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470B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470B1
KR101233470B1 KR1020110007282A KR20110007282A KR101233470B1 KR 101233470 B1 KR101233470 B1 KR 101233470B1 KR 1020110007282 A KR1020110007282 A KR 1020110007282A KR 20110007282 A KR20110007282 A KR 20110007282A KR 101233470 B1 KR101233470 B1 KR 10123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electrode
electrode terminal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167A (ko
Inventor
권민형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2011000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470B1/ko
Priority to US13/067,768 priority patent/US8728644B2/en
Publication of KR2012009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01M50/645Plu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단자와 플레이트를 일체화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제 1 전극판, 세퍼레이터 및 제 2 전극판을 갖는 전극조립체;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집전판; 상기 제 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집전판; 상기 전극조립체와 제 1 집전판 및 제 2 집전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제 1 집전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 단자; 상기 제 2 집전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단자; 상기 제 1 집전판 및 제 1 전극단자에 연결되어 케이스를 밀봉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집전판 및 제 2 전극단자에 연결되며, 단락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절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하나의 배터리 셀이 팩 형태로 포장된 저용량 전지의 경우 휴대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배터리 셀이 수십 개 연결된 대용량 전지의 경우 전기 스쿠터,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 및 각형을 들 수 있으며, 양, 음극판 사이에 절연체인 세퍼레이터(separator)를 개재하여 형성된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함께 케이스에 수용하고, 케이스에 캡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전극 조립체에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연결되며, 이는 상기 캡 플레이트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 및 돌출된다.
본 발명은 전극 단자와 캡 플레이트를 일체화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하며, 과충전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제 1 전극판, 세퍼레이터 및 제 2 전극판을 갖는 전극조립체;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집전판; 상기 제 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집전판; 상기 전극조립체와 제 1 집전판 및 제 2 집전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제 1 집전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 단자; 상기 제 2 집전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단자; 상기 제 1 집전판 및 제 1 전극단자에 연결되어 케이스를 밀봉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집전판 및 제 2 전극단자에 연결되며, 단락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절연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락 플레이트는 제 2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테두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단락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단락플레이트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직경이 단락플레이트의 라운드부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락 플레이트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일측에 상기 제 1 전극단자가 용접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일측에 상기 제 2 전극단자가 용접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2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제 1 전극단자와 제 1 홀 사이에 형성된 안전벤트;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제 2 전극단자와 제 2 홀 사이에 형성된 제 4홀; 및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제 1홀과 제 2 홀 사이에 형성된 제 4홀;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벤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제 4홀 및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제 4홀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에는 상기 제 2 전극 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홀에는 상기 제 1 집전판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단락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전극단자와 제 4 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는 제 1 홀과 제 4 홀 사이에 제 5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락 플레이트의 라운드부는 제 5 홀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브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미드(PA)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집전판과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집전판과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단자와 캡 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을 절감하고, 전해액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과충전시 전극간 단락을 유도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 내지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A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및 절연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3의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및 절연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2-2선을 따라 절취한 제 2 플레이트와 제 2 집전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3의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및 절연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이차 전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취한 이차 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10), 제 1 플레이트(120), 제 2 플레이트(130), 절연 플레이트(140)및 케이스(15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얇은 판형 혹은 막형으로 형성된 제 1 전극판(111), 세퍼레이터(113), 제2전극판(112)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판(111)은 음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제2전극판(112)은 양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전극판(111)은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1 전극 집전체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 1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1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제 1 전극 무지부(1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111a)는 제 1 전극판(111)과, 제 1 전극판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전극판(111)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전극판(112)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2 전극 집전체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 2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제 2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인 제 2 전극 무지부(112a)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극 무지부(112a)는 제 2 전극판(112)과, 제 2 전극판(112) 외부 간의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전극판(112)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제 1 전극판(111) 및 제 2 전극판(112)은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제 1 전극판(111)과 제 2 전극판(112)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세퍼레이터(113)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전극 조립체(110)의 양측 단부에는 제 1 전극판(111)과 제 2 전극판(112) 각각에 제 1 플레이트(120) 및 제 2 플레이트(130)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실질적으로 전해액과 함께 상기 케이스(150)에 수납된다. 상기 전해액은 EC(ethylene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와 같은 유기 용매에 LiPF6, LiBF4와 같은 리튬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은 액체, 고체 또는 겔상일 수 있다.
