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913B1 - 영실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영실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913B1
KR102309913B1 KR1020190154627A KR20190154627A KR102309913B1 KR 102309913 B1 KR102309913 B1 KR 102309913B1 KR 1020190154627 A KR1020190154627 A KR 1020190154627A KR 20190154627 A KR20190154627 A KR 20190154627A KR 102309913 B1 KR102309913 B1 KR 102309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root
alcoholic liver
l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638A (ko
Inventor
김선건
소재현
강혜령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약진흥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약진흥원
Priority to KR1020190154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9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실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영실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산화효과가 우수하고,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고 알코올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높여 주며, 알코올 투여로 인한 지질과산화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실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hangover cure and alcoholic liver injury comprising root extract of Rosa multiflora THUNB}
본 발명은 영실근(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간의 신체장기 중 생체 내 대사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장기이다. 간은 소화계통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탄수화물 대사, 아미노산 및 단백질 대사, 지방 대사, 담즙산 및 빌리루빈 대사, 비타민 및 무기질 대사, 호르몬 대사, 해독 작용 및 살균 작용 등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일에 관여한다.
간은 인체 내 소화기계와 전신순환계 사이에 위치하면서 외부에서 들어온 생체 외 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생체 내로 들어온 생체 외 물질은 일단 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간은 영양소 이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다른 장기보다 많아 그만큼 손상될 확률도 매우 높다. 그러나 간은 재생능력이 우수한 장기로 약간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충분히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손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간 조직의 일부가 완전히 파괴되고 간 기능도 저하되는 등 정상 간으로의 회복이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간 손상이 만성화되면 그 원인에 상관없이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간암으로 진행된다.
한편, 간 손상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스트레스성 만성피로, 지방성분이 포함된 음식 또는 알콜의 과다섭취, 바이러스의 감염, 각종 약품과 같은 유해물질, 영양부족 등 다양하다.
이러한 간손상에 대한 치료효과가 우수하며, 대량 또는 장기간 투여 시에도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을 이용한 새로운 간질환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영실근은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인 찔레나무(Rosa multiflora THUNB)의 뿌리로서 장미근이라고도 불린다. 찔레나무의 꽃에는 아스트라갈닌(astragalin)이 함유되어 있고, 뿌리에는 토르멘트산(tormentic acid), 비타민 C(vitamin C)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열매에는 물티플로린(multiflorin), 루틴(rutin), 라이코펜(licopene), 지방유 등의 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 648-649, 1998). 영실근은 당뇨병, 관절염, 여성질환 등에 효과가 있으며, 각종 통증을 완화시켜주는 천연 진통제 역할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3147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5618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1596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52232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23962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90571호
본 발명은 천연약재인 영실근 추출물을 사용하여 숙취해소와 알코올성 간손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실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영실근 추출물은,
영실근을 8~12배(v/w)의 70% 에탄올에 넣어 55~65℃에서 20~28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 침지 후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영실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산화효과가 우수하고,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고 알코올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높여 주며, 알코올 투여로 인한 지질과산화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부위별(뿌리, 열매, 잎) 추출물이 혈중 알코올 농도와 ALDH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2는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추출용매에 따른 추출물이 혈중 알코올 농도와 ALDH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3은 영실근 추출물의 항산화효능을 영실자 추출물 및 영실엽 추출물과 비교한 결과이다.
도 4는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영실근 추출물이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효과를 영실자 추출물 및 영실엽 추출물과 비교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영실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출시 추출용매로는 70%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추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영실근 추출물은, 영실근을 8~12배(v/w)의 70% 에탄올에 넣어 55~65℃에서 20~28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침지 후 추출액을 수득하고,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건조시켜 제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침지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는 2~3회 반복할 수 있으며, 반복하는 경우 얻어진 추출액은 함께 모아 이후 여과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효과가 우수하므로,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건강식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우당(http://www.herbseoul.com/)에서 구입한 영실근(100g)을 70% 에탄올 1,000㎖에 60℃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침지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고, 다시 70% 에탄올 1,000㎖를 가하여 2회 더 추출하여 추출액을 모았다.
모은 추출액을 여과하고, 여과한 여과물을 감압 회전농축기(Vaccum rotary evaporator; 일본 Nihon Seiko사, VR-205c)로 용매를 증발시키는 감압 농축 및 건조과정을 통하여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영실자(찔레나무 열매)을 원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영실엽(찔레나무 잎)을 원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추출용매로 열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부위별(뿌리, 열매, 잎) 효과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 래트(rat) 7주령 수컷을 사용하였다.
실험시료로는 영실근 추출물(실시예 1), 영실자 추출물(비교예 1) 및 영실엽 추출물(비교예 2)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사용하였으며, 200mg/kg 농도로 0.5㎖씩 경구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PC)에는 생리식염수를 동량 경구투여하였다.
