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61B1 -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461B1
KR101978461B1 KR1020170129418A KR20170129418A KR101978461B1 KR 101978461 B1 KR101978461 B1 KR 101978461B1 KR 1020170129418 A KR1020170129418 A KR 1020170129418A KR 20170129418 A KR20170129418 A KR 20170129418A KR 101978461 B1 KR101978461 B1 KR 101978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ring
dough
hours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539A (ko
Inventor
구영민
신승미
고건희
오경열
정원민
이동열
길영숙
이형환
이경환
김윤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29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4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물과 1:1 비율로 섞어 반죽하고, 반죽물을 실온에서 숙성한 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환기를 통해 제환하고,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성형기에 의해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반죽물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숙취 해소 환을 제조하고, 제조된 숙취 해소 환을 스틱 형태로 포장함으로써, 복용을 용이하게 제조하여 상품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Hangover recovery pill comprising herbal ingredi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방 성분을 물과 1:1 비율로 섞어 반죽하고, 반죽물을 실온에서 숙성한 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환기를 통해 제환하고,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성형기에 의해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반죽물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숙취 해소 환을 제조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은 뇌의 중추를 억제, 마비시켜 섭취시 외관상 흥분한 상태를 보여주게 되는데, 의식과 동작을 억제하고 수면 및 마취 효과가 있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현대인의 기호식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 나라의 음주문화는 경제성장과 함께 경제활동을 위한 사교에서도 큰 몫을 담당할 뿐 아니라, 현대사회로부터 오는 정신적 외로움을 달래는 문화 생활의 일부가 되고 있다.
알코올 섭취 후 나타나는 숙취 증상은 알코올 분해의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분해되지 않고 오래 머물게 되면서 불쾌감, 두통, 혈압상승, 홍조, 구토 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알코올 섭취 후 나타나는 숙취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헛개나무 등을 이용한 병, 캔 등으로 제조된 숙취 음료가 판매되고 있으나, 부피, 용량 등이 대용량으로 섭취하기에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81767호 [명칭: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한방 성분을 물과 1:1 비율로 섞어 반죽하고, 반죽물을 실온에서 숙성한 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환기를 통해 제환하고,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성형기에 의해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반죽물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숙취 해소 환을 제조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은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말 형태의 칡, 지구자, 여주, 오미자,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 및 산청목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한방 성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한방 성분과 물을 1 : 0.7 ~ 2의 비율로 섞은 후 반죽하여 반죽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 28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환기를 통해 3mm ~ 8mm 크기로 제환하는 단계;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성형기를 통해 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환 형태로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기를 통해 40℃ ~ 60℃에서 8 시간 ~ 2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숙취 해소 환을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한방 성분은, 전체 한방 성분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칡 6 중량% ~ 20 중량%, 상기 지구자 30 중량% ~ 40 중량%, 상기 여주 3 중량% ~ 7 중량%, 상기 오미자 3 중량% ~ 7 중량%, 상기 천궁 3 중량% ~ 7 중량%, 상기 당귀 3 중량% ~ 7 중량%, 상기 숙지황 3 중량% ~ 7 중량%, 상기 작약 3 중량% ~ 7 중량% 및 상기 산청목 19 중량% ~ 25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한방 성분은, 전체 한방 성분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칡 15 중량% ~ 30 중량%, 상기 지구자 25 중량% ~ 62 중량%, 상기 여주 3 중량% ~ 8 중량%, 상기 오미자 3 중량% ~ 8 중량%, 상기 천궁 3 중량% ~ 8 중량%, 상기 당귀 3 중량% ~ 8 중량%, 상기 숙지황 1 중량% ~ 5 중량%, 상기 작약 3 중량% ~ 8 중량% 및 상기 산청목 5 중량% ~ 