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452A -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한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한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452A
KR20210123452A KR1020200040365A KR20200040365A KR20210123452A KR 20210123452 A KR20210123452 A KR 20210123452A KR 1020200040365 A KR1020200040365 A KR 1020200040365A KR 20200040365 A KR20200040365 A KR 20200040365A KR 20210123452 A KR20210123452 A KR 2021012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district
indig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190B1 (ko
Inventor
최서형
최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제아이엠
최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제아이엠, 최서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제아이엠
Priority to KR102020004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19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2Agastache, e.g. giant hyss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한의학적 변증논치의 과정을 통해 배합비가 도출된 것으로, 소화불량 환자에게 우수한 증상 개선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한약 조성물 {Korean Medicine Composition Comprising Herbal Mixture for Improv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본 발명은 혼합 생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관은 구강의 작용, 위운동과 위액의 분비, 소장운동과 장액의 분비, 췌장과 췌장액의 분비, 담즙의 분비 등 체내의 여러 기관과 소화에 관여하는 분비액을 통해 움직인다. 상복부(上腹部)의 불쾌감은 위장의 운동성 저하에 따라 음식물이 정체함으로써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건위(健胃)에 작용하는 천연재료는 위장운동에 관여하는 아세틸콜린의 유리를 촉진시켜 위장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반대로 위장운동의 과잉이나 위산분비의 과다로 인한 속쓰림은 제산제 등으로 통증을 개선할 수 있다.
최근 위장 질환에는 dopamine이나 serotonin 신경계 관련 약물이 사용되고 있다. 부교감 신경의 절후 섬유에 존재하는 dopamine D2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인 domperidone(돔페리돈)의 경우는 아세틸콜린의 유리를 촉진시켜 장의 운동을 촉진한다. Muscarine 수용체의 효능을 가진 천연재료는 장관평활근의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한다.
일 예로, 위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8750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구강분산성 돔페리돈 정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돔페리돈(domperidone), 메퀴타진(mequitazine), 코데인 염기 및 로페라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저 용량(low-dose) 치료 활성 물질 0.5 % 내지 15 %와, 30 ㎛ 내지 300 ㎛ 사이의 입자 크기의 만니톨 55 % 내지 70 %와, 말토덱스트린 2 % 내지 29.5 %와, 크로스카르멜로오스 나트륨 3.5 % 내지 8 %와, 미정질 셀룰로오스 10 % 내지 20 %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5 % 내지 1.5 % 및 향미제 및 감미제 1 % 내지 5 %의 중량비로 구성된 구강분산성 정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복부팽만감, 만성위염, 역류성 식도염과 같은 위장 질환에 효과가 있지만, 일부 위장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오심 또는 구토 증세가 발생하며, 최근 유럽의약품청(EMA)의 역학연구에서 돔페리돈이 심실부정맥이나 심장돌연사의 위험을 증가시키는데 연관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인체 부작용이 적은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와 함께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소화기관의 질환을 예방시키는 물질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함께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자들은 혼합 생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및 한약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생약재들의 배합비를 한의학적 변증 논치의 과정을 통해 확립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창출 5 내지 7 중량부, 산사 5 내지 7 중량부, 백출 5 내지 7 중량부, 진피 5 내지 7 중량부, 곽향 5 내지 7 중량부, 맥아 5 내지 7 중량부, 나복자 5 내지 7 중량부, 산약 5 내지 7 중량부, 및 복령 5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를 추출하여 제공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창출 5 내지 7 중량부, 산사 5 내지 7 중량부, 백출 5 내지 7 중량부, 진피 5 내지 7 중량부, 곽향 5 내지 7 중량부, 맥아 5 내지 7 중량부, 나복자 5 내지 7 중량부, 산약 5 내지 7 중량부, 및 복령 5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를 추출하여 제공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창출 5 내지 7 중량부, 산사 5 내지 7 중량부, 백출 5 내지 7 중량부, 진피 5 내지 7 중량부, 곽향 5 내지 7 중량부, 맥아 5 내지 7 중량부, 나복자 5 내지 7 중량부, 산약 5 내지 7 중량부, 및 복령 5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를 추출하여 제공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생약재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생약재는 별도의 한정이 없는 이상 본원에 기재된 약용식물의 해당 부위를 절단한 것 또는 이의 가공물을 지칭하며, 기재된 약용식물은 주로 학명으로 표현되나 변종 및 아종도 포함한다.
창출
창출(Atractylodis Rhizoma)은 삽주(Atractylodes lancea De Candlle, Atractylodes chinensis Koidzumi)의 뿌리줄기에 해당하는 한약재로서, 발한, 이뇨, 진통, 건위 등에 효능이 있어 식욕부진, 소화불량, 위장염, 감기 등에 사용된다. 삽주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는 굵고 길며 마디가 있고 향기가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몇 개 갈라지며 높이가 30∼100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꽃이 필 때 말라 없어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줄기 밑 부분에 달린 잎은 깊게 깃꼴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3 ∼5개이고 타원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표면에 윤기가 있고 뒷면에 흰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톱니가 있고 잎자루의 길이가 3∼8cm이다. 줄기 윗부분에 달린 잎은 갈라지지 않고 잎자루가 거의 없다.
