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950A - 주차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950A
KR20080076950A KR1020087014429A KR20087014429A KR20080076950A KR 20080076950 A KR20080076950 A KR 20080076950A KR 1020087014429 A KR1020087014429 A KR 1020087014429A KR 20087014429 A KR20087014429 A KR 20087014429A KR 20080076950 A KR20080076950 A KR 20080076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monitor
parking
course
gui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5725B1 (ko
Inventor
가즈야 와타나베
고스케 사토
히로시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8Driving aids for parking, e.g. acoustic or visual feedback on par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 B60Q9/004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 B60Q9/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parking purposes, e.g. for warning the driver that his vehicle has contacted or is about to contact an obstacle using wave sensors using a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B62D15/028Guided parking by providing commands to the driver, e.g. acoustically or op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카메라(12)로부터의 촬영 화상이 표시되는 모니터(10)와, 차체를 주차 위치에 도입하는 지원을 행하는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차체를 주차 위치에 도입할 때에 부적절한 운전 조작이 있을 경우, 적절한 상태로 수정하는 보정 제어 수단(31)을 구비한다. 이 보정 제어 수단(31)은 스티어링 조작, 액셀 조작, 브레이크 조작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진로를 적절하게 하고, 정차 위치를 적절하게 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다라, 모니터(10)의 표시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주차 위치에 차체를 도입할 때에 부적절한 조작이 행해지더라도, 주차 위치에 차체를 적절하게 도입할 수 있다.
주차 지원, 보정 제어, 진로 갱신, 지원 정보

Description

주차 지원 장치{PARKING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차체에 구비한 카메라로부터의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주차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 정보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주차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차 지원 장치와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존재한다.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병렬 주차를 행할 때, 시프트 레버를 후진 위치에 조작함으로써, 조타(操舵) 개시 가이드라인, 차폭 가이드라인, 차량 궤적 가이드라인을 카메라에 의한 차량 후방 위치의 영상에 중첩시켜서 모니터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차량을 후진시켜서 조타 개시 가이드라인이 목표점에 도달하면, 정차시켜서 핸들 조작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핸들 조작을 행함으로써, 모니터에 표시된 조타량 가이드 마크가 이동하고, 이 조타량 가이드 마크가 목표점에 도달할 때까지 조작한 후에, 차량을 후진시킴으로써 주차 공간에 적절하게 차량을 진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주차 지원 장치와 관련된 기술로서, 주차 위치에 차체를 도입할 때, 스티어링 조작의 일부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2에서는, 주차 위치를 기준으로 한 특정된 위치에 차체를 정차한 상태에서 제어를 개시함으로써, 자동 조타 제어에 의해 스티어링 휠이 자동적으로 조작되고, 운전자가 크립(creep) 등으로 차체를 전진시킴으로써 차체가 진행 방향 전환 위치로 보내진다. 이 진행 방향 전환 위치에서 정차한 상태에서, 이 전륜은 차체를 주차 위치에 도입하는 조타가 이미 행해진 상태에 있고, 그 후, 운전자는 차체를 후진시킴으로써 차체를 주차 위치에 도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1-55099호 공보(단락 번호 [0028], 도 2, 도 3)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0-335436호 공보(단락 번호 [0025] ~ [0027], 도 1 ~ 도 3)
주차 위치에 자동차를 도입할 때의 조작을 고려하면, 주차 위치에 차체를 도입하는 경로에 따라 가능한 한 적절하게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운전 기술이 미숙한 운전자가 도입을 행할 경우나, 주차 위치의 공간이 좁은 경우에는, 확실한 조작이 요청된다. 이러한 과제에 대하여 전술한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의 기술이 유용하게 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1과 같이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하고, 이 모니터에 표시한 조타 개시 가이드라인이 목표점에 도달한 타이밍에서 정차시켜서 핸들 조작을 행할 경우에도, 정차 타이밍이 부적절하여 최적의 정차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차체를 정차시킨 경우에는, 주차 위치에 차체를 적절하게 도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정차 위치에서 정차하여도 핸들의 조작량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주차 위치에 차체를 적절하게 도입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특히, 주차 위치에 도입하는 진로의 지면이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정차해야 할 위치를 통과하여 차체를 정차시키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특허 문헌 2와 같이, 차체를 주차 위치에 도입할 때의 일부 조작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에서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수고를 덜게 된다. 그러나, 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에서는, 제어를 개시하는 초기 단계에서 차체를 적절한 위치에 설정할 필요가 있다.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차체를 주차 위치에 도입할 경우에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모니터를 통해 주차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 핸들 조작을 적절하게 행하여 정지 위치를 적절하게 할 필요도 있지만, 조작을 자동 제어로 행하는 것에서는, 초기 단계에서는 차체를 적절한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 필요해져서 그 설정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를 주차 위치에 도입하기 위한 운전 조작이 불충분하더라도 차체를 주차 위치에 적절하게 도입하는 장치를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차체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의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주차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 정보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주차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전방을 촬상하고, 상기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은 미리 설정된 주차 위치에 차체를 도입하기 위한 진로를 구하고, 이 진로 상에 목표 위치를 설정하고, 전진 시에 이 목표 위치에 대응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된 지면 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차체의 현재 위치에 대응한 지표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고, 상기 차체를 정차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 상기 가이드 정보의 위치까지 상기 지표를 유도하도록 운전자의 운전 조작을 보조하는 보조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니터의 지면 상에 표시된 가이드 정보와, 모니터에 표시된 지표를 예를 들어, 중복시키도록 스티어링 휠의 조작을 행하여 차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차체를 진로에 따라 이동시켜서 주차 위치에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진로에 따라 차체를 이동시킬 때, 스티어링 휠의 조작이 부적절한 경우나, 진로 상의 가이드 정보의 위치가 부정확해지는 경우 등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조 제어 수단이 운전 조작을 수정한다. 