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579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579A
KR20050002579A KR1020040048641A KR20040048641A KR20050002579A KR 20050002579 A KR20050002579 A KR 20050002579A KR 1020040048641 A KR1020040048641 A KR 1020040048641A KR 20040048641 A KR20040048641 A KR 20040048641A KR 20050002579 A KR20050002579 A KR 20050002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isplay device
photographing
lens
z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956B1 (ko
Inventor
오쿠타니츠요시
요코타다다시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83622A external-priority patent/JP43781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83624A external-priority patent/JP43781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836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204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836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204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052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5145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089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726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0556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797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0744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78133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Abstract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Y 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할 수 있는 얇기와 강도를 갖고, 그러한 곳이나 핸드백 등에 수용해도 위화감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조작부의 하우징을 상하의 커버로 구성하고, 그 커버에 있어서의 한쪽 코너, 또는 복수의 코너에 설치한 기판 지지부에 지지된 메인 기판의 일면에 메모리 슬롯을, 다른 면에 편평형의 전지 수납부를 배치하고, 상기 메인 기판의 메모리 슬롯측에 상기 표시 장치를 배치하는 동시에, 전지 수납부측의 측부에 상기 촬상부의 제어 기판을 배치하여 박형화를 도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ELECTRONIC CAMERA}
본 발명은 촬상 소자로 촬상한 화상을 내장 메모리나 외부 기억 장치에 기억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장치를 탑재한 조작부와, 고배율 광학줌의 탑재를 가능하게 한 촬상부를 힌지로 결합하고, 조작부와 촬상부를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소형, 박형, 경량이고, 사용하기에 양호하도록 구성한 전자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CCD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하고, 화상을 디지탈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카메라는, 종래의 필름을 사용한 카메라로는 불가결했던 현상, 인화 등이 불필요하고, 찍은 화상을 바로 볼 수 있으며, 게다가 CCD 등의 촬상 소자는, 1소자당 화소수가 해마다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필름보다도 작고, 그것에 의해서 카메라 자체를 소형 및 고정밀도로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Y 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 포켓 등에 수용할 수 있는 두께와 강도를 갖고, 그러한 부분이나 핸드백 등에 수용해도 위화감을 일으키지 않는 가벼움으로, 게다가 고배율의 줌(zoom) 기구를 구비한 전자 카메라의출현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필름을 사용한 카메라와 같이, 카메라 본체로부터 촬영 렌즈를 돌출시키도록 한 방식으로는, 예컨대 촬영시 이외는 렌즈를 본체내에 수납하는 침동식(沈胴式)으로 해도, 주밍 기구나 렌즈의 두께 때문에 일정 이하의 두께로 하기 어렵다.
즉 줌 렌즈는, 동일 광축상에 배치된 복수의 렌즈 군중, 1개 이상의 렌즈 군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렌즈 전체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는 구성이 취해져 있지만, 주밍(zooming)시에 렌즈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이동시키는 렌즈군이 결합되는 캠판을 설치하고, 이 캠판을 수동 조작, 혹은 모터 등에 의해 이동 또는 회동시킴으로써 렌즈군을 캠 형상을 따라 이동시키고, 2개 이상의 렌즈군에 상호 관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캠 기구로서 종래에는, 렌즈 경통의 외주에 이것과 동일축에 통형상 캠(이하, 캠 환이라 칭함)을 설치하고, 이 캠 환에 렌즈군을 결합시키며, 캠 환을 축 주위로 회동시킴으로써 렌즈군을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캠 기구에 의한 주밍 수법에 대하여, 렌즈 경통의 광축에 따라 리드 스크류(lead screw)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리드 스크류로 이동하는 렌즈군을 나사 결합시켜, 모터 등에 의해 리드 스크류를 축 회전함으로써 나사 결합되어 있는 렌즈군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본체의 전면에 렌즈를 배치하고, 렌즈 경통의 외주에 캠 환을 설치한 경우, 전원 오프에 의해 모든 렌즈를 본체측으로 내려카메라 전면에 볼록부를 없애도록 해도, 이 캠 환의 높이 이하, 또는 복수개의 렌즈군에 있어서의 각 렌즈의 두께를 합친 광축 방향의 총 두께 이하로 카메라 본체를 얇게 할 수는 없다. 또한, 줌 렌즈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군의 렌즈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배율이 높아질수록 필요한 렌즈 매수가 증가하고, 그러한 렌즈의 두께를 가산하면, 광축 방향의 카메라 본체의 두께는 매우 두꺼워지고, 박형화는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 경통의 외주에 캠 환을 설치한 경우, 렌즈의 직경 방향의 치수가 커지고, 장치 전체의 대형화로도 연결되어 박형 카메라를 설계할 때의 장해로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카메라의 고배율화에 따라 카메라가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한 카메라가 출현하고 있다.
예컨대, 촬영하지 않을 시에 복수의 렌즈군을 본체에 수납하는 침동식의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의 메인 전원을 오프로 하여 돌출된 렌즈군을 수납할 때에, 광축의 범위내를 이동하는 복수의 렌즈군 중, 중간 부근의 렌즈군(A)을 광축의 범위 밖으로 이동하여 카메라 본체내에 수납하고, 중간 부근으로부터 피사체측의 렌즈군(B)을 광축의 범위내에서 카메라 본체내로 수납한 구성이다.
따라서, 중간 부근의 렌즈군(A)을 광축의 범위 밖으로 이동함으로써, 광축 방향의 카메라의 두께를 박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중간 부근의 렌즈군(A)을 광축의 범위 밖으로 이동하는 구성의 카메라는, 렌즈군을 광축의 범위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광학계의 정밀도를 확보하는 구성이 복잡한 동시에, 렌즈군을 광축의 범위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품 점수가 증가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간 렌즈군이나 렌즈 경통을 전원 오프(off)에 의해 카메라 본체로 내리는 방식에 있어서는, 카메라의 주전원을 온(on)으로 했을 때에 렌즈군을 장치 본체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해, 촬영을 실행할 수 있게 되기까지 일정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셔터 기회를 놓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참동식의 카메라가 아니라, 렌즈 경통의 광축을 따라 리드 스크류를 설치하도록 한 구성으로는, 상기한 캠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캠 환 등의 부품을 저감시킴으로써 렌즈 경통의 근방의 스페이스를 저감하여 소형화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줌 기구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2-158682 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23259 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학계의 광축 방향을 카메라 본체의 장측 방향, 또는 단측 방향으로 하고, 개폐가능한 상측 덮개에 표시 장치를 배치하여 수첩형으로 한 본체의 하측면에 촬영 윈도우를 설치하고, 촬영 윈도우로부터의 입사광을 45°로 설치한 반사경으로 반사하여, 카메라 본체의 장측 방향, 또는 단측 방향에 광축을 배치한 렌즈계에 입사되며, 또한 그 광을 45°로 설치한 반사경으로 반사하여 촬영 윈도우측에 설치한 촬상 소자에 입사되도록 하거나(일본 특허 공개 제 1992-158682 호 공보), 또한 수첩형의 본체의 일면에 표시 장치를 그 본체 내부에 광축을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하여 두께 방향에 촬영 윈도우를 배치한 촬영 렌즈를 설치하여(일본 특허공개 제 1995-23259 호 공보), 광학계의 전체 길이를 카메라내에 수용할 것이 사료된다.
그러나, 통상의 타입의 카메라는,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에 평행하게 복수의 렌즈군을 배치하고, 이 렌즈군의 피사체측에 있어서의 1장째의 렌즈 이후의 렌즈와 렌즈의 사이에, 광축의 방향을 90°변환하는 반사판이나 프리즘을 설치하고,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구성이므로, 부품 점수를 저감하여 소형화를 달성하는 반면, 반사판이나 프리즘을 설치함으로 인한 새로운 부품이 필요하고, 부품 점수가 증가하고, 또한 구조가 복잡화되며, 카메라의 고중량화, 고가격화를 초래하는 동시에, 캠 기구에 비교하여 특히 카메라의 소형화, 박형화가 현저한 것으로 되는 경우에도 없다.
그 때문에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261859 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320120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를 갖은 조작부에 힌지 기구 등의 회동 기구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 촬상부에, 촬영 렌즈와 파인더와 발광 장치 등을 배치하여 촬영 렌즈를 피사체 방향을 향해지도록 하고, 게다가 표시 장치는 촬영자측을 향하도록 한 카메라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카메라를 구성하면, 예컨대 촬영자(자신)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나, 지면 근방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촬상부를 피사체를 향하면서 표시 장치를 항상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일본 특허 제 2931907호 공보에는, 액정 등의 표시부를 구비한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촬상 렌즈와 촬상 소자 및 발광 장치를 내장한 촬상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촬영시에는 표시부를 촬영자측을 향한 채로 촬상부를 촬영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비촬영시에는 촬상부를 회동시켜서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표시부와 평행 방향으로 수납하고, 카메라 본체의 표시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하도록 한 카메라가 나타내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 1992-158682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23259 호 공보에 개시된 카메라에서는, 상기 결점에 부가하여, 촬영 광학계용 촬영 윈도우의 뒷편에 표시 장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촬영 광학계를 눈의 높이로 피사체 방향을 향했을 때는 표시 장치를 시인할 수 있지만, 예컨대 촬영자(자신)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나 지면 근방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및 많은 사람의 명수를 초과하여 촬영하는 경우에는 표시 장치로 촬영 범위를 확인하기 어려워져, 감으로 촬영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23259 호에 나타낸 카메라는, 표시 장치의 면과 촬영 광학계의 광축 방향이 일치하고 있고, 그 때문에 카메라를 눈의 높이보다 밑 또는 위로 자세가 취해질 때는 무방하지만, 눈의 높이로 자세를 취하는 경우는 이것 또한 표시 장치로 촬영 범위를 확인하기 어렵다.
그리고,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26185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320120 호 공보에 나타낸 카메라는, 촬상부와 조작부를 단변 방향으로 2분할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측에 설치한 화상 표시면이 작아지기 쉽고,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박형화하면, 강도적으로 크게 저하할 뿐만 아니라 화상 표시면측에 위치하는 조작부가 광역면상으로 조작 버튼이 돌출한다. 또한, 조작부에 있어서의 전지 수납부가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구성되어 그립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Y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할 때, 이러한 조작 버튼이나 그립부가 걸리게 되어 원활하게 출납할 수 없다.
또한 이 카메라는 줌 버튼도 표시 장치와 동일면에 있지만, 셔터 버튼과 그 밖의 조작 버튼류나 커맨드 다이얼(command dial)이 카메라 상부에 있고, 조작 버튼류나 커맨드 다이얼은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집게손가락 등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이러한 조작은 표시 장치를 보면서 실행할 수 없다.
또한, 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26185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320120 호 공보에 나타낸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 촬영된 영상을 항상 동일한 상태에서 표시 장치에 표시하고 있으면, 표시 장치로 촬영 상태를 확인하면서 촬영자(자신)를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 렌즈와 표시 장치를 자기쪽을 향한 경우, 표시 장치에는 상하가 역전된 상이 찍히게 된다.
또한 일본 특허 제 2931907 호 공보에 나타낸 카메라도, 화상 표시면을 크게 하기 위해서, 조작부를 카메라 하우징의 전체 구성으로 하여 크게 하는 동시에, 조작부의 전면측에 촬상부 수납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부내에 회동 가능하게 촬상부가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화는 달성되지만, 카메라 하우징 전체가 두꺼워 Y 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할 수 있는 얇기로는 되지 않는다.
