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452A - 고소애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소애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452A
KR20200062452A KR1020180147577A KR20180147577A KR20200062452A KR 20200062452 A KR20200062452 A KR 20200062452A KR 1020180147577 A KR1020180147577 A KR 1020180147577A KR 20180147577 A KR20180147577 A KR 20180147577A KR 20200062452 A KR20200062452 A KR 2020006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xed herbal
parts
herbal medicine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184B1 (ko
Inventor
이동건
Original Assignee
영월고소애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월고소애협동조합 filed Critical 영월고소애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8014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18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eu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혼합하여 혼합 생약제를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제조 단계(S10),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를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 제조 단계(S20), 상기 단계(S2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농축액 제조 단계(S30),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건조하고 분말화 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분말 제조 단계(S40), 상기 단계(S30)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S40)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환제 또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로 제조하는 약제 제조 단계(S50)를 포함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뇌순환 또는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치매예방에 효과가 있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애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Herbal medicine composition for promoting blood circulation, including Gosue}
본 발명은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혼합하여 혼합 생약제를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제조 단계, 상기 단계의 혼합 생약제를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 제조 단계, 상기 단계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농축액 제조 단계,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건조하고 분말화 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분말 제조 단계, 상기 단계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환제 또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로 제조하는 약제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뇌순환 및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치매예방에 효과가 있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기능이 떨어지는 복합적인 증상을 말한다. 치매는 주로 노년기에 많이 생기며, 현재 심장병, 암, 뇌졸증에 이어 4대 주요 사인으로 불릴 정도로 중요한 신경 질환에 속한다. 2017 중앙치매센터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노인인구 7,066,201명 중 치매환자는 통계된 수치만 702,436명으로 전체 노인인구 대비 치매 유병률은 9.94%로 10퍼센트에 육박한다.
이러한 치매환자의 증가에 따라 환자를 돌보는 배우자, 자녀 등 조호(助護)자 수도 급증해 치매환자 70만명 당 조호자는 약 350만명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사회적비용도 급증해 치매환자 보호자는 매일 6 ~ 9시간과 연간 2,074만원을 돌봄 비용으로 사용해 지난해 기준 치매로 인한 질병부담은 약 15조에 이르고 2050년에는 약 78조에 이를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상기 치매는 현재까지는 마땅한 예방방법이 없다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 들어 뇌혈관 속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치매 발병률이 증가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뇌혈관의 혈액순환에 대한 관심도가 커지고 있다.
뇌혈관의 혈액순환은 혈관축소, 동맥경화 등에 의해 저하되는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지의 제약회사들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도울 수 있는 약물들을 연구 중에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약회사에서 연구하는 약물들은 화학 물질이므로 부작용이라는 문제와, 장기 복용 시 약물 중독 또는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는 문제를 감수해야 했다. 또한, 상기 물질들은 제조단가가 비싸고, 제조 공정이 어려워 대량생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는 가격증가를 불러오고 환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식이 요법으로 영양물질을 적적히 조절하여 순환계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고자 하는 연구가 늘어났고, 주로 식사를 통해 식이섬유, 비타민 C, 비타민 E 및 필수 아미노산 등의 섭취를 권장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많은 환자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그 방식 또한 친환경적이므로 부작용 등의 문제에서 자유로워졌으나, 식이용법은 효과가 미미하여 장기간 시행해야 했으며 그 기간 동안 환자들이 고통을 호소하거나 심각할 경우 정신질환 등의 문제도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뇌순환 및 혈액순환에 관련하여 화학적 물질보다는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식이요법보다는 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나는 한약재료로의 절충안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한약재료를 사용한 기술들은 그 효과가 미미하여 치료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뇌순환 및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치매예방에 효과가 뚜렷한 한약재 조성물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29764호(2017.03.16.