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481B1 -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간보호,저지혈 및 항염증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간보호,저지혈 및 항염증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481B1
KR100661481B1 KR1020060066505A KR20060066505A KR100661481B1 KR 100661481 B1 KR100661481 B1 KR 100661481B1 KR 1020060066505 A KR1020060066505 A KR 1020060066505A KR 20060066505 A KR20060066505 A KR 20060066505A KR 100661481 B1 KR100661481 B1 KR 10066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denia
glycoprote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mice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계택
오필선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8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에 관한 것과 치자 당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을 이용하여 간 보호, 저지혈증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자, 당단백질, 간보호, 저지혈증, 항염증

Description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간보호, 저지혈 및 항염증 약학 조성물{Glycoprotein isolated from Gardenia jasminoides Ellis, and hepatoprotective, hypocholesterolemic and anti-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glycoprotein}
도 1은 간세포주에 있어서 치자 당단백질을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세포 생존율 및 G/GO와 치자 당단백질을 함께 처리했을 때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CCl4가 처리된 생쥐의 간에서 싸이토크롬 c, NF-kB 및 AP-1 활성에 대한 치자 당단백질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CCl4가 처리된 생쥐의 간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에 대한 치자 당단백질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DSS가 처리된 생쥐의 직결장 조직에서 MPO의 활성에 대한 치자 당단백질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DSS가 처리된 생쥐의 간에서 COX-2, iNOS 및 NF-kB 활성도에 대한 치자 당단백질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DSS가 처리된 생쥐의 직결장 조직에서 TBARS 생성에 대한 느릅 당단 백질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DSS가 처리된 생쥐의 직결장 조직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도에 대한 치자 당단백질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은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에 관한 것과 치자 당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을 이용하여 간보호, 저지혈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던 산소가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광화학 반응과 같은 환경적 및 생화학적 요인 등에 의해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superoxide radical, O2 -), 히드록실 라디칼 (hydroxyl radical, OH-),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일중항산소 (singlet oxygen, O2 )등과 같이 반응성이 큰 ROS(reactive oxygenspecies)로 전환되면 인체의 세포구성 성분인 단백질, 지질 및 DNA 등을 비가역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산소의 작용은 체내 방어기구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아 제(catalase), 퍼옥시다아제 (peroxidase), 글루타치온(glutathione) 등의 항산화성 효소 및 비타민 C(ascorbic acid), 비타민 E(tocopherol) 등의 항산화 물질의 작용에 의하여 제거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체 방어력에 이상이 생기거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노출될 경우에는, 잔여 또는 과잉의 활성산소가 생체에 산화적 독성을 일으키고, 세포구성 성분인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를 유도하여 노화는 물론 암을 비롯하여 뇌졸중, 파키슨병과 같은뇌질환, 심장질환, 허혈, 동맥경화, 피부질환, 소화기질환, 염증, 류마티스 및 자기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일으킨다
상기와 같이, 산화적 스트레스가 노화를 비롯하여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임이 밝혀지면서 요즈음 많은 과학자들은 생체 내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활성산소소거제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강력한 항산화능력을 가진 천연물 유래의 저분자 활성산소 소거제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BHA(butylated hydroxy anosole), BHT (butylated hydroxy toluene) 및 NDGA (nordihydroguaiaretic acid) 등의 합성활성산소 소거제도 많이 개발되어 의약품과 식품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합성된 활성산소 소거제는 생체 내에서 독성을 나타내어 알러지(Allergy)와 종양 등을 발생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 활성산소 소거제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나, 현재까지 알려진 천연 활성산소 소거제는 합성 활성산소 소거제에 비하여 안전하지만 그 효력이나 생산비 용 면에서 합성 활성산소 소거제를 능가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활성산소 소거활성이 탁월하면서 보다 안전하고 생산비용이 저렴한 새로운 천연활성산소 소거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치자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치자나무(Gardenia jasmoides Ellis) 또는 그 밖의 동속 식물의 열매로 예로부터 식품의 착색제로 사용되어왔다. 한방에서는 소염, 이뇨, 지혈. 해열, 진정, 항균, 담즙분비, 간장염 치료약으로 황달, 토혈 등에 이용하고 있으며, 진정제 등으로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치자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착색제 등으로만 이용하였을 뿐, 다른 약리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봐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자에서 간 보호, 저지혈 및 항염증 효과가 있는 치자 당단백질을 추출하고, 상기 치자 당단백질을 포함하는 약학 제제로 사용하는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저지혈 작용을 갖는 약학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간보호 작용을 갖는 약학 조성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염증 작용을 갖는 약학 조성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치자 당단백질은 당 50 내지 65%, 정확하게는 58%, 단백질 35 내지 50%, 정확하게는 4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치자 당단백질은 분자량이 25 내지 30kDa, 정확하게는 27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1. 치자 당단백질 추출 및 그 성분
치자열매를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고, 상기 치자열매의 작은 조각을 99% 에탄올에 여러 달 동안 암실에서 침지시킨다.
