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278B1 -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278B1
KR100947278B1 KR1020070086301A KR20070086301A KR100947278B1 KR 100947278 B1 KR100947278 B1 KR 100947278B1 KR 1020070086301 A KR1020070086301 A KR 1020070086301A KR 20070086301 A KR20070086301 A KR 20070086301A KR 100947278 B1 KR100947278 B1 KR 100947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weight
composition
part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644A (ko
Inventor
조정혁
김성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8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27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엽을 주성분으로 하고, 의이인 및 함초를 부성분으로 하는 10 여종 천연물의 알코올 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만 및 기타 비만 관련 질환 치료 활성과 억제 활성을 가지는 경구용 제제와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한 비만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엽, 생강, 계지의 알코올 추출물과, 의이인, 함초 등의 알코올 추출물과 식이 섬유 등으로 구성되어,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용 제제에 주재료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 치료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의 성분들을 제조하는 방법 및 비만 및 비만 관련 질환 치료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이용한 비만 치료제가 제공된다.
비만, 하엽, 의이인, 함초, 알코올 추출

Description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 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A CARBOHYDRATE AND LIPID ABSORPTION INHIBITORY NELUMBO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생약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란 과다한 체중을 가진 상태로,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이상, 여자는 3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임상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30 이상인 경우로 정의된다(대한비만학회 편역: 비만의 진단과 치료, 서울, 도서출판 한의학, 2003; Garrow JS: Obesity and related Diseases,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1988).
비만은 21세기 들어 단일 질환으로서는 가장 위험하고 치사율이 높은 병에 해당한다. 그 이유는 비만이 비만 그 자체로서도 위험하지만 지방조직에 의한 복부의 압박으로 인하여 변비와 소화불량, 위장 장애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다양한 질병의 위험도를 유의적으로 높여 주기 때문이다. 비만으로 위험도가 증가하는 질환으로는 대표적으로 제2형 당뇨, 고혈압, 관상 동 맥 질환, 뇌졸중 및 각종 암(cancer)이다.
전세계적으로 성인 남녀 비만 환자수는 3억 명에 달하고, 미국이 가장 비율이 높아 65% 이상의 성인이 비만으로 기록 되고 있다. 또한 매년 30만 명이 비만 관련 질환으로 사망하고 있다(Allison DB et. al: prevalence & Trends in Obesity among US adults, 1999-2000, JAMA 288:1723-7, 2002; WHO, Obesity: Preventing & Managing Global Epidemic, Report of WHO Consultation on Obesity, 3-5 June, 1997).
이러한 비만은 사람들이 잉여 칼로리를 지방 형태로 몸에 저장하기 때문에 나타나며, 경제 발전과 기술의 진보에 힘입어 지방과 당분의 섭취는 늘고 섬유질의 섭취는 줄어드는 새로운 식사문화, 특히 외식문화가 정착된 것과, 육체적인 활동이 거의 없는 현대인의 생활 습관으로 인해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값싼 고지방 식품을 구하기 쉬워진 것이 그 주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동일 세대에서 비만이 폭발적으로 발생함으로써 다이어트, 운동 혹은 생활 습관 변화만으로는 이를 해결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의약품이나 식품 의약(nutraceuticals)을 통해 비만 문제 해결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비만 치료에 있어서 항비만 약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항비만 약물은 그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까지 비만 약물치료에 쓰이는 많은 제품들이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많은 심각성을 나타내고 있음이 주지의 사실이다.
예를 들어, 덱스펜플루라민(dexfenfluramine)과 펜플루라민(fenfluramine)은 세로토닌(serotonin) 재흡수 억제제로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은 받았으나 심장판막의 이상이 발견되어 1997년 10월에 시장에서 제품이 회수되었고, 플루섹틴(fluoxectin)은 알러지성 발진, 메스꺼움, 불면증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으며, 디에틸프로피온(diethylpropion), 펜테르민(phentermine) 및 마진돌(mazindol) 등에서도 불면증, 두통, 메스꺼움, 갈증 등의 부작용이 관찰되고 있다. 또한, 시부트라민(sibutramine)의 심혈관계에 부작용에 대한 보고와 최근 들어서 폭발적인 판매를 올리고 있는 비만치료제의 전문의약품인 올리스타트(orlistat, 상품명: Xenical)의 위장관 계열 부작용 등이 그것이다(Fujioka K et al., Diabetes Obes . Metab ., 2(3), pp175-187, 2000 ; Leung WYS et al., Clinical Therapeutics, 25(1), pp58-80, 2003 ; McMahon FG et al., Arch . Int . Med ., 160(14), pp2185-2191, 2000).
특히, 시부트라민(sibutramine, 상품명: Reductile)의 경우에는 포만감을 유도하여 식욕을 억제하나, 고가일 뿐만 아니라 과잉 행동 및 불면증 및 성욕 억제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또한, 최근 들어서 폭발적인 판매를 올리고 있는 비만치료제의 전문의약품인 올리스타트는 지방 대사 억제제로서 지방 분자의 구성요소인 지방산(fatty acid)과 글리세라이드(glyceride)의 분해 대사 효소를 억제함으로써 20% 정도의 지방 분자가 그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으나 역시 고가이며 지방변이 나타나고 지용성 비타민의 섭취가 부족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비만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 외에도 에페드린(마황) 제제는 과잉 식용 억제로 인한 정 신적 스트레스가 단점이다.
