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97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97A
KR20110005197A KR1020090116065A KR20090116065A KR20110005197A KR 20110005197 A KR20110005197 A KR 20110005197A KR 1020090116065 A KR1020090116065 A KR 1020090116065A KR 20090116065 A KR20090116065 A KR 20090116065A KR 20110005197 A KR20110005197 A KR 20110005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ectrode
cap
cap pla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3691B1 (ko
Inventor
김용삼
변상원
김효섭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05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기재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며,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가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의 증가에 반응하여 변형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차 전지, 단락 탭, 반전 플레이트, 단락 홀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락을 유발하는 구조를 개선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 내부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하거나 전해액이 분해되어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전지가 폭발하거나 발화할 위험이 있다. 특히 각형 전지는 원통형 전지에 비하여 단자 구조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전류를 차단하거나 방전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쉽지 아니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며,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가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의 증가에 반응하여 변형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캡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서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변형될 때 상기 제1 탭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탭과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탭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캡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단자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탭은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탭은, 상기 제1 단자의 확대된 헤드 또는 상기 제1 단자에 체결되 는 너트에 의해 상기 캡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가변 플레이트에 의해 덮여지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탭은 상기 개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어셈블리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를 정의하는 측벽과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탭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캡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캡 어셈블리는 제2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의 개구에 설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에 상기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어셈블리는 벤트 구멍을 가지고, 상기 벤트 구멍을 덮도록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벤트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상기 벤트 부재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 상승 시에 단락을 유 발하여 이차 전지가 폭발하거나 발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반전 플레이트'라 함은 압력의 상승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특별히 그 형성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반전 플레이트는 "가변 플레이트"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10)는 양극(11)과 음극(12)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를 개재하여 귄취된 전극조립체(10)와, 전극조립체(10)가 내장되는 케이스(34)와, 케이스(15)의 개구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밀폐하는 캡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110)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서 각형인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리튬 폴리머 전지 또는 원통형 전지 등 다양한 형태의 전지에 적용될 수 있다.
양극(11) 및 음극(12)은 박판의 금속 호일로 형성된 집전체에 활물질이 도포 된 영역인 코팅부를 포함한다. 양극(11) 및 음극(12)은 또한 각각 활물질이 코팅되지 않는 영역인 무지부(11a, 12a)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극(12)을 제1 전극, 양극(11)을 제2 전극이라 할 수 있으며, 양극(11)을 제1 전극이라 하고, 음극(12)을 제2 전극이라 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무지부(11a)는 양극(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극(11)의 한 쪽 측단에 형성되고, 음극 무지부(12a)는 음극(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음극(12)의 다른 쪽 측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양극(11) 및 음극(12)은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를 사이에 개재한 후 권취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전극조립체(10)는 복수 개의 시트(sheet)로 이루어진 양극과 음극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케이스(15)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개방된 개구가 형성된다. 캡 어셈블리(20)는 케이스(15)의 개구를 덮는 캡 플레이트(16)와 캡 플레이트(16)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음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21)와 제1 단자(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캡 플레이트(16)에 절연부재(26)를 매개로 끼워져 설치된 제1 단락 탭(4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락 탭(41)은 또한, 예를 들어, 제1 탭이라고도 지칭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16)는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며, 설정된 내부 압력에 따라 파단될 수 있도록 노치(25a)가 형성된 벤트부재(또는 벤트 플레이트)(25)가 캡 플레이트(16)에 고정 설치된다. 