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258B1 -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258B1
KR101995258B1 KR1020120050987A KR20120050987A KR101995258B1 KR 101995258 B1 KR101995258 B1 KR 101995258B1 KR 1020120050987 A KR1020120050987 A KR 1020120050987A KR 20120050987 A KR20120050987 A KR 20120050987A KR 101995258 B1 KR101995258 B1 KR 101995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rotation
camera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221A (ko
Inventor
이상철
양정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258B1/ko
Priority to PCT/KR2013/004217 priority patent/WO2013172611A1/en
Priority to US13/893,818 priority patent/US9900572B2/en
Publication of KR2013012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카메라장치의 동영상 녹화 방법이, 녹화모드시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이미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과정과,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상기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전시키는 이미지회전과정과, 회전된 상기 이미지를 부호화 및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 MOVING PICTURE OF WIRELESS TERMINAL HAVING A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촬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영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카메라 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촬영되는 이미지를 획득하여 기기의 위치에 상관없이 가로 방향으로 저장한다. 즉, 저장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해상도는 가로 해상도가 더 크게 설정(예를 들면 640 x 480 등)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를 세로 방향으로 회전하여 녹화를 진행하더라도 실제 녹화되는 영상은 가로 해상도가 더 크게 저장된다. 그리고 정지 이미지와 같은 경우, 저장되는 이미지의 회전 정보를 메터 데이터에 포함하여 저장하기도 한다.
그리고 녹화된 이미지를 재생하는 경우, 가로 방향으로 저장된 이미지를 그대로 재생하거나 또는 녹화한 이미지의 메타데이터로부터 회전 정보를 읽어 재생하게 된다. 이때 전자의 재생 방법은 상기 동영상 재생시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녹화방향에 상관없이 모두 가로 방향으로 재생하게 되므로, 이미지 방향이 일정하지 않게 재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후자의 재생 방법은 녹화된 이미지의 회전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회전시켜 재생하게 되는데, 해당 녹화 파일을 컴퓨터 등의 다른 기기로 저장하여 재생할 시에 올바르게 화면에 표시가 안 될 수도 있다. 즉, 메타데이터의 회전정보를 파싱하고 그 정보를 얻어내어야 화면이 정상적으로 회전되어 재생될 텐데, 만약 다른 시스템에서 재생 시 그 정보를 얻어내지 못한다면 영상은 거꾸로 또는 세로로 회전된 상태 등 올바르지 못한 상태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기기에서 동영상 녹화시,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회전 상태를 인지하며, 인지된 회전 상태에 따라 영상이 올바르게 보여질 수 있도록 실제 저장되는 이미지를 회전시켜 저장한다. 해상도를 변환하고 비디오 프레임을 회전하여 녹화를 진행한다. 예를 들면 가로모드로 녹화 시의 해상도가 640 x 480 이라고 가정하면, 기기를 세로로 회전하였을 때는 480 x 640으로 영상파일이 저장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그 녹화된 파일을 어떠한 시스템에서 재생하더라도 처음 녹화 시 촬영자가 의도한 화면 상태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동영상 녹화 방법이, 녹화모드시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이미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과정과,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상기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전시키는 이미지회전과정과, 회전된 상기 이미지를 부호화 및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녹화 장치가,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부와,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하는 회전감지부와, 녹화모드시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이미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며,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상기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전시킨 후 동영상 이미지로 부호화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부호화되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기기에서 동영상 촬영 시, 사용자가 상기 이동기기를 어떠한 회전 각도로 파지하고 동영상 촬영하는지에 상관없이, 실제 녹화된 영상파일은 사용자가 촬영 당시의 의도대로 저장되며, 상기 녹화된 영상파일 재생 시에도 메타데이터를 읽을 필요없이 사용자가 촬영 당시의 의도대로 화면이 보여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수로 사용자가 이동기기를 뒤집어서 촬영하는 경우에도 실제 촬영되는 영상은 올바르게 회전되어 녹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이미지를 저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카메라장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을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6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동영상 녹화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녹화되는 동영상의 이미지 사이즈,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프레임 버퍼의 위치 등과 같은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카메라의 이미지센서는 가로의 크기 및 세로의 크기가 다른 값을 가진다. 따라서 기기의 회전 상태에서 획득되는 이미지는 가로 이미지 및 세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경우,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상기 획득되는 이미지를 가로 이미지로 저장하게 된다. 이런 경우 재생시 표시되는 이미지는 회전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예를들면 휴대전화기, tablet PC, MP3 device 등)에서 동영상 촬영시 획득되는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 상태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카메라장치를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위상"이라는 용어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 상태를 고려하여 회전시켜 재생시 정상 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위상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동영상을 촬영하는 명령을 내리면, 현재 촬영 명령시점에서의 기기 회전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촬영되는 이미지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이미지가 세로로 촬영되었다고 판단되거나 뒤집혀서 촬영되었다고 판단되면, 기기는 촬영 해상도를 변경 및/또는 프레임 이미지의 회전을 설정한다. 