또한, 이 일본 특허 제 2931907 호 공보의 카메라와 같이, 표시부를 구비한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촬상 렌즈와 촬상 소자를 내장한 촬상부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는, 촬상부를 촬영자 자신쪽으로 회동시켜서,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는 것(이하, 이렇게 하여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는 것을 셀프 촬영이라 칭함)이 가능하지만, 이와 같은 셀프 촬영에 있어서는, 통상 촬영자 자신이 카메라를 유지하여 촬영하는 경우가 많고, 촬영 거리는 대략 1m이내로 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전자 카메라로 셀프 촬영을 하면, 촬영자 자신의 상이 표시 장치에 크게 투영해되고, 그 때마다 촬영 배율을 조절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이러한 줌 렌즈를 이용한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는, 휴대할 때의 진동에 의해 렌즈 정밀도에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 상기 침동식의 전자 카메라에서는 전원 오프에 의해 렌즈가 침동하기 때문에, 그 때에 초기 위치로 되돌림으로써 불량을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렇게 비촬영시에 렌즈가 수납되는 타입의 카메라에서는, 촬영 때문에 전원을 오프했을 때에 촬영이 가능해지도록 되기까지 일정한 시간을 필요로 하고, 기동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셔터 기회를 놓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액정 등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조작부와 촬영용 줌 렌즈를 구비한 촬상부로 분할하고, 양쪽 유닛을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줌 렌즈의 초점 거리를 변경한 경우에도 광학계의 전체 길이가 변화하지 않도록 한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는, 전원 오프시에 줌 렌즈가 최후에 촬영을 실행했을 때의 초점 거리인 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 온 했을 때의 기동 시간이 짧아도 되지만, 진동에 의해 렌즈 정밀도에 불량이 생긴 경우는 그것이 재설정되지 않고, 화상에 불량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전자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박형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를 갖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힌지 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발광 장치 윈도우와 촬영용 줌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화상을 송출하는 촬상부로 이루어지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하우징을 상하의 커버로 구성하고, 상기 커버에 있어서의 한쪽 코너, 또는 복수의 코너에 설치한 기판 지지부에 지지된 메인 기판의 일면에 메모리 슬롯을, 다른면에 편평형의 전지 수납부를 배치하고, 상기 메인 기판의 메모리 슬롯측에 상기 표시 장치를 배치하는 동시에 전지 수납부측의 측부에 상기 촬상부의 제어 기판을 배치하여 박형화를 도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를 구성함으로써, 조작부는 표시 장치와 메모리 슬롯과 전지 수납부를 안팎에 배치한 메인 기판의 두께를 서로 합친 두께로 할 수 있고, Y 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할 수 있는 얇기를 갖는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상측 커버, 또는 하측 커버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상기 메인 기판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구멍을 관통하는 지주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휨에 대하여 메인 기판을 유동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예컨대 전자 카메라를 낙하시키는 등으로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변형되어도 메인 기판이 변형되지 않고, 메인 기판에 CPU 등을 설치해도 그것들이 박리하는 사고는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상하 커버의 어느 쪽에, 촬상부에 있어서의 광학계 광축 방향의 리브를, 또한 다른쪽의 커버에 광축 방향과 직각 방향의 리브를 설치하고, 상기 광축 방향 리브와 직각 방향 리브로 상기 메인 기판을 삽입하여 유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예컨대 촬상 장치를 낙하시키는 등으로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변형해도 메인 기판이 변형하지 않고, 따라서 메인 기판에 CPU 등을 실장하고 있어도 그것들이 박리하는 사고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촬상 장치는, 표시 장치를 갖은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힌지 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발광 장치와 촬영용 줌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화상을 송출하는 촬상부로 이루어지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배치한 전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조작부의 폭과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의 광학계의 길이를 규제하는 동시에, 촬상부의 측부 공간에 렌즈 구동 장치와 촬상부측 제어 기판을, 광학계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발광 장치용 전장 부품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카메라 자체의 형상을 나타내는 용어는, 촬상부와 조작부가 평행하게 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이 상태에서의 촬상부의 렌즈 윈도우측 및 조작부의 셔터 버튼측을 전면으로 하고, 전면과 후면 사이의 길이를 촬상부 또는 조작부 또는 카메라의 폭으로 하고, 촬상부의 측단부면과 조작부의 측단부면 사이의 길이를 카메라의 길이로 하고, 표시 장치가 배치된 측의 면을 상면으로 한다. 따라서, 조작부를 수직으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폭이 높이가 된다.
여기서 언급한 규제란, 하우징의 폭을 전지의 길이와 전지보다 전방측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 등의 높이를 서로 합친 폭보다 대폭 크지 않도록 하고, 또한 촬상부에 있어서의 광학계 길이를 그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전장 부품의 치수를 가미하여 상기 하우징 폭내에 수납하고, 광학계의 길이에 의해 카메라의 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카메라의 폭을 일정 이하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의 폭이 일정 이하로 됨으로써, 폭이 좁은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촬상부의 측부 공간에 렌즈 구동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종래의 줌 렌즈와 같이 통 형상 캠에 의해 렌즈 직경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촬상 장치를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의 옆에 촬상부측 제어 기판을 광학계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발광 장치용 전장 부품을 배치함으로써, 촬상부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예컨대 대배율 줌을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그것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하는 전자 카메라를 구성할 수 있고, Y 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해도, 위화감을 느끼게 하지 않는 소형이고 박형의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전지를 상기 조작부의 일단측에 배치하고,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를 상기 전지측에 근접시켜서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지와 발광 장치와 촬상 광학계에 있어서의 각각의 폭을 합친 길이로 촬상 장치의 길이를 규제, 즉 전지와 발광 장치와 촬상 광학계, 거기에 필요에 따라 조작 버튼류의 폭을합친 길이보다 하우징 폭이 대폭 길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자 카메라의 구동에 절대 필요하고, 또한 박형으로 구성한 경우에 어느 정도의 폭을 갖게 할 필요가 있는 전지, 촬영 화면의 종횡비의 관계에서 가로 길이로 구성되는 발광 장치, 촬상 장치에 불가결한 광학계 및 조작 버튼류 등, 촬상 장치의 구성에 어떻게 해도 필요한 것의 폭을 합친 길이로 촬상 장치의 길이를 규제했기 때문에, 촬상 장치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청구항 4의 특징과 더불어 길이와 폭이 작은, 박형의 소형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상기 힌지 기구에 의한 회동 위치가 소정 위치일 때에, 상기 조작부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촬상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이 조합된 상태에서 박형 또한 대략 사각 형상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박형 또한 대략 사각 형상의 하우징의 한쪽 장변측면의 상기 조작부 하우징측에 촬상 버튼과, 상기 한쪽 장변 측면의 상기 촬상부 하우징측에 상기 촬영용 렌즈 윈도우부를 배치하며, 상기 박형 또한 대략 사각 형상의 하우징의 광역면의 상기 조작부 하우징측에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광역면의 상기 촬상부 하우징측에 직선 형상 돌기를 상기 하나의 장변과 평행하게 연장 돌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발명에 따르면, 포켓 등의 좁은 공간에 수납하는 경우에도, 촬상 장치를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고, 또한 촬상 장치의 취출시에 손으로 직선 형상 돌기를 접촉 인지함으로써, 눈으로 확인하기 전에 카메라의 전후 좌우의 위치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으며, 신속한 촬상 동작으로 이행할 수 있는 동시에, 직선 형상 돌기의 존재에 의해 조작부측의 액정 표시면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하우징에 있어서, 촬영시에 사용하는 조작 버튼을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직선 형상 돌기와 평행하게 근접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 버튼의 높이를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상기 광역면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부의 높이 이상이며, 상기 광역면에 대한 상기 직선 형상 돌기의 높이 이하로 하는 것이 적절한 실시예이다.
또한, 상기 조작부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각종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을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직선 형상 돌기와 평행하게 근접 배치하는 동시에, 촬상 장치의 줌을 조작하는 줌 버튼을 상기 광역면으로서 상기 모드 선택 버튼에 근접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때 상기 조작부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각종 모드를 선택 결정하는 +자형 버튼을 상기 광역면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와 근접하고 또한 상기 조작부의 전측 측면에 배치된 촬상 버튼과는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조작자의 집게손가락으로 상기 촬상 버튼을 조작하고,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줌 버튼, 모드 선택 버튼 및 +자형 버튼을 조작 가능하게 하는 것도 적절한 실시예이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를 갖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힌지 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발광 장치와 촬영용 줌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을 송출하는 촬상부로 이루어지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의 촬영 윈도우측을 조작부측으로 돌출시킨 팽창 돌출부를 설치하여 상기 발광 장치를 배치하는 동시에, 촬영 윈도우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를 촬영 윈도우와는반대측으로부터 상기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촬상부에 있어서의 촬영 윈도우측을 조작부측으로 돌출시켜서 발광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촬상부에 있어서의 촬영 윈도우와는 반대측이 가늘게 구성되기 때문에, 그 만큼 촬상 장치 전체의 크기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촬영 윈도우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를 반대측으로부터의 거리보다 크게 함으로써, 촬상부의 렌즈 윈도우면의 상기 회동 중심으로부터의 회전 반경이 커지고, 즉 표시면과 렌즈 윈도우면 사이의 거리가 커지고, 셀프 촬영의 경우에 사용하기 양호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장치를 배치한 팽창 돌출부의 광축 방향 폭을 대략 손가락의 두께로 하는 동시에, 상기 팽창 돌출부의 촬영 윈도우측 단부로부터 발광 장치측 단부까지의 길이를 대략 손가락의 선단부로부터 제 2 관절 부근에 대응하는 길이로 하고, 상기 손가락의 폭으로 한 부분을 손가락 2개로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촬상 장치는 오른손으로 조작부를 홀딩하고, 왼손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돌출부를 삽입하여 피사체 방향을 향할 수 있고, 촬영에 있어서 확실히 홀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하기 양호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의 촬영 윈도우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를, 상기 촬상부의 촬영 윈도우측을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표시 장치의 시인을 상기 팽창 돌출부에 의해 방해하지 않는 거리로 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조작자(자신)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표시장치의 시인이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셀프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촬상부에 고정된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회동 각도 검출용 패턴을 배치한 플랜지를 갖는 힌지축과 상기 조작부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축을 플랜지부로 분리 고정하여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조작부측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와 조작부측 힌지 플레이트의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와, 상기 플랜지에 설치한 회동각 검출용 패턴에 의해 상기 촬상부의 조작부에 대한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광전 소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전 소자에 의해, 상기 촬상부와 조작부의 상대적인 회동 각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회동을, 힌지 기구를 구성하는 힌지축의 플랜지에 설치한 회동각 검출용 패턴과 광전 소자라는 간단 저렴한 구성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 렌즈와 표시 장치가 모두 자기쪽으로 향해진 경우, 그것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고, 게다가 광전 소자는 어느 정도 떨어진 장소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장치와 같이 기계적인 접점이나 배선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회동 동작에 의한 신호선의 단선 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에 스위치를 탑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힌지 기구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촬상 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힌지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힌지축에 설치한 플랜지에 소정각도마다 클릭용 오목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로서 원형 스프링을 사용하고, 상기 스프링에 클릭용 돌기를 설치하여 상기 돌기와 상기 힌지축의 플랜지에 설치한 오목부에 의해 상기 촬상부를 소정 각도마다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조작부에 대하여 촬상부를 소정 각도마다 결합할 수 있고, 보다 촬영하기 용이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스프링은 클릭용 돌기 배후에 보강용 두께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원형 스프링의 클릭용 돌기가 회동에 의해 플랜지에 설치한 클릭용 오목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촬상부와 조작부 사이의 가압력에 의해, 이 클릭용 돌기 배후에 균열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투입에 의해 상기 촬영용 줌 렌즈를 광각측으로 초기 설정하는 제어와, 상기 촬상부와 조작부의 상대적인 회동 각도 검출 수단 출력에 따라 상기 줌 렌즈의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우선 진동 등에 의해 줌 렌즈에 정밀도의 불량이 생겨도, 전원 투입에 의해 촬영용 줌 렌즈를 광각측으로 초기 설정함으로써 이 불량을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촬영에 있어서 이 광각측으로부터 줌의 배율이 상승해가므로, 소망하는 촬영 배율로 상승을 정지하면, 촬영 배율을 조절하는 것이 불필요해져서 사용하기 양호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와 상기 촬상부의 상대적인 회동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촬영 렌즈 윈도우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면측으로 회동하는(셀프 촬영) 검출 출력과, 상기 촬영 렌즈 윈도우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면과 반대측으로 회동하는(셀프 촬영이 아님) 검출 출력에 따라, 상기 촬영용 줌 렌즈를 광각측으로설정하는 제어와, 상기 촬영용 줌 렌즈의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셀프 촬영의 경우는 광각측으로부터 줌의 배율이 상승시키고, 소망하는 촬영 배율로 상승을 정지시키면 촬영 배율을 조절하는 것이 불필요해지고, 셀프 촬영이 아닌 경우는, 진동 등에 의해 줌 렌즈에 정밀도의 불량이 생겨도, 촬영용 줌 렌즈를 광각측으로 초기 설정함으로써 이 불량을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하기 양호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와 상기 촬상부의 상대적인 회동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촬영 렌즈 윈도우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면측으로 회동하는(셀프 촬영) 검출 출력과, 상기 촬영 렌즈 윈도우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면과 반대측으로 회동하는(셀프 촬영이 아님) 검출 출력에 따라, 상기 촬영용 줌 렌즈의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어와 상기 촬영용 줌 렌즈의 줌 배율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셀프 촬영의 경우와 셀프 촬영이 아닌 경우에, 줌 배율의 상승과 하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사용하기 양호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줌 배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줌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줌 배율을 변경하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촬영자는 줌 배율을 신경 쓰지 않고 최적의 배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부측 줌 렌즈의 초점 맞춤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로 산출한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상기 소정 배율에 의해 상기 소정 배율로 되는 줌 렌즈의 초점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점 거리로 줌 배율의 변경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셀프 촬영을 촬영자가 수동 조작으로 실행하는 경우에도 삼각에 고정하여 실행하는 경우에도, 표시 장치상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크기를 항상 일정하게 하여 촬영할 수 있고, 매우 사용하기 양호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1 실시예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 방향을 향한 촬영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카메라 조작자(자신) 방향을 향한 촬영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 방향을 향한 촬영을 할 때의 카메라의 홀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의 디바이스의 수용 상태와,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와 콘덴서, CCD 등의 촬상 디바이스 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것으로, 또한 표시 장치(105)를 제거한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것으로, 이면에서 본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것으로, 도 5에 있어서의 가까운 쪽(전측)에서 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것으로, 도 5에 있어서의 내측(후측)에서 본 도면,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것으로, 도 6에 있어서 구멍(311)을 통한 단면을 도 7a와 같이 도 5에 있어서의 가까운 쪽(전측)에서 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힌지 기구(405)를 촬상부(101)에 내장하고,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상측 커버와 내부 구성 부품을 제거하여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메인 기판(300)의 지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파단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상측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분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를 결합하는 힌지 기구(405)만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힌지 기구(405)를 분해한 사시도,
