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516B1 -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516B1
KR102153516B1 KR1020180003796A KR20180003796A KR102153516B1 KR 102153516 B1 KR102153516 B1 KR 102153516B1 KR 1020180003796 A KR1020180003796 A KR 1020180003796A KR 20180003796 A KR20180003796 A KR 20180003796A KR 102153516 B1 KR102153516 B1 KR 10215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edictor
obesity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059A (ko
Inventor
남주옥
소재현
이슬기
김진수
이한샘
임유미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율촌재단
한약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율촌재단, 한약진흥재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5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PPARγ 또는 C/EBPα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내 지질 축적을 감소시키며 체중, 간 무게, 또는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켜 일반 예지자 추출물에 비해 뛰어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은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obesity comprising bioconverted fruit extract of Akebia quinata}
본 발명은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인 것을 의미하며, 음식물로 섭취한 에너지가 신체활동 등으로 소비한 에너지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잉여의 에너지가 체지방으로 축적되는 현상이다. 비만은 유전적 영향, 서구화되는 식생활에 의한 환경적인 영향, 스트레스에 의한 심리적인 영향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정확한 원인이나 기작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비만은 그 자체의 위험성보다 비만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여러 합병증 때문에 그 심각성이 더욱 크게 인식되고 있는데, 오랜 시간에 걸쳐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체지방이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면 당뇨,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중,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 질환과 성인병이 유발된다. 더불어 비만은 신체적인 질환뿐만 아니라 사회적 고립감이나 소외, 자신감 결여, 우울감과 같은 정신적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이는 서구에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비만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비만은 식이요법, 규칙적인 운동과 더불어 행동요법과 같은 생활습관의 개선, 및 식욕 억제제와 지방 흡수 억제제와 같은 약물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비만은 만성 질환이기 때문에 약물치료를 시도하는 경우 장기간의 사용이 필요하며, 현재 국내에서 3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이 허가된 제품으로는 식욕억제제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지방분해효소 억제제인 올리스타트(orlistat)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 치료 약물들은 대부분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을 조절하는 향정신성의약품들이므로 두통 및 구토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며 남용 우려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판중인 항비만제의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정성이 높고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으름덩굴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으름덩굴과의 낙엽 덩굴식물로서 으름이라고도 하고 일반적으로 초콜릿 덩굴이라고 불린다. 으름덩굴의 학명은 Akebia quinata이며 한국(황해도 이남), 일본, 중국 등에 분포되어 있다. 으름덩굴의 뿌리 및 줄기는 창달(暢達), 인후(咽喉), 진해(鎭咳), 해열(解熱), 소염(消炎), 배농(排膿), 구충(驅蟲), 부종(浮腫) 등에 약재로 사용되어 왔고, 페놀성 물질,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 헤데라게닌(hederagenin)과 같은 사포닌 성분 함유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지자(預知子)는 으름덩굴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의 잘익은 열매로, 검은씨가 많은데 이것을 먹으면 머리를 맑게 하고 앞일을 미리 알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고 하여 예지자(預知子)라고 하며, 임하부인(林下婦人) 또는 팔월찰(八月札)이라고도 하고 췌장암, 구강암, 임파선 종양 등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생물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된 생물전환 추출물은 일반 생약 추출물과 비교했을 때 새로운 생체활성 물질 및 증폭된 물질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 종래에 으름덩굴은 항산화 활성 및 항비만 등 다양한 생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 1303306호), 으름덩굴의 생물전환 추출물의 생체 내 및 생체 외에서 항비만 효과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으름덩굴의 열매, 즉 예지자의 일반 추출물 및 생물전환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를 가지며,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이 일반 추출물에 비해 더 뛰어난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상기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이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항비만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안정성이 높고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의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이 뛰어난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은 누룩곰팡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조효소액에 의해 생물전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기 누룩곰팡이는 아스페르길루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퍼옥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 감마(PPARγ) 또는 CCAAT-인핸서 결합 단백질 알파(C/EBPα)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내 지질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간 무게, 또는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PPARγ 또는 C/EBPα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내 지질 축적을 감소시키며 체중, 간 무게, 또는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켜 일반 예지자 추출물에 비해 