산사
산사(Crataegi Fructus)은 장미과의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의 열매로서, 원형 또는 긴 원형이고 지름 1 ∼ 2.5 cm이다. 바깥면은 적갈색∼어두운 붉은색이며 흰색의 둥근 반점이 성글게 나 있다. 정단에는 숙존하는 꽃받침이 있고, 꽃받침은 깊이 오목하며 아랫쪽에는 열매꼭지 자국이 있다. 대부분은 가공하여 가로로 자르거나 세로로 자른 조각이고 두께 2 ∼ 6 mm이며 쭈글쭈글하여 고르지 않다. 씨는 4 ∼ 5 개, 드물게 3 개이고 대부분은 떨어져 나갔으며 질은 단단하고 긴 콩팥 모양이며 등 쪽은 대략 둥그스름하고 중앙에는 한 줄의 골과 두 줄의 봉우리가 있다. 이 약은 약간의 특유한 향기가 있고 맛은 시다. 산사의 모양이 붉은 대추와 비슷하기 때문에 적조자(赤棗子)라 부르기도 한다. 강심작용, 혈액순환개선 작용, 혈압강하작용이 보고되었다.
백출
백출(Atractylodis Rhizoma Alba)은 국화과의 삽주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 또는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의 뿌리줄기 또는 주피를 제거하여 말린 약재이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고 달며 씹으면 점성을 띠고 성질은 따뜻하다. 비위의 기능이 허약해서 소식, 권태감이 생기고 얼굴빛이 황색이며 대변을 묽게 보거나 설사에 좋으며 수분이 정체되어 전신이 붓고 소화가 안 될 때 수분 배설을 돕는다. 기침, 맑은 가래 등에도 쓰이며 위장 장애가 있는 감기, 사지동통에도 쓰인다.
진피
진피(Citri Unshius Pericarpium)는 귤나무(Citrus unshiu Markovich, Citrus reticulata Blanco)의 열매껍질을 일컬으며 대개 10∼11월에 채취하여 건조시킨다. 성분으로는 휘발성 정유(精油), 헤스페리딘(플라본배당체), 구연산, 비타민 B1등을 함유하고 있다. 진피는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고 맛은 맵고 쓰다. 주로 비경, 폐경(肺經)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간경, 위경(胃經)에도 작용한다. 또한 소화불량에서 나타나는 복창완민(腹脹脘悶: 배가 그득해 편하지 못한 것), 식욕부진, 오심, 구토 등 비위기체(脾胃氣滯)의 증상에 활용된다. 가래가 많은 기침에도 쓰는데, 진한 백담(白痰)이 많이 나오고 흉복부가 편하지 못한 습담 증상에는 진피로 효능을 증강시킨다.
곽향
곽향(Agastachis Herba)은 Agastache rugosa (Fischer et Meyer) O. Kuntze의 지상부를 의미하며, 줄기는 사각이고 지름 약 5 mm이다. 바깥면은 어두운 갈색이며 세로로 된 무늬와 마디가 있고 마디 사이는 3 ~ 10 cm 이다. 질은 가볍고 연하며 꺾은 면은 고르지 않고 섬유성이며 속이 비어 있다. 잎의 윗면은 녹색 ~ 어두운 녹색이고 아랫면은 황록색 ~ 회갈색으로 잎을 펴서 보면 얕은 심형이다. 때로 꽃대가 붙어있다. 이 약은 특유한 향기가 있고 맛은 담담하고 약간 시원하다. 방향성(芳香性)을 가진 거습약으로 습사(濕邪)를 없애고,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맥아
맥아(Hordei Fructus Germinatus)는 Hordeum vulgare 열매에 싹을 낸 것으로, 긴 방추형(方錐形)이며 길이 10 ~ 15 mm, 너비 3 ~ 4 mm이다. 한쪽 끝에는 약 5 mm 정도의 유아(幼芽)가 있고 다른 쪽에는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유근(幼根)이 있다. 바깥 면은 연한 노란색이고 씨젖은 유백색이다. 질은 단단하며 부서지기 쉽다. 이 약은 달콤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달다. 기(氣)를 소통시키고 식사한 것을 소화시켜주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내복자
내복자(Raphani Semen)는 Raphanus sativus Linne의 잘 익은 씨를 사용하며, 난원형 또는 타원형에 가까우며 약간 납작하고 길이 2.5 ∼ 4 mm, 너비 2 ∼ 3 mm이다. 바깥면은 황갈색 ∼ 적갈색 또는 회갈색이며 한 쪽 끝에는 진한 갈색의 둥근 배꼽점이 있고 다른 쪽에는 여러 줄의 세로홈이 있다. 씨껍질은 얇고 잘 부스러진다. 떡잎은 2 개이고 황백색이며 기름기가 있다. 이 약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책상조직층에 밀착하여 퇴폐된 색소층이 있고 그 속에는 적갈색 물질이 들어있으며 속씨젖 세포는 한 줄로 납작하고 속에는 전분립이 들어있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담담하며 약간 쓰고 맵다. 음식을 소화시키는 것과 배가 불러오르는 창(脹)을 제거하는 것에 사용되며, 또한, 기(氣)를 내려 담(痰)을 삭이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산약
산약(Dioscoreae Rhizoma)은 Dioscorea batatas Decaisne 또는Dioscorea japonica Thunberg의 뿌리줄기로 대개 원기둥모양이고 때로 가로나 세로로 자른 것도 있으며, 길이 5 ∼ 30 cm, 지름 1 ∼ 6 cm이다. 바깥면은 백색 내지 연한 노란색이고, 세로홈, 세로주름 무늬 및 수염뿌리 자국이 있거나 연한 갈색의 겉껍질이 남아 있기도 하다. 몸체는 무겁고 질은 견실하며 자르기 어렵다. 잘린 면은 흰색이고 가루성이며 때로 각질인 것도 있다. 이 약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볼 때 기본조직중의 점액세포는 원형에 가깝고 그 안에는 옥살산칼슘 속침정이 들어있다. 유관속은 병립유관속이고 그 주위에는 1 열의 유세포성의 유관속초가 둘러싸고 있다. 수지도는 유세포 사이에 분포되어 있고 갈색 수지상 물질이 가득 들어있다. 전분립이 많다. 전분립은 원형에 가깝거나 긴 원형 또는 삼각상 달걀모양이고 큰 것에서는 뚜렷한 층문을 볼 수 있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으며 맛은 담담하고 약간 시며 씹으면 끈적끈적하다. 비위를 보하고, 폐와 신 보익하는 것, 자양, 지사, 및 거담의 효능이 알려져 있다.
복령
