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265B1 - 비산방지필름 - Google Patents

비산방지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265B1
KR102024265B1 KR1020150187370A KR20150187370A KR102024265B1 KR 102024265 B1 KR102024265 B1 KR 102024265B1 KR 1020150187370 A KR1020150187370 A KR 1020150187370A KR 20150187370 A KR20150187370 A KR 20150187370A KR 102024265 B1 KR102024265 B1 KR 102024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sheet
sensitive adhesive
base shee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462A (ko
Inventor
권윤경
김현철
이대혁
박현규
유동환
정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8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2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비산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적절한 강도, 내굴곡성, 접착력 및 완충성을 나타내고, 특히 편광 선글라스 등을 착용하고 관찰하는 경우에도 소위 블랙 아웃 현상의 발생이 방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비산방지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산방지필름{Antiscattering film}
본 출원은 비산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패널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커버 글래스 또는 필름의 파손이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산방지 필름이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비산방지 필름은 주로 상기 커버 글래스 또는 필름과 터치 패널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비산방지 필름에는 적절한 경도, 내스크래치성, 내굴곡성 및 접착 특성 등이 요구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모바일용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야외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야외 사용 시에 편광 선글라스 등을 착용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각도에 따라서 화면이 잘 시인되지 않거나 색이 불균일하게 관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6146호
본 출원은 비산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비산방지 필름에 대한 것이다. 예시적인 비산방지 필름은, 기재 시트와 그 기재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비산방지 필름의 단면도이고, 상기 필름은, 기재 시트(100)와 그 기재 시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기재 시트(100)의 일면에만 점착제층(200)이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점착제층(200)은 기재 시트(100)의 양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기재 시트는 광학 이방성 기재 시트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광학 이방성 기재 시트는, 상기 기재 시트의 굴절률 중에서 소위 지상축(slow axis) 방향의 굴절률, 진상축(fast axis) 방향의 굴절률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 모두 동일한 경우를 제외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3종의 굴절률의 수치가 모두 서로 상이하거나, 상기 3종의 굴절률 중 어느 2개의 굴절률은 동일한 수치를 가지고, 나머지 하나가 상기 2개의 굴절률과 상이한 수치를 가지는 경우를 광학 이방성이 있는 경우로 규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지상축 방향이란, 기재 시트의 면상에서 가장 높은 굴절률을 나타내는 방향을 의미하고, 진상축 방향이란 상기 지상축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두께 방향이란 상기 지상축과 진상축에 모두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기재 시트(100)에서 X축 방향이 지상축 방향이라면, 진상축 방향은 Y축 방향이며, 두께 방향은 Z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기재 시트는, 광학 이방성이고, 그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범위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재 시트는 550 nm의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가 2 nm 내지 30 n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기재 시트는, 550 nm의 파장에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가 약 100 nm 내지 360 n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기재 시트는, 550 nm의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가 100 nm 내지 250 nm, 100 nm 내지 220 nm, 100 nm 내지 200 nm 또는 140 nm 내지 170 nm 정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일 수 있거나, 550 nm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가 200 nm 내지 360 nm, 200 nm 내지 330 nm, 200 nm 내지 300 nm, 200 nm 내지 270 nm, 200 nm 내지 260 nm 또는 220 nm 내지 250 nm 정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기재 시트의 면상 위상차」는, 「(Nx-Ny) × d」로 계산되는 수치이다. 상기에서 Nx는 기재 시트의 상기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기준 파장: 550 nm)이고, Ny는 기재 시트의 상기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기준 파장: 550 nm)이며, d는 상기 기재 시트의 두께이다.