항비만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의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은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방면으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단순 예지자 추출물(fruit extract of Akebia quinata, FE),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bioconverted fruit extract of Akebia quinata, BFE) 각각을 처리한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세포 생존능 측정 결과를 MTT 분석에 의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3T3-L1 지방전구세포(음성 대조군, NC), 완전 분화된 지방세포(양성 대조군, PC), 단순 예지자 추출물(FE)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BFE)을 각각 처리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 모양을 400x 배율의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 각각을 처리한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Oil Red O staining으로 염색한 결과를 음성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3T3-L1 지방세포 내 Triglyceride(TG)의 함량을 측정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3T3-L1 지방세포에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지방생성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을 RT-PCR 결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3T3-L1 지방세포에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지방생성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western blotting 결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실험동물에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몸무게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실험동물에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지방조직 및 다른 장기들에서의 무게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실험동물에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투여가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실험동물에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혈장의 생화학적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실험동물에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간 조직 내 지질 축적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실험동물에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부고환지방조직(eWAT)에서의 지방세포 크기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복강지방조직(vWAT) 및 서혜부지방조직(iWAT)에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PPARγ의 발현수준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실험동물의 복강지방조직(vWAT)에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PPARγ 및 adiponectin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생물전환"은, 생합성(biosynthesis), 생촉매(biocatalysis) 등의 용어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적 기능을 이용하여 전구물질로부터 원하는 산물을 제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미생물 발효 또는 효소 처리 등의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천연물 생리활성 물질의 구조적 변화를 유도하여 유효성분의 함량 증가, 흡수율 개선 및 새로운 기능성분의 생성을 유도하는 작업이다.
본 발명의 예지자 추출물은 누룩곰팡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조효소액에 의해 생물전환될 수 있으며, 누룩곰팡이는 술 제조에 중요한 누룩에서 분리 동정된 미생물을 의미한다. 상기 누룩곰팡이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Absidia sp, Rhizopus cohnii, R. arrhizus, R. oryzae, Aspergillus oryzae, Asp. glaucus, Asp. usamii, Asp. niger, Asp. flavus, Asp. foeticus, Asp. wentii, Asp. kawachii, Monascus, Penicillium glaucum, Pen. mandshricum, Cephalospo- rium sp, Neurospora sp, Dematium pullans, Actinomucor sp, Botryorichum sp, Cladosporium sp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예지자 추출물은 아스페르길루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를 이용하여 제조한 조효소액에 의해 생물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상기 예지자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예지자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예지자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예지자를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메탄올,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in vitro 상에서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및 PPARγ 또는 C/EBPα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실험예 1-2 및 1-3 참조), in vivo 상에서 상기 추출물의 PPARγ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실험예 2-5 참조).
이 때, 상기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는 세포신호 경로에 중요한 요소이며 당대사와 지방세포형성과 관련된 전사인자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PPARγ는 지방세포에서 PPARγ1 및 PPARγ2 의 형태로 발현하는데, PPARγ2 는 PPARγ1 에 비해 N-말단에 30개의 아미노산이 더 있으나 나머지 아미노산 서열은 똑같고, PPARγ1 및 PPARγ2의 발현 수준은 조직마다 차이가 있다. PPARγ는 지방세포에서 가장 많이 발현되고, 골격 근육, 심장, 간, 장, 신장, 혈관 내피 및 평활근 세포 및 대식세포에서는 낮은 수치로 발현되며 비만, 당뇨 및 발암 등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는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조절에 PPARγ와 함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지방전구세포 분화 과정에 있어서 초기단계의 C/EBPδ 및 C/EBPβ는 PPARγ의 발현을 유도하며, PPARγ의 발현 증가는 C/EBPα의 발현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후기를 담당한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in vitro 및 in vivo 상에서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에 의한 세포 또는 간 조직 내 지질 축적 정도를 확인한 결과, 단순 예지자 추출물에 비하여 뛰어난 세포 또는 간 조직 내 지질 축적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실험예 1-2 및 2-4 참조).
