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7493A - 라벨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라벨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7493A
KR20070037493A KR1020077001339A KR20077001339A KR20070037493A KR 20070037493 A KR20070037493 A KR 20070037493A KR 1020077001339 A KR1020077001339 A KR 1020077001339A KR 20077001339 A KR20077001339 A KR 20077001339A KR 20070037493 A KR20070037493 A KR 2007003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sheet
raw material
release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6850B1 (ko
Inventor
아키라 단가미
겐지 고바야시
요시아키 스기시타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abels or tags
    • B31D1/021Making adhesive labels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e.g. provided on carrie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abels or ta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95Delaminating from release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94Means for delaminating from release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원재료 시트(M)를 소정의 풀어냄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7)와, 원재료 시트(M)를 구성하는 박리 시트(S) 상의 라벨(L)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15)와, 박리 시트(S)의 풀어냄 방향을 부분적으로 우회시켜 라벨(L)을 박리 시트(S)로부터 박리하고, 풀어냄 방향 하류측으로 소정 거리 진행한 박리 시트(S) 상에 양품 라벨을 임시 부착하는 이행 장치(25)와, 불량 라벨이 검출되었을 때 이를 회수하는 회수 장치(22)를 구비한다. 이행 장치(25)는 불량 라벨이 검출된 후의 양품 라벨을, 선행하는 양품 라벨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박리 시트(S)의 우회 길이를 조정한다.
Figure 112007005553919-PCT00001
라벨 제조 장치, 가이드 장치, 검사 장치, 회수 장치, 우회 길이, 임시 부착

Description

라벨 제조 장치{LABEL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라벨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벨의 인쇄면이나 형상 등의 검사를 자동으로 행함과 동시에, 불량 라벨을 회수하여 양품 라벨만을 박리 시트 상에 일정 간격마다 위치하도록 임시 부착(假着)할 수 있는 라벨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띠 형태로 연속되는 박리 시트의 일방 면에 라벨이 입시 부착된 원재료 시트(web)(原反)를 이용하여, 해당 원재료 시트를 풀어내는(繰出) 과정에서 라벨의 면에 소정의 인쇄를 실시할 수 있는 라벨 제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라벨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라벨에 인쇄 불량이 존재하는지 여부, 혹은 라벨의 평면형상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 등을 검사하기 위하여, 원재료 시트의 풀어냄 방향을 따른 소정 위치에 검사 장치가 설치되고, 해당 검사 장치에서 라벨의 이상(불량 라벨)을 검출하였을 때 해당 불량 라벨을 박리 시트로부터 박리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불량 라벨을 박리하여 제거한 경우에는, 본래 일정 간격을 둔 위치에 라벨이 존재하여야 한다는 요구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라벨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소위 이빠짐 상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라벨 붙임 장치에 검사 완료된 원 재료 시트를 적용하여 해당 원재료 시트를 풀어내는 중에 라벨을 박리하면서 피착체에 붙이는 경우에, 이빠짐에 대응한 부분에 상응하여 라벨의 붙임 누락을 발생시키게 된다는 폐해를 초래한다.