그러나 상기 부작용을 감안하고 섭취하더라도 이들 의약품들의 효과는 5 ~ 10% 정도의 체중 감소 효과 정도로서 환자나 의사의 기대 목표 15 ~ 20% 에 훨씬 못 미친다. 따라서, 체중 감소의 효과가 좋고 의약품에 따른 부작용 및 비만 관련 질환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비만관련 의약품에 대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다른 장기 처방 의약품 대상 질환처럼 통계에는 비만 약이 적게 나타나 있기는 하나, 효과가 확실하고 안전한 신약이 탄생할 경우 그 시장은 2008년에는 37억불에 이를 것으로 전문가 들은 예측하고 있다.
상기 약품 이외에도 생약 성분의 제품들이 개발 시판되고 있다. 즉, 비만억제 및 변비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소재 유래의 약제, 다이어트 식품이나 건강 기능식품의 섭취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이와 관련된 많은 제품들이 개발 시판되고 있다. 특히 의이인(Cocis semen), 산약(Dioscoreae rhizoma), 길경(Platycodi radix)(도라지), 오미자(Schizandrae fructus), 귤피(Citus unshiu Markovich), 알로에(Aloe vera), 산더덕(Adenophorae radix; 사삼) 등 몇 가지 생약 단독 또는 혼합물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비만억제용 약제 등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알려진 이러한 천연소재 유래의 제품의 경우, 그 소재가 귀하여 매우 고가이거나, 적절한 효과를 얻기 위해 많은 양을 섭취해야 하거나, 실제 비만 억제 및 고지혈증 방지를 위한 효과가 미미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비만에 관한 뚜렷한 효능과 부작용이 없는 화합물 의약품이나 생약 제품이 사실상 전무 하다시피 한 현실이다.
따라서, 천연소재이면서도 입수가 용이하고, 보다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생약 조성물을 연구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렴하고 원료 조달이 용이하며, 우수한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생약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만억제용 생약조성물을 함유하는 약제 및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 및 억제할 수 있는 생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직간접적으로 탄수화물과 지방의 소화흡수 및 대사 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많은 전통 생약들을 과학적으로 검토·분석하여 가장 우수한 비만억제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생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비만 억제 생약 조성물의 구성은 아래 표1과 같다.
 추출용 생약재 조성비(중량부)
하엽(연잎) 140~180
계지  30~50
생강  20~40
의이인  80~100
적하수오  30~50
적소두  20~40
함초  20~30
건율  15~25
면실자  10~30
나복자  30~50
창출  30~40
백출  15~25
건강 1~7
산사  30~40
감초  15~25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 구성성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엽은 수련과 식물인 연의 잎을 말하는데, 연(Nelumbo nucifera)은 다년생 수초로서 근경은 비후하며 길고 마디가 많다. 하엽은 근생하며 엽병이 길고 물위에 나오고 둥근 방패 모양으로 톱니가 없다. 그리고 엽병에 짧고 뾰족한 가시가 산생한다. 하엽은 설사, 두통과 어지럼증, 야뇨증 및 해독 작용이 있다(육창수,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1990, 아카데미 서적, pp 210-230). 하엽이 함유한 성분으로는 로에머린(roemerine), 누시페린(nuciferin), 아르메파빈(armepavine), n-노르누시페린(n-nornuciferine), 프로누시페린(pronuciferine) 등이 있다.
하엽은 생체 내 지질 대사에 영향을 미쳐 고지방식으로 사육한 흰마우스에 급여하였을 경구, 지질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보고되었다(신미경 외, 한국식생문화학회지, 21(2), 202-208,2006). 햄스터를 대상으로 지질 저하 효과에 관한 논문도 발표 되었다(김성빈 외, 생약학회지, 36(3)229-234,2005).
산동중약 등의 고문헌에는 하엽이 양기를 올려서 몸에 나쁜 피를 풀어준다고 한다. 따라서 피를 토하거나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 산후 어혈(瘀血)이 몸에 뭉친 것, 타박상으로 인한 통증 등에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습을 배출시켜서 부종을 치료한다고 한다.
의이인(薏苡仁, Coicis semen)은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이 율무의 여문씨를 말린 것이다. 의이인은 건비이습(健脾利濕), 청열배농(淸熱排膿) 등의 효과가 있어 부종, 신경통, 류머티즘, 방광결석 등의 약재로 쓰이며 항산화, 항염, 진통, 항암 및 고지혈증 등에 효과가 있다(Sanchez-Medina et al, Phytomedicine, 8(2), 144-151,2001).
의이인은 맛이 달고 성질이 약간 차며, 비경과 폐경에 작용한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질, 칼슘, 철분, 회분, 비타민 B1, B2, 니코틴산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으며, 아세톤 추출물에는 종양을 억제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항암작용, 소염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진정 및 진통 작용 등이 밝혀졌다. 임산부에게는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212, 1998).