예를들면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기기가 세로로 위치되어 촬영된 경우에도 가로 이미지(가로 이미지가 더 큰 값을 가지는 이미지)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의 해상도 변경이라는 의미는 가로가 더 큰 값을 가지도록 저장된 의미를 세로가 더 큰 값을 가지도록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세로로 촬영된 이미지가 표시화면에 올바르지 못하게 영상이 회전되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서는 항상 올바른 화면을 볼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변경된 해상도와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회전 설정을 적용하여 녹화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녹화 수행 및 데이터 저장 과정 이후 상기 변경된 설정들이 존재한다면 다시 녹화 수행 이전의 값으로 변경된 설정들을 복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피사체를 녹화할 때 사용자가 기기를 세로로 세워서 녹화를 수행하는 경우, 프레임 이미지의 회전 설정이 없다면 가로해상도가 세로해상도 보다 더 큰 비디오 프레임을 저장하게 되며, 이로인해 피사체가 누워 있는 듯하게 녹화가 진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를 회전시켜 저장하며, 이로인해 기기를 세로로 세워 촬영하는 경우에도 세로해상도가 가로해상도 보다 더 크게 설정되도록 프레임 이미지를 회전시켜 처리 및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110은 카메라 구동시 내부의 이미지센서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카메라110은 광학부, 이미지 센서 및 신호처리부 등을 구비한다. 상기 광학부는 모터 및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주밍(zooming) 및 포커싱(focusing)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광학부는 주변의 이미지를 촬상하며, 이미지센서는 상기 광학부에 의해 촬상되는 이미지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센서은 CMOS 또는 CCD센서가 될 수 있으며, 고해상도의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UHD(Ultra High Definition)급 이상의 이미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220에서 감지되는 이미지는 신호처리부에에서 통해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상기 카메라110에서 출력데이터는 Bayer data(raw data)가 될 수 있다.
회전감지부120은 기기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자이로센서 및/또는 가속도센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감지부120은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처리한다. 여기서 처리되는 이미지는 프리뷰 이미지(preview image), 정지영상 이미지(still image) 및/또는 동영상 이미지(moving image)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영상처리부110은 동영상 촬영모드시 상기 회전감지부120의 출력을 분석하여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획득되는 이미지를 회전시켜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부110은 상기 기기의 회전 상태에 관계없이 이미지가 정위상으로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카메라부110에서 획득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처리부, 정지영상 코덱, 동영상 코덱 및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정위상으로 조정하기 위한 프레임 버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버퍼는 상기 이미지처리부의 전단, 이미지처리부의 후단, 또는 동영상 코덱의 전단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버퍼는 영상처리부100 내의 어떤 곳에도 위치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00은 입력부150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카메라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150을 통해 카메라 구동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카메라부110을 제어하여 프리뷰 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입력부150을 통해 동영상 촬영 요구가 발생되면, 회전감지부120으로부터 현재의 기기 회전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부11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정위상으로 회전시켜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이미지처리부 내에 프레임 버퍼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동영상 코덱의 전단에 프레임 버퍼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이미지처리부를 통해 이미지를 처리하면서 기기의 회전 상태에 따라 이미지를 회전시키며, 동영상 코덱을 통해 압축 부호화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이미지처리부를 통해 이미지를 처리한 후 프레임버퍼에 저장하며, 프레임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회전시켜 동영상 코덱에 인가하고, 동영상코덱에 압축부호화된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은 카메라장치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될 것이지만, 정지영상 이미지들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40은 LCD 또는 LED 등과 같은 표시장치가 될 수 있으며, 카메라장치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들 및 촬영중의 정보들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150은 카메라장치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발생하는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50의 버튼은 카메라장치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부 버튼들은 터치패널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40 및 입력부150의 일부 버튼들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계층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모듈 계층(module layer)은 물리계층(physical layer)로써, 카메라 이미지센서 211, 이미지처리부213, 표시부215 등이 될 수 있다. 커널 계층(kernel layer)은 상기 카메라드라이버221, 메모리223 및 표시구동부(display driver)225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계층(user space layer)는 프리뷰제어부231, 버퍼233, 녹화제어부235, 표시제어부237 등이 될 수 있다.