이어서,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여과 종이(filter paper)를 이용하여 거른 후, 회전 농축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한다.
이어서, 상기 농축된 용액을 동결 건조기(freeze-dryer)를 이용하여 동결 건 조한다.
이어서, 상기 동결 건조시켜 얻은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상기 용액을 80% 암모늄 설페이트(ammonium sulfate)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침지시키고, 투석막(dialysis membrane)을 이용하여 4℃의 20mM 트리스 버퍼(Tris buffer,pH 7.4)에서 하루 동안 투석한다.
이어서, 상기 투석 후, 투석막 내용물을 동결 건조기로 건조시키고, -70℃의 온도에서 보존하여 치자 당단백질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치자 당단백질은 성분 분석 결과, 상기 치자 당단백질은 분자량이 25 내지 30kDa, 정확하게는 27kDa이고, 당이 50 내지 65%, 정확하게는 58%, 단백질이 35 내지 50%, 정확하게는 4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치자 당단백질의 효능
2-1. 치자 당단백질의 세포 독성.
치자 당단백질의 세포 독성에 대해 알기 위해 BNL CL.2 세포(생쥐의 태아 간 세포주)에 치자 당단백질만을 처리하거나 G/GO(glucose/glucose oxidase, 50mU/mL) 처리(이때, 상기 G/GO 처리는 BNL CL.2 세포 내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과산화수소를 발생시켜 세포의 생존율을 저하시킴)한 후, 치자 당단백질을 주입(첨가)하여 BNL CL.2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데, 도 1의 A는 BNL CL.2 세포에 치자 당단백질만을 25 내지 200㎍/mL를 처리한 후의 세포의 생존율은 크게 변화가 없는 것 을 알 수 있다.
즉, 치자 당단백질을 BNL CL.2 세포에 25 내지 200㎍/mL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은 92%임을 알 수 있어, 치자 당단백질 그 자체 성분은 세포 독성 효과를 거의 가지고 있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의 B에서는 G/GO 처리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BNL CL.2 세포의 생존율과 상기 G/GO 처리와 치자 당단백질 처리를 동시에 실시한 경우의 세포 생존율을 도시하고 있다.
즉, G/GO 처리로 인해 세포의 생존율은 54.1%로 감소하였는데, 상기 G/GO 처리된 BNL CL.2 세포들에게 치자 당단백질을 처리하게 되면 세포의 생존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G/GO 처리한 BNL CL.2 세포에 치자 당단백질을 200㎍/mL을 처리하게 되면 세포의 생존율은 89%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치자 당단백질은 단독으로 BNL CL.2 세포에 처리하여도 세포의 생존율을 감소시키지 않는 반면(세포독성 없음), G/GO 처리로 인해 생존율이 낮아진 BNL CL.2 세포에 치자 당단백질을 처리(주입)하게 되면 세포의 생존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2-2. 치자 당단백질의 간 보호 효과.