계지는(Cinnamomi Ramulus)는 육계나무(Cinnamomun loureirii NEES)의 햇가지를 15㎝ 정도의 길이로 잘라서 햇볕에 말린 것을 의미하며, 한약재로 사용된다. 맛은 신(辛)하고 성질은 온(溫)한 약으로 기표(肌表)의 풍한(風寒)을 발산하며, 사지에 도달하여 경락(經絡)을 선통(宣統)게 하고 관절(關節)을 이(利)하게 한다. 온통(溫痛)의 작용은 활혈통경(活血通經)하고 산한지통(散寒之痛)하는 효능이 있어 외감풍한(外感風寒)과 풍한습비(風寒濕痺) 및 경폐(經閉), 통경(通經)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계지에는 알칼로이드(alkaloid) 0.07%, 사포닌(saponin) 2.06%, 탄닌(tannin) 2.51% 및 정유가 함유되어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455, 1998).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 모든 약재와 조화를 이루면서 효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완화, 진통약으로 각종 동통 및 급박 증상을 완화하는데 내복용 또는 외용으로 사용되고, 그 자체가 독의 중화 작용과 같은 약성이 있다. 예를 들면, 감초는 간장을 보호하고 간 기능을 원활하게 하여 피로를 조절하는 약효가 있어서, 감초를 복용하면 그 해독작용에 의해 간의 부담이 경감된다. 식물의 뿌리 및 근경에 트리터펜(triterpene)계 사포닌(saponin),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 함유되어 있어 약물 중독, 음식물 중독, 체내 대사물의 중독뿐만 아니라 세균독소에 대한 모든 해독작용을 가지며, 항이뇨작용 및 갑상선피질호르몬양의 조절 작용이 있다. 감초는 항염증과 항알레르기 반응 작용을 보이며, 아세틸콜린에 대해 길항하는 작용을 나타내며, 아드레날린의 강심작용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684-687, 1998).
창출은 습열(몸의 비대칭적인 열) 제거하고 위를 편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창출은 삽주의 다른 이름이다. 동의보감 등에서는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이 쓰고[苦], 매우며[辛], 독이 없다. 윗도리, 중간, 아랫도리의 습을 치료하며, 속을 시원하게 하고, 땀이 나게 하며, 고여 있는 담음(痰飮), 현벽, 기괴(氣塊), 산람장기 등을 헤치며, 풍, 한, 습으로 생긴 비증(痺證)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낫게 하며, 수종과 창만(脹滿)을 없앤다. 족양명과 족태음경에 들어가며, 위(胃)를 든든하게[健] 하고, 비(脾)를 편안하게 한다. 삽주는 웅장하여 올라가는 힘이 세고 습을 잘 없애며 비를 안정시킨다’고 설명하고 있다.
함초(Saliconia herbacea)는 우리나라 서/남해안 바닷가에서 자라는 염생 식물로 옛날부터 민간약초로 이용되다가 2001년 식품공전에 수록된 식물이며 인체에 유용한 미량원소로써 필수적인 미네랄 중 우유의 6배인 칼슘, 다시마의 40배인 철이 풍부하다.
함초에 대해서는 천연 미네랄 외에는 생리활성 기능에 대해서 보고된 바가 거의 없었으나, 근래 항균력 실험, 항산화저해 효소 활성, 티로시나제 활성저해 등의 활성이 보고된 바 있다(Lee, JT and BJ An, Kor J. Herbology 2002; 17(2) 61-69).
당나라 시대에 불로장수의 약으로서 널리 이용되었던 전설적인 약물인
적하수오(赤何首烏)(Polygoni Multiflori Radix)는 백하수오와 적하수오로 분류되고 통상 백하수오는 우리나라에서만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데 반해 적하수오는 중국, 일본 및 대만 등에서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제로 백하수오와 적하수오는 식물분류상 과(科)가 상이한 식물로 재배방법이나 가공방법이 전혀 다르며 따라서 그 약효성분이나 용도도 많이 다르다. 적하수오는 약성으로 맛이 달고 쓰며 간 및 신경에 작용한다. 머리를 검게 하는 작용과 변을 잘 나오게 만들고 심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 밖에도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는 작용과 항균작용도 있다. 일반적으로 하수오라 하면 적하수오를 말한다. 백하수오는 마디풀과의 다년생으로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며 시계방향으로 감아 올라가면서 뻗는 식물로 줄기나 잎을 자르면 백색유액이 나오며 뿌리는 마와 같이 주근이 비대하다. 주요 성분으로는 전분, 조지방, 광물질, 레시틴, 안트라퀴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진다. 레시틴은 심장을 강하게 하며 안트라퀴논 유도체는 중추신경 계통에 대한 흥분작용을 하며 장 연동 운동을 강화시켜 약한 설사작용을 일으킨다. 동의보감에서는 노인성 변비나 옴과 습진 등 피부병에 쓰며 강장, 강정, 장수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원래 이 식물은 교등이라고 불려졌으며 하수오라는 사람이 이 약초를 달여먹고 흰머리가 검게 되고 160살까지 살았다 하여 하수오로 불려졌다고 한다.