카메라 구동시 상기 프리뷰제어부231을 카메라 드라이버221을 통해 카메라 이미지센서211 및 이미지처리프로세서213을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로 처리하며, 상기 프리뷰이미지는 버퍼233을 통해 표시제어부237로 전달되며, 표시제어부237은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구동부225를 통해 표시부215에 표시한다. 그리고 동영상 녹화 모드시 상기 프리뷰제어부231은 버퍼233의 데이터를 회전변환시키며, 녹화제어부235는 상기 버퍼233의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버퍼223의 데이터는 변환된 RAW 데이터로써 YUV 또는 RGB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메모리(kernel reserved memory)에 저장되어 있고, 회전변환은 프리뷰제어부231의 제어하에 카메라드라이버221 내에서 하드웨어 모듈을 이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치가 메모리223일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 계층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변환 역시 상기 카메라 드라이버221일 필요는 없으며, 프리뷰제어부231에서 자체 회전할 수도 있고, 회전제어부가 따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3a -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이미지를 저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표시부140의 화면비(가로대세로비, aspect ratio, screen ratio)는 4:3, 16:10, 16:9 등의 화면 비율을 가진다. 이런 경우, 표시부130은 가로 비율이 세로비율보다 더 큰 값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도 상기 화면 비율을 고려하여 가로대세로의 비율을 설정하게 된다.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는 참조번호 311 - 341과 같이 가로대세로의 비율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크기가 서로 다른 크기를 갖게 된다. 이런 경우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경우, 기기의 상태에 관계없이 일정한 방향 및 크기로 저장된다. 따라서 이미지를 재생할 때 저장된 상태로 표시되므로 이미지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동영상 녹화와 같이 이미지의 회전정보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311과 같이 카메라부110의 이미지 센서를 위치시켜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되는 이미지는 313과 같이 프레임버퍼에 저장되며, 영상처리부100은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기기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임을 감지하고, 표시부140에 315와 같이 표시하며, 상기 프레임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317과 같이 회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부호화하여 저장한다. 즉, 기기가 회전되지 않은 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카메라부11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회전없이 그대로 부호화하여 가로모드로 저장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321과 같이 카메라부110의 이미지 센서가 90도 회전되어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되는 이미지는 323과 같이 프레임버퍼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기기는 90도 회전된 상태이므로 325와 같이 세로모드로 표시된다. 또한 영상처리부100은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기기가 90도 회전된 상태임을 감지하고, 상기 프레임버퍼에 323과 같이 저장된 이미지를 327과 같이 90도 회전시켜 부호화한 후 저장한다. 즉, 기기가 90도 회전된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카메라부11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정위상(0도)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된 이미지를 부호화하여 저장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327과 같이 세로모드로 저장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331과 같이 카메라부110의 이미지 센서가 180도 회전되어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되는 이미지는 333과 같이 역위상으로 프레임버퍼에 저장된다. 그리고 프레임이미지는 180도 회전된 기기에서서 335와 같이 가로모드로 표시된다. 즉, 상기 335와 같이 기기가 회전된 경우, 상기 315와 같은 기기에 비해 180도 회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기기가 180도 회전된 상태임을 감지하고, 상기 프레임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335와 같이 180도 회전시켜 부호화한 후 가로모드로 저장한다. 즉, 기기가 180도 회전된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카메라부11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180도 회전시켜 정위상(0도)으로 회변환한 후, 회전된 이미지를 부호화하여 337과 같이 저장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337와 같이 180되 회전되어 가로모드로 저장된다.
도 3d를 참조하면, 341과 같이 카메라부110의 이미지 센서가 270도 회전되어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되는 이미지는 343과 같이 프레임버퍼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345와 같이 기기가 회전된 경우, 상기 도 도 3b의 325에 비해 180도 회전 상태이며, 이때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기 345와 같은 형태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기기가 270도 회전된 상태임을 감지하고, 상기 프레임버퍼343에 저장된 이미지를 345와 같이 270도 회전시켜 부호화한 후 247과 같이 저장한다. 즉, 기기가 270도 회전된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카메라부11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270도 회전시켜 정위상(0도)으로 변환하고, 회전된 이미지를 부호화하여 347과 같이 저장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347과 같이 세로모드로 저장된다.
상기 도 3a -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동영상 촬영시 회전감지부120으로부터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상태에 관계없이 정위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위상이라함은 재생시 표시부140에 사용자의 촬영 의도대로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의 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동영상 촬영시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기의 회전 상태에 촬영되는 이미지를 회전시켜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카메라장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을 저장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부110은 카메라 구동시 내부의 센서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감지부120은 기기의 회전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회전감지부120은 지자기센서 및 가속도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은 전처리부, 후처리부, 이미지스케일러(image scal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는 하나의 처리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 분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이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로 분리하여 구성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미지스케일러는 이미지처리부의 전단 또는 뒷단에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미지스케일러가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의 전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11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전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처리 기능은 3A(AWB(auto white balance), AE(auto exposure), AF(Auto focusing)) 추출 및 처리, 렌즈 셰이딩 보상(lens shading correction), 데드픽셀 보정(dead pixel correction), knee 보정 등이 될 수 있다. 이미지스케일러(image scaler)는 상기 전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카메라110부의 풀해상도 이미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하기 위한 크기의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 저장을 위한 이미지 크기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처리부는 상기 이미지 스케일링된 베이어 데이터를 색보간(color interpolation) 및 잡음제거, 색보정등을 처리하고, 색변환(image conversion)하여 YUV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후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화면 크기로 스케일링된 YUV 데이터가 된다.