그 결과, 차체를 주차 위치에 도입하기 위한 운전 조작이 부적절하더라도, 차체를 주차 위치에 적절하게 도입하는 장치가 합리적으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가이드 정보와 지표의 위치 관계, 또는 상기 목표 위치와 차체의 위치 관계로부터 상기 진로와 차체의 위치 오차를 구하고, 이 위치 오차에 기초하여 차체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주차 위치에 도입하기 위한 진로를 새롭게 구하는 진로 갱신 수단을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이드 정보와 지표의 위치 관계, 또는 목표 위치와 차체의 위치 관계로부터 구해진 위치 오차에 기초하여 새롭게 진로를 구하므로, 예를 들어, 새롭게 진로를 설정하지 않고 차체의 이동을 행하는 것과 같이 오차를 확대시키지 않고, 주차 위치에 대하여 적절하게 차체를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기초하여 차체의 조향 차륜을 구동 조향하는 스티어링 유닛과, 상기 조향 차륜의 조향각을 계측하는 스티어링 센서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제어 수단은 스티어링 센서로부터의 조향각이 상기 진로에 기초하여 설정된 목표값과 상이한 경우에는, 보조 제어 수단이 스티어링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조향 차륜의 조향각을 적절한 방향으로 보정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차체의 이동 시에 스티어링 센서에 의해 계측되는 조향각과 상이한 경우에는, 스티어링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조향 차륜의 조향각을 적절한 방향으로 보정함으로써, 조향각의 과부족을 보충하고, 적절한 진로 상에 또는 적절한 진로에 근접한 진로 상에 차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차륜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브레이크 유닛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제어 수단은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 상태에 있음을 상기 브레이크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상황에서, 상기 진로에 설정된 정차 위치에 상기 차체가 접근한 경우에, 상기 브레이크 유닛을 제동 제어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차 위치에 차체가 접근한 상황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고 있음을 브레이크 센서에 의해 검출한 경우에는, 보조 제어 수단이 브레이크 유닛을 제동 제어함으로써, 차체가 정차 위치를 오버런(overrun)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셀 조작 부재의 조작에 기초하여 차체의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 유닛과, 상기 액셀 조작 부재의 조작량을 계측하는 액셀 센서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제어 수단은, 상기 진로에 설정된 정차 위치에 상기 차체가 접근한 경우에, 상기 속도 설정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액셀 조작 부재에 의해 설정된 주행 속도보다 차체의 주행 속도를 저속화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차 위치에 차체가 접근한 상황에서는, 보조 제어 수단이 속도 설정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액셀 조작 부재에 의해 설정된 주행 속도보다 차체의 주행 속도를 저속화하게 되어, 차체가 정차 위치를 오버런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정보가 바(bar) 형상으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고, 상기 지표가 상기 가이드 정보에 들어가는 장방 형상의 박스로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바 형상의 가이드 정보를 장방 형상의 박스로 이루어진 가이드 정보에 들어가도록 차체의 운전 조작을 행함으로써, 진로에 따라 차체를 이동시켜서 주차 위치에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이 상기 진로의 중간에 복수의 목표 위치를 설정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목표 위치를 따르도록 운전 조작을 행함으로써 차체를 주차 위치에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이 정차 자세와 직교하는 자세에서 주차 위치에 차체를 도입하는 차고 진입을 지원할 경우에는, 상기 진로 상에 4개의 목표 위치를 설정하고, 이 4개의 목표 위치에 대하여 가이드 정보를 설정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4개의 목표 위치에 설정된 가이드 정보에 따라 차체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가 상기 차체의 전단에 설치된 프론트 카메라와, 상기 차체의 후단에 설치된 리어 카메라로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목표 위치 중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에 설정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차체의 전진시에 상기 프론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지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4개의 목표 위치 중에서 세 번째와 네 번째에 설정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차체의 후진 시에 상기 리어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지면 상에 표시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차체를 전진시킬 때에는, 프론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지면 상에 표시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목표 위치의 가이드 정보에 따라 차체를 이동시키고, 차체를 후진시킬 때에는, 리어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지면 상에 표시된 세 번째와 네 번째의 목표 위치의 가이드 정보에 따라 차체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정보와 상기 지표가 상이한 표시 색으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니터에서의 표시 색으로부터 가이드 정보와 지표를 구별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차체 앞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운전 좌석의 전방 부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차체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어계의 블럭 회로도이다.
도 6은 차체를 주차 위치에 도입하는 진로와 가이드 정보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주차 위치를 모니터에 표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주차 위치를 설정할 때의 모니터의 표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최초의 가이드 정보를 표시한 모니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최초의 가이드 정보와 지표의 중복 상태를 표시한 모니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두 번째의 가이드 정보와 지표의 중복 상태를 표시한 모니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세 번째의 가이드 정보를 표시한 모니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세 번째의 가이드 정보와 지표의 중복 상태를 표시한 모니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주차 지원 처리의 순서도이다.
도 15는 보조 제어 루틴의 순서도이다.
도 16은 보정 제어 시의 목표 속도와 변속에 의한 속도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보정 제어 시의 목표 속도와 변속에 의한 속도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보정 제어 시의 목표 속도와 제동에 의한 속도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초기의 진로와 새롭게 설정된 진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향 차륜(앞 차륜) 4 : 스티어링 휠
7 : 액셀 조작 부재(액셀 페달) 8 : 브레이크 페달
10 : 모니터 11 : 스피커
12 : 카메라(프론트 카메라) 13 : 카메라(리어 카메라)
15 : 스티어링 센서 17 : 브레이크 센서
20 : 지원 정보 출력 수단(제어 유닛)
31 : 보조 제어 수단 32 : 진로 갱신 수단
B : 차체 C : 진로
G : 가이드 정보 H : 지표
P : 주차 위치 T : 속도 설정 유닛(변속 기구)
PS : 스티어링 유닛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 차륜(1)(조향 차륜의 일례) 및 뒷 차륜(2)을 가지는 차체(B)의 룸 내에 운전 좌석(3)과 스티어링 휠(4)을 구비하고, 그 앞 부분에 계기판 등을 가지는 패널(5)을 배치하고, 상기 운전 좌석(3)의 측부에 변속을 행하는 시프트 레버(6)를 배치하여 자동차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티어링 휠(4)은 회전 조작력을 앞 차륜(1)에 전달하여 구동 조향을 행하는 파워 스티어링 유닛(PS)과 연동하고 있다. 차체 앞 부분에는 엔진(E)과, 이 엔진(E)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앞 차륜(1)에 전달하기 위해 토크 컨버터나 CVT 등으로 이루어진 변속 기구(T)(속도 설정 유닛의 일례)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운전 좌석(3)의 근처에는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액셀 조작 부재로서의 액셀 페달(7)과, 앞 차륜(1)과 뒷 차륜(2)의 브레이크 장치(BK)를 조작하여 앞 차륜(1), 뒷 차륜(2)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브레이크 페달(8)을 병렬 배치하고 있다.
상기 운전 좌석(3) 근처의 콘솔 상부 위치에는 표시면에 터치 패널(10T)을 형성한 모니터(10)를 구비하고, 이 모니터(10)의 케이스에 스피커(11)를 구비한다(상기 스피커(11)로서 패널(5)에 구비한 것이나, 도어의 내측에 구비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차체(B)의 전단에 프론트 카메라(12)를 구비하고, 차체(B)의 후단에 리어 카메라(13)를 구비한다. 상기 모니터(10)는 백라이트를 구비한 액정 방식의 것이지만, 플라즈마 표시형의 것이나 CRT 형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터치 패널(10T)은 감압 방식의 것이나 정전(靜電) 방식의 것이 사용되고, 손가락 등의 접촉 위치를 로케이트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10)는 GPS 형의 내비게이터로서 이용되는 것을 겸용하여도 좋다.
상기 프론트 카메라(12)와 리어 카메라(13)는 CCD 형의 촬상 소자를 내장함과 동시에, 촬영한 정보를 동화상 정보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카메라(12)는 차체(B)의 전방 지면을 주요한 촬영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고, 리어 카메라(13)는 차체(B)의 후방 지면을 주요한 촬영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카메라는 실시간으로 동화상을 출력하는 성능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스티어링 휠(4)의 조작계에는 스티어링 조작 방향과 조작량을 계측하는 스티어링 센서(14)를 구비하고, 상기 시프트 레버(6)의 조작계에는 시프트 위치를 판별하는 시프트 위치 센서(15)를 구비한다. 상기 액셀 페달(7)의 조작계에는 조작량을 계측하는 액셀 센서(16)를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8)의 조작계에는 조작의 유무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17)를 구비한다.
