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674B1 -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674B1
KR100968674B1 KR1020080011031A KR20080011031A KR100968674B1 KR 100968674 B1 KR100968674 B1 KR 100968674B1 KR 1020080011031 A KR1020080011031 A KR 1020080011031A KR 20080011031 A KR20080011031 A KR 20080011031A KR 100968674 B1 KR100968674 B1 KR 100968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angover
herb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236A (ko
Inventor
강홍구
Original Assignee
강홍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홍구 filed Critical 강홍구
Priority to KR1020080011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6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6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9Vladimi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Cyperaceae (Sedge family)
    • A61K36/8905Cyperus (flatsed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 후 증상인 피로감 두통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감, 갈증의 완화 및 간장, 신장, 위장기능의 회복을 동시에 유도해 줄 수 있는 한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백출, 향부자와 자단향, 목향, 후박, 건강, 빈랑, 흑축, 모과, 필발, 곽향, 계피, 감초, 산사육, 진피, 정향, 육두구, 량강, 사인, 초과, 초두구, 삼릉, 봉출, 가자육, 호초 ,용뇌, 박하뇌, 오매즙을 포함하는 총 29종의 한방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산제, 전탕액, 환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여 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을 음주전후에 복용하면 숙취해소와 함께 위장, 간장, 신장 기능의 회복 및 보호 기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주독을 해결할 수 있다.
한약조성물, 숙취해소, 한방재, 생약, 매실즙

Description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HERBAL COMPOSITION FOR ALCOHOLIC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한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피로감, 두통,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감, 갈증의 완화 및 위장, 신장, 간장 기능의 회복이 가능하게 해주는 숙취해소용 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과중한 업무와 사회적 스트레스, 만성피로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를 음주로 풀려는 문화가 지배적이다. 특히 우리나라 술 소비량은 인구 1인당 연간 소주 59병, 맥주 86병, 위스키 1.3병 (2002년 7월 현재) 꼴로 적정수준을 훨씬 넘어선 상태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대부분 과음하는 경우가 많으며 다음날 아침의 숙취해소를 위해 각종 전통적인 식품으로 식사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대부분의 숙취제거용 식품 및 음료는 숙취로 인한 증상으로부터 고통을 경감하는 효과가 크지 않으며 근본적으로 체내에 축적된 알콜성분의 분해 또는 배설을 통한 숙취원인의 제거기능이 미약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위장의 기능개선에는 미비하다.
이에 따라 음주 후의 숙취제거를 위하여 각종 생약제가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숙취제거를 위한 생약제를 포함하는 각종 드링크제가 시판되고 있으며 이러한 드링크제 등도 나름대로 숙취제거 효과를 나타내기는 하나 그 이외의 기능은 기대 하기 어려워 근본적인 신체의 회복을 유도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숙취해소와 더불어 간, 신장, 위장기능의 회복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어서 인체 생리기능을 온전히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숙취해소용 한약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한약조성물은 자단향 9 내지 10 중량부, 백출 9 내지 10 중량부, 목향 9 내지 10 중량부, 향부자 9 내지 10 중량부, 후박 5 내지 6 중량부, 건강 5 내지 6 중량부, 빈랑 5 내지 6 중량부, 흑축 3 내지 4 중량부, 모과 3 내지 4 중량부, 필발 1.5 내지 2 중량부, 곽향 1.5 내지 2 중량부, 계피 1.5 내지 2 중량부, 감초 1.5 내지 2 중량부, 산사육 1.5 내지 2 중량부, 진피 1.5 내지 2 중량부, 정향 1.5 내지 2 중량부, 육두구 1.5 내지 2 중량부, 량강 1.5 내지 2 중량부, 사인 1.5 내지 2 중량부, 초과 1.5 내지 2 중량부, 초두구 1.5 내지 2 중량부, 삼릉 1.5 내지 2 중량부, 봉출 1.5 내지 2 중량부, 신곡 1.5 내지 2 중량부, 가자육 1.5 내지 2 중량부, 호초 1.0 내지 1.5 중량부, 박하뇌 0.5 내지 1 중량부, 용뇌 0.5 내지 1.0 중량부, 매실즙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 환제는 상기의 한약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약조성물은 상기의 한 약조성물을 열수 추출하여 제조되는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을 환제, 정제, 캡슐제, 액제, 건강식품, 건강음료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하여 음주 전후에 복용함으로써 대부분의 음주 후에 나타나는 숙취증상인 피로감, 두통, 전신권태, 구토감, 복부팽만감, 갈증을 완화하고 위장, 간장, 신장기능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한약조성물을 이루는 성분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백출(白朮,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은 약리적으로 생쥐의 체중 증가와 지구력 증가, 탐식 능력을 증가, 세포 면역 기능 촉진이 보고되었다. 또한 장관(腸管) 억제 작용과 흥분 작용을 조절, 항궤양 및 간 기능 보호 작용, 면역 기능 항진작용, 혈관 확장 작용, 이뇨 작용 및 혈당 강하 작용, 항암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자단향(紫檀香, Pterocarpus santalinus)은 위장의 기를 끌고 상승하며 방향성 물질을 끌고 상행하여 흉격(胸膈)에 이르며 상부 인후까지 이르게 하는 성질이 있다. 주로 곽란, 심복통을 치료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살충하는 작용이 있다.
