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556A - 차량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차량용 유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차량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556A
KR20080004556A KR1020077025224A KR20077025224A KR20080004556A KR 20080004556 A KR20080004556 A KR 20080004556A KR 1020077025224 A KR1020077025224 A KR 1020077025224A KR 20077025224 A KR20077025224 A KR 20077025224A KR 20080004556 A KR20080004556 A KR 20080004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ransparent
mesh
pattern
antenna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0424B1 (ko
Inventor
다쯔오 이시바시
슈우조오 오꾸무라
유우끼 마쯔이
요시따까 야마오까
Original Assignee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샤신인사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9Combinations of different interacting antenna units for giving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Abstract

본 발명은 디자인을 손상시키지 않고 양호한 운전 시야가 얻어지는 투과성을 갖고, 또한 저저항을 실현할 수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이며, 절연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투명 기체(1a)와, 이 투명 기체(1a)의 표면에 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을 갖고, 안테나 패턴의 도전부(1b)가 그물코 구조의 도전성 박막으로 이루어지고, 각 그물코의 윤곽이 대략 동일한 폭의 극세 띠로 구성되고, 이 극세 띠의 띠 폭이 30 ㎛ 이하인 동시에, 안테나 패턴의 광선 투과율이 7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명 기체, 도전부, 투명 안테나, 도전부, 전극부

Description

차량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차량용 유리{TRANSPARENT ANTENNA FOR VEHICLE AND VEHICLE GLASS WITH ANTENNA}
본 발명은, 차량의 유리면에 장착되고, 지상파나 위성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또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차량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차량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 네비게이션의 보급에 수반하여 자동차의 유리면에 점착하여 사용하는 다양한 필름 안테나가 제안되어 있다.
필름 안테나는 고정된 유리면에 점착되지만, 후방 유리에는 통상, 흐림 방지용 열선이 배선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열선과 간섭하는 것을 피해 전방 유리에 점착되는 일이 많다.
이러한 종류의 필름 안테나로서 예를 들어, (a) 전기 절연성을 갖는 투명의 플라스틱 필름 위에 금속 세선으로 안테나 패턴을 형성한 것이나, (b) 안테나로 되는 금속 박에 펀칭 등으로 미세한 구멍을 다수 뚫어 형성하여 투과성을 갖게 한 것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a)의 필름 안테나는, 금속 세선을 안테나 형상으로 절곡하여 투명 플라스틱 필름에 접합하고 있는 구성상, 자동차의 내측 혹은 외측에서 보 아도 그 절곡된 금속 세선이 눈에 띄어 버려, 디자인성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운전 시야로 들어가 눈에 거슬리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b)의 필름 안테나에서는 펀칭에 의해 금속 박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a)의 필름 안테나에 비해 안테나의 존재가 더 눈에 띄어 버리는 것이 된다. 또한 펀치 구멍의 펀칭 정밀도에 의해 안테나의 디자인성의 좋고 나쁨이 좌우된다는 결점도 있다.
또한, 터치 패널 등에 이용되고 있는 투명 도전성 막을 이용하여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면 상기한 (a)나 (b)의 필름 안테나에 대해, 디자인성이 우수하고 양호한 운전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투명 도전성 막은 그 막 두께를 얇게 하여 투명도를 높게 하면 할수록 도전성의 척도로서의 표면 저항이 커진다는 성질이 있어, 전방 유리에 필요로 되는 투과성과 안테나에 필요로 되는 저저항을 양립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사정이 있다.
덧붙여, 투과성이 확보된 투명 도전성 막의 저항은 수십 내지 수백 Ω인 것에 반해, 안테나에 요구되는 저항치는 3 Ω 이하라는 미소한 값이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필름 안테나에 있어서의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테나의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양호한 운전 시야를 얻기 위한 투과성을 갖고, 또한 안테나에 요구되는 저저항을 실현할 수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차량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연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투명 기체(基體)와, 이 투명 기체의 표면에 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을 갖고, 안테나 패턴의 도전부가 그물코 구조의 도전성 박막으로 이루어지고, 각 그물코의 윤곽이 대략 동일한 폭의 극세 띠로 구성되고, 이 극세 띠의 띠 폭이 30 ㎛ 이하인 동시에, 상기 안테나 패턴 형성부의 광선 투과율이 70 % 이상인 차량용 투명 안테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 구조를, 형상 및 사이즈가 동일한 그물코가 평면상에서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평면 그물코로 구성하고, 그 안테나 패턴의 일부에, 복수의 그물코 내에 대해 선 형상으로, 또는 복수의 그물코 윤곽에 대해 띠 형상으로 식별 패턴을 부가하면, 그들의 그물코를 통과하는 광량이 상기 안테나 패턴을 통과하는 광량보다도 감쇠하기 때문에, 상기 식별 패턴을 안테나 패턴으로부터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상기 식별 패턴은, 상기 평면 그물코를 구성하고 있는 그물코의 윤곽을 굵은 띠로 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안테나 패턴 위에서 그 그물코 구조의 일부의 그물코 패턴을 하나의 그물코 사이즈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시프트시켜, 안테나 패턴 위에 중첩하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별 패턴을 안테나 패턴 위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하면, 투명 안테나면에 문자, 도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 구조를, 평면상에서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평면 그물코로 구성하는 동시에, 안테나 패턴과 투명 기체에 있어서의 안테나 패턴 비형성부와의 경계 영역에, 안테나 패턴과 안테나 패턴 비형성부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명도 차를 감소시키는 그라데이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상기 경계 영역에 있어서의 안테나 패턴의 그물코 윤곽을 일부 결락시키거나, 또는 그물코를 성기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상기 그물코 윤곽의 결락 폭 또는 그물코의 개구 폭을 안테나 패턴측으로부터 안테나 패턴 비형성부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길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종방향 도전선 및 횡방향 도전선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그물코 구조를 구성하고, 그 종방향 도전선 및 횡방향 도전선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해 그 일부를 결락시키거나, 또는 안테나 패턴측으로부터 안테나 패턴 비형성부측을 향해 도전선의 간격을 넓히는 것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그물코 구조의 일부에 슬릿을 갖는 것에 의해 연속 띠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단, 슬릿의 폭이 그물코 사이즈의 최대 치수를 초과하지 않는 폭으로 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은, 그물코 구조에 대해 복수의 슬릿을 다른 방향으로부터 교대로 소정 길이 형성하는 것에 의해 사행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패턴은, 상기 그물코 구조의 중심을 향해 1개의 슬릿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넣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코의 최대 치수는 1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용 투명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의 형상은 기하학 도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단, 그물코의 윤곽이 극세 띠로 이루어지는 기하학 도형을 구성하지 않는 것, 예를 들어, 시트면에 원형의 구멍을 다수 뚫어 형성한 것은, 원형 구멍을 최대한 조밀하게 나란히 배치했다고 해도 원형 구멍끼리의 사이에 폭이 넓은 부분이 생겨 버리기 때문에, 그 폭이 넓은 부분이 눈에 띌 뿐만 아니라 광선 투과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된다. 따라서, 안테나 패턴에 원형이나 타원형의 기하학 도형을 갖고 있어도 그물코의 윤곽이 극세 띠로 이루어지는 기하학 도형이 아닌 것은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극세 금속선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 패턴의 표면에 투명 보호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전부의 일부에 급전용 전극을 구비하고, 이 전극에 대응하는 투명 보호막에 투과 구멍부를 형성하여 그 전극을 노출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극세 띠의 표면에는 저반사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 기체에 있어서의 도전부 형성측과 반대측인 면에는 투명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투명 안테나에 따르면, 양호한 운전 시야가 얻어지는 투과성을 갖고, 또한 안테나에 요구되는 저저항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 부착 차량용 유리는, 상기 도전부의 일부에 급전용 전극이 구비되어 있는 상기 구성을 갖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를, 전극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접합 유리의 접합면에 매설한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안테나 부착 차량용 유리에 따르면, 접합 유리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2매의 유리의 접합면에 투명 안테나를 매설할 수 있기 때문에, 후부착하는 경우와 같이 전방 유리의 표면에 투명 안테나 두께 분의 단차가 생기지 않아, 보다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리 내에 매설하는 것에 의해 안정된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투명 안테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투명 안테나의 확대도이다.
도3은 도2의 A-A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도전부를 구성하고 있는 극세 금속선의 기본 패턴을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5는 안테나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4 상당도이다.
도6은 안테나 패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4 상당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투명 안테나의 확대도이다.
도8은 도7의 C부 확대도이다.
도9는 도8의 문자부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10은 도8의 문자 그림자부의 확대도이다.
도11의 (a) 내지 도11의 (c)는 강조에 의한 문자 디자인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2는 도형의 시프트에 의한 문자 디자인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3은 강조와 도형 시프트를 병용한 문자 디자인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투명 안테나의 확대도이다.
도15는 도14의 D-D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16은 도14의 E부 확대도이다.
도17은 도16의 F부 확대도이다.
도18은 도16의 G부 확대도이다.
도19는 도16의 H부 확대도이다.
도20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그라데이션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1은 그라데이션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2는 그라데이션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3은 그라데이션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투명 안테나의 평면도이다.
도25는 도24의 J부 확대도이다.
