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316B1 -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316B1
KR102172316B1 KR1020200013753A KR20200013753A KR102172316B1 KR 102172316 B1 KR102172316 B1 KR 102172316B1 KR 1020200013753 A KR1020200013753 A KR 1020200013753A KR 20200013753 A KR20200013753 A KR 20200013753A KR 102172316 B1 KR102172316 B1 KR 10217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ose
composition
extract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상원
프라사드 코디뮬 샴
Original Assignee
대한켐텍 주식회사
비드야 허브스 피브이티.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켐텍 주식회사, 비드야 허브스 피브이티. 엘티디. filed Critical 대한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장미꽃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A composition comprising rose flower extract for reducing body fat and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장미꽃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지방 분해 및 감소 효과에 의하여 항비만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내에 지방이 쌓이면 비만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내 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있어 여러 건강상의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 원인으로는 지나친 열량 섭취, 운동 부족, 내분비 장애, 유전적 요인 등이 있다.
최근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2016년 세계보건기구(WHO) 통계에 따르면, 18세 이상의 성인 중 20억이 과체중이며, 그 중 비만인구가 무려 6.5억에 달하며, 2020년 비만으로 유발된 암·당뇨병·심혈관질환 등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전체 사망자의 73%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즉 비만 자체만으로도 건강에 문제가 되지만, 비만은 심혈관계 질환, 제 2형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등과 같은 대사증후군을 일으키는 요인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비만을 약물로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다. 비만을 개선하기 위한 약물로는 작용기전에 따라 식욕억제제와 지방흡수 억제제로 나누어진다. 식욕을 억제하는 펜터민(phentermine)과 디에틸프로피온(diethylpropion)은 혈압 상승, 어지럼증, 두통, 진전, 구갈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시부트라민(sibutramine)은 심혈관계 부작용이 있다. 지방흡수 억제제인 올리스타트(orlistat)의 경우에는 지방에 용해되는 비타민의 흡수가 억제되고 지방변, 지방배출, 빈번한 배변, 대변 실금의 부작용이 있다.
한편 상기 약물의 경우 추가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이미 비만 상태인 사람이 비만을 해소하는 데는 도움이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안전하면서도 항비만 효능이 우수한 약물 또는 식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특히 부작용이 적은 천연 기능성 소재 또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사과 다이어트, 포도 다이어트, 요쿠르트 다이어트, 토닝 시스템, 원적외선 사우나복 등 여러 가지 다이어트법들이 소개되고 있고, 또 시중에 다이어트를 위한 제품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식사대용식 다이어트 제품들이 요즘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사대용식 제품들이 어느 정도 체중감량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발생시키는 효과가 미미하고, 영양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신체에 상당한 무리를 주기 쉽고, 체중감소와 더불어 기초대사율도 급속하게 감소되는데, 이 경우 감소된 기초대사율 만큼의 칼로리 여분이 지방으로 바뀌게 되어 다이어트를 하기 전보다 체중이 더 증가하는 요요현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부작용으로 피부가 거칠어지는 문제도 있다.
공개특허 10-2011-0072153 공개특허 10-2004-0031398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성분으로 체지방을 분해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비만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고 그 결과 장미꽃잎 추출물이 체지방 분해 및 감소에 효과적이면서 또한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장미꽃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미꽃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미꽃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미꽃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체지방 분해 및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항비만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피부가 거칠어지는 부작용이 없이 체지방만을 분해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피부 보습과 미백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장미꽃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장미꽃잎으로부터 체지방 분해 및 감소에 효과적인 유효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 후 쥐의 체중 변화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 후 쥐의 간의 무게 변화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 후 쥐의 지방세포 크기 변화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 후 쥐의 콜레스테롤 수치 변화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 후 쥐의 공복혈당 변화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 후 쥐의 지방생성 전사인자 및 지질대사효소 발현 결과이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 성분으로 체지방을 분해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비만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장미꽃잎 추출물, 특히 폴리페놀을 60중량%이상 포함하는 장미꽃잎 추출물이 체지방 분해 및 감소 활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장미꽃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장미꽃잎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용액상태일 수 있고 건조하여 분말화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미꽃잎 추출물은 장미 중에서 특히 꽃술 등은 제거한 순수 장미꽃잎을 추출용매로 처리한 결과물이다. 