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240A - 위상차 필름, 그 제조방법, 광학필름, 화상표시장치, 액정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위상차 필름, 그 제조방법, 광학필름, 화상표시장치, 액정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240A
KR20060050240A KR1020050071633A KR20050071633A KR20060050240A KR 20060050240 A KR20060050240 A KR 20060050240A KR 1020050071633 A KR1020050071633 A KR 1020050071633A KR 20050071633 A KR20050071633 A KR 20050071633A KR 20060050240 A KR20060050240 A KR 20060050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quid crystal
retardation film
retardation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5252B1 (ko
Inventor
사토루 가와하라
마사키 하야시
슈우지 야노
겐지 요다
겐타로우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4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the refractive index Nz perpendicular to the element surface being different from in-plane refractive indices Nx and Ny, e.g. biaxial or with normal op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과제) 응력에 의해 위상차값의 어긋남이나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고, 또 nx>nz>ny 의 관계를 갖는 위상차 필름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으로서, 하기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10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01
(nx-ny)·d
Figure 112005043324623-PAT00002
350㎚ ···(1)
0.1
Figure 112005043324623-PAT00003
(nx-nz)/(nx-ny)
Figure 112005043324623-PAT00004
0.9 ···(2)
[단, 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및 두께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고, d(㎚) 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로 한다. 지상축 방향은 위상차 필름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한다.]
위상차 필름, 편광판, 액정 패널

Description

위상차 필름, 그 제조방법, 광학필름, 화상표시장치, 액정 패널 및 액정표시장치{PHASE DIFFERENC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FILM,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의 액정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 은 본 발명의 액정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 은 본 발명의 액정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 은 본 발명의 액정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 는 본 발명의 액정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액정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값과 Nz 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 는 실시예 1-1 의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을 나타내는 사진.
도 13 은 비교예 2-1 의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을 나타내는 사진.
도 14 는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의 일례.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편광판 1a:편광자
1b, 1c:투명보호필름 2:위상차 필름
3:광학필름 4:편광판
4a:편광자 4b, 4c:투명보호필름
5:액정 셀 6:액정 패널
402: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
418:연신필름 (위상차 필름)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2-160204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305217호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0-39610호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4-305602호
특허문헌 5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5-157911호
본 발명은 위상차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위상차 필름과 편광자 또는 편광판을 조합한 광학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위상차 필름, 광학필름은, 액정표시장치, 유기 EL 표시장치, PDP 등의 화상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 또는 OCB 모드의 액정 셀의 시야각 보상에 적합하고, 그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광학필름은 액정 패널, 액정표시장치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의 양쪽에 편광자가 배치된 액정 패널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에서는, 액정 셀의 복굴절에 의한 위상차를 정면방향 및 경사방향에서 광학보상하기 때문에, 상기 액정 셀과 편광자 사이에는 위상차 필름이 배치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경사방향의 표시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값이 경사방향에서 각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각도에 상관없이 위상차값이 거의 일정한 위상차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상기 위상차 필름은 필름의 지상축 (遲相軸) 방향, 진상축 (進相軸) 방향 및 두께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였을 때, nx>nz>ny 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위상차 필름과 편광판을 사용한 광학필름이나 상기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여 경사방향의 시야각 특성을 개선한 IPS 모드나 VA 모드의 액정표시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nx>nz>ny 의 관계를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으로는, 고분자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수축성 필름을 접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고, 그 적층체를 가열 연신 처리하여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5). 이 제조방법에서는, 고분자필름의 굴절률 분포를 연신 전후로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되는 고분자필름으로는 낮은 연신 배율로 위상차가 생기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나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등의 방향족계 고분자필름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방향족계 고분자필름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크기 때문에, 응력에 대하여 위상차가 변화하기 쉽다. 그 때문에, 액정 셀과 편광자 사이에 접합 배치된 상태로 고온에 노출된 경우, 편광자의 수축 응력에 의해 위상차값이 설계값에서 벗어나거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한 경우 백라이트의 열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의 불균일에 의해 위상차값의 불균일이 발생하거나 하여, 표시 특성을 악화시키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 한편,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 등의 지방족계 수지 필름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작다. 그러나, 지방족계 수지 필름은 위상차가 잘 생기지 않기 때문에, 방향족계 고분자필름과 같은 낮은 연신 배율에서는 물론, 높은 연신 배율로 연신한 경우에도 원하는 위상차값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높은 연신 배율로 연신하는 경우에는, 필름이 파단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응력에 의해 위상차값의 어굿남이나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고, 또 nx>nz>ny 의 관계를 갖는 위상차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위상차 필름과 편광자를 조합한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 그 광학필름을 사용한 액정 패널을 제공하는 것, 나아가 위상차 필름, 광학필름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등의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 및 그 제조방법 등에 의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으로서, 하기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10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05
(nx-ny)·d
Figure 112005043324623-PAT00006
350㎚ ···(1)
0.1
Figure 112005043324623-PAT00007
(nx-nz)/(nx-ny)
Figure 112005043324623-PAT00008
0.9 ···(2)
[단, 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및 두께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고, d(㎚) 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로 한다. 지상축 방향은 위상차 필름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한다.]
2. 상기 위상차 필름의 23℃ 에서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1.0×10-12㎡/N∼12.0×10-12㎡/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
3.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
4.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수축성 필름을 부착하고, 하기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도록 가열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0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09
(nx-ny)·d
Figure 112005043324623-PAT00010
350㎚ ···(1)
0.1
Figure 112005043324623-PAT00011
(nx-nz)/(nx-ny)
Figure 112005043324623-PAT00012
0.9 ···(2)
[단, 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및 두께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고, d(nm) 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로 한다. 지상축 방향은 위상차 필름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한다.]
5. 상기 고분자필름의 두께가 10∼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 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6. 상기 고분자필름의 연신 온도가 상기 고분자필름의 Tg+1℃∼Tg+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 또는 5 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7. 상기 고분자필름의 연신 배율이 1.05∼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8. 상기 수축성 필름은, 140℃ 에서의 길이방향의 수축률:S140(MD) 가 4∼20% 이고, 또 폭방향의 수축률:S140(TD) 가 4∼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9. 상기 수축성 필름은 160℃ 에서의 길이방향의 수축률:S160(MD) 가 10∼ 30% 이고, 또 폭방향의 수축률:S160(TD) 가 32∼6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0. 상기 수축성 필름은, 14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률:S140(TD) 와 길이방향의 수축률:S140(MD) 의 차:ΔS140=S140(TD)-S140(MD) 가 0.5%
Figure 112005043324623-PAT00013
ΔS14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14
10%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1. 상기 수축성 필름은, 16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률:S160(TD) 와 길이방향의 수축률:S160(MD) 의 차:ΔS160=S160(TD)-S160(MD) 가 5%
Figure 112005043324623-PAT00015
ΔS16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16
50%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2. 상기 수축성 필름은, 14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 응력 T140(TD) 가 0.2∼1.2N/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3. 상기 수축성 필름은, 15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 응력 T150(TD) 가 0.3∼1.3N/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4. 상기 수축성 필름이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5.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이, 편광자, 또는 편광자의 한 쪽 또는 양쪽에 투명보호필름을 구비한 편광판의 적어도 한 쪽에 적층된 광학필름이고,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 또는 직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6.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이, 편광자의 한 쪽 또는 양쪽에 투명보호필름을 구비한 편광판의 적어도 한 쪽에 적층된 광학필름이고,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 또는 직교이며, 상기 위상차 필름이 적층되는 편광판의 적어도 한 쪽에는 투명보호필름을 구비하고, 당해 투명보호필름이 하기 식 (3) 및 식 (4)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0㎚<(nx-ny)·d
Figure 112005043324623-PAT00017
5㎚ ···(3)
0㎚<(nx-nz)·d
Figure 112005043324623-PAT00018
15㎚ ···(4)
[단, 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및 두께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고, d(nm) 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로 한다. 지상축 방향은 위상차 필름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한다.]
17.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 또는 상기 15 또는 16 에 기재된 광학필름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8. 액정 셀의 양쪽에 편광자를 갖는 액정 패널로서,
액정 셀의 적어도 한 쪽에는 상기 15 또는 상기 16 에 기재된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19. 상기 액정 셀이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 또는 OCB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8 에 기재된 액정 패널.
20. 상기 18 또는 19 에 기재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1. 상기 18 또는 19 에 기재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텔레비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노르보르넨 수지로는, 출발원료 (모노머) 의 일부 또는 전부에 노르보르넨 고리를 갖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를 말한다. 또한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는, 출발원료 (모노머) 에는 노르보르넨 고리 (노르보르난 고리에 2중 결합을 가진 것) 를 가진 것이 사용되지만, (공)중합체의 상태에서는 구성 단위에 노르보르난 고리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상기 구성 단위에 노르보르난 고리가 없는 노르보르넨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개열(開裂)에 의해 5원 고리가 되는 것, 대표적으로는 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5-페닐노르보르넨 등이나 그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가 공중합체인 경우, 그 분자의 배열상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랜덤 공중합체일 수도 있고 블록 공중합체일 수도 있으며, 그래프트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공)중 합체, 또한 이것의 말레산 부가, 시클로펜타디엔 부가 등의 폴리머 변성물, 또한 이들을 수소 첨가한 수지;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부가 중합시킨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에는 1종 이상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α-올레핀류, 시클로알켄류 및/또는 비공액 디엔류와의 개환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한다. 또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부가 (공)중합시킨 수지에는 1종 이상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α-올레핀류, 시클로알켄류 및/또는 비공액 디엔류와의 부가형 공중합시킨 수지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이다. 성형가공성이 우수하고, 균일성이 높으며, 큰 위상차값을 가진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구성 단위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하기 일반식 (Ⅰ), 하기 일반식 (Ⅱ) 및/또는 하기 일반식 (Ⅲ) 으로 표시되는 구조인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이다.
Figure 112005043324623-PAT00019
Figure 112005043324623-PAT0002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21
일반식 (Ⅰ), (Ⅱ) 및 (Ⅲ) 중 R1∼R14 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할로겐화 알킬기, C1-C4 의 알킬기, C1-C4 의 알킬리덴기, C1-C4 의 알케닐기, C1-C4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아르알킬옥시기, 히드록시알킬기, 시아노기, C4-C10 의 시클로알킬기, 아실옥시기 및 그 치환 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다. n 은 2 이상의 정수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Ⅰ) 중 R1∼R4 는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할로겐화 알킬기, C1-C4 의 알킬기, C1-C4 의 알킬리덴기, C1-C4 의 알케닐기, C1-C4 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아르알킬옥시기, C4-C10 의 시클로알킬기 및 아실옥시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다. n 은 2 이상의 정수이다. 또한, 특히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Ⅱ) 중 R5∼R8 은 수소원 자, 할로겐원자, 할로겐화 알킬기, C1-C4 의 알킬기, C1-C4 의 알킬리덴기, C1-C4 의 알케닐기 및 C1-C4 의 알콕시카르보닐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다. n 은 2 이상의 정수이다. 또한, 특히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Ⅲ) 중 R9∼R14 는 수소원자 및 C1-C4 의 알킬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다. n 은 2 이상의 정수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Ⅰ) 중 R1 및 R2 는 수소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메틸기, 에틸기, 메틸리덴기, 에틸리덴기, 비닐기, 프로페닐기,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페닐기, 에틸페닐기, 벤조일옥시기 및 시클로헥실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다. R3 및 R4 는 수소원자이다. n 은 2 이상의 정수이다.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Ⅱ) 중 R5 및 R6 은 수소원자,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메틸기, 에틸기, 메틸리덴기, 에틸리덴기, 비닐기, 프로페닐기, 메톡시카르보닐기 및 에톡시카르보닐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다. R7 및 R8 은 수소원자이다. n 은 2 이상의 정수이다.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반식 (Ⅲ) 중 R9∼R12 는 수소원자 및/또는 메틸기이고,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다. R13 및 R14 는 수소원자이다. n 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로는, 종래 공지된 것에서 적당히 적절한 것을 선 택할 수 있다. 구체예로는, 비시클로[2.2.1]-헵토-2-엔(관용명:노르보르넨) 및 그 유도체, 예를 들어 5-메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5-디메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프로필-비시클로[2.2.1]-헵토-2-엔, 5-부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메틸리덴-비시클로[2.2.1]-헵토-2-엔, 5-에틸리덴-비시클로[2.2.1]-헵토-2-엔, 5-비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프로페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메톡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에톡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메틸-5-메톡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메틸-5-에톡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페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시클로헥실-비시클로[2.2.1]-헵토-2-엔, 5-벤조일옥시-5-메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트리플루오로메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벤질-비시클로[2.2.1]-헵토-2-엔, 5-톨릴-비시클로[2.2.1]-헵토-2-엔, 5-(에틸페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이소프로필페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시아노-비시클로[2.2.1]-헵토-2-엔, 비시클로[2.2.1]-헵토-5-에닐-2-프로피오네이트, 비시클로[2.2.1]-헵토-5-에닐-2-메틸옥타네이트, 비시클로[2.2.1]-헵토-5-엔-5,6-디카르복실산 이무수물, 5-히드록시메틸-비시클로[2.2.1]-헵토-5-엔 등 및 이들의 할로겐 등의 극성기 치환체를 들 수 있다.
또, 트리시클로[4.3.12,5.01,6]-데카-3,7-디엔(관용명:디시클로펜타디엔) 및 그 유도체, 예를 들어 트리시클로[4.3.12,5.01,6]-데카-3-엔, 2-메틸-트리시클로 [4.3.12,5.01,6]-데카-3-엔, 5-메틸-트리시클로[4.3.12,5.01,6]-데카-3-엔 등 및 이들의 할로겐 등의 극성기 치환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트리시클로[4.4.12,5.01,6]-운데카-3,7-디엔, 트리시클로[4.4.12,5.01,6]-운데카-3,8-디엔 및 그 유도체, 예를 들어 트리시클로[4.4.12,5.01,6]-운데카-3-엔 등 및 이들의 할로겐 등의 극성기 치환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관용명:테트라시클로도데센) 및 그 유도체, 예를 들어 8-메틸-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에틸-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메틸리덴-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에틸리덴-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비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프로페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에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n-프로폭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부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페녹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시클로[4.4.12,5.17,10.0]- 도데카-3-엔, 8-메틸-8-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메틸-8-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메틸-8-에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메틸-8-n-프로폭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메틸-8-부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메틸-8-페녹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등 및 이들의 할로겐 등의 극성기 치환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는 임의로 적절하게 변성시키고 나서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로는, 5-메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토-2-엔, 5-메톡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메틸-5-메톡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토-2-엔, 5-페닐-비시클로[2.2.1]-헵토-2-엔, 트리시클로[4.3.12,5.01,6]-데카-3,7-디엔, 트리시클로[4.3.12,5.01,6]-데카-3-엔, 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메틸-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8-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12,5.17,10.0]-도데카-3-엔 및 8-메틸-8-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 [4.4.12,5.17,10.0]-도데카-3-엔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가 사용된다.
