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116B1 - Ddmp군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Ddmp군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116B1
KR101448116B1 KR1020120106515A KR20120106515A KR101448116B1 KR 101448116 B1 KR101448116 B1 KR 101448116B1 KR 1020120106515 A KR1020120106515 A KR 1020120106515A KR 20120106515 A KR20120106515 A KR 20120106515A KR 101448116 B1 KR101448116 B1 KR 10144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onin
soy
adipocytes
gamma
soyasapo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810A (ko
Inventor
정규화
서주원
쯔카모토 찌겡
양승환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0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1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Abstract

본 발명은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시 지질 축적을 억제하며,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와 관련된 전사인자 등의 발현을 하향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은 비만 또는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및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과 같은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DDMP군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DDMP group soyasaponi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lipid related metabolic disease}
본 발명은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콩으로부터 분리된 특정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풍요로운 사회로 점점 발전해 감에 따라 비만이 심각한 질병 중의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고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는 비만을 치료해야 할 질병의 대상이라고 선언하였다. 비만은 열량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발생되는 대사성 질환이며, 형태학적으로 볼 때 체내 지방 세포의 크기 증가(hypertrophy) 또는 수의 증가(hyperplasia)에 의해 초래된다. 비만은 서구사회에서 가장 흔한 영양장애일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경제발전에 의한 식생활의 향상과 생활 방식의 서구화로 비만의 빈도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그 치료와 예방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비만은 심리적으로 개인을 위축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여러 가지 성인병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비만이 2형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심질환 등 여러 가지 성인병의 유병율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Cell 87:377, 1999), 비만과 관련된 질환들을 함께 묶어서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insulin resistance syndrome)이라고 하며, 이들이 동맥경화증 및 심혈관질환의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처럼 비만이 다양한 대사성 질환의 발병률을 증가시키고 실제 체중감소가 이러한 질환의 발병률을 현격히 감소시킨다는 사실로부터 지방을 많이 함유하는 지방세포가 이러한 현상을 매개할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과거에는 지방 조직은 과다한 에너지를 트리글리세롤(triacylglycerol)의 형태로 저장하고 필요할 때 방출하는 에너지 저장 기관으로만 생각되었으나, 최근에는 지방 조직이 아디포넥틴(adiponectin), 렙틴(leptin) 및 레지스틴(resistin) 등 여러 가지 아디포카인(adipokine)들을 분비하여 에너지의 항상성(homeostasis)을 조절하는 중요한 내분비 기관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Trends Endocrinol Metab 13:18, 2002). 