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633A -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633A
KR20210065633A KR1020190154616A KR20190154616A KR20210065633A KR 20210065633 A KR20210065633 A KR 20210065633A KR 1020190154616 A KR1020190154616 A KR 1020190154616A KR 20190154616 A KR20190154616 A KR 20190154616A KR 20210065633 A KR20210065633 A KR 20210065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iver
broiler
composition
mix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729B1 (ko
Inventor
김선건
소재현
강혜령
김효정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약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to KR1020190154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7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고,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높여 주며, 간조직을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혈장 GOT, GPT, ALP, ALB, 총 단백질, 크레아틴 활성을 개선하며, 지질 축적과 염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liver injury and liver disease comprising flower of Rosa rugosa Thunberg and Cinnamomum cassia PRESL}
본 발명은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이용한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간의 신체장기 중 생체 내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장기이다. 간은 소화계통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탄수화물 대사, 아미노산 및 단백질 대사, 지방 대사, 담즙산 및 빌리루빈 대사, 비타민 및 무기질 대사, 호르몬 대사, 해독 작용 및 살균 작용 등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일에 관여한다.
간은 인체 내 소화기계와 전신순환계 사이에 위치하면서 외부에서 들어온 생체 외 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생체 내로 들어온 생체 외 물질은 일단 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간은 영양소 이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다른 장기보다 많아 그만큼 손상될 확률도 매우 높다. 그러나 간은 재생능력이 우수한 장기로 약간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충분히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손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간 조직의 일부가 완전히 파괴되고 간 기능도 저하되는 등 정상 간으로의 회복이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간 손상이 만성화되면 그 원인에 상관없이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간암으로 진행된다.
한편, 간 손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스트레스성 만성피로, 지방성분이 포함된 음식 또는 알콜의 과다섭취, 바이러스의 감염, 각종 약품과 같은 유해물질, 영양부족 등 다양하다.
이러한 간손상에 대한 치료효과가 우수하며, 대량 또는 장기간 투여시에도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을 이용한 새로운 간질환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매괴화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의 다년생인 해당화(Rosa rugosa Thunberg)는 막 피어난 꽃봉오리만 약재로 삼아 매괴화라 불리며, 열매, 잎, 꽃잎이 식용 가능하다. 해당화의 신선한 꽃에는 시트로넬롤(citronellol), 유제놀(eugenol), 네롤(renol), 퀘르세틴(quercetin), 탄닌(tannin), 베타카로틴(β-carotene), 시아닌(cyanin)이 함유되어 있으며, 열매에는 비타민 C(vitanin C), 사과산(malic acid), 퀴닌산(quinin acid) 등 다량의 당류와 비휘발산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 649-650, 1998).
매괴화는 짙은 향기가 있고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 매괴화는 간장과 비장에 작용하여 울체된 것을 풀어주며 흉복부가 그득하고 아픈 증상을 치료하며 기혈을 통하게 하여 생리, 생리 전 유방통, 타박상의 어혈 등에 사용되고, 담즙분비를 촉진하는 작용이 보고되었다.
육계는 녹나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육계(Cinnamomum cassia PRESL = C. loureirii NEES)은 육계나무 및 계피나무의 건피 또는 수피이며, 약재로 사용되는 수피에는 카사오일(cassa oil), 신남산(cinnamic acid), 신남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등 다량의 정유 성분 및 탄닌(tannin)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약용식물편, 영림사, pp 453-455, 1998).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3027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4678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6867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3986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7028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98411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90211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63905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8822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87099호
본 발명은 천연약재인 매괴화와 육계를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사용하여 간손상과 간질환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매괴화와 육계는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은,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물을 8~12배(v/w)의 70% 에탄올에 넣어 55~65℃에서 20~28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 침지 후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고 알코올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만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간조직에서 간세포 사이의 염증과 간세포 괴사와 비대 및 소포성 지방변성을 감소시키며, 만성 알코올섭취에 따른 간기능 지표인 혈장 GOT, GPT, ALP, ALB, 총 단백질, 크레아틴 활성에서도 우수한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비알코올성 지질 축적과 비알코올성 염증에 효과가 있으며,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만성 비알코올성 간손상 모델에서 간조직과 부고환조직을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간손상과 간질환의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비율 및 추출용매에 따라 추출물이 혈중 알코올 농도와 ALDH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2는 만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이 간조직과 간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이 비알코올성 지질축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이 비알코올성 염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이 고지방식이 섭취에 따른 간질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매괴화와 육계는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추출시 추출용매로는 70%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추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은,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물을 8~12배(v/w)의 70% 에탄올에 넣어 55~65℃에서 20~28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침지 후 추출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건조시켜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침지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는 2~3회 반복할 수 있으며, 반복하는 경우 얻어진 추출액은 함께 모아 이후 여과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손상 및 간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간손상 및 간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건강식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주)휴먼허브(http://www.humanherb.co.kr/)에서 구입한 육계와 가나안약초(https://www.canaanherb.com)에서 구입한 매괴화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g을 70% 에탄올 1,000㎖에 60℃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침지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고, 다시 70% 에탄올 1,000㎖를 가하여 2회 더 추출하여 추출액을 모았다.
