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130A -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130A
KR20160131130A KR1020150062854A KR20150062854A KR20160131130A KR 20160131130 A KR20160131130 A KR 20160131130A KR 1020150062854 A KR1020150062854 A KR 1020150062854A KR 20150062854 A KR20150062854 A KR 20150062854A KR 20160131130 A KR20160131130 A KR 20160131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xed
herbal medicine
preparing
therapeu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만섭
Original Assignee
천지인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지인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지인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130A/ko
Publication of KR2016013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2Alpinia, e.g. red ginger or galang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나복자, 정향, 고량강, 강황, 창출을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를 추출, 농축, 분말 단계를 거쳐 과립제, 산제, 환제로 제조함으로써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에 효과가 있는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혼합 생약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제 농축액으로 부형제를 함유하여 과립제를 제조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며,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혼합 생약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상기 혼합 생약제를 건조기로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22) 및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S22)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산제 또는 환제를 제조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The herbal mixtur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rapeutic compositions for mprov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indigestion and the therapeutic compositions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나복자, 정향, 고량강, 강황, 창출을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를 추출, 농축, 분말 단계를 거쳐 과립제, 산제, 환제로 제조함으로써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에 효과가 있는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관은 구강의 작용, 위운동과 위액의 분비, 소장운동과 장액의 분비, 췌장과 췌장액의 분비, 담즙의 분비 등 체내의 여러 기관과 소화에 관여하는 분비액을 통해 움직인다.
상복부(上腹部)의 불쾌감은 위장의 운동성 저하에 따라 음식물이 정체함으로써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건위(健胃)에 작용하는 천연재료는 위장운동에 관여하는 아세틸콜린의 유리를 촉진시켜 위장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반대로 위장운동의 과잉이나 위산분비의 과다로 인한 속쓰림은 제산제 등으로 통증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 위장 질환에는 dopamine이나 serotonin 신경계 관련 약물이 사용되고 있다. 부교감 신경의 절후 섬유에 존재하는 dopamine D2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인 domperidone(돔페리돈)의 경우는 아세틸콜린의 유리를 촉진시켜 장의 운동을 촉진한다. Muscarine 수용체의 효능을 가진 천연재료는 장관평활근의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한다.
일 예로, 위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8750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구강분산성 돔페리돈 정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돔페리돈(domperidone), 메퀴타진(mequitazine), 코데인 염기 및 로페라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저 용량(low-dose) 치료 활성 물질 0.5 % 내지 15 %와, 30 ㎛ 내지 300 ㎛ 사이의 입자 크기의 만니톨 55 % 내지 70 %와, 말토덱스트린 2 % 내지 29.5 %와, 크로스카르멜로오스 나트륨 3.5 % 내지 8 %와, 미정질 셀룰로오스 10 % 내지 20 %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5 % 내지 1.5 % 및 향미제 및 감미제 1 % 내지 5 %의 중량비로 구성된 구강분산성 정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복부팽만감, 만성위염, 역류성 식도염과 같은 위장 질환에 효과가 있지만, 일부 위장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오심 또는 구토 증세가 발생하며, 최근 유럽의약품청(EMA)의 역학연구에서 돔페리돈이 심실부정맥이나 심장돌연사의 위험을 증가시키는데 연관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인체 부작용이 적은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와 함께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소화기관의 질환을 예방시키는 물질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함께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나복자, 정향, 고량강, 강황, 창출을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를 추출, 농축, 분말 단계를 거쳐 과립제, 산제, 환제로 제조함으로써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에 효과가 있는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혼합 생약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제 농축액으로 부형제를 함유하여 과립제를 제조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혼합 생약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상기 혼합 생약제를 건조기로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22) 