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740A -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740A
KR20230101740A KR1020220187409A KR20220187409A KR20230101740A KR 20230101740 A KR20230101740 A KR 20230101740A KR 1020220187409 A KR1020220187409 A KR 1020220187409A KR 20220187409 A KR20220187409 A KR 20220187409A KR 20230101740 A KR20230101740 A KR 20230101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oup
control group
food composition
roo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민
강종수
박일범
박현제
차주영
송애리
황윤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주식회사 뉴젠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주식회사 뉴젠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Priority to PCT/KR2022/02156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28636A1/ko
Publication of KR2023010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비만 및 대사질환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므로, 식품 조성물,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and treating of obesity metabolic disease comprising Rosa multiflora root extract}
본 발명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경제발전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의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삶의 질이 빠른 속도로 향상되고 있어 이에 부합하는 적극적인 웰빙시대의 대응전략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특히, 가속화되고 있는 노령화, 성인병의 발생에 따른 국민건강의 보호 및 정부와 개인의 의료비 절감의 차원에서도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심장마비, 고혈압, 동맥경화, 뇌졸중 등의 심혈관질환은 세계적으로 전체 사망률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비만,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증, 심장 질환, 뇌졸중 등은 각기 다른 질병으로 보이지만 체지방 증가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이라는 공통 병인을 갖는 하나의 증후군으로 이해되고 있다.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영양장애 중의 하나로서 WHO 통계자료에 의하면 현재 2억 5천여만명이 비만 환자로 분류되며 20년 후에는 약 3억명이 비만으로 고통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상기 비만은 과량의 에너지 섭취 또는 에너지 소비 저하로 인해 열량 대사가 불균형하여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지칭하며, 최근에는 현대인들의 서구적인 식생활 패턴과 운동 부족으로 인해 비만의 발병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수치상의 개념으로는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 측정 시 25 이상일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하며, BMI 측정법은 체중(kg)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을 통해 체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측정법이다.
더욱이, 비만은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정상적인 지방세포의 이상발달이 발생하는데 지방세포로의 과잉분화와 지방세포 내 지방의 축적은 지방세포의 수나 크기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비만 증상이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전구세포가 confluence 상태가 되면 세포 주기가 정지되어 세포의 증식이 중단되고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dexamethasone (DEX) 및 insulin 등의 호르몬에 의해 지방세포로 분화(adipogenisis)가 유도되고 비만은 조직 내 지방세포가 비대(hypertrophy)와 과형성(hyperplasia)으로 초래된다. 지방전구세포의 초기분화 과정은 DEX에 의해 cAMP의 농도가 증가되면서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s-1c (SREBP-1c) 발현이 유도된 후 IBMX에 의해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 (PPAR-γ)와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α (CEBP-α)가 상호 발현되어 분화를 촉진한다. 이들의 발현은 불포화지방산에서 포화지방산으로 합성될 때 포화 지방산을 단일 불포화지방산으로 전환시키는 fatty acid synthase (FAS) 및 stearoyl-CoA desaturase 1 (SCD1) 발현과 함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다.
비만치료제 중에서 식욕억제제에는 휴터민정, 펜터민 및 로카세린이라는 성분이 있고 부작용으로는 불안감, 현기증과 불면증 등이 있으며 지방분해효소 억제제에는 오르리스타트, 로카세린과 마진돌 등이 있고 부작용으로는 기름변, 복통과 변실금 등이 있는데, 상기 상업화된 약물들의 부작용이 보고됨에 따라 효과가 뛰어나면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유래의 비만치료제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663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1723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감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사질환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사질환은 비만, 대사 증후군, 인슐린 결핍증, 인슐린-내성 관련 장애, 2형 당뇨병을 포함하는 당뇨병, 글루코스 불내성, 이상성 지질대사, 죽상동맥경화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고혈당증, 지방간, 이상지질혈증, 과체중 및 비만과 연관된 면역계의 기능장애, 고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증가, 염증성 면역 질환 및 죽종형성 이상지질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일 수 있다.
