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231B1 -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 - Google Patents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231B1
KR101447231B1 KR1020120135004A KR20120135004A KR101447231B1 KR 101447231 B1 KR101447231 B1 KR 101447231B1 KR 1020120135004 A KR1020120135004 A KR 1020120135004A KR 20120135004 A KR20120135004 A KR 20120135004A KR 101447231 B1 KR101447231 B1 KR 101447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angover
powder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579A (ko
Inventor
박길남
Original Assignee
박길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남 filed Critical 박길남
Priority to KR102012013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2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7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해소환(宿醉解消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숙취해소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늘, 홍삼, 난황을 저온 숙성시킨 혼합물에 인진쑥, 울금, 갈화, 갈근, 헛개 열매 및 난황을 일정 함량으로 첨가하여 저온에서 숙성시킨 후 환제로 제조하는 숙취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환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숙취해소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숙취해소환은 음주 전후에 복용이 간편하며, 복용 후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활성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숙취해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A MANUFACTURING METHOD OF OVERHANG SOLUTION PELLET AND OVERHANG SOLUTION PELLET MU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숙취해소환(宿醉解消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숙취해소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늘, 홍삼(紅蔘), 난황(卵黃)을 저온 숙성시킨 혼합물에 인진쑥, 울금(蔚金), 갈화(葛花), 갈근(葛根), 헛개 열매 및 난황(卵黃)을 일정 함량으로 첨가하여 저온에서 숙성시킨 후 환제로 제조하는 숙취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환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숙취해소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속에 스트레스의 요인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활 주변의 스트레스를 벗어나고 싶은 욕구는 현대인 모두가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고 단지 누적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수면, 과식, 운동, 흡연 및 그 외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한가지 방법으로 음주를 하게 된다.
회식과 접대가 잦고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음주는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음주기회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이은 음주후 음주로 인한 부작용인 머리가 무겁고 아프거나 속이 쓰리는 등의 숙취현상(hangover)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숙취현상은 간세포에 축적된 에탄올(ethanol)이나 아세트알데히드(acealdehyde)의 독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이들 물질이 간세포에 장기간 축적되어 독작용이 지속되면 피로감, 복부 팽만감, 구토 등의 증세를 일으키게 된다.
정상적인 에틸알코올(ethylalcohol) 대사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에틸알코올이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중에 들어가 간장으로 옮겨지게 된다. 간세포에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가 있어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고,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초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옮겨져 최종적으로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II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을 하지 않는 I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II형 아세트알데히드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고, 따라서 산화되지 못한 아세트알데히드 및/또는 에틸알코올의 독작용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다양한 숙취현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주후의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생약제제 또는 인공제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제조한 드링크류가 다수 개발되었다.
한편, 에탄올은 술의 주성분으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광범위하고 매우 다양하여 그 대사과정과 독성 발현 특성에 대한 연구가 오랫동안 폭넓게 진행되어 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섭취된 에탄올은 소장 및 소화관을 통해서 흡수되어 섭취 후 20 내지 120분 사이에 최고 혈중농도에 도달하게 되고 이와 같이 흡수된 에탄올은 간을 비롯한 모든 장기에서 대사되는데, 이 중 약 10% 정도는 호흡을 통하여 또는 소변 및 땀으로 배설되고 나머지 대부분은 간에서 분해된다.