30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포장기를 통해, 복용이 용이하도록 스틱 형태의 포장지를 통해 상기 준비된 숙취 해소 환을 미리 설정된 포장 단위로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은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말 형태의 칡, 지구자, 여주 및 오미자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 1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 및 산청목이 혼합된 제 2 혼합물을 20 배량 ~ 30 배량의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이용하여 80℃ ~ 100℃에서 2시간 ~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액체 상태의 제 1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제 1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제 1 추출물에 상기 준비된 제 1 혼합물을 혼합한 후, 교반기를 통해 교반하여 반죽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제환기를 통해 3mm ~ 8mm 크기로 제환하는 단계;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성형기를 통해 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환 형태로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기를 통해 40℃ ~ 60℃에서 8 시간 ~ 2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숙취 해소 환을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전체 제 1 혼합물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칡 13 중량% ~ 25 중량%, 상기 지구자 25 중량% ~ 58 중량%, 상기 여주 13 중량% ~ 25 중량% 및 상기 오미자 13 중량% ~ 25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전체 제 2 혼합물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천궁 10 중량% ~ 20 중량%, 상기 당귀 10 중량% ~ 20 중량%, 상기 숙지황 10 중량% ~ 20 중량%, 상기 작약 10 중량% ~ 20 중량% 및 상기 산청목 30 중량% ~ 58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은 앞선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숙취 해소 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방 성분을 물과 1:1 비율로 섞어 반죽하고, 반죽물을 실온에서 숙성한 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환기를 통해 제환하고,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성형기에 의해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반죽물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숙취 해소 환을 제조하고, 제조된 숙취 해소 환을 스틱 형태로 포장함으로써, 복용을 용이하게 제조하여 상품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재별 및 혼합 추출물에 대한 세포 생존률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재별 및 혼합 추출물에 대한 SK-HEP 세포의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재별 및 혼합 추출물에 대한 혈중 알코올 농도, 알데하이드 측정 동물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칡, 지구자, 여주, 오미자,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 산청목 등의 각각의 한방 재료를 분쇄기(미도시)를 통해 600 메쉬(mesh) ~ 800 메쉬의 고운 입자 형태로 분쇄한다. 이때, 상기 한방 성분을 준비하기 위해 사용하는 칡, 지구자, 여주, 오미자,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 산청목 등은 성상 검사, 변질 검사, 부패 검사, 이물질 검사 등을 통해 이상이 있는 제품은 제거된 상태이며, 분말 형태이며, 열풍 건조된 상태로 영하 3℃ ~ 영하 7℃(일반적으로 영하 5℃)에서 보관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칡은 뿌리인 갈근을 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갈근(葛根, Pueraria thunbergiana)은 콩과의 여러해살이낙엽 덩굴식물인 칡의 뿌리로 예부터 발열이나 두통 등의 증상에 사용되어 왔다. 주요 성분으로는 이리소리돈(irisolidone), 제니스테인(genistein), 다이드제인(daidzein), 비오카인 A(biochanin A) 등의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 계열의 화합물과 케르세틴(quercet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계열 화합물이 보고되어 있다. 특히, 플로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들은 관상 동맥 확장 작용, 동맥 경련을 막아주며, 물에 달인 물은 혈압 강하작용을, 알코올 추출물은 해열작용을 가진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갈근에서 분리된 화합물 중 푸에라리아푸안(puerariafuran), 쿠메스트롤(coumestrol),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은 당뇨 합병증 유발 원인 중의 하나인 최종 당화 산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지구자(또는 헛개나무 열매/과병)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헛개나무(Hovenia dulcis)의 열매로서 동북아시아지역이 원산지이며, 한국의 중부 이남 지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지에서도 일부 자생하거나 재배되고 있다. 본초강목에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한의학에서는 알코올성 간염, 간경화, 지방간, 황달 등의 주로 간장의 기능을 높여주고 간에 쌓인 독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구자에 관한 연구로는 항알레르기 효과,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보호효과, 급성알코올 섭취에 따른 마우스 수면시간 및 혈중 알코올 농도의 저하 등에 관한 연구가 있다.