및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S22)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산제 또는 환제를 제조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나복자, 정향, 삼릉을 주 원료로 하는 혼합 생약제를 추출, 농축, 분말 단계를 거쳐 과립제, 산제, 환제로 제조함으로써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공정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은 가벼운 속쓰림 및 소화불량부터 역류성 식도염, 위염, 십이지자궤양과 같은 위장질병을 예방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내용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혼합 생약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제 농축액으로 부형제를 함유하여 과립제를 제조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혼합 생약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혼합 생약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추출 용매는 정제수와 식품용 알코올을 8 : 2 내지 5 : 5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식품용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추출 용매는 알코올 대비 물의 중량비가 5 중량비 미만이면 알코올 성분이 상대적으로 늘어나 추출 후 알코올이 남아있어서 알코올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며, 알코올 대비 물의 중량비가 8 중량비를 초과이면 알코올 성분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각각의 생약제의 추출물들이 균일하게 추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혼합 생약제를 깨끗이 세척하고 배합한 후, 1,000 내지 5,000 mL의 상기 추출 용매를 넣고 85 내지 90 ℃의 온도로 8 내지 12 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한다.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은 진공 저온 농축 방법으로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되, 상기 진공 저온 농축 방법은 열 영향을 받는 물질이나 공기에 의해 산화되는 물질을 농축하기 위해 진공 상태에서 40 내지 90 ℃로 약효 손상 없이 농축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제 농축액으로 부형제를 함유하여 과립제를 제조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부형제인 옥수수 분말을 1 : 1 내지 4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건조시켜서 과립제를 제조한다.
상기 부형제는 약제에 적당한 굳기나 형상을 주기 위해서 첨가하거나, 주제(主劑)의 양이 적은 경우에 일정 중량을 주어 취급하기 쉬운 크기로 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상기 혼합 생약제 농축액이 부형제 대비 1 중량비 미만이면 혈압안정 및 혈액순환개선의 효능이 나타나지 않으며, 부형제 대비 4 중량비를 초과하면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부형제가 서로 응집되는 것이 어려워 과립제 제조 시 문제가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혼합 생약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상기 혼합 생약제를 건조기로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22) 및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S22)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산제 또는 환제를 제조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계(S10)과 단계(S20)은 일 실시예의 제조단계와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혼합 생약제를 근적외선 건조기로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22)를 수행한다.
상기 혼합 생약제를 건조기로 건조하되, 건조기에서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2 시간 동안 건조한 후 100 내지 400 mesh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S22)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산제 또는 환제를 제조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혼합 생약제 분말을 1 : 1 내지 4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100 내지 400 mesh 산제를 제조한다.
상기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혼합 생약제 분말을 1 : 1 내지 4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한 후 찹쌀 50 내지 450 g과 정제수 500 내지 1,500 mL를 더 포함하여 혼합하고 반죽하여 3 내지 7 mm의 직경으로 환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은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후 추출 및 농축하여 과립제, 산제, 환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제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각 원료의 특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나복자는 십자화과(Cruciferae)에 속하는 무(Raphanus sativus Linne)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씨를 말한다.
나복자의 효능은 음식이 체하여 정체되어 있는 것을 풀어주고, 강기(降氣)시켜 화담(化痰)하며, 가래가 많은 기침 해소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나복자는 음식물의 기계적 소화작용으로 장관운동감소로 인한 복창(腹脹)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 정향은 도금낭과(Myrtaceae)에 속한 상록교목인 정향수(Eugenia caryophyllata Thunb.)의 꽃봉우리가 녹색에서 홍색으로 될 때 채취한 것이다.
정향의 효능은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여 오심(五心)과 구토(嘔吐)의 상역감을 가라앉히고, 신(腎)을 보하여 양기(陽氣)를 도모하며, 다리에 힘이 없거나 발기부전, 여성대하병에 쓰인다.
또한, 정향은 에탄올 투여로 야기된 위궤양 동물모델에서 eugenol의 전투여는 위궤양 억제작용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삼릉은 사초과(Cyperaceae)에 속하는 매자기(Scirpus flaviatilis A. Gray) 혹은 흑삼릉과(Sparganiaceae)에 속하는 흑삼릉(Sparganium stoloniferum Buchanan-Hamilton)의 덩이 뿌리이다. 형삼릉(荊三稜)이라고도 한다.
