세포에 다량의 지방이 쌓인 상태인 지방간; 간이 탄력을 잃고 찌그러진 모양이 되어 굳어지는 간경화, 바이러스, 알코올, 약물 및 자가 면역 등에 의한 간세포 및 간조직의 염증인 간염, 간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인 간암 등이 있다.
지방간은 술, 비만, 또는 당뇨에 의해 유발될 수 있고 간세포 내에 중성 지방이 축적된 것으로 원인만 제거하면 곧 회복할 수 있는 가역적인 간 질환이고, 간염은 간세포들이 계속적으로 파괴되는 경우 장기간에 걸쳐 간경화로 진행될 수 있다. 간경화는 만성 간염이나 알코올성 간질환등에 의한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간손상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간경화가 되면 간기능의 저하가 현저해지고 간을 통과하는 혈류에 장애가 생기므로 복수, 위장출현, 간성 혼수 등의 합병증이 흔히 발생할 수 있다. B형, C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염 바이러스의 보균자 혹은 간경화를 오랜동안 앓고 있던 사람에게서 간암이 발생할 수 있는데 진단시 이미 심하게 진행되었거나 간기능 저하가 심하여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최근 한국인의 건강수준에서 간암에 의한 사망률은 10만 명당 23.4명으로 세계 1위이고, 만성 간질환의 경우도 28.8명으로 3번째로 조사되었다. 또한 최근 통계청에서 우리나라 40대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56.1명이 간질환으로 가장 높은 사망원인으로 발표하였다.
이에 더하여,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간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정신적 휴식을 가질 경우 손상된 간세포는 복구될 수 있으나, 급박한 현대사회에서 정신적 휴식의 여유를 찾을 수 없어 정신적 스트레스, 과음, 흡연으로 간 손상을 가중시키게 되면, 인체가 방어 해독 작용을 하지 못해 면역 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간기능의 저하 방지 내지 간기능 향상은 인간의 건강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일상 생활 속에서 약제나 건강기능식품을 통해 간기능 개선, 지방간 개선, 알코올성 간질환 개선 등을 도모할 필요가 있고, 잦은 음주가 있는 국내의 음주 문화를 고려할 때, 주독 해독을 위한 약제나 건강기능식품이 필수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간기능 개선, 지방간 개선, 간기능 저하에 의한 피로감 개선, 알코올성 간질환 개선, 주독 해독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천연물 유래의 무독성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부작용이 없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기능 및 간질환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원시호, 토산사, 오미자, 대황, 치자, 인진, 그리고 우담즙을 포함한다.
강황 및 초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원시호는 5 ~ 7 중량부, 토산사는 2 ~ 4 중량부, 오미자는 2 ~ 4 중량부, 대황은 2 ~ 4 중량부, 치자는 1 ~ 3 중량부, 강황은 0.5 ~ 1.5 중량부, 초과는 0.5 ~ 1.5 중량부, 인진은 0.5 ~ 1.5 중량부, 그리고 우담즙은 1 ~ 2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기능 및 간질환 개선용 약제는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고, 환제 제형 형태를 갖는다.
