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590B1 -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590B1
KR101176590B1 KR1020100049180A KR20100049180A KR101176590B1 KR 101176590 B1 KR101176590 B1 KR 101176590B1 KR 1020100049180 A KR1020100049180 A KR 1020100049180A KR 20100049180 A KR20100049180 A KR 20100049180A KR 101176590 B1 KR101176590 B1 KR 101176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herbal
hangov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673A (ko
Inventor
최인호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최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최인호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10004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59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구기자 5~7중량부, 갈근 5~7중량부, 산수유 3.4~4.6중량부, 백작약 3.4~4.6중량부, 맥아 3.4~4.6중량부, 신곡 3.4~4.6중량부, 건지황 3.4~4.6중량부, 창출 3.4~4.6중량부, 천궁 3.4~4.6중량부, 향부자 3.4~4.6중량부, 계지 3.4~4.6중량부, 인진 5~7중량부, 진피 3.4~4.6중량부, 목향 3.4~4.6중량부, 백두구 3.4~4.6중량부, 건강 3.4~4.6중량부, 사인 3.4~4.6중량부, 감초 3.4~4.6중량부, 곽향 3.4~4.6중량부, 고량강 3.4~4.6중량부, 필발 3.4~4.6중량부 및 호초 3.4~4.6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상기 한약 추출물에 벌나무 추출물 등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음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평소에 음용하여 음주 전에 미리 간기능을 항진시키고 간을 충분히 보해 놓음으로써 음주 중 및 후에 간의 피로를 줄임과 동시에 회복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음료는 한약 추출물에 벌나무 추출물 등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숙취 해소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한약재의 쓴맛이 덜 하여 음용하기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Herbal Composition for Removing Hangover and Beverage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주 중 및 음주 후에 나타나는 피부 붉어짐, 열감, 구역, 구토, 심한 두통, 어지럼증, 발한 등의 숙취 증상을 한약재를 사용하여 완화하기 위한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에 관한 것이다.
술을 마시게 되면, 위와 소장에서 흡수된 알코올은 간과 위에 연결된 문맥이나 간정맥을 타고 간장으로 흘러든다. 알코올이 문맥을 타고 침입하면 간은 알코올의 침입을 대뇌피질의 수용체에 보고하게 되고, 뇌는 간세포에 알코올 탈수소효소의 출동을 명령함으로써 알코올의 무독 처리를 위한 분해 작업에 돌입한다.
알코올의 대사는 각 개인의 성별, 연령, 체중, 영양 상태 및 신체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지만, 일반적인 경우 과음시 간에서 흡수된 알코올의 대략 80%가 아세트알데히드, 물 및 탄산가스로 분해된다. 물은 소변으로, 탄산가스는 호흡으로 체외 배출되지만,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에 남아 자율신경을 자극하여 얼굴이 붉어지고, 두통 및 구토가 일며, 맥박이 빨라지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등의 취기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 뇌의 수용체가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출동 명령을 내리고 이 분해효소가 출동하여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를 아세트산으로 바꾸어 놓게 된다. 숙취를 일으키는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는 여러 암의 발생과도 관련이 있다.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암으로는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식도암, 간암, 대장암, 직장암, 유방암 등이 있는데,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하루에 50g 정도의 알코올 섭취를 하는 사람의 암 발생 위험이 2~3배까지 증가하게 된다.
현재까지 60가지 이상의 질병이 음주와 직,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췌장염, 알코올성 간염, 간경화증, 뇌졸중, 뇌출혈, 고혈압, 각종 암 등 여러 급,만성질환이 음주로 인해 유발되거나 악화되는 질병이다. 특히, 임산부의 음주는 태아의 저체중 및 선천성 기형이나 신경학적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과도한 음주는 건강을 해치는 나쁜 습관이며, 폭력, 음주운전 등과 같은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한의학 분야에서도 과도한 음주에 따른 숙취를 해소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술은 오곡(五穀)의 진액(津液)으로 소음(小飮)하면 화혈행기(和血幸氣)하며 과음(過淫)하면 상위모혈 생담동화(像胃耗血 生痰動火)한다'고 하였으며, 과도한 음주로 인한 내상(內像)을 주상(酒傷)이라 하고, 술로 인하여 주풍(酒風), 주하, 주벽(酒癖), 주궐(酒厥) 등의 증상이 생긴다고 하였다.
알콜중독을 치료하기 위한 한방요법은 크게 약물요법과 침구요법, 및 한방정신요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약물요법은 치료과정 중 환자에 따라서 나타나는 특수한 증상을 제거하며 약물을 통하여 환자의 음주욕구를 감소시키고 체내에 쌓인 주독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침구요법은 독특한 체질침법으로 환자의 자율신경을 조절해 주고 마음의 편안과 건강을 도모하는 방법이다. 한편, 한방정신요법은 건강운동요법인 도인법과 호흡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마음의 평정을 얻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술을 멀리하게 하는 방법이다.