향부자(香附子, Rhizoma Cyperi)의 주성분은 치페렌(Cyperene<C2H5> 약 37%)과 치페롤(Cyperol<C15H24> 약 48%)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월경을 조절하고 폐결핵, 늑간부 동통, 월경통을 치료한다.
목향(木香, Radix Saussurea Seu Inulae)은 복부가 차서 생기는 복통, 헛배 부른 증상, 구토, 설사에 사용하며 기를 잘 통하게 해 소화기의 만성 염증, 위통에 효과가 있고, 항균작용이 있어서 이질과 고환염에 쓴다. 약리작용으로 기관지와 소장 경련을 풀어 주며 혈압강하작용,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후박(厚朴, Machilus thunbergii)은 주성분이 마그놀롤(Magnolol)으로써, 복통과 설사 위장염 등의 치료에 요긴하게 쓰인다.
건강(乾薑, 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약리효과는 위액분비촉진, 장관 연동작용 활성화, 소화촉진, 구토를 가라앉히며 심장을 흥분시켜 혈압을 상승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항염, 진통작용, 억균작용이 있다.
빈랑(
Figure 112008008931227-pat00001
, Semen Arecae)은 타닌과 중요 알카로이드로서 Arecaidine, Arecoline, Guvacine, Arecaine, Guavacolin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촌충구제·설사·피부병·두통 등에 사용한다.
흑축(黑丑, Pharbitis nil Choisy)은 나팔꽃의 씨로써, 견우자는 사하(瀉下)작용과 이뇨작용이 강하고 기를 잘 내려 몸이 부을 때, 만성신우신염, 간경화 등으로 복수가 찰 때 사용한다. 해수, 천식에 유효하며 완고한 변비, 기생충 제거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장관 연동작용으로 강력한 사하작용이 보고되었다.
목과(木果, Chaenomeles sinensis(Thouin) Koehne)는 주석산과 Citric Acid, vit. C 를 주성분으로 하며 각기병, 토사곽란, 소화불량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단백성 관절염부종 억제작용, 복수암 억제작용, 추간판탈출증 완화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필발(
Figure 112008008931227-pat00002
, Piper longum L.)은 장위가 차서 생기는 복부동통, 구토, 식욕감퇴, 설사, 이질, 치통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억균작용, 항경련작용, 피부혈관 확장작용, 항산화작용, 항심근허열 및 항심박이상작용, 고지혈 강하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곽향(藿香, Agastache rugosa (Fisc.r et Mey.) Kuntze)은 소화장애를 동반한 감기, 여름철 식체로 인한 구토, 설사, 구취, 옴이나 버짐 등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피부 진균, 대장균, 이질균, 폐렴균, 용혈성연쇄상구균 억제, 위액분 비 촉진작용 등이 있다.
계피(桂皮, Ramulus Cinnamoni)는 주성분이 桂 알데히드(Ciunomic aldehyde 약 85%)로서 피부표면의 발한 등을 제어하고 진통작용이 있어 월경통 및 월경이상, 찬바람을 많이 쐬서 생기는 감기, 식은땀 등의 병증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은 대장균, 고초간균, 황색포도균, 폐렴쌍구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고 유행성 감기바이러스를 억제하며 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감초(甘草, Radix Glycyrrhizae)는 글리치리친<C42H66O18>과 기타 리키리틴<C21H22O9>, 만니트, 아스파라긴 등을 함유하고,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 진해·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 궤양을 억제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산사육(山査肉, Crataegus pinnatifida Bunge)은 소화를 촉진하며 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효과가 있고 복통, 구토, 설사, 위산과다, 만성장염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강심작용, 혈액순환개선 작용, 혈압강하작용이 보고되었다.
