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376B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376B1
KR101222376B1 KR1020110003951A KR20110003951A KR101222376B1 KR 101222376 B1 KR101222376 B1 KR 101222376B1 KR 1020110003951 A KR1020110003951 A KR 1020110003951A KR 20110003951 A KR20110003951 A KR 20110003951A KR 101222376 B1 KR101222376 B1 KR 101222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hole
secondary battery
ca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590A (ko
Inventor
권민형
김덕중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11000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376B1/ko
Priority to US13/137,460 priority patent/US8771854B2/en
Publication of KR20120082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61Hollow metallic terminals, e.g. terminal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집전단자와 체결단자를 터미널 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전극단자와 버스 바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단자와 대응되는 캡 플레이트에는 단락부재를 형성하여, 이차전지 내부의 압력에 의한 발화 및 폭발을 막을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하나의 전지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 및 캠코더와 같은 휴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전지 팩이 수십 개 연결된 전지 팩 단위의 대용량 전지의 경우 하이브리드 자동차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및 각형을 들 수 있으며,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함께 케이스에 수용하고, 케이스에 캡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전극 조립체에는 전극 단자가 연결되며, 이는 상기 캡 플레이트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집전단자와 체결단자를 터미널 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전극단자와 버스 바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체결단자와 대응되는 캡 플레이트에는 단락부재를 형성하여, 이차전지 내부의 압력에 의한 발화 및 폭발을 막을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가 형성된 캡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캡 플레이트 단자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을 관통하는 집전단자와 상기 집전단자에 결합된 터미널 플레이트와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에 결합된 체결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단자와 대응되는 캡 플레이트에는 단락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락홀을 덮는 단락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는 상기 캡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고, 단락홀과 대응되도록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에는 체결단자가 결합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은 가장자리가 캡 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단자는 리벳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단자는 터미널 플레이트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와 캡 플레이트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 및 단락홀에 대응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락부재는 캡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에서 연장되고, 캡 플레이트의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반전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전지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커지면, 상기 라운드부가 반전되어 터미널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과 접촉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전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캡 플레이트의 관통홀 및 캡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집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전부는 하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전극조립체의 무지부와 연결된 집전판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과 대응되도록 터미널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홀에 포함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전부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 및 집전부는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 및 집전부는 마찰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가 형성된 캡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캡 플레이트 단자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을 관통하는 집전단자와 상기 집전단자에 결합된 터미널 플레이트와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에 결합된 체결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단자와 대응되는 캡 플레이트에는 단락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락홀을 덮는 단락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단락부재가 반전되면 체결단자의 하부와 접촉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는 캡 플레이트의 단락홀과 대응되는 제3 홀과, 상기 제3 홀은 하부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자는 하부의 형상이 제3 홀의 단차에 대응되도록 절곡되고, 캡 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단자는 하부 중심에 홈이 형성되고, 홈의 외주면은 캡 플레이트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단자는 리벳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는 집전단자와 체결단자를 터미널 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전극단자와 버스 바의 체결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버스 바와 체결단자가 결합되어 체결 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집전 단자를 통한 전류가 버스 바에 전달되어 전극 단자의 전기 저항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단락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열이나 압력이 상승하면 단락부재가 반전되어 터미널 플레이트와 단락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내부에 열이나 압력이 상승하면 단락부재가 반전되어 체결단자와 단락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스 및 전극 조립체가 제거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이차전지와 버스 바와 결합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전극 단자와 버스 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극 단자와 단락부재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중 도4에 대응되는 부분의 체결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중 도4에 대응되는 부분의 체결단자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케이스 및 전극 조립체가 제거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110), 전극단자(120, 130), 케이스(140), 캡 조립체 (150) 및 단락부재(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제1 전극판(111), 세퍼레이터(113), 제 2 전극판(112)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전극판(111)은 음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제2 전극판(112)은 양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 전극판(111) 및 제2 전극판(112)은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판(111)은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1 전극 집전체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1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1 전극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전극 무지부(114)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전극판(111)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전극 무지부(114)에서는 후술하는 제1 집전판(129)과 상기 제1 전극 무지부(114)를 초음파 용접 된다. 이러한 제1 전극 무지부(114)는 제1 전극판(111)과, 제1 전극판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상기 제2 전극판(112)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2 전극 집전체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2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 2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인 제2 전극 무지부(115)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전극판(112)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전극 무지부(115)에서는 후술하는 제2 집전판(139)과 상기 제2 전극 무지부(115)를 초음파 용접 된다. 이러한 제2 전극 무지부(115)는 제2 전극판(112)과, 제2 전극판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제1전극판(111)과 제2 전극판(11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플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세퍼레이터(113)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110)는 실질적으로 전해액과 함께 케이스(140)에 수납된다. 상기 전해액은 EC(ethylene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와 같은 유기 용매에 LiPF6, LiBF4와 같은 리튬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은 액체, 고체 또는 겔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극 조립체(110)의 양측 단부에는 제1 전극판(111)과 제2 전극판(112)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단자(120) 및 제2 전극 단자 (130)가 결합된다.