원시호, 토산사, 오미자, 대황, 치자, 강황, 초과, 그리고 인진을 포함하고 분쇄된 혼합 분쇄물에 밀가루 및 우담즙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환제 제형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간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고, 지방간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간기능 저하에 의한 피로감을 개선시킬 수 있고, 알코올성 간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주독 해독을 시킬 수 있고, 천연물 유래의 약학 조성물로 인체에 무해하고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간기능 및 간질환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원시호, 토산사, 오미자, 대황, 치자, 인진, 그리고 우담즙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약학 조성물은, 강황 및 초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간기능 개선, 지방간 개선, 간기능 저하에 의한 피로감 개선, 알코올성 간질환 개선, 주독 해독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상습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에 대량의 중성 지방이 축적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간세포의 괴사나 변성을 일으키는 알코올성 간염, 알코올성 간섬유증 등의 알코올성 간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천연 약재를 기반으로 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성이 우수하며,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복수의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원시호(元柴胡, Bupleuri Radix)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시호의(Bupleurum falcatum) 근경을 햇볕에 말린 것으로, 정유, 부플레루몰(bupleurumol), 올레익산(oleic acid),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리그노세릭산(lignoceric acid), 포도당, 사포닌(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원시호의 약리 작용으로 해열, 진정, 진통, 진해, 항염증, 담즙 분비 촉진, 지질 대사 활성화, 면역 증가, 억균 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원시호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성분 중 Saikosaponin b1과 c는 간기능을 강화하여 간기능 개선 또는 간질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원시호에 포함되어 있는 Saikosaponin a, c, d는 부신을 자극하여 부신피질호르몬분비를 촉진함으로써 항염증작용이 있으며 혈소판응고를 억제하고 고지혈증(Cholesterol, Triglyceride)을 개선하여, 만성염증, 간경화, 간염, 지방간을 개선시키는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원시호는 담낭염이나 담관염에 대하여 치료 작용을 할 수 있다.
토산사(土山, Crataehi Fructus)는 장미과에 속하는 산사나무의 열매를 말하고 국내 토종을 지칭한다. 산사 열매는 색이 붉고 사과와 맛이 비슷하기 때문에 약용 사과라고도 불린다. 산사 열매는 약 1cm 내외의 두께로 썰어 음지에서 말리다가 햇볕에 말린 것을 사용한다. 토산사의 약리 작용으로 강심 작용, 혈액 순환 개선 작용, 혈압 강하 작용이 보고되었다.
토산사는 장의 연동운동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어 변비는 물론 소화 불량에도 사용되어온 한방 소화제 중 하나이다. 또한 토산사는 담즙 분비를 촉진하여 간기능을 회복시키고, 간 조직의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며, 간 기능 활성 저하를 개선하는 효능을 갖는다(대한동의생리학회·대한동의병리학회, page 1272-1280).
오미자(五味子, Schisandrae Fructus)는 오미자과(Schisandraceae)에 속한 오미자(북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Baill.) 또는 화중오미자(남오미자)(S. sphenanthera Rehd. et Wils.)의 완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시잔드린(C24H32O7, schizandrin), 고미신 A(C23H28O7, gomisin A), 고미신 N(C23H28O6), 사과산(m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등의 화합물을 주요 약리 성분으로 포함한다.
오미자는 혈관의 경직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우수한 혈관 이완 성능을 나타냄으로써 혈류량 증가시키고 혈액 순환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폐와 신장을 보하고, 피곤, 번열, 해소 등에 대한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오미자는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자양 및 강장제로 사용될 수 있고, 진해 및 거담 작용이 있어 기침이나 갈증 등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오미자는 두뇌 회전 촉진, 중추 신경의 기능 강화, 정력 강화, 기침 해소, 이질, 설사 등에 효능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오미자는 담낭 분비를 촉진하는 효능을 갖고, 원시호, 토산사, 대황, 치자, 인진, 강황, 초과 및 우담즙과 혼합되어 함께 사용되는 경우, 간기능 개선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대황(Rhei Rhizoma)은 마디풀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류인 장군풀, 동속 근연식물의 근 및 근경으로서 약 15종의 식물이 존재하는데, 이중에서도 우리나라에서는 장군풀(Rheum coreanum), 종대황(Rheum undulatum) 등의 건조한 근 및 근경을 기원 식물로 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장엽대황(Rheum palmatum), 당고특대황(Rheum tanguticum) 및 약용대황(Rheum offcinale) 등의 건조한 근 및 근경을 그 기원으로 삼고 있다.
대황은 주요 유효 성분으로서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로서 레인(rhein), 에모딘(emodin), 알로에-에모딘(aloe-emodin), 크리소파놀(chrysophanol), 피시온(physcion), 이들의 배당체 및 세노사이드(sennoside) A, B, C, D, E, F 등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대황의 주된 약리작용은 사하 작용이며, 이외에도 소화효소 분비 억제작용, 이담 작용을 나타내며, 항균작용, 지혈작용, 항암작용, 이뇨작용, 간기능 보호, 혈청지질 강하작용, 면역조절작용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황은 임상적으로 소화불량, 변비, 급성염증, 전염병, 기생충병, 출혈, 혈소판 감소증, 화상 및 피부병의 치료에 응용된다.
