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861A -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7861A
KR20210007861A KR1020200082568A KR20200082568A KR20210007861A KR 20210007861 A KR20210007861 A KR 20210007861A KR 1020200082568 A KR1020200082568 A KR 1020200082568A KR 20200082568 A KR20200082568 A KR 20200082568A KR 20210007861 A KR20210007861 A KR 20210007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nsitive adhesive
pressure
optical laminat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우 이
정희 김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7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과제]굴곡시킨 경우에, 박리가 억제된 광학 적층체, 및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전면판, 원편광판,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원편광판을 첩합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점착제층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을 A〔N/25mm〕로 하고,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원편광판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을 B〔N/25mm〕로 한 경우에, 하기 식(1):
C=(B/A)×100  (1)
로 나타내는 평가 파라미터 C는, 하기 식(2):
3.0<C<40.0  (2)
를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2018-027995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응력 완화 특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구비한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18-027995호 공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 구성된 광학 적층체는, 굴곡시키면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에 접하는 층의 사이에 박리가 생기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굴곡시킨 경우에, 박리가 억제된 광학 적층체, 및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1] 전면판, 원편광판,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원편광판을 첩합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점착제층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을 A〔N/25mm〕로 하고,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원편광판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을 B〔N/25mm〕로 한 경우에, 하기 식(1):
C=(B/A)×100  (1)
로 나타내는 평가 파라미터 C는, 하기 식(2):
3.0<C<40.0  (2)
를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2] 상기 A는, 하기 식(3):
5.0≤A≤15.0  (3)
을 만족하는, [1]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3] 상기 전면판과 상기 점착제층의 사이의 밀착력의 최소값을 D〔N/25mm〕, 최대값을 E〔N/25mm〕로 한 경우에, 하기 식(4):
F=(D/E)×100  (4)
로 나타내는 평가 파라미터 F는, 하기 식(5):
F≥80.0  (5)
를 만족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4]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원편광판의 사이의 밀착력의 최소값을 G〔N/25mm〕, 최대값을 H〔N/25mm〕로 한 경우에, 하기 식(6):
I=(G/H)×100  (6)
으로 나타내는 평가 파라미터 F는, 하기 식(7):
I≥80.0  (7)
을 만족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
[5]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굴곡시킨 경우에, 박리가 억제된 광학 적층체, 및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밀착력 측정 시험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A) 전면판과 점착제층의 사이의 밀착력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다. (B) 점착제층과 원편광판의 사이의 밀착력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정적 굴곡 내구 시험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모든 도면에서는, 각 구성요소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축척을 적절히 조정해 나타내고 있어 도면에 나타나는 각 구성요소의 축척과 실제의 구성요소의 축척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광학 적층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광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100)는, 전면판(10)과 원편광판(30)을 구비하고, 전면판(10)과 원편광판(30)의 사이에 점착제층(20)을 구비한다. 전면판(10) 및 원편광판(30)은, 각각 단층이어도 복층이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100)의 두께는, 광학 적층체에 요구되는 기능 및 광학 적층체의 용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0㎛ 이상 2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100㎛ 이상 500㎛ 이하이다.
광학 적층체(100)의 평면시 형상은, 예를 들면 방형 형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는 방형 형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이다. 광학 적층체(100)의 면방향의 형상이 장방형인 경우, 장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10 mm 이상 1400 mm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 600 mm 이하이다. 단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5 mm 이상 800 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 mm 이상 500 m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 300 mm 이하이다. 광학 적층체(100)를 구성하는 각 층은, 모서리부가 R 가공되거나 단부가 노치 가공되거나 천공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100)는, 예를 들면 표시장치 등에 이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유기 EL) 표시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무기 EL) 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전계발광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적층체(100)는, 굴곡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적합하다.