도 14는 힌지를 구성하는 힌지축(500)을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1)에 고정하기 위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힌지 마커(508)의 정면도,
도 16a는 힌지축(500)의 플랜지(505)에 설치한 클릭용 오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6b는 원형 스프링(504)에 설치한 돌기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힌지 기구(405)를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하측 커버(402)와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하측 커버(308)에 내장하고,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은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를 연결하는 신호선을 중공으로 한 힌지 기구내를 통과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1 실시예의 제어 회로 블록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셀프 촬영시의 동작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 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자 카메라 101 : 촬상부
102 : 조작부 103 : 촬영용 렌즈 윈도우
104 : 발광 장치 윈도우 105 : 표시 장치
106 : 셔터 버튼 107 : 전원 버튼
108 : 선택 결정 버튼 109 : 줌 버튼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고,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면 중,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번호가 붙여지고, 우선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1 실시예의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 방향을 향한 촬영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카메라 조작자(자신) 방향을 향한 촬영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렌즈를 피사체 방향으로 향한 촬영을 실행할 때의 카메라의 홀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 조작부(102)가 힌지 기구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촬상부(101)측에는 배후에 촬영용 줌 렌즈를 배치한 촬영용 렌즈윈도우(103), 스트로보(strobe) 등의 발광 장치 윈도우(104)가 설치되고, 촬영용 줌 렌즈의 옆에 줌 렌즈를 구성하는 렌즈군을 진행/후퇴시키기 위한 캠 기구가 이러한 줌 렌즈와 캠 기구의 내측, 즉 촬영 렌즈 윈도우(103)와 반대측에 발광 장치 윈도우용 콘덴서 등의 전장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또한, 조작부(102)에는, 액정 등을 사용한 표시 장치(105), 셔터 버튼(106), 전원 버튼(107), +자형 버튼과 결정 버튼으로 구성되고, 표시 장치(105)에 표시된 기능이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결정 버튼(108), 광학계 주밍을 지시하는 줌 버튼(109), 카메라 모드 메뉴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메뉴 버튼(110), 표시 장치(105)의 표시 내용과 조명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버튼(111), 표시 장치(105)의 표시 내용을 장면 선택 화면으로 전환하는 장면 버튼(112), 및 조리개 우선 모드나 셔터 우선 모드, 고속으로 작동시키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스포츠 모드, 근거리의 것을 촬영하는 매크로 모드, 스트로보의 강제 발광이나 발광 정지 등의 스트로보 제어, 동영상 촬영, 재생 등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113)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선택 결정 버튼(108)과 줌 조작 버튼(109) 사이는 크게 개방되어 촬상시에 엄지손가락이 유지 가능한 엄지손가락 간격 스페이스(120)를 형성하고, 그 부분에 스피커 구멍(114)과 마이크(119)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는 촬영용 렌즈 기구를 내장한 촬상부(101)와 표시 장치(105)와 함께 촬상 및 화상 표시용 각종 조작 버튼(106 내지 113)이 설치된 조작부(102)가 조합된 상태에서, 전자 카메라 하우징을 박형의 대략 장방 형상으로 형성하고, 카메라 하우징의 장변측 꼭대기벽의 조작부측에 촬상 버튼(106)을, 또한 촬상부(101)측에 촬영 렌즈 윈도우(103)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또한, 촬상부(101)와 조작부(102) 사이의 분할선(156)을 카메라의 하우징 장변과 평행하게 설치한 회동 축선(150)에 의해 촬상부(101)와 조작부(102)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해지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촬상부측의 회동 축선(150)과 촬영 렌즈 윈도우(103) 사이의 상기 하우징 광역면상에 회동 축선(150)과 평행하게 직선 형상 돌기(151)를 연장시키고, 조작부측(102)의 표시면(105)이 위치하는 광역면에 설치한 조작 버튼(108, 109, 110, 112, 113)의 각각의 높이를, 상기 표시 장치(105)에 있어서의 형성면 이상이고, 직선 형상 돌기(151)의 높이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촬영용 조작 버튼류(106 내지 113)는 Y 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한 경우에도 걸림이나 위화감을 느끼지 않고 수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분할선(156)에 있어서의 상기 직선 형상 돌기(151)보다 후방을 분할면(156A)으로 하여 하우징 단변과 평행하게 연장시키고, 직선 형상 돌기(151) 전방의 렌즈 윈도우(103)측을, 분할면(156A)과 연접시켜서 분할면(156B)으로 하여 조작부(102)로 돌출시켜서 연장시킨 제 1 돌출부(팽창 돌출부)(115)로 하고, 또한 제 1 돌출부(팽창 돌출부)(115)측에 위치하는 촬상부(101)측 꼭대기벽에, 촬영 렌즈 윈도우(103)와 함께 발광 장치 윈도우(10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돌출부(팽창 돌출부)(115)의 길이(L1)를, 예컨대 왼쪽 집게손가락의 선단부로부터 제 2 관절 부근까지의 길이로 하고, 또한 그 제 1 돌출부(팽창 돌출부)(115) 부위의 폭(L3)을, 대략 집게손가락의 두께로 하여 그 분할선에 R자형으로 하여 촬상부(101)와 조작부(102)가 하우징 단변과 평행하게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조작부(102)측은, 상기 직선 형상 돌기(151)보다도 후방측에 상기 제 1 돌출부(팽창 돌출부)(115)의 분할면(156B)을 초과하여 촬상부(101)측에 돌출하는 제 2 돌출부(116)를 설치하고, 표시 장치(105)를 제 2 돌출부(116)까지 연장하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교적 대형의 표시 장치(105)를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 장치(105)의 우측에 조작 버튼류(106 내지 113)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소형이면서 조작성이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상기 표시 장치(105)의 전방에서 제 2 분할면(156B)에 의해 오목하게 설치된 촬상부(101)의 제 1 돌출부(팽창 돌출부)(115)에 인접한 구역에 광학계 주밍을 지시하는 줌 조작 버튼(109),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과 조명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디스플레이 버튼(111), 표시 화면의 표시 내용을 장면 선택 화면으로 전환하는 장면 버튼(112), 및 조리개 우선 모드나 셔터 우선 모드, 고속으로 작동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스포츠 모드, 근거리의 것을 촬영하는 매크로 모드, 스트로보의 강제 발광이나 발광 정지 등의 스트로보 제어, 동영상 촬영, 재생 등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113)이 배치되고, 또한 표시부 우측 하방에는, 촬상시에는 불필요한 카메라 모드 메뉴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메뉴 버튼(110), +자형 버튼과 결정 버튼으로 구성되고, 표시 장치(105)에 표시된 기능이나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결정 버튼(108)이 설치되며, 재생시와 촬상시에 필요한 버튼을 나누는 동시에, 선택 결정 버튼(108)과 줌 조작 버튼(109)의 사이는, 크게 개방되어 촬상시에 엄지손가락이 유지가능한 엄지손가락 간격 스페이스(120)를 형성하며, 그 부분에 스피커 구멍(114)과 마이크(119)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엄지손가락 간격 스페이스(120)를 설치함으로써, 촬상시에 다른 조작 버튼에 접촉하여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분할면(156B)의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전측면에 있어서의 위치는, 하우징 장변을 거의 이등분으로 나누는 위치에 있고, 촬상부측의 전측면에 촬영 렌즈 윈도우(103)와 함께 스트로보 발광 윈도우부(104)를 설치하며, 상기 촬상부(101)를 회동시키는 회동 축선(150)은 장방 형상 카메라 하우징의 단변 중앙선보다 하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셔터 버튼(106)은 카메라(100)를 오른손으로 유지했을 때에 집게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해지도록 사각 형상 카메라 하우징의 한쪽 장변측 꼭대기벽의 조작부(102) 하우징측에 설치되고, 줌 버튼(109), 선택 결정 버튼(108), 메뉴 버튼(110), 모드 선택 버튼(113) 등은, 동일하게 오른손으로 카메라(100)를 유지했을 때, 엄지손가락이 닿는 범위에 배치하여 조작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촬영 중에 표시 장치(105)에 손가락이 닿지 않도록 주로 촬영에 쓰는 버튼(106, 109) 등은, 표시 장치로부터 멀리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는, 표시 장치(105)를 항상 시인할 수 있도록 촬영자쪽을 향한 상태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를 피사체쪽을 향하거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으로 회동시켜서 촬영 렌즈 윈도우(103)가 카메라 조작자(자신)쪽을 향하도록 하고, 셀프 촬영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 윈도우(103)로부터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는,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촬영 렌즈 윈도우(103)와는 반대측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잡혀 있다. 이에 수반하여, 촬영 렌즈 윈도우(103)를 사용자 자신을 향해 촬영을 했을 경우, 표시 장치(105)의 표시 화면으로부터 촬영 렌즈 윈도우(103)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표시 장치(105)를 사용자의 시인 방향에 대하여 기울여서 시인하고, 표시 화면을 촬영 렌즈 윈도우(103)와 표시 화면 사이의 간극에서 본 경우, 표시 화면으로부터 촬영 렌즈 윈도우(103)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상기 간극도 길어지고, 표시 화면 전체를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자 카메라(100)를 사용할 때는, 전원 버튼(107)을 밀어내림으로써 전원이 온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으로 각 조작 버튼을 조작하고, 모드 선택 버튼(113)에 의해 조리개 우선 모드나 셔터 우선 모드 등의 촬영 조건, 고속으로 작동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스포츠 모드, 근거리의 것을 촬영하는 매크로 모드, 스트로보의 강제 발광이나 발광 정지 등의 스트로보 제어, 동영상 촬영, 재생 등의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메뉴 버튼(110)을 밀어 내려서 표시 장치(105)에 예컨대 화상의 사이즈, 촬영 감도, 측광 방식 등의 각종 메뉴를 표시시키고, +자형 버튼과 결정 버튼으로 구성된 선택 결정 버튼(108)의 +자형 버튼으로 항목을 선택하고, 중앙의 결정 버튼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쪽에 촬영 렌즈 윈도우(103)를 향해 촬영할 때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손으로 조작부(102)측을 홀딩하고, 예컨대 왼손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115)의 L1(도 3)의 길이를 갖는 L3(도 3)의 부분을 삽입하여 촬영 렌즈 윈도우(103)를 피사체를 향하게 한다. 그리고, 표시 장치(105)에 투영된 피사체를 보면서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조작부(102)의 줌 버튼(109)을 조작하고, 소정의 배율을 선택하여 구도를 결정한 후, 오른손 집게손가락으로 셔터 버튼(106)을 밀어내림으로써 자동적으로 핀트(pint)와 노출이 결정되고, 내장된 CCD 등의 촬상 소자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내장된 메모리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촬영을 실행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 윈도우(103)로부터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는,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촬영 렌즈 윈도우(103)와는 반대측의 단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잡혀 있기 때문에, 렌즈부가 크게 회전하고, 촬상부(101)를 민첩하게 피사체를 향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카메라(100)를 확고하게 홀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는, 피사체쪽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의 촬영 렌즈 윈도우(103)를 카메라 조작자(자신)쪽을 향하도록 하고, 셀프 촬영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104)용의 윈도우를 배치한 돌출부(팽창 돌출부)(115)가 표시 장치(105)의 일부에 걸리지만, 표시 장치(105)의 시인을 상기 돌출부(팽창 돌출부)(115)에 의해 크게 방해하지 않도록, 이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용 렌즈 윈도우(103)측으로부터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가 반대측의 거리보다 크게 잡혀 있기 때문에, 셀프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어떻게 촬영될지를 표시 장치(105)에 의해 확인하면서 실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촬영이 종료하면, 모드 선택 버튼(113)을 조작하여 재생 모드로 하면, 메모리에 축적된 화상이 표시 장치(105)에 표시되고, 선택 결정 버튼(108)에 있어서의 +자형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촬영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촬영 모드의 경우는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동영상을 메모리에 기록하고, 장면 버튼(112)에 의해 필요한 장면을 선택하며, 스피커(114)에 의해 음성도 동시에 재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의 딱 맞는 포켓에도 상기 직선 형상 돌기(151)가 가이드로 되어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또한 직선 형상 돌기를 촬상부(101)측의 회동 축선(150)과 렌즈 윈도우(103) 사이의 상기 하우징 광역면상에 회동 축선(150)과 평행하게 연장시켰기 때문에, 포켓 취출시에 손으로 직선 형상 돌기(151)를 접촉 인지함으로써 눈으로 확인하기 전에 카메라의 전후 좌우의 위치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고, 신속한 촬상 동작으로 옮길 수 있다. 