한약재를 사용하여 숙취를 해소하고자 하는 예로서, 한국특허공개 제2002-0041515호에는 숙취해소용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한약조성물은 갈화, 갈근, 청피, 홍화, 소두구, 산수유, 소회향, 복분자, 녹용, 저령 및 창출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그 제조방법은 갈화, 갈근, 청피, 홍화, 소두구, 산수유, 소회향, 복분자, 녹용, 저령 및 창출을 포함하는 약제를 추출액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상기 추출액의 비등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의 비등점 ± 1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농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농축액을 냉각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09-0085236호에는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숙취해소용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자단향, 백출, 목향 , 향부자, 후박, 건강, 빈랑, 흑축, 모과, 필발, 곽향, 계피, 감초, 산사육, 진피, 정향, 육두구, 량강, 사인, 초과, 초두구, 삼릉, 봉출, 신곡, 가자육, 호초, 박하뇌, 용뇌, 및 매실즙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02-0041639호에는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두충, 홍삼, 결명자 및 황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어성초, 대황, 갈근 및 유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삼백초, 신선초, 감나무잎 및 대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 감초, 쑥 및 녹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장 보호효과가 우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숙취해소 및 간장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건강보조식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06-0117550호에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유효성분으로서, 당귀, 측백, 황기, 백출, 숙지황, 천궁, 진피, 황정, 원지, 지구자 및 갈화로 구성된 천연 약재 자체를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당귀, 측백, 황기, 백출, 숙지황, 천궁, 진피, 황정, 원지, 지구자 및 갈화를 혼합하여 천연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혼합물에 C1 내지 C3의 저급 알코올을 상기 혼합물 중량의 4 내지 8배의 양으로 첨가한 후, 40 ℃ 내지 90 ℃에서, 15분 내지 48시간 동안 추출하고 감압 건조하여 농축 천연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제2004-0067243호에는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작두콩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산청목 추출물, 감초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 죽염, 꿀,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한국특허공개 제2009-0043266호에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죽초액, 감초 추출물, 허브 추출물, 대추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되,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 중량이 100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의 한약재들을 특정의 조성비를 갖도록 사용함으로써 음주 중 또는 후에 나타나는 숙취 증상들을 해소 또는 경감할 수 있는 한약 조성물 및 음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기자 5~7중량부, 갈근 5~7중량부, 산수유 3.4~4.6중량부, 백작약 3.4~4.6중량부, 맥아 3.4~4.6중량부, 신곡 3.4~4.6중량부, 건지황 3.4~4.6중량부, 창출 3.4~4.6중량부, 천궁 3.4~4.6중량부, 향부자 3.4~4.6중량부, 계지 3.4~4.6중량부, 인진 5~7중량부, 진피 3.4~4.6중량부, 목향 3.4~4.6중량부, 백두구 3.4~4.6중량부, 건강 3.4~4.6중량부, 사인 3.4~4.6중량부, 감초 3.4~4.6중량부, 곽향 3.4~4.6중량부, 고량강 3.4~4.6중량부, 필발 3.4~4.6중량부 및 호초 3.4~4.6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상기 한약 추출물은 물로서 열수추출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숙취해소용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숙취 해소용 음료이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음료는 상기 한약 추출물 30~50중량부, 벌나무 추출물 50~70중량부, 당류 0.01~0.02중량부 및 산제 2~3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음료는 상기 한약 추출물 25~35중량부, 벌나무 추출물 35~45중량부, 백비탕, 음용수 또는 이들의 혼합물 25~35중량부, 당류 0.01~0.02중량부 및 산제 2~3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산제는, 상기에 기재된 조성비를 갖도록 혼합된 한약재 혼합물을 분쇄하여 얻은 한약재 분말 100중량% 중 60~80중량%를 8~10시간동안 물중탕하는 제1단계; 제1단계의 중탕액에 잔량의 한약재 분말을 투입한 후 8~10시간동안 교반 및 반죽하는 제2단계; 및 제2단계의 약물을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제3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평소에 음용하여 음주 전에 미리 간기능을 항진시키고 간을 충분히 보해 놓음으로써 