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676B1 - 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676B1
KR101512676B1 KR1020130043052A KR20130043052A KR101512676B1 KR 101512676 B1 KR101512676 B1 KR 101512676B1 KR 1020130043052 A KR1020130043052 A KR 1020130043052A KR 20130043052 A KR20130043052 A KR 20130043052A KR 101512676 B1 KR101512676 B1 KR 10151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ea bream
present
ethanol extract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5918A (ko
Inventor
김병목
황진택
허행전
정지희
김영명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43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6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미 추출물, 바람직하게 참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르는 도미 추출물, 바람직하게 참돔 추출물은 AMPK의 활성화 및 SREBP-1c 및 FAS(Fatty Acid Synthase) 발현을 억제시켜 지방산 합성을 억제 및 중성지방 합성을 억제한다.

Description

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food for obesity, fatty liver or metabolic syndrome comprising Sparidae extract}
본 발명은 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는 serine/threonine kinase의 일종으로 세포내 에너지(ATP)가 결핍될 때 활성화되어 세포내 에너지 생산을 증가시키는 효소이다. 활성화된 AMPK는 세포내에서 ACC활성을 억제하여 malonyl-CoA농도를 감소시킨다. Malonyl-CoA는 지방산이 미토콘드리아로 유입하는데 있어 속도 결정 효소(rate limiting enzyme)인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CPT-1)을 억제하는 물질로 AMPK 활성화를 통해 malonyl-CoA의 농도가 감소하면 CPT-1에 대한 억제가 감소되어 지방산 산화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현대인의 질환 중 하나인 비만은 산업화와 소득 수준 향상에 따른 식습관 및 생활습관 변화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비만뿐만 아니라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역시 직 간접적으로 연관이 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질병을 개선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미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미 추출물, 바람직하게 참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도미 추출물, 바람직하게 참돔 추출물은 지방산 산화 촉진 및 중성지방 합성의 감소를 통하여,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도미 추출물, 바람직하게 참돔 추출물의 의약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또는 가공한 식품 모두를 지칭하며, 예를 들어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영양제, 보조제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도미(Sparidae)는 척삭동물문 경골어류강 농어목 도미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총칭으로서, 상기 도미에 속하는 어종으로 참돔, 감성돔, 청돔, 새눈치, 황돔, 붉돔, 녹줄돔, 실붉돔 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참돔(Pagrus major) 추출물이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화 및 SREBP-1c(Sterol regulatory elementary-binding protein-1c), FAS(Fatty Acid Synthase) 및 ACC(Acetyl-CoA carboxylase)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도미 추출물, 바람직하게 참돔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구성하는데, 도미 추출물이라는 천연물을 이용하였는 바 안전성 보장 측면에서 큰 가치가 있다.
특히 지방간과 관련하여,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발병시작은 중성지방합성의 증가로 인해 세포내 중성지방이 증가하는 것이 특징으로 인슐린은 간의 지방 생합성에 중요한 호르몬 중의 하나다. 간의 지방산 합성은 지방산 생합성 경로에 중요한 효소인 acetyl-CoA carboxylase (ACC)와 fatty acid synthase (FAS) 유전자의 전사활성이 증가하여 일어나며, 이 과정에 Sterol Regulatory binding protein (SREBPs)가 인슐린의 역할을 매개하는 중요한 전사인자로 알려져 있다. SREBPs는 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의 생합성 경로에 관련되는 효소를 활성화하여 간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전사활성인자이다. SREBP에는 1a, 1c 및 2의 세 가지가 있는데, SREBP-1a와 SREBP-1c는 주로 지방산 및 중성지방의 합성에 관여한다. 간조직에서는 SREBP-1c의 발현이 우세하며 간세포에서의 중성지방합성과 관련된 FAS, ACC, stearoyl-CaP desaturase, ATP citrate lyase, malic enzyme과 같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간의 SREBP-1c 발현이 증가되어 지방산 생합성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간조직에 중성지방의 축적을 유발한다. 간에서 중성지방의 축적에 대한 SREBP-1c의 역할은 동물실험을 통해서 증명되었다. 고도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의 특징인 ob/ob mice에서 지방간 병변이 관찰되고 ob/ob mice의 Srebp-1 유전자를 비활성화 시켰을 때 간조직에 중성지방의 축적이 약 50% 정도 감소함을 보고한 연구를 통해 SREBP-1c가 인슐린 저항성 동물 모델에서 지방간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알 수 있다.