삼릉의 효능은 어혈(瘀血)을 깨트리고 없애주고, 기(氣)를 소통시켜 통증을 멎게 한다.
또한, 삼릉은 in vitro에서 삼릉의 물 추출물은 항 응고 작용을 나타내며, 경구투여시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과 혈액 점도 이상을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맥아는 벼과(Gramineae)에 속한 일년생 초본인 보리(Hordeum vulgare L.)의 성숙한 과실을 발아시켜 건조한 것이다.
맥아의 효능은 음식을 소화시키고 중기(中氣)를 조화시키고, 음식이 체하여 정체되어 있는 것을 풀어주며, 위로 치민 기를 가라앉히고, 모유가 적체되어 유방이 아픈 것을 해소한다.
또한, 맥아에는 당분해 효소 등 음식물을 소화시킬 수 있는 소화효소를 함유하고 있어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식이의 소화를 돕는다.
상기 지각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한 상록소교목인 산등(酸燈, Citrus aurantium L.)과 우리나라에서는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R.)의 미성숙과실을 건조한 것이다.
지각의 효능은 가슴과 배가 부풀어 오른듯한 답답함을 해소해주며, 음식이 정체되있거나 변비로 인한 복통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지각의 정유 또는 주성분인 limonene이 위궤양에 대하여 보호작용을 가지는데, 이는 PGE2의 보존에 의한 위점막 생성 촉진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지각의 섭취가 위암의 발생률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효과는 지각에 함유되어 있는 naringin 또는 이의 비당체인 narngenin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신곡은 밀가루 또는 미기울, 적소두 가루, 행인가루, 개똥쑥즙, 도꼬마리즙, 버들여귀즙 등의 재료를 반죽하여 누룩같이 만들어 짚이나 마대 또는 삼잎으로 쌓아 온실에서 발효시킨 것이다.
신곡의 효능은 음식이 체하여 정체되어 있는 것을 풀어주고, 비장과 위를 건강하게 해 준다.
또한, 신곡은 비타민B 복합체, 효소류, 맥각 고순 및 단백질 등으로 조성되어 있어서, 보조효소의 작용을 통해 물질대사에 영향을 끼치며 음식물 중 단백질의 소화흡수와 이용에 도움을 주며, 술로 인한 식체에 도움을 준다.
상기 고량강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의 뿌리줄기를 말하며, 양강(良薑)이라고도 한다.
고량강의 효능은 속을 따뜻하게 하고 통증을 그치게 하고, 배가 차고 통증이 있을 때, 위가 차서 구토가 일어날 때 효과적이다.
또한, 고량강에서 분리한 diarylheptanoid 성분(5-hydroxy-7-(4“-hydroxy-3-methoxyphenyl)-1-phenyl-3-heptanone)이 장관병원성 대장균(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에 대하여 항염증 작용과 항균작용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고량강에 함유되어 있는 화합물 중 일부 flavonoid와 diarylheptanoid 및 sterol에서 구토억제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산사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한 낙엽교목인 산리홍(Crataegus pinnatifida B.)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이다.
산사의 효능은 식적(食積)을 치료하고, 어혈(瘀血)을 제거한다.
또한, 산사는 소화효소 중 lipase 및 protease의 분비를 촉진하고 소화를 증진시킨다.
상기 청피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귤나무(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Citus reticulata Blanco의 덜익은 과피이다. 황귤피(黃橘皮) 또는 청감피(靑柑皮) 라고도 불린다.
청피의 효능은 간기(肝氣)가 울결된 것을 흩어트리고 없애고, 울체되어 뭉친 것을 풀어주고 음식물이 체한 것을 소화시킨다.
상기 지실은 산초과(Rutaceae)의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Rafinesqul)의 익지 않은 열매를 그대로 또는 반으로 자른 것이다.