복령(Poria Sclerotium)은 Poria cocos Wolf의 균핵으로 덩어리 모양이고 대개 부스러진 조각 또는 자른 조각으로 되어 있으며, 온전한 것은 지름 10 ∼ 30 cm, 무게 0.1 ∼ 2 kg이다. 남아있는 겉껍질은 어두운 갈색 ∼ 어두운 적갈색으로 거칠고 벌어진 틈이 있다. 속은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을 띤 흰색으로 질은 단단하나 부스러지기 쉽다. 이 약은 거의 냄새가 없고 맛은 담담하나 약간 점액성이다. 복령은 적복령 및 백복령으로 불리기도 한다. 인체 내에 습(濕)을 원활하게 돌려서 소변 등으로 배출시키는 효능이 알려져 있다.
본원의 추출물에 사용되는 혼합 생약재는 창출 5 내지 7 중량부, 산사 5 내지 7 중량부, 백출 5 내지 7 중량부, 진피 5 내지 7 중량부, 곽향 5 내지 7 중량부, 맥아 5 내지 7 중량부, 나복자 5 내지 7 중량부, 산약 5 내지 7 중량부, 복령 5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상기 배합비는 본 발명자들이 수십년 동안 한방병원에서 수많은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에서 투여하고 피드백을 받으며 변증논치의 과정을 통해 도출해낸 것이다. 상기 배합비의 추출물을 소화불량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 현저한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원의 일 시험예에 따르면, 이보다 내복자의 비율이 높은 약물을 투여한 비교예와 비교하여 현저한 효과 차이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는 하나의 예시적인 시험결과일 뿐이며, 다른 배합비보다 상기 배합비가 우수하다는 시험 결과가 그 동안의 연구과정에서 입증되어 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 생약재에는 탱자, 건강, 사인, 및 토목향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생약재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효능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전체 한약 추출물의 맛과 향을 증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생약재는 탱자 2 내지 4 중량부, 건강 2 내지 4 중량부, 사인 1 내지 3 중량부, 토목향 1 내지 3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추출물은 전술한 생약재를 혼합한 후 추출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생약재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매로서 물을 이용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원에서는 추출물을 한약 추출물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혼합 생약재를 상기 추출용매와 함께 탕전기에 넣고 고온으로 가열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10 내지 1,000 중량부의 용매에 상기 혼합 생약재가 첨가되어 가열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중량부의 용매에 상기 혼합 생약재가 첨가되어 가열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80 내지 110℃의 온도에서 6 내지 10시간, 구체적으로 8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추출할 경우 유효성분들이 변성될 수 있으며,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 추출할 경우 원하는 정도로 유효성분이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열 추출된 추출액은 혼합 생약재의 용질부를 제거한 후 추가로 진탕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첨가된 용매의 1/5 내지 1/4 가 남을 때까지 진탕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액은 여과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여과에는 상압여과, 감압여과, 가압여과, 한외여과, 정밀여과, 및 역삼투압 여과 등 당업계에 사용되는 여과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여과에 사용되는 필터의 기공 크기는 20 내지 40㎛일 수 있으며, 이보다 여과 필터의 기공이 큰 경우 이물감이 높아질 수 있고 이보다 여과 필터의 기공이 작은 경우 주요 유효성분이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액은 농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농축에는 감압가열 농축, 상압가열 농축, 분무 건조, 드럼 건조, 동결 건조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으며, 그 중 감압가열 농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농축액은 고형분이 40 내지 50 중량%까지 포함되도록 농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내 고형분의 농도는 증발시켰을 때 남게 되는 고형분의 중량을 통해 측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소화불량 개선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불량”은 소화와 관련된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에 대한 모든 증상을 의미한다. 소화불량은 기본적으로 음식을 위나 창자에서 잘 받아들이지 못하여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하는 증상을 의미한다. 소화불량은 과음, 과식, 부패물의 섭취, 감염증, 및 피로 등 모든 원인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식욕 부진, 복통, 구토, 설사 따위의 증상을 포함한다. 