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769A -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769A
KR20080006769A KR1020060065897A KR20060065897A KR20080006769A KR 20080006769 A KR20080006769 A KR 20080006769A KR 1020060065897 A KR1020060065897 A KR 1020060065897A KR 20060065897 A KR20060065897 A KR 20060065897A KR 20080006769 A KR20080006769 A KR 20080006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display unit
preview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769A/ko
Publication of KR20080006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시 방향키, 카메라 핫 키 및 회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자동으로 단말기의 가로 또는 세로 위치를 판단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프리뷰 이미지와 동일한 비율의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이 그대로 저장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편집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카메라, 이미지센서, 프리뷰,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photographing method thereof}
도 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촬영방법의 일 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촬영방법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그리고
도 7 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카메라 20: 영상처리부
30: 제어부 40a: 방향키
40b: 카메라 핫 키 80: 회전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촬영시 표시부에 나타나는 프리뷰(preview) 이미지와 동일하도록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술 발전으로 인해 단순 음성통화기능과 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능 외에 여러 부가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기능 중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기능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어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고 즉시 단말기에 저장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촬영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피사체를 촬영하면, 촬영된 이미지(b)를 저장하기 전에 미리 사용자에게 촬영된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한 프리뷰(preview) 이미지(a)가 단말기의 표시부 상에 출력된다.
이러한 프리뷰 이미지(a)는 일반적으로 세로가 가로보다 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크기에 맞게 사진영역을 표시하게 되는데, 촬영된 이미지(b)는 보통 가로가 세로보다 높은 수치를 갖는 해상도, 예를 들어 1280*960, 640*480, 320*240 등의 해상도를 갖게 되므로 촬영된 이미지(b)를 표시부에 맞는 비율로 리사이징한 후 표시부 영역에서 벗어나는 부분을 절단하는 방법으로 프리뷰 이미지(a)를 출력 한다.
따라서, 프리뷰(preview) 이미지(a)에 따른 촬영 이미지를 저장한 후 저장한 이미지(b)를 다시 출력하면 저장전 표시부에 나타난 프리뷰 이미지(a) 외에도 절단된 영역을 포함한 영상이 저장되어 프리뷰 이미지(a)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저장된 이미지를 원하는 영상에 맞게 편집하거나 프리뷰 이미지의 출력시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고려하여 영상을 촬영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표시부에 나타나는 프리뷰 이미지와 동일한 영상이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방향키 및 카메라 구동을 위한 핫 키(hot key)를 구비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동작에 의해 카메라 구동시,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기 전, 미리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고, 상기 네이게이션 키 및 핫 키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수치를 변환하여 변환된 이미지가 저장되도록 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 한다.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방향키를 통해 상기 카메라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센싱한 이미지를 90도로 회전시켜 인코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를 프리뷰(preview)하는 표시부, 단말기의 위치가 가로 및 세로 중 어느 하나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회전센서, 및 상기 회전센서의 회전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수치를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프리뷰된 이미지가 그대로 저장되도록 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은 카메라의 구동을 위해 방향키 및 카메라 핫 키 중 어느 하나를 누름입력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의 프리뷰(preview)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키를 입력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한 경우 촬영된 이미지를 90도 회전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10), 카메라(10)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변환하여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처리부(20), 설정에 따라 영상처리부(20)의 동작을 포함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 및 제어부(30)의 명령에 따라 영상처리부(20)의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60)를 포함한다.
또한, 카메라(10)가 동작하도록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40),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부(50)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저장된 이미지를 타 단말기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70)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함에 있어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불필요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부(50)는 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사용을 위한 메뉴 등이 구현되어 출력되며, 카메라(10)를 통해 피사체가 촬영되고, 영상처리부(20)로부터 촬영된 피사체의 프리뷰 이미지 또는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LCD를 사용할 수 있다.