상기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박과의 덩이식물로 비터스쿼쉬(bitter squash), 비터 궈드(bitter gourd), 비터 멜론(bitter melon), 카레라(karela), 고야(goya) 등으로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아시아, 동아프리카, 중앙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와 같은 열대지방에서 재배되며, 당뇨의 민간요법 치료제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여주는 글리코시드(glycosides), 트리테르펜(triterpenes), 폴리페놀(polyphenols), 사포닌(saponins), 알카로이드(alkaloids), 단백질(proteins),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철(Fe), 아연(Zn) 등의 미네랄과 비타민 C, 베타-카로틴(β-carotene)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미성숙과는 비타민C, 비타민A와 철의 주요 공급원이 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상기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는 목련과의 넝쿨성 식물인 오미자 나무의 열매로서, 지름 약 1cm의 짙은 붉은 빛깔의 공 모양이며, 속에는 붉은 즙과 불그스레한 갈색 종자가 1개 ~ 2개 들어 있다. 한국에서는 10월 이후 서리가 내린 후에 수확하며, 열매는 단맛, 신맛, 쓴맛, 매운맛, 짠맛의 5가지 다양한 맛을 나타내면서 약리작용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오미자 과육의 유용성분으로 쉬잔드린(schizandrin), 쉬잔드롤(schizandrol), 쉬잔테린(schizantherin), 이소쉬잔드린(isoschizandrin), 고미신(gomisin), 안질로일고미신(angeloylgomisin), 에피고미신(epigomisin), 벤조일고미신(benzoylgomisin), 티그로일고미신(tigloylgomisin), 데옥시고미신(deoxygomisin), 레고미신(regomisin) 등의 리그난(lignans), 다양한 정유 및 안토시아닌(anthocyanin) 색소가 알려져 있다. 또한, 오미자 열매의 유용 생리 활성으로는, 조골세포 분화촉진 활성, 항당뇨 및 고혈압 억제효과, 항산화 활성, 항세균 활성, 항염증 활성. 돌연변이 억제활성,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천궁은 프탈라이드(Phthalide) 정유성분으로 리구스틸라이드(ligustilide), 부틸리덴프탈리드(butylidenephthalide)(Z-form), 부티프탈라이드(butylpthalide), 크니딜라이드(cnidilide), 네오크니딜라이드(neocnidilide), 이소크니딜라이드(isocnidilide), 센큐노리드 A-1(senkyunolide A-1) 이외에 팔카린디올(falcarindiol), 팔카노론(falcarnolone), 프레그노론(pregnolone), 페룰산(ferulic acid) 등이 있고, 강장, 진정, 진경, 혈압강하, 항균, 비타민 E 결핍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 어혈, 부인병, 혈액보충, 구어혈, 치통 등에 대한 치료 효과와 이 밖에 비타민E 결핍증 치유작용과 항세균, 항진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당귀의 주요성분은 쿠마린(Coumarin), 데쿠신(decursin), 데쿠시놀(decursinol), 데쿠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마메신(marmesin), 움벨리페론(umbelliferone), 이소임페라토린(isoimperatorin), 페우세다논(peucedanone), 노다케닌(nodakenin)으로써, 주요 성분인 데쿠신과 데쿠시놀 안젤레이트는 약 1:2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고, 보신, 보혈의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당귀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도와주며 냉증이나 부인질환에 좋아 월경조절, 월경통을 치료하며, 빈혈, 타박상, 형전성, 동맥염, 두통, 관절염, 진통, 진정, 허약체질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숙지황의 주요성분은 5-하이드록시메틸-2-푸랄데하이드(5-hydroxymethyl-2-furaldehyde)이며, 말초혈관 순환장애의 개선효과로 인해, 숙지황의 추출물은 혈액의 유동학적인 물성을 개선시킴으로써 여러 가지 말초혈관 순환장애를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숙지황은 섬유소의 분해를 촉진함으로써 혈액의 유동성을 개선시키거나 카타폴(catalpol)에는 이뇨작용과 완하작용이 있다. 또한, 골형성 촉진 작용으로 생지황을 알코올로 세 번 찐 숙지황의 물 추출물은 골아세포의 증식과 활성을 강화하는 반면에 파골세포의 생성과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작약(Paeonia lactiflora)은 작약과에 속하는 작약속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작약의 꽃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또한, 상기 작약은 모노테르페노이드 글리코사이드(Monoterpene glycoside의 benzoate)을 주요 성분으로 하며, 상기 작약의 뿌리는 한방에서 사용하는 약재(백작약, 적작약)로 빈혈, 진통제, 혈압 및 해열제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산겨릅나무(또는 산청목)(Acer tegmentosum Maxim.)는 단풍나무과(AceraceaeJuss.) 단풍나무속(Acer L.)에 속하는 식물로서 한국,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벌나무, 산청목, 청해척이라고도 하며, 나무주변으로 벌이 많이 모여든다 하여 봉목이라 부르기도 한다. 예로부터 산겨릅나무는 여러 가지 임상 사례 등에서 간질환 치료 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간질환 및 백혈병 등에 대한 전통 처방으로도 사용될 만큼 효능에 대한 부분은 많이 알려져 왔으며, 최근 들어 항산화 효과, 간 기능 보호, 암세포 성장 억제, 간염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 저해, 이뇨작용, 파골세포분화억제, 항염증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항산화 및 항염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살리드로사이드(salidroside), 타이로졸(tyrosol), 케르세틴(quercetin), (+)-카테신(Catechin) 등이 산겨릅나무에서 분리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S110).
이후, 상기 분말 형태의 각각의 한방 재료를 혼합한 후 교반기(미도시)를 통해 20rpm ~ 40rpm의 속도(또는 회전 속도)로 1시간 ~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한방 성분을 준비한다.