공개). "마늘 추출물, 난황 추출물, 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뇌혈관 및 기타 순환기계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 기능성 식품조성물 제공과 그 제조방법과 유기 유황의 물질운반 기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 한국 등록특허 제10-0476716호(2005.03.16.공고). "동충하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용 건강식품 및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로 이루어진 혼합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뇌순환 및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치매예방에 효과가 있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혼합하여 혼합 생약제를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제조 단계(S10);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를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 제조 단계(S20); 상기 단계(S2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농축액 제조 단계(S30);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건조하고 분말화 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분말 제조 단계(S40); 및 상기 단계(S30)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S40)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환제 또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로 제조하는 약제 제조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계(S10) 및 상기 단계(S40)에서의 혼합 생약재 및 혼합생약재 분말은 투입되는 재료의 총 중량대비 고소애 60 내지 80 중량부, 결명자 1 내지 3 중량부, 진피 2 내지 4 중량부, 구기자 2 내지 4 중량부, 백출 2 내지 4 중량부, 대추 2 내지 4 중량부, 황기 1 내지 3 중량부, 천마 1 내지 3 중량부, 백봉령 2 내지 4 중량부, 단삼 2 내지 4 중량부, 찐찹쌀 5 내지 7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계(S20)에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넣고, 진공상태에서 상기 혼합 생약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계(S30)는 저온 농축방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뇌순환 또는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치매예방 효과를 갖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로 이루어진 혼합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뇌순환 및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치매예방에 효과가 있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로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로부터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상기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을 통해 뇌순환 또는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은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로 이루어진 혼합 생약제 혼합물로부터 추출한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제 또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은 뇌순환 또는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치매예방에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은 총 중량대비 고소애 60 내지 80 중량부, 결명자 1 내지 3 중량부, 진피 2 내지 4 중량부, 구기자 2 내지 4 중량부, 백출 2 내지 4 중량부, 대추 2 내지 4 중량부, 황기 1 내지 3 중량부, 천마 1 내지 3 중량부, 백봉령 2 내지 4 중량부, 단삼 2 내지 4 중량부, 찐찹쌀 5 내지 7 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포함하는 환제 또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소애는 식용곤충인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Linnaues)의 유충으로 흔히 밀웜이라 부르고 주로 반려동물의 먹이로 이용되었으나, 최근 식사 대용 곤충으로 각광받고 있는 동물이다. 상기 갈색거저리의 성충은 무광이며 검은색이나, 유충은 희고 부드러우며 노숙한 유충은 25mm까지도 성장한다. 고소애는 불포화 지방산이 75%가량으로 많아 영양가치가 매우 높으며, 무기질 중 인과 철이 풍부하고, 비타민 B3와 B5를 많이 함유한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2014년 7월 16일 갈색거저리 유충을 한시적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정하였다. 갈색거저리의 유충은 체내에 다양한 효소를 가지고 있어 약재로써의 가능성도 높게 평가되고 있다. 뇌혈관 속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치매 발병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고소애는 뇌혈관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결명자는 콩과에 속한 1년생 초본인 決明 C obtusifolia L.과 긴강남차(小決明) Cassia tora L. 의 씨를 건조한 것이다. 가을철에 열매가 성숙할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결명자의 약성은 甘苦, 微寒 하고 肝, 大腸經으로 들어가 淸肝明目, 平肝潛陽, 潤腸通便의 효능이 있다. 또한, 결명자는 Chrysophanol, emodin, aloe-emodin, rhein, modinan, physcion, obtusin, aurantio-obtusin, chrysobtusin, torachrsone, rubrofusarin, nor-rubrofusarin, toralacton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및 풍부한 미량원소 철, 아연, 망간, 구리, 니켈, 코발트 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결명자는 vitamin A를 함유하고 있다. 결명자의 약리작용으로는 혈압강하 작용, 혈청지질강하 작용, 면역계에 대한 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상기 진피는 운향과에 속한 상록성의 작은 교목인 귤 Citrus unshiu M arkovich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의 성숙한 열매의 과피를 건조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橘 C. reticulata Branco와 그 재배변종을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C. unshiuC. reticulata의 변종 중 하나이다. 11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진피의 약성은 辛苦, 溫 하고, 脾, 肺經으로 들어가 理氣調中, 燥濕化痰, 健脾和中의 효능이 있다. C. reticulata에는 정유가 약 1.9 ~ 3.5% 정도 함유되어 있고 주요성분은 limonene, a,B-pinene 등이다. Flavonoids 화합물로는 hesperidin이 약 8.4% 정도 함유되어 있고 neohesperidin, tangertin, citromitin, 5-o-desmethyl, citromitin 등이 있다. 이 외에 inositol, vitamin B1 등이 있다. 약리작용으로 심장에 대한 작용, 혈관과 혈압에 대한 작용 등이 알려져있다.
