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133B1 -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133B1
KR100706133B1 KR1020050070951A KR20050070951A KR100706133B1 KR 100706133 B1 KR100706133 B1 KR 100706133B1 KR 1020050070951 A KR1020050070951 A KR 1020050070951A KR 20050070951 A KR20050070951 A KR 20050070951A KR 100706133 B1 KR100706133 B1 KR 10070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ow
composition
inhibiting
m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352A (ko
Inventor
윤유식
유영법
고병섭
임남희
차민호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7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1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1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의 수추출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 메탄올 용출물의 분획물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분리한 아일란톤은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Glut-4 및 aP-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며, 고지방식이한 SD계 랫트의 몸무게, 신장후 복막하지방 조직 무게, 부고환 지방 조직 무게 및 간 무게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저근백피, 아일란톤, 비만

Description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Ailanthi cortex or ailanthon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아일란톤)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일란톤의 13C-NMR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일란톤의 1H-NMR 스펙트럼이다.
4은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수추출물이 3T3-L1 세포주의 중성지방(triglyceride) 축적을 억제함을 확인한 오일-레드 O(Oil-red O) 용액을 이용한 세포 내 축적된 지방 염색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분획(메탄올 용출)물의 농도에 따른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의 컬럼 분획 (column fraction)들의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시 발현이 증가하는 Glut-4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시 발현이 증가하는 aP-2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쥐의 몸무게 및 신장후 복막하지방 조직 무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쥐의 부고환 지방 조직 및 간의 무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구미에서는 비만증이 전체 인구의 20%로 미국에서만 3천 5백만명 이상이고, 과체중 인구는 50%에 이른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심혈관계 질환,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 고혈압, 중풍 및 암 등의 만성질환의 가장 주요한 위험인자의 하나로 입증되고 있다[Huang 등, 1988; Colditz 등, 1995; Kannel 등, 199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운동량 부족으로 비만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성인의 25%가 과체중 및 비만으로 분류되는 통계자료가 나오고 있다[보건산업진흥원. 2001].
비만은 단순성 비만과 2차성 비만(증후성 비만)으로 분류된다.
단순성 비만의 원인으로는 과식, 운동부족 및 기초대사의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임상적으로 비만으로 판정되는 경우의 대부분은 단순성 비만이다. 단순성 비만이 발현하여 그 상태가 지속되면, 각종 건강 장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2차성 비만은 임의의 기초질환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비만으로, 내분비성 비만, 시상하부성 비만, 유전성 비만 또는 약제에 기인한 비만 등을 들 수 있다.
비만은 여러 가지 질환이 원인이 되어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비만 자체가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가성 뇌종양(pseudotumor cerebri), 고지혈증, 수면 무호흡증(sleep apnea), 암, 폐 고혈압(pulmonary hypertension), 담낭염(cholecystitis) 및 골관절염(osteoarthritis) 등의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거나, 또는 활동성의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비만의 주요한 원인은 섭취 에너지가 소비 에너지에 비해 지속적으로 과도하 게 되는 것으로, 일부 비만 환자들은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통해 체중을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그 외 행동요법, 정신요법, 약물요법 또는 외과요법(위축소술과 같은 수술요법) 등이 병행된다. 식이요법은 총 에너지 섭취량을 제어하는 치료방법이나, 안정시의 대사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기대와 같은 체중감소는 얻어질 수 없고, 감량성공의 경우라도 제(除)지방 체중의 감소가 중심이 되는 경우가 많고, 영양 불량장해, 공복감 또는 스트레스라고 하는 육체적 및 정신적 고통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운동요법의 경우 소비 에너지의 증가뿐만 아니라, 안정시 대사율의 개선, 인슐린 저항성의 시정 및 체지방의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으나, 1회에 20분간의 호기(好氣)적 운동을 주 3회 이상 행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지속적으로 시행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행동요법 또는 정신요법은 식이요법 또는 운동요법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수단으로, 충분한 효과를 얻는 것은 일반적으로 곤란하다.
