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869A -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869A
KR20180020869A KR1020170049049A KR20170049049A KR20180020869A KR 20180020869 A KR20180020869 A KR 20180020869A KR 1020170049049 A KR1020170049049 A KR 1020170049049A KR 20170049049 A KR20170049049 A KR 20170049049A KR 20180020869 A KR20180020869 A KR 20180020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meth
display body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106B1 (ko
Inventor
아키히라 와타나베
다카유키 아라이
사토루 쇼시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0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henols, e.g.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glycerol mono-(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6C6-(meth)acrylate, e.g. (cyclo)hexyl (meth)acrylate or phen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5Presence of polyester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 가스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은 표시체 구성 부재에 첩합(貼合)될 경우여도, 내(耐)블리스터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표시체, 그리고 그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와, 제2 표시체 구성 부재(22)를 첩합하기 위한 점착제층(11)을 구비한 점착 시트(1)로서, 점착제층(11)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로 구성되는 가교 구조를 가짐과 함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ADHESIVE SHEET, DISPLAY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貼合)하기 위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여 이루어지는 표시체, 그리고 그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등의 각종 모바일 전자 기기는, 액정 소자, 발광 다이오드(LED 소자),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유기 EL) 소자 등을 갖는 표시체 모듈을 사용한 표시체(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통상, 표시체 모듈의 표면측에 보호 패널이 마련되어 있다. 보호 패널과 표시체 모듈 사이에는, 외력에 의해 보호 패널이 변형됐을 때에도, 변형된 보호 패널이 표시체 모듈에 부딪치지 않도록, 공극(空隙)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극, 즉 공기층이 존재하면, 보호 패널과 공기층과의 굴절률차, 및 공기층과 표시체 모듈과의 굴절률차에 기인하는 광의 반사 손실이 커,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보호 패널과 표시체 모듈 사이의 공극을 점착제층에서 메움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자외선 가교성 부위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모노머의 (메타)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외선 가교성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보호 패널과 표시체 모듈 사이의 공극을 메우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표시체에 있어서는, 보호 패널과 표시체 모듈 사이의 공극을 메우는 것 이외에도 점착제층이 사용될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다관능 에폭시기 함유 유기 규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에 의해, 액정 셀과 편광판을 첩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11-184582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4-074097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표시체에서는, 내구 조건 하에서 점착제층에 문제가 생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고온 고습 조건을 실시했을 때에, 보호 패널인 수지판으로부터 아웃 가스가 발생하여, 기포, 들뜸, 벗겨짐 등의 블리스터가 발생하거나 할 경우가 있다.
특히, 차재용의 표시체에서는, 내구성이 요구되는 관점에서,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수지제 보호 패널이 사용되거나, 비용 삭감의 관점에서, 점착 시트가 첩합되는 측의 면에 있어서의 하드 코팅 처리가 생략된 수지제 보호 패널이 사용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보호 패널을 사용할 경우, 아웃 가스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아지기 때문에,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되는 종래의 점착 시트에서는, 블리스터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상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아웃 가스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은 표시체 구성 부재에 첩합될 경우여도, 내(耐)블리스터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표시체, 그리고 그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본 발명은,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로 구성되는 가교 구조를 가짐과 함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발명 1).
상기 발명(발명 1)에 따른 점착 시트에서는, 점착제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당해 점착제층을 통해 표시체 구성 부재끼리를 첩합한 후에, 당해 점착제층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당해 점착제층을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경화 후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표시체 구성 부재에 첩합되는 면의 근방에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열가교제(B)에 의해 가교되어 형성되는 삼차원 가교 구조에 대하여,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얽혀붙도록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경화 후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상기 면의 막(膜) 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더하여, 실란커플링제(E)에 의해,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끼리의 가교가 원활하게 진행되어, 경화 후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상기 면의 막 강도가 더 증강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 아웃 가스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은 표시체 구성 부재에 첩합될 경우여도,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1)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이상, 1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2).
상기 발명(발명 1, 2)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호모 폴리머로서의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의 하드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3).
상기 발명(발명 1∼3)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4).
상기 발명(발명 1∼4)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5).
상기 발명(발명 1∼5)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가, 두께 0.5㎜ 이상, 5㎜ 이하의 수지판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6).
상기 발명(발명 1∼6)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가, 적어도 첩합되는 측의 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지 않는 수지판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7).
상기 발명(발명 1∼7)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가, 2매의 박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2매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상기 박리 시트에 협지(挾持)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8).
제2 본 발명은,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을 도공하고, 열가교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발명 9).
제3 본 발명은,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서로 첩합하는 경화 후 점착제층을 구비한 표시체로서, 상기 경화 후 점착제층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로 구성되는 가교 구조를 가짐과 함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의 경화물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를 함유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를 제공한다(발명 10).
제4 본 발명은,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상기 점착 시트(발명 1∼8)의 점착제층을 통해 첩합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작하고,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경화 후 점착제층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발명 11).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시트는, 아웃 가스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은 표시체 구성 부재에 첩합될 경우여도,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체는,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그들 점착 시트 및 표시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착 시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는,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이다. 표시체 및 표시체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례로서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는, 2매의 박리 시트(12a, 12b)와, 그들 2매의 박리 시트(12a, 12b)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당해 2매의 박리 시트(12a, 12b)에 협지된 점착제층(11)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이란, 박리 시트에 있어서 박리성을 갖는 면을 말하고, 박리 처리를 실시한 면 및 박리 처리를 실시하지 않아도 박리성을 나타내는 면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1.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11)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로 구성되는 가교 구조를 가짐과 함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환언하면, 상기 점착제층(11)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이하 「점착성 조성물(P)」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열가교하여 이루어지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양쪽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 시트(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11)은, 점착성 조성물(P)을 열가교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당해 점착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로 구성되는 가교 구조(삼차원 망목(網目) 구조)를 갖는다. 한편,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은, 아직 경화하고 있지 않고, 점착성 조성물(P)에 배합된 그대로의 상태로 점착제 중에 존재한다. 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은, 점착 시트(1)의 사용시(피착체를 첩합한 후)에, 점착제층(11)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되었을 때에 중합하고 경화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에서는,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11)에 의해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한 후에,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 또는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통해 점착제층(11)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점착제층(11)을 경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에서는, 열가교에 의해 점착제층(11) 중에 형성된 가교 구조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더 경화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점착제층(11)은 비교적 높은 응집력을 갖는 것이 되는 결과,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에서는, 점착제층(11)이,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를 함유한다. 이들의 성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11) 또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그 경화물에 있어서의 표면의 밀도 및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점착 시트(1)가, 아웃 가스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은 표시체 구성 부재에 첩합될 경우여도,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달성할 수 있다.