[평균 밀착력]
광학 적층체(100)는,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을 A〔N/25mm〕로 하고, 점착제층(20)과 원편광판(30)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을 B〔N/25mm〕로 한 경우에, 하기 식(1):
C=(B/A)×100  (1)
로 나타내는 평가 파라미터 (C)가, 하기 식(2):
3.0<C<40.0  (2)
를 만족하고,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2'):
5.0<C<30.0  (2')
을 만족한다. 평균 밀착력은, 후술의 실시예의 란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광학 적층체(100)는, 전면판(10)을 내측으로 하여 굴곡시킬 수 있다. 광학 적층체는, 굴곡시켜, 그 상태를 유지(이하, 「정적 굴곡」이라고 한다)하면, 점착제층과 점착제층에 접하는 층의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에 의한 연구의 결과,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A)과, 점착제층(20)과 원편광판(30)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B)의 관계가 식(2)을 만족할 때, 전면판(10)을 내측으로 하여 정적 굴곡시켜도,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 및 점착제층(20)과 원편광판(30)의 사이의 박리가 억제되는(이하, 우수한 「정적 굴곡 내구성」을 가진다고도 한다.) 것을 찾아냈다. 여기서, 정적 굴곡시킨 경우에 박리가 억제된다는 것은, 광학 적층체를 후술의 정적 굴곡 내구 시험에 제공해도 30일 이상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박리의 발생은, 광학 현미경 하의 관찰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점착제층(20)과 점착제층(20)에 접하는 층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이 크면 응력은 분산하는 경향이 있어, 굴곡시킨 경우에 박리가 생기기 어렵다. 광학 적층체(100)를, 전면판(10)을 내측으로 하여 정적 굴곡시키면, 보다 내측의 층에서 응력 집중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보다 내측의 층의 평균 밀착력을 크게 하는 것, 즉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A)을 점착제층(20)과 원편광판(30)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B)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박리의 억제에 유효하다라고 생각된다. C가 3.0 이하인 경우, A에 대해서 B가 부족하고, 정적 굴곡시킨 경우에 점착제층(20)과 원편광판(30)의 사이에 박리가 생기기 쉽다. C가 40.0 이상의 경우, A에 대해서 B가 과잉이 되어, 정적 굴곡시킨 경우에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에 박리가 생기기 쉽다.
본 명세서에서, 굴곡에는, 휨 부분에 곡면이 형성되는 접어 구부림의 형태가 포함되고, 접어 구부린 내면의 곡률 반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굴곡에는, 내면의 굴절각이 0도보다 크고 180도 미만인 굴절, 및 내면의 곡률 반경이 제로에 근사, 또는 내면의 굴절각이 0도인 접힘도 포함한다.
광학 적층체(100)는,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평균 밀착력(A)이,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3):
5.0≤A≤15.0  (3)
을 만족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3'):
7.0≤A≤12.0  (3')
을 만족한다. A가 5.0 미만인 경우, 정적 굴곡시킨 경우에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기 쉽다. A가 크면 정적 굴곡시킨 경우에 박리가 생기기 어렵지만, A가 15.0보다 커지면, 점착제층 내에 응집 파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평균 밀착력은, 점착제층의 특성, 전면판의 인장 탄성률, 원편광판을 구성하고 점착제층에 접하는 최외층의 인장 탄성률, 전면판 및 원편광판을 구성하는 층 중 점착제층에 접하는 최외층의 종류, 첩합면의 표면 처리 등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원편광판을 구성해 점착제층에 접하는 최외층 및 전면판의 인장 탄성률이 클수록, 밀착력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점착제층의 특성은,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서, 후술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다. 첩합면의 표면 처리로는,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비누화 처리를 들 수 있다.
[밀착력의 최대값 및 최소값]
광학 적층체(100)는,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의 밀착력의 최소값을 D〔N/25mm〕, 최대값을 E〔N/25mm〕로 한 경우에, 하기 식(4):
F=(D/E)×100  (4)
로 나타내는 평가 파라미터 (F)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5):
F≥80.0  (5)
을 만족한다.
또한, 광학 적층체(100)는, 점착제층(20)과 원편광판(30)의 사이의 밀착력의 최소값을 G〔N/25mm〕, 최대값을 H〔N/25mm〕로 한 경우에, 하기 식(6):
I=(G/H)×100  (6)
으로 나타내는 평가 파라미터 (F)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7):
I≥80.0  (7)
을 만족한다.
F 및/또는 I가 80.0 미만인 경우, 즉 밀착력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큰 경우, 정적 굴곡시킨 경우에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 또는, 점착제층(20)과 원편광판(30)의 사이에 기포가 생기기 쉽다. 기포가 생기면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기포의 발생은, 광학 현미경 하의 관찰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밀착력의 최대값에 대한 최소값의 비율은, 점착제층의 특성, 전면판의 인장 탄성률, 원편광판을 구성해 점착제층에 접하는 최외층의 인장 탄성률, 전면판 및 원편광판을 구성하는 층 중 점착제층에 접하는 최외층의 종류, 첩합면의 표면 처리 등에 의존한다. 점착제층의 특성은,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서, 후술하는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메타)아크릴계 폴리머의 분자량을 조절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다. 첩합면의 표면 처리로는,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비누화 처리를 들 수 있다.
[전면판]
전면판(10)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판상체이면, 재료 및 두께는 한정되지 않고, 또한 1층만으로 구성되어 좋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전면판(10)으로는, 수지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수지판, 수지 시트, 수지 필름 등), 유리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유리판, 유리 필름 등), 수지제의 판상체와 유리제의 판상체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전면판(10)은, 표시장치의 최표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전면판(10)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 이상 500㎛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2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00㎛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각 층의 두께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두께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전면판(10)이 수지제의 판상체인 경우, 수지제의 판상체는, 광을 투과할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 필름 등의 수지제의 판상체를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타)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이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은, 강도 및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등의 고분자로 형성된다.