또한 상기 표시이미지는 동영상 저장 이미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동영상 촬영 요구가 발생되면, 동영상 코덱430은 상기 표시이미지를 부호화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이미지는 프리뷰모드의 표시이미지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이미지는 상기 프리뷰 표시이미지보다 더 큰 화소들로 구성되는 표시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이미지스케일러는 프리뷰모드시의 이미지 스케일러와 동영상 모드의 스케일러로 구성하거나, 또는 모드 제어에 따라 스케일링 비율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동영상 저장이 요구되면, 제어부400은 이미지처리부410의 이미지스케일러를 제어하여 동영상 표시이미지의 크기로 스케일링되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이미지스케일러는 상기 전처리부에서 출력되는 풀 해상도의 이미지를 동영상 표시 이미지 크기로 스케일링한다. 여기서 상기 동영상 부호화는 H.264 등 다양한 형태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4에서 정지영상 이미지를 처리하는 구성은 생략되어 있다. 상기 정지영상 이미지를 처리는 정지영상 코덱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정지영상 코덱은 이미지스케일링하지 않은 카메라부110의 이미지를 압축 부호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정지영상의 처리 동작은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상기 카메라부110의 풀해상도 이미지를 전처리 및 후처리하며, 상기와 같이 처리된 풀해상도의 이미지를 도시하지 않은 정지영상 코덱을 통해 압축 부호화한 후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에서 오디오신호를 녹음하는 구성은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동영상을 녹화할 때 도시하지 않은 오디오처리부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동영상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회전부420은 동영상 녹화모드시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버퍼링하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버퍼링된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회전시켜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회전부420은 프레임 버퍼로 구성할 수 있다. 동영상코덱430은 상기 이미지회전부42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이미지를 압축 부호화한다.
제어부400은 입력부450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카메라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150을 통해 카메라 구동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카메라부110 및 이미지처리부410을 제어하여 프리뷰 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입력부150을 통해 동영상 녹화 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400은 먼저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기기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회전부420을 제어하여 버퍼링된 프레임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회전시켜 출력하며, 상기 동영상코덱430을 제어하여 회전된 프레임 이미지를 압축부호화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저장부130은 카메라장치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될 것이지만, 정지영상 이미지들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40은 LCD 또는 LED 등과 같은 표시장치가 될 수 있으며, 카메라장치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들 및 촬영 중의 정보들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150은 카메라장치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발생하는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50의 버튼은 카메라장치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부 버튼들은 터치패널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40 및 입력부150의 일부 버튼들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카메라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카메라 구동명령을 발생하면, 제어부400은 카메라부110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풀해상도의 베이어 이미지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이미지처리부410은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이미지들을 처리(전처리, 후처리, 이미지 스케일링 등)하여 표시이미지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이미지의 프레임율은 30fps(frame per sec) 또는 그 이상의 프레임율(예를들면 60fps)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표시이미지는 표시부140에 전달되어 프리뷰 이미지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동영상 녹화 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400은 입력부150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기기는 상기 도 3a - 도 3d와 같이 회전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기기의 회전 상태에서 이미지센서의 311 - 341의 회전 상태도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400은 상기 기기의 회전 각도(즉,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회전각도에 대응되어 상기 저장되는 이미지가 정위상을 갖도록 제어하기 위한 이미지 회전 각도를 설정한다.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은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로부터부터 감지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며, 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이때 이미지처리부410은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며, 상기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표시부140도 회전된 상태이므로,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정위상으로 표시된다. 즉, 상기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가 세로로 세워져 촬영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40에 세로 형태로 세워진 상태이므로 촬영되는 이미지는 정위상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가 180도 회전되어 촬영(즉, 가로모드에서 180도 회전 또는 세로모드에서 270도 회전)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처리되는 이미지는 역위상이지만 상기 표시부140도 역위상으로 세워진 상태이므로 표시이미지는 정위상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 이미지처리410에서 처리된 이미지를 압축부호화하여 저장하는 경우, 상기 처리되는 이미지회전부420에 입력되는 이미지는 상기 도 3a - 도 3d의 313-343과 같이 이미지센서의 회전 상태에서 각각 다른 위상을 가지며, 또한 기기의 세로모드에 상관없이 가로모드로 처리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처리되는 이미지를 그대로 압축부호화하여 저장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의 회전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재생시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촬영시의 기기 회전 상태에서 따라 각각 다른 위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표시되는 이미지의 위상을 조정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재생되는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시청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기의 회전 상태에 따라 이미지회전부420을 제어하여 녹화되는 동영상의 위상을 정위상으로 저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부150을 통해 동영상 촬영 요구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400은 5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3단계에서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의 회전 상태(즉,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기기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400은 5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7단계에서 상기 카메라부11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며, 519단계에서 상기 처리된 이미지를 표시부140을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이미지의 회전없이 동영상코덱430을 통해 압축부호화한 후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면, 517단계 - 521단계를 수행하면서 동영상 촬영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카메라부110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회전없이 그대로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기기가 회전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400은 5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3단계에서 상기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회전부420에서 이미지를 회전시킬 각도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400은 525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을 제어하여 카메라부11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며, 527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처리된 표시이미지를 표시부14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40은 기기의 회전에 따라 동일하게 회전 상태이므로 상기 이미지를 정위상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은 529단계에서 상기 이미지회전부420을 제어하여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며, 531단계에서 상기 회전된 이미지를 동영상코덱430을 통해 압축한 후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가 회전된 상태이면, 523단계 - 533단계를 수행하면서 동영상 촬영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카메라부110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 각도에 대응되도록 회전시켜 저장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은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며, 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140은 상기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회전되므로,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정위상으로 표시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미지회전부420은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버퍼링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회전부420에 버퍼링되는 프레임 이미지는 상기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의 회전 각도에 따라 회전된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이미지회전부420에 버퍼링되는 프레임 이미지는 이미지 센서의 회전 상태에 대응되는 가로 이미지 형태로 버퍼링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이미지라 함은 가로*세로가 M*N으로 저장되며, 여기서 M은 N보다 큰 값을 가진다. 그리고 세로이미지라 함은 가로*세로가 N*M으로 저장되며, 여기서 M은 N보다 큰 값을 가진다. 예를들면 M은 640화소가 될 수 있으며, N은 480 화소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3a와 기기가 정위상의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400은 517단계 - 521단계를 수행하면서 이미지를 처리 및 저장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313과 같으며, 표시부14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는 315와 같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기기가 0도(정위상)이므로, 상기 제어부400은 이미지회전부420을 제어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회전없이 그대로 출력하며, 따라서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317과 같다. 즉, 카메라부110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가 회전없이 가로이미지(M*N)로 저장된다.