상기 제1 전극 단자 (120)는 주로 금속 또는 그 등가물로 형성되며, 제1 전극판(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전극 단자(120)는 제1 체결단자(121),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 제1 집전단자(125), 제 1 상부 절연부재(128) 및 제1 집전판(129)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체결단자(121)는 후술되는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의 제1 홀에 결합되고 상부로 일정 길이 돌출 및 연장된다. 상기 제1 체결단자(121)는 돌출 및 연장된 외주면에는 나사산(12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122)은 후술되는 버스 바(170)의 홀이 관통되고 너트(172)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단자(121)는 후술되는 캡 플레이트(151)의 단락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체결단자(121)는, 예를 들면 스텐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질로 상기 제1 체결단자(121)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는 후술되는 캡 플레이트(151)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홀은 캡 플레이트(151)의 단락홀과 대응되며, 제1 체결단자(121)가 결합된다. 제2 홀은 후술되는 집전단자(125)의 돌출부(125a)가 삽입된다. 상기 제1 홀은 가장자리가 캡 플레이트(151)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24)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124)는 후술되는 단락부재(16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이차전지(100)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어 단락부재(160)가 반전되면 돌기(124)와 접촉되어 쇼트 된다. 상기 제1 홀과 제1 체결단자(121)는 리벳 또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집전단자(125)는 돌출부(125a) 및 집전부(125b)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125a)는 캡 플레이트(151)의 단자홀을 관통하고,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의 제2 홀에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125a)는 제2 홀에 포함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5a)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집전부(125b)는 캡 플레이트(151)의 관통홀 및 캡 플레이트(151)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151)의 하측에는 집전부(125b)가 관통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측부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 하부에 형성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전극 조립체(110)의 제1 전극 무지부(114)와 연결된 제1 집전판(129)에 삽입된다. 상기 집전부(125b)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5a) 및 집전부(125b)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며,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돌출부(125a) 및 집전부(125b)는 마찰 용접으로 연결된다.
상기 집전부(125b)와 캡 플레이트(151)의 관통홀 사이에는 시일 가스켓(126)이 포함된다. 상기 시일 가스켓(126)은 집전부(125b)와 캡 플레이트(151) 사이를 밀봉시킨다. 또한, 상기 시일 가스켓(126)은 외부의 수분이 이차전지(100)의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차전지(100)의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체결부(121)는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에서 제1 집전단자(125)와 결합되기 때문에 버스 바(170) 및 너트(172)가 제1 체결부(121)에 결합될 때, 제1 체결부(121)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체결부(121)에 너트(172)를 강한 토크로 조일 수 있고, 따라서 버스 바(170)와 제1 체결부(121) 사이의 체결력이 향상된다.
상기 제1 하부 절연부재(127)는 캡 플레이트(151) 하부와 집전부(125b) 사이에 형성되어, 불필요한 전기적 쇼트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상부 절연부재(128)는 터미널 플레이트(123)와 캡 플레이트(15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절연부재(128)는 캡 플레이트(151)의 단자홀과 단락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및 하부 절연부재(127, 128)는 PPS(Polyphenylene Sulfide)일 수 있으나, 이러한 재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집전판(129)은 전극 조립체(110)의 일측의 상측 단부로 돌출된 제1 전극 무지부(114)와 접촉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집전판(129)은 상기 제1 전극 무지부(114)에 용접된다. 상기 제 1 집전판(129)은 대략 '┎'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집전부(125b)의 돌기(125c, 125d)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홀(129a, 129b)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집전판(129)은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재질로 제 1 집전판(129)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전극 단자(130) 역시 주로 금속 또는 그 등가물로 형성되며, 제2 전극판(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전극 단자(130)는 제2 체결단자(131), 제2 터미널 플레이트(133), 제2 집전단자(135), 제2 하부 절연부재(137), 제2 상부 절연부재(138) 및 제2 집전판(139)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체결단자(131), 제2 하부 절연부재(137) 및 제2 집전판(139)의 형태는 상기 제1 전극 단자(120)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형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 터미널 플레이트(133), 제2 집전단자(135) 및 제2 집전판(139)은 주로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그 등가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러한 재료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 터미널 플레이트(133) 및 제2 집전단자(135)는 상기 캡 플레이트(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될 케이스(140) 및 캡 플레이트(151)는 상기 제2 전극 단자(130)와 같은 극성(예를 들면, 양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터미널 플레이트(133)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홀은 제2 체결단자(131)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 홀은 후술되는 제2 집전단자(135)가 삽입된다.