또한, 전체 한방 성분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칡 6 중량% ~ 20 중량%, 상기 지구자 30 중량% ~ 40 중량%, 상기 여주 3 중량% ~ 7 중량%, 상기 오미자 3 중량% ~ 7 중량%, 상기 천궁 3 중량% ~ 7 중량%, 상기 당귀 3 중량% ~ 7 중량%, 상기 숙지황 3 중량% ~ 7 중량%, 상기 작약 3 중량% ~ 7 중량%, 상기 산청목 19 중량% ~ 25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한다.
또한, 전체 한방 성분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칡 15 중량% ~ 30 중량%, 상기 지구자 25 중량% ~ 62 중량%, 상기 여주 3 중량% ~ 8 중량%, 상기 오미자 3 중량% ~ 8 중량%, 상기 천궁 3 중량% ~ 8 중량%, 상기 당귀 3 중량% ~ 8 중량%, 상기 숙지황 1 중량% ~ 5 중량%, 상기 작약 3 중량% ~ 8 중량%, 상기 산청목 5 중량% ~ 30 중량%로 조성할 수도 있다(S120).
이후, 상기 준비된 한방 성분과 물(예를 들어 정제수, 증류수 등 포함)을 1 : 0.7 ~ 2의 비율(또는 중량비)로 섞은 후 반죽하여 반죽물을 준비한다(S130).
이후, 상기 준비된 반죽물은 실온(예를 들어 1℃ ~ 30℃)에서 20 시간 ~ 28 시간(일반적으로 24 시간) 동안 숙성시킨다(S140).
이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은 제환기(미도시)를 통해 3mm ~ 8mm 크기로 제환한다(S150).
이후, 상기 제환된 반죽물은 성형기(또는 당의기)(미도시)를 통해 환 형태로 성형한다.
즉,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환의 형태(또는 모양)로 더 만든다(S160).
이후, 상기 환 형태로 성형된 성형물은 건조기(미도시)를 통해 40℃ ~ 60℃에서 8 시간 ~ 2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숙취 해소 환을 조성(또는 구성/준비)한다.
또한, 상기 준비된 숙취 해소 환은 당도가 25% ~ 65%를 유지하도록 조성할 수 있다(S170).
이후, 상기 준비된 숙취 해소 환은 포장기(미도시)를 통해 미리 설정된 포장 단위(예를 들어 20g, 100g 등 포함)로 포장한다. 이때, 복용이 용이하도록 상기 준비된 숙취 해소 환은 스틱 형태의 포장지를 통해 포장될 수도 있다(S180).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칡, 지구자, 여주, 오미자 등의 각각의 한방 재료를 분쇄기(미도시)를 통해 600 메쉬 ~ 800 메쉬의 고운 입자 형태로 분쇄한다(S210).
이후, 상기 분말 형태의 각각의 칡, 지구자, 여주, 오미자를 혼합한 후 교반기(미도시)를 통해 20rpm ~ 40rpm의 속도(또는 회전 속도)로 1시간 ~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 1 혼합물을 준비한다.
또한, 전체 제 1 혼합물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칡 13 중량% ~ 25 중량%, 지구자 25 중량% ~ 58 중량%, 여주 13 중량% ~ 25 중량%, 오미자 13 중량% ~ 25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한다(S220).
이후,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 및 산청목이 혼합된 제 2 혼합물을 20 배량(倍量) ~ 30 배량의 증류수/정제수를 이용하여 80℃ ~ 100℃에서 2시간 ~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액체 상태의 제 1 추출물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 및 산청목에 포함된 유효 성분들이 잘 우러나도록 상기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 및 산청목은 상기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여, 100 메쉬 ~ 500 메쉬의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칡, 지구자, 여주, 오미자,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 산청목 등은 성상 검사, 변질 검사, 부패 검사, 이물질 검사 등을 통해 이상이 있는 제품은 제거된 상태이며, 분말 형태이며, 열풍 건조된 상태로 영하 3℃ ~ 영하 7℃(일반적으로 영하 5℃)에서 보관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전체 제 2 혼합물의 중량 비율에서 상기 천궁 10 중량% ~ 20 중량%, 상기 당귀 10 중량% ~ 20 중량%, 상기 숙지황 10 중량% ~ 20 중량%, 상기 작약 10 중량% ~ 20 중량% 및 상기 산청목 30 중량% ~ 58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 및 산청목이 혼합된 제 2 혼합물에 대해서 열수 추출 방식에 의해 제 1 추출물을 준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2 혼합물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 산청목 등 포함)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열수 추출 방식 등에 의해 구성 요소별 추출물(또는 한약재별 추출물)을 준비한 후, 상기 준비된 구성 요소별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기 제 1추출물을 준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혼합물에 대해서 열수 추출 방식에 의해 제 1 추출물을 준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2 혼합물에 대해서 초음파 추출(예를 들어 물 초음파 추출, 주정 초음파 추출 등 포함), 주정 추출 등을 통해서 상기 제 1 추출물을 준비(또는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제 1 추출물은 No. 2 여과지(Whatman, Kent, UK)를 이용하여 여과(또는 필터링)한다.
