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937B1 -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937B1
KR101456937B1 KR1020130027269A KR20130027269A KR101456937B1 KR 101456937 B1 KR101456937 B1 KR 101456937B1 KR 1020130027269 A KR1020130027269 A KR 1020130027269A KR 20130027269 A KR20130027269 A KR 20130027269A KR 101456937 B1 KR101456937 B1 KR 10145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obesity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772A (ko
Inventor
곽병민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이상진
곽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진, 곽병민 filed Critical 이상진
Priority to KR102013002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93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7Gnetophyta, e.g. Ephedraceae (Mormon-te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2∼24 중량부의 마황, 10 중량부의 석고, 8 중량부의 창출, 8∼12 중량부의 의이인, 4 중량부의 대조, 4∼7 중량부의 대황, 4 중량부의 망초, 4 중량부의 감초, 4∼6 중량부의 백복령, 2∼3 중량부의 향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치명적인 부작용없이 체지방 및 체중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체중, 비만 및 비만에 의해 유래되는 여러 질병에 효과가 있는 비만 억제 또는 치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natural material for controling or treating obesity}
본 발명은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란 신체에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과잉체중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대사장애로 인해 체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를 의미한다. 즉, 칼로리 섭취가 신체활동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초과되어 중성지방의 형태로 지방조직에 과잉 축적되어 비만을 유발하는 것이다.
비만은 그 자체만으로도 용모손상(disfigurement), 불편감(discomfort), 비능률(disability)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고지혈증, 고 콜레스테롤,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등의 심장혈관계질환, 신장장애, 제2형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폐질환등의 질병(disease)을 유발하며 이 들 질병이 죽음(death)까지 이어지는 소위 5D현상을 초래한다. 선진국에서는 전체 성인 중 30%가 비만이며 특히 젊은 연령군(25∼34세)의 비만 남성 사망률은 정상군에 비해서 12배 가량이나 높고 그 주요한 사인은 심장혈관계질환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하여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수술요법, 약물요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비만의 약물치료제로는 지방축적 억제제(식욕예방제, 음식의 흡수나 지방산 생성을 억제하는 제재)와 지방이용 자극제(열생성 혹은 지방분해제)가 있으며 최근 임상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제재는 플루옥세틴, 올리스타트, 시부트라민 등이 있다. 플루옥세틴(상품명-프로작)은 항우울제로 사용되고 있는 선택적인 세로토닌 재섭취 억제제로, 일시적인 체중감소효과가 있을 뿐인데다가 무기력, 발한, 기면등의 부작용을 수반한다. 올리스타트(상품명-제니칼)는 소장의 지방분해효소의 작용을 억제하여 지방흡수를 30%정도 감소시키지만 지방변을 보고 장기간 투여시 지용성 비타민의 보충이 필요하다. 시부트라민(상품명-리덕틸)은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이중작용을 나타내지만 세로토닌의 증가는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서 갈색지방조직에서 발열반응을 증가시키며 혈압상승, 구강건조, 변비, 불면증 등의 부작용을 수반한다.
천연물을 이용한 비만 억제 또는 지방간 예방과 관련하여 종래 특허등록된 기술을 살펴보면, 마황, 석고 및 창출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다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71294호), 혼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억제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601390호),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786122호) 등이 있으나, 아직까지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의 천연물을 특정의 조성비를 갖도록 사용하여 치명적인 부작용 없이 체지방 및 체중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체중, 비만 및 비만에 의해 유래되는 여러 질병에 효과가 있는 비만의 억제 및 치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비만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12∼24 