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25Y1 -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25Y1
KR200484125Y1 KR2020120002204U KR20120002204U KR200484125Y1 KR 200484125 Y1 KR200484125 Y1 KR 200484125Y1 KR 2020120002204 U KR2020120002204 U KR 2020120002204U KR 20120002204 U KR20120002204 U KR 20120002204U KR 200484125 Y1 KR200484125 Y1 KR 200484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image display
adhesive she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849U (ko
Inventor
가호루 니이미
마코토 이네가나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06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과제]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의 시인측 사이에 설치하여 2개의 부재를 일체화시키기 위한, 가시광을 충분히 투과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 차단성을 갖는 새로운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적어도 1층의 자외선 흡수층을 가지고,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이며, 또한 파장 430nm보다도 장파장측에 있어서의 가시광 투과율이 80% 이상인 투명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TRANSPARENT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본 고안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 디스플레이(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PD), 간섭 변조 디스플레이(IMO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면 보호 패널과 편광판이나 액정 셀 등을 내장하는 액정 모듈 사이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는 다양한 부재에 의해 구성되며, 이러한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를 첩합(貼合))하여 일체화하기 위해서, 점착제 또는 점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에서는 표면 보호 패널, 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가 사용되며, 이들 구성 부재를 적층할 때, 점착제 또는 점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 기재와 점착 재의 계면에 이물이 존재하여 기포가 발생해도,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점착재로서, (A) (메타)아크릴산 유도체, (B) (메타)아크릴산 유도체 중합체, 및 (C)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인 다관능 (메타)아크릴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경화시켜 이루어지고, 25℃에서의 tanδ가 0.5 이하인 점착재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첩합시에 발생한 기포가 가열 가압 처리에 의해 소포하고, 또한 내충격성을 갖는 디스플레이용 내충격 필름으로서, 25℃에서의 tanδ가 0.5 이상인 제 1 층과 25℃에서의 tanδ가 0.5 미만인 제 2 층 및 25℃에서의 tanδ가 0.5 이상인 제 3 층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용 내충격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층 또는 터치 패널과 화상 표시 유닛의 표시면을 첩부하거나, 또는 표면 보호층과 터치 패널을 첩부하는 투명 점착 시트로서, (A) 알킬기의 탄소수가 4 내지 18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B) 호모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50℃ 이상인 극성 단량체, 및 (C) (C-1) 특정한 식으로 나타내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C-2) 호모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10℃ 이하인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140℃, 1.0Hz에서의 tanδ가 0.13 이상이며, 또한 25℃, 1.0Hz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8.9×104Pa 이하인 투명 점착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의 경량화·박육화의 흐름에 따라, 액정 화소 내에 터치 패널 전극을 내장하는 인셀 방식 이외에, 액정 모듈의 유리 기판이나 보호 패널에 직접 전극을 설치하여 터치 패널 기능을 부여하는 온셀 방식 등, 적층에 의해 얻었던 터치 패널 기능을 직접 액정 모듈 내에 내장하여 일체화시키는 구성(「터치온렌즈 방식」이라고도 한다) 등도 새롭게 제안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575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30050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163591호
상기와 같은 새로운 제안과 같이,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 사이의 각종 구성 부재간을 점착제나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일체화하는 구성에 의해,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셀 사이에 개재한 터치 패널 유리가 불필요해질 뿐아니라, 박육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첩합 공정의 간소화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인셀, 온셀 및 터치온렌즈 방식의 구성에 있어서는 1종류의 점착 부재를 가지고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을 첩착하기 때문에, 표면 보호 패널의 첩착에 필요한 기능 및 액정 모듈로의 첩착에 필요한 기능을 1장의 점착 시트 또는 점착 수지를 가지고 달성하지 않으면 안되어 종래 이상의 기능 부여가 요구된다.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메이커에서는 터치 패널 이외에도 편광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등, 첩합하여 얻었던 기능성 필름에 의한 광학 기능 등도 직접 액정 모듈 내나 다른 구성 부재에 내장하여 최대한 부재 점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상정되고, 이들 기능성 필름 등의 기능성층의 간략화나 모듈 구성의 변화에 따라, 점착 시트에는 이들 기능성층을 보호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성이 요구되는 것이 추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과제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의 시인측 사이에 설치하여 2개의 부재를 일체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며, 자외선 차단성을 가지며, 또한 가시광을 충분히 투과시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은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의 시인측 사이에 설치하여 2개의 부재를 일체화시키기 위한 양면 점착 시트로서, 적어도 1층의 자외선 흡수층을 가지고,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이며, 또한 파장 430nm보다도 장파장측에 있어서의 가시광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를 제안한다.