도26은 슬릿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27은 슬릿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28은 안테나 패턴의 그물코 형상과 슬릿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9는 안테나 패턴의 그물코 형상과 슬릿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0은 안테나 패턴의 그물코 형상과 슬릿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1은 안테나 패턴의 그물코 형상과 슬릿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32는 슬릿의 제1 형성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3은 슬릿의 제2 형성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4는 슬릿의 제3 형성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5는 슬릿의 제4 형성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6은 슬릿의 제5 형성 패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도시한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a)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투명 안테나(이하, 투명 안테나라고 약칭함)는, 양호한 운전 시야가 얻어지는 투과성을 갖고, 또한 저저항이 얻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상기 투명 안테나를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점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 있어서, 투명 안테나(1, 2)는 전방 유리(3)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좌측의 투명 안테나(1)에는 안테나 코드(4)가 접속되고, 우측의 투명 안테 나(2)에 대해서도 안테나 코드(5)가 접속되고, 각 안테나 코드(4, 5)의 출력 단부는 앰프 유닛(6)에 접속되고, 이 앰프 유닛(6)으로부터 출력되는 안테나 출력 코드(7)는 카 네비게이션의 모니터(8)에 내장되어 있는 TV 튜너에 접속되어 있다.
도2는 투명 안테나(1)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투명 안테나(2)는 투명 안테나(1)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에 있어서, 투명 안테나(1)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투명 기체로서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1a) 위에, 도전부(1b)에 의한 안테나 패턴이 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가로로 긴 장방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안테나 패턴의 간극(1c)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전극부(1d)가 대향하고 있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시트(1a)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투명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지만, 시트 형상의 투명 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전부(1b)는, 종래의 안테나 패턴과 같이 도전성의 선재, 혹은 가는 띠를 절곡하여 구성된 도전부와는 달리, 투명 플라스틱 시트(1a)의 대략 전체면에 걸쳐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전부(1b)는 그물코 구조의 도전성 박막으로 이루어지고, 구리, 니켈, 알루미늄, 금, 은 등의 금속막, 또는 이들의 금속 미립자를 함유하는 도전 페이스트 막, 카본 페이스트 막으로 이루어지고, 투명 플라스틱 시트(1a) 위에 형성한 금속 박막의 포토 에칭에 의해, 또는 인쇄 레지스트에 의한 에칭에 의해, 또한, 도전 수지 페이스트를 인쇄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미세한 그물코 형상 패턴으로 형성되 어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을 포토 에칭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금속막 위에 포토레지스트 막을 형성하여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하고, 현상액으로 현상하는 것에 의해 레지스트 막의 안테나 패턴을 형성한다. 이것을 에칭액에 의해 에칭하고, 레지스트 막을 박리 제거하는 것에 의해 극세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인쇄 레지스트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금속막 위에 스크린 인쇄, 그라비아 인쇄, 잉크젯 등의 방법으로 레지스트 막의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고, 에칭액에 의해 금속막에 있어서의 레지스트 피복부 이외를 에칭하고, 레지스트 막을 박리하는 것에 의해 금속막의 안테나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도전 페이스트 인쇄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금속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카본 페이스트 등으로 투명 기재 위에 안테나 패턴을 인쇄하고, 도전성의 안테나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그물코 형상 패턴으로 형성된 금속 극세선 표면을 저반사 처리하면, 금속의 반사색이 억제되어 투명 안테나(1)의 존재가 눈에 띄지 않게 된다. 그것에 의해, 그물코 형상 패턴을 통해 차 밖을 본 경우의 육안 확인성이 높아지도록 된다.
상기 저반사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화성(化成) 처리나 도금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들 수 있다. 화성 처리는, 산화 처리, 황화 처리하는 것에 의해 금속 표면에 저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극세 금속선의 소재에 구리를 사용하 고, 그 표면에 산화 처리에 의해 산화 피막을 형성하면, 극세 금속선의 단면 치수를 줄이는 일없이 그 극세 금속선의 표면을 광반사 방지성을 구비한 흑색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금 처리로서 극세 금속선에 대해 예를 들어 흑색 크롬 도금을 실시하면, 극세 금속선의 표면을 광반사 방지성을 구비한 흑색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전류 밀도의 구리 도금을 실시하면, 다갈색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1d)는 안테나 코드(4)의 전류 공급부(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이 전극부(1d)는, 그물코 형상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사각 형상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도3은 도2의 A-A 화살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투명 플라스틱 시트(1a) 위에 도전부(1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도전부(1b)는 투명의 커버층(투명 보호막)(1e)에 의해 또한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투명 커버층(1e)으로 도전부(1b)를 보호하는 것에 의해, 투명 안테나(1)가 장착되어 있는 차내 환경, 예를 들어 온도, 습도가 변화되어도 안정된 안테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투명 커버층(1e)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투명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도전부(1b)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패턴 위에 투명 필름을 접합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안테나 패턴 위에 투명 수지를 소정 두께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이 투명 커버층(1e)의 일부에는 투과 구멍부(1f)가 형성되어 있고, 이 투과 구멍부(1f)를 통해 전극부(1d)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노출된 전극부(1d)에 상기 안테나(4)의 급전부가 점착된다.
투명 플라스틱 시트(1a)에 있어서의 도전부(1b)와 반대측인 면에는 투명 점착층(1g)이 형성되어 있고, 이 투명 점착층(1g)의 표면에는 박리 시트(1h)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투명 점착층(1g)으로서는 안테나의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자외선을 저감시키는 목적으로 점착되는 스모크조(調)의 필름의 풀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아크릴계 점착재를 사용할 수 있다.
투명 안테나(1)를 전방 유리에 후부착으로 부착하는 경우, 상기 박리 시트(1h)를 떼어내어 투명 점착층(1g)을 노출시키고, 그 투명 점착층(1g)을 통해 투명 안테나(1)를 전방 유리에 점착하는 것이 된다. 즉, 도3에 도시한 투명 안테나(1)에서는, 그 상면이 실내측을, 하면이 전방 유리를 향하게 된다.
상기 투명 안테나(1)는, 전방 유리에 별도의 부품으로서 점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전방 유리에 매설할 수도 있다.
전방 유리로서 접합 유리가 사용되는 경우, 전방 유리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투명 안테나(1)를 2매의 유리의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이 경우, 투명 안테나(1)는 접합 유리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투명 점착층(1g)은 반드시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투명 커버층(1e)은 필요에 따라서 형성된다.
도4는 상기 안테나 패턴의 일부를 확대하여 그물코를 도시한 것이다.
도4에 도시하는 안테나 패턴은,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 형상의 도전부(1i, 1j)가 격자 형상의 그물코로 형성되어 있고, 투명 안테나(1)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을 70 % 이상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투명성의 척도인 상기 광선 투과율이라 함은, 특정의 색 온도를 갖는 광원으로부터 나온 모든 파장의 광이 시료면을 통과한 전체 광량을 대상으로 하는 전체 광선 투과율을 의미한다. 이 광선 투과율이 70 %를 하회하면, 전방 유리의 광선 투과율과 투명 안테나(1)의 광선 투과율의 차가 커져 투명 안테나(1)의 안테나 패턴이 어둡게 보여 버린다. 그 때문에, 안테나의 존재가 눈에 거슬리게 된다. 전방 유리의 운전 시야를 저해하는 일이 있으면, 안전성상의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광선 투과율은 니혼덴쇼쿠고교사제의 분광 측정기(형 번호 NDH2000)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단, 공기층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 100 %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또한, 광선 투과율의 측정은, 투명 안테나(1)에 투명 커버층(1e)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투명 커버층(1e)을 포함한 상태로 측정되고, 투명 점착층(1g)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투명 점착층(1g)을 포함한 상태로 측정된다.
또한, 사각형의 윤곽을 취하는 X 방향의 극세 금속선(극세 띠)(1i) 및 Y 방향의 극세 금속선(극세 띠)(1j)의 선 폭(w)은 각각 30 ㎛ 이하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 폭(w)이 30 ㎛를 상회하면, 안테나 패턴의 그물코가 눈에 띄어 버리고, 또한 디자인성도 나빠진다. 선 폭(w)이 30 ㎛ 이하이면, 안테나 패턴의 존재가 인식되기 어렵다. 또한, 극세 금속선의 막 두께는, 선 폭/막 두께(t)의 종횡비가 0.5 이상이 되도록 하면, 정밀도가 좋은 안테나 패턴을 만들기 쉬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투명 안테나(1)의 광선 투과율은, 상기 극세 금속선(1i, 1j)의 선 폭과 그들 극세 금속선(1i, 1j)으로 둘러싸이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B)의 사이즈와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70 % 이상의 광선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5 및 도6은 안테나 패턴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5에 도시하는 안테나 패턴은, 육각형을 핵으로 하여 X 방향 및 Ya 방향, Yb방향으로 연속시키는 것에 의해 그물코 형상으로 한 것이다.
육각형의 윤곽으로 되는 극세 금속선(1k)의 선 폭(w)은 30 ㎛ 이하이다.
도6에 도시하는 안테나 패턴은, 사다리형을 핵으로 하여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연속시키는 것에 의해 그물코 형상으로 한 것이다. 사다리형의 윤곽으로 되는 극세 금속선(1l, 1m)의 선 폭(w)은 각각 30 ㎛ 이하이다.
이와 같이 안테나 패턴은, 직사각형이 핵으로 되어 연속하는 것, 다각형이 핵으로 되어 연속하는 것, 사다리형이 핵으로 되어 연속하는 것이 도시된다.
이 중에서도 특히 정방형이 핵으로 되어 연속하는 것은, 다른 다각 형상에 비해 안테나 패턴이 줄무늬 형상으로 인식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하다.
즉, 임의의 형상이 핵으로 되어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패턴을 보았을 때, 그 핵(개구)의 연속하는 방향을 따라 윤곽이 연속하는 줄무늬 형상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육각형이 핵으로 된 것의 경우에서는, 그 연속 방향을 따른 상기 극세 띠의 선이 지그재그로 되기 때문에, 이 지그재그의 진폭의 분만큼 굵게 보여 버리고, 결과적으로 극세 띠가 팽창한 상태로 보여 버린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정방형이 핵으로 되어 연속하는 것의 경우에는, 연속 방향을 따른 극세 띠의 선이 곧게 되기 때문에, 본래의 폭보다도 굵게 보일 우려가 없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극세 띠는 30 ㎛ 이하로 매우 가늘기 때문에, 그 존재가 인식되기 어려워 안테나 패턴이 눈에 띄지 않는다.