본 발명은 장미꽃잎만을 포함함으로써 체지방 분해 및 감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더불어 피부 보습효과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노화 특성(잔주름/주름, 반점, 색소침착, 피부톤)과 전반적인 피부결을 개선하고 피부에 보습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미꽃잎 추출물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장미는 식용허가된 것으로 다양한 품종 중 바람직하게는 로사 멀티플로라 바 플라티필라(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이다. 본 발명은 특히 로사 멀티플로라 바 플라티필라종을 사용하는 경우 체지방 분해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장미꽃잎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놀을 60중량%이상 포함한다. 폴리페놀은 동일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의 총칭으로 그 종류는 5,000종 이상에 이른다고 말해지며, 페닐카르복실산계, 리그난계, 쿠르쿠민계, 쿠마린계, 플라보노이드계 등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장미꽃잎 추출물은 폴리페놀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플라보노이드계 폴리페놀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피제닌(apigenin), 루틴(rutin), 루테올린(luteolin),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세틴(isoquercetin), 캠페롤(kaempferol), 이소람네틴(isorhamnetin) 및 헤스페리딘(hesperid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을 포함하고,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퀘르세틴, 이소퀘르세틴 및 캠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미꽃잎 추출물은 상기 폴리페놀을 60중량%이상 함유함으로써 체지방 분해 및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미꽃잎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이소퀘르세틴(Isoquercetin)을 2-5중량% 포함하는 것으로 이 경우 인체에 대한 부작용 없이 체지방을 분해 및 감소시키고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보습 및 미백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은 장미꽃잎 추출물 10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실험용 쥐에 시험한 결과 쥐의 간과 백색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본 발명 조성물의 항 비만효과의 기전에는 지방합성 전사인자인 PPARγ와 지질대사효소인 C/EBPα 발현의 하향조절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InR-β, PI3K, pArk와 같은 인슐린 신호 경로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여 간의 인슐린 감수성 증가시키고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체지방 감소와 더불어 염증 및 인슐린 저항성과 같은 비만관련 합병증을 완화시키는 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하 본 발명의 체지방 분해 및 감소에 포함되는 장미꽃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체지방 분해 및 감소에 포함되는 장미꽃잎 추출물은
1) 말린 장미꽃잎을 60~80중량% 에탄올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분리하여 얻는 단계
2)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얻는 단계
3) 상기 농축물을 2단이상의 다단 트레이에 각각 펼쳐놓고 감압챔버에서 건조하는 단계 및
4) 건조하여 얻은 고형물을 모아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 4) 이후 체질하여 일정한 입자 사이즈를 갖는 고형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4) 이후 분쇄 과정에서 철분 등의 불순물이 섞였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진공 상태에서, 50℃ 이하의 온도에서 10~3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온도에서 건조함으로써 추출물 중 유효성분을 분해없이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고 폴리페놀을 60중량%이상 함유하는 장미꽃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장미는 품종이 로사 멀티플로라 바 플라티필라(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이고 장미꽃잎은 꽃술은 제거한 순수 장미꽃잎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장미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장미꽃잎 추출물을 30~60중량%, 바람직하게는 40~5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식품이 장미꽃잎 추출물을 상기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체지방 분해 및 감소 효과가 우수한 한편, 인체 부작용이 없고 피부 거칠어짐이 없는 효과가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추가로 비타민 C, 아연, 구리, 등의 성분과 부형제, 첨가제, 활택제, 유화제 및 유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로 락토스(lactose), 전분(starch),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이산화규소,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활택제로 탈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 glyceryl behanate, vegetable oil,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하드캡슐, 소프트캡슐, 젤리, 액상, 분말, 페이스트, 겔, 환, 과립, 정제 또는 시럽 형태의 경구용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슐형태의 경구제일 수 있으며, 상기 캡슐은 하드캡슐 또는 소프트 캡슐일 수 있다. 상기 하드캡슐은 활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 캡슐은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대두유, 카놀라유, 홍화씨유 등의 유지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유화제로 황납(bees wax)와 레시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바람직하게는 내용물로 장미꽃잎 추출물 40~50중량%, 말토덱스트린 40~50중량%, 이산화규소 1~3중량%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3중량% 포함하는 하드캡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바람직하게는 내용물로 장미꽃잎 추출물 30~50중량% 및 유지 50~70중량%를 포함하는 소프트캡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상기 성분을 상기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지방 분해 및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개선 효과도 우수하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적합하다.