또한, 이 상기 직선 형상 돌기(151)의 존재에 의해, 조작부(102)측의 표시장치(105)의 면을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102)측의 표시 장치(105)의 면이 위치하는 광역면에 설치한 촬상용의 조작 버튼 높이는 직선 형상 돌기(151)의 높이 이하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한 포켓이어도 수납시에 걸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포켓 등에 수납할 때, 일반적으로 하우징 장변 방향으로 포켓에 수납함으로써, 직선 형상 돌기(151)가 카메라를 포켓내에 수납하는 가이드로 되고, 수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촬상 동작시에 빈번하게 사용하지 않는 모드 선택 버튼(113)을 장방형의 표시 장치(105)의 적어도 한변에 근접시키고, 상기 변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게 설치하면, 모드 선택 버튼(113)이 표시 장치(105)를 보호하는 방호벽으로 되는 동시에, 모드 선택 버튼(113)이 표시 장치(105)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모드 선택 버튼(113)의 위치가 명료해져,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선택 버튼(113)을 방호벽으로 함으로써, 다른 버튼이 잘못해서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선택 버튼(113)을 직선 형상 돌기(151)의 연장상에 설치함으로써, 표시 화면 형성면의 적어도 1변의 단으로부터 단에 걸쳐서 방호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촬상부(101)와 조작부(102)의 분할선(156)을, 직선 형상 돌기(151)보다 하방의 분할면(156A)을 하우징 단변과 평행하게 직선 형상으로 연장시키며, 직선 형상 돌기(151)의 상방의 렌즈 윈도우(103)측을 조작부(102)측으로 연장시킨 곡선 형상의 제 1 돌출부(팽창 돌출부)(115)를 구비했기 때문에, 전자 카메라 전체를 소형화해도 직선 형상 돌기(151) 상방의 촬상부측이 조작부측으로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조작부(102)를 오른손으로 홀딩하고, 왼손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제 1 돌출부(115)를 삽입하여 피사체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고, 촬영에 있어서 확실히 홀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하기 좋은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상부(101)와 조작부(102) 사이를, 하우징 장변과 평행한 회동 축선(150)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형성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왼손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피사체를 향해 왼손의 손목 동작으로 촬상부(101)를 회동 조작시키면서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조작부(102)를 갖고, 오른쪽 손목을 고정하여 조작부를 위치 결정하여 표시 장치(105)를 시인할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 장변을 형성하는 조작부(102) 상면의 전방 우측부(도 1에 있어서 가까운 쪽 좌측부)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오목 설치부에 줌 조작 버튼(109)을 설치하는 동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간단히 줌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결과로서 손목과 손가락의 조작이 상대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양자의 동작이 매우 원활하고, 또한 손목의 동작을 실행하는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는 장방 형상의 하우징의 좌우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자체를 소형으로 해도 예컨대 Y 셔츠나 바지의 뒤쪽 포켓에 대응시켜서, 정기 승차권 케이스와 거의 동일한 사이즈의 장변이 90 내지 110㎜, 단변이 55 내지 700㎜, 두께를 10 내지 18㎜ 정도로 설정해도, 양손으로 매우 휴대하기 용이하게, 촬상부(101)를 왼손에 조작부(102)를 오른손에 유지했을 때, 그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간단히 줌 조작할 수 있고, 사용하기 용이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촬상부(101)는 제 1 돌출부(팽창 돌출부)(115)에 의해 촬상 렌즈 윈도우(103)측을 조작부(102)측으로 팽창 돌출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해도 촬상부(101)측 꼭대기벽에 촬영 렌즈 윈도우(103)와 동시에 발광 장치 윈도우(104)를 설치하는 공간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직선 형상 돌기(151) 하방의 조작부(102)측은, 상기 팽창 돌출부(115)의 분할선을 넘어 장방형의 표시 장치(105)의 면이 연장되어 위치시킬 수 있어서, 화상 표시부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부를 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화상 표시면의 촬상부(101)와는 반대측에 여유가 생기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는 범위에 조작 버튼류를 배치할 수 있고, 조작부(102)를 오른손에서 유지했을 때, 사용하기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조작부(10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의 디바이스의 수용 상태와,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 윈도우와 콘덴서, CCD 등의 촬상 디바이스 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것으로, 또한 표시 장치(105)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것으로, 이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도면으로, 도 5에 있어서의 가까운 쪽(전측)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커버를 제거한 도면으로, 도 5에 있어서의 내측(후측)에서 본 도면이고, 도 7c는 커버를 피복한 상태에서 메인 기판(300)의 대략 중앙에 설치한 구멍(311)을 통한 단면을 도 7a와 같이 도 5에 있어서의 가까운 쪽(전측)에서 본 일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촬상부(101)와 조작부(102)의 힌지 기구에 의한 접속부와 하측 커버(308)의 구조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메인 기판(300)의 지지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파단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조작부(102)에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전체를 제어하는 메인 기판(300)의 일면에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 카드 등을 수용하는 메모리 슬롯(301)(도 6a, 도 7b, 도 7c), 표시 장치(105)(도 5, 도 7a 내지 도 7c)가 배치되고, 다른 면에 편평형의 배터리(전지)(302)(도 6b, 도 7a 내지 도 7c)와, 촬상부(101)를 제어하는 서브 기판(303)이 배치되고, 또한 메모리 슬롯(301)과 표시 장치(105)의 사이에는 모드 제어용 플렉서블 기판(304)이 배치되고, 서브 기판(303)에는 마이크(30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102)의 하우징은, 상측 커버(307), 하측 커버(308)로 구성되고, 이 상측 커버(307), 하측 커버(308)에는, 도 7c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기판(300), 서브 기판(303)에 설치된 구멍(311)(도 6a, 도 6b, 도 9)을 관통하는 지주(309, 3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02)의 하측 커버(308)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중앙부의 광축 방향[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렌즈계의 광축 방향)에 메인 기판(300)을 지지하기 위한 광축 방향 리브(312)가 설치되고, 상측 커버(307)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기판(300)을 가압하기 위한 직각 방향 리브(313)가 표시 장치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314)의 표시 장치 베어링(315)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7c의 단면도에 도시한 상측 커버(307)에는, 도 1에 도시한 스피커(114)나 셔터 버튼(106), 전원 버튼(107), 선택 결정 버튼(108), 줌 버튼(109), 메뉴 버튼(110), 디스플레이 버튼(111), 장면 버튼(112), 모드 선택 버튼(113) 등의 조작 버튼류를 장착하는 동시에, 도 5에 도시한 액정 등의 표시 장치(105)용의 개구(314)를 설치하고, 이 표시 장치(105) 주위에 모드 제어용의 플렉시블 기판(304)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표시 장치(105)와 모드 제어용의 플렉시블 기판(304) 밑에,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측에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 카드 등을 수용하는 메모리 슬롯(301)을, 다른 면측에 도 6b와 같이 편평형의 배터리(302)를 배치한 메인 기판(300)을 배치하여 도 7b와 같이 중첩시키고, 또한 메인 기판(300)의 하측에 배치한 배터리(302)의 옆에, 도 6a 및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를 제어하는 서브 기판(303)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참조 부호(320)는 촬상부(101)측의 CCD 등의 촬상 소자, 참조부호(321)는 촬상부(101)측의 스트로보 등의 발광 장치 윈도우, 참조부호(322)는 촬상부(101)측의 스트로보 등의 발광 장치 윈도우용 콘덴서, 참조부호(323)는 촬상부(101)측의 스트로보 등의 발광 장치 윈도우용 프린트 기판이다.
그리고 이 중 메인 기판(300)은, 하측 커버(308)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코너, 또는 복수의 코너에 설치된 기판 지지부로 위치 결정, 지지되고,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하측 커버(308)에 설치된 광축 방향 리브(312)로 지지되는동시에,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커버(307)에 설치된 지주(309)(도 7c)와, 하측 커버(308)에 설치된 지주(310)(도 7c, 도 9)가 메인 기판(300)의 대략 중앙 부근에 설치한 구멍(311)에 삽입하고, 또한 상측 커버(307)에 설치된 직각 방향 리브(313)로 삽입되어, 하우징의 휨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메인 기판(300)에는, 전자 카메라(100) 전체를 제어하는 CPU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전자 카메라(100) 전체를 박형으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Y 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한 경우, 이러한 상측 커버(307)와 하측 커버(308)로 구성된 하우징에 큰 휨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는 동시에, 예컨대 전자 카메라를 낙하시키는 등 한 경우는 하우징이 변형될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CPU 등을 실장한 메인 기판(300)을 하우징에 나사 등으로 고정하면, 휨력이 가해지거나 하우징이 변형되었을 때, 메인 기판(300)이 휘고, 최악의 경우, 실장한 CPU 등이 벗겨지는 사고가 생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메인 기판(300)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내에서 유동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하우징이 휘어도, 그 힘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에 촬상부(10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전자 카메라의 촬상부의 상측 커버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중 하나인 전자 카메라(100)의 촬상부(101)는, 도 3에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의 촬영 렌즈 윈도우(103)측 단부로부터 발광 장치용의윈도우(104)측의 제 1 돌출부(115) 단부까지의 길이(L1)를, 예컨대 왼손 집게손가락의 선단부로부터 제 2 관절 부근까지의 길이로 하고, 또한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 윈도우(103)와는 반대측의 길이를 L2로 했을 때, 발광 장치 윈도우(104) 부분의 L1-L2에 해당하는 부위의 광축 방향 두께(L3)를, 대략 집게손가락의 두께로 하여 R자형으로 하여 조작부(102)측으로 돌출(팽창 돌출)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중 하나인 전자 카메라(100)의 촬상부(101)는, 줌 구동 장치를 포함한 렌즈 유닛(400)에 있어서의 줌 렌즈를 구성하는 렌즈 군의 렌즈 프레임의 높이를, 도 5a 내지 도 6b에 도시한 조작부(102)에 수용한 표시 장치(105),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 카드 등을 수용하는 메모리 슬롯(301), 메인 기판(300), 배터리(302)의 각각의 두께를 가산한 값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규제하는 동시에, 일반적으로 외형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셔터를 렌즈 프레임과 동일한 높이의 사각 형상으로 하고, 이러한 렌즈 프레임이나 셔터의 외주면을 촬상부(101)의 상하 커버(401, 402)로 구성되는 하우징의 지지면으로 하고 있다. 또한 줌 렌즈의 광축 방향의 전체 길이, 및 광학계의 내부 공간을 합한 길이를, 도 6b에 참조부호(302)로서 나타낸 배터리의 길이(h)에 맞도록 하여 규제, 즉 카메라(100)의 하우징의 폭(장방형의 단변 길이)을 배터리(302)의 길이(h)와 배터리(302) 전방측에 설치된 누름 버튼(106, 107)(도 1 내지 도 3 참조) 등의 높이를 합친 길이보다 대폭 길지 않도록 하고, 또한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렌즈 유닛(400)의 내측 길이를 그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콘덴서(322) 등의 전장 부품의 치수를 가미해서 상기 하우징의 폭내에 수납하고, 렌즈 유닛(400)의 내측 길이에 의해 카메라의 폭이 증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줌 렌즈의 구동 장치와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321)의 제어 기판(323) 등을 광학계의 측부 공간에 배치하고, 광학계의 촬영 렌즈 윈도우(103)와는 반대측의 내부 공간에, 발광 장치용 콘덴서(322) 등의 전장 부품을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줌 렌즈의 광축 방향의 전체 길이를 및 광학계의 내부 공간을 합한 길이를, 도 6b에 참조부호(302)로서 도시한 배터리의 높이(h)에 맞추도록 하여 규제하고, 또한 줌 렌즈의 구동 장치를 광학계의 옆에 배치함으로써, 전자 카메라(100)의 전원을 오프하거나 온했을 때도 광학계의 전체 길이에는 변화가 없고, 종래의 카메라와 같이, 렌즈를 침동식으로 함으로써, 전원의 온/오프시에 렌즈의 배출이나 수납의 동작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계가 가동하면 곧 촬영 동작에 들어갈 수 없고, 셔터 기회를 놓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더욱 고배율화를 실시할 경우, 렌즈군이 증가하거나 하지만, 광학계의 촬영 렌즈 윈도우(103)와는 반대측에, 발광 장치용 콘덴서(322) 등의 전장 부품 혹은 광학계 부품을 배치하는 스페이스가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이용하여 렌즈 군을 증가시켜 고배율 줌을 구성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중 하나인 전자 카메라(100)는, 도 6a 및 도 6b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배터리(전지)(302)를 조작부(102)의 일단측에 배치하고, 도 5로부터 명확하듯이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321)를 배터리(302)측으로 근접시켜서 배치하는 동시에, 배터리(302)의 폭(W1)(도 6b)과 발광 장치(321)의 폭(W2)(도 5)과 촬상 광학계와 그 구동 장치로 구성된 렌즈 유닛(400)의 폭(W3)(도 11) 및 조작부(102)에 배치한 조작 버튼류를 서로 합한 길이로 카메라의 길이를 규제, 즉 배터리(302)의 폭(W1)과 발광 장치(321)의 폭(W2)과 렌즈 유닛(400)의 폭(W3), 거기에 필요에 따라 조작 버튼류의 폭을 합한 폭보다 하우징의 길이가 대폭 커지지 않도록 했다. 즉, 이렇게 전자 카메라(100)의 구동에 절대 필요하고, 또한 박형으로 구성한 경우에 어느 정도의 폭을 갖게 하는 필요한 어느 배터리(302), 촬영 화면의 종횡비의 관계로 가로 길이로 구성되는 발광 장치(321), 카메라에 불가결한 렌즈 유닛(400), 및 조작부(102)에 배치한 조작 버튼류 등, 전자 카메라(100)의 구성에 매우 필요하지만 폭을 서로 합친 폭(W1내지 W3)에 일부의 조작 버튼의 폭을 합친 길이로 전자 카메라(100)의 길이를 규제했기 때문에, 전자 카메라(100)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길이와 폭이 작은, 즉 소형의 박형 전자 카메라(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는,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321)를 조작부(102)측으로 제 1 돌출부(팽창 돌출부)(115)로서 돌출하고, 그 발광 장치(321)의 하부, 즉 도 3에 있어서의 촬상부(101)의 폭으로부터 상기 L3을 뺀 L4의 부분을 L3의 부분보다 긴 오목부로 하고, 그 부분에 대면하는 조작부(102)를 촬상부(101)측에 제 2 돌출부(116)로서 돌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발광 장치(321)의 후방에 있어서 조작부(102)를 광폭으로 할 수 있고, 조작부(102)의 돌출부까지 연장하는 표시 장치(105)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대형의 표시 장치(105)를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버튼류(108 내지 113)를 비교적 조작하기 쉬운 곳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양호한 전자 카메라(100)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는, 도 8 및 도 12 내지 도 18에 참조부호(405)로 도시한 바와 같은 힌지 기구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8은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 기구(405)를 촬상부(101)에 내장하고,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상측 커버와 내부 구성부품을 제거하여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의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를 결합하는 힌지 기구(405)만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힌지 기구(405)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힌지를 구성하는 힌지축(500)을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1)에 고정하기 위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힌지 마커(508)의 정면도이고, 도 16a는 힌지축(500)의 플랜지(505)에 설치한 클릭용 오목부의 도면이고, 도 16b는 원형 스프링(504)에 설치한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힌지 기구(405)를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하측 커버(402)와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하측 커버(308)에 내장하고,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를 연결하는 신호선을 중공으로 한 힌지 기구내를 통과시켰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 참조 부호(500)는 촬상부(101)측을 조작부(102)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힌지축, 참조부호(501)는 촬상부(101)측에 고정되어, 힌지축(500)을 키홈에 회동 고정하는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 참조부호(502)는 조작부(102)측에 고정되어, 힌지축(500)을 회동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으로서의 조작부측 힌지 플레이트, 참조부호(503)는 힌지축(500)을 원형 스프링, 조작부측 힌지 플레이트,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를 힌지축(500)과 삽입하기 위한 CE링, 참조부호(504)는 힌지축(500)의 플랜지(505)와 조작부측 힌지 플레이트(502) 사이에 삽입하여 마찰과 클릭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로서의 원형 스프링으로, 이 원형 스프링(504)에는, 2개소의 꼭대기부에 클릭용 돌기(506, 507)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측 힌지 플레이트(502)에 대하여 회전 고정하기 위한 돌기(511, 512)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508)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부에 반사 패턴(509)을 갖고, 축(500)의 플랜지부(505)에 장착하여,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일체로 한 광전 소자(510) 등의 광전 소자에 의해 조작부(102)에 대한 촬상부(101)의 상대적인 회동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힌지 마커, 참조부호(513)는 촬상부(101) 하측 커버(402)에 설치한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1)의 고정부, 참조부호(514 내지 517)는 힌지축(500)의 플랜지(505)에 설정된 오목부, 참조부호(518, 519)는 원형 스프링의 회전 방지용 돌기(511, 512)를 받는 구멍, 참조부호(520)는 원형 스프링(504)에 설치된 돌기(506, 507)의 배면에 설치된 보강용 몸체부, 참조부호(531, 532)는 힌지축(500)을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1)에 회전 고정하기 위한 키홈, 참조부호(534, 535)는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1)에 있어서의 힌지축(500)에 설치한 키홈(531, 532)과 맞물리는 키 돌기, 및 참조부호(537)는 CE링(503)을 삽입하는 홈이다.