입력부(40)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버튼 조작에 따라 단말기가 동작하도록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때 다수의 버튼은 키패드 상에 구비되는 다수의 숫자키, 커서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도록 하는 방향키, 통화연결 키 등의 기능키 및 누름입력하면 특정기능이 바로 실행되는 핫키(hot key)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입력부(40)는 상기와 같은 다수의 버튼 이외에 조그버튼, 휠, 다이얼 등과 같이 조작에 따라 소정의 선택 및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여러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메모리(60)는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제어데이터 및 사용자 설정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30)의 명령에 따라 영상처리부(20)의 이미지를 저장한다.
카메라(10)는 렌즈(미도시), 및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처리부(20)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동영상 촬영 및 재생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영상처리부(20)는 제어부(30)의 명령에 따라 이미지 센서의 영상신호로부터 동영상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20)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전달된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하며, 제어부(30)의 명령에 따라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압축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부(20)는 사용자의 촬영방식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가로로 뉘어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프리뷰 이미지가 출력되는 경우 저장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는 출력된 프리뷰 이미지대로 가로길이가 긴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단말기를 세로로 놓고 이미지를 촬영하여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긴 프리뷰 이미지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세로길이가 긴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데이터인 원본이미지는 기본적으로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영상이므로 사용자가 단말기를 세로로 놓고 촬영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부(20)는 생성된 원본이미지를 90도 회전하 여 세로길이가 긴 영상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를 표시부(50)의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하여 프리뷰 이미지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이 연결되면 통신모듈을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제어부(30)에 의해 시스템이 구동된다(S100).
메뉴키 및 방향키를 차례로 입력하여 카메라 메뉴로 이동하고 촬영메뉴를 선택하면(S160), 카메라가 구동되면서 렌즈를 통해 비춰지는 영상이 표시부(50)에 출력된다.
단말기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소정의 기능키를 입력하여 원하는 피사체의 각도 또는 촬영 영상을 위한 기능을 설정하고 촬영버튼을 누름 입력하여, 이미지를 촬영한다(S170).
촬영버튼이 입력되면 그 순간 카메라에 비춰진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를 원본 이미지로 변환하고,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표시부의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 한다.
이때, 원본이미지는 이미지 센서의 영상신호를 압축 등의 편집없이 그대로 디지털 영상데이터로 변환한 것으로 이미지 센서가 단말기를 기준으로 90도 회전하여 장착되면 원본 이미지도 실제 피사체와 비교하여 90도 회전한 상태로 생성된다.
또한, 표시부(50)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위치인 세로방향으로 놓여 세로가 가로보다 긴 수치를 가지므로 원본 이미지를 90도 회전시켜 표시부의 가로세로 비율 에 맞도록 하고(S180), 이후 표시부(50)의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하여 프리뷰 이미지로 표시부에 출력한다(S190).
출력된 프리뷰 이미지에 따라 저장버튼이 입력되면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원본이미지가 인코딩되어 소정의 이미지 파일로 생성된다(S200).
이때, 인코딩되는 해상도는 세로가 가로보다 높은 수치를 갖는 해상도로서 960*1280, 480*640, 240*320 등 여러 해상도 중 어느 하나를 미리 선택하면, 상기 원본이미지는 선택된 해상도로 인코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구동을 위해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된 카메라 핫 키를 누름입력하면(S110) 카메라의 렌즈 및 이미지 센서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면서 렌즈를 통해 비춰지는 영상이 표시부에 나타난다(S120).
단말기의 위치를 조정하여 원하는 영상이 표시부에 나타나면 촬영버튼을 입력하여 원본이미지를 생성한다(S130).
카메라 핫 키를 입력하여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경우 표시부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위치인 세로방향이 아니라 90도 뉘어진 가로방향으로 놓이므로 가로가 세로보다 긴 수치를 갖게 되며, 따라서 원본이미지는 표시부(50)의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되어 프리뷰 이미지로 표시부에 출력된다(S140).
출력된 프리뷰 이미지를 보고 사용자가 저장버튼을 누름입력하면 설정된 해상도에 따라 원본 이미지가 인코딩되어 소정의 이미지 파일로 생성된다(S150).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촬영방법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로서, 도 4는 단말기를 세로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각 단계별 생성이미지가 도시된 도이며, 도 5는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놓은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각 단계별 생성이미지가 도시된 도이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를 세로방향으로 놓은 상태(1a)에서 메뉴키 및 방향키(40a)를 입력하여 카메라를 구동시키면 렌즈를 통해 투영된 영상이 표시부에 나타난다.