또한, in vivo 상에서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에 의한 체중 및 장기의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 체중, 간 무게,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실험예 2-1 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 억제,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억제, 세포 또는 간 조직 내 지질 축적 감소, 및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 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bioconverted fruit extract of Akebia quinata, BFE)이 단순 예지자 추출물(fruit extract of Akebia quinata, FE)에 비해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의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비만 개선 효과를 갖는 화합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화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실시예1 .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제조
1-1. 시료의 제조
국내에서 구입한 예지자 600g을 70% Methanol(MeOH) 3.5L에 넣고 3시간 동안 2회 환류추출 후 여과하고 이렇게 얻은 메탄올 추출물을 감압원심농축 시켰다. 이 중 40g의 예지자는 다시 400ml의 증류수에 재현탁시켜 예지자 추출물의 효소반응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1-2. 조효소액의 제조
밀기울 10g에 10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500ml 삼각플라스크에 담아 밀기울에 수분이 잘 흡수되도록 혼합해준 후 121℃에서 30분간 멸균한 후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균주(Aspergillus kawachii)를 접종하여 30℃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발효된 밀기울을 100ml의 100mM의 sodium phosphate buffer (pH 7.0)에 현탁시켜 4℃에서 18시간 방치시킨 후 거즈로 여과하였으며, 여과액을 10,000 rpm에서 15분동안 냉장 centrifuge하여 얻은 상등액을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으며, 조효소액의 효소는 beta-glucosidase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1-3. 조효소액 처리에 의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제조
증류수 400ml에 재현탁된 예지자 메탄올 추출물을 200ml씩 삼각플라스크에 분주하고,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Aspergillus kawachii를 이용한 조효소액 또는 비활성화 시킨 조효소액을 첨가하여 30℃에서 200rpm으로 24시간동안 배양하여 생물전환된 예지자 및 단순 예지자 반응산물을 얻었으며, 상기 생물전환된 예지자 반응산물을 동결건조하여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조효소액을 121℃에서 30분간 멸균하여 효소의 활성을 제거해 비활성화 시킨 후 상기 단순 예지자 반응산물에 첨가하여 추출한 단순 예지자 추출물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1-4. 예지자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생물전환된 예지자 반응산물 및 단순 예지자 반응산물을 n-hexane(hexane), ethyl acetate(EtOAc) 및 n-butanol(BuOH)의 용매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배추출 하였고, 분배추출물은 회전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각각의 예지자 추출물의 분획물을 얻었다.
실험에 앞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과정에서 다양한 용매로 분획한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 및 단순 예지자 추출물의 항분화 효과를 조사하였고, 상기 3가지의 상이한 분획물 중 부탄올 용해성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에 비해 항분화 효과가 유의하게 높아, 본 발명에서는 in vitro 실험에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부탄올 용해성 분획물을 사용하였다.
실험예1 . In vitro에서 생물전환 예지자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1-1. 세포 생존능 측정
세포 생존능에 단순 예지자 추출물(fruit extract of Akebia quinata, FE)과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bioconverted fruit extract of Akebia quinata, BFE)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3T3-L1 지방전구세포를 96-well plate에 파종하고 이후, 각 추출물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처리 시간 이후, MTT (3-(4,5)-dimethylthiahiazo (-z-y1)-3,5-di-phenytetrazoliumromide) 용액을 각 well에 추가하고 3시간 반응시킨 뒤, 형성된 formazan을 용해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양시간이 24시간 이상이거나 각 추출물의 농도가 40 μg/mL인 경우는 지방전구세포의 생존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0 μg/mL의 농도에서 24시간 동안 FE 및 BFE로 처리한 것은 지방전구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험에는 각 추출물의 농도 범위를 0 내지 40 μg/mL로 사용하였다.