이 힌지 기구(405)에 있어서의 힌지축(500)은,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에 플랜지(505)를, 타단부측에 CE링(503)을 삽입하는 홈(537)을 갖고, 또한 이 플랜지(505)를 홈(537)측에서 본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537)측에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1)에 대하여 회전 고정하기 위한 키홈(531, 53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1)에는, 이 힌지축(500)의 키홈(531, 532)에 대응한 키 돌기(534, 53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힌지 기구(405)는, 도 8 및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1)의 나사 구멍(521, 522)에 비스를 통과시키고, 촬상부(101)의 하측 커버(401), 상측 커버(402)에 설치된 고정부(513)(도 13)에 고정한다. 또한,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2)는 동일하게 하여 조작부(102)의 상측 커버(307), 하측 커버(308)의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에 고정한다.
그리고, 힌지축(500)의 플랜지부(505)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에 반사 패턴(509)을 갖는 힌지 마커(508)를 장착하고, 원형 스프링(504),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2)를 통과하며,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1)에 설치된 키 돌기(534, 535)에 힌지축(500)의 키홈(531, 532)을 맞추어 삽입한다. 그리고,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1)의 렌즈계측에서 힌지축(500)에 설치된 홈(537)에 CE링을 삽입하고,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1)측에서 회전 고정과 배출 고정을 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광전 소자(5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 마커(508)상의 반사 패턴(509)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로 되는 서브 기판(303)상에 고정한다.
이 중 원형 스프링(504)은,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2)에 대하여 회전 고정하기 위한 돌기(511, 512)를, 이 돌기(511, 512)를 받는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2)측에 설치된 구멍(518, 519)에 삽입하고,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502)와 원형 스프링(504)이 모두 회동하도록 한다. 또한 원형 스프링(504)은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소의 꼭대기부에 클릭용 돌기(506, 507)를 갖고, 힌지축(500)의 플랜지(505)에는,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각도의 위치에 오목부(514, 517)가 설치되고, 원형 스프링(504)에 설치된 돌기(506, 507)가 결합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힌지 기구(405)를 구성함으로써,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는 원형 스프링(504)에 의해 적절한 마찰이 부여되어 구동할 수 있고, 게다가 이 원형 스프링(504)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각도까지 회동했을 때, 힌지축(500)의 플랜지(505)에 설치된 결합용 오목부(514) 내지 (517)에 결합되는 돌기(506, 50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90°회동시킨 위치, -90°회동시킨 위치 등, 촬영에 적절한 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셀프 촬영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를 -90°회동시켰을 경우, 광전 소자(510)는 힌지 마커(508)의 도 15에 도시한 반사 패턴(509)을 검출하고, 그 신호를 도시하지 않는 전자 카메라(100)의 제어부로 송출하여, 조작부(102)의 표시 장치(105)와 촬상부(101)의 촬영 렌즈 윈도우(103)가 동일 방향에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 경우,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통상의 촬영의 경우와 같이 표시 장치(105)에 화상을 표시하면,표시되는 화상의 상하가 역으로 되기 때문에, 화상의 상하를 역으로 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렇기 때문에, 촬상부(101)를 어떤 식으로 회동시켜도, 위화감 없이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스프링(504)은,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촬상부(101)의 회동에 의해, 힌지축(500)의 플랜지(505)에 설치된 오목부(514 내지 517)로부터 돌기(506, 507)가 분리되었을 때, 플랜지(505)의 가압력에 의해, 돌기(506, 507)의 배후에 균열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원형 스프링(504)은,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506, 507)의 배후에, 포징 프레스, 혹은 금속 분말 사출 성형(MIM : Metal Injection Molding), 다이 캐스트 등에 의해, 몸체(520)를 설치하고, 이것을 방지하도록 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돌기(506, 507)의 배후에 균열이 생겨서 클릭이 나오지 않는다든지, 마찰이 가벼워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축(500)은 도 8 및 도 12 내지 도 1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중공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부(101)와 조작부(102)를 연결하는 신호선을 이 가운데에 통과시킬 수 있고, 기계적인 접점 등을 사용하지 않고 결선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힌지 마커(508)상의 반사 패턴(509)을, 회동 각도를 검출하도록 설명해왔지만, 이것은 각도의 검출에만 한정하지 않고,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이 있었던 것을 검출하거나, 또는 인코더와 같이, 회동한 각도까지 검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검출도 광전 소자에만 한정하지 않고, 기계적인구성과 스위치에 의해, 촬상부(101)와 조작부(102)의 상대적인 회동에 의해 전원을 넣는 기구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19 내지 도 22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1 실시예의 제어 회로 블록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셀프 촬영시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 흐름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참조부호(10)는 전자 카메라의 촬상용 광학계에 있어서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한 줌 렌즈, 참조부호(11)는 동일하게 촬상용 광학계 내에 포함되는 초점 맞춤(오토 포커스 : AF)용 렌즈, 참조부호(12)는 CCD 등을 사용한 촬상 소자, 참조부호(13)는 줌용 렌즈를 이동시키는 캠 기구 등을 구동하는 줌 모터, 참조부호(14)는 초점 맞춤(AF)용 렌즈를 이동시키는 AF 모터, 참조부호(15)는 줌 모터 구동용의 드라이버 회로, 참조부호(16)는 초점 맞춤용의 AF 모터를 구동하는 AF 모터 드라이브 회로, 참조부호(20)는 촬상 소자(12)의 구동 회로, 참조부호(21)는 신호 처리 회로, 참조부호(22)는 각종 제어 정보 등을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로, 예컨대 셀프 촬영시에 표시 장치(105)로의 자기가 표시되는 크기, 즉 소정 줌 배율 등을 기억하고 있다. 참조부호(23)는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나 신호의 교환을 하기 위한 USB 등의 외부 인터페이스, 참조부호(24)는 촬상된 화상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부 기억 장치, 참조부호(25)는 이 메모리 카드(24)의 인터페이스, 참조부호(26)는 표시 장치(105)의 드라이버 회로, 참조부호(27)는 피사체의 광량이나 색 온도(color temperature) 등을 측정하는 측광·조광 블록, 참조부호(28)는 발광 장치로서의 스트로보와 그 구동 회로, 참조부호(29)는 상기 셔터 버튼(106), 선택 결정 버튼(108), 줌 버튼(109), 메뉴 버튼(110), 디스플레이 버튼(111), 장면 버튼(112), 모드 선택 버튼(113) 등의 각종 버튼으로부터 입력 신호, 참조부호(30)는 전원의 온 상태 등을 외부에 통지하기 위한 외부 LED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 참조부호(31)는 셀프 촬영에 있어서 주밍이 실행되었을 때에 그것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줌 정지 버튼, 참조부호(32)는 셀프 촬영에 있어서 소정 배율로 주밍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킬지 수동으로 강제적으로 정지시킬지를 선택하기 위한 전환 버튼, 및 참조부호(33)는 시스템 컨트롤러이다.
이 전자 카메라(100)를 사용할 때는, 전원 버튼(107)을 가압함으로써, 도 19의 시스템 컨트롤러(33)에 신호가 보내어져 전원이 온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으로 각 조작 버튼을 조작하면, 이러한 신호는 도 19의 버튼 입력(29)으로부터 시스템 컨트롤러(33)로 이송되어, 각각의 버튼으로 지시된 내용이 이 시스템 컨트롤러(33)로 실행된다. 즉, 모드 선택 버튼(113)에 의해 선택된 조리개 우선 모드나 셔터 우선 모드 등의 촬영 조건, 고속으로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스포츠 모드, 근거리의 것을 촬영하는 매크로 모드, 스트로보의 강제 발광이나 발광 정지 등의 스트로보 제어, 동영상 촬영, 재생 등의 모드를 선택하면, 각각의 선택 결과에 따른 동작이 이루어지고, 또한 필요에 따라 메뉴 버튼(110)을 가압하여 표시 장치(105)에 예컨대 화상의 사이즈, 촬영 감도, 측광 방식 등의 각종메뉴를 표시시켜서, +자형 버튼과 결정 버튼으로 구성된 선택 결정 버튼(108)의 +자형 버튼으로 항목을 선택하고, 중앙의 결정 버튼으로 결정함으로써, 이러한 선택 결과가 동일하게 시스템 컨트롤러(33)로 이송되어 실행된다.
그리고, 도 2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사체측에 촬영 렌즈 윈도우(103)를 향하고, 표시 장치(105)에 투영된 피사체를 보면서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촬상부(101)의 줌 버튼(109)을 조작하며, 소정의 배율을 선택하여 구도를 결정한 후, 오른손 집게손가락으로 셔터 버튼(106)을 가압한다. 그렇게 하면, 이러한 버튼으로부터의 신호가 시스템 컨트롤러(33),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 AF 모터 드라이버(16)로 이송되어, 줌 모터(13), AF 모터(14)가 구동되어 소망 배율까지 줌 되어서 초점이 맞추어지는 동시에, 측광·조광 블록(27)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노출이 결정되어, 내장된 CCD 등의 촬상 소자(12)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 촬상 소자 구동 회로(20), 신호 처리 회로(21), 카드 인터페이스(25)를 거쳐 메모리 카드(24)로 이송되어 기록된다.
이렇게 해서 촬영이 끝나면, 모드 선택 버튼(113)을 조작해서 재생 모드로 하면, 그 신호가 역시 시스템 컨트롤러(33)로부터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서 메모리 카드 드라이버(25), 표시 장치 드라이버(26)에 보내져, 기록된 화상이 표시 장치(105)에 표시되어, 선택 결정 버튼(108)에 있어서의 +자형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촬영한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촬영 모드의 경우는 완전히 동일하게 하여 동영상을 메모리에 기록하고, 장면 버튼(112)에 의해 필요한 장면을 선택하고, 스피커(114)에 의해 음성도 동시에 재생시킬 수 있다.
다음에, 셀프 촬영을 실행할 경우의 동작을, 도 19에 도시한 블럭도와 도 20에 도시한 흐름도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자 카메라(100)는, 도 20에 있어서의 단계(S2)에서 도 19에 도시한 전원 버튼(107)이 가압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신호가 시스템 컨트롤러(33)로 송신되어, 이 때 단계(S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에 신호를 보내어 줌 모터(13)를 구동하고, 줌 렌즈(10)를 광각측으로 초기 설정한다. 그리고 이 때, 예컨대 진동 등으로 렌즈계에 불량이 생기는 경우, 그것들을 이 초기 설정에 의해 재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 단계(S4)에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광전 소자(510)가 검출하는 신호를 수취하고, 촬상부(101)의 회동이 셀프 촬영의 방향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 기구의 힌지축(500)에는 반사 패턴(509)을 갖은 힌지 마커(508)가 장착되어 있고, 촬상부(101)가 표시 장치(105)와는 반대측(즉 +90°방향)으로 회동했을 때는 셀프 촬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단계(S11)로 진행하고, 표시 장치(105)측(즉 -90°방향)으로 회동했을 때는 셀프 촬영이라 판단하여 단계(S5)로 진행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S5)에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셀프 촬영의 경우의 줌 배율 설정을 자동으로 실행할지 수동으로 실행할지를 전환하기 위한 버튼(32)으로부터 신호를 참조하여, 수동의 경우는 단계(S6)로, 자동의 경우는 단계(S8)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S6)로 진행한 경우,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로 신호를 송신하고, 줌 모터(13)를 구동하여 줌 배율을 상승시켜 간다. 그리고, 다음 단계(S7)에서 줌 정지 버튼(31)이 가압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 가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원래로 돌아오고, 가압된 경우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로 신호를 송신하여, 줌 모터(13)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 때문에 줌 렌즈(10)는 소망하는 배율로 정지한다.