음주 중 및 음주 후에 간의 피로를 줄임과 동시에 회복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는 한약 추출물에 벌나무 추출물 등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숙취 해소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한약재의 쓴맛이 덜 하여 음용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은, 구기자 5~7중량부, 갈근 5~7중량부, 산수유 3.4~4.6중량부, 백작약 3.4~4.6중량부, 맥아 3.4~4.6중량부, 신곡 3.4~4.6중량부, 건지황 3.4~4.6중량부, 창출 3.4~4.6중량부, 천궁 3.4~4.6중량부, 향부자 3.4~4.6중량부, 계지 3.4~4.6중량부, 인진 5~7중량부, 진피 3.4~4.6중량부, 목향 3.4~4.6중량부, 백두구 3.4~4.6중량부, 건강 3.4~4.6중량부, 사인 3.4~4.6중량부, 감초 3.4~4.6중량부, 곽향 3.4~4.6중량부, 고량강 3.4~4.6중량부, 필발 3.4~4.6중량부 및 호초 3.4~4.6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구기자(Lncium chinuse Miller.)는 가지과에 속한 낙엽관목인 구기자 나무의 성숙한 과실이다.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간과 신장을 보하면서 피로를 풀어주며, 대장과 소장을 편안하게 한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내상으로 몹시 피로하고 숨쉬기도 힘든 것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하며 5로 7상을 낫게 한다. 정기를 보하며, 얼굴빛을 젊어지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오래 살 수 있게 한다. 일명 '지선(地仙)' 또는 '선인장(仙人杖)'이라고도 한다. 곳곳에 있는데 봄과 여름에는 잎을 따고 가을에는 줄기와 열매를 딴다. 오래 먹으면 다 몸을 가볍게 하고 기운을 나게 한다. 어린 잎(嫩葉)으로 국이나 나물을 만들어 먹으면 아주 좋다. 빛이 희고 가시가 없는 것이 좋다. 줄기는 구기(枸杞), 뿌리는 지골(地骨)이라 하는데, 구기라 하면 줄기의 껍질을 써야 하고, 지골이라 하면 뿌리의 껍질을 써야 한다. 그리고 구기자라 하면 그의 벌건 열매를 써야 한다. 이것은 한 식물에서 쓰는 부분이 3가지라는 뜻이다. 그 줄기껍질은 성질이 차고[寒], 뿌리 껍질은 몹시 차며[大寒], 구기자는 약간 차므로[微寒] 성질도 역시 3가지이다. 섬서(陝西) 지방의 구기자는 앵두(櫻桃) 같으면서 씨가 아주 적어 맛이 매우 좋다[본초].’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구기자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5 내지 7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갈근(Pneraria histura malaum)은 콩과에 속한 다년생초목인 칡의 뿌리이다. 맛이 달고 쓰면서 독이 없다. 주독을 없애며, 진액을 생성하고 갈증을 멈추게 한다. 상기 갈근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5 내지 7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는 산수유과(층층나무과)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완전 성숙한 과실이다. 맛은 떫으며 무독하다. 간과 신장을 보하며 혈맥(血脈)을 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산수유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백작약(Paeonia lactiflora pall(함박꽃) 또는 P. obovata. Maxim(산작약)의 2종을 통칭함)은 미나리아 재비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함박꽃과 산작약의 뿌리이다. 안식향산, 포도당, 아스파라긴등을 함유하며 맛은 쓰고 떫다. 무독하다. 간을 부드럽게 하면서 혈맥을 통하게 하고 소변을 통하게 하면서 수기(水氣)를 제거한다. 상기 백작약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맥아(Hordeum Sativum)는 화본과(벼과)에 속한 1년생, 혹은 월년생초본인 보리의 자실(子實)을 발아시켜 얻은 것으로서, 섬유소, 화분, 지방, 비타민B, 비타민 C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맛은 달고 무독하다. 속을 편안하게 하며 소화불량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소화촉진작용과 혈당강하작용이 보고되었다. 상기 맥아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신곡(Tricticum aestivum. L.)은 벼과에 속한 1년생 재배식물인 참밀의 분말로 제조하여 발효한 약누룩으로서, 맛은 달고 매우며 무독하다. 숙식을 제거하며 위를 따뜻하게 하며 속이 더부룩한 것을 없앤다. 휘발성 정유, 리파제, 지방유, 비타민B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신곡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건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ch)은 현삼과에 속한 다년생초목인 지황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서, 지황소(Rehmanin), 만니트(Mannit) 및 당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맛은 달고 쓰며 무독하다. 대장, 소장을 통하게 하고 오장을 보하며 혈맥을 통하게 한다. 약리작용은 혈당강하, 강심, 이뇨, 간기능보호,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 건지황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창출(Atractylodes japonica koidz.et.kitam.)은 국화과에 속한 다년생 초목인 삽주의 근경(根莖)으로서, 맛은 쓰며 무독하다. 땀을 나게 하고, 소변을 배출시키며 위장을 튼튼하게 한다. 몸속의 독과 통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쓰고[苦], 매우며[辛], 독이 없다. 윗도리, 중간, 아랫도리의 습을 치료하며, 속을 시원하게 하고, 땀이 나게 하며, 고여 있는 담음(痰飮), 현벽, 기괴(氣塊), 산람장기 등을 헤치며, 풍, 한, 습으로 생긴 비증(痺證)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낫게 하며, 수종과 창만(脹滿)을 없앤다. 