또한, 대황은 원시호, 토산사, 오미자, 치자, 인진, 강황, 초과 및 우담즙과 혼합되어 함께 사용되는 경우, 간기능 개선에 있어 상승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치자(梔子, Gardeniae Fructus)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상록관목으로서, 주요 약리 성분으로 크로신(Crocin), 크로세틴(Crocetin), 가르도닌(Gardonin), 제니핀(Genipin), 제니포사이드(Geniposide) 등을 포함한다.
치자는 인체의 열을 내리는 대표적 약재이고,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능을 가지며, 피부 진균의 생장을 억제할 할 수 있고, 불면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조직 손상시 항염 효능과 지통 효능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치자는 이담 작용을 나타내어 담즙 분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담도염으로 인해 발생된 황달 또는 황달형 간염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고, 원시호, 토산사, 오미자, 대황, 인진, 강황, 초과 및 우담즙과 혼합되어 함께 사용되는 경우, 상승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강황(薑黃, Curcumae Longae Rhizoma)은 생강목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줄기와 뿌리가 식용, 약용 등으로 사용된다.
강황의 주요 약리 성분인 쿠르쿠민(curcumine)은 간장 기능을 강화하고, 담즙 분비를 촉진하며, 이뇨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강황의 약효 작용은 간기능 강화, 두뇌 활성, 치매 예방, 혈관 강화, 항암, 항산화, 다이어트, 고혈압, 콜레스테롤 감소, 건위, 항궤양, 토사 방지, 장의 흡수 촉진, 진통, 진정, 발한, 해열, 보온, 해독, 항균 등이 있다. 다만, 강황 특유의 매운맛, 쓴맛 등의 강한 맛과 자극적인 냄새에 의해 많은 양이 사용될 경우에는 풍미 및 식감이 저하될 수 있고, 설사가 유발되거나 가려움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강황은 담즙 분비를 증가시키고, 담즙 성분을 정상으로 회복시킬 수 있으며, 담낭의 수축을 증가시시킬 수 있어, 간기능 개선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강황은 간기능 저하로 인한 소화 불량 등 소화 장애를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강황이 원시호, 토산사, 오미자, 대황, 치자, 인진, 초과 및 우담즙과 혼합되어 함께 사용되는 경우, 간기능 개선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고, 간기능 저하로 인한 소화 장애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초과(草果, Amomi Tsao-ko Fructus)는 생강과에 속하는 열대식물인 초두구의 열매를 말린 것이고, 자색을 띠며 구형으로 한약재로 많이 쓰이고 있다.
초과는 소화기를 덥게 하고, 습을 제거하며, 복통, 복부창만, 메스꺼움, 구토, 설사, 소화 불량 등의 개선에 사용되며, 약리 작용으로 장관 흥분 작용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초과가 원시호, 토산사, 오미자, 대황, 치자, 인진, 강황 및 우담즙과 혼합되어 함께 사용되는 경우, 간기능 개선에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간기능 저하로 인한 소화 장애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인진(茵蔯, Artemisiae Capillaris Herba)은 국화과 식물인 사철쑥의 전초를 건조한 것으로, 급성 간염, 담낭염, 습창소양, 황달, 소변불리 등에 사용될 수 있고, 담즙 분비 촉진, 이뇨 작용, 해열 작용 등의 약리 효과가 알려져 있다.
인진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고혈압, 비만, 뇌졸중 등 순환기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간기능의 보호 효과가 알려졌으며(Nam, S.M., et al., J. Kor. soc. food Sci. 27(2), 338(1998); Nam, S.M., J. Kor. soc. food Sci. 28(1), 199(1999)), 인진의 메탄올 추출물이 GOT와 GPT의 증가를 억제하고(Klimura, et al., Chem. Pharm. Bull., 33, 2028(1995)), 물 추출물의 에탄올 수용층이 간 손상과 간의 지질과산화를 억제한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Park, E.J., et al., Chem. Pharm. Bull., 33, 2028(1985).