도 2b 내지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A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및 절연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3의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및 절연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2-2선을 따라 절취한 제 2 플레이트와 제 2 집전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3의 제 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및 절연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20)는 제 1 집전판(121), 제 1 전극 단자(122), 마개(123) 및 안전벤트(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20)는 후술할 케이스(150)를 밀봉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2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20)는 일측에 제 1 전극 단자(122)가 용접되어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 1 홀(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120a)은 제 2 전극 단자(132)가 삽입되며, 제 2 전극 단자(132)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20)는 제 1 홀(120a)과 제 1 전극 단자(122)의 중앙에 형성된 안전벤트(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20)의 제 1 전극단자(122)와 안전벤트(124)사이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120c)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20)는 안전벤트(124)와 제 1 홀(120a)사이에 후술할 단락 플레이트(133)를 향하여 돌출부(120d)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0d)는 단락 플레이트(133)의 라운드부(133a)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집전판(121)은 전극 조립체(110)의 일측 단부로 돌출된 제 1 전극 무지부(111a)와 접촉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집전판(121)은 상기 제 1 전극 무지부(111a)에 용접된다. 상기 제 1 집전판(121)은 대략 '?'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집전판(121)은 제 1 전극단자(122)와 같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다. 상기 제 1 집전판(121)은 제 1 플레이트(120)와 용접된다.
상기 제 1 집전판(121)은 절연 플레이트(14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홀(140b) 및 제 2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제 2 홀(130a)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집전판(121)은 제 1 절곡부(121a)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절곡부(121a)는 상기 제 1 집전판(121)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제 1 플레이트(120)의 하부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 단자(122)는 제 1 전극판(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전극 단자(122)는 제 1 플레이트(120)와 동일한 재질인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단자(122)는 하단에 자신보다 넓은 폭을 갖는 제 1 연결부(122a)를 갖는다. 상기 제 1 연결부(122a)는 대략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122a)는 제 1 플레이트(120)에 용접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상기 마개(123)는 제 1 플레이트(120)의 전해액 주입구(120c)를 밀봉한다.
상기 안전벤트(124)는 제 1 플레이트(120)의 벤트홀(120b)에 설치되고,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노치(12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130)는 제 2 집전판(131), 제 2 전극 단자(132) 및 단락 플레이트(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130)는 제 1 플레이트(120)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130)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130)는 제 2 집전판(131)과 용접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130)는 일측에 제 2 전극단자(132)가 용접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2 홀(130a)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홀(130a)은 제 1 집전판(121)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130)는 제 2 전극 단자(132)와 제 2 홀(130a) 중앙에는 제 4 홀(130c)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130)는 제 2 홀(130a)과 제 4 홀(130c) 사이에는 제 3 홀(130b)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홀(130b)은 제 1 플레이트(120)의 전해액 주입구(120c)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4 홀(130c)은 제 1 플레이트(120)의 안전벤트(124)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130)는 제 1 플레이트(12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20)는 케이스(150)와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제 2 플레이트(130)는 쇼트 방지를 위해 케이스(15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집전판(131)은 전극 조립체(110)의 일측 단부로 돌출된 제 2 전극 무지부(112a)와 접촉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집전판(131)은 제 2 전극 무지부(112a)에 용접된다. 상기 제 2 집전판(131)은 대략 '┎'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집전판(131)은 제 2 플레이트(130)와 용접된다.
상기 제 2 집전판(131)은 제 2 절곡부(131a) 및 제 2 측부(131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절곡부(131a)는 제 2 집전판(131)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제 2 플레이트(130)의 하부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측부(131b)는 제 2 절곡부(131a)의 측면에 제 2 절곡부(131a)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 2 절곡부(131a)가 제 2 측부(131b)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된 후 용접하여, 제 2 집전판(131)을 고정시킨다. 상기 제 1 집전판(121)과 제 1 플레이트(120)의 결합구조도 동일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 단자(132)는 제 2 전극판(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제 2 전극 단자(132)는 제 2 플레이트(130)와 동일한 재질인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 단자(132)의 형태는 제 1 전극 단자(122)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전극 단자(132) 형태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전극단자(132)는 제 1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홀(120a) 및 절연 플레이트(14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홀(140a)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 단자(132)와 제 2 플레이트(130)는 사이에 제 2 연결부(13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부(132a)는 제 1 플레이트(120)와 절연 플레이트(140)의 두께만큼의 높이와 크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단락 플레이트(133)는 제 2 플레이트(130)의 제 2 전극단자(132)와 제4 홀(130c)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단락 플레이트(133)는 제 2 플레이트(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부(133a)와, 제 2 플레이트(130)에 고정된 테두리부(13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락 플레이트(133)는 이차 전지(100)에 과충전이 발생하면 가스가 발생하여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크게 될 경우, 라운드부(133a)가 반전된다. 