또한 장방형이 핵으로 되어 연속하는 것의 경우에서는, 이 장방형의 긴 변 방향과 짧은 변 방향의 피치가 다르므로, 전체를 보았을 때에, 긴 변 방향에 비해 피치가 짧은 짧은 변 방향이 짙게 나타나고, 이것이 줄무늬 형상으로 되어 어른거려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상기 정방형이 핵으로 되어 연속하는 것에서는, 이와 같은 줄무늬 형상은 나타나지 않아 눈에 띄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정방형에는, 완전히 각이 진 정방형에 한정되지 않고, 면취된 정방형도 포함된다.
(제1 실시예)
두께 100 ㎛인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양면을 저반사 처리한 두께 12 ㎛인 구리 박을 투명 접착제로 접착하고, 포토 에칭에 의해 안테나 패턴을 제작했다.
도전부에 대해서는 선 폭 15 ㎛, 선간 피치 700 ㎛로 되는 정방형 그물코 패턴을 제작했다.
계속해서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도전부의 면 위에 아크릴계 투명 접착제를 이용하여, 두께 50 ㎛인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커버 필름(커버층)을 형성했다. 단, 전극부에 대해서는 커버 필름의 일부를 커트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로부터 노출시켜 둔다.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있어서의 도전부와 반대측인 면(이면)에는, 투명 안테나(1)를 전방 유리에 부착하기 위한 박리 시트가 부착된 투명 아크릴계 양면 점착 필름을 부착했다.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고, 또한 커버 필름으로 피복되고,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이면에 박리 시트가 부착된 투명 아크릴계 양면 점착 필름이 부착된 적층체를 안테나 패턴을 따라 그 외측을 커트하여, 투명 안테나(1)를 제작했다.
이와 같이 한 제작된 투명 안테나(1)의 광선 투과율은 84 %였다.
이 투명 안테나(1)를 2매 준비하고, 각각의 박리 시트를 떼어내어 자동차의 전방 유리의 좌우 상부에 부착했다.
부착된 투명 안테나(1)는, 운전석측, 조수석측에서 보아도 안테나 패턴의 존재를 거의 인식할 수 없어, 운전 시야를 저해하는 일은 없었다.
다음에, 이들의 투명 안테나(1)에 안테나 코드를 접속하고, 안테나 코드를 카 네비게이션의 TV 튜너에 접속하여 텔레비전 방법을 수신한 결과, 양호한 수신 상태가 얻어졌다.
(제2 실시예)
두께 100 ㎛인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위에, 은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스크린 인쇄에 의해 안테나 패턴을 제작했다. 도전부는 선 폭 30 ㎛, X 방향 선간 피치 700 ㎛로 되는 정육각형의 그물코 패턴을 제작했다.
계속해서 제작된 안테나 패턴을 따라 그 외측을 커트하여, 투명 안테나(1)를 제작했다.
이 투명 안테나(1)를 자동차의 전방 유리의 접합 유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극부(1d)가 유리 주연부로부터 돌출하는 상태에서 투명 안테나(1)를 끼워 넣어, 전방 유리를 자동차 프레임에 조립했다.
투명 안테나(1)의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면 75 %이고, 운전석측, 조수석측에서 보아도 안테나 패턴의 존재를 거의 인식할 수 없어, 운전 시야를 저해하는 일은 없었다.
상기 투명 안테나(1)에 안테나 코드를 접속하고, 안테나 코드를 카 네비게이션의 TV 튜너에 접속하여 텔레비전 방법을 수신한 결과, 양호한 수신 상태가 얻어졌다.
(b)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투명 안테나는, 안테나 패턴 위에 문자나 모양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7에 도시하는 투명 안테나(10)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투명 기체로서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10a) 위에, 도전부(10b)로서의 안테나 패턴을 면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가로로 긴 장방 형상으로 형성된 안테나 패턴의 좌측 상부에는 안테나 단자(10c)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10d는 투명 안테나(10)에 디자인 처리된 로고로, 이 로고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시트(10a)는, 도2에 도시한 투명 플라스틱 시트(1a)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부(10b)도 또한, 도2에 도시한 도전부(1b)와 동일한 구성,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 단자(10c)는 안테나 코드(4)의 급전부(도시하지 않음)를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이 안테나 단자(10c)는, 그물코 형상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사각형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도8은 도7의 C부를 확대한 것이다.
로고(10d)는 도전부(10b)로 구성된 메쉬부(10e) 위에 형성되어 있고, 문자부(10f)와 그 문자부(10f)의 그림자를 나타내는 문자 그림자부(10g)와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문자부(10f)는, 그것을 더 확대한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쉬부(10e)의 도전선보다도 굵은 폭의 도전선으로 이루어지는 도전부(굵은 띠)(10h)로 구성되어 있고, 메쉬부(10e)에 있어서의 개구부(10i)의 개구 면적보다도 문자부(10f)에 있어서의 개구부(10j)의 개구 면적을 작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광선 투과율을 변화시키고, 그것에 의해, 메쉬부(10e)와 문자부(10f)와의 경계를 강조시키는 동시에, 문자부(10f)가 눈에 띄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8에 도시한 문자 그림자부(10g)는, 그것을 더 확대한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자부(10f)의 도전선과 동일한 폭이지만, 문자부(10f)보다도 더 조밀한 그물코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도전부(10k)로 구성되어 있고, 문자부(10f)에 있어서의 개구부(10j)의 개구 면적보다도 문자 그림자부(10g)에 있어서의 개구 부(10m)의 개구 면적을 작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문자 그림자부(10g)가 강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문자 그림자부(10g)에 있어서의 개구부(10m)의 개구 면적은 문자부(10f)의 개구 면적의 대략 3/4 내지 1/4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문자부(10f) 및 문자 그림자부(10g)는, 그물코를 통과하는 광량을 일정량 감쇠시키는 것에 의해 안테나 패턴의 일부를 식별시키는 식별 패턴으로서 기능한다.
그것에 의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옅은 색의 메쉬부(10e) 위에 문자부(10f)가 짙은 메쉬 패턴으로 표현되고, 문자부(10f)의 우측에 조밀한 메쉬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문자 그림자부(10g)가 형성된다.
그 결과, 디자인된 로고(10d)가, 메쉬부(10e) 위에 명료하게 눈에 띄어 보이도록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로고(10d)는, 굵기나 밀도의 차이가 있는 것만으로 개구부를 갖는 메쉬 패턴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투광성을 잃어버리는 일이 없다.
도11 내지 도13은 식별 패턴의 각종 형성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11의 (a)는 메쉬부(10e)의 그물코를 단위로 하여 메쉬부(10e)의 도전선보다도 굵은 폭의 도전선을 이용하여 도전부(10h)를 형성하여, 로고「N」을 강조시킨 것이다.
도11의 (b)는 복수의 그물코(도면에서는 4개의 그물코) 단위로 메쉬부(10e)의 도전선보다도 굵은 폭의 도전선을 이용하여 도전부(10h')를 형성하여, U자 형상 의 로고를 강조시킨 것이다.
도11의 (c)는 하나의 그물코를 복수의 그물코로 더 분할(도면에서는 4 분할)하여, 그물코 내에 십자 형상의 도전부(10h")를 형성하여, 로고「N」을 강조시킨 것이다.
도12는 개구부(10i)가 정방형으로 구성된 메쉬부(10e)의 일부에 문자 패턴(10n)을 시프트시킨 상태에서 로고「S」를 표현한 것으로, 그 문자 패턴(10n)을 구성하고 있는 정방형 도형은, 메쉬부(10e)를 구성하고 있는 정방형 도형과 동일한 사이즈로 구성되고, 메쉬부(10e)에 있어서의 개구부(10i)의 대각선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킨 것이다.
도13은 도11에 설명한 강조 방법과 도12에서 설명한 시프트에 의한 강조 방법을 조합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각종 강조 방법을 이용하면, 문자에 한정되지 않고, 도안을 임의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안테나 패턴 위에 문자 패턴을 연속한 상태로 형성했지만, 이 문자 패턴은 문자로서 인식할 수 있으면 예를 들어 하나의 그물코를 건너뛰어 단속적으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문자 혹은 도안이 디자인된 투명 안테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예)
125 ㎛ 두께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18 ㎛ 두께의 구리 박을 접착제를 통해 라미네이트하고, 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의 구리 박과 반대측인 면에 투명 점착층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구리 박면에 액상의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했다.
이 포토마스크는, 주로 정방 격자(도전부의 선 폭 20 ㎛, 도전부의 배선 피치 500 ㎛)의 개구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을 갖고, 그 안테나 패턴의 일부에 개구율이 다른 정방 격자(도전부의 선 폭 40 ㎛, 도전부의 배선 피치 500 ㎛)가 문자의 형(形)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른 개구율의 정방 격자를 갖는 안테나 패턴은,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입력한 CAD 데이터와 자동 묘화 장치에 의해 제작했다.
계속해서, 종래 공지의 현상 처리에서 안테나 패턴 이외의 레지스트를 현상액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또한, 에칭을 행하고, 박리액을 이용하여 레지스트 제거를 행하는 것에 의해 안테나 패턴에 문자의 형의 디자인을 실시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투광성 안테나는, 도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율이 다른 정방 격자(10h 참조)가 문자로 되어 나타나고, 안테나 패턴 위에 형성된 문자가 안테나 패턴과 일체화하고 있어 디자인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개구율이 다른 정방 격자(10h) 부분에 대해서도 투광성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성이 양호했다.
