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253B1 -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 Google Patents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253B1
KR101427253B1 KR1020120056917A KR20120056917A KR101427253B1 KR 101427253 B1 KR101427253 B1 KR 101427253B1 KR 1020120056917 A KR1020120056917 A KR 1020120056917A KR 20120056917 A KR20120056917 A KR 20120056917A KR 101427253 B1 KR101427253 B1 KR 101427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atty acid
pres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563A (ko
Inventor
김병목
김영명
김동수
황진택
성미정
정지희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6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25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55Aquatic anima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A61K35/57 - A61K35/6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용 조성물 또는 비만,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르는 미더덕 추출물은 SREBP-1c, FAS(Fatty Acid Synthase) 및 ACC의 발현을 억제시켜 지방산 합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며 특히 ACC의 발현 억제 및 CPT-1의 발현을 증가시켜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킨다.

Description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food for promoting oxidation of fatty acid containing Styela clava extract}
본 발명은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CPT-1(Carnitine palmitoyl trnasferase-1) 효소는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 내부에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긴 사슬의 지방산을 미토콘드리아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효소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긴 사슬 지방산의 산화 과정에서 속도 결정단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수준의 실험 및 동물 수준의 실험에서 CPT-1의 발현을 증가시켰을 경우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켜 에너지의 소비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고지방 식이의 투여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래트에 CPT-1 발현 증가를 통하여 고지방 식이에 의하여 유도된 고지혈증이 개선되었으며,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였음이 알려져 있다.(C.T. Cramer et al. Progress in Lipid Research, 40, pp231-268, 2001)
한편, 지방산 산화 억제로 인해 비만,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대사성 증후군 등 다양한 질환이 발병할 수 있으나, 이제까지 미더덕 추출물을 이용해 상기 질환을 개선할 수 있음은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더덕 추출물을 이용해 지방산 산화용 조성물 또는 비만,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미더덕 추출물은 CPT-1의 활성화에 의한 지방산 산화 촉진, 비만,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미더덕 추출물의 의약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또는 가공한 식품 모두를 지칭하며, 예를 들어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영양제, 보조제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S1) 미더덕을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및 (S2) 얻어진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더덕 추출물을 통하여 지방산 산화 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지방산 산화 촉진 활성을 가지는 성분으로 사용되는 미더덕은(Styela clava) 척색동물문 미색동물아문에 속하는 해양생물로서, 본 발명자들은 미더덕 추출물의 지방산 합성을 억제하고, 특히 지방산 산화를 촉진시키는 효능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더덕 추출물은 SREBP-1c(Sterol regulatory elementary-binding protein-1c), FAS(Fatty Acid Synthase) 및 ACC(Acetyl-CoA carboxylase)의 발현을 억제시켜 지방산 합성을 억제하며, 또한 특히 ACC의 발현 억제 및 CPT-1(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의 발현을 증가시켜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더덕 추출물을 이용하여 지방산 산화 촉진용 조성물, 비만,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구성하는데, 미더덕 추출물이라는 천연물을 이용하였는 바 안전성 보장 측면에서 큰 가치가 있다.
SREBPs(Sterol regulatory elementary-binding protein)는 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경로에 관련되는 효소를 활성화하여 간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전사활성인자이다. SREBPs에는 1a, 1c 및 2의 세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 중 1a, 1c는 주로 지방산의 합성에 관여하며, 또한 SREBP-1c는 간세포에서 FAS(Fatty acid synthase), ACC(Acetyl-CoA carboxylase), malic enzyme 등과 같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ACC는 간과 다른 조직에서 지방산의 생합성 과정에 관여하는 속도조절 효소로서, ACC의 생성물인 malonyl-CoA는 지방산 생합성의 전구체이며, 미토콘드리아에서 지방산의 산화를 억제하는 효소이다. Malonyl-CoA는 미토콘드리아 내로의 LCAC(long-chain acylcarnitines)의 이송을 조절하는 CPT-1(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malonyl-CoA가 감소되면 결과적으로 CPT-1에 대한 억제효과가 감소하게 되어 지방산 산화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미더덕 추출물이 SREBP-1c, FAS, ACC의 발현은 억제시키고, CPT-1의 발현은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미더덕 추출물의 CPT-1 활성화에 의한 지방산 산화 활성 촉진 효과로부터, 미더덕 추출물은 비만,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 작용에 대한 조직의 반응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나타나는 현상을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대사성 증후군이라고 말한다.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은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하여 당대사 이상, 이상지혈증 등 한 사람에게서 함께 잘 나타나는 현상의 지칭하며, 대사성 증후군은 이러한 사람에게서 잘 동반되는 비만을 포함하여 위험인자들이 한 개인에게 군집되어 나타나는 경우를 지칭한다.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의 원인으로 유리 지방산의 증가에 의하여 유발되는 인슐린 작용의 손상과 포도당 대사의 경쟁적 억제가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김용기 외, 인슐린 저항성과 유리지방산, BRIC BioWave Vol.5 No.6 2003, pp 5.) 본 발명에 따른 미더덕 추출물은 지방산 산화를 촉진시켜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및 대사성 증후군의 개선, 치료 및 방지의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미더덕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인 추출의 방법으로 분리해 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더덕 추출물은 건조된 미더덕을 분쇄한 다음 통상적인 용매 추출방법에 이용되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적당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따른 비만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라면 어느 추출방법이든 무관하다. 다만, 바람직하게, 에탄올이 추출용매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미더덕 추출물은 지방산 산화를 촉진, 비만,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대사성 증후군의 개선 용도의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등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고자 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방산 산화 촉진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매일 약 0.01 mg/kg 내지 약 10 g/kg이 투여될 수 있으며, 약 0.1 mg/kg 내지 약 1 g/kg의 1일 투여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나누어지고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투여 경로 및 제형,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상태의 심각성, 미더덕 추출물의 순도와 함량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경구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중 어떠한 것에 의해서도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로는 정맥주사, 직장투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고형 제제, 반고형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고형 제제로는 크림제, 로션제, 유화제, 리니멘트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액상 제제로는 물,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에 따른 미더덕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질들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다른 식품 성분과 함께 병용하여 사용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더덕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목적(건강 또는 치료)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정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오즈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이리톨, 소르비톨, 에르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감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0.02~0.03g이다.