(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열가교제(B)와 반응하는 반응성기를 분자 내에 갖는 반응성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응성기 함유 모노머 유래의 반응성기가 열가교제(B)와 반응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결과, 상기 삼차원 망목 구조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상기 반응성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수산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분자 내에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열가교제(B)와의 반응성이 우수하고, 피착체에의 악영향이 적은 수산기 함유 모노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비교적 낮아도, 원하는 응집력이 발휘되는 관점에서는,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에 있어서의 수산기의 열가교제(B)와의 반응성 및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성의 점에서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및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이 바람직하고, 특히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시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의 열가교제(B)와의 반응성 및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성의 점에서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n-부틸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하한치로서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2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상한치로서 3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 양으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면, 얻어지는 점착제에 있어서 양호한 가교 구조가 형성됨과 함께, 점착제 중에, 소정량의 수산기가 잔존하게 된다. 수산기는 친수성기이며, 그와 같은 친수성기가 소정량 점착제 중에 존재하면, 점착제가 고온 고습 조건 하에 놓였을 경우에도, 그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점착제에 침입한 수분과의 상용성(相溶性)이 좋고, 그 결과, 상온 상습으로 되돌아갔을 때의 점착제의 백화(白化)가 억제되게 된다(내(耐)습열백화성이 우수함).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할 경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하한치로서 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상한치로서 3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 양으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면, 얻어지는 점착제에 있어서 양호한 가교 구조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것도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는 산(酸) 성분이기 때문에,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지 않음으로써, 점착제의 첩부(貼付) 대상으로, 산에 의해 불량이 생기는 것, 예를 들면 주석 도프 산화인듐(ITO) 등의 투명 도전막이나 금속막 등이 존재할 경우에도, 산에 의한 그들의 불량(부식, 저항치 변화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단, 이러한 불량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소정량 함유하는 것은 허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중에,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5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허용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함으로써, 바람직한 점착성을 발현할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n-펜틸, (메타)아크릴산n-헥실,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n-데실, (메타)아크릴산n-도데실, (메타)아크릴산미리스틸, (메타)아크릴산팔미틸, (메타)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8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n-부틸 또는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4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6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40질량% 이상 함유하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에 호적(好適)한 점착성을 부여시킬 수 있다.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9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7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을 90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중에 다른 모노머 성분을 원하는 양 도입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모노머(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는 벌키(bulky)하기 때문에, 이를 중합체 중에 존재시킴으로써, 중합체끼리의 간격을 넓히는 것으로 추정되어, 얻어지는 점착제를 유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적어도 한쪽의 면에 단차(段差)를 갖는 표시체 구성 부재에 있어서의, 당해 면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를 첩부할 경우여도, 첩부시에 당해 단차에 양호하게 추종할 수 있다(초기의 단차 추종성이 우수함).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가, 수지판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에 있어서의 지환식 구조의 탄소환은, 포화 구조인 것이어도 되고, 불포화 결합을 일부에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지환식 구조는, 단환의 지환식 구조여도 되고, 2환, 3환 등의 다환의 지환식 구조여도 된다. 얻어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상호간의 거리를 넓혀, 점착제의 유연성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지환식 구조는, 다환의 지환식 구조(다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상기 다환 구조는, 2환 내지 4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점착제의 유연성의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지환식 구조의 탄소수(환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의 모든 탄소수를 말하고, 복수의 환이 독립하여 존재할 경우에는, 그 합계의 탄소수를 말함)는, 통상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지환식 구조의 탄소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용성의 관점에서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실 골격,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 아다만탄 골격, 이소보르닐 골격, 시클로알칸 골격(시클로헵탄 골격, 시클로옥탄 골격, 시클로노난 골격, 시클로데칸 골격, 시클로운데칸 골격, 시클로도데칸 골격 등), 시클로알켄 골격(시클로헵텐 골격, 시클로옥텐 골격 등), 노르보르넨 골격, 노르보르나디엔 골격, 쿠반 골격, 바스케테인 골격, 하우산 골격, 스피로 골격 등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지환식 구조의 탄소수: 10), 아다만탄 골격(지환식 구조의 탄소수: 10) 또는 이소보르닐 골격(지환식 구조의 탄소수: 7)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소보르닐 골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로서는, 상기 골격을 포함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산아다만틸, (메타)아크릴산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 (메타)아크릴산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하는, (메타)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산아다만틸 또는 (메타)아크릴산이소보르닐이 바람직하고, 특히 (메타)아크릴산이소보르닐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할 경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3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8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3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의 초기의 단차 추종성이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성기 함유 모노머로서 예시한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는, 당해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부터 제외되는 것으로 한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구성 단위로서 중합체 중에 존재시킴으로써,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와의 반응을 촉진시키거나, 점착제에 극성을 부여하여, 유리 표면 등의 극성 표면에의 점착제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제3급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 아미드기를 갖는 모노머,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N-(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2-피롤리돈, N-(메타)아크릴로일피롤리돈, N-(메타)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타)아크릴로일피롤리딘, N-(메타)아크릴로일아지리딘, 아지리디닐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2-비닐피라진, 1-비닐이미다졸, N-비닐카르바졸, N-비닐프탈이미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유리 표면 등의 극성 표면에의 밀착성에 더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도 향상시켜, 내블리스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N-(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이 바람직하고, 특히 N-아크릴로일모르폴린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모노머 이외의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N-tert-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페닐(메타)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탐, (메타)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함유할 경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4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얻어지는 점착제의 유리 표면 등의 극성 표면에의 밀착력이 효과적으로 향상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소요에 따라,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다른 모노머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모노머로서는,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에톡시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중합 태양은,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하한치로서 1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치가 상기 이상이면,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효과적으로 향상하여, 내블리스터성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상한치로서 1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5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7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상한치가 상기 이하이면, 얻어지는 점착제의 단차 추종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P)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2) 열가교제(B)
열가교제(B)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P)을 가열하면, 열가교제(B)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를 가교하고, 삼차원 망목 구조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점착제의 응집력이 향상한다.