상기 α-올레핀류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2∼20 인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인 것이며,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3-메틸-1-부텐, 1-펜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4,4-디메틸-1-펜텐, 1-헥센, 3-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에이코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이들 α-올레핀류는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비닐계 모노머를 공중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시클로알켄류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3-메틸-시클로헥센, 3,4-디메틸-시클로헥센, 2-(2-메틸부틸)-1-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6-브로모-3-클로로-4-메틸시클로헥센, 3a,5,6,7a-테트라히드로-4,7-메타노-1H-인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시클로알켄류는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비닐계 모노머를 공중합시킬 수도 있다.
비공액 디엔류로는, 예를 들어 1,4-헥사디엔, 4-메틸-1,4-헥사디엔, 5-메틸-1,4-헥사디엔, 1,7-옥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공액 디엔류는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 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비닐계 모노머를 공중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등을 메타세시스 반응시켜 개환 (공)중합체를 얻고, 다시 그 개환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NTS 출판 「옵티컬 폴리머 재료의 개발·응용 기술」 제103페이지∼제111페이지(2003년 판) 에 기재된 방법이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116780호의 단락 [0059]∼[0060] 에 기재된 방법,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350017호의 단락 [0035]∼[0037] 에 기재된 방법,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8698호의 단락 [0053] 에 기재된 방법 등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메타세시스 반응에 사용되는 개환 중합용 촉매로는,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백금 등의 금속의 할로겐화물;질산염 또는 아세틸아세톤 화합물, 및 환원제로 이루어지는 중합촉매;또는 티탄, 바나듐, 지르코늄, 텅스텐, 몰리브덴 등의 금속의 할로겐화물 또는 아세틸아세톤 화합물, 및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합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온도, 압력 등의 반응 조건은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종류나 목적으로 하는 분자량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지만, 통상 중합온도의 범위는 -50℃∼100℃ 가 바람직하고, 중합 압력의 범위는 0∼50kgf/㎠ 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는, 공지된 수소화 촉매의 존재 하에서 수소를 불어 넣어 실시하는 수소 첨가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수소화 촉매의 구체예로는, 아세트산코발트/트리에틸알루미늄, 니 켈아세틸아세토네이트/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티타노센디클로리드/N-부틸리튬, 지르코노센디클로리드/sec-부틸리튬, 테트라부톡시티타네이트/디메틸마그네슘 등의 천이금속 화합물/알킬금속 화합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균일계 촉매;니켈, 팔라듐, 백금 등의 불균일계 금속 촉매;니켈/실리카, 니켈/규조토, 니켈/알루미나, 팔라듐/카본, 팔라듐/실리카, 팔라듐/규조토, 팔라듐/알루미나 등의 금속 촉매를 담체에 담지하여 이루어지는 불균일계 고체 담지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부가 (공)중합시킨 수지는,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1-292601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노르보르넨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톨루엔용매에 의한 겔 투과형 크로마토그래피(GPC)법으로 측정한 값이, 바람직하게는 20,000∼400,000, 더 바람직하게는 30,000∼3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00∼200,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00∼80,000 의 범위인 것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이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용해성, 성형성, 유연(流涎)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가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것인 경우, 수소 첨가율은 내열열화성, 내광열화성의 관점에서 통상 90% 이상인 것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상기 수소 첨가율은 그 수지의 1H-NMR(500MHz) 을 측정하여 파라핀계 수소와 올레핀계 수소의 각 적분강도비로부터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2종류 이상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일 수도 있다. 또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와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일 수도 있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으로는, 바람직하게는 그 위상차 필름의 전체 고형분 100 에 대하여 0 (중량비) 를 초과하고 50 (중량비)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 (중량비) 를 초과하고 40 (중량비) 이하이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작고 양호한 파장분산 특성을 나타내며, 또한 내구성이나 기계적 강도,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열가소성 수지로는 목적에 따라 적당히 적절한 것이 선택된다. 구체예로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등의 범용 플라스틱;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액정성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수지 등의 수퍼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또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임의로 적절하게 폴리머 변성시키고 나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 머 변성의 예로는, 공중합, 가교, 분자말단, 입체규칙성 등의 변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이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와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인 경우, 다른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게는 스티렌계 수지이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그 위상차 필름의 파장분산 특성이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을 조정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스티렌계 수지」란, 스티렌계 모노머를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를 말한다. 상기 스티렌계 모노머로는,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p-니트로스티렌, p-아미노스티렌, p-카르복시스티렌, p-페닐스티렌, 2,5-디클로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상기 스티렌계 모노머와 2종류 이상의 다른 모노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그 구체예로는,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가 상기 스티렌계 모노머와 2종류 이상의 다른 모노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공중합체인 경우, 스티렌계 모노머의 함유율이,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상 100 (몰%) 미만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상 100 (몰%) 미만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상 100 (몰%) 미만이다. 상기 범위이면,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작고 파장분산 특성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수지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용매에 의한 겔 투과형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으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 바람직하게는 1,000∼ 400,000, 더 바람직하게는 2,000∼300,000 의 범위인 것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이면 용해성, 성형성이 좋은 것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액으로부터의 캐스팅법이나 용융압출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고분자필름을 형성하는 노르보르넨계 수지는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의 것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혼합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캐스팅법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혼합성분을 소정 비율로 용매와 함께 교반 혼합하여 균일 용액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융압출법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양자를 소정 비율로 용융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평활성을 높여 양호한 광학 균일성을 얻기 위해, 용액으로부터의 캐스팅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캐스팅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로는,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톡시벤젠, 1,2-디메톡시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오르토디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페놀, 파라클로로페놀 등의 페놀류, 디에틸에테르, 디부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아니솔,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2-펜타논, 3-펜타논, 2-헥사논, 3-헥사논, 2-헵타논, 3-헵타논, 4-헵타논, 2,6-디메틸-4-헵타논,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케톤류, n-부탄올이나 2-부탄올, 시클로헥산올, 이소프로필알코올, t-부틸알코올이나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2-메틸-2,4-펜탄디올 등의 알코올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아세토니트릴, 부티로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메틸셀로솔브, 아세트산메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락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기타, 염화메틸렌, 이황화탄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도 상기 용매의 예로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매로는,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클로로벤젠, 트리메틸벤젠, 디에틸벤젠, 이소프로필벤젠, 클로로벤젠 등이 적합하다. 용해성과 도프의 안정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자일렌, 에틸벤젠, 클로로벤젠이 사용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캐스팅법에서 사용되는 용액의 전체 고형분 농도는 수지의 용해성, 도공점도, 기재 상에 대한 젖음성, 도포 후의 두께 등에 따라 다르지만, 평활성이 높은 고분자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형분을 2∼100중량부, 또한 4∼50중량부, 특히 5∼30중량부 용해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필름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잔존용매, 안정제, 가소제, 노화방지제, 대전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 그 밖의 성분을 필요에 따라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조도를 작게 하기 위해 레벨링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벨링제로는, 예를 들어 불소계 비이온 계면활성제, 특수 아크릴 수지 계 레벨링제, 실리콘계 레벨링제 등 도료용 레벨링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용매와의 상용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은 노르보르넨계 수지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0001∼0.005중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5∼0.003중량부이다.
상기 고분자필름의 두께 범위는 설계하는 위상차값이나 연신성, 위상차값이 생기기 쉽다는 점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지만, 10∼500㎛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20∼300㎛ 이다. 상기 범위라면 필름의 충분한 자기 지지성이 얻어져, 광범위한 위상차값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고분자필름의 광투과율은 파장 590㎚ 에서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에 대해서도 동일한 광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10∼185℃ 인 것이 바람직하다. Tg 가 110℃ 이상이면 내구성이 높은 필름을 쉽게 얻을 수 있게 되고, 185℃ 이하의 온도라면 연신에 의해 필름면내 및 두께방향의 위상차값을 제어하기 쉽다. 더 바람직하게는 120∼170℃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160℃ 이다. 유리 전이 온도 (Tg) 는 JIS K7121 에 준한 DSC 법에 의해 구한 값이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으로서, 하기 식 (1) 및 식 (2) 를 만족한다.
10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22
(nx-ny)·d
Figure 112005043324623-PAT00023
350㎚ ···(1)
0.1
Figure 112005043324623-PAT00024
(nx-nz)/(nx-ny)
Figure 112005043324623-PAT00025
0.9 ···(2)
[단, 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및 두께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고, d(㎚) 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로 한다. 지상축 방향은 위상차 필름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한다.]
또 상기 위상차 필름의 두께 범위는 100∼500㎛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20∼300㎛ 이다. 상기 범위이면 필름의 충분한 자기 지지성이 얻어져 광범위한 위상차값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식 (1) 은 파장 590㎚ 의 광에 대한 필름면내의 위상차값:Re(590) 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고, Re(590)=(nx-ny)×d 이다. 즉,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10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26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27
350㎚ 를 만족하는 것이다.
위상차 필름을 λ/2판으로 사용한 경우, 바람직한 Re(590) 으로는 200㎚<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28
350㎚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29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30
300㎚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31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32
280㎚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65㎚
Figure 112005043324623-PAT00033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34
275㎚ 이다. 상기 Re(590) 의 값을 측정 파장의 약 1/2 로 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특성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을 λ/2판으로 사용한 경우, 그 두께 범위는 80∼160㎛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85∼145㎛, 더욱 바람직하게는 95∼135㎛ 이다.
위상차 필름을 λ/4판으로 사용한 경우, 바람직한 Re(590) 으로는 100㎚<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35
200㎚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36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37
160㎚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38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39
150㎚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35㎚
Figure 112005043324623-PAT00040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41
145㎚ 이다. 상기 Re(590) 의 값을 측정파장의 약 1/4 로 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특성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을 λ/4판으로 사용한 경우, 그 두께 범위는 25∼75㎛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35∼65㎛ 이다.
또 상기 위상차 필름은, 파장 590㎚ 의 광에 대한 두께방향의 위상차값:Rth(590) 이 35㎚
Figure 112005043324623-PAT00042
Rth(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43
1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방향의 위상차값:Rth(590) 은 Rth(590)=(nx-nz)×d 이다.
위상차 필름을 λ/2판으로 사용한 경우, 바람직한 Rth(590) 으로는 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44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45
190㎚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46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47
165㎚,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48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49
155nm 이다.
상기 위상차 필름을 λ/4판으로 사용한 경우, 바람직한 Rth(590) 으로는 45㎚
Figure 112005043324623-PAT00050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51
110㎚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52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53
85㎚,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54
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55
80㎚ 이다.
Rth 의 산출방법은, 위상차값, 지상축의 각도 (배향각), 굴절률을, 예를 들어, 오지계측기기(주) 제조 상품명 「KOBRA21-ADH」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에서 구할 수 있다. 필름면내의 위상차값 (Re), 지상축을 경사축으로 하여 40도 경사시켜 측정한 위상차값 (R40), 위상차 필름의 두께 (d) 및 위상차 필름의 평균 굴 절률 (n0) 을 사용하고, 이하의 식 (ⅰ)∼(ⅲ) 으로부터 컴퓨터 수치 계산에 의해 nx, ny 및 nz 를 구하고, 이어서 식 (ⅳ) 에 의해 Rth 를 계산하였다. 여기에서 φ 및 ny' 은 각각 이하의 식 (ⅴ) 및 (ⅵ) 으로 표시된다.
Re=(nx-ny)×d ···(ⅰ)
R40=(nx-ny')×d/cos(φ) ···(ⅱ)
(nx+ny+nz)/3=n0 ···(ⅲ)
Rth=(nx-nz)×d ···(ⅳ)
φ=sin-1[sin(40°)/n0] ···(ⅴ)
ny'=ny×nz[ny2×sin2(φ)+nz2×cos2(φ)]1/2···(ⅵ)
또 상기 위상차 필름에서 상기 식 (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장 590㎚ 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방향의 위상차값:Rth(590) 과 필름면내의 위상차값:Re(590) 의 비 (Nz 계수라고도 함) 는 0.1
Figure 112005043324623-PAT00056
Nz
Figure 112005043324623-PAT00057
0.9 이다.
Nz 는 Nz=Rth/Re=(nx-nz)/(nx-ny) 이다.
Nz 가, 더 바람직하게는 0.2
Figure 112005043324623-PAT00058
Nz
Figure 112005043324623-PAT00059
0.8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Figure 112005043324623-PAT00060
Nz
Figure 112005043324623-PAT00061
0.7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4
Figure 112005043324623-PAT00062
Nz
Figure 112005043324623-PAT00063
0.6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0.45
Figure 112005043324623-PAT00064
Nz
Figure 112005043324623-PAT00065
0.55 이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Nz 계수의 값을 0.5 로 함으로써 각도에 상관없이 위상차값이 거의 일정한 특성을 달성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특성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학필름은 외력을 더하여 내부에 응력을 일으키면 일시적으로 광학적 이방성이 나타나 복굴절을 나타내게 된다. 이것을 광탄성 효과라 한다. 그 지표로 사용되는 광탄성 계수는, 절대값이 작은 것이 광학 균일성이 우수하고 변형에 의한 위상차 불균일 등이 잘 생기지 않아 바람직하다. 상기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은, 예를 들어 니혼분코주식회사 제품명:분광 엘립소미터 「M-220」을 사용하여 23℃ 에서 2㎝×10㎝ 의 시험편에 응력을 가하면서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을 측정하고, 위상차값과 응력의 함수의 기울기에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상기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은, 파장 590㎚ 에서 측정한 값의 절대값:C 값 (㎡/N) 이 1.0×10-12
Figure 112005043324623-PAT00066
C
Figure 112005043324623-PAT00067
12.0×10- 12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1.0×10-12
Figure 112005043324623-PAT00068
C
Figure 112005043324623-PAT00069
9.0×10-12, 더욱 바람직하게는 1.5×10-12
Figure 112005043324623-PAT00070
C
Figure 112005043324623-PAT00071
7.0×10- 12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0×10-12
Figure 112005043324623-PAT00072
C
Figure 112005043324623-PAT00073
6.0×10- 12 이다. 상기 범위이면 편광자의 수축 응력이나 백라이트의 열에 의한 위상차값의 어긋남이나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고, nx>nz>ny 의 관계를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위상차 필름의 파장분산 특성으로는, 하기 식 (5):
D(Re)=Re(480)/Re(590) ···(5)
[단, Re(480), Re(590) 은 각각 파장 480㎚, 590㎚ 의 광에 대한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이다.] 로 산출되는 D(Re) 값이 0.8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74
D(Re)
Figure 112005043324623-PAT00075
1.2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D(Re)값의 범위로는 0.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76
D(Re)
Figure 112005043324623-PAT00077
1.10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5
Figure 112005043324623-PAT00078
D(Re)
Figure 112005043324623-PAT00079
1.05 이다. 상기 D(Re)값은 상기 범위에서 작으면 작을수록 가시광이 넓은 영역에서 위상차값이 일정해지기 때문에, 액정 패널의 콘트라스트비와 컬러 시프트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의 각도 (배향각이라고도 함) 는 편차가 크면 편광자 또는 편광판에 적층한 경우에 편광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 배향각의 편차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바람직하게는 필름 폭방향에서 등간격으로 형성한 5점의 측정 개소에서의 배향각 편차의 범위가 ±2°∼±1°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은,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수축성 필름을 부착하여 가열 연신함으로써 실시한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도 1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의 대표적인 제조공정의 개념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 (402) 은 제 1 조출부 (繰出部) (401) 에서 풀리고, 라미네이트 롤 (407, 408) 에 의해 그 고분자필름 (402) 의 양면에 제 2 조출부 (403) 에서 풀려나온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수축성 필름 (404), 및 제 3 조출부 (405) 에서 풀려나온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수축성 필름 (406) 이 점착된다. 고분자필름 (402) 의 양면에 수축성 필름이 점착된 적층체는, 건조수단 (409) 에 의해 일정 온도로 유지되면서 속비가 다른 롤 (410, 411, 412 및 413) 로 필름의 길이방향의 장력이 부여되면서 (동시에 수축 성 필름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장력이 부여되면서) 연신 처리된다. 연신처리된 필름 (418) 은 제 1 권취부 (414) 및 제 2 권취부 (416) 에서 수축성 필름 (415, 417) 이 점착제층과 함께 박리되고, 얻어진 위상차 필름 (418) 은 제 3 권취부 (419) 에 의해 감긴다.