건강기능식품의 1일 섭취량은 장미꽃잎 추출물 중량기준 200~600mg, 바람직하게는 200~400mg이다.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건강기능식품을 상기 함량으로 섭취하는 경우 체지방을 분해 및 제거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의해 당업자가 본 개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 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거나 모든 물질적 이점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실시예 1.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제조
건조된 장미꽃잎 1kg에 65중량% 에탄올 3liter를 넣고 65℃에서 6시간 동안 추출공정을 진행하고, 이후 반응물을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을 감압증류하여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 농축액을 3단 트레이 각각에 펼쳐놓고 감압챔버에 넣고 50℃이하에서 20시간 동안 건조하여 고형물을 얻었다.
상기 고형물을 분쇄하여 미분의 장미꽃잎 추출물 고형분을 얻었다.
고형분에 포함된 성분을 HPLC로 분석하였다.
고형분 중 이소퀘르세틴 함량은 총 2.5중량%이고 총폴리페놀의 함량은 71.24중량%이다.
상기 추출물 고형분 100중량%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하드캡슐 형태의 피부건강기능식품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200mg과 말토덱스트린 204mg을 20mesh 체에 사별하여 10분간 혼합한다.
이산화규소 7.6mg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8.4mg를 20mesh 체에 사별하여 투입 후 10분간 혼합하고 이를 하드캡슐에 넣어 하드캡슐 형태의 피부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소프트 캡슐 형태의 피부건강기능식품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200mg과 해바라기씨유 400mg을 혼합하여 소프트캡슐 형태의 피부건강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조성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실시예 1 조성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Folin-ciocalteu 법으로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65w/w%이다.
실험예 2. 실시예 1 조성물의 항산화능 시험
1) DPPH scavenging activity
(1) 시험법: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용액을 95% 메탄올로 준비한다. 제조한 DPPH 용액을 각 시험관에 넣고 각기 다른 농도의 시험액(20-100 ㎍/mL)을 첨가하여 20분간 배양한다.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해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blank: 시료를 넣지 않은 동일 부피의 반응 혼합액)
(2) 계산식: %Scavenging = Ac-As / Ac ×100 (Ac: control 흡광도, As: 시험액 흡광도)
본 발명의 실시예 1 조성물은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하여 농도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100 μg / ml 농도에서 최대 활성(89.09 %)을 보였다.
Figure 112020012136436-pat00001
2)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1) 시험법: 모든 용액은 인산 완충액(pH 7.4)을 이용해 준비한다. 1mL의 NBT(156 μM)와 1mL의 NADH(468 μM), 3mL의 시험액(100-1000 ㎍/mL)을 각각의 시험관에 넣는다. 100mL의 PMS (60μM)를 넣으면 반응이 시작되며 혼합액을 25℃에서 5분간 배양하고 곧바로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2) 계산식: %Scavenging = Ac-As / Ac ×100 (Ac: control 흡광도, As: 시험액 흡광도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NBT를 감소시키는 능력으로 측정하며 실시예 1 조성물과 표준물질(아스코르브산)의 과산화물 라디칼 소거능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 의하면 실시예 1 조성물은 아스코르브산 정도의 강력한 과산화물 라디칼 제거제임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20012136436-pat00002
3) 총 항산화 활성(phosphomolybdenum 법)
(1) 시험법: 0.3mL의 시험액(100-1000 ㎍/mL)을 3mL의 반응액(0.6 M 황산, 28 mM의 인산나트륨, 4mM의 몰리브덴산암모늄)과 혼합한다. 반응혼합물을 95℃에서 90분간 배양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695nm에서 blank와 대조하여 시험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항산화 활성은 아스코르브산(AAE)의 당량수로 표현된다.
하기 표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다.
Figure 112020012136436-pat00003
실험예 3. 항-리파아제 활성
(1) 시험법: 10 mM MOPS(morpholinepropanesulphonic acid)를 함유한 완충액에 6㎕ porcine pancreatic lipase 용액과 1mM EDTA, pH 6.8을 169㎕ Tris 완충액(100mM Tris-HCl 및 5mM CaCl2, pH 7.0)에 추가하여 효소 완충액을 준비한다. 다양한 농도의 ROSEFIT 20㎕를 175㎕ 효소완충액에 혼합하여 5㎕의 기질용액(dimethyl formamide에 녹인 10mM의 p-NPB)과 함께 15분간 37℃에서 배양한다(효소 반응 진행). 리파아제 활성은 405nm에서 p-NPB top-nitro phenol의 가수분해를 측정하여 결정한다. 리파아제활성의 억제는 검체와 porcine pancreatic lipase를 배양할 때 OD의 감소율을 이용해 표현.