전면판(10)은, 수지 필름 또는 수지 필름에 하드 코트층을 구비한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은, 수지 필름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는 것으로, 경도 및 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이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는 한정되지 않고,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의 양면에 하드 코트층을 가지는 경우, 각 하드 코트층의 조성이나 두께는, 서로 같아도 좋고, 서로 달라도 좋다.
전면판(10)이 유리판인 경우, 유리판은, 디스플레이용 강화유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리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이상 1000㎛ 이하이어도 좋고, 50㎛ 이상 1000㎛ 이하이어도 좋다. 유리판을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표면 경도를 가지는 전면판을 구성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100)가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전면판(10)은, 표시장치의 앞면(화면)을 보호하는 기능(윈도우 필름으로서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터치 센서로서 기능, 블루 라이트 컷 기능, 시야각 조정 기능 등을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우수한 정적 굴곡 내구성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100)를 구성하기 쉬운 관점에서, 전면판(10)의 온도 23℃에서의 인장 탄성률은, 3.0 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G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GPa 이상이어도 좋다. 전면판(10)의 온도 23℃에서의 인장 탄성률은, 20 G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면판의 인장 탄성률은, 원편광판을 구성해 점착제층에 접하는 최외층의 인장 탄성률보다 커도 좋다. 인장 탄성률은, 하기의 실시예의 란에 기재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점착제층]
점착제층(20)은, 전면판(10)과 원편광판(30) 층의 사이에 개재하고, 이들을 첩합하는 층이다. 점착제층(20)은, 1층이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1층이다. 점착제층(20)은, (메타)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또는 열 경화형이어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는, (메타)아크릴산 부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 2-에틸 헥실 등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는, (메타)아크릴산 화합물,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화합물,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화합물, (메타)아크릴 아미드 화합물,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의,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가지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예를 들면 60만 이상 15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이러한 범위이면, 점착제층의 내구성이나 표면장력이 향상해, 밀착력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서 설명하는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더 함유한다. 가교제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이고, 카르복실기의 사이에 카르복실산 금속염을 형성하는 금속 이온,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아민 화합물,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에폭시 화합물 또는 폴리올,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도 점착성을 가지고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시킬 수 있어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서 경화하여 밀착력을 조정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진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에 더하여,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더 함유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광중합개시제, 광증감제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은, 광산란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립자, 비즈(수지 비즈, 유리 비즈 등), 유리 섬유,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수지, 점착성 부여제, 충전제(금속분말이나 그 외의 무기 분말 등),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염료, 안료, 착색제, 소포제, 부식 방지제, 광중합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층(20)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기용제 희석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층(20)은,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는, 형성된 점착제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소망한 경화도를 가지는 경화물로 할 수 있다.
점착제층(2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이어도 좋다.
우수한 정적 굴곡 내구성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100)를 구성하기 쉬운 관점에서, 점착제층(20)의 겔분율은,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8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80% 이하이다. 겔분율은 후술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원편광판]
원편광판(30)은, 직선 편광자층 및 위상차층을 구비한다. 원편광판(30)은, 화상 표시장치 중에서 반사된 외광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적층체(100)에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원편광판(30)의 두께는, 통상 5㎛ 이상이고, 20㎛ 이상이어도 좋고, 25㎛ 이상이어도 좋고, 30㎛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원편광판(30)의 두께는,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직선 편광자층)
직선 편광자층은, 자연광 등의 비편광인 광선으로 이루어지는 일방향의 직선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직선 편광자층은,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고, 이색성 색소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물 중에 분산해, 배향되어 있는 액정층 등을 편광자층으로서 구비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는, 분자의 장축 방향에서의 흡광도와 단축 방향에서의 흡광도가 다른 성질을 가지는 색소를 말한다. 액정층을 편광자층으로서 이용한 직선 편광자층은, 흡수 이방성을 가지는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에 비해, 굴곡 방향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편광자층)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인 편광자층은, 통상,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층의 두께는, 통상 3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편광자층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은, 원편광판(30)의 박막화에 유리하다. 편광자층의 두께는, 통상 1㎛ 이상이고, 예를 들면 5㎛ 이상이어도 좋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여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실산계 화합물, 올레핀계 화합물, 비닐 에테르계 화합물, 불포화 술폰계 화합물, 암모늄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 아미드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100 몰% 이하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 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이상 10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5000 이하이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층인 편광자층은, 통상,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하는 공정, 얻어진 적층 필름을 1축 연신하는 공정, 1축 연신된 적층 필름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층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함으로써,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켜 편광자층으로 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에 의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편광자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기재 필름은, 편광자층의 보호층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기재 필름을 편광자층으로부터 박리 제거해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마찬가지이어도 좋다.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킨 연신 필름 또는 연신층인 편광자층은, 그대로 직선 편광자층으로서 이용해도 좋고, 그 한 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형성해 직선 편광자층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보호층으로는, 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얻어지는 직선 편광자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40㎛ 이하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예를 들면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아세트산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 (메타)아크릴계 수지 필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 등, 당분야에서 공지의 필름을 들 수 있다. 편광자층과 보호층은, 후술하는 첩합층을 개재하여 적층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통상 1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고, 또한, 통상 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한쪽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 코트층을 설치하는 것으로, 경도 및 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상술의 수지 필름에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과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액정층인 편광자층)
액정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반응기를 가지고, 액정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중합성 반응기는,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이고, 광중합성 반응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반응기는, 광중합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서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광중합성 관능기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 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봉상 액정 화합물, 원반상 액정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액정성은, 써모트로픽성 액정이어도 리오트로픽성 액정이어도 좋고, 상질서(相秩序) 구조로는 네마틱 액정이어도 스메틱 액정이어도 좋다.