또한,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는 serine/threonine kinase의 일종으로 세포내 에너지(ATP)가 결핍될 때 활성화되어 세포내 에너지 생산을 증가시키는 효소이다. 활성화된 AMPK는 세포내에서 ACC활성을 억제하여 malonyl-CoA농도를 감소시킨다. Malonyl-CoA는 지방산이 미토콘드리아로 유입하는데 있어 속도 결정 효소(rate limiting enzyme)인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1(CPT-1)을 억제하는 물질로 AMPK 활성화를 통해 malonyl-CoA의 농도가 감소하면 CPT-1에 대한 억제가 감소되어 지방산 산화가 증가하게 된다. AMPK의 활성화는 간에서 중성지방의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주로 조절하는 SREBP-1c를 억제함으로 지방합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참돔 추출물이 AMPK를 활성화시키고, SREBP-1c 및 FAS의 발현은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참돔 추출물의 실험 결과로부터, 도미 추출물, 바람직하게 참돔 추출물은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도, 특히 지방간 개선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사성 증후군이란 인슐린 작용에 대한 조직의 반응이 감소되서 생기는 현상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 사람에게서 잘 동반되는 비만을 포함하여 위험인자들이 한 개인에게 군집되어 나타나는 경우를 지칭한다.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의 원인으로 유리 지방산의 증가에 의하여 유발되는 인슐린 작용의 손상과 포도당 대사의 경쟁적 억제가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김용기 외, 인슐린 저항성과 유리지방산, BRIC BioWave Vol.5 No.6 2003, pp 5.) 본 발명에 따른 도미 추출물, 바람직하게 참돔 추출물은 AMPK의 활성화를 통하여 대사성 증후군의 개선, 치료 및 방지의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미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인 추출의 방법으로 분리해 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미 추출물은 내동 보관된 원료를 분쇄한 다음 통상적인 용매 추출방법에 이용되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적당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따른 비만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라면 어느 추출방법이든 무관하다. 다만, 바람직하게, 에탄올이 추출용매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미 추출물, 바람직하게 참돔 추출물은 지방산 산화의 촉진 및 중상지방 합성을 억제하여,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의 개선 용도의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등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고자 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방산 산화 촉진 및 중성지방 합성 억제이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매일 약 0.01 mg/kg 내지 약 10 g/kg이 투여될 수 있으며, 약 0.1 mg/kg 내지 약 1 g/kg의 1일 투여 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편리성을 위하여 1일 총 투여량이 나누어지고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투여 경로 및 제형, 환자의 상태(연령, 성별, 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상태의 심각성, 도미 추출물의 순도와 함량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경구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중 어떠한 것에 의해서도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로는 정맥주사, 직장투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고형 제제, 반고형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부형제,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고형 제제로는 크림제, 로션제, 유화제, 리니멘트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액상 제제로는 물,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부형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활택제화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질들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다른 식품 성분과 함께 병용하여 사용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미 추출물, 바람직하게 참돔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목적(건강 또는 치료)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정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오즈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이리톨, 소르비톨, 에르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감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0.02~0.03g이다.
상기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천연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미 추출물 (S1) 도미를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S2) 상기 얻어진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는 에탄올이 가장 적당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S1) 도미를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S2) 얻어진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미 추출물을 통하여,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미 추출물, 바람직하게 참돔 추출물은 지방산 산화 촉진 및 중성지방 합성을 억제하여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의 개선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AMPK의 활성 및 SREBP-1c와 FAS의 발현을 억제시켜 지방산 산화 촉진 및 중성지방 합성을 억제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참돔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르는 참돔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지질축적억제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르는 참돔 추출물이 AMPK를 활성화시키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참돔 추출물이 SREBP-1c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의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참돔 추출물이 ACC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의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참돔 추출물이 FAS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참돔 추출물의 제조>
실험재료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 수산물시장에서 생물로 구입하여 실험실로 옮겨와 내장 및 두부를 제거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후 냉동보관하면서 추출시료로 사용하였다.
추출물 제조
냉동 보관된 원료를 조분쇄한 후 원료 중량대비 10배량의 80% 에탄올을 가하여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로 100℃에서 8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이 끝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6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고, 얻어진 상등액을 모아 여과(Toyo No 5C)한 후 여액을 동결 건조하였으며, 동결 건조된 분말을 지방간형성억제효과 분석용 원료로 사용하였다.