상기 열가교제(B)로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갖는 반응성기와 반응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히드라진계 가교제, 알데히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암모늄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갖는 반응성기가 수산기일 경우, 수산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갖는 반응성기가 카르복시기일 경우, 카르복시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에폭시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교제(B)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적어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 및 그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더욱이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산기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특히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릴렌디아민,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르복시기와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P) 중에 있어서의 열가교제(B)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함유량은,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0.4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교제(B)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가 충분한 유연성을 가지면서, 양호한 응집력을 발휘하는 점착제층(11)을 얻기 쉬워진다.
(3)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
점착성 조성물(P)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을 함유하면, 당해 점착성 조성물(P)을 열가교하여 이루어지는 경화 전의 점착제를,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켰을 때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이 서로 중합하고, 그 중합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가교 구조(삼차원 망목 구조)에 얽혀붙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고차 구조를 갖는 점착제는, 응집력이 높고, 비교적 높은 탄성율을 나타내기 때문에,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고, 상기 효과가 얻어지는 성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그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등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A디아크릴레이트,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의 2관능형;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디글리세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블리스터성의 관점에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특히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의 상용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으로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0∼5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000∼4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으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기가 측쇄에 도입된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분자 내에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당해 공중합체의 가교성 관능기의 일부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만∼90만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만∼50만 정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은, 상술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어덕트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그들 이외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점착성 조성물(P) 중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의 함유량은,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켜 내블리스터성을 우수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하한치로서 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A)와 상(相)분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한치로서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내블리스터성을 보다 좋게 하는 관점을 가미하면,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4)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에 있어서, 점착성 조성물(P)이,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를 실란커플링제(E)와 함께 함유함으로써, 점착제층(11) 또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그 경화물에 있어서, 유연성 등의 점착제의 그 외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점착제층(11) 또는 그 경화물의 표면의 밀도 및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아웃 가스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은 표시체 구성 부재에 점착 시트(1)가 첩합될 경우여도,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달성할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알콕시실릴기를 포함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밀도 및 강도를 향상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알콕시실릴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아크릴로일기의 중합 반응에 기인하는 골격을 포함하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점착성 조성물(P)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의 상용성이 비교적 높은 것이 된다. 이에 따라,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표시체 구성부에 첩합되는 면의 근방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로 구성되는 삼차원 망목 구조에 대하여,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얽히기 쉬운 것이 되어, 상기 면의 근방에 있어서의 삼차원 망목 구조의 망목이 보다 세밀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 결과,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달성하기 쉬워진다.
상기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알콕시실릴기를 포함하는 중합 가능한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알콕시실릴기의 예로서는, 트리메톡시실릴기, 트리에톡시실릴기, 트리프로폭시실릴기, 트리이소프로폭시실릴기, 트리부톡시실릴기, 트리이소부톡시실릴기, 트리-sec-부톡시실릴기, 트리-tert-부톡시실릴기 등의 트리알콕시실릴기; 디메톡시메틸실릴기, 디에톡시메틸실릴기, 디프로폭시메틸실릴기, 디이소프로폭시메틸실릴기, 디메톡시에틸실릴기, 디에톡시에틸실릴기, 디프로폭시에틸실릴기, 디이소프로폭시에틸실릴기, 디메톡시페닐실릴기 등의 디알콕시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가 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중합성 불포화기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의 구체예로서는, 2-(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프로폭시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부톡시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이소부톡시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sec-부톡시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트리-tert-부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이소부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sec-부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tert-부톡시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디메톡시메틸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디에톡시메틸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디메톡시에틸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디에톡시에틸실란, 3-(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2-(메타)아크릴옥시에틸디메톡시페닐실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실란커플링제(E)를 통하는 것에 의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끼리의 가교를 원활하게 하는 관점에서,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할 경우,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를,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를, 7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4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를 상기 범위에서 포함함으로써, 점착제층(11)의 표면의 밀도 및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호모 폴리머로서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70℃ 이상의 하드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이와 같은 하드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보다 향상하여, 내블리스터성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는, 특히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는,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Tg 105℃), 아크릴산이소보르닐(Tg 94℃),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Tg 180℃), 아크릴로일모르폴린(Tg 145℃), 아크릴산아다만틸(Tg 115℃), 메타크릴산아다만틸(Tg 141℃), 디메틸아크릴아미드(Tg 89℃), 아크릴아미드(Tg 165℃)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하드 모노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의 상용성 등의 다른 특성에의 악영향을 방지하면서 하드 모노머의 성능을 보다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산이소보르닐 및 아크릴로일모르폴린이 보다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 하드 모노머를 포함할 경우,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 하드 모노머를, 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기 하드 모노머를, 6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4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상기 하드 모노머를 상기 범위에서 포함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의 표면의 밀도 및 강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는 벌키하기 때문에, 이를 폴리머 중에 존재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삼차원 망목 구조의 망목을 당해 폴리머에 의해 효과적으로 메울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 결과, 얻어지는 점착제의 내블리스터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로서 상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여기에 있어서의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는, 상술한 하드 모노머에 해당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특히,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에 포함되는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로서는, 점착제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삼차원 망목 구조의 망목을,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에 의해 효과적으로 메운다는 관점에서,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운 표면의 강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 특히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할 경우,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6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4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를 상기 범위에서 포함함으로써, 점착제층의 표면의 밀도 