또한, 상기 추출된 제 1 추출물은 0.45㎛ 멤브란스 필터(0.45 membrance filter: PVDF)에 의해 여과하거나 또는, 여과기(미도시)에 의해 70 메쉬 ~ 130 메쉬(일반적으로 100 메쉬)로 여과할 수도 있다(S230).
이후, 상기 여과된 제 1 추출물에 상기 준비된 제 1 혼합물을 혼합한 후, 상기 교반기를 통해 20rpm ~ 40rpm의 속도(또는 회전 속도)로 교반하여 반죽물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제 1 추출물(또는 상기 여과된 제 1 추출물)과 상기 제 1 혼합물은 1 : 1 비율(또는 중량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준비된 반죽물은 실온에서 20 시간 ~ 28 시간(일반적으로 24 시간) 동안 숙성할 수도 있다(S240)
이후, 상기 준비된 반죽물(또는 상기 숙성된 반죽물)은 제환기(미도시)를 통해 3mm ~ 8mm 크기로 제환한다(S250).
이후, 상기 제환된 반죽물은 성형기(또는 당의기)(미도시)를 통해 환 형태로 성형한다.
즉,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환의 형태(또는 모양)로 더 만든다(S260).
이후, 상기 환 형태로 성형된 성형물은 건조기(미도시)를 통해 40℃ ~ 60℃에서 8 시간 ~ 2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숙취 해소 환을 조성(또는 구성/준비)한다.
또한, 상기 준비된 숙취 해소 환은 당도가 25% ~ 65%를 유지하도록 조성할 수 있다(S270).
이후, 상기 준비된 숙취 해소 환은 포장기(미도시)를 통해 미리 설정된 포장 단위(예를 들어 20g, 100g 등 포함)로 포장한다. 이때, 복용이 용이하도록 상기 준비된 숙취 해소 환은 스틱 형태의 포장지를 통해 포장될 수도 있다(S280).
상기 구성 요소별 추출물(또는 한약재별 추출물)과 상기 한방 성분 추출물의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에 대한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즉,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에탄올을 녹인 1.5×10-4M DPPH 용액 90μL와 시료 10μL를 첨가한 후 10분간 반응을 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을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DPPH 용액 대신 에탄올을 첨가한 시료의 흡관도를 블랭크(blank)로 하였으며, 메탄올을 넣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Figure 112017097511016-pat00001
DPPH를 측정하여, IC50(또는 억제 중간값) 확인 결과, 비타민 C로 알고 있는 아스코브르산(ascorbic acid)를 대조구로하여 측정하였다.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 결과, 아스코브르산의 경우, 9.7ppm에서 항산화 소거능을 보였으며, 숙취 해소 관련된 한약재의 경우 산청목이 37.92ppm으로 가장 적은 농도로 항산화 소거능을 보였다. 그 다음은 mix 5가 추출한 시료가 46.36ppm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mix2, mix3 순으로 53.53ppm, 54.47ppm의 항산화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9가지 약재에 대해서는 작약 74.89ppm, 지구자 65.78ppm, 당귀 123.7ppm, 천궁 175.5ppm 등의 순으로 항산화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칡과 숙지황의 경우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추출물의 색의 작용에 의해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색소 제거 등을 이용하여 재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
시 료 EC50 (ppm)
-
숙지황 645.1
작약 74.89
지구자 65.78
당귀 123.7
산청목 37.92
천궁 175.5
오미자 167.9
여주 599.1
Mix 1 68.42
Mix 2 53.53
Mix 3 54.47
Mix 4 61.6
Mix 5 46.36
아스코브르산 9.7
여기서, 상기 복합 추출물(Mix 1 ~ Mix 5)은 다음의 [표 2]와 같이 구성하였다.