본 고안의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는 적어도 1층의 자외선 흡수층을 가지고, 특정 파장에 있어서 특정한 광선 투과율을 가진다고 하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 내에 설치하여 사용한 경우,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으로부터 가시광을 충분히 투과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시인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광으로부터 화상 표시 장치 내의 기능성 필름 등의 기능성층을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 디스플레이(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PD), 간섭 변조 디스플레이(IMO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 사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점착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점착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는 점착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는 점착 시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일반적인 화상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본 고안의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이하, 「본 점착 시트」라고 한다.)는 적어도 1층의 자외선 흡수층을 가지고,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이며, 또한 파장 430nm보다도 장파장측에 있어서의 가시광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점착 시트는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일 필요가 있다.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이면, 입사되는 자외광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의 시인측 사이에 본 점착 시트를 설치하면, 시인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광으로부터 화상 표시 장치 내의 기능성 필름 등의 기능성층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점착 시트에 있어서,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은 2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이 중에서도 2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본 점착 시트는 파장 430nm보다도 장파장측에 있어서의 가시광 투과율이 80% 이상일 필요가 있다. 파장 430nm보다도 장파장측에 있어서의 가시광 투과율이 80% 이상이면, 입사되는 가시광을 충분히 투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의 시인측 사이에 본 점착 시트를 설치하면,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으로부터 가시광을 충분히 투과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점착 시트에 있어서, 파장 430nm보다도 장파장측에 있어서의 가시광 투과율은 8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이 중에서도 9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본 점착 시트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자외선 흡수층(1)을 갖는 양면 점착 시트이다. 즉, 자외선 흡수형의 투명 양면 점착 시트이며, 상기 자외선 흡수층(1)이 단독으로 양면 점착 시트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본 점착 시트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외선 흡수층(1)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시트라도 좋고, 또한, 자외선 흡수층(1)의 한면 내지 양면에 또한 점착제층을 적절히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자외선 흡수층(1)을 복수 적층시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자외선 흡수제)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 산화아연이나 산화티탄 등의 무기계 초미립자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도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산화아연이나 산화티탄 등의 무기계 초미립자를 투명 시트 내에 산재시킴으로써, 투명 시트에 입사된 자외역광을 산란시킴으로써 자외선을 차단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본 점착 시트는 적어도 1층의 자외선 흡수층(1)을 가지며,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이며, 또한 파장 430nm보다도 장파장측에 있어서의 가시광 투과율이 80% 이상인 분광 특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분광 특성을 갖는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이 하기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면 좋다.
즉,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자외선 흡수층(1)에 내첨하는 경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자외선 흡수층(1)을 형성하는 수지 전체 질량 중 0.1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20질량% 이하이면, 자외선 흡수제 자체의 착색에 의한 외관 불량이나 첨가제의 석출이나 부출(浮出), 인접층이나 피착체로의 블리드아웃에 의한 점착 특성의 저하가 생길 우려가 적다. 또한, 0.1질량% 이상이면, 소정의 자외선 흡수성을 부여하는 것이 용이해져 피착체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이 떨어지는 등의 우려가 없다.
이와 같이, 자외선 흡수층(1)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과 점착 특성을 양립할 수 있다.
이러한 분광 특성을 갖는 자외선 흡수층(1)을 구비함으로써, 본 점착 시트는 시인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부재 보호에 기여하는 동시에, 액정측으로부터의 가시광을 충분히 투과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점착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 즉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형이나 열경화형의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며, 특히 열경화형의 아크릴계 점착제가 자외선 흡수제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점착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중합체(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하 「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라고 한다.)를 베이스 수지로서 사용한 점착제 조성물(이하, 「본 점착제 조성물」이라고 한다.)로 형성된 것을 들 수 있다.
베이스 수지로서의 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는 이것을 중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아크릴 단량체나 메타크릴 단량체의 종류, 조성 비율, 또한 중합 조건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유리 전이 온도(Tg)나 분자량 등의 물성을 적절히 조정하여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아크릴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주 원료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에, 응집력 부여나 극성 부여 등의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관능기(官能基)를 갖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를 상기 아크릴 단량체와 공중합시켜도 좋다.