(1) CCl4(Carbon tetrachloride, 사염화 탄소)가 처리된 생쥐의 혈중 TBARS(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수준, LDH(lactate dehydrogenase) 활성도 및 NO(nitric oxide) 생성량에 대한 치자 당단백질의 효과.
생쥐에게 치자 당단백질[80mg/kg BW(body weight)]만을 투여하였을 때, 표 1에서 보여 주는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혈중 TBARS 수준, LDH 활성도 및 NO 생성량은 변화가 없었다.(이때, 상기 TBARS 수준 및 LDH 활성도는 간 조직 손상을 혈액에서 평가하는 하나의 간접적인 지표이다.)
한편, 생쥐에게 CCl4(1.0ml/kg BW)를 처리하고 (이때, 상기 CCl4 처리는 생쥐 간 세포 내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간독성을 유도함) 치자 당단백질을 처리하고 24시간이 경과된 후에 측정된 혈중 TBARS 수준 및 LDH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0.6μM/L 및 81%만큼 증가되었다. 그러나, 생쥐를 3일 동안 40 및 80mg/kg(BW)의 치자 당단백질로 먼저 투여한 후, CCl4를 주입하게 되면, CCl4만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TBARS 수준은 0.3 및 0.5μM/L이 감소하고, LDH 활성도는 43 및 77% 만큼 감소하였다.
반면, CCl4를 처리(1.0mL/kg BW)한 후에 혈중 NO 생성량(이때, 상기 혈중 NO 생성량이 증가하면 상기 CCl4 처리로 인해 발생된 트리클로로메틸 자유산소기(trichloromethyl free radical)를 억제하여 간 손상을 억제시킴)의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5.7μM/L 만큼 감소는 반면, 생쥐를 3일 동안 치자 당단백질을 40 및 80mg/kg(BW)로 먼저 투여한 후, CCl4를 처리(1.0mL/kg BW)하게 되면, CCl4 처리만을 한 경우에 비해 NO 생성량은 2.9 및 4.7μM만큼 증가했다. 이때, 상기 대조군과 CCl4 주입군, 치자 당단백질 투여군 또는 이들의 조합군의 몸무게와 간의 무게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치자 당단백질은 CCl4 처리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간 손상을 막고 혈중 NO 생성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손상된 간을 보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6050547865-pat00001
(2) CCl4가 처리된 생쥐의 간에서 치자 당단백질이 싸이토크롬 c(cytochrome c), NF-kB 및 AP-1의 활성도에 미치는 치자 당단백질의 효과.
생쥐에게 CCl4(1.0mL/kg BW)를 처리하고 24시간이 경과된 후, 간세포 독성에 관계된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싸이토크롬 c) 및 전사인자 단백질들 (NF-kB 및 AP-1)이 간 조직에서 활성화되었음을 도 2에서 보여 주고 있다.
예컨데, 싸이토크롬 c 단백질은 도 2의 A에서 보여 주고 있는 바와 같이 CCl4 처리(1.0mL/kg BW)하고 24시간이 경과된 후,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로부터 세포질 (cytosol)로 방출되어 미토콘드리아에서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나 생쥐를 3일 동안 치자 당단백질을 40 및 80mg/kg(BW)로 먼저 투여한 후, CCl4를 처리(1.0mL/kg BW)하게 되면, CCl4 처리만을 한 경우에 비해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의 싸이토크롬 c의 방출이 줄어들어 미토콘드리아 남아있는 싸이토크롬 c 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NF-kB(p50) 및 AP-1(c-jun 및 c-fos)의 경우에는 도 2의 B에서 보여 주고 있는 바와 같이 CCl4 처리(1.0mL/kg BW)하고 24시간이 경과된 후, 세포 핵 내에서의 그 농도는 증가된다.
이에 반해, 생쥐를 3일 동안 치자 당단백질을 40 및 80mg/kg(BW)로 먼저 투여한 후, CCl4를 (1.0mL/kg BW) 처리하게 되면, CCl4 처리만을 한 경우에 비해 NF-kB(p50) 및 AP-1(c-jun 및 c-fos)의 핵 내의 농도는 투여된 치자 당단백질의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한다.
