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568A -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568A
KR20040078568A KR1020040014086A KR20040014086A KR20040078568A KR 20040078568 A KR20040078568 A KR 20040078568A KR 1020040014086 A KR1020040014086 A KR 1020040014086A KR 20040014086 A KR20040014086 A KR 20040014086A KR 20040078568 A KR20040078568 A KR 20040078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ivot point
lever system
clutch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드만오스왈드
올프강 닥터.라이크
디르크 부르그할트
올프강 하스
크리스천 닥터.쉐우플에르
라스즈로 닥터.만
크리스토프 라베르
디르크 라임니츠
마르쿠스 쉬아페르
Original Assignee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8262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7856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filed Critical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ublication of KR2004007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5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7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on a disc bra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58Balloons associated with light or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66Having means to guide movement, e.g. propeller or w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75Special shapes 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023/126Actuation by rocker lever; Rocker lev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16D2023/141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characterised by using a fork; Details of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2065/386Slack adjusters driven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78Features relating to cooling
    • F16D2065/784Features relating to cooling the coolant not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brak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4Levers
    • F16D2125/645Levers with variable leverage, e.g. movable fulcr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4Clutches which are normally open, i.e. not engaged in released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의 지지점 또는 피봇점의 변위에 의해 상기 클러치 또는 트랜스미션 브레이크에 대한 작동력이 변경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레버의 한 단부 상에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가 작용하고, 타 단부 상에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클러치 또는 트랜스미션 브레이크의 압력판이 작용하는, 상기의 레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CLUTCH RELEASE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 또는 트랜스미션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동시에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변경되는 상기의 레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에 따라 클러치는 예컨대 불변의 레버길이를 갖는 레버가 증가하는 힘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형태로 작동된다. 그러나 클러치의 작동은 또한 동심성슬레이브 실린더(concentric slave cylinder)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동심성 슬레이브 실린더는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작동은 곧바로 스퍼기어(spur gear)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바람직하지 못한 점으로는 클러치를 접속시키기 위해 전동기는 자신의 최대 토크를 송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전동기에는 완전한 전류가 공급되어야 한다. 클러치 또는 동심성 슬레이브 실린더에 손상을 야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클러치의 접속 후에 전동기는 다시금 추가적 브레이크에 의해 즉시 제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클러치를 개방할 수 있으려면, 브레이크가 사전에 다시금 풀려있어야 한다. 그런 후에 시스템 자체가 개방된다.
클러치 릴리스 과정 동안 전동기의 높은 전류 요구량에 근거하여, 압착력과 그로 인해 전달되어질 토크의 능동적 제어는 불가능하다.
자동차 변속기, 특히 자동변속기 내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려면, 선행기술에 따라 다수 개의 [이른바 디스크 팩(disk pack)]이 유압력을 이용하여 함께 압착된다.
이러한 공지된 시스템은, 이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레버시스템이 비교적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거나 혹은 브레이크-디스크 팩용 유압식 록킹 시스템(hydraulic locking system)의 경우 추가의 유압펌프롤 이용하여 작동되어야 하는 유압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엔진실 내의 공간비율을 고려하면서, 클러치용으로 필요한 클러치의 작동력이 적은 에너지 소비량으로도 제어 가능하면서 전원고장 시에는 클러치의 독립적인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레버암(lever arm)이 불변의 레버길이를 포함하는 레버시스템이 배치됨으로써 해결된다. 이러한 레버시스템은, 상기 레버암의 제1측면에 대한 힘의 작용이 예컨대 디스크스프링으로 설계되어 있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형태로, 실시된다. 그로 인해 상기 레버암의 제1측면은 피봇점(pivot)의 각각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레버암의 제2측면은 클러치 또는 트랜스미션 브레이크에 힘이 작용하도록 기능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레버시스템의 정지위치에서 가변성 피봇점은 대체로 우선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에 근접하여 위치해 있다. 만약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가 접속되어야 한다면, 상기 피봇점은 레버 단부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른 클러치 또는 트랜스미션 브레이크에 대한 힘의 작용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지렛대원리에 근거하여 상기 레버시스템은 우선 -마찬가지로 대체로- 어떠한 힘도 제공할 수 없다. 그러나 상기 레버시스템의 피봇점이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로부터 계속 멀게 위치하거나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밀리게 된다면, 즉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에 작용하는 단부 근처에 위치한다면, 본 발명에 따른 레버시스템은 큰 힘을 이용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레버시스템은 또한, 하기의 도면에서 계속 볼 수 있듯이, (분리-)레버축을 따라서 힘의 작용점이 변위되면서 클러치 또는 트랜스미션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개방된 상태의 클러치와 연결되어 있는 발명에 따른 레버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따르지만 클러치가 접속되어 있는 레버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피봇점을 변위시키기 위한 곡류형 스프링(meander-shaped spring)으로써 개방된 클러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3과 같지만, 클러치가 접속되어 있는 레버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2개의 전동기를 이용하여 조정이 가능한 2개의 곡류형 스프링을 구비한 이중클러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솔리드 나선부(solid spiral) 상에서 피봇점을 조정하기 위해 편심되어 배치되는 컨트롤 모터를 구비한 이중클러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도 6과 같지만, 피봇점 조정이 나선형 세그먼트(spiral segment) 내에서 이루어지는 이중클러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a는 니들 케이지(needle cage)를 구비한 나선형 디스크스프링 (spiraldisk spring)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b는 비드(bead)를 구비한 나선형 디스크스프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도 7과 같지만, 피봇점 조정이 액시얼베어링을 통해 이루어지는 이중클러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압착식" 원심조정 클러치의 접속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스프링장력 접속식" 클러치가 "페달느낌"을 이용한 레버시스템으로써 접속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분할된 링레버(ring lever)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
도 12는 분할된 링레버를 구비한 변속기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
도 13 ~ 도 17은 롤러를 구비한 발명에 따르는 레버시스템의 상이한 단면들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8a ~ 도 18d는 케이스 내에 배치된 레버시스템의 상이한 단면들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9a ~ 도 19d는 케이스 내에 배치된 레버시스템의 추가의 단면들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0a ~ 20c는 변위가능한 피봇점의 상이한 단면들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1a ~ 21b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 고정부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2a ~ 도 22b는 추가의 에너지어큐뮬레이터 고정부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3a ~ 도 23d는 베어링유닛(변위가능한 피봇점)의 상이한 설계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4a ~ 도 24c는 압출성형 너트(extruded nut)를 구비한 베어링유닛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5a ~ 도 25c는 베어링유닛 내 스냅연결부(snap connection)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6a ~ 도 26f는 베어링유닛에 있어서 조정스핀들(adjusting spindle)과 너트 사이의 연결부의 상이한 설계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7a ~ 도 27h는 베어링유닛의 변형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8a ~ 도 28d는 베어링유닛의 또 다른 변형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9는 레버시스템에 대한 조정의 허용오차(tolerance)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0a ~ 도 30b는 조정 허용오차에 대한 측정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31은 케이스 내에 배치된 이중 레버시스템의 부분 절개개방형 사시도;
도 32는 케이스 내에 배치된 이중 레버시스템의 또 다른 부분 절개개방형 사시도;