(제4 실시예)
100 ㎛ 두께의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위에, 무전해 도금 촉매를 분산시킨 투명 앵커층을 형성한 후, 무전해 도금, 전기 도금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양면에 저반사층이 형성된 5 ㎛ 두께의 도전층을 얻었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했다.
이 포토마스크는, 주로 정방 격자(도전부의 선 폭 30 ㎛, 도전부의 배선 피치 800 ㎛)의 개구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을 갖고, 그 안테나 패턴의 일부에, 정방 격자(도전부의 선 폭 30 ㎛, 도전부의 배선 피치 800 ㎛)를 평행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문자의 형을 따른 패턴을 형성한 것이다.
계속해서, 종래 공지의 현상 처리, 에칭, 레지스트 제거를 행하는 것에 의해, 안테나 패턴에 문자의 형을 디자인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투광성 안테나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율이 다른 정방 격자(10n 참조)가 시프트된 상태에서 문자로 되어 나타나고, 그 결과, 투명성이 양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우수한 투광성 안테나가 얻어졌다.
(제5 실시예)
125 ㎛ 두께의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무전해 도금 촉매를 분산시킨 투명 앵커층을 형성한 후, 무전해 도금, 전기 도금을 행하는 것에 의해 4 ㎛ 두께의 도전층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했다.
이 포토마스크는, 주로 장방형 격자(도전부의 선 폭 20 ㎛, 도전부의 배선 피치 : 횡방향 500 ㎛ × 종방향 900 ㎛)의 개구부를 갖는 패턴을 갖고, 그 안테나 패턴의 일부에, 하나의 장방형 격자를 4 분할하여 개구율을 변화시킨 정방 격자(도전부의 선 폭 20 ㎛, 도전부의 배선 피치 : 횡방향 250 ㎛ × 종방향 450 ㎛)로 문 자의 형을 따른 패턴을 형성한 것이다.
계속해서, 종래 공지의 현상 처리, 에칭, 레지스트 제거를 행하는 것에 의해 안테나 패턴에 문자의 형을 디자인했다. 그 결과, 투명성이 양호하고 또한 디자인성이 우수한 투광성 안테나가 얻어졌다.
(제6 실시예)
인쇄 레지스트를 사용하고, 주로 정방 격자(도전부의 선 폭이 30 ㎛, 도전부의 배선 피치 500 ㎛)의 개구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 및 그 일부에 개구율이 다른 정방 격자(도전부의 선 폭 100 ㎛, 도전부의 배선 피치 500 ㎛)에서 문자의 형을 형성한 스크린 판으로 패터닝한 이외에는 상기 제3 실시예와 동일한 바와 같이 종래 공지의 에칭 처리, 레지스트 제거를 행하는 것에 의해 안테나 패턴에 문자의 형의 디자인을 실시했다. 그 결과, 상기 제3 내지 제5 실시예에 나타낸 포토레지스트법에 비하면 패턴 형성 정밀도가 저하되지만 간이하게 투명성이 양호하고 디자인성이 우수한 투광성 안테나가 얻어졌다.
상기한 제2 형태에 따르면, 투광성과 안테나 성능을 확보하면서 또한 디자인성도 우수한 투명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c)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투명 안테나는, 투광성과 안테나 성능을 확보하면서 전방 유리에 자연스럽게 조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4에 도시하는 투명 안테나(20)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21) 위에, 도전부(22)로서의 안테나 패턴(23)이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테나 패턴(23)은, 투명 플라스틱 시트(21)의 길이 방향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띠 형상 패턴부(23a)와, 이 띠 형상 패턴부(23a)와 평행하고 또한 이격한 상태에서 배치되는 띠 형상 패턴부(23b, 23c)와, 띠 형상 패턴부(23a, 23b) 및 띠 형상 패턴부(23a, 23c)를 각각 연락하는 연락부(23d, 23e)와, 대향하는 띠 형상 패턴부(23b, 23c)로부터 투명 플라스틱 시트(21)의 하측 모서리(21a)를 향해 연장 설치된 리드부(23f, 23g)를 갖고, 각 리드부(23f, 23g)의 선단에는 안테나 단자(24, 25)가 설치되어 있다.
도전부(22)에 있어서의 그물코는, 동일 사이즈, 동일 형상의 기하학 도형이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도전부(22)를 통과하는 광선의 투과율은, 그물코의 개구 면적의 설정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단자(24, 25)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 코드의 급전부를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이 안테나 단자(24, 25)는, 도전부(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사각형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도15는 도14의 D-D 화살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15에 있어서, 투명 플라스틱 시트(21) 위에 메쉬 구조의 도전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도전부(22)는 투명 보호막(26)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 투명 보호막(26)의 일부에는 투과 구멍부(26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투과 구멍부(26a)를 통해 안테나 단자(25)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노출된 안테나 단자(25)에 안테나 코드의 급전부가 점착된다.
또한, 부호 27은 투명 점착층이고, 28은 박리 시트이다.
도16은 도14의 E부, 즉 안테나 패턴(23)과 안테나 패턴 비형성부인 투명 플라스틱 시트(21)와의 경계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16에 있어서, 경계 영역(I)에는 안테나 패턴(23)과 안테나 패턴 비형성부와의 사이에 생기는 명도 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그라데이션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K1은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도전부 영역이다. K2는 그 도전부 영역(K1)의 외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그라데이션부(22a) 중, 도전부 영역(K1)보다도 약간 계조가 밝은(광선 투과율이 높은) 제1 영역을 나타내고, K3은 그 제1 영역(K2)보다도 더 계조가 밝은 제2 영역을 나타내고, K4는 그 제2 영역(K3)보다도 더 계조가 밝은 제3 영역을 나타내고, K5는 그 제3 영역(K4)보다도 더 계조가 밝은 제4 영역을 나타내고, K6은 그 제4 영역(K5)보다도 더 계조가 밝은 제5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제5 영역(K6)의 광선 투과율은 투명 플라스틱 시트(21)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에 대략 가까운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22b는 그라데이션부(22a)의 최외주 모서리를 나타내고, 21a는 투명 플라스틱 시트(21)의 우측 모서리를 나타내고 있다.
투명성의 척도인 광선 투과율이라 함은, 특정의 색 온도를 갖는 광원으로부터 나온 모든 파장의 광이 시료면을 통과한 전체 광량을 대상으로 하는 전체 광선 투과율을 의미한다. 또한, 광선 투과율이 70 %를 하회하면, 예를 들어 투명 안테 나(20)를 자동차의 전방 유리에 점착한 경우에, 전방 유리의 광선 투과율과 투명 안테나(20)의 광선 투과율의 차가 커져 투명 안테나(20)의 안테나 패턴이 어둡게 보여 버린다. 그 때문에, 그 존재가 눈에 거슬리게 된다. 특히 전방 유리에는 운전 시야를 저해하는 일이 있으면, 안전성상의 문제도 있다.
단, 상기 광선 투과율은 니혼덴쇼쿠고교사제의 분광 측정기(형 번호 NDH2000)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또한, 공기층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 100 %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또한, 광선 투과율은 투명 안테나(20)에 투명 보호막(26)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투명 보호막(26)을 포함한 상태로 측정되고, 투명 점착층(27)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투명 점착층(27)을 포함한 상태로 측정된다.
도17은 도16의 F부를, 도18은 도16의 G부를, 도19는 도16의 H부를 각각 확대한 것이다.
우선, 도17에 있어서, 도전부 영역(K1)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 영역(K2)은, 그물코(M)의 윤곽을 형성하고 있는 종방향 도전선(22c)과 횡방향 도전선(22d)의 교점의 전체가 결락하고 있고, 이와 같이 교점 결락부(N)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전부 영역(K1)보다도 광선 투과율을 높이고 있다.
종방향 도전선(22c) 및 횡방향 도전선(22d)의 선 폭(w)은 각각 30 ㎛ 이하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 폭(w)이 30 ㎛를 상회하면, 안테나 패턴의 그물코가 눈에 띄어 버리고, 또한 디자인성도 나빠진다. 선 폭(w)이 30 ㎛ 이하이면, 안테나 패턴의 존재가 인식되기 어렵다. 또한, 도전선의 막 두께는, 선 폭/막 두께(t)의 종횡비가 0.5 이상이 되도록 하면, 정밀도가 좋은 안테나 패턴을 만들기 쉬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투명 안테나(20)의 광선 투과율은, 종방향 도전선(22c) 및 횡방향 도전선(22d)의 선 폭과 그들 도전선(22c, 22d)으로 둘러싸이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그물코의 개구 사이즈와의 조합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70 % 이상의 광선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18에 있어서, 제1 영역(K2)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2 영역(K3)은, 종방향 도전선(22c)과 횡방향 도전선(22d)의 교점의 결락 범위가 상기 교점 결락부(N)보다도 넓게 되어 있고, 이와 같은 교점 결락부(P)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전부 영역(K1)보다도 더 광선 투과율을 높이고 있다.
한편, 제2 영역(K3)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3 영역(K4)에는, 상기 교점 결락부(P)보다도 더 결락 범위가 넓은 교점 결락부(Q)가 형성되어 있다.
도19에 도시하는 제4 영역(K5)에서는, 종방향 도전선(22c)의 일부와 횡방향 도전선(22d)의 일부가 방향성을 남긴 상태로 존재하고, 그물코 형상은 잃게 되어 있다.
또한, 제5 영역(K6)에서는, 종방향 도전선(22c)의 일부와 횡방향 도전선(22d)의 일부가 방향성도 거의 없어 섬 형상으로 점재할 뿐이다.