우담(牛膽, Bos taurus var. domesticus, Bubalus bubalis)은 소의 쓸개로 간, 담, 폐 등에 작용할 수 있고, 간장에 쌓인 열기를 내리고, 눈을 밝게 하며, 담즙이 잘 배출되도록 하는 약리 작용이 알려져 있다. 우담은 우담즙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곰의 쓸개즙인 웅담즙과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은,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간기능 개선, 지방간 개선, 간기능 저하에 의한 피로감 개선, 알코올성 간질환 개선, 주독 해독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은, 전체로서 상승 효과 또는 시너지(synergy) 효과를 나타내므로, 구성 물질 각각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구성 물질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이 제외된 경우에 비해, 원시호, 토산사, 오미자, 대황, 치자, 강황, 초과, 인진 및 우담즙을 모두 포함할 때 최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약학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원시호는 5 ~ 7 중량부, 토산사는 2 ~ 4 중량부, 오미자는 2 ~ 4 중량부, 대황은 2 ~ 4 중량부, 치자는 1 ~ 3 중량부, 강황은 0.5 ~ 1.5 중량부, 초과는 0.5 ~ 1.5 중량부, 인진은 0.5 ~ 1.5 중량부, 그리고 우담즙은 1 ~ 2 중량부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간기능 개선, 지방간 개선, 간기능 저하에 의한 피로감 개선, 알코올성 간질환 개선, 주독 해독 효능이 더욱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고, 각 구성 성분들의 결합으로 인한 상승 효과 또는 시너지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약학 조성물에 토산사가 약 4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치아에 손상이 있을 수 있고, 환자가 쉽게 공복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 기준으로 대황이 약 4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설사 증상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에 치자가 약 3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급격한 체력 저하 또는 설사 증상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에 강황이 약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약학 조성물의 풍미 저하, 설사 증상, 또는 가려움증 증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에 초과가 약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속쓰림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에 인진이 약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호흡 곤란 증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에 우담즙이 약 2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체중 감소가 발생할 수 있고, 설사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약학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 이외의 다른 약학적 활성 성분을 함께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과 혼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주사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캡슐제, 겔제, 시럽제, 현탁제, 유제, 점적제 및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은 약 0.1 g 정도의 질량을 갖는 환제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약제로 사용될 수 있고,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약학 조성물이 건강기능식품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약학 조성물이 그대로 첨가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혼합되는 양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이 간기능 및 간질환 개선용 약제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1일 3회씩, 1회당 30~50 환을 복용할 수 있으나,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질환의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주독 해독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음주 전 및 후 30~50 환을 복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이 환제 제형을 갖는 간기능 및 간질환 개선용 약제로 제조되는 경우, 이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원시호, 토산사, 오미자, 대황, 치자, 강황, 초과, 그리고 인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분쇄하여 미세 분말화한 혼합 분쇄물을 제조한 후, 혼합 분쇄물에 밀가루 및 우담즙을 혼합한 후 교반 또는 반죽하여 환제 제형 형태의 간기능 및 간질환 개선용 약제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숙취해소나 간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이나 음료에 이용될 수도 있다. 약학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형제로는 락토즈(lactose), 덱스트로즈(dextrose), 수크로스(sucrose), 솔비톨(solbitol), 만니톨(mannitol), 자일리톨(xyl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말티톨(maltitol),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alginate), 젤라틴(gelatin), 칼슘 포스페이트(calcium phosphate), 칼슘 실리케이트(calcium silicate), 셀룰로오스(cellulose),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등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붕해제로는, 예를 들어, 전분 글리콜산 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크로스포비돈(crospovidone), 알긴산(alginic acid),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carboxymethyl cellulose calcium),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키토산(chitosan), 구아검(guar gum), 저치환된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magnesium aluminum silica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예를 들어,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povidone), 콜로이달 이산화규소(colloidal silicon dioxide), 인산수소칼슘(calcium hydrogen phosphate), 락토스(lactose), 만니톨(mannitol), 아라비아검(Arabic gum),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전분 글리콜 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carbauba wax),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린산 알루미늄(aluminum stearate), 스테아린산 칼슘(calcium stearate), 백당, 엿, 덱스트로스(dextrose), 소르비톨(sorbitol), 탈크(tal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약학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9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혼합 분쇄물 제조
원시호 약 6g, 토산사 약 3g, 오미자 약 3g, 대황 약 3g, 치자 약 2g, 강황 약 1g, 초과 약 1g, 인진 약 1g을 혼합한 후 세척 건조하고, 분쇄하여 미세 분말화한다.