이러한 이빠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불량 라벨이 검출되어 제거되었을 때, 해당 불량 라벨 이후에 검출되는 양품 라벨을 선행하는 양품 라벨 다음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임시 부착할 위치를 변경(이행)하면 되게 된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는 박리 시트에 대하여 라벨을 이행할 수 있는 라벨 제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 7-3709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라벨 제조 장치는, 띠 형태의 박리 시트 상에 임시 부착된 띠 형태의 라벨 원지를 형빼기할 때 발생한 박리 시트 상의 형빼기 자국과 라벨의 외주끝 가장자리를 비켜놓기 위하여 이행하는 구조로서, 불량 라벨을 제거하였을 때 발생하는 이빠짐 방지 대책을 강구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불량 라벨을 제거한 경우에도 그 이후의 양품 라벨을 차례대로 소정 위치로 이행시켜 양품 라벨만을 일정한 간격으로 박리 시트 상에 임시 부착할 수 있는 라벨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띠 형태의 박리 시트의 면에 라벨이 일정 간격을 두고 임시 부착된 원재료 시트를 풀어내는 과정에서 상기 라벨을 검사하는 라벨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 시트를 소정의 풀어냄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와, 상기 원재료 시트의 풀어냄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검사 장치와, 이 검사 장치를 통과한 후의 양품 라벨을 박리 시트로부터 박리하여 선행하는 박리 시트에 상기 양품 라벨을 임시 부착하는 이행 장치와, 불량 라벨이 검출되었을 때 해당 불량 라벨을 회수하는 회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행 장치는 불량 라벨이 검출된 후의 후행하는 양품 라벨을, 선행하는 양품 라벨에 대하여 상기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위치에 해당 후행하는 양품 라벨을 임시 부착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띠 형태의 박리 시트의 면에 라벨이 일정 간격을 두고 임시 부착된 원재료 시트를 풀어내는 과정에서 상기 라벨을 검사하는 라벨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 시트를 소정의 풀어냄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와, 상기 원재료 시트의 풀어냄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검사 장치와, 상기 박리 시트의 풀어냄 방향을 부분적으로 우회시킴과 동시에, 상기 검사 장치를 통과한 후의 양품 라벨을 박리 시트로부터 박리하여 풀어냄 방향 하류측으로 소정 거리 진행한 위치에 상기 양품 라벨을 임시 부착하는 이행 장치와, 불량 라벨이 검출되었을 때 해당 불량 라벨을 회수하는 회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행 장치는,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우회 길이를 조정하여 불량 라벨이 검출된 후의 후행하는 양품 라벨을, 선행하는 양품 라벨에 대하여 상기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위치에 해당 후행하는 양품 라벨을 임시 부착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원재료 시트를 대략 평면 내에서 안내함과 동시에 하류측 끝에서 상기 라벨을 박리 시트로부터 박리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행 장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류측 끝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박리 시트의 풀어냄 방향을 우회시키는 이동체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대략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된 이동 플레이트와, 이 이동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구동 장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불량 라벨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박리 시트의 우회 길이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텐션 롤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검사 장치의 상류측에 배치된 인쇄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사 장치는 라벨 인쇄면을 검출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구동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정면도.
도 4는 불량 라벨의 이행을 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5는 불량 라벨을 흡착 드럼으로 회수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6은 불량 라벨이 불량 라벨 회수 롤에 의해 회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부호의 설명>
10 : 라벨 제조 장치 15 : 검사 장치
17 : 가이드 플레이트(안내 장치) 18 : 이동 플레이트(이행 장치)
19 : 구동 장치(이행 장치) 21 : 텐션 롤(이행 장치)
22 : 회수 장치 25 : 이행 장치
40 : 텐션 롤(이행 장치) S : 박리 시트
P : 인쇄 장치 M : 원재료 시트
L : 라벨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라벨 제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라벨 제조 장치(10)는, 띠 형태의 박리 시트(S)의 일방 면에 라벨(L)이 일정 간격마다 임시 부착된 원재료 시트(M)를 지지하는 풀어내기 롤(11)과, 이 풀어내기 롤(11)의 하방에 배치되어 원재료 시트(M)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롤(12)과, 이 가이드 롤(12)을 통과한 후의 라벨(L)의 표면(도 1에서 상면)에 소정의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P)와, 이 인쇄 장치(P)에 병설되어 라벨(L)의 인쇄면을 검사하는 검사 장치(15)와, 상기 원재료 시트(M)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하류측 끝(도 1에서 우측 끝)에서 라벨(L)을 박리 시트(S)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하는 안내 장치로서의 가이드 플레이트(17)와, 해당 가이드 플레이트(17)와 대략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된 이동 플레이트(18)와, 이 이동 플레이트(18)를 가이드 플레이트(17)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구동 장치(19)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와 이동 플레이트(18) 사이의 간극(A)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박리 시트(S)의 풀어냄 방향을 우회시키는 이동체로서의 텐션 롤(21)과, 상기 검사 장치(15)에 의해 불량으로 판별된 라벨(L)을 회수하는 회수 장치(22)와, 상기 원재료 시트(M)에 풀어내기 힘(繰出力)을 부여함과 동시에, 양품 라벨(L)만이 박리 시트(S)에 일정 간격마다 임시 부착된 상태에서 원재료 시트(M)를 간헐적으로 감는 권취 롤(2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18), 구동 장치(19) 및 텐션 롤(21)에 의해, 선행하는 양품 라벨(L)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위치에 후행하는 양품 라벨(L)을 임시 부착하는 이행 장치(25)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 생략하였으나, 상기 각 구성 장치 또는 부품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지지되어 전체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여 라벨 제조 장치(10)가 구성된다.