중량부의 마황, 10 중량부의 석고, 8 중량부의 창출, 8∼12 중량부의 의이인, 4 중량부의 대조, 4∼7 중량부의 대황, 4 중량부의 망초, 4 중량부의 감초, 4∼6 중량부의 백복령, 2∼3 중량부의 향시를 포함하는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추출방법은 열수 추출로서, 80 ∼ 100℃에서 1 ∼ 3시간 동안 이뤄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복용하여 치명적인 부작용 없이 효과적으로 식욕을 억제하고 체지방 및 체중을 감소시킴으로써 비만의 억제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각 환자군별로 치료전후의 평균체중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각 환자군별로 치료전후의 평균체지방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각 환자군별로 치료전후의 평균체지방률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12∼24 중량부의 마황, 10 중량부의 석고, 8 중량부의 창출, 8∼12 중량부의 의이인, 4 중량부의 대조, 4∼7 중량부의 대황, 4 중량부의 망초, 4 중량부의 감초, 4∼6 중량부의 백복령, 2∼3 중량부의 향시를 포함하는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12 중량부의 마황, 10 중량부의 석고, 8 중량부의 창출, 8 중량부의 의이인, 4 중량부의 대조, 4 중량부의 대황, 4 중량부의 망초, 4 중량부의 감초, 4 중량부의 백복령, 2 중량부의 향시를 포함하는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14 중량부의 마황, 10 중량부의 석고, 8 중량부의 창출, 8 중량부의 의이인, 4 중량부의 대조, 6 중량부의 대황, 4 중량부의 망초, 4 중량부의 감초, 4 중량부의 백복령, 2 중량부의 향시를 포함하는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16 중량부의 마황, 10 중량부의 석고, 8 중량부의 창출, 8 중량부의 의이인, 4 중량부의 대조, 7 중량부의 대황, 4 중량부의 망초, 4 중량부의 감초, 5 중량부의 백복령, 3 중량부의 향시를 포함하는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비만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마황(麻黃, Herba Ephedrae)은 발한(發汗)과 해열진통작용, 평천(平喘)과 진해거담(鎭咳祛痰) 작용, 혈압 상승과 강하의 이중조절작용, 이뇨작용, 신장기능쇠약 개선작용, 소염작용, 알레르기 개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기와 상부 호흡기계 감염, 폐렴,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백일해, 저혈압, 심장질병, 피부점막질병, 신장염과 부종, 관절근육질병, 설사에 사용된다. 또한 마황탕 (麻黃湯)의 구성약물로서, 태양병 (太陽病)의 감기에 걸려 두통이 있고, 발열하나 바람기를 싫어하고 땀이 나지 않을 때 사용되고, 발열에 동반되는 관절통, 요통, 관절류머티즘의 급성기 및 천식에 사용된다. 상기 마황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조성물에서 12 내지 24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비만의 억제 및 치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석고(石膏, Gypsum)는 황산칼슘의 이수화물로 이루어진 석회질로서 흔히 무색이지만 불순물이 섞이어 회색, 황색, 붉은색을 띠기도 한다. 냄새와 맛이 거의 없으며, 물에 녹기 어렵다. 한방에서는 해열제, 소염제, 해갈에 사용한다. 상기 석고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조성물에서 8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비만의 억제 및 치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창출(蒼朮, Atractylodis Rhizoma)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모창출(Atractylodes lancea De Candolle) 또는 북창출(Atractylodes chinensis Koidzumi)의 근경으로, 주로 건위 소화제나 지사 정장약 등으로 이용되어 왔다. 창출의 주요 성분은 아트라세티논(atractylone), 아트라세티레노이드(atractylenolide) I, II, III, 테트라하이드로아란톨시톨(tetrahydroalantolcton), 아부테노리드(abutenolide) B, b-에데스몰(b-eudesmol), 히네솔(hinesol) 등이다. 창출은 수분대사를 촉진시켜 이뇨 및 발한을 촉진시키며 소화 불량, 설사, 수종 따위에 쓴다. 상기 창출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조성물에서 8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비만의 억제 및 치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의이인(薏苡仁, Coicis semen)은 건비삼습(健脾渗濕), 제비지사(除痺止瀉) 및 청열배농(淸熱排膿)의 효능이 있으며, 주로 전분, 지질, 코익솔, 스테롤, 아미노산, 비타민 B1 및 코익세놀리드 (Coixenolide)가 함유되어 있다. 벼과의 한해살이 초본으로 재배하며 율무, 해려, 옥담, 기실 및 공미라고도 한다. 약리작용으로는 항염, 항암 작용이 있고, 과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며 진정 및 진통 작용이 있어 신경통이나 관절통에 주사약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소화불량, 관절통 및 근육경련에 유용, 피로회복 및 기미, 주근깨의 예방에 효과적이어서 얼굴에 난 잡티를 제거하고 미백효과도 뛰어나며, 말초신경을 확장, 수축시키는 효능이 있어 여드름, 부종, 각기 및 신경통 등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의이인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조성물에서 8 내지 12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비만의 억제 및 치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대조(大棗, Zizyphus jujuba MILL)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의 낙엽 활엽교목으로, 대추라고도 한다. 