액정층인 편광자층에 이용되는 이색성 색소로는, 300 ~ 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 파장(λMAX)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색성 색소로는, 예를 들면,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및 안트라퀴논 색소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아조 색소가 바람직하다. 아조 색소로는, 모노아조 색소,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 테트라키스아조 색소, 및 스틸벤아조 색소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아조 색소, 및 트리스아조 색소이다. 이색성 색소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해도 좋지만, 3종 이상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3종 이상의 아조 화합물을 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의 일부가 반응성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또한 액정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액정층인 편광자층은, 예를 들면 기재 필름 상에 형성한 배향막 상에,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 상에,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을 기재 필름과 함께 연신함으로써, 편광자층을 형성해도 좋다. 편광자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기재 필름은, 편광자층의 보호층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와 마찬가지이어도 좋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편광자층의 제조 방법으로는, 일본 특허공개 2013-3735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3-3324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7-83843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에 더해, 용매, 중합개시제, 가교제, 레벨링제, 산화 방지제, 가소제, 증감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성분은, 각각, 1종만을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편광자층 형성용 조성물이 함유되어 있어도 좋은 중합개시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이고, 보다 저온 조건 하에서,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점에서, 광중합성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광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 또는 산을 발생할 수 있는 광중합개시제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광의 작용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중합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 8 질량부 이하이다. 이 범위 내이면, 중합성기의 반응이 충분히 진행하고, 또한,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쉽다.
액정층인 편광자층의 두께는, 통상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이다.
액정층인 편광자층은 기재 필름을 박리 제거하지 않고 직선 편광자층으로서 이용해도 좋고, 기재 필름을 편광자층으로부터 박리 제거해 직선 편광자층으로 해도 좋다. 액정층인 편광자층은, 그 한 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형성해 직선 편광자층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보호층으로는, 상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액정층인 편광자층은, 보호층으로서 그 한 면 또는 양면에 오버코트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오버코트층은, 편광자층의 보호 등을 목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은, 예를 들면 편광자층 상에 오버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조성물)를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광경화성 수지, 수용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오버코트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원편광판(30)은, 직선 편광자층이 위상차층에 대해서 점착제층(20) 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원편광판(30)을 구성해, 점착제층(20)에 접하는 최외층은, 바람직하게는 직선 편광자층에 포함되는 기재 필름 또는 보호층이다.
우수한 정적 굴곡 내구성을 가지는 광학 적층체(100)를 구성하기 쉬운 관점에서, 원편광판(30)을 구성해, 점착제층(20)에 접하는 최외층의 온도 23℃에서의 인장 탄성률은, 3.0 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편광판(30)을 구성해, 점착제층(20)에 접하는 최외층의 온도 23℃에서의 인장 탄성률은, 20 G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인장 탄성률은, 하기의 실시예의 란에 기재된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위상차층)
위상차층은, 1층이어도 좋고 2층 이상이어도 좋다. 위상차층은, 그 표면을 보호하는 오버코트층, 위상차층을 지지하는 기재 필름 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층은, λ/4층을 포함하고, 또한 λ/2층 또는 포지티브 C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층이 λ/2층을 포함하는 경우, 직선 편광자층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λ/2층 및 λ/4층을 적층한다. 위상차층이 포지티브 C층을 포함하는 경우, 직선 편광자층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λ/4층 및 포지티브 C층을 적층해도 좋고, 직선 편광자층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포지티브 C층 및 λ/4층을 적층해도 좋다. 위상차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 이상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6㎛ 이하이다.