따라서, 상기 라운드부(133a)가 제 1 플레이트(130)를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단락 플레이트(133)는 제 1 플레이트(120)의 돌출부(120d)와 접촉하여 단락을 유발시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단락 플레이트(133)는 제 2 플레이트(130)와 동일한 극성인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140)는 제 1 플레이트(120)와 제 2 플레이트(130) 사이에 형성되며, 제 1 플레이트(120)와 제 2 플레이트(13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140)는 내열성과 강도가 높고, 전기절연성을 가지며, 전해액이 반응하지 않는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 phenylene sulfide resin),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 플레이트(140)의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140)는 양측에 제 1 홀(140a)과 제 2 홀(140b)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홀(140b)은 제 1 집전판(121)이 삽입되며, 제 2 플레이트(130)의 제 2 홀(130a)과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홀(140a)은 제 2 전극 단자(132)가 삽입되며, 제 1 플레이트(120)의 제 1 홀(120a)과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홀(140a)은 제 1 플레이트(120)의 두께만큼 돌기(140e)가 형성되고, 제 1 플레이트(120)의 제 1 홀(120a)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140e)는 상기 제 1 플레이트(120)와 제 2 전극 단자(132)를 절연시킨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140)는 제 1 홀(140a)과 제 2 홀(140b) 중앙에는 제 4 홀(140d)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140)는 제 2 홀(140b)과 제 4 홀(140d) 사이에는 제 3 홀(140c)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홀(140c)은 제 1 플레이트(120)의 전해액 주입구(120c)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4 홀(140d)은 제 1 플레이트(120)의 안전벤트(124)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140)는 제 1 홀(140a)과 제 4 홀(140d)의 사이에는 제 5 홀(140f)이 형성된다. 상기 제 5 홀(140f)은 제 2 플레이트(130)의 단락 플레이트(133)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플레이트(120), 제 2 플레이트(130) 및 절연 플레이트(140)는 결합 될 경우, 제 1 플레이트(120)의 안전벤트(124), 제 2 플레이트(130)의 제 4 홀(130c) 및 절연 플레이트(140)의 제 4 홀(140d)은 같은 크기와 위치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120)의 전해액 주입구(120c), 제 2 플레이트(130)의 제 3 홀(130b) 및 절연 플레이트(140)의 제 3 홀(140c)도 같은 크기와 위치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5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10), 제 1 집전판(121) 및 제 2 집전판(131)이 삽입 안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케이스(150)의 내면은 절연 처리되어, 전극 조립체(110), 제 1 집전판(121) 및 제 2 집전판(131)과 절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이차 전지
110 : 전극 조립체 111 : 제 1 전극판
111a : 제 1 전극 무지부 112 : 제 2 전극판 112a : 제 2 전극 무지부 113 : 세퍼레이터
120 : 제 1 플레이트 120a : 제 1 홀
120b : 벤트홀 120c : 전해액 주입구
121 : 제 1 집전판 121a : 제 1 절곡부
122 : 제 1 전극 단자 122a : 제 1 연결부
123 : 마개
124 : 안전 벤트 124a : 노치
130 : 제 2 플레이트 130a : 제 2 홀
130b : 제 3홀 130c : 제 4 홀
130d : 단락 홀
131 : 제 2 집전판 131a : 제 2 절곡부
131b : 제 2 측부 132 : 제 2 전극 단자
132a : 제 2 연결부 133 : 단락 플레이트
140 : 절연 플레이트 140a : 제 1 홀
140b : 제 2 홀 140c : 제 3 홀
140d : 제 4 홀 140e : 돌기
140f : 제 5 홀
150 : 케이스

Claims (18)

  1. 제 1 전극판, 세퍼레이터 및 제 2 전극판을 갖는 전극조립체;
    상기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집전판;
    상기 제 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집전판;
    상기 전극조립체와 제 1 집전판 및 제 2 집전판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제 1 집전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 단자;
    상기 제 2 집전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단자;
    상기 제 1 집전판 및 제 1 전극단자에 일체로 연결되어 케이스를 밀봉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집전판 및 제 2 전극단자에 일체로 연결되며, 단락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절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단락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플레이트는 제 2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테두리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단락플레이트를 향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직경이 단락플레이트의 라운드부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플레이트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일측에 상기 제 1 전극단자가 용접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1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일측에 상기 제 2 전극단자가 용접되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2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제 1 전극단자와 제 1 홀 사이에 형성된 안전벤트;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제 2 전극단자와 제 2 홀 사이에 형성된 제 4홀; 및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제 1홀과 제 2 홀 사이에 형성된 제 4홀;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벤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제 4홀 및 상기 절연 플레이트의 제 4홀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에는 상기 제 2 전극 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홀에는 상기 제 1 집전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전극단자와 제 2 플레이트의 제 4 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플레이트는 제 1 홀과 제 4 홀 사이에 제 5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플레이트의 라운드부는 제 5 홀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플레이트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브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미드(PA)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전판과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집전판과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110007282A 2011-01-25 2011-01-25 이차 전지 KR101233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82A KR101233470B1 (ko) 2011-01-25 2011-01-25 이차 전지