하수오의 약리작용으로는 혈중지질강하, 항노화 작용을 들 수 있는데, 고서(古書)에 하수오를 흑 북자발 열안색(悅顔色) 정년불노(廷年不老)라고 하였다. 하수오는 집토끼, 비둘기, 흰마우스 및 메추라기 등의 여러 동물 표본에서 뚜렷한 지질강하 작용이 있다. 비둘기의 생존 시간을 연장시키며 동시에 혈장 HDL-C와 HCL-C/Tc의 비율을 높이며, 지질대사를 개선하고 혈장지질과 산화물의 함량을 낮추는 등의 항산화 작용이 있으며, 특히 ①혈청 콜레스테롤 수치를 내리고, ②죽상 동맥경화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 ③가벼운 정도로 관상 동맥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일정한 심장 근육의 보호 작용을 나타낸다. ④생마우스에게 추위에 견디는 능력을 높여 주며, ⑤늙은 생마우스의 흉선 위축을 막아 주므로 면역 기능에 관여함을 알 수 있다. ⑥장관의 연동 작용을 촉진시키므로 변비에 유효하며, ⑦결핵균과 이질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낸다고 되어 있다. 또한, 하수오의 성분 중 안트라퀴논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는데, 주성분은 크리소판산(chrysophanic acid), 크리소파놀(chrysophanol), 에모딘(emodin), 레인(rhein), 안트로넨(anthronene), 전분이며, 임상 보고에 의하면 고지혈증에 농축액를 0.25 mg씩 1일 3회 2 ~ 12주간 복용하자 효력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산사(Crataegi Fructus)는 장미과에 속한 낙엽교목인 Crataegus pinnatifida BGE. var. typica SCHNEIDER.) 및 동속 근연식물의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심근의 산소 소모량을 감소시키며, 심근허혈, 산소결핍에 대한 보호 작용이 있다. 그리고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심근의 산소 소모량과 산소 이용률을 감소시킨다. 또한,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과 β-지질단백질의 수치를 낮춘다. LDL-C 및 VLDL-C도 낮춘다. 또한 콜레스테롤과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동맥침착을 용량의존적으로 감소시킨다. 산사는 LCAT(lecithine cholesterol acyl transferase)를 활성화시켜 유리 콜레스테롤이 쉽게 침착할 수 없게 하여 죽상동맥경화를 예방할 수 있다. 산사의 죽상동맥경화증을 치료하는 성분은 우루솔산(ursolic acid)이다.
이러한 산사는 소화불량, 고지혈증, 고혈압, 심근경색, 습성이질, 장염, 간염, 황달, 폐경, 산후자궁회복부전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인삼을 복용하고 맞지 않는 경우에도 산사로 풀어줄 수 있다고 밝혀져 있다.
나복자(Raphani Semen)는 무씨의 다른 이름으로, 해수(기침) 치료, 부어있는 배를 가라앉히는 작용을 한다.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르는 것과 적취를 치료하는데, 오장을 고르게 하고,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또한 가루 내어 미음에 타서 먹으면 풍담(風痰)을 토하게 되는데 효과가 아주 좋다고 한다. 또한 나복자는 소화기능을 촉진시켜, 소화불량, 더부룩함, 식체, 배에 가스가 차는 등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효능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백출(白朮, Atractylodes macrocephala)은 큰꽃삽주 및 동족 근녹식물의 근경이다. 소화관 및 피하조직에서 일어나는 수분대사의 부전에 대하여 이뇨, 발한 작용을 하며, 동통, 위장염, 부종에 효험이 있으며, 민간에서는 혈압강하제로 쓰인다(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1026, 1998).
적소두(赤小豆)는 팥(Phaseolus angularis Wight) 또는 붉은 팥(Phaseolus calcaratus Roxburgh)의 씨이다. 한방에서는 성질이 평이하고 맛이 달면서 시고 독이 없다고 하며 또한 물을 빠지게 하고 일종의 피고름을 빨아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소갈을 치료하고 설사와 이질을 멎게 하고 또한 오줌을 나아가게 하고 수종과 창만을 내린다고 알려져 있다(도해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사, pp698-699, 1998).
목화(Gossypium nanking Meyen(아욱과 Malvaceae) 및 동속 근연식물)의 씨인 면실자(면화자, 목면자, Gossypii semen)도 한약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건율은 밤나무 열매를 건조시킨 것으로 가시가 많이 난 송이에 쌓여 있으며 겉껍데기 안에 삽피인 속껍질이 있고 맛이 아주 좋으며 영양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있어 예로부터 많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생강(ginger) 은 2 % 정도의 정유(精油) 성분를 함유하는데, 진지베린(zingiberene)이 주성분이며, 진제론(zingerone)도 포함한다. 향신료로서 사용되며. 생강은 고창(鼓脹)과 복통을 치료하는 약재로도 쓰인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사〉에 생강에 대한 기록(1018)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재배한 것으로 추정되며, 한방에서는 소화불량, 위한(胃寒), 창만(脹滿), 천해(喘咳), 구토, 설사 등에 사용한다.
건강(Zingiberis Rhizoma)은 성분이 징게론(Zingerone), 깅게롤(Gingerol), 쇼가올(Shogaol), 디하이드로깅게롤(Dihydrogingerol), 징기베롤(Zingiberol), 시네올(Cineol), 징기게론(Zingigerone), 보르네올(Borneol) 등으로 매운맛이 나는 뿌리줄기(根莖)이다. 타 약재 성분과 어울려 이뇨, 건위, 진해, 거담의 효능을 돋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한 구성 성분을 이용하여 다음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하엽과 계지, 생강을 상기 표 1에 기재된 양으로 혼합한 후 혼합된 총 중량의 8배 내지 16배,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14배의 5%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 중량의 에틸알코올과 섞고, 10분 내지 40분, 바람직하게는 15분 내지 30분 동안 가열 환류(reflux)시킨다.
혼합 용액을 상온(섭씨 20도 내지 25도)까지 식힌 후 여과기에서 고형분을 여과 하고 남은 모액(여과액, mother liquor)의 알코올 수용액을 감압 증류하는 방법으로 제거하면 흑갈색의 농축액 형태의 추출물(하엽 등 엑스)이 생성된다.