(2) 계산식: Inhibition%= 100-{B-b/A-a×100}, (A: 억제제 제외 활성, a: 억제제 제외 음성대조군, B: 억제제 포함 활성, b: 억제제 포함 음성대조군)
본 발명의 실시예 1 조성물은 모든 농도에서 뛰어난 리파아제 억제 활성을 보인다.
Figure 112020012136436-pat00004
실험예 4. 피부 영향 평가
실시예 1 조성물의 노화방지 효능(주름, 색소 침착, 피부톤 등) 및 피부결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
25-55세의 건강한 여성.
피츠패트릭 피부유형(Fitzpatrick skin types) 3-5형.
안와(눈가 잔주름) 및 이마에 육안으로 보이는 잔주름 및 주름이 있는 대상자.
피부과 전문의에 판단에 의해 얼굴 전체에 적어도 하나의 반점(여드름 후 PIH/주근깨/태양에 의한 흑자) 이 있는 대상자(최소 크기 3mm). 균일하지 않은 피부톤과 피부노화에 고민이 있는 대상자.
디자인 12주간 시험물질을(VHPL/01 - Rose Petal Extract)을 사용한 여성을 대상으로 총 4번의 방문에 걸쳐 주름개선 및 항노화 기능을 평가한다.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한 피부 밝기(luminosity), Corneometer를 이용한 피부 수분량, Antera를 이용한 피부결, 피부과 평가, VISIA 이미지를 사용한 피부과전문의의 이미지 기반 비교평가, 대상자의 자가 평가를 각각 진행.
적용기간 12주
바이오마커 피부 밝기(luminosity), 피부 수분량, 피부결, 피부과 평가, 이미지 기반 비교평가, 자가 평가
1. 피부 밝기
(1) Forehead-L: 평균 측정값은 기준(baseline)시점으로부터 12주차까지 유의하게 증가(방문 2,3,4 시점에 각각 p<0.01)하여 시험물질이 피부밝기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2) Spot-L: 기준시점으로부터 12주차까지 유의하게 증가(방문 2,3,4 시점에 각각 p<0.01)하여 시험물질이 반점 강도(spot intensity)를 감소시킴을 시사한다.
(3) Background-Spot ΔL: 기준시점으로부터 12주차까지 감소하였으며, 방문 2, 4 시점에 유의한 색소침착(spot pigmentation) 감소를 보인다(각각 p<0.05).
상기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12136436-pat00005
2. 피부 수분량
평균 측정값은 기준(baseline)시점으로부터 12주차까지 유의하게 증가(방문 2,3,4 시점에 각각 p<0.01)하여 시험물질이 피부보습에 유용함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12136436-pat00006
3. 피부결
(1) 거칠기: 평균 측정값은 기준(baseline)시점으로부터 12주차까지 유의하게 감소(방문 2,3,4 시점에 각각 p<0.01)하여 시험물질이 피부 거칠기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함을 시사한다.
(2) 이마 잔주름: 평균 측정값은 기준시점으로부터 12주차까지 유의하게 감소(방문 2,3,4 시점에 각각 p<0.01)하여 시험물질이 잔주름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함을 시사한다.
(3) 눈가 잔주름: 평균 측정값은 기준시점으로부터 12주차까지 유의하게 감소(방문 2,3,4 시점에 각각 p<0.01)하여 시험물질이 눈가잔주름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함을 시사한다.
(4) 코입술주름(왼쪽&오른쪽): 평균 측정값은 기준시점으로부터 12주차까지 유의하게 감소(방문 2,3,4 시점에 각각 p<0.01)하여 시험물질이 코입술주름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함을 시사한다.
(5) 멜라닌(색소침착): 평균 측정값은 기준시점으로부터 12주차까지 유의하게 감소(방문 2,3,4 시점에 각각 p<0.01)하여 시험물질이 색소침착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함을 시사한다.
4. 피부과 평가
(1) 주름 및 잔주름 육안평가(MSCR 척도:1-9): 유의한 변화 없음.
(2) 눈아래 잔주름(1-9): 기준시점과 비교해 방문 3, 4시점에 유의하게 감소(각각 p<0.05, p<0.01).