상기의 치료방법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또는 극도의 비만에 대한 긴급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약물요법 또는 외과요법 등이 행해지고 있으나, 외과요법은 환자에게 주는 부담이 매우 크다. 약물요법을 위해 사용되는 비만증 치료약으로서는 식욕 억제제, 소화흡수 저해제, 비만축적 방해제 또는 대사촉진제 등이 있으나, 이들 비만 치료제는 약물 의존성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성이 있다. 또한, 투여한 환자에게 단기간에 내성이 생겨버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장기간 연속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운동요법을 행하는 경우, 비만한 사람에게 격렬한 운동을 강제시키 면 하지(下肢)관절을 상해하는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벼운 수영 등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에너지 대사를 활성화하는 부작용이 적은 약제와 가벼운 수영 등 가벼운 운동을 병행하여 근육을 증가시키고, 기초대사의 증대에 의해 에너지 소비를 촉진하는 것은 비만개선을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으로서 여겨지고 있다.
현재까지 비만의 억제 및 치료를 위하여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여러 약물이 개발되었다. 최근 Bray는 [Bray 등, 2000] 비만을 치료하는 약물들은 크게 3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 하나는 음식의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체내 대사를 조절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는 체내 발열반응(thermogenesis)을 증가시킴으로써 체내 열량을 소모하게 하는 약물로 구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용되어온 약물치료에 쓰이는 많은 약들은 부작용이 발견되고 있다. 세로토닌(Serotonin) 재흡수 억제제인 덱스펜플루라민(Dexfenfluramine)과 펜플루라민(Fenfluramine)은 FDA에서 의약품 승인 후 막대한 판매를 기록하였으나 심장 판막이상의 부작용이 발견되어 1997년 10월에 시장에서 회수되었다[Campfield 등, 1998]. 플루오젝틴(Fluoxectin)은 알레르기성 발진, 메스꺼움, 불면증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디에틸프로피온(Diethylpropion), 펜테민(Phentermine), 마진돌(Mazindol) 등에서도 불면증, 두통, 메스꺼움, 갈증 등의 부작용이 관찰되고 있다[김선우 1993]. 최근에는 시판 중인 비만치료제 전문의약품 페닐프로파놀라민(Phenylpropanolamine)의 뇌출혈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부 작용이 보고된 바 있다. 최근 들어서 폭발적인 판매를 올리고 있는 비만치료제 전문의약품 올리스타트(Orlistat: Xenical)의 경우에도 유변 등의 부작용이 상당히 보고되었고, 서구인에 비하여 한국인에서 치료 효율이 상당히 떨어짐이 관찰되고 있으며, 이는 식이 패턴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비만의 치료 및 억제를 위한 부작용 없는 새로운 의약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들어 비만을 포함한 모든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합성 의약품보다는 전통적으로 활용되어온 한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저근백피(Ailanthi cortex)는 소태나무과(Simaroubaceae) 활엽교목으로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SWINGLE)의 뿌리껍질이나 줄기껍질을 수집하여 양건한 것이다. 한방에서 저근백피는 고삽(苦澁), 한(寒)하고 위(胃), 대장(大腸)으로 귀경하며, 효능은 제열(除熱), 조습(燥濕), 삽장(澁腸), 축소변(縮小便), 살회충(殺蛔蟲), 삼습지대(渗濕止帶), 구리(久痢), 구비감충(口鼻疳蟲), 폐위적담(肺胃積痰), 장활(腸滑), 장풍사혈(腸風瀉血), 몽유(夢遺), 적백탁(赤白濁), 수곡하리(水穀下痢), 부인혈붕(婦人血崩), 적백대하(赤白帶下),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소아감질(小兒疳疾), 감리(疳痢)등에 사용하였다[국가중의약관리국<중화본초>편위회, 중화본초, 상해: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9, 5권3-6페이지].