본원의 일 시험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식사 후 만성적 소화불량의 환자들에게 투여되어 상복부 통증, 상복부 불쾌감, 상복부 쓰림, 가슴 쓰림, 상복부 경련, 가슴의 통증, 조기 만복감, 위산 역류, 식후 포만감, 상복부 압박감, 상복부 팽만감, 구역, 트림, 구토 및 숨쉬기가 좋지 않음의 소화불량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사 후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상복부 통증 및 상복부 쓰림 증상에 대해 현저한 개선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상복부 통증 및 상복부 쓰림 증상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물은 전술한 추출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추출농축액(고형분이 40 내지 50 중량%인 농축액)을 기준으로 1회에 200 내지 300mg의 함량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그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을 기준으로 상기 함량으로 제제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일 1 내지 3회 투여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일 2회 투여에서 소화불량 개선 효과가 극대화된다. 본원의 건강기능식품성 조성물은 2 주 이상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4주 이상 투여되는 것이 소화불량 개선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캡슐제로 제제화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제화를 위해 본 발명의 추출물은 분말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농축 추출액과 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를 스프레이 드라이공법을 통해 분말화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선하다” 또는 “개선”이라는 용어는, 이미 위장 질환 또는 증상이 발전된 경우 더 이상의 위장 질환 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며, 아직 발병하지 않은 경우에 위장 질환 또는 증상이 없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창출 5 내지 7 중량부, 산사 5 내지 7 중량부, 백출 5 내지 7 중량부, 진피 5 내지 7 중량부, 곽향 5 내지 7 중량부, 맥아 5 내지 7 중량부, 나복자 5 내지 7 중량부, 산약 5 내지 7 중량부, 및 복령 5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를 추출하여 제공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원에서 “한약”은 한방원리에 따라 배합된 의약품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약사법상 한약제제로 분류되는 제제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위장 질환”은 위장의 기능 장애와 관련된 질환을 의미한다. 전술한 소화불량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이면 제한되지 않고 포함된다. 상기 소화불량 증상이 보다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본원에서 의미하는 위장 질환으로 간주된다. 즉, 위장질환은 상복부 통증, 상복부 불쾌감, 상복부 쓰림, 가슴 쓰림, 상복부 경련, 가슴의 통증, 조기 만복감, 위산 역류, 식후 포만감, 상복부 압박감, 상복부 팽만감, 구역, 트림, 구토 및 숨쉬기가 좋지 않음의 소화불량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복부 통증 및 상복부 쓰림 증상을 유발하는 위장의 기능 장애가 포함된다.
본원에서 “예방하다” 또는 “예방”이라는 용어는, 아직 발병하지 않은 경우에 위장 질환 또는 증상이 없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이미 위장 질환 또는 증상이 발전된 경우 더 이상의 위장 질환 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치료하다” 또는 “치료”라는 용어는, 위장 질환과 관련된 질환 또는 소화불량 증상에 대한 임의의 치료를 의미하며, 질환 또는 질병에 대한 소질은 있지만 아직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린 것으로 진단받지 않은 포유류에서의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 예를 들면, 질환 또는 질병의 진행을 막음으로써 질환 또는 질병을 억제하는 것; 예를 들면, 질환 또는 질병의 퇴행을 야기시킴으로써 질환 또는 질병을 경감시키는 것; 또는 예를 들면, 질환 또는 증상을 중지시킴으로써 질환 또는 질병에 의해 야기되는 증상을 경감시키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한약 추출물은 한의학적 변증논치의 과정을 통해 배합비가 도출된 것으로, 소화불량 환자에게 우수한 증상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 배합비의 추출물은 건강기능성 식품 및 한약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의 모식도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제조 방법
실시예 1
창출 120g, 산사 120g, 백출 120g, 진피 120g, 곽향 120g, 맥아 120g, 나복자 120g, 산약 120g, 및 복령 120g를 혼합한 혼합 생약재를 탕전기에 1재(20첩) 기준 정제수 5.0L를 넣고 1기압 100℃의 온도로 8시간 동안 추출하고, 생약재를 제거하고 1.2L까지 진탕하여 최종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마이크로필터(30μm)를 거쳐 여과하고, 고형분 40%이상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수득한 한약 추출농축액 500ml 와 덱스트린을 5:5로 스프레이 드라이공법을 통해 분말화 하여 500g을 얻었다. 1회 분량이 추출농축액 기준 225mg이 되도록 캡슐에 450mg 분말을 담았다.