간에서의 에탄올 분해는 산화반응을 통한 아세트알데히드로의 전환이 주된 대사가 된다. 이는 상기한 알코올 탈수소효소,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계 (microsomal ethanol-oxidizing system, MEOS) 및 카탈라제(catalase) 등 3가지의 반응 효소계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 Ebihara et al.,Agri. Biol. Chem., 52, 1311, 1988). 이와 같은 에탄올의 분해기작 뿐 아니라 독성학적 연구도 다양하게 이루어졌는데, 에탄올의 독성은 신경학적 측면에서 관찰될 뿐만 아니라 유전학적으로도 영향을 끼친다는 보고가 있다(J. Caballeria, et al.,Life Sci., 41, 1021-1727, 1986). 최근 들어, 에탄올의 독성을 경감시키거나 독성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는 많은 물질에 대한 연구와 실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결과 천연식품이나 한약재료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함유한 다양한 건강보조식품이 이와 관련되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김정한 등,한국농화학회지, 38(6), 549-553, 1995).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주로 담석 용해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콜린산류를 이용한 조성물이 시판되고 있는데, 이러한 콜린산류에는 이담작용, 간장해독, 간혈류 개선작용, 지방의 흡수 촉진작용 및 미세담도를 통한 노폐물 배설작용을 갖고 있어 만성 간질환의 간기능 개선, 간기능 장애에 의한 전신권태, 소화불량, 식욕부진, 육체 피로 등에 효능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우루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담석용해제로 시판되고 있으며, 지방간 치료에 효과가 있어 경구로 투여한 경우 간기능개선 및 간지방량의 감소가 보고되어 있는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Tauroursodeoxycholic acid), 담석용해제로 시판되고 있는 체노데옥시콜린산(Chenodeoxycholic acid) 및 디하이드로콜린산(Dehydrochol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기 콜린산류를 이용한 조성물은 스트레스에 의한 부신무게의 증가 및 비장의 위축 예방, 부신의 아스코르빈산 함량변화 억제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의 억제 등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는 일반적인 증상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을 뿐으로 숙취를 해소하거나 간장을 보호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한약제 또는 민간요법제로서 숙취해소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인삼, 가시오가피 등의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종 제제형태의 의약품들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인삼을 주성분으로 하는 자양강장 드링크제는 다수 시판되어 있는 실정이고, 기타 꿀, 비타민 등의 각종 성분들도 적당량의 함량으로 조성하여 자양강장제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인삼, 가시오가피, 오씨뭄, 티노스포라 등의 생약과 멜라토닌 등의 생체물질이 숙취해소 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긴 하지만, 음주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변화들 중에서 일부 항목에만 효과가 있거나 약효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종래 동양에서 한방제제로 이용되어 온 생약 추출물을 단순히 이용하는 점에서 큰 특징적인 기술을 찾아볼 수가 없고, 대개가 자양강장제나 공지의 효능을 단순히 이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을 뿐이었다.
또한, 숙취제거 및 혈중 알콜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제의 연구가 그동안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뚜렸한 성과가 있는 제제는 없었다. 과거에는 조악한 형태의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단순히 제제화한 제품들이 선보여 왔으나, 기존의 식물엑기스 발효액만을 이용하여 만든 제제들은 오랫동안 방치하면 침전물이 생성되는 일이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특이한 냄새로 인하여 복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이들 식물엑기스 발효액에 비타민류, 무기물, 아미노산 등을 첨가하여 음료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경시변화에 따른 제품의 유효성, 안정성 및 각종 세균의 멸균과정에서 초래되는 제품의 안정성 등에 관한 문제점이 야기되며, 불용성 침전물이 생성되고, 맛이나 색깔이 변색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보통이어서 제제화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최근에 콩나물을 주원료한 식물엑기스를 함유한 제품이나 미배아와 대두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이 소개되고는 있으나, 이들 역시 제제의 안정성면에서 여전히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이 사실이다. 