상기 고분자필름은,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두께 10∼500㎛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설계하는 위상차값에 따라 두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을 λ/2판으로 사용한 경우, 그 두께 범위는 70∼1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80∼120㎛ 이다. 위상차 필름을 λ/4판으로 사용한 경우, 그 두께 범위는 20∼60㎛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30∼50㎛ 이다.
수축성 필름은 가열연신할 때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축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수축성 필름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축균일성,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수축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2축 연신필름 및 1축 연신필름 등의 연신필름이다. 상기 수축성 필름은, 예를 들어 압출법에 의해 시트형상으로 성형된 미연신필름을 동시 2축 연신기 등으로 소정 배율로 세로 및/또는 가로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성형 및 연신 조건은 사용하는 수지의 조성이나 종류나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수축균일성, 내열성이 우수하 다는 점에서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수축성 필름은, 140℃ 에서의 필름 길이방향의 수축률:S140(MD) 가 4∼20% 이고, 또 폭방향의 수축률:S140(TD) 가 4∼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S140(MD) 가 5∼10%, S140(TD) 가 7∼25%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S140(MD) 가 6∼10%, S140(TD) 가 10∼25%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S140(MD) 가 6∼8%, S140(TD) 가 10∼20% 이다. 또, 상기 수축률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축성 필름은, 160℃ 에서의 필름 길이방향의 수축률:S160(MD) 가 10∼30% 이고, 또 폭방향의 수축률:S160(TD) 가 32∼6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S160(MD) 가 13∼25%, S160(TD) 가 34∼60%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S160(MD) 가 15∼23%, S160(TD) 가 38∼58%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S160(MD) 가 17∼21%, S160(TD) 가 40∼52% 이다. 또, 상기 수축률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수축성 필름은, 14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률과 길이방향의 수축률의 차:ΔS140=S140(TD)-S140(MD) 가 0.5%
Figure 112005043324623-PAT00080
ΔS14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81
1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1%
Figure 112005043324623-PAT00082
ΔS14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83
10%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Figure 112005043324623-PAT00084
ΔS14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85
10%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4%
Figure 112005043324623-PAT00086
ΔS14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87
10%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6%
Figure 112005043324623-PAT00088
ΔS14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89
10% 이다. MD 방향의 수축률이 크면, 연신장력에 더하여 상기 수축성 필름의 수축력이 연신기에 더해져 균일한 연신이 곤란해진다. 상기 범위라면 연신기 등의 설비에 과도한 부하를 걸지 않고도 균일한 연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축성 필름은, 16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률과 길이방향의 수축률의 차:ΔS160=S160(TD)-S160(MD) 가 5%
Figure 112005043324623-PAT00090
ΔS16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91
5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92
ΔS16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93
45%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Figure 112005043324623-PAT00094
ΔS16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95
40%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96
ΔS16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97
35%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Figure 112005043324623-PAT00098
ΔS160
Figure 112005043324623-PAT00099
35% 이다. MD 방향의 수축률이 크면, 연신장력에 더하여 상기 수축성 필름의 수축력이 연신기에 더해져 균일한 연신이 곤란해진다. 상기 범위라면 연신기 등의 설비에 과도한 부하를 걸지 않고도 균일한 연신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축성 필름은, 14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 응력 T140(TD) 가 0.2∼1.2N/2㎜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T140(TD) 가 0.35∼1.1N/2㎜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4∼1N/2㎜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6∼0.9N/2㎜ 이다.
또한 상기 수축성 필름은, 15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 응력 T150(TD) 가 0.3∼1.3N/2㎜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T150(TD) 가 0.4∼1.2/2㎜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1.1N/2㎜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7∼1N/2㎜ 이다. 상기 범위이면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값이 얻어지고, 또 균일한 연신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축성 필름의 바람직한 두께 범위는 상기 수축률이나 설계하는 위상차값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10∼500㎛ 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0∼300㎛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30∼100㎛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40∼80㎛ 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충분한 수축률이 얻어져 양호한 광학 균일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수축성 필름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일반 포장용, 식품 포장용, 팔레트 포장용, 수축 라벨용, 캡시일 (cap-seal) 용 및 전기절연용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시판 수축성 필름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시판되는 수축성 필름은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연신처리나 수축처리 등 2차 가공하고 나서 사용해도 된다. 시판되는 수축성 필름의 구체예로는, 오지제지(주) 제조 상품명 「알판 시리즈」, 군제(주) 제조 상품명 「팬시톱 시리즈」, 도오레(주) 제조 상품명 「트레판 시리즈」, 선·톡스(주) 상품명 「선톡스-OP 시리즈」, 도세로(주) 상품명 「도세로 OP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축성 필름을 상기 고분자 필름에 접합하는 방법은, 상기 수축성 필름의 수축 방향이 적어도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성분을 함유하도록 실시된다. 즉 상기 수축성 필름의 수축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고분자필름의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실시된다. 따라서, 상기 수축성 필름의 수축 방향이 상기 고분자필름의 연신방향과 경사 교차되어 있어도 되며, 완전히 직교하는 방향에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 수축성 필름의 접합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상기 고분자필름과 상기 수축성 필름 사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접착하는 방법이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고분자필름 또는 상기 수축성 필름의 일방 또는 양방에 형성할 수 있다. 보통 상기 수축성 필름은 상기 위상차 필름을 제작한 후에 박리되기 때문에, 상기 점착제로는 가열연신 공정에서는 접착성과 내열성이 우수하고, 그 후의 박리공정에서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어, 상기 위상차 필름의 표면에 점착제가 잔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수축성 필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는, 아크릴계, 합성 고무계, 고무계, 실리콘계 등이 사용된다. 접착성, 내열성, 박리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GPC 법에 의해 산출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 GPC 법으로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30,000∼2,500,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사용되는 모노머로는, 각종 (메스)아크릴산알킬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스)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부틸에스테르, 2-에틸헥실에스테르, 이소옥틸에스테르, 이소노닐에스테르, 이소데실에스테르, 도데실에스테르, 라우릴에스테르, 트리데실에스테르, 펜타데실에스테르, 헥사데실에스테르, 헵타데실에스테르, 옥타데실에스테르, 노나데실에스테르, 에이코실에스테르 등의 탄소수 1∼20 의 알킬에스테르) 를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얻어지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극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메스)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함께 (메스)아크릴산, 이타콘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메스)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스)아크릴산히드록시프로필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메스)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메스)아크릴산글리시딜 등의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아세트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단량체 등을 공중합 모노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용액중합, 유화중합, 현탁중합, UV 중합 등의 공지된 중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에는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아민 화합물,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제, 가소제, 충전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실란커플링제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형필름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상기 고분자필름에 전사하는 방법 (전사법), 상기 고분자필름에 직접 점착제를 도포, 건조시키는 방법 (직사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바람직한 두께 범위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점착력이나 상기 위상차 필름의 표면 상태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어 1∼100㎛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 이다. 상기 범위 내이면 충분한 수축률이 얻어져, 양호한 광학 균일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다른 조성인 것 또는 종류가 다른 것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필요에 따라 접착력 제어를 목적으로 점착성 부여 수지와 같은 천연물이나 합성물의 수지류, 산화 방지제 등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노출면에 대해서는 실용에 제공할 수 있게 되기까지 그 오염방지 등을 목적으로 박리지 또는 이형필름 (세퍼레이터라고도 함) 가 임시 부착되어 커버된다. 이로써 통례의 취급상태로 점착제층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 고무시트, 종이, 천, 부직포, 네트, 발포시트나 금속박, 이들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당한 박엽체를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나 장쇄 알킬계, 불소계나 황화몰리브덴 등의 적당한 박리제로 코트 처리한 것 등 종래에 준한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필름과 점착제층의 계면에서의 23℃ 의 접착력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0.1∼10N/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0.1∼5N/50㎜ 이 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2∼3N/50㎜ 이다. 상기 접착력은, 상기 수축성 필름을 상기 고분자필름에 JIS Z 0237 에 준한 수동 롤러로 3 왕복하여 압착한 것을 접착력 측정용 샘플로 하고, 그 샘플을 오토클레이브 처리 (50℃, 15분, 5kg/㎠) 한 후, JIS B 7721 에 준한 장치에 의해 JIS Z 0237 에 준한 90도 분리법 (인상 (引上) 속도:300㎜/분) 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접착력의 달성은,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필름의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측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나 플라즈마 처리 등 적절한 표면 처리를 하여 점착제층과의 접착력을 제어하는 방식, 상기 고분자필름과 상기 수축성 필름을 접착한 상태로 가열 처리나 오토클레이브 처리 등 적당한 처리를 하여 접착력을 제어하는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축성 필름은, 설계하는 수축력 등에 따라 상기 고분자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1장 또는 2장 이상의 적당한 수를 접착할 수 있지만, 양면에 접착하는 경우나 한 면에 복수 장을 접착하는 경우에는, 그 표리나 상하에서의 수축성 필름의 수축률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가열연신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기 고분자필름의 연신방향에 대한 장력과 상기 연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수축력을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종래 공지된 연신처리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로 1축 연신법, 가로 1축 연신법, 가로세로 동시 2축 연신법, 가로세로 축차 2축 연신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연신처리법은, 예를 들어 롤 연신기, 텐터나 2축 연신기 등의 적당한 연신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연신은 2회 또는 3회 이상의 공정으로 나누어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필름을 연신하는 방향은 필름 길이방향 (MD 방향) 일 수도 있고, 폭방향 (TD 방향) 일 수도 있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262721호의 도 1 에 기재된 연신법을 사용하여 경사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을 가열연신하는 온도 (연신 온도라고도 함) 는 상기 고분자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상기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값이 균일해지기 쉽고 또 필름이 결정화 (백탁) 되기 어렵다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필름의 Tg+1℃∼Tg+30℃ 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Tg+2℃∼Tg+20℃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Tg+3℃∼Tg+15℃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Tg+5℃∼Tg+10℃ 이다. 연신 온도가 상기 범위이면 균일하게 가열연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신 온도는 필름 폭방향에서 일정해야 위상차값의 편차가 작은 양호한 광학 균일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연신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열풍 또는 냉풍, 마이크로파 또는 원적외선 등을 이용한 히터, 온도조절용으로 가열 또는 냉각된 롤, 히트파이프롤 또는 금속벨트 등을 사용한 공지된 가열 또는 냉각방법이나 온도제어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연신 온도는 편차가 크면 연신 불균일이 커져, 최종적으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값의 편차를 초래한다. 따라서, 필름 폭방향의 온도 편차는 작으면 작을수록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면내방향의 온도 편차를 ±1℃ 이하 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연신시의 연신 배율은 사용하는 고분자필름, 휘발성 성분 등의 종류, 휘발성 성분 등의 잔류량, 설계하는 위상차값 등으로 정해지는 것이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05∼3배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1.1∼2.5배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1∼2배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2∼1.8배이다. 또 연신시의 이송 속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연신장치의 기계 정밀도, 안정성 등에서 바람직하게는 0.5m/분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m/분 이상이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소정 면내의 위상차값:Re 가 되도록 위상차값이 설계된 것, 예를 들어 λ/2판, λ/4판 등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1장을 사용할 수도 있고, 2장 이상을 임의의 각도로 적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다른 위상차 필름을 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위상차 필름과 조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1장 또는 2장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위상차 필름도 1장 또는 2장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적층은 점착제나 접착제 등으로 적층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위상차 필름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에 틸렌·스티렌 수지,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클로계올레핀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방향족 폴리이미드나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이미드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의 블렌드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필름에 복굴절 특성을 부여한 필름이나, 기재 상에 액정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용액을 도공하여 경화시킨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복굴절 특성은 그 고분자필름을 제막할 때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그 고분자필름을 1축 또는 2축으로 연신함으로써 부여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위상차 필름의 복굴절 특성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IPS 모드, VA 모드 및 OCB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Re(590)=80∼140㎚ (Rth(590)/Re(590)=0.9∼1.3) 의 1축성 위상차 필름, Re(590)=0∼5㎚ 이고 Rth(590)=90∼400㎚ 인 음의 1축성 위상차 필름, 기판 법선으로부터 광축이 10∼80°로 경사진 1축성 경사배향 위상차 필름 외에, Re(590)=30∼60㎚(Rth(590)/Re(590)=2.0∼6.0) 의 2축성 위상차 필름, Re(590)=100∼300㎚(Rth(590)/Re(590)=0.2∼0.8) 의 2축성 위상차 필름이나, 디스코틱 액정분자 또는 막대형 액정분자가 기판 법선에 대하여 서서히 경사진 하이브리드 배향 위상차 필 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1축성 위상차 필름이나 2축성 위상차 필름은 본 발명의 광학필름과 병용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한층 더 향상된 시야각 특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편광자 또는 편광판의 적어도 한 쪽에 적층된 광학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편광판은 통상 편광자의 한 쪽 또는 양쪽에 투명보호필름을 갖는 것이다.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보호필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표리의 투명보호필름은 동일한 재료일 수도 있고 다른 재료일 수도 있다. 편광판은 보통 액정 셀의 양쪽에 배치되며, 2장의 편광판은 흡수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접착제나 점착제 등을 사용하여 편광자 또는 편광판과 적층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은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 또는 직교가 되도록 적층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 0°± 2°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0°± 1°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이다. 또한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직교로 배치되는 경우, 90°±2°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90°±1°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5°이다. 이들 각도 범위에서 벗어나는 정도가 커질수록 편광판의 편광도가 저하하여,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하였을 때 콘트라스트가 저하한다. 또, 상기 광학필름에서는 위상차 필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λ/2판인 것이 바람 직하다. λ/2판은 2장의 λ/4판을 지상축이 평행해지도록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도 4 에 본 발명의 광학필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 의 광학필름 (3A) 은 편광자 (1a) 의 한 쪽 면에 투명보호필름 (1c) 이 배치된 편광판 (1A) 과 위상차 필름 (2) 이 배치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 (2) 은 편광자 (1a) 에 대하여 투명보호필름 (1c) 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 (2) 의 지상축은 편광자 (1a) 의 흡수축에 대하여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일 수도 있다.