또한 이 경우, 줌 정지 버튼(31)이 언제까지라도 가압되지 않을 때는, 예컨대 줌 렌즈(10)가 망원 단부측까지 구동되었을 때에 이번에는 역으로 광각측으로 줌 렌즈(10)를 구동하고, 또한 광각측의 단부까지 가면 이번에는 망원측으로 구동하는 것을 수 회 반복하고, 그 후 광각측 또는 망원측에서 줌 렌즈(10)의 구동을 정지할지, 이하에 설명하는 배율 자동 설정 모드로 이행할지 등의 처치를 취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S5)로부터 단계(S8), 즉 줌 배율을 자동설정으로 진행한 경우, 단계(S8)에 있어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AF 모터 드라이버(16)로부터 AF 모터(14)의 구동 결과를 취득하고, 전자 카메라(100)와 피사체의 거리(L)를 산출한다. 그리고 다음에 시스템 컨트롤러(33)는 메모리(22)에 기억되어 있는 셀프 촬영의 경우의 소정 배율(Z)을 판독하고, 피사체와의 거리(L)와 소정 배율(Z)로부터 줌 렌즈(10)에 있어서의 목표 초점 거리(f)를 산출한다. 즉 소정 배율(Z)과 줌 렌즈(10)의 초점 거리(f), 전자 카메라(100)와 피사체까지의 거리(L)는 다음 수학식 1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줌 배율(Z) = 렌즈 초점 거리(f)/피사체까지의 거리(L)
그리고, 다음 단계(S9)에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로부터 줌 모터(13)의 구동 결과를 취득하고, 줌 렌즈(10)의 초점 거리가 이 목표 초점 거리(F)와 일치하고 있는지 어떤지 판단하며, 일치하고 있을 경우는 단계(S11)로 진행하여 종료하고,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S10)에서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에 지시하여 줌 렌즈(10)의 줌 배율 상승을 지시한다. 그 때문에 줌 렌즈(10)는 줌 배율이 상승하기 시작하므로, 단계(S9, S10)의 사이클을 줌 렌즈(10)의 초점 거리가 목표 초점 거리(F)와 일치할 때까지 반복하여, 일치하면 줌 모터 드라이버(15)에 지시하여 줌 모터(13)의 구동을 정지하고, 배율 상승을 정지시켜서 단계(S11)로 진행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셀프 촬영을 위해서 촬상부(101)가 조작부(102)의 표시 장치(105)와 동일한 측을 향해 단계(S4)에서 그것이 검출되었을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5)에 통상의 촬영의 경우와 동일하게 화상을 표시하면, 표시되는 화상의 상하가 역으로 되기 때문에, 시스템 컨트롤러(33)는 화상의 상하를 역으로 하여 표시하도록 신호 처리 회로(21)에 지시하고, 신호 처리 회로(21)는 촬상 소자(12)로부터 촬상 소자 구동 회로(20)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화상을 상하 반대의 화상으로 하여 표시 장치 드라이버(26)를 거쳐, 표시 장치(105)로 이송하여 표시한다. 그 때문에, 촬상부(101)를 어떻게 회동시켜도, 위화감 없이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촬상부(101)의 회동 각도 검출은 광전 소자(510)를 이용하여 실행하도록 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기계적인 접점 등을 이용해도 좋은 것을 분명하다. 또한,이상의 설명에서는, 셀프 촬영의 경우는 줌 배율을 상승시키도록 설명했지만, 이것은 셀프 촬영이 아닌 경우에도 동일하게 제어할 수도 있고, 역으로 그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강하시킨 후 상승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2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단계(S2)에서 최초로 전원 투입이 있었는지를 검출하고, 그 후 촬상부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여 셀프 촬영인지 아닌지를 판단했지만, 이 도 21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셀프 촬영을 전원 투입전에 안 경우는 자동적으로 전원을 투입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동시에, 셀프 촬영이 아닌 경우에도, 줌 렌즈를 광각측으로 초기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 제 2 실시예의 흐름에 있어서의 동작은, 전자 카메라의 기동전에 촬상부(101)를 회동시켜서 준비한 경우는 자동적으로, 기동한 후 촬상부를 회동시키는 경우는 사용자가 전원 투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촬상부(101)를 회동시켰을 때에 전원을 투입하는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계적인 구성과 스위치에 의해, 촬상부(101)와 조작부(102)의 상대적인 회동에 의해 전원을 넣는 기구를 사용하도록 하면 무방하다. 그 때문에, 단계(S21)에서 촬상부(101)가 회동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축(500)에 장착된 반사 패턴(509)을 갖는 힌지 마커(508)로부터의 신호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광전 소자(510)가 검출하는 신호를 수취하고, 회동 방향이 조작부(102)의 표시 장치(105)측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촬상부(101)의 회동이 셀프 촬영의 방향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셀프 촬영의 경우는 단계(S22)로, 셀프 촬영이 아닐 경우는 단계(S30)로 진행하여, 전원을 자동적으로 투입한다. 그리고 셀프 촬영이 아닌 경우는, 다음 단계(S31)에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로 신호를 송신하여 줌 모터(13)를 구동하고, 줌 렌즈(10)를 광각측으로 초기 설정하여 종료한다.
한편 셀프 촬영의 경우는, 단계(S24)에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셀프 촬영의 경우의 줌 배율 설정을 자동으로 할지 수동으로 할지를 전환하기 위한 버튼(32)으로부터의 신호를 참조하고, 수동의 경우는 단계(S25)로, 자동의 경우는 단계(S27)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S25)로 진행한 경우,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에 신호를 송신하고, 줌 모터(13)를 구동해서 줌 배율을 상승시켜 간다. 그리고, 다음 단계(S26)에서 줌 정지 버튼(31)이 가압되었는지 어떤지를 감시하고, 가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원래로 돌아가며, 가압된 경우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로 신호를 송신하며, 줌 모터(13)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 때문에 줌 렌즈(10)는 원하는 배율에서 정지한다.
또한 이 경우, 줌 정지 버튼(31)이 언제까지라도 가압되어 있지 않을 때는, 예컨대 줌 렌즈(10)가 망원단측까지 구동되었을 때에 이번에는 역으로 광각측으로 줌 렌즈(10)를 구동하고, 또한 광각측의 단부까지 가면 이번에는 망원측으로 구동한다는 것을 수 회 반복하고, 그 후 광각측 또는 망원측에서 줌 렌즈(10)의 구동을 정지할지, 이하에 설명하는 배율 자동 설정 모드로 이행할지 등의 처리를 취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단계(S24)로부터 단계(S27), 즉 줌 배율을 자동 설정으로 진행한 경우, 단계(S27)에 있어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AF 모터 드라이버(16)로부터 AF 모터(14)의 구동 결과를 수취하고, 전자 카메라(100)와 피사체의 거리(L)를 산출한다. 그리고 다음에 시스템 컨트롤러(33)는 메모리(22)에 기억되어 있는 셀프 촬영의 경우의 소정 배율(Z)을 판독하고, 피사체와의 거리(L)와 소정 배율(Z)로부터 목표 초점 거리를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S28)에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로부터 줌 모터(13)의 구동 결과를 취득하고, 줌 렌즈(10)의 초점 거리가 이 목표 초점 거리(F)와 일치하고 있는지 어떤지 판단하고, 일치하고 있을 경우는 단계(S29)로 진행하여 종료하고,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S29)에서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에 지시하며, 줌 렌즈(10)의 줌 배율 상승을 지시한다. 그 때문에 줌 렌즈(10)는 줌 배율이 상승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단계(S28, S29)의 사이클을 줌 렌즈(10)의 초점 거리가 목표 초점 거리(F)와 일치하기까지 반복하고, 일치하면 줌 모터 드라이버(15)에 지시하여 줌 모터(13)의 구동을 정지하며, 배율 상승을 정지시켜서 단계(S11)로 진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셀프 촬영을 위해서 촬상부(101)가 조작부(102)의 표시 장치(105)와 동일한 측을 향하여 단계(S21)에서 그것이 검출되었을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5)에 통상의 촬영의 경우와 같이 화상을 표시하면, 표시되는 화상의 상하가 역으로 되기 때문에, 시스템 컨트롤러(33)는 화상의 상하를 역으로 하여 표시하도록 신호 처리 회로(21)에 지시하고, 신호 처리 회로(21)는 촬상 소자(12)로부터 촬상 소자 구동 회로(20)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화상을 상하 역의 화상으로 하여 표시 장치 드라이버(26)를 거쳐, 표시 장치(105)로 송신하여 표시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다음에, 도 22에 도시한 제 3 실시예의 흐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도 제 2 실시예와 같이 전자 카메라의 기동전에 촬상부(101)를 회동시켜서 준비한 경우는 자동적으로, 기동한 후 촬상부를 회동시킬 경우는 사용자가 전원 투입을 실행한다. 그 때문에, 단계(S41)에서 촬상부(101)가 회동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축(500)에 부착된 반사 패턴(509)을 갖는 힌지 마커(508)로부터의 신호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광전 소자(510)가 검출하는 신호를 수취하고, 회동 방향이 조작부(102)의 표시 장치(105)측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촬상부(101)의 회동이 셀프 촬영의 방향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셀프 촬영의 경우는 단계(S42)로, 셀프 촬영이 아닌 경우는 단계(S50)로 진행하고, 전원을 자동적으로 투입한다. 그리고 셀프 촬영이 아닌 경우는, 다음 단계(S51)에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에 신호를 송신하여 줌 모터(13)를 구동하고, 줌 배율을 상승시킨다.
한편 셀프 촬영의 경우는, 단계(S24)에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단계(S43)에서 줌 렌즈를 광각측으로 초기 설정하고, 다음 단계(S44)에서 셀프 촬영의 경우의 줌 배율 설정을 자동으로 실행할지 수동으로 실행할지를 전환하기 위한버튼(32)으로부터의 신호를 참조하고, 수동의 경우는 단계(S45)로, 자동의 경우는 단계(S47)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S45)로 진행한 경우,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로 신호를 송신하며, 줌 모터(13)를 구동하여 줌 배율을 상승시켜 간다. 그리고, 다음 단계(S46)에서 줌 정지 버튼(31)이 가압되었는지 어떤지를 감시하고, 가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원래로 돌아가며, 가압된 경우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에 신호를 송신하며, 줌 모터(13)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 때문에 줌 렌즈(10)는 원하는 배율에서 정지한다.