상기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은 20 내지 80%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40 내지 80 ℃이며, 추출시간은 3 내지 10시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중감소용 식품 조성물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간손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손상은 급성 알코올성 간손상, 만성 알코올성 간손상, 비알코올성 지질축적, 비알코올성 염증 및 비알코올성 간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욕억제용 식품 조성물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사질환의 치료방법은 대사질환 환자에게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지질 축적을 억제하고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감소시키며 아드레날린 수용체 베타-2 함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AMP 함량을 증가시키므로 비만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고, 식품 조성물,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체중감소용 식품 조성물, 이상지질혈증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간손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 당뇨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식욕억제용 식품 조성물 또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ADRB2-cAMP 경로의 에너지 소모 pathway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아드레날린 수용체 베타-2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cAMP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PGC-1α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며, 도 6b는 상기 도 6a에서 발현된 PGC-1α 단백질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CPT-1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며, 도 7b는 상기 도 7a에서 발현된 CPT-1 단백질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UCP1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며, 도 8b는 상기 도 8a에서 발현된 UCP1 단백질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PGC 1α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AMPK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PPARα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COL1A1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ACTA2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5a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사료 섭취당 체중 증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5b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시간에 따른 체중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5c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증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a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중성지질(TG)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6b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총콜레스테롤(t-cholesterol)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6c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6d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a) AST, (b) ALT, (c) GTT, (d) ALP 및 (e) LDH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a) 글루코오스, (b) 인슐린, (c) 렙틴 및 (d) 아디포넥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시간에 따른 체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a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을 이중 에너지 X 선 흡수 측정법 (DEXA)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20b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체지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1a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고환주위지방조직(eWAT)을 관찰한 사진이며; 도 21b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지방 세포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2a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간 조직 내 축적된 지방을 염색시킨 사진이며; 도 22b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간 조직 내 축적된 지방의 면적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대사질환은 비만, 대사 증후군, 인슐린 결핍증, 인슐린-내성 관련 장애, 2형 당뇨병을 포함하는 당뇨병, 글루코스 불내성, 이상성 지질대사, 죽상동맥경화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고혈당증, 지방간, 이상지질혈증, 과체중 및 비만과 연관된 면역계의 기능장애, 고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증가, 염증성 면역 질환 및 죽종형성 이상지질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증체량의 증가를 억제시키므로 체중감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혈액 내 중성지질(TG), 총콜레스테롤(t-cholesterol)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의 함량을 증가시키므로 혈류 개선용 조성물,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고; 혈액 내 AST, ALT, GTT, ALP 및 LDH 활성이 우수하므로 급성 알코올성 간손상, 만성 알코올성 간손상, 비알코올성 지질축적, 비알코올성 염증 및 비알코올성 간손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간손상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혈액 내 혈당을 감소시키고 인슐린(insulin)을 증가시키므로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렙틴(leptin)을 감소시키므로 식욕억제용 식품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찔레나무 뿌리(Rosa multiflora root)는 산후통, 부종, 어혈, 관절염 치료에 좋고, 뿌리에 기생하는 찔레버섯은 어린아이 경기, 간질 치료에 최고의 묘약일 뿐 아니라 각종 암 발생을 억제하는 탁월한 효험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찔레나무의 뿌리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찔레나무의 꽃, 줄기, 열매 등의 다른 부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비만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찔레나무 뿌리는 추출용매와 1 : 5 내지 2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8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4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 ℃에서 3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시간 동안 추출한 후 감압농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찔레나무 뿌리와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찔레나무 뿌리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찔레나무 