화학성분으로는 페놀성 물질로 3,4,5-트리메톡시페놀, p-코마르산(comaric acid), 바닐린(vanillin), 바닐산(vanillic acid), 코니페릴 알데히드(coniferyl aldehyde), 2,6-디메티시벤조퀴논(dimethyxybenzoquinone), 트랜스-트리아콘틸-4- 히드록시-3-메톡시신나메이트(trans-triacontyl-4-hydroxy-3-methoxycinnamate)가 밝혀져 있으며, 플라보노이드류 화합물로 5,7-디히드록시크로몬-7-네오헤스페리도시드(dihydroxychromone-7-neohesperidoside), 나린진(naringin) 등이 보고되었으며, 뿌리껍질에는 메소신(mersosin), 탄닌(tannin), 플로바펜(phlobaphen)이 있고, 줄기껍질에는 아일란톤(ailanthone), 아마롤리드(amarolide), 아세틸라마롤리드(acetylamarolide), 쿼신(quassin), 니가키헤미아세탈 B(nigakihemiacetal B) 등이 보고되었다[Kazuya, K. et al,1994, Chem . Pharm . Bull. 42: 1669-1671]. 이외에도 1-(1',2'-디히드록시에틸)-4-메톡시-베타-카볼린(1-(1',2'-Dihydroxyethyl)-4-methoxy-beta-carboline), 1-메톡시칸틴-6-온-3-N-옥시드(1-Methoxycanthin-6-one-3-N-oxide), 아일란티논(Ailanthinone), 아일란톤(Ailanthone), 아마롤리드-11-아세테이트(Amarolide-11-acetate), 칸틴-6-온(Canthin-6-one), 차파린(Chaparrin), 차파리논(Chaparrinone), 차파롤리드(Chaparrolide), 쿼신(Quassin), 퀘시트린(Quercitrin), 신주딜락톤(Shinjudilactone), 신주코시드(Shinjuglucoside) A, B, C, D, E, F, G 등이 밝혀져 있다.
저근백피의 약리활성으로는 HIV-1 억제활성 [장영수 등, 2003, 한국생약학회지, 24: 28-32], 항암작용[김종 등, 1997, 한국생약학회지, 28(1): 54-58], 소염, 이뇨, 해열작용[이철원 등, 1986, 동서의학 11(2): 30-47] 등이 보고되어 있으나, 저근백피의 비만 억제활성에 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저근백피 추출물 및 그의 활성 화합물인 아일란톤이 지방세포(adipocyte, 3T3-L1) 내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glut-4 및 aP-2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며,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SD계 랫트(흰쥐)의 몸무게 감소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저근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근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Glut-4, aP-2 유전자 발현 억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저근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저근백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저근백피의 수추출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이며, 가장 바람직하게 메탄올 용출물로부터 분리한 분획물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아일란톤은 바람직하게는 저근백피 추출물로부 터 분리한 것이다.
Figure 112005042864474-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저근백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Glut-4, aP-2 유전자 발현 억제제를 제공하며, 상기 저근백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의 제조과정은 하기와 같다.
우선, 저근백피를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고, 분쇄한다. 분쇄된 저근백피에 적당한 양의 용매를 첨가하여 완전히 침지되도록 한다. 추출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70% 에탄올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저근백피 건중량의 10 내지 30배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배로 한다. 추출 방법은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한다.
다음, 상기에서 얻은 저근백피 수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 바람직하게는 디아이온 HP20(Diaion HP20)을 통과시켜 레진에 흡착된 흡착물을 적당한 용매로 용출시켜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각 용매 용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이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제조한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을 물 및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바람직하게는 C18,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6개의 분획물을 얻는다. 상기 6 개의 분획 가운데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 억제 효과가 우수한 분획 3 및 4에 대하여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메탄올=85:15인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 바람직하게는 제조용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화합물을 분리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바람직하게는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활성 화합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즉 저근백피 수추출물,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 메탄올 용출물의 각 분획 및 활성 화합물인 아일란톤은 지방세포(adipocyte, 3T3-L1) 내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축적을 억제하고,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SD(Sprague-Dawley)계 랫트(흰쥐)의 몸무게, 부고환 지방 조직 무게, 신장후 복막하 지방 조직 무게 및 간 무게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은 지방세포로 분화시 발현이 증가하는 포도당 운반 단백질 유전자인 Glut-4 유전자 및 지방산 결합 단백질(fatty acid binding protein) 유전자인 aP-2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켜 지방산 결합 단백질의 유전자 억제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은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8th, 1990)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은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이 10 ~ 1000 ㎎/㎏, 바람직하게는 10 ~ 100 ㎎/㎏로, 그의 활성 화합물인 아일란톤이 0.01~ 10 ㎎/㎏, 바람직하게는 0.01 ~ 1 ㎎/㎏로, 하루 1회 ~ 수회, 바람직하게는 1 ~ 3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의 억제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은 비만의 억제 및 치료를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 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의 제조
1-1: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저근백피는 (주)옴니허브에서 구입하고 생약학적 동정을 실시하여 한국한의학연구원 표본실에 보관중인 것을 사용하였다. 저근백피 시료 10 g에 물 또는 70% 에탄올 200 ㎖을 넣어 100℃에서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수추출물 및 70%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된 용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시료는 활성 실험시에 멸균된 증류수나 인산완충염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100 ㎍/㎖의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1-2: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 제조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은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저근백피 수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Diaion HP20)를 통과시켜 흡착물을 메탄올로 회수한 후, 이를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을 제조하였다.