또한 이 경우, 줌 정지 버튼(31)이 언제까지라도 가압되어 있지 않을 때는, 예컨대 줌 렌즈(10)가 망원단측까지 구동되었을 때에 이번에는 역으로 광각측으로 줌 렌즈(10)를 구동하고, 또한 광각측의 단까지 가면 이번에는 망원측으로 구동하는 것을 수 회 반복하며, 그 후 광각측, 또는 망원측에서 줌 렌즈(10)의 구동을 정지할지, 이하에 설명하는 배율 자동 설정 모드로 이행하는 등의 처치를 취하도록 할 수도 있다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단계(S44)로부터 단계(S47), 즉 줌 배율을 자동 설정으로 진행한 경우, 단계(S47)에 있어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AF 모터 드라이버(16)로부터 AF모터(14)의 구동 결과를 취득하며, 전자 카메라(100)와 피사체의 거리(L)를 산출한다. 그리고 다음에 시스템 컨트롤러(33)는, 메모리(22)에 기억되어 있는 셀프 촬영의 경우의 소정 배율(Z)을 판독하고, 피사체와의 거리(L)와 소정 배율(Z)로부터 목표 초점 거리를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S48)에서 시스템 컨트롤러(33)는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로부터 줌 모터(13)의 구동 결과를 취득하고, 줌 렌즈(10)의 초점 거리가 이 목표 초점 거리(F)와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단계(S52)로 진행하여 종료하고,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S49)에서 신호 처리 회로(21)를 거쳐 줌 모터 드라이버(15)에 지시하며, 줌 렌즈(10)의 줌 배율 상승을 지시한다. 그 때문에 줌 렌즈(10)는 줌 배율이 상승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단계(S48, S49)의 사이클을 줌 렌즈(10)의 초점 거리가 목표 초점 거리(F)와 일치할 때까지 반복하여, 일치하면 줌 모터 드라이버(15)에 지시하여 줌 모터(13)의 구동을 정지하고, 배율 상승을 정지시켜서 단계(S11)로 진행하며,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셀프 촬영 때문에 촬상부(101)가 조작부(102)의 표시 장치(105)와 동일한 측을 향해 단계(S41)에서 그것이 검출되었을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5)에 통상의 촬영의 경우와 같이 화상을 표시하면, 표시되는 화상의 상하가 역으로 되기 때문에, 시스템 컨트롤러(33)는 화상의 상하를 역으로 하여 표시하도록 신호 처리 회로(21)에 지시하고, 신호 처리 회로(21)는 촬상 소자(12)로부터 촬상 소자 구동 회로(20)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화상을 상하 반대 화상으로 하여 표시 장치 드라이버(26)를 거쳐, 표시 장치(105)로 이송하여 표시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줌 렌즈를 광각측으로 설정하는 제어를 셀프 촬영의 경우와 셀프 촬영이 아닌 경우로 나누어 실행하고, 또한 줌 배율을 상승의 제어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나누어 실행하도록 설명해 왔지만, 그 어느 것에 있어서도줌 렌즈를 광각측으로 설정하는 제어와 상승시키는 제어를 하거나, 줌 렌즈의 배율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거나 하는 제어를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조작부(102)의 하우징을 상하의 커버(307, 308)로 구성하고, 일면에 메모리 슬롯(301)을, 다른 면에 편평형의 전지 수납부(302)를 배치한 메인 기판(300)을, 커버(307, 308)에 있어서의 한쪽 코너, 또는 복수의 코너에 설치한 기판 지지부로 지지하고, 메인 기판(300)의 메모리 슬롯(301)측에 상기 표시 장치(105)를 배치하는 동시에, 전지 수납부(302)측의 측부에 상기 촬상부의 제어 기판(303)을 배치함으로써, 조작부(102)는 표시 장치(105), 메모리 슬롯(301)과 전지 수납부(302)를 표리에 배치한 메인 기판(300)의 두께를 서로 합친 두께로 할 수 있고, Y 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할 수 있는 얇기를 갖는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 하우징을 구성하는 동시 커버(307), 또는 하측 커버(308)의 어느 것, 또는 양자에 상기 메인 기판의 대략 중앙부에 천공한 구멍을 관통하는 지주(309, 310)를 설치하고, 하우징의 후미에 대하여 메인 기판(300)을 유동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예컨대 전자 카메라(100)를 낙하시키는 등 하여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변형해도 메인 기판(300)이 변형하지 않고, 따라서 메인 기판에 CPU 등을 실장하고 있어도 그것들이 박리하는 사고는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 하우징을 구성하는 상하 커버의 어느 쪽에,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광학계 광축 방향의 리브(312)를, 또한 다른쪽의 커버에 광축 방향과 직각 방향의 리브(313)를 설치하며, 상기 광축 방향 리브(312)와 직각방향 리브(313)로 상기 메인 기판(300)을 삽입하여 유동 가능하게 지지했기 때문에, 예컨대 전자 카메라를 낙하시키는 등 하여 하우징이 일시적으로 변형해도 메인 기판(300)이 변형하지 않고, 따라서 메인 기판(300)에 CPU 등을 실장하고 있어도 그것들이 박리하는 사고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 하우징을 구성하는 동시 커버(307)에, 상기 조작부(102)의 근방에 연결된 촬상부(101) 부근에 상기 표시 장치(105)용의 개구를 설치하고, 그 표시 장치(105)용 개구의 전측에 조작 버튼류를 장착했기 때문에, 예컨대 조작부(102)를 오른손으로 유지했을 때, 표시 장치(105)를 오른손으로 가리지 않고 조작 버튼류를 오른손 엄지손가락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조작 버튼류를 하우징 평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Y 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해도, 조작 버튼류가 이러한 Y 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걸림 없이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는 전자 카메라(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카메라(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지(302)의 길이(h)에 맞추어 카메라의 폭과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광학계의 길이를 규제, 즉 카메라 하우징의 폭을, 전지의 길이와 전지보다 전측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 등의 높이를 서로 합친 폭보다 대폭 크지 않도록 하고, 또한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광학계의 길이를, 그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전장 부품의 치수를 가미하여 상기 하우징 폭내에 수납하여 광학계의 길이에 의해 카메라의 폭이 증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카메라의 폭이 일정 이하로 규제되기 때문에 폭이 작은 전자 카메라(100)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촬상부(101)의 측부 공간에 렌즈 구동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종래의 줌 렌즈와 같이 통형상 캠에 의해 렌즈 직경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전자 카메라(100)를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의 가로에 촬상부측 제어 기판(323)을, 광학계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발광 장치용 전장 부품(322)을 배치함으로써, 촬상부(101)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예컨대 배율 줌을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그것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하는 전자 카메라(100)를 구성할 수 있고, Y 셔츠의 가슴 포켓이나 팬츠의 엉덩이부 포켓 등에 수용해도 위화감을 느끼게 하지 않는 소형이고 박형인 전자 카메라(10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지(302)를 조작부(102)의 일단측에 배치하고,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321)를 상기 전지(302)측에 근접시켜서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지(302)와 발광 장치(321)와 촬상 광학계(400)에 있어서의 각각의 폭을 서로 합친 길이로 카메라 길이를 규제, 즉 전지와 발광 장치와 촬상 광학계, 거기에 필요에 따라 조작 버튼류의 폭을 서로 합친 폭보다 하우징 길이가 대폭 커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자 카메라(100)의 구동에 절대 필요하고, 또한 박형으로 구성한 경우에 어느 정도의 폭을 갖게 할 필요가 잇는 전지(302), 촬영 화면의 종횡비의 관계에서 가로 길이로 구성되는 발광 장치(321), 카메라에 불가결한 광학계 및 조작 버튼류 등, 전자 카메라(100)의 구성에 매우 필요한 것의 폭을 서로 합친 길이로 전자 카메라(100)의 길이를 규제했기 때문에, 전자 카메라(100)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길이가 작은, 즉 소형의 전자 카메라(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는,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321)를 배치한 부분을 조작부(102)측으로 돌출하여 제 1 돌출부로 하는 동시에 촬상부(101)의 발광 장치(321)의 후부에 있어서 촬상부(101)를 오목부로 하며, 상기 오목부에 조작부(102)측을 대응시켜서 촬상부(101)측으로 돌출시키고 제 2 돌출부로 함으로써, 조작부(102)측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321) 후부를 길게 할 수 있고, 그 제 2 조작부(102)의 연장된 돌출부에 표시 장치(105)를 배치함으로써, 비교적 대형의 표시 장치(105)를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 버튼류(108 내지 113)도 비교적 조작하기 쉬운 곳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양호한 전자 카메라(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카메라(100)는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전면측을 조작부(102)측으로 돌출시켜서 발광 장치(104)용 윈도우를 배치함으로써, 카메라의 폭을 작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전자 카메라(100) 전체의 크기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촬영 렌즈용 윈도우(103)측(전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를 반대측(후측)으로부터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함으로써, 촬상부(101)에 있어서 렌즈 윈도우측의 회전 반경이 커지고, 따라서 셀프 촬영시에 렌즈 윈도우와 화상 표시면과의 간극이 커지고, 셀프 촬영의 경우의 사용하기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폭(전후 방향의 폭)을 대략 손가락 두께로 하는 동시에, 상기 촬영 렌즈용 윈도우(103)측 단부로부터 돌출측 단부까지의 길이를 대략 손가락의 선단부로부터 제 2 관절 부근에 상당하는 길이로 하고, 상기 돌출부를 손가락 2개로 삽입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자 카메라는 오른손으로 조작부(102)를 홀딩하고, 왼손의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돌출부를 삽입하여 피사체 방향을 향할 수 있고, 촬영에 있어서 확실히 홀딩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하기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촬영 렌즈용 윈도우(103)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를, 상기 촬상부(101)의 촬영 렌즈용 윈도우(103)측을 상기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05)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표시 장치(105)의 시인을 상기 돌출부에 의해 방해하지 않는 거리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자 카메라(100)의 조작자(자신)를 촬영하는 경우에도 표시 장치(105)의 시인을 방해할 수 없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셀프 촬영을 실행할 수 있는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02)는,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전측[촬영 렌즈용 윈도우(103)측]을 조작부(102)측으로 돌출하여 발광 장치(104)의 윈도우를 배치함으로써, 촬상부(101)에 있어서의 전측을 가는 폭으로 조작부(102)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작부(102)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105)를 촬상부(102) 부근으로 연장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 장치(105)의 전측에 조작 버튼류를 배치할 수 있고, 오른손으로 조작 버튼류를 조작하면서 표시 장치(105)를 볼 수 있는 사용하기 양호한 전자 카메라(100)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의 촬상부의 회동을, 힌지 기구를 구성하는 힌지축의 플랜지에 설치한 회동 각도 검출용 패턴과 광전 소자라는 간단 저렴한 구성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 렌즈와 표시 장치가 모두 자기쪽으로 향해진 경우, 그것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고, 게다가 광전 소자는 어느 정도 떨어진 장소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장치와 같이 기계적인 접점이나 배선의 설비가 불필요하게 되어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고, 또한 회동 동작에 의한 신호선의 단선 등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에 스위치를 탑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힌지 기구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전자 카메라의 컴팩트화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힌지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힌지축에 설치한 플랜지에 소정 각도마다 클릭용 오목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원형 스프링에 클릭용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돌기와 상기 힌지축의 플랜지에 설치한 오목부에 의해 상기 촬상부를 소정 각도마다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부에 대하여 촬상부를 소정 각도마다 결합할 수 있고, 보다 촬영이 용이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 스프링은 클릭용 돌기 배후에 보강용 몸체를 설치함으로써, 원형 스프링의 클릭용 돌기가 회동에 의해 플랜지에 설치한 클릭용 오목부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촬상부와 조작부 사이의 가압력에 의해, 이 클릭용 돌기 배후에 균열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은 중공으로 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촬상부와 조작부를 연결하는 신호선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적인 접점 등을 사용하지 않고 결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카메라(100)에 있어서의 전원 투입에 의해 촬영용 줌 렌즈(10)를 광각측으로 초기 설정하고, 또한 회동의 검출 수단(510)으로부터 조작부(102)와 촬상부(101)의 상대적인 회동의 검출 신호를 받았을 때, 줌 렌즈(10)의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서, 우선 진동 등에 의해 줌 렌즈에 정밀도의 불량이 생겨도, 전원 투입에 의해 촬영용 줌 렌즈(10)를 광각측으로 초기 설정함으로써 이 불량을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촬영에 있어서 이 광각측으로부터 줌의 배율이 상승해 가기 때문에, 소망하는 촬영 배율에서 상승을 정지하면, 촬영 배율을 조절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사용하기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전자 카메라의 전원 투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와 상기 촬상부의 상대적인 회동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또는 상기 전원 투입 수단에 의해, 상기 전원 투입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카메라의 기동전에 촬상부를 회동시켜서 준비한 후 전원을 넣을 경우는 자동적으로, 기동한 후 촬상부를 회동시킬 경우는 사용자가 전원 투입을 실행할 수 있고, 사용하기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와 촬상부의 상대적인 회동의 검출 수단에 의해, 촬영 렌즈 윈도우가 표시 장치의 표시면측에 위치하도록 촬상부가 회동했을 때(셀프 촬영)와, 촬영 렌즈 윈도우가 표시 장치의 표시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촬상부를 회동했을 때(셀프 촬영이 아님), 촬영용 줌 렌즈를 광각측으로 설정하는 제어와 줌 렌즈의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셀프 촬영의 경우는 광각측으로부터 줌의 배율이 상승시키고, 소망하는 촬영 배율에서 상승을 정지시키면 촬영 배율을 조절하는 것이 불필요해지고, 셀프 촬영이 아닌 경우는, 진동 등에 의해 줌 렌즈에 정밀도의 불량이 생겨도, 촬영용 줌 렌즈를 광각측에 초기 설정함으로서 이 불량을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하기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와 촬상부의 상대적인 회동의 검출 수단에 의해, 촬영 렌즈 윈도우가 표시 장치의 표시면측에 위치하도록 촬상부가 회동한 것(셀프 촬영)을 검출했을 때와, 촬영 렌즈 윈도우가 표시 장치의 표시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촬상부를 회동한 것(셀프 촬영이 아님)을 검출했을 때, 줌 렌즈의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제어와 하강시키는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셀프 촬영의 경우는 셀프 촬영이 아닌 경우에, 줌 배율의 상승과 하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사용하기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줌 배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줌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줌 배율을 변경하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촬영자는 줌 배율을 신경 쓰지 않고 최적의 배율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제어를 소정 배율로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촬영자는 어떤 조작을 하지 않고, 적절한 촬영배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부측 줌 렌즈의 초점 맞춤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로 산출한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상기 소정 배율에 의해 상기 소정 배율로 되는 줌 렌즈의 초점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점 거리에서 줌 배율의 변경을 정지시킴으로써, 셀프 촬영을 촬영자가 수동으로 실행할 경우에도 삼각으로 고정하여 실행하는 경우에도, 표시 장치상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크기를 항상 일정하게 하여 촬영할 수 있고, 매우 사용하기 양호한 전자 카메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자동적으로 소정 배율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조작부에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줌 배율을 변경시키는 제어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수동으로 줌 배율을 결정하도록 하면, 촬영자가 원하는 배율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조작부에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줌 배율을 변경시키는 제어를 미리 정한 소정 배율로 정지시키는 제어와, 상기 줌 배율을 변경시키는 제어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발하는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로 강제 정지시키는 제어를 선택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촬영자는 이 양자로부터 자유롭게 선택하여 셀프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각종 개량이나 변경 등은 조금도 지장이 없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셀프 촬영의 경우에서, 줌 배율을 자동 설정으로 진행한 경우에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 배율을 판독하여 촬영을 실행하고 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화상 중, 특정한 화상을 지정하고, 이 지정한 화상이 표시 화면 전체의 소정의 비율의 크기로 되도록 줌 배율을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특정 화상의 선택이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화상의 크기의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물체의 특정은, 그 물체를 지정했을 때의 밝기나 색채가 동일한 것 등으로 선택할 수 있고, 명도나 색채가 변화되어도, 수시로 그것을 특별히 정하여 소정의 줌 배율로 맞출 수 있다.