도 2 의 광학필름 (3B) 은 편광자 (1a) 의 양쪽에 투명보호필름 (1b) 및 투명보호필름 (1c) 이 배치된 편광판 (1B) 과 위상차 필름 (2) 이 배치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 (2) 은 투명보호필름 (1b) 측에 배치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 (2) 의 지상축은 편광자 (1a) 의 흡수축에 대하여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일 수도 있다.
도 3 의 광학필름 (3C) 은 편광자 (1a) 의 한 쪽 면에 투명보호필름 (1c) 이 배치된 편광판 (1A) 과 2장의 위상차 필름 (2a, 2b) 이 배치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 (2a, 2b) 은 편광자 (1a) 에 대하여 투명보호필름 (1c) 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 (2a, 2b) 의 지상축은 편광자 (1a) 의 흡수축에 대하여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일 수도 있다.
도 4 의 광학필름 (3D) 은 편광자 (1a) 의 양쪽에 투명보호필름 (1b) 및 투명보호필름 (1c) 이 배치된 편광판 (1B) 과 위상차 필름 (2a, 2b) 이 배치되어 있 다. 위상차 필름 (2a, 2b) 은 투명보호필름 (1b) 측에 배치되어 있다. 위상차 필름 (2a, 2b) 의 지상축은 편광자 (1a) 의 흡수축에 대하여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일 수도 있다.
상기 편광자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편광 이색비가 높아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5∼80㎛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여, 원래 길이의 3∼ 7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함유할 수도 있는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는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 뷸균일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행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며, 또한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 중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투명보호필름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위상차값의 안정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보호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스티렌 수지, 스티렌·말레이미드 공중합체,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클로계올레핀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방향족 폴리이미드나 폴리이미드아미드 등의 이미드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의 블렌드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필름 등도 상기 투명보호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또 상기 투명보호필름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으로서 형 성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보호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등의 관점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노르보르넨계 수지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후지샤신필름(주) 제조 제품명 「후지탁」이나, 니혼제온(주) 제조 제품명 「제오노아」, JSR(주) 제조 제품명 「아톤」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명보호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관점에서 1∼500㎛ 정도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5∼200㎛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0∼150㎛ 이다. 상기 범위라면 편광자를 기계적으로 보호하고 고온 고습하에 노출되더라도 편광자가 수축되지 않아, 안정적인 광학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투명보호필름은 필름면내의 위상차값 및 두께방향의 위상차값이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으므로, 위상차값이 최적화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위상차값의 최적화가 요망되는 투명보호필름이란,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의 편광자 표면에 적층되는 투명보호필름이고, 액정 셀에서 먼 측의 편광자 표면에 적층되는 투명보호필름은 액정표시장치의 광학특성을 변화시키는 일은 없으므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의 편광자 표면에 적층되는 투명보호필름은 복굴절이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필름 (3A∼3D) 에서, 통상은 위상차 필름 (2;2a, 2b) 측이 액정 셀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광학필름 (3A∼3D) 에서는 위상차 필름 (2;2a, 2b) 이 적층되는 측의 투명보호필름 (1b) 은 위상차값이 최적화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보호필름은 하기 식 (3) 및 식 (4)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nx-ny)·d
Figure 112005043324623-PAT00100
5㎚ ···(3)
0㎚<(nx-nz)·d
Figure 112005043324623-PAT00101
15㎚ ···(4)
[단, 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및 두께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고, d(㎚) 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로 한다. 지상축 방향은 위상차 필름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필름면내의 위상차값:Re(590)=(nx-ny)·d 이다. 필름면내의 위상차값:Re(590) 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0㎚<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02
3㎚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03
2㎚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0㎚<Re(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04
1nm 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필름의 두께방향의 위상차값:Rth(590)=(nx-nz)·d 이다. 필름의 두께방향의 위상차값:Rth(590) 은 0㎚<Rth(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05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Rth(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06
6㎚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0㎚<Rth(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07
4nm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0㎚<Rth(59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08
3㎚ 이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이 적층되는 투명보호필름의 위상차값이 상기 범위이면,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하였을 때 콘트라스트비나 컬러 시프트 등의 표시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아 양호한 표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의 편광자의 표면에 적층되는 투명보호필름의 광탄 성 계수의 절대값은, 파장 590㎚ 인 광으로 측정한 값의 절대값:C 값 (㎡/N) 이 2.0×10-13
Figure 112005043324623-PAT00109
C
Figure 112005043324623-PAT00110
2.0×10- 11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13
Figure 112005043324623-PAT00111
C
Figure 112005043324623-PAT00112
8.0×10- 12 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0×10-12
Figure 112005043324623-PAT00113
C
Figure 112005043324623-PAT00114
6.0×10- 12 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2.0×10-12
Figure 112005043324623-PAT00115
C
Figure 112005043324623-PAT00116
5.0×10- 12 이다.
또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종래의 방향족계 고분자필름보다도 작기 때문에, 편광자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이용해 직접 적층하더라도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하였을 때, 편광자의 수축 응력이나 백라이트의 열에 의한 위상차값의 어긋남이나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고 양호한 표시 특성을 얻을 수 있지만, 복굴절이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작은 투명보호필름의 표면에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면, 상기 위상차 필름에 전파되는 편광자의 수축 응력이나 백라이트의 열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상차값의 어긋남이나 불균일을 한층 더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복굴절이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작은 투명보호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6-51117호에 기재된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를 필요에 따라 말레인산 부가, 시클로펜타디엔 부가와 같이 폴리머 변성시킨 후에 수소 첨가한 노르보르넨계 수지;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부가형 중합시킨 노르보르넨계 수지;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에틸렌이나 α-올레핀 등의 올레핀계 모노머와 부가형 공중합시킨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348324호에 기재된 노르보르넨 등의 다환 시클로 올레핀 모노머 또는 단환 시클로올레핀 모노머 또는 비환식 1-올레핀 모노머 중 1종류 이상을 용액 상태, 현탁 상태, 모노머 용융 상태 또는 기상에서 메탈로센 촉매 하에서 중합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도 사용된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253960호에 기재된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을 측쇄에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7-112446호에 기재된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343529호에 기재된 고분자필름, 예를 들어 (A) 측쇄에 치환 및/또는 비치환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B) 측쇄에 치환 및/비치환페닐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등도 사용된다. 구체예로는 이소부틸렌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고분자필름이 사용된다. 또한 (주)NTS 출판 「옵티컬 폴리머 재료의 개발·응용 기술」 2003년 판 194페이지∼207페이지에 기재된 정의 배향 복굴절을 나타내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및 부의 배향 복굴절을 나타내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랜덤 공중합체나 이방성 저분자나 복굴절성 결정을 도핑한 폴리머 등도 사용된다.
상기 투명보호필름의 편광자와의 적층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나 비닐알코올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또는 붕산이나 붕사, 글루탈알데히드나 멜라민이나 옥살산 등의 비닐알코올계 폴리머의 수용성 가교제로 적어도 이루어지는 접착제 등을 이용해 적층할 수 있다. 이로써 습도나 열의 영향으로 잘 벗겨지지 않고 광투과율이나 편광도가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 다. 상기 접착제로는, 편광자의 원료인 폴리비닐알코올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을 투명보호필름으로 하여 편광자와 적층하는 경우의 점착제로는, 투명성이 우수하고, 복굴절 등이 작으며, 박층으로서 사용해도 충분히 점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수지 용액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용액을 혼합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고무계 접착제, 에폭시계 이액 경화형 접착제,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와 폴리티올의 2액으로 이루어지는 것, 에폭시 수지와 폴리아미드의 2액으로 이루어지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용매형 접착제, 에폭시계 2액 경화형 접착제가 바람직하며,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에 따라서는 적당한 접착용 초벌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있고, 그러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착용 초벌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용 초벌제로는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층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동일 분자 내에 아미노기, 비닐기, 에폭시기, 메르캅토기, 클로르기 등의 반응성 관능기와 가수분해성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실란계 커플링제, 동일 분자 내에 티탄을 함유하는 가수분해성 친수성기와 유기 관능성기를 갖는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및 동일 분자 내에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가수분해성 친수성기와 유기 관능성기를 갖는 알루미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의 이른바 커플링제, 에폭시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스테르우레탄계 수지 등의 유기 반응성기를 갖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업적으로 다루기 쉽다는 관점에서 실란계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판은 액정 셀에 대한 적층을 쉽게 하기 위해, 상기 편광판의 투명보호필름의 양면 또는 한 면에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을 형성해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필름에 대해서도 위상차 필름 등에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을 형성해 둘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비닐에테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코폴리머, 변성 폴리올레핀, 에폭시계, 불소계, 천연고무, 합성 고무 등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젖음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며,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접착제 또는 점착제에는 베이스 폴리머에 따른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천연물이나 합성물의 수지류, 유리 섬유나 유리 비드, 금속가루나 그 밖의 무기분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제나 안료, 착색제나 산화방지제 등의 적당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투명미립자를 함유시켜 광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제층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명미립자에는, 예를 들어 평균입경이 0.5∼20㎛ 인 실리카나 산화칼슘, 알루미나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나 산화주석, 산화인듐이나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의 도전성일 수도 있는 무기계 미립자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적당한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가교 또는 미가교의 유기계 미립자 등의 적당한 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또는 점착제는, 통상 베이스 폴리머 또는 그 조성물을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고형분 농도가 10∼50중량% 정도인 접착제 용액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용매로는,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용매나 물 등의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또는 점착제는, 다른 조성 또는 종류인 것의 적층물로서 편광판이나 광학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제 또는 점착제의 두께는 사용 목적이나 접착력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1∼500㎛ 이고, 5∼200㎛ 가 바람직하며, 특히 10∼100㎛ 가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 등의 노출면에 대해서는 실용에 사용할 수 있게 되기까지 그 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박리지 또는 이형필름 (세퍼레이터라고도 함) 이 임시 부착되어 커버된다. 이로써 통례의 취급 상태로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 고무시트, 종이, 천, 부직포, 네트, 발포시트나 금속박, 그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당한 박엽체를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나 장쇄 알킬계, 불소계나 황화몰리브덴 등의 적당한 박리제로 코트 처리한 것 등 종래에 준한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보호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은 면에는, 하드코트 처리, 반 사방지 처리, 스티킹방지 처리나, 확산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라고도 함) 를 실시할 수 있다.
하드코트 처리는 편광판 표면의 흠집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적당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의한 경도나 미끄럼 특성 등이 우수한 경화피막을 투명보호필름의 표면에 부가하는 방식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반사방지 처리는 편광판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방지를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종래에 준한 반사방지막 등의 형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티킹방지 처리는 인접층과의 밀착 방지를 목적으로 실시된다.
또 안티글레어 처리는 편광판의 표면에서 외광이 반사되어 편광판 투과광의 시인을 저해하는 것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트 방식이나 엠보싱 가공 방식에 의한 조면화 방식이나 투명미립자의 배합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투명보호필름의 표면에 미세 요철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구조의 형성에 함유시키는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평균입경이 0.5∼50㎛ 인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일 수도 있는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미가교의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미립자 등의 투명미립자가 사용된다. 표면 미세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미립자의 사용량은 표면 미세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투명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2∼50중량부 정도이고, 5∼2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안티글레어층은, 편광판 투과광을 확산하여 시각 등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 (시각 확대기능 등) 을 겸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반사방지층, 스티킹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은 투명보호필름 그 자체에 형성할 수 있는 것 외에, 별도 광학층으로서 투명보호필름과는 별도의 것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광학필름은, 실제로 사용할 때 다른 광학층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광학층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등의 액정표시장치 등을 형성할 때 사용되기도 하는 광학층을 1층 또는 2층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편광판에 추가로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판 또는 반투과형 편광판, 또는 편광판에 추가로 휘도향상필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이 바람직하다.
반사형 편광판은 편광판에 반사층을 형성한 것으로, 시인측 (표시측)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표시장치 등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백라이트 등의 광원의 내장을 생략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를 꾀하기 쉬운 등의 이점을 갖는다. 반사형 편광판의 형성은, 필요에 따라 투명보호층 등을 통해 편광판의 한 면에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부설하는 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다.
반사형 편광판의 구체예로는, 필요에 따라 매트 처리한 보호필름의 한 면에, 알루미늄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박이나 증착막을 부설하여 반사층을 형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에 미립자를 함유시켜 표면 미세 요철구조로 하고, 그 위에 미세 요철구조의 반사층을 갖는 것 등도 들 수 있다. 상기 미세 요철구조의 반사층은 입사광을 난반사에 의해 확산시켜 지향성이나 번쩍거리는 외관을 방지하여, 명암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을 갖는다. 또한 미립자 함유의 보호필름은, 입사광 및 그 반사광이 그것을 투과할 때에 확산되어 명암 불균일을 더 억제할 수 있는 이점 등도 갖고 있다. 보호필름의 표면 미세 요철구조를 반영시킨 미세 요철구조의 반사층의 형성은, 예를 들어 진공증착 방식, 이온플레이팅 방식, 스퍼터링 방식 등의 증착방식이나 도금방식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금속을 투명보호층의 표면에 직접 부설하는 방법 등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반사판은 상기 편광판의 보호필름에 직접 부여하는 방식 대신에, 그 투명필름에 준한 적당한 필름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반사시트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반사층은 통상 금속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반사면이 보호필름이나 편광판 등으로 피복된 상태의 사용형태가, 산화에 의한 반사율의 저하방지, 나아가서는 초기반사율의 장기 지속, 또는 보호층의 별도 부설 회피라는 점 등에서 바람직하다.
또 반투과형 편광판은, 상기에 있어서 반사층으로 광을 반사하여, 또한 투과하는 하프 미러 등의 반투과형 반사층으로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반투과형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이면측에 형성되고, 액정표시장치 등을 비교적 밝은 분위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인측 (표시측) 으로부터의 입사광을 반사시켜 화상을 표시하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에 있어서는, 반투과형 편광판의 백사이드에 내장되어 있는 백라이트 등의 내장광원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타입의 액정표시장 치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반투과형 편광판은, 밝은 분위기 하에서는 백라이트 등의 광원사용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비교적 어두운 분위기 하에서도 내장광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타입의 액정표시장치 등의 형성에 유용하다.