상기 풀어내기 롤(11)은 도시하지 않은 토크 제어 가능한 모터의 출력 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일정한 회전 저항이 부여되어 원재료 시트(M)에 늘어짐을 발생시키지 않고 풀어냄을 허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쇄 장치(P)는 예를 들어 잉크 젯 프린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비접촉형 프린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원재료 시트(M)의 풀어내기는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드시 비접촉형 인쇄 장치가 아니어도 좋으며, 예를 들어 철판 인쇄, 플렉소그래픽 인쇄, 오프셋 인쇄 등의 접촉형 인쇄 장치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연속 이송으로 한 경우에도 원재료 시트(M)에 버퍼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접촉형 인쇄 장치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검사 장치(15)는 인쇄 장치(P)에서 인쇄된 라벨(L)의 인쇄면을 검사하는 것으로서, CCD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되며, 미리 기억된 화상 데이터와 인쇄면의 촬상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인쇄의 양호 여부를 판정하게 되어 있다. 이 검사 결과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 출력되며, 해당 제어 장치가 장치 각 부에 대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는 상면 측이 원재료 시트(M)의 안내면으로 되어 있으며, 하류 우측 끝이 예각으로 형성되어 박리 플레이트로서의 작용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 플레이트(18)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7)와 대략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우측 하면에 슬라이더(18A)가 폭 방향으로 두 개씩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장치(19)는 이동 플레이트(18)의 하면 측에 위치하는 베이스 부재(27)의 상면에 지지된 실린더(28)와, 상기 슬라이더(18A)를 안내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29, 2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28)의 피스톤 로드(28A)는 이동 플레이트(18)의 풀어냄 방향 하류측 끝에 연결되며, 피스톤 로드(28A)가 진퇴함으로써 이동 플레이트(18)가 도 1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진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상기 간극(A)을 확대,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텐션 롤(21)은 도시하지 않은 단축 로봇에 지지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연직 방향의 하방 쪽으로 소정 거리마다 하강하여 박리 시트(S)가 우회하는 거리를 확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수 장치(2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간극(A)을 지나는 가상 연직선(C)(도 3 참조) 상에 회전 중심을 갖는 흡착 드럼(30)과, 이 흡착 드럼(30)의 외주면에 접하는 불량 라벨 회수 롤(3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착 드럼(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다수의 흡착공(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감압 장치에 접속되어 흡착공(30A)으로 불량 라벨(L)을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흡착력은 박리 시트(S)에 대한 라벨(L)의 접착력보다 작은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불량 라벨 회수 롤(31)은 도시하지 않은 댐퍼 장치를 통하여 상시에는 흡착 드럼(30)의 외주면 쪽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이 불량 라벨 회수 롤(31)은 도 3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에 전착(轉着)되는 불량 라벨(L)의 증가에 따른 외경의 확대에 따라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정량의 불량 라벨(L)이 전착하여 축적되었을 때 불량 라벨(L)이 불량 라벨 회수 롤(31)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상기 권취 롤(24)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출력 축에 연결되어 있다. 이 권취 롤(24)은 모터의 간헐적인 회전에 의해 박리 시트(S)에 양품 라벨(L)만이 이행된 후의 원재료 시트(M)를 감는 한편, 풀어내기 롤(11)에 지지된 원재료 시트(M)에 대하여 간헐적인 풀어내기 힘을 부여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7)의 하면 측에는 포토 센서(35)가 배치되며, 해당 포토 센서(35)에 의해 라벨(L)의 전단 또는 후단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시 생략하였으나, 가이드 플레이트(17)의 하류측 부분에 는 포토 센서(35)에 대응한 잘림부가 형성되게 된다.