지실의 효능은 간기(肝氣)가 울결된 것을 흩어트리고 없애준다.
또한, 지실은 적출 장관을 이용한 연구에서 지실의 추출물이 장관의 운동을 억제하는데 정상적인 동물에게 지실 추출물을 투여하면 위장관 운동의 수축 리듬이 증강된다. 이러한 작용은 이상 수축에 의한 것은 억제하며, 자동운동의 조절은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실에서 분리된 neohesperidin 및 poncirin의 경우는 위궤양 모델에서 현저한 위손상 억제활성을 가지는데, mucus 분비량 증가 및 위 내의 pH의 증가에 의한 것이다. 지실의 물 추출물은 위배출시간(gastric emptying rate)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소화관 운동 촉진작용(prokinetic activity)을 가진다.
상기 진피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한 상록 소교목인 귤(Citrus unshiu, 중국에서는 Citrus reticulata)의 성숙한 과실의 과피이다. 정유 성분으로서 limonene, auraptene, auraptin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90%이상이 limonene이다.
진피의 효능은 가슴과 배가 답답한 증세를 해소하고, 습(濕)으로 인해 변이 묽거나 답답한 증세, 담이 많이 기침을 해소하며, 비(脾)가 허하여 식욕감퇴, 소화불량, 오심 구토를 해소한다.
또한, 진피는 주성분인 hesperidin을 투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cold-restraint 유도 위궤양을 억제하였으며, 위점액질 및 단백질 양에는 변화가 없었고, 진피 추출물은 amylase의 작용을 높이고, 정유성분은 흰쥐의 위액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돕는다.
상기 창출은 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 et. KITAGAWA)와 남창출(A. lancea DC.), 북창출(A. chinensis KOIDZ.)의 뿌리줄기를 건조한 것이다.
창출의 효능은 방향성이 있으며 복부가 답답하거나 속이 울렁거리고 대변이 묽을 때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관절에 힘이 없거나 체표의 습(濕)을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야맹증의 주요한 작용을 한다.
또한, 창출 추출물은 모두 항궤양 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200 mg/kg을 흰쥐에 경구투여하면 히스타민, aspirin, 위산과다 등으로 유발한 궤양 등에 모두 억제 작용이 있어 궤양지수를 낮출 뿐만 아니라 위액량, 위산도 및 위단백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상기 백복령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복령 Poria cocos Wolf(=Pachyma hoelen Rumph. 잔나비걸상과 Polyporaceae)의 균핵이다. 가운데 송근(松根)이 있는 것을 복신(茯神), 피부(皮部),를 복령피(茯皮)라고 하며, 내부가 담홍색인 것을 적복령(赤茯)이라 하고, 적복령을 절편한 다음 백색 부분만을 백복령(白茯)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복령이란 백복령을 말한다.
백복령의 효능은 인체 내에 습(濕)을 원할하게 돌려서 소변 등으로 배출시키고,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비(脾)를 튼튼하게 하며, 심(心)을 편하게 하고 신(神)을 안심시키고, 담음으로 인한 기침. 어깨결림, 등결림에 효과가 있다.
또한, 백복령은 장근육을 이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인삼, 금은화와 같이 사용하면 위궤양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다.
상기 백출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한 다년생 본초인 삽주(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또는 백출(白朮,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의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백출의 효능은 기가 허하여 몸이 피곤하거나 비허로 인하여 식욕이없고 변이 묽은 경우 및 설사, 대하에 효과적이고, 습(濕)을 말려주며 소변이 잘 통하게 하며, 체표를 튼튼하게 하여 한(汗)을 멈추게 하고, 태기(胎氣)를 안정시킨다.
또한, 백출 추출물을 경구투여할 경우 에탄올과 염산으로 유발한 위 점막손상에 대한 보호율과 위궤양 억제율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강황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강황(Curcuma longa Linne)의 뿌리줄기를 말한다.