1-2. 3T3-L1 세포의 분화 및 지질 축적에 대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영향
3T3-L1 지방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구입하였고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배지에 10%NBCS를 추가한 배지에 배양하였다. 분화를 위해 세포는 이틀간 post-confluence를 유지시킨 뒤, 지방세포분화 유도 물질(0.5 mM IBMX, 1 μM DEXA, 0.125 mM indomethacin, 10 μg/mL insulin)을 처리하여 이틀간 자극시켰다. 이후로는, 10 μg/mL의 insulin 자극만으로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가 완료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단순 예지자 추출물과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각 추출물을 분화기간 동안 24시간 지속적으로 처리하였다.
지질염색은 Oil Red O (ORO) staining 실험기법을 이용하였고 중성지방함량은 TG Quantification Kit (Bio Vision)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수행하였다.
지질염색을 위해, 세포를 0.6% glutaraldehyde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0.4%의 ORO solution으로 염색한 뒤, 증류수로 3번 세척하였다. 염색된 지질을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고, 100% 이소프로필알콜 (isopropyl alcohol)을 이용하여 ORO 시약을 용해한 뒤,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중성지방 함량 측정을 위해, 세포를 4% NP-40을 포함하는 용해액에 용해하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 뒤,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TG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a에 나타낸 세포 모양과 도 2b에 나타낸 지방 적혈구를 Oil red O 염색한 것을 비교함으로써, FE 및 BFE가 3T3-L1 지방세포의 분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FE보다 BFE로 처리한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효과가 더 뛰어났다.
또한,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3T3-L1 지방세포 내 Triglyceride(TG)의 양은 양성 대조군(PC)보다 FE 또는 BFE로 처리한 지방세포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FE에 비해 BFE로 처리한 지방세포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1-3. 지방생성에 관련된 유전자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에 대한 FE 및 BFE의 영향
FE와 BFE의 지방세포 항분화 효과의 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지방생성 관련 유전자에 대한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및 western blotting을 통해 분석하였다. RNA분리는, 3T3-L1 지방세포 (mature adipocytes)에서 total RNA 추출시약(RNAiso Plus, TAKARA, Japan)을 사용하여 세포 용해 후, chloroform을 넣고 4℃, 12000rpm에서 15분간 centrifuge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상층액을 isopropanol과 섞은 후 반응시켜 같은 조건에서 10분간 centrifuge하여 RNA를 침전시켜 75% Ethanol로 세척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추출한 RNA를 PrimeScript 1st strand cDNA Synthesis Kit(TAKARA)를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RT-PCR은 EmeraldAmp GT PCR Master Mix(TAKARA)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RT-PCR에 사용된 프라이머에 대한 서열 및 가입 번호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단백질 발현 분석을 위해 3T3-L1세포를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용해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이후, Bradford 방식으로 총 단백질을 정량하여 동량의 단백질(30μg)을 10% SDS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전기영동 후 SDS polyacrylamide gel내의 단백질을 Nitrocellulose Blotting Membrane(Amersham Protran Premium 0.2μm NC, GE Healthcare Life Sciences, Germany)으로 transfer하였다. 단백질이 transfer된 Membrane을 5% skim milk를 처리하여 비특이적인 단백질에 대해 1시간 동안 blocking하였다. Membrane을 세척한 후 1차 항체를 반응시키고, 처리한 1차 항체에 알맞은 2차 항체를 사용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Enhanced Chemiluminoesence (ECL) solution으로 반응시켜 검출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 FE 및 BFE를 각각 20μg/ml, 40μg/ml씩 24시간 처리하여 완전히 분화된 지방세포로 유도해 RT-PCR 및 western blotting한 결과,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40 μg/mL 농도의 FE 또는 BFE 처리는 처리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PPARγ, C/EBPα, 및 LPL의 mRNA 발현 수준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도 3b에 나타낸 바에 따르면 PPARγ의 isoform(γ1, γ2), 및 C/EBPα의 발현은 FE로 처리한 것보다 BFE로 처리한 지방 세포에서 감소하였다.
Figure 112018003479141-pat00001
실시예2 . 실험 동물 및 비만 유도
본 실험에서는 평균체중이 180~200 g 정도의 6주령 Sparague Dawley (SD) Rat 수컷 36마리를 효창사이언스에서 공급받았으며 1주일간 일반식이로 예비사육 후 본 실험을 수행 하였다. 실험동물 개체는 그룹 당 6마리씩 임의로 분류하였으며 실험 그룹은 아래와 같다.