따라서, 치자 당단백질은 CCl4 처리에 의해 유도된 미토콘드리아 기능손상을 막고, 핵 내에서 전사인자들(NF-kB(p50) 및 AP-1(c-jun 및 c-fos))의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손상된 간을 보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CCl4가 처리된 생쥐의 간에서 치자 당단백질이 간조직 항산화 효소(SOD, CAT 및 GPx)의 활성도에 미치는 치자 당단백질의 효과.
일반적으로 항산화 효소 시스템은 지질 과산화 및 ROS에 의한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3에서는 생쥐에 3일간 치자 당단백질 (80mg/kg(BW))만을 투여하였을 때,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및 glutathione peroxidase (GPx))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18, 17 및 22%만큼 증가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한편, 생쥐에게 CCl4 처리(1.0ml/kg BW)하고, 24시간이 경과된 후에 측정된 간 조직의 SOD, CAT 및 GPx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36, 34 및 39% 만큼 감소되었다. 그러나, 생쥐를 3일 동안 치자 당단백질 80mg/kg(BW)을 먼저 투여한 후, CCl4 주입하게 되면, CCl4 처리만을 한 경우에 비해 SOD, CAT 및 GPx의 활성도는 각각 27, 23 및 31%만큼 증가하였다.
즉, 치자 당단백질은 CCl4 처리에 의해 유도된 활성 산소의 산화적 원인에 의한 간 손상을 간 조직의 항산화효소들 (SOD, CAT 및 GPx)의 활성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손상된 간을 보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은 CCl4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 실험에서 혈중 LDH 및 TBARS 농도를 감소시키고, CCl4에 의해 감소된 혈중 NO량 및 간 항산화 효소들(SOD, CAT 및 GPx)의 농도를현저히 증가 시킴으로써 간 보호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치자 당단백질의 간 보호 효과는 CCl4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을 유발하는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싸이토크롬 c, NF-kB 및 AP-1 등)의 활성을 억제하여 손상된 간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함께 보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은 간 보호 효과를 갖는 물질임으로 상기 치자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여 간 보호 제제로 이용할 수 있다.
2-3. 치자 당단백질의 저지혈증 효과.
(1) 트리톤(triton) WR-1339가 투여된 생쥐에서 치자 당단백질의 저지혈증 효과.
생쥐에 혈중 TG(triglyceride), TC(total cholesterol) LDL(low density lipoprotein) 농도의 유의적 증가가 트리톤 WR-1339를 처리(이때, 상기 트리톤 WR-1339 처리는 생쥐의 혈액에서 간으로 TG 및 콜레스테롤들의 이동을 막고, 이로 인해 생쥐 혈액내에 콜레스테롤 농도를 증가시켜 고지혈증을 유도함)한 후 관찰되어진 반면, 치자 당단백질의 투여는 트리톤 WR-1339에 의해 증가된 혈중 콜레스테롤 (TG, TC 및 LDL)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저지혈증 효과가 있음을 표 2에서 보여 주고 있다.
표 2를 보면, 트리톤 WR-1339 [400mg/kg(BW)]로 생쥐에 처리한 후 18시간 경과된 경우, 대조군에 비해 TG, TC 및 LDL의 양이 각각 147.2, 92.9 및 90.5mg/dL만큼 증가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반면, 치자 당단백질 40 및 80mg/kg(BW)을 먼저 투여하고, 트리톤 WR-1339를 처리하는 경우, 혈중 TG, TC 및 LDL이 트리톤 WR-1339만을 처리했을 때에 비해서 TG 농도를 각각 94.0 및 130.0 mg/dL 만큼, TC 농도를 각각 72.5 및 91.4 mg/dL 만큼, LDL 농도를 64.4 및 84.7 mg/dL만큼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치자 당단백질은 체내에서 과콜레스테롤증(hypercholesterolemia)을 억제 시켜주는 혈중 HDL(High density lipoprotein) 농도를 증가 시켰다.