기재 시트가 광학 이방성을 가지고, 필요에 따라 그 면상 위상차가 상술한 범위 내로 조절되면, 예를 들어, 비산방지 필름이 스마트폰이나 태플릿 PC 등과 같은 기기에 적용되고, 그 기기를 편광 선글라스 등을 착용한 상태로 관찰하는 경우에도 소위 블랙 아웃(black out) 현상으로 불리는 현상, 예를 들면, 화면이 시인되지 않거나, 색이 불균일하게 관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기재 시트로는 고분자 시트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신을 통해 광학 이방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적절한 투광성을 가지는 고분자 시트를 적절한 방식으로 연신한 시트를 상기 기재 시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재 시트는 연신 고분자 시트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시트는 적절한 투광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시광 영역 내의 어느 한 파장의 광에 대한 투광율이 70% 이상, 80% 이상 또는 8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균질한 연신 시트의 제조 가능성이나 비산방지 시트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적정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 시트의 두께는 3 mm 이하, 1 ㎛ 내지 1 mm의 범위 내 또는 5 ㎛ 내지 500 ㎛ 정도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고분자 시트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시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시트 등의 폴리올레핀 시트, 폴리노르보넨 시트 등의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COP: Cycloolefin polymer) 시트, 폴리카보네이트 시트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시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시트, 폴리염화비닐 시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시트, 폴리설폰 시트, 폴리아크릴레이트 시트, 폴리비닐알코올 시트 또는 TAC(Triacetyl cellulose) 시트 등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폴리머 시트 등이나 상기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량체 중에서 2종 이상의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형성된 폴리머의 시트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고분자 시트로는,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 시트,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PET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로는, 노르보넨 등의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고리형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고리형 올레핀과 알파-올레핀과 같은 다른 공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 등으로 변성시킨 그래프트 중합체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적절한 예시에서 점착제층은 기재 시트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점착제층은,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단량체 또는 중합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또는 중합체 성분은 경화되어 점착제층의 주성분이 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중합체」는, 2개 이상의 단량체가 중합된 형태의 화합물을 총칭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올리고머로 호칭되고 있는 성분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점착제의 제조 분야에서는, 점착제 조성물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량체 또는 중합체 성분이 다양하게 알려져 있고, 이러한 성분들을 모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체 성분은,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 중합체 또는 실리콘 중합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호칭되고, 상기 실리콘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는 실리콘계 점착제로 호칭될 수 있다.
중합체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점착 수지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를 형성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중합체의 측쇄 또는 말단에 가교성 관능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공중합성 단량체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아크릴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성 단량체로는, 분자 내에 에틸렌성 이중 결합과 같은 공중합성 관능기와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아미드기 등과 같은 가교성 관능기를 동시에 가지는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량체는 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아크릴 중합체에 포함되는 각 단량체의 중량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점착제의 초기 점착력, 접착력 및 응집력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중합체에는, 필요할 경우, 상술한 것 외의 다양한 공중합성 단량체도 중합된 형태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중합체는, 이 분야의 통상의 중합 방법, 예를 들면, 용액 중합(solution polymerization), 광 중합(photo polymerization), 괴상 중합(bulk polymerization),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아크릴 중합체와 함께 상기 중합체를 가교시킬 수 있는 다관능성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가교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에폭시 가교제, 아지리딘 가교제 및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 등과 같이 상기 아크릴 중합체의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 가능한 관능기를 2개 이상 가지는 공지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 내에서의 상기 상기 가교제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하는 응집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실리콘 중합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실리콘 점착제의 형성에 사용되는 중합체를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닐기와 같은 알케닐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중합체를 가교제로서 규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를 가지는 규소 화합물과 배합하여, 백금 촉매와 같은 촉매를 배합한 유형의 조성물이 실리콘 점착제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광경화 타입으로 조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용어 「광경화 타입의 점착제 조성물」은 광조사, 즉 전자기파의 