상기 여과한 고형분을 재차 같은 양의 알코올 수용액으로 같은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한 후 여과하는 방법으로 재탕을 할 수도 있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표 1에 기재된 양의 의이인, 적하수오, 적소두, 건율, 면실자, 나복자, 창출, 백출, 건강, 산사, 감초, 함초를 혼합한 후 혼합된 총 중량의 2배 내지 8배, 바람직하게는 4배 내지 6배의 50% 내지 90 %,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80 % 중량의 에틸알코올과 섞고, 2시간 내지 8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가열 환류(reflux)시킨다.
혼합 용액을 상온(섭씨 20도 내지 25도)까지 식힌 후 여과기에서 고형분을 여과 하고 남은 모액(여과액; mother liquor)의 알코올 수용액을 감압 증류 하는 방법으로 제거하면 흑갈색의 농축액 형태의 추출물(의이인 등 엑스)이 생성된다.
상기 여과한 고형분을 재차 같은 양의 알코올 수용액으로 같은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한 후 여과하는 방법으로 재탕을 하여 첫 번째 얻어진 추출농축액에 혼합 할 수도 있다.
상기 하엽 등 엑스와 의이인 등 엑스를 혼합하면 최종 조성물(추출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최종 추출물 조성물에 식이 섬유, 예를 들면 폴리덱스트로스, 이눌린, 갈락토 만난, 차전자피, 펙틴 등을 첨가하고 이외에도 체지방 분해 효과가 알려진 히드록시 시트르산(Hydroxy Citric Acid)가 주성분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발명 조성물의 비만 억제 효능이 증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조성물을 가열농축, 분무건조, 동결건조 또는 진공건조하여 캡슐, 타블렛, 절편 또는 정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으로 상기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비만 치료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한 조성물은 저렴한 생약 성분의 원료를 사용하여 원료 조달이 용이하며, 우수한 비만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비만 억제용 생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약제 및 식품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비만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하는 생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체내의 탄수화물 소화 효소인 α-아밀라제(α-amylase)와 리파제(lipase)를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메카니즘으로 탄수화물과 지방의 체내 흡수를 저해하여 비만 및 비만 관련 질병을 치료 혹은 예방하는 효능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생약 조성물의 조성비를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술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 및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생약 조성물의 제조
 추출용 생약재 1인 1개월 복용량(g)  구성 비율(중량부)
하엽(연잎) 1,600 26.1
계지  400  6.5
생강  300  4.9
의이인  900 14.7
적하수오  400  6.5
적소두  300  4.9
함초  260  4.2
건율  180  2.9
면실자  260  4.2
나복자  400  6.5
창출  360  5.9
백출  180  2.9
건강 40  0.7
산사  360  5.9
감초  180  2.9
총계 6,120 100
실시예 1-1. 하엽 등의 제1추출물 제조
하엽과 계지, 생강을 상기 표 2에 기재된 양(하엽 1,600 g, 계지 400 g, 생강 300 g)으로 혼합한 후 혼합된 총 중량의 12배의 15 %의 에틸알코올 수용액과 섞고, 25분 동안 가열 환류시켰다.
혼합 용액을 상온(섭씨 20도 내지 25도)까지 식힌 후 여과기에서 고형분을 여과 하고 남은 모액의 알코올 수용액을 감압 증류 하는 방법으로 제거하여 282 g흑갈색의 농축액 형태의 제1추출물(하엽 등 엑스)을 얻었다.
실시예1 -2. 의이인 등의 제2추출물 제조
이와는 별도로 상기 표 1에 기재된 양의 의이인, 적하수오, 적소두, 건율, 면실자, 나복자, 창출, 백출, 건강, 산사, 감초, 함초(의이인900 g, 적하수오 400 g, 적소두 300 g, 건율 180 g, 면실자 260 g, 나복자 400 g, 창출 360 g, 백출 180 g, 건강 40 g, 산사 360 g, 감초 180 g, 함초 260 g)를 혼합한 후 혼합된 총 중량의 4배의 75%의 에틸알코올 수용액과 섞고, 4시간 동안 가열 환류(reflux)시켰다.
혼합 용액을 상온(섭씨 20도 내지 25도)까지 식힌 후 여과기에서 고형분을 여과 하고 남은 모액의 알코올 수용액을 감압 증류 하는 방법으로 제거하여 683 g의 흑갈색의 농축액 형태의 제2추출물(의이인 등 엑스)을 얻었다.
실시예 1-3. 최종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 실시예 1-2 에서 제조된 제1추출물과 제2추출물을 혼합하여 1인 1개월 복용할 최종 추출물 총 965 g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 최종 조성물의 인 비트로( in vitro ) α-아밀라제(α- amylase )와 리파제( lipase ) 저해 효능( inhibitory activity ) 시험
실시예2 -1 α-아밀라제 저해 효능 시험
아밀라제 활성 저해 측정은 침 아밀라제(salivary amylas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밀라제 효소 1 유닛(1 유닛은 20℃, pH 6.8에서 전분으로부터 1 mg의 말토스를 3 분간에 유리시키는 값) 50μL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0.2 mol Tris-HCl 완충액에 각각 농도 0.04 %(400 ppm)로 용해한 용액 50μL 와 섞고, 여기에 0.5 mL 의 0.2 mol Tris-HCl 완충액을 추가하여 37℃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그 다음 0.5 % 전분(starch) 용액 0.25 mL을 가하고 다시 37℃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이후, 0.5 mL의 NaOH(8 %) 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0.5 mL의 DNS 시약(1 g의 3,5-디니트로 살리실산을 20 mL의 2 M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녹이고 30 g의 소디움 포타시움 타트레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sodium potassium tartrate tetrahydrate)를 천천히 가하여 녹인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최종 부피가 100mL이 되도록 맞춘 용액)을 가하고 100℃에서 5분간 발색시켰다.