및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열가교제(B), 실란커플링제(E) 등과 반응하는 반응성기를 분자 내에 갖는 반응성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로 구성되는 삼차원 망목 구조나 실란커플링제(E)에, 당해 반응성기를 통해 공유 결합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그 결과, 당해 삼차원 망목 구조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에 포함되는 반응성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에 포함되는 모노머로서 상술한 모노머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산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열가교제(B), 실란커플링제(E) 등과의 반응성이 우수하고, 피착체에의 악영향이 적은 수산기 함유 모노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에 포함되는 모노머로서 상술한 모노머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열가교제(B), 실란커플링제(E) 등과의 반응성 및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성의 관점에서,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이 바람직하고, 특히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할 경우,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2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8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3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상기 범위에서 포함함으로써, 상기 삼차원 망목 구조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에 포함되는 모노머로서 상술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n-부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할 경우,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당해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1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당해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4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5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소요에 따라,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다른 모노머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모노머로서는,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에톡시에틸 등의 (메타)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모노머 중에서도,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로서의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상술한 하드 모노머로서의 메타크릴산메틸,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로서의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의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의 아크릴산n-부틸로 이루어지는 5종의 모노머 중 적어도 1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로서의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상술한 하드 모노머로서의 메타크릴산메틸 및 지환식 구조 함유 모노머로서의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로 이루어지는 3종의 모노머 중 적어도 1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블리스터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5종의 모노머 중 적어도 1개를 함유하는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산메틸 및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을 구성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폴리머(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D1」이라고 칭해지는 폴리머),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및 아크릴산n-부틸을 구성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폴리머(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D2」라고 칭해지는 폴리머), 그리고,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및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을 구성 모노머 단위로서 함유하는 폴리머(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D3」이라고 칭해지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의 중합 태양은,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3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8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점착제층으로부터의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블리스터성을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P)에 있어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점착성 조성물(P) 중에 있어서의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0.3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함유량은,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함유량이 0.01질량부 이상임으로써, 내블리스터성의 효과를 얻기 쉬워진다. 또한, 당해 함유량이 10질량부 이하임으로써, 헤이즈치의 상승 등을 방지할 수 있다.
(5) 실란커플링제(E)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에 있어서, 점착성 조성물(P)이, 실란커플링제(E)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함께 함유함으로써,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간의 가교가 촉진되어, 점착제층 표면의 막 강도가 효과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점착제층의 내블리스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아웃 가스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은 표시체 구성 부재에 점착 시트(1)가 첩합될 경우여도,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란커플링제(E)의 분자량은,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분자량은, 1만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커플링제(E)의 분자량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얻기 쉬워진다.
실란커플링제(E)로서는, 분자 내에 알콕시실릴기를 적어도 1개 갖는 유기 규소 화합물로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의 상용성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란커플링제(E)는, 광 투과성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란커플링제(E)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148.2), 비닐트리에톡시실란(분자량: 190.3),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248.4)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236.3),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246.4)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196.4), 3-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분자량: 238.4), 3-메르캅토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분자량: 180.3)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179.3),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222.4),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분자량: 206.4)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198.7),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분자량: 247.4), 혹은 이들 중 적어도 1개와, 메틸트리에톡시실란(분자량: 178.3), 에틸트리에톡시실란(분자량: 192.3), 메틸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136.2), 에틸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150.3) 등의 알킬기 함유 규소 화합물과의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삼차원 망목 구조를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236.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점착성 조성물(P) 중에 있어서의 실란커플링제(E)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0.2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함유량은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함유량이 0.01질량부 이상임으로써,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의 조합에 있어서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얻기 쉬워진다. 또한, 당해 함유량이 5질량부 이하임으로써, 헤이즈치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6) 광중합개시제(F)
경화 전 점착제를 경화시킬 때에, 경화 전 점착제에 대하여 조사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점착성 조성물(P)은, 또한 광중합개시제(F)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중합개시제(F)를 함유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을 효율 좋게 중합시킬 수 있고, 또한 중합 경화 시간 및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중합개시제(F)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셔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판 너머로, 경화 전 점착제에 대하여 자외선 조사를 행했을 경우여도, 효과적으로 경화 반응을 개시시키는 관점에서, 농도 0.1질량%의 아세토니트릴 용액에 있어서 370㎚∼410㎚ 사이에 적어도 1개의 흡수 극대 파장을 갖는 광중합개시제(F)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광중합개시제(F)로서는, 예를 들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점착성 조성물(P) 중에 있어서의 광중합개시제(F)의 함유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 100질량부에 대하여, 하한치로서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치로서 3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7) 각종 첨가제
점착성 조성물(P)에는, 소요에 따라, 아크릴계 점착제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자외선 흡수제, 대전(帶電) 방지제, 점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연화제, 충전제, 굴절률 조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중합 용매나 희석 용매는, 점착성 조성물(P)을 구성하는 첨가제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8) 점착성 조성물의 제조
점착성 조성물(P)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를 제조하고, 얻어진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를 혼합함과 함께, 소요에 따라, 광중합개시제(F) 및/또는 첨가제를 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는,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혼합물을 통상의 라디칼 중합법으로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중합은, 소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용액 중합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중합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톨루엔, 아세톤, 헥산,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조계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아조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 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벤조에이트,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디프로피오닐퍼옥사이드, 디아세틸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2-메르캅토에탄올 등의 연쇄 이동제를 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얻어진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열가교제(B)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과, 실란커플링제(E)와, 소요에 따라 광중합개시제(F), 첨가제를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점착성 조성물(P)을 얻을 수 있다.