이와 같이 도전부(22)로부터 단계적(본 실시 형태에서는 5 단계)으로 계조가 밝게 되어 있는 그라데이션부(22a)에 따르면, 안테나 패턴(23)과 투명 플라스틱 시트(21)와의 경계 부분이 눈에 띄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안테나 패턴(23) 그 자체의 존재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20 내지 도23은 그라데이션부(22a)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20에 도시하는 그라데이션부(22a)는, 종방향 도전선(22c)을 남기고, 횡방향 도전선(3d)의 우측 단부를 복수 부위 결락시키는 것에 의해 투광성을 구비한 그라데이션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면 중 부호 R은 도전부(22)와 그라데이션부(22a)와의 경계를, 22b는 그 그라데이션부(22a)의 최외주 모서리를, 21은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21에 도시하는 그라데이션부(22a)는, 도20과는 반대로, 횡방향 도전선(22d)을 남기고, 종방향 도전선(22c)을 복수 부위 결락시키는 것에 의해 투광성을 갖는 그라데이션을 형성한 것이다.
도22에 도시하는 그라데이션부(22a)는, 도20과 도21의 방법을 조합한 것으로, 종방향 도전선(22c)과 횡방향 도전선(22d)의 일부를 함께 복수 부위 결락시키는 것에 의해 투광성을 구비한 그라데이션을 형성한 것이다.
도20과 도21의 광선 투과율은 대략 동일하지만, 도22의 광선 투과율은 도20, 도21에 비해 커진다.
도20 내지 도22에 나타낸 실시 형태는 도전선을 결락시키는 것에 의해 그라데이션을 형성했지만,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물코를 성기게 하는 것에 의 해, 구체적으로는, 그물코를 구성하고 있는 종방향 도전선(22c)의 간격을 투명 플라스틱 시트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넓히는 것에 의해 그라데이션부(22a)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그라데이션부(22a)에 따르면, 상기한 도전선을 결락시키는 것에 비해 그라데이션 효과는 낮지만 그라데이션부(22a)도 안테나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그라데이션부(22a)를 갖는 투명 안테나(2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7 실시예)
두께 100 ㎛인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두께 18 ㎛인 구리 박을 접착제를 통해 라미네이트하고, 그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의 구리 박과 반대측인 면에 투명 점착층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구리 박면에 액상의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했다.
이 포토마스크는, 주로 정방 격자(도전선의 선 폭 20 ㎛, 도전선의 배선 피치 500 ㎛)의 개구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을 갖고, 그 안테나 패턴의 모서리부에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그라데이션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정방 격자 및 그라데이션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은,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입력한 CAD 데이터와 자동 묘화 장치에 의해 제작했다.
계속해서, 종래 공지의 현상 처리에서 안테나 패턴 이외의 레지스트를 현상 액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또한, 에칭을 행하고, 박리액을 이용하여 레지스트 제거를 행하는 것에 의해 그라데이션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투광성 안테나는, 안테나 패턴의 모서리부가 매우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을 나타내고, 안테나 패턴과 투명 플라스틱 시트와의 경계가 인식되지 않아, 안테나 패턴 자체의 존재도 인식되기 어려운 것이 확인되었다.
(제8 실시예)
두께 50 ㎛인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위에, 무전해 도금 촉매를 분산시킨 투명 앵커층을 형성한 후, 무전해 도금, 전기 도금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양면에 저반사층이 형성된 5 ㎛ 두께의 도전층을 얻었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했다.
이 포토마스크는, 주로 정방 격자의 개구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을 갖고, 그 안테나 패턴의 모서리부에, 도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그라데이션부를 형성한 것이다.
계속해서, 에칭, 레지스트 제거를 행하는 것에 의해 그라데이션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을 형성했다(도전선의 선 폭 20 ㎛, 도전선의 배선 피치 80 ㎛).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투광성 안테나는, 안테나 패턴의 모서리부가 매우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을 나타내고, 안테나 패턴과 투명 플라스틱 시트와의 경계가 인식되지 않아, 안테나 패턴 자체의 존재도 인식되기 어려운 것이 확인되었다.
(제9 실시예)
두께 125 ㎛인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무전해 도금 촉매를 분산시킨 투명 앵커층을 형성한 후, 무전해 도금, 전기 도금을 행하는 것에 의해 4 ㎛ 두께의 도전층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했다.
이 포토마스크는, 주로 장방형 격자(도전선의 선 폭 10 ㎛, 도전선의 배선 피치 : 횡방향 600 ㎛ × 종방향 900 ㎛)의 개구부를 갖는 패턴을 갖고, 그 안테나 패턴의 모서리에,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그라데이션부를 형성한 것이다.
계속해서, 에칭, 레지스트 제거를 행하는 것에 의해 그라데이션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투광성 안테나는, 안테나 패턴의 모서리부가 매우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을 나타내고, 안테나 패턴과 투명 플라스틱 시트와의 경계가 인식되지 않아, 안테나 패턴 자체의 존재도 인식되기 어려운 것이 확인되었다.
(제10 실시예)
인쇄 레지스트를 사용하여, 주로 정방 격자(도전선의 선 폭이 25 ㎛, 도전선의 배선 피치 1,000 ㎛)의 개구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 판으로 패터닝한 이외에는 상기 제7 실시예와 동일한 바와 같이 종래 공지의 에칭 처리, 레지스트 제거를 행하는 것에 의해 그라데이션부를 갖는 안테나 패턴을 형성했다.
그 결과, 상기 제7 내지 제9 실시예에 나타낸 포토레지스트법에 비하면 패턴 형성 정밀도가 저하되지만, 그 모서리부에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 효과를 가져오는 투광성 안테나가 얻어졌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투명 안테나에 따르면, 투광성과 안테나 성능을 확보 하면서 또한 장착 대상에 대해 자연스럽게 조화할 수 있는 투명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d)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투명 안테나(30)는, 콤팩트하면서 필요로 되는 안테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24에 있어서, 정방형의 그물코가 연속하여 배열된 안테나 패턴(3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안테나 패턴(31)의 일부에는 복수개의 슬릿(32)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각 슬릿(32)은 안테나 패턴(31)의 종방향 길이(L)보다도 짧은 길이(L')로 이루어지고, 교대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도24에서는 안테나 패턴(31)이 사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부호 33은 도전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25는 도24의 J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S는 슬릿 폭을 나타내고, Sa는 그물코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그물코 치수라 함은, 그물코(U)에 있어서의 대각선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슬릿 폭(S)은 20 ㎛ 내지 그물코의 최대 치수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슬릿 폭(S)이 20 ㎛로 만족되지 않으면 제조가 곤란해지고, 슬릿 폭(S)이 그물코의 최대 치수를 초과하면 슬릿이 눈에 띄어 디자인성이 손상된다.
상기 슬릿(32)이 넣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된 사행 형상의 안테나 패턴(31)을 전개하여 직선으로 하면, 수신하는 전파, 예를 들어 UHF파의 파장의 대략 1/4 길이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단, 슬릿(32)의 배치에 대해서는 그물코(U)의 교점을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도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 패턴(31)에 있어서의 도전부(33)의 교점(34) 위를 슬릿(32)이 통과하면, 교점(34)이 연속하여 결락하는 것에 의해 슬릿(32)의 존재가 눈에 띄도록 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27은 도전부(33)의 교점(34)을 피해 슬릿(32)을 형성한 것이다. 도26과 비교해 보면 명백한 바와 같이 슬릿(32)의 존재는 눈에 띄지 않는다.
도28은 종방향 도전선(35a) 및 횡방향 도전선(35b)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정방형의 그물코(35c)가 형성된 안테나 패턴(31)을 도시한 것으로, 이 안테나 패턴(31)의 일부에, 그물코(35c)의 배열 방향을 따라(도면에서는 종방향) 슬릿(32)을 형성한 것이다. 슬릿 폭(S)은 그물코(35c)의 치수(Sa)의 대략 1/4로 설정되어 있고, 도전부의 교점(34)을 통과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슬릿(32)의 존재는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투명 안테나(3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1 실시예)
두께 125 ㎛인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위에, 도금 촉매를 분산시킨 투명 앵커층을 형성한 후, 도금을 행하는 것에 의해 두께 8 ㎛인 금속 도전층을 형성했다.
이 금속 도전층에 포토 에칭을 행함으로써 도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투명 안테나를 제작했다.
이 투명 안테나는, 그물코(35c)의 개구가 정육각형으로 되도록 도전부(31)의 선 폭이 12 ㎛, 하나의 그물코(35c)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Sb)가 600 ㎛로 설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안테나 패턴(31) 위에 폭(S)이 100 ㎛로 이루어지는 슬릿(32)을 종방향으로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투명 안테나는, 안테나 패턴(31) 및 그 안테나 패턴(31)에 형성된 슬릿(32)의 어느 쪽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그것에 의해,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투명 안테나가 얻어졌다.
(제12 실시예)
두께 1 ㎜인 투명 아크릴판 위에, 도금 촉매를 분산시킨 투명 앵커층을 형성한 후, 도금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두께 12 ㎛인 금속 도전층을 형성하고, 이것에 포트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슬릿이 포함된 안테나 패턴을 형성했다.
계속해서, 화학 에칭을 행함으로써 도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투명 안테나를 제작했다.
이 투명 안테나는 그물코(35c)의 개구가 정삼각형으로 되도록 도전부(33)의 선 폭이 20 ㎛, 하나의 그물코(35c)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Sb)가 900 ㎛로 설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안테나 패턴(31) 위에 폭(S)이 80 ㎛로 이루어지는 슬릿(32)을 그물코의 배열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형성했다.