두 번째로 도 3b와 같이 기기가 90도 회전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400은 523단계 - 533단계를 수행하면서 이미지를 회전시켜 처리 및 저장한다.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은 323과 같이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에서 획득되는 이미지를 처리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처리되어 출력되는 이미지는 323과 같이 가로이미지로 처리되지만, 상기 기기가 90도 회전된 상태(즉, 세로로 세워진 상태)이므로 표시되는 이미지는 325와 같이 세로 이미지로 표시된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400은 재생시에도 촬영시와 동일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도록 이미지회전부420을 제어하여 327과 같이 90도 회전시키며, 90도 회전된 이미지를 동영상코덱430을 통해 압축부호화하여 저장부130에 327과 같이 세로 이미지로 저장한다. 즉, 카메라부110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가 90도 회전되어 세로이미지(N*M)로 저장된다.
세번째로 상기 도 3c와 기기가 역위상의 가로모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400은 523단계 - 533단계를 수행하면서 이미지를 회전시켜 처리 및 저장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333과 같으며, 표시부14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는 335와 같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은 상기 기기가 180도 회전된 가로모드 상태이므로, 이미지회전부420을 제어하여 촬영되는 이미지를 180도 회전시켜 337과 같이 출력하며, 동영상코덱430을 제어하여 압축부호화한 후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즉, 카메라부110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가 180도 회전되어 가로이미지(M*N)로 저장된다.
네 번째로 도 3d와 같이 기기가 270도 회전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400은 523단계 - 533단계를 수행하면서 이미지를 회전시켜 처리 및 저장한다.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은 343과 같이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에서 획득되는 이미지를 처리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처리되어 출력되는 이미지는 323과 같이 가로이미지로 처리되지만, 상기 기기가 270도 회전된 상태(즉, 세로이며 거꾸로 세워진 상태)이므로 표시되는 이미지는 345와 같이 세로 이미지로 표시된다. 이런 경우, 재생시에도 동일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400은 이미지회전부420을 제어하여 이미지를 347과 같이 270도 회전시키며, 동영상코덱430을 통해 이를 압축부호화하여 저장부130에 세로 이미지로 저장한다. 즉, 카메라부110으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가 270도 회전되어 세로이미지(N*M)로 저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은 기기의 회전 상태에 따라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이미지회전부를 이미지처리부에 구성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부110은 카메라 구동시 내부의 센서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감지부120은 기기의 회전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회전감지부120은 지자기센서 및 가속도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은 전처리부, 후처리부, 이미지스케일러(image scale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는 하나의 처리부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 분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이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로 분리하여 구성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미지스케일러는 이미지처리부의 전단 또는 뒷단에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미지스케일러가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의 전처리부, 후처리부 및 이미지스케일러는 상기 도 4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에서 상기 이미지회전부615는 상기 전처리부의 전단, 이미스케일러의 전단, 상기 후처리부의 전단 또는 후처리부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은 이미지스케일러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미지회전부615는 동영상 녹화모드시 이미지 처리 중인 이미지를 버퍼링하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버퍼링된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회전시켜 출력하며, 그 외의 모드에서는 이미지회전 기능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회전부615는 프레임 버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미지회전부620은 동영상 녹화모드시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버퍼링하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하에 버퍼링된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회전시켜 표시부140에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회전부620은 프레임 버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회전부620은 상기 이이미지처리부610에서 기기의 회전상태에서 따라 회전된 이미지를 다시 원래의 이미지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표시부140이 기기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므로, 이미지처리부610에서 회전된 이미지를 다시 원래의 이미지 상태로 회전시켜 표시부140에 출력하기 위함이다.
동영상코덱630은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이미지를 압축 부호화한다. 이때 상기 동영상코덱630에서 압축 부호화되는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에서 기기의 회전 상태에 대응되도록 회전 이미지이다.