상기 구기자는 가지과에 속한 蔓性灌木인 구기자나무 Lycium chinense Mill .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열매를 건조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寧夏 拘杞 L. barbarum L.를 기원으로 한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열매가 홍색을 띨 때 채취해서 熱風洪乾하고 果炳을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다. 약성은 甘, 平하고 肝, 腎, 肺經으로 들어가 滋腎補肝明目, 潤肺止咳의 효능이 있다. 구기자의 성분으로는 아미노산, 미량원소, 다당류, betaine, 비타민B1-B2-C, 엽산 및 색소류를 주로 함유하고 있으며, 주요성분은 다당류와 betaine이 약 1% 정도 carotene등을 함유한다. 또한, 구기자 중의 다당이 주요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약리작용으로 조혈기능 촉진 작용, 지질강하 작용과 간기능 보호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백출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삽주 Atractylodes japonica K oidzumi와 당백출 A. ouata K oidzumi의 뿌리줄기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건조한 것이다. 중국에서 白朮 A. macrocephala K oidzumi의 뿌리줄기를 기원으로 한다. 霜降부터 立冬 사이에 채취하여 莖葉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후 다시 수염뿌리를 제거한 것이다. 백출의 약성은 苦甘, 溫 하고 脾, 胃經으로 들어가 補氣建脾, 燥濕利水, 止汗, 安胎의 효능이 있다. A. macrocephala는 정유를 주로 함유하며, 주요 성분으로는 atractylol, atractylon, juni-percamphor, atractylolide, hydroxyatyldide, sesquiterpenelon, B-eudesmol, hinesol, 8, B-ethoxyatractylenolide, palmiticacid, anhydro-atractylolide, fructose, synanthrin이 있다. 함유 아미노산으로 asparticacid, ser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lysine, histidine, arginine, proline 등이 있으며 총 ammino acid의 함량은 195.10mg/10g이다. 약리작용으로 혈당강하 작용, 항혈액응고 작용이 있으며, 최근 간 손상에 대한 보호 작용도 밝혀지고 있다. 고서에 백출이 들어가 있는 처방명으로는 위령탕(胃岺湯), 인진오령산(茵陳五岺散), 귀비탕(歸脾湯), 영계출감탕(岺桂朮甘湯), 영강출감탕(岺薑朮甘湯) 등이 있다.
상기 대추(Zizyphus jujuba Mill .)는 대추나무의 열매로, 조(棗) 또는 목밀(木蜜)이라고도 한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 ∼ 2.5cm에 달하며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과실은 생식할 뿐 아니라 채취한 후 푹 말려 건과(乾果)로서 과자 ·요리 및 약용으로 쓰인다. 대추는 생활 속에서 가공하여 대추술, 대추차, 대추식초, 대추죽 등으로도 활용한다. 가공품으로서의 꿀대추는 중국·일본·유럽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다. 한방에서는 이뇨·강장(强壯)·완화제(緩和劑)로 쓰인다.
상기 황기는 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의 주피를 거의 벗긴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이 외에 membranaceus ( Fisch .) Bge . var, mongholicus ( Bge .) Hsiao를 사용한다.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수염뿌리와 頭部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원래 명칭은‘黃耆’로서, <本草綱目>에 “耆라는 것은 우두머리를 말한다. 黃耆는 色이 누렇고, 補藥의 우두머리이므로 명명되었다. 지금은 통속적으로 황기라고 쓴다”라고 하였다. 황기의 약성은 甘, 微溫 하고 肺, 脾經으로 들어가 補氣升陽, 益衛固表, 托瘡生肌, 利水消腫의 효능이 있다. 몽고황기는 astraloside I, Ⅱ, Ⅳ, soya-saponin I, formononetin을 함유하고 있다. 지방유에는 palmit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가 함유되어 있고, 다당류에는 astraglalan I, Ⅱ, Ⅲ가 함유되어 있다. 이 외에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 단백질(6.16 ~ 9.9%)과 미량원소로 selenium, Fe, Ca, P, Mg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심혈관계에 대한 영향, 혈액대사에 대한 영향, 당대사에 대한 영향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천마는 난초과(Orchidaceae)에 속한 천마(天麻) gastrodia elata B l.의 덩이줄기를 건조한 것이다. 