1-3: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 제조
저근백피 추출물로부터 활성 화합물인 아일란톤을 제조하기 위하여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을 물:메탄올(100:0 내지 0:100)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이용한 옥타데실실란(ODS)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하위분획(subfractionation)을 실시하여 6개의 분획물을 얻었다. 이 가운데 분획 3 ~ 4의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이 분획에 대해 클로로포름:메탄올을 85:15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제조용 TLC를 실시하여 분리하고, 세파덱스 LH-20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용액 상태의 활성 화합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용액 상태에서 재결정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침상의 결정 형태의 활성 화합물을 3 ㎎ 수득하였다.
상기 활성 화합물 제조 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다.
1-4: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의 구조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얻은 활성 화합물의 구조 분석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3에서 분리한 화합물을 메탄올-d4(Methanol-d4)에 녹여 FT- NMR(Bruker, DMX 600, Germany)을 이용하여 13C-NMR 및 1H-NMR의 스펙트럼을 얻었다.
결과는 표 1, 표 2, 도 2 및 도 3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탄소 화학적 이동(ppm)
C-01 84.5 (CH)
C-02 199.0 (C=O)
C-03 126.2 (CH)
C-04 165.2 (C)
C-05 43.4 (CH)
C-06 26.8 (CH2)
C-07 80.0 (CH)
C-08 46.5 (C)
C-09 45.4 (CH)
C-10 46.3 (C)
C-11 110.3 (C)
C-12 81.0 (CH)
C-13 146.8 (C)
C-14 48.2 (CH)
C-15 35.5 (CH2)
C-16 172.4 (C=O)
C-18 23.0 (Me)
C-19 10.1 (Me)
C-20 73.1 (CH2)
C-21 120.4 (CH2)
수소 화학적 이동(ppm)
H-01 4.26
H-03 6.05
H-05 2.91 (12)
H-06α 2.26 (15)
H-06β 2.13 (15, 12)
H-07 4.62
H-09 2.95
H-12 3.89
H-14 2.84 (13.8, 5.4)
H-15α 3.11 (18.6, 13.8)
H-15β 2.65 (18.6, 5.4)
H-20α 3.99 (8.4)
H-20β 3.49 (8.4)
H-21 5.21
H-21 5.21
10-Me 1.20
4-Me 2.02
13C-NMR 스펙트럼에서 전형적인 디테페노이드(diterpenoid) 형태가 관찰되었으며, C-2와 C-16의 C=O에 기인한 특징적인 피크(peak)가 199.0과 172.4 ppm에서 관측되었고, C-18, 19의 메틸기에 기인한 피크가 23.1, 10.1 ppm에서 관측되었다. 1H-NMR에서 H-20α, H-20β에 기인한 피크가 3.49, 3.99에서 각각 8.4 Hz로 커플링(coupling)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H-5, H-6α, H-6β가 2.13, 2.26, 2.91 ppm에서 12 Hz와 15 Hz로 커플링함을 확인하였다. 13C-NMR 및 1H-NMR를 종합하여 실시예 1-3에서 분리한 화합물이 디테페노이드 계열의 화합물로 추정하였으며, 이들의 분광학적 특성과 문헌치(J. Nat. Prod., 59, 683-686, 1996)와 비교하여 아일란톤임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42864474-pat00002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이 지방세포 내 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측정
1-1: 세포 내 지방 축적량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이 지방세포 내 지방축적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Kasturi and Joshi(1982)의 방법에 따라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triglyceride, 이하 “TG”라 약칭함) 축적 정도를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또한, TG 검출 키트(TRIGLYZME assay kit, Shinyang, Seoul, Korea)를 사용하여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실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전지방세포인 3T3-L1은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였으며, 유도물질을 처리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3T3-L1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서 세포가 포화상태(confluency)에 도달하게 키운 후, 유도배지(IDM; 0,25 uM 덱사메타존(dexamethazone), 0.5 mM 2-이소부틸메틸잔틴(isobutylmethylzanthine), 5 ㎍/㎖ 인슐린(insulin), 10% FBS, 1% 항생제(antibiotics)가 포함된 DMEM 배지)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저근백피의 수추출물, 메탄올 용출물, 메탄올 용출물의 각 분획물 및 아일란톤을 처리하여 2 일간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후에는 유지배지(5 ㎍/㎖ 인슐린, 10% FBS, 1%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지)로 교체하여 분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방 축적을 유도하였다. 분화 7 일 후 웰에서 배지성분을 제거한 다음, 1×PBS로 2회 세척하고 10%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로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세포를 고정하였다. 이후 1×PBS로 2회 세척하고 오일-레드 O(Oil-red O) 용액(5 ㎎/㎖)으로 1시간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를 1×PBS로 2회 세척한 다음 광학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이때, 저근백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또한,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방세포를 7일간 분화시킨 후, 세포 스크래퍼(cell scraper)로 세포들을 모아 500 ㎕의 1× PBS에 현탁시키고, 10초간 초음파 분쇄기로 분쇄하여 TG 검출 키트로 검출하였고,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세포 내 지방량을 계산하였으며, 지방량이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50%가 되는 농도인 IC50을 구하였다.