삽주의 길이는 엄지손가락이나 새끼손가락만하며, 살찌고 실한 것은 구슬을 꿴 것 같으며, 껍질의 빛은 갈색이고, 냄새와 맛이 몹시 맵다. 반드시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다시 그 물을 갈아붙여 하루 동안 담가 두었다가 겉껍질을 벗기고 노랗게 볶아 써야 한다[본초]. 일명 산정(山精)이라고 하는데, 캐는 방법은 흰삽주와 같다[본초]. 족양명과 족태음경에 들어가며, 위(胃)를 든든하게[健] 하고, 비(脾)를 편안하게 한다[입문]. 삽주는 웅장하여 올라가는 힘이 세고 습을 잘 없애며 비를 안정시킨다[역로].’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창출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천궁(Cnidum officinale Makino.)은 미나리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천궁 및 일천궁의 근경으로서, 맛은 맵고 무독하다. 혈액의 순환을 도와서 통증을 그치게 하며 간을 윤택하게 하고 보해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천궁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향부자(Cyperus rotundus, L.)는 사초과(방동사니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사초의 근경으로서, 맛은 맵고 달며, 무독하다. 방향성 건위제로서 만성위기능 쇠약, 소화불량, 식욕감퇴, 위통, 장통(腸痛)에 효과가 있다. 상기 향부자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계지(Cinnamomum louerii Nees.)는 장과(녹나무과)에 속한 상록교목인 계수의 지조(枝條)로서, 맛은 맵고 달며 무독하다. 사지관절의 통증을 완화시켜 주며, 기혈의 순환을 촉진시키고 양기부족을 치료한다. 대장균, 고초간균, 황색포도균, 폐렴쌍구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고 유행성 감기 바이러스를 억제하며 이뇨작용이 있다. 상기 계지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인진(Artemisia Messer~Schmidtiana Besser.)은 국화과(엉거시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사철쑥의 지상부를 말린 약재로서, 맛은 쓰고, 무독하다. 약리작용으로 담즙분비 촉진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간세포 재생작용, 지질분해작용, 관상동맥 확장작용, 혈압강하작용, 해열, 이뇨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간기능의 기능을 항진시키고 담즙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장관운동을 억제하며 건위이담제로서 해열 이뇨작용이 있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약간 차고[微寒](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고, 매우며[苦辛], 독이 없다(조금 독이 있다고도 한다). 열이 몰려 황달이 생겨 온몸이 노랗게 되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을 낫게 한다. 돌림병으로 열이 몹시 나면서 발광하는 것, 머리가 아픈 것과 장학을 낫게 한다. 여러 곳에서 자란다. 다북떡쑥(蓬蒿) 비슷한데, 잎이 빳빳하고, 가늘며, 꽃과 열매가 없다. 가을이 지나면 잎이 마르고, 줄기는 겨울이 지나도 죽지 않는다. 다시 묵은 줄기에서 싹이 돋기 때문에 이름을 인진호라고 한다. 음력 5월과 7월에 줄기와 잎을 뜯어 그늘에서 말리는데 불기운을 가까이 하지 말아야 한다[본초]. 족태양경(足太陽經)에 들어간다. 뿌리와 흙을 버리고 잘게 썰어서 쓴다[입문].’라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인진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5 내지 7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진피(Citrus Aurantium, L.)는 운향과에 속한 귤나무의 과실로서, 맛은 맵고 쓰며, 무독하다. 기운이 뭉친 것을 풀어주며 위장을 튼튼하게 하여 소화를 도와주며, 막힌 것을 뚫게 하고 피를 맑게 하며 이뇨작용을 도와준다. 약리작용은 정유성분이 소화기 자극, 소화촉진, 거담, 항궤양, 항위액분비, 강심, 혈압상승, 항알레르기, 담즙분비촉진, 자궁평활근억제, 항균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이 따뜻하며[溫], 맛은 쓰고, 매우며[苦辛], 독이 없다. 가슴에 기가 뭉친 것을 치료한다. 음식맛이 나게 하고 소화를 잘 시킨다. 이질을 멈추며 담연(痰涎)을 삭히고 기운이 위로 치미는 것과 기침하는 것을 낫게 하고 구역을 멎게 하며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나무의 높이는 3 내지 6미터이며 잎은 탱자나무잎과 같고 가시가 줄기 사이에 돋아 있으며 초여름에 흰 꽃이 핀다. 6, 7월에 열매가 열리고 겨울에 노랗게 익으므로 먹을 수 있다. 열매는 음력 10월에 따는데 껍질은 묵은 것이 좋다. 이 열매는 남방에서 난다[본초]. 우리나라에서는 오직 제주도에서만 난다. 제주도에서는 청귤, 유자, 감자 등이 다 난다[속방]. 비위(脾胃)를 보하려면 흰 속을 긁어 버리지 말아야 한다. 만일 가슴에 막힌 기를 치료하려면 흰 속을 긁어 버리고 써야 한다. 그 빛이 벌겋기 때문에 홍피(紅皮)라고 한다. 오래된 것이 좋은데 이것을 진피(陳皮)라고 한다. 흰 속이 그대로 있는 것은 위(胃)를 보하고 속을 편안하게 한다. 흰 속을 버린 것은 담을 삭히고 체기를 푼다. 흰삽주(백출)와 함께 쓰면 비위를 보하고 흰삽주와 함께 쓰지 않으면 비위를 사(瀉)한다. 감초와 함께 쓰면 폐를 보하고 감초와 함께 쓰지 않으면 폐를 사한다[단심]. 약 기운이 하초(下焦)에 들어가게 하려면 소금물에 담갔다가 쓰고 폐가 건조하면 동변[童尿]에 담갔다가 볕에 말려 쓴다[입문].’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진피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목향(Inula Helenium Linne.)은 국화과(엉거시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목향의 뿌리로서, 향이 있고, 맛은 맵고 쓰며 무독하다. 방향성 건위약으로서 장,위의 기능을 조절하여 위산의 부족을 증가시키고 소화를 촉진하는 효능이 있고, 복부 가스를 배출시키고 없앤다. 발한, 이뇨, 거담작용이 있다. 