상기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N-치환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불소 함유 알킬 아크릴레이트, 오르가노실록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아크릴 단량체나 메타크릴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아세트산비닐이나 알킬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알킬비닐에테르 등의 각종 비닐 단량체도 적절히 중합에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단량체를 사용한 중합 처리로서는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 방법이 채용 가능하며, 그 때 중합 방법에 따라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가교 방법)
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가교할 때는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중에 도입한 하이드록실기나 카복실산기 등의 반응성기와 화학 결합할 수 있는 가교제를 첨가하고, 가열이나 양생에 의해 반응시키는 방법이나, 가교제로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광중합 개시제 등의 반응 개시제를 첨가하고,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가교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열가교제)
열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클로르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된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과 부가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이소시아눌레이트화물, 뷰렛형 화합물, 또한 공지된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부타디엔폴리올, 폴리이소프렌폴리올 등 부가 반응시킨 우레탄 프레폴리머형의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가공성이나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적당한 블록제로 보호하고 있어도 좋다.
블록제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계, 옥심계, 카프로락탐계, 머캅탄계, 이미드계, 아미드계, 이미다졸계, 알코올계, 활성 메틸렌계나 각종 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블록제의 해리 온도나 작업성에 따라 공지의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리렌디아민, N,N,N',N'-테트라글리시딜아미노페닐메탄,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눌레이트, m-N,N-디글리시딜아미노페닐글리시딜에테르, N,N-디글리시딜톨루이딘, N,N-디글리시딜아닐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가교제의 함유량은 베이스 중합체의 가교성 관능기 도입량에 대해 0.5 내지 2등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개시제)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는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켜 계(系) 중의 중합 반응의 기점이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나 비닐기의 반응성 라디칼 발생 기구는 크게 2개로 분류되고, 자신의 단결합을 개열하고 분해하여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분자내 개열형과, 계중의 하이드록실기 등으로부터 수소를 여기시켜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수소 인발형이 있으며, 광개시제로서는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도 있다.
(기타)
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를 가교할 때는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적절히 첨가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본 점착 시트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지지체(2) 중 어느 일측에 적어도 1층의 점착제층(3)을 구비하고, 투명 지지체(2)의 타측에 자외선 흡수층(1)(여기에서는 자외선 흡수형 점착제층)을 구비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도 적어도 1층의 자외선 흡수층(1)을 가진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본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3)과 자외선 흡수층(1)이 투명 지지체(2)를 개재하여 적층된 구성이 되고, 양자가 인접하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 흡수층 중의 자외선 흡수제가 부출되어 인접하는 점착제층으로 블리드아웃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점착제층 측으로의 첨가제 이행에 의한 점착 물성 저하의 우려가 없을 뿐 아니라, 점착제층 측은 열가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층으로 형성하거나, 자외선 흡수 기능 이외의 기능을 독립 부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투명 지지체(2)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페닐렌계 수지 등의 투명 수지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투명 지지체(2)는 무배향 또는 1축 방향으로 배향한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이라도, 2축 이상으로 배향한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이라도 좋고, 피착체의 종류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층(1)을 구성하는 자외선 흡수제나 점착제층(2)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는 본 점착 시트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외선 흡수층을 갖는 투명 지지체(4)의 양면에 점착제층(3)을 갖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제 3 실시형태도 적어도 1층의 자외선 흡수층을 갖는 것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본 점착 시트는 자외선 흡수층을 갖는 투명 지지체를 구비한 구성, 즉 자외선 흡수성을 갖는 투명 지지체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투명 지지체를 개재하여 적층되는 2개의 점착제층을 모두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로 형성하거나, 자외선 경화형과 열경화형의 점착제로 형성하거나 하여, 피착체의 특성에 맞추면서, 점착제층에 다양한 기능을 분리하여 부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보호 패널이 피착체의 한쪽인 경우에는 특히 단차 추종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한쪽의 점착제층을 유연하게 함으로써, 피착체에 요철이 있는 경우에 요철에 대한 추종성을 얻을 수 있거나, 가압에 약하여 변형되기 쉬운 피착체인 경우에는 피착면의 본래 형상에 융합되어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모듈 등과 같이, 환경 시험하에서 아웃 가스를 방출하기 쉬운 부재나 치수 변화가 큰 부재가 피착체가 되는 경우에는, 특히 내발포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피착면에 접하는 측의 점착층을 고응집력 설계로 함으로써, 발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리의 점착층에 상이한 목적에 따라 설계한 점착층을 사용함으로써 기능을 분리하여 부여할 수 있다.