따라서 지방 세포의 증식과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들에 대한 이해와 그 생체 내 조절 메카니즘에 대한 규명이 비만 및 그로 인한 여러 가지 질병들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고 이에 따라 지방세포 분화 조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비만 환자에서의 증가한 지방세포의 유래와 관련하여 체내의 전구지방세포(preadipocytes)로부터 분화된다는 것이 가장 주된 기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과정은 3T3-L1과 같은 세포를 이용하여 연구되어 왔으며, 여러 종류의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들, 특히 지방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사인자, C/EBPs(CAAT enhancer binding proteins), PPARs(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와 ADD/SREBPs(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dependent factor1/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s) 등이 시간의 차이에 따라 발현하며 그 과정을 조절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Bart A Jessen et al., Gene, 299, pp95-100, 2002; Darlington et al., J . Biol. Chem., 273, pp30057-30060, 1998; Brun R.P et al., Curr. Opin.Cell. Biol., 8, pp826-832, 1996). MDI(isobutylmethylxanthin, dexamethasone and insulin)와 같은 호르몬의 자극이 주어질 때, C/EBP β와 δ가 가장 먼저, 일시적으로 발현되며,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개시하게 한다(Reusch J. E et al., Mol. Cell. Biol., 20, pp1008-1020, 2000). 이는 계속해서 C/EBP α와 PPARγ의 발현증가를 유도하게 된다(James M. N. et al., J. Nutr., 130, pp3122S-3126S, 2000). PPARγ는 특히 지방세포 분화에 중요한 전사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레티논산 X 수용체(retinoic acid X receptor) 단백질(RXR)과 이합체(dimer)를 형성한 뒤, 다양한 지방세포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에 존재하는 PPRE(peroxisome proliferator response elements)에 결합한다 (Tontonoz P.E et al., Genes Dev., 8, pp1224-1234, 1994 ; Hwang, C. S et al., Cell Dev. Biol., 13, pp873-877). PPARγ와 C/EBP α의 상호 작용이 성숙한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매우 결정적인데, 이러한 전사인자들 및 지방세포 조절 인자들에 의해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촉진되고, aP2(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2)와 같은 지방세포 특이적 단백질 및 Fas(fatty acid synthase)와 같은 지방 대사 효소의 발현량이 증가한다. 더불어 ADD1/SREBPs는 지방 대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또한 분화과정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성숙 지방세포에서 ADD1/SREBP1c가 발현되는 것은 PPARγ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Rosen E.D. et al., Annu. Rev. Cell Dev. Biol., 16, pp145-171, 2000; Osborn T.F., J. Biol. Chem., 275, pp32379-32382, 2000). 분화과정을 마친 지방세포만이 지방산(fatty acid)을 합성하고 중성지질(triglycerides)을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연구 동향은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방세포 분화에 관한 대사과정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즉, 비만의 발생 기전에 의거하여 지방세포 조절을 통해 비만을 치료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지방 합성을 억제하거나 지방 분해 및 산화를 촉진하여 지방 양을 감소시키려는 것과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여 지방세포 수를 감소시키려는 것으로, 이들 과정을 매개하거나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전사인자들이나 단백질 그리고 지방세포 분비 물질들(adipokines)을 새로운 비만치료제 개발의 표적으로 떠오르게 하였다. 실제로 지방세포 분화 전사인자인 PPAR(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패밀리, 지방세포 분비 물질인 렙틴(leptin) 및 아디포넥틴 (adiponectin) 등은 많은 새로운 약제 개발의 표적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비만치료제로는 제니칼(Xenical, 로슈제약회사, 스위스), 리덕틸(Reductil, 에보트사, 미국), 엑소리제(Exolise, 아토파마, 프랑스) 등으로 크게 식욕억제제, 에너지소비 촉진제, 지방흡수억제제로 분류되며, 대부분의 비만치료제는 시상하부와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함으로써 식욕을 억제하는 식욕억제제이다. 