제어부400은 입력부450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카메라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입력부150을 통해 카메라 구동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카메라부110 및 이미지처리부610을 제어하여 프리뷰 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의 이미지회전부610은 이미지회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며, 또한 이미지회전부620도 동작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프리뷰모드에서 입력부150을 통해 동영상 녹화 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400은 먼저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기기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의 이미지회전부615를 제어하여 처리 중인 프레임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되어 처리된 이미지를 상기 동영상코덱430에 전달하여 압축부호화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이미지회전부620을 제어하여 상기 회전된 이미지를 다시 원래의 이미지 상태로 회전시켜 표시부140에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저장부130은 카메라장치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될 것이지만, 정지영상 이미지들도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40은 LCD 또는 LED 등과 같은 표시장치가 될 수 있으며, 카메라장치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들 및 촬영 중의 정보들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150은 카메라장치의 각 기능들의 설정 및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발생하는 버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50의 버튼은 카메라장치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부 버튼들은 터치패널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40 및 입력부150의 일부 버튼들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카메라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통해 카메라 구동명령을 발생하면, 제어부600은 카메라부110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는 풀해상도의 베이어 이미지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이미지처리부610은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출력되는 프레임 이미지들을 처리(전처리, 후처리, 이미지 스케일링 등)하여 표시이미지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이미지의 프레임율은 30fps(frame per sec) 또는 그 이상의 프레임율(예를들면 60fps)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처리부410에서 출력되는 표시이미지는 표시부140에 전달되어 프리뷰 이미지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동영상 녹화 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600은 입력부150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기기는 상기 도 3a - 도 3d와 같이 회전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런 경우 기기의 회전 상태에서 이미지센서의 311 - 341의 회전 상태도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600은 상기 기기의 회전 각도(즉,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회전각도에 대응되어 상기 저장되는 이미지가 정위상을 갖도록 제어하기 위한 이미지 회전 각도를 설정한다.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은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며, 또한 상기 이미지처리부610 내의 이미지회전부615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하에 상기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 각도에 대응되도록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이미지는 카메라부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전처리된 이미지, 스케일링된 이미지 또는 후처리된 이미지들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표시부140도 회전된 상태이므로,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정위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가 세로로 세워져 촬영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40에 세로 형태로 세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표시부140에서 표시되는 이미지는 세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가 역위상으로 회전되어 촬영(즉, 가로모드에서 180도 회전 또는 세로모드에서 270도 회전)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40도 역위상으로 세워진 상태이므로 표시이미지는 정위상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이 이미지회전부615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140에 인가되는 표시이미지는 다시 원래의 회전 각도로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미지회전부620은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에서 처리 및 회전된 이미지를 다시 원래의 이미지 회전 각도로 회전시켜 표시부140에 출력하며, 이로인해 상기 표시부140은 회전 상태에서 정위상으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동영상코덱630은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에서 처리 및 회전된 이미지를 입력하며, 상기 입력된 이미지를 압축 부호화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그러므로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동영상 이미지는 기기의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되어 정위상으로 저장된다.
도 7은 도 6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동영상 녹화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입력부150을 통해 동영상 촬영 요구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600은 7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13단계에서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의 회전 상태(즉,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기기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600은 7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17단계에서 상기 카메라부11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며, 719단계에서 상기 처리된 이미지를 표시부140을 통해 표시한다. 이때 이미지처리부610의 이미지회전부615와 표시부140의 전단에 위치되는 이미지회전부620은 동작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은 719단계에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시에 동영상코덱630을 통해 압축부호화한 후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600은 717단계 - 721단계를 수행하면서 동영상 촬영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카메라부110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회전없이 그대로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기기가 회전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600은 7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23단계에서 상기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이미지회전부620에서 이미지를 회전시킬 각도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600은 725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을 제어하여 카메라부11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는 동시에 이미지처리부610 내의 이미지회전부615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각도에 대응되도록 회전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600은 727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에서 회전된 이미지를 다시 원래의 회전각도로 역회전시키며, 상기 역회전된 이미지를 이미지를 표시부14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이는 상기 표시부140이 기기의 회전에 따라 동일하게 회전 상태이므로 상기 회전된 이미지를 원래의 이미지로 역회전시켜 표시부140에 정위상으로 표시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은 731단계에서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에 출력되는 회전 이미지를 동영상코덱630을 통해 압축한 후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가 회전된 상태이면, 723단계 - 733단계를 수행하면서 동영상 촬영모드가 종료될 때까지 카메라부110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기기의 회전 각도에 대응되도록 회전시켜 저장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은 이미지처리부610을 제어하여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는 동시에 기기의 회전각도에 대응되도록 이미지를 회전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동영상코덱630을 제어하여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에서 회전된 이미지를 압축부호화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동영상 이미지는 기기의 회전 상태에 따라, 기기가 가로모드이면 이미지를 가로모드로 저장되고 세로모드이면 이미지를 세로모드로 회전시켜 저장한다. 또한 기기가 역위상이면 이미지를 정위상으로 회전시켜 저장한다. 그러면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동영상 이미지들은 기기의 회전 상태에 관계없이 정위상으로 저장되며, 재생시 동영상을 정위상으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은 상기 기기의 회전상태에 따라 회전되므로,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에서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경우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역위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은 이미지회전부620을 제어하여 상기 이미지처리부610에서 회전된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된 이미지로 역회전시키며, 상기 이미지회전부620에서 역회전된 이미지를 표시부140에 출력하여 정위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 3a - 도 3d와 같이 기기의 회전 상태에 상관없이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동영상 이미지는 정위상으로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동영상 촬영 명령을 발생하면,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는 회전감지부120을 통해 기기기기의 회전상태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기기의 회전상태를 분석하여 세로모드로 녹화되었다고 판단되면 촬영되는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를 변경하기 회전 각도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기기의 회전 상태가 역위상(거꾸로 세워진 상태)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도 이미지를 역위상으로 회전 시키기 위한 회전 각도를 설정한다. 이는 동영상 녹화시 기기의 회전 상태에 상관없이 정위상으로 녹화되는 회전된 비디오 프레임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동영상 녹화시 기기가 회전에 따라 표시되는 이미지와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되는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예를들면 기기를 세로모드로 촬영하는 경우 표시되는 이미지는 세로 이미지인데 반하여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되는 이미지는 이를 가로 이미지로 처리하는 경우, 또한 기기를 역위상(거꾸로 세워진 상태)으로 촬영되는 경우 표시이미지는 정위상인데 반하여 이미지센서에 획득되는 이미지는 역위상 이미지로 처리하는 경우), 녹화 재생시 기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보이면 올바르지 못하게 영상이 회전되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회전과 저장되는 동영상 녹화 이미지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 각도에 따라 촬영되는 이미지를 회전시켜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변경된 해상도와 상기 비디오 프레임 회전 설정을 적용하여 녹화를 수행한 후, 이를 저장하므로써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동영상 녹화 이미지는 기기의 회전 상태에 따라 회전된 정위상의 이미지들이 된다.