모은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과한 여과물을 감압 회전농축기(Vaccum rotary evaporator; 일본 Nihon Seiko사, VR-205c)로 용매를 증발시키는 감압 농축 및 건조과정을 통하여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매괴화와 육계를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g을 원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매괴화와 육계를 2: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100g을 원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매괴화 100g을 원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육계 100g을 원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추출용매로 열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의 효과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 래트(rat) 7주령 수컷을 사용하였다.
실험시료로는 매괴화와 육계의 1:1 혼합추출물(실시예 1), 매괴화와 육계의 1:2 혼합추출물(실시예 2), 매괴화와 육계의 2:1 혼합추출물(실시예 3), 매괴화 단독 추출물(비교예 1) 및 육계 단독 추출물(비교예 2)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사용하였으며, 200mg/kg 농도로 0.5㎖씩 경구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PC)에는 생리식염수를 동량 경구투여하였다.
실험시료를 투여하고 30분 후 체중 kg당 4g의 50% 에탄올을 경구투여하여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을 유도하여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in vivo)을 얻었다.
상기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에탄올을 경구투여하고 45분 후, 3시간 후 및 8시간 후에 복부대정맥에서 채혈하였다.
혈액은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원심분리(3,000rpm, 10분)하여 혈청만 채취하여 에탄올 키트(ethanol assay kit)를 사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ethanol in serum)를 분석하고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키트(acetaldehyde assay kit)를 이용하여 ALDH(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와 같이,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에탄올 투여군은 높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내었고, 매괴화와 육계의 1:1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매괴화 단독 추출물과 육계 단독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 비해 혈중 알코올 농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LDH 활성도 매괴화와 육계의 1:1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추출용매에 따른 효과
실험시료로 매괴화와 육계의 70% 에탄올 추출물(실시예 1)과 매괴화와 육계의 열수추출물(비교예 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나타낸 도 1에서와 같이,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혈중 알코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에서 모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만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의 효과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 래트 7주령 수컷을 사용하였다.
실험시료로는 매괴화와 육계의 1:1 혼합추출물(실시예 1), 매괴화 단독 추출물(비교예 1) 및 육계 단독 추출물(비교예 2)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사용하였으며, 200mg/kg 농도로 0.5㎖씩 경구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PC)에는 생리식염수를 동량 경구투여하였다.
실험시료를 투여하고 30분 후 체중 kg당 4g의 30% 에탄올을 8주 동안 경구투여하여 만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을 유도하여 만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in vivo)을 얻었다. 양성대조군(PC)에는 생리식염수를 동일한 방법으로 공급하였다. 동물 실험실의 사육조건은 온도 23±2℃, 습도 55±5%를 유지하고 물과 식이는 자유공급하였다.