상기 제2 집전단자(135)는 캡 플레이트(151)의 단자홀을 관통하고, 제2 터미널 플레이트(133)의 제2 홀에 삽입된다. 상기 제2 집전단자(135)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집전단자(135)는 캡 플레이트(151)의 관통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측부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 하부에 형성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전극 조립체(110)의 제2 전극 무지부(115)와 연결된 제2 집전판(139)에 삽입된다. 제2 집전판(139)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14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1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차전지는 케이스의 개구부에 캡 조립체(150)가 결합되어 밀봉되어 형성된다. 한편, 케이스의 내면은 절연 처리되어, 전극 조립체(110), 제1 전극 단자(120), 제2 전극 단자(130) 및 캡 조립체(150)와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캡 조립체(150)는 캡 플레이트(151), 안전벤트(152), 단락홀, 전해액 주입구(미도시) 및 마개(1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151)는 케이스(140)를 밀봉한다. 상기 캡 조립체(150)는 캡 플레이트(151)에 형성되는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 후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마개(15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151)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설정된 압력에 의해 파손되어 가스를 방출시키는 안전 벤트(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51)는 캡 플레이트(151) 일부분에 제 1 집전판(129)과 연결되는 집전부(125b)가 삽입되도록 단자홀이 형성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151)에는 제 2 집전판(139)과 연결되는 제2 집전단자(135)가 삽입되는 단자홀이 형성된다.
상기 단락홀은 제1 체결단자(12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단락홀에는 홀을 덮는 단락부재(160)가 형성된다.
상기 단락부재(160)는 테두리부(161)와 라운드부(162)를 포함한다. 상기 단락부재(160)는 캡 플레이트(151)의 단락홀과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의 제1 체결단자(12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테두리부(161)는 캡 플레이트(151)의 단락홀 외주에 고정된다. 상기 라운드부(162)는 테두리부에서 연장되고, 캡 플레이트의 아래로 볼록한 반전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상기 라운드부(162)는, 도7을 참조하면, 이차전지(100)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커지면, 상기 라운드부(162)가 반전되어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의 하부 일측과 접촉된다. 이 경우, 상기 라운드부(162)는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의 돌기(124)와 접촉되어 단락을 유발시킨다. 여기서, 상기 단락부재(160)는 캡 플레이트(151)와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도 5는 도 1에 이차전지(100)와 버스 바(170)와 결합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전극 단자(120)와 버스 바(17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차전지(100)는 도전성 버스 바(170)에 의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 바(170)는 양측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에는 이차전지(100)의 제1 체결단자(121) 및 제2 체결단자(131)가 결합된다. 더불어, 상기 버스 바(170)를 관통한 제1 체결단자(121) 및 제2 체결단자(131)에는 너트(172)가 강한 토크로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체결 단자(121, 131)에 버스 바(170)를 결합한 후 너트(172)를 조일 때, 상기 제1 및 제2 체결 단자(121, 131)가 전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 단자(121, 131)에 너트(172)를 강한 토크로 조일 수 있고, 따라서 버스 바(170)와 제1 및 제2 체결 단자(121, 131) 사이의 체결력이 향상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및 제2 집전 단자(125, 135)를 통한 전류가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터미널 플레이트(123, 133)를 통하여 버스 바(170)에 전달됨으로써, 전류 통로가 넓어지고 따라서 전극 단자(120, 130)의 전기 저항이 감소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중 도4에 대응되는 부분의 체결단자(22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도4에 도시된 이차전지(100)와 비교하여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와 제1 체결단자(121)의 구성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시 및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제1 터미널 플레이트(223) 및 제1 체결단자(221)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1 전극단자(220)는 제1 터미널 플레이트(223) 및 제1 체결단자(2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터미널 플레이트(223)는 도2에 도시된 제2 터미널 플레이트(133)와 유사하다. 다만, 상기 제1 터미널 플레이트(223)는 제1 체결단자(221)가 결합되는 제3 홀을 형성한다. 상기 제3 홀은 캡 플레이트(151)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체결단자(221)는 단차에 대응되고 제3 홀의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절곡된다. 상기 절곡 된 위치는 제1 체결단자(221)의 하부이며, 상기 절곡된 끝단은 캡 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221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단자(2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캡 플레이트(151)의 단락홀이 형성된다. 상기 단락홀을 덮는 단락부재(160)는 이차전지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커지면, 상기 라운드부(162)가 반전되어 제1 체결단자(221)의 돌기(221a)와 접촉되어 단락을 유발시킨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중 도4에 대응되는 부분의 체결단자(32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는 도4에 도시된 이차전지(100)와 비교하여 제1 터미널 플레이트(123)와 제1 체결단자(121)의 구성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시 및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제1 터미널 플레이트(323) 및 제1 체결단자(321)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제1 전극단자(320)는 제1 터미널 플레이트(323) 및 제1 체결단자(3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터미널 플레이트(323)는 도2에 도시된 제2 터미널 플레이트(13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단자(321)는 하부 중심에 홈(321b)이 형성되고, 홈(321b)의 외주면은 캡 플레이트(151)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연장된 외주면(321a)은 단락부재(160)와 접촉된다.