투명 지지체(4)는 단층이라도, 다층이라도 좋다.
투명 지지체(4)가 다층 구성인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층에 자외선 흡수층이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점착제층(3)을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지지체(4)와 점착제층(3)의 접촉면에 첨가제의 부출 방지 위한 표면 처리층(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처리층(5)은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 수지 조성물을 투명 지지체(4)에 도포 경화시키거나, 산화규소나 산화알루미늄 등의 무기 산화물 등을 투명 지지체(4)에 증착시키거나 하는 것 이외에, 드라이 라미네이션이나 압출 라미네이션, 열 라미네이션 등의 기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첨가제의 이행을 억제하는 필름층을 투명 지지체(4)에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투명 지지체(4)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층이나 이(易)접착 처리층 등을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점착제층(3)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명 지지체(4)에 형성된 자외선 흡수층으로서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투명 지지체 재료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킨 것이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자외선 흡수제를 도료로 하여 투명 지지체에 도포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도료로 하여 투명 지지체에 도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자외선 흡수제 도료의 고형분 전량에 대해, 자외선 흡수제를 0.1 내지 20질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본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본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PET 등의 박리 필름의 이형 처리면 위에 목적의 두께가 되도록 제막하고, 필요에 따라 가열이나 자외선 조사 등의 처리를 가하여 가교 반응을 진행시켜 얻을 수 있다. 투명 지지체를 개재한 구성인 경우에는, 상기 지지체 위에 점착 조성물을 직접 제막해도 좋다. 투명 지지체나 자외선 흡수층과는 별개로 설치한 점착제층 등을 적층한 다층 구성의 점착 시트는 양 표면의 점착 수지를 박리 필름 또는 투명 지지체에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한 후 적층하는 방법 이외에, 적층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압출하여 얻을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본 고안의 화상 표시 장치(이하, 「본 화상 표시 장치」라고 한다.)는 2개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부재가 본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일체화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주연부에 프레임상 은폐 인쇄부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 보호 패널 등의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를 들 수 있다. 또한 그것 이외에도, 터치 패널 기능이 일체화된 터치온렌즈 방식의 표면 보호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것과 첩합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구성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상 표시 패널로서는 액정층이 유리 기판에 의해 협지된 구성을 갖는 액정 패널 이외에, 표면 반사에 의한 화질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액정 패널의 시인측에 편광 필름이 적층된 구성을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표시 패널 내에 터치 패널을 내장한 온셀형 이외에, 액정의 화소 중에 터치 센서 기능을 내장한 인셀형의 화상 표시 패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화상 표시 장치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 보호 패널(6)과, 액정 모듈(7) 시인측 사이에 본 점착 시트(9)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지금까지 터치 패널체 등의 구성 부재가 표면 보호 패널(6)과 액정 모듈(7) 사이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부재 점수의 감소에 따라, 터치 패널체의 기능도 다른 구성 부재와 일체화되는 것이 상정되고, 거기에 따라 액정 모듈의 시인측면에는 자외선에 약한 각종 기능층이 부여되는 것이 예상된다.
본 화상 표시 장치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본 점착 시트(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성을 담당하고 있던 종래의 부재 생략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기능층을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표면 보호 패널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폴리올레핀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판이나, 유리판 등을 들 수 있다.