(3) 전반적인 피부톤의 육안평가(1=매우 불균일, 5=매우 균일): 기준시점과 비교해 방문 3, 4시점에 유의하게 개선(각각 p<0.05, p<0.01).
(4) 피부결의 육안평가(1=매우 거침, 5=매우 부드러움): 기준시점과 비교해 12주차까지 유의하게 개선(방문 2,3,4 시점에 각각 p<0.01).
(5) 피부 색소 침착의 육안평가(1=밝음, 24=어두움): 기준시점과 비교해 12주차까지 유의하게 감소(방문 2,3,4 시점에 각각 p<0.01).
(6) 피부 수분량의 육안평가(0=매우 불균일, 10=매우 균일): 기준시점과 비교해 12주차까지 유의하게 개선(방문 2,3,4 시점에 각각 p<0.01).
실험예 5. 쥐를 대상으로 하는 항 비만 효과
<준비>
동물: Mice(12주령, male)
<시험디자인>
하기 표 8과 같이 시험디자인 하였다.
대조군 1. 그룹 1: 일반식이 섭취 (일반 대조군)
2. 그룹 2: 고지방 식이 섭취 (고지방 식이 대조군)
시험군 그룹 3: 고지방 식이 섭취 + 실시예 1의 조성물 100mg/kg b.w. (100mg/kg 시험군)
그룹 4: 고지방 식이 섭취 + 실시예 1의 조성물 200mg/kg b.w. (200mg/kg 시험군)
디자인 쥐를 4 그룹으로 나누고 그룹 1은 일반 식이를, 그룹 2-4는 고지방 식이(D12451, 45%kcal fat)를 14주간 섭취시킨다.
9주부터 14주까지 그룹 3과 4에 각각 실시예 1의 조성물 100mg/kg b.w과 200mg/kg b.w.을 강제 경구 투여한다.
매일 식이 섭취량을 관찰하고 매주 몸무게를 기록한다.
14주째에 쥐를 안락사 시키고 혈액 샘플 및 간, 부고환 지방, 장간막 지방을 채취한다.
간과 지방조직의 무게 및 지방세포 크기를 측정하고 HE 염색 및 Oil Red O 염색법을 통해 병리조직학, 형태학적 검사를 수행한다.
혈액 내 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 LDL-c, HDL-c)과 중성지방을 측정. 공복 혈당 및 경구 당부하 검사.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통해 간에서의 인슐린 신호 전달 경로 단백질(InR-β, PI3K, pAKT, GSK-3β)과 지방생성 전사인자(PPARγ, C/EBPα), 염증성 단백질(NF-kB, Cox-2, iNOS, TNF-α)의 발현을 측정.
섭취량 100 mg/kg/일
200 mg/kg/일
섭취기간 6주
(9 - 14주)
바이오마커 체중, 식이 섭취량, 지방조직무게, 지방세포크기, 혈중 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c, HDL-c, 중성지방), 공복 혈당, 인슐린 신호 전달 경로 단백질(InR-β, PI3K, pAKT, GSK-3β)발현, PPARγ 및 C/EBPα의 발현, 염증성 단백질(NF-kB, Cox-2, iNOS, TNF-α) 발현
<시험결과>
일일 식이 섭취량 및 체중 변화
일반 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대조군(high-fat diet, HFD)에서 체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실시예 1의 조성물 섭취 2주 후부터 고지방 식이 대조군 대비 시험군에서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고지방 식이 대조군 대비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군에서 일일 식이 섭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간의 무게와 지방 축적, 조직병리학적 변화
일반 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대조군에서 간의 무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섭취 6주차에 고지방 식이 대조군 대비 시험군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간의 무게가 감소하였다(100mg/kg 시험군에서 p<0.05, 200mg/kg 시험군에서 p<0.01).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일반 식이를 섭취한 대조군의 간에서는 정상적인 조직형태가 나타나며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대조군에서는 지방간의 특징적인 특성인 지방소립(lipid droplets)의 축적이 나타났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군에서는 정상적인 간 조직으로의 회복이 나타났다.
일반 대조군에서는 지방축적이 나타나지 않으며 고지방 식이 대조군에서는 붉게 염색된 지방 액포가 관찰된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군에서는 간의 지방축적이 감소하였다.
지방조직무게 및 형태학적 변화
일반 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대조군에서 부고환지방조직 무게(p<0.001) 및 장간막 지방조직 무게(p<0.01)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고지방 식이 대조군 대비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군에서는 용량 의존적으로 지방조직 무게가 감소하였다(부고환지방조직: 100 및 200mg/kg 시험군에서 각각 p<0.01, 장간막 지방조직: 200mg/kg 시험군에서 p<0.05).