도 33a는 또 다른 형태의 압축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클러치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 발명에 따르는 레버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3b는, 도 33a에 따르지만, 클러치가 접속된 상태에 있는 레버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4는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로커암(rocker arm)을 구비한 동심성 램프 릴리스실린더(concentric ramp release cylinder)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4a는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압축스프링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한 램프 릴리스실린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5는, 디스크스프링이 동시에 압축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로커암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6은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나선형 디스크스프링을 구비한 램프 릴리스실린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7은 특수한 정렬방식의 압축스프링을 구비하는 축방향 배치형 램프 릴리스실린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8은, 도 37에 따르면서 비상 릴리스장치(emergency release device)를 구비한 램프 릴리스실린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9는 로킹커브 프로파일(rocking curve profile)을 가지는 추가의 박판을 변위 시킴으로써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램프 릴리스실린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0은 내부에 전동기가 위치해 있는 릴리스실린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1은 로킹레버(rocking lever) 형태인 유압 작동식 릴리스실린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1a는 도 41에 따르는 릴리스실린더를 절결한 단면도;
도 41b는 [레버측에 작용하면서(31a), 하우징(49) 상에서 구름 운동하는(31b)] 롤러(31)를 구비한 유압 작동식 실린더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2는 (좌측의 릴리스실린더는 접속된 위치에, 우측의 릴리스실린더는 접속 차단된 위치에 있는) 이중의 유압 작동식 로킹레버 릴리스실린더의 기본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2a는 도 13에 도시된 이중의 로킹레버 릴리스실린더를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
도 43은 롤러의 설계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4는 릴리스실린더의 또 다른 변형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
도 45는 케이지의 단부에 롤러(나선형)를 수용하기 위해 배치된 정지캠(stop cam)을 구비한 릴리스스프링의 설계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6과 도 47은 릴리스스프링의 또 다른 설계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8은 전기 작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대한 발명에 따른 해결방법의 적용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샤프트(변속기 입력축)
2, 2a, 2b : 클러치
3a, 3b : 압력판
3c : 압력박판
4a, 4b : 클러치커버
5a, 5b : 클러치디스크
5c : 디스크팩(disc pack)
6 : 백 압력판
7a, 7b, 7c : 레버(예컨대 디스크 또는 곡류형 스프링), 컨트롤 레버
7d : 로킹커브가 통합된 나선형 플레이트
8a, 8b : 변위가능한 피봇점
9a, 9b, 9c : 에너지어큐뮬레이터(디스크스프링, 나선형코일스프링), 비틀림코일스프링
10 : 디스크스프링(릴리스스프링)
11a ~ 11d : 고정 피봇점(경우에 따라 와이어링 베어링)
12a, 12b : 마모 조정부
13 : 비틀림댐퍼
14a, 14b : 액시얼베어링
15a, 15b : 곡류형 스프링(meandering spring)
16a, 16b : 반경방향 스프링코일 액추에이터
17a, 17b : 설정링(내치기어)
18 : 분할형 링레버
19 : 웨브(web)
20 : 고정링
21a, 21b : 컨트롤 모터
21c : 중간변속기로서 이중유성기어세트를 구비한 전동기
22 : 디스크스프링(중앙 충실단면형; with central solid-section)
23 : 중립축
24 : 릴리스 셸(release shell)
25a, 25b : 클립
26 : 전류전달장치
27 : 가이드 포크
28a, 25b : 링크레버
29 : 리턴스프링
30 : 가이드면
31 : 롤링몸체, 볼, 롤러
32 : 롤러의 축
33a, 33b, 33c : 조정스핀들/유압실린더
33' : 피스톤
33.1 : 가이드
33.2 : 연장부
34 : 지지부
35a, 35b : 요크(yoke)
36a, 36b : 조정너트
37 : 케이스
38 : 프로파일링
39 : 접합부
40 : 케이스 바닥부
41 : 롤러 릿지
42 : 니들베어링
43 : 클러치커버 베어링
44 : 간격조정볼트
45 : 간격링
46 : 반응 모멘트 지지부
47a, 47b : 커넥터
48 : 링
49 : 하우징
49.1 : 하우징 가이드
50 : 레이디얼베어링
51 : 램프(ramp)
52 : 프로파일 박판(profiled sheet-metal)
53 : 레이스웨이
54 : 프리휠(freewheel)
55 : 하우징 박판
56 : 스래드 박판(threaded sheet-metal)
57 : 비상 릴리스장치
58 : 박판
59 : 전자석
60 : 포트(pot)
61 : 케이지
62 : 비드(bead)
63 : 토글레버시스템
A, B, C : 지지점
64 : 전환가능한 정지부
65 : 지지롤러(지지부)
66 : 정지캠
67 : 브레이크 슈
본 발명은 다음에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우선 도면명세에서 사용되는 도면부호는 모든 도면에 걸쳐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원형선(circular line)은 -도면에 대한 개관의 용이함에 기인하여- 다수의 도해에서 삭제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형선이 표시되어 있다면, 도해 유형의 자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과 도 2에는 오직 개략적으로만 본 발명에 따르는 작동메카니즘을 구비한 클러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개방된 상태의 클러치(2)를 도시하고 있으며, 반면에 도 2에는 상기의 동일한 클러치(2)가 접속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1과 도 2는 사고(思考)의 측면에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 클러치(2)는 대체로 백 압력판(6: back pressure plate); 클러치디스크(5); 압력판(3); 클러치커버(4);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디스크스프링으로서 설계되어 있는 릴리스스프링(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러치(2)에 대한 작동메카니즘은 대체로 지지부(34)에 배치되어 있는 레버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메카니즘은 자신의 레버(7)를 이용하여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샤프트(1)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액시얼베어링(14)에 작용하며, 동시에 상기 액시얼베어링(14)은 다시금 클러치(2)의 릴리스베어링(10)에 작용한다. 상기 지지부(34)는 도 1과 도 2의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은 변속기의 하우징과 스플라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클러치(2)에서, 릴리스스프링(10)의 내부단부를 좌측방향으로 압착시킴으로써, [여기서 상기 릴리스스프링(10)은 마찬가지로 레버(7)를 나타냄], 클러치가 접속되기 때문에, 이 경우를 또한 이른바 "압착식(compressed)" 클러치라고 한다. 만약 상기 릴리스스프링(10)에 있어서 3각형으로 도시된 지지점이 내부로는 반경방향으로 압력판(3)에 그리고 외부로는 클러치커버(4)에 안착되어 있다면, 작용의 반전이 가능할 수도 있으며, 상기 릴리스스프링(10)을 압착시킴으로써 클러치를 또한 접속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압착을 통해 개방되는 클러치는 본 발명의 대상이다.
도 1에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본원에서는 나선형코일 스프링으로서 설계되어 있음); 레버(7)의 반경방향의 외부단부; 그리고 도 1에서 동시에 지지점들(A, B)과 일치하는 변위가능한 피봇점(8);은 대체로 일작용선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도면이라고 하면, 대체로, 도면의 도해에서 이른바 (그러나 개관의 용이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는) 원형선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회전 대칭 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원형선들은 본 출원의 도면에서 삭제되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예컨대 레버(7)의 경우, 막대모양으로 설계되어 도해의 평면에 위치해 있는 부재에 관한 것이라는 인상이 제공된다. 상기 레버(7)는 반경방향의 슬릿들을 구비하고 있는 디스크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어느 정도까지 소수의 레버(7)가 제공된다. 더욱이 상기 레버(7)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도 13 ~ 도 17 또는 도 33 ~ 도 35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 하나의 반경방향 레버(7)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범주에서 디스크가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혹은 내부에서외부방향으로 부분적인 슬릿을 구비하고 있는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오직 중요한 점은 변위가능한 피봇점(8)이 디스크의 표면 중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향해있는 절리면(joint surface) 상에서 내부방향으로 혹은 외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의 여부이다. 상기 레버(7)는 도 1과 도 2에서 직선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레버는 변위가능한 피봇점(8)의 관점에서 어느 정도까지 오목한 형태를 취한다. 상기 변위가능한 피봇점(8)은 다수개의 롤러들(31)로 구성되며, 이는 상기 롤러들(31)중 하나는 상기 레버(7)의 표면상에서 구름 운동하는 반면 또 다른 롤러(31)는 상기 지지부(34)의 표면상에서 구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만약 변위가능한 피봇점(8)에 오직 하나만의 롤러(31)가 제공된다고 하면, 레버표면 상에서 롤러(31)의 회전방향과 상기 지지부(34) 상에서의 회전방향은 상호간에 반대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피봇점(8)의 반경방향 변위를 어렵게 할 수도 있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도 1에 있어서 변위가능한 피봇점(8) 또는 지지점(B)의 전술한 위치에서,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장력은 영(0)과 동일한 레버길이 상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레버(7)의 모멘트는 릴리스베어링(14) 상에 결코 작용할 수 없게 된다. 만약 점차적으로 (실제로는 경우에 따라 오직 약간의 밀리초 동안) 변위가능한 피봇점(8)은 도시하지 않은 샤프트(1) 쪽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면,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와 피봇점(8) 사이의 레버길이는 점차 계속해서 증가한다. 동시에 상기 피봇점(8)으로부터 릴리스베어링(14)에 접하는 피봇점 자신의 지지점까지의 레버길이는 짧아진다. 상기 피봇점(8) 또는 지지점(B)을 변위시킴으로써하기 공식에 따라 변경된 장력은 상기 릴리스베어링(14)에 작용하게 된다:
: 릴리스베어링(14)에 작용된 장력.
FG= 총 힘;
FF= 스프링장력;
a = 릴리스베어링으로부터 피봇점(8)의 거리;
b = 스프링장력 작용점으로부터 피봇점(8)의 거리.
상기 방정식으로부터 릴리스 장력이 보다 커질수록 피봇점(8) 또는 지지점(B)은 액시얼베어링(14)에 근접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도 2에는 결과적으로 변위가능한 피봇점(8) 또는 지지점(B)이 자신의 반경방향의 내부 위치에 도달하여 있다. 이러한 점에서 레버(7)의 최대 모멘트가 상기 릴리스베어링(14)에 작용한다(방정식 참조). 다시금 레버시스템을 나타내는 디스크스프링(10)(릴리스스프링)과 결부하여, 압력판(3)에 작용하는 압착력은 상기의 추가적 레버지지를 통해 보다 더 강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크스프링은, 전체 장치의 스피닝(spinning)을 회피하기 위해 외부의 지지점에 있는 롤러에 항시 최소의 장력이 인가되어 있도록, 최대 압착력보다 높은 장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롤러(31)의 최소 지지직경(supporting diameter)은 항상 클러치에 대한 지지직경보다 크다).
상기 레버(7)의 오목한 형태에 의해, 상기 변위가능한 피봇점(8)은, 이 경우 "경사"를 극복할 필요 없이, 반경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변위가능한 피봇점(8) 또는 지지점(B)의 조정이 또한 극미한 에너지 소모로도 실행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레버(7)의 오목한 형태(혹은 디스크스프링(10)에 있어서 몇몇 레버모양의 설부들(tongues)의 오목한 형태)에 의해, 상기의 오목한 레버(7)의 접촉점에서의 접선은 대체로 상기 변위가능한 피봇점(8) 또는 지지점(B)의 반경방향 트랙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다.