기재된 실시예에서, 상기 벤트부재(25)는 상기 반전 플레 이트(42)와 달리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가진다. 벤트부재(25)는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케이스(15)의 내부를 향하는 캡 플레이트(16)의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16)는 둘레를 따라 오목한 영역으로 둘러싸인 벤트구멍을 가진다. 상기 벤트부재(25)는 상기 케이스(15)의 내부를 향하는 측면에서 상기 캡 플레이트(16)의 오목한 영역에 장착되어, 상기 벤트구멍을 덮는다. 상기 노치(25a)는 상기 벤트구멍과 중첩되는 상기 벤트부재(25)의 영역 내에 위치하여,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이차 전지의 설계 과정에서 설정됨)에 이를 때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캡 어셈블리(20)는 양극(11)과 음극(12)을 단락시키는 반전 플레이트(42)를 포함하는 바, 반전 플레이트(42)는 이차 전지(1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 제1 단락 탭(41)과 제2 단락 탭을 단락시킨다. 본 제1 실시예의 반전 플레이트(42)는 캡 플레이트(16)에 고정 설치되는 바, 캡 플레이트(16)가 제2 단락 탭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캡 플레이트(16)와 제1 단자(21) 사이에는 개스킷(24)이 개재되어 캡 플레이트(16)와 제1 단자(21)를 절연시킨다. 제1 단자(21)는 음극 리드 탭(21a)을 매개로 음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캡 플레이트(16)는 양극 리드 탭(22)을 매개로 양극(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단자(21)는 캡 플레이트(16)를 관통하여 케이스(15) 내부로부터 케이스(15) 외부로 돌출된다. 제1 단락 탭(41)은 개구를 가지며, 제1 단자(21)는 상기 개구를 통해 돌출된다. 상기 제1 단락 탭(41)은 제1 단자(21)와 함께 상기 캡 플레이트(16)에 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제1 단자(21)의 상부를 가압하여 넓게 펴는데, 이 때 제1 단락 탭(41)이 제1 단자(21)와 개스킷(24) 사이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자(21)는 리벳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단자(21)에 너트 등이 결합되어 제1 단자(21)와 제1 단락 탭(41)이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단락 탭(41)은 대략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캡 플레이트(16)의 위에 배치된다. 캡 플레이트(16)는 반전 플레이트(42)에 의해 덮여지는 개구(16a)를 가지며, 상기 개구(16a)를 통해서 상기 반전 플레이트(42)의 만곡면(또는 하방으로 볼록한 면)이 상기 케이스(15) 내부로 연장된다. 캡 플레이트(16)는 상기 개구(16a)의 둘레를 따라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반전 플레이트(42)의 부착부(42a)가 상기 캡 플레이(16)의 오목부에 장착된다. 반전 플레이트(42)가 변형될 때(예를 들어 상방으로 볼록하게), 상기 반전 플레이트(42)는 제1 단락 탭(41)과 접촉하여 양극(11)과 음극(12) 사이에 단락을 형성한다. 기재된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16a)는 단락 홀이라고 지칭될 수 있으며, 벤트 부재(25)에 의해 덮여지는 벤트 구멍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차 전지(1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 아래로 돌출된 변형부(42b)가 위로 반전되어, 변형부(42b)가 제1 단락 탭(41)과 접촉함에 따라 양극(11)과 음극(12)이 단락된다.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가 상승하거나 전해액이 분해되어 이차 전지(110)의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변형부(42b)가 단락을 야기하여 이차 전지(110)가 폭발하거나 발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전 플레이 트(42)가 변형을 일으키는 압력은 두께와 형상의 설계를 통해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단락을 유발하는 압력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반즌 플레이트(42)와 벤트 부재(25)는 알루미늄 또는 다른 적합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반전 플레이트(42)의 두께는 0.4 mm, 상기 벤트 부재(25)의 두께는 0.1 mm일 수 있다. 반전 플레이트(42)를 위한 구멍의 크기는 벤트 구멍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작동압력의 범위는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반전 플레이트의 작동압력의 범위가 약 3 내지 4기압 사이이고, 벤트 부재의 작동압력의 범위가 5 내지 6기압 사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전 플레이트는 노치(25a)가 파단되기 전에 변형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반전 플레이트(42)와 제1 단락 탭(41)이 접촉하는 공간은 전해액 위치하는 공간과 분리된 공간이므로 단락 시 발생하는 불꽃이나 열에 의하여 전해액이 발화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단락이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므로 단락 부분이 케이스(15) 내에 위치하면 전지 내부의 온도가 크게 상승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단락 탭(41)이 외부에 위치하면 열이 제1 단락 탭(41)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 될 수 있으므로 내부에 열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수철이나 스프링 등의 부재는 지속적으로 가압력이 적용되므로 오랜 시간 설치해두면 탄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차 전지(110)의 수명과 관련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차 전지가 사용되는 시간 동안에도 탄성을 잃지 않고 설정된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반전 플레이트(42) 를 적용하면 정상상태 하에서는 탄성 변형이 일어나지 아니하므로 오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설정된 압력에서 작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20)는 도 2에 도시한 이차 전지에서 캡 어셈블리(30)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30)는 완전히 케이스(15) 내부에 위치하는 반전 플레이트(52)를 포함한다. 반전 플레이트(52)는 케이스(15)의 내측을 향해 하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변형부(52b)와 케이스915)의 내부를 향하는 캡 플레이트(16')의 측면에 부착되는 부착부(52a)를 포함한다. 반전 플레이트(52)는 상기 캡 플레이트(16') 상에 형성된 개구(단락 홀)(16a')를 덮는다. 제1 단락 탭(41)은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16')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개구(16a')를 덮는다. 상기 제1 단락 탭(41)은 절연 부재(26')에 의해 캡 플레이트(16')로부터 분리되는데, 상기 절연 부재(26')는 도 2의 절연 부재(2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하지는 다른 형태를 갖는다. 제2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 부재(26')는 상기 개구(16a')를 정의하는 내부 측벽을 덮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락 탭(41)의 상단을 부분적으로 덮는 부분은 포함하지 않는다.