위상차층은, 보호층의 재료로서 예시한 수지 필름으로 형성해도 좋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으로 형성해도 좋다. 위상차층은, 배향막을 더 포함해도 좋다. 위상차층은, λ/4층과, λ/2층 및 포지티브 C층을 첩합하기 위한 첩합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과 도포층의 사이에 배향막을 형성해도 좋다. 기재 필름의 재료 및 두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료 및 두께로서 예시된 것과 같아도 좋다. 위상차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배향막 및 기재 필름을 가지는 형태로 광학 적층체에 포함되어도 좋다. 위상차층은, 첩합층을 개재하여 직선 편광자층과 첩합할 수 있다.
(첩합층)
첩합층은,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구성되는 층이다. 첩합층의 재료가 되는 점착제는, 점착제층(20)의 재료가 되는 점착제 조성물과 동일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첩합층은, 다른 점착제, 예를 들면 점착제층(20)의 재료와는 다른 (메타)아크릴계 점착제, 스티렌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에폭시계 공중합체 점착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첩합층의 재료가 되는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수용액, 수계 2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접착제이고, 예를 들면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성 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광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바인더 수지 및 광반응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로는, 광경화성 에폭시계 모노머, 광경화성 아크릴계 모노머, 광경화성 우레탄계 모노머 등의 광중합성 모노머, 및 이러한 모노머로부터 유래하는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개시제로는,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 중성 라디칼, 음이온 라디칼, 양이온 라디칼의 활성종을 발생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첩합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이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 이상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5㎛ 이하이다.
[터치 센서 패널]
광학 적층체(100)는, 터치 센서 패널을 더 구비해도 좋다. 터치 센서 패널을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100)로서 예를 들면 전면판과 원편광판과 터치 센서를 이 순서로 가지는 광학 적층체를 들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은, 터치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 (즉 터치 센서)를 가지는 패널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센서의 검출 방식은 한정되지 않고,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 광 센서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 유도 결합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등의 터치 센서 패널이 예시된다. 저비용인 점에서,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의 일례로서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기판과, 이러한 한 쌍의 기판의 사이에 협지된 절연성 스페이서와, 각 기판의 내측의 전면에 저항막으로서 설치된 투명 도전막과,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재를 들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설치한 화상 표시장치에서는, 전면판의 표면이 터치되면, 대향하는 저항막이 단락되고, 저항막에 전류가 흐른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이 때의 전압의 변화를 검지하고,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의 일례로는, 기판과 기판의 전면에 설치된 위치 검출용 투명 전극과,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재를 들 수 있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센서를 설치한 화상 표시장치에서는, 전면판의 표면이 터치되면, 터치된 점에서 인체의 정전 용량을 통하여 투명 전극이 접지된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투명 전극의 접지를 검지하고,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터치 센서 패널의 두께는, 예를 들면 5㎛ 이상 2000㎛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 50㎛ 이하이다.
터치 센서 패널은, 기재 필름 상에 터치 센서의 패턴이 형성된 부재이어도 좋다. 기재 필름의 예시는, 상술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설명에서의 예시와 같아도 좋다. 터치 센서 패턴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이상 20㎛ 이하이어도 좋다.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광학 적층체(100)는, 점착제층(20)을 개재하여 전면판(10) 및 원편광판(30)을 첩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층끼리는,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첩합층을 개재하여 첩합할 수 있다. 점착제층(20)이나 첩합층을 개재하여 층끼리를 첩합하는 경우에는, 밀착력을 조정할 목적으로 첩합면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대해서,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처리의 조건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어 첩합면의 한쪽의 면과 다른 면에서 조건이 달라도 좋다.
<표시장치>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광학 적층체(100)를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기 EL 표시장치, 무기 EL 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전계발광 표시장치 등의 화상 표시장치를 들 수 있다. 광학 적층체에는, 또한 터치 센서가 적층되어 있어도 좋고,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정적 굴곡이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고, 굴곡 또는 권회 등을 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이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에서, 광학 적층체(100)는, 전면판을 외측(표시 소자측과는 반대측, 즉 시인측)을 향해서 표시장치가 가지는 표시 소자의 시인 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스마트 폰, 테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 텔레비전, 디지털 포토 프레임, 전자 간판, 측정기나 계기류, 사무용 기기, 의료기기, 전산기기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판]
전면판으로서 한 면에 하드 코트층을 가지는 50㎛의 수지 필름을 준비하였다. 하드 코트층은 두께가 10㎛이고, 말단에 다관능 아크릴기를 가지는 덴드리머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층이었다. 수지 필름은, 두께가 40㎛의 폴리이미드 필름이었다. 전면판의 인장 탄성률은 4.4 GPa이었다.