그러나 종래의 치료제들은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신경계질환 등의 부작용과 함께 그 효능의 지속성도 낮아, 더욱 개선된 비만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고 또한, 현재 개발되고 있는 제품도 부작용없이 만족할 만한 치료 효과를 가지는 치료제는 거의 없어 새로운 비만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사포닌(saponin)은 식물체에 함유된 배당체 화합물로서, 스테로이드 또는 트리테르페노이드와 같은 아글리콘(Aglycone)에 1개 이상의 당 분자가 결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약 500여 종의 식물이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에도 여러 종류의 사포닌이 존재하는데, 콩의 사포닌인 소야사포닌(soyssaponin)은 아글리콘 구조에 기초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분자 구조를 보인다. 구체적으로 소야사포닌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야사포게놀 A(soyasapogenol 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소야사포게놀 B(soyasapogenol B)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소야사포게놀 E(soyasapogenol E)에 의해 크게 A군 소야사포닌, B군 소야사포닌, E군 소야사포닌으로 구분된다. A군 소야사포닌은 C-3 위치 및 C-22 위치 두 곳에 당 체인이 결합된 당 체인이 결합된 비스데스모사이드(bisdesmoside) 사포닌이며, B군 소야사포닌 및 E군 소야사포닌은 C-3 위치 한 곳에만 당 체인이 결합된 모노데스모사이드(monodesmoside) 사포닌이다. 또한, B군 소야사포닌은 다시 C-22 위치에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부착된 것과 그렇지 못한 것으로 구분되며, 이중 DDMP가 부착된 소야사포닌을 B군 소야사포닌과 별도로 DDMP군 소야사포닌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77875157-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2077875157-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2077875157-pat00003
또한, A군 소야사포닌에 해당하는 소야사포닌 화합물을 학자에 따라 소야사포닌 Aa, Ab, Ad, Ae, Af 등으로 분류하거나 A1~A6로 분류하기도 한다. 아울러, DDMP가 부착되지 않은 B군 소야사포닌에 해당하는 소야사포닌 화합물을 소야사포닌 Ba, Bb, Bb', Bc 등으로 분류하거나 소야사포닌 Ⅰ~Ⅴ로 분류하기도 하며, 최근 새로운 소야사포닌 화합물이 동정되면서 명명법도 조금씩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 도 1은 A군 소야사포닌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B군 소야사포닌, E군 소야사포닌 및 DDMP군 소야사포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소야사포닌은 하기 표 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소야사포닌 군 소야사포닌 화합물
이름
소야사포닌 분자 구조 분자량
(M.W)
A군 소야사포닌 Aa(A4) glc(1→2)gal(1→2)glcUA(1→3)-A-(22←1)ara(3←1)xyl(2,3,4-tri-O-acetyl) 1364
소야사포닌 Ab(A1) glc(1→2)gal(1→2)glcUA(1→3)-A-(22←1)ara(3←1)glc(2,3,4,6-tetra-O-acetyl) 1436
소야사포닌 Ac rha(1→2)gal(1→2)glcUA(1→3)-A-(22←1)ara(3←1)glc(2,3,4,6-tetra-O-acetyl) 1420
소야사포닌 Ad glc(1→2)ara(1→2)glcUA(1→3)-A-(22←1)ara(3←1)glc(2,3,4,6-tetra-O-acetyl) 1390
소야사포닌 Ae(A5) gal(1→2)glcUA(1→3)-A-(22←1)ara(3←1)xyl(2,3,4-tri-O-acetyl) 1202
소야사포닌 Af(A2) gal(1→2)glcUA(1→3)-A-(22←1)ara(3←1)glc(2,3,4,6-tetra-O-acetyl) 1274
소야사포닌 Ag(A6) ara(1→2)glcUA(1→3)-A-(22←1)ara(3←1)xyl(2,3,4-tri-O-acetyl) 1172
소야사포닌 Ah(A3) ara(1→2)glcUA(1→3)-A-(22←1)ara(3←1)glc(2,3,4,6-tetra-O-acetyl) 1244
B군 소야사포닌 Ba(Ⅴ) glc(1→2)gal(1→2)glcUA(1→3)-B 958
소야사포닌 Bb(Ⅰ) rha(1→2)gal(1→2)glcUA(1→3)-B 942
소야사포닌 Bc(Ⅱ) rha(1→2)ara(1→2)glcUA(1→3)-B 912
소야사포닌 Bb'(Ⅲ) gal(1→2)glcUA(1→3)-B 796
소야사포닌 Bc'(Ⅳ) ara(1→2)glcUA(1→3)-B 766
DDMP군 소야사포닌 αg glc(1→2)gal(1→2)glcUA(1→3)-B-(22←2')-DDMP 1084
소야사포닌 βg rha(1→2)gal(1→2)glcUA(1→3)-B-(22←2')-DDMP 1068
소야사포닌 βa rha(1→2)ara(1→2)glcUA(1→3)-B-(22←2')-DDMP 1038
소야사포닌 γg gal(1→2)glcUA(1→3)-B-(22←2')-DDMP 922
소야사포닌 γa ara(1→2)glcUA(1→3)-B-(22←2')-DDMP 892
E군 소야사포닌 Bd glc(1→2)gal(1→2)glcUA(1→3)-E 956
소야사포닌 Be rha(1→2)gal(1→2)glcUA(1→3)-E 940
* 상기 표 1에서 "A"는 소야사포게놀 A를, "B"는 소야사포게놀 B를, "E"는 소야사포게놀 E를, "glc"는 β-D-glucopyranosyl을, "gal"은 β-D-galactopyranosyl을, "glcUA"는 β-D-glucuronopyranosyl을, "ara"는 α-L-arabinopyranosyl을, "rha"는 α-L-rhamnopyranosyl을, "xyl"은 β-D-xylopyranosyl을, "DDMP"는 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을 나타낸다.