<참돔 추출물의 분석 방법>
세포 독성 여부 측정
인간 정상간세포주인 HepG2 세포에 대한 참돔 에탄올추출물의 세포독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96 well plate(Corning, NY, USA)에 5×104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MEM 배양액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후, 각 농도별(1000, 500, 250 μg/mL)로 처리하였고,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양액을 제거한 후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ITSBIO, Seoul, Korea)를 사용하여 MEM 배양액에 1/10로 희석하여 처리한 후 37℃ incubator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생성된 formazan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3회의 측정으로 그에 대한 평균값과 표준 오차를 구하였다.
세포배양 및 지질축적
실험에 사용한 인간 정상간세포주인 HepG2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 받았으며, 세포배양을 위해 5% CO2, 37℃ 배양기(MCO-15AC, SANYO, Gunma, Japan)에서 MEM(10% FBS, 100 unit/mL of penicillin G sodium, 100 μg/mL of streptomycin sulfate)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96 well plate(Corning, NY, USA)에 5×104cells/well의 농도로 seeding하여 배양하였고, 24시간 후 2% FBS medium을 사용하여 100 μL 0.5 mM FAs(containing palmitate, oleate in proportions of 6:4)를 처리한 후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때, HepG2 cell에 0.5 mM FAs를 처리한 후 30분 뒤에 추출물을 각각 100 μL씩 첨가하였고, 0.5 mM FAs로 간세포내 지방축적을 유도한 것을 대조군, 0.5 mM FAs로 간세포내 지방축적을 유도한 후 참돔 에탄올추출물을 처리한 것을 실험군으로하여 각각의 지질축적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Oil Red O staining을 통한 지질 축적 확인
간세포내 지질축적을 확인하기 위해 Oil red O 염색을 실시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된 간세포의 배양액을 제거한 후 PBS(phosphate-buffered saline)로 세포를 세척하였고, 10% formaldehyde 처리한 후 상온에서 5분, PBS로 세척 후 다시 10% formaldehyde를 4℃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를 고정하였다. 상등액 제거한 후 PBS로 세척하였고 세포내 생성된 lipid droplet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Oil-Red O 용액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즉, 0.3% Oil red O 50 μL를 처리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염색한 후 염색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하여 염색된 세포를 microscopic image(Olympus, Tokyo, Japan)로 관찰하였다. 또한 정량을 위해 isopropanol 100 μL를 가하여 세포의 염색액을 추출한 후 microplate reader(Thermo Scientific, Fiji, Finland)를 사용하여 51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대조군의 흡광도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Western blot 을 통한 단백질 발현의 분석
HepG2 세포는 lysis 완충액과 함께 분쇄기로 균질화한 후 단백질을 추출하였고, 시료는 완충액과 섞어 5분간 끓인 후 얼음 위에서 식혔다. 10% SDS-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한 후 membrane으로 전이시켰다. 5% BSA가 첨가된 용액으로 1시간동안 실온에서 blocking 시켰다. pAMPK(1:1000, Cell Signaling, USA), SREBP-1c(1:600, Cell Signaling, USA), ACC-1(1:1000, Cell Signaling, USA), ACC-2(1:1000, Cell Signaling, USA)의 1차 항체를 5% skim milk에 희석하여 4℃ 냉장고에서 over night 시켰다. 다음날 TBST 완충액으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2차 항체를 1:5000으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다시 TBST완충액으로 10분간 3회 세척한 후 ECL Plus로 30분간 반응시킨 뒤 X-ray film(Kodak, Japan)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통계처리
본 실험의 결과는 통계분석용 프로그램인 SPSS package program 18.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두 집단 간 평균치 분석은 독립 T 검정을 수행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차 검증을 실시하였고, 세 집단이상의 평균치 분석은 one-way ANOVA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평균들간의 유의성 검증은 (p<0.05)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 실험 결과>
세포 독성여부 평가
참돔 에탄올추출물의 세포독성은 HepG2 cell을 이용하여 MTT assay에 의해 측정하였다(도 1). 그 결과, 1000 ug/mL 농도에서 85.4%, 500 ug/mL 농도에서 92.7%, 250 ug/mL 농도에서 96.1%의 세포 생존률을 보여, 참돔 에탄올추출물이 간세포의 생장에는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Oil Red O staining 을 통한 지질 축적 평가
참돔 에탄올추출물의 간세포내 지질축적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지방산혼합물을 처리하지 않고 배양한 대조군, 지방산혼합물만을 처리하여 배양한 지질축적군과 지방산혼합물을 처리한 후 참돔 에탄올추출물을 첨가하여 배양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ORO 염색을 실시하였고, 염색 후 광학현미경을 통해 지질축적정도를 확인하였다(도 2). 지질축적정도는 간세포내에 형성된 지질덩어리와 ORO 용액이 반응하여 나타나는 붉은색의 정도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지질축적군의 지질축적정도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실험군의 지질축적정도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질축적군에 비해 참돔 에탄올추출물의 지질축적정도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참돔 에탄올추출물의 처리를 통해 간세포내 지질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Western blot 을 통한 단백질 발현의 분석 평가
AMPK 활성화 판단
간세포에서 참돔 에탄올추출물이 AMPK를 활성화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 HepG2 cell에 지방산혼합물(FAs)을 처리하지 않고 배양한 대조군, 지방산혼합물만을 처리하여 배양한 지질축적군과 지방산혼합물을 처리한 후 참돔 에탄올추출물을 첨가하여 배양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즉, 참돔 에탄올추출물을 농도별(1000, 500, 250 ug/mL)로 처리하고 AMPK의 인산화를 측정하였다(도 3). 그 결과, 참돔 에탄올추출물을 250, 500 및 1000 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AMPK의 인산화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SREBP -1c의 발현 판단