Mix 1(g) Mix 2(g) Mix 3(g) Mix 4(g) Mix 5(g)
5 5 5 5 5
지구자 5 10 20 10 10
여주 1 1 1 1 1
오미자 1 1 1 1 1
산청목 1 1 1 5 10
또한, ABTS 라디컬(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Re et al.(199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ABTS와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암소에 방치하면 ABTS+가 생성되는데 추출물의 항산화력에 의해 ABTS+가 소거되어 라디컬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된다. 이와 같은 ABTS+ 탈색 반응은 이미 생성된 프리 라디컬(free radical)의 제거 정도를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어 ABTS+의 소거활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ABTS+ 탈색 반응이 1분 안에 종료되므로 단시간에 측정할 수 있고, 소수성과 친수성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7mM의 2,2-azino-bis(3-ethylbenzothian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와 2.4mM potassium persulfate 용액을 혼합하여 4시간 동안 방치하여 ATBS+를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4nm에서 흡광값이 0.7 ~ 0.8dl 되도록 몰 흡광계수(ε=3.6×104M-1cm-1)를 이용하여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 용액 225㎕에 시료 25㎕를 가한 후, 멀티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스펙트라맥스 M5(Multi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Molecular Devices, USA)를 사용하여 734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파지티브 컨트롤(positive control)로는 BHA와 아소코브르산을 사용하였고, 흡광도가 50% 감소할 때 나타나는 시료의 라디컬 소거능(IC50)으로 표시하였으며, 각 실험은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하였다.
Figure 112017097511016-pat00002
다음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50 값을 확인하여 보면, 산청목, 작약, 칡이 각각 5.929ppm, 37.06ppm, 37.3ppm으로 다른 한약재들에 비해 우수한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복합 추출물(Mix)에서는 DPPH 소거능과 비슷한 결과로 Mix 5에서 30.03ppmdmfh 가장 우수한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Mix 4, Mix 3 순으로 30.75ppm, 39.77ppm의 우수한 라디컬 소거능을 나타냈다.
시 료 EC50 (ppm)
37.06
숙지황 96.43
작약 37.3
지구자 59.58
당귀 169.98
산청목 5.93
천궁 190.84
오미자 240.7
여주 270
Mix 1 57.59
Mix 2 49.9
Mix 3 39.77
Mix 4 30.75
Mix 5 30.03
아스코브르산 7.8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의 측정은 20 μL의 추출물 96-well microtiter plate에 분주한 후, 1 N Folin-ciocalteu 시약을 넣고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10% sodium carbonate 용액을 80 μL 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 765nm에서 흡광도(Infinite M 200, Tecan, Austria)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0~200 ug/mL의 gallic acid를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시료 1g당 gallic acid의 함량(GAE)으로 나타내었다.
즉, 본 실험에서는 지구자, 칡, 숙지황, 작약, 당귀, 산청목, 천궁, 오미자, 여주 단일 약재와 이 약재를 조합한 추출물에 대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기준물질로는 gallic acid를 사용하였다.
다음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결과 단일약재 중에서는 산청목이 15508.26667mg Ga/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Mix 중 Mix 5가 가장 높은 양으로 3958.81mg Ga/L로 측정되었고, 다음으로는 Mix 4가 3877.74mg Ga/L로 측정되었다. 단일약재로써는 산청목 다음으로 작약이 3483.89mg Ga/L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칡과 숙지황의 경우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추출물의 색의 작용에 의해서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재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
샘플 (1000 ppm) mg Ga/100g
5405.53
숙지황 3152.041
작약 3483.89
지구자 3136.73
당귀 1830.44
산청목 15508.26
천궁 1299.61
오미자 1311.54
여주 835.52
Mix 1 2543.42
Mix 2 3249.60
Mix 3 3037.41
Mix 4 3877.74
Mix 5 3958.81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식물에 의해 합성된 폴리페놀(polyphenol)의 가장 큰 부류이다. 플라보노이드는 화학적 구조 차이에 의해 6개의 주요 하위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하위 그룹들인 플라바놀(flavanols), 플라바논(flavanones), 플라본(flavones), 이소플라본(isoflavones), 플라보놀(flavonols), 안토시아니딘(anthocyanidins)은 분포, 생리 활성에 차이가 있다. 시험관 실험에서 플라보노이드는 효과적인 프리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측정은 추출물 100 μL와 에탄올 400 μL를 섞은 후, 500 μL 2% aluminum chloride 용액을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 4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250 ug/mL의 농도의 quercetin 용액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시료 1g당 quercetin의 함량(QE)으로 표시하였다.
다음의 [표 5]는 각 시료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catechin equivalents로 환산한 결과이다. 시료에서의 catechin을 기준으로 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하며, 산청목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278.779702mg Ca/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칡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190.934174mg Ca/L, 작약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38.4989081mg Ca/L 등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 추출물에서는 Mix 5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974.7672453mg Ca/L이고, Mix 2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798.7922334mg Ca/L 순으로 나타났다.