편광판과 휘도향상필름을 부착한 편광판은, 통상 액정 셀의 이면측 사이드에 형성되어 사용된다. 휘도향상필름은 액정표시장치 등의 백라이트나 이면측으로부터의 반사 등에 의해 자연광이 입사되면, 소정 편광축의 직선편광 또는 소정 방향의 원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휘도향상필름을 편광판과 적층한 편광판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 소정 편광상태의 투과광을 얻음과 함께, 상기 소정 편광상태 이외의 광은 투과하지 않고 반사된다. 이 휘도향상필름면에서 반사된 광을 다시 그 뒤 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향상필름에 재입사시키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 편광상태의 광으로서 투과시켜 휘도향상필름을 투과하는 광의 증량을 도모함과 함께, 편광자에 흡수시키기 어려운 편광을 공급하여 액정표시화상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의 증대를 꾀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휘도향상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백라이트 등으로 액정 셀의 이면측으로부터 편광자를 통해 광을 입사한 경우에는, 편광자의 편광축에 일치하지 않는 편광방향을 갖는 광은 거의 편광자에 흡수되고, 편광자를 투과하지 않는다. 즉, 사용한 편광자의 특성에 따라서 다르기도 하지만, 약 50% 의 광이 편광자에 흡수되고, 그만큼 액정화상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이 감소되어 화상이 어두워진다. 휘도향상필름은 편광자에 흡수되는 편광방향을 갖는 광을 편광자에 입사시키지 않고 휘도향 상필름에서 일단 반사시키며, 다시 그 뒤 측에 형성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향상필름에 재입사시키는 것을 반복하여, 이 양자 사이에서 반사, 반전하고 있는 광의 편광방향이 편광자를 통과할 수 있는 편광방향이 된 편광만을 휘도향상필름이 투과시켜 편광자에 공급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등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화상의 표시에 사용할 수 있어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휘도향상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확산판을 형성할 수도 있다. 휘도향상필름에 의해서 반사한 편광상태의 광은 상기 반사층 등을 향하지만, 설치된 확산판은 통과하는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킴과 동시에 편광상태를 해소하여, 비편광상태로 된다. 즉, 확산판은 편광을 원래의 자연광상태로 되돌린다. 이 비편광상태, 즉 자연광상태의 광이 반사층 등을 향하고, 반사층 등을 통해 반사하여, 다시 확산판을 통과하여 휘도향상필름에 재입사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휘도향상필름과 상기 반사층 등의 사이에, 편광을 원래의 자연광 상태로 되돌리는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표시화면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표시화면의 밝기의 불균일을 적게 하여, 균일하고 밝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판을 형성함으로써, 첫회의 입사광은 반사의 반복 회수가 알맞게 증가하여, 확산판의 확산기능과 조화되어 균일하게 밝은 표시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휘도향상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유전체의 다층박막이나 굴절률 이방성이 상이한 박막필름의 다층적층체와 같은, 소정 편광축의 직선편광을 투과하여 다른 광은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스미토모 3M(주) 제조 D-BEF 등), 콜레스테 릭 액정폴리머의 배향필름이나 그 배향액정층을 필름 기재 상에 지지한 것 (닛토덴코사 제조 PCF350 이나 Merck사 제조 Transmax 등) 과 같은,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는 어느 한쪽의 원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등의 적당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 편광축의 직선편광을 투과시키는 타입의 휘도향상필름에서는, 그 투과광을 그대로 편광판에 편광축을 가지런히 하여 입사시킴으로써, 편광판에 의한 흡수 손실을 억제하면서 효율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한편,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같이 원편광을 투과하는 타입의 휘도향상필름에서는, 그대로 편광자에 입사시킬 수도 있지만, 흡수 손실을 억제하는 면에서 그 원편광을 위상차판을 통해 직선편광화하여 편광판에 입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위상차판으로서 1/4파장판을 사용함으로써, 원편광을 직선편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가시광역 등의 넓은 파장범위에서 1/4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판은, 예를 들어 파장 550㎚ 의 담색광에 대하여 1/4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과 다른 위상차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차층, 예를 들어 1/2 파장판으로서 기능하는 위상차층을 중첩하는 방식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과 휘도향상필름 사이에 배치하는 위상차판은, 1층 또는 2층 이상의 위상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 콜레스테릭 액정층에 관해서도, 반사파장이 상이한 것을 조합하여 2층 또는 3층 이상 중첩한 배치구조로 함으로써, 가시광영역 등의 넓은 파장범위에서 원편광을 반사하는 것을 얻을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넓은 파장범위의 투과원편광 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상기 편광분리형 편광판과 같이, 편광판과 2층 또는 3층 이상의 광학층을 적층한 것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형 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조합한 반사형 타원편광판이나 반투과형 타원편광판 등이어도 된다.
또 상기 편광판과 위상차 필름을 적층한 광학필름 등은, 액정표시장치 등의 제조과정에서 순차적으로 별개로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미리 적층해 두는 것이 품질의 안정성이나 적층 작업성 등이 우수하여 액정표시장치 등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이 사용되는 액정 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도 10 은 본 발명의 액정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 의 액정 패널 (6A) 은 액정 셀 (5) 의 한쪽 면에 광학필름 (3A) 이, 위상차 필름 (2) 이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정 셀 (5) 의 다른 쪽 면에는 편광자 (4a) 의 양면에 투명보호필름 (4b 및 4c) 이 배치된 편광판 (4) 이, 투명보호필름 (4b) 이 액정 셀 (5) 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위상차필름 (2) 의 지상축은 상기 편광자 (1a) 의 흡수축과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이어도 된다.
도 6 의 액정 패널 (6B) 은 액정 셀 (5) 의 한 쪽 면에 광학필름 (3B) 이, 위상차 필름 (2) 이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정 셀 (5) 의 다른 쪽 면에는 편광판 (4) 이, 투명보호필름 (4b) 이 액정 셀 (5) 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 (2) 의 지상축은 상기 편광자 (1a) 의 흡수축과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이어도 된다.
도 7 의 액정 패널 (6C) 은 액정 셀 (5) 의 양면에 광학필름 (3A) 이, 각 위상차필름 (2) 이 액정 셀 (5) 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위상차필름 (2) 의 지상축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 (2) 의 지상축은 상기 편광자 (1a) 의 흡수축과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이어도 된다.
도 8 의 액정 패널 (6D) 은 액정 셀 (5) 의 양면에 광학필름 (3B) 이, 각 위상차필름 (2) 이 액정 셀 (5) 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위상차필름 (2) 의 지상축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 (2) 의 지상축은 상기 편광자 (1a) 의 흡수축과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이어도 된다.
도 9 의 액정 패널 (6E) 은 액정 셀 (5) 의 한 쪽 면에 광학필름 (3C) 이, 위상차 필름 (2) 이 액정 셀 (5) 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위상차필름 (2) 의 지상축은 각각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이어도 된다. 또, 상기 액정 셀 (5) 의 다른 쪽 면에 편광판 (4) 이, 투명보호필름 (4b) 이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 (2;2a, 2b) 의 지상축은 상기 편광자 (1a) 의 흡수축과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이어도 된다.
도 10 의 액정 패널 (6F) 은 액정 셀 (5) 의 한 쪽 면에 광학필름 (3D) 이, 위상차 필름 (2) 이 액정 셀 (5) 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위상차필름 (2) 의 지상축은 각각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이어도 된다. 또, 상기 액정 셀 (5) 의 다른 쪽 면에 편광판 (4) 이, 투명보호필름 (4b) 이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 (2;2a, 2b) 의 지상축은 상기 편광자 (1a) 의 흡수축과 평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직교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액정 패널은,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을 함유함으로써, 예를 들어 흑색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패널 전체면에 불균일이 없는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액정 패널은 흑색 표시를 표시한 패널 전체면에 있어서 최대 휘도와 최소 휘도의 차가 1.79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7 이하이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광학필름은 각종 화상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 광학필름을 사용한 액정 패널은, 액정표시장치로서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각종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준하여 실시된다. 액정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 그리고 백라이트를 갖는다.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구성부품을 적절히 조립하여 구동회로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투과형, 반사형, 반사투과형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셀로 는, 예를 들어 트위스티드 네마틱 (TN) 모드, 수퍼 트위스티드 네마틱 (STN) 모드나, 수평 배향 (ECB) 모드, 수직배향 (VA) 모드, 인 플레인 스위칭 (IPS) 모드, 프린지 필드 스위칭 (FFS) 모드, 벤드 네마틱 (OCB) 모드, 하이브리드 배향 (HAN) 모드, 강유전성 액정 (SSFLC) 모드, 반강유전 액정 (AFLC) 모드의 액정 셀 등 여러 가지 액정 셀을 들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은 특히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OCB 모드, FFS 모드, OCB 모드의 액정 셀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 및 편광판은 IPS 모드, 또는 FFS 모드의 액정 셀과 조합하여 사용된다.
상기 트위스티드 네마틱 (TN) 모드의 액정 셀은 2장의 기재 사이에 정의 유전율 이방성 네마틱 액정을 끼운 것으로, 유리 기재의 표면배향 처리에 의해 액정분자 배향을 90도 비틀어 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바이후칸주식회사 「액정사전」 p.158 (1989년 판) 에 기재된 액정 셀이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3-279229호에 기재된 액정 셀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직배향 (VA) 모드의 액정 셀이란, 전압제어 복굴절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nence) 효과를 이용하여 투명전극 사이에 유전율 이방성이 부인 네마틱 액정이, 전압 무인가시에 수직 배열한 액정 셀인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62-210423호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4-153621호에 기재된 액정 셀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VA 모드의 액정 셀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25860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야각 확대를 위해 화소 내에 슬릿을 형성한 것이나, 표면에 돌기를 형성한 기재를 사용 함으로써 멀티도메인화한 MVA 모드의 액정 셀이어도 된다. 그리고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123576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정 중에 카이랄제를 첨가하고, 네마틱 액정 전압 무인가시에 실질적으로 수직배향시키고, 전압 인가시에 비틀림 멀티도메인 배향시키는 VATN 모드의 액정 셀이어도 된다.
상기 인 플레인 스위칭 (IPS) 모드의 액정 셀이란, 전압제어 복굴절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nence) 효과를 이용하여 2장의 평행한 기판 사이에 액정을 봉입한 이른바 샌드위치 셀에 있어서,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호모지니어스 배향시킨 네마틱 액정을 기판에 평행한 전계 (횡전계라고도 함) 로 응답시키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테크노타임즈사 출판 「월간 디스플레이 7월호」 83페이지∼88페이지 (1997년 판) 나, 일본액정학회 출판 「액정 vol.2 No.4」 303페이지∼316페이지 (1998년 판)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정분자의 장축과 입사측 편광판의 편광축을 일치시켜 상하 편광판을 직교 배치시키면, 전계가 없는 상태로 완전히 흑색 표시가 되고, 전계가 있을 때에는 액정분자는 기판에 평행을 유지하면서 회전 동작하여 회전각에 따른 투과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또, 상기 IPS 모드는 지그재그 전극을 채용한 수퍼 인 플레인 스위칭 (S-IPS) 모드나, 어드밴스드 수퍼 인 플레인 스위칭 (AS-IPS)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IPS 모드를 채용한 시판되는 액정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주)히타치제작소 제조 20V 형 와이드 액정 텔레비전 상품명 「Wooo」, 이야마(주) 제조 19형 액정 디스플레이 상품명 「ProLite E481S-1」, (기)나나오 제조 17형 TFT 액정 디스플레이 상품명 「FlexScan L565」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FFS 모드의 액정 셀이란, 전압제어 복굴절 (ECB:Electril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효과를 이용하여 전계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호모지니어스 분자 배열로 배향시킨 네마틱 액정을, 예를 들어 투명 도전체로 형성된 대향전극과 화소전극으로 발생시킨 기판에 평행한 전계 (횡전계라고도 함) 로 응답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 FFS 모드에서의 횡전계는 프린지 전계라고도 한다. 이 프린지 전계는, 투명 도전체로 형성된 대향전극과 화소전극의 간격을 상하부 기판 사이 간격보다 좁게 설정함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SID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2001 Digest, 484페이지-487페이지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3181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멀리 블랙 방식에서는 액정분자의 장축과 입사측 편광판의 흡수축을 일치시켜 상하 편광판을 직교 배치시키면, 전계가 없는 상태에서 완전히 흑색 표시가 되고, 전계가 있을 때에는 액정분자는 기판에 평행을 유지하면서 회전 동작함으로써 회전각에 따른 투과율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FFS 모드는 지그재그 전극을 채용한 어드밴스드 프린지 필드 스위칭 (A-FFS) 모드나, 울트라 프린지 필드 스위칭 (U-FFS) 모드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FFS 모드를 채용한 시판되는 액정표시장치로는, 예를 들어 Motion Computing사의 태블릿 PC 상품명 「M1400」을 들 수 있다.
상기 벤드 네마틱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or 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nence) 모드의 액정 셀이란, 전압제어 복굴절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nence) 효과를 이용하여 투명전극 사이에 유전율 이방성이 정인 네마틱 액정이 전압 무인가시에 중앙부에 뒤틀림 배향이 존재하 는 벤드 배향한 액정 셀을 말한다. 상기 OCB 모드의 액정 셀은 「π 셀」이라고도 한다. 구체적으로는, 교리츠출판주식회사 출판 「차세대 액정 디스플레이」(2000년) p.11∼p.27 에 기재된 것이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7-084254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액정 셀에 본 발명의 광학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콘트라스트비나 컬러 시프트 등의 표시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게다가 그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백라이트로는, 직하형 백라이트, 사이드라이트형 백라이트, 면상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에는 반사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의 형성에서는, 예를 들어 확산판, 안티글레어층, 반사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확산판 등의 적당한 부품을 적당한 위치에 1층 또는 2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 패널 및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는 용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PC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복사기 등의 OA 기기;휴대전화, 시계, 디지털 카메라, 휴대정보단말 (PDA), 휴대게임기 등의 휴대기기;비디오 카메라, 액정 텔레비전, 전자 레인지 등의 가정용 전기기기;백 모니터,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용 모니터, 카 오디오 등의 차량탑재용 기구;상업점포용 인포메이션용 모니터 등의 전시 기기, 감시용 모니터 등의 경비 기기, 보호용 모니터, 의료용 모니터 등의 보호·의료 기기 등의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액정 패널 및 액정표시장치는 대형 액정 텔레 비전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액정 패널 및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는 액정 텔레비전의 화면 사이즈로는, 바람직하게는 와이드 17형 (373㎜×224㎜)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와이드 23형 (499㎜×300㎜)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와이드 26형 (566㎜×339㎜) 이상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와이드 32형 (687㎜×412㎜) 이상이다.
이어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장치 (유기 EL 표시장치) 에 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표시장치는, 투명기판 상에 투명전극과 유기발광층과 금속전극을 순차로 적층하여 발광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발광체) 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유기발광층은 여러 가지의 유기박막의 적층체이고, 예를 들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 및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 유기고체로 이루어지는 발광층과의 적층체나, 또는 이러한 발광층과 페릴렌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주입층의 적층체나, 또 혹은 이들의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주입층의 적층체 등, 여러 조합을 갖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유기 EL 표시장치는 투명전극과 금속전극 등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기발광층에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고, 이들 정공과 전자와의 재결합에 의해서 생기는 에너지가 형광물질을 여기하여, 여기된 형광물질이 기저상태로 되돌아갈 때에 광을 방사하는 원리로 발광한다. 도중의 재결합이라는 메카니즘은 일반적인 다이오드와 동일하고, 이것으로부터도 예상할 수 있듯이, 전류와 발광강도는 인가전압에 대하여 정류성(整流性)을 수반하는 강한 비선형성을 나타낸다.
유기 EL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유기발광층에서의 발광을 이끌어내기 위해, 적어도 일측의 전극이 투명하지 않으면 안되고, 통상 산화인듐주석 (ITO) 등의 투명도전체로 형성한 투명전극을 양극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전자주입을 쉽게 하여 발광효율을 올리기 위해서는, 음극에 일함수가 작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통상 Mg-Ag, Al-Li 등의 금속전극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유기 EL 표시장치에 있어서, 유기발광층은 두께 10㎚ 정도로 매우 얇은 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기발광층도 투명전극과 같이 광을 거의 완전히 투과한다. 그 결과, 비발광시에 투명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입사되고, 투명전극과 유기발광층을 투과하여 금속전극에서 반사된 광이, 다시 투명기판의 표면측으로 나가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았을 때 유기 EL 표시장치의 표시면이 경면(鏡面)과 같이 보인다.