뿌리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각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상기 저급알코올로는 20 내지 80%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20 내지 80%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된 추출물이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바람직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찔레나무 뿌리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한 추출물, 이들로부터 분획한 분획물, 이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추가적으로 농축한 농축물, 이를 정제 또는 분리한 정제물도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 분획물, 농축물 또는 정제물을 건조한 건조물 또는 그를 분쇄한 분말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정제물의 제조를 위해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 이외에, 식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포함한다.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은 단당류,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설탕, 유당 등; 올리고당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물엿,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당알코올, 예를 들어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은 비만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은 섭취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젤리 제형, 티백 제형 또는 음료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식품에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가 가능한 식품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식품위생법 제7조에 따른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예시된 과자류, 빵 또는 떡류, 코코아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 식육 또는 알가공품, 어육가공품, 두부류 또는 묵류, 면류, 다류, 커피,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장류, 조미식품, 드레싱류, 김치류, 젓갈류, 절임식품, 조림식품, 주류, 건포류, 기타 식품류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축산물위생관리법 제4조에 따른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축산물공전’)에 예시된 유가공품,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알가공품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은 단독으로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법적 기준에 따라 제조(가공을 포함)한 식품(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호)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국가마다 용어나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미국의 ‘식이 보충제(Dietary Supplement)’, 유럽의 ‘식품 보충제(Food Supplemnet)’, 일본의 ‘보건기능식품’ 또는 ‘특정보건용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중국의 ‘보건식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따른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상기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과 함께 “혈중 중성지방 개선”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로 고시된 원료 또는 개별인정된 원료로서, 유니벡스 대나무잎 추출물, 정어리정제어유, DHA 농축유지,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식물성유지 디글리세라이드, 정제오징어유, 글로빈 가수분해물 등의 혈중 중성지방 개선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사용하거나;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로 고시된 원료 또는 개별인정된 원료로서, 알로에 추출물, 알로에 복합 추출물, 대나무잎 추출물, 스피루니나, 사탕수수 왁스알코올, 아마인, 보이차 추출물, 홍국쌀, 보리 베타글루칸 추출물, 창녕양파 추출액, 녹차 추출물, 적포도 발효 농축액 등의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사용하거나; “체지방감소”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로 고시된 원료 또는 개별인정된 원료로서, Lactobacillus gasseri BNR17, L-카르니틴타르트 레이트, 가르시니아캄보지아껍질추출물, 공액리놀렌산(유리지방산), 공액리놀렌산(트리글리세라이드), 그린마떼추출물, 그린커피빈추출물, 깻잎추출물, 녹차추출물, 대두배아추출물 등 복합물, 돌외잎주정추출분말, 락토페린(우유정제단백질), 레몬 밤 추출물 혼합분말, 마테열수추출물, 미역 등 복합추출물(잔티젠), 발효식초석류복합물, 보이차추출물, 서목태(쥐눈이콩) 펩타이드 복합물, 식물성유지 디글리세라이드, 와일드망고 종자추출물, 중쇄지방산(MCFA)함유 유지, 콜레우스포스콜리추출물, 키토산, 키토올리고당, 풋사과추출폴리페놀, 핑거루트추출분말, 히비스커스 복합추출물 등의 체지방감소와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사용하거나; “간 건강 또는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로 고시된 원료 또는 개별인정된 원료로서, 브로콜리 스프라이트 분말, 표고버섯균사체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복분자 추출분말, 발효울금, 도라지 추출물,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물, 헛개나무과병 추출물, 유산균 발효 다시마 추출물 등의 간 건강 또는 알코올성 간손상 개선과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비만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동물용 의약 제조를 위한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또는 ‘의약’은 유효성분으로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 이외에, 약학 조성물 등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희석제’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유당, 포도당, 설탕,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사용량은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치료대상 개체의 상태, 치료 대상 질환의 특정한 카테고리 또는 종류, 투여 경로, 사용되는 치료제의 속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1일 0.1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g/kg,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 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개별적으로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트로키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설탕 또는 유당,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만의 치료방법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비만인 치료대상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상기 치료를 위한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는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를 참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50% 에탄올 수용액
찔레나무 뿌리와 50%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수율: 7.3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70% 에탄올 수용액
찔레나무 뿌리와 70%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수율: 7.1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3시간 추출_50% 에탄올 수용액