참돔 에탄올추출물이 SREBP-1c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epG2 cell에 참돔 에탄올추출물을 농도별(1000, 500, 250 ug/mL)로 처리한 후 western blot를 통해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도 4). 그 결과, 참돔 에탄올추출물을 250, 500 및 1000 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SREBP-1c의 단백질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ACC 의 발현 판단
참돔 에탄올추출물이 ACC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epG2 cell에 참돔 에탄올추출물을 농도별(1000, 500, 250 ug/mL)로 처리한 후 western blot를 통해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도 5). 그 결과, 참돔 에탄올추출물을 250, 500 및 1000 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ACC의 단백질 발현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AS 의 발현 판단
참돔 에탄올추출물이 FAS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epG2 cell에 참돔 에탄올추출물을 농도별(1000, 500, 250 ug/mL)로 처리한 후 western blot를 통해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도 6). 그 결과, 참돔 에탄올추출물을 250, 500 및 1000 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FAS의 단백질 발현은 대조군 및 지방산혼합물만을 처리하여 배양한 지질축적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Claims (8)

  1. 도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도미 에탄올 추출물은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화, SREBP-1c(Sterol Regulatory Binding Protein-1c) 발현 억제 또는 FAS(Fatty Acid Synthesis) 발현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미 에탄올 추출물은 참돔 에탄올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도미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도미 에탄올 추출물은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활성화, SREBP-1c(Sterol Regulatory Binding Protein-1c) 발현 억제 또는 FAS(Fatty Acid Synthesis) 발현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미 에탄올 추출물은 참돔 에탄올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삭제
  8. 삭제
KR1020130043052A 2013-04-18 2013-04-18 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101512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52A KR101512676B1 (ko) 2013-04-18 2013-04-18 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52A KR101512676B1 (ko) 2013-04-18 2013-04-18 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918A KR20140125918A (ko) 2014-10-30
KR101512676B1 true KR101512676B1 (ko) 2015-04-17

Family

ID=5199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052A KR101512676B1 (ko) 2013-04-18 2013-04-18 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6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4320A1 (en) * 2005-04-20 2009-02-26 Protemix Discovery Limited Vesiculins
JP5099808B2 (ja) * 2006-05-29 2012-12-19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4320A1 (en) * 2005-04-20 2009-02-26 Protemix Discovery Limited Vesiculins
JP5099808B2 (ja) * 2006-05-29 2012-12-19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제철에 즐기는 일품요리집, 생선』(2006년 6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918A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856B1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771726B2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KR20160139072A (ko) 딱지꽃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2438938B1 (ko) 바이탈멜론 (kctc14699bp)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70023910A (ko) 퀘르세틴-3-o-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88871B1 (ko) 차전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5010067A (ja) 肝機能改善用製剤
KR101735061B1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414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50003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1512676B1 (ko) 도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지방간 또는 대사성 증후군 개선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KR101427253B1 (ko) 미더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산 산화 촉진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KR102178199B1 (ko)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9452192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metabolic syndrome comprising tea plant leaf, flower and seed extract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070060306A (ko) 시코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20140072625A (ko) 들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57969B1 (ko) 어저귀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1560364B1 (ko) 누룩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의 치료용 조성물
KR101547246B1 (ko) 좀돌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056882A (ko) 칠해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11233B1 (ko) 차파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20200125154A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3715B1 (ko) 마스티시아 알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