Figure 112005042864474-pat00003
현미경 관찰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세포 내 지방 축적량 측정 결과는 표 3,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중성지방에 오일-레드 O가 흡착하여 붉은 색을 띄는 반점이 많이 관찰된 반면, 저근백피의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붉은색 반점이 적게 관찰되어 저근백피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중성지방의 축적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시료 IC 50(㎍/㎖)
저근백피 수추출물 21.33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 3.64
아일란톤 0.29
표 3 및 도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근백피의 수추출물은 IC50이 21.33 ㎍/㎖로 나타나 약 20 ㎍/㎖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50% 정도의 지방 축적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표 3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은 IC 50이 3.67 ㎍/㎖로 나타났으며, 5 ㎍/㎖의 농도에서는 약 70%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였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을 TLC로 분리하여 얻은 각 분획물 가운데 분획 3 및 4의 지방 축적률이 가장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분획 3 및 4로부터 분리한 활성 화합물인 아일란톤의 IC50은 0.29 ㎍/㎖로 낮게 나타나, 저농도에서 세포 내 지방 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이 지방 세포 내 중성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지방세포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시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RT-PCR(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과 리얼-타임 PCR(real-time PCR)을 이용하여 포도당 운반 단백질의 유전자 및 지방산 결합 단백질(fatty acid binding protein; FABP)의 유전자 발현정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는 3T3-L1 전지방세포에 유도물질을 처리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켜 사용하였으며, 상기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세포가 포화상태(confluency)에 도달하게 키운 후, 유도배지(IDM; 0,25 uM 덱사메타존, 0.5 mM 2-이소부틸메틸잔틴, 5 ㎍/㎖ 인슐린, 10% FBS, 1%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지)에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을 5 ㎍/㎖농도로 처리하여 2 일간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후에는 유지배지(5 ㎍/㎖ 인슐린, 10% FBS, 1%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지)로 교환하여 분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방축적을 유도하였다. 분화 7일 후 웰에서 배지성분을 제거한 다음, 트리졸(TriZol, invtrogen)을 이용하여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라 전체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전체 RNA 0.5 ㎍에 100 pmol의 올리고(dT)(Oligo(dT)) 프라이머를 부가하고, 65℃에서 10분간 방치하여 RNA를 변성시켰다. 변성된 RNA를 RT 프리믹스(premix; bioneer, Daejeon, Korea)에 부가한 후, 42℃에서 1시간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RT-PCR은 cDNA 혼합액 10 ㎕에 2 ㎕의 반응 용액, 250 uM의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트 트리포스페이트(deoxyribonucleotide triphosphate; dNTP), 10 pmol의 센스 프라이머(sense primer), 10 pmol의 안티센스 프라이머(antisense primer) 및 1 U의 폴리머라제(Taq polymerase)를 부가하여 PCR 반응액을 제조였다. 이를 PCR 기기(ABI 2700, Perkin-Elmer, USA)에 장착하고, 95℃, 5 분 → [95℃, 1 분 → 53℃, 1 분 → 72℃, 1 분: 30 회] → 72℃, 10 분 → 4℃의 조건으로 PCR을 수행하고, 그 결과는 1% 아가로스 젤(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하여 관찰하였다. 리얼 타임 PCR은 RT 반응액 10 ㎕에 1 ㎕의 센스 프라이머(10 pmol/㎕), 1 ㎕의 안티센스 프라이머(10 pmol/㎕) 및 25 ㎕의 2×QuantiTect SYBR Green PCR Master Mix(QIAGEN Inc., CA, USA)를 부가하여 총 부피가 25 ㎕가 되도록 삼차 증류수를 부가하여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Roter-gene 2000 real-time cycler(Corbett, Mortlake, NSW, Australia)에 장착하고, 95℃, 15 분 → [95℃, 1 분 → 53℃, 1 분 → 72℃, 1 분: 30 회]의 조건으로 PCR을 수행하고, 그 결과는 기기에 제공된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발현량이 크게 변하지 않는 유전자(housekeeping gene)로 GAPDH 유전자를 사용하였으며, 이의 프라이머 서열은 센스(5'-ctacatggtctacatgttcc-3')와 안티센스(5'-ctgacaatcttgagtgagtt-3')이며, 지방산 결합 단백질(aP-2)의 프라이머는 센스(5'-cctcgaaggtttacaaaatg-3')와 안티센스(5'-gaagtcacgcctttcataac-3')를 사용하였으며, Glut-4의 프라이머는 센스(5'-gcggagctaacgtgggaacta3')와 안티센스(5'-aagaattgagtgcagctggtc-3') 를 사용하였다. 이때, 전지방세포에 어떠한 시료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고, 지방세포에 어떠한 시료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였다.