또한, 안테나 패턴(31)을 형성한 필름의 금속면 측에 두께 100 ㎛인 투명 아크릴 수지를 코팅하여 투명 보호층으로 했다.
이 투명 안테나에 있어서도 안테나 패턴(31) 및 슬릿(32)을 어느 쪽도 육안 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그것에 의해,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투명 안테나가 얻어졌다.
(제13 실시예)
두께 100 ㎛인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양면에 화학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저반사 처리된 두께 18 ㎛인 구리 박을 투명 접착제로 접착하고,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슬릿이 포함된 안테나 패턴을 형성하고, 화학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도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투명 안테나를 제작했다.
이 투명 안테나는 그물코(35c)의 개구가 장방형으로 되도록 도전부(33)의 선 폭이 15 ㎛, 하나의 그물코(35c)에 있어서의 짧은 변(Sc)의 길이가 300 ㎛, 긴 변(Sd)의 길이가 400 ㎛로 각각 설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안테나 패턴(31) 위에 폭(S)이 40 ㎛로 이루어지는 슬릿(32)을 횡방향으로 형성했다.
계속해서, 이 안테나 패턴(31)이 형성된 필름의 금속면 측에, 점착제가 도포된 두께 100 ㎛인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투명 보호층으로서 접합했다.
이 투명 안테나를 보아도 안테나 패턴(31) 및 슬릿(32)을 어느 쪽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투명 안테나가 얻어졌다.
(제14 실시예)
두께 800 ㎛인 투명 폴리카보네이트판 위에, 슬릿을 갖는 안테나 패턴을 나노 입자 은 페이스트에 의해 고정밀도 인쇄함으로써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도전층의 두께가 10 ㎛로 되는 투명 안테나를 제작했다.
이 투명 안테나는, 그물코(35c)의 개구가 정방형으로 되도록 도전부(33)의 선 폭이 30 ㎛, 하나의 그물코(35c)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Sa)가 1 ㎜로 설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안테나 패턴(31) 위에 폭(S)이 150 ㎛로 이루어지는 슬릿(32)을, 그물코(35c)에 대해 45°의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했다.
이 투명 안테나를 보아도 안테나 패턴(31) 및 슬릿(32)을 어느 쪽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투명 안테나가 얻어졌다.
(제15 실시예)
두께 50 ㎛인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도금 촉매를 분산시킨 투명 앵커층을 형성한 후, 구리 도금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두께 5 ㎛인 금속 도전층을 형성했다.
이 금속 도전층 위에 레지스트 막을 형성하고,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슬릿이 포함된 안테나 패턴을 형성했다.
이것을 염화철액으로 화학 에칭하고, 레지스트를 박리하여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투명 안테나를 제작했다.
이 투명 안테나에 있어서, 정육각형의 그물코(35c)를 갖는 도전부(33)의 선 폭이 10 ㎛, 하나의 그물코(35c)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Sb)가 900 ㎛로 설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안테나 패턴(31) 위에 폭(S)이 500 ㎛로 이루어지는 슬릿(32)을 종방향으로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투명 안테나는, 안테나 패턴(31) 및 그 안테나 패턴(31)에 형성된 슬릿(32)을 어느 쪽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그것에 의해,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투명 안테나가 얻어졌다.
(제16 실시예)
두께 2 ㎜인 투명 유리판 위에, 양면에 화학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저반사 처리된 두께 12 ㎛인 구리 박을 접합하여 금속 도전층을 형성했다.
이 금속 도전층 위에 레지스트 막을 형성하고,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슬릿이 포함된 안테나 패턴을 형성했다. 이것을 염화 제2 구리액으로 화학 에칭하고, 레지스트를 박리하여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투명 안테나를 제작했다.
이 투명 안테나에 있어서 정삼각형의 그물코(35c)를 갖는 도전부(33)의 선 폭은 18 ㎛, 하나의 그물코(35c)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Sb)가 700 ㎛로 설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안테나 패턴(31) 위에 폭(S)이 300 ㎛로 이루어지는 슬릿(32)을 그물코(35c)의 배열 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형성했다.
이 투명 안테나에 있어서도 안테나 패턴(31) 및 슬릿(32)을 어느 쪽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그것에 의해,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투명 안테나가 얻어졌다.
(제17 실시예)
두께 200 ㎛인 투명 아크릴 필름 위에, 양면에 화학 처리를 저반사 처리된 두께 12 ㎛인 구리 박을 접합하여 금속 도전층을 형성했다.
이 금속 도전층 위에 레지스트 막을 형성하고,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슬릿이 포함된 안테나 패턴을 형성했다. 이것을 염화 제2 구리액으로 화학 에칭하고, 레지스트를 박리하여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투명 안테나를 제작했다.
이 투명 안테나에 있어서 정방형의 그물코(35c)를 갖는 도전부(33)의 선 폭은 15 ㎛, 하나의 그물코(35c)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Sa)가 1 ㎜로 설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안테나 패턴(31) 위에 폭(S)이 1 ㎜로 이루어지는 슬릿(32)을 그물코에 대해 종방향으로 형성했다.
이 투명 안테나에 있어서도 안테나 패턴(31) 및 슬릿(32)을 어느 쪽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그것에 의해, 디자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투명 안테나가 얻어졌다.
다음에, 투명 안테나에 있어서의 슬릿 형성 패턴을 도32 내지 도3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은 평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32에 도시하는 투명 안테나(40)는 직사각 형상의 안테나 패턴(31)을 갖고, 그 안테나 패턴(31) 위에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32)은, 안테나 패턴(31)의 하측 모서리(31a)와 그 하측 모서리(31a)로부터 돌출하는 탭(31b)과의 경계 부분에 슬릿의 시점(32a)을 갖고, 안테나 패턴(31)의 윤곽을 따른 상태에서 중심을 향해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테나 패턴(31)의 대략 중심이 슬릿(32)의 종점(32b)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41은 탭(31b)에 설치된 안테나 단자이다.
도33에 도시하는 투명 안테나(42)는 직사각 형상의 안테나 패턴(31)을 갖고, 그 안테나 패턴(31) 위에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3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안테나 패턴(31)의 짧은 변(31c)과 평행하게 복수의 슬릿(32)이 형성되어 있 고, 복수의 슬릿(32) 중, 슬릿(32c)은, 안테나 패턴(31)의 우측 모서리로부터 짧은 변(31c)보다도 약간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슬릿(32d)은 안테나 패턴(31)의 좌측 모서리로부터 마찬가지로 짧은 변(31c)보다도 약간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릿(32c)과 슬릿(32d)을 교대로 종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슬릿(32)이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종방향으로 사행하는 안테나 패턴(31)이 형성되어 있다.
도34에 도시하는 투명 안테나(43)는 직사각 형상의 안테나 패턴(31)을 갖고, 탭(31b)의 횡방향 중심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32e)과, 이 슬릿(32e)의 도중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분기되는 슬릿(32f)과,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32g, 32h)을 구비하고 있다.
슬릿(32g)은 안테나 패턴(31)의 하측 모서리로부터 절입되고 슬릿(32e, 32f)과 교차하지 않도록 소정 길이 형성되는 것에 반해, 슬릿(32h)은 슬릿(32e) 또는 슬릿(32f)으로부터 절입되고, 안테나 패턴(31)의 좌측 모서리(31d)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소정 길이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슬릿(32e)과 슬릿(32f)으로 둘러싸인 범위 내에서 비스듬하게 사행하는 안테나 패턴(31)이 형성되어 있다.
도35에 도시하는 투명 안테나(44)는 직사각 형상의 안테나 패턴(31)을 갖고, 이 안테나 패턴(31)에, 탭(31b)의 횡방향 중심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슬릿(32i)과, 이 슬릿(32i)에 직교하는 복수의 슬릿(32j, 32j)과, 양 슬릿(32j, 32j)의 사이에 형성되고 안테나 패턴(31)의 좌측 모서리(31d)로부터 소정 길이 절입되는 슬릿(32k)과, 우측 모서리(31e)로부터 소정 길이 절입되는 슬 릿(32m)을 구비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슬릿(32i)을 경계로 하여 안테나 패턴(31)의 좌측 절반부 및 우측 절반부에 있어서 사행하는 안테나 패턴(31)이 각각 형성된다.
도36에 도시하는 투명 안테나(45)는 직사각 형상의 안테나 패턴(31)을 갖고, 도35에 도시한 안테나 패턴과 다른 점은, 슬릿(32i) 대신에 형성된 슬릿(32n)이 안테나 패턴(31)의 상측 모서리(31f)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테나 패턴(31)이 슬릿(32n)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안테나 패턴(31, 31)이 근접 배치된 투명 안테나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안테나는, 자동차, 버스, 트럭 등의 창 유리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셔블이나 크롤러 크레인 등의 건설 기계의 캐빈의 유리에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신교통 시스템 등의 차량의 유리에도 통신용 안테나로서 장착할 수 있다.