상기 목향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백두구(Amomum Cardamomum L.)는 생강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백두구의 과피를 제거하고 건조한 것으로, 향이 있고, 맛은 맵고, 약간 쓴맛이 나며 따뜻하고 무독하다. 방향성 건위제로서 구토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소화불량, 복부팽창, 식욕증진에 효과가 있고 주독(酒毒)을 없앤다. 약리작용은 위액분비촉진,장관흥분, 방향성 건위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 백두구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건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생강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생강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맛은 맵고 따뜻하며 무독하다. 소화불량, 구토, 설사에 효과가 있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항염증 및 진통효과가 있다. 상기 건강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사인(Amomum xanthioides Wallich)은 생강과에 속한 축사밀의 과실을 채취하여 껍질을 제거하고 건조한 것으로, 맛은 맵고 따뜻하며 무독하다. 방향성 건위제로서 신경성위기능정체, 구토,오심, 숙식불소(宿食不消), 주독으로 위가 상한데 사용한다. 상기 사인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her et. De candolle(몽고,만주산))는 두과(콩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감초의 근경으로서, 맛은 달고 무독하다. 약독(藥毒)을 제거하며 비장을 보하고 속을 편안하게 하며 청열(淸熱)과 해독(解毒)효과가 있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온갖 약의 독을 풀어 준다. 9가지 흙의 기운을 받아 72가지의 광물성 약재와 1,200가지의 초약(草藥) 등 모든 약을 조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국로(國老)라고 한다. 5장 6부에 한열의 사기[寒熱邪氣]가 있는데 쓰며, 9규(竅)를 통하게 하고, 모든 혈맥을 잘 돌게 한다. 또한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살찌게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어 볕에 말려서 딴딴하고 잘 꺾어지는 것이 좋다. 꺾을 때 가루가 나오기 때문에 분초(粉草)라고 한다[본초]. 감초는 족삼음경(足三陰經)에 들어가며, 구우면 비위를 조화시키고, 생으로 쓰면 화(火)를 사(瀉)한다[탕액]. 토하거나, 속이 그득하거나, 술을 즐기는 사람은 오랫동안 먹거나 많이 먹는 것은 좋지 않다[정전]. 중국으로부터 들여다가 우리나라의 여러 지방에 심었으나, 잘 번식되지 않았다. 다만 함경북도에서 나는 것이 가장 좋았다[속방].’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감초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곽향(Agastache rugosa O. ktze)은 꿀풀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곽향의 잎으로서, 맛은 맵고 무독하다. 구역질을 멈추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며 속을 편안하게 만든다. 약리작용으로 피부진균, 대장균, 이질균, 폐렴균, 용혈성연쇄상 구균 억제, 위액분비 촉진작용 등이 있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풍수와 독종을 낫게 하며, 나쁜 기운을 없애고, 곽란을 멎게 하며, 비위병으로 오는 구토와 구역질을 낫게 하는 데 가장 필요한 약이다[본초]. 수족태음경에 들어가며 토하는 것을 멎게 하고 풍한을 헤치는데 제일 좋은 약이다[탕액]. 영곽은 퍼석퍼석하고 바짝 마르므로 옛사람들이 피우는 향 만드는 데 썼다[본초]. 약으로는 물로 씻어 흙과 줄기를 버리고 잎을 쓴다[입문].’고 설명하고 있다. 상기 곽향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은 생강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고량강의 근경으로서, 맛은 맵고 따뜻하며 무독하다. 비위가 차서 생기는 복통, 구토, 설사에 효과가 있고, 신장기능 허약, 냉증으로 인한 정력감퇴, 설사, 이질에 효과가 있다. 만성위염, 식용부진, 주독을 없애서 음주 후 대변이 시원치 않을 때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용혈성연쇄상구균, 디프테리아균, 폐렴균의 발육을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상기 고량강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필발(Piper longum Linne.)은 호초과(후추과)에 속한 필발의 과실로서, 맛은 맵고 무독하다. 장, 위가 차서 생기는 복부통, 구토, 식욕감퇴, 설사, 이질, 치통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억균작용, 항경련작용, 피부혈관 확장작용, 항산화작용, 항심근허혈 및 항심박이상작용, 고지혈 강하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 필발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호초(Piper nigrum Linne)는 호초과(후추과)에 속하는 열대성 관목인 후추나무의 과실을 완전히 익기전에 체취하여 건조한 것이다. 맛은 맵고 무독하다. 장,위를 따뜻하게 하고 한습을 제거하고 냉적(冷積), 음독(陰毒)을 제거한다. 상기 호초는 본 발명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3.4 내지 4.6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추출물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로서의 상기 한약재들은 시중에서 구입한 것이라면 제한됨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한약재인 구기자, 갈근, 산수유, 백작약, 맥아, 신곡, 건지황, 창출, 천궁, 향부자, 계지, 인진, 진피, 목향, 백두구, 건강, 사인, 감초, 곽향, 고량강, 필발 및 호초의 한약 추출물은 열수추출법에 의하여 제조하였으나,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추출법, 예를 들어, 알코올 추출법, 열수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의 방법이라면 제한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한약재 총 중량에 대하여 5~7배의 물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열, 농축시켜 대략 한약재 4배 중량의 추출액을 수득하도록 실시되었다. 