다음, 본 실시 형태의 라벨 제조 장치(10)의 전체적 작용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라벨(L)의 간헐 풀어냄양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일 회 풀어낼 때마다 상기 가상 연직선(C) 상에 라벨(L)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가상 연직선(C) 상에 위치하는 라벨(L)의 다음 라벨(L1)이 검사 장치(15)에서 불량 라벨로서 사전에 검출되었다고 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 그 데이터가 송신되고, 해당 불량 라벨(L1)의 풀어냄 방향 전단이 포토 센서(35)에서 검출되었을 때 상기 이동 플레이트(18)가 구동 장치(19)를 통하여 하류측(우측)으로 이동하여 불량 라벨(L1)이 이행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그리고, 흡착 드럼(30)이 불량 라벨(L1)을 흡착하고(도 4 참조), 텐션 롤 축(21)이 도 4의 2점 쇄선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즉 라벨(L)의 1피치분을 흡수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단축 로봇을 통하여 박리 시트(S)의 우회 길이를 확대하도록 소정량 하강하게 된다(도 5 참조).
이어서, 흡착 드럼(30)이 불량 라벨(L)을 흡착하여 일정량 회전한 후에, 이동 플레이트(18)가 초기의 간극(A)이 형성되는 위치까지 구동 장치(19)를 통하여 복귀된다. 그리고, 이 불량 라벨(L)에 후행하는 다음 라벨(L2)이 양품인 경우에는 해당 후행하는 양품 라벨(L2)의 이행을 허용하고, 선행하는 양품 라벨(L3)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둔 위치에 임시 부착되게 된다. 이 때, 흡착 드럼(30)의 흡착력은 박리 시트(S)에 대한 라벨(L)의 접착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품 라 벨(L2)이 흡착 드럼(30)의 흡착으로 회수되는 일은 없다.
이후 동일한 공정을 거쳐 차례대로 라벨(L)의 검사가 행해지고, 라벨(L)의 불량이 검사될 때마다 텐션 롤(21)이 단계적으로 하강하여 박리 시트(S)의 우회량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라벨(L)의 상면에 소정의 인쇄를 행하고, 해당 인쇄의 양호 여부를 검사 장치(15)에서 검사하여 양품 라벨(L)만을 선행하는 박리 시트(S) 상으로 이행시켜 권취 롤(24)로 감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감긴 원재료 시트(M)는 이빠짐 상태가 없는 양품 라벨로만 되며, 해당 원재료 시트(M)를 라벨 붙임 장치에 세팅하였을 때 피착체에 대하여 양품 라벨(L)만을 붙여, 누락을 발생시키지 않고 한 장씩 확실하게 붙일 수 있다는 종래에 없는 뛰어난 효과를 이루는 라벨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방법 등은 상기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 실시 형태에 관하여 특히 도시,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목적으로 하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형상, 위치 또는 배치 등에 관하여 필요에 따라 당업자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텐션 롤(21)이 하나인 경우를 도시, 설명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텐션 롤(40, 40)을 채용하고, 불량 라벨(L)이 검출될 때마다 텐션 롤 축(40, 40)이 단계적으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7)를 통과한 후에 박리 시트(S)를 감는 구성을 채용함과 동시에, 별도 띠 형태를 이루는 제2 박리 시트를 이동 플레이트(18) 상으로 풀어낼 수 있도록 하여 리드 끝을 권취 롤(24)로 감도록 구성하고, 해당 제2 박리 시트에 양품 라벨(L)을 이행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이행 장치(21)의 설계 변경도 가능해진다. 즉, 적당한 흡착 헤드를 구비한 이행 로봇을 별도로 설치하고, 이 이행 로봇으로 양품 라벨(L)을 흡착 박리하여 제2 박리 시트 상의 양품 라벨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이행시킬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한 장의 불량 라벨이 검출되어 제거, 회수되었을 때, 해당 불량 라벨에 의해 후행하는 양품 라벨이 선행하는 양품 라벨에 대하여 라벨 한 장만큼 지연된 위치가 되지 않도록, 즉 이빠짐 상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이행시키는 구성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박리 시트(S)의 면에 미리 라벨(L)이 형성된 원재료 시트(M)를 대상으로 하여 풀어내기 롤(11)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박리 시트(S)와 동일한 띠 형태를 이루는 라벨 기재가 박리 시트(S)에 임시 부착된 것을 대상으로 하고, 이를 풀어내는 과정에서 라벨 형상으로 빼기 가공을 