위약
상기 실시예 1에서 한약 추출물 대신 정제수 500mL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드라이어 공법으로 덱스트린 분말을 만들어 캡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나복자를 300g을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캡슐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임상 평가
시험 설계
기능성 소화불량의 증상 정도 평가를 위한 설문지로는 NDI(Nepean Dyspepsia Index), FD-QoL(Functional dyspepsia relate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GIS (Gastrointestinal symptom score) 등이 있다. 이 중 NDI는 Talley 등이 1999년에 소화불량의 증상 및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한 타당성이 검증된 설문지이다(Talley NJ, Haque M, Wyeth JW, Stace NH, Tytgat GN, Stanghellini V, et al. Development of a new dyspepsia impact scale: the Nepean Dyspepsia Index.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1999;13(2):225-35.).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들이 원저자로부터 승인을 받아 번역과 역번역을 거친 한국판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NDI-K)을 사용하였다(Lee SY, Choi SC, Cho YK, Choi MG. Validation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Korean version. Korean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2003;15:48.). 상기 NDI-K 시험은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높으며, 공존 타당도, 변별 타당도, 내적 일치도, 및 구성 타당도 등이 검증된 설문지이다 (한가진 등 2011,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 97명의 변증유형별 특성).
NDI-K의 증상점수표는 상복부 통증, 상복부 불쾌감, 상복부 쓰림, 가슴 쓰림, 상복부 경련, 가슴의 통증, 조기 만복감, 위산 역류, 식후 포만감, 상복부 압박감, 상복부 팽만감, 구역, 트림, 구토 및 숨쉬기가 좋지 않음의 15가지 증상을 빈도, 강도 및 괴로운 정도로 나누어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지난 2주간을 기준으로 평가하며, 빈도는 5단계, 강도는 6단계, 괴로운 정도는 5단계의 평가지표 중 선택한다. 삶의 질에 대한 문항은 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5단계의 평가지표가 있다. 마지막으로 가중치 평가를 통하여 총합을 계산한다. 본 연구에서는 증상 점수 표만 사용하였으며 가중치 없이 각 문항의 합을 총점으로 계산하였다.
NDI-K설문검사에서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는 정확한 점수 기준은 정해져 있지 않다. 다만 Talley 등의 보고에 따르면 NDI 증상 점수의 합이 소화불량 환자군에서는 평균 44.7점이었으며 소화불량 환자가 아닌 군에서는 10.5점이었다(Talley NJ, Haque M, Wyeth JW, Stace NH, Tytgat GN, Stanghellini V, et al. Development of a new dyspepsia impact scale: the Nepean Dyspepsia Index.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1999;13(2):225-35.). 또한 Jones 등의 보고에 따르면 NDI의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MCID)는 10점으로 추정된다(Jones M, Talley NJ. Minimum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for the Nepean Dyspepsia Index, a validated quality of life scale for functional dyspepsia.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9;104(6):1483-8.). 본 연구 에서는 위의 연구들과 임상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NDI-K 점수가 10점 이하인 경우를 정상군, 11점 이상인 경우를 비정상군으로 분류하였다.
임상시험은 단일 맹검 중재(Single blind intervention test)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시험 대상의 선정
본 발명자들은 시험 대상으로 강남위담한방병원으로부터 환자를 모집하였다. 사전 NDI-K 점수가 11점 이상인 20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남녀 30명을 선정하였다. 고혈압, 당뇨, 및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자는 제외하였으며, 만성질환 약 복용자 또한 제외하였다.
30명은 각 10명씩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은 위약을 투여하는 대조군이며, 2군은 상기 실시예 1을 투여하는 군이고, 3군은 비교예 1을 투여하는 군이다. 1군 내지 3군에게 투여된 캡슐은 모두 동일한 성상으로 환자는 어떤 종류의 약을 투여 받는지 알 수 없도록 하였다. 시험 대상인 30명의 성별과 나이는 표 1과 같다.