그러나, 추출액 제조과정은 이러한 범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한약재 탕전 방법이라면 제한됨이 없이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음료는 상기 숙취해소용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되, 다른 성분을 가미하여 한약 특유의 맛으로 인해 복용을 꺼리는 사람들의 기호에 적합하도록 맛을 조절하였으며, 비용절감 효과 또한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약 추출물 30~50중량부, 벌나무 추출물 50~70중량부, 당류 0.01~0.02중량부 및 산제 2~3중량부를 함유하도록 이루어지거나, 상기 한약 추출물 25~35중량부, 벌나무 추출물 35~45중량부, 백비탕, 음용수 또는 이들의 혼합물 25~35중량부, 당류 0.01~0.02중량부 및 산제 2~3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벌나무(Acer tegmentosum)는 단풍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서, 높이가 10~15m에 이르며, '산청목'이라고도 한다. 나뭇가지가 벌집 모양이어서 '벌나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잎은 넓고, 어린 줄기는 연한 녹색이며 줄기가 매우 연하여 잘 부러지며 껍질이 두껍고 재질은 희고 가볍다. 연한 황록색 꽃이 피며, 열매는 시과(翅果)로 털이 없고 9~10월에 익는다. 벌나무 가지는 한방에서 약용으로 사용되는 한약재이다. 간암?간경화증?간염?백혈병 등에 치료효과가 있으며, 독성이 없으므로 어떤 체질에도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재이다. 맛이 담백하며, 청혈제(淸血劑)와 이수제(利水劑)로도 쓰인다. 간의 온도를 정상으로 회복시키고 수분이 잘 배설되게 하여 간 치료약으로 사용된다. 벌나무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법에 따라 추출될 수 있으며, 이 추출물은 한약 추출물, 벌나무 추출물, 당류 및 산제를 함유하도록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에서 50 내지 7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며, 백비탕, 음용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함유하도록 이루어지는 음료에서는 35~4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어 숙취 해소 효능을 더 좋게 할 뿐만 아니라 특유의 알싸한 맛이 가미되어 독특한 미감을 갖는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해소 효과 및 음료의 맛이 적합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당류로는 과당, 포도당, 자당, 설탕 등 음료에 단맛을 가미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이라면 제한됨이 없이 단독 또는 혼합 사용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에서 0.01~0.02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단맛이 미미하거나 너무 강할 수 있다.
상기 산제는 상기의 조성비를 갖도록 혼합된 한약재 혼합물을 분쇄하여 얻은 한약재 분말 100중량% 중 60~80중량%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8~10시간동안 물중탕하는 제1단계; 제1단계의 중탕액에 잔량의 한약재 분말을 투입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8~10시간동안 교반 및 반죽하는 제2단계; 및 제2단계의 약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얇게 편 상태에서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제3단계에 의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2단계에서의 반죽과정을 거침으로써 한약재 성분 중 수용성 성분과 지용성 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에서 상기 산제는 2~3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숙취해소 효과가 적합하지 않거나 고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에는 백비탕(白沸湯), 통상의 음용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함유될 수 있는데, 한약 추출물, 벌나무 추출물, 당류 및 산제를 함유하는 음료에 대하여, 25~3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맛이 약하거나 강할 수 있다.
이외, 음료에 통상적으로 첨가가능한 감미료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음료 이외에, 상기 한약재 추출물을 사용하여 차, 젤리, 즙, 쥬스, 엑기스, 기호식품, 간장보호 및 치료용 민간요법제 등의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한약 조성물의 제조
한약 추출물의 제조
구기자 5~7중량부, 갈근 5~7중량부, 산수유 3.4~4.6중량부, 백작약 3.4~4.6중량부, 맥아 3.4~4.6중량부, 신곡 3.4~4.6중량부, 건지황 3.4~4.6중량부, 창출 3.4~4.6중량부, 천궁 3.4~4.6중량부, 향부자 3.4~4.6중량부, 계지 3.4~4.6중량부, 인진 5~7중량부, 진피 3.4~4.6중량부, 목향 3.4~4.6중량부, 백두구 3.4~4.6중량부, 건강 3.4~4.6중량부, 사인 3.4~4.6중량부, 감초 3.4~4.6중량부, 곽향 3.4~4.6중량부, 고량강 3.4~4.6중량부, 필발 3.4~4.6중량부 및 호초 3.4~4.6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된 한약재 혼합물 1,880g을 준비하였다.