도 3과 도 4에는 도 1과 도 2의 기본원리에 대한 설계구조가 도시된다. 이러한 점에서 도 3과 도 4도 마찬가지로 다시금, 도 3은 개방된 클러치를, 반면 도 4는 접속된 클러치를 도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호 연관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클러치(2)에는 보충되는 방식으로 비틀림진동댐퍼(13; torsional-vibration damper)가 장치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엔진측의 회전 주기적 변동성은 변속기측에서 최소화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클러치(2)의 클러치커버는 천공부(punching)들을 포함하며, 이 천공부들 상에는 (이 경우 디스크스프링으로서 설계되어 있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가 지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디스크스프링은 인장되고, 그 결과 대체로 평면의 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와 레버(7) 사이에는 레버의 상단부에 반경방향으로 고정된 피봇점(11)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피봇점(11)은 예컨대 와이어링 베어링(wire ring bearing)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상기 피봇점(11)은 도해의 평면에서 상기 레버(7)의 선회를 허용하지만, 반경방향 변위는 허용하지 않는다. 클러치커버(4)는 자신의 내부면에, 다시 말해 압력판(3)을 향해있는 면에 평평한 구름면(rolling surface)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름면상에는 곡류형 스프링(15)이 인접하여 있다. 상기 곡류형 스프링(15)은 또한 도 3의 옆에 평면도로 재차 도시되어 있다. 상단부, 다시 말해 상기 곡류형 스프링의 외부단부에는 본 실시예에서 장방형인 윈도우(window)기 위치해 있으며, 상기 윈도우 내에는 원통형 롤러(롤러(31))가 쌍으로 상하로 겹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곡류형 스프링(15)의 내부단부에는 일종의 후크(hook)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후크로써 상기 내부단부는 특수한 디스크스프링(22)과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원형선이 도시되어 있지 않게 선택된 도해로 인해 상기 디스크스프링(22)은 백조의 목 모양의 와이어로 구성되어 보인다. 이와 동일하게, 릴리스베어링(14)과 연결되어 있는 릴리스 셸(24; release shell)도 백조의 목 모양으로 보인다. 그러나 상기 디스크스프링(22) 뿐 만 아니라 릴리스 셸은 이름이 이미 말해주듯이 셸 모양의 부재이며, 그로 인해 그 어셈블리의 작용방식을 보다 빠르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스프링(22)은, 외경에서부터 대략 자신의 중심까지 뿐 만 아니라 자신의 내경에서부터 외경방향으로도 부분적으로 슬릿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슬릿이 없는 환상영역(annular area)이 제공되며, 이 환상영역은 대략 디스크스프링(22)의 내부의 1/3 지점에 위치해 있다. 상기 디스크스프링(22)에 있어서 슬릿이 없는 환상영역은 재료역학의 규칙에 따라 이른바 중립축(23; neutral axis)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디스크스프링(22)이 자신의 내경영역에서 좌측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을 경험하게 된다면, 상기 디스크스프링에 있어서 슬릿이 없는 환상이면서 동시에 원뿔모양인 영역은 우선 최초로 "평평하게 압착되어야" 한다. 만약 이와 같이 평평하게 압착된 상태를 넘어서지 못한다면, 다시금 원뿔모양의 조정이 시도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디스크스프링(22)은 계속해서 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디스크스프링(22)에 대한 전술한 장력작용에 의해, 휨(bending)에 해당하는 변형(deformation)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환상의 중립축 쪽으로 지름 양끝에서 원주방향으로 인장응력 또는 압축응력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디스크스프링(22)의 전술한 탄성의 변형 시에 상기 중립축의 직경은 변경되지 않지만, 그러나 중립축의 링은 좌측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외부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디스크스프링(22)의 외부설부(outer tongue)는 상기 중립축을 중심으로 강력한 선회운동을 실시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디스크스프링(22)의 외부단부는 또한 곡류형 스프링(15)의 내부 후크 내에 맞물려 고정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하여 상기 곡류형 스프링은 내부방향의 반경방향으로 끌어당겨진다. 이러한 곡류형 스프링(15)의 위치 변경은, 상기 곡류형 스프링의 몇몇 세그먼트가 보다 얇은 웨브(web)를 이용하여 상호간에 연결되기 때문에, 가능해 진다. 도 4의 우측 반쪽부에서는, '어떻게 상기의 웨브가 "상기 곡류형 스프링(15)을 내부방향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상호간에 보다 더 좁혀지는지'를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그럼으로써 결국, 상기 곡류형 스프링(15)의 몇몇 세그먼트들이 상호간에 방해하지 않으면서, 곡류형 스프링(15)의 내경 뿐 아니라 외경이 보다 더 적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곡류형 스프링(15)의 반경방향 운동에 의해, 변위가능한 피봇점(8)은 샤프트(1)에 보다 가까이 이동한다. 상기 변위가능한 피봇점(8)은 상호간에 겹쳐 배치되는 2개의 구름베어링몸체(rolling bearing body)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피봇점(8)의 변위 시에 상당한 마찰손실은 발생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바람직하게는 레버(7) 상에서의 롤링몸체(rolling body)의 회전방향, 클러치커버(4)의 내부면 상에서의 롤링몸체의 회전방향 그리고 또한 롤링몸체의 회전운동이 서로에 대해 각각 상호작용식 구름운동(rolling motion)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런 후에, 상기 피봇점(8)은 내부방향의 반경방향으로 변위되었다고 하면, 상기 레버(7)는 압력판(3) 상에 배치되어 있는 마모 조정부(12; wear adjusting) 상에 압착된다. 그런 다음, 피봇점(8)과 고정 피봇점(11) 사이의 레버암은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나타내며, 그럼으로써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자신의 내재하는 힘을 상기 피봇점(11)을 통해 레버(7) 내로 유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클러치가 접속된다. 만약 상기 클러치가 다시 개방되어야 한다고 하면, 오직 반대의 운동시퀀스만이 요구될 뿐이다.
도 5 ~ 도 8은 각각 이중클러치와 결부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의 레버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 도 8로부터 도시되는 이중클러치의 경우, 백 압력판(6)은 크러치디스크들(5a, 5b)간의 중심에, 그리고 압력판들(3a, 3b)간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백 압력판(6)은 스플라인 방식으로 이중클러치의 하우징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커버(4)도 마찬가지로 상기 백 압력판(6)과, 그로 인해 이중클러치의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다. 도 5에서 컨트롤 모터(21a, 21b)는 이른바 스타터 제너레이터(starter generator)로서 설계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 모터들(21a, 21b)의 (통상 스테이터(stator)로서 명명되는) 외부케이스는 본원에서는 회전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으며, 그래서 스테이터(다시 말해 정지부분)의 개념은적합하지 않으므로, 중립개념인 케이스가 이용된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컨트롤 모터들(21a, 21b)의 내부케이스는 회전 불가능하며, 적합한 기계식 브리지(bridge)를 이용하여 회전하지 않는 변속기 몸체와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 모터들(21a, 1b)의 회전하지 않는 부분을 통해서 또한 전류공급(본원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이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 모터들(21a, 21b) 각각으로부터는 암(arm)이 반경방향의 외부방향으로 연장되며, 동시에 각각 암의 단부에는 롤러를 구비한 횡축(transverse axis)이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 모터(21a)의 스터드(stud)는 이른바 반경방향의 스프링 코일 액추에이터(16a; spring coil actuator) 내에 맞물려진다. 상기 스프링 코일 액추에이터(16a)(대응하는 사항은 스프링 코일 액추에이터(16b)에도 적용됨)는 예컨대 나선형으로 권선된(wound)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된)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이 스프링은 적어도 자신의 한 단부로써 곡류형 스프링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곡류형 스프링(15a) 내에서 상기 스프링 코일 액추에이터(16a)의 슬립(slip)이 발생하는 점은 억제된다. 상기 곡류형 스프링(15a)(대응하는 사항은 (15b)에도 적용됨)은 스플라인 방식으로 클러치커버(4)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 모터(21a)의 회전하지 않는 케이스의 경우, 상기 스터드는 상기 스프링 코일 액추에이터(16a)에 깊숙이 위치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스프링 코일 액추에이터(16a)는 각각 이중클러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그리고 각각 자신의 권선방향에 따라 상기 곡류형 스프링(15a)을 반경방향의 내부방향으로 끌어당기거나 혹은 외부방향으로 압착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피봇점(8a)의 변위가 이루어진다. 상기 피봇점(8a)에 할당된 레버(7a)는마모 조정부(12a)와 반경방향의 고정 피봇점(11a) 상에 압착된다. 이 피봇점(11a)으로부터 다시금 클립(25a; clip)을 이용하여 에너지어큐뮬레이터(9) 상에 동력이 흐르게 된다.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다시금 레버(7b), 피봇점(8b) 및 레버(7a) 상에 작용한다. 도 5 ~ 도 8에서의 특징으로서, 도시된 이중클러치와 그에 따라 이중으로 제공된 발명에 따른 레버시스템의 경우 각각 오직 하나의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만이 제공되지만, 이 에너지어큐뮬레이터는 각각 상기 두 레버시스템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클립(25a, 25b)들과, 또 다른 몸체[예컨대 백 압력판(6) 또는 클러치커버(4)]를 통과하는 상기 클립들의 관통구들은 추가의 단면도나 추가의 정면도 없이는 결코 올바로 도시될 수 없다. 그러므로 이와 관련하여, 개관의 용이성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 부분적으로 관통구들의 단면선(section line)이나 도해는 포기되었다.