상온으로 식힌 후 분광광도계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효소 활성 여부를 측정하였다(Conforti et al., Bio. Pharm. Bull., 28, 10981102, 2005).
표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아밀라제 활성도를 조성물이 없을 때를 100으로 하여 각각의 상대값을 나타낸 것이며,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아밀라제 활성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조성물 농도 아밀라제 활성도
0.00% 100
0.04% 91
0.08% 72
0.12% 61
0.16% 53
0.20% 43
표 3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탄수화물 소화 효소인 아밀라제의 활성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전분의 소화율이 감소되어 체중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2 -2 리파제 ( lipase ) 저해 효능( inhibitory activity ) 시험
리파제 활성 측정은 2, 4-디니트로페닐부티레이트(2, 4-dinitrophenylbutyrate)를 기질로 하여 측정하였다.
미국 Sigma사의 돼지(porcine) 췌장 리파제를 구입하여(200units/mL 을 0.1 몰 인산 칼륨 완충액에 용해한 것) 0.1 mL을 취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수용액 0.1 mL와 섞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각각의 농도에 따른 저해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부피 기준으로 0.04%(400 ppm), 0.08 %(800 ppm), 0.12 %(1200 ppm), 0.16 %(1600 ppm), 0.2%(2000 ppm)의 5개의 농도로 실험하였다.
리파제 용액과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용액의 혼합 용액에 0.025 몰 농도의 2, 4-디니트로페닐부티레이트 용액 0.5 mL을 가하고 인큐베이터에서 37℃로 1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리파제에 의해 유리된 2, 4-디니트로페놀을 360nm에서 분광광도계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리파제의 활성을 결정하였다.
표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리파제 활성도를 조성물이 없을 때를 100으로 하여 각각의 상대값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리파제 활성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조성물 농도 리파제 활성도
0% 100
0.04% 83
0.08 60
0.12% 45
0.16% 36
0.20% 27
표 4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지방의 소화 효소인 리파제의 활성도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지방의 소화율이 감소되어 체중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이용한 고지방식 식이 요법에 의한 마우스의 체중 감소 효능 시험
본 실시예에서는 실험 동물로 마우스 C57BL/6 를 사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이 실험체들은 모두 10주령의 암컷으로 49일 동안 실험하였다. 상기 마우스들은 모두 5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모두 4군으로 나누었으며, 사료 이외의 모든 조건은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제1군(대조군) : 증류수 경구 투여군 5마리(고지방식 사료 섭취, 1일 1회 증류수 300 mg/체중 kg 경구 투여)
-제2군(실험군) : 올리스타트 경구 투여군 5마리(고지방식 사료 섭취, 1일 1회 올리스타트 1.6 mg/체중kg 경구 투여)
-제3군(실험군) :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경구 투여군 5마리(고지방식 사료 섭취, 1일 1회 200 mg/체중 kg)
-제4군(실험군) :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경구 투여군 5 마리(고지방식 사료 섭취, 1일 1회 400 mg/체중 kg)
이때, 고지방식 사료(Dyets#101556, 중앙실험동물사 제조)는 기본 기본사료(AIN-76A)에 40%(중량비)의 우지(Beef Tallow)가 들어간 사료로, 마우스가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상기 사료는 지방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펠렛의 형태로는 만들지 못하고 밀가루 반죽덩어리의 형태로 제공하였다. 표 5는 상기 고지방식 사료의 영양소 함유량을 나타낸 것이다.
영양소 함유량(%) 열량(kcal/g)
단백질 17.7 단백질 0.732
지방 40.0 지방 3.6
섬유소 5.0 탄수화물 1.210
재(ash) 4.0
수분 3.3
탄수화물 31.4 총 열량 5.542
표 6은 상기 고지방식 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각 군별 체중(g)의 총 합량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표 6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경과 일수 제1군 제2군 제3군 제4군
0일 143 139 140 141
2일 147.1 139.1 143.1 143.2
7일 163.4 156.1 152.3 152.5
13일 174.1 164.8 156.4 156.3
17일 183.2 171.9 159.9 158.7
22일 192.5 179.3 163 164.7
28일 201.2 189.9 168.8 165.4
35일 210.1 202.5 175 172
42일 220 208.9 183.1 179.8
49일 230.5 216.8 189.3 185
표 6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한 조건에서 사료와 함께 물을 제공한 제1군 및 종래의 약품인 올리스타트를 제공한 제2군의 총 중량은 49일째에 각각 230.5 g과 216.8 g이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공한 제3군 및 제4군의 총 중량은 189.3 g과 185 g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료와 함께 제공하는 경우 체중 감량의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4 . 최종 조성물의 임상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비만 여성에 대한 효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표 2와 같은 양의 생약제를 원료로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여 2개월간 투여하고, 투여 전후의 체중 및 체지방, BMI 지수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때, 체지방 측정기는 자원 메디칼 체지방 측정기(모델명 BIA -530)를 이용하였다.