반전 플레이트(52)는 상기 개구(16a')의 아래에 위치하며, 용접에 의해 캡 플레이트(16')의 하부면(즉, 케이스(15)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 부착되는 부착부(52a)와, 상기 부착부(52a)의 내부에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0)를 향하여 호형 (즉, 하방으로 볼록)으로 돌출되는 변형부(52b)를 포함한다. 따라서, 반전 플레이트(52)는 캡 플레이트(16')를 통해 양극(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 상승으로 반전 플레이트(52)가 변형되면, 양극(11)은 캡 플레이트(16')를 매개로 반전 플레이트(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단자(21)는 제1 단락 탭(41)을 매개로 반전 플레이트(52)와 연결되어 양극과 음극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따라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기적 단락이 유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30)는 캡 어셈블리(4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한 이차 전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30)는 케이스(15)와 케이스를 밀폐하는 캡 어셈블리(50)를 포함한다. 캡 어셈블리(40)는 음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21)와 제1 단자(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락 홀(16a)에 끼워진 단락 돌기(51a)를 갖는 제1 단락 탭(51), 및 단락 홀(16a)의 아래에 배치된 반전 플레이트(42)를 포함한다. 상기 반전 플레이트(42)는 단락 홀(16a)의 둘레의 상기 캡 플레이트(16)의 오목부에 장착되어 상기 단락 홀(16a)을 덮는다. 상기 반전 플레이트(42)의 변형부(52b)는 상기 단락 홀(16a)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반전 플레이트(42)의 하방 볼록부가 케이스(15)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단락 돌기(51a)때문에 내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하는 변형으로 반전 플레이트(42)가 제1 단락 탭(51)과의 전기적인 연결이 더욱 용이해진다. 단락 돌 기(51a)의 단면은 원형 또는 적합한 다각형(예를 들어, 사각형, 오각형)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40)는 캡 어셈블리(5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한 이차 전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40)는 케이스(15)와 케이스(15)를 밀폐하는 캡 어셈블리(50)를 포함한다. 캡 어셈블리(50)는 케이스(15)의 개구에 결합된 캡 플레이트(17)와 음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21)와 양극(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23)를 포함한다. 제1 단락 탭(41)은 제1 단자(21)와 함께 상기 캡 플레이트(17) 상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단락 탭(41)은 상기 캡 플레이트(17) 상에서 단락 홀(17a)을 덮는다.
제2 단자(23)와 캡 플레이트(17)를 밀봉하기 위한 개스킷(28)은 그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캡 플레이트(17)와 제2 단자(2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탭(29)은 상기 캡 플레이트(17) 상에 상기 제2 단자(23) 주위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 탭(29)은 개구를 가지며, 제2 단자(23)는 상기 개구를 통해 돌출되어 제2 단자(23)와 캡 플레이트(17) 사이에 고정된다.
제1 단자(21)와 제2 단자(23)는 캡 플레이트(17)의 길이 방향 양쪽 가장자리 가까이에 위치한다.
이차 전지(14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 반전 플레이트(42)가 위로 상승하도 록 변형되어 제1 단락 탭(41)과 캡 플레이트(1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양극(11)과 음극(12) 사이에 단락을 유도한다. 나아가, 단락된 상태에서 이차 전지(140)의 내부 압력이 더욱 증가하면 노치(25a)가 파단되어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11)과 음극(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이차 전지(140)의 내압이 과도하여 상승하여 전지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탭(41)이 케이스(15)의 외측에 위치하여 단락 전류로 인하여 이차 전지(140) 내부에서 열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락 탭(41) 이 외부에 위치하므로 제1 단락 탭(41) 을 통해서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으며, 단락 부분이 전해액이 위치하는 부분과 떨어져 있어서 전해액이 발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50)는 캡 어셈블리(6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이차 전지(14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50)는 케이스(15)와 이를 밀폐하는 캡 어셈블리(60)를 포함한다. 캡 어셈블리(50)는 케이스(15)의 개구와 연결되는 캡 플레이트(17)와, 음극(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21), 양극(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23)를 포함한다. 제1 단락 탭(51)은 캡 플레이트(17) 상에 설치되고,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를 통해 제1 단자(21)가 돌출된다. 제1 단락 탭(51)은 제1 단자(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락 홀(17a)에 삽입되는 단락 돌기(51a) 를 가지며, 반전 플레이트(42)는 상기 단락 홀(17a) 둘레를 따라 상기 캡 플레이트(16)의 오목부에 장착되어 상기 단락 홀(17a)을 덮는다. 반전 플레이트(42)의 변형부(42b)는 단락 홀(17a)을 통해 돌출되어 반전 플레이트(42)의 하방 볼록부가 케이스(15)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극조립체 11: 양극
110: 이차 전지 12: 음극
12a: 음극 무지부 13: 세퍼레이터
15: 케이스 16: 캡 플레이트
16a: 단락 홀 20: 캡 어셈블리
21: 제1 단자 23: 제2 단자
23a: 양극 리드 탭 29: 연결 탭
41: 제1 단락 탭 51a: 단락 돌기
42: 반전 플레이트 42a: 부착부
42b: 변형부

Claims (15)

  1.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며, 캡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가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의 증가에 반응하여 변형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용접되는 이차 전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외부에서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탭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변형될 때 상기 제1 탭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이차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탭과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절연 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탭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이차 전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제1 단자와,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단자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개스킷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탭은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이차 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은, 상기 제1 단자의 확대된 헤드 또는 상기 제1 단자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상기 캡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이차 전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가변 플레이트에 의해 덮여지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탭은 상기 개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어셈블리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를 정의하는 측벽과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탭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이차 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캡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어셈블리는 제2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 전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의 개구에 설치되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캡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격리시 키는 이차 전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에 상기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탭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만곡지는 이차 전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어셈블리는 벤트 구멍을 가지고, 상기 벤트 구멍을 덮도록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벤트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 플레이트는 상기 벤트 부재보다 더 두꺼운 이차 전지.