즉, 생쥐에게 트리톤 WR-1339만을 투여했을 때, 혈중 HDL의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27.1mg/dL이 감소한 반면, 치자 당단백질 40 및 80mg/kg(BW)을 먼저 투여하고, 트리톤 WR-1339를 처리할 경우에는 트리톤 WR-1339만을 주입했을 때에 비해서 혈중 HDL 농도를 각각 12.7 및 22.1mg/dL 만큼 증가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때, 상기 트리톤 WR-1339 투여 실험에서, 치자 당단백질의 투여 여부에 상관 없이 대조군과 트리톤 WR-1339 투여군 간의 생쥐의 몸무게 및 간의 무게의 차이는 없었다.
Figure 112006050547865-pat00002
(2) 옥수수 기름(corn oil)이 투여된 생쥐에서 치자 당단백질의 저지혈증 효과.
옥수수 기름이 투여(이때, 상기 옥수수 기름 처리는 생쥐의 혈액에서 글리세리드(glyceride) 농도를 증가시켜 고혈당증(hyperglycemia)을 유도함) 된 생쥐의 혈중 TG, TC, HDL 및 LDL를 표 3에서 보여 주고 있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옥수수 기름(1.0g/kg BW)을 처리한 후 2시간 경과 후의 TC, HDL 및 LDL의 경우에는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반면, 콜레스테롤이 아닌 TG의 수준은 대조군에 21.1mg/dL 만큼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치자 당단백질 40 및 80mg/kg(BW)을 먼저 투여하고, 옥수수 기름를 처리할 경우에는 옥수수 기름만을 주입했을 때에 비해서 혈중 TG 농도를 각각 15.4 및 31.8 mg/dL 만큼 감소 시킨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혈중 TC 및 LDL 농도에 있어서는, 치자 당단백질 80mg/kg(BW)을 먼저 투여하고, 옥수수 기름을 처리할 경우에, 각각 16.8 및 17.9mb/dL 만큼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옥수수 기름 투여 실험에서, 치자 당단백질의 투여 여부에 상관없이 대조군과 옥수수 기름 투여군 간의 생쥐의 몸무게 및 간의 무게의 차이는 없었다.
Figure 112006050547865-pat00003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은 트리톤 WR-1339 및 옥수수 기름에 의해 증가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및 혈중 토탈 글리세리드(total glyceride) 농도를 감소시키는 저지혈증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은 저지혈증 효과를 갖는 물질임으로 상기 치자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여 고지혈증 제제로 이용할 수 있다.
2-3. 치자 당단백질의 항염증 효과.
(1) DSS(dextran sulfate sodium) 처리된 생쥐의 직결장 조직에서 MPO(myeloperoxidase)에 대한 치자 당단백질의 효과.
일반적으로 DSS는 장 상피세포 구조를 변화시킴으로 인해 직결장 점막 내로 여러 항원들의 침입을 유도하여 대장염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여러 백혈구 세포 (leukocyte)들이 이 항원을 치료하기 위해 대장염부위로 이동하여 침윤되는데, 이러한 백혈구 세포중 호중성 백혈구(neutrophil)는 대장염증 부위에 침윤 후 MPO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4에서 보여 주고 있는 바와 같이 생쥐를 치자 당단백질의 투여 없이 3% DSS만 처리를 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결장 조직의 MPO 활성도의 수준은 65.5% 만큼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치자 당단백질 40 및 80mg/kg(BW)을 먼저 투여하고, 3% DSS 처리하는 경우, 장조직의 MPO 활성도는 3% DSS만 처리했을 때에 비해서 각각 35 및 47% 만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 DSS 처리된 생쥐의 결장 조직에서 COX-2 및 iNOS 생성량과 NF-kB(p50) 활성도에 대한 치자 당단백질의 효과.