US13/067,768 US8728644B2 (en) 2011-01-25 2011-06-24 Rechargeabl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282A KR101233470B1 (ko) 2011-01-25 2011-01-25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167A KR20120099167A (ko) 2012-09-07
KR101233470B1 true KR101233470B1 (ko) 2013-02-15

Family

ID=4654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282A KR101233470B1 (ko) 2011-01-25 2011-01-25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28644B2 (ko)
KR (1) KR101233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5084B2 (ja) * 2011-11-29 2017-04-1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6175758B2 (ja) * 2011-11-29 2017-08-0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KR101666256B1 (ko) * 2013-01-09 2016-10-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3326061B (zh) * 2013-07-01 2015-11-25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
KR101711984B1 (ko) * 2013-07-16 2017-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735875B1 (ko) 2013-11-20 2017-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2210217B1 (ko) 2014-03-10 2021-0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198005B1 (ko) 2014-03-20 2021-01-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985271B2 (en) * 2014-07-31 2018-05-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for a battery module
KR102221807B1 (ko) * 2014-08-11 2021-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14583381A (zh) * 2015-08-25 2022-06-03 Cps 科技控股有限公司 用于蓄电池模块的过充电保护组件
KR102633271B1 (ko) * 2016-01-04 2024-0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601641B1 (ko) * 2016-01-20 2023-1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CN209843907U (zh) * 2019-07-22 2019-12-24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二次电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300A (ja) 2002-09-20 2004-04-0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100137904A (ko) * 2009-06-23 2010-12-3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모듈
KR20110005197A (ko) * 2009-07-09 2011-01-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8123A1 (en) * 2007-06-22 2008-12-25 Zhiping Jiang Lithium cell
BRPI0813288A2 (pt) * 2007-06-22 2014-12-30 Boston Power Inc Dispositivo de interrupção de corrente, bateria, bateria de íons de lítio, métodos para manufaturar um dispositivo de interrupção de corrente, uma bateria, e uma bateria de íons de lítio.
TWI372481B (en) * 2008-06-17 2012-09-11 Ind Tech Res Inst Lithium battery
KR101030916B1 (ko) 2009-04-21 2011-04-2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440336B2 (en) * 2009-12-08 2013-05-1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short circuit member
US8632911B2 (en) * 2010-01-15 2014-01-2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116449B1 (ko) * 2010-01-26 2012-02-2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042808B1 (ko) * 2010-01-26 2011-06-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10133257A (ko) * 2010-06-04 2011-12-1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126839B1 (ko) * 2010-06-04 2012-03-2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110300414A1 (en) * 2010-06-07 2011-12-08 Woonseong Baek Cap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he same
US8748030B2 (en) * 2010-06-09 2014-06-1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099732B2 (en) * 2010-06-11 2015-08-0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fuse with an insulating blocking member
US8501341B2 (en) * 2010-06-30 2013-08-0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084056B1 (ko) * 2010-07-21 2011-11-16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478774B2 (en) * 2010-12-02 2016-10-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1300A (ja) 2002-09-20 2004-04-08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100137904A (ko) * 2009-06-23 2010-12-3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모듈
KR20110005197A (ko) * 2009-07-09 2011-01-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167A (ko) 2012-09-07
US8728644B2 (en) 2014-05-20
US20120189884A1 (en)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470B1 (ko) 이차 전지
JP6158474B2 (ja) 二次電池
JP5564278B2 (ja) 二次電池
KR101254886B1 (ko) 이차 전지
US8999568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an electrode terminal including a collecting plate, a connecting part, and a terminal part
US9136524B2 (en) Secondary battery
KR101165503B1 (ko) 이차 전지
KR101222309B1 (ko) 이차전지
KR102201306B1 (ko) 이차 전지
KR101222247B1 (ko) 이차전지
KR102571487B1 (ko) 이차 전지 및 그 조립 방법
US10367186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n insulating member
EP2495784A2 (en) Secondary battery
US20120177978A1 (en) Secondary battery,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KR20160042243A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82590A (ko) 이차전지
KR101222261B1 (ko) 이차 전지
US9570780B2 (en) Rechargeable battery
US10998534B2 (en) Secondary battery
KR20200032987A (ko) 이차 전지
US9257686B2 (en) Secondary battery
US9028999B2 (en) Secondary battery
KR20080016047A (ko) 이차 전지
KR20120082182A (ko) 이차 전지
KR101233514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