그리고 상기 도 5,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동영상 촬영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동영상 녹화모드시 표시되는 영상에 상관없이 카메라부110의 이미지센서에서 획득되는 이미지를 그대로 녹화하는 종래의 동영상 녹화모드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이미지 및 이미지센서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의 위상을 일치시켜 저장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녹화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구비하며, 동영상 녹화모드시 설정메뉴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동영상 녹화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녹화를 수행하는 중에 또는 종료한 후에 변경된 설정들이 존재하면,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다시 녹화 수행 이전의 값으로 변경된 설정들을 복구할 수 있다.
상기 도 5, 도 7과 같이 동영상 녹화모드시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회전에 관계없이 저장부130에 저장되는 동영상 이미지를 정위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영상 녹화시 가로모드로 촬영되는 이미지는 가로 이미지 형태로 저장된 상태이며, 세로모드로 촬영되는 이미지는 세로 이미지 형태로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동영상 이미지는 기기의 회전 상태에 관계없이 정위상으로 저장된 이미지들이므로, 재생되는 기기에 상관없이 정위상으로 일정하게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인 경우, 상기 기기는 역위상(가로모드의 경우 180도 회전된 상태, 세로모드의 경우 270도 회전 상태) 상태에서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은 역위상으로 표시부14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회전감지부120로부터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이미지를 감지된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시켜 재생한다. 즉, 상기 기기가 정위상의 가로모드 및 세로모드이면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동영상 이미지를 그대로 처리하여 재생하고, 역위상의 가로모드 및 세로모드이면 상기 영상처리부100은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동영상 이미지를 180도 회전시켜 처리 및 재생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녹화를 수행하면, 기기의 회전 상태에 관계없이 정위상으로 저장된 이미지들이므로, 재생되는 기기에 상관없이 정위상으로 일정하게 재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4)

  1. 카메라 장치의 동영상 녹화 방법에 있어서,
    프리뷰 모드에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동영상 녹화 모드에서 기기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된 기기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과정;
    상기 설정된 이미지의 회전 각도로 상기 이미지를 회전하는 과정;
    상기 회전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회전된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인코딩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를 회전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된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된 이미지는 상기 해상도가 변경된 이미지이고,
    상기 이미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센서의 회전 상태와 상기 검출된 기기의 회전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과정;
    상기 이미지센서가 가로모드로 출력하고 상기 기기가 세로모드이면,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가로이미지를 세로 이미지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과정;
    상기 이미지센서가 세로모드로 출력하고 상기 기기가 가로모드이면,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세로이미지를 가로 이미지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기기가 역위상이면,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상기 역위상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의 출력을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된 표시 이미지를 원래의 회전 각도로 회전시키는 이미지역회전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회전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90도이면,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가로 이미지를 90도 회전시켜 세로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회전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180도이면,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가로 이미지를 180도 회전시켜 역위상의 가로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회전과정은
    상기 이미지의 회전 각도가 270도이면,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가로 이미지를 270도 회전시켜 역위상의 세로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동영상 녹화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는 카메라부;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하는 회전감지부;
    저장부;
    표시부; 및
    프리뷰 모드에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동영상 녹화 모드에서 상기 회전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기기의 회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이미지의 회전 각도로 상기 이미지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된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회전된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설정된 이미지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해상도를 변경시키고, 상기 해상도가 변경된 이미지를 상기 동영상으로 인코딩하고, 상기 이미지센서의 회전 상태와 상기 검출된 기기의 회전 상태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고, 상기 이미지센서가 가로모드로 출력하고 상기 기기가 세로모드이면,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가로이미지를 세로 이미지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각도를 설정하고, 상기 이미지센서가 세로모드로 출력하고 상기 기기가 가로모드이면,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세로이미지를 가로 이미지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각도를 설정하고, 상기 기기가 역위상이면,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상기 역위상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감지부는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이미지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처리 및 상기 설정된 회전 각도로 회전시키는 이미지처리부;
    상기 이미지처리부에서 출력되는 회전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동영상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저장부에 출력하는 동영상 코덱;
    상기 이미지를 상기 설정된 회전 각도로 역회전시켜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이미지회전부; 및
    상기 동영상 녹화 모드에서 상기 기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이미지의 상기 회전 각도를 설정하며, 상기 이미지회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삭제
KR1020120050987A 2012-05-14 2012-05-14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KR101995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987A KR101995258B1 (ko) 2012-05-14 2012-05-14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PCT/KR2013/004217 WO2013172611A1 (en) 2012-05-14 2013-05-13 Camera system of mobile device for capturing images, and method adapted thereto