생쥐에게 3% DSS를 처리한 후, 염증에 관계된 단백질들(iNOS 및 COX-2) 및 전사인자 단백질(NF-kB (p50))이 장 조직에서 활성화되었음을 도 5에서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생쥐에 치자 당단백질 40 및 80mg/kg(BW)을 먼저 투여하고, 3% DSS 처리하는 경우, 투여되는 치자 당단백질 양이 증가함에 따라 염증에 관계된 단백질들 및 전사인자 단백질의 농도는 명백히 약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생쥐에 3% DSS 처리 후 iNOS, COX-2 및 NF-kB(p50) 단백질의 발현 강도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1.35, 1.05 및 2.35배 증가함을 보여준 반면, 치자 당단백질 80mg/kg(BW)을 먼저 투여하고, 3% DSS 처리하는 경우, 3% DSS만 처리한 경우에 비해 각각 1.03, 0.72 및 1.83 배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치자 당단백질은 DSS 처리에 의해 유도된 대장염증 단백질의 활성을 막고, 핵 내에서 전사인자(NF-kB(p50))의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항대장염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DSS 처리된 생쥐의 결장 조직에서 지질 과산화에 대한 치자 당단백질의 억제 효과.
결장 조직의 TBARS의 레벨 DSS에 의해 발생되는 지질과산화 작용이 대장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간접적인 지표로서 측정하였다.(도 6을 참조).
생쥐에 치자 당단백질 80mg/kg만을 투여한 경우, 직결장 조직의 TBARS의 수준은 변화가 없었으나, 3% DSS를 처리한 경우에는 TBARS의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38.9%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치자 당단백질 40 및 80mg/kg(BW)을 먼저 투여하고, 3% DSS 처리하는 경우, 장조직의 TBARS 수준은 3% DSS만 처리했을 때에 비해서 각각 11.9 및 22.7% 만큼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DSS 처리된 생쥐의 결장 조직에서 항산화 효소(SOD, CAT 및 GPx) 활성도에 대한 치자 당단백질의 효과.
도 7에서 보여 주고 있는 바와 같이 생쥐에 치자 당단백질만을 투여한 경우, 결장조직의 SOD 및 GPx의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나, CAT의 활성도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생쥐에게 3% DSS를 처리한 후, 결장조직의 항산화 효소들(SOD, CAT 및 GPx)의 활성도가 현저히 감소 되었다.
예컨대, 생쥐에 80mg/kg의 치자 당단백질만 투여한 경우, 결장 조직의 SOD 및 GPx의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15.1 및 18.8% 만큼 증가된 반면, 3% DSS만 생쥐에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SOD, CAT 및 GPx는 각각 12.1, 19.8 및 35.5% 만큼 감소되었다.
그러나, 80mg/kg(BW)의 치자 당단백질을 먼저 투여하고, 3% DSS를 처리한 경우, 결장 조직의 SOD, CAT 및 GPx의 활성도는 3% DSS만 처리한 경우에 비해 각각 8.8, 11.2 및 36.4% 만큼 증가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를 종합해 보면,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은 3% DSS에 의해 유도된 생쥐 대장염 실험에서 MPO 활성 및 TBARS 농도를 감소 시키고, DSS에 의해 감소된 결장 항산화 효소들(SOD, CAT 및 GPx)의 농도를 현저히 증가 시킴으로써 장염증 억제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치자 당단백질의 항염증 효과는 DSS에 의해 유도된 장염증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들(iNOS,COX-2 및 NF-kB등)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다는 것을 함께 보여 주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이 간 보호 효과, 저지혈 효과 및 항염증 효과 있음을 확인하였고,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저지혈 작용을 갖는 약학 조성물.
  2.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간보호 작용을 갖는 약학 조성물.