상기 변속 기구(T)에는 구동계의 회전량으로부터 차체(B)의 이동량을 계측하는 이동 거리 센서(18)를 구비한다. 또한, 이 이동 거리 센서(18)로서, 앞 차륜(1)과 뒷 차륜(2)의 적어도 한 쪽의 회전량을 계측하는 포토 인터럽터 형이나 픽업 형의 센서를 이용해도 좋다. 그리고, 차체(B)의 중앙부에는 주행 제어를 행하는 ECU로서 제어 유닛(20)(지원 정보 출력 수단의 일례)을 배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지원 정보 출력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제어 유닛(20)에 대한 정보의 입출력계를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이 제어 유닛(20)은, 상기 터치 패널(10T), 프론트 카메라(12), 리어 카메라(13), 스티어링 센서(14), 시프트 위치 센서(15), 액셀 센서(16), 브레이크 센서(17), 이동 거리 센서(18)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계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모니터(10), 스피커(11), 상기 파워 스티어링 유닛(PS), 변속 기구(T), 브레이크 장치(BK)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계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어 유닛(20)은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입출력 인터페이스(21)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CPU)를 구비한다.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CPU)의 데이터 버스에 대하여 반도체 메모리(22), 화상 처리 수단(23), 주차 위치 설정 수단(24), 진로 설정 수단(25), 목표 위치 설정 수단(26), 진로 정보 표시 수단(27), 가이던스 출력 수단(28), 중복 판정 수단(29), 진로 판정 수단(30), 보조 제어 수단(31), 진로 갱신 수단(32)의 각각을 접속하고 있다. 이 제어계에서는, 데이터 버스 외에 컨트롤 버스나 어드레스 버스 등을 필요로 하는 것이지만,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 도면에는 컨트롤 버스나 어드레스 버스, 또는 인터페이스 종류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상기 화상 처리 수단(23)은 상기 프론트 카메라(12) 또는 리어 카메라(13)로부터의 화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모니터(10)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주차 영역(45)(도 8 참조), 바 형상(라인 형상)의 가이드 정보(G)(후술하는 복수의 가이드 정보의 상위 개념, 도 6 참조), 바 형상의 가이드 정보(G)만 들어갈 정도의 크기인 장방(長方) 형상의 박스로 도시되는 지표(H) 등을 합성하여 모니터(10)에 표시한다. 상기 주차 위치 설정 수단(24)은 상기 터치 패널(10T)에 대한 인위적인 조작 또는 차체의 이동에 기초하여 주차 위치(P)를 설정한다. 상기 진로 설정 수단(25)은 상기 주차 위치(P)와 차체(B)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차체(B)를 주차 위치(P)에 도입하는 진로(C)를 구한다. 상기 목표 위치 설정 수단(26)은 상기 진로(C)의 중간에 복수의 목표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진로 정보 표시 수단(27)은 상기 목표 위치에 대응한 가이드 정보(G)와 상기 지표(G) 등의 차체(B)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를 모니터(10)에 표시한다.
상기 가이던스 출력 수단(28)은 차체(B)를 진로(C)에 따라 이동시키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중복 판정 수단(29)은 상기 가이드 정보(G)와 지표(H)가 모니터(10)에서 중복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진로 판정 수단(30)은 상기 이동 거리 센서(18)와 상기 스티어링 센서(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차체(B)와 진로(C)의 위치 관계를 판별한다. 보조 제어 수단(31)은 차체(B)를 주차 위치(P)에 도입할 때의 운전자의 운전 조작을 적절한 방향으로 수정하는 제어를 행한다. 상기 진로 갱신 수단(32)은 정차 시에 가이드 정보(G)와 지표(H)의 위치 관계로부터 진로(C)와 차체(B)의 오차의 값을 구하고, 이 오차가 설정값을 초과한 경우에 현재의 정차 위치에 있는 차체(B)를 상기 주차 위치(P)에 도입하기 위한 진로를 새롭게 구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하는 처리계에 의해 본 발명의 주차 지원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 처리 수단(23), 주차 위치 설정 수단(24), 진로 설정 수단(25), 목표 위치 설정 수단(26), 진로 정보 표시 수단(27), 가이던스 출력 수단(28), 중복 판정 수단(29), 진로 판정 수단(30), 보조 제어 수단(31), 진로 갱신 수단(32)의 각각은 상기 반도체 메모리(22) 등에 전개되는 소프트웨어를 상정하고 있지만, 로직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것이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 차체(B)를 주차 위치(P)(도 7, 도 8 참조)에 주차할 때에는, 상기 모니터(10)에 주차 위치(P)를 표시하는 위치(상기 프론트 카메라(12)에 의해 촬영하는 위치)에서 차체(B)를 정차하고, 다음으로, 모니터(10)에서 운전자가 주차 위치(P)를 특정함으로써, 상기 제어 유닛(20)이 차체(B)의 현재 위치와 주차 위치(P)의 위치 관계를 구하여 주차 위치(P)로 차체(B)를 도입하기 위한 최적의 진로(C)를 산출하고, 이 진로(C)에 따라 차체(B)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원 정보를 모니터(10)에 표시한다. 운전자는 모니터(10)에 표시되는 지원 정보나 스피커(11)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메시지에 따라 차체(B)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차체를 진로(C)에 따라 이동시켜서 주차 위치(P)로의 주차를 실현한다.
상기 제어 유닛(20)은 차체(B)를 주차 위치(P)에 도입할 때, 운전자의 조작이 부적절한 경우에는 적절한 조작을 행하도록 하기 위한 보조적인 제어를 자동적으로 행하고, 도입 도중에 차체(B)가 부적절한 위치에 정차한 경우에는, 그 위치의 차체(B)를 주차 위치(P)에 대하여 도입하기 위한 진로를 새롭게 구하여 갱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 유닛(20)에 의한 처리의 개요를 도 14의 순서도와 같이 도 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고 진입을 예로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10)에 주차 위치(P)가 표시되는 위치에서 차체(B)를 정차시킨다. 이 상태에서 모니터(10)에는 차고 진입 버턴(41)과, 종렬 주차 버턴(42)과, 중지 버턴(43)이 표시되고, 운전자가 차고 진입 버턴(41)에 손가락을 접촉시킴으로써, 차고 진입 모드가 선택된다(#101 단계). 주차 지원을 중지할 경우에는 중지 버턴(43)에 손가락을 접촉시키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차 지원 장치에서는, 차체(B)의 정차 자세와 평행하는 자세에서 주차 위치(P)에 차체(B)를 도입하는 모드를 종렬 주차라고 칭하고, 차체(B)의 정차 자세와 직교하는 자세에서 주차 위치에 차체(B)를 도입하는 모드를 차고 진입이라고 칭하고 있다. 또한, 종렬 주차 버턴(42)을 조작한 경우에도, 주차 위치(P)에 대하여 차체(B)를 도입하기 위한 진로(C)가 설정되고, 후술하는 차고 진입 모드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모니터(10)에 지원 정보가 표시되고, 스피커(11)로부터 지원 정보로서의 메시지가 출력되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고 진입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고 진입 모드가 선택된 후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커서 버턴(44)과, 주차 위치(P)를 특정하는 박스 형상의 주차 영역(45)이 모니터(10)에 표시된다. 이 표시 상태에서 커서 버턴(44) 중의 어느 것인가에 운전자가 손가락을 접촉시킴으로써, 주차 영역(45)을 모니터(10) 상에서 주차 위치(P)까지 이동시키고, 주차 영역(45)을 적절한 위치에 설정한 상태에서 결정 버턴(46)을 조작함으로써 주차 영역(45)의 위치가 고정되고, 이 주차 영역(45)으로 둘러싸인 위치가 주차 위치(P)로서 설정된다(#102 단계). 이 처리는 상기 주차 위치 설정 수단(24)이 실행하는 것이며, 상기 주차 영역(45)의 사이즈는 차체(B)의 전체 길이, 전체 폭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커서 버턴(44)과 주차 영역(45)은 화상 처리 수단(23)이 모니터(10)에 표시한다.