시험대상자 식별코드 연령
1 1 1 50
2 1 1 24
3 1 1 52
4 1 2 43
5 1 2 40
6 1 1 45
7 1 1 58
8 1 1 33
9 1 2 52
10 1 2 29
11 2 1 33
12 2 1 28
13 2 2 45
14 2 1 49
15 2 1 55
16 2 2 57
17 2 1 37
18 2 2 29
19 2 2 32
20 2 1 40
21 3 2 51
22 3 1 42
23 3 1 21
24 3 1 51
25 3 2 49
26 3 2 43
27 3 1 45
28 3 2 51
29 3 2 38
30 3 2 31
시험 대상의 임상적 특성 분석
중재 전 시험 대상 30명의 NDI-K총점 결과는 표 2와 같다.
1군 2군 3군
1 48 34 41
2 34 32 38
3 42 38 40
4 37 47 31
5 41 42 46
6 33 45 44
7 44 41 35
8 32 42 38
9 37 48 48
10 46 49 41
상기 중재 전 세 군간 임상적 특성의 차이가 없는지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하기 위해 정규성 여부를 검정하였으며, 검정법은 KS 검정(Kolmogorov-Smirnov) 및 Shapiro-Wilk 검정을 이용하였다. 검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Kolmogorov-Smirnov Shapiro-Wilk
통계량 자유도 유의확률 통계량 자유도 유의확률
  1군 .165 10 .200 .943 10 .583
2군 .145 10 .200 .940 10 .550
3군 .137 10 .200 .980 10 .966
모든 군의 Kolmogorov-Smirnov와 Shapiro-Wilk의 유의확률값이 0.05보다 크게 나타났으므로, 모든 군의 NDI-K 점수값이 정규분포를 이룸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의 중요한 가정 조건인 각 군간 분포의 정규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상기 결과값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 등에 대한 기술통계값은 아래의 표 4와 같이 정리되었다.
시험대상자 수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평균에 대한 95% 신뢰구간 최소값 최대값
하한값 상한값
1군 10 39.40 5.621 1.778 35.38 43.42 32 48
2군 10 41.80 5.770 1.825 37.67 45.93 32 49
3군 10 40.20 5.073 1.604 36.57 43.83 31 48
합계 30 40.47 5.399 .986 38.45 42.48 31 49
상기 결과에 있어서, 레빈(Levene)의 검정에 기초한 분산의 동질성은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유의확률이 0.05 이상이었으므로 등분산성 가정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Levene 통계량 df1 df2 유의확률
.284 2 27 .755
한편, 상기 결과에 따라 각 군간 정규성 및 동질성이 만족함을 전제로,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확률이 0.615로 나타났으므로 중재 전 각 군간 NDI-K 총점 결과값에는 차이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제곱합 df 평균 제곱 거짓 유의확률
군-간 29.867 2 14.933 .494 .615
군-내 815.600 27 30.207    
합계 845.467 29      
중재 방법
시험 대상30명 중, 1군에는 위약을, 2군에는 실시예 1을, 3군에는 비교예 1 을 1일 2회(아침 및 저녁)씩 4주간 경구로 중재하였다.
중재 후 임상적 특성 분석
4주간의 중재 이후 시험 대상 30명에게 NDI-K를 실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1군 2군 3군
1 45 31 42
2 37 27 36
3 43 21 42
4 37 31 30
5 40 40 42
6 38 20 43
7 44 19 36
8 31 31 38
9 35 22 44
10 45 28 34
상기 임상적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가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여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KS 검정(Kolmogorov-Smirnov) 및 Shapiro-Wilk 검정을 이용하였다. 검정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Kolmogorov-Smirnov Shapiro-Wilk
통계량 자유도 유의확률 통계량 자유도 유의확률
  1군 .171 10 .200 .928 10 .427
2군 .176 10 .200 .917 10 .329
3군 .262 10 .049 .904 10 .241
모든 군의 Kolmogorov-Smirnov와 Shapiro-Wilk의 유의확률값이 0.05보다 크게 나타났으므로, 모든 군의 NDI-K 점수값이 정규분포를 이룸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의 중요한 가정 조건인 각 군간 분포의 정규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상기 결과값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 등에 대한 기술통계값은 아래의 표 9와 같이 나타났다.