최근 HPLC 및 LC-MS를 이용한 소야사포닌의 정성 및 정량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이 콩에 비교적 다량으로 함유된 DDMP가 부착되지 않은 B군 소야사포닌에 관련된 것이며, A군 소야사포닌과 DDMP군 소야사포닌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A군 소야사포닌과 관련하여, 미국등록특허공보 제4524067호에는 소야사포닌 Ab 및 Af가 과산화지질(lipid peroxide)의 형성을 억제한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고, DDMP군 소야사포닌과 관련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7-10896호 또는 Yumiko Yoshiki et al.[Yumiko YOSHIKI, Takashi KAHARA1, Kazuyoshi OKUBO1, Terumi SAKABE, Terumasa YAMASAKI : Superoxide-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Soyasaponin βg Related to Gallic Acid,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 65 (2001) No. 10 P 2162-2165]에는 DDMP군 소야사포닌에 속하는 소야사포닌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DDMP군 소야사포닌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시 지질 축적을 억제하며,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와 관련된 전사인자 등의 발현을 하향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은 비만 또는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및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과 같은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A군 소야사포닌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B군 소야사포닌, E군 소야사포닌 및 DDMP군 소야사포닌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분화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 한 오일레드 O 염색 사진이고, 도 4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가 지질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서 "Control(vehicle only)"은 MDI, 1 ㎍/㎖ 인슐린 및 소야사포닌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MDI"는 소야사포닌만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PPARγ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C/EBPα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아디포넥틴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ADD1/SREBP1c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aP2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Fas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레지스틴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PPARγ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며, 도 13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C/EBPα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DDMP군 소야사포닌이 PPARγ의 전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 즉 DDMP군 소야사포닌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례는 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소야사포닌 화합물은 콩으로부터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분리/정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선림 et al.[Isol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f Acetyl Soyasaponin A1 from Hypocotyl of Soybean,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51 suppl.1, 2006년, pp.166-173] 및 미국등록특허공보 제4524067호에는 소야사포닌 Ab, Af를 분리/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Taniyama et al.[Taniyama, T., Nagahama, Y., Yoshikawa, M., and Kitagawa, I., Saponin and sapogenol. XLIII. Acetyl-soyasaponins A4, A5, and A6, new astringent bisdesmosides of soyasapogenol A, from Japanese soybean, the seeds of Glycine max MERRILL. Chem. Pharm. Bull., 36, 2829-2839 (1988).]에는 소야사포닌 Aa, Ae, Ag를 분리/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Kudou et al.[Kudou, S., Tonomura, M., Uchida, T., Sakabe, T., Tamura, N., and Okubo, K., Isol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DDMP-conjugated soyasaponins as genuine saponins from soybean seeds. Biosci. Biotech. Biochem., 57, 546-550 (1993).]에는 DDMP군 소야사포닌에 해당하는 소야사포닌 화합물을 분리/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Wei Zhang et al.[Wei Zhang and David G. Popovich, 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Oleanane Triterpenoids from Soy, Molecules a journal of synthetic chemistry and natural product chemistry / v.14 no.8, 2009년, pp.2959-2975]에는 소야사포닌 Aa, Ab, αg, βa, βg, γg, γa 등 A군 소야사포닌, B군 소야사포닌 및 DDMP군 소야사포닌에 해당하는 소야사포닌 화합물의 분리/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6589호 및 제10-2011-0077739호에는 소야사포닌 Ab를 분리/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중국공개특허공보 제101891796호에는 소야사포닌 Aa, Ab, Ba, Bb, Be를 분리/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중국공개특허공보 제101914127호에는 소야사포닌 Aa, Ab, αg, βg와 같은 A군 소야사포닌 및 DDMP군 소야사포닌에 해당하는 소야사포닌 화합물을 분리/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5-178879호에는 DDMP군 소야사포닌에 해당하는 소야사포닌 αg, βg를 