실시하여 불필요한 외측의 라벨 기재 부분을 회수하고, 그 이후에 인쇄를 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검사 장치(15)에 의한 검사 대상은 인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라벨 형상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 장치에 의해 불량 라벨이 검출되었을 때 해당 불량 라벨을 회수 장치에 의해 제거할 수 있는 한편, 후행하는 양품 라벨을 박리하여 선행하는 박리 시트 상의 양품 라벨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위치로 이행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라벨 검사 완료된 원재료 시트를 감아 별도의 라벨 붙임 장치에 적용하였을 때 피착체에 대한 라벨의 붙임 누락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검사 완료된 라벨을 감지 않고 후속 공정에서 라벨 붙임 장치를 연속시킨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검사 후에 양품 라벨을 일단 박리하여 선행하는 박리 시트에 다시 임시 부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전 공정에서 라벨을 형빼기하여 형성할 때 박리 시트 상에 남는 형빼기 자국에 라벨 외연이 정확하게 일치하여 재임시 부착되지 않는 것으로 인해 상기 양품 라벨의 점착제가 박리 시트 상의 형빼기 자국에 들어가게 된다는 폐해도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5)

  1. 띠 형태의 박리 시트의 면에 라벨이 일정 간격을 두고 임시 부착된 원재료 시트를 풀어내는 과정에서 상기 라벨을 검사하는 라벨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 시트를 소정의 풀어냄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와, 상기 원재료 시트의 풀어냄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검사 장치와, 이 검사 장치를 통과한 후의 양품 라벨을 박리 시트로부터 박리하여 선행하는 박리 시트에 상기 양품 라벨을 임시 부착하는 이행 장치와, 불량 라벨이 검출되었을 때 해당 불량 라벨을 회수하는 회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행 장치는 불량 라벨이 검출된 후의 후행하는 양품 라벨을, 선행하는 양품 라벨에 대하여 상기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위치에 해당 후행하는 양품 라벨을 임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 장치.
  2. 띠 형태의 박리 시트의 면에 라벨이 일정 간격을 두고 임시 부착된 원재료 시트를 풀어내는 과정에서 상기 라벨을 검사하는 라벨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 시트를 소정의 풀어냄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와, 상기 원재료 시트의 풀어냄 방향을 따라 배치된 검사 장치와, 상기 박리 시트의 풀어냄 방향을 부분적으로 우회시킴과 동시에, 상기 검사 장치를 통과한 후의 양품 라벨을 박리 시트로부터 박리하여 풀어냄 방향 하류측으로 소정 거리 진행한 위치에 상기 양품 라벨을 임시 부착하는 이행 장치와, 불량 라벨이 검출되었을 때 해당 불량 라 벨을 회수하는 회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행 장치는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우회 길이를 조정하여 불량 라벨이 검출된 후의 후행하는 양품 라벨을, 선행하는 양품 라벨에 대하여 상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위치에 해당 후행하는 양품 라벨을 임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원재료 시트를 대략 평면 내에서 안내함과 동시에 하류측 끝에서 상기 라벨을 박리 시트로부터 박리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이행 장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류측 끝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박리 시트의 풀어냄 방향을 우회시키는 이동체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대략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된 이동 플레이트와, 이 이동 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불량 라벨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박리 시트의 우회 길이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텐션 롤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장치의 상류측에 배치된 인쇄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사 장치는 라벨 인쇄면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제조 장치.