(9) 점착제층의 형성
점착제층(11)은, 점착성 조성물(P)을 열가교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점착성 조성물(P)의 가교는, 가열 처리에 의해 행한다. 또한, 이 가열 처리는, 점착성 조성물(P)의 도포 후의 건조 처리로 겸할 수도 있다.
가열 처리의 가열 온도는 5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7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시간은 10초∼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초∼2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처리 후, 상온(예를 들면 23℃, 50% RH)에서 1∼2주일 정도의 양생 기간을 마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처리(및 양생)에 의해, 열가교제(B)를 통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양호하게 가교된다.
점착제층(11)의 두께(JIS K7130에 준하여 측정한 값)는, 하한치로서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11)의 두께의 하한치가 10㎛ 이상이면, 원하는 점착력을 발휘하기 쉽다. 또한, 점착제층(11)의 두께의 하한치가 30㎛ 이상이면, 적어도 한쪽의 면에 단차를 갖는 표시체 구성 부재에 있어서의, 당해 면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를 첩부할 경우여도, 당해 단차에 대하여 충분한 단차 추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11)의 두께는, 상한치로서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11)의 두께의 상한치가 상기 이하이면, 가공성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한, 점착제층(11)은 단층으로 형성해도 되고, 복수층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2. 박리 시트
박리 시트(12a, 12b)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필름,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가교 필름도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 박리 시트(12a, 12b)의 박리면(특히 점착제층(11)과 접하는 면)에는, 박리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처리에 사용되는 박리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키드계, 실리콘계, 불소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왁스계의 박리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시트(12a, 12b) 중, 한쪽의 박리 시트를 박리력이 큰 중(重)박리형 박리 시트로 하고, 다른 쪽의 박리 시트를 박리력이 작은 경(輕)박리형 박리 시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시트(12a, 12b)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20∼150㎛ 정도이다.
3. 점착 시트의 제조
점착 시트(1)의 일 제조예로서는, 한쪽의 박리 시트(12a)(또는 12b)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P)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행하여 점착성 조성물(P)을 열가교하고, 도포층을 형성한 후, 그 도포층에 다른 쪽의 박리 시트(12b)(또는 12a)의 박리면을 중첩한다.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생 기간을 둠으로써,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대로, 상기 도포층이 점착제층(11)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착 시트(1)가 얻어진다. 가열 처리 및 양생의 조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점착 시트(1)의 다른 제조예로서는, 한쪽의 박리 시트(12a)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P)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행하여 점착성 조성물(P)을 열가교하고, 도포층을 형성하여, 도포층이 부착된 박리 시트(12a)를 얻는다. 또한, 다른 쪽의 박리 시트(12b)의 박리면에, 상기 점착성 조성물(P)의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행하여 점착성 조성물(P)을 열가교하고, 도포층을 형성하여, 도포층이 부착된 박리 시트(12b)를 얻는다. 그리고, 도포층이 부착된 박리 시트(12a)와 도포층이 부착된 박리 시트(12b)를, 양(兩)도포층이 서로 접촉하도록 첩합한다.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양생 기간을 둠으로써,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대로, 상기 적층된 도포층이 점착제층(11)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점착 시트(1)가 얻어진다. 이 제조예에 의하면, 점착제층(11)이 두꺼울 경우여도,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점착성 조성물(P)의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바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롤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다이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표시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체(2)는,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제2 표시체 구성 부재(22)(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와,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 및 제2 표시체 구성 부재(22)를 서로 첩합하는 경화 후 점착제층(1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에 있어서의, 경화 후 점착제층(11')측의 면에 인쇄층(3)에 의한 단차가 마련되어 있지만, 당해 인쇄층(3)은 생략되어도 된다.
상기 표시체(2)에 있어서의 경화 후 점착제층(11')은, 상술한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11)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킨 것이다. 이 경화 후 점착제층(11')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로 구성되는 가교 구조를 가짐과 함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의 경화물(중합물)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를 함유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진다. 중합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로 구성되는 삼차원 망목 구조에 얽혀붙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경화 후 점착제층(11')에 있어서의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 및 제2 표시체 구성 부재(22)와 접하는 면의 근방에서는,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상기 삼차원 가교 구조에 얽혀붙고, 이에 따라, 당해 면에 있어서의 막 밀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실란커플링제(E)는,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끼리의 가교를 원활하게 진행시켜, 당해 면에 있어서의 막 강도도 더 증강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 및 실란커플링제(E)의 일부는, 경화 후 점착제층(11') 중에 있어서, 그대로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의 실릴기와 실란커플링제(E) 사이에 있어서의 가수 분해 축합에 의해, 새로운 화학 결합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더욱이는 당해 결합을 통해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끼리 가교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실란커플링제(E)를 통하지 않고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끼리 직접 가수 분해 축합함으로써 가교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 또는 실란커플링제(E)가 갖는 실릴기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갖는 반응성기 사이에 있어서의 가수 분해 축합 반응에 의해, 새로운 화학 결합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 또는 실란커플링제(E)가 갖는 실릴기와, 피착체 표면의 반응성기 사이에 있어서의 가수 분해 축합 반응에 의해 화학 결합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체(2)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LCD)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유기 EL)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고,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체(2)로서는, 그들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재여도 된다.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의 재료로서는, 유리판, 수지판 등이면 되지만, 특히 수지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는, 유리판, 수지판 등을 포함하는 적층체여도 된다. 이 경우, 당해 적층체는, 적어도 경화 후 점착제층(11')과 접하는 층으로서 수지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화 후 점착제층(11')에 대하여 수지판이 직접 적층될 경우여도, 경화 후 점착제층(11')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11)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달성할 수 있다.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는, 두께 0.5㎜ 이상, 5㎜ 이하의 수지판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로서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갖는 수지판을 사용하고,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로부터의 아웃 가스의 발생이 비교적 많은 것이 예상될 경우여도, 경화 후 점착제층(11')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11)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판의 두께는, 특히 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당해 두께는, 특히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는, 적어도 경화 후 점착제층(11')과 접하는 면(점착 시트(1)가 첩합되는 측의 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지 않는 수지판이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표면에 하드 코트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수지판에서는, 당해 표면으로부터의 아웃 가스의 발생이 비교적 많아지지만, 이와 같은 수지판을 사용할 경우여도, 경화 후 점착제층(11')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11)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달성할 수 있다.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는, 보호 패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에 있어서의 경화 후 점착제층(11')측에, 인쇄층(3)이 액자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 특히 보호 패널로서의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는,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표시체(2)는 내광성이 우수한 것이 되고, 제조 후의 표시체(2)에 대하여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측으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었다고 해도, 경화 후 점착제층(11') 및 그 하층의 제2 표시체 구성 부재(22)의 열화(劣化)가 억제된다.