표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투여 전의 임상 참여자의 임상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며, 표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투여 2개월 후의 임상 참여자의 임상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표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투여 전과 후의 임상 참여자의 임상 효능 시험 결과 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표 9의 시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투여전의 임상 참여자의 임상 데이터
성별 나이 체중(kg) 신장(cm) 체지방율(%) 근육량(kg) 내장지방레벨 BMI 지수
28 63.8 158 33 39 9 25.6
41 76.8 160 37 44 13 30
54 57.5 156 32 35.9 10 23.6
39 55.3 154 31.4 34.8 9 23.3
36 58.4 150 35.6 34.3 12 26
41 56.2 153 31.8 35.1 9 24
30 60.4 159 31.8 37.8 9 23.9
33 58.7 163 31.5 36.8 9 22.1
36 80.3 164 37.1 46 13 29.9
39 56 160 29.4 36.3 7 21.9
33 56.3 158 29.1 36.7 7 22.6
32 75.5 163 33.9 45.6 10 28.4
45 79.8 162 37.2 45.6 14 30.4
35 78.6 160 37.8 44.5 13 30.7
37 61.9 158 28.6 40.6 7 24.8
34 91.4 164 39.1 50.4 14 34
28 68.6 170 29.4 44.4 7 23.7
51 65.4 158 33 40.1 11 26.2
53 67.6 157 33.4 41.2 11 27.4
42 60.3 160 30.8 38.2 9 23.6
46 67.7 165 30.4 43.2 9 24.9
47 61.2 159 30.2 39.2 9 24.2
45 59.3 159 34.2 35.7 12 23.5
49 78.7 153 42.3 41 17 33.6
43 70.7 163 32.9 43.4 10 26.6
55 51.7 151 33.1 31.7 11 22.7
28 66.1 160 32.8 40.7 9 25.8
53 68.4 158 35.7 40.2 13 27.4
47 60.8 158 37.8 34.4 14 24.4
40 72.9 159.5 35.5 42.8 12 28.7
30 62.4 165 27.4 41.7 6 22.9
50 65.8 163 25.1 45.5 13 24.8
40 88 180 24.9 61 12 27.1
54 75.1 170 25.2 51.9 13 26
평균 41.0 66.99 160.3 32.7 41.2 10.7 26.0
본 특허 조성물 투여 2개월 후의 임상 데이터
성별 나이 체중(kg) 신장(cm) 체지방율(%) 근육량(kg) 내장지방레벨 BMI 지수
28 59.5 158 30.9 31.9 8 23.8
41 69.5 160 32.6 41 11 27.1
54 57 156 32 35.7 10 23.4
39 54 154 30.5 33,7 8 22.8
36 54.3 150 32.7 34 11 24.1
41 54 153 30.1 34.1 9 23.1
30 55.4 159 29.8 36 8 21.9
33 53.9 163 29.8 35.3 8 20.3
36 71.4 164 31.4 43 11 26.5
39 55.5 160 29 35.8 7 21.7
33 56.2 158 29 36.7 7 22.5
32 70.3 163 31.1 43.8 9 26.6
45 68.5 162 32.1 42.2 12 26.1
35 69.3 160 31.3 41.7 11 27.1
37 59.5 158 27.2 39.6 7 23.8
34 79.5 164 33.5 46.7 12 29.6
28 66.6 170 28 43 7 23
51 60.2 158 30.1 37.8 10 24.1
53 60.6 157 28.6 38.4 10 24.6
42 55.4 160 28.3 37.2 8 21.6
46 62.7 165 29.5 42.1 8 23
47 58.8 159 29 37 8 23.3
45 52.7 159 32.1 33.8 11 20.8
49 68.5 153 37.1 39 14 29.3
43 63.6 163 30.1 41 9 23.9
55 51.9 151 33.3 32 11 22.7
28 62.1 160 30.3 39.5 8 24.3
53 61.7 158 32.7 38.2 11 24.7
47 54.4 158 31.1 30.5 12 21.8
40 69.5 159.5 34.1 41.9 11 27.3
30 62.1 165 27.2 41 6 22.8
50 62.8 163 23.9 44.6 12 23.6
40 81.2 180 20.7 58 11 25.1
54 72.3 170 24 50.2 12 25
평균 41 62.20 160.3 30.1 39.8 9.65 24.2
조성물 투여 임상 효능 시험 결과
  투여 전(평균) 투여 후(평균)
체중 66.99(kg) 62.2(kg)
체지방율 32.7(%) 30.1(%)
근육량 41.2(kg) 39.8(kg)
내장지방레벨 10.7 9.65
BMI 지수 26.0 24.2
표 7 내지 표9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2개월 동안 섭취한 임상 실험 결과, 체중은 66.99 kg에서 62.2 kg으로 감소하였으며, 체지방율 또한 32.7 %에서 30.1 %로 감소함으로써 뚜렷한 체중감소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장 지방 레벨과 BMI 지수 또한 각각 10.7과 26.0에서 9.65와 24.2로 감소함으로써 체내 지방량이 줄어듦으로써 비만도가 약화되는 것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아밀라제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리파제 활성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종래 발명 및 본 발명에 의한 고지방식 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각 군별 체중의 총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투여 전과 후의 임상 참여자의 임상 효능 시험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Claims (8)

  1. 하엽 140 ~ 180 중량부, 계지 30 ~ 50 중량부, 생강 20 ~ 40 중량부, 의이인 80 ~ 100 중량부, 적하수오 30 ~ 50 중량부, 적소두 20 ~ 40 중량부, 함초 20 ~ 30 중량부, 건율 15 ~ 25 중량부, 면실자 10 ~ 30 중량부, 나복자 30 ~ 50 중량부, 창출 30 ~ 40 중량부, 백출 15 ~ 25 중량부, 건강 1 ~ 7 중량부, 산사 30 ~ 40 중량부 및 감초 15 ~ 25 중량부를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로 이루어진 비만 억제 및 비만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식이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 및 비만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 및 비만 치료용 조성물.