시험대상자수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평균에 대한 95% 신뢰구간 최소값 최대값
하한값 상한값
1군 10 39.50 4.720 1.493 36.12 42.88 31 45
2군 10 27.00 6.600 2.087 22.28 31.72 19 40
3군 10 38.70 4.620 1.461 35.40 42.00 30 44
합계 30 35.07 7.799 1.424 32.15 37.98 19 45
상기 결과에 있어서, 레빈(Levene)의 검정에 기초한 분산의 동질성은 표 10과 같이 나타났다. 유의확률이 약 0.05 이상이었으므로 등분산성 가정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Levene 통계량 df1 df2 유의확률
.724 2 27 .494
한편, 상기 결과에 따라 각 군간 정규성 및 동질성이 만족함을 전제로,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확률이 0.000로 나타났으므로 각 군간 평균값에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제곱합 df 평균 제곱 거짓 유의확률
군-간 979.267 2 489.633 16.849 .000
군-내 784.600 27 29.059    
합계 1763.867 29      
사후검정(다중비교)
각 군간 평균값의 차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군간 평균값의 차이가 있는지 사후검정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Tukey HSD, Bonferroni, 및 Dunnett T3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군간 평균값 차이의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I) 군 (J) 군 평균차(I-J) 표준오차 유의확률 95% 신뢰구간
하한값 상한값
Tukey HSD 1군 2군 12.500 2.411 .000 6.52 18.48
3군 .800 2.411 .941 -5.18 6.78
2군 1군 -12.500 2.411 .000 -18.48 -6.52
3군 -11.700 2.411 .000 -17.68 -5.72
3군 1군 -.800 2.411 .941 -6.78 5.18
2군 11.700 2.411 .000 5.72 17.68
Bonferroni 1군 2군 12.500 2.411 .000 6.35 18.65
3군 .800 2.411 1.000 -5.35 6.95
2군 1군 -12.500 2.411 .000 -18.65 -6.35
3군 -11.700 2.411 .000 -17.85 -5.55
3군 1군 -.800 2.411 1.000 -6.95 5.35
2군 11.700 2.411 .000 5.55 17.85
Dunnett T3 1군 2군 12.500 2.566 .000 5.71 19.29
3군 .800 2.089 .973 -4.67 6.27
2군 1군 -12.500 2.566 .000 -19.29 -5.71
3군 -11.700 2.548 .001 -18.45 -4.95
3군 1군 -.800 2.089 .973 -6.27 4.67
2군 11.700 2.548 .001 4.95 18.45
상기와 같이, 실시예 1을 중재한 2군은 위약을 중재한 1군 (대조군) 및 비교예 1을 중재한 3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평균값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 투여에 따른 우수한 결과가 나타나며, 이는 배합비의 설정에 따라 유의미하게 나타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군별 중재 전후의 통계값 비교 분석
각 군별로 중재 전후의 통계값을 Paired t-test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1군 내지 3군에 대한 통계값 비교 분석 결과를 표 13 내지 15에 나타내었다.
1군 중재 전 중재 후
평균 39.4 39.5
분산 31.6 22.27778
관측수 10 10
피어슨 상관 계수 0.908736
가설 평균차 0
자유도 9
t 통계량 -0.13297
P(T<=t) 단측 검정 0.44857
t 기각치 단측 검정 1.833113
P(T<=t) 양측 검정 0.897
t 기각치 양측 검정 2.262157
2군 중재 전 중재 후
평균 41.8 27
분산 33.28888889 43.55556
관측수 10 10
피어슨 상관 계수 -0.070032125
가설 평균차 0
자유도 9
t 통계량 5.162790698
P(T<=t) 단측 검정 0.000296434
t 기각치 단측 검정 1.833112933
P(T<=t) 양측 검정 0.001
t 기각치 양측 검정 2.262157163 
3군 중재 전 중재 후
평균 40.2 38.7
분산 25.73333333 21.34444
관측수 10 10
피어슨 상관 계수 0.83725498
가설 평균차 0
자유도 9
t 통계량 1.694798049
P(T<=t) 단측 검정 0.06217728
t 기각치 단측 검정 1.833112933
P(T<=t) 양측 검정 0.124
t 기각치 양측 검정 2.262157163  
이상과 같이, 위약으로 중재한 1군에서는 중재 전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실시예1 및 비교예 1을 중재한 2군 및 3군에서는 중재 전후에 따른 변화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인 군은 2군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실시예 1의 중재 시에는 실시예 3을 중재한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한 위장기능 개선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중재 전후 상복부 통증 및 상복부 쓰림 점수
중재 전후에 NDI-K 증상점수표 중에서 가장 개선된 부문을 확인한 결과, 상복부 통증 및 상복부 쓰림이 가장 많이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복부 통증 및 상복부 쓰림 점수만을 하기의 표 16 및 17에 나타내었다.
중재 전 상복부 통증 점수 중재 후 상복부 통증 점수
1군 2군 3군 1군 2군 3군
1 12 9 12 10 6 12
2 8 8 9 10 5 8
3 10 9 10 9 3 11
4 7 13 8 8 7 8
5 10 10 13 8 9 9
6 8 11 11 10 6 9
7 10 10 7 9 0 9
8 8 9 9 6 4 8
9 9 9 11 6 3 7
10 12 10 8 11 5 6
평균 9.4 9.8 9.8 8.7 4.8 8.7
중재 전 상복부 속쓰림 점수 중재 후 상복부 속쓰림 점수
1군 2군 3군 1군 2군 3군
1 10 8 10 9 5 11
2 8 9 9 9 5 7
3 10 10 9 11 3 9
4 9 12 7 8 7 6
5 9 10 11 8 8 9
6 8 10 10 7 7 8
7 10 11 8 10 5 7
8 9 8 8 8 6 8
9 7 9 12 8 8 9
10 12 12 10 11 7 7
평균 9.2 9.9 9.4 8.9 6.1 8.1
상복부 통증과 관련하여 군별 중재 전후 평균값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했을 때, 1군에서는 중재 전후로 평균점수가 9.4점에서 8.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242), 2군에서는 중재 전후로 평균점수가 9.8점에서 4.8점으로 유의하게 개선된 모습을 나타내었다(p=0.000). 3군에서는 중재 전후로 평균점수가 9.9점에서 8.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111).