KR1020090116065A 2009-07-09 2009-11-27 이차 전지 KR101093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439209P 2009-07-09 2009-07-09
US61/224,392 2009-07-09
US12/626,582 US9246140B2 (en) 2009-07-09 2009-11-25 Rechargeable battery with a cap assembly having a first tab located outside of the case
US12/626,582 2009-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97A true KR20110005197A (ko) 2011-01-17
KR101093691B1 KR101093691B1 (ko) 2011-12-15

Family

ID=4303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065A KR101093691B1 (ko) 2009-07-09 2009-11-27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46140B2 (ko)
EP (1) EP2273587B1 (ko)
JP (1) JP5399990B2 (ko)
KR (1) KR101093691B1 (ko)
CN (1) CN101950812A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306B1 (ko) * 2011-01-31 2013-01-1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KR101222232B1 (ko) * 2011-04-07 2013-01-1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KR101233470B1 (ko) * 2011-01-25 2013-02-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KR101243475B1 (ko) * 2011-03-30 2013-03-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단락 부재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1254871B1 (ko) * 2011-04-18 2013-04-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전지
US8642196B2 (en) 2011-06-08 2014-02-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8877361B2 (en) 2009-09-01 2014-11-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012050B2 (en) 2011-07-26 2015-04-2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054371B2 (en) 2011-11-17 2015-06-0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190635B2 (en) 2011-07-29 2015-11-1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short circuit plate
US9209436B2 (en) 2011-02-08 2015-12-0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246140B2 (en) 2009-07-09 2016-01-2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a cap assembly having a first tab located outside of the case
US9337468B2 (en) 2013-10-08 2016-05-1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478774B2 (en) 2010-12-02 2016-10-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490470B2 (en) 2013-02-20 2016-11-0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634299B2 (en) 2011-09-06 2017-04-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O2018048075A1 (ko) * 2016-09-06 2018-03-15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 전지
US10044019B2 (en) 2014-01-20 2018-08-07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having short-circuit connection member
WO2019013433A1 (ko) * 2017-07-10 2019-01-17 삼성에스디아이(주) 내외부 압력 평형이 가능한 이차 전지
US10797295B2 (en) 2015-04-17 2020-10-06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0336B2 (en) * 2009-12-08 2013-05-1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short circuit member
US8632911B2 (en) * 2010-01-15 2014-01-2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042808B1 (ko) 2010-01-26 2011-06-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501341B2 (en) * 2010-06-30 2013-08-0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293756B2 (en) * 2010-09-17 2016-03-2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223519B1 (ko) * 2010-11-05 2013-01-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전지 모듈
KR101222286B1 (ko) 2011-01-13 2013-01-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전지
KR101222376B1 (ko) 2011-01-14 2013-01-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전지
US9023497B2 (en) * 2011-02-18 2015-05-0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8753765B2 (en) * 2011-03-14 2014-06-17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537121B2 (en) * 2011-03-18 2017-01-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a flexible collecting tab extending through a cap plate
KR101254886B1 (ko) * 2011-04-04 2013-04-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JP5741201B2 (ja) * 2011-05-11 2015-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と組電池および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101265202B1 (ko) 2011-06-08 2013-05-2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US9023498B2 (en) 2011-07-07 2015-05-0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O2013014762A1 (ja) * 2011-07-27 2013-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
KR20130039178A (ko) * 2011-10-11 2013-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695992B1 (ko) * 2011-11-30 2017-0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172079B2 (en) * 2012-02-01 2015-10-2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O2014014026A1 (ja) 2012-07-19 2014-01-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流遮断装置を備えた蓄電装置
JP5911772B2 (ja) 2012-08-09 2016-04-2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015816B4 (de) 2012-08-10 2023-10-26 Dr. Ing. H.C. F. Porsche Ag Kraftfahrzeugbatterie