한약재 혼합물 1,880g과 물 9ℓ를 혼합하여 통상의 탕전 방법에 따라 4시간 30분동안 가열, 농축시켜 한약재 추출물 6ℓ를 얻었다. 이 추출물 중 일부는 150㎖/팩의 양으로 하여 팩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수회 반복하였다.
실시예 2 -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
가. 벌나무 추출물의 제조
벌나무 추출물 500g에 대하여 물 7,800㎖를 혼합하여 통상의 탕전 방법에 따라 4시간 30분동안 가열, 농축시켜 벌나무 추출물 6,500㎖를 얻었다. 이러한 과정을 수회 반복하였다.
나. 산제의 제조
상기 한약재 추출물 제조시의 조성비를 갖는 한약재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세척 및 건조한 후 분쇄하여 한약재 혼합물 분말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한약재 혼합물 분말 총 100중량% 중 70중량%에 대하여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9시간동안 물을 넣어 닳이면서 중탕을 실시하였다. 이후, 이 중탕된 약물에 잔량인 30중량%의 한약재 분말을 투입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9시간동안 버무림과 반죽과정을 진행하였다. 반죽이 완료된 약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롤링기계를 사용하여 얇게 편 상태에서 8시간동안 건조하여 분말형태의 산제를 제조하였다.
다.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약 추출물 50중량부, 상기 벌나무 추출물 50중량부, 과당 0.01중량부 및 상기 산제 2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음료를 제조하였다. 150㎖/팩의 단위로 포장하였다.
실시예 3 -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다.에서 한약 추출물 30중량부, 상기 벌나무 추출물 70중량부, 과당 0.01중량부 및 상기 산제 2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한다는 점만을 달리하고는 동일한 방법에 따라 음료를 제조하였다. 150㎖/팩의 단위로 포장하였다.
실시예 4 -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다.에서 백비탕 30중량부, 한약 추출물 30중량부, 상기 벌나무 추출물 40중량부, 과당 0.01중량부 및 상기 산제 2중량부의 비율로 배합한다는 점만을 달리하고는 동일한 방법에 따라 음료를 제조하였다. 150㎖/팩의 단위로 포장하였다.
시험예 1 - 실시예 1 내지 4의 숙취 해소 효과 평가
한의원에서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검사(AUDIT)에서 12점 이상으로 판단되는 실험자 100명에 대하여, 특정기간에 걸쳐 실시예 1 내지 4의 한약 조성물 또는 음료 각각을 음주 전후에 1팩씩 순차적으로 복용하도록 하였다(첫번째 음주 전후에 실시예 1, 두번째 음주 전후에 실시예 2, 세번째 음주 전후에 실시예 3, 네번째 음주 전후에 실시예 4 복용).
각 실험자에 대하여 숙취 해소 효과를 (1) '좋음', (2) '보통' 또는 (3) '거의 없음'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숙취 해소 효과 평가
좋음 보통 거의 없음
실시예 1 90 10
실시예 2 87 13
실시예 3 82 18
실시예 4 72 19 9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한약 추출물 100중량%를 함유하는 실시예 1의 한약 조성물의 경우 숙취 해소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약 추출물에 벌나무 추출물 등을 혼합한 실시예 2~4의 음료의 경우에도 숙취 해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6)

  1. 구기자 5~7중량부, 갈근 5~7중량부, 산수유 3.4~4.6중량부, 백작약 3.4~4.6중량부, 맥아 3.4~4.6중량부, 신곡 3.4~4.6중량부, 건지황 3.4~4.6중량부, 창출 3.4~4.6중량부, 천궁 3.4~4.6중량부, 향부자 3.4~4.6중량부, 계지 3.4~4.6중량부, 인진 5~7중량부, 진피 3.4~4.6중량부, 목향 3.4~4.6중량부, 백두구 3.4~4.6중량부, 건강 3.4~4.6중량부, 사인 3.4~4.6중량부, 감초 3.4~4.6중량부, 곽향 3.4~4.6중량부, 고량강 3.4~4.6중량부, 필발 3.4~4.6중량부 및 호초 3.4~4.6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 추출물은 물로서 열수추출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3. 제1항에 기재된 숙취해소용 한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숙취 해소용 음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 추출물 30~50중량부, 벌나무 추출물 50~70중량부, 당류 0.01~0.02중량부 및 산제 2~3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숙취 해소용 음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 추출물 25~35중량부, 벌나무 추출물 35~45중량부, 백비탕, 음용수 또는 이들의 혼합물 25~35중량부, 당류 0.01~0.02중량부 및 산제 2~3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숙취 해소용 음료.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제는,
    제1항에 기재된 조성비를 갖도록 혼합된 한약재 혼합물을 분쇄하여 얻은 한약재 분말 100중량% 중 60~80중량%를 8~10시간동안 물중탕하는 제1단계;
    제1단계의 중탕액에 잔량의 한약재 분말을 투입한 후 8~10시간동안 교반 및 반죽하는 제2단계; 및
    제2단계의 약물을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제3단계;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KR1020100049180A 2010-05-26 2010-05-26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176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180A KR101176590B1 (ko) 2010-05-26 2010-05-26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180A KR101176590B1 (ko) 2010-05-26 2010-05-26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673A KR20110129673A (ko) 2011-12-02
KR101176590B1 true KR101176590B1 (ko) 2012-08-23

Family

ID=4549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180A KR101176590B1 (ko) 2010-05-26 2010-05-26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5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326B1 (ko) * 2016-02-04 2018-02-09 문수영 숙취해소용 한약재 조성물