이와 같이 음주후의 숙취제거를 위하여 각종 생약제가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숙취제거를 위한 생약제를 포함하는 각종의 드링크제가 시판되고 있으며, 이러한 드링크제는 음주후에는 단독으로, 또한 음주전에는 고알콜 함량의 주류에 첨가하여 음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생약제를 함유하는 드링크제는 전신권태, 복부팽만감, 구토 또는 복통 등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일부 드링크제는 고가의 생약제를 사용함으로써 고가로 판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실정에서, 현대사회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음주로 인한 숙취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바람직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적절히 배합하여 숙취에 대한 예방이나 치료효과가 우수하고 간장 보호효과가 뛰어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10-2010-012521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주 전후에 편리하게 복용이 가능하고, 숙취해소 효과가 탁월한 환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마늘을 세척하여 40~70℃의 물에 투입하고 100~150시간 동안 가열한 후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삼(紅蔘) 분말 10~30중량부 및 난황(卵黃) 5~15중량부를 혼합한 후 400~500시간 동안 5~15℃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결과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진쑥 분말 100~130중량부, 울금(蔚金) 분말 180~210중량부, 갈화(葛花) 분말 20~30중량부, 갈근(葛根) 분말 20~30중량부, 헛개열매 분말 20~30중량부 및 난황(卵黃) 20~30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150시간 동안 5~15℃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결과물을 환제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해소환(宿醉解消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c)에는 질경이 분말 10~30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는 아보카도 분말 10~20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기 방법들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환(宿醉解消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숙취해소환은 음주 전후에 복용이 간편하며, 복용 후 알코올 탈수소효소 및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의 활성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숙취해소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숙취해소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음주 후 나타나는 전신불쾌감, 무기력증, 피로, 갈증, 두통, 설사, 식욕부진, 울렁거림, 구토 등의 숙취의 원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간편한 복용이 가능한 제제를 얻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마늘, 홍삼(紅蔘), 난환(卵黃)을 저온 숙성하고, 여기에 각종 한약재를 첨가하여 저온숙성 후 환제로 제조되는 숙취해소환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마늘을 세척하여 40~70℃의 물에 투입하고 100~150시간 동안 가열한 후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삼(紅蔘) 분말 10~30중량부 및 난황(卵黃) 5~15중량부를 혼합한 후 400~500시간 동안 5~15℃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결과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진쑥 분말 100~130중량부, 울금(蔚金) 분말 180~210중량부, 갈화(葛花) 분말 20~30중량부, 갈근(葛根) 분말 20~30중량부, 헛개열매 분말 20~30중량부 및 난황(卵黃) 20~30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150시간 동안 5~15℃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결과물을 환제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취해소환(宿醉解消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a)은 마늘 분쇄물을 얻는 단계로서, 상기 마늘은 껍질을 제거한 깐마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깐마늘을 깨끗한 물로 2~3회 세척한 후, 이를 40~70℃의 물에 투입하여 100~150시간, 바람직하게는 110~13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시간 동안 가열한다. 가열된 마늘은 상당히 무른 상태가 되며, 이를 회수하여 표면의 물기를 어느 정도 제거한 후 믹서기 등을 통하여 잘게 분쇄한다.
상기 물의 온도가 40℃ 또는 가열 시간이 100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마늘의 특유한 냄새를 제거하기 어려우며, 물의 온도가 70℃ 또는 가열 시간이 15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늘의 형태가 으스러져 이를 물로부터 건져내기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a)로부터 얻은 분쇄된 마늘에 홍삼(紅蔘) 분말과 난황(卵黃)을 첨가하여 저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홍삼(紅蔘) 분말은 시중에서 구입한 홍삼을 믹서기 등으로 분쇄하여 고운 분말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말화된 홍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홍삼 분말은 분쇄된 마늘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중량부를 사용하며, 상기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해소의 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숙취해소의 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지 못하다.
상기 난황(卵黃)은 신선한 계란으로부터 노른자만을 채취하여 사용하며, 분쇄된 마늘 100중량부에 대하여 10~30중량부를 사용한다. 상기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해소의 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숙취해소의 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지 못한다.
분쇄된 마늘, 홍삼 분말, 난황을 상기 함량비에 따라 혼합하고, 이를 5~15℃에서 400~500시간, 바람직하게는 450~480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상기 온도가 5℃ 미만이거나 숙성 시간이 400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숙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온도가 15℃를 초과하거나 숙성 시간이 50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패균 등의 번식 위험이 있어 문제된다.