KR20140064487A (ko) * 2012-11-20 2014-05-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1683199B1 (ko) * 2012-11-20 2016-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666258B1 (ko) * 2013-01-23 2016-10-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050484B1 (ko) 2013-03-04 2019-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DE102013204341A1 (de) 2013-03-13 2014-09-18 Robert Bosch Gmbh Sicherheitselement für Batteriezelle
KR20140124247A (ko) * 2013-04-16 2014-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107106B1 (ko) 2013-05-09 2020-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티릴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CN105324881B (zh) * 2013-07-01 2017-11-03 三洋电机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KR101744090B1 (ko) * 2013-09-06 2017-06-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락부재는 갖는 이차 전지
KR101775545B1 (ko) * 2013-10-08 2017-09-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락 돌기를 갖는 이차 전지
KR101720611B1 (ko) * 2013-11-15 2017-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0062850B2 (en) 2013-12-12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Amine-based compounds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comprising the same
DE102014200202A1 (de) * 2014-01-09 2015-07-09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mit Überspannungsschutzvorrichtung
KR102101751B1 (ko) * 2014-01-20 2020-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KR102154331B1 (ko) * 2014-02-14 2020-09-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211364B1 (ko) * 2014-04-07 2021-0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2210885B1 (ko) * 2014-05-15 2021-02-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2795A (ko) 2014-05-16 2015-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327086B1 (ko) 2014-06-11 2021-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9985271B2 (en) * 2014-07-31 2018-05-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for a battery module
KR102343145B1 (ko) 2015-01-12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축합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2299244B1 (ko) * 2015-01-14 2021-09-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팩
KR102340114B1 (ko) * 2015-02-27 2021-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391252B1 (ko) * 2015-04-17 2022-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6197375A1 (zh) * 2015-06-11 2016-12-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顶盖结构及动力电池
CN108602437B (zh) 2015-12-14 2021-09-28 凯尊创新有限公司 用于锂离子电池的低压力分布断开设备
JP6863710B2 (ja) * 2015-12-28 2021-04-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
JP6812651B2 (ja) * 2016-03-25 2021-01-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KR102612060B1 (ko) * 2016-04-26 2023-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멤브레인을 갖는 이차 전지
CN105870375B (zh) * 2016-06-07 2018-07-1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顶盖及动力电池
JP6674631B2 (ja) 2016-06-23 2020-04-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10811650B2 (en) * 2016-06-29 2020-10-20 Sanyo Electric Co., Ltd. Secondary battery
JP6729137B2 (ja) 2016-07-28 2020-07-22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組電池
KR102201278B1 (ko) * 2016-09-19 2021-0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422513B1 (ko) * 2016-10-24 2022-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WO2018090178A1 (zh) * 2016-11-15 2018-05-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CN106450052A (zh) * 2016-11-15 2017-02-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CN106410074B (zh) * 2016-11-15 2019-04-0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JP6519575B2 (ja) 2016-12-07 2019-05-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EP3336932A1 (en) * 2016-12-14 2018-06-20 Lithium Energy and Power GmbH & Co. KG Battery with enhanced discharging device
JP6760045B2 (ja) 2016-12-21 2020-09-23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519577B2 (ja) 2016-12-22 2019-05-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80119375A (ko) * 2017-04-25 2018-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6859852B2 (ja) 2017-05-31 2021-04-14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それを用いた組電池及び車両
JP6859851B2 (ja) 2017-05-31 2021-04-14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それを用いた組電池及び車両
CN108428824B (zh) * 2017-08-30 2024-04-1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以及电池模组
KR102425219B1 (ko) * 2017-09-07 2022-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7098901B2 (ja) 2017-09-29 2022-07-12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665970A (zh) * 2017-11-16 2018-02-06 北京国能电池科技有限公司 电池过充安全保护装置和锂离子电池
KR102571489B1 (ko) 2018-03-21 2023-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7248812B2 (ja) * 2019-10-31 2023-03-29 寧徳時代新能源科技股▲分▼有限公司 電池モジュール、電池パック、装置及び故障処理方法
CN116014317B (zh) * 2023-02-09 2023-06-27 深圳海润新能源科技有限公司 端盖组件、储能装置及用电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9571A (en) * 1975-08-28 1980-06-24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Primary electrochemical cell