상기 클립(25a)은 상기 두 레버시스템들(7a, 7b)을 상호간에 연결시키는 반면, 클립(25b)은 레버시스템들에서부터 압력판(3b)까지 상호 작용하도록 연결부를 형성한다. 레버(25b)의 우측단부와 레버(7b)의 외부단부 사이에는, 램프 링(ramp ring)과, 상기 클립(25b)의 축방향으로 치합된 내부측면(axially-toothed inner side)을 이용하여 기능하는 마모 조정부(12b)가 배치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는 액시얼베어링(14)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스플라인 고정식 릴리스 시스템 또는 스플라인 고정식 레버시스템은 클러치(2)의 회전하는 부분에 작용하며, 그로 인해 상대적 회전운동의 균형이 조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릴리스베어링의 경우 직경을 유지하기 위해, 샤프트 직경 근처로의 동력흐름이 유도되고, 그로부터 다시금 실제적인 압착면까지 전달된다. 그러므로 소형의 액시얼베어링(14)이 구현된다. 만약 브레이크,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트랜스미션 브레이크가 예컨대 자동변속기 내에서 구현된다면, 우선 회전하는 브레이크디스크는 하우징에 스플라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압력판을 이용하여 제동된다(백 압력판도 마찬가지로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상기 압력판은 회전 불가능하기 때문에, 변속기하우징에 직접 장착되는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액시얼베어링을 사용할 필요 없이, 마찬가지로 스플라인 방식으로 고정된 압력판 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5 ~ 도 7로부터 도시된 이중클러치의 작동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이와 관련하여 마찬가지로 액시얼베어링(14)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스프링 코일 액추에이터(16b)와 곡류형 스프링(15b)을 이용한 컨트롤 모터(21b)의 작동 시에, 압력판(3b)은 이동한다. 만약 곡류형 스프링(15b)이 자신의 피봇점(8b)과 함께 계속해서 반경방향의 외부방향으로 이동된다면, 상기 압력판(3b)은 클러치디스크(5b)에, 그로 인해 백 압력판(6)에 압착된다. 그러나 우측의 클러치 반쪽부가 접속되어야 한다면, 다시 말해 상기 압력판(3a)이 백 압력판 쪽으로 이동하여야 한다면, 이러한 경우 반경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피봇점(8a)은 반경방향의 내부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스프링 코일 액추에이터들(16a, 16b) 내에서 스터드의 상대적 운동은 클러치 반쪽부의 개방 및 접속을 담당한다는 점은 이미 명시하였다. 피봇점들(8a, 8b)의조정을 야기하지 않도록, 컨트롤 모터들(21a, 21b)의 외부 링은 이중클러치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여야 한다. 그리고 곡류형 스프링들(15a, 15b)의 반경방향 조정은 상기 컨트롤 모터들(21a, 21b)의 외부 케이스를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거나 혹은 모터 각각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클러치의 작동을 위한, 클러치의 회전방향 및 속도 그리고 컨트롤 모터들(21, 21b)의 회전방향 및 속도 뿐 아니라, 제어운동도, 해당하는 스프링 코일 액추에이터가 "왼쪽으로 돌면서" 혹은 "오른쪽으로 돌면서" 권선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른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설계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백 압력판(6)과 회전 동기화되어 진행하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에 있어서, 내부측면 뿐 아니라 외부측면 상에는 나선형 그루브가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평면은 클러치커버(4)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그로 인해 추가의 어셈블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 경우 레버들(7a, 7b)은 특별한 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레버들은 피봇점(8a, 8b)에 추가적으로 볼롤러(31;ball roller)로서 설계되어 있는 피봇점(11a) ~ 피봇점(11d) 상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볼롤러들(31)은 각각 환상의 그루브(annular groove) 내에서 구름 운동한다. 예컨대 상기 레버(7a)용 피봇점(8a)이 조정되어야 한다고 하면, 상기 디스크모양의 레버(7a)는 (이 경우 내치기어로서 설계되어 있는)설정 링(17a; setting ring)을 이용하여 선회된다. 상기 설정 링(17a)은 자신의 내경에 접하는 기어부를 포함하며, 이 기어부 내로는 편심되어 배치되는 컨트롤 모터(21a)의 피니언 기어가 맞물린다. 상기 컨트롤 모터(21a)를 편심되게 배치함으로써, 이 컨트롤 모터는 곧바로 자신의 전류공급원과 연결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을 경우 연결선이 샤프트(1)를 중심으로 권선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컨트롤 모터(21a)는 전류전달장치(26)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주변부와 스플라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류전달장치(26)는 대체로, 전류전달장치의 고정부분과, 함께 회전하는 부분 사이에 전기적 연결부를 형성하는 습동접점(sliding contact)으로 구성되어 있다[설정 링(17b)과 그로 인한 레버(7b)에 할당된 컨트롤 모터(21b)는 도면상 컨트롤 모터(21a) 뒤쪽에 위치하며, 그로 인해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런 다음 예컨대 상기 레버(7a)용 피봇점(8a)이 반경방향의 내부방향으로 변위된다고 한다면, 상기 디스크모양 레버(7a)는 나선형 그루브의 권선방향(winding direction)에 따라 구동된다. 이러한 조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레버(7a)는 동시에 자신의 피봇점들(11a, 11c) 상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피봇점들(11a, 11c)의 그루브들은 환상, 다시 말해 원형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하여 상기 그루브들의 반경방향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상기 레버(7a)용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도 6의 실시예에서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우선 클립(25a)으로써,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에 대한 상호작용 연결부가 구성된다. 도 6의 실시예에서도 또한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동시에 상기 레버(7b)용으로 사용되는 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도 6의 레버들(7a, 7b)은 적어도 피봇점들(8a, 8b, 11a, 11b, 11c, 11d)과 맞닿아 스치는 영역 내에서는 슬릿을 포함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을 경우 나선형으로 혹은 원형으로 이동하는볼들이 대응하는 슬릿 내에 빠져 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볼들의 오직 점형태의 부하용량(load-carrying capacity)으로 인해, 그리고 상기 볼들은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곡류형 스프링(15)과 결부되어 제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한된 수량의 롤링몸체가 사용된다면, 충분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볼들(31)의 전체 테두리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부(spiral)의 원주길이 상에 그리고 베어링들(11a, 11b, 11c, 11d)의 원주길이 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피봇점(8a)을 나타내는 나선부의 볼들(31)이 나선부의 내경(inner-diameter)에 위치한다면, 볼들(31)로 형성된 나사선은 대략 360°의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그와 반대로 상기 피봇점(8a)이 예컨대 반경방향의 외부방향으로 매우 멀리 변위 되었다면, 나선형으로 배치된 볼들(31)은 360°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한다. 상기 볼들(31)이, 예컨대 정의되지 않은 부하조건에 의해, 클러치커버(4) 내에 각인된 나선부에 걸쳐 불균일하게 분배되는 점을 억제하기 위해,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볼 나선부(ball spiral)"의 두 단부들이 가이드 포크(27; guide fork)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포크(27)는 도 6 내에 별도의 작은 도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는 피봇점(8a)의 반경방향의 내부위치에서 제공되는 "볼 나선부"의 상황을 재현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나선부의 내부단부 및 외부단부는 상기 가이드 포크(27)의 포크 슬릿 단부에 충돌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가이드 포크(27)의 양방향 화살표는, 상기 볼들(31)이 힘작용을 통해 상기 가이드 포크(27) 상에서 변위되는 것을 도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가이드 포크(27)가 각각의 조정방향에 따라 상기 두 방향으로 이동함을 도시하고 있다. 만약 상기 "볼 나선부"가 나선형의 각인된 그루브의 외경 상에 위치한다면, 상기 볼들(31)은 보다 큰 나선부 원주길이 상에 분배되며, 그럼으로써 좌측의 내부 볼 및/또는 우측의 외부 볼은 더 이상 포크 슬릿 내에 안착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점은 단점이 아니다. 왜냐하면 전체적이긴 하지만 그러나 대체로 상기 볼들(31)이 오직 상기 나선부의 경로 상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환상의 피봇점(8a)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포크(27)를 통해 상기 볼들(31)은 계속해서 내부에 위치하거나 혹은 계속해서 외부에 위치하는 나선부 상에 도달할 수 없으며, 이는 정의되지 않은 부하조건을 야기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도 6과 도 5가 조합된 도해가 도시되어 있다. 컨트롤 모터들(21a, 21b)은 다시금 샤프트(1)에 대해 편심이 되게 배치되어 있다. 변위가능한 피봇점들(8a, 8b)은 링크 레버들(28a, 28b; link lever)을 이용하여 변위된다. 클러치커버(4a, 4b)와 레버들(7a, 7b) 내에는 각각 일치하는 나선형 세그먼트가 통합되어 있다. 도 7a와 도 7b로부터는 마찬가지로 도 7b에 따라서는 레버(7)로서 기능할 수 있는 디스크스프링(10)에 각인부(케이지(61), 비드(62))가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각인부로써는 동시에 롤러(31)들에 대한 로킹커브가 표시된다. 이러한 로킹커브 형태를 통해 압착력의 지속적인 보상이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크스프링(10a, 10b)을 비틀기 위해서는 압착력과 비교하여 오직 극미한 조정력(adjusting force)만이 요구된다.