상기 프론트 카메라(12)는 촬상 렌즈(도시하지 않음)에 광각 렌즈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원근감이 과장되고, 직선 형상의 것이 구부러져서 표시되는 것이지만, 이 프론트 카메라(12)에 사용된 촬상 렌즈는 고정 초점이며, 촬영 방향이 차체(B)에 고정되고, 촬영된 지면의 레벨이 앞 차륜(1), 뒷 차륜(2)의 각각의 접지 레벨과 일치하기 때문에, 모니터(10)에 표시된 지면의 특정한 위치와 차체(B)의 상대 거리는 화상 위치에 의해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상기 화상 처리 수단(23)에 대하여 모니터(10)의 표시 장치와 차체(B)로부터의 거리를 취득하기 위한 테이블 데이터나 파라미터 등을 설정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 영역(45)을 이동시킨 때의 표시 형태를 촬상 렌즈에 의한 원근감과 정합하도록 변형시킴과 동시에, 차체(B)를 기준으로 한 주차 위치(P)(주차 영역(45))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또한, 주차 위치(P)와 차체(B)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나 거리를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취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리어 카메라(13)도 프론트 카메라(12)와 동등한 성능을 가진 것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커서에 의한 설정 뿐만 아니라, 차체(B)를 이동시킴으로써 주차 영역(45)과 주차 위치를 맞추어도 좋다.
다음으로, 현재의 차체(B)의 정차 위치와 주차 위치(P)의 상대 거리를 취득한 후에,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체(B)를 주차 위치(P)에 도입하기 위해 도 6에 도시하는 진로(C)를 산출하고(#103 단계), 진로(C) 상에 목표 위치를 설정하고, 각각의 목표 위치에서의 차체(B)의 자세를 산출한다(#104 단계). 이러한 처리는 상기 진로 설정 수단(25)이 실행하는 것이며, 이 진로 설정 수단(25)은 차체(B)의 전체 길이, 전체 폭, 휠 베이스, 선회 특성 등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의 차체(B)의 위치와 주차 위치(P)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나 거리로부터, 차체(B)를 주차 위치(P)에 도입하기 위해 최적인 진로(C)를 연산에 의해 산출한다. 또한, 진로(C)는 뒷 차륜 축의 중심이 이동하는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산출한 진로(C)를 조감하면 도 6에 도시하는 형태로 되고, 이 진로(C) 상에 4개의 목표 위치가 설정되고, 이 4개의 목표 위치에 대하여 가이드 정보(G1 ~ G4)가 설정된다. 또한, 이 가이드 정보(G) 중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가이드 정보(G1, G2)는 차체(B)의 전진 시에 프론트 카메라(12)에 의해 촬영한 지면 상에 표시되고, 세 번째와 네 번째의 가이드 정보(G3, G4)는 리어 카메라(13)에 의해 촬영한 지면 상에 표시된다.
상기 가이드 정보(G1 ~ G4)는 라인 형상이며, 이 가이드 정보(G1 ~ G4)의 라인의 길이 방향을 차체(B)의 횡폭(좌우) 방향과 일치시키고 있다. 이 가이드 정보(G1 ~ G4) 중에서, G1, G2는 모니터(10) 상에서 차체(B)의 전단과 일치시키고, G3, G4는 모니터(10) 상에서 차체(B)의 후단과 일치시키도록, 모니터(10)에 표시된 지표(H)에 중복시켜서 차체(B)를 정차시킴으로써 차체(B)가 적절한 정차 위치에서 적절한 자세로 된다.
이러한 처리가 종료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표 위치에 대응한 최 초(첫 번째)의 가이드 정보(G1)가 모니터(10)의 지면 상에 적색으로 표시됨과 동시에, 모니터(10)의 하단 위치(차체(B)에 가장 근접한 측)에, 가이드 정보(G1)를 둘러싸도록 차체(B)의 횡폭 방향으로 긴 형상이 되는 황색의 박스 형상의 지표(H)가 표시된다(#105 단계). 이 처리는 상기 목표 위치 설정 수단(26)이 생성한 가이드 정보(G)를 상기 화상 처리 수단(23)이 프론트 카메라(12)로부터의 화상에 합성하는 처리에 의해 실현한다. 또한, 가이드 정보(G1)와 지표(H)의 표시 색은 상이한 것이라면, 전술한 색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정보(G)는 모니터(10)의 지면 상에 표시되고, 이 가이드 정보(G)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차체(B)가 이동할 때에는, 모니터(10)에 표시된 지면 상의 가이드 정보(G)가 지면과 함께 차체(B)에 접근하는 형태로 표시될 필요가 있으며, 이 처리는 상기 화상 처리 수단(23)이 실현한다.
상기 모니터(10)에는 진로 표시 버턴(47)이 표시된다. 이 진로 표시 버턴(47)을 운전자가 조작한 경우에는, 동 도면에 도시하는 진로(C)가 적색으로 지면 상에 표시된다(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진로(C)는 표시되지 않음). 또한, 이 처리에서는, 「적색 라인 형상의 표시가 황색 박스 내에 들어갈 때까지 이동하여 주십시오」라는 음성에 의한 메시지를 스피커(11)로부터 출력한다(#106 단계). 이러한 처리는 상기 가이던스 출력 수단(28)이 실행하는 것이지만, 음성에 의한 메시지의 출력과 동시에, 메시지를 모니터(10)에 표시하도록 출력 형태를 설정하여도 좋다.
이 후, 메시지에 따라 차체(B)를 이동시킴으로써, 이 이동 방향이 상기 시프트 위치 센서(15)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판별되고, 상기 스티어링 센서(14)에 의해 스티어링 양이 취득되고, 상기 이동 거리 센서(18)에 의해 차체(B)의 이동 거리가 취득된다. 이와 같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로 판정 수단(30)이 상기 진로(C)에 따라 차체(B)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판단을 행한다. 이 판단의 결과, 상기 보조 제어 수단(31)이 상기 변속 기구(T), 파워 스티어링 유닛(PS), 브레이크 장치(BK)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차체(B)가 적절한 진로(C)에 근접한 위치를 주행하는 보조 제어가 행해진다(#200 단계).
상기 #200 단계는 보조 제어 루틴(서브루틴)으로서 설정된 것이며, 이 보조 제어 루틴에서는, 스티어링 센서(14)로부터의 신호와 차체(B)의 현재 위치에서의 목표 스티어링 각을 비교하고, 스티어링 각이 목표로 하는 스티어링 각을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 각도 영역(불감대(不感帶))보다 작을 경우 또는 클 경우에는, 제어 유닛(20)이 목표 스티어링 각의 방향으로 파워 스티어링 유닛(PS)을 작동시키는 보정 제어를 행함으로써 적절한 스티어링 각에 근사하는 스티어링을 실현한다. 또한, 스티어링 각이 목표로 하는 스티어링 각을 기준으로 설정한 기준 영역 내에 있을 경우에는 보정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201 ~ #204 단계).
또한, 차체(B)의 주행 속도를 취득하고, 차체(B)의 현재 위치에서의 목표 속도와 비교하고, 차체(B)의 주행 속도가 차체(B)의 현재 위치에서의 목표 속도를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 속도 영역(불감대)보다 고속일 경우 또는 저속일 경우에는, 제어 유닛(20)이 상기 변속 기구(T)를 제어하여 목표 속도의 방향으로 변속하는 보정 제어를 행함으로써 적절한 주행 속도를 얻는다. 또한, 차체(B)의 주행 속도가 차체(B)의 현재 위치에서의 기준 속도 영역 내에 있을 경우에는 보정 제어는 행하지 않는다(#205 ~ #208 단계).