Claims (20)

  1. 표시 장치를 갖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힌지 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발광 장치와 촬영용 줌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화상을 보내는 촬상부로 구성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하우징을 상하의 커버로 구성하고, 상기 커버에 있어서의 한쪽 코너, 또는 복수의 코너에 설치한 기판 지지부에 지지된 메인 기판의 일면에 메모리 슬롯을, 다른 면에 편평형의 전지 수납부를 배치하고, 상기 메인 기판의 메모리 슬롯측에 상기 표시 장치를 배치하는 동시에 전지 수납부측의 측부에 상기 촬상부의 제어 기판을 배치하여 박형화를 도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상측 커버, 또는 하측 커버의 어느 한쪽, 또는 양자에 상기 메인 기판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구멍을 관통하는 리브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휨에 대하여 메인 기판을 유동 가능하게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상하 커버의 어느 한쪽에, 촬상부에 있어서의 광학계 광축 방향의 리브를, 또 다른 쪽의 커버에 광축 방향과 직각 방향의 리브를 설치하고, 상기 광축 방향 리브와 직각 방향 리브로 상기 메인 기판을 끼워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표시 장치를 갖는 동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힌지 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발광 장치와 촬영용 줌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화상을 보내는 촬상부로 구성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배치한 전지의 길이에 기초하여 조작부의 폭과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의 광학계의 길이를 규제하는 동시에, 촬상부의 측부 공간에 렌즈 구동 장치와 촬상부측 제어 기판을, 광학계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발광 장치용 전장 부품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를 상기 조작부의 일단측에 배치하고,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의 발광 장치를 상기 전지측에 근접시켜서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전지와 발광 장치와 촬상 광학계에 있어서의 각각의 폭을 서로 합친 길이로 카메라의 길이를 규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에 의한 회동 위치가 소정 위치일 때에, 상기 조작부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촬상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이 조합된 상태에서 박형 또는 대략 사각 형상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박형 또한 대략 사각 형상의 하우징의 한쪽 장변 측면의 상기 조작부 하우징측에 촬상 버튼과, 상기 한쪽 장변 측면의 상기 촬상부 하우징측에 상기 촬영용 렌즈 윈도우부를 배치하며, 상기 박형 또한 대략 사각 형상의 하우징의 광역면의 상기 조작부 하우징측에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광역면의 상기 촬상부 하우징측에 직선 형상 돌기를 상기 한쪽 장변과 평행하게 연장 돌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하우징에 있어서, 촬영시에 사용하는 조작 버튼을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직선 형상 돌기와 평행하게 근접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 버튼의 높이를 상기 조작부 하우징의 상기 광역면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부의 높이 이상이며, 상기 광역면에 대한 상기 직선 형상 돌기의 높이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각종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을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직선 형상 돌기와 평행하게 근접 배치하는 동시에, 촬상 장치의 줌을 조작하는 줌 버튼을 상기 광역면으로서 상기 모드 선택 버튼에 근접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각종 모드를 선택 결정하는 +자형 버튼을 상기 광역면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와 근접하고 또한 상기 조작부의 전측 측면에 배치된 촬상 버튼과는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조작자의 집게손가락으로 상기 촬상 버튼을 조작하고,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줌 버튼, 모드 선택 버튼 및 +자형 버튼을 조작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촬상 장치.
  10. 표시 장치를 갖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힌지 기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발광 장치와 촬영용 줌 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표시 장치에 영상을 보내는 촬상부로 구성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의 촬영 윈도우측을 조작부측으로 돌출시킨 팽창 돌출부를 설치하여 상기 발광 장치를 배치하는 동시에, 촬영 윈도우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를 촬영 윈도우와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발광 장치를 배치한 팽창 돌출부의 광축 방향 폭을 대략 손가락의 두께로 하는 동시에, 상기 팽창 돌출부의 촬영 윈도우측 단부로부터 발광 장치측 단부까지의 길이를 대략 손가락의 선단부로부터 제 2 관절 부근에 상당하는 길이로 하고, 상기 손가락의 두께로 한 부분을 손가락 2개로 끼워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 있어서의 촬영 윈도우측으로부터 상기 힌지 기구의 회동 중심까지의 거리를, 상기 촬상부의 촬영 윈도우측을 상기 조작부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표시 장치의 시인(視認)을 상기 팽창 돌출부에 의해 방해하지 않는 거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는, 상기 촬상부에 고정된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촬상부측 힌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회동 각도 검출용 패턴을 배치한 플랜지를 갖는 힌지축과, 상기 조작부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을 플랜지부로부터 배출 고정하여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조작부측 힌지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와 조작부측 힌지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와, 상기 플랜지에 설치한 회동 각도 검출용 패턴에 의해 상기 촬상부의 조작부에 대한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광전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광전 소자에 의해, 상기 촬상부와 조작부의 상대적인 회동 각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힌지축에 설치한 플랜지에 소정 각도마다 클릭용 오목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탄성 부재로서 원형 스프링을 사용하고, 상기 스프링에 클릭용 돌기를 설치하여 상기 돌기와 상기 힌지축의 플랜지에 설치한 오목부에 의해 상기 촬상부를 소정 각도마다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스프링은 클릭용 돌기 배후에 보강용 몸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전원 투입에 의해 상기 촬영용 줌 렌즈를 광각측으로 초기 설정하는 제어와, 상기 촬상부와 조작부의 상대적인 회동 각도 검출 수단 출력에 따라 상기 줌 렌즈의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와 상기 촬상부의 상대적인 회동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촬영 렌즈 윈도우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면측으로 회동한다는 검출 출력과, 상기 촬영 렌즈 윈도우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면과 반대측으로 회동한다는 검출 출력에 따라, 상기 촬영용 줌 렌즈를 광각측으로 설정하는 제어와, 상기 촬영용 줌 렌즈의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와 상기 촬상부의 상대적인 회동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촬영 렌즈 윈도우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면측으로 회동한다는 검출 출력과, 상기 촬영 렌즈 윈도우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면과 반대측으로 회동한다는 검출 출력에 따라, 상기 촬영용 줌 렌즈의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어와, 상기 촬영용 줌 렌즈의 줌 배율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어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줌 배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줌 배율에 기초하여 상기 줌 배율을 변경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0. 제 16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부측 줌 렌즈의 초점 맞춤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산출한 피사체까지의 거리와, 상기 소정 배율에 의해 상기 소정 배율로 되는 줌 렌즈의 초점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초점 거리에 의해 줌 배율의 변경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40048641A 2003-06-26 2004-06-26 촬상 장치 KR101052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83622A JP4378115B2 (ja) 2003-06-26 2003-06-26 電子カメラ
JP2003183624A JP4378116B2 (ja) 2003-06-26 2003-06-26 電子カメラ
JPJP-P-2003-00183622 2003-06-26
JPJP-P-2003-00183624 2003-06-26
JPJP-P-2003-00183625 2003-06-26
JP2003183625A JP2005020469A (ja) 2003-06-26 2003-06-26 電子カメラ
JPJP-P-2003-00183626 2003-06-26
JP2003183626A JP2005020470A (ja) 2003-06-26 2003-06-26 電子カメラ
JP2003205201A JP2005051455A (ja) 2003-07-31 2003-07-31 電子カメラ
JPJP-P-2003-00205201 2003-07-31
JPJP-P-2003-00208916 2003-08-26
JP2003208916A JP2005072669A (ja) 2003-08-26 2003-08-26 電子カメラ
JP2003305567A JP2005079729A (ja) 2003-08-28 2003-08-28 電子カメラ
JPJP-P-2003-00305567 2003-08-28
JP2003307446A JP4378133B2 (ja) 2003-08-29 2003-08-29 電子カメラ
JPJP-P-2003-00307446 2003-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579A true KR20050002579A (ko) 2005-01-07
KR101052956B1 KR101052956B1 (ko) 2011-07-29

Family

ID=3431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641A KR101052956B1 (ko) 2003-06-26 2004-06-26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83313B2 (ko)
KR (1) KR101052956B1 (ko)
CN (1) CN10048324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634A (ja) * 2000-04-24 2001-11-02 Ricoh Co Ltd カメラ
CN101049001A (zh) * 2004-10-25 2007-10-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移动电话装置
JP2007174365A (ja) * 2005-12-22 2007-07-05 Sony Corp 電子機器
JP2007259164A (ja) * 2006-03-24 2007-10-04 Fujifilm Corp カメラシステム
US8782551B1 (en) * 2006-10-04 2014-07-15 Google Inc. Adjusting margins in book page images
JP4670939B2 (ja) * 2008-11-05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5445038B2 (ja) * 2009-09-14 2014-03-19 株式会社リコー カメラボディ及びこのカメラボディに着脱される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5413133B2 (ja) * 2009-11-05 2014-02-12 株式会社リコー カメラボディ及びこのカメラボディに着脱される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5549440B2 (ja) * 2010-07-12 2014-07-16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表示モニタ装置の色ずれ調整方法および表示モニタ装置の色ずれ調整装置
JP5970937B2 (ja) * 2012-04-25 2016-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995258B1 (ko) * 2012-05-14 2019-07-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WO2015118596A1 (ja) 2014-02-07 2015-08-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及びその回転検出装置を備えたカメラ及びそのカメラを備えた撮像装置
JP2015186020A (ja) * 2014-03-24 2015-10-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表示機器、撮影機器及び表示方法
CN106233709B (zh) * 2014-05-08 2020-12-01 索尼公司 成像装置
US9749510B2 (en) 2014-12-25 2017-08-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ing unit and imaging apparatus
CN105117679B (zh) * 2015-08-03 2017-11-10 浙江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基于无线的设备档案检索装置
WO2017091957A1 (en) * 2015-11-30 2017-06-08 SZ DJI Technology Co., Ltd. Imaging system and method
JP7079143B2 (ja) * 2018-05-14 2022-06-01 日立Astemo株式会社 カメ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8376B2 (ja) 1984-03-01 1999-01-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
US4967072A (en) * 1984-09-05 1990-10-30 Canon Kabushiki Kaisha Interferometric rotating condition detection apparatus
JP2931907B2 (ja) 1989-11-22 1999-08-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H04158682A (ja) 1990-10-23 1992-06-01 Ricoh Co Ltd デジタル電子カメラ
JPH04264799A (ja) 1991-02-19 1992-09-21 Nec Corp プリント基板実装体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JP3513187B2 (ja) 1993-06-30 2004-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H0846372A (ja) 1994-07-29 1996-02-16 Hioki Ee Corp プリント基板の保持装置
JP3536452B2 (ja) 1994-08-31 2004-06-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装置
JPH08102879A (ja) 1994-09-30 1996-04-16 Sony Corp ビデオカメラの筺体
JP3724020B2 (ja) 1995-10-02 2005-12-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フレーム・グラウンド接続構造
US5758529A (en) * 1996-10-16 1998-06-02 Intellikey Corporation External mounting architecture for electronic lock having pivotable front face protective cover
JPH10215396A (ja) 1997-01-30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撮像装置
JP3937523B2 (ja) * 1997-09-25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のヒンジ及びヒンジを備える電子機器
JP4509234B2 (ja) 1998-03-11 2010-07-21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H11355626A (ja) 1998-06-08 1999-12-24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
JP4892125B2 (ja) 2000-01-26 2012-03-07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1298646A (ja) 2000-04-17 2001-10-26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カメラ装置
JP3992912B2 (ja) 2000-07-25 2007-10-17 株式会社ソフィア 遊技機
JP4512959B2 (ja) 2000-08-16 2010-07-2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001314B2 (ja) 2000-08-29 2007-10-31 株式会社リコー カメラ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3976486B2 (ja) 2000-09-07 2007-09-19 株式会社リコー カメラ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02222641A (ja) 2001-01-26 2002-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電池収納枠体と蓄電池ユニット
JP2002281133A (ja) * 2001-03-15 2002-09-27 Alps Electric Co Ltd 開閉検出装置
JP2002299786A (ja) 2001-03-30 2002-10-11 Sanyo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固定構造
JP2002320120A (ja) 2001-04-24 2002-10-31 Nikon Corp 電子カメラ
JP2003134364A (ja) 2001-10-25 2003-05-09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3219247A (ja) 2002-01-25 2003-07-31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4131805B2 (ja) * 2002-07-24 2008-08-1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62876A1 (en) 2005-03-24
KR101052956B1 (ko) 2011-07-29
US7583313B2 (en) 2009-09-01
CN100483244C (zh) 2009-04-29
CN1577047A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956B1 (ko) 촬상 장치
JP5328181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影装置
US20050254811A1 (en) Digital camera and portable device
EP2101206B1 (en) Lens barrel
EP2107405B1 (en) Lens barrel
KR101665510B1 (ko)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US20040233303A1 (en) Electronic camera
JP2001005060A (ja) 銀塩撮影および電子撮像兼用カメラ
JP2008129252A (ja) 撮像ユニットと撮像装置、および通常撮影とマクロ撮影との切り替え方法
JP4542111B2 (ja) 鏡筒及び撮影装置
JP2005051455A (ja) 電子カメラ
JP2005215576A (ja) スライドバリア付きカメラ
US8174775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7140596B2 (ja) 回転操作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5037802B2 (ja) 組立て鏡筒
JP4287721B2 (ja) 電子カメラ及びヒンジ機構
JP200914569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7003630A (ja) 撮像装置
JPH1073754A (ja) カメラ
JP4168824B2 (ja) 撮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
JP4455089B2 (ja) レンズ保持機構及び撮像装置
JP4287720B2 (ja) 電子カメラ
JP4256732B2 (ja) 電子カメラ
JP2004062031A (ja) 撮影装置の画角確認構造
JP2005020469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