〈本草綱目〉에 “〈本經〉 止有赤箭, 後人稱爲天麻”라 하여 옛날에는 ‘赤箭’라고 불렀다. 천마는 해발 2,100~2,700m의 산에서 자생하는데, 시중에 유통되는 천마는 대부분 국내 생산에 의해 공급되며, 중국에서 수입되는 것 중 파초과(Musa basjoo S ieb의 뿌리를 혼재하기도 하였다. 천마의 약성은 甘, 平 하고 肝經으로 들어가 平肝潛陽, 熄風止痙의 효능이 있다. 천마의 성분은 Gastrodin, gastrodiosde (p-hydroxybenzol), vanillyl, alcohol, succinic acid, p-hydroxybenzaldehyde, 미량의 alkaloids 등을 함유하고 있다. 주성분으로 알려진 gastrodin함량은 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약 0.25 ~ 0.67% 정도이다. Gastrodin은 현재 합성되기도 한다. 천마의 약리작용으로는 진정작용,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 산소결핍 방어 작용, 소염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백복령은 구멍쟁이버섯과에 속한 진균인 茯岺菌 poria cocos Wolf .의 菌核을 건조한 것으로 바깥층을 거의 제거한 것이다. 소나무과 식물인 赤松,馬尾松 등의 樹根 위에 기생한다. 외피부는 茯岺皮, 내층백색부분은 白茯岺, 근외피부의 담홍부분은 赤茯岺, 송근을 싸고 있는 백색부분은 ‘茯神’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쓰는 복령은 白茯岺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들을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은 큰 의미는 없다. 약성은 甘淡, 平 하고 心, 脾, 腎經으로 들어가 利水渗濕, 建碑, 寧心安神의 효능이 있다. 백복령의 주요성분은 B-oachyman으로 건조중량의 93%를 차지하며, terpene화합물인 pachymic acid, tumulosic acid, 3B-hydroxylanosta-7, 9(11), 24-trien-21 acid가 있다. 그 외에 sylvite, sterol, lecithin, choline, histid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 진정작용, 항암작용, 대사에 대한 작용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단삼은 꿀풀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丹參 Saluia miltiorrhiza Bge .의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S. miltiorrhiza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기원으로 한다.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泥沙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本草綱目>에 “그 根皮는 붉고, 肉은 紫色이다”라고 하였다. 단삼의 약성은 苦, 微寒 하고 心, 心包, 肝經으로 들어가 活血祛瘀, 凉血消癰, 養血安神이 효능이 있다. 단삼의 성분은 Terpenoids의 주요성분으로 tanshinone I, Ⅱ2, ⅢB, cryptotanshinone, dihydrotanshinone, hydroxytanone, miltionone, salvilenone등이 있다. 그 외에 flavonoids류, steroids류를 함유하고 있다. 단삼의 약리작용으로는 심장혈류에 대한 작용, 항혈전 형성과 혈류역학전 개선, 말초순환 개선 작용, 조직 회복과 재생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찐찹쌀은 찹쌀을 찐 것을 말한다. 찹쌀은 멥쌀과 대응되는 것으로, 나미 또는 점미 라고도 한다. 보통 밥을 짓는 멥쌀은 배젖이 반투명한데, 찹쌀은 유백색으로 불투명하므로 구별할 수 있다. 또 찹쌀의 녹말은 대부분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요오드 반응이 적갈색을 띠기 때문에 명백히 구별된다. 차진 기운이 높고, 멥쌀보다 소화가 잘 된다. 찰떡 ·인절미 ·경단 ·단자 등 여러 가지 떡을 만들며, 찰밥 ·약식 ·식혜 ·술 ·고추장 등을 만드는 데도 쓰인다.
이하,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혼합하여 혼합 생약제를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제조 단계(S10),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를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 제조 단계(S20), 상기 단계(S2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농축액 제조 단계(S30),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건조하고 분말화 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분말 제조 단계(S40), 상기 단계(S30)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S40)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환제 또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로 제조하는 약제 제조 단계(S50)를 포함한다.