실험동물을 해부하기 전 24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럼푼과 졸레틸을 1:2의 비율로 혼합한 마취제로 마취한 후 개복하여 복부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간 조직은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조직의 구조학적 형태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와 같이, 만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in vivo )에서 적출한 간 조직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에탄올 투여군에서 중심정맥(central vein) 주위의 염증, 간세포 괴사와 비대 및 소포성 지방변성이 나타나 있었지만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에서는 에탄올 투여군에 비해 간세포 사이의 염증과 간세포 괴사와 비대 및 소포성 지방변성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각 추출물의 간보호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알코올 투여 후 시간대별로 채취한 혈청을 생화학 측정기 BS-220(Mindray, New York, NY, USA)을 사용하여 간기능 지표성분을 측정하였다. 간기능 지표성분으로는 혈장의 생화학적 지표인 GOP(aspartic acid transaminase, AST), GPT(alanine transaminase, ALT) 및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측정하고, 알코올에 의한 영양 손실의 평가를 위한 총 단백질(total-protein), ALB(albumin)와 신장 기능상태를 확인하는 크레아틴(creatinine)을 측정하였다. 알코올 투여 후 시간대별로 채취한 혈청은 생화학 측정기 BS-220 (Mindray, New York, NY, USA)로 상기 생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와 같이, 만성 알코올섭취에 따른 간기능 지표인 혈장 GOT, GPT, ALP, ALB, 총 단백질, 크레아틴 활성을 분석한 결과, 에탄올 투여군은 정상군에 비해 GOT, GPT, ALP가 약 58%, 61%, 47% 증가하였다. 그러나,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혈장 GOT, GPT, ALP, ALB, 총 단백질, 크레아틴 활성 모두 에탄올 투여군에 비해 우수한 간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비알코올성 지질 축적에 대한 효과
비알코올성 지질 축적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HepG2 세포에서의 중성지방 생성량을 세포질 내 지방(intracytoplasmic lipids) 측정에 적합한 Oil Red O 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시료로 매괴화와 육계의 1:1 혼합추출물(실시예 1), 매괴화 단독 추출물(비교예 1) 및 육계 단독 추출물(비교예 2)을 각각 0, 12.5㎍/㎖, 25㎍/㎖, 50㎍/㎖, 100㎍/㎖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6-웰 플레이트에서 1.5×105 cell/well의 HepG-2 세포를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안정화된 HepG2 세포에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1시간 후 200μM 팔미트산으로 36시간 동안 지방증을 유도하였다. 36시간이 지난 후 PBS로 2회 세척하고 10% 포르말린으로 30분 동안 고정하였으며, 40% 이소프로판올과 증류수로 세척하는 과정까지 거친 뒤 플레이트를 완전히 건조시켜 이소프로판올에 용해시킨 Oil Red O 염색약을 처리하였다. 1시간 동안 진탕기에서 염색한 다음 증류수를 이용하여 수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역상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에서와 같이, 팔미트산을 이용하여 중성지방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이 매괴화 단독 추출물과 육계 단독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 비해 중성지방의 축적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100㎍/㎖ 농도에서 지방 축적이 약 66%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비알코올성 염증에 대한 효과
본 발명의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이 비알코올성 염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시료로 매괴화와 육계의 1:1 혼합추출물(실시예 1), 매괴화 단독 추출물(비교예 1) 및 육계 단독 추출물(비교예 2)을 각각 0, 12.5㎍/㎖, 25㎍/㎖, 50㎍/㎖, 100㎍/㎖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1) 세포생존율(MTS assay)
HepG-2 세포의 생존율을 미토콘드리아 디하이드로게나제(Mitochondrial Dehydrogenases)에 의하여 MTS가 포르마잔(Formazan)으로 전환되는 것을 측정하는 MTS 분석법(MTS Assay)으로 확인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1.5×105 cell/well의 HepG-2 세포를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안정화된 HepG-2 세포에 각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0㎕의 MTS 용액을 첨가하여 CO2 배양기(37℃, 5% CO2)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2) 아질산염(Nitrite) 생성량(NO assay)
아질산염 생성량은 Green 등의 방법에 따라 확인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1.5×105 cell/well의 HepG-2 세포를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안정화된 HepG-2 세포에 각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1시간 후 LPS(lipopolysaccharide, 100ng/㎖)를 처리하여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층액을 수거하여 상층액과 동량의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켜 산화생성물인 NO 생성 정도를 570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3) iNOS / COX-2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1.5×105 cell/well의 HepG-2 세포를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안정화된 HepG-2 세포에 각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1시간 후 LPS(lipopolysaccharide, 100ng/㎖)를 처리하여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웨스턴블롯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으로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4) NF-κB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1.5×105 cell/well의 HepG-2 세포를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안정화된 HepG-2 세포에 각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1시간 후 IL-1β(10ng/㎖)로 30분 동안 자극한 후 핵단백질을 분리하여 웨스턴블롯 분석법(Western blot analysis)으로 NF-κB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5) 결과
상기와 같이 비알코올성 염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와 같이, LPS 자극에 의하여 증가된 NO의 분비량은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전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염증생성에 관여하는 신호전달인자인 iNOS와 COX-2 및 NF-κB의 발현에 미치는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 LPS 자극에 의하여 증가된 유전자의 발현이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의 전처리에 의하여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예 6>
고지방식이 투여에 의한 만성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간 및 지방조직의 병리학적인 형태변화에 미치는 효과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 래트 7주령 수컷을 사용하였다.