상기 제1 체결단자(3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캡 플레이트(151)의 단락홀이 형성된다. 상기 단락홀을 덮는 단락부재(160)는 이차전지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커지면, 상기 라운드부(162)가 반전되어 제1 체결단자(321)의 외주면(321a)과 접촉되어 단락을 유발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이차전지
110: 전극 조립체 111: 제1 전극판
112: 제2 전극판 113: 세퍼레이터
114: 제1 전극 무지부 115: 제2 전극 무지부
120: 제1 전극단자 121: 제1 체결단자
123: 제1 터미널 플레이트 125: 제1 집전단자
126, 136: 시일 가스켓 127, 137: 하부 절연부재
129: 제1 집전판 130: 제2전극단자
131: 제2 체결단자 133: 제2 터미널 플레이트
135: 제2 집전단자 139: 제2 집전판
140: 케이스 150: 캡 조립체
151: 캡 플레이트 152: 안전벤트
153: 마개 160: 단락부재
161: 테두리부 162: 라운드부
170: 버스 바 172: 너트

Claims (19)

  1.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가 형성된 캡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캡 플레이트 단자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을 관통하는 집전단자와
    상기 집전단자에 결합된 터미널 플레이트와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에 결합된 체결단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단자와 대응되는 캡 플레이트에는 단락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락홀을 덮는 단락부재; 및
    상기 집전 단자와 상기 전극 조립체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집전 단자의 두개의 돌기에 각각 결합되는 두개의 홀을 갖는 집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는
    상기 캡 플레이트 상부에 형성되고, 단락홀과 대응되도록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에는 체결단자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가장자리가 캡 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단자는 리벳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단자는 터미널 플레이트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와 캡 플레이트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 및 단락홀에 대응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부재는 캡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에서 연장되고, 캡 플레이트의 아래로 볼록한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반전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커지면, 상기 라운드부가 반전되어 터미널 플레이트의 하부 일측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 및 캡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집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전부는 하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전극조립체의 무지부와 연결된 집전판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과 대응되도록 터미널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전부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집전부는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집전부는 마찰 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삭제
  17.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하는 캡 플레이트가 형성된 캡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캡 플레이트 단자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단자홀을 관통하는 집전단자와
    상기 집전단자에 결합된 터미널 플레이트와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에 결합된 체결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단자와 대응되는 캡 플레이트에는 단락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락홀을 덮는 단락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단락부재가 반전되면 체결단자의 하부와 접촉되며,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는 캡 플레이트의 단락홀과 대응되는 제3 홀과,
    상기 제3 홀은 하부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자는 하부의 형상이 제3 홀의 단차에 대응되도록 절곡되고, 캡 플레이트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단자는 하부 중심에 홈이 형성되고, 홈의 외주면은 캡 플레이트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단자는 리벳 또는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10003951A 2011-01-14 2011-01-14 이차전지 KR101222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951A KR101222376B1 (ko) 2011-01-14 2011-01-14 이차전지
US13/137,460 US8771854B2 (en) 2011-01-14 2011-08-17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951A KR101222376B1 (ko) 2011-01-14 2011-01-14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590A KR20120082590A (ko) 2012-07-24
KR101222376B1 true KR101222376B1 (ko) 2013-01-15

Family

ID=4649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951A KR101222376B1 (ko) 2011-01-14 2011-01-14 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71854B2 (ko)