도 7b의 경우 상기 비드(62; bead)는 롤링몸체 또는 롤러(31)의 특수 설계구조를 가지는 니들(needle)에 지지된다. 상기 압력판(3a, 3b)에 대한디스크스프링(10a, 10b)의 압착점 또는 지지점은 나선형 디스크스프링을 외부에서 내부방향으로 비틀리게 함으로써 이동된다. 이러한 지지점의 이동에 의해 디스크스프링 장력은 증대되고, 그로 인해 클러치(2a, 2b)는 밀착된다.
상기의 니들(31)은 또 다른 측면에서 지지판의 외부에 고정된다. 내부에서 상기 니들은 압착력을 전달하는 압착링(compressing ring)에 밀착된다.
상기의 나선형 세그먼트들은 바람직하게는 천공 가공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가공방법은 간단하면서도 빠르고, 충분한 정밀성을 가지며, 그로 인해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링크레버(28a, 28b; link lever) 내에는 마찬가지로 나선형 세그먼트가 통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나선형 세그먼트는 클러치커버(4a, 4b) 또는 레버(7a, 7b)의 나선형 세그먼트에 대해 대체로 직각을 이루면서 배치되어 있다. 링크레버 장치의 부분도는 이중클러치 옆에 소형의 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협폭의 각인부는 클러치커버들(4a, 4b)의 나선형 세그먼트를 나타내며, 광폭의 그루브는 링크레버들(28a, 28b)의 나선형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만약 상기 링크레버(28a, 28b)가 컨트롤 모터(21a, 21b)를 이용하여 샤프트(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된다면, 피봇점(8a) 및/또는 피봇점(8b)의 볼들(31)은 반경방향으로 변위된다. 도 7에서는 또한 에너지어큐뮬레이터(9) 뿐만 아니라 레버(7a)가 레버(7b)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과 도 4의 명세에서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롤링몸체들을 상하로 겹쳐 배치하는 것은 피봇점들(8a, 8b)의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도 7에는 원통형 롤링몸체가 아니라 볼들(31)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볼들(31)과 결부하여서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링몸체들은 쌍으로 상하 겹치게 하여 배치된다. 그로 인해 이와 관련하여 조정마찰(adjusting friction)이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볼(31)이 다른 볼(31)로부터 미끄러져 어긋나는 현상은 본 발명에 따라, 쌍으로 배치된 볼들(31)이 링크레버의 횡방향과, 클러치커버들(4a, 4b)의 나선형 세그먼트 및 레버들(7a, 7b)의 나선형 세그먼트의 또 다른 횡방향에 고정됨으로 해서, 억제된다.
도 8에는 곡류형 스프링(15a) 또는 곡류형 스프링(15b)의 또 다른 설계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할당된 상세도는 원주방향의 장방형 슬릿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슬릿에는 원통형 롤링몸체가 배치된다. 반경방향의 긴 슬릿들은 교대로 곡류형 스프링(15)의 외경에서부터 내경으로 그리고 내경에서부터 외경 근처까지 연장되며, 그럼으로써 가느다란 탄성의 웨브가 생성되며, 그로 인해 상기 곡류형 스프링(15)의 몇몇 세그먼트들은 겹치거나, 상호 마주보거나, 혹은 상호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8의 도해는 원형선이 생략되어 다시금 약간 혼동될 수 있다. 곡류형 스프링(15a, 15b)에 있어 내부에 경사져 연장되는 다리부들(legs)은 와이어 형태로 보여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다리부들은 자체 회전 대칭형 구조로 인해 실제로 원뿔형태이다. 이러한 원뿔형태로 인해 액시얼베어링(14a, 14b)에 대한 바람직한 지지면이 제공되며, 상기 액시얼베어링을 이용하여서는 상기 곡류형 스프링(15a, 15b)은 반경방향의 외부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곡류형 스프링의 반경방향의 내부방향 변위는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도해에서 좌측 압력판(3b)을 작동시키는 클립은 생략되었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2개의 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좌측의 도는 각각 접속된 클러치를 도시하고, 우측의 도는 해당하는 개방된 클러치의 절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서 클러치커버(4)는 거의 오직 협폭의 링으로만 구성되며, 상기 링은 백 압력판(6)으로 향해있는 자신의 한 단부에 고정 플랜지를 장치하고 있으며, 상기 링의 타 단부에는 쌍투 에지(double-throw edge)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직각으로 굽은 에지는 레버(7)에 대해 반경방향 부동성 피봇점(radial-immovable pivot)의 기능을 한다. 상기 레버(7)는 마모 조정부(12)의 접촉점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7)는 마찬가지로 디스크스프링으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이러한 디스크스프링(7)은 슬릿이 없는 협폭의 내부 링, 상대적으로 긴 외부설부 및 짧으면서도 굽은 내부설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 다시 말해 디스크스프링(7)의 슬릿이 없는 부분(빗금친 영역에 해당함)은 대체로 중심에 위치하는 중립축(2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설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힘이 작용하면, 상기 링은 상기 중립축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다른 말로 하자면: 디스크스프링(7) 내부에서 슬릿이 없는 영역의 위치는 결정적으로 그 작용방식을 결정하는데, 왜냐하면 상기 중립축의 위치는 변형의 지배를 받지 않는 영역을 사전에 지정하기 때문이다.
클러치의 회전운동-및 그에 따른 레버(7)의 회전운동-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하며, 이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설부는 특히 강하게 외부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중립축(23) 둘레에는 좌회전 토크가 발생한다. (이 경우도 또한 디스크스프링으로서 설계되는)리턴스프링(29)에 의해 릴리스스프링(10)은 우측방향으로 압착된다. 도의 우측 부분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릴리스스프링(10)은 외부의 2/3 영역 내에 위치하는 슬릿이 없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영역은 상기 레버(7)의 중립축으로 변위되어 있는 중립축(23)을 포함한다. 도의 우측 부분에서 또한 상기의 슬릿이 없는 영역이 간단히 원뿔모양으로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크스프링(10)은 동시에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이며, 이 에너지어큐뮬레이터는 좌측으로 이동할 시에 원뿔모양의 영역을 탄성 변형시키고, 이때 인장된다.
만약 상기 디스크스프링(10)이 액시얼베어링(14)을 이용하여 좌측으로 압착된다면, 상기 디스크스프링(10)의 외부설부 내에 배치된 롤러(31)는 상기 레버(7)의 하부측면의 표면에서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레버(7)의 짧으면서도 굽어진 내부설부에 대한 힘의 유도 지점은 마찬가지로 좌측으로 변위된다. 상기 디스크스프링(10)이 좌측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리턴스프링(29)의 인장력, 즉 상기 디스크스프링(10)에 대한 변형력 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7)에 대한 고정력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상기 디스크스프링(10)은 도 9와 관련하여 고의적으로 릴리스스프링으로 명명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도시한 클러치가 클러치 쪽으로 액시얼베어링(14)이 압착됨으로써 접속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상기 디스크스프링(10)은 릴리스스프링 대신에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구조에 근거하여 상기 클러치는 또한 "압착식" 클러치로 명명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클러치의 경우 운동학적 반전을 야기하는 장치에 의해, 클러치페달을 밟음으로써, 클러치가 개방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액시얼베어링(14)에 작용하는 힘을 약하게 할 시에 리턴스프링(29)은 디스크스프링(10)을 우측으로 압착시키고, 그로 인해 클러치가 개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종종 클러치의 "밀착"은 전동기에 의해서도 야기된다.
도 10의 클러치는 다시금 "통상의" 클러치이다. 다시 말해 클러치페달을 밟을 시에, 클러치가 개방된다. 이러한 설계구조의 경우 전동기식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은 디스크스프링(10)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한다. 그러므로 이는 페달느낌을 이용한 클러치라고 한다. (이 경우 재차 디스크스프링으로서 설계되어 있는) 레버(7)의 슬릿이 없는 영역은, 이 경우 완전히 내부의 에지에 위치한다. 상기 영역의 중립축의 위치에 의해, 이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대략 중앙의 직경영역을 중심으로 설부가 기울어지지 않는다.