우선,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혼합하여 혼합 생약제를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제조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10)에서는 상기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깨끗이 세척하여 혼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단계(S10)에서의 혼합 생약재는 투입되는 재료의 총 중량대비 고소애 60 내지 80 중량부, 결명자 1 내지 3 중량부, 진피 2 내지 4 중량부, 구기자 2 내지 4 중량부, 백출 2 내지 4 중량부, 대추 2 내지 4 중량부, 황기 1 내지 3 중량부, 천마 1 내지 3 중량부, 백봉령 2 내지 4 중량부, 단삼 2 내지 4 중량부, 찐찹쌀 5 내지 7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10)에서는 발효가 진행되는 발효과정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이때 사용 가능한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속, 아스퍼질러스 속, 바실러스 속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를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 제조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20)에서는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로 이루어진 혼합 생약재에 1500 내지 4500 cc의 추출용매를 넣고, 100 내지 140℃의 온도로 3 내지 5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상기 혼합 생약제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선택하고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을 7 : 3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 적절하다.
상기 단계(S20)에서의 추출 용매가 1500cc 미만이면 추출액의 양이 너무 적고, 4500cc 초과이면 추출액의 농도가 너무 낮아 뇌순환 또는 혈액순환 촉진을 통한 치매예방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S20)의 온도는 100 내지 140℃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한데, 온도가 100℃ 미만이면 온도가 너무 낮아 혼합 생약재의 추출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온도가 140℃를 초과하면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 혼합 생약재의 성질이 변하게 되어 본 발명이 제공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의 뇌순환 또는 혈액순환 촉진을 통한 치매예방 효과를 정확하게 얻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단계(S20)의 추출 시간은 3 내지 5시간이 적절하며, 추출 시간이 3시간 미만이면 추출이 미처 진행되지 않아 추출액의 농도가 낮아, 뇌순환 또는 혈액순환에 대한 효과가 줄어들며, 추출 시간이 5시간을 초과하면 이미 추출이 이루어진 상태라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2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농축액 제조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30)는 저온 농축방법으로 진행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단계(S30)에서는 1500cc 내지 4500cc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저온 농축 방법으로 500cc 내지 1000cc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으로 만든다.
상기 단계(S30)의 저온 농축 방법은 열의 영향을 받는 성분이나 공기에 의해 산화되는 성분을 농축하기 위해 진공저온농축기를 통하여 진공상태에서 40 내지 9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다음으로,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건조하고 분말화 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분말 제조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40)에서는 생약제를 깨끗이 세척하고 배합한 후, 건조기에서 65 내지 75℃의 온도로 8 ~ 12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mesh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단계(S40)에서 혼합 생약제는 투입되는 재료의 총 중량대비 고소애 60 내지 80 중량부, 결명자 1 내지 3 중량부, 진피 2 내지 4 중량부, 구기자 2 내지 4 중량부, 백출 2 내지 4 중량부, 대추 2 내지 4 중량부, 황기 1 내지 3 중량부, 천마 1 내지 3 중량부, 백봉령 2 내지 4 중량부, 단삼 2 내지 4 중량부, 찐찹쌀 5 내지 7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40)에서의 온도가 65℃ 미만이면 건조가 느리게 진행되어 부패균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75℃를 초과하면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 약이 가진 성질이 변하여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30)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S40)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환제 또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로 제조하는 약제 제조 단계(S50)을 수행한다.
상기 단계(S50)는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옥수수 분말(부형제)과 2 : 1의 중량비로 배합된 후 동결건조하여 과립제를 제조하고, 상기 과립제를 혼합 생약제 분말과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 온도로 8 ~ 12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 mesh 산제를 제조하며, 상기 산제를 동일한 중량의 찹쌀 및 3 ~ 5배수의 정제수와 혼합한 후 5 ~ 10mm의 직경으로 환제를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환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제환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환기가 없을 경우 손으로 만드는 전통적인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제조된 환제는 실온에서 자연풍으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시럽제일 경우 혼합 생약제 분말을 올리고당과 혼합하여 시럽형태로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혼합 생약제 농축액 및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약제를 제조하는 경우라면 종래의 방식들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추출 용매의 제조
추출 용매는 정제수와 에탄올을 7 : 3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을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S10 : 고소애 70 중량부, 결명자 2 중량부, 진피 3 중량부, 구기자 3 중량부, 백출 3 중량부, 대추 3 중량부, 황기 2 중량부, 천마 2 중량부, 백봉령 3 중량부, 단삼 3 중량부, 찐찹쌀 6 중량부를 깨끗이 씻은 후 혼합하여 혼합 생약제를 제조하였다.