[원편광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KC2UA, Konica Minolta, Inc. 제, 두께 25㎛)에 광배향막을 형성하였다. 이색성 색소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광배향막 상에 도포하고, 배향, 경화시켜 두께 2.0㎛의 편광자층을 얻었다. 이 편광자층 상에,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물 100부,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분말(KL318, Kuraray Co.Ltd. 제, 평균 중합도 18000) 3부, 가교제로서 폴리아미드 에폭시 수지(SR650(30), Sumika Chemtex co., Ltd. 제) 1.5부를 혼합한 것)를,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온도 80℃에서 3분간 건조시켜 오버코트층을 형성하였다. 오버코트층의 두께는 1.0㎛이었다. 이로 인해, TAC 필름/광배향막/편광자층/오버코트층의 층 구조를 가지는 직선 편광자층을 얻었다. TAC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3.5 GPa이었다.
위상차층은, λ/4층, 첩합층, 포지티브 C층 및 기재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고, 기재 필름을 제외한 두께가 11㎛이었다. 이 첩합층은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5㎛이었다. λ/4층은,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 및 배향막을 가지고, 두께가 3㎛이었다. 포지티브 C층은, 액정 화합물이 경화한 층 및 배향막을 가지고, 두께가 3㎛이었다. 기재 필름은,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였다.
직선 편광자층의 오버코트층 측과 위상차층의 λ/4층 측을 첩합층을 개재하여 첩합하고, 원편광판을 얻었다. 이 첩합층은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5㎛이었다. 직선 편광자층의 흡수축과 위상차층의 지상축의 이루는 각도는 45°이었다. 기재 필름을 떼어내고, 두께 44㎛의 원편광판을 얻었다.
[점착제층]
(점착제 조성물 B1 및 B2를 이용한 점착제층)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세톤 81.8 질량부, 아크릴산 부틸(BA, Tg:-54℃) 98.6 질량부, 아크릴산(AA, Tg:105℃) 0.4 질량부, 및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2 HEA, Tg:-15℃) 1.0 질량부의 혼합 용액을 주입했다. 질소 가스로 장치 내의 공기를 치환해 산소 불함유로 하면서, 내온을 55℃로 올렸다. 그 후,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중합개시제) 0.14 질량부를 아세톤 10 질량부에 녹인 용액을 전량 첨가하였다. 중합개시제 첨가 1시간 후에, 단량체를 제외한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35%가 되도록, 첨가 속도 17.3 질량부/hr로 아세톤을 연속적으로 반응기에 첨가하면서, 내온 54 ~ 56℃에서 12시간 보온하였다. 마지막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20%가 되도록 아크릴계 폴리머 A1를 조절하였다. 표 중의 모노머량은, 질량부이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100 질량부(고형분 환산치; 이하 같다)와 열가교제로서 트리메티롤프로판 변성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Soken Chemical & Engineering Co., Ltd. 제, 제품명 「TD-75」) 및 실란 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Shin-Etsu Chemical Co., Ltd. 제, 제품명 「KBM403」)을 표 1에 나타내는 양(질량부)으로 혼합해, 충분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메틸 에틸 케톤으로 희석하고, 점착성 조성물 B1 및 B2의 도포 용액을 얻었다.
Figure pat00001
점착성 조성물 B1 및 B2의 도포 용액을, 박리 필름 A(LINTEC Corporation 제, 제품명 「SP-PET752150」)의 박리 처리면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하였다. 그리고, 도포층에 대하여, 90℃에서 1분간 가열 처리해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에서 얻어진 박리 필름 A 상의 도포층과 박리 필름 B(LINTEC Corporation 제, 제품명 「SP-PET382120」)를, 상기 박리형 박리 시트의 박리 처리면이 도포층에 접촉하도록 첩합하고, 23℃, 50%RH의 조건 하에서 7일간 양생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두께 25㎛의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 시트, 즉, 박리 필름 A/점착제층/박리 필름 B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점착제층 두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겔분율은, 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점착제 조성물 B3 ~ B6를 이용한 점착제층)
질소 가스가 환류해 온도 조절이 용이하게 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 L의 반응기에, 표 2에 나타내는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모노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DA) 모노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모노머, 5-히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5-HPA)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혼합물을 투입하였다. 산소를 제거하기 때문에, 질소 가스를 1시간 환류한 후, 용액을 60℃로 유지하였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모노머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서 광중합개시제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I-184)을 0.5 질량부 투입하였다. 그 다음에 교반하면서, UV 램프(10 mW)를 조사해 아크릴계 폴리머 A2 ~ A5를 제조하였다. 표 2 중의 첨가량은, 질량부이다.
Figure pat00002
상기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A2 ~ A5를 표 3에 나타내는 성분 및 비율에 의해 혼합하고, 점착제 조성물 B3 ~ B6를 제조하였다. 표 3 중의 첨가량은, 질량부이다. 광중합개시제는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I-184)을 이용하였다.
Figure pat00003
점착제 조성물 B3 ~ B6를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박리 필름 A(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38㎛) 상에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위에 박리 필름 B(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38㎛)를 접합하고, UV 조사를 행해, 박리 필름 A/점착제층/박리 필름 B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UV 조사의 조건은, 적산 광량 400 mJ/㎠, 조도 2.8mW/㎠(UVV 기준)이었다.