찔레나무 뿌리와 50%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3시간 추출_70% 에탄올 수용액
찔레나무 뿌리와 70%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7시간 추출_50% 에탄올 수용액
찔레나무 뿌리와 50%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에서 7시간 동안 추출하여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7시간 추출_70% 에탄올 수용액
찔레나무 뿌리와 70%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에서 7시간 동안 추출하여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찔레나무 줄기_50% 에탄올 수용액
찔레나무 줄기와 50%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찔레나무 줄기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찔레나무 줄기_70% 에탄올 수용액
찔레나무 줄기와 70%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찔레나무 줄기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찔레나무 열매_50% 에탄올 수용액
찔레나무 열매와 50%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찔레나무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찔레나무 열매_70% 에탄올 수용액
찔레나무 열매와 70% 에탄올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찔레나무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Ⅰ> 생체 외( In vitro )
세포배양
3T3-L1 지방전구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anassas, USA)에서 구입하여 10% bovine calf serum (Welgene, Daegu, Korea)과 1% penicillin-streptomycin (Welgene, Daegu, Korea)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Welgene, Daegu, Korea) 배지에서 37 ℃,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 p < 0.05; **, p < 0.01; ***, p < 0.001
시험예 1. 지질 축적(Lipid accumulation) 확인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6 well plate에 5X105 cell/well의 세포를 분주하여 세포가 완전히 밀집되게 배양한 뒤 배지를 교환하고 2일 더 배양하였다. MDI solution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0.5 uM dexamethasone, 10 ug/mL insulin)과 10% FBS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일 동안 배양함으로써 분화를 개시한 다음, 10 ug/ml insulin 및 10%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로 교환하여 2일 동안 분화를 진행시켰다. 그 이후로는 10% FBS만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4일 동안 배양함으로써 세포 내 지방축적에 의해 지방구(lipid droplet)를 형성하는 지방세포로 분화를 완료하였다. Lipid accumulation 측정을 위해 MDI solution 및 배지교환시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추출물을 각각 0.05, 0.1, 0.2 mg/mL 농도로 동시에 처리해 분화유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배양하였다. 분화유도가 완료된 세포는 PBS로 2회 세척하고 10% formalin을 처리하고 4 ℃에서 1시간 동안 고정시킨 뒤 세척하고 60% isopropanol solution을 처리해 지방세포를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는 PBS로 세척하고 100% isopropanol을 이용해 oil red O를 용출한 뒤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해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lipid accumulation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유도과정에서의 지질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로 처리 시 지방세포(adipocyte)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지질 축적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101.1%, 72.3%, 35.6%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2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95.9%, 68.7%, 37.1%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함량 측정
세포내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triglyceride contents) 측정은 EZ-Triglyceride Quantification Assay Kit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 6 well plate에 5X105 cell/well의 세포를 분주하여 세포가 완전히 밀집되게 배양한 뒤 배지를 교환하고 2일 더 배양하였다. MDI solution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0.5 uM dexamethasone, 10 ug/mL insulin)과 10% FBS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일 동안 배양함으로써 분화를 개시한 다음, 10 ug/ml insulin 및 10%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로 교환하여 2일 동안 분화를 진행시켰다. 그 이후로는 10% FBS만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4일 동안 배양함으로써 세포 내 지방축적에 의해 지방구(lipid droplet)를 형성하는 지방세포로 분화를 완료하였다. TG 측정을 위해 MDI solution 및 배지교환시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을 각각 0.05, 0.1, 0.2 mg/mL 농도로 동시에 처리해 분화유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배양하였다. 분화유도가 완료된 세포는 PBS로 2회 세척하고 NP40을 이용해 균질화시킨 후 100 ℃에서 가열하여 세포내 존재하는 triglycerol을 용해시키고 13,000 rpm에서 2분간 원심분리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Lysate 및 standard는 96well plate에 50 uL와 lipase 2 uL를 넣어주고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뒤 triglyceride assay buffer 46 uL, triglyceride enzyme mix 2 uL, triglyceride probe 2 uL를 각각 넣어준 후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해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TG contents를 확인하였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4의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유도과정에서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로 처리시 지방세포(adipocyte)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74.0%, 52.2%, 25.9%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2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67.8%, 48.9%, 26.4%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4의 추출물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에 비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감소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비교예 3 및 4는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오히려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추출물로 처리시 지방세포(adipocyte)에 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3 및 4의 추출물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추출물에 비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감소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시험예 1 및 2의 실험을 통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이 지질 축적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도 3과 같이 ADRB2-cAMP 경로의 에너지 소모 pathway를 확인하고자 한다.