S20 :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에 상기 제조예 1의 추출 용매 2000 cc를 넣고 120℃의 온도로 4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 상기 단계(S2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 2000cc를 70℃의 저온농축기에서 1000cc로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S40 : 고소애 70 중량부, 결명자 2 중량부, 진피 3 중량부, 구기자 3 중량부, 백출 3 중량부, 대추 3 중량부, 황기 2 중량부, 천마 2 중량부, 백봉령 3 중량부, 단삼 3 중량부, 찐찹쌀 6 중량부를 깨끗이 씻은 후, 건조기에서 70℃의 온도로 10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mesh의 혼합생약제 분말을 제조하였다.
S50 : 상기 단계(S30)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옥수수 분말을 2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동결건조로 과립제를 제조하고, 상기 과립제와 상기 단계(S40)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의 온도로 10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mesh 산제를 제조하며, 상기 산제 300g에 찹쌀 300g과 정제수 1000ml를 더 혼합한 후 5 mm 직경의 환제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소애를 배제한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비교하기 위해 고소애를 배제하고 환제를 제조하였다.
S10 : 결명자 10 중량부, 진피 10 중량부, 구기자 10 중량부, 백출 10 중량부, 대추 10 중량부, 황기 10 중량부, 천마 10 중량부, 백봉령 10 중량부, 단삼 10 중량부, 찐찹쌀 10 중량부를 깨끗이 씻은 후 혼합하여 혼합 생약제를 제조하였다.
S20 :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에 상기 제조예 1의 추출 용매 2000 cc를 넣고 120℃의 온도로 4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30 : 상기 단계(S2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 2000cc를 70℃의 저온농축기에서 1000cc로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S40 : 결명자 10 중량부, 진피 10 중량부, 구기자 10 중량부, 백출 10 중량부, 대추 10 중량부, 황기 10 중량부, 천마 10 중량부, 백봉령 10 중량부, 단삼 10 중량부, 찐찹쌀 10 중량부를 깨끗이 씻은 후, 건조기에서 70℃의 온도로 10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mesh의 혼합생약제 분말을 제조하였다.
S50 : 상기 단계(S30)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옥수수 분말을 2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동결건조로 과립제를 제조하고, 상기 과립제와 상기 단계(S40)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의 온도로 10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mesh 산제를 제조하며, 상기 산제 300g에 찹쌀 300g과 정제수 1000ml를 더 혼합한 후 5 mm 직경의 환제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고소애만 포함된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
S10 : 고소애에 추출 용매 2000 cc를 넣고 120℃의 온도로 4시간 동안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고소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20 : 상기 단계(S10)의 고소애 추출물 2000cc를 70℃의 저온농축기에서 1000cc로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S30 : 고소애를 건조기에서 70℃의 온도로 10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mesh의 고소애 분말을 제조하였다.
S40 : 상기 단계(S20)의 고소애 농축액과 옥수수 분말을 2 : 1 중량비로 배합한 후 동결건조로 과립제를 제조하고, 상기 과립제와 상기 단계(S30)의 고소애 분말을 2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5 내지 75℃의 온도로 10시간 동안 건조한 후 200mesh 산제를 제조하며, 상기 산제 300g에 찹쌀 300g과 정제수 1000ml를 더 혼합한 후 5 mm 직경의 환제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혈액순환 촉진효과 실험
본 발명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의 혈관확장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쥐(rats)의 하지동맥을 이용하여 KCl 유도 혈관수축에 대한 확장효과를 physiography로 측정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0∼25g 내외의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계 흰쥐(rat)를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동물 사육실에서 1주일 이상 적응시킨 후, 일반상태를 관찰하여 외관상 건강한 동물을 선별하여 10마리씩 2군(二群)으로 나누어 실험군에게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의 환제를 식염수에 용해시켜 체중 250g당 0.14㎎으로 1일 1회 복강으로 급여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생리식염수 만을 투여하여 비교하였다.
KCl 72.7mM 유도 혈관수축에 대한 확장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냈다.