이 속도 제어를 행할 때의 속도 변화를 도 16의 그래프와 같이 도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목표 위치(가이드 정보(G))의 위치에 근접할수록 매끄럽게 속도를 저하시키는 목표 속도(Vx)가 설정되고, 보정 제어를 행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속도(Vb)로 될 경우에도, 목표 속도(Vx)를 따르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속도(Va)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목표 위치에 근접할수록 줄어들어서 목표 위치에서 차속을 「0」으로 한다. 즉, 목표 위치에서 정차시키도록 제어 형태를 설정하여 두고, 이와 같이 속도 제어를 행할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제어함으로써 차체(B)의 주행 속도를 목표 속도로 유지한다. 또한, 액셀 페달(7)의 조작에 우선하여 엔진(E)의 회전수와 변속 기구(T) 중의 적어도 한 쪽을 제어함으로써, 차체(B)의 주행 속도를 목표 속도로 유지하는 제어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속도 제어를 대신하여 도 17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제어에서는, 목표 위치(가이드 정보(G))의 위치에 근접할수록 단계적으로 속도를 저하시키는 목표 속도(Vx)가 설정되고, 보정 제어를 행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속도(Vb)로 될 경우에도, 목표 속도(Vx)를 따르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속도(Va)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목표 위치에 근접할수록 줄어든다. 즉, 목표 위치에서 정차시키도록 제어 형태를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으로, 차체(B)의 현재 위치와 주행 속도를 취득하고, 이 차체(B)의 현재 위치와 목표 속도를 비교하고, 브레이크 페달(8)이 조작 상태에 있음을 브레이크 센서(1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판별하고, 또한, 차체(B)와 목표 위치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된 기준 속도 영역(불감대)보다 고속일 경우에는, 제어 유닛(20)이 브레이크 장치(BK)를 제동 조작하는 보정 제어에 의해, 차체(B)와 목표 위치의 상대 위치에 기초한 제동력을 작용시켜서 적절한 주행 속도를 얻는다. 또한, 차체(B)와 목표 위치의 상대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된 속도보다 저속일 경우에는, 보정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209 ~ #213 단계).
이 제동 제어를 행할 때의 속도 변화를 도 18의 그래프와 같이 도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목표 위치(가이드 정보(G))의 위치에 근접할수록 속도를 저하시키는 목표 속도(Vx)가 설정되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8)을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 있고, 속도가 목표 속도(Vx)를 초과하고 있는 상황에서, 보정 제어를 행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속도(Vb)로 될 경우에도, 적절한 제동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목표 위치에서 속도를 「0」으로 한다. 즉, 목표 위치에서 정차시키도록 제어 형태를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보정 제어를 행할 경우, 음성에 의해 적절한 조작을 행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모니터(10)에 메시지를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차체(B)를 최초의 가이드 정보(G1)로 이동시킬 때에 보조 제어 루틴(#200 단계)을 실행하는 처리 형태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 보조 제어 루틴은 주차 위치(P)에 도입하기 위해 차체(B)를 이동할 때에는 항상 실행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차체(B)를 전진시키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의 가이드 정보(G1)를 지표(H)에 의해 둘러싸는 위치(중복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정차시킴으로써, 지표(H)에 의해 둘러싸인 가이드 정보(G1)가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 변 경된 후, 모니터(10)로부터 소거되고, 다음(두 번째)의 가이드 정보(G2)가 새롭게 모니터(10)에 표시되고, 또한, 「좌측으로 최대로 핸들을 조작하여 적색 라인 형상의 표시가 황색 박스 내에 들어갈 때까지 이동하여 주십시오」라는 음성에 의한 메시지를 스피커(11)로부터 출력한다(이 메시지를 모니터(10)에 표시하여도 좋다)(#107 ~ #112 단계). 또한, 차체(B)가 정차한 때에는 가이드 정보(G1)와 지표(H)의 상대 위치 관계로부터 오차를 구하고, 이 오차가 목표 주차 위치에 대한 영향이 적어지도록,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새롭게 진로를 구하고, 다음으로 목표 위치를 갱신한다(#111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정보(G)와 지표(H)의 중복에 대한 판정은, 차체(B)의 이동 거리 등과 진행 방향으로부터 상시 상대 위치를 연산하여 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프론트 카메라(12)의 화상 상에 가이드 선(G1)의 묘화나 소거를 행한다. 가이드 정보(G1)의 소거와 가이드 정보(G2)의 새로운 표시는 상기 가이던스 출력 수단(28)이 행한다. 또한, 도 10에서는, 모니터(10)에서 가이드 정보(G1)와 지표(H)가 일치한 상태에서, 진로(C)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들은 동시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표시의 순서로서는, 가이드 정보(G1)와 지표(H)가 일치한 후에 가이드 정보(G1)가 소거되고, 이 소거의 직후에 진로(C)가 표시된다. 이 표시의 순서는 후술하는 도 11, 도 13에서도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107 ~ #112 단계에 기초한 처리가 최후(네 번째)의 가이드 정보(G4)를 지표(H)에 의해 둘러싸도록 차체(B)를 이동시킬 때까지 계속한다. 이 연속한 처리에 있어서의 모니터(10)의 표시 내용을 도 10 ~ 도 13과 같이 도시하여 두고, 이 처리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즉, 상기 두 번째의 가이드 정보(G2)가 표시된 후, 이 두 번째의 가이드 정보(G2)를 지표(H)에 의해 둘러싸는 위치(중복하는 위치)까지 차체(B)를 이동시켜서 정차한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표(H)에 의해 둘러싸인 가이드 정보(G2)가 적색으로부터 녹색으로 변경된 후 모니터(10)로부터 소거되고,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를 후진으로 세트하여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스피커(11)로부터 출력한다(이와 동시에 메시지를 모니터(10)에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시프트 레버(6)를 후진 위치에 세트함으로써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카메라(13)로부터의 화상이 모니터(10)에 표시되고, 이 모니터(10)에 대하여 다음(세 번째)의 가이드 정보(G3)가 표시되고, 「우측으로 최대로 핸들을 조작하여, 적색 라인 형상의 표시가 황색 박스 내에 들어갈 때까지 이동하여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스피커(11)로부터 출력한다(이와 동시에 메시지를 모니터(10)에 표시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메시지에 따라 스티어링 휠(4)을 조작하면서 차체(B)를 후진시킴으로써,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10)에 표시된 다음의 가이드 정보(G3)를 지표(H)에 의해 둘러싸는 위치(중복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이 타이밍에서 차체(B)를 정차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체(B)를 정차시킨 경우에는, 「핸들을 직진으로 되돌려서 적색 라인 형상의 표시가 황색 박스 내에 들어갈 때까지 이동하여 주십시오」라는 메시지를 스피커(11)로부터 출력한다(이와 동시에 메시지를 모니터(10)에 표시하여도 좋다).
메시지에 따라 스티어링 휠(4)을 조작하여 차체(B)를 후진시킴으로써, 모니터(10)에 표시된 최후(네 번째)의 가이드 정보(G4)를 지표(H)에 의해 둘러싸는 위치(중복하는 위치)에 도달한다(도시하지 않음). 이와 같이 최후의 가이드 정보(G4)와 지표(H)를 중복시킨 경우에는, 「주차 완료입니다」라는 메시지를 스피커(11)로부터 출력하고(이와 동시에 메시지를 모니터(10)에 표시하여도 좋다), 주차가 종료된다. 또한, 이와 같이 주차가 완료되면, 차체(B)는 모니터(10)에 표시된 주차 영역(45) 내에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체(B)를 주차 위치(P)에 도입하는 도중에 있어서, 운전자가 부적절한 조작을 행함으로써, 부적절한 위치에서 차체(B)를 정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부적절한 위치에 차체(B)를 정차시킨 경우에는, 진로 갱신 수단(32)이 전술한 #111 단계에서 도시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새로운 진로(C)를 구하고, 이 진로(C)에 대하여 새롭게 목표 위치를 설정한다.