시험예 3. 아드레날린 수용체 베타-2 함량(Adrenergic receptor beta 2 contents) 측정
세포내 Adrenergic receptor beta 2 측정은 mouse beta-2 adrenergic receptor ELISA kit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화가 완료된 3T3-L1 지방세포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을 각각 0.05, 0.1, 0.2 mg/mL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뒤 배지를 회수 및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 배양배지를 100 uL씩 분주하고 37 ℃에서 90분 반응시킨 뒤 biotin-detection antibody working solution 100 uL을 넣어주었다. 37 ℃에서 60분 반응시킨 뒤 wash buffer로 3회 세척하고 SABC working solution 100 uL 넣어주고 37 ℃에서 30분 반응시켰다. Wash buffer로 5회 세척하고 TMB substrate 90 uL를 넣어준 뒤 37 ℃에서 30분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키기 위해 stop solution 50 uL를 넣어주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해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Adrenergic receptor beta 2 contents를 확인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아드레날린 수용체 베타-2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이 세포 내 ADRB2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로 처리시 지방세포(adipocyte)에 비하여 세포 내 ADRB2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124.7%, 142.1%, 130.5%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2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135.4%, 115.5%, 134.1%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cAMP 함량 측정
세포내 cyclic AMP contents 측정은 cAMP assay kit (Competitive ELISA)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화가 완료된 3T3-L1 지방세포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을 각각 0.05, 0.1, 0.2 mg/mL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뒤 배지를 회수 및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지 100 uL에 neutralizing Buffer 50 uL를 혼합하고 5 uL acetylating reaction mix (Acetylating Reagent A : Acetylating Reagent B = 1 : 2)를 혼합한 뒤 1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10분 후 845 uL 1X assay buffer를 혼합해 실험에 사용할 시료를 제조하였다. Protein G coated 96-well plate에 50 uL 시료, standard, 10 uL reconstituted cAMP antibody를 넣어주고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뒤 반응액을 버리지 말고 10 uL cAMP-HRP를 각 well에 넣어주고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1시간 뒤 200 uL 1X assay buffer로 5회 세척하고 100 uL HRP developer를 넣어주고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을 종결시키기 위해 100 uL 1 M HCl를 넣어주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cAMP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이 세포 내 cAMP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로 처리시 지방세포(adipocyte)에 비하여 세포 내 cAMP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128.5%, 107.3%, 107.1%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2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131.2%, 140.9%, 143.2%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단백질 발현 측정
분화가 완료된 3T3-L1 지방세포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을 각각 0.05, 0.1, 0.2 mg/mL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세포는 cell scraper로 긁어 모으고 5,000 rpm에서 10분간 운심분리한 후 RIPA buffer를 이용해 lysis하였다. Lysis된 세포는 bradford 방법으로 정량한 동일양의 단백질을 sodium dodecyl sulfate(SDS)와 β-mercapto-ethanol를 포함한 sample buffer에 3:1로 혼합한 후 100 ℃에서 10분간 가열하였다. 단백질 샘플은 SDS-PAGE로 전기영동한 후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0.45 μm, PVDF transfer membrane, Thermo, Rockford, IL, USA)으로 transfer하였다. Membrane은 0.1% tween 20과 5% skim milk를 함유한 tris-buffered saline (TBS)에 2시간 동안 blocking 하였다. 그 후 PGC-1α (1:1000), CPT-1 (1:1000), UCP-1 (1:1000), 및 β-actin (1:5000) 1차 antibody가 첨가된 buffer에서 overnight 동안 반응하고 TBS-T (TBS containing 0.1% tween 20)로 5분씩 3회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Anti-rabbit IgG, HRP-linked Antibody (1:1000)가 첨가된 buffer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한 후 enhanced chemiluminescence method를 이용하여 x-ray 필름에 감광시켰다. Detection된 밴드의 강도는 imageJ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인 함량을 구하였다.
5-1.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coactivator 1 alpha (PGC-1α) 단백질발현 측정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PGC-1α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며, 도 6b는 상기 발현된 PGC-1α 단백질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이 세포 내 PGC-1α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로 처리시 지방세포(adipocyte)에 비하여 세포 내 PGC-1α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116.4%, 131.1%, 149.6%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2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125.8%, 136.7%. 144.6%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5-2.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CPT-1) 단백질발현 측정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CPT-1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며, 도 7b는 상기 발현된 CPT-1 단백질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7b의 대조군은 adipocyte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이 세포 내 CPT-1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로 처리시 지방세포(adipocyte)에 비하여 세포 내 CPT-1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114.1%, 123.6%, 131.4%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2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134.3%, 138.1%, 139.7%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5-3. Uncoupling Protein-1 (UCP1) 단백질발현 측정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UCP1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며, 도 8b는 상기 발현된 UCP1 단백질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이 세포 내 UCP1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로 처리시 지방세포(adipocyte)에 비하여 세포 내 UCP1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148.3%, 137.2%, 131.9%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2의 추출물로 0.05 mg/mL, 0.1 mg/mL, 0.2 mg/mL 처리시 각각 140.3%, 128.2%, 124.8%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Ⅱ> 생체 외( In vitro )