도 11과 도 12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7a, 7b)가 고정링(20; holding ring)에 장착되어 있는 레버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7)의 설계구조는 또한 분할형 링레버(18; segmented ring lever)로 명명된다. 상기 고정링(20)은 작동되어질 클러치 또는 트랜스미션 브레이크에 대해 대체로 동심이 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1은 상기 환상 구조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반면, 도 12는 샤프트(1)에 대한 절반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레버(7a, 7b)는 반경방향 축을 중심으로 적은 각도를 이루면서 선회가 가능하다. 도 12에서 선회는 탄성력으로 변형이 가능한 웨브(19)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7a, 7b)의 표면상에는 반경방향으로 롤링몸체(31)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롤링몸체는 원주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롤링몸체(31)는 각각 변위가능한 피봇점(8a, 8b)(변위 후에는 8a', 8b')을 형성한다. 반경방향으로 표시된 (이 경우 레버의 보다 긴 단부에 표시된) 선은 에너지어큐뮬레이터의 접촉선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는 2개의 작동장치들 사이에 압력판들(3a, 3b)용으로 가이드면(30)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면은 변속기하우징 내에 위치 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가이드면상에서 각각의 링크레버 내에 상호간에 겹쳐 위치하는 롤링몸체(31)가 구름 운동한다. 외부의 롤링몸체(31)는 상기 레버(7a, 7b)의 표면과 접촉한다. 상기 링크레버들(28a, 28b)은 각각의 컨트롤 모터(21a, 21b)를 이용하여 샤프트(1)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상기 링크레버들(28a, 28b)의 기계식 결합은 컨트롤 모터(21a, 21b)에 접하는 웜휠 프로파일링(worm wheel profiling)과 웜기어(worm gear)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링크레버(28a)가 샤프트(1)의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된다면, 피봇점은 (8a)에서 (8a')로, 혹은 그 반대로 변위된다. 레버(7a)의 한 단부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a)로써 부하를 받기 때문에,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a)는 긴 분리레버를 이용하여 높은 모멘트를 생성하게 된다. 또 다른 분리레버는 짧기 때문에, 이 짧은 분리레버는 높은 힘으로써 압력판(3a)에 압착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압력판은 디스크(5)(이 경우 트랜스미션 브레이크디스크)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백 압력판(6)은 위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브레이크디스크(5)는 결국 플레이트들(6, 3a) 사이에 고정된다. 링크레버(28a)의 복귀선회 시에 상기 브레이크디스크는 점차로 다시 풀리게 된다.
플레이트들(3a, 6) 내 파선은, 상기 플레이트들이 부분적으로 중공을 포함하여 설계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플레이트들에는 냉각부(수냉식 냉각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마찰면, 마찰라이닝 및 인접한 몸체의 가열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1과 도 12와 관련하여, 도시한 메카니즘은, 예컨대 자동변속기 내 트랜스미션 브레이크용 뿐 만 아니라 클러치(2)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그와 반대로 클러치(2)가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은 또한 트랜스미션 브레이크와 결부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3 ~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설계구조의 상이한 단면들을 도시하고 있다. 지지부(34)에 장착된 컨트롤 모터(21)와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 모터(21)의 측면에서 구동되는 조정스핀들(33)을 이용하여, 롤러(31)와 그에 할당된 축(32)이 상기 지지부(34)와 레버(7)를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31)는 상기 지지부(34) 상에서, 그리고 상기 축(32)은 상기 레버(7)의 내부윤곽 상에서 구름 운동한다(점선). 롤러(31) 및 축(32)의 상이한 직경으로 인해, 강제 구동될 수도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롤러(31)와 축(32)은 오직 어렵게 (클러치(2)의 회전축과 관련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경우는, 상기 롤러(31)가 베어링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니들베어링을 이용하여 자신의 축(32) 상에 지지되어 있을 때이다.
상기 롤러(31)가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근처에 위치하는 점에 한해서, 액시얼베어링(14)과 그에 따른 클러치(2)의 디스크스프링(10)에 대한 힘의 작용은 이루어질 수 없다. 상기 롤러(31) 및 축(32)이 샤프트 중심에까지 가는 경로 중에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32)은 비직선 상에서 구름 운동한다. 이러한 점은, 예컨대 (예를 들어 불필요하게 긴 클러치 작동시간을 생성하지 않기 위해) 보통 에너지 소모량이 소량인 경로구간의 경우 그럼에도 컨트롤 모터(21)는 균일하게 부하를 받게 된다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구간의 경우, 레버 표면 내 경사가 변경됨으로써 작동시간이 획득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롤러(31) 또는 축(32)이 내부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이동하였다면,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 경우 쌍을 이루는 나선형 코일스프링으로서 설계되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긴 분리레버 상에, 그로 인해 디스크스프링(10) 또는 다른 유형의 메카니즘 상에 강하게 압착된다.
만약 컨트롤 모터들(21)이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 모터를 간단한 On/Off 원리에 따라서 개폐할 뿐 아니라, 지능형 제어장치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특히 바람직한 경우로는, 상기 제어장치는 센서들과 연결되어 있고, 작동은 디지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때이다. 만약 다수개의 컨트롤 모터들(21)이 변속기 내에 제공되어 있다면,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컨트롤 모터들을 공통의 제어장치로 제어한다. 왜냐하면 그렇게 했을 경우 몇몇 모터들(21)의 기능은 상호간에 보다 더 양호하게 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 ~ 도 17에서 레버(7), 지지부(34), 그리고 롤러(31)에 대한 컨트롤 모터(21)의 커플링(혹은 롤러(32)의 축)은 박판으로 제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형성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레버시스템은 케이스(37)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7)는 예컨대 형타가공(stamping)을 이용하여 박판으로 제조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레버(7a, 7b) 또한 박판-형타가공제품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 18a ~ 도 18d는 본 발명의 상기 형성예에 대해 첫 번째 개요를 제공한다. 상기 도 내에는 예컨대 이중클러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이중의 레버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a는 도 18b의 절결선 A-A를 따라 절결한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c는 다시금 절결선 B-B를 따라 절결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8c의 Z1부분의 상세도는 도 18d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들 18a~18d는 레버시스템의 보다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해 항시 전체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도면에 따라서 컨트롤 모터들(21a, 21b)은 케이스(37) 또는 케이스 에지 내에 레버시스템을 배치함에 따라 간단하게 플랜지 결합될 수 있는 방법을 양호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라 조정스핀들들(33a, 33b)은 곧바로 상기 케이스(37)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조정스핀들들(33a, 33b)은 조정너트들(36a, 36b)에 의해 둘러 싸여 있으며, 컨트롤 모터(21)의 회전 운동을 병진운동으로 전환 시킨다. 상기 조정너트들(36a, 36b)은 연결부를 이용하여 롤러(31) 또는 롤러(31)의 축(32)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롤러는 병진운동 시에 함께 운동하게 된다. 상기 롤러(31)의 연결은 오메가 모양의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동시에 상기 컴포넌트의 중심부분에는 컨트롤 모터를 둘러싸는만곡부(curvature)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만곡부는 또한 요크(35a, 35b; yoke)로서 명명된다. 상기 요크(35a, 35b)의 단부는 공모양으로 설계되어 있으면서 상기 롤러(31)의 중공 축 내에 맞물려진다. 이때 상기의 "볼 엔드(ball end)"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31)의 축방향 중심에 배치되며, 그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31)의 제로-토크식 가이드가 이루어지게 된다. 요크(35a, 35b)(도 18d)의 볼 엔드가 축방향 중심의 외부에 있다면, 롤러(31)에 대한 토크제어("조향운동(steering motion)")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8d에서 알 수 있듯이, 케이스 바닥부(40) 내에는 그루브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그루브 내에서는 상기 롤러(31)의 "릿지(41; ridge)"가 이동한다. 상기 롤러(31)는 상기 릿지를 이용하여 케이스-바닥부(40) 내 슬릿을 통해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요크(35a, 35b)의 볼 엔드의 축방향 편심성은 슬릿 내에서 상기 릿지(41)의 마찰을 초래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8a ~ 도 18d(및 도 19a~19c)에서 도시한 내용은 이중 레버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레버시스템을 설계한 구조이다. 이러한 이중 레버시스템은 이중클러치를 작동시키는 데 이용되고, 이와 관련하여 (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상호간에 엉켜 포개어 넣어지는 작동 슬리브(operating sleeve)는 변속기 입력축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레버들(7a, 7b)은 축방향으로 연달아 배치되는 작동 슬리브의 지지점 내에 맞물려진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레버들(7a, 7b)은 상호간에 간섭할 수 없다. 왜냐하면 상기 레버(7a)의 포크는 앞쪽 슬리브를, 그리고 상기 레버(7b)의 지지포크(supporting fork)는 뒤쪽 작동 슬리브를 이동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레버들(7a, 7b)들의 지지포크들의 교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에서, 레버(7a)는 적어도 지지포크의 자신의 영역에서는, 레버(7b)의 지지포크의 영역에서와 다른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레버들(7a, 7b)과 케이스 바닥부(40)는 또 다른 특징을 포함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에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링(38; profiling)이 제공되어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프로파일링은 예컨대 다시금 단면축(A-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18d에는 이미 케이스 바닥부(40)의 프로파일링의 일부분을 볼 수 있으며, 동시에 이 경우 케이스 바닥부(40) 내 슬릿이 아니라, 대체로 장방형으로 설계된 비드(bead)가 프로파일링으로서 간주된다. 상기 레버(7a, 7b)의 프로파일링은 도 18b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단히 큰 "E"자 모양으로 각인되어 보인다. 상기 프로파일링들은 공통적으로 상기 케이스 바닥부(40) 뿐만 아니라 레버(7a, 7b)에도 과도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여기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레버시스템은 케이스 바닥부(40)의 프로파일링과 레버(7a, 7b)의 프로파일링을 포함하는 케이스(37) 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레버시스템은 상기 롤러(31)용 구름면(rolling surface)과 상기 롤러(31)의 축(32)용 구름면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롤러(31)와 상기 축(32)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두 컴포넌트 사이에는 니들베어링(42)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 2개의 롤러로 구성되는) 피봇점(8a, 8b)을 변위시킬 시에 상기 롤러(31)는 케이스 바닥부(40) 상에서 구름 운동하는 반면, 상기 롤러의 축(32)은 내부의 레버표면에 접하여 구름 운동한다. 상기 롤러 축(32)의 회전운동에 의해 중공의 롤러 축(32)의 내부면과 상기요크(35)의 볼 엔드 사이에는 상대적 운동이 생성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요크(35)는 최종적으로 오직 병진운동만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요크(35)의 볼 엔드와 상기 축(32)의 내부면 사이의 상대적 운동과, 이와 결부된 마찰이 상당한 단점을 야기하지는 않는데, 왜냐하면 이 경우 오직 상기 롤러(31) 또는 상기 롤러 축(32)을 변위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만이 활주면(sliding surface)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변위를 위한 힘은 레버단부에 작용하는 힘과 비교하여 매우 극미하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공모양의 요크 단부에 작용하는 극미한 마찰력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드는 베어링 장치는 요구되지 않는다.