실험시료로는 매괴화와 육계의 1:1 혼합추출물(실시예 1)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사용하였으며, 200mg/kg 농도로 0.5㎖씩 경구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PC)에는 생리식염수를 동량 경구투여하였다.
정상군인 양성 대조군(PC)에는 정상 사료를 공급하고, 실험군인 고지방식이 유도군에는 고지방식 사료를 공급하였다. 동물 실험실의 사육조건은 온도 23±2℃, 습도 55±5%를 유지하고 물과 식이는 자유공급하였다. 매주 1회씩 고지방식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을 해부하기 전 24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럼푼과 졸레틸을 1:2의 비율로 혼합한 마취제로 마취한 후 개복하여 복부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또한 간 및 부고환 지방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적출된 간 및 부고환 지방조직은 10% 포르말린에 고정하여 자동조직처리기(automatic tissue processor)에서 탈수, 청명, 파라핀 침투 과정을 거쳐 파라핀 포매 후 4㎛의 조직절편을 자르고 탈파라핀, 함수과정을 거쳐 헤마톡실린-에오신(Harry's hematoxylin-eosin) 염색을 통해 간 및 부고환 지방조직의 구조학적인 손상도 및 형태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만성(6주) 비알코올성 간손상 모델에서 적출한 간 및 부고환 지방의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간세포의 괴사 및 비대가 발생하였고 간조직에 전체적으로 지방세포가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었으나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간세포의 손상 및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부고환조직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지방세포의 크기와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Claims (4)

  1.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매괴화와 육계는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추출물은,
    매괴화와 육계의 혼합물을 8~12배(v/w)의 70% 에탄올에 넣어 55~65℃에서 20~28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
    침지 후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90154616A 2019-11-27 2019-11-27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6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16A KR102266729B1 (ko) 2019-11-27 2019-11-27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16A KR102266729B1 (ko) 2019-11-27 2019-11-27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633A true KR20210065633A (ko) 2021-06-04
KR102266729B1 KR102266729B1 (ko) 2021-06-17

Family

ID=7639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616A KR102266729B1 (ko) 2019-11-27 2019-11-27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7542A (zh) * 2022-11-22 2023-04-04 中南民族大学 玫瑰花乙醇提取物在制备抗肝纤维化药物或保健食品中的用途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099A (ko) 2003-04-04 2004-10-13 박재상 한방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 건강식 조성물
KR100968674B1 (ko) 2008-02-04 2010-07-06 강홍구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KR101046787B1 (ko) 2009-02-18 2011-07-05 황동철 숙취해소용 음료수 조성물
KR101490211B1 (ko) 2013-11-15 2015-02-06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3905A (ko) 2013-11-25 2015-06-10 전라남도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539864B1 (ko) 2013-01-30 2015-07-28 이항종 숙취해소 음료
KR20150105616A (ko) * 2014-03-07 2015-09-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5149A (ko) * 2015-01-07 2016-07-1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매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3405A (ko) * 2017-02-20 2017-03-0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매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31663A (ko) * 2018-03-20 2018-03-2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매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0280B1 (ko) 2016-06-29 2018-06-22 고려인삼제조 주식회사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930277B1 (ko) 2017-07-14 2018-12-18 코스맥스 주식회사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43813B1 (ko) * 2018-12-26 2019-11-12 이창원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099A (ko) 2003-04-04 2004-10-13 박재상 한방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 건강식 조성물
KR100968674B1 (ko) 2008-02-04 2010-07-06 강홍구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KR101046787B1 (ko) 2009-02-18 2011-07-05 황동철 숙취해소용 음료수 조성물
KR101539864B1 (ko) 2013-01-30 2015-07-28 이항종 숙취해소 음료