US13/893,818 US9900572B2 (en) 2012-05-14 2013-05-14 Camera system of mobile device for capturing images, and method adap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987A KR101995258B1 (ko) 2012-05-14 2012-05-14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221A KR20130127221A (ko) 2013-11-22
KR101995258B1 true KR101995258B1 (ko) 2019-07-02

Family

ID=4954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987A KR101995258B1 (ko) 2012-05-14 2012-05-14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00572B2 (ko)
KR (1) KR101995258B1 (ko)
WO (1) WO20131726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520B1 (ko) * 2013-11-1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및 제어 방법
CN104243830B (zh) * 2014-09-29 2018-05-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摄像头旋转的方法及装置
CN107995439A (zh) * 2016-10-27 2018-05-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拍摄、播放、处理方法、拍照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08654D0 (en) * 2002-04-16 2002-05-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Image processing for video or photographic equipment
US7583313B2 (en) * 2003-06-26 2009-09-01 Kyocera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KR100786862B1 (ko) * 2004-11-30 2007-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리어 장치,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구동방법
JP2006167917A (ja) * 2004-12-10 2006-06-29 Canon Inc 画像記録装置及びその印刷データ生成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KR100708178B1 (ko) * 2005-09-01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영상 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JP4810295B2 (ja) * 2006-05-02 2011-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080006769A (ko) * 2006-07-13 200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
JP2008044326A (ja) * 2006-08-21 2008-02-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KR101255009B1 (ko) * 2006-12-20 201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획득 및 처리 방법
US7956904B2 (en) * 2007-10-23 2011-06-07 Panasonic Corporation Image file reproduction device and image file reproduction method
CN101232329B (zh) 2007-11-28 2012-05-30 华东理工大学 一种采用干扰抵消技术的可见光通信系统
JP4907583B2 (ja) * 2008-03-26 2012-03-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US8749647B2 (en) * 2009-04-20 2014-06-10 Kyocera Corporation Image captur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JP5323579B2 (ja) * 2009-05-01 2013-10-23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映像処理システム
KR20110061063A (ko) * 2009-12-01 201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1068829B1 (ko) * 2009-12-24 2011-09-29 엠텍비젼 주식회사 촬상 장치 및 이미지 회전 처리 방법
US9124804B2 (en) 2010-03-22 2015-09-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ing accelerometer information for determining orientation of pictures and video images
KR101674011B1 (ko) 2010-06-07 201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9743099B2 (en) * 2011-03-10 2017-08-22 Vidyo, Inc. Render-orientation information in video bitstream
US9357272B2 (en) * 2012-08-03 2016-05-31 Intel Corporation Device orientation capability exchange signaling and server adaptation of multimedia content in response to device orientation
US9355015B2 (en) * 2012-09-26 2016-05-31 Dynatrace Llc Technique for simulating an orientation change event in a test environment
TWI502471B (zh) * 2012-12-04 2015-10-01 Wistron Corp 游標控制方法與電腦程式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221A (ko) 2013-11-22
WO2013172611A1 (en) 2013-11-21
US9900572B2 (en) 2018-02-20
US20130302007A1 (en)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624B1 (ko)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TWI326553B (en) Imaging apparatus, data extraction method, and data extraction program
US9264651B2 (en) Moving image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display position of indicator for motion analysis based on displacement information of frames, and moving image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ame
JP4952891B2 (ja) 動画撮影装置および動画撮影プログラム
US9185294B2 (en) Image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989152B1 (ko) 동영상 촬영 또는 재생 중, 정지 영상을 캡쳐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70092582A (ko) 영상 표시 및 저장 장치와 방법
KR20170006201A (ko)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111129B2 (en) Subject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9225027A (ja)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70979A (ja) 画角調整の可能な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060160B2 (en) Image generation device, imaging device,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image reproduction program
JPH1169293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ならびにカメラ一体型ビデオレコーダ
US9706109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imaging uni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95258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동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KR101824506B1 (ko) 카메라의 멀티프레임 이미지 촬영 촬영 장치 및 방법
US20110221914A1 (en) Electronic camera
JP2006203732A (ja) デジタルカメラ、縦横撮影切替え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21873B2 (en) Apparatus including function to generate stereoscopic image,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JP2011239021A (ja) 動画像生成装置、撮像装置および動画像生成プログラム
JP2017046160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2012016238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4793639B2 (ja) 動画撮影装置および動画撮影プログラム
JP2012151708A (ja) 撮像装置
JP5656496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