일반 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대조군에서 지방세포크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고지방 식이 대조군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군에서 지방세포크기가 감소하였다(200mg/kg 시험군에서 p<0.001).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혈중 지질 변화
일반 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대조군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각각 p<0.001) 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유의하게 낮았다(p<0.01).
100mg/kg 시험군에서 고지방 식이 대조군 대비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유의하게 낮았다(p<0.01)
200mg/kg 시험군에서 고지방 식이 대조군 대비 총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각각 p<0.001),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음(p<0.01).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내당능 및 간의 인슐린 신호에 미치는 영향
일반 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대조군에서 공복 혈당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고지방 식이 대조군 대비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군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공복 혈당이 낮았다(100 및 200mg/kg 시험군에서 각각 p<0.001).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고지방 식이 대조군에서는 일반 대조군 대비 현저히 내당능이 떨어졌으며 당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고지방 식이 대조군 대비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군에서는 당수치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01)
일반 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대조군에서는 InR-β, PI3K, pAKT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GSK-3β발현이 증가한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한 시험군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회복되었다.
지방생성 전사인자 및 지질대사효소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일반 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대조군에서 PPARγ 및 C/EBPα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각각 p<0.01, p<0.05).
고지방 식이 대조군 대비 100mg/kg 시험군에서 PPARγ 및 C/EBPα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각각 p<0.01, p<0.05), 200mg/kg 시험군에서 감소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각각 p<0.001, p<0.01).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간에서 염증성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일반 대조군 대비 고지방 식이 대조군에서 염증성 단백질 중 Cox-2 및 TNF-α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각각 p<0.05, p<0.01).
고지방 식이 대조군 대비 100mg/kg 시험군에서 Cox-2 및 TNF-α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각각 p<0.001, p<0.05).
고지방 식이 대조군 대비 200mg/kg 시험군에서 NF-kB, Cox-2, TNF-α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각각 p<0.01, p<0.001, p<0.001).
14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비만쥐 모델에서 6주간의 실시예 1의 조성물 섭취는 체중 및 식이 섭취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실시예 1의 조성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간과 백색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켰다. 간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에서 실시예 1의 조성물은 고지방 식이로 인한 간의 지방축적을 감소시키고 정상 간의 구조로 회복시켰다. 이러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의 항 비만효과의 기전에는 지방합성 전사인자인 PPARγ와 지질대사효소인 C/EBPα 발현의 하향조절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은 InR-β, PI3K, pArk와 같은 인슐린 신호 경로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여 간의 인슐린 감수성 증가시키고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실시예 1의 조성물이 체지방 감소와 더불어 염증 및 인슐린 저항성과 같은 비만관련 합병증을 완화시키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Claims (11)

  1. 장미꽃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로
    상기 장미는 품종이 로사 멀티플로라 바 플라티필라(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이고,
    상기 장미꽃잎은 꽃술은 제거한 순수 장미꽃잎으로
    상기 장미꽃잎을
    1) 말린 장미꽃잎 1kg에 대해 60~80중량% 에탄올수용액 3L의 비율로 사용하여 6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액을 분리하여 얻는 단계
    2)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얻는 단계
    3) 상기 농축물을 2단이상의 다단 트레이에 각각 펼쳐놓고 진공상태의 감압챔버에서 50℃ 이하의 온도에서 10~3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4) 건조하여 얻은 고형물을 모아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추출하여
    상기 장미꽃잎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계 폴리페놀을 60중량%이상 포함하고,
    상기 장미꽃잎 추출물은 이소퀘르세틴을 2-5중량% 포함하고
    상기 장미꽃잎 추출물은 이소퀘르세틴 이외의 폴리페놀로 아피제닌(apigenin), 루틴(rutin), 루테올린(luteolin), 퀘르세틴(quercetin), 캠페롤(kaempferol), 이소람네틴(isorhamnetin) 및 헤스페리딘(hesperid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의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정제, 하드캡슐, 소프트캡슐, 젤리, 액상, 분말, 페이스트, 겔, 환, 과립 또는 시럽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내용물로 장미꽃잎 추출물 40~50중량%, 말토덱스트린 40~50중량%, 이산화규소 1~2중량%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3중량%를 포함하는 하드캡슐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내용물로 장미꽃잎 추출물 30~50중량% 및 유지 50~70중량%를 포함하는 소프트캡슐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11. 1) 말린 장미꽃잎 1kg에 대해 60~80중량% 에탄올수용액 3L의 비율로 사용하여 65℃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액을 분리하여 얻는 단계