분리/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6-100583호에는 DDMP군 소야사포닌에 해당하는 소야사포닌 βa, γg, γa를 분리/정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문헌들에 개시된 콩으로부터 소야사포닌 화합물을 분리/정제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은 소야사포게놀 B의 C-22 위치에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소야사포닌 αg, 소야사포닌 βa, 소야사포닌 βg, 소야사포닌 γg 또는 소야사포닌 γa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거나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지질 축적을 억제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C/EBP 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aP2(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2), 아디포넥틴(adiponectin), ADD1/SREBP1c(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factor 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Fas(fatty acid synthase) 또는 레지스틴(resistin)의 발현을 하향 조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은 비만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및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대사증후군은 당뇨, 비만 등 여러 가지 대사성 질환이 한 사람에게 동시에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서 소야사포닌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의 함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5~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3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 외에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벌나무 추물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경구 투여되거나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는 피부 외용,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유효성분인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을 기준으로 할 때 0.1 내지 1000 ㎎/㎏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이며, 하루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는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서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2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DDMP(2,3-dihydro-2,5-dihydroxy-6-methyl-4H-pyran-4-one)가 결합된 소야사포닌 외에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향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적 특징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것 일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DDMP 소야사포닌의 분리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7-10896호 또는 Kudou et al.[Kudou, S., Tonomura, M., Uchida, T., Sakabe, T., Tamura, N., and Okubo, K., Isolation and structural elucidation of DDMP-conjugated soyasaponins as genuine saponins from soybean seeds. Biosci. Biotech. Biochem., 57, 546-550 (1993).]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콩으로부터 DDMP군 소야사포닌을 분리하였다. 콩 1㎏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여기에 50% 메탄올 수용액 4ℓ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50% 메탄올 수용액으로 평형화된 옥타데실실릴화 실리카겔 컬럼(Lobar column, 37×440㎜, Merck Co., Ltd.) 상에 위치시키고 메탄올을 2.5㎖/min의 유속으로 20시간 동안 50%에서 100%까지 선형 구배시켜 용출 성분을 분배하였다. DDMP군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분배물을 40℃ 이하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하였다. 이후 감압농축된 분배물을 HPLC(YMC-ODS-AM-323, 7 ㎛, 10×250㎜)로 정제/분리하여 소야사포닌 βa, βg, γa 및 γg에 대한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이동상으로는 아세토니트릴:물:아세트산의 부피 비가 40:60:0.06인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고, 유속은 6㎖/min으로 하였다. 각각의 분획물을 합친 후 여기에 동량 부피의 물을 첨가하여 희석하였다. 희석된 분획 혼합물을 옥타데실실릴화 실리카겔 컬럼(Lobar column, 25×310㎜, Merck Co., Ltd.) 상에 위치시키고, 컬럼을 20% 메탄올로 세척하여 아세트산을 제거한 후, 메탄올을 4㎖/min의 유속으로 125분 동안 40%에서 100%까지 선형 구배시켜 용출 성분을 분배하였다. 용출된 분배물을 40℃ 이하의 온도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고순도의 DDMP군 소야사포닌에 해당하는 소야사포닌 βa, 소야사포닌 βg, 소야사포닌 γa 및 소야사포닌 γg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DDMP군 소야사포닌 화합물은 FAB-MS 분석 및 핵자기 공명(NMR) 스펙트럼을 통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후, 소야사포닌 βa, 소야사포닌 βg, 소야사포닌 γa 및 소야사포닌 γg를 36:12:4: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후술하는 시험에 사용할 DDMP군 소야사포닌을 준비하였다.
2. DDMP 소야사포닌의 항비만 활성 또는 지질 생성 억제 활성 평가
(1)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준비
3T3-L1 전구지방세포는 미국세포주은행(ATCC)으로부터 구매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T3-L1 전구지방세포는 지방세포의 대사과정을 연구하는 데에 널리 이용되는 세포주로서, 상기 세포의 분화가 활발할수록 지방세포 내의 지방 축적이 활발하여 비만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항비만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물질을 상기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분화가 적을수록 항비만 효과가 큰 물질인 것으로 볼 수 있다.