진피(陳皮, Cortex Fraxini)는 휘발성정유, 배당체(Hesperidin<C28H34O15>), 구연산 등을 함유하였으며, 기가 뭉친 것을 풀어주고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여 복부창만, 트림,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헛배가 부르고 나른한 증상, 대변이 묽은 증상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은 정유 성분이 소화기자극, 소화촉진, 거담, 항궤양, 항위액 분비, 강심, 혈압상승, 항알레르기, 담즙분비촉진, 자궁평활근억제, 항균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정향(丁香, Syzygium aromaticum Merrill et Perry)은 정향은 위가 차가워서 생기는 구토, 위암, 복통, 소화불량과 성기능 증대, 잇몸염증 및 잇몸통증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진통, 항경련, 항염, 항산화, 항혈전, 항균, 구충, 혈압강하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육두구(, Myristica fragrans)는 휘발성 육두구유인 Myristica acid를 주성분으로 하며, 소화를 돕고 소아복통을 치료하며, 특히 배가 차서 생기는 복통 및 설사에 유효하다.
량강(良薑, Alpinia officinarum Hance)은 복통, 구토, 설사에 효과가 있고 신장기능 허약, 냉증으로 인한 정력감퇴, 설사, 이질에 효과가 있다. 만성 위염, 식욕부진, 음주 후 대변이 시원치 않을 때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용혈성 연쇄 상구균, 디프테리아균, 폐렴균의 발육을 억제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사인(砂仁, Amomum villosum LOUR)의 약리작용으로는 위를 튼튼하게 하고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초과(草果, Amomum tsao-ko Crevost et Lemaire)는 소화기를 덥게 하고 습을 제거하며 복통, 복부창만, 메스꺼움, 구토, 설사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장관흥분작용이 보고되었다.
초두구(
Figure 112008008931227-pat00004
, Alpinia katsumadai Hayata)는 휘발성 정유와 회분을 함유하였으며, 소화기를 덥게 하고, 복통 설사 구토 등을 치료한다.
삼릉(三稜, Sparganium stoloniferum Buchanan-Hamilton)은 기를 보하여 흐름을 강하게 해주고 어혈을 없애 산후 어혈복통, 월경부조, 월경통, 월경폐색불통, 징가, 적취 등에 사용된다. 음식이 소화 안 되는 식적을 제거시키는 작용도 있다.
약리작용으로 자궁외임신에 대한 유효성, 악성종양인 원발성 간암에 대한 효과, 위암, 간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유선암, 직장암, 폐암 등의 호전 반응, 뇌혈전, 뇌전색, 뇌일혈로 인한 반신불수에 유효성을 보였고, 관상 동맥 질환의 심교통 증 개선작용, 충수돌기 주위에도 효력을 나타냈다는 보고가 있다.
봉출(蓬朮, Curcuma zedoaria Roscoe) 은 치네올, 세스키테르펜 알코올 등을 주성분으로 하며, 어혈을 없애고 복통, 월경부조, 월경통, 월경폐색불통 등에 사용된다. 음식이 소화 안 되는 식적을 제거시킨다.
가자육(訶子肉, Terminalia chebula Retz var. tomentella Kurt.)은 기(氣)를 내리고 오래된 담과 기침을 삭히고 숨이 차는 것, 오래된 설사, 이질, 대하, 탈항에 효험이 있다. 소화를 돕고 입맛을 돋우며 뱃속의 태아를 편안하게 하는 작용도 한다. 수렴작용을 하기 때문에 내부에 습열(濕熱)로 인한 열(熱)이 있는 자는 복용을 금한다. 약리작용으로 수렴, 지사, 녹농균 등에 대한 억균작용이 보고되었다.
신곡(神曲, Tricticum sativum Linne)은 클류코사이즈, 리파아제, 비타민B 등을 함유하였으며, 소화기를 건강하게 하여, 소화불량과 각종 소화기병을 치료한다.
가자육(訶子肉, Terminalia chebula RETZ.)은 tannin이 많아서 수렴·지사 작용이 있으며, 녹농균, 디프테리아균,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 연쇄상구균에 억제 작용을 일으킨다.
호초(胡椒, Piperaceae)는 맵고 열이 있는 성질로 인하여 가슴에 있는 차가운 기운이나 담을 제거하며, 기를 내리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장부(臟腑)의 풍과 냉증을 없앤다. 기를 내리는 효능도 가지고 있어 가슴 위에 있는 열을 아래로 내리며 소화기에 생기는 냉증에도 쓰인다.