US4879187A (en) 1987-10-22 1989-11-07 Eveready Battery Company Battery terminal fuse
US5143860A (en) * 1987-12-23 1992-09-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density EPROM fabricaiton method having sidewall floating gates
US4945014A (en) * 1988-02-10 1990-07-31 Mitsubishi Petrochemical Co., Ltd. Secondary battery
JPH0562664A (ja) 1991-09-02 1993-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防爆型非水二次電池
JPH05251290A (ja) 1992-03-07 1993-09-28 Hitachi Aic Inc ケース入りコンデンサ
JPH05275088A (ja) 1992-03-27 1993-10-22 Yuasa Corp 積層薄形電池
JP3232767B2 (ja) 1993-03-31 2001-11-26 株式会社デンソー 安全機構付き化学電池
US5523178A (en) * 1992-12-14 1996-06-04 Nippondenso Co., Ltd. Chemical cell
JPH0737572A (ja) 1993-07-22 1995-02-07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リチウム電池
JP3573293B2 (ja) 1993-11-24 2004-10-06 日本電池株式会社 電池
JPH0850920A (ja) 1994-08-08 1996-02-20 Toyo Takasago Kandenchi Kk 角型リチウム二次電池
US5707756A (en) * 1994-11-29 1998-01-13 Fuji Photo Film Co., Lt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H08185850A (ja) 1994-12-27 1996-07-16 Sony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H09106804A (ja) 1995-10-09 1997-04-22 Wako Denshi Kk 電池の安全装置
JPH1074500A (ja) * 1996-08-30 1998-03-17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TW332342B (en) * 1996-11-11 1998-05-21 Mos Electronics Taiwan Inc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of split-gate flash memory
JPH10188946A (ja) 1996-12-20 1998-07-21 Toyo Takasago Kandenchi Kk 内部短絡保護装置を有する角形電池
JP3464750B2 (ja) 1997-01-21 2003-11-10 東芝電池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US6069551A (en) * 1997-05-02 2000-05-30 Therm-O-Disc, Incorporated Thermal switch assembly
US5800937A (en) * 1997-05-02 1998-09-01 Motorola, Inc. Current interrupt device for secondary batteries
JPH10326610A (ja) 1997-05-27 1998-12-08 Hitachi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117931A (ja) 1997-06-18 1999-01-12 Hitachi Ltd 二次電池
JPH1140203A (ja) 1997-07-14 1999-02-12 Hitachi Ltd 二次電池
JPH11191436A (ja) * 1997-12-26 1999-07-13 Hitachi Ltd 蓄電保護器
KR200283452Y1 (ko) 1997-12-30 2002-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비수용액계 이차 전지
TW502467B (en) * 1998-03-18 2002-09-11 Toshiba Battery Battery, lead member for battery connection,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JP4303801B2 (ja) 1998-03-25 2009-07-29 ワコー電子株式会社 二次電池の安全装置
JPH11307076A (ja) 1998-04-24 1999-11-05 Sony Corp 二次電池
JP3497380B2 (ja) * 1998-06-02 2004-02-16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270958B1 (ko) * 1998-07-10 2000-11-01 윤종용 비휘발성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E19837909C2 (de) * 1998-08-20 2001-05-17 Implex Hear Tech Ag Schutzvorrichtung für eine mehrfach nachladbare elektrochemische Batterie
JP2000082457A (ja) 1998-09-04 2000-03-21 Toyo Kohan Co Ltd 電気電子機器・部品用安全装置、それを用いた密閉型電池の安全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密閉型電池
JP2000182598A (ja) 1998-12-16 2000-06-30 Hitachi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およびその熱動継電器
KR100358062B1 (ko) * 1998-12-30 2003-0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메모리셀및그의제조방법
JP3693844B2 (ja) * 1999-03-01 2005-09-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池の感圧電路遮断機構
FR2796205B1 (fr) * 1999-07-08 2001-10-05 Cit Alcatel Accumulateur electrochimique etanch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prise de courant en aluminium
KR100358224B1 (ko) 1999-07-31 2002-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
US6342826B1 (en) 1999-08-11 2002-01-29 Therm-O-Disc, Incorporated Pressure and temperature responsive switch assembly
US6525371B2 (en) * 1999-09-22 2003-0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ligned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cell and process to make the same
KR100349908B1 (ko) * 1999-12-15 2002-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각형 밀폐전지
JP2001202946A (ja) 2000-01-18 2001-07-27 Nec Corp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1357834A (ja) 2000-06-16 2001-12-2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JP2002216743A (ja) 2001-01-19 2002-08-02 Alps Electric Co Ltd 電池用圧力遮断センサ
FR2821983B1 (fr) * 2001-03-07 2003-08-15 Schneider Electric Ind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pour accumulateur electrique
TW480680B (en) * 2001-04-03 2002-03-21 Nanya Technology Corp Method for producing self-aligned separated gate-type flash memory cell
US6730430B2 (en) * 2001-07-09 2004-05-04 Nan Ya Plastics Corporation Explosion-proof safety structure for column shape lithium battery
CN1252843C (zh) 2001-07-11 2006-04-19 能元科技股份有限公司 方形电池的安全保护结构
JP4645001B2 (ja) 2001-07-11 2011-03-09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4154136B2 (ja) 2001-08-06 2008-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角形密閉式電池
CN1319189C (zh) * 2001-08-07 2007-05-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2003051304A (ja) 2001-08-07 2003-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420146B1 (ko) 2001-10-18 2004-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서모 프로텍터가 장착된 이차전지