KR1020077001339A 2004-07-26 2005-07-20 라벨 제조 장치 KR101186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16944A JP4585805B2 (ja) 2004-07-26 2004-07-26 ラベル製造装置
JPJP-P-2004-00216944 2004-07-26
PCT/JP2005/013270 WO2006011395A1 (ja) 2004-07-26 2005-07-20 ラベル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493A true KR20070037493A (ko) 2007-04-04
KR101186850B1 KR101186850B1 (ko) 2012-10-02

Family

ID=3578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339A KR101186850B1 (ko) 2004-07-26 2005-07-20 라벨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53097B2 (ko)
EP (1) EP1772256A1 (ko)
JP (1) JP4585805B2 (ko)
KR (1) KR101186850B1 (ko)
CN (1) CN1989002B (ko)
WO (1) WO20060113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221B1 (ko) * 2015-01-13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불량영역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41024A1 (de) * 2005-08-23 2007-03-01 Bielomatik Leuze Gmbh + Co.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Erzeugen einer fehlerfreien Trägerbahn
DE102006015466A1 (de) * 2006-03-31 2007-10-04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Folientransferwerk mit Friktionswelle
JP4865439B2 (ja) * 2006-07-28 2012-02-01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ラベル再貼付装置
EP1905600B1 (en) * 2006-09-27 2010-12-08 FUJIFILM Corporation Label printer and method of making labels
JP4949988B2 (ja) * 2007-10-02 2012-06-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貼付装置
EP2055472B1 (de) * 2007-10-29 2010-10-13 F. Hoffmann-La Roch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ndware mit diagnostischen Hilfsmitteln
US8477146B2 (en) * 2008-07-29 2013-07-02 Marvell World Trade Ltd. Processing rasterized data
JP5157754B2 (ja) * 2008-08-28 2013-03-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ュリンク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検査方法
US8976200B1 (en) 2009-03-18 2015-03-10 Marvell International Ltd. Display controller for rotation of image data
US8167017B2 (en) * 2009-11-13 2012-05-01 Pitney Bowes Inc. Multi-mode system for dispensing adhesive-backed labels
US8047250B2 (en) * 2009-11-23 2011-11-01 Pitney Bowes Inc. Postage label dispensing system and repositionable peeler guide therefor
JP5566143B2 (ja) * 2010-03-17 2014-08-06 株式会社岩田レーベル 貼付用のラベルの搬送ラインにおける不良ラベル回収装置及びラベル貼付装置
JP5554167B2 (ja) * 2010-07-12 2014-07-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貼付装置
JP5627083B2 (ja) * 2010-07-12 2014-11-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製造装置
JP5597578B2 (ja) * 2011-02-25 2014-10-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DE102011108882A1 (de) 2011-07-28 2013-01-31 Mühlbau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ortieren von auf einem Trägerband bereitgestellten Etiketten
JP2013095005A (ja) * 2011-10-31 2013-05-20 Miyakoshi Printing Machinery Co Ltd ラベル型抜き方法及びその装置
CN102553836A (zh) * 2011-11-10 2012-07-11 北京中鼎高科自动化技术有限公司 胶粘制品模切后的自动品检分类方法
JP6136449B2 (ja) * 2013-03-28 2017-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ベル生産装置、及び、ラベル生産方法
JP2014191707A (ja) * 2013-03-28 2014-10-06 Seiko Epson Corp ラベル生産装置、及び、ラベル生産方法
JP6168832B2 (ja) * 2013-04-26 2017-07-26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ラベル分別装置
DE102013212495A1 (de) * 2013-06-27 2014-12-3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spektion einer konturierten Fläche,insbesondere des Unterbodens eines Kraftfahrzeugs
CN103753944B (zh) * 2014-01-15 2015-10-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对柔性显示膜进行剥离的方法和装置
CN103935118A (zh) * 2014-04-30 2014-07-23 苏州工业园区天势科技有限公司 标签印刷质量的检查装置
EP3012782B2 (en) * 2014-10-22 2019-10-23 Textilma Ag Web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base web
JP6554311B2 (ja) * 2015-04-30 2019-07-31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ラベル加工装置及びラベル加工方法
JP6637251B2 (ja) * 2015-04-30 2020-01-29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ラベル加工装置及びラベル加工方法