박하뇌(薄荷腦, 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는 소염 진통작용이 뛰어나며, 상처부위의 염증을 치료하고 통증을 억제한다.
용뇌(龍腦, Dryobalanops aromatica Gaertner)는 용뇌는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여 정신혼몽, 의식장애 등을 열과 부기를 내리고 통증을 완화시켜 주며, 고열, 경련, 소아 경기에 효과가 있으며 인후염과 구내염, 눈병, 가려움증, 충혈, 귀코의 염증 등 각종 염증에 이용된다. 약리작용으로 항균, 항염증작용이 있으며, 국소적인 진통작용과 방부작용이 보고되었다
매실(梅實, Prunus mume) 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피로회복에 좋고 체질개선 효과가 있다. 특히 해독작용이 뛰어나 배탈이나 식중독 등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며, 신맛은 위액을 분비하고 소화기관을 정상화하여 소화불량과 위장 장애를 없애 준다. 변비와 피부미용에도 좋고 산도가 높아 강력한 살균작용을 한다. 최근에는 항암식품으로도 알려졌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조성물은 이상의 29종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성분을 모두 한약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건조된 약재형태의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각 성분이 상, 하한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해소 효과가 미약하거나 없게 된다.
상기한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열수 추출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당 건조추출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숙취증상을 해소할 수 있다.
열수 추출은 100-125℃ 온도에서 2-3시간 동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추출액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추출액 또는 이를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상 건조추출물을 숙취해소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이라면 그 제형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환제, 정제, 캡슐제, 액제, 건강식품, 건강음료 등과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 를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한약 조성물
1. 원료분말 공정
백출 40중량부, 향부자 40중량부, 자단향 40중량부, 목향 40중량부, 후박 24중량부, 건강 24중량부, 빈랑 24중량부, 흑축 16중량부, 모과 16중량부, 필발 8중량부, 곽향 8중량부, 계피 8중량부, 감초 8중량부, 산사육 8중량부, 진피 8중량부, 정향 8중량부, 육두구 8중량부, 양강 8중량부, 사인 8중량부, 초과 8중량부, 초두구 8중량부, 삼릉 8중량부, 봉출 8중량부, 신곡 8중량부, 가자육 8중량부, 호초 6중량부, 박하뇌 2.6중량부, 용뇌 2.6중량부를 혼합기에 넣고 분쇄하였다.
2. 반죽기에 분쇄된 분말 400g과 찹쌀풀 300g 중량비율로 투입하고 매실즙 3g을 투입하여 10분간 반죽하였다.
3. 절단 공정
다져진 반죽 혼합물을 장환기 속에 넣고 압축하여 지름 3㎜의 굵기로 12-15㎝길이로 절단하였다.
4. 환상제조 공정
장환기에서 혼합물을 제환기에 투입하여 10분 정도 작동시켜 약 3㎜의 환상으로 제조하였다.
5. 건조공정
제환기에서 제조된 환을 5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환에 포함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6. 포장공정
완성된 환을 30환 단위로 포장하고 멸균처리하였다.
〈제조예 2〉
3차 증류수 10ℓ가 담긴 플라스크에 제조예 1의 혼합물 400g을(용뇌,박하뇌,매실즙제외) 투입한 후 100~125℃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열수 추출액에 용뇌, 박하뇌, 매실즙을 녹였다.
포장기를 이용하여 120㏄단위로 포장하였다.
〈시험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환제를 30~40대 주량이 소주 2병 이상인 성인 남자 45명에게 소주 2병을 섭취하게 하고 투여하였다.
7시간이 지난 후에 그 증상을 평가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피로감 두통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감 갈증
매우완화 21 26 23 29 31 17
완 화 18 14 15 13 14 23
보 통 6 5 7 3 2 5
미 약 0 0 0 0 0 0
〈시험예 2〉
〈제조예 2〉에서 얻어진 탕액을 30~40대 주량이 소주 2병 이상인 성인 남자 45명에게 소주 2병을 섭취하게 하고 투여하였다.