JP2003197178A (ja) 2001-12-25 2003-07-11 Mitsubishi Heavy Ind Ltd 二次電池
JP2003223886A (ja) 2002-01-30 2003-08-08 Sanyo Gs Soft Energy Co Ltd 電 池
JP2003234055A (ja) * 2002-02-12 2003-08-22 Texas Instr Japan Ltd 過電圧保護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テリー保護システム
JP4629952B2 (ja) * 2002-02-13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4967216B2 (ja) * 2003-12-05 2012-07-04 株式会社Gsユアサ 非水電解質電池
JP2004022477A (ja) 2002-06-20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
JP2004071265A (ja) * 2002-08-05 2004-03-04 Sanyo Electric Co Ltd 電池
JP2004087194A (ja) 2002-08-23 2004-03-18 Nok Corp 封口板
KR100477750B1 (ko) * 2002-09-23 200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JP2004273139A (ja) 2003-03-05 2004-09-30 Canon Inc リチウム二次電池
JP4259890B2 (ja) * 2003-03-07 2009-04-30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形蓄電池
JP2004319463A (ja) 2003-03-28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次電池
JP2005032477A (ja) 2003-07-08 2005-02-03 Toyota Motor Corp 電池、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自動車
KR100516772B1 (ko) * 2003-08-22 2005-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탭을 캔의 단변부에 위치시킨 이차전지
JP4953551B2 (ja) * 2003-10-31 2012-06-13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型電池
US7029968B2 (en) * 2003-12-05 2006-04-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forming a PIP capacitor
US7315056B2 (en) * 2004-06-07 2008-01-01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memory array of floating gate memory cells with program/erase and select gates
JP2006012602A (ja) 2004-06-25 2006-01-12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蓄電池
KR100619631B1 (ko) 2004-08-31 2006-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
KR100624919B1 (ko) * 2004-09-22 2006-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60039955A (ko) 2004-11-02 2006-05-10 유니썸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배터리용 안전장치
JP4984892B2 (ja) * 2004-11-08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およびセンターピン
KR100614377B1 (ko) * 2004-11-15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CN1655389A (zh) * 2005-03-04 2005-08-17 北京中信国安盟固利新材料技术研究院有限公司 大容量金属外壳锂离子二次电池
KR100614376B1 (ko) 2005-04-25 2006-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캔형 리튬 이차전지
US7942182B2 (en) * 2005-06-14 2011-05-17 Cufer Asset Ltd. L.L.C. Rigid-backed, membrane-based chip tooling
US7364970B2 (en) * 2005-09-30 2008-04-2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making a multi-bit non-volatile memory (NVM) cell and structure
KR100693115B1 (ko) 2005-11-08 2007-03-12 주식회사 비츠로셀 퓨즈기능을 갖는 캐소드 리드
KR100878702B1 (ko) * 2005-11-30 2009-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안전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팩
JP4848860B2 (ja) * 2006-01-13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電池
KR100878701B1 (ko) * 2006-03-13 2009-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율 충방전 원통형 이차전지
KR100906253B1 (ko) * 2006-05-01 2009-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전류의 인가시 파괴되는 파단부가 형성되어 있는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JP2008027668A (ja) 2006-07-19 2008-02-07 Sony Corp 電池
KR20080025437A (ko) 2006-09-18 2008-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0880321B1 (ko) * 2006-12-14 2009-01-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4609432B2 (ja) 2007-01-19 2011-01-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ヒューズ付き蓄電デバイス用リード端子及び非水電解質蓄電デバイス
JP5271498B2 (ja) 2007-01-26 2013-08-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組電池
JP2008218132A (ja) 2007-03-02 2008-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電池
KR100870349B1 (ko) 2007-03-16 2008-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기판의 접속단자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0922352B1 (ko) * 2007-10-02 200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963994B1 (ko) 2008-03-12 2010-06-15 엔피텍주식회사 내장용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JP5314350B2 (ja) 2008-07-25 2013-10-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容器及び電池パック
JP2010033949A (ja) * 2008-07-30 2010-02-12 Panasonic Corp 電池
JP5288973B2 (ja) * 2008-09-29 2013-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5418809B2 (ja) 2008-10-16 2014-02-19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52885A (ko) 2008-11-11 2010-05-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486546B2 (en) 2008-12-01 2013-07-16 Samsung Sdi Co., Ltd.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with notched vent member
KR101023104B1 (ko) * 2008-12-26 2011-03-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085894B1 (ko) 2009-01-29 2011-11-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프린트 정렬 과정에서의 마찰 감소방법
JP2009105075A (ja) 2009-02-16 2009-05-14 Gs Yuasa Corporation:Kk 電池
KR101041153B1 (ko) * 2009-03-04 2011-06-1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모듈