상기 수지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크릴판,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학 강화 유리, 무알칼리 유리, 석영 유리, 소다라임 유리, 바륨·스트론튬 함유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납 유리, 붕규산 유리, 바륨붕규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리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0.1∼5㎜이며, 바람직하게는 0.2∼2㎜이다.
또한, 상기 유리판이나 수지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는, 각종의 기능층(투명 도전막, 금속층, 실리카층, 방현층(防眩層) 등)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광학 부재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투명 도전막 및 금속층이 패터닝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능층으로서 상술한 하드 코트층도 마련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하드 코트층은,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에 있어서의 경화 후 점착제층(11')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표시체 구성 부재(22)는,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에 첩부되어야 할 광학 부재, 표시체 모듈(예를 들면 액정(LCD) 모듈,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유기 EL) 모듈 등), 표시체 모듈의 일부로서의 광학 부재, 또는 표시체 모듈을 포함하는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비산(飛散) 방지 필름, 편광판(편광 필름), 편광자, 위상차판(위상차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콘트라스트 향상 필름, 액정 폴리머 필름, 확산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투명 도전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비산 방지 필름으로서는, 기재 필름의 편면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하드 코팅 필름 등이 예시된다.
인쇄층(3)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쇄용인 공지의 재료가 사용된다. 인쇄층(3)의 두께, 즉 단차의 높이의 하한치는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한치가 상기 이상임으로써, 전기 배선을 시인자측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하는 등의 은폐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한치가 상기 이하임으로써, 당해 인쇄층(3)에 대한 경화 후 점착제층(11')의 단차 추종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체(2)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례로서, 점착 시트(1)의 한쪽의 박리 시트(12a)를 박리하여, 점착 시트(1)의 노출된 점착제층(11)을,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의 한쪽의 면에 첩합한다. 그 다음에, 점착 시트(1)의 점착제층(11)으로부터 다른 쪽의 박리 시트(12b)를 박리하여, 점착 시트(1)의 노출된 점착제층(11)과 제2 표시체 구성 부재(22)를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 및 제2 표시체 구성 부재(22)의 첩합 순서를 교체해도 된다.
그 후, 상기 적층체 내의 점착제층(11)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점착제층(11) 중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이 중합하고, 점착제층(11)이 경화하여 경화 후 점착제층(11')이 된다. 점착제층(11)에 대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통상,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 또는 제2 표시체 구성 부재(22) 중 어느 한쪽 너머로 행하고, 바람직하게는, 보호 패널로서의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 너머로 행한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이란,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에서 에너지 양자(量子)를 갖는 것을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도, 취급이 용이한 자외선이 특히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퓨전 H 램프, 제논 램프 등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자외선의 조사량은, 조도가 50∼1000mW/㎠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량은, 50∼10000mJ/㎠인 것이 바람직하고, 80∼5000mJ/㎠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2000mJ/㎠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의 조사는, 전자선 가속기 등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전자선의 조사량은, 10∼1000krad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상의 표시체(2)에 있어서는, 경화 후 점착제층(11')이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표시체(2)가 고온 고습 조건 하(예를 들면 85℃, 85% RH, 72시간)에 놓여, 수지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체 구성 부재로부터 아웃 가스가 발생한 경우에도, 경화 후 점착제층(11')과 표시체 구성 부재(21, 22)와의 계면에 있어서 기포, 들뜸, 벗겨짐 등의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특히, 표시체 구성 부재(21, 22)가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수지판이거나, 경화 후 점착제층(11')과 접하는 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지 않는 수지판이었다고 해도, 블리스터의 발생이 양호하게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재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면 점착 시트(1)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12a, 12b) 중 어느 한쪽은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는, 인쇄층(3) 이외의 단차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단차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더욱이는, 제1 표시체 구성 부재(21)뿐만 아니라, 제2 표시체 구성 부재(22)도 경화 후 점착제층(11')측에 단차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의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조제예 1〕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0질량부, 메타크릴산메틸 3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40질량부를 공중합시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1)를 조제했다. 이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1)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Mw) 5만이었다.
〔조제예 2〕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0질량부, 메타크릴산메틸 30질량부,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20질량부, 및 아크릴산n-부틸 20질량부를 공중합시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2)를 조제했다. 이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2)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Mw) 5만이었다.
〔조제예 3〕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0질량부, 메타크릴산메틸 30질량부,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30질량부, 및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 10질량부를 공중합시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3)를 조제했다. 이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3)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Mw) 5만이었다.
〔실시예 1〕
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조제
아크릴산2-에틸헥실 65질량부, 아크릴산이소보르닐 10질량부,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10질량부, 및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15질량부를 공중합시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를 조제했다. 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바, 중량 평균 분자량(Mw) 50만이었다.
2. 점착성 조성물의 조제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100질량부(고형분 환산치; 이하 동일)와, 열가교제(B)로서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0.2질량부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으로서의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5.0질량부와, 조제예 1에서 조제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1) 0.5질량부와, 실란커플링제(E)로서의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분자량: 236.3) 0.3질량부와, 광중합개시제(F)로서의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0.5질량부를 혼합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메틸에틸케톤으로 희석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50질량%의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3. 점착 시트의 제조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중박리형 박리 시트(린텍사제, 제품명 「SP-PET752150」)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했다. 그 후, 90℃에서 1분간 가열 처리하여 도포층을 형성했다.