열매인 대조는 식용하거나 약용하고, 특히 멧대추씨는 산조인이라 부르며 이를 수면장애, 불면증, 심장불안, 초조, 심화 등에 대표적인 약재로 이용된다. 그 외에, 대조는 항알레르기 성분이 있어서 기관지천식을 비롯한 내분비질환에 효과적이며, 추출물은 이뇨작용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다. 열매의 주성분은 당류(프럭토오스, 글루코오스, 람노오스)이고, 그 외에 유기산(싱아산, 사과산, 포도주산, 호박산, 글리콜산)과 단백질, 비타민 A, B2 및 C, 칼슘, 인 등을 함유한다. 상기 대조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조성물에서 4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비만의 억제 및 치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대황(大黃, Radix et Rhizoma Rhei)은 사하 (瀉下) 작용, 간 보호작용, 췌장액 분비 촉진작용, 담즙분비 촉진작용, 항균(抗菌)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해열과 소염작용, 혈압강하와 지질대사 개선작용, 지혈작용, 면역기능의 이중조절 작용이 있으며, 급성감염성 고열과 변비, 유행성출혈열, 급성장폐색, 각종 급성농약중독, 급성췌장염 고열, 급성담낭염, 상부 소화기계 출혈, 만성 신부전, 급성출혈 괴사성 장염, 당뇨병성 신장병, 소화불량과 변비, 만성 위염과 소화성 궤양, 고지혈증, 임신고혈압증에 사용된다. 상기 대황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조성물에서 4 내지 7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비만의 억제 및 치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망초(芒硝, Erigeron Canadensis.L)는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로 잔꽃풀이라고도 한다. 꽃은 7∼9월에 피며, 잎 및 줄기를 약재나 식용으로 사용하는데, 약재로는 꽃이 피기 전 (6월 중순 이전) 채취한 잎이 모두 사용 가능하며, 식용으로는 꽃이 피기 전의 어린 망초(잎 및 줄기 포함)를 사용하고 있다. 6월 중순 이후에 채취한 망초 (잎 및 줄기 포함)를 복용 시에는 위부팽만감, 트림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 불가하다 또한, 망초의 전초 (꽃)는 호흡기 질환의 알레르기를 유발하여 사용이 불가하다. 상기 망초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조성물에서 4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비만의 억제 및 치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감초(甘草, Glycyrrhiza Radix)는 장미목 콩과(Leguminosae)의 여러해살이 풀로, 본원발명에서 사용하는 뿌리는 단맛을 나타내어 감미료로도 사용된다. 또한, 한의약, 티벳, 인도 등지에서 폐질환 및 염증 질환에 대한 약재, 또는 다른 생약재의 독성을 완화 및 중화시키는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트리테르페노이드계 사포닌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및 글리시르헥틴산(glycyrrhetinic acid)을 함유하며 플라보노이드인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 이소리퀴리티게닌(isoliquiritigenin), 리퀴리틴(liquiritin), 네오리퀴리틴(neoliquiritin) 등, 및 이소플라보노이드인 글리세스트론(glycestrone), 글리시롤(glycyrol), 이소글리시롤(isoglycyrol), 리코리딘(licorid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알려진 약리학적 활성으로는 항염, 항궤양 효과, 소염, 해열진통 효과 및 에스트로겐 활성이 있다. 상기 감초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조성물에서 4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비만의 억제 및 치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백복령(白茯笭, Poria cocos(Schw.) Wolf)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란 균핵으로, 직경 약 20∼50 cm의 덩어리로서 지하 20 내지 50 cm 깊이에 달린다. 적색인 것은 적복령이라 한다. 포도당이 사슬모양으로 결합된 물질인 다당류 파기민이 약 93%을 차지하며, 그 외에 파기민산, 에브리코산. 폴리포텐산 A,C 트리테르페노이드, 엘고스테롤, 레시틴, 아데닌, 콜린 등을 함유한다. 한약재로 강장, 이뇨, 진정 등의 효능이 있어 신장병, 방광염, 및 요도염에 사용되어 왔다. 상기 백복령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조성물에서 4 내지 6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비만의 억제 및 치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상기에서 향시(香?, Sojae Semen Preparatum)는 콩과에 속한 일년생 본초인 콩(Glycine max Merrill)의 성숙한 종자를 삶아서 발효시킨 것으로, 담두시라고도 한다. 상기도감염, 두통, 불면 등에 사용되어 왔다. 상기 향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 조성물에서 2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비만의 억제 및 치료 효과가 극미하게 된다.