Claims (20)

  1. 절연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투명 기체와, 이 투명 기체의 표면에 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을 갖고,
    상기 안테나 패턴의 도전부가 그물코 구조의 도전성 박막으로 이루어지고, 각 그물코의 윤곽이 대략 동일한 폭의 극세 띠로 구성되고, 이 극세 띠의 띠 폭이 30 ㎛ 이하인 동시에, 상기 안테나 패턴 형성부의 광선 투과율이 7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 구조로서, 형상 및 사이즈가 동일한 그물코가 평면상에서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평면 그물코를 갖고, 그 안테나 패턴의 일부에, 복수의 그물코 내에 대해 선 형상으로 부가되고, 또는 복수의 그물코 윤곽에 대해 띠 형상으로 부가되고, 그들 그물코를 통과하는 광량을 상기 안테나 패턴을 통과하는 광량보다도 감쇠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턴의 일부를 식별시키는 식별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패턴으로서, 상기 평면 그물코를 구성하고 있는 그물코의 윤곽이 굵은 띠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 위에서 그 그물코 구조의 일 부의 그물코 패턴을 하나의 그물코 사이즈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시프트시켜, 상기 안테나 패턴 위에 중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식별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패턴을 상기 안테나 패턴 위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문자, 도안을 상기 안테나 패턴 위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 구조로서, 그물코가 평면상에서 규칙적으로 연속하는 평면 그물코를 갖고,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투명 기체에 있어서의 안테나 패턴 비형성부와의 경계 영역에, 상기 안테나 패턴과 상기 안테나 패턴 비형성부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명도 차를 감소시키는 그라데이션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안테나 패턴의 그물코 윤곽을 일부 결락시키거나, 또는 그물코를 성기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그라데이션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 윤곽의 결락 폭 또는 상기 그물코의 개구 폭을 상기 안테나 패턴측으로부터 상기 안테나 패턴 비형성부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길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그라데이션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9. 제6항에 있어서, 종방향 도전선 및 횡방향 도전선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그물코 구조가 구성되고, 그 종방향 도전선 및 횡방향 도전선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대해 그 일부를 결락시키거나, 또는 상기 안테나 패턴측으로부터 상기 안테나 패턴 비형성부측을 향해 도전선의 간격을 넓히는 것에 의해 상기 그라데이션부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은, 그물코 구조의 일부에 슬릿을 갖는 것에 의해 연속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슬릿의 폭이 그물코 사이즈의 최대 치수를 초과하지 않는 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 구조에 대해 복수의 상기 슬릿이 다른 방향으로부터 교대로 소정 길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안테나 패턴이 사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 구조의 중심을 향해 1개의 상기 슬릿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의 최대 치수가 1 ㎜인 차량용 투명 안테나.
  14.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코의 형상이 기하학 도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15.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극세 금속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16.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의 표면에 투명 보호막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17.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의 일부에 급전용 전극이 구비되고, 이 전극에 대응하는 상기 투명 보호막에 투과 구멍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극을 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18.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 띠의 표면에 저반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19.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체에 있어서의 상기 도전부 형성측과 반대측인 면에 투명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투명 안테나.
  20. 상기 도전부의 일부에 급전용 전극이 구비되어 있는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10항에 기재된 차량용 투명 안테나를, 상기 전극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접합 유리의 접합면에 매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부착 차량용 유리.
KR1020077025224A 2005-04-01 2006-03-29 차량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차량용 유리 KR101060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06527 2005-04-01
JP2005106527 2005-04-01
JPJP-P-2005-00126895 2005-04-25
JP2005126895 2005-04-25
JPJP-P-2005-00155120 2005-05-27
JP2005155120 2005-05-27
JP2005162002 2005-06-01
JPJP-P-2005-00162002 2005-06-01
PCT/JP2006/306515 WO2006106759A1 (ja) 2005-04-01 2006-03-29 車両用透明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付き車両用ガラ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556A true KR20080004556A (ko) 2008-01-09
KR101060424B1 KR101060424B1 (ko) 2011-08-29

Family

ID=3707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224A KR101060424B1 (ko) 2005-04-01 2006-03-29 차량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차량용 유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56357B2 (ko)
EP (1) EP1868261B1 (ko)
JP (1) JP4881858B2 (ko)
KR (1) KR101060424B1 (ko)
CN (1) CN101180764B (ko)
TW (1) TW200642164A (ko)
WO (1) WO2006106759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1203A1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9151204A1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9116786A3 (ko) * 2008-03-17 2009-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87235A2 (ko) * 2010-01-12 2011-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3056B1 (ko) * 2009-06-03 2011-08-02 한국과학기술원 차량용 투명 안테나
WO2011122854A3 (ko) * 2010-04-01 2012-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4537B1 (ko) * 2009-07-16 2012-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9999099B2 (en) 2009-01-21 2018-06-12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412788B2 (en) 2008-06-13 2019-09-10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1501529A (ja) * 2017-11-06 2021-01-14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フィルムアンテナ及びそ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20123133A (ko) * 2020-10-06 202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WO2024090616A1 (ko) * 2022-10-27 2024-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유리에 배치되는 투명 안테나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3407B2 (en) * 2006-12-30 2008-11-1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ntenna constructions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uch antenna constructions
JP4853329B2 (ja) * 2007-02-28 2012-01-1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電波反射板及びアンテナ
JP4775301B2 (ja) * 2007-04-10 2011-09-21 日立電線株式会社 透明アンテナ
CN101364661A (zh) * 2007-08-10 2009-02-11 陈稚元 薄膜天线的制作方法
EP2229599B1 (en) * 2007-12-06 2017-10-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combined display and antenna arrangement
JP5369114B2 (ja) 2007-12-06 2013-12-1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ディスプレイ構成
US20110017719A1 (en) * 2008-03-17 2011-01-27 Hyeon Choi Heat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CN101978776A (zh) * 2008-03-17 2011-02-16 Lg化学株式会社 加热件及其制备方法
EP2257120B1 (en) * 2008-03-17 2013-06-26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JP5430921B2 (ja) * 2008-05-16 2014-03-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イルム及び透明発熱体
WO2010053619A1 (en) * 2008-11-04 2010-05-14 Greenwave Scientific, Inc. Motor vehicle antenna system
US8872703B2 (en) 2009-01-16 2014-10-28 Saint-Gobain Glass France Transparent, flat antenna, suita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magnetic wav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GB0914961D0 (en) * 2009-08-27 2009-09-30 Appleton Steve Electrically heated window
JP5447813B2 (ja) * 2009-09-16 2014-03-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明アンテナ
KR20110051666A (ko) * 2009-11-11 2011-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글라스 안테나
FR2953946B1 (fr) * 2009-12-11 2012-04-20 Canon Kk Lentille, assemblage optique et dispositif incorporant ledit assemblage
CN202217782U (zh) * 2010-05-24 2012-05-09 Tdk株式会社 接近型天线以及无线通信设备
JP5699474B2 (ja) * 2010-07-30 2015-04-0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フィルムアンテナの製造方法
CN102152513B (zh) * 2010-08-16 2014-04-02 文明华 一种透视膜及其制造方法
KR20140030120A (ko) * 2010-12-16 2014-03-1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투명한 미세 패턴화된 rfid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US8952863B2 (en) 2010-12-17 2015-02-10 Nokia Corporation Strain-tunable antenna and associated methods
EP2763519B1 (en) * 2011-09-27 2018-07-25 LG Chem, Ltd. Transparent conductive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779535B2 (ja) * 2012-03-30 2015-09-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イルム、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及び導電性フイルムのパターンの決定方法
TW201342246A (zh) * 2012-04-02 2013-10-16 Nuvoton Technology Corp 電子裝置
US20150061942A1 (en) * 2012-04-18 2015-03-05 Konica Minolta, Inc. Translucent conductive patterned member, and translucent electromagnetic shield - antenna member using same
US20140011465A1 (en) * 2012-07-05 2014-01-09 Delphi Technologies, Inc. Molded conductive plastic antenna
GB201218182D0 (en) * 2012-10-10 2012-11-21 Pilkington Group Ltd Electromagnetic radiation permeable glazing with a sign
CN104781205B (zh) 2012-11-14 2019-05-03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CN103857172A (zh) * 2012-12-06 2014-06-11 富葵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透明印刷电路板
CN104009287B (zh) * 2013-02-27 2017-05-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天线及电子设备
US9293813B2 (en) * 2013-03-15 2016-03-22 Agc Automotive Americas R&D, Inc. Window assembly with transparent regions having a performance enhancing slit formed therein
CN104118198A (zh) * 2013-04-28 2014-10-29 昆山允升吉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无乳剂太阳能电池网板
JP6208577B2 (ja) 2013-12-24 2017-10-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D774024S1 (en) 2014-01-22 2016-12-13 Agc Automotive Americas R&D, Inc. Antenna
USD787475S1 (en) 2014-01-22 2017-05-23 Agc Automotive Americas R&D, Inc. Antenna
US9806398B2 (en) 2014-01-22 2017-10-31 Agc Automotive Americas R&D, Inc. Window assembly with transparent layer and an antenna element
US9406996B2 (en) * 2014-01-22 2016-08-02 Agc Automotive Americas R&D, Inc. Window assembly with transparent layer and an antenna element
DE112014006587T5 (de) * 2014-04-14 2017-03-23 Amphenol Finland Oy Windschutzscheibenantenne
US9639221B2 (en) * 2014-09-25 2017-05-02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designing a conductive pattern with reduced channel break visibility
KR102175750B1 (ko) * 2014-10-29 2020-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WO2016080406A1 (ja) * 2014-11-17 2016-05-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発熱板、導電性パターンシート、乗り物、及び、発熱板の製造方法