1) 일반식이군(Normal diet group, ND),
2) 고지방식이군(High fat diet group, HFD),
3) 고지방식이군 + 저농도 단순 예지자 추출물 투여(FE 150 mg/kg/day),
4) 고지방식이군 + 저농도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 투여(BFE 150 mg/kg/day),
5) 고지방식이군 + 고농도 단순 예지자 추출물 투여 (FE 300 mg/kg/day),
6) 고지방식이군 + 고농도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 투여 (BFE 300 mg/kg/day)
상기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것이다.
일반식이군(ND group)은 일반사료, 고지방식이군 및 고지방식이군에 각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는 총 열량의 60%를 지방으로 공급하여 사육하였다. 총 실험기간은 3.5주이며 실험동물군은 3.5주 동안 충분한 일정양의 사료와 물을 급여하였고 이틀 간격으로 추출물을 정해진 농도에 따라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동물 사육실은 일정한 조건(실내온도 23~25℃, 습도 40~50%)으로 유지시켰으며 명암은 12시간 (07:00~19:00) 간격으로 조절하였다. 동물실험은 경북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 및 지침에 준하여 수행하였다(승인번호: KNU 2017-0084).
실험예2 . In vivo에서 생물전환 예지자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2-1. 체중 및 장기 무게 변화
실험 기간 3.5주간 일반식이군(ND), 고지방식이군(HFD), 고지방식이에 단순 예지자 추출물 처리군(FE) 및 고지방식이에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 처리군(BFE)의 체중은 실험 종료일까지 약 9주령의 체중을 최종 체중으로 하였다.
각각의 체중을 측정한 결과,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인 일반식이군(ND)의 체중은 195.2±4.4 g에서 350.6±6.5 g으로 증가하였고, 실험대조군인 고지방식이군(HFD)의 체중은 184.3±10.2 g에서 390.4±17.9 g으로 실험 시작일보다 약 2.1배 증가하였다. FE150(mg/kg/day) 그룹의 최종 무게는 363.3±4.5 g으로 HFD 그룹에 비해 7.4% 감소하였으며 BFE150 (mg/kg/day) 그룹의 최종 무게는 352.8±9.1 g으로 FE150 그룹에 비하여 2.9% 감소하였다. BFE300 (mg/kg/day) 그룹의 최종무게는 362±32.1 g으로 HFD그룹에 비해 7.8% 감소하였으며 BFE300 (mg/kg/day) 그룹의 최종무게는 339.4±22.1 g으로 FE300 그룹에 비하여 6.7%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실험 종료일에 실험동물들은 이소플루란(isoflurane)을 이용하여 전신마취 후 심장채혈을 하였다. 혈액은 4℃, 30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으며, -80℃에서 냉동보관 하였다. 채혈 후 서혜부지방조직(iWAT), 부고환지방조직(eWAT), 복강지방조직(vWAT), 갈색지방조직(BAT), 췌장(pancreas), 신장(kidney), 간(liver), 심장(heart), 및 비장(spleen)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즉시 액체질소(liquid nitrogen)에 급속냉각 하였으며 이후 -80℃에서 냉동보관 하였다.