2. 우담즙 및 밀가루 첨가
우담즙 약 1.5 g과 밀가루를 혼합한 후 반죽한다.
3. 환제 제조
환제를 제조한다. 이때, 환당 질량은 약 0.1 g이다.
실험예 1
간수치가 높아 간수치 이상이 있는 세 명의 대상자들에 대하여, 1일 3회씩, 1회당 30환씩 실시예 1에 따른 환제를 복용시켜 GOT(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GPT(ALT, alanine aminotransaminase), 감마 GTP(γ-GTP, γ-glutamyl transferase)를 1주일 단위로 측정하였고(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SCL(재단법인 서울의과학연구소)에서 측정),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대상자 1은 표 1, 대상자 2는 표 2, 대상자 3은 표 3).
GOT(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는 간세포, 심장근육세포, 골격근세포 등에 존재하는 효소로, 세포가 괴사 또는 파괴되면 혈중으로 유출되어 농도가 증가한다. GOT의 정상 수치 범위(참고치)는 약 10~40 IU/L 이다.
GPT(ALT, alanine aminotransaminase)는 간세포에 집중적으로 존재하는 효소로, 간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 농도가 증가한다. 대개 간에서만 특정적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간 기능 판단시 중요한 인자가 될 수 있다. GPT의 정상 수치 범위(참고치)는 약 6~40 IU/L 이다.
감마 GTP(γ-GTP, γ-glutamyl transferase)는 감마 글루타밀 펩티드(γ-glutamyl peptide)를 감마 글루타밀(γ-glutamyl)기와 펩티드(peptide)로 가수분해 하면서, 감마 글루타밀기를 아미노산이나 펩티드에 전이시키는 작용을 하는 전달효소로, 간 담도계의 폐쇄 기전에 의한 배설 장애, 손상 간조직에 있어서의 생성 기전에 의하여 증가되므로, 간 담도 질환을 검출하는 검사로 이용된다. 또한, 감마 GTP는 알코올성 간질환에 의해 현저하게 증가하므로 알코올성 간질환의 지표로서 유용성이 높다. 감마 GTP는 알코올성 간염이나 지방간 관련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금주를 하면 신속하게 수치가 떨어질 수 있다. 감마 GTP의 정상 수치 범위(참고치)는 약 60 IU/L 미만이다.
검사항목 1차 결과 2차 결과 3차 결과 4차 결과
GOT(AST) 38 30 29 23
GPT(ALT) 71 45 42 33
γ-GTP 37 22 21 22
표 1을 참조하면, 대상자 1의 경우, 1차 결과에서 GPT 수치가 높게 나타났고, 실시예 1에 따른 환제를 복용하면서 GPT 수치가 크게 감소하여 정상 수치로 회복된 것을 볼 수 있다. GOT 및 감마 GTP 수치의 경우에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치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검사항목 1차 결과 2차 결과 3차 결과
GOT(AST) 43 29 28
GPT(ALT) 20 15 18
γ-GTP 87 79 71
표 2를 참조하면, 대상자 2의 경우, 1차 결과에서 감마 GTP 수치가 높게 나타났고, 실시예 1에 따른 환제를 복용하면서 감마 GTP 수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GOT와 GPT의 경우에도, 1차 결과에 비해 3차 결과에서 수치가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검사항목 1차 결과 2차 결과
GOT(AST) 55 26
GPT(ALT) 46 24
γ-GTP 62 37
표 3을 참조하면, 대상자 3의 경우, 1차 결과에서 GOT, GPT 및 감마 GTP 모두 정상 수치 범위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2차 결과에서 세 가지 수치 모두 정상 범위로 회복된 것을 볼 수 있다.