전압의 인가에 의해서 발광하는 유기발광층의 표면측에 투명전극을 구비함과 동시에, 유기발광층의 이면측에 금속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발광체를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장치에 있어서, 투명전극의 표면측에 편광판을 형성함과 함께 이들 투명전극과 편광판 사이에 위상차판을 형성할 수 있다.
위상차판 및 편광판은, 외부에서 입사하여 금속전극에서 반사되어 온 광을 편광하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그 편광작용에 의해서 금속전극의 경면을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위상차판을 1/4 파장판으로 구성하고, 또한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편광방향이 이루는 각을 π/4 로 조정하면, 금속전극의 경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즉, 이 유기 EL 표시장치에 입사되는 외부광은 편광판에 의해 직선편광성분 만이 투과된다. 이 직선편광은 위상차판에 의해 일반적으로 타원편광으로 되지만, 특히 위상차판이 1/4 파장판이고 게다가 편광판과 위상차판의 편광방향이 이루는 각이 π/4 일 때에는 원편광으로 된다.
이 원편광은, 투명기판, 투명전극, 유기박막을 투과하여 금속전극에서 반사되고, 다시 유기박막, 투명전극, 투명기판을 투과하여 위상차판에 다시 직선편광으로 된다. 그리고, 이 직선편광은, 편광판의 편광방향과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편광판을 투과할 수 없다. 그 결과, 금속전극의 경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하여,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더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분석방법은 이하와 같다.
(1)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방법:겔 투과형 크로마토그래피 (GPC) 법에 의해 폴리스티렌을 표준시료로 하여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톨루엔을 전개 용매로 하고 유속 1mL/분, 칼럼온도는 40℃ 에서 측정하였다.
(2) 유리 전이 온도 (Tg) 의 측정방법:이하의 장치를 사용하여 JISK7121 에 준하여 구하였다.
·세이코전자주식회사 제조 시차주사열량계 「DSC5500」
·측정분위기:20㎖/분의 질소 하
·승온 속도 10℃/분
(3) 위상차값, 복굴절률, 파장분산 특성, 지상축의 각도, 광투과율의 측정방법:평행 니콜 회전법을 원리로 하는 위상차계〔오지계측기기(주) 제조 제품명 「KOBRA21-ADH」〕를 사용하여 파장 590㎚ 의 값을 측정하였다 (파장분산 특성에 관해서는 파장 480㎚ 의 광원도 사용하였다).
(4)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 측정방법:분광 엘립소미터〔니혼분코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M-220」〕를 사용하여 응력 하에서 샘플의 위상차값을 측정하고, 응력과 위상차값의 함수의 기울기에서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3℃ 에서 2㎝×10㎝ 의 시험편으로 5N∼15N 의 응력을 가했을 파장 590㎚ 에서의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을 측정하였다.
(5) 두께 측정방법:안리츠 제조 디지털마이크로미터 「K-351C 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6) 수축성 필름의 수축률 측정방법:JIS Z 1712 의 가열수축률 A 법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단, 가열온도는 120℃ 대신에 140℃ 로 하고, 시험편에 가중 3g 을 더한 것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폭 20㎜, 길이 150㎜ 의 시험편을 세로 (MD), 가로 (TD) 방향에서 각 5장 취하여 각각의 중앙부에 약 100㎜ 의 거리에서 표점을 찍은 시험편을 제작한다. 그 시험편은 온도 140℃±3℃ 또는 온도 160℃±3℃ 로 유지된 공기순환식 항온조에 가중 3g 을 건 상태로 수직으로 매달아 15분간 가열한 후 꺼내어, 표준온도 (실온) 에 30분간 방치하고 나서 JIS B 7507 에 규정하는 노기스를 사용하여 표준간 거리를 측정하고, 5개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구하여, S=[<가열 전 표준간 거리(㎜)-가열 후 표준간 거리(㎜)>/가열 전 표준간 거리(㎜)]×100 에서 S140(MD) 및 S140(TD), 그리고 S160(MD) 및 S160(TD) 를 산출하였다.
(7) 수축성 필름의 폭 (TD) 방향의 수축 응력 측정방법:이하의 장치를 사용하여 TMA 법으로 140℃ 및 150℃ 에서의 폭 (TD) 방향의 수축 응력 T140(TD) 및 수축 응력 T150(TD) 을 측정하였다.
·장치:세이코인스트루먼트(주) 제조 「TMA/SS 6100」
·데이터처리:세이코인스트루먼트(주) 제조 「EXSTAR6000」
·측정모드:등속승온측정 (10℃/분)
·측정분위기:대기 중 (실온)
·하중:20mN
·샘플 사이즈:15㎜×2㎜ (긴 변이 폭 (TD) 방향)
(8) 액정표시장치의 콘트라스트비의 측정방법:이하의 방법,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23℃ 의 암실에서 백라이트를 점등시키고 나서 30분이 경과한 후 측정하였다. 액정표시장치에 백색 화상 및 흑색 화상을 표시시키고, ELDIM 사 제조의 제품명 「EZ Contrast 160D」에 의해 표시화면 상에서 광누설이 가장 큰 방향의 하나인, 표시 화면의 방위각 45°방향, 극각 60°방향에서의 XYZ 표시계의 Y 값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백색 화상에서의 Y 값 (YW) 과 흑색 화상에서의 Y 값 (YB) 에서 경사 방향의 콘트라스트비 「YW/YB」를 산출하였다. 또, 방위각 45°란 패널의 긴 변을 0°로 하였을 때 시계반대 방향으로 45°회전시킨 방향을 나타내 고, 극각 60°란 표시화면의 정면 방향을 0°로 하였을 때 각도 60°로 경사진 방향을 나타낸다.
(9) 액정 패널의 표시 불균일의 평가방법:이하의 액정 셀과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표시화면을 촬영하였다. 표 중 「○」은 흑색 화상을 표시한 패널 전체면에서 최대 휘도와 최소 휘도의 차가 1.79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는 흑색 화상을 표시한 패널 전체면에서 최대 휘도와 최소 휘도의 차가 1.79 를 초과하는 것을 나타낸다.
·액정 셀:SONY 제조 KLV-17HR2 에 탑재되어 있는 것
·패널 사이즈:375㎜×230㎜
·측정장치:미놀타 제조 2차원 색분포 측정장치 「CA-1500」
·측정환경:암실 (23℃)
〔수축성 필름〕
하기 수축성 필름 (A) 내지 (F) 를 사용하였다. 이들 물성은 표 1 과 같다.
수축성 필름 (A):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도오레 제조, 상품명 「트레판」 BO 2570A-1 (두께 60㎛)]
수축성 필름 (B):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도오레 제조, 상품명 「트레판」 BO 2570A-2 (두께 60㎛)〕
수축성 필름 (C):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도오레 제조, 상품명 「트레판」 BO 2570A-3 (두께 60㎛)〕
수축성 필름 (D):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도오레 제조, 상품명 「트레판」 BO 2570A-4 (두께 60㎛)〕
수축성 필름 (E):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도오레 제조, 상품명 「트레판」 BO 2570A-5 (두께 60㎛)〕
수축성 필름 (F):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도오레 제조, 상품명 「트레판」 BO 2570A-6 (두께 6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17
〔실시예 1〕
두께 100㎛ 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 (니혼제온(주)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ZF14-100」) 양쪽에, 수축성 필름 (E) 을 아크릴계 점착제층 (두께 15㎛) 을 사이에 두고 부착하였다. 그 후, 롤 연신기로 필름의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146℃±1℃의 공기순환식 항온 오븐 내에서 1.38배로 연신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았다. 또,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136℃ 이고, 연신 전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은 5.0㎚, 두께방향의 위상차값은 12.0㎚ 이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매로 하는 GPC 법으로 구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5만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일본폴리우레탄사 제조 상품명 「코로네이트 L」 3중량부, 도쿄파인케미컬 제조 상품명 「OL-1」 1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40℃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38배에서 1.08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40℃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38배에서 1.09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55℃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38배에서 1.30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5〕
실시예 1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50℃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38배에서 1.20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6〕
실시예 1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45℃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38배에서 1.20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7〕
실시예 1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48℃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38배에서 1.30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8〕
실시예 1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48℃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38배에서 1.35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9〕
실시예 1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48℃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38배에서 1.40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10〕
두께 40㎛ 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 (니혼제온(주)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ZF14-040」) 양쪽에, 수축성 필름 (E) 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아크릴계 점착제층 (두께 15㎛) 을 사이에 두고 부착하였다. 그 후, 롤 연신기로 필름의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143℃±1℃ 에서 1.58배로 연신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았다. 또,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136℃ 이고, 연신 전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은 1.0㎚, 두께방향의 위상차값은 3.0㎚ 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0 에 있어서, 연신 배율을 1.58배에서 1.52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12〕
실시예 10 에 있어서, 연신 배율을 1.58배에서 1.45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13〕
두께 40㎛ 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 (니혼제온(주)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ZF14-040」) 양쪽에, 수축성 필름 (A) 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아크릴계 점착제층 (두께 15㎛) 을 사이에 두고 부착하였다. 그 후, 롤 연신기로 필름의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143℃±1℃ 에서 1.65배로 연신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14〕
실시예 13 에 있어서, 연신 배율을 1.65배에서 1.50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15〕
실시예 13 에 있어서, 연신 배율을 1.65배에서 1.40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16〕
두께 130㎛ 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 (JSR(주) 제조, 상품명 「아톤 FLZU130D0」 양쪽에, 수축성 필름 (C) 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아크릴 점착제층 (두께 15㎛) 을 사이에 두고 부착하였다. 그 후, 롤 연신기로 필름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146℃±1℃ 의 공기순환식 항온 오븐 내에서 1.42배로 연신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17〕
두께 130㎛ 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 (JSR(주) 제조, 상품명 「아톤 FLZU130D0」 양쪽에, 수축성 필름 (F) 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아크릴계 점착제층 (두께 15㎛) 을 사이에 두고 부착하였다. 그 후, 롤 연신기로 필름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146±1℃ 의 공기순환식 항온 오븐 내에서 1.37배로 연신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또,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125℃ 이고, 연신 전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은 9.6㎚, 두께방향 위상차는 31.3㎚ 이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74,000, 수 평균 분자량은 23,500 이었다.
〔실시예 18〕
실시예 17 에 있어서, 연신 배율을 1.37배에서 1.26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7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19〕
두께 130㎛ 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 (JSR(주) 제조, 상품명 「아톤 FLZU130D0」 양쪽에, 수축성 필름 (D) 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아크릴계 점착제층 (두께 15㎛) 을 사이에 두고 부착하였다. 그 후, 롤 연신기로 필름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146±1℃ 의 공기순환식 항온 오븐 내에서 1.39배로 연신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20〕
실시예 19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48℃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39배에서 1.26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21〕
실시예 19 에 있어서, 연신 배율을 1.39배에서 1.43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 와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22〕
두께 100㎛ 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 (니혼제온(주)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ZF14-100」 양쪽에, 수축성 필름 (C) 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아크릴계 점착제층 (두께 15㎛) 을 사이에 두고 부착하였다. 그 후, 롤 연신기로 필름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146℃ 의 공기순환식 항온 오븐 내에서 1.39배로 연신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23〕
실시예 22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50℃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39배에서 1.32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24〕
실시예 22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49℃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39배에서 1.35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25〕
두께 130㎛ 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 (JSR(주) 제조, 상품명 「아톤 FLZU130D0」 양쪽에, 수축성 필름 (B) 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아크릴계 점착제층 (두께 15㎛) 을 사이에 두고 부착하였다. 그 후, 롤 연신기로 필름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146±1℃ 의 공기순환식 항온 오븐 내에서 1.42배로 연신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26〕
실시예 25 에 있어서, 연신 온도를 146℃ 에서 155℃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42배에서 1.44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5 와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27〕
실시예 25 에 있어서, 연신 배율을 1.42배에서 1.13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5 와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실시예 28〕
두께 100㎛ 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 필름 (니혼제온(주)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ZF14-100」 양쪽에, 수축성 필름 (A) 를 실시예 1 과 동일한 아크릴계 점착제층 (두께 15㎛) 을 사이에 두고 부착하였다. 그 후, 롤 연신기로 필름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153±1℃ 의 공기순환식 항온 오븐 내에서 1.23배로 연신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비교예 1〕
포스겐과 비스페놀 A 의 축합에 의해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분자필름 (두께 40㎛) 양쪽에, 수축성 필름 (A) 를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부착하였다. 그 후, 롤 연신기로 필름의 길이방향을 유지하고 160℃에서 1.10배로 연신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본 비교예에서 사용한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아크릴계 점착제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분자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150℃ 이고, 연신 전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은 7㎚, 두께방향의 위상차값은 15㎚ 이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 에 있어서, 고분자필름의 두께를 40㎛ 에서 60㎛ 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1.10배에서 1.05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위상차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특성은 표 2 와 같다.
도 11 은 실시예 1∼15 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 및 비교예 1∼2 의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값:Re(nm) 와 Nz 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9 에서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광범위한 면내 위상차값 및 Nz 계수를 갖는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0∼15 에서는 λ/4판으로서 바람직한 면내 위상차값 및 Nz 계수를 갖는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5043324623-PAT00118
표 2 중 NOR: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이다.
실시예 1-1
〔편광판 (P1) 의 제작〕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염색한 후,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속비가 다른 롤 사이에서 1축 연신하여 편광자를 얻었다. 상기 편광자의 한 쪽 면에는 두께 40㎛ 의 미연신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 (니혼제온(주) 제조, 상품명「제오노아 ZF14-040」, 광탄성 계수 (절대값) 3.01×10-12㎡/N) 을 접착면에 접착용 초벌제 (니혼유니카(주) 제조, 상품명 「A-1110」) 를 얇게 도포한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니혼합성화학(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 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고, 다른 쪽 면에는 4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후지샤신필름(주) 제조, 상품명 「후지탁」) 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편광판 (P1) 을 얻었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은, 면내위상차 (Re) 가 1.0㎚, 두께방향의 위상차 (Rth) 가 3.0㎚ 이었다.
〔광학필름 (Q1) 의 제작〕
상기 편광판 (P1) 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표면에,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을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 (0°±1.0°) 해지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광학필름 (Q1) 을 얻었다.
〔액정표시장치의 제작〕
IPS 모드의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SONY 제조, KLV-17HR2〕에서 액정 패널을 꺼내어 상기 액정 셀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던 편광판을 제거하고 그 유리면 (표리) 을 세정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액정 셀의 시인측에 상기 광학필름 (Q1) 을, 상기 광학필름 (Q1)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고, 한편 상기 액정 셀의 백라이트측에 상기 편광판 (P1) 을, 상기 편광판 (P1)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직교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액정 패널 (Ⅰ) 을 제작하였다. 상기 광학필름 (Q1) 은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상기 편광판 (P1) 은,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이 상기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하였다.