조사에 의해 경화 과정이 유도되어 점착제로 전환되는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자기파는 마이크로파(microwaves), 적외선(IR), 자외선(UV), X선, 감마선 또는 알파-입자선(α-particle beam), 프로톤빔(proton beam), 뉴트론빔(neutron beam) 및 전자선(electron beam)과 같은 입자빔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점착제 조성물이 광경화 타입으로 조성될 경우, 상기 단량체 또는 중합체 성분은, 광경화형 올리고머 및 반응성 희석용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광경화형 올리고머의 예에는, 당업계에서 자외선 경화형과 같은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모든 올리고머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올리고머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킨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메타)아크릴산을 탈수 축합 반응시킨 에스테르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킨 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를 히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과 반응시킨 에스테르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에테르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킨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를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반응시킨 에테르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 및 (메타)아크릴산을 부가 반응시킨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올리고머와 함께 포함되는 반응성 희석용 단량체로는 분자 구조 중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등과 같은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는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경화 후 점착력을 구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량체로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또는 베타-카복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2-(2-에톡시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또는 (메타)아크릴로일 몰포린((meth)acryloyl morpholine) 등과 같은 헤테로고리 잔기 함유 단량체;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제 조성물에서 올리고머 및 반응성 희석용 단량체의 구체적인 종류 및 배합 비율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하는 조성물의 점도 및 경화 후 구현하고자 하는 점착 물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시트에 코팅 후 경화시키거나, 혹은 다른 이형성 시트상에 코팅 후 경화시켜 형성한 층을 기재 시트에 합지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시키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된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비산방지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적정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약 5 ㎛ 내지 100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재 시트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경우에 그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산방지 필름에서 상기 기재 시트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양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은 동일한 피착체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박리력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기재 시트의 일면에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면에는 실리콘계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층으로는 전술한 점착제층을 적용하여도 되고,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광학용 아크릴계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산 방지 필름은 커버 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커버 기판의 구체적인 종류는 후술한다. 커버 기판이 포함되는 경우에 비산 방지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시트의 일면에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면에는 실리콘계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고, 상기 커버 기판이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비산방지 필름은, 상기 점착제층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 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형 시트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형 시트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시트와 같은 고분자 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이형 처리를 수행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절한 기재 시트의 일면에 실리콘 계열 또는 불소 계열의 이형제로 이형 처리한 시트의 상기 이형 처리 면을 상기 점착제층에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 시트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2개의 점착제층의 표면 모두에 이형 시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비산방지 필름의 양측의 이형 시트를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에 박리하여 점착제층의 표면을 표출시킴으로써, 터치 패널이나 커버 글래스 등의 피착체에 상기 비산방지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양측에 부착되는 이형 시트는 각각 점착제층에 대하여 상이한 박리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보다 낮은 박리력을 나타내는 이형 시트를 먼저 제거함으로써 상기 부착 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기판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 기판과 터치 패널은 상기 비산방지 필름에 의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는 커버 기판 및 터치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해당 분야의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기판으로는 글래스 기판이나 고분자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로도 공지의 정전 용량 또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 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 방식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기재 시트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그 점착제층의 표면에 각각 이형 시트가 부착되어 있는 필름에서 상기 이형 시트를 