상복부 속쓰림과 관련하여 군별 중재 전후 평균값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Paired t-test(정규성을 만족하지 않은 군은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했을 때는 1군에서 중재 전후로 평균점수가 9.2점에서 8.9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508), 2군에서는 중재 전후로 평균점수가 9.9 점에서 6.1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p=0.000). 3군에서는 중재 전후로 평균점수가 9.4점에서 8.1점으로 변화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3).
2군에 있어 전체 NDI-K 평균점수가 41.8점에서 27.0점으로 14.8점이 개선되었고 그 중에서도, 상복부 통증 및 상복부 속쓰림의 평균 점수가 각각 5.0 점 및 3.8점 개선되어 높은 수준으로 회복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소화불량 증상 중에서도 상복부 통증 및 속쓰림에 특별히 개선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창출 5 내지 7 중량부, 산사 5 내지 7 중량부, 백출 5 내지 7 중량부, 진피 5 내지 7 중량부, 곽향 5 내지 7 중량부, 맥아 5 내지 7 중량부, 나복자 5 내지 7 중량부, 산약 5 내지 7 중량부, 및 복령 5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를 추출하여 제공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재는 탱자 2 내지 4 중량부, 건강 2 내지 4 중량부, 사인 1 내지 3 중량부, 및 토목향 1 내지 3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혼합 생약물을 10 내지 1,000 중량부의 용매에 침지하여 추출되는 것인,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고형분이 40 내지 50 중량%로 농축된 것인,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1회 200 내지 300mg의 함량으로 제제화되는 것인,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80 내지 110℃하에서 8 내지 10시간 추출되는 것인,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불량은 식사 후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상복부 통증 또는 상복부 쓰림인 것인, 소화불량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8. 창출 5 내지 7 중량부, 산사 5 내지 7 중량부, 백출 5 내지 7 중량부, 진피 5 내지 7 중량부, 곽향 5 내지 7 중량부, 맥아 5 내지 7 중량부, 나복자 5 내지 7 중량부, 산약 5 내지 7 중량부, 및 복령 5 내지 7 중량부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를 추출하여 제공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한약 조성물.
KR1020200040365A 2020-04-02 2020-04-02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한약 조성물 KR102403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365A KR102403190B1 (ko) 2020-04-02 2020-04-02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한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365A KR102403190B1 (ko) 2020-04-02 2020-04-02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한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452A true KR20210123452A (ko) 2021-10-14
KR102403190B1 KR102403190B1 (ko) 2022-05-31

Family

ID=7815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365A KR102403190B1 (ko) 2020-04-02 2020-04-02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한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210B1 (ko) * 2022-11-29 2023-07-19 하현주 브로콜리 및 효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062A (ko) * 2000-07-11 2002-01-19 김철희 위계통 장애에 효능이 있는 분말형 건강식품 조성물
KR20040087099A (ko) * 2003-04-04 2004-10-13 박재상 한방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 건강식 조성물
KR20160131130A (ko) * 2015-05-06 2016-11-16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062A (ko) * 2000-07-11 2002-01-19 김철희 위계통 장애에 효능이 있는 분말형 건강식품 조성물
KR20040087099A (ko) * 2003-04-04 2004-10-13 박재상 한방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 건강식 조성물
KR20160131130A (ko) * 2015-05-06 2016-11-16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210B1 (ko) * 2022-11-29 2023-07-19 하현주 브로콜리 및 효소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190B1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097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00004942A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0968674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KR102403190B1 (ko)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한약 조성물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095995B (zh) 一种治疗胃炎和胃溃疡的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
KR100923043B1 (ko) 한방생약 혈압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09980B1 (ko) 건조 상추,복령 및 로즈마리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면 유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4445B1 (ko) 알레르기 치료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이를이용한 천연차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310156A (zh) 一种治疗儿科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953576B1 (ko) 항암 기능성 음료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34810B1 (ko)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101167628B1 (ko)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517886B1 (ko)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KR102515763B1 (ko)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위식도 역류질환 개선용 한약 조성물
CN111840476A (zh) 一种治疗流行性感冒的中药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960305B1 (ko) 니코틴 제거용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83121B1 (ko)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8358A (ko)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천연 조성물
KR102632013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CN111759901B (zh) 一种治疗儿童功能性腹痛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58671B1 (ko) 다래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