그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중박리형 박리 시트상의 도포층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편면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박리 처리한 경박리형 박리 시트(린텍사제, 제품명 「SP-PET382120」)를, 당해 경박리형 박리 시트의 박리 처리면이 도포층에 접촉하도록 첩합하고,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7일간 양생함으로써, 두께 50㎛의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 즉, 중박리형 박리 시트/점착제층(두께: 50㎛)/경박리형 박리 시트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작했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는, JIS K7130에 준거하여, 정압 두께 측정기(테크로크사제, 제품명 「PG-02」)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여기에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를 100질량부(고형분 환산치)로 했을 경우의 점착성 조성물의 각 배합(고형분 환산치)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기재된 약호 등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2EHA: 아크릴산2-에틸헥실
IBXA: 아크릴산이소보르닐
ACMO: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HEA: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실시예 2∼3, 비교예 1∼2〕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의 종류 및 배합량, 그리고 실란커플링제(E)의 배합량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점착 시트를 제조했다.
여기에서, 상술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GPC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측정 조건>
·GPC 측정 장치: 도소사제, HLC-8020
·GPC 칼럼(이하의 순으로 통과): 도소사제
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 (×2)
TSK gel G2000HXL
·측정 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
·측정 온도: 40℃
〔시험예 1〕(내블리스터성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편면에 주석 도프 산화인듐(ITO)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이 마련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오이케고교사제, ITO 필름, 두께: 125㎛)의 투명 도전막과, 수지판 1로서의, 폴리메타크릴산메틸층 및 폴리카보네이트층을 갖고, 폴리카보네이트층측의 면에 하드 코트층이 마련된 수지판(미쓰비시가스가가쿠사제, 제품명 「유피론·시트 MR-58U」, 두께: 1.0㎜)의 하드 코트층이 존재하는 측의 면으로 사이에 끼워, 이를 샘플 1로 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상기 ITO 필름의 투명 도전막과, 수지판 2로서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단층으로 이루어지고, 하드 코트층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수지판(테이진 가부시키가이샤제, 제품명 「판라이트 PC1151」, 두께: 2.0㎜)으로 사이에 끼워, 이를 샘플 2로 했다.
얻어진 샘플 1 및 샘플 2를, 50℃, 0.5㎫의 조건 하에서 30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하고, 상압, 23℃, 50% RH에서 24시간 방치했다.
얻어진 샘플 1 및 샘플 2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대하여, 각각 수지판 1 및 수지판 2 너머로 하기의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고,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경화 후 점착제층으로 했다.
<자외선 조사 조건>
·고압 수은 램프 사용
·조도 200mW/㎠, 광량 2000mJ/㎠
·UV 조도·광량계는 아이그라픽스사제 「UVPF-A1」을 사용
점착제층을 경화시킨 샘플 1 및 샘플 2를, 85℃, 85% RH의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72시간 보관했다. 그 후, 경화 후 점착제층과 각각의 수지판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상태를 목시(目視)에 의해 확인했다. 그리고, 다음 5단계의 기준에 의해 내블리스터성을 평가했다. 즉, 기포, 기포 자국 또는 들뜸·벗겨짐이 전체적으로로 발생하고 있을 경우를 「1」로 하고, 발생의 정도가 저하함에 따라서, 순서대로 「2」, 「3」 및 「4」로 하고, 또한, 기포, 기포 자국 또는 들뜸·벗겨짐이 발생하고 있지 않을 경우를 「5」로 했다. 당해 평가에 있어서는, 「4」 및 「5」가 내블리스터성이 양호하다고 판단된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2〕(단차 추종성의 평가)
유리판(NSG 프래시죤사제, 제품명 「코닝가라스 이글 XG」, 종 90㎜×횡 50㎜×두께 0.5㎜)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형 잉크(테이코쿠잉키사제, 제품명 「POS-911묵(墨)」)를 액자 테두리 형상(외형: 종 90㎜×횡 50㎜, 폭 5㎜)으로 스크린 인쇄했다. 그 다음에, 자외선을 조사(80W/㎠, 메탈할라이드 램프 2등, 램프 높이 15㎝, 벨트 스피드 10∼15m/분)하여, 인쇄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를 경화시켜, 인쇄에 의한 단차(단차의 높이: 30㎛)를 갖는 단차 부착 유리판을 제작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로부터 양측의 박리 시트를 벗겨, 얻어진 점착제층의 한쪽의 면에 대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도요보사제, 제품명 「PET A4300」, 두께: 100㎛)의 이접착층(易接着層)측의 면을 첩부함과 함께, 당해 점착제층의 다른 쪽의 면에 대하여, 상기 단차 부착 유리판의 단차를 갖는 면을, 점착제층이 액자 테두리 형상의 인쇄 전면(全面)을 덮도록 첩부한 후, 라미네이터(후지프라사제, 제품명 「LPD3214」)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했다. 그 후, 50℃, 0.5㎫의 조건 하에서 30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했다.
다음으로, PET 필름 너머로, 하기의 자외선 조사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고, 당해 점착제층을 경화시켰다.
<자외선 조사 조건>
·아이그라픽스사제 UV 컨베이어 장치 사용
·조도 200mW/㎠, 광량 2000mJ/㎠
·UV 조도·광량계는 아이그라픽스사제 「UVPF-36」을 사용
상기한 바와 같이 경화한 점착제층을 갖는 적층체를, 85℃, 85% RH의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72시간 보관했다. 그 후, 점착제층(특히 인쇄층에 의한 단차의 근방)에 기포가 없는지의 여부를 목시에 의해 확인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의 단차 추종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기포가 전혀 없었다.
○: 10개 이하의 기포가 보였다.
×: 11개 이상의 기포가 보였다.