표시부(50)에 원하는 영상이 나타나도록 단말기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고 촬영버튼을 입력하면 렌즈를 통해 입사된 빛을 이미지 센서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이미지 센서가 단말기를 기준으로 90도 반시계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실제 센서를 통해 생성된 영상신호는 실제 피사체와 비교하여 90도 시계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며(a), 영상신호를 토대로 생성된 원본이미지 역시 피사체와 비교하여 9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이미지로 생성된다(b).
단말기가 세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촬영되었으므로 원본이미지는 9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회전된 원본이미지를 표시부(50)의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하여 프리뷰 이미지로 출력한다(c).
저장버튼이 입력되면 회전된 원본이미지를 설정된 해상도에 맞게 인코딩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d).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핫 키(40b)를 입력하여 카메라를 구동하는 경우 단말기(1b)는 가로방향으로 놓여지게 되며,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도 가로가 세로길이보다 길게 나타난다.
표시부(50)에 원하는 영상이 나타나도록 단말기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고 촬영버튼을 입력하면 피사체에 대한 영상신호가 생성된다.
이때, 이미지 센서가 단말기를 기준으로 90도 반시계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이미지 센서는 단말기가 가로방향으로 놓여짐에 따라 정방향에 위치하게 되어 피사체와 동일한 영상신호(a)와 원본이미지(b)가 차례로 생성된다.
생성된 원본이미지 자체가 가로 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형태이므로 표시부의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하여 프리뷰 이미지(c)로 출력하고, 저장버튼이 입력되면 원본 이미지를 설정된 해상도에 맞게 인코딩하여 저장한다(d).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프리뷰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원본 이미지의 회전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방향키 및 카메라 핫 키에 대신하여 단말기의 회전여부를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회전센서(80)를 제외하고는 그 구성 및 동작이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카메라 핫 키(40b)를 통해 카메라(10)를 구동한 경우라도 이후 원하는 영상을 위해 단말기의 위치를 조정할 때 가로방향으로 위치해 있던 단말기를 다시 세로방향으로 위치시켜 촬영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소정 위치에 회전센서(80)를 구비하여 단말기가 가로방향으로 뉘여지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30)는 이를 영상처리부(20)로 전달하여 카메라(10)를 통해 소정의 영상이 촬영되면 생성된 원본이미지를 그대로 인코딩하도록 한다.
또한, 촬영버튼의 입력 전에 단말기가 가로방향에서 기본위치인 세로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센서(8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30)는 이를 영상처리부(20)로 전달하여 생성된 원본이미지가 90도 회전하여 프리뷰 이미지 및 저장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회전센서를 구비한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회전센서의 판단유무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영상촬영방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뉴키, 방향키 및 카메라 핫 키를 누름입력하여 카메라를 구동한다(S250).
단말기의 기본 방향인 세로방향인 상태에서 상하좌우 방향만 이동하여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회전센서(80)는 단말기가 회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로 이를 전송한다(S260).
제어부(30)는 회전센서(8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통해 이후 촬영되는 이미지는 90도로 회전시킨 후 리사이징 및 저장해야 함을 영상처리부에 알린다.
원하는 영상이 표시부(50)에 나타나면 촬영버튼을 입력하여 원본 이미지를 생성하고(S270), 생성된 원본이미지는 90도 회전하여(S280), 표시부(50) 크기에 맞도록 리사이징된다.
리사이징된 원본 이미지는 프리뷰 이미지로 표시부(50)를 통해 출력되며(S290), 프리뷰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저장버튼이 입력되면 회전된 원본이미지가 설정된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여 인코딩된다.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는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로 메모리(60)에 저장된다(S300).
한편,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세로 방향으로 놓여있던 단말기를 가로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회전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0)로 전송한다(S260). 제어부(30)는 전달된 감지데이터를 통해 이후 촬영되는 이미지는 90도로 회전시키지 않음을 영상처리부(20)에 알린다.