결과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방세포로 분화시 발현이 증가하는 포도당 운반 단백질 유전자 Glut-4 유전자 및 지방산 결합 단백질 유전자인 aP-2 유전자의 발현이 전지방세포에 비하여 지방세포에서 현저히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을 처리했을 때, Glut-4 및 aP-2 유전자 발현양이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의 세포 독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MTT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시예에서 제조한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을 처리하여 96-웰 플래이트에 키운 3T3-L1 세포(2×104 세포/㎖)를 FBS가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로 2번 세척한 다음, 2% MTT 용액(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을 부가하였다. 이를 37 ℃에서 2시간 배양한 후, DMSO로 용출하여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Doyle, A., J. B. Griffiths, and D. G. Newell, 1995. Cell and Tissue culture: Laboratory Procedures, John Willey & Sons, New York).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IC50(㎍/㎖)
저근백피 수추출물 47.5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 6.6
아일란톤 2.23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을 처리했을 때 세포 생존율이 50%가 되는 농도와 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은 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이 랫트의 무게 증가에 미치는 영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이 고지방식이에 의한 쥐의 무게 증가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쥐에게 고지방식이와 저근백피 추출물을 동시에 섭취시켜 쥐의 무게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쥐는 SD(Sprague-Dawley)계 랫트 8주령을 사용하였고, 실험동물의 실험 전 평균체중은 260.9 ± 2.79g 이었으며, 실험에 사용된 각 군당 쥐의 수는 9마리로 하였다. 식이 조성은 Mariana (2002) 등의 방법에 의해 동일한 조성으로 한삶 R&D에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을 매일 10 ㎎/㎏, 25 ㎎/㎏, 50 ㎎/㎏로 경구투여하였으며, 6주간 실시하였다. 사육실의 온도는 25± 2℃로 유지하였고 낮/밤 주기는 12시간 주기로 교차하였으며, 물과 실험식이는 자유로이 먹도록 하였다. 이때 정상식이를 한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고,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고지방식이를 한 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였다. 식이가 끝난 6주 후, 각 군의 랫트의 몸무게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복막후 지방 조직(retro-peritoneal adipose tissue), 부고환 지방 조직(epididymal adipose tissue) 및 간 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쥐(양성대조군)는의 정상식이를 섭취한 쥐(음성대조군)에 비하여 몸무게, 신장후 복막하 지방 조직 무게, 부고환 지방 조직 무게 및 간 조직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을 섭취한 쥐의 경우,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수치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 0.5 ~ 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2.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 5 ~ 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3.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종실류(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의 건조분말(3 중량%),
영지(0.5중량%),
지황(0.5중량%)
제제예 3 : 음료의 제조
3-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3-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3.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4.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 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은 3T3-L1 세포주에서 중성지방 축적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지방세포로의 분화시 발현이 증가하는 Glut-4 유전자 및 지방 결합 단백질 aP-2 유전자의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세포 독성이 없다. 또한,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SD계 랫트(흰쥐)의 몸무게, 부고환 지방 조직 무게, 복막후 지방 조직 무게 및 간 조직 무게를 감소시키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저근백피 추출물 및 아일란톤은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저근백피(Ailanthi cortex)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근백피 추출물은 저근백피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근백피 추출물은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을 물:메탄올이 80:20 내지 60:40의 비율로 혼합된 물 및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한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는 20% 메탄올 수용액 또는 40% 메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일란톤(ailanthone)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5042864474-pat00004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란톤은 저근백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란톤은 저근백피 수추출물의 메탄올 용출물의 분획물을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의 혼합용매는 클로로포름:메탄올이 85:15로 혼합된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근백피 추출물은 Glut-4 및 aP-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10. 삭제