72.7mM KCl의 수축에 대한 확장정도(%)
평균(%)
1회 2회 3회 4회
대조군 47.3 49.5 50.1 51.1 49.5
실시예 1 92.4 94.5 97.8 99.2 96.9
비교예 1 72.8 74.2 77.6 80.6 76.3
비교예 2 49.4 51.6 52.3 53.7 51.7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KCl 72.7mM 유도 혈관수축에 대한 혈관 확장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해본 결과 실시예 1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의 경우 그 확장효과가 매우 뛰어났으며, 비교예 1의 고소애를 배제한 한약재 조성물과 비교예 2의 고소애만 포함된 한약재 조성물의 합산량을 상회하는 수치를 보였다(대조군과의 차이값 기준).
이로부터 본 발명의 고소애가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약제와 만나 예기치 못한 효과가 발생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은 혈관을 확장시키며, 이로부터 혈액순환의 촉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동맥경화 억제효과 측정
흰쥐 10마리를 1군으로 하여 콜레스테롤 40m/㎏과 콜레칼시페롤 3200 IU/㎏을 동시에 올리브유에 용해시켜 28일 동안 1일 1회 경구투여하여 동맥경화증을 유발시켰다. 여기에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 2의 환제를 분말화하여 각각 0.250 g/㎏의 농도로 7일 동안 후처리하였다. 처리방법은 1일 1회 경구투여하고, 대조군에는 동량의 생리식염수만을 동일한 방법으로 경구투여하였다.
실험 최종일에 대조군과 실험군을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마취 하에서 복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얻은 혈액을 3000rpm 하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용혈되지 않은 혈청을 채취한 다음, 효소법에 의하여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 총 콜레스테롤 중에 함유된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혈청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과 칼슘함량은 각각 측정용 키트(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칼슘
대조군 72.7 52.9 20.6
실시예 1 52.5 32.2 13.4
비교예 1 62.8 39.5 16.2
비교예 2 68.2 48.9 18.9
상기 표 2를 보면 실시예 1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이 동맥경화 억제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억제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은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칼슘의 함량을 낮출 수 있으며, 동맥경화 방지에 효과가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이 동맥경화에 우수한 방지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혈액순환에 대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결론.
상기 실험예 1 내지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은 고소애와 다른 약재를 혼합하면서 발생한 예기치 못했던 효과에 따라, 혈액순환 촉진효과와 동맥경화 억제효과를 가지며, 이로부터 혈액순환 촉진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혈액순환 촉진효과로부터 뇌혈관 순환 촉진효과 역시 유추가 가능하며, 뇌순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소애가 체내에 다양한 효소를 함유하며, 고소애 체내에 함유된 효소가 본 발명의 생약재들과 상호 반응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유추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은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은 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뇌순환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혈액순환 및 뇌순환 촉진효과로부터 치매의 예방효과 역시 유추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혈액순환 및 뇌순환 촉진을 통해 치매를 예방하는 신규한 한약재 조성물로서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을 발명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S10 : 혼합 생약제 제조 단계
S20 : 혼합 생약제 추출물 제조 단계
S30 : 혼합 생약제 농축액 제조 단계
S40 : 혼합 생약제 분말 제조 단계
S50 : 약제 제조 단계

Claims (5)

  1.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혼합하여 혼합 생약제를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제조 단계(S10);
    상기 단계(S10)의 혼합 생약제를 진공상태에서 추출하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추출물 제조 단계(S20);
    상기 단계(S20)의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농축하여 혼합 생약제 농축액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농축액 제조 단계(S30);
    고소애, 결명자, 진피, 구기자, 백출, 대추, 황기, 천마, 백복령, 단삼, 찐찹쌀을 건조하고 분말화 하여 혼합 생약제 분말을 제조하는 혼합 생약제 분말 제조 단계(S40); 및
    상기 단계(S30)의 혼합 생약제 농축액과 상기 단계(S40)의 혼합 생약제 분말을 혼합하여 환제 또는 과립제, 산제, 시럽제로 제조하는 약제 제조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제조방법.
  2. 상기 단계(S10) 및 상기 단계(S40)에서의 혼합 생약재 및 혼합생약재 분말은 투입되는 재료의 총 중량대비 고소애 60 내지 80 중량부, 결명자 1 내지 3 중량부, 진피 2 내지 4 중량부, 구기자 2 내지 4 중량부, 백출 2 내지 4 중량부, 대추 2 내지 4 중량부, 황기 1 내지 3 중량부, 천마 1 내지 3 중량부, 백봉령 2 내지 4 중량부, 단삼 2 내지 4 중량부, 찐찹쌀 5 내지 7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에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넣고, 진공상태에서 상기 혼합 생약제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는 저온 농축방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제조방법.