상기 액정 패널 (Ⅰ) 을 원래의 액정표시장치에 장착하였다. 얻어진 액정표시장치에 대하여 백라이트를 8시간 점등시킨 후, 미놀타(주) 제조 2차원 색분포 측정장치 「CA-1500」를 사용하여 암실에서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의 열에 의한 표시 불균일은 작았다.
또, 이와 같이 제작한 액정 패널 (Ⅰ) 을 백라이트 유닛과 결합시켜 액정표시장치 (Ⅰ) 를 제작하였다. 백라이트를 점등시켜 30분 후에 방위각 45°, 극각 60°의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였더니, 콘트라스트비가 75 였다.
비교예 2-1
실시예 1-1 에 있어서,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 대신에 비교예 2 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액정 패널 (Ⅰ') 을 제작하였다. 이것을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액정표시장치〔SONY 제조, KLV-17HR2〕에 장착해 액정표시장치를 얻었다.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를 8시간 점등시킨 후, 실시예 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화면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의 열에 의한 표시 불균일은 매우 컸다.
실시예 1 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액정 패널을 장착한 액정표시장치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의 열에 의한 표시 불균일이 작았다. 실시예 2∼28 에 관해서도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더니 표시 불균일은 작았다. 실시예 8, 9, 16, 17, 19, 21, 22, 24, 25 이외에서는 위상차 필름을 지상축이 평행해지도록 2장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에 나타내는 종래 기술에 의한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 액정 패널을 장착한 액정표시장치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의 열에 의한 표시 불균일이 매우 컸다. 또, 비교예 1 에 관해서도 비교예 2 와 동일하게 평가하였더니 표시 불균일이 매우 컸다. 비교예 1 에서는 위상차 필름을 지상축이 평행해지도록 2장 사용하였다.
〔실시예 23-1〕
〔편광판 (P2) 의 제작〕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염색한 후,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속비가 다른 롤 사이에서 1축 연신하여 편광자 (두께 28㎛, 편광도 99.9%, 단체 투과율 43.5%) 를 얻었다. 상기 편광자의 한 쪽 면에는 두께 8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후지샤신필름(주) 제조, 상품명 「제트탁」, 면내위상차 (Re) 가 1.0㎚, 두께방향의 위상차 (Rth) 가 4.0㎚) 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니혼합성화학(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 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편광판 (P2) 을 얻었다.
〔광학필름 (Q2) 의 제작〕
상기 편광판 (P2)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표면에, 실시예 23 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을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직교 (90°±0.5°) 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광학필름 (Q2) 을 얻었다.
〔액정표시장치 (Ⅱ) 의 제작〕
IPS 모드의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SONY 제조, KLV-17HR2〕에서 액정 패널을 꺼내어 상기 액정 셀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던 편광판을 제거하고 그 유리면 (표리) 을 세정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액정 셀의 시인측에 상기 광학필름 (Q2) 을, 상기 광학필름 (Q2)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고, 한편 상기 액정 셀의 백라이트측에 상기 편광판 (P2) 을, 상기 편광판 (P2)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직교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액정 패널 (Ⅱ) 을 제작하였다. 상기 광학필름 (Q2) 은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한 액정 패널 (Ⅱ) 를 백라이트 유닛과 결합시켜 액정표시장치 (Ⅱ) 를 제작하였다. 백라이트를 점등시켜 30분 후에 방위각 45°, 극각 60°의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였더니 콘트라스트비가 60 이었다.
〔실시예 23-2〕
〔편광판 (P3) 의 제작〕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염색한 후,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속비가 다른 롤 사이에서 1축 연신하여 편광자 (두께 28㎛, 편광도 99.9%, 단체 투과율 43.5%) 를 얻었다. 상기 편광자의 한 쪽 면에는 두께 8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후지샤신필름(주) 제조 상품명 「후지탁」, 면내위상차 (Re) 가 1.0㎚, 두께방향의 위상차 (Rth) 가 58.3㎚) 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니혼합성화학(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 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편광판 (P3) 을 얻었다.
〔광학필름 (Q3) 의 제작〕
상기 편광판 (P3)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표면에, 실시예 23 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을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직교 (90°±0.5°) 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광학필름 (Q3) 을 얻었다.
〔액정표시장치 (Ⅲ) 의 제작〕
IPS 모드의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SONY 제조, KLV-17HR2〕에서 액정 패널을 꺼내어 상기 액정 셀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던 편광판을 제거하고 그 유리면 (표리) 을 세정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액정 셀의 백라이트측에 상기 광학필름 (Q3) 을, 상기 광학필름 (Q3)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직교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고, 한편 상기 액정 셀의 시인측에 상기 편광판 (P3) 을, 상기 편광판 (P3)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액정 패널 (Ⅲ) 을 제작하였다. 상기 광학필름 (Q3) 은,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한 액정 패널 (Ⅲ) 을 백라이트 유닛과 결합시켜 액정표시장치 (Ⅲ) 을 제작하였다. 백라이트를 점등시켜 30분 후에 방위각 45°, 극각 60°의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였더니 콘트라스트비가 45 이었다.
〔실시예 24-1〕
〔편광판 (P4) 의 제작〕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요오드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염색한 후,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속비가 다른 롤 사이에서 1축 연신하여 편광자 (두께 28㎛, 편광도 99.9%, 단체 투과율 43.5%) 를 얻었다. 상기 편광자의 한 쪽 면에는 두께 8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후지샤신필름(주) 제조 상품명 「후지탁」, 면내위상차 (Re) 가 0.5㎚, 두께방향의 위상차 (Rth) 가 40.0㎚) 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니혼합성화학(주)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 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편광판 (P4) 을 얻었다.
〔광학필름 (Q4) 의 제작〕
상기 편광판 (P4)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표면에, 실시예 24 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을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직교 (90°±0.5°) 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광학필름 (Q4) 을 얻었다.
〔액정표시장치 (Ⅳ) 의 제작〕
IPS 모드의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SONY 제조, KLV-17HR2〕에서 액정 패널을 꺼내어 상기 액정 셀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던 편광판을 제거하고 그 유리면 (표리) 을 세정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액정 셀의 시인측에 상기 광학필름 (Q4) 을, 상기 광학필름 (Q4)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고, 한편 상기 액정 셀의 백라이트측에 실시예 23-1 에서 제작한 상기 편광판 (P2) 을, 상기 편광판 (P2)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직교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액정 패널 (Ⅳ) 를 제작하였다. 상기 광학필름 (Q4) 은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한 액정 패널 (Ⅳ) 를 백라이트 유닛과 결합시켜 액정표시장치 (Ⅳ) 을 제작하였다. 백라이트를 점등시켜 30분 후에 방위각 45°, 극각 60°의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였더니 콘트라스트비가 60 이었다.
〔실시예 27-1〕
〔광학필름 (Q5) 의 제작〕
상기 편광판 (P3)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표면에, 실시예 27 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을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직교 (90°±0.5°) 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광학필름 (Q5) 을 얻었다.
〔액정표시장치 (Ⅴ) 의 제작〕
IPS 모드의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SONY 제조, KLV-17HR2〕에서 액정 패널을 꺼내어 상기 액정 셀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던 편광판을 제거하고 그 유리면 (표리) 을 세정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액정 셀의 백라이트측에 상기 광학필름 (Q5) 을, 상기 광학필름 (Q5)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직교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고, 한편 상기 액정 셀의 시인측에 상기 편광판 (P3) 을, 상기 편광판 (P3)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액정 패널 (Ⅴ) 을 제작하였다. 상기 광학필름 (Q5) 은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한 액정 패널 (Ⅴ) 를 백라이트 유닛과 결합시켜 액정표시장치 (Ⅴ) 를 제작하였다. 백라이트를 점등시켜 30분 후에 방위각 45°, 극각 60°의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였더니 콘트라스트비가 50 이었다.
〔실시예 28-1〕
〔광학필름 (Q6) 의 제작〕
상기 편광판 (P3)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표면에, 실시예 28 에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을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직교 (90°±0.5°) 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광학필름 (Q6) 을 얻었다.
〔액정표시장치 (Ⅵ) 의 제작〕
IPS 모드의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SONY 제조, KLV-17HR2〕에서 액정 패널을 꺼내어 상기 액정 셀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던 편광판을 제거하고 그 유리면 (표리) 을 세정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액정 셀의 시인측에 상기 광학필름 (Q6) 을, 상기 광학필름 (Q6)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고, 한편 상기 액정 셀의 시인측에 상기 편광판 (P3) 을, 상기 편광판 (P3)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직교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액정 패널 (Ⅵ) 을 제작하였다. 상기 광학필름 (Q6) 은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액정 셀에 가까운 측이 되도록 배치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액정 패널 (Ⅵ) 을 백라이트 유닛과 결합시켜 액정표시장치 (Ⅵ) 를 제작하였다. 백라이트를 점등시켜 30분 후에 방위각 45°, 극각 60°의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였더니 콘트라스트비가 40 이었다.
〔비교예 3〕
〔액정표시장치 (Ⅶ) 의 제작〕
IPS 모드의 액정 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SONY 제조, KLV-17HR2〕에서 액정 패널을 꺼내어 상기 액정 셀의 상하에 배치되어 있던 편광판을 제거하고 그 유리면 (표리) 을 세정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액정 셀의 시인측에 상기 편광판 (P3) 을, 상기 편광판 (P3)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평행해지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고, 한편 상기 액정 셀의 시인측에 상기 편광판 (P3) 을, 상기 편광판 (P3) 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상기 액정 셀의 긴 변과 직교하도록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하여 액정 패널 (Ⅶ) 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액정 패널 (Ⅶ) 을 백라이트 유닛과 결합시켜 액정표시장치 (Ⅶ) 를 제작하였다. 백라이트를 점등시켜 30분 후에 방위각 45°, 극각 60°의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였더니 콘트라스트비가 10 이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에 의하면,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하더라도 응력에 의해 위상차값의 어긋남이나 불균일이 생기지 않는 nx>nz>ny 의 관계를 갖고, 또 광범위한 위상차값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특성 향상에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이다. 이러한 위상차 필름은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작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에 사용한 경우에도 응력에 의해 위상차값의 어긋남이나 불균일이 잘 생기지 않는다.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에 의해, nx>nz>ny 의 관계를 갖는 위상차 필름은 얻을 수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분자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소정 수축률을 갖는 수축성 필름을 부착하여 가열연신함으로써, nx>nz>ny 의 관계를 갖고 상기 식 (1) 및 식 (2) 를 만족하는 위상차 필름을 얻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을 연신하여 위상차 필름을 제조할 때에도 낮은 연신 배율로 광범위한 위상차값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21)

  1.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연신필름이고,
    식 (1), 10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19
    (nx-ny)·d
    Figure 112005043324623-PAT00120
    350㎚ 및 식 (2), 0.1
    Figure 112005043324623-PAT00121
    (nx-nz)/(nx-ny)
    Figure 112005043324623-PAT00122
    0.9 를 만족하고,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遲相軸) 방향, 진상축 (進相軸) 방향 및 두께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고, d(㎚) 는 위상차 필름의 두께로 하며,
    상기 지상축 방향은 위상차 필름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23℃ 에서의 광탄성 계수의 절대값이 1.0×10-12㎡/N∼12.0×10-12㎡/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르보르넨계 수지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를 수소 첨가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으로서,
    노르보르넨계 수지를 함유하는 고분자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수축성 필름을 부착하고,
    식 (1), 10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23
    (nx-ny)·d
    Figure 112005043324623-PAT00124
    350㎚ 및 식 (2), 0.1
    Figure 112005043324623-PAT00125
    (nx-nz)/(nx-ny)
    Figure 112005043324623-PAT00126
    0.9 를 만족하도록 가열 연신하며,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및 두께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고, d(nm) 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두께로 하며,
    상기 지상축 방향은 상기 위상차 필름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필름의 두께가 10∼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필름의 연신 온도가 상기 고분자필름의 Tg+1℃ ∼ Tg+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필름의 연신 배율이 1.05∼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 름의 제조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 필름은 140℃ 에서의 길이방향의 수축률:S140(MD) 가 4∼20% 이고, 또 폭방향의 수축률:S140(TD) 가 4∼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 필름은 160℃ 에서의 길이방향의 수축률:S160(MD) 가 10∼30% 이고, 또 폭방향의 수축률:S160(TD) 가 32∼6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 필름은 14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률:S140(TD) 와 길이방향의 수축률:S140(MD) 의 차:ΔS140=S140(TD)-S140(MD) 가 0.5%
    Figure 112005043324623-PAT00127
    ΔS14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28
    10%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 필름은 16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률:S160(TD) 와 길이방향의 수축률:S160(MD) 의 차:ΔS160=S160(TD)-S160(MD) 가 5%
    Figure 112005043324623-PAT00129
    ΔS160
    Figure 112005043324623-PAT00130
    50%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 필름은 14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 응력 T140(TD) 가 0.2∼1.2N/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 필름은 150℃ 에서의 폭방향의 수축 응력 T150(TD) 가 0.3∼1.3N/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성 필름은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15. 제 1 항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이, 편광자, 또는 편광자의 한 쪽 또는 양쪽에 투명보호필름을 구비한 편광판의 적어도 한 쪽에 적층된 광학필름이고,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 또는 직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6. 제 1 항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이, 편광자의 한 쪽 또는 양쪽에 투명보호필름을 구비한 편광판의 적어도 한 쪽에 적층된 광학필름으로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이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 또는 직교이고, 상기 위상차 필름이 적층되는 상기 편광판의 적어도 한 쪽에는 상기 투명보호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투명보호필름이 식 (3), 0㎚<(nx-ny)·d
    Figure 112005043324623-PAT00131
    5㎚ 및 식 (4), 0㎚<(nx-nz)·d
    Figure 112005043324623-PAT00132
    15㎚ 를 만족하고,
    상기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및 두께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 로 하고, d(nm) 는 상기 위상차 필름의 두께로 하며,
    상기 지상축 방향은 상기 위상차 필름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 또는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기재된 광학필름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8. 액정 셀의 양쪽에 편광자를 갖는 액정 패널로서,
    상기 액정 셀의 적어도 한 쪽에는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기재된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셀은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 또는 OCB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패널.
  20. 제 18 항에 기재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1. 제 18 항에 기재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텔레비전.