도 18a~도 18c에서는 또한 이 경우 나선형 코일 스프링으로서 설계되어 있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연결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한 단부는 상기 레버(7a, 7b)의 형타가공된 견부(shoulder) 상에서 지지된다.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타 단부는 접합부(39; abutment) 내에서 지지된다. 상기 접합부(39)는 바람직하게는 간단한 방식으로 인해 케이스(37)의 슬릿 내에 후크방식으로 걸려있다.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가 횡방향 운동 형태로 자신에게 향하는 저항을 전혀 견딜 필요가 없도록 하거나 오직 극미한 저항만 극복하면 되게끔 하기 위해, 이 경우 도시된 변형예에서 상기 접합부에는 미끄럼 지지점(sliding bearing point)으로서 역할을 하는 비드(62)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에 있어서 상기 비드를 향해있는 단부 내에는 상기 비드(62)를 향해 있는 베어링 부싱의 스토퍼(stopper)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레버(7a, 7b)의 작동 시에 베어링 포크가 변속기 입력축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지만, 그러나 상기 레버(7a, 7b)는 피봇점(8a, 8b)이 변위됨으로써 동시에 선회운동을 하기 때문에, 상기 레버(7a, 7b)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모터들(21a, 21b)을 향해 있는 단부의 경우 변속기 입력축 쪽으로 극미한 반경방향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레버(7a, 7b)를 향해있는 자신의 단부로써 마찬가지로 반경방향 운동을 실시하여야만 한다. 이 경우 대체로 원통형인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형태에 의해, "횡방향 강성(transverse stiffness)"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가 자신의 단부에서 상기 횡방향 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양호하게 지지된다.
도 19a~도 19c는 도 18a~도 18d와 동일한 대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9a는 도 19b의 절결선 C-C를 따라 절결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절결선 C-C는 그 위치에 있어서 특히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베어링의 설계구조를 도시할 수 있도록 선택한 것이며, 그로 인해 이 경우 특히 도 19c로부터 설명된다. 레버(7b)는 자신의 형타가공된 견부로 용이한 식별이 가능하다. 레버(7b)의 우측단부에는 작은 러그(lug)가 각인되어 있으며, 이 러그를 통해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하단부가 가이드된다.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b)의 상단부에서는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 있는 베어링 부싱과 함께 스토퍼가 끼움 고정되어있다. 상기 베어링 부싱 내로는 접합부(39) 내 비드(62)의 외부면이 맞물려 있다.
도 18, 도 19 및 도 21b는, 예컨대 평면의 부재로부터 아치형 부재로 이어지는 전환부가 또한 외곽선(outline)으로써 지시되는 방법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오늘에도 여전히 부분적으로 통상적인 가상교점(imaginary intersection)은 생략된다. 상기 가상교점은 명백한 기하학적 위치를 재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적용 시에 혼돈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이용되는 도해의 형식에 의해 경우에 따라 혼동을 줄 수도 있는 다수 개의 추가적 외곽선이 제시된다. 그러나 그 외곽선은 정확하게 기하학적 위치에 상응한다.
도 20a~20c에는 연결용 요크(35)와 조정 너트(36)와 연결된 변위가능한 피봇점(8)의 기본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의 변위가능한 피봇점(8)(8a, 8b)은 다시금 2개의 롤러(31)로 구성되며, 각각의 롤러(31)는 이 경우 중공의 축(3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요크(35)에는 다시금, 대체로 자신의 중심이 상기 롤러(31)의 축방향 중심에 위치하는 볼 엔드가 제공되어 있다. 도 20c(절결선 A-A에 상응함)에서는, 상기 요크(35)가 상기 조정너트(36)의 아치모양의 슬릿 내에 스냅-인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비용 저렴한 고정방법은, 상기 조정 너트(36)가 압출성형된 탄력적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정너트(36)와 요크(35) 사이의 비용 저렴한 연결부는, 변위가능한 피봇점(8)의 조정운동동안, 적어도 컨트롤 모터(21) 쪽 방향으로 이동할 시에 상기 요크에 작용하는 힘이 극미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로 인해 조정너트(36)의 스냅-인 고정력은 상기 요크(35)를 신뢰되는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0a와 도 20b에서 롤러(31)와 이 롤러의 축(32)의 구조를 개략화된 형태로 재차 양호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축(32)은 (이미 도 18과도 19에서와 같이) 자신의 각각의 단부에 디스크를 장치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축(32)의 구름직경(rolling diameter)은 확대된다. 이러한 확대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축의 구름면 상에 극미한 오염이 발생할 시에 보다 큰 직경은 보다 적은 구름저항을 갖게 된다. 그럼에도 상기의 링을 상기 축의 단부 상에 배치함으로써, 축과 롤러(31) 사이에서 이중 볼베어링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보다 어려워지지는 않는다.
도 21a와 도 21b는 케이스(37) 내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베어링 장치의 설계구조에 대한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a는 바람직하게는 형타가공된 후크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37)의 벽부의 리세스 내에 맞물려질 수 있는 잠금고정식 접합부(39)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접합부(39)의 확실한 탄력성에 의해, 상기 접합부는 규칙에 따라 상기 리세스 내에 스냅-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1b에서는 동시에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또 다른 베어링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단부에는 예컨대 도 18과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별도의 스토퍼가 제공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접합부(39)가 간단히 공모양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횡방향 운동 시에 볼록부(camber) 상에서 구름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강성에 의해 이 에너지어큐뮬레이터의 타 단부에서도 횡방향 운동이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경우 오직 단면만을 볼 수 있는) 레버(7)에 또한 볼록부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볼록부들은 드럼 또는 원뿔모양일 수 있다.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를 해당 작동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합부(39) 뿐 아니라 레버(7)에는 내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러그가 제공되어 있다.
도 22a와 도 22b에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베어링 장치의 또 다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오직 양식화하여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2a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를 절결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반면, 도 22b는 개략적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인장스프링으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동시에 그 두 단부에는 대응하는 러그가 제공되어 있다. 제공된 러그로 인해 함께 베어링 장치를 나타내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별도의 선회 메카니즘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23a~도 23d는 베어링 유닛을 가이드에 대한 상이한 변형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는 내부 베어링축의 원통형 제한식 가이던스(restricted guidance)이거나 혹은 경사진 작용면을 구비한 가이드 또는 외부 베어링의 가이드일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유닛은 회전 및 횡방향 운동이 가능하며, 요크(35) 상에 지지되어 있다. 경사진 가이드트랙(guide track)와 가이드그루브(guide groove)는 케이스(37)에 혹은 레버(7a, 7b)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3c에는 볼베어링의 이중 그루브 상에는 롤러릿지(41:roller ridge)가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장치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릿지는 롤러(31)를 나타낸다. 도 23a와 도 23b에는 축(32)의 보다 큰 직경에 원뿔모양의 챔퍼(chamfer)가 제공되어 있다. 만약 상기의 원뿔모양 표면이 이와 관련하여 대체로 평행한 구름면 상에서 이동된다면,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안정화된 구름운동(rolling motion)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효과는, 2개의 선로 사이에 있는 철도의 바퀴쌍으로부터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자기 중심조정(self-centering)과 비교될 수 있다. 도 23d에서 롤러(31)에는 상호간에 마주보고 있는 2개의 원뿔형 챔퍼(conical chamfer)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의 롤러(31)가 대체로 상기 원뿔형 표면에 대해 평행한 V-모양의 트랙상에서 구르게 되면, 이 경우 자기 중심조정 효과가 설정된다. 상기 자기 중심조정효과는 축방향 가이드를 야기할 뿐 아니라, 롤러(31) 및/또는 축(32)의 조향운동 또한 유도한다.