세포배양
HepG2 세포는 10% heat 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Gibco, Life Technologies, Grand Island, NY, USA)과 1% penicillin-streptomycin (P/S, Gibco)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Gibco) 배지에서 37 ℃,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시험예 6. 지질 축적(Lipid accumulation) 확인
HepG2 세포를 12 Well Plate에 5x105 cells/well로 하룻밤 배양한 뒤, FFA-free bovine serum albumin이 포함된 DMEM Media로 교환을 한 후 250 uM의 Palmitic acid와 실시예 2의 추출물을 0, 12.5, 25, 50, 100 ug/ml농도로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종료 후 DPBS로 2회 이상 세척하고 4% PFA(paraformaldehyde) solution을 30분 동안 처리하여 세포를 고정시킨다. 고정이 완료된 세포를 2회 이상 세척하고 60% isopropanol에 5분간 반응시킨 후에 Oil Red O staining solution을 사용하여 세포내에 축적된 lipid를 염색하였다. 염색이 완료된 세포를 2회 이상 세척하고 100% isopropanol을 사용하여 세포에 염색되어있는 ORO를 용출한 뒤, 96 well plate로 옮겨서 510nm 흡광도를 측정하여 lipid accumulation을 확인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HepG2 세포에서 palmitic acid 250 uM을 처리하여 세포내 지질축적을 유발시킨 후 실시예 2의 추출물 12.5 ug/ml, 25 ug/ml, 50 ug/ml, 100 ug/ml로 처리하여 효능 평가를 진행한 결과, 세포내 지질(lipid)을 Oil-Red-O Staining을 통해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지질 축적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전자 발현 측정
HepG2 세포를 6-Well Plate에 1x106 cells/well로 하룻밤 배양한 뒤, Palmitic acid와 실시예 2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세포를 DPBS로 세척하고 RNeasy mini kit(Qiagen, Hilden, Germany)에 포함되어있는 lysis buffer를 사용하여 세포를 분쇄한 후 RNeasy spin column을 사용하여 세포내의 RNA를 분리하였다. Nanodrop spectrophotometer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분리한 RNA의 농도를 측정하고 TOPscript™ RT DryMIX kit(Enzynomics, Daejeon, Korea)를 사용하여 50 ℃에 60분 동안 반응, 95 ℃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한 후 SYBR Green Supermix(Bio-Rad, Hercules, CA, USA)를 사용하여 qPCR를 수행하였다. Biorad CFX96 실시간 PCR 검출 시스템을 사용하여 mRNA를 검출하여 △△CT 계산 방법을 사용해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시험예 7. PGC 1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 1-α) 함량 측정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PGC 1α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PGC 1α는 열생성 지표로서 발현이 증가하면 조직내 지방이 열로 소비되어 체지방이 감소하게 되는데, 실시예 2 추출물을 10 ug/ml 및 50 ug/ml로 처리 시 대조군(vehicle control)에 비하여 PGC1α 유전자 발현이 각각 0.95배 및 1.41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8. AMPK(AMP-activated kinase) 함량 측정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AMPK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PK가 활성화되면 지방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이 억제되는데, 실시예 2 추출물을 10 ug/ml 및 50 ug/ml로 처리 시 대조군(vehicle control)에 비하여 AMPK 유전자 발현이 각각 1.31배 및 1.49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9. PPARα(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함량 측정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PPARα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PARα는 지방의 이화작용을 촉진하는 유전자로서 지방조직과 근육에서 UCP를 통해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한다. HepG2 세포에 실시예 2 추출물을 10 ug/ml 및 50 ug/ml로 처리 시 대조군(vehicle control)에 비하여 PPARα 유전자의 발현이 각각 1.23배 및 1.51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0. COL1A1(collagen type I alpha 1 chain) 함량 측정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COL1A1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OL1A1은 간 섬유화 관련 유전자로서 HepG2 세포에서 Palmitic acid로 처리 후 실시예 2 추출물 100 ug/ml 처리 시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Palmitic acid(PA)로 처리시 1.3으로 증가한 유전자 발현이 실시예 2의 추출물로 처리 후 0.5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1. ACTA2(actin alpha 2) 함량 측정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로 처리시 세포 내 ACTA2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TA2(α-SMA) 유전자는 Liver injury model에 많이 발현하고 있고, 정상상태에서는 거의 발현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Palmitic acid(PA)로 처리시 1.3으로 증가한 유전자의 발현이 실시예 2의 추출물로 처리 후 0.4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Ⅲ> 생체 내( In vivo )
동물실험
SD rat male 4주령(130~150g)을 분양받아 온도 22±1 ℃, 습도 55±3%, 명암 주기 12시간 (am/pm 8시) 조건 하에서 1주일 동안 적응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4주간 정상군 1(normal)은 조제사료(AIN-76A), 대조군 1은 고지방(fat 60%) 사료를 급여하여 비만유도 개체를 유도 및 시험에 이용하였다. 나머지 군은 고지방식이를 급여하면서 대조물질과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을 경구투여하였다. 실험이 종료되면 실험동물의 혈액을 채취한 뒤 automated chemistry analyzer (Thermo, Thermo)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5개 군의 랫트-
정상군 1: 일반 식이+CMC(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투여
대조군 1: 고지방 식이+CMC
양성 대조군 1: 고지방 식이+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200 mg/kg
실시예 1: 고지방 식이+ 실시예 1의 추출물 100 mg/kg
실시예 2: 고지방 식이+ 실시예 2의 추출물 100 mg/kg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는 CMC에 희석되어 사용되었다.