KR (1) KR1012223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780A (ko) * 2014-06-02 2015-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1108095B2 (en) 2018-09-19 2021-08-3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9483A1 (zh) * 2011-08-29 2013-03-07 深圳市比亚迪汽车研发有限公司 电池连接件和具有该电池连接件的电池组
DE102012213100B4 (de) * 2012-07-25 2015-08-06 Volkswagen Varta Microbattery Forschungsgesellschaft Mbh & Co. Kg Batterie mit Thermoschalter und pneumatisch betätigbarem Schalter und Verfahren zum sicheren Betreiben der Batterie
JP5867376B2 (ja) * 2012-12-07 2016-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
KR20140089979A (ko) 2013-01-08 2014-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1666256B1 (ko) * 2013-01-09 2016-10-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666258B1 (ko) 2013-01-23 2016-10-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698767B1 (ko) * 2013-01-28 2017-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9570719B2 (en) * 2013-05-22 2017-02-14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CN105556706A (zh) * 2013-09-18 2016-05-04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蓄电装置
CN104377338B (zh) * 2013-12-31 2016-09-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极端子、具有其的电池盖板组件、电池和电池组
JP6862338B2 (ja) * 2015-02-27 2021-04-21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複数の二次電池を備えた組電池
KR102368086B1 (ko) * 2015-03-16 2022-02-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496396B1 (ko) * 2015-12-03 2023-0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105870375B (zh) * 2016-06-07 2018-07-1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顶盖及动力电池
CN111799402B (zh) 2017-08-30 2021-06-2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以及电池模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103A (ja) 2001-07-11 2003-03-2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JP2010097822A (ja) 2008-10-16 2010-04-30 Gs Yuasa Corporation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99983A (ko) * 2009-03-04 2010-09-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모듈
US20100279156A1 (en) 2009-07-09 2010-11-04 Yong-Sam Kim Rechargeable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7834A (ja) * 2000-06-16 2001-12-2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JP4154136B2 (ja) 2001-08-06 2008-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角形密閉式電池
JP5288973B2 (ja) * 2008-09-29 2013-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KR20100052885A (ko) 2008-11-11 2010-05-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85894B1 (ko) 2009-01-29 2011-11-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프린트 정렬 과정에서의 마찰 감소방법
JP2009105075A (ja) 2009-02-16 2009-05-14 Gs Yuasa Corporation:Kk 電池
US8236439B2 (en) * 2009-08-14 2012-08-07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103A (ja) 2001-07-11 2003-03-2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JP2010097822A (ja) 2008-10-16 2010-04-30 Gs Yuasa Corporation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99983A (ko) * 2009-03-04 2010-09-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모듈
US20100279156A1 (en) 2009-07-09 2010-11-04 Yong-Sam Kim Rechargeable batter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780A (ko) * 2014-06-02 2015-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213663B1 (ko) * 2014-06-02 2021-0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1108095B2 (en) 2018-09-19 2021-08-3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590A (ko) 2012-07-24
US8771854B2 (en) 2014-07-08
US20120183817A1 (en)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376B1 (ko) 이차전지
KR101254871B1 (ko) 이차전지
US9252401B2 (en) Secondary battery
US10535846B2 (en) Secondary battery
KR101254886B1 (ko) 이차 전지
KR101222247B1 (ko) 이차전지
US9136524B2 (en) Secondary battery
KR101222269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8728644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222264B1 (ko) 이차 전지
KR101233573B1 (ko) 이차 전지
KR101222369B1 (ko)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US8771869B2 (en) Secondary battery
US9570780B2 (en) Rechargeable battery
EP2899779B1 (en) Secondary battery
KR101222261B1 (ko) 이차 전지
US9028999B2 (en) Secondary battery
KR102502554B1 (ko) 이차 전지
KR101222244B1 (ko) 이차전지
US9196893B2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