<어구의 설명 등>
일반적으로 「시트」란, JIS에 있어서의 정의상, 얇고, 그 두께가 길이와 폭에 비해서는 작고 편평한 제품을 말하고, 일반적으로 「필름」이란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매우 작고, 최대 두께가 임의로 한정되어 있는 얇은 편평한 제품으로, 통상, 롤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말한다(일본공업규격 JISK6900). 그러나,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확실하지 않으며, 본 고안에 있어서 문언상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고안에 있어서는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시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라고 칭하는 경우에도 「필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보호 패널 등과 같이 「패널」이라고 표현하는 경우, 판체(板體), 시트 및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X 내지 Y」(X, Y는 임의의 숫자)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라는 의미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라는 의미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X 이상」(X는 임의의 숫자)이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Y 이하」(Y는 임의의 숫자)라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라는 의미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Tg -70℃) 62질량부와, 아세트산비닐(Tg 32℃) 36질량부와, 아크릴산(Tg 106℃) 2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Mw=60만) 100질량부에, 자외선 흡수제로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1질량부와,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눌레이트를 사용하여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3량체화하고, 메틸에틸케톤옥심(블록제)으로 보호한 3관능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50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80℃에서 용융하고, 이형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쥬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MRF75」두께 75㎛)의 박리 처리한 측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250㎛이 되도록 부형한 후, 110℃로 가열하여 블록제를 탈보호하여 가교 반응을 진행시켜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표면을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파낙사 제조; 상품명 「NP50Z01」, 두께 50㎛)의 박리 처리한 측을 상기 자외선 흡수층에 포개어 피복하고, 온도 25℃ 습도 40%에서 1주일 동안 양생시켜 양면 점착 시트 1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자외선 흡수층의 제작)
감압 접착제층용의 조성물로서, 아크릴산부틸(Tg -56℃) 73질량부와, 메타크릴산메틸(Tg 105℃) 25질량부와, 아크릴산(Tg 106℃) 2질량부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1kg(Mw=110만)에 대해, 가교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아사히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듀라네이트 24A-100」)을 0.15g과, 2-(2'-하이드록시-3-t부틸페닐)벤조에이트의 변성체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흡수제(BASF사 제조; 상품명 「Tinuvin213」) 10g을 가하여 감압 접착제용 조성물(a1)을 조제하였다.
아세트산에틸과 톨루엔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휘발성 유기 용제를 사용하여 상기 감압 접착제용 조성물(a1)을 고형분 농도가 15질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도료를 조제하였다. 이 도료를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쥬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MRF75」, 두께 75㎛)의 박리 처리한 측에 건조후의 두께가 30㎛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도포하여 자외선 흡수층(A1)을 성형하였다.
다음에, 노출된 점착면을 건조시켜 미처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쥬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다이아호일 T-100」, 두께 25㎛)을 적층하였다.
(점착제층의 제작)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Tg -70℃) 75질량부와, 아세트산비닐(Tg 32℃) 20질량부와, 아크릴산(Tg 106℃) 5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A(Mw=50만) 1kg에 대해, 가교제로서 자외선 경화 수지 프로폭시화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ATM-4PL」) 10g과, 광중합 개시제로서 4-메틸벤조페논 7g을 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b1)을 조제하였다.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가부시키가이샤 파낙사 제조; 상품명 「NP50Z01」, 두께 75㎛)의 박리 처리한 측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b1)을 두께 200㎛이 되도록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점착제층(B1)을 제작하였다.
상기 점착제층(Bl)의 표면에 별도 제작한 상기 자외선 흡수층(A1)의 미처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면이 접하도록 피복 적층하였다. 적층체의 점착층(B1)측에서 고압 수은 램프로 파장 365nm의 자외선을 적산 광량 2000mJ/㎠이 되도록 조사하여 점착제층(B1)을 경화시켰다. 그 후, 상태(stable state, 常態)(온도 25℃, 습도 40%)에서 7일간 양생하고, 자외선 흡수층(A1)의 가교 반응을 진행시켜 양면 점착 시트 2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아크릴산부틸(Tg -56℃) 73질량부와, 메타크릴산메틸(Tg 105℃) 25질량부와, 아크릴산(Tg 106℃) 2질량부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1kg(Mw=110만)에, 가교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아사히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듀라네이트 24A-100」) 0.15g을 가하여 감압 접착제용 조성물(a2)을 조제하였다.
이 상기 감압 접착제용 조성물(a2)을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쥬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MRF75」, 두께 75㎛)의 박리 처리한 측에 두께가 30㎛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도포하여 자외선 흡수층(A2)을 성형한 후, 노출된 점착면에 자외선 흡수제 함유의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후지택 TD60UL」) 60㎛을 피복 적층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양면 점착 시트 3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미처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쥬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다이아호일 T-100」, 두께 38㎛)의 한면에 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과 아크릴 수지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흡수 도료를 건조 두께가 4㎛이 되도록 도포 경화시켰다.