  11.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란톤(ailanthone)은 Glut-4 및 aP-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50070951A 2005-08-03 2005-08-03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치료용 조성물 KR10070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951A KR100706133B1 (ko) 2005-08-03 2005-08-03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951A KR100706133B1 (ko) 2005-08-03 2005-08-03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352A KR20070016352A (ko) 2007-02-08
KR100706133B1 true KR100706133B1 (ko) 2007-04-12

Family

ID=4162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951A KR100706133B1 (ko) 2005-08-03 2005-08-03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4055A (zh) * 2018-05-23 2018-08-17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用于减肥的中药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126B1 (ko) 2010-12-28 2019-02-13 카메디스 리미티드 감염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식물 추출물
US10967031B2 (en) 2010-12-28 2021-04-06 Kamedis Ltd. Synergistic herbal compositions with prebiotic properties for treatment of skin infections, allergies and inflamm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2283A (ja) 1981-09-22 1983-03-28 Suntory Ltd 新規アイラントン化合物
KR20030018963A (ko) * 2001-08-31 2003-03-06 강선철 과채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식물유래의 천연항균제 및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2283A (ja) 1981-09-22 1983-03-28 Suntory Ltd 新規アイラントン化合物
KR20030018963A (ko) * 2001-08-31 2003-03-06 강선철 과채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식물유래의 천연항균제 및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51, 1177-80 (200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4055A (zh) * 2018-05-23 2018-08-17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用于减肥的中药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352A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856B1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8116B1 (ko) 발효 우엉 추출물 또는 우엉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06133B1 (ko)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치료용 조성물
KR101567573B1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23130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7934B1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74778B1 (ko)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20097080A (ko)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2363A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05116B1 (ko) 삼칠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816601B1 (ko) 오가피 열매 유래 물질이 포함된 혈관노화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11036A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94924B1 (ko) 퉁퉁마디 유래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이소람네틴의 분리방법
KR102501548B1 (ko) 대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9809A (ko) 소야사포닌 Aa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9143B1 (ko) 시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616724B1 (ko) 오미자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3093B1 (ko) 고온고압법제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48116B1 (ko) Ddmp군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3516B1 (ko) 생물전환된 예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92092B1 (ko) 녹차씨앗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