상기 단계(c)는 분쇄 마늘, 홍삼(紅蔘) 분말 및 난황(卵黃)을 상기 함량비에 따라 혼합한 후 저온에서 장시간 숙성하여 얻어진 결과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진쑥 분말 100~130중량부, 울금(蔚金) 분말 180~210중량부, 갈화(葛花) 분말 20~30중량부, 갈근(葛根) 분말 20~30중량부, 헛개 열매 분말 20~30중량부 및 난황(卵黃) 20~30중량부를 첨가한 후 5~15℃에서 추가적으로 100~150시간, 바람직하게는 110~13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인진쑥 분말은 인진쑥을 건조시킨 후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10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해소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1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향이 지나치게 강하여 문제된다.
상기 울금(蔚金) 분말은 울금을 건조시킨 후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18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해소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2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환제의 색상이 지나치게 황색으로 제조되어 미감에 좋지 않다.
상기 갈화(葛花) 분말은 칡의 꽃을 의미하며, 칡의 꽃봉오리를 건조시킨 후, 이를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해소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이 비하여 숙취해소 효과의 현저한 증가가 없다.
상기 갈근(葛根) 분말은 갈근을 건조시킨 후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해소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이 비하여 숙취해소 효과의 현저한 증가가 없다.
상기 헛개 열매 분말은 헛개 열매를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해소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이 비하여 숙취해소 효과의 현저한 증가가 없다.
상기 난황(卵黃)은 상기 단계 (b)에서도 사용되는 성분으로서 본 단계 (c)에 재사용된다. 상기 난황은 신선한 계란으로부터 노른자만을 채취하여 사용하며, 상기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해소의 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숙취해소의 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지 못한다.
위와 같은 성분들을 그 함량비에 따라 혼합하고, 이를 5~15℃에서 100~150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상기 온도가 5℃ 미만이거나 숙성 시간이 100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숙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온도가 15℃를 초과하거나 숙성 시간이 15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패균 등의 번식 위험이 있어 문제된다.
상기 단계 (d)는 상기 단계 (c)로부터 얻은 분쇄 마늘, 홍삼 분말, 난황을 포함하는 성분에 상기 약제 성분을 추가하여 저온 숙성된 결과물을 환제로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결과물을 통상적인 환제 제조용 제환기에서 직경 5~10mm, 바람직하게는 직경 6mm 정도로 절단시키며, 이를 굴림통에서 환제로 성형하며, 60~70℃의 건조기에 투입하여 건조시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단계 (c)에서는 상기 약재 이외에 추가적으로 질경이 분말 10~30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질경이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한약재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질경이를 상기 성분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숙취해소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질경이는 분말화하여 사용하며, 건조된 질경이를 믹서기 등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질경이 분말은 10~30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해소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증가된 사용량 대비 숙취해소의 효과 증가가 크지 않다.