상기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천연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더덕 추출물 (S1) 미더덕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S2) 얻어진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바람직 하게 상기 용매는 에탄올이 가장 적당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S1) 미더덕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S2) 얻어진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더덕 추출물을 통하여 지방산 산화 활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미더덕 추출물은 지방산 산화 촉진 및 비만,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또는 대사성 증후군의 개선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SREBP-1c, FAS 및 ACC의 발현을 억제시켜 지방산 합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며, 또한 ACC의 발현 억제 및 특히 CPT-1의 발현을 증가시켜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미더덕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미더덕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축적된 지방산의 양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미더덕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축적된 지방산의 양의 변화를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미더덕 추출물이 SREBP-1c, FAS, ACC-1 및 CPT-1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미더덕 추출물의 제조>
실험재료
서울시 가락시장 및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 어시장에서 각각 생물로 미더덕을 구입하였다. 미더덕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고, 건조된 시료는 냉동보관하면서 추출시료로 사용하였다.
추출물제조
동결건조된 미더덕은 전체 중량 대비 20배 부피 (w/v)의 80% EtOH를 첨가하여 수직으로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서 100℃에서 6시간 동안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이 끝난 후 6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SUPRA 22K, HANIL, Korea)하고, 여과(No 2C, WHATMAN, England)한 후 얻어진 상등액을 모아 동결건조(PVTFD30R, ILSHINBIOBASE, Korea)하였으며, -20℃ 냉동실에 보관하면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미더덕 추출물의 분석 방법>
세포배양
실험에 사용한 인간 정상간세포주인 HepG2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 받았다. 세포배양을 위해 5% CO2, 37℃배양기(MCO-15AC, SANYO, Japan)에서 MEM(10% FBS, 100 unit/mL of penicillin G sodium, 100 μg/mL of streptomycin sulfate)배양하였다. 96 well plate(Corning, USA)에 5ㅧ104cells/well의 농도로 seeding하여 배양하였고, 24시간 후 2% FBS medium을 사용하여 0.5mM FAs(containing palmitate, oleate in proportions of 6:4)를 처리하였으며,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지방산 축적이 유도된 것을 대조군으로, 미더덕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것을 실험군으로 하여 미더덕 추출물을 분석하였다.
독성 여부 측정 (MTT Assay)
HepG2세포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독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96 well plate(Corning, USA)에 5ㅧ104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MEM 배양액에 분주하여 24 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미더덕 추출물을 농도별(1000, 500, 250 ug/mL)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양액을 제거한 후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를 사용하여 MEM 배양액에 1/10로 희석하여 처리한 후 37℃ incubator 에서 1시간 배양하였고,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3회의 측정으로 그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 오차를 구하였다.