(2)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마우스 전구지방세포인 3T3-L1을 10 % BCS DMEM 배지에 넣고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전구지방세포를 24 well plate에 5×104/well의 세포 수로 분주한 후, 100% confluency 시점이 되자 2일 동안 더 유지시켰다. 이후, MDI(0.5mM 3-isobutyl-1-methylxanthine(IBMX), 1uM dexamethasone, 1 ㎍/㎖ 인슐린)를 포함하는 10% FBS DMEM 배지로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2일 동안 유도하였고, 분화를 유도한 날부터 2일 후 1 ㎍/㎖ 인슐린이 함유된 10% FBS DMEM 배지로 2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2일 마다 4일 동안 10% FBS DMEM 배지로 교체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분화를 유도한 날부터 4일 후 DDMP군 소야사포닌을 25, 50, 100 uM 농도로 2일 마다 4일 동안 처리하고, 분화가 완성되는 시점인 8일째에 지방세포로의 분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이때, DDMP군 소야사포닌은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에 녹여 100 mM 스톡(stock)을 만든 후 이를 각 농도로 희석한 것을 사용하였다.
(3) 오일 레드 O (Oil red O) 염색 및 분석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후 지방의 축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오일레드 O 염색을 실시하였다.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정도를 오일 레드 O 염색을 통해 1차적으로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ophotometer)로 51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지질 함량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도 3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분화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 한 오일레드 O 염색 사진이고, 도 4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가 지질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서 "Control(vehicle only)"은 MDI, 1 ㎍/㎖ 인슐린 및 소야사포닌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MDI"는 소야사포닌만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DDMP군 소야사포닌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분화 및 지질의 축적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Real-time PCR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단계에서 C/EBP α와 PPARγ는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진행될수록 발현량이 증가하고 대부분의 아디포카인(adipokine) 들의 발현량도 증가하게 된다. 전술한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에서와 같이 DDMP군 소야사포닌을 25, 50, 100 uM 농도로 2일 마다 4일 동안 처리하고, 분화를 유도한 날부터 8일이 지난 후에 C/EBP α와 PPARγ와 같은 분화 유도 전사인자 및 분화가 유발된 지방세포에서 발현되는 아디포카인, 예를 들어 Fas, aP2, ADD1/SREBP1c, 레지스틴(resistin), 아디포넥틴(adiponectin), ADD1/SREBP1c(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factor 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Fas(fatty acid synthase) 및 레지스틴(resistin)의 mRNA 수준에서의 발현 정도를 Real-time PCR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분화가 완료된 3T3-L1 전구지방세포를 PBS로 두 번 세척한 후 cell pellet을 모아 Trizol을 이용하여 RNA만을 분리하였다. 추출된 RNA 1㎍을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한 후 SYBR green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primer를 이용하여 Real-time PCR을 수행하였으며, 대조군 유전자로는 GAPDH를 사용하였다.
타겟 mRNA 프라이머 방향성 프라이머 시퀀스(5'→3') 진뱅크 승인번호
GAPDH 센스 GTATGACTCCACTCACGGCAAA BC083080
안티센스 GGTCTCGCTCCTGGAAGATG
PPARγ
센스 CGCTGATGCACTGCCTATGA NM_011146
안티센스 AGAGGTCCACAGAGCTGATTCC
C/EBP α
센스 AGGTGCTGGAGTTGACCAGT BC058161
안티센스 CAGCCTAGAGATCCAGCGAC
Adiponectin 센스 AGCCTGGAGAAGCCGCTTAT NM_009605
안티센스 TTGCAGTAG A ACTTGCCAGTGC
aP2 센스 CATGGCCAAGCCCAACAT NM_024406
안티센스 CGCCCAGTTTGAAGGAAATC
ADD1/SREBP1c 센스 CAAACTGCCCATCCACCGAC NM_011480
안티센스 TGCCTCCTCCACTGCCACAA
Resistin 센스 TCAACTCCCTGTTTCCAAATGC NM_022984
안티센스 TCTTCACGAATGTCCCACGA
Fas 센스 CTGAGATCCCAGCACTTCTTGA NM_007988
안티센스 GCCTCCGAAGCCAAATGAG
도 5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PPARγ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C/EBPα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아디포넥틴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ADD1/SREBP1c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aP2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Fas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레지스틴의 mRNA 발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DDMP군 소야사포닌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C/EBP α와 PPARγ와 같은 분화 유도 전사인자 및 Fas, aP2, ADD1/SREBP1c, 레지스틴(resistin), 아디포넥틴(adiponectin), ADD1/SREBP1c(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factor 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Fas(fatty acid synthase), 레지스틴(resistin)과 같은 아디포카인의 mRNA 발현 수준을 하향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향조절 양상은 처리 농도에 의존적이었다.