실시예 3에서 사용한 감압 접착제용 조성물(a2)을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쯔비시쥬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MRF75」, 두께 75㎛)의 박리 처리한 측에 두께가 30㎛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도포하여 성형하고, 노출된 점착면에 조금전 제작한 자외선 흡수 도막이 접하도록 필름을 피복 적층하여 자외선 흡수층(A3)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양면 점착 시트 4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점착제 조성물 중의 자외선 흡수제를 제외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평가>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은 양면 점착 시트에 관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시험을 행하고,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기재하였다.
(분광 투과율)
실시예·비교예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시트를 2장의 소다라임 유리(두께 0.5mm)에 끼우듯이 첩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시험편의 파장역 200 내지 800nm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을 분광 광도계(시마즈세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기기명「UV245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접착력)
실시예·비교예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시트에 관해서, 한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배접(backing, 褙接)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요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상품명 「코스모샤인 A4300」, 두께 100㎛)을 핸드 롤러로 롤 압착하였다. 다음에, 이것을 10mm 폭×100mm 길이의 단책상(短冊狀)으로 재단하고, 남은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된 점착면을 소다라임 유리에 핸드 롤러를 사용하여 롤 첩착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한 시험체를 상태(常態)에서 24시간 양생한 후, 상기 배접 필름을 소다라임 유리에 대해 180°를 이루는 각도가 되도록 박리 속도 60mm/분으로 당기면서 유리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고, 이 때에 로드셀로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점착 시트의 유리에 대한 180°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3, 4에 관해서는 점착 시트의 양 표면측(B1 및 A1, A2, A3)에 관해서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종합 평가)
접착력이 5N/cm 이상이며,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이며, 또한 파장 430nm보다도 장파장측에 있어서의 가시광 투과율이 80% 이상인 경우를 「○: good」라고 평가하고, 그 이외의 경우를 「×: poor」라고 평가하고, 종합 평가(Total)로서 표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2022387739-utm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시트, 즉 본 고안의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는 자외선 흡수층을 구비하고, 또한 이 자외선 흡수층이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이며, 파장 430nm보다도 장파장측에 있어서의 가시광 투과율이 80% 이상이라는 성질을 구비하는 것이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작한 양면 점착 시트, 즉 본 고안의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는 원하는 점착력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의 시인측 사이에 설치하여 2개의 부재를 첩착·일체화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면,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측으로부터 가시광을 충분히 투과하여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시인측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외광으로부터 화상 표시 장치 내의 기능성 필름 등의 기능성층을 보호할 수 있다는 기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자외선 흡수층
2 투명 지지체
3 점착제층
4 자외선 흡수층을 갖는 투명 지지체
5 표면 처리층
6 표면 보호 패널
7 액정 모듈
8 광학 필름 등의 기능성층
9 본 점착 시트

Claims (8)

  1. 화상 표시 장치에서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의 시인측 사이에 설치하여 2개의 부재를 일체화시키기 위한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투명 지지체의 일측에 적어도 1층의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 지지체의 타측에 자외선 흡수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층이고,
    상기 자외선 흡수층은 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열가교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층이고,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이며, 또한 파장 430nm보다도 장파장측에 있어서의 가시광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2. 화상 표시 장치에서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의 시인측 사이에 설치하여 2개의 부재를 일체화시키기 위한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층을 갖는 투명 지지체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갖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층이고,
    상기 자외선 흡수층은 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 열가교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층이고,
    파장 380nm의 광선 투과율이 30% 이하이며, 또한 파장 430nm보다도 장파장측에 있어서의 가시광 투과율이 8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지지체와 점착제층 사이에 첨가제의 부상(浮上) 방지를 위한 표면 처리층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명 지지체가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페닐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가 표면 보호 패널과 액정 모듈의 시인측 사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20002204U 2011-03-23 2012-03-20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48412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63506 2011-03-23
JP2011063506 2011-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49U KR20120006849U (ko) 2012-10-05
KR200484125Y1 true KR200484125Y1 (ko) 2017-08-02

Family

ID=47265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204U KR200484125Y1 (ko) 2011-03-23 2012-03-20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52013B2 (ko)
KR (1) KR200484125Y1 (ko)