구체적인 예를 열거하면, 예를 들어, 브레이크 페달(8)의 조작이 지연된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의 가이드 정보(G1)의 위치를 약간 통과한 위치에서 차체(B)가 정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가이드 정보(G)와 지표(H)의 위치 오차와, 차체(B)의 자세 오차를 화상 처리에 의해 파악함으로써, 적절한 진로(C)를 대신하여 새롭게 진로(C')를 구하고, 이 진로(C')에 대하여 새롭게 목표 위치를 설정하고, 이 목표 위치에 대응하여 가이드 위치(G2', G3')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새로운 가이드 위치(G2', G3')에 대해서도 필요한 경우에는 메시지가 제공된다. 따라서, 차체(B)를 주차 위치에 도입할 때, 부적절한 위치에 차체(B) 를 정차시켜도, 이 후, 모니터(10)에 표시되는 정보와, 스피커(11)로부터 출력되는 메시지에 따라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차체(B)를 주차 위치(P)에 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 카메라(12)에서 촬영한 화상이 표시되는 모니터(10)에서, 운전자가 주차 위치(P)를 특정하는 조작을 행하고, 주차 모드를 선택한 후에는, 차체(B)를 주차 위치(P)에 도입시키는 진로(C)가 자동적으로 구해지고, 그 진로(C) 상에 복수의 목표 위치와, 이 목표 위치에서의 차체(B)의 자세가 설정된다. 그리고, 차체(B)를 주차 위치(P)에 도입할 때에는, 복수의 목표 위치가 설정되어 있어도, 차체(B)의 이동 목표로 하는 목표 위치에 대응하여 라인 형상의 가이드 정보(G)만이 모니터(10)의 지면 상에 표시됨과 동시에, 모니터(10)에 박스 형상의 지표(H)가 표시되고, 차체(B)의 이동에 필요한 메시지가 음성이나 문자 정보로서 출력되므로, 운전자는 메시지에 따라 라인 형상의 가이드 정보(G)를 박스 형상의 지표(H)에 의해 둘러싸는 위치(중복하는 위치)까지 차체(B)를 이동시키는 단순한 조작 형태에 의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라인 형상의 가이드 정보(G)를 박스 형상의 지표(H)에 의해 둘러싸는 위치(중복하는 위치)까지 차체(B)를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모니터(10)에 대하여 새롭게 가이드 정보(G)가 표시되므로, 잘못된 목표를 인식하는 문제를 회피하면서 차체(B)를 적절한 진로(C)에 따라 이동시키고, 주차 위치(P)에 도입할 수 있다. 특히, 차체(B)를 주차 위치(P)에 도입할 때에는, 스티어링 조작, 액셀 조작, 브레이크 조작이 다소 부적절하더라도, 보정 제어에 의해 차체(B)를 진 로(C)로부터 크게 벗어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차체(B)가 진로(C)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도, 차체(B)를 정차시킨 때에 새롭게 진로(C')를 구하고, 이와 같이 구해진 진로(C')에 대응한 가이드 정보를 모니터(10)에 표시함으로써, 차체(B)를 적절하게 주차 위치(P)에 도입할 수 있다.
이 주차 지원 장치는 차체 사이즈에 구속되지 않고 주차 지원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대형 트럭과 같이 후방의 확인이 곤란한 구조의 자동차에 이용된 경우에는 원활한 조작으로 주차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좌석의 근처에 구비한 모니터 외에, 예를 들어, 차체를 후진시킬 때에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운전 좌석의 뒤쪽에 보조 모니터를 구비하고, 이 보조 모니터에도 모니터와 동일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더욱 정밀도 높은 주차 지원을 실현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Claims (10)

  1. 차체에 구비한 카메라의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주차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 정보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주차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전방을 촬상하고, 상기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은, 미리 설정된 주차 위치에 차체를 도입하기 위한 진로를 구하고, 이 진로 상에 목표 위치를 설정하고, 전진 시에 이 목표 위치에 대응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된 지면 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차체의 현재 위치에 대응한 지표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고,
    상기 차체를 정차 위치까지 이동시킬 때, 상기 가이드 정보의 위치까지 상기 지표를 유도하도록 운전자의 운전 조작을 보조하는 보조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은,
    상기 가이드 정보와 지표의 위치 관계, 또는 상기 목표 위치와 차체의 위치 관계로부터 상기 진로와 차체의 위치 오차를 구하고, 이 위치 오차에 기초하여 차체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주차 위치에 도입하기 위한 진로를 새롭게 구하는 진로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기초하여 차체의 조향 차륜을 구동 조향하는 스티어링 유닛과, 상기 조향 차륜의 조향각을 계측하는 스티어링 센서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제어 수단은, 스티어링 센서로부터의 조향각이 상기 진로에 기초하여 설정된 목표값과 상이할 경우에는, 상기 스티어링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조향 차륜의 조향각을 적절한 방향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차체의 차륜에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브레이크 유닛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을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제어 수단은, 브레이크 페달이 조작 상태에 있음을 상기 브레이크 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상황에서, 상기 진로에 설정된 정차 위치로 상기 차체가 접근한 경우, 상기 브레이크 유닛을 제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셀 조작 부재의 조작에 기초하여 차체의 주행 속도를 설정하는 속도 설정 유닛과, 상기 액셀 조작 부재의 조작량을 계측하는 액셀 센서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 제어 수단은, 상기 진로에 설정된 정차 위치로 상기 차체가 접근한 경우, 상기 속도 설정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액셀 조작 부재에 의해 설정된 주행 속도보다 차체의 주행 속도를 저속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가 바(bar) 형상으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고, 상기 지표가 상기 가이드 정보에 들어가는 장방 형상의 박스로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이 상기 진로의 중간에 복수의 목표 위치를 설정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정보 출력 수단이 정차 자세와 직교하는 자세에서 주차 위치에 차체를 도입하는 차고 진입을 지원할 경우에는, 상기 진로 상에 4개의 목표 위치를 설정하고, 이 4개의 목표 위치에 대하여 가이드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차체의 전단에 설치된 프론트 카메라와, 상기 차체의 후단에 설치된 리어 카메라로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목표 위치 중 첫 번째와 두 번째에 설정된 가이드 정보는 상기 차체의 전진 시에 상기 프론트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지면 상에 표시되고, 상기 4개의 목표 위치 중 세 번째와 네 번째에 설정된 가이드 정보는 상기 차체의 후진 시에 상기 리어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지면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와 상기 지표가 상이한 표시 색으로 상기 모니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
KR1020087014429A 2005-11-16 2006-11-16 주차 지원 장치 KR101155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31565A JP4414959B2 (ja) 2005-11-16 2005-11-16 駐車支援装置
JPJP-P-2005-00331565 2005-11-16
PCT/JP2006/322835 WO2007058246A1 (ja) 2005-11-16 2006-11-16 駐車支援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550A Division KR20100134803A (ko) 2005-11-16 2006-11-16 주차 지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950A true KR20080076950A (ko) 2008-08-20
KR101155725B1 KR101155725B1 (ko) 2012-06-12

Family

ID=380486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550A KR20100134803A (ko) 2005-11-16 2006-11-16 주차 지원 장치
KR1020087014429A KR101155725B1 (ko) 2005-11-16 2006-11-16 주차 지원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550A KR20100134803A (ko) 2005-11-16 2006-11-16 주차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25828B2 (ko)
EP (1) EP1950097B1 (ko)
JP (1) JP4414959B2 (ko)
KR (2) KR20100134803A (ko)
CN (1) CN101360632B (ko)
DE (1) DE602006016156D1 (ko)
WO (1) WO2007058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5782B2 (ja) * 2006-11-07 2013-01-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US7676310B2 (en) * 2006-11-30 2010-03-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vehicle steering system
JP4635017B2 (ja) * 2007-02-22 2011-02-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4609444B2 (ja) 2007-03-08 2011-0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5088074B2 (ja) 2007-10-01 2012-12-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及び方法
JP5380941B2 (ja) 2007-10-01 2014-01-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及び方法
DE102008003662A1 (de) * 2008-01-09 2009-07-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der Umgebung eines Fahrzeugs
US7804425B2 (en) * 2008-05-20 2010-09-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king assist system
JP5429514B2 (ja) * 2008-06-03 2014-02-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2010016805A (ja) * 2008-06-04 2010-01-21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4900326B2 (ja) * 2008-06-10 2012-03-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JP2010064546A (ja) * 2008-09-09 2010-03-25 Toyota Industries Corp 駐車支援装置
KR101244514B1 (ko) * 2008-09-12 2013-03-18 주식회사 만도 평행 주차 경로 생성 방법 및 주차 보조 장치
JP5380994B2 (ja) * 2008-10-10 2014-01-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JP2010095027A (ja) * 2008-10-14 2010-04-30 Toyota Motor Corp 駐車支援装置
TW201016506A (en) * 2008-10-21 2010-05-01 Automotive Res & Testing Ct Parking guidance system and guidance method thereof
CN102216821A (zh) 2008-11-21 2011-10-12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光纤的末端处理方法和末端处理部件
DE102010018158B4 (de) * 2009-05-19 2020-10-08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nterstützten Einparken eines Kraftfahrzeugs
DE102009027547A1 (de) * 2009-07-08 2011-01-13 Robert Bosch Gmbh Assisten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WO2011014482A1 (en) * 2009-07-27 2011-02-03 Magna Electronics Inc. Parking assist system