(5) Western blot
전술한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에서와 같이 DDMP군 소야사포닌을 20, 50, 100 uM 농도로 2일 마다 4일 동안 처리하고, 분화를 유도한 날부터 8일이 지난 후에 3T3-L1 전구지방세포를 PBS로 두 번 세척하고 RIPA buffer(50 mM Tris-HCl, pH 8.0, 150mM sodium chloride, 1% NP-40, 0.5% sodium dexycholate, 0.1% sodium dodecyl sulfate, protease inhibitor)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세포 용해물을 1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하고 8% SDS-PAGE gel을 이용하여 전기영동 하였다. 전기영동한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에 100V, 400㎃의 조건에서 1시간 10분간 이동시켰다. 단백질이 이동된 니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을 5% skim milk를 포함하는 TBST로 blocking 한 후, PPARγ 또는 C/EBP α에 대한 1차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 및 1차 항체에 대한 2차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와 순차적으로 반응시키고, 형광발색 시킨 후 PPARγ 또는 C/EBP α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PPARγ 또는 C/EBP α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β-actin의 발현 정도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도 12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PPARγ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며, 도 13은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DDMP군 소야사포닌이 C/EBPα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한 그래프이다. 도 12 내지 도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DDMP군 소야사포닌은는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PPARγ 단백질 및 C/EBP α의 단백질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6) PPARγ 전사활성 측정(PPARγ transcriptional activity assay)
pGL3-basic luciferase expression 벡터(Promega)에 PPRE(PPARγ response element) 유전자와 PPARγ 유전자를 삽입하여 얻은 재조합 벡터와 control reporter로서 Renilla luciferase의 cDNA를 가지는 pRL-SV-40 플라스미드(Promega)를 HEK 293T cell에 co-transfection 하였다. co-transfection된 HEK 293T cell를 하루 동안 배양하여 유전자들을 발현시키고, 이후 DDMP군 소야사포닌(25, 50, 100 uM 농도) 및 PPARγ 유도물질인 10uM troglitazone을 같이 24 시간 동안 처리한 후 luciferase 발현 강도를 통해 DDMP군 소야사포닌이 PPARγ의 전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도 14는 DDMP군 소야사포닌이 PPARγ의 전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DDMP군 소야사포닌은 농도 의존적으로 PPARγ의 전사 활성을 억제하였다.