CN (1) CN20259502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0465B2 (en) 2017-09-18 2020-04-1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7600A1 (en) * 2013-02-12 2015-12-24 Mitsubishi Plastics, Inc. Transparent double-sided adhesive sheet, laminate obtained using same for constituting image display device, process for producing said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obtained using said laminate
CN103646958A (zh) * 2013-11-18 2014-03-19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JP2017511836A (ja) * 2014-03-05 2017-04-27 ヘンケル・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ウント・コムパニー・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アウフ・アクチェンHenkel AG & Co. KGaA 接着剤被覆感熱性ポリマー基材、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JP6357012B2 (ja) * 2014-05-23 2018-07-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電極シート
WO2015190558A1 (ja) * 2014-06-11 2015-12-17 日本化薬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両面粘着シート及び物品
JP6592254B2 (ja) * 2015-02-26 2019-10-16 日東電工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層、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層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6498991B2 (ja) * 2015-03-31 2019-04-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6570314B2 (ja) * 2015-05-22 2019-09-04 大王製紙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654362B2 (ja) * 2015-06-04 2020-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083463B2 (ja) * 2015-11-20 2017-02-2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導電性積層体、気泡または亀裂発生低減シート、および気泡または亀裂発生低減方法
KR20240050450A (ko) 2015-12-25 2024-04-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7120363A (ja) 2015-12-25 2017-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6830350B2 (ja) 2015-12-25 2021-02-17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CN116179119A (zh) 2015-12-25 2023-05-30 日东电工株式会社 有机el显示装置用粘合剂组合物和粘合剂层、带有粘合剂层的偏振膜和有机el显示装置
JP2017165941A (ja) * 2015-12-25 2017-09-21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JP2017179242A (ja) * 2016-03-31 2017-10-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画面用粘着シート、積層体、表示体及び画面保護方法
JP6701503B2 (ja) * 2016-03-31 2020-05-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画面用粘着シート、積層体、表示体及び画面保護方法
KR102112080B1 (ko) * 2016-04-04 2020-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패널용 다층 점착 필름
JP7418943B2 (ja) 2016-04-29 2024-01-22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表示装置
JP6705699B2 (ja) * 2016-05-25 2020-06-03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吸収性組成物
SG11201811117YA (en) 2016-06-15 2019-01-30 Nitto Denko Corp Ultraviolet-curable acryl-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ltraviolet-curable acryl-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ultraviolet-curable acryl-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629910B1 (ko) 2016-06-15 2024-01-3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766284B1 (ko) * 2016-06-23 2017-08-08 주식회사 엘엠에스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점착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028974A (ja) * 2016-08-15 2018-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KR20180075779A (ko) 2016-12-26 2018-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510113B2 (ja) 2017-05-09 2019-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組成物、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JP6832246B2 (ja) 2017-06-22 2021-02-24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KR102009148B1 (ko) * 2017-09-01 2019-08-12 주식회사 엘엠에스 자외선 차단 기능이 우수한 점착 시트,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193227B2 (ja) 2017-09-06 2022-12-20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JP7116545B2 (ja) 2017-12-21 2022-08-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US10514571B2 (en) 2018-03-21 2019-12-24 Himax Display, Inc.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a display panel
JP7184528B2 (ja) 2018-03-22 2022-12-0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体の製造方法
KR102560099B1 (ko) * 2018-03-30 2023-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8199811A (ja) * 2018-06-13 2018-12-2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電極シート
JP7184549B2 (ja) 2018-06-28 2022-12-0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7111558B2 (ja) * 2018-08-27 2022-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KR102582465B1 (ko) * 2018-09-19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6676720B2 (ja) * 2018-10-11 2020-04-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表示体の製造方法
CN112996874B (zh) * 2018-11-22 2022-10-21 味之素株式会社 粘接剂组合物
JP7132875B2 (ja) 2019-03-01 2022-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CN113573894A (zh) * 2019-03-15 2021-10-29 日东电工株式会社 粘合剂、中间层叠体的制造方法以及中间层叠体
JP6727370B2 (ja) * 2019-04-15 2020-07-22 日東電工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層、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紫外線硬化型アクリル系粘着剤層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9179271A (ja) * 2019-07-05 2019-10-1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EP4130178A4 (en) 2020-03-27 2023-09-13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US20230203347A1 (en) 2020-03-27 2023-06-29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WI798886B (zh) 2020-10-22 2023-04-1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配位化合物以及包括其之光吸收劑以及包括所述光吸收劑的黏合膜、光學膜及電子元件