US8323813B2 (en) 2009-05-14 2012-12-04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an extensible member
US9246140B2 (en) 2009-07-09 2016-01-2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a cap assembly having a first tab located outside of the case
US8236439B2 (en) 2009-08-14 2012-08-07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8268478B2 (en) 2009-08-17 2012-09-18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nti-vibration member
US8877361B2 (en) 2009-09-01 2014-11-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390527B1 (ko) 2009-09-17 2014-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Ptc 하이브리드 안전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KR101222311B1 (ko) * 2010-06-14 2013-01-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US8440336B2 (en) 2009-12-08 2013-05-1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short circuit member
US8632911B2 (en) 2010-01-15 2014-01-2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042808B1 (ko) 2010-01-26 2011-06-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130294B1 (ko) * 2010-03-30 2012-08-2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6140B2 (en) 2009-07-09 2016-01-2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a cap assembly having a first tab located outside of the case
US8877361B2 (en) 2009-09-01 2014-11-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478774B2 (en) 2010-12-02 2016-10-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8728644B2 (en) 2011-01-25 2014-05-20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233470B1 (ko) * 2011-01-25 2013-02-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US8835028B2 (en) 2011-01-31 2014-09-1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222306B1 (ko) * 2011-01-31 2013-01-1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US9209436B2 (en) 2011-02-08 2015-12-0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243475B1 (ko) * 2011-03-30 2013-03-1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단락 부재를 구비한 이차 전지
US9123927B2 (en) 2011-03-30 2015-09-0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8580426B2 (en) 2011-04-07 2013-11-1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222232B1 (ko) * 2011-04-07 2013-01-16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US8758929B2 (en) 2011-04-18 2014-06-2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254871B1 (ko) * 2011-04-18 2013-04-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전지
US8642196B2 (en) 2011-06-08 2014-02-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012050B2 (en) 2011-07-26 2015-04-2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190635B2 (en) 2011-07-29 2015-11-1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short circuit plate
US9634299B2 (en) 2011-09-06 2017-04-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054371B2 (en) 2011-11-17 2015-06-0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490470B2 (en) 2013-02-20 2016-11-0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337468B2 (en) 2013-10-08 2016-05-1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10044019B2 (en) 2014-01-20 2018-08-07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having short-circuit connection member
US10797295B2 (en) 2015-04-17 2020-10-06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O2018048075A1 (ko) * 2016-09-06 2018-03-15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 전지
WO2019013433A1 (ko) * 2017-07-10 2019-01-17 삼성에스디아이(주) 내외부 압력 평형이 가능한 이차 전지
US11476550B2 (en) 2017-07-10 2022-10-1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equalizing internal/external pres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50812A (zh) 2011-01-19
JP2011018645A (ja) 2011-01-27
EP2273587B1 (en) 2013-05-29
JP5399990B2 (ja) 2014-01-29
US9246140B2 (en) 2016-01-26
US20100279156A1 (en) 2010-11-04
EP2273587A1 (en) 2011-01-12
KR101093691B1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691B1 (ko) 이차 전지
KR101182284B1 (ko) 이차 전지
KR101201746B1 (ko) 이차 전지
KR101191658B1 (ko) 이차 전지
KR101023104B1 (ko) 이차 전지
KR101627626B1 (ko) 이차 전지
KR101155888B1 (ko) 이차 전지
EP2595214B1 (en) Rechargeable battery
US8877369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s with deformable portions underneath a vent
KR20100137904A (ko) 이차전지 및 그 모듈
KR20110041872A (ko) 이차 전지
KR101711992B1 (ko) 상부 절연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EP2924763B1 (en) Secondary battery
KR20110095101A (ko) 이차 전지
KR20160107061A (ko) 상부 절연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30073856A (ko) 이차 전지
KR20160119570A (ko) 단락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10047610A (ko) 이차 전지
KR20140124247A (ko) 이차 전지
KR101775545B1 (ko) 단락 돌기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10065373A (ko) 이차 전지
KR101222386B1 (ko) 배터리팩
KR101330612B1 (ko) 이차 전지
KR20160111272A (ko) 단락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80102305A (ko) 바이메탈로 이루어진 전류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캡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