시험예 12. 증체율 측정
도 15a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사료 섭취당 체중 증가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5b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시간에 따른 체중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5c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증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 섭취량에 따른 증체량은 정상군 1 > 실시예 2군 > 실시예 1군 > 대조군 1 = 양성 대조군 1의 순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5b 및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군에서 체중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증체량은 양성 대조군 1 > 대조군 1 > 실시예 1군 > 실시예 2군 > 정상군 1 순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3. 혈중 지질 분석
도 16a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중성지질(TG)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6b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총콜레스테롤(t-cholesterol)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6c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6d는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을 섭취한 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혈액 내 중성지질(TG), 총콜레스테롤(t-cholesterol)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의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고지방식이에 의해 증가된 중성지질(TG), 총콜레스테롤(t-cholesterol)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의 함량이 감소되었으며, 고지방식이에 의해 감소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의 함량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은 혈액 내 중성지질(TG), 총콜레스테롤(t-cholesterol)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의 함량을 증가시키므로 혈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시험예 14. 간기능 분석
도 17은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a) AST, (b) ALT, (c) GTT, (d) ALP 및 (e) LDH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을 섭취한 군은 정상군 1과 유사한 AST, ALT, GTT, ALP 및 LDH를 보이므로 간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은 혈액 내 AST, ALT, GTT, ALP 및 LDH 활성이 우수하므로 급성 알코올성 간손상, 만성 알코올성 간손상, 비알코올성 지질축적, 비알코올성 염증 및 비알코올성 간손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간손상 개선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시험예 15. 혈당 및 호르몬 분석
도 18은 정상군 1, 대조군 1, 양성 대조군 1, 실시예 1군 및 실시예 2군의 혈액 내 (a) 글루코오스, (b) 인슐린, (c) 렙틴 및 (d) 아디포넥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을 섭취한 군은 대조군 1에 비하여 혈당이 감소되었으며, 인슐린(insulin)이 증가하고, 렙틴(leptin)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아디포넥틴(adiponectin)은 모든 군이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은 혈액 내 혈당을 감소시키고 인슐린(insulin)을 증가시키므로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렙틴(leptin)을 감소시키므로 식욕억제용 식품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시험예 Ⅳ> 생체 내( In vivo )
동물실험
C57BL6J mice 6주령 수컷을 코아텍에서 분양받아 온도 22±1 ℃, 습도 55±3%, 명암 주기 12시간 (am/pm 8시) 조건 하에서 1주일 동안 적응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8주간 정상군 2(normal)는 일반사료(오리엔트), 대조군 2는 고지방(fat 60%, Research diet. D16042106) 사료를 급여하여 비만유도 개체를 유도 및 시험이 이용하였다. 나머지 군은 고지방식이를 급여하면서 대조물질과 실시예 2의 추출물을 경구투여하였다.
*, p < 0.05; **, p < 0.01; ***, p < 0.001
-6개 군의 마우스-
정상군 2: 일반 식이+증류수
대조군 2: 고지방 식이+증류수
양성 대조군 2: 고지방 식이+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400 mg/kg
양성 대조군 3: 고지방 식이+시서스(Cissus antarctica) 65 mg/kg
실시예 2(200): 고지방 식이+ 실시예 2의 추출물 200 mg/kg
실시예 2(150): 고지방 식이+ 실시예 2의 추출물 150 mg/kg
시험예 16. 증체율 측정
도 19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시간에 따른 체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은 평균 체중이 유사하였으나 대조군 2는 다른 군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7. DEXA를 이용한 체지방 측정
상기 각 군 마우스의 부검당일, 장기를 적출하기 전에 이중 에너지 X 선 흡수 측정법 (DEXA)을 이용하여 체지방을 측정하였다. 체지방의 방사선 촬영은 저밀도 지방 (파란색), 중밀도 지방 (노란색), 고밀도 지방 (빨간색)에 따라 3 가지 모드로 표시되었다.
도 20a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을 이중 에너지 X 선 흡수 측정법 (DEXA)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20b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체지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군 2에 비하여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체강 및 피하에 다수의 지방이 축적된 것을 확인하였다(붉은색).