KR20230113301A (ko) * 2020-11-27 2023-07-28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도포형 편광 소자용 점착제 조성물, 도포형 편광 소자용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용 점착 시트, 이형 필름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구비하는 점착 시트, 적층 시트,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도포형 편광 소자, 편광 소자를 구비하는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EP4289913A1 (en) 2021-02-02 2023-12-13 Lg Chem, Ltd. Pyrazole derivative compound,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adhesive film comprising same
KR20220111628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피라졸 유도체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JP2022136814A (ja) 2021-03-08 2022-09-2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KR20220134988A (ko)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KR20220163605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광학 필름 및 전자 소자
KR102635557B1 (ko) * 2021-11-02 2024-02-08 (주)이녹스첨단소재 감압성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
JP2023126056A (ja) * 2022-02-28 2023-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Oled表示装置用粘着フィルム
JP2023126057A (ja) * 2022-02-28 2023-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Oled表示装置用光学積層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929A (ja) * 2002-06-24 2004-01-29 Sharp Corp 両面接着テープおよびその利用
JP2010180367A (ja) * 2009-02-06 2010-08-1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再剥離性両面粘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481A (ja) * 2003-12-18 2005-07-07 Nitto Denko Corp 積層シー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4587019B2 (ja) * 2003-12-24 2010-11-24 Dic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WO2007056471A2 (en) * 2005-11-09 2007-05-18 Madico, Inc. Flame retardant clear flims
JP4997816B2 (ja) * 2006-04-14 2012-08-0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紫外線遮断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利用
JP2009057550A (ja) 2007-08-06 2009-03-19 Hitachi Chem Co Ltd 粘着材
JP5049144B2 (ja) * 2008-01-22 2012-10-17 東洋紡績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を用いて製造される画像表示装置
WO2009126532A2 (en) 2008-04-11 2009-10-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paren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299666B2 (ja) 2008-06-10 2013-09-25 日立化成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耐衝撃フィルム
WO2010061834A1 (ja) * 2008-11-25 2010-06-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子保護用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525167B2 (ja) * 2009-02-26 2014-06-18 大王製紙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粘着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0229246A (ja) * 2009-03-26 2010-10-14 Daio Paper Corp 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929A (ja) * 2002-06-24 2004-01-29 Sharp Corp 両面接着テープおよびその利用
JP2010180367A (ja) * 2009-02-06 2010-08-1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再剥離性両面粘着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0465B2 (en) 2017-09-18 2020-04-1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11305A (ja) 2012-11-01
JP5952013B2 (ja) 2016-07-13
CN202595022U (zh) 2012-12-12
KR20120006849U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125Y1 (ko)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US9394465B2 (en) Transparen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249906B1 (ko) 화상 표시 장치
CN105524567B (zh) 双面带有粘合剂的光学薄膜及其卷曲抑制方法、以及使用其的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EP3093832B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628435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566060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WO2013108565A1 (ja)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TW202305081A (zh) 雙面黏著片材、含圖像顯示裝置構成用構件之積層體、積層體形成套組及雙面黏著片材之用途
KR20170104378A (ko) 광학용 점착 시트, 점착제층 구비 편광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566966B1 (ko) 광경화성 점착 시트,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 광경화성 점착 시트 적층체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패널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6030316B2 (ja)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用構成部材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90024606A (ko) 점착 시트, 표시체 및 표시체의 제조 방법
TW201302968A (zh) 壓感黏著劑機能膜及顯示裝置
KR20180001471A (ko) 광학용 점착 시트, 점착제층을 갖는 편광 필름 및 액정 표시 장치
JP5997347B2 (ja) 画像表示装置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これを用いた透明両面粘着シート付き画像表示装置用構成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947181B1 (ko) 경질 평면판 접합용 수지 시트, 그것을 이용한 적층체 및 해당 적층체의 용도
KR20200033313A (ko)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627869B1 (ko) 광경화성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0295013B (zh) 直接接合膜、显示体及显示体的制造方法
KR20150052074A (ko) 적층판 및 표면보호판
KR20180020869A (ko)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20230133296A (ko)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 시트, 이형 필름을 가지는 점착시트,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024265B1 (ko) 비산방지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