동시 또는 순차로 제거한 후에 표면이 드러난 점착제층을 통해 상기 커버 기판과 터치 패널을 부착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비산방지 필름이 기재 시트의 일면에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고, 기재 시트의 다른 면에는 실리콘계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상기 커버 기판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층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이 편광판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편광판의 흡수축과 비산방지 필름의 기재 시트의 지상축은 수직 또는 수평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편광판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터치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이 2개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기재 시트의 지상축과 수직 또는 수평을 이루는 흡수축을 가지는 편광판은 터치 패널 내에서 상기 비산 방지 필름과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편광판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적절한 강도, 내굴곡성, 접착력 및 완충성을 나타내고, 특히 편광 선글라스 등을 착용하고 관찰하는 경우에도 소위 블랙 아웃 현상의 발생이 방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비산방지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비산방지 필름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의 비산방지 필름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상기 필름 등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블랙 아웃(Black out) 특성 평가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편(비산방지 필름)을 가로의 길이가 20 cm이고, 세로의 길이가 15 cm가 되도록 재단한다. 이어서, 상기 재단된 비산방지 필름의 양측에 편광판을 부착하되, 그 편광판의 서로 흡수축이 수직하도록 부착한다. 비산방지 필름의 기재 시트가 광학 이방성인 경우에, 상기 기재 시트의 지상축은 필름의 양측에 부착된 편광판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적층 구조(편광판/비산방지 필름/편광판)를 가로의 길이가 5 cm이고, 세로의 길이가 5 cm가 되도록 재단한 후에 측정 기기(COH-400, Nippon Denshoku사)를 사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한다. 이 때 측정된 투과율이 1.5% 이상이면, 실제 제품에 적용 시에 블랙 아웃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제조예 1. 점착제 조성물(A)의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 L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IBOA)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를 55:30:15의 중량 비율(BA:IBOA:HEA)로 투입하고, 상기 단량체 100 중량부 대비 100 중량부의 용제(EAc, 에틸 아세테이트)를 투입한 후 질소 가스를 퍼징(purging)하여 산소를 제거하고, 온도를 60℃로 유지한 상태에서 반응 개시제(V-65: 2,2’-azobis(2,4-dimethyl valeronitrile)를 상기 단량체 전체 100 중량부 대비 0.06 중량부로 투입하여 반응시킨 후에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아크릴 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아크릴 중합체(A)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Takenate D110N, 미쯔이 화학) 0.25 중량부를 균일하게 배합하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예 2. 점착제 조성물(B)의 제조
실리콘계 점착제는, 신에츠사에서 생산하는 실리콘 수지(X40-3229K) 100 중량부에 톨루엔 50 중량부, 백금 촉매(신에츠사, CAT-PL-50T) 0.5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1.
비산방지 필름의 제조
기재 시트로는, COP(cycloolefin polymer) 시트(두께: 50㎛)를 사용하였다. 상기 시트는 연신 처리를 통해 광학 이방성이 부여된 것으로서, 면 방향 위상차(기준 파장: 550 nm)가 약 3 nm 정도인 필름이었다. 상기 기재 시트의 일면에 상기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B)을 건조 후의 두께가 약 50㎛ 정도가 되도록 코팅한 후에 이형 시트를 합지하고, 적정 온도에서 숙성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기재 시트의 다른 면에도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0㎛ 정도가 되도록 점착제 조성물(A)을 코팅한 후에 이형 시트의 합지 및 숙성 공정을 거쳐서 비산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제조된 비산방지 필름에서 점착제 조성물(A)로 형성된 점착제층상의 이형 시트를 박리한 후에 점착제층(A)을 공지의 커버 글라스에 부착하였다. 이어서 반대편의 이형 시트를 제거하고, 노출된 점착제층(B)을 공지의 터치 패널 포함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터치 패널에 부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산방지 필름에 대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특성을 평가한 결과 적합한 투과율이 나타났으며,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후 편광 선글라스로 관찰한 때에 블랙 아웃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2.
비산방지 필름의 제조 시에 기재 시트로서 연신 처리에 의해 광학 이방성이 부여된 것으로 550 nm의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가 약 25 nm 정도이고, 두께가 약 50㎛ 정도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시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비산방지 필름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산방지 필름에 대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특성을 평가한 결과 적합한 투과율이 나타났으며,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후 편광 선글라스로 관찰한 때에 블랙 아웃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3.
기재 시트로서 연신 처리에 의해 광학 이방성이 부여된 것으로 550 nm의 파장에 대한 면상 위상차가 약 20 nm 정도이고, 두께가 약 50㎛ 정도인 PC(polycarbonate) 시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비산방지 필름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산방지 필름에 대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특성을 평가한 결과 적합한 투과율이 나타났으며,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후 편광 선글라스로 관찰한 때에 블랙 아웃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예 1.
기재 시트로서 연신 처리되지 않은 등방성의 COP(cycloolefin polymer)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비산방지 필름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산방지 필름에 대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특성을 평가한 결과 적합한 투과율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편광 선글라스로 관찰한 때에 블랙 아웃 현상이 나타났다.
비교예 2.