조성물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로서의 상기 천연물들은 시중에서 구입한 것이라면 제한됨이 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천연물인 마황, 석고, 창출, 의이인, 대조, 대황, 망초, 감초, 백복령, 향시 추출물은 열수추출법에 의하여 제조하였으나,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추출법, 예를 들어, 알코올 추출법, 열수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의 방법이라면 제한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천연물을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것을 적당한 보조제와 혼합하는 단계에 의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어떠한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종래의 약제학적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고, 그 약제학적 제형은 약제학 분야의 종래의 약제학적 방법에 의해 생산되고 상기에서 언급된 비율의 약재 물질 및 통상적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은 경구로 투약되기에 적당한 고체 및 액체 제형뿐만 아니라 지속적이거나 조절 방출되는 제형 등일 수 있다. 경구로 투약되기에 적당한 고체 제형은 정제, 캡슐, 과립, 환약, 분말 및 다양한 지속성 및 조절 방출 제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천연물 총 중량에 대하여 5~8배의 물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가열, 농축시켜 대략 천연물 4배 중량의 추출액을 수득하도록 실시되었다. 그러나, 추출액 제조과정은 이러한 범위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천연물 탕전 방법이라면 제한됨이 없이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천연물 조성물 A의 제조
천연물 조성물 A의 제조
마황 360g, 석고 300g, 창출 240g, 의이인 240g, 대조 120g, 대황 120g, 망초 120g, 감초 120g, 백복령 120g, 향시 60g으로 혼합된 천연물 혼합물 1800g을 준비하였다.
상기 천연물 혼합물 1800g과 물 12400cc를 혼합하여 통상의 탕전 방법에 따라 3시간 동안 가열, 농축시켜 천연물 조성물 8100cc를 얻었다. 이 조성물을 90ml/팩의 양으로 하여 팩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수회 반복하였다.
실시예 2 - 천연물 조성물 B의 제조
천연물 조성물 B의 제조
마황 420g, 석고 300g, 창출 240g, 의이인 240g, 대조 120g, 대황 180g, 망초 120g, 감초 120g, 백복령 120g, 향시 60g으로 혼합된 천연물 혼합물 1920g을 준비하였다.
상기 천연물 혼합물 1920g과 물 12520cc를 혼합하여 통상의 탕전 방법에 따라 3시간 동안 가열, 농축시켜 천연물 조성물 8100cc를 얻었다. 이 조성물을 90ml/팩의 양으로 하여 팩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수회 반복하였다.
실시예 3 - 천연물 조성물 C의 제조
천연물 조성물 C의 제조
마황 480g, 석고 300g, 창출 240g, 의이인 240g, 대조 120g, 대황 210g, 망초 120g, 감초 120g, 백복령 150g, 향시 90g으로 혼합된 천연물 혼합물 2070g을 준비하였다.
상기 천연물 혼합물 2070g과 물 12670cc를 혼합하여 통상의 탕전 방법에 따라 3시간 동안 가열, 농축시켜 천연물 조성물 8100cc를 얻었다. 이 조성물을 90ml/팩의 양으로 하여 팩 형태로 제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수회 반복하였다.