그러나, 실시예 2(200)군은 정상군 2를 제외한 다른 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체지방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8. 지방세포의 크기 변화
부검시 고환주위지방조직(eWAT)을 적출하였다. 상기 eWAT는 10% formalin 용액으로 고정시키고 파라핀에 포매 후 절편화시켰다. Hematoxylin과 eosin으로 염색 후 염색된 조직은 광학현미경(Olympus, Japan)을 사용하여 관찰 및 사진촬영 하였다. 이후 ImageJ 소프트웨어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를 사용하여 지방 세포 크기를 측정하였다
도 21a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고환주위지방조직(eWAT)을 관찰한 사진이며; 도 21b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지방 세포 크기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세포의 크기는 대조군 2에서 고지방식이로 지방이 축적되어 정상군 2에 비해 약 2배 정도 증가되었으며, 실시예 2(200)군, 양성 대조군 2 및 양성 대조군 3은 유의적으로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9. 간 조직 내 지방축적
부검시 적출한 간조직을 10% formalin을 사용하여 고정한 후 OCT compound에 포매하여 동결 후 동결절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미리 제조해 둔 Oil red o solution으로 세포 내 축적된 지방성분들을 충분히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Olympus, Japan)을 사용하여 관찰 및 사진촬영 하였다. ImageJ 소프트웨어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를 사용하여 Oil Red O에 염색된 lipid vesicle의 면적(%)을 분석하였다.
도 22a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간 조직 내 축적된 지방을 염색시킨 사진이며; 도 22b는 정상군 2,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2, 양성 대조군 3, 실시예 2(200)군 및 실시예 2(150)군의 간 조직 내 축적된 지방의 면적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 2에서 고지방식이로 간 조직 내에 지방이 축적되어 정상군 2에 비해 염색된 지방 소수포(vesicle)가 다수 관찰되었으며, 실시예 2(200)군, 실시예 2(150)군, 양성 대조군 2 및 양성 대조군 3은 유의적으로 간 조직 내 축적된 지방의 면적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2)

  1.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질환은 비만, 대사 증후군, 인슐린 결핍증, 인슐린-내성 관련 장애, 2형 당뇨병을 포함하는 당뇨병, 글루코스 불내성, 이상성 지질대사, 죽상동맥경화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고혈당증, 지방간, 이상지질혈증, 과체중 및 비만과 연관된 면역계의 기능장애, 고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증가, 염증성 면역 질환 및 죽종형성 이상지질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프로판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은 20 내지 80%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40 내지 80 ℃이며, 추출시간은 3 내지 10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7.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감소용 식품 조성물.
  8.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손상은 급성 알코올성 간손상, 만성 알코올성 간손상, 비알코올성 지질축적, 비알코올성 염증 및 비알코올성 간손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손상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억제용 식품 조성물.
  11.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질환은 비만, 대사 증후군, 인슐린 결핍증, 인슐린-내성 관련 장애, 2형 당뇨병을 포함하는 당뇨병, 글루코스 불내성, 이상성 지질대사, 죽상동맥경화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고혈당증, 지방간, 이상지질혈증, 과체중 및 비만과 연관된 면역계의 기능장애, 고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증가, 염증성 면역 질환 및 죽종형성 이상지질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20187409A 2021-12-29 2022-12-28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1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21566 WO2023128636A1 (ko) 2021-12-29 2022-12-29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073 2021-12-29
KR20210191073 2021-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740A true KR20230101740A (ko) 2023-07-06

Family

ID=8718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409A KR20230101740A (ko) 2021-12-29 2022-12-28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7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316B1 (ko) 2020-02-05 2020-10-30 대한켐텍 주식회사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210066370A (ko) 2019-11-28 2021-06-07 (주)바이오레스베 항비만 유용성분 증대를 위한 새싹땅콩의 배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370A (ko) 2019-11-28 2021-06-07 (주)바이오레스베 항비만 유용성분 증대를 위한 새싹땅콩의 배양방법
KR102172316B1 (ko) 2020-02-05 2020-10-30 대한켐텍 주식회사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5732B2 (en) Agents derived from Holoptelea integrifolia and their compositions for the control of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diseases
US20100249248A1 (en) LIGAND AGENTS F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s)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00125155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3300B1 (ko) 진세노사이드 Rf, 진세노사이드 Rf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개선용 조성물
KR101567573B1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7934B1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8871B1 (ko) 차전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20230101740A (ko)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1381B1 (ko) 드라콘토멜론 마크로카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089314B1 (ko)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60575B1 (ko) 소맥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018404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101814257B1 (ko) 큰천남성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01313B1 (ko) 홍삼 추출물의 분획물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27253B1 (ko)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KR102308183B1 (ko) 안티고논 렙토푸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24614A (ko) 미르시아페논 에이를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30567B1 (ko) 트란스-네로리돌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3603B1 (ko) 석류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