샘플 (1000 ppm) mg Ga/100g
2190.93
숙지황 9.35
작약 738.49
지구자 456.72
당귀 495.09
산청목 3278.77
천궁 216.49
오미자 0.98
여주 -
Mix 1 447.48
Mix 2 798.79
Mix 3 439.22
Mix 4 657.11
Mix 5 974.76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재별 및 혼합 추출물에 대한 세포 생존률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RAW 264.7 세포는 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ml과 10% fetal bovine serum(Gibco, MD, USA)이 함유된 Dublecco's Modified Eagle Medium(Gibco, MD,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을 하여 세포 생존율 측정을 위해 추출물을 농도별(312.5, 625, 1,250, 2,500 μg/ml)로 처리 후, CellTiter 96 aqueous 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reagent(Promega, WI, USA)를 첨가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4시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추출물을 농도별(312.5, 625, 1,250, 2,500 μg/ml)로 측정하였을 때,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재별 및 혼합 추출물에 대한 SK-HEP 세포의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SK-HEP 세포는 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ml과 10% fetal bovine serum(Gibco, MD, USA)이 함유된 Dubl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MD,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 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을 위해 SK-HEP 세포 세포를 2×105 cells/ml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추출물을 농도별(78, 156, 312, 625, 1,250, 2,500 μg/ml)로 처리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CellTiter 96 aqueous 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reagent (Promega, WI, USA)를 첨가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4시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1000ppm에선 단일 한약재인 산청목과 Mix 2, Mix 3에서 약간의 독성이 나타났지만, 이것은 다른 뜻으로 해석하면 간암세포를 억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재별 및 혼합 추출물에 대한 혈중 알코올 농도, 알데하이드 측정 동물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동물 실험은 다음의 과정에 의해서 수행하였다.
즉, 랫드(Sprague-Dawley/Crl:CD (SD) (ICR/Crl:CD1))를 사용하여 입수동물수 48 마리(수컷 48 마리) 약 7주령에 입수하며, 투여개시 시 약 8주령 동물을 사용하였다.
군 분리를 실시한 후, 모든 군을 overnight 동안 절식시키고, 독성유도물질의 투여 방법은 군 분리 시체중을 기준으로 vehicle control, Mix1, Mix3, Mix5 40% EtOH를 10 ml/kg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여 숙취를 유도하였다. 이때, 동물 번호 순서대로 일정 시간 간격으로 투여한다. 시험물질의 투여 방법은 숙취유도물질 투여가 끝난 후 30분 후부터 각 군에 해당하는 시험물질을 동물 번호대로 경구투여하였다. Ethanol 투여 후, 1h, 3h, 5h 시간에 카테터를 이용하여 미정맥에서 100㎕가량 채혈하고, 전혈을 튜브에 넣어 혈액을 채취한 후, 채취한 혈액을 원심분리 (약 3000rpm, 20min, 4℃)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혈청은 미리 표시된 polypropylene 튜브에 옮긴 후 되도록 빨리 시험에 사용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deep freezer에 냉동(약 -72℃) 보관한다.
동물교체기간이 지난 후 모든 잔여동물은 CO2 또는 isoflurane 흡입을 이용하여 안락사시켰다.
또한, 알데이드 측정은 다음의 과정에 의해서 수행하였다.