세포내 지방산 축적 측정 (Oil Red O 염색 및 정량)
세포내 지방산 축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Oil Red O 염색을 실시하였다. 지방산 축적이 유도되지 않은 것, 지방산 축적이 유도된 것 및 미더덕 에탄올 추출물을 100, 200, 400ug/mL 농도로 각각 첨가한 것의 염색을 실시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phosphate-buffered saline(PBS)로 세척하고 Oil Red O 50 uL를 처리하였으며 실온에서 1시간 염색하였다. 그 후 염색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하여 염색된 세포를 microscopic image(Olympus, Japan)로 관찰하였다. 또한 정량을 위해 isopropanol 100 uL를 가하여 세포의 염색을 추출 후 microplate reader(Thermo Scientific, Finland)를 사용하여 51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단백질 발현의 분석 (Western blot analysis)
지방산 축적이 유도되지 않은 것, 지방산 축적이 유도된 것 및 미더덕 에탄올 추출물을 100, 200, 400ug/mL 농도로 각각 첨가한 것의 단백질 발현 분석을 하였다. HepG2 세포는 lysis완충액과 함께 분쇄기로 균질화한 후 단백질을 추출하였고, 시료는 완충액과 섞어 5분간 끓인 후 얼음 위에서 식혔다. 10% SDS-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한 후 membrane으로 전이시켰다. 5% BSA가 첨가된 용액으로 1시간동안 실온에서 blocking 시켰다. pAMPK(1:1000, Cell Signaling, USA), SREBP-1c(1:600, Cell Signaling, USA), FAS 및 ACC(1:1000, Cell Signaling, USA), CPT-1(1:1000, Cell Signaling, USA)의 1차 항체를 5% skim milk에 희석하여 4℃ 냉장고에서 over night 시켰다. 다음날 TBST완충액으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2차 항체를 1:5000으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시 TBST완충액으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ECL Plus(Amersham, USA)로 30분간 반응시킨 뒤 X-ray film(Kodak, Japan)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통계처리
본 실험의 결과는 통계분석용 프로그램인 SPSS package program 18.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두 집단 간 평균치 분석은 독립 T 검정을 수행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차 검증을 실시하였고, 세 집단이상의 평균치 분석은 one-way ANOV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평균들간의 유의성 검증은 (p<0.05)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미더덕 추출물의 분석 결과>
세포독성 평가 결과
간세포인 HepG2 cell에서 미더덕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의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도 1에서 보는바와 같이 미더덕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즉, 미더덕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지방산 축적 정도 평가 결과
세포내의 지방산 축적 정도를 쉽게 관찰하기 위하여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하였다. 염색의 진하기에 따라 세포내에 지방산의 축적 정도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지방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염색을 가한 결과 붉은색은 거의 띠지 않았고, 0.5mM FAs로 처리된 실험군은 붉은색의 정도가 유의적으로 차이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0.5mM FAs와 함께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실험군을 염색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산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는 축적된 지방산양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지방산만을 처리한 실험군에 비해 미더덕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함께 처리한 실험군의 경우 유의적으로 지방산량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단백질 발현 분석 결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더덕 에탄올 추출물이 SREBP-1c, FAS, ACC-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조사한 결과, SREBP-1c, FAS 및 ACC-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고, CPT-1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즉, 미더덕 에탄올 추출물은 SREBP-1c의 발현의 억제, FAS 및 ACC-1의 발현 억제 또한, CPT-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미더덕 에탄올 추출물이 지방산 축적을 억제하고 지방산 산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7)

  1. 미더덕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조성물.
  2. 삭제
  3. 미더덕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4. 삭제
  5. 미더덕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고지혈증,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삭제
  7. 삭제
KR1020120056917A 2012-05-29 2012-05-29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KR10142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17A KR101427253B1 (ko) 2012-05-29 2012-05-29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917A KR101427253B1 (ko) 2012-05-29 2012-05-29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563A KR20130133563A (ko) 2013-12-09
KR101427253B1 true KR101427253B1 (ko) 2014-08-14

Family

ID=4998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917A KR101427253B1 (ko) 2012-05-29 2012-05-29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6832A (zh) * 2018-12-17 2019-06-07 江西赣隆药业有限公司 用于治疗神疲乏力和头晕头痛的山海螺破壁饮片的制备方法以及由其制备的山海螺破壁饮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69B1 (ko) 2006-08-25 2008-06-1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및 식품 첨가제
KR20090030831A (ko) * 2007-09-21 2009-03-25 아쿠아그린텍(주) 미더덕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혈압 조성물
WO2011106866A1 (en) 2010-03-01 2011-09-09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Tunicate extracts and uses thereof f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569B1 (ko) 2006-08-25 2008-06-10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및 식품 첨가제
KR20090030831A (ko) * 2007-09-21 2009-03-25 아쿠아그린텍(주) 미더덕 추출물을 이용한 항고혈압 조성물
WO2011106866A1 (en) 2010-03-01 2011-09-09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Tunicate extracts and uses thereof f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1 : 제주대 학위논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563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1808B2 (ja) 脂肪蓄積抑制剤、医薬品及び脂肪蓄積抑制作用を新たに付与する方法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00125155A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2233A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802966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water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pf.) as active ingredient
KR102483300B1 (ko) 진세노사이드 Rf, 진세노사이드 Rf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개선용 조성물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8938B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427253B1 (ko)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050003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0939089B1 (ko) 시코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1089314B1 (ko)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63439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01548B1 (ko) 대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12676B1 (ko) 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JP2010512382A (ja) シコニン系化合物を含む糖尿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KR20160091045A (ko) 저속으로 추출한 석류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40104090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236685B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1428B1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4660A (ko)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54890B1 (ko) 해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125497A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하는 영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