강황의 효능은 어혈(瘀血)을 깨트려 기(氣)가 정체된 것을 풀어서 순행시켜주고, 경맥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통증을 멎게한다.
또한, 강황은 궤양성 대장염이나 크론씨병(Crohn’s disease)을 포함하는 염증성 대장염(infalmmatory bowel disease) 동물모델에서 강황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H2 수용체에 대하여 길항작용을 가짐으로써 항위궤양 작용을 나타낸다.
상기 아출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봉출(Curcuma zedoaria Roscoe)의 뿌리줄기를 그대로 또는 수증기로 쪄서 말린 것을 말하며, 약성론(藥性論)에 봉아출(蓬莪朮) 로 수재되어 있다.
아출의 효능은 어혈(瘀血)을 깨트리고 없애주고, 기(氣)를 소통시켜 통증을 멎게 한다.
또한, 아출은 방향 건위(stomachic)의 목적으로 분말 또는 전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아출이 담즙의 배출을 촉진시키며 실험적으로 유도한 위궤양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시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와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와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실시예
본 발명의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제조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제조 단계를 거쳐 제조하였다.
(S10) 나복자 32.5 중량%, 정향 7.5 중량%, 고량강 6.5 중량%, 강황 6.5 중량%, 창출 5.5 중량%, 맥아 5.5 중량%, 지각 4 중량%, 신곡 4 중량%, 산사 4 중량%, 청피 4 중량%, 지실 4 중량%, 진피 4 중량%, 백복령 4 중량%, 백출 4 중량%, 아출 4 중량%로 혼합한 혼합 생약제를 정제수와 에탄올을 5 : 5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 용매로 75 내지 95 ℃의 온도로 8 내지 10 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20) :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S30) : 상기 단계(S20)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옥수수 분말을 2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건조시켜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 시험예 >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과립제를 이용하여 평소 위장장애가 있어 속쓰림이 자주 발생하는 사람군(그룹1)과 평소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사람군(그룹2)에 대하여 각각 20세 이상 50세 이하의 남성 30명 및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속쓰림 개선, 소화개선 효과 및 건강상태의 호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상기 과립제의 복용은 1일 2회, 3개월간 투여하는 것으로 하여 상기 피시험자들 그룹1과 그룹2에 대해 각각 속쓰림 현상이 개선되었는지, 소화불량이 개선되었는지, 그리고 공통으로 전체적인 건강상태 호전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효과의 정도를 7점법에 따라 응답하도록 하였는바, 즉, 1은 효과가 전혀 없다, 3은 다소 효과가 있다, 5는 효과가 우수하다, 7은 효과가 탁월하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그 수치를 평균을 내어 표 1에 나타내었다.
그룹 / 복용효과 속쓰림 개선 소화불량 개선 건강상태의 호전
그룹1 6.1 - 6.3
그룹2 - 5.8 6.1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관능검사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제를 복용한 피시험자들 중 그룹1은 속쓰림 현상이 많이 없어졌고, 그룹2는 소화 능력이 예전보다 개선되면서 소화불량이 많이 감소되었으며, 그룹1과 그룹2 모두 머리가 맑아지고 피로감을 덜 느끼는 등 전체적으로 건강상태가 호전되었다고 설문에 답하였는 바,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혈압을 안정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은 음식불소(飮食不消)로 인한 흉복창만(胸腹脹滿), 불사음식(不思飮食), 애기탄산(氣呑酸), 오심구토(惡心嘔吐), 대변실상(大便失常)을 해결하여 위장에 관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5)

  1.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혼합 생약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제 농축액으로 부형제를 함유하여 과립제를 제조하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혼합 생약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S20);
    상기 혼합 생약제를 건조기로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22); 및
    상기 단계(S20)에서 제조된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S22)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산제 또는 환제를 제조하는 단계(S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0)는 정제수와 에탄올을 8 : 2 내지 5 : 5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 용매를 이용하고,