즉, Component D(standard)에 1ml의 dilution buffer를 넣어서 10mM의 stock을 만들고, 1:10, 1:3 serial dilution해서 1000, 300, 30, 10, 3, 1, 0.3μM 만들고, Sample은 희석 없이 total volume 50㎕l를 맞춰 사용한다. reaction mix 제작 5ml assay solution을 yellow indicator에 넣어 mix하였고, 96-well plate에 well 마다 100㎕씩 reaction mix를 넣고, sample 50㎕를 추가한 후, 빛 차단 후에 RT 30분 반응하고 405nm 혹은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코올 경구 투여 1시간 후 측정결과 컨트롤 군보다 모든 Mix1,3,5에서 낮은 알데하이드가 측정되었고, 특히 Mix5에서 뚜렷하게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3시간 후에도 1시간 후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면서 알데하이드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5시간 후에는 모든 실험동물군에서 숙취의 원인인 알데하이드가 컨트롤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한방 성분을 물과 1:1 비율로 섞어 반죽하고, 반죽물을 실온에서 숙성한 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환기를 통해 제환하고,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성형기에 의해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반죽물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숙취 해소 환을 제조하고, 제조된 숙취 해소 환을 스틱 형태로 포장함으로써, 복용을 용이하게 제조하여 상품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물과 1:1 비율로 섞어 반죽하고, 반죽물을 실온에서 숙성한 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환기를 통해 제환하고,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성형기에 의해 성형하고, 상기 성형된 반죽물을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숙취 해소 환을 제조하고, 제조된 숙취 해소 환을 스틱 형태로 포장함으로써, 복용을 용이하게 제조하여 상품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숙취 해소 분야, 환 제조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말 형태의 칡, 지구자, 여주, 오미자, 산청목을 각각 17~19 중량%, 36~38중량%, 3~5 중량%, 3~5 중량%, 36~38 중량%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한방 성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한방 성분과 물을 1 : 0.7 ~ 2의 비율로 섞은 후 반죽하여 반죽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 28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제환기를 통해 3mm ~ 8mm 크기로 제환하는 단계;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성형기를 통해 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환 형태로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기를 통해 40℃ ~ 60℃에서 8 시간 ~ 2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숙취 해소 환을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성분은, 분말 형태의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을 혼합한 제 2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포장기를 통해, 복용이 용이하도록 스틱 형태의 포장지를 통해 상기 준비된 숙취 해소 환을 미리 설정된 포장 단위로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
  5.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말 형태의 칡, 지구자, 여주, 오미자, 산청목을 각각 17~19 중량%, 36~38중량%, 3~5 중량%, 3~5 중량%, 36~38 중량%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 1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천궁, 당귀, 숙지황, 작약 및 산청목이 혼합된 제 2 혼합물을 20 배량 ~ 30 배량의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이용하여 80℃ ~ 100℃에서 2시간 ~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액체 상태의 제 1 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제 1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제 1 추출물에 상기 준비된 제 1 혼합물을 혼합한 후, 교반기를 통해 교반하여 반죽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반죽물을 제환기를 통해 3mm ~ 8mm 크기로 제환하는 단계;
    상기 제환된 반죽물을 성형기를 통해 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환 형태로 성형된 성형물을 건조기를 통해 40℃ ~ 60℃에서 8 시간 ~ 24 시간 동안 건조하여 숙취 해소 환을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내지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숙취 해소 환.
KR1020170129418A 2017-10-11 2017-10-11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78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418A KR101978461B1 (ko) 2017-10-11 2017-10-11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418A KR101978461B1 (ko) 2017-10-11 2017-10-11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539A KR20190040539A (ko) 2019-04-19
KR101978461B1 true KR101978461B1 (ko) 2019-08-28

Family

ID=6628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418A KR101978461B1 (ko) 2017-10-11 2017-10-11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202B1 (ko) 2019-10-29 2020-10-08 김득수 숙취해소용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용 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767A (ko) 2005-01-10 2006-07-13 (주) 베카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
KR100661132B1 (ko) * 2005-05-11 2006-12-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76590B1 (ko) * 2010-05-26 2012-08-23 이성훈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368460B1 (ko) * 2012-03-19 2014-03-12 신영수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7231B1 (ko) * 2012-11-27 2014-10-08 박길남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539A (ko)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lehi et al. Apium plants: Beyond simple food and phytopharmacological applications
KR101360231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6244B1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0968109B1 (ko)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Soladoye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of the stem and root of Cissus populnea (Vitaceae)–an important medicinal plant in Central Nigeria
KR102119178B1 (ko) 참당귀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030026939A (ko) 구아바잎을 주성분으로한 당뇨병치료용, 비만개선용,노화방지용차의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
Shushunov et al. Determination of acute toxicity of the aqueous extract of Potentilla erecta (Tormentil) rhizomes in rats and mice
Anjum et al. In vitro antioxidant and thrombolytic activities of Bridelia species growing in Bangladesh
KR101978461B1 (ko)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10136023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70603B1 (ko) 흡연시 발생하는 유해성분 제거용 생약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08214198A (ja) 桑類と蓮類とサンサ類とタンジン類を含有することを特徴とする組成物。
Garmashov et al. Technological parameters of countercurrent extraction: deriving bioactive compounds from plant raw materials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360233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086457A (ko) 가미방기황기탕의 주정추출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4941A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Doofan et al. Phytochemicals and Minerals Composition of Matured (Yellow) Carica Papaya Leaves
Naman et al. Anti-Anaemic Potential of Methanolic Leaf Extract of Mucuna Pruriens on Phenylhydrazine (Phz) Induced Anaemic Albino Wistar Rats
KR101173172B1 (ko) 복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는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용 조성물
KR102187385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활성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771555C1 (ru)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антигипоксическим и адаптогенным действ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