7시간이 지난 후에 그 증상을 평가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피로감 두통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감 갈증
매우완화 22 25 22 30 30 20
완 화 19 14 17 14 11 21
보 통 4 6 6 2 4 4
미 약 0 0 0 0 0 0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들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숙취해소용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자단향 9 내지 10 중량부, 백출 9 내지 10 중량부, 목향 9 내지 10 중량부, 향부자 9 내지 10 중량부, 후박 5 내지 6 중량부, 건강 5 내지 6 중량부, 빈랑 5 내지 6 중량부, 흑축 3 내지 4 중량부, 모과 3 내지 4 중량부, 필발 1.5 내지 2 중량부, 곽향 1.5 내지 2 중량부, 계피 1.5 내지 2 중량부, 감초 1.5 내지 2 중량부, 산사육 1.5 내지 2 중량부, 진피 1.5 내지 2 중량부, 정향 1.5 내지 2 중량부, 육두구 1.5 내지 2 중량부, 량강 1.5 내지 2 중량부, 사인 1.5 내지 2 중량부, 초과 1.5 내지 2 중량부, 초두구 1.5 내지 2 중량부, 삼릉 1.5 내지 2 중량부, 봉출 1.5 내지 2 중량부, 신곡 1.5 내지 2 중량부, 가자육 1.5 내지 2 중량부, 호초 1.0 내지 1.5 중량부, 박하뇌 0.5 내지 1 중량부, 용뇌 0.5 내지 1.0 중량부, 매실즙 0.5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한약조성물.
  2. 청구항 1의 한약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 환제.
  3. 청구항 1의 한약조성물을 열수 추출하여 제조되는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한약조성물.
KR1020080011031A 2008-02-04 2008-02-04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KR100968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31A KR100968674B1 (ko) 2008-02-04 2008-02-04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31A KR100968674B1 (ko) 2008-02-04 2008-02-04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236A KR20090085236A (ko) 2009-08-07
KR100968674B1 true KR100968674B1 (ko) 2010-07-06

Family

ID=4120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031A KR100968674B1 (ko) 2008-02-04 2008-02-04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6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007A (ko) * 2014-06-09 2014-08-04 정진욱 위장건강보조용 한방 위경단
KR20210065633A (ko) 2019-11-27 2021-06-04 한국한의약진흥원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2412A (zh) * 2010-12-15 2012-07-11 苏州知微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豆蔻汤整合型新剂型制备技术及其生产方法
KR101346244B1 (ko) * 2011-06-30 2014-01-02 이철희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WO2014010656A1 (ja) * 2012-07-11 2014-01-16 興和株式会社 優れた血中アルコール濃度低下促進剤
KR101548203B1 (ko) * 2015-01-21 2015-09-14 한방약초힐링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식물성 오메가 한방 발효환 제조방법
KR101880894B1 (ko) * 2016-07-29 2018-08-09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514A (ko) * 2003-09-01 2005-03-10 박정숙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514A (ko) * 2003-09-01 2005-03-10 박정숙 초두구 및 갈화를 함유하는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6007A (ko) * 2014-06-09 2014-08-04 정진욱 위장건강보조용 한방 위경단
KR101598141B1 (ko) 2014-06-09 2016-03-07 정진욱 위장건강보조용 한방 위경단
KR20210065633A (ko) 2019-11-27 2021-06-04 한국한의약진흥원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236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010B1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0968674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KR101787432B1 (ko)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KR101523554B1 (ko)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43873B1 (ko)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CN104001045A (zh) 一种用于治疗犬肺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5832619A (zh) 杀菌除臭足浴盐及制备方法
CN104998197A (zh) 一种用于治疗肝癌的中药组合物
CN101342331B (zh) 治疗肺炎和上呼吸道感染的中药喷剂
CN103040975B (zh) 一种用于护理治疗小儿腹泻的中药组合物
KR101297918B1 (ko) 비만치료 조성물 및 상기 비만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4922648A (zh) 一种治疗鸡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90085237A (ko) 천연 진주가루를 함유한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한약조성물
CN104922449A (zh) 一种中药消毒液及其制备方法
KR102412392B1 (ko) 청위탕 조성물
CN103830713B (zh) 用于治疗鸡风寒型咳喘症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180008358A (ko)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천연 조성물
KR101302658B1 (ko) 소아야제 치료용 한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019725A (zh) 一种具有降血脂作用的丹参复方茶
CN105362843A (zh) 治疗脾胃湿热型消化性溃疡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940739A (zh) 治疗胆道蛔虫症的中药组合物
CN104436003A (zh) 治疗小儿荨麻疹的中药药浴及其制备方法
WO2021119966A1 (zh) 一种治疗消化系统真菌病的药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