표 1 내지 3으로부터,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GOT, GPT 및 감마 GTP의 수치를 감소시키는 것을 파악할 수 있고, 이로부터, 약학 조성물이 간기능 개선 및 간질환 개선의 효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원시호, 토산사, 오미자, 대황, 치자, 강황, 초과, 인진, 그리고 우담즙을 포함하는 간기능 또는 알코올성 간염 개선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상기 원시호는 6 중량부, 상기 토산사는 3 중량부, 상기 오미자는 3 중량부, 상기 대황은 3 중량부, 상기 치자는 2 중량부, 상기 강황은 1 중량부, 상기 초과는 1 중량부, 상기 인진은 1 중량부, 그리고 상기 우담즙은 1.5 중량부인 간기능 또는 알코올성 간염 개선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고, 환제 제형 형태를 갖는 간기능 또는 알코올성 간염 개선용 약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시호, 상기 토산사, 상기 오미자, 상기 대황, 상기 치자, 상기 강황, 상기 초과, 그리고 상기 인진을 포함하고 분쇄된 혼합 분쇄물에 밀가루 및 상기 우담즙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상기 환제 제형 형태로 제조하는 간기능 또는 알코올성 간염 개선용 약제.
KR1020190070955A 2019-06-14 2019-06-14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2217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55A KR102217303B1 (ko) 2019-06-14 2019-06-14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55A KR102217303B1 (ko) 2019-06-14 2019-06-14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090A KR20200143090A (ko) 2020-12-23
KR102217303B1 true KR102217303B1 (ko) 2021-02-17

Family

ID=7408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955A KR102217303B1 (ko) 2019-06-14 2019-06-14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3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481B1 (ko) 2006-07-14 2006-12-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간보호,저지혈 및 항염증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218A (ko) * 2000-03-17 2001-11-14 우홍정 인진의 부탄올 추출물
KR20120080348A (ko) * 2011-01-07 2012-07-17 이종석 우담과 검은콩을 주재로 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건강기능식품
KR101691605B1 (ko) * 2013-03-15 2017-01-2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60070872A (ko) * 2014-12-10 2016-06-2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09470A (ko) * 2015-07-17 2017-01-25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지표성분 함량이 증진된 오미자 농축액을 포함하는 간세포 보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481B1 (ko) 2006-07-14 2006-12-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간보호,저지혈 및 항염증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090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1046B2 (en) Herb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body weight and composition
Kulkarni et al. Indian gooseberry (Emblica officinalis): Complete pharmacognosy review
KR101738912B1 (ko)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조성물
CN110447902B (zh) 一种具有减肥功效的组合物
CN105166544A (zh) 一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454576A (zh) 茉莉花八宝茶及其制备方法
KR100947278B1 (ko)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17080B1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131130A (ko)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KR101045025B1 (ko) 천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7303B1 (ko)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CN1127349C (zh) 降脂减肥茶制剂
CN105056103A (zh) 一种辅助降血脂降胆固醇的馒头及其制备方法
CN104274780A (zh) 一种以维生素c和姜黄素为主药成分的口含片
KR100514132B1 (ko) 체중 감소용 생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체중 감소용 키트
JP2004352626A (ja) 植物由来成分を含有する抗コレステロール剤
CN106307506A (zh) 一种糖尿病的中医治疗方法
KR100504124B1 (ko) 비만억제용 조성물
CN111135235A (zh) 一种预防和缓解急性酒精中毒或醉酒的组合物
KR102195980B1 (ko) 발효 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327145A (zh) 治疗高血压性脑出血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