KR101490211B1 (ko) 2013-11-15 2015-02-06 농업회사법인황칠다담주식회사 숙취해소 및 소화촉진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8223A (ko) 2013-11-25 2015-07-31 전라남도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50063905A (ko) 2013-11-25 2015-06-10 전라남도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50105616A (ko) * 2014-03-07 2015-09-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5149A (ko) * 2015-01-07 2016-07-1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매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0280B1 (ko) 2016-06-29 2018-06-22 고려인삼제조 주식회사 육계 및 육계나무의 엽병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70023405A (ko) * 2017-02-20 2017-03-0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매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0277B1 (ko) 2017-07-14 2018-12-18 코스맥스 주식회사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80031663A (ko) * 2018-03-20 2018-03-2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매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98411B1 (ko) 2018-03-20 2018-09-1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매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3813B1 (ko) * 2018-12-26 2019-11-12 이창원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rotective Effects of Cinnamomum cassia Blume in the Fibrogenesis of Activated HSC-T6 Cells and Dimethylnitrosamine-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SD Rats,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74(3), pp.477-483(2014.05.22.) 1부.* *
대한한방내과 학회지 제34권 4호(2013.12) 375-38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87542A (zh) * 2022-11-22 2023-04-04 中南民族大学 玫瑰花乙醇提取物在制备抗肝纤维化药物或保健食品中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729B1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ha et al. Acute and subacute toxicity of methanol extract of Syzygium guineense leaves on the histology of the liver and kidney and biochemical compositions of blood in rats
Jung et al.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herb extracts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Ebong et al. Hypoglycemic, hepatoprotective and nephro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ic leaf extract of Heinsia crinita (Rubiaceae) in alloxan-induced diabetic albino Wistar rats
KR20110087965A (ko) 생맥산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 및 그 제조방법
Buddhakala et al. Toxicity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Sphagneticola trilobata (L.) Pruski flower in rats
Emelike et al. Acute and sub-acute toxicity studies on Combretum dolichopetalum Engl. & Diels leaves.
KR102266729B1 (ko)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1597A (ko) 우엉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Nnamonu et al. Effects of Hibiscus Sabdariffa calyces aqueous extract on serum cholesterol, body weight and liver biomarkers of Rattus Novergicus
KR101887764B1 (ko) 항비만성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arau et al. Efficacy and safety assessment of Launaea cornuta extracts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KR102309913B1 (ko) 영실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Tulsawani et al. Supplementation of fruit extract of Hippophae rhamnoides speeds adaptation to simulated high altitude stressors in rats
Ezeagu et al. Antidiabetic potential of ethanol leaf extract of Bryophyllum pinnatum o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and their haematological profiles
Epoh et al. Evaluation of acute and sub-acute toxicity of the aqueous extract from the fruit of Solanum indicum Linn.(Solanaceae) in Rats
KR102402228B1 (ko) 대복피와 방풍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Ojieh Evaluation of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Nephrolepis unduranta leaves extract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Wistar Rats.
Dasofunjo et al. Effect ofthe ethanolic extract of Piliostigma thonningii leaves on kidney function indices and haematological parameters of male albino wistar rats
RU266596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редства, обладающего желчегонной,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ой и антиоксидант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KR20100001635A (ko) 항당뇨 기능성 가시파래추출물,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기능성식이식품 및 가시파래의 사용방법
KR102136484B1 (ko)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Onyegeme-Okerenta et 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aqueous leaf extract of Senna alata (l) roxb on palm oil-induced hyper-lipidaemic plasma lipid in wister rats
KR100655593B1 (ko) 간장 보호 및 혈중 알코올 분해에 유효한 조성물
KR20190118270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보호용 조성물
KR101249559B1 (ko) 황금 및 오리나무가 함유된 농축 분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