    85 내지 90 ℃의 온도로 8 내지 12 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혼합 생약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2)에서 혼합 생약제는 건조기에서 65 내지 75 ℃의 온도로 8 내지 12 시간 동안 건조한 후 100 내지 400 mesh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나복자 15 내지 50 중량%, 정향 6 내지 9 중량%, 고량강 5 내지 8 중량%, 강황 5 내지 8 중량%, 창출 4 내지 7 중량%, 맥아 3 내지 8 중량%, 지각 3 내지 5 중량%, 신곡 3 내지 5 중량%, 산사 3 내지 5 중량%, 청피 3 내지 5 중량%, 지실 3 내지 5 중량%, 진피 3 내지 5 중량%, 백복령 3 내지 5 중량%, 백출 3 내지 5 중량%, 아출 3 내지 5 중량%로 혼합한 후 추출 및 농축하여 과립제, 산제, 환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제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KR1020150062854A 2015-05-06 2015-05-06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31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54A KR20160131130A (ko) 2015-05-06 2015-05-06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54A KR20160131130A (ko) 2015-05-06 2015-05-06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130A true KR20160131130A (ko) 2016-11-16

Family

ID=5754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854A KR20160131130A (ko) 2015-05-06 2015-05-06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13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4897A (zh) * 2017-11-02 2018-02-23 天津瑞贝特科技发展有限公司 治疗家畜胃脘胀满、胸腹胀痛的中药组合物
KR20200062452A (ko) * 2018-11-26 2020-06-04 영월고소애협동조합 고소애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3452A (ko) * 2020-04-02 2021-10-14 주식회사 우제아이엠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한약 조성물
CN114869943A (zh) * 2022-04-25 2022-08-09 广东药科大学 一种治疗肠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4897A (zh) * 2017-11-02 2018-02-23 天津瑞贝特科技发展有限公司 治疗家畜胃脘胀满、胸腹胀痛的中药组合物
KR20200062452A (ko) * 2018-11-26 2020-06-04 영월고소애협동조합 고소애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3452A (ko) * 2020-04-02 2021-10-14 주식회사 우제아이엠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한약 조성물
CN114869943A (zh) * 2022-04-25 2022-08-09 广东药科大学 一种治疗肠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869943B (zh) * 2022-04-25 2023-06-06 广东药科大学 一种治疗肠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4976A (ko) 생약제를 주재로 한 환의 제조방법
CN105166544A (zh) 一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60131130A (ko)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31225A (ko)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의 건강보조식품
CN102488789A (zh) 治疗胆汁反流性胃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095995B (zh) 一种治疗胃炎和胃溃疡的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
KR20160000695A (ko) Dha 함유 기억력 강화 및 피로회복 증진용 한약재 조성물 수능환 및 그 제조방법
KR101783549B1 (ko) Dha 함유 피로회복 증진 보조식품용 조성물 수능단(수능원) 및 그 제조방법
CN104524481A (zh) 一种治疗肠易激综合征的中药及其制备方法
CN103860773A (zh) 用于治疗心肌缺血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932176B (zh) 一种具有辅助降血脂功能的保健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2023010A (zh) 一种瘦身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口服药剂和应用
CN104258224A (zh) 一种治疗肺肾阴虚型慢性支气管炎的五味子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101543760B1 (ko) 중풍 및 혈전 치료, 예방용 약재 조성물
KR10193481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102217303B1 (ko) 간질환 치료 및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CN105250452A (zh) 防治鸭瘟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7174603A (zh) 一种延缓衰老的中药
CN105168709A (zh) 治疗胃胀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CN105327145A (zh) 治疗高血压性脑出血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90074475A (ko) 한방생약 관절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CN104645243A (zh) 一种治疗脑膜瘤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64862B1 (ko) 척추협착 치료용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5125790A (zh) 医治胃胀的理气健胃制剂及制法
CN116650610A (zh) 治疗消渴症的药物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