무게 측정 결과,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FE 그룹과 BFE 그룹의 간 무게는 HFD 그룹에 비하여 투여농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E150 그룹과 BFE150 그룹의 간 무게는 각각 12.7g±1.2 g, 12.1g±1.3 g으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FE300 그룹과 BFE300 그룹의 간무게는 각각 11.4±1.7 g, 9.9±0.7 g으로 BFE300 그룹이 FE300 그룹에 비해 간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서혜부지방조직(iWAT)의 경우 FE300 그룹이 5.8±2.1 g, BFE300 그룹이 4.98±1.5 g으로 BFE그룹이 FE그룹보다 상대적으로 지방조직무게가 감소하였으며 복강지방조직(vWAT)의 경우 FE300 그룹이 5.5±2.2 g, BFE300 그룹이 4.6±0.8 g으로 BFE그룹이 FE그룹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무게와 지방조직의 무게는 FE, BFE 투여량이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다른 장기조직(췌장, 신장, 심장, 비장)의 무게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2-2.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변화
상기 실험예 2-1에서 나타난 몸무게 및 지방조직의 감소가 식이섭취량 감소에 의한 것인지 조사하기 위해 식이효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 FE, 및 BFE 그룹의 식이섭취량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식이효율은 BFE300 그룹에서 HFD 그룹에 비하여 0.6배 감소하였고 FE300 그룹은 HFD 그룹에 비하여 0.7배 감소하였다. 식이량은 매일 측정하였고, 식이효율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식이효율(Food efficiency) = 식이섭취량(g)/몸무게 증가량(g)
2-3. 혈장 생화학적 분석
모든 실험군 혈장의 생화학적 분석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첫 번째로,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에 의한 간 손상 및 단순 예지자 추출물,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의 지속적인 투여로 인한 간 손상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인 간 기능 지표로 사용되는 혈청 내 Alkaline Phophatase (ALP) 및 Aspartate aminotransderase (AST) 농도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인 혈장 내 ALP, AST의 수치는 HFD 그룹이 정상대조군인 ND 그룹에 비하여 월등히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그룹 중 간 기능 보호효과가 가장 우수한 그룹은 FE300 그룹이며 ALP 및 AST의 수치는 HFD 그룹보다 각각 28.9%, 55.6%로 감소된 수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FE300 그룹에서 가장 우수한 간 기능 개선효과가 확인되었지만 FE 및 BFE 두 그룹 모두에서 실험대조군인 HFD 그룹에 비하여 감소된 AST 및 ALP수치를 나타내어 전반적으로 단순 예지자 추추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은 비만으로 인한 간기능 저하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에 의한 혈장 내 지질함량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중성지방 (TG), 총콜레스테롤 (CHO)을 측정하였다.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 역시 HFD 그룹이 정상대조군인 ND 그룹보다 현저히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군의 TG함량은 FE300 그룹이 36.5±9.5(mg/dl), BFE300 그룹이 27.6±2.6(mg/dl)으로 BFE300 그룹이 FE300 그룹에 비하여 32.2% 감소하였지만 FE150 그룹과 BFE150 그룹 간의 TG함량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다.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FE300 그룹이 64.8±13.8, BFE300 그룹이 53.0±6.6으로 BFE300 그룹이 FE300 그룹에 비하여 22.2% 감소하였다.
2-4. 간 조직 및 지방조직의 조직학적 분석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에 의한 간 조직 내 지질 축적 상태와 지방조직의 지방세포의 크기변화를 조직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H&E 염색법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2-1에서 적출한 간 및 부고환지방조직(eWAT)을 4% paraformaldehyde(PFA)에 24시간 고정시킨 후 에틸알코올(EtOH) 농도구배를 이용하여 탈수, 투명, 및 침투화 하였다. 전처리가 끝난 조직을 파라핀블럭(paraffin block)을 제조하여 6um 두께로 박절하여 조직절편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조직슬라이드는 Hematoxylin 용액으로 3분간 핵을 염색하였으며, 수세 후 eosin 용액으로 2분간 세포질을 염색하였고 봉입제(mounting solution)를 이용하여 염색된 슬라이드를 봉입하여 상온에 20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각 실험군들의 간 및 부고환지방조직의 변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 조직 염색 결과로써는 ND그룹에 비해 HFD 그룹의 간 조직에서 지질 축적 및 분포 정도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고지방식이의 비만으로 인한 지방간의 형태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HFD 그룹에 비하여 FE 및 BFE 그룹의 간 조직 내 지질 축적 정도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BFE 그룹의 간 조직 내 지질 축적 정도가 FE 그룹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특히 BFE300 투여군에서는 간 지질 축적 정도가 정상대조군인 ND 그룹과 거의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7b에 나타낸 지방조직 염색 결과로써, ND 그룹에 비해 HFD 그룹의 부고환지방조직(eWAT)의 지방세포크기가 현저히 증가 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HFD 그룹에 비하여 FE 및 BFE 그룹의 지방세포크기는 투여농도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방세포크기 감소 정도는 FE 그룹에 비하여 BFE 그룹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BFE 300 투여군의 지방세포크기는 정상대조군인 ND 그룹과 유사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5.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의 발현 수준 변화
단순 예지자 추출물 및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 투여군에 나타나는 항비만 효과의 기작을 분석하기 위해 복강지방조직(vWAT) 및 서혜부지방조직(iWAT)에서 지방생성에 관여하는 주요전사인자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수준을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및 Western blotting을 통해 평가하였다.