촬영버튼을 입력하여 원하는 영상을 촬영하면 원본 이미지가 생성되며(S310), 생성된 원본이미지는 가로방향으로 놓인 표시부의 크기에 맞도록 리사이징되어 프리뷰 이미지로 출력된다(S320).
프리뷰 이미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저장버튼을 입력하면 설정된 해상도에 맞게 원본이미지를 변환하여 인코딩하고, 소정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한다(S33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이미지의 촬영시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프리뷰 이미지와 동일한 영상을 저장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은 단말기가 가로 또는 세로로 위치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방향키, 카메라 핫 키 및 회전센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자동으로 단말기의 가로 또는 세로 위치를 판단하여, 프리뷰 이미지와 동일한 비율의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방향키 및 카메라 구동을 위한 핫 키(hot key)를 구비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동작에 의해 카메라 구동시,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및
    촬영된 영상의 프리뷰(preview)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고, 상기 프리뷰 이미지와 동일한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방향키를 통해 상기 카메라가 구동되면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긴 표시부의 크기에 맞게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핫 키를 통해 상기 카메라가 구동되면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표시부의 크기에 맞게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방향키를 통해 상기 카메라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영상이미지를 90도 회전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 저장시 회전된 영상이미지를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회전된 영상이미지의 인코딩 시, 세로가 가로보다 높은 수치를 갖는 여러 해상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해상도에 맞게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프리뷰(preview)하는 표시부;
    단말기가 가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회전센서; 및
    상기 회전센서의 회전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가로 및 세로 수치를 변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된 프리뷰(preview) 이미지와 동일한 영상이 저장되도록 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카메라의 동작시 상기 표시부의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길면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90도 회전시켜 설정된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고, 상기 표시부의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길면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그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카메라의 구동을 위해 방향키 및 카메라 핫 키 중 어느 하나를 누름입력하는 단계;
    상기 방향키를 입력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한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 영된 이미지를 90도 회전하여 프리뷰(preview)이미지를 생성 및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프리뷰(preview) 이미지와 동일한 영상을 설정된 해상도에 맞게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촬영방법.
KR1020060065897A 2006-07-13 2006-07-13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 KR20080006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97A KR20080006769A (ko) 2006-07-13 2006-07-13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97A KR20080006769A (ko) 2006-07-13 2006-07-13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769A true KR20080006769A (ko) 2008-01-17

Family

ID=3922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897A KR20080006769A (ko) 2006-07-13 2006-07-13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7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611A1 (en) * 2012-05-14 201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system of mobile device for capturing images, and method adapted thereto
KR20140127359A (ko) * 2012-03-01 2014-11-03 블랙베리 리미티드 사진 편집기 내에 이미지 필터를 적용하기 위한 드래그 핸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7359A (ko) * 2012-03-01 2014-11-03 블랙베리 리미티드 사진 편집기 내에 이미지 필터를 적용하기 위한 드래그 핸들
WO2013172611A1 (en) * 2012-05-14 201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system of mobile device for capturing images, and method adapted there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48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a
KR101610705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JP2007295183A (ja)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
JP2005117661A (ja) 携帯用端末機の自動ズーミング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5123708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と、電子カメラ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5303728A (ja) デジタルカメラ
KR20070092582A (ko) 영상 표시 및 저장 장치와 방법
US834514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cus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836618B1 (ko) 회전식 카메라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파노라마 영상 촬영 방법
JP2006129101A (ja) 画像のトリミング方法、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196393B2 (ja) 証明写真システム
KR20080006769A (ko) 카메라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영상촬영방법
JP4294433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728227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7195099A (ja) 撮影装置
WO2005101815A2 (en) Method and system for capturing close-up images in a cellular telephone
KR101998846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945028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WO2023145726A1 (ja) 撮像装置、ズーム制御方法
KR101853054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JP434937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798019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KR20100069499A (ko) 인쇄 미리보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와 인쇄용 미리보기의 표시 방법
KR101755520B1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KR20190084228A (ko)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