DE102009028261A1 (de) * 2009-08-05 2011-02-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ung zur Kalibrierung einer automatisch lenkenden Einparkhilfe
DE102009040372A1 (de) * 2009-09-07 2011-03-1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s zumindest semi-autonomen Parkvorgangs eines Kraftfahrzeugs, Fahrerassistenz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mit einer Fahrerassistenzeinrichtung
CN102549630A (zh) * 2009-10-02 2012-07-04 三菱电机株式会社 停车支援装置
WO2011086684A1 (ja) * 2010-01-15 2011-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DE102010020204A1 (de) * 2010-05-12 2011-11-17 Volkswagen Ag Verfahren zum Einparken eines Fahrzeugs sowie entsprechendes Einparkassistenzsystem und Fahrzeug
JP5459553B2 (ja) * 2010-06-15 2014-04-0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5440867B2 (ja) 2010-06-18 2014-03-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US8665116B2 (en) 2010-07-18 2014-03-04 Ford Global Technologies Parking assist overlay with variable brightness intensity
JP5212748B2 (ja) 2010-09-29 2013-06-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5834463B2 (ja) * 2011-04-21 2015-12-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トルク制御装置及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101803973B1 (ko) * 2011-05-09 2017-1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주차용 카메라 시스템과 그의 구동 방법
CN103796879B (zh) * 2011-08-12 2017-03-2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停车支援装置
CN102501801A (zh) * 2011-11-04 2012-06-20 同致电子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影像半自动泊车辅助系统
US10470760B2 (en) 2011-12-08 2019-11-12 Ethicon, Inc. Modified tissue securement fibers
KR101316465B1 (ko) * 2012-06-29 2013-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6015314B2 (ja) * 2012-09-28 2016-10-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目標位置を算出する装置、駐車目標位置を算出す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56690B2 (en) * 2012-10-30 2017-05-23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using gestures in autonomous parking
EP2927080B1 (en) * 2012-11-27 2017-05-31 Nissan Motor Co., Ltd Vehicle acceleration-suppression device, and vehicle acceleration-suppression method
DE102013201677B4 (de) * 2013-02-01 2018-03-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stverfahren zur Regelung und/oder Steuerung einer Lenkhilfe für ein Lenksystem eines Fahrzeuges
US8988524B2 (en) * 2013-03-11 2015-03-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and using a predicted vehicle speed in an indirect vision driving task
KR102062923B1 (ko) * 2013-06-12 2020-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주차지원시스템
DE102014208917B4 (de) * 2013-07-02 2021-07-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euerung der Fahrzeuggeschwindigkeit während des Einparkens
KR20150042106A (ko) * 2013-10-10 2015-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장치
DE102014202324A1 (de) * 2014-02-10 2015-08-1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icheren Parken eines Fahrzeugs
CN103754219A (zh) * 2014-02-21 2014-04-30 重庆邮电大学 一种多传感器信息融合的自动泊车系统
US10328932B2 (en) 2014-06-02 2019-06-25 Magna Electronics Inc. Parking assist system with annotated map generation
JP6121379B2 (ja) * 2014-10-27 2017-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KR102327345B1 (ko) * 2015-07-14 2021-11-17 주식회사 만도모빌리티솔루션즈 주차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078789B2 (en) 2015-07-17 2018-09-18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parking assist system with vision-based parking space detection
AU2016402225B2 (en) 2016-04-04 2022-02-10 Topcon Positioning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gmented reality display on vehicle windscreen
US10974764B2 (en) 2016-04-15 2021-04-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arking assist device
KR101965834B1 (ko) * 2016-10-12 2019-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369988B2 (en) 2017-01-13 2019-08-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nomous parking of vehicles inperpendicular parking spots
US10683034B2 (en) 2017-06-06 2020-06-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mote parking systems and methods
US10614721B2 (en) 2017-06-08 2020-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ding parking assistance based on multiple external parking data sources
US10234868B2 (en) 2017-06-16 2019-03-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initiation of vehicle remote-parking
US10775781B2 (en) 2017-06-16 2020-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rface verification for vehicle remote park-assist
US10585430B2 (en) 2017-06-16 2020-03-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te park-assist authentication for vehicles
US10281921B2 (en) * 2017-10-02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nomous parking of vehicles in perpendicular parking spots
US10580304B2 (en) 2017-10-02 2020-03-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celerometer-based external sound monitoring for voice controlled autonomous parking
US10627811B2 (en) 2017-11-07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dio alerts for remote park-assist tethering
US10336320B2 (en) 2017-11-22 2019-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nitoring of communication for vehicle remote park-assist
US10578676B2 (en) 2017-11-28 2020-03-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monitoring of mobile device state-of-charge
CN108229386B (zh) * 2017-12-29 2021-12-1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检测车道线的方法、装置和介质
US10583830B2 (en) 2018-01-02 2020-03-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US10688918B2 (en) 2018-01-02 2020-06-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US10737690B2 (en) 2018-01-02 2020-08-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US10974717B2 (en) 2018-01-02 2021-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I.LC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US10585431B2 (en) 2018-01-02 2020-03-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US11148661B2 (en) 2018-01-02 2021-10-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US10814864B2 (en) 2018-01-02 2020-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tethering for a remote parking assist system of a vehicle
US10684773B2 (en) 2018-01-03 2020-06-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interface for trailer backup-assist
CN108216215A (zh) * 2018-01-10 2018-06-29 维森软件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辅助停车方法
US10747218B2 (en) 2018-01-12 2020-08-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tethering for remote parking assist
US10917748B2 (en) 2018-01-25 2021-0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tethering for vehicle systems based on variable time-of-flight and dead reckoning
US10684627B2 (en) 2018-02-06 2020-06-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celerometer-based external sound monitoring for position aware autonomous parking
US20210001837A1 (en) * 2018-02-14 2021-01-0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Parking assist device
US11188070B2 (en) 2018-02-19 2021-11-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itigating key fob unavailability for remote parking assist systems
US10507868B2 (en) 2018-02-22 2019-12-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ire pressure monitoring for vehicle park-assist
US10732622B2 (en) 2018-04-05 2020-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vanced user interaction features for remote park assist
US10759417B2 (en) 2018-04-09 2020-09-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put signal management for vehicle park-assist