[광학 적층체의 제작]
점착제 조성물 B1 ~ B6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을 통해, 전면판의 하드 코트층을 갖지 않는 쪽과 원편광판의 TAC 필름측을 첩합하고, 도 1에 나타내는 층 구조의 광학 적층체(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3)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2의 광학 적층체를 제작할 때는, 전면판, 점착제층 및 원편광판의 첩합면에는, 첩합 전에 양면 코로나 처리를 행하였다. 코로나 처리는, TEC-4 AX(USHIO INC. 제)를 사용하고, 표 4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1회 행했다. 한편, 비교예 3의 광학 적층체를 제작할 때는, 코로나 처리를 하지 않았다. 광학 적층체의 밀착력 및 정적 굴곡 내구성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고,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층의 두께]
접촉식 막 두께 측정 장치(주식회사 니콘제 「MS-5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편광자층 및 배향막에 대해서는, 레이저 현미경(Olympus 주식회사 제 「OLS3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장 탄성률]
인장 탄성률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전면판, 또는 TAC 필름(원편광판을 구성해, 점착제층에 접하는 최외층)으로부터 장변 110 mm×단변 10 mm의 측정용 샘플을, 슈퍼 커터를 이용하여 잘랐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 (Shimadzu Corporation 제, 오토 그래프 AG-Xplus 시험기)의 상하 클램퍼로, 클램퍼의 간격이 5 cm가 되도록 상기 측정용 샘플의 장변 방향 양단을 사이에 두었다. 온도 23℃, 상대습도 55%의 환경 하, 인장 속도 4 mm/분으로 측정용 샘플의 길이 방향으로 당겼다.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에서의 20 ~ 40 MPa간의 직선의 기울기로부터, 온도 23℃, 상대습도 55%에서의 인장 탄성률을 산출하였다. 이 때, 응력을 산출하기 위한 두께는, 상기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Mn)으로서 이동상에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이용하여 사이즈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에 의해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조작을 행하였다. 상기 시료 10μL를 SEC에 주입하였다. 이동상은, 1.0mL/분의 유량으로 흘렸다. 컬럼으로서 PLgel MIXED-B(polymer laboratories ltd. 제)를 이용하였다. 검출기에는 시차굴절률(RI) 검출기 (상품명:Agilent GPC)를 이용하였다.
[겔분율]
점착 시트를 80 mm×80 mm의 사이즈로 재단하고, 그 점착제층을 폴리에스테르제 메쉬(메쉬 사이즈 200)에 싸서, 그 질량을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고, 상기 메쉬 단독의 질량을 빼서, 점착제만의 질량을 산출하였다. 이 때의 질량을 M1로 한다. 이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제 메쉬에 싸인 점착제를, 실온 하(23℃)에서 아세트산에틸에 24시간 침지시켰다. 그 후 점착제를 꺼내,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 하에서, 24시간 풍건시키고, 또한 80℃의 오븐 중에서 12시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 그 질량을 정밀 천칭으로 칭량하고, 상기 메쉬 단독의 질량을 빼서, 점착제만의 질량을 산출하였다. 이 때의 질량을 M2로 한다. 겔분율(%)은, (M2/M1)×100으로 나타낸다.
[밀착력 측정 시험]
밀착력은, Autograph(AG-1S, Shimadzu Corporatio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광학 적층체(100)로부터 폭 25 mm×길이 150 mm의 시험편을 재단하였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편의 원편광판(30) 측을 유리 기판(501)(「EAGLE XG」, 코닝사, 무알칼리 유리판)에 첩부했다. 유리 기판(501)으로부터 점착제층(20)까지를 측정 장치에 고정하고, 온도 23℃, 상대습도 55%의 환경 하에서, 전면판(10)을 길이 방향으로 박리 속도 300 mm/분의 조건으로 180°방향(도면 중 화살표)으로 박리하였다. 박리 개시부터 10 mm까지를 제외하고, 측정되는 박리 강도를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의 밀착력으로 하였다. 10 mm에서 110 mm까지의 100 mm를 박리하는 동안에 측정한 밀착력의 평균 값을 평균 밀착력 A〔N/25mm〕로 하고, 측정한 값 가운데, 최소값을 D〔N/25mm〕, 최대값을 E〔N/25mm〕로 하였다. 마찬가지로,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편의 전면판(10) 측을 유리 기판(501)에 첩부하고, 유리 기판(501)으로부터 점착제층(20)까지를 측정 장치에 고정하였다. 원편광판(30)을 박리한 경우의 박리 강도를 점착제층(20)과 원편광판(30)의 사이의 밀착력으로 하고, 평균 밀착력 B〔N/25mm〕, 최소값 G〔N/25mm〕, 최대값 H〔N/25mm〕를 구했다. 이 경우에도, 박리 개시부터 10 mm까지의 구간에서 검출되는 박리 강도는, 평균 밀착력 B〔N/25mm〕, 최소값 G〔N/25mm〕, 최대값 H〔N/25mm〕의 산출에 이용하지 않았다.