WO2016084667A1 (ja) 2014-11-25 2016-06-02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表示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6098763A1 (ja) 2014-12-18 2016-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透明アンテナ及び透明アンテナ付き表示装置
US9821734B2 (en) 2015-03-13 2017-11-21 Aero Advanced Paint Technology, Inc. Concealed embedded circuitry, vehicles comprising the same, and related methods
EP3096397B1 (en) * 2015-05-22 2019-08-07 AGC Inc. Window glass for vehicle and glass antenna
US10707553B2 (en) * 2016-05-06 2020-07-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PW-fed modified sleeve monopole for GPS, GLONASS, and SDARS bands
US10490877B2 (en) * 2016-05-06 2019-1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PW-fed circularly polarized applique antennas for GPS and SDARS bands
US10396427B2 (en) * 2016-05-06 2019-08-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ual polarized wideband LTE thin film antenna
US10634313B2 (en) 2016-06-08 2020-04-28 Sharp Kabushiki Kaisha Light-emitting device, authentic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door
JP6325719B1 (ja) 2017-05-31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ループアンテナ
WO2019026963A1 (ja) * 2017-08-02 2019-02-07 Agc株式会社 ガラス用アンテナユニット、アンテナ付きガラス板、およびガラス用アンテナ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10305163B2 (en) * 2017-08-14 2019-05-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mitransparent antenna and transmission lines
CN107369874A (zh) * 2017-09-12 2017-11-21 上海安费诺永亿通讯电子有限公司 一种车载透明柔性二合一天线组件
US10847887B2 (en) * 2017-10-05 2020-11-2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fabricating a transparent antenna
US10524356B2 (en) * 2017-10-05 2019-12-31 Eastman Kodak Company Transparent antenna
CN111164828B (zh) * 2017-10-05 2021-12-03 伊斯曼柯达公司 透明天线
KR101940797B1 (ko) 2017-10-31 2019-01-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075238B (zh) * 2017-12-28 2020-11-06 中国科学院国家空间科学中心 一种多层结构的金属网格传输单元和阵列天线
KR102158193B1 (ko) * 2018-03-06 2020-09-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0798B1 (ko) 2018-03-06 2019-01-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85756B2 (en) * 2018-05-14 2021-04-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hin film door switch with integrated lighting
WO2019225334A1 (ja) * 2018-05-24 2019-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DE102018126361A1 (de) * 2018-10-23 2020-04-23 Fuba Automotive Electronics Gmbh Folienantenne
EP3984095A4 (en) 2019-06-12 2023-06-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PARENT ANTENNA STACK AND ARRANGEMENT
EP4004817A1 (en) * 2019-07-31 2022-06-01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Rfid devices with controlled optical properties
CN110466323B (zh) * 2019-08-09 2021-10-1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玻璃及车辆
EP3787190A1 (fr) * 2019-08-27 2021-03-03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Antenne pour communication en champ proche
WO2021092731A1 (zh) * 2019-11-11 2021-05-20 欧菲光集团股份有限公司 天线玻璃、汽车玻璃、建筑玻璃、透明天线及其制备方法
KR102241964B1 (ko) * 2019-12-05 2021-04-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955713B2 (en) 2020-06-30 2024-04-09 Novatel Inc. Antenna with tilted beam for use on angled surfaces
JP2022029727A (ja) * 2020-08-05 2022-02-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内蔵タッチスクリーンおよび表示装置
CN112736407A (zh) * 2020-12-20 2021-04-30 英特睿达(山东)电子科技有限公司 用于汽车智能玻璃的透明天线
WO2022154969A2 (en) * 2021-01-12 2022-07-21 Galtronics Usa, Inc. Ultrawideband hyperflat and mesh grid siso/mimo antenna
CN113067165B (zh) * 2021-03-19 2022-06-10 西安电子科技大学 宽带小型化法布里-珀罗谐振腔天线
WO2023048312A1 (ko) * 2021-09-27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CN116111335A (zh) 2021-11-10 2023-05-1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透光天线
TWI818665B (zh) * 2021-11-10 2023-10-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資訊顯示方法及其資訊顯示系統與處理裝置
WO2024044047A1 (en) 2022-08-25 2024-02-29 Eastman Kodak Company Heated planar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112U (ja) * 1984-05-24 1985-12-14 旭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ガラスアンテナ
JPS6436104A (en) * 1987-07-30 1989-02-07 Dainippon Printing Co Ltd Film antenna
JPS6449302A (en) * 1987-08-19 1989-02-23 Dainippon Printing Co Ltd Film antenna
JP2537658Y2 (ja) 1987-09-17 1997-06-0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圧延ロール
JPH02256304A (ja) * 1989-03-29 1990-10-17 Honda Denshi Giken:Kk 透明平面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
JPH0339911A (ja) 1989-04-14 1991-02-20 Sumitomo Electric Ind Ltd 多心光ファイバ心線の分岐部
JP3490304B2 (ja) * 1997-10-17 2004-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6384790B2 (en) 1998-06-15 2002-05-07 Ppg Industries Ohio, Inc. Antenna on-glass
JP2000138512A (ja) 1998-09-23 2000-05-16 Sharp Corp 平面アンテナ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0124730A (ja) * 1998-10-19 2000-04-28 Dx Antenna Co Ltd Vhf/uhf帯フィルムアンテナ
JP3594224B2 (ja) 1999-05-28 2004-11-2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フィルムアンテナ
JP2001085921A (ja) * 1999-09-17 2001-03-30 Dx Antenna Co Ltd 平板型アンテナ
ATE292329T1 (de) * 1999-09-20 2005-04-15 Fractus Sa Mehrebenenantenne
JP2001196826A (ja) 2000-01-14 2001-07-19 Nippon Sheet Glass Co Ltd 住居窓ガラス用フィルムアンテナ
JP3651349B2 (ja) 2000-03-23 2005-05-2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フィルムアンテナ装置
JP2001345632A (ja) * 2000-06-06 2001-12-14 Kajima Corp 電磁シールド構造
JP2003090903A (ja) * 2001-06-18 2003-03-28 Shuho:Kk 透過可視性フィルタ
JP4882187B2 (ja) * 2001-08-30 2012-02-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非接触icカード及び非接触icカード送付媒体
JP2003085520A (ja) * 2001-09-11 2003-03-20 Oji Paper Co Ltd Icカードの製造方法
US6933891B2 (en) * 2002-01-29 2005-08-23 Calamp Corp. High-efficiency transparent microwave antennas
JP2003258483A (ja) * 2002-02-28 2003-09-12 Toppan Printing Co Ltd 電磁波シールド転写材及び電磁波シールド材
WO2004027923A1 (en) * 2002-09-17 2004-04-01 Pilkington Automotive Deutschland Gmbh Antenna pane
US7764239B2 (en) * 2002-09-17 2010-07-27 Pilkington Automotive Deutschland Gmbh Antenna pane including coating having strip-like segmented surface portion
JP2004289393A (ja) * 2003-03-20 2004-10-14 Nippon Antenna Co Ltd 広告掲示板
JP2005064174A (ja) 2003-08-11 2005-03-10 Shin Etsu Polymer Co Ltd 電磁波シール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42984A (ja) * 2003-11-10 2005-06-02 Shin Etsu Polymer Co Ltd 透光性アンテナ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786A3 (ko) * 2008-03-17 2009-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9611171B2 (en) * 2008-06-13 2017-04-04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9151204A1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0436B1 (ko) * 2008-06-13 2010-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0437B1 (ko) * 2008-06-13 2010-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10017726A1 (en) * 2008-06-13 2011-01-27 Hyeon Choi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412788B2 (en) 2008-06-13 2019-09-10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9151203A1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9624126B2 (en) 2008-06-13 2017-04-18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999099B2 (en) 2009-01-21 2018-06-12 Lg Chem, Ltd. Heating elem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53056B1 (ko) * 2009-06-03 2011-08-02 한국과학기술원 차량용 투명 안테나
KR101144537B1 (ko) * 2009-07-16 2012-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8916805B2 (en) 2010-01-12 2014-12-23 Lg Chem, Ltd. Heating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018568B2 (en) 2010-01-12 2015-04-28 Lg Chem, Ltd. Heating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1087235A3 (ko) * 2010-01-12 2011-1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087235A2 (ko) * 2010-01-12 2011-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122854A3 (ko) * 2010-04-01 2012-0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501529A (ja) * 2017-11-06 2021-01-14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フィルムアンテナ及びそ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20123133A (ko) * 2020-10-06 202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WO2024090616A1 (ko) * 2022-10-27 2024-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유리에 배치되는 투명 안테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8261B1 (en) 2016-07-20
EP1868261A4 (en) 2009-08-12
EP1868261A1 (en) 2007-12-19
CN101180764B (zh) 2012-02-15
JP4881858B2 (ja) 2012-02-22
WO2006106759A1 (ja) 2006-10-12
KR101060424B1 (ko) 2011-08-29
JPWO2006106759A1 (ja) 2008-09-11
TW200642164A (en) 2006-12-01
TWI380505B (ko) 2012-12-21
CN101180764A (zh) 2008-05-14
US7656357B2 (en) 2010-02-02
US20090140938A1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424B1 (ko) 차량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차량용 유리
KR101025054B1 (ko) 디스플레이용 투명 안테나 및 안테나 부착 디스플레이용투광성 부재 및 안테나 부착 하우징용 부품
JP2006287729A (ja) 建築物窓用透明アンテナ、及びアンテナ付き建築物窓用透光性部材
JP6604552B2 (ja) アンテナ
EP3890434B1 (en) Transparent heating element, heating element with cover, sensor device, and mobile object
JP5308782B2 (ja) 周波数選択型の電磁波シールド材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波吸収体
JP2006344163A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EP3968459A1 (en)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board
EP3692593B1 (en) Transparent antenna
EP3859887A1 (en)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board
US7560135B2 (en)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and light transmitt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026858B2 (en) Glass antenna device for a vehicle
JP2008259010A5 (ko)
EP1455563B1 (en) ELECTROMAGNETIC WAVE SHIELDED LIGHT−TRANSMISSIV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768212B2 (ja) アンテナ
GB2441013A (en) A sign, in particular a vehicle number plate, incorporating an RFID device and an antenna for the RFID device.
CN220253469U (zh) 天线装置
KR20240019874A (ko) 접합 글라스 안테나 구조
JP6948607B2 (ja) アンテナ
EP4322330A1 (en)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ring board
JP2014204377A (ja) フィルム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