기재 시트로서 연신 처리되지 않은 등방성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시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비산방지 필름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산방지 필름에 대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특성을 평가한 결과 적합한 투과율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편광 선글라스로 관찰한 때에 블랙 아웃 현상이 나타났다.
비교예 3.
기재 시트로서 연신 처리되지 않은 등방성의 PC(polycarbonate) 시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비산방지 필름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산방지 필름에 대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특성을 평가한 결과 적합한 투과율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편광 선글라스로 관찰한 때에 블랙 아웃 현상이 나타났다.
100: 기재 시트
200: 점착제층

Claims (15)

  1. 550 nm의 파장의 광에 대한 면상 위상차가 2 nm 내지 30 nm의 범위 내이거나, 또는 200 nm 내지 360 nm의 범위 내인 광학 이방성 기재 시트; 및 상기 기재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비산방지 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시트는,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 시트,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트인 비산방지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5 ㎛ 내지 100 ㎛의 범위 내에 있는 비산방지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시트의 양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에는 이형 시트가 부착되어 있는 비산방지 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기재 시트의 일면에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고, 기재 시트의 다른 면에는 실리콘계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비산방지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점착제층에 부착되어 있는 커버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산방지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커버 기판은 글래스 기판 또는 고분자 기판인 비산방지 필름.
  12. 커버 기판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기판과 터치 패널은 제 1 항에 따른 비산방지 필름으로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커버 기판은 글래스 기판 또는 고분자 기판인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비산방지 필름의 기재 시트의 일면에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고, 기재 시트의 다른 면에는 실리콘계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 기판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부착되어 있고, 터치 패널은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층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은 편광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편광판의 흡수축과 비산방지 필름의 기재 시트의 지상축은 수직 또는 수평을 이루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87370A 2015-12-28 2015-12-28 비산방지필름 KR102024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70A KR102024265B1 (ko) 2015-12-28 2015-12-28 비산방지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370A KR102024265B1 (ko) 2015-12-28 2015-12-28 비산방지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462A KR20170077462A (ko) 2017-07-06
KR102024265B1 true KR102024265B1 (ko) 2019-09-23

Family

ID=5935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370A KR102024265B1 (ko) 2015-12-28 2015-12-28 비산방지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2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7830A (ja) * 2009-06-23 2011-01-13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2013123825A (ja) * 2011-12-13 2013-06-24 Keiwa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0135A (ja) * 2011-07-12 2013-01-31 Keiwa Inc 光学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KR20140086146A (ko) 2012-12-28 2014-07-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비산방지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7830A (ja) * 2009-06-23 2011-01-13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JP2013123825A (ja) * 2011-12-13 2013-06-24 Keiwa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462A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118B1 (ko) 양면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그리고 양면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의 컬 억제 방법
KR102249906B1 (ko) 화상 표시 장치
CN107664788B (zh) 光学层叠体
CN103764777B (zh) 压敏粘合剂
KR101666248B1 (ko) 편광판
TWI546577B (zh) 偏光板及包含彼之液晶顯示器裝置
KR101757962B1 (ko) 점착제 조성물
CN106244033B (zh) 粘合片、带有粘合剂的光学薄膜以及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5470048B2 (ja) 高弾性率粘着剤層を有する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080075779A (ko) 박형 편광판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TWI691569B (zh) 黏著性組成物、黏著劑、黏著片以及附有黏著劑層之光學薄膜
KR20160107113A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KR101886576B1 (ko) 세퍼레이터 필름 적층 점착제층을 지닌 광학 필름
KR20150100647A (ko)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60115765A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KR20120109399A (ko) 점착제 조성물
TW202023809A (zh) 影像顯示面板及影像顯示裝置
KR102024265B1 (ko) 비산방지필름
KR20210007861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CN115335739A (zh) 双面带粘合剂的光学薄膜及图像显示装置
KR20210032303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JP2021018424A (ja) 光学積層体
KR20160107114A (ko)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KR20210130165A (ko) 플렉서블 적층체
WO2021010100A1 (ja) 光学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