본 발명의 단계 (c)에서는 상기 약재 이외에 추가적으로 아보카도(avocado) 분말 10~20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아보카도는 서양배라고도 알려진 과일로서 최근에 항균 성분이 함유되어 이를 항균용 제제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아보카도를 상기 성분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숙취해소에도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아보카도는 열매를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아보카도를 건조시켜 이를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보카도 열매는 10~20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숙취해소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함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증가된 사용량 대비 숙취해소의 효과 증가가 크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기 방법들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환(宿醉解消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환은 기존의 숙취해소용 기능성 식품에 비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휴대 및 복용이 간편하여 음주 전후에 물 등의 액상 음료와 함께 손쉽게 섭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깐마늘 500g을 50℃의 물 1L에 투입한 후, 1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이 완료되면 물에서 마늘을 건져내고, 물기를 제거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잘게 분쇄하였다. 분쇄된 마늘 200g에 홍삼 분말 40g과 난황 20g을 첨가한 후 골고루 혼합하고, 10℃에서 450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숙성된 결과물 200g에 인진쑥 분말 200g, 울금 분말 400g, 갈화 분말 40g, 갈근 분말 40g, 헛개 열매 분말 40g, 난황 40g을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한 후 10℃에서 120시간 동안 2차 숙성시켰다. 2차 숙성된 결과물을 재반죽하여 제환기에 투입하고 직경 6mm로 절단한 후 굴림통에 투입하여 환제로 성형하고 70℃에서 건조시켜 숙취해소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깐마늘 500g을 50℃의 물 1L에 투입한 후, 1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이 완료되면 물에서 마늘을 건져내고, 물기를 제거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잘게 분쇄하였다. 분쇄된 마늘 200g에 홍삼 분말 40g과 난황 20g을 첨가한 후 골고루 혼합하고, 10℃에서 450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숙성된 결과물 200g에 인진쑥 분말 200g, 울금 분말 400g, 갈화 분말 40g, 갈근 분말 40g, 헛개 열매 분말 40g, 난황 40g, 질경이 분말 40g을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한 후 10℃에서 120시간 동안 2차 숙성시켰다. 2차 숙성된 결과물을 재반죽하여 제환기에 투입하고 직경 6mm로 절단한 후 굴림통에 투입하여 환제로 성형하고 70℃에서 건조시켜 숙취해소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깐마늘 500g을 50℃의 물 1L에 투입한 후, 120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이 완료되면 물에서 마늘을 건져내고, 물기를 제거한 후 믹서기에 투입하여 잘게 분쇄하였다. 분쇄된 마늘 200g에 홍삼 분말 40g과 난황 20g을 첨가한 후 골고루 혼합하고, 10℃에서 450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숙성된 결과물 200g에 인진쑥 분말 200g, 울금 분말 400g, 갈화 분말 40g, 갈근 분말 40g, 헛개 열매 분말 40g, 난황 40g, 아보카도 분말 40g을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한 후 10℃에서 120시간 동안 2차 숙성시켰다. 2차 숙성된 결과물을 재반죽하여 제환기에 투입하고 직경 6mm로 절단한 후 굴림통에 투입하여 환제로 성형하고 70℃에서 건조시켜 숙취해소환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으로부터 제조된 숙취해소환을 증류수에 10배로 현탁시키고, 이의 ADH(alcohol dehydrogenase) 및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 촉진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물을 사용한 경우와 시판되는 숙취해소음료(C사)를 10배의 증류수로 희석하여 사용한 경우를 함께 비교하였다(표 1).
ADH 활성 측정은 흡광도 340nm에서 NADH의 생성속도를 지표로 하는 Blandino의 방법(Blandino, A. et al., Biotech. Letts., 19(7), 65118, 1997)을 변형한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시험 가이드(Ⅰ)(식품의약품 안전청, 2004년 3월)에 수록된 방법을 근간으로 효소원을 효모 ADH로 변경하여 실험하였다.
ALDH 활성 측정은 흡광도 340nm에서 NADH의 생성속도를 지표로 하는 Bostian의 방법(Bostian. et al., Biochem. J., 173, 787, 1978)을 변형한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시험 가이드(Ⅰ)(식품의약품 안전청, 2004년 3월)에 수록된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료 ADH 활성 ALDH 활성
흡광도
(340nm)
ADH
활성 증가율(%)
흡광도
(340nm)
ALDH
활성 증가율(%)
0.0183 - 0.0182 -
시판 음료 0.0200 9.29 0.0233 28.02
실시예 1 0.0210 14.75 0.0240 31.87
실시예 2 0.0216 18.03 0.0246 35.16
실시예 3 0.0219 19.67 0.0250 37.36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시판되는 숙취해소 음료에 비하여, ADH 활성 및 ALDH 활성이 모두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실시예 1의 각 성분에 질경이 분말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2 또는 아보카도 분말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3은 이를 추가적으로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1보다 우수한 ADH 및 ALDH 활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4)

  1.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환(宿醉解消丸)의 제조 방법:
    (a) 마늘을 세척하여 40~70℃의 물에 투입하고 100~150시간 동안 가열한 후, 가열된 마늘을 물로부터 분리하여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홍삼(紅蔘) 분말 10~30중량부 및 난황(卵黃) 5~15중량부를 혼합한 후 400~500시간 동안 5~15℃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결과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진쑥 분말 100~130중량부, 울금(蔚金) 분말 180~210중량부, 갈화(葛花) 분말 20~30중량부, 갈근(葛根) 분말 20~30중량부, 헛개열매 분말 20~30중량부 및 난황(卵黃) 20~30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150시간 동안 5~15℃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결과물을 환제로 제조하는 단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는 질경이 분말 10~30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는 아보카도 분말 10~20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환(宿醉解消丸).