JP6551086B2 (ja) * 2015-09-10 2019-07-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検査装置
JP6496223B2 (ja) * 2015-09-24 2019-04-03 株式会社ミヤコシ 積層ラベル体の製造装置
JP6682843B2 (ja) * 2015-12-18 2020-04-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巻取装置およびラベル印刷装置
JP6679164B2 (ja) * 2016-03-31 2020-04-15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ラベル製造装置
DE202016004428U1 (de) * 2016-07-20 2017-10-23 Barry-Wehmiller Papersystems, Inc. Vorrichtung zum Aufbringen von Datenträgern auf eine Trägerbahn
KR20180111562A (ko) * 2017-03-30 2018-10-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검사 장치, 검사 방법 및 필름 권회체의 제조 방법
CN111086277B (zh) * 2020-01-06 2021-10-01 嘉兴市昭彰彩印有限公司 一种礼品包装纸罐外壁贴纸不干胶粘贴制作方法
CN112644836A (zh) * 2020-12-14 2021-04-13 泸州韶光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标签剥离方法
CN113409677A (zh) * 2021-07-16 2021-09-17 浙江永韬新材料有限公司 一种轮胎标签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2023082846A (ja) * 2021-12-03 2023-06-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Rfidタグピッチ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0627A1 (de) 1984-08-20 1986-02-27 Zweckform Werk Gmbh, 8150 Holzkirchen Etikettentraegerband
US5167752A (en) * 1990-10-31 1992-12-01 Cl & D Graphics Inc. Apparatus for making laminated web with spaced removable elements
JPH05305932A (ja) * 1992-04-23 1993-11-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銘板自動貼付け機
JPH0737090A (ja) 1993-07-19 1995-02-07 Yaskawa Electric Corp 画像処理装置
JPH10268777A (ja) * 1997-03-26 1998-10-09 Nitto Denko Corp ライナレスラベルの製造方法
US5938890A (en) * 1998-06-27 1999-08-17 Automatic Manufacturing Systems, Inc. Adhesive components peel and apply apparatus and method
IT1310276B1 (it) * 1999-07-27 2002-02-11 Neri S P A Stazione per il controllo di eticchette,in particolare autoadesive, in una macchina etichettatrice .
JP4048658B2 (ja) 1999-09-16 2008-02-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ラベル製造装置およびラベル製造方法
TW467118U (en) * 2000-10-05 2001-12-01 Power Asia Co Ltd Kk Automatic fault-correcting structure for pasting labels in label pasting machine
FI113809B (fi) 2000-11-01 2004-06-15 Rafsec Oy Menetelmä älytarran valmistamiseksi sekä älytarra
JP2003334872A (ja) * 2002-05-17 2003-11-25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ラベル連続体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841018B2 (en) * 2002-06-28 2005-01-11 Thomas Pituch Label reconciliation device and method
JP4071618B2 (ja) * 2002-12-26 2008-04-0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ラベルリジェク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221B1 (ko) * 2015-01-13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불량영역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850B1 (ko) 2012-10-02
US7753097B2 (en) 2010-07-13
CN1989002A (zh) 2007-06-27
US20080029221A1 (en) 2008-02-07
CN1989002B (zh) 2011-08-03
WO2006011395A1 (ja) 2006-02-02
JP4585805B2 (ja) 2010-11-24
EP1772256A1 (en) 2007-04-11
JP2006035555A (ja)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850B1 (ko) 라벨 제조 장치
EP2823362B1 (en) Printing system
US5300160A (en) Label transfer device and method
KR20060050253A (ko) 라벨 첩부장치 및 첩부방법
US54372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adhesive backed media
KR101021337B1 (ko) 플렉시블기판용 필름부착장치
KR20120092128A (ko) 라벨 제거 장치
JP5001942B2 (ja) 欠陥無しの支持体ウェブを連続的に生産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5038471B2 (ja) ラベル製造装置及びラベル製造方法
CN111483136A (zh) 供料装置和覆膜设备
JP4791174B2 (ja) ラベル貼付装置及びラベル貼付方法
JP3411544B2 (ja) 長尺シートのブランキングラインにおける不良ブランクの排除装置
JP6196116B2 (ja) 空袋供給検査装置
JP2008290849A (ja) 紙継ぎ方法,紙継ぎ装置及び給紙装置並びにオフセット輪転印刷機
JP4445457B2 (ja) フィルム剥離装置
JP600470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検査方法
JP4865599B2 (ja) 小巻装置
KR101762552B1 (ko) 전자기기용 테이프형 패키지원단 제조용 박막시트지 부착장치
JP2004184087A (ja) 帯状物の欠陥検査方法および欠陥検査装置
JP6083155B2 (ja) 媒体送り装置および記録装置
CN211644083U (zh) 高温胶带自动粘贴装置
JP2013166104A (ja) 除塵装置
JP2825316B2 (ja) プリント基板の検出マーク捺印装置
JP5209104B2 (ja) 小巻装置
JP5391524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