KR1020050071633A 2004-08-05 2005-08-05 위상차 필름, 그 제조방법, 광학필름, 화상표시장치, 액정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KR100975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9565 2004-08-05
JPJP-P-2004-00229565 2004-08-05
JP2005123874A JP3841306B2 (ja) 2004-08-05 2005-04-21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JP-P-2005-00123874 2005-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240A true KR20060050240A (ko) 2006-05-19
KR100975252B1 KR100975252B1 (ko) 2010-08-11

Family

ID=3575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633A KR100975252B1 (ko) 2004-08-05 2005-08-05 위상차 필름, 그 제조방법, 광학필름, 화상표시장치, 액정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7215839B2 (ko)
JP (1) JP3841306B2 (ko)
KR (1) KR100975252B1 (ko)
CN (1) CN100426017C (ko)
TW (1) TW20062488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2901B2 (en) 2006-05-29 2010-10-12 Nitto Denko Corporatio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1015084B1 (ko) * 2007-02-27 2011-02-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20127359A (ko) * 2009-06-19 2012-11-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US9581747B2 (en) 2009-06-19 2017-02-28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optical film, laminate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KR20190017297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90060685A (ko) * 2017-11-24 2019-06-03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3446B2 (ja) * 2002-03-08 2006-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WO2003102639A1 (en) * 2002-05-30 2003-12-11 Zeon Corporation Optical laminate
JP2006058540A (ja) * 2004-08-19 2006-03-02 Jsr Corp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
JP4646030B2 (ja) * 2005-03-31 2011-03-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2007017816A (ja) * 2005-07-11 2007-01-25 Okura Ind Co Ltd 熱可塑性ノルボルネン系樹脂からなる光学補償フィルム
JP5064738B2 (ja) * 2005-08-22 2012-10-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ポリマー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7671945B2 (en) * 2005-09-30 2010-03-02 Teledyne Scientific & Imaging, Llc UV curable alignment material for fabrication of monolithic compensator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JP2007178984A (ja) * 2005-11-29 2007-07-12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396625B2 (ja) * 2005-12-13 2010-01-13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
JP4948871B2 (ja) * 2006-03-29 2012-06-0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WO2007119560A1 (ja) * 2006-03-31 2009-08-27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偏光板,液晶表示装置,および,保護フィルム
JP2007298960A (ja) * 2006-04-04 2007-11-15 Sumitomo Chemical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偏光板のセット
JP2007316592A (ja) * 2006-04-27 2007-12-06 Nitto Denko Corp 複屈折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4816230B2 (ja) * 2006-05-12 2011-11-16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7333846A (ja) * 2006-06-13 2007-12-27 Sumitomo Chemical Co Ltd 加熱収縮フィルム
JP2008026781A (ja) * 2006-07-25 2008-02-07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TW200821691A (en) * 2006-07-26 2008-05-1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799320B2 (ja) * 2006-08-25 2011-10-26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ネガティブa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TWI440942B (zh) * 2006-09-06 2014-06-11 Fujifilm Corp 液晶顯示裝置
JP5553468B2 (ja) * 2006-10-05 2014-07-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080085481A1 (en) * 2006-10-06 2008-04-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olls of optical film
US8194210B2 (en) * 2006-10-26 2012-06-05 Fujifilm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8107591A (ja) 2006-10-26 2008-05-08 Nitto Denko Corp 複屈折フィルムの製造方法、複屈折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JP5252335B2 (ja) * 2006-10-27 2013-07-31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端末装置
KR100814819B1 (ko) * 2006-10-31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5444602B2 (ja) * 2007-10-04 2014-03-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GB2456274B (en) * 2006-11-17 2010-11-03 Dai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08059983A1 (fr) * 2006-11-17 2008-05-22 Dai Nippon Printing Co., Ltd. Film optique, plaque de polarisation et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JP5444601B2 (ja) * 2006-11-17 2014-03-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TWI407197B (zh) * 2006-11-20 2013-09-01 Lg Chemical Ltd 光學膜以及彼之製法
JP2008158310A (ja) * 2006-12-25 2008-07-10 Nitto Denko Corp 積層体、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M320080U (en) * 2006-12-29 2007-10-01 Sumika Technology Co Ltd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display structure
JP2008197536A (ja) * 2007-02-15 2008-08-28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997591B2 (ja) * 2007-03-30 2012-08-0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US9096719B2 (en) * 2007-03-29 2015-08-04 Akron Polymer Systems Optical compensation films with mesogen groups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8889043B2 (en) 2007-03-29 2014-11-18 Akron Polymer Systems, Inc. Optical films cast from styrenic fluoropolymer solutions
US8435636B2 (en) * 2007-03-29 2013-05-07 Akron Polymer Systems, Inc. Optical compensation films of brominated styrenic polymers and related methods
US9011992B2 (en) * 2007-03-29 2015-04-21 Akron Polymer Systems Optical compensation films based on stretched polymer films
US8226860B2 (en) * 2007-03-29 2012-07-24 Akron Polymer Systems Optical compensation films having positive birefringen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8821994B2 (en) 2007-03-29 2014-09-02 Akron Polymer Systems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mproved wavelength dispersion characteristics
US8802238B2 (en) * 2007-03-29 2014-08-12 Akron Polymer Systems, Inc. Optical compensation films based on fluoropolymers
US8304079B2 (en) * 2007-03-29 2012-11-06 Akron Polymer Systems Optical compensation films with birefringence enhancing substituents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4911710B2 (ja) * 2007-03-30 2012-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屈折性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US8282754B2 (en) * 2007-04-05 2012-10-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shrink label
KR101232572B1 (ko) 2007-04-05 2013-02-12 애브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감압 수축 라벨
US20110198024A1 (en) * 2007-04-05 2011-08-18 Avery Dennison Corp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for Applying Heat Transfer Labels
KR101495346B1 (ko) * 2007-04-27 2015-02-2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환형 올레핀 중합체, 광학 재료, 편광판 및 액정디스플레이
CN101680990B (zh) * 2007-06-01 2013-09-04 帝人株式会社 相位差膜、叠层偏振光膜及液晶显示装置
WO2009025360A1 (ja) * 2007-08-22 2009-02-2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複合偏光板、積層光学部材及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5649820B2 (ja) * 2007-08-24 2015-01-07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法
EP2212728A1 (en) * 2007-11-20 2010-08-0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Optical compensation film
WO2009069469A1 (ja) 2007-11-27 2009-06-04 Zeon Corporation 延伸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5503975B2 (ja) * 2007-12-27 2014-05-28 株式会社カネカ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104374B2 (ja) * 2008-02-14 2012-12-1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位相差板の製造方法
JP2009251284A (ja) * 2008-04-07 2009-10-29 Sumitomo Chemical Co Ltd 複合偏光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WO2009125717A1 (ja) * 2008-04-07 2009-10-15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偏光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391818B2 (ja) * 2008-06-11 2014-01-15 住友化学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0001642A1 (ja) * 2008-06-30 2010-01-07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100024639A (ko) * 2008-08-26 2010-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WO2010035906A1 (ja) * 2008-09-29 2010-04-01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70056027A (ko) * 2009-01-19 2017-05-22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위상차 필름
BRPI0923744A2 (pt) * 2009-01-27 2019-09-24 Sharp Kk "dispositivo de display de cristal líquido"
JP5373492B2 (ja) * 2009-07-07 2013-12-18 株式会社カネカ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606016B2 (ja) * 2009-07-07 2014-10-15 株式会社カネカ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1007669A1 (ja) 2009-07-17 2011-01-20 チッソ株式会社 光反応性基を有する液晶性ポリイミドよりなる位相差膜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US9104037B2 (en) 2009-07-30 2015-08-11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L2528830T3 (pl) 2010-01-28 2014-08-29 Avery Dennison Corp Pasowy układ aplikatora etykiet
JP2011224853A (ja) * 2010-04-19 2011-11-10 Nitto Denko Corp フィルム及び粘接着シート
KR101122835B1 (ko) * 2010-04-23 2012-03-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WO2011158677A1 (ja) 2010-06-15 2011-12-22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太陽光反射用フィルムミラー及び太陽熱発電用反射装置
US9234987B2 (en) 2010-09-24 2016-01-12 Akron Polymer Systems, Inc. Wide-view multilayer optical films
TWI424016B (zh) * 2010-09-30 2014-01-21 Tacbright Optronics Corp Phase difference compensation film
KR101851780B1 (ko) * 2010-12-07 2018-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패턴드 리타더의 제조방법
US9091816B2 (en) * 2010-12-07 2015-07-28 Lg Display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retarder
KR101291806B1 (ko) * 2010-12-10 2013-07-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US20130271833A1 (en) * 2010-12-28 2013-10-17 Zeon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phase-contrast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contrast film, and long circularly-polarizing plate
US20120194766A1 (en) * 2011-02-01 2012-08-02 Fujifilm Corporation Ips or ffs-mode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9856376B2 (en) 2011-07-05 2018-01-02 Akron Polymer Systems, Inc. Aromatic polyamide films for solvent resistant flexible substrates
CN103987763B (zh) 2011-08-19 2017-12-29 阿克伦聚合物体系有限公司 热稳定的低双折射共聚聚酰亚胺膜
US8871882B2 (en) 2012-02-14 2014-10-28 Akron Polymer Systems, Inc.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tyrenic fluoropolymers
JPWO2013133102A1 (ja) * 2012-03-05 2015-07-3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位相差板の製造方法
JP6151479B2 (ja) * 2012-03-30 2017-06-2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4245825B (zh) * 2012-05-01 2017-09-29 阿克隆聚合物系统有限公司 聚苯乙烯基含氟聚合物溶液浇铸光学薄膜
KR101595615B1 (ko) * 2012-05-30 2016-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휘도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US9075199B2 (en) * 2012-10-30 2015-07-07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499247B1 (ko) * 2012-12-28 2015-03-05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제,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9989688B2 (en) * 2013-03-29 2018-06-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bright-place contrast in image display apparatus
TWI494664B (zh) 2013-05-14 2015-08-01 Au Optronics Corp 顯示器
CN103324783B (zh) * 2013-05-30 2015-12-23 国家电网公司 基于边折叠的lod模型实时生成方法
CN104512075B (zh) 2013-10-04 2017-06-23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离型层、基板结构、与柔性电子元件工艺
US9780339B2 (en) * 2013-12-27 2017-10-03 Joled Inc. Organic electroluminescent panel unit
KR101802560B1 (ko) * 2014-07-23 2017-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US10310286B2 (en) * 2014-09-26 2019-06-04 Zeon Corporatio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broadband lambda/4 pla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274545B1 (ko) 2014-12-01 202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필름용 조성물, 필름 및 표시 장치
JP6497916B2 (ja) * 2014-12-08 2019-04-10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3032603A1 (en) 2014-12-08 2016-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23086B1 (ko) 2014-12-08 2016-05-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사방지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발광장치
KR20160079687A (ko) 2014-12-26 2016-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방지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발광장치
KR102304889B1 (ko) 2015-02-11 2021-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647753B2 (ja) * 2015-04-17 2020-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60133B2 (ja) * 2015-05-29 2019-08-14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のロール、光学ユニット、有機el表示装置、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光学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9643131B2 (en) 2015-07-31 2017-05-09 Pall Corporation Hydrophilic porous polytetrafluoroethylene membrane (I)
US10712487B2 (en) * 2015-10-15 2020-07-14 Zeon Corporation Phase difference film and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444610B1 (ko) * 2015-12-02 2022-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8603971B (zh) * 2016-02-29 2021-07-13 日本瑞翁株式会社 拉伸膜及其制造方法、圆偏振片以及显示装置
CN111443417B (zh) * 2016-03-31 2023-05-23 东洋纺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CN106374053B (zh) * 2016-11-22 2018-05-2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oled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602700B (zh) * 2016-12-29 2017-10-2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偏光板及包含其之顯示裝置
KR102097803B1 (ko) * 2017-11-07 2020-04-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852102B2 (ja) 2018-02-28 2021-03-31 日東電工株式会社 動力走行車両用の偏光フィルム積層体、及び、該偏光フィルム積層体が使用される光学表示パネル
KR20210004981A (ko) * 2018-04-27 2021-01-13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광대역 파장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원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WO2020105810A1 (ko) * 2018-11-19 2020-05-28 효성화학 주식회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위상차 필름
JP7088125B2 (ja) * 2019-05-14 2022-06-21 信越半導体株式会社 被覆物の厚さ測定方法及び研削方法
CN110010088B (zh) * 2019-05-20 2022-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透明显示模组和透明显示装置
JP2023003918A (ja) 2021-06-25 2023-01-17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4633463B (zh) * 2022-05-18 2022-07-19 天津科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分子bopa薄膜材料加工系统和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2196B2 (ja) 1988-12-14 1997-05-2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位相差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818983B2 (ja) * 1990-10-24 1998-10-30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屈折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3165168B2 (ja) 1991-04-02 2001-05-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H11125716A (ja) 1997-10-20 1999-05-11 Nitto Denko Corp 位相差板、その製造方法、楕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982869B2 (ja) 1998-04-16 1999-11-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液晶表示装置
JP3299190B2 (ja) 1998-07-15 2002-07-0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液晶表示装置
JP2001147325A (ja) * 1999-11-22 2001-05-29 Nitto Denko Corp 位相差板の製造方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4566385B2 (ja) * 2000-10-30 2010-10-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JP2002148433A (ja) * 2000-11-08 2002-05-22 Nitto Denko Corp 偏光板
JP3899511B2 (ja) * 2001-04-27 2007-03-28 Jsr株式会社 熱可塑性ノルボルネン系樹脂系光学用フィルム
KR100822247B1 (ko) * 2002-04-01 2008-04-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시스템
JP2003332068A (ja) 2002-05-15 2003-11-21 Nitto Denko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618366B1 (ko) * 2002-05-24 2006-08-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적층 편광판, 액정패널, 액정표시장치, 자발광형 표시장치, 및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KR100839402B1 (ko) * 2002-07-23 2008-06-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필름 및 이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2901B2 (en) 2006-05-29 2010-10-12 Nitto Denko Corporatio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1015084B1 (ko) * 2007-02-27 2011-02-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20127359A (ko) * 2009-06-19 2012-11-2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US8900656B2 (en) 2009-06-19 2014-12-02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US9581747B2 (en) 2009-06-19 2017-02-28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optical film, laminate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KR20190017297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90060685A (ko) * 2017-11-24 2019-06-03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과 그 제조 방법,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252B1 (ko) 2010-08-11
JP3841306B2 (ja) 2006-11-01
US20060257078A1 (en) 2006-11-16
CN100426017C (zh) 2008-10-15
JP2006072309A (ja) 2006-03-16
TW200624885A (en) 2006-07-16
US7215839B2 (en) 2007-05-08
US7391935B2 (en) 2008-06-24
TWI373638B (ko) 2012-10-01
US7336857B2 (en) 2008-02-26
US20060028601A1 (en) 2006-02-09
US20070177087A1 (en) 2007-08-02
CN1731227A (zh)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252B1 (ko) 위상차 필름, 그 제조방법, 광학필름, 화상표시장치, 액정패널 및 액정표시장치
KR100717562B1 (ko) 적층 광학 필름, 타원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100734796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모두 위상차필름을 이용하는 광학 필름,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US7361390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750839B1 (ko)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211980B1 (ko)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JP4822432B2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632754B1 (ko) 적층 광학 필름, 타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4153945B2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5208676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8068978A1 (ja)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5055601A (ja) 複屈折性光学フィルム
JP3838508B2 (ja) 積層位相差板の製造方法
JP2006350371A (ja)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位相差フィルム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292751A (ja)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116197A (ja) 異方性光散乱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6268065A (ja) 位相差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163210A (ja) 光学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6126864A (ja) 積層位相差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7206703A (ja)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9163211A (ja) 光学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982822B2 (ja) 積層複屈折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5031557A (ja) ノルボルネン系光学補償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2005195811A5 (ko)
JP2009265174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