〔시험예 3〕(내습열백화성의 평가)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의 경화 전 점착제층을 두께 1.1㎜의 무알칼리 유리 2매로 사이에 끼워, 적층체를 얻었다. 그리고, 실시예의 적층체에 대해서는, 한쪽의 유리 너머로 시험예 1과 같은 자외선 조사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 전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점착제층으로 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샘플을, 85℃, 85% RH의 조건 하에서 120시간 보관했다. 그 후, 23℃, 50% RH의 상온 상습으로 되돌려, 목시에 의해 이하의 기준에 의해 백화의 유무를 확인하고, 내습열백화성을 평가함과 함께, 점착제층의 헤이즈치(%) 및 전(全)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헤이즈치(%) 및 전광선 투과율(%)은, 샘플을 상온 상습으로 되돌리고 나서 30분 이내에, 헤이즈 미터(니혼덴쇼쿠고교사제, 제품명 「NDH2000」)를 사용하여, JIS K7136:2000에 준하여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상온 상습으로 되돌려도 백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는 일부 백화했지만, 30분 이내에 소실됐다.
×: 전체적으로 백화했다. 또는 일부 백화한 후, 상온 상습 하에서 보관해도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았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은, 수지판 1에 첩합되었을 경우에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은, 당해 점착제가 첩합되는 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지 않고,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수지판 2에 첩합되었을 경우여도, 우수한 내블리스터성을 나타냈다.
본 발명의 점착 시트는, 예를 들면 아웃 가스의 발생량이 비교적 많은 보호 패널과, 원하는 표시체 구성 부재와의 첩합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점착 시트
11: 점착제층
12a, 12b: 박리 시트
2: 표시체
11': 경화 후 점착제층
21: 제1 표시체 구성 부재
22: 제2 표시체 구성 부재
3: 인쇄층

Claims (11)

  1.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貼合)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로 구성되는 가교 구조를 가짐과 함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
    를 함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 이상, 10만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가, 당해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호모 폴리머로서의 유리 전이 온도가 70℃ 이상의 하드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가, 두께 0.5㎜ 이상, 5㎜ 이하의 수지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가, 적어도 첩합되는 측의 면에 하드 코트층을 갖지 않는 수지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가, 2매의 박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2매의 박리 시트의 박리면과 접하도록 상기 박리 시트에 협지(挾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9.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첩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
    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을 도공하고, 열가교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10.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상기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서로 첩합하는 경화 후 점착제층
    을 구비한 표시체로서,
    상기 경화 후 점착제층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열가교제(B)로 구성되는 가교 구조를 가짐과 함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C)의 경화물과,
    알콕시실릴기 함유 폴리머(D)와,
    실란커플링제(E)
    를 함유하는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
  11. 하나의 표시체 구성 부재와 다른 표시체 구성 부재를, 제1항에 기재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을 통해 첩합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작하고,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점착제층을 경화시켜 경화 후 점착제층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체의 제조 방법.
KR1020170049049A 2016-08-19 2017-04-17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2318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1331A JP6676501B2 (ja) 2016-08-19 2016-08-19 粘着シート、表示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JP-P-2016-161331 2016-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869A true KR20180020869A (ko) 2018-02-28
KR102318106B1 KR102318106B1 (ko) 2021-10-28

Family

ID=6124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049A KR102318106B1 (ko) 2016-08-19 2017-04-17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76501B2 (ko)
KR (1) KR102318106B1 (ko)
CN (1) CN108300385B (ko)
TW (1) TWI7347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718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성 보호 필름, 이를 위한 점착 시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5938B (zh) * 2021-05-10 2022-06-24 宁波大榭开发区综研化学有限公司 一种环保耐低湿丙烯酸酯类胶粘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6122A (ko) * 2004-12-15 2007-08-27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JP2011184582A (ja) 2010-03-09 2011-09-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4074097A (ja) 2012-10-03 2014-04-24 Shin Etsu Chem Co Ltd 多官能エポキシ基含有有機ケイ素化合物を含む粘着剤組成物、粘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6063405A1 (ja) * 2014-10-23 2016-04-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8192B2 (ja) * 1997-04-08 2005-02-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12111871A (ja) * 2010-11-25 2012-06-14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978500B2 (ja) * 2011-12-22 2016-08-24 東亞合成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空隙充填用樹脂組成物
WO2015155844A1 (ja) * 2014-04-08 2015-10-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JP6331989B2 (ja) * 2014-11-21 2018-05-30 東亞合成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6122A (ko) * 2004-12-15 2007-08-27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JP2011184582A (ja) 2010-03-09 2011-09-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光学用粘着シート
JP2014074097A (ja) 2012-10-03 2014-04-24 Shin Etsu Chem Co Ltd 多官能エポキシ基含有有機ケイ素化合物を含む粘着剤組成物、粘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6063405A1 (ja) * 2014-10-23 2016-04-2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718A (ko) * 2018-10-12 2020-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점착성 보호 필름, 이를 위한 점착 시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09194A (zh) 2018-03-16
JP6676501B2 (ja) 2020-04-08
KR102318106B1 (ko) 2021-10-28
CN108300385B (zh) 2022-02-15
JP2018028040A (ja) 2018-02-22
TWI734768B (zh) 2021-08-01
CN108300385A (zh)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0334B1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JP6389198B2 (ja) 粘着シート、表示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2470720B1 (ko)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102447233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JP7170387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JP6251293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JP7132702B2 (ja) 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KR20190024606A (ko) 점착 시트, 표시체 및 표시체의 제조 방법
CN110093109B (zh) 粘着片、结构体及其制造方法
TW202111053A (zh) 黏著片及光學積層體
JPWO2016063405A6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の製造方法
JP7184528B2 (ja) 表示体の製造方法
CN106010319B (zh) 粘性薄板
KR102318106B1 (ko) 점착 시트, 표시체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6676720B2 (ja) 表示体の製造方法
JP6420519B1 (ja) 表示体の製造方法
JP7148369B2 (ja) 構成体の製造方法
TW202239896A (zh) 黏著片及構成體的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