  3. 치자에서 추출한 치자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염증 작용을 갖는 약학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자 당단백질은 당 50 내지 65% 및 단백질 35 내지 5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치자 당단백질은 당 58% 및 단백질 4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치자 당단백질은 분자량이 25 내지 30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치자 당단백질은 분자량이 27k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삭제
  9. 삭제
KR1020060066505A 2006-07-14 2006-07-14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간보호,저지혈 및 항염증 약학 조성물 KR10066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505A KR100661481B1 (ko) 2006-07-14 2006-07-14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간보호,저지혈 및 항염증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505A KR100661481B1 (ko) 2006-07-14 2006-07-14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간보호,저지혈 및 항염증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481B1 true KR100661481B1 (ko) 2006-12-27

Family

ID=3781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505A KR100661481B1 (ko) 2006-07-14 2006-07-14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간보호,저지혈 및 항염증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4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637B1 (ko) 2009-04-02 2011-12-06 한국식품연구원 효소 처리에 의하여 항염증 활성이 증가된 치자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200143090A (ko) * 2019-06-14 2020-12-23 최연길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637B1 (ko) 2009-04-02 2011-12-06 한국식품연구원 효소 처리에 의하여 항염증 활성이 증가된 치자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200143090A (ko) * 2019-06-14 2020-12-23 최연길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2217303B1 (ko) 2019-06-14 2021-02-17 최연길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veen et al. Effects of silymarin nanoemulsion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ic damage
Surendran et al. In vitro and in vivo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Cissampelos pareira against carbon-tetrachloride induced hepatic damage
Samuel et al. Hibiscus vitifolius (Linn.) root extracts shows potent protective action against anti-tubercular drug induced hepatotoxicity
Sun et al. In vitro/in vivo hepatoprotective properties of 1-O-(4-hydroxymethylphenyl)-α-L-rhamnopyranoside from Moringa oleifera seeds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ic injury
Hira et al. Protective effect of crude sulphated polysaccharides from Sargassum Swartzii (Turn.) C. Ag. against acetaminophen induced liver toxicity in rats
Saleh et al. Antioxidant effect of sepia ink extract on extrahepatic cholestasis induced by bile duct ligation in rats
Oliveira et al. Silymarin attenuates hepatic and pancreatic redox imbalance independent of glycemic regulation in the alloxan-induced diabetic rat model
Hira et al. Protective effect of leaf extract of Ficus carica L.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ic toxicity in mice and HepG2 cell line
Askin et al. The hepato-renal protective potential of walnut seed skin extract against acute renal ischemia/reperfusion damage
RU2532343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кожи
Al-Ezzy et al.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chillea millefolium methanolic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hepatotoxicity on albino male mice
KR100661481B1 (ko) 치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및 이를 함유하는 간보호,저지혈 및 항염증 약학 조성물
Güzel et al. The ameliorating effect of silymarin against vancomycin-induced apoptosis and inflammation in rat liver
Kolsi et al. Protective effect of Sargussum vulgare sulfated polysaccharide against molecular, biochemical and histopathological damage caused by alloxan in experimental diabetic rats
CN104739917A (zh) 植物萃取物和治疗肝脏纤维化与肝癌的方法
Abdallah et al. Pharmacological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rtemisia herba alba in streptozotocin-induced type 1 diabetes mellitus in rats
KR100414187B1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 및 이의 용도
Anandakirouchenane et al. Antioxidant and protective effect of Curculigo orchioides on liver, pancreas and kidney tissue in alloxan induced diabetic experimental rats
Serges et al.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of Commelina diffusa Burm extracts on gentamicin-induced liver damage in rats
Mathews et al.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Sphaeranthus indicus [Linn] on liver damage in Wistar rats
Mirsky Glucose tolerance factor–insulin mimetic and potentiating agent–a source for a novel anti diabetic medication
Salman et al. Hepatoprotective effect of Solanum nigrum leave diethyl ether extract on liver ccl4 toxicity
Orji et al.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Vernonia ambigua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hepatotoxicity in albino rats
Oyinloye et al. Ethyl acetate fraction of Mucuna pruriens leaves mitigates diclofenac-induced hepatotoxicity via modulation of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parameters changes in Wistar Rats
Simorangkir et al. Hepatoprotective and histological pancreas effects of Sarang Banua (Clerodenrum fragrans Vent Willd) leaf extract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