시험예 - 본 발명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감량 효과 평가
(1) 대상 환자의 초진시의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2011년 2월 1일부터 2012년 12월 31일까지 한의원에 비만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환자 125명을 체중에 따라 60kg 미만군, 60kg 이상 70kg 미만군, 70kg 이상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의 대상환자 수, 초진시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의 평균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13500755707-pat00001
(2) 60kg 미만군에 대한 실시예 1의 천연물 조성물 A의 투여
60kg 미만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의 천연물 조성물 A를 1일 3회, 각회 90ml씩 총 10주간 투여하였다. 10주 후 다시 체중, 체지방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비교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500755707-pat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60kg 미만군의 환자에게 실시예 1의 천연물 조성물 A를 투여한 결과 평균 5.07kg의 체중과 3.34kg의 체지방이 감량되었으며 특히 체지방률이 많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3) 60kg 이상 70kg 미만군에 대한 실시예 2의 천연물 조성물 B의 투여
60kg 이상 70kg 미만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2의 천연물 조성물 B를 1일 3회, 각회 90ml씩 총 10주간 투여하였다. 10주 후 다시 체중, 체지방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비교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500755707-pat00003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60kg 이상 70kg 미만군의 환자에게 실시예 2의 천연물 조성물 B를 투여한 결과 평균 5.96kg의 체중과 3.94kg의 체지방이 감량되었으며 특히 체지방률이 많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4) 70kg 이상군에 대한 실시예 3의 천연물 조성물 C의 투여
70kg 이상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3의 천연물 조성물 C를 1일 3회, 각회 90ml씩 총 10주간 투여하였다. 10주 후 다시 체중, 체지방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비교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500755707-pat00004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70kg 이상군의 환자에게 실시예 3의 천연물 조성물 C를 투여한 결과 평균 9.02kg의 체중과 6.32kg의 체지방이 감량되었으며 특히 체지방률이 많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환자군에 따른 체중, 체지방, 체지방률의 변화를 하기 도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Claims (6)

  1.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12∼24 중량부의 마황, 10 중량부의 석고, 8 중량부의 창출, 8∼12 중량부의 의이인, 4 중량부의 대조, 4∼7 중량부의 대황, 4 중량부의 망초, 4 중량부의 감초, 4∼6 중량부의 백복령, 2∼3 중량부의 향시를 포함하는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27269A 2013-03-14 2013-03-14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5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269A KR101456937B1 (ko) 2013-03-14 2013-03-14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269A KR101456937B1 (ko) 2013-03-14 2013-03-14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772A KR20140112772A (ko) 2014-09-24
KR101456937B1 true KR101456937B1 (ko) 2014-10-31

Family

ID=51757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269A KR101456937B1 (ko) 2013-03-14 2013-03-14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417A1 (ko) * 2017-12-29 2019-07-04 주식회사 누베베 사상의학에 따라 처방 가능한 한약 비만치료 태블릿 제제
KR102232076B1 (ko) 2017-12-29 2021-03-25 주식회사 누베베 사상의학에 따라 처방가능한 한약 비만치료 타블릿의 제조방법
TWI807164B (zh) * 2019-02-25 2023-07-01 長庚醫療財團法人台北長庚紀念醫院 醫藥組成物及其用途
KR102268670B1 (ko) * 2019-07-25 2021-06-23 한국한의약진흥원 비만 및 과체중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그리고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794A (ko) * 2006-12-04 2008-06-10 장용훈 복합 생약 추출물(mst)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043145B1 (ko) * 2003-07-28 2011-06-20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45B1 (ko) * 2003-07-28 2011-06-20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KR20080050794A (ko) * 2006-12-04 2008-06-10 장용훈 복합 생약 추출물(mst)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772A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432B1 (ko)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KR101456937B1 (ko) 천연물 추출물로 구성된 비만의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47278B1 (ko) 하엽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탄수화물 및 지방 흡수억제 활성을 가지는 생약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CN105560386B (zh) 仙人掌片剂及其制备方法
CN102293931B (zh) 一种中药组合物、临床制剂及制备方法
CN101249186A (zh) 一种兼治外伤、风湿痛、牙痛的中药油剂及其生产方法
CN103860773A (zh) 用于治疗心肌缺血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063977B (zh) 一种党参、沙棘复合冲剂及其应用
CN102416121A (zh) 一种药物组合物在制备治疗胃溃疡的药物中的用途
KR100522176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KR20170024689A (ko) 한방재를 이용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조성물
CN104840773A (zh) 治疗椎动脉型颈椎病的中药组合物及制法
CN104435798A (zh) 改善神经衰弱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9464565A (zh) 一种治疗胸痹心痛的中药组合物及其制剂
CN103550624A (zh) 治疗动脉粥样硬化与冠心病的中药制剂
KR100468054B1 (ko) 비만억제용 조성물
CN103690834B (zh) 一种降压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057535B (zh) 一种预防或/和治疗血脂异常的中药组合物的制备方法
CN102526449B (zh) 一种治疗心肌缺血型冠心病的药物组合物
CN107174603A (zh) 一种延缓衰老的中药
CN108714167B (zh) 一种治疗白癜风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213749A (zh) 用于治疗骨质疏松的制剂及制法
CN105056073A (zh) 医治心律失常的中药制剂及制备方法
CN103550337B (zh) 治疗女性月经不调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815267A (zh) 治疗小儿食积的消食化积中药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