실험시료를 투여하고 30분 후 체중 kg당 4g의 50% 에탄올을 경구투여하여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을 유도하여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in vivo)을 얻었다.
상기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에탄올을 경구투여하고 45분 후, 3시간 후 및 8시간 후에 복부대정맥에서 채혈하였다.
혈액은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원심분리(3,000rpm, 10분)하여 혈청만 채취하여 에탄올 키트(ethanol assay kit)를 사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ethanol in serum)를 분석하고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키트(acetaldehyde assay kit)를 이용하여 ALDH(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와 같이,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에탄올 투여군은 높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내었고, 소재부위별 효능을 비교하였을 때 영실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이 영실자 추출물과 영실엽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 비해 혈중 알코올 농도가 각각 63%, 69%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LDH 활성도 영실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추출용매에 따른 효과
실험시료로 영실근의 70% 에탄올 추출물(실시예 1)과 영실근의 열수추출물(비교예 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그 결과를 나타낸 도 2에서와 같이, 알코올 투여 후 8시간이 경과된 혈청에서 7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혈중 알코올 농도가 약 64.4% 감소하였고 ALDH 활성은 약 48%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항산화효능
본 발명의 영실근의 항산화효능을 다음과 같이 DPPH 분석법, ABTS 라디칼 분석법, FRAP 분석법 및 총페놀 함량으로 확인하였다.
시료로는 실시예 1의 영실근 추출물, 비교예 1의 영실자 추출물 및 비교예 2의 영실엽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대조를 위하여 비타민 C(Vit C)를 사용하였다.
(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DPPH assay)
Blois MS(1958)의 방법에 따라 DPPH에 대한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각 시료 160㎕에 0.2mM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80㎕를 넣어 교반하였다. 교반 후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ABTS 라디칼 소거 활성(ABTS assay)
7mM ABTS 용액과 2.45mM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 최종농도)을 혼합하고 상온에서 빛을 차단한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켜 라디칼을 생성시켰다. 라디칼을 생성시킨 후 415nm에서의 흡광도가 0.7±0.02가 되도록 에탄올(100%)로 희석하였다. 250㎕ ABTS 용액과 28㎕ 시료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41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Trolox를 사용하였다. 측정한 흡광도를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Figure 112019122486546-pat00001
(3) FRAP 분석(FRAP assay)
산화반응에 의해 TPTZ(Ferric 2,4,6-tripyridyl-s-triazine) 시약에서 2가의 철이 3가로 산화되면서 착색된 생성물로 전환되는 원리를 이용한 분석법이다.
황산제일철(Ferrous sulphate)을 사용하여 1mM 용액 (0.278g FeSO4·7H2O/L)을 제조하여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였고, FRAP 용액은 300mM 아세테이트 버퍼(pH3.6) 200㎖, 10mM TPTZ 용액 20㎖, 20mM FeCl3용액 20㎖, 멸균수 24㎖를 혼합하여 제조한 후 37℃로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멸균수 170㎕, 표준용액 또는 시료용액 7㎕와 30㎕ FRAP 용액을 혼합한 다음 4분 후 593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RAP 수준은 흡광도 값의 표준용액에 대한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산출하였다.
(4) 총페놀함량
총 페놀 함량은 폴린-시아칼토 분석법(Folin-Ciocalteu assay)으로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알칼리용액(5~10%의 soluble sodium carbonate)에서 텅스텐산염(tungstate)과 몰리브덴산염(molybdate)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페놀화합물이 산화되어 O2 -를 형성하고 몰리브덴산염과 반응하여 산화몰리브덴(molybdenum oxide)(MoO4+)을 형성하는데 이렇게 형성된 물질을 750nm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값은 GAE(gallic acid equivalents)로 나타내었다.
(5) 결과
항산화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에서와 같이, 항산화와 관련된 주요인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FRAP 값 및 총페놀함량 모두 영실근 추출물이 영실자 추출물과 영실엽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급성 알코올 투여에 의한 간손상 유도 모델에서 지질과산화에 대한 효과
실험시료로 영실근 추출물(실시예 1), 영실자 추출물(비교예 1), 영실엽 추출물(비교예 2)을 각각 10㎍/㎖, 50㎍/㎖, 100㎍/㎖, 200㎍/㎖의 농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고, 실험에 사용된 래트 조직내 지질과산화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간 조직을 관류(perfusion)한 후 간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간조직무게의 10%에 해당하는 차가운 PBS(ice cold PBS)를 넣고, 소니케이터(sonicator)를 이용하여 조직을 현탁시켰다.