  4. 하엽, 계지 및 생강을 혼합한 후 혼합된 총 중량의 8배 내지 16배의 5% 내지 30 %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과 혼합하여 10분 내지 40분 동안 가열 환류시키고, 혼합 용액을 상온까지 식힌 후 고형분을 여과하고, 남은 모액의 에탄올 수용액을 감압 증류하여 제1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의이인, 적하수오, 적소두, 건율, 면실자, 나복자, 창출, 백출, 건강, 산사, 감초, 함초를 혼합한 후 혼합된 총 중량의 2배 내지 8배의 50% 내지 90 % 중량의 에탄올 수용액과 혼합하여 2시간 내지 8시간 동안 가열 환류시키고, 혼합 용액을 상온까지 식힌 후 고형분을 여과하고, 남은 모액의 에탄올 수용액을 감압 증류하여 제2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추출물과 제2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비만 억제 및 비만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한 고형분을 각각 에탄올 수용액으로 가열 환류한 후 여과하여 제1추출물과 제2추출물에 각각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만 억제 및 비만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6. 제4항에 의해 제조된 탄수화물 흡수 억제용 조성물을 가열농축, 분무건조, 동결건조 또는 진공건조하여 캡슐, 타블렛, 절편 또는 정과의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 및 비만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7. 유효성분으로 제1항에 의한 비만 억제 및 비만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비만 억제제 또는 비만 치료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α-아밀라제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 특징인 비만 억제 및 비만 치료용 조성물.
KR1020070086301A 2007-08-27 2007-08-27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KR100947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301A KR100947278B1 (ko) 2007-08-27 2007-08-27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301A KR100947278B1 (ko) 2007-08-27 2007-08-27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644A KR20090021644A (ko) 2009-03-04
KR100947278B1 true KR100947278B1 (ko) 2010-03-11

Family

ID=4069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301A KR100947278B1 (ko) 2007-08-27 2007-08-27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9486A (zh) * 2018-05-17 2018-08-10 贵州苗缘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健康减肥丸
CN108969654A (zh) * 2018-08-31 2018-12-11 米春海 中药减肥膏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9421B2 (ja) * 2009-09-01 2016-12-07 ユニ‐トンシン バイオ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消炎・消腫・止痛用の漢方薬草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応用
CN102579643A (zh) * 2012-02-27 2012-07-18 苏州爱斯欧蒂生物科技有限公司 新型高效减肥药
CN103860610A (zh) * 2012-12-10 2014-06-18 何伊仁 一种治疗痔疮的中草药及制备方法
CN103877131A (zh) * 2012-12-23 2014-06-25 何伊仁 一种治疗痔疮的中草药及制备方法
KR101871314B1 (ko) * 2016-11-14 2018-06-26 영어조합법인 제주창해수산 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8572A (ja) * 2003-06-19 2005-01-13 Yakult Honsha Co Ltd リパーゼ阻害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8572A (ja) * 2003-06-19 2005-01-13 Yakult Honsha Co Ltd リパーゼ阻害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9486A (zh) * 2018-05-17 2018-08-10 贵州苗缘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健康减肥丸
CN108969654A (zh) * 2018-08-31 2018-12-11 米春海 中药减肥膏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644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5376B (zh) 预防糖尿病的保健食品
CN103416625B (zh) 一种大麦型仔猪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947278B1 (ko)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CN101253903B (zh) 一种具有减肥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7029146A (zh) 一种清肺化痰补气健脾养肺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579120A (zh) 一种具有减肥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CN108524814A (zh) 一种用于降低血糖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30104692A (ko) 산사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N112336815A (zh) 一种强体防癌调理三高抗衰老组合物及其应用
CN103652926A (zh) 肿瘤病人食品组合物
KR101456937B1 (ko)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37890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CN104431772A (zh) 一种润肠排毒面食制品及其制备方法
KR20030055127A (ko) 항고지혈증 조성물
CN104825821A (zh) 一种治疗糖尿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7712890A (zh) 一种宁心安神膏滋及其制备方法
CN110063977B (zh) 一种党参、沙棘复合冲剂及其应用
CN106822660A (zh) 一种治疗心脑血管疾病的中药制剂
CN103689561A (zh) 一种有助于降脂减肥的养生保健食品配方及其制备方法
CN103181557A (zh) 具有减肥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JPH11158077A (ja) ストレス軽減効果のある組成物
CN104258224A (zh) 一种治疗肺肾阴虚型慢性支气管炎的五味子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8902731A (zh) 一种健脾养胃、促进儿童智力发育及身体成长的面条及其制备方法
CN114712466B (zh) 一种具有减肥养颜功效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180008358A (ko)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및 치료에 효능이 있는 천연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