[정적 굴곡 내구성 시험]
도 3에 정적 굴곡 내구성 시험(맨드릴 굴곡 시험) 방법을 나타낸다. 우선, 광학 적층체(100)를 1 cm×10 cm의 시험편로 재단하였다. 시험판(503) 상에 광학 적층체(100)의 전면판(10) 측이 위가 되도록 두고, 그 위에 직경 5 mm의 철제봉(502)을 두었다(도 3(A)). 전면판(10)이 내측이 되도록 손으로 구부려, 고정하였다(도 3(B)).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 또는 점착제층(20)과 원편광판(30)의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던 기간에 기초해, 정적 굴곡 내구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정적 굴곡 내구성(박리)
A:30일 경과한 시점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B:20일 경과한 시점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C:10일 경과한 시점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D:1일 경과한 시점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전면판(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 또는 점착제층(20)과 원편광판(30)의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던 기간에 기초해, 정적 굴곡 내구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정적 굴곡 내구성(기포)
A:30일 경과한 시점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다.
B:20일 경과한 시점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다.
C:10일 경과한 시점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다.
D:1일 경과한 시점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다.
Figure pat00004
실시예 1 ~ 4의 광학 적층체는, 3.0<C<40.0을 만족하고, 정적 굴곡 내구 시험에서 30일 경과한 시점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1 ~ 3의 광학 적층체는, F≥80.0 및 I≥80.0을 만족하고, 정적 굴곡 내구 시험에서, 30일 경과한 시점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다.
100 광학 적층체,
10 전면판,
20 점착제층,
30 원편광판,
501 유리 기판,
502 철제봉,
503 시험판.

Claims (5)

  1. 전면판, 원편광판,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원편광판을 첩합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점착제층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을 A〔N/25mm〕로 하고,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원편광판의 사이의 평균 밀착력을 B〔N/25mm〕로 한 경우에, 하기 식(1):
    C=(B/A)×100  (1)
    로 나타내는 평가 파라미터 C는, 하기 식(2):
    3.0<C<40.0  (2)
    를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하기 식(3):
    5.0≤A≤15.0  (3)
    을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점착제층의 사이의 밀착력의 최소값을 D〔N/25mm〕, 최대값을 E〔N/25mm〕로 한 경우에, 하기 식(4):
    F=(D/E)×100  (4)
    로 나타내는 평가 파라미터 F는, 하기 식(5):
    F≥80.0  (5)
    를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원편광판의 사이의 밀착력의 최소값을 G〔N/25mm〕, 최대값을 H〔N/25mm〕로 한 경우에, 하기 식(6):
    I=(G/H)×100  (6)
    으로 나타내는 평가 파라미터 F는, 하기 식(7):
    I≥80.0  (7)
    을 만족하는, 광학 적층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0200082568A 2019-07-12 2020-07-06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KR202100078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30249 2019-07-12
JPJP-P-2019-130249 2019-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861A true KR20210007861A (ko) 2021-01-20

Family

ID=7405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568A KR20210007861A (ko) 2019-07-12 2020-07-06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1015275A (ko)
KR (1) KR20210007861A (ko)
CN (1) CN112213810A (ko)
TW (1) TW2021029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9375B2 (ja) * 2021-03-10 2022-10-24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並びに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7995A (ja) 2016-08-15 2018-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層、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2795B2 (ja) * 2009-02-16 2010-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ロール原反及びロール原反製造方法
JP5577074B2 (ja) * 2009-11-09 2014-08-2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WO2019026751A1 (ja) * 2017-07-31 2019-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7995A (ja) 2016-08-15 2018-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層、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02908A (zh) 2021-01-16
JP2021015275A (ja) 2021-02-12
CN112213810A (zh)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2066B1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JP7469889B2 (ja)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7194041B2 (ja) 積層体
KR20210130174A (ko) 적층체
KR20210130165A (ko) 플렉서블 적층체
KR20210011331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KR20210132075A (ko) 플렉서블 적층체
KR20210114869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KR20210007861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KR102393475B1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KR102312028B1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JP2021047394A (ja)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TW202136832A (zh) 積層體
KR20200106451A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32074A (ko) 적층체
KR102345851B1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JP7183207B2 (ja) 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TW202134047A (zh) 光學積層體及顯示裝置
TW202134706A (zh) 光學積層體及顯示裝置
KR20210111686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JP2021135505A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