3. DDMP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
<3-1> 산제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20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3-2> 정제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5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3> 캡슐제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5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3-4> 환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3-5> 과립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3-6> 주사제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100 ㎎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 ㎎
메틸파라벤 0.8 ㎎
프로필파라벤 0.1 ㎎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이중 2㎖를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4. DDMP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
<4-1> 밀가루 식품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0.5~5.0 중량부를 밀가루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4-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4-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 100 중량부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4-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5~10 중량부를 우유 100 중량부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4-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DDMP군 소야사포닌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DDMP군 소야사포닌(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4-6>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g), 올리고당(2g), 설탕(2g), 식염(0.5g), 물(75g)과 같은 부재료와 DDMP군 소야사포닌 1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4-7> 야채 주스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1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4-8> 과일 주스의 제조
DDMP군 소야사포닌 1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소야사포닌 βa, 소야사포닌 βg, 소야사포닌 γg 또는 소야사포닌 γa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야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시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C/EBP 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aP2(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2), 아디포넥틴(adiponectin), ADD1/SREBP1c(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factor 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Fas(fatty acid synthase) 또는 레지스틴(resistin)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소야사포닌 βa, 소야사포닌 βg, 소야사포닌 γg 및 소야사포닌 γa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소야사포닌 βa, 소야사포닌 βg, 소야사포닌 γg 또는 소야사포닌 γa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야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시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C/EBP 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aP2(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2), 아디포넥틴(adiponectin), ADD1/SREBP1c(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factor 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Fas(fatty acid synthase) 또는 레지스틴(resistin)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소야사포닌 βa, 소야사포닌 βg, 소야사포닌 γg 및 소야사포닌 γa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소야사포닌 βa, 소야사포닌 βg, 소야사포닌 γg 또는 소야사포닌 γa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야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지방간,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시 지질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시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C/EBP 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aP2(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2), 아디포넥틴(adiponectin), ADD1/SREBP1c(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factor 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Fas(fatty acid synthase) 또는 레지스틴(resistin)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소야사포닌 βa, 소야사포닌 βg, 소야사포닌 γg 및 소야사포닌 γa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13. 삭제
  14. 소야사포닌 βa, 소야사포닌 βg, 소야사포닌 γg 또는 소야사포닌 γa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야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지방간,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시 지질 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시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C/EBP 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 aP2(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2), 아디포넥틴(adiponectin), ADD1/SREBP1c(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 factor 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Fas(fatty acid synthase) 또는 레지스틴(resistin)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소야사포닌 βa, 소야사포닌 βg, 소야사포닌 γg 및 소야사포닌 γa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18. 삭제
KR1020120106515A 2012-09-25 2012-09-25 Ddmp군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8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15A KR101448116B1 (ko) 2012-09-25 2012-09-25 Ddmp군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515A KR101448116B1 (ko) 2012-09-25 2012-09-25 Ddmp군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810A KR20140039810A (ko) 2014-04-02
KR101448116B1 true KR101448116B1 (ko) 2014-10-08

Family

ID=5065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515A KR101448116B1 (ko) 2012-09-25 2012-09-25 Ddmp군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246B1 (ko) * 2015-04-15 2016-01-20 주식회사 밥스누 오로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114A (ja) 2003-11-06 2005-06-02 Abo Kenji 糖尿病治療・予防剤および血糖値低下方法ならびに高血糖状態の予防用健康食品。
KR20120008409A (ko) * 2010-07-16 2012-01-30 메타볼랩(주) 대두 추출물 또는 대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114A (ja) 2003-11-06 2005-06-02 Abo Kenji 糖尿病治療・予防剤および血糖値低下方法ならびに高血糖状態の予防用健康食品。
KR20120008409A (ko) * 2010-07-16 2012-01-30 메타볼랩(주) 대두 추출물 또는 대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810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7847B2 (en) Extracts from plants of the Moringaceae family and methods of making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280272B1 (en) Extracts from plants of the moringaceae family and methods of making
KR20150097173A (ko) 발효 우엉 추출물 또는 우엉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1710B1 (ko) 엉겅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60123130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524222B2 (ja) キレノール又はシーゲスベッキアハーブ抽出物を含む筋機能改善用又は運動能力増強用組成物
KR101448116B1 (ko) Ddmp군 소야사포닌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9809A (ko) 소야사포닌 Aa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2437B1 (ko)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293835B1 (ko) 황기 및 차전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61016A (ko)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16352A (ko) 저근백피 추출물 또는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치료용 조성물
KR101809143B1 (ko) 시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067937A (ko) 사이코사포닌 에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309425B1 (ko) 홍삼 오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9219B1 (ko) 젠티오피크로사이드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01313B1 (ko) 홍삼 추출물의 분획물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29797B1 (ko) 백두옹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2816B1 (ko) 여로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8030A (ko) 결명 새싹 및 메밀 새싹을 포함하는 지방 축적 억제용 조성물
KR20230026753A (ko) 마이코스포린-유사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6105A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g5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7615772A (zh) 含有五加属提取物和藤黄果提取物或从其中分离的化合物作为活性成分预防或治疗肝病的组合物
KR20220154023A (ko) 오갈피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