현탁액은 10,000×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였다. 상등액 50㎕와 0.15M KCl 500㎕를 잘 혼합한 후 20mM FeCl3 100㎕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은 37℃에서 30분간 배양(incubation)하고, 반응종료액(0.25N ice-cold HCl + 15%TCA+0.38% TBA+0.05% BHT)을 1㎖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90℃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한 후, 10,000×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를 실시하였다. 원심분리후 얻어진 분홍색 시료물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3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질과산화값은 FeCl3와 비교한 백분율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와 같이, 지질과산화값은 영실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이 200㎍/㎖ 농도에서 영실자 추출물과 영실엽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에 비해 약 12.9%, 14.7%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3)

  1. 영실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70중량%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실근 추출물은,
    영실근을 8~12배(v/w)의 70중량% 에탄올에 넣어 55~65℃에서 20~28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
    침지 후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90154627A 2019-11-27 2019-11-27 영실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KR102309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27A KR102309913B1 (ko) 2019-11-27 2019-11-27 영실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27A KR102309913B1 (ko) 2019-11-27 2019-11-27 영실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638A KR20210065638A (ko) 2021-06-04
KR102309913B1 true KR102309913B1 (ko) 2021-10-06

Family

ID=7639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627A KR102309913B1 (ko) 2019-11-27 2019-11-27 영실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9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1740A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28636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472B1 (ko) 2002-08-09 2005-11-28 주식회사 이롬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찔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556187B1 (ko) * 2005-03-28 2006-03-06 주식회사 이롬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찔레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KR101315969B1 (ko) 2011-06-30 2013-10-08 주식회사 이롬 찔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52232B1 (ko) 2015-05-22 2017-06-29 이건목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132390A (ko) * 2016-05-23 2017-12-04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132267B1 (ko) 2017-08-30 2020-07-10 한국식품연구원 찔레열매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0571A (ko) 2018-01-25 2019-08-02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찔레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KR102173683B1 (ko) * 2018-06-05 2020-11-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OSAE MULTIFLORAE RADIX의 藥理作用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ROSAE MULTIFLORAE RADIX, 우석대학교 논문집, Vol. 11(1989)
약초도감 : 자연에서 손쉽게 찾아 쓰는 한국의 약용나무, 솔뫼, pp.728-729(2010.07.05.)
찔레나무 지하부의 triterpene 및 lignan계 성분,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생약학전공 1998. 2
찔레뿌리를 활용한 기능성 소재의 개발, 식품산업과 영양 11(2), 2006.8, 59-65(7 pag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1740A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28636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96677B1 (ko) * 2021-12-29 2024-08-21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638A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sfaye Revealing the therapeutic uses of garlic (Allium sativum) and its potential for drug discovery
Althunibat et al. Protective role of Punica granatum L. peel extract against oxidative damage in experimental diabetic rats
US20160302452A1 (en) Nutritional composition
Jung et al.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herb extracts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imoh et al. Polyphenolic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leaves extracts of Argemone subfusiformis (Papaveraceae) and Urtica urens (Urticaceae)
KR102309913B1 (ko) 영실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Sungthong et al. Antioxidant activities, acute toxicity and chemical profiling of torch ginger (Etlingera elatior Jack.) inflorescent extract
Taiwo et al. Consumption of aqueous extract of raw Aloe vera leaves: histopath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in rat and tilapia
KR102402228B1 (ko) 대복피와 방풍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
KR10167948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aad et al. Ameliorative Effect of Cactus (Opuntia ficus indica) Extract on Lithium‐Induced Nephrocardiotoxicity: A Biochemical and Histopathological Study
Radhika et al. Biochemical evaluation of antidiabetic activity of Piper betel leaves extract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Huo et al.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unge extract on streptozocin-induced diabetic in rats
KR102266729B1 (ko) 매괴화와 육계를 함유하는 간손상 및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El Shater et al. Physiological Studies of the Effect of Moringa olifera and Vitamin (C) on Hepato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Induced by Lead Acetate in Male Albino Rats
Oubeid Evaluation The synergism Activity of Portunus armatus and Apium graveolens Extract as Antioxidant in Rats Exposed to Oxidative Stress
US20050158407A1 (en) Antipyrot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yodele et al. Total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some plant leaves in south-west nigeria
Kumar et al. Effect of Punica granatum peel and Vitis vinifera seeds on Biochemical Indices in DEN 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ma in Rats
Mbiantcha et al. Anti-inflammatory and anti-arthritic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 of Nauclea diderrichii (Rubiaceae) stem bark in rats
Fernand et al. Evaluation of antihyperglycemic, antiradical and acute oral toxicity activities of aqueous leaves extract of Moringa oleifera Lam (Moringaceae) from Benin in normal rats
Johnson et al. A study on antiurolith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lochidion velutinum leaves
Ojuade et al. Acute and subacute toxicity of aqueous extract of Allium cepa peels in wistar albino rats: determination of acute and subacute toxicity in wistar albino rats
Hemdan et al. The therapeutic effect of arabic gum, purslane and cress seeds on rat infected with elevated uric acid levels in the blood
Okukpe et al. Stress modulating effect of crude leaf extract of Vernonia amygdalina in captive grasscutter (Thryonomys swinderian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