KR20180050783A (ko) 2016-11-07 2018-05-16 김대호 한약재 기반 숙취해소제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환약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약 숙취해소제
KR20200004941A (ko) 2018-07-05 2020-01-15 메타볼랩(주)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200012564A (ko) 2018-07-27 2020-02-05 이현용 음식물 조리용 천연약초원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0767A (ko) 2019-06-25 2021-01-06 이재주 발아 식물과 한약재 기반의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용 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732B1 (ko) * 2012-04-02 2013-08-16 박건호 숙면을 돕는 술 제조 방법
KR101395412B1 (ko) * 2012-06-05 2014-05-14 안기찬 천연건강음료 추출액의 제조방법
JPWO2014010656A1 (ja) * 2012-07-11 2016-06-23 興和株式会社 優れた血中アルコール濃度低下促進剤
KR101652959B1 (ko) * 2015-09-03 2016-08-31 이상재 천연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또는 뇌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0894B1 (ko) * 2016-07-29 2018-08-09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101978461B1 (ko) * 2017-10-11 2019-08-2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36052B1 (ko) * 2018-07-05 2020-07-22 내츄럴헬스케어 주식회사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982816B1 (ko) * 2018-08-23 2019-05-29 주식회사 비앤에이치랩 함초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27411B1 (ko) * 2018-10-22 2020-06-26 (주)비엔텍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50004B1 (ko) * 2018-12-06 2020-08-31 울릉산채영농조합 헛개나무열매 진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82839B1 (ko) * 2019-04-30 2021-07-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숙취해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63202B1 (ko) * 2019-10-29 2020-10-08 김득수 숙취해소용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용 환
KR102341886B1 (ko) * 2019-11-25 2021-12-21 고광용 벌나무 추출물 및 오리나무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195980B1 (ko) * 2020-05-21 2020-12-29 김일 발효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9438B1 (ko) * 2021-02-17 2021-08-12 강주영 헛개나무, 마가목, 오리목 및 칡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326B1 (ko) * 2016-02-04 2018-02-09 문수영 숙취해소용 한약재 조성물
KR20180050783A (ko) 2016-11-07 2018-05-16 김대호 한약재 기반 숙취해소제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환약 숙취해소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약 숙취해소제
KR20200004941A (ko) 2018-07-05 2020-01-15 메타볼랩(주)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200012564A (ko) 2018-07-27 2020-02-05 이현용 음식물 조리용 천연약초원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0767A (ko) 2019-06-25 2021-01-06 이재주 발아 식물과 한약재 기반의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용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673A (ko) 201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Bakhru Herbs that heal: natural remedies for good health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5864252B2 (ja) 炮製を活用した薬用植物抽出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80894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101787432B1 (ko)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KR20160087112A (ko) 꽃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156828A (zh) 一种适用于炎性肠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CN105010669A (zh) 一种清润保健茉莉花茶及其生产方法
Reid A Handbook of Chinese Healing Herbs: An Easy-to-Use Guide to 108 Chinese Medicinal Herbs and Dozens of Prepared Herba l Formulas
CN110564570A (zh) 一种沉香风味白酒配方及方法
KR20120131337A (ko) 인진쑥, 헛개나무, 민들레, 대추, 갈근 및 오가피의 각각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1224196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과 생약제가 함유된 오메가 - 3 제조방법
CN106701410A (zh) 健胃益气保健酒及其生产方法
KR100923043B1 (ko) 한방생약 혈압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434251A (zh) 一种加入保健药材的醋曲块
CN105832619A (zh) 杀菌除臭足浴盐及制备方法
CN108419869A (zh) 一种清热排毒下火的组合物、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138541A (zh) 防治眼镜蛇呼吸系统疾病的中药制剂及其生产方法
KR101297918B1 (ko) 비만치료 조성물 및 상기 비만치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609643B1 (ko) 피부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689283A (zh) 一种治疗脾虚湿蕴型黄褐斑的药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