qRT-PCR 은 iCycler iQ™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 (Bio-Rad Laboratories, USA) 장비를 이용하여 SYBR Green의 발광 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검출한 유전자들의 Primer 종류 및 서열은 하기 표 2에 표시한 바와 같다.
실험결과,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 그룹에 비해 FE 및 BFE 그룹의 iWAT, vWAT 내 PPARγ의 mRNA발현 수준이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FE 그룹에 비해 BFE 그룹에서 그 수준이 더욱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백질 수준에서 vWAT의 PPARγ와 아디포카인의 한 종류로서 지방조직에서 특이적으로 분비되는 adiponectin의 단백질수준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mRNA발현 수준과 유사하게 FE 그룹에 비해 BFE 그룹에서 PPARγ의 단백질 발현 수준이 투여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인슐린 감수성을 조절하는 adiponectin의 발현은 FE 그룹에 비해 BFE 그룹에서 투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ene accession number Forward Reverse
PPARγ NM_013124 CTTGGCCATATTTATAGCTGTCATTATT GTGAAGCCCATCGAGGACA
GAPDH NM_001287579 GCCAAGAAGTCGGTGGATAA TGAGAGCTCCTTGGTCAAGG
실시예3 . 통계분석
모든 실험은 3회 반복실험을 하였으며, 통계분석은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P<0.05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나타낸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4)

  1. 아스페르길루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를 이용하여 제조한 조효소액에 의해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퍼옥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 감마(PPARγ) 또는 CCAAT-인핸서 결합 단백질 알파(C/EBPα)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내 지질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간 무게, 또는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아스페르길루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를 이용하여 제조한 조효소액에 의해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퍼옥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 감마(PPARγ) 또는 CCAAT-인핸서 결합 단백질 알파(C/EBPα)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포 내 지질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체중, 간 무게, 또는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80003796A 2018-01-11 2018-01-11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5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796A KR102153516B1 (ko) 2018-01-11 2018-01-11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796A KR102153516B1 (ko) 2018-01-11 2018-01-11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059A KR20190086059A (ko) 2019-07-22
KR102153516B1 true KR102153516B1 (ko) 2020-09-09

Family

ID=6746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796A KR102153516B1 (ko) 2018-01-11 2018-01-11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5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306B1 (ko) * 2011-05-23 2013-09-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5, 168, pp. 17-24*
Journal of Life Science, 2014, 24, pp. 827-83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059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1138A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705127A2 (en) Composition comprisingsalvia miltiorrhiza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30048B1 (ko) 가자나무열매추출물 및 암라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0587398B1 (ko) 항지방화 및 항비만 활성을 갖는 박과 식물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한 정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123130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7517B1 (ko)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3516B1 (ko)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19167B1 (ko) 체지방 억제에 유용한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비만조성물
KR102160424B1 (ko) 유파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706133B1 (ko)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치료용 조성물
KR20180050272A (ko)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830236B1 (ko)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0294A (ko) 한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03583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931305B1 (ko) 양하 추출물과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JP5864003B1 (ja) 脂質蓄積抑制効果を有する新規羅漢果抽出物組成物
KR20150091770A (ko)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90106587A (ko) 한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07569B1 (ko)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KR20140039809A (ko) 소야사포닌 Aa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7308B1 (ko) 황국균으로 발효시켜 고함량의 페룰산이 농축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64511A (ko) 미역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