  5. 청구항 제1항의 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뇌순환 또는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치매예방 효과를 갖는 고소애를 포함하는 뇌혈관 순환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KR1020180147577A 2018-11-26 2018-11-26 고소애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1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577A KR102181184B1 (ko) 2018-11-26 2018-11-26 고소애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577A KR102181184B1 (ko) 2018-11-26 2018-11-26 고소애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452A true KR20200062452A (ko) 2020-06-04
KR102181184B1 KR102181184B1 (ko) 2020-11-23

Family

ID=7108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577A KR102181184B1 (ko) 2018-11-26 2018-11-26 고소애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18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402A (ko) * 1997-04-18 1998-11-16 장테샨 생약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생약 플래스터
KR100476716B1 (ko) 2001-12-08 2005-03-16 이승수 동충하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용 건강식품 및그 제조방법
KR20050090650A (ko) * 2004-03-09 2005-09-14 배만종 천마와 지구나무 열매의 추출물 등을 함유하는 혈액개선용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91914B1 (ko) * 2008-12-22 2009-04-08 임세규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20160131130A (ko) * 2015-05-06 2016-11-16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31220A (ko) * 2015-05-06 2016-11-16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안정 및 혈액순환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의 건강보조식품
KR20170029764A (ko) 2015-09-08 2017-03-16 김선미 마늘 추출물, 난황 추출물, 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뇌혈관 및 기타 순환기계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 기능성 식품조성물 제공과 그 제조방법과 유기 유황의 물질운반 기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1859174B1 (ko) * 2018-03-13 2018-05-18 주식회사 한미양행 갈색거저리 식용 기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402A (ko) * 1997-04-18 1998-11-16 장테샨 생약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생약 플래스터
KR100476716B1 (ko) 2001-12-08 2005-03-16 이승수 동충하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혈액순환 개선용 건강식품 및그 제조방법
KR20050090650A (ko) * 2004-03-09 2005-09-14 배만종 천마와 지구나무 열매의 추출물 등을 함유하는 혈액개선용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91914B1 (ko) * 2008-12-22 2009-04-08 임세규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20160131130A (ko) * 2015-05-06 2016-11-16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31220A (ko) * 2015-05-06 2016-11-16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안정 및 혈액순환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의 건강보조식품
KR20170029764A (ko) 2015-09-08 2017-03-16 김선미 마늘 추출물, 난황 추출물, 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뇌혈관 및 기타 순환기계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 기능성 식품조성물 제공과 그 제조방법과 유기 유황의 물질운반 기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1859174B1 (ko) * 2018-03-13 2018-05-18 주식회사 한미양행 갈색거저리 식용 기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184B1 (ko)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49816B (zh) 一种荷叶苦瓜降脂保健茶及其制作方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080092521A (ko) 백숙용 한방 추출액 및 이를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US20200147166A1 (en) Health supplement food for promotion of hair growth, mitigation and alleviation of hair loss, regulation of blood glucose, and alleviation and relief of gastric disorder symptoms
KR20180137174A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CN110051815A (zh) 一种辅助降血糖食丸及其制备方法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20150037109A (ko)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102356517B1 (ko)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102243873B1 (ko)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Nguyen Combining a number of medicinal herbs in order to treat fatty liver disease
KR20180000874A (ko) 미세먼지 및 중금속과 항생물질 분해 배출에 도움을 주는 영양식품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8783432A (zh) 具有抗癌作用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1496604A (zh) 一种具有降血脂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KR102181184B1 (ko) 고소애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촉진용 한약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shok et al. Underutilized leafy vegetables of India and their pharmaceutical value to provoke human immune system
KR102215936B1 (ko) 밤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쌍화탕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12911B1 (ko) 옻이 함유된 잡화꿀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5347B1 (ko) 홍삼약초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음료
CN102754828A (zh) 一种保健口服液
KR101835661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가려움 완화와 피부염 예방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192853B1 (ko) 민들레 추출액 및 홍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KR100865900B1 (ko) 복합생약추출물(occ-ⅰ) 또는 이의분말(occ-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200023084A (ko) 동충하초 추출분말, 마카 추출분말, 가시오가피 추출분말, 오미자 추출분말 및 인삼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종합영양보조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