KR1020120135004A 2012-11-27 2012-11-27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 KR101447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004A KR101447231B1 (ko) 2012-11-27 2012-11-27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004A KR101447231B1 (ko) 2012-11-27 2012-11-27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579A KR20140067579A (ko) 2014-06-05
KR101447231B1 true KR101447231B1 (ko) 2014-10-08

Family

ID=5112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004A KR101447231B1 (ko) 2012-11-27 2012-11-27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2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268A1 (ko) * 2015-06-03 2016-12-08 주식회사 한생바이오 땅콩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63202B1 (ko) 2019-10-29 2020-10-08 김득수 숙취해소용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용 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458B1 (ko) * 2014-07-11 2016-09-28 박길남 양파난황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양파난황환
KR101660461B1 (ko) * 2014-07-11 2016-09-28 박길남 황칠난황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황칠난황환
KR101978461B1 (ko) * 2017-10-11 2019-08-28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06551B1 (ko) * 2017-12-26 2019-08-01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7734A1 (ja) 2004-05-06 2005-11-17 Taiyokagaku Co., Ltd. アルコール代謝促進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含有する飲食物
KR20100005868A (ko) * 2008-07-08 2010-01-18 송완식 양파 음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7734A1 (ja) 2004-05-06 2005-11-17 Taiyokagaku Co., Ltd. アルコール代謝促進組成物、及びこの組成物を含有する飲食物
KR20100005868A (ko) * 2008-07-08 2010-01-18 송완식 양파 음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268A1 (ko) * 2015-06-03 2016-12-08 주식회사 한생바이오 땅콩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63202B1 (ko) 2019-10-29 2020-10-08 김득수 숙취해소용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용 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579A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4821B2 (en) Composition for reducing cancer cachexia or weight loss caused by anticancer drug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omprising ginseng extract having increased ginsenoside Rg3 and Rh2
KR101447231B1 (ko) 숙취해소환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환
KR101183605B1 (ko) 오이식초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JP5512590B2 (ja) 二日酔い解消及び予防用組成物とこれを利用した飲酒前後二日酔い解消用飲み物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7693A (ko) 폐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KR102107387B1 (ko)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1301094B1 (ko) 숙취해소 또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80013397A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101659345B1 (ko) 애완동물용 다이어트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44807A (ko) 클로렐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045279B1 (ko)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JP4838301B2 (ja) 宿酔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476092B1 (ko)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65106B1 (ko) 황칠 추출물이 함유된 변비 질환 개선용 환제 또는 과립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91647B1 (ko) 항비만 조성물
KR101935861B1 (ko)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Moslemi et al. Detoxification activity of bioactive food compounds against ethanol‐induced injuries and hangover symptoms: A review
CN112656887B (zh) 一种具有抗炎抗氧化的中药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607663B1 (ko) 줄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및 간 기능 장애의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89923B1 (ko) 천연 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Mahmod et al. Effect of Caper Root Extract on Rats Suffering from Fatty Liver
CN117357599A (zh) 一种口腔喷雾及其制备方法
Al-Harbi et al. Therapeutic Role of Green Tea on Human Body Function, Some Diseases and Weight loss: A Review.
CN115581720A (zh) 解酒护肝降尿酸的组合物及产品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