US10683004B2 (en) 2018-04-09 2020-06-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put signal management for vehicle park-assist
US10493981B2 (en) 2018-04-09 2019-12-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put signal management for vehicle park-assist
US10793144B2 (en) 2018-04-09 2020-10-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mote park-assist communication counters
JP7028708B2 (ja) * 2018-04-27 2022-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US10384605B1 (en) 2018-09-04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pedestrian detection during remote-controlled maneuvers
US10717432B2 (en) 2018-09-13 2020-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k-assist based on vehicle door open positions
US10821972B2 (en) 2018-09-13 2020-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mote parking assist systems and methods
US10967851B2 (en) 2018-09-24 2021-04-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variable virtual boundary
US10529233B1 (en) 2018-09-24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nd method for detecting a parking space via a drone
US10908603B2 (en) 2018-10-08 2021-02-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remote-controlled maneuvers
US10628687B1 (en) 2018-10-12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rking spot identification for vehicle park-assist
US11097723B2 (en) 2018-10-17 2021-08-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User interfaces for vehicle remote park assist
US11137754B2 (en) 2018-10-24 2021-10-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rmittent delay mitigation for remote vehicle operation
DE102018132464B4 (de) * 2018-12-17 2020-07-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rkassistenzsystem zur Durchführung von automatisierten Manövern verschiedener vom System unterstützter Manövertypen mit einer Nutzerschnittstelle
US11789442B2 (en) 2019-02-07 2023-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omalous input detection
US11195344B2 (en) 2019-03-15 2021-1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phone BLE or CPU burden detection and notification
US11169517B2 (en) 2019-04-01 2021-11-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itiation of vehicle remote park-assist with key fob
US11275368B2 (en) 2019-04-01 2022-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ey fobs for vehicle remote park-assist
TWI786311B (zh) 2019-07-04 2022-12-1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行動載具輔助系統及其停車控制方法
EP4024318B1 (en) 2019-08-29 2024-01-31 NISSAN MOTOR Co., Ltd. Parking assistance method and parking assistance device
JP2021062727A (ja) * 2019-10-11 2021-04-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駐車支援方法及び駐車支援プログラム
JP6982053B2 (ja) * 2019-12-13 2021-1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駐車支援システム
JP7255744B2 (ja) * 2020-02-21 2023-04-11 株式会社デンソー 管制装置、駐車場システム及び位置精度算出方法
EP4137386A1 (en) * 2021-08-17 2023-02-2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isual guidance system for parking assistance
CN114655122A (zh) * 2022-03-31 2022-06-24 江苏理工学院 一种基于激光雷达的智能车辆避障与紧急制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2141A (en) * 1996-06-04 1998-04-21 Ford Motor Company Semi-autonomous parking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providing tactile feedback to a vehicle operator
JP2952816B2 (ja) * 1996-12-17 1999-09-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自動操舵装置
JPH11105686A (ja) 1997-10-07 1999-04-20 Nissan Motor Co Ltd 自動駐車装置
JP2000123297A (ja) * 1998-10-13 2000-04-28 Toyota Motor Corp 駐車支援装置
JP4057743B2 (ja) 1999-05-26 2008-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操舵装置
US7366595B1 (en) * 1999-06-25 2008-04-29 Seiko Epson Corporation Vehicle drive assist system
JP3736215B2 (ja) * 1999-07-21 2006-01-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操作制御装置
JP3395725B2 (ja) 1999-08-12 2003-04-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並列駐車時の操舵支援装置
US6611744B1 (en) * 1999-08-12 2003-08-26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teering assist apparatus for traveling in reverse
JP3427823B2 (ja) * 2000-02-29 2003-07-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縦列駐車時の車両後退支援装置
US6476730B2 (en) * 2000-02-29 2002-11-0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Assistant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in reverse motion
JP4491978B2 (ja) 2000-02-29 2010-06-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後退支援装置および後退支援方法
JP2002036991A (ja) * 2000-07-27 2002-02-06 Honda Motor Co Ltd 駐車支援装置
JP4615766B2 (ja) * 2000-12-15 2011-0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4918200B2 (ja) * 2001-04-24 2012-04-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駐車運転支援装置
JP2003011760A (ja) 2001-06-28 2003-01-15 Toyota Industries Corp 駐車支援装置
JP4108314B2 (ja) * 2001-10-31 2008-06-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周辺監視装置
JP2003191809A (ja) * 2001-12-26 2003-07-09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車輌周辺表示装置
JP3749483B2 (ja) * 2002-01-11 2006-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3899973B2 (ja) * 2002-03-25 2007-03-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装置付き車両
JP4342146B2 (ja) * 2002-04-08 2009-10-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補助装置
JP2004025942A (ja) 2002-06-21 2004-01-29 Equos Research Co Ltd 駐車操作支援装置
JP4234374B2 (ja) * 2002-08-21 2009-03-0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4078949B2 (ja) * 2002-10-25 2008-04-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4062052B2 (ja) * 2002-10-29 2008-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駐車支援装置
JP4200769B2 (ja) 2003-01-22 2008-12-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駐車支援装置
JP4427953B2 (ja) * 2003-01-29 2010-03-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駐車支援装置
JP4235026B2 (ja) * 2003-04-28 2009-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JP4291625B2 (ja) 2003-05-29 2009-07-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走行支援装置
US7229139B2 (en) * 2004-03-18 2007-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system for brake-steer assisted parking and method therefor
JP4466200B2 (ja) * 2004-04-19 2010-05-2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駐車支援装置
JP2005313710A (ja) 2004-04-27 2005-11-10 Toyota Motor Corp 駐車支援装置
JP4389650B2 (ja) * 2004-04-28 2009-12-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操舵駐車支援装置
JP3977368B2 (ja) * 2004-09-30 2007-09-19 クラリオン株式会社 駐車支援システム
JP4853712B2 (ja) * 2006-12-28 2012-01-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37171A (ja) 2007-06-07
CN101360632A (zh) 2009-02-04
CN101360632B (zh) 2011-01-05
EP1950097A4 (en) 2009-02-25
US7825828B2 (en) 2010-11-02
EP1950097B1 (en) 2010-08-11
KR101155725B1 (ko) 2012-06-12
KR20100134803A (ko) 2010-12-23
EP1950097A1 (en) 2008-07-30
JP4414959B2 (ja) 2010-02-17
US20090091475A1 (en) 2009-04-09
DE602006016156D1 (de) 2010-09-23
WO2007058246A1 (ja) 200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725B1 (ko) 주차 지원 장치
JP5429514B2 (ja) 駐車支援装置
JP5403330B2 (ja) 駐車支援装置
JP5182545B2 (ja) 駐車支援装置
US7526368B2 (en) Parking assist apparatus
JP2007176324A (ja) 駐車支援装置
JP2006175918A (ja) 駐車補助装置
JP2009292339A (ja) 駐車支援装置
WO2016039428A1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JP2005014775A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JP2012001144A (ja) 駐車支援装置
JP2006347460A (ja) 走行支援装置
JP2010018074A (ja) 駐車支援装置および駐車支援方法
JP2019051822A (ja) 駐車支援装置
JP5013205B2 (ja) 駐車支援装置
JP2018039294A (ja) 駐車支援方法及び駐車支援装置
JP2009208742A (ja) 駐車支援装置
JP3882565B2 (ja) 駐車支援装置
JP2018184029A (ja) 駐車支援装置
JP2007191156A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CN110546047A (zh) 停车辅助装置
JP5075674B2 (ja) 駐車支援装置
JP5151803B2 (ja) 駐車支援装置および駐車支援方法
US20230294668A1 (en) Parking contro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10

Effective date: 201112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