    2)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얻는 단계
    3) 상기 농축물을 2단이상의 다단 트레이에 각각 펼쳐놓고 진공상태의 감압챔버에서 50℃ 이하의 온도에서 10~30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4) 건조하여 얻은 고형물을 모아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장미는 품종이 로사 멀티플로라 바 플라티필라(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이고,
    상기 장미꽃잎은 꽃술은 제거한 순수 장미꽃잎이고,
    상기 장미꽃잎 추출물은 폴리페놀을 60중량%이상 포함하고
    상기 장미꽃잎 추출물은 이소퀘르세틴을 2-5중량% 포함하고
    상기 장미꽃잎 추출물은 이소퀘르세틴 이외의 폴리페놀로 아피제닌(apigenin), 루틴(rutin), 루테올린(luteolin), 퀘르세틴(quercetin), 캠페롤(kaempferol), 이소람네틴(isorhamnetin) 및 헤스페리딘(hesperid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미꽃잎 추출물 제조방법
KR1020200013753A 2020-02-05 2020-02-05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17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753A KR102172316B1 (ko) 2020-02-05 2020-02-05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753A KR102172316B1 (ko) 2020-02-05 2020-02-05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316B1 true KR102172316B1 (ko) 2020-10-30

Family

ID=7304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753A KR102172316B1 (ko) 2020-02-05 2020-02-05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1740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5972A (ja) * 2002-08-09 2004-03-11 Eromlife Co Ltd 抗酸化活性を有する野茨の抽出物、野茨の抽出物の製造方法および野茨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20040031398A (ko) 2002-10-05 2004-04-13 주식회사 한국메디 탄수화물과 지방흡수를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식품 조성물
KR20110072153A (ko) 2009-12-22 2011-06-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장미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JP2019104705A (ja) * 2017-12-13 2019-06-27 国立大学法人岐阜大学 脂肪代謝改善剤、脂肪代謝改善剤の製造方法、組成物および成形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5972A (ja) * 2002-08-09 2004-03-11 Eromlife Co Ltd 抗酸化活性を有する野茨の抽出物、野茨の抽出物の製造方法および野茨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20040031398A (ko) 2002-10-05 2004-04-13 주식회사 한국메디 탄수화물과 지방흡수를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식품 조성물
KR20110072153A (ko) 2009-12-22 2011-06-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장미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JP2019104705A (ja) * 2017-12-13 2019-06-27 国立大学法人岐阜大学 脂肪代謝改善剤、脂肪代謝改善剤の製造方法、組成物および成形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1740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유한건강생활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3580A (ko) 노화 방지제 및 노화 방지 방법
US20080206175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Vaccinium Uliginosum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WO2012052685A1 (fr) Produit de traitement de la cellulite, du vieillissement cutané et de prevention des processus inflammatoires.
KR20210153027A (ko) 노화방지제 및 노화방지방법
JP201119550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抗老化剤およびしわ改善剤
JP2009046465A (ja) 皮膚化粧料及び飲食品
EP285989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uscular disorders
KR102172316B1 (ko) 장미꽃잎 추출물 포함 체지방 분해 및 감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JP4420357B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6778026B2 (ja) 4’−デメチルノビレ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美白剤および美白用飲食物
JP2013151451A (ja) ツリフネソウ抽出物を含む抗酸化・抗アレルギー剤
JP2008297214A (ja) 美肌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201119553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抗老化剤およびしわ改善剤
JP2005220100A (ja) 抗老化剤、血小板凝集抑制剤、抗酸化剤、抗アレルギー剤、皮膚化粧料及び飲食品
JP2005047839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KR102106440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 배양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05060338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JP4413272B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2011201785A (ja) 抗肥満剤
KR101373493B1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7081874A (ja) 経口摂取又は投与用皮膚保湿剤
RU244511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асла из семян тыквы, используемого в лечебных, пищевых и косметических целях и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е средство
KR100640094B1 (ko) 콜레스테롤 저하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녹차씨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32830B1 (ko) 쌀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JP2019202967A (ja) 抗老化用組成物、抗老化用皮膚化粧料および抗老化用飲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