도 24a~도 24c에는 요크(35)가 각각 2개의 셸 모양의 형타가공부품으로 제조되고, 그런 다음 플라스틱으로 압출코팅되는 변형예가 도시된다. 압출코팅된 플라스틱이 조정스핀들(33)의 삽입을 가능케 하는 암나사선을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의 압출코팅된 플라스틱은 조정너트(36)라고 할 수 있다. 도 24c에는 요크(35) 또는 조정너트(36)의 설계구조가 조립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25a에는 상기 요크(35)가 더 이상 오메가 모양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중심에 밀폐된 링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요크(35)는 링 스냅 연결방식으로 상기 조정너트(36)와 연결되어 있다. 도 25b에 따르는 실시예는 상기 조정너트(36)를 고정시킬 뿐 아니라 상기 요크(35)를 연결시키는 박판 케이지(sheet-metal cage)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베어링 유닛을 도시하고 있다. 도 25c에는 상기 요크(35)가 도 25a에서와 같이 환상으로 혹은 기타 실례에서와 같이 오메가 모양으로 설계되어 있다. 도 25b에 대한 도 25c의 특징으로서는 상기 조정너트(36)가 별도의 박판케이스나 박판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요크(35)가 곧바로 상기 조정너트(36)의 탄성 스냅후크(elastic snap hook)에 의해 고정된다는 점이다.
도 26a~도 26f는 조정너트(36)와 요크(35)의 연결부에 대한 추가의 형성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26a에는 상기 조정너트(36)의 나사산이 슬리브로서 회전 불가능하게 몸체 내에 적용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너트에는 동시에 요크가 장착되어 있다. 너트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부에 덮개판이 설치되어 있다. 도 26b에서는 상기 덮개판의 고정을 개선하기 위해, 볼트체결부 또는 리벳연결부(rivet connection)를 보다 양호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장착되어 있다. 도 26d에는 상부의 덮개판이 슬리브 모양으로 설계되어 있으며,(대시-도트 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고정부는 몸체 내에 반경방향으로 적용되며, 상기 고정부에는 또한 요크가 동시에 장착되어 있다. 도 26e에서 상기 조정너트(36)의 실제적인 나사산은 기본몸체 내에 인입되어 있다. 이러한 인입을 통해 조정너트 나사산(adjusting nut thread)은 회전 불가능할 뿐 아니라 축방향으로도 충분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26c의 경우 상기 조정너트 나사산은 또한 상기 요크(35)를 고정시키는 지지체(supporting body)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체를 포함함으로써, 항시 조정너트 나사산의 축방향 고정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조정너트 나사산이 추후에, 다시 말해 요크(35) 및 기본몸체의 제조 후에 적용된다면, 상기 나사산몸체는 이미 너트 나사산의 수축압력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기본몸체와 연결된다. 도 26f에서, 너트 나사산은 기본몸체 및/또는 요크(35) 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이는,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는 점에 한해서,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그로 인해 다음에 이어지는 분사과정에 의한변형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도 27a~도 27h는 변위가능한 피봇점(8)의 상이한 형성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컴포넌트(40.4)는 레버(7) 혹은 케이스 바닥부(40)를 가리킨다. 이에 대응하는 사항은 도면부호(40, 7)를 갖는 기타 컴포넌트에 대해서도 적용되는데, 즉 상기 컴포넌트는 케이스 바닥부(40)이거나 레버(7)일 수 있다. 상이하게 선택된 빗금부분에 의해 어떠한 윤곽이 컴포넌트를 나타내고, 컴포넌트들이 어떻게 상호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도 27의 발명에 따른 해결방법의 실시예는 자체적으로 설명된다. 특징으로는 상기 롤러(31)의 축(32)이 각각 솔리드샤프트(solid shaft)로서 설계되어 있다는 점이다.
도 28a~도 28d는 중공샤프트로서의 상기 축(32)을 가리키고 있다. 이러한 설계구조는 무엇보다 그로 인해 중량이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29 내 도식은 대체로 도 1과 도 2의 도식에 상응한다. 그러나 특징으로는 지지부(34)가 클러치커버 베어링(43)을 통해 클러치커버(4)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부(34)는 예컨대 더 이상 변속기 벽부에서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클러치(2) 자체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발명에 따른 레버시스템을 이용하여 반응모멘트(reaction moment)를 차단(intercept)하기 위해, 모멘트지지부(moment supporting)가 변속기하우징에 제공될 수 있다. 클러치커버-베어링(43)을 이용하여 클러치커버(4)에 발명에 따르는 레버시스템을 축방향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클러치시스템과 레버시스템 내 소성변형, 열적변형 및/또는 탄성변형은 치수(X)만큼 조정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상기 지지부(34)가 하우징벽부에서 지지되어야 한다고 하면, 예컨대 변속기와 클러치의 열적 길이변화(thermal length change)에 의해 레버시스템의 오조정(misadjustment)이 실현될 수도 있다.
도 30a와 도 30b는 도 29를 고려하여 도시된 것으로, 발명에 따른 레버시스템을 차량 내에, 예컨대 클러치와 변속기 사이에 조립할 시에 변위가능한 피봇점(8)에 대한 공칭위치를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측정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공칭위치로 레버시스템을 조정함으로써 릴리스베어링(14) 또는 디스크스프링(10)에 대한 사전 지정된 공칭압착력이 제공된다.
도 30a에서 이상적으로 "대칭되어" 설정된 레버시스템으로부터 출발한다면 이동거리(S)에 따른 힘의 다이아그램(force/travel diagram)에서, 레버(7)의 형태가 피봇점(8)을 변위시키는데 어떠한 힘의 소모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S가 증가함에 따라 수평의 축에 대해 거의 평행한 곡선이 생성된다. 변위가능한 피봇점(8)을 복귀시킬 시에(다시 말해, S가 감소할 시에), 이동시키는 힘에 대해, 동일한 수치를 가지는 반대의 조건이 생성된다. 이동거리에 대한 힘의 그래프는 수평의 다이아그램 축에 대해 반사대칭이며, 그러한 이유에서 "대칭" 설정식 레버시스템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b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대칭의 힘-이동거리-파형에서, 레버시스템이 여전히 올바로 설정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면, 변위가능한 피봇점(8)을 이동시킴으로써 (·s)에 대해 비교적 적은 값 이내에서 실제적인 압착력이 검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칭압착력에 대한 편차가 발생한다면, 치수(X)만큼 레버시스템을 조정함으로써 공칭압착력이 구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지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오직 대칭의 힘-이동거리-다이아그램만이 바람직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성예에서, (당김 또는 압착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따라서) 두개의 힘-이동거리 다이아그램 모두 음의 영역에 있거나 혹은 양의 영역에 위치한다. 이러한 보상 시에 중요한 사실로서 오직, 컨트롤 모터(21)가 고장나고, 비-자동잠금식(non-self-locking) 조정스핀들(33)이 존재할 시에 변위가능한 피봇점(8)은 자동으로 비임계 위치(uncritical position)로 이동한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비임계 위치는 각각 의도되는 안전 전략에 따라, 예컨대 해당 클러치(2)가 개방되어 있는 위치일 수 있다.
도 31은 이중 레버시스템을 명료한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레버시스템은 내부를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있다. 좌측 하부 영역 내에는 개관의 용이성에 대한 이유에서 부분을 제거하지 않았으며, 그러므로 이와 관련하여 완벽한 레버시스템을 볼 수 있다. 케이스(37)의 상부 모서리 부분에는 케이스의 슬릿들 내에 끼워져 있거나 혹은 맞물려 고정되어 있는 접합부(39; abutment)가 위치해 있다. 상기 접합부(39)는 비드를 포함하며, 이 비드는 자신의 하부측면 상에서 스토퍼의 트러프형 리세스(trough-shaped recess) 내에 맞물려 있으며, 동시에 상기 스토퍼는 다시금 에너지어큐뮬레이터(9a) 내에 맞물려 있다. 레버(7a)는, 2개의 "중간선"을 포함하는 "E"자 모양의 각인된 형태로 설계되어 있는 강력한 프로파일링(38)을 포함하고 있다. 레버(7a)의 우측 단부에는, 이중클러치(2a, 2b)용 디스크 슬리브(disc sleeve)에 작용하는 2개의 포크가 제공되어 있다. 오직 양식화하여 도시된 컨트롤 모터(21a)는 리벳연결부 또는 볼트체결부를 이용하여 케이스 벽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중 레버시스템의 우측 상부에는, 그 외 컴포넌트의 보다 나은 도시를 위해, 2개의 접합부(39), 에너지어큐뮬레이터(9b), 레버(7b) 그리고 우측 롤러(32b)가 탈거되어 있다. 컨트롤 모터(21b)에는 조정스핀들(33b)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터축과 조정스핀들(33)은 일체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바람직하면서도 비용저렴하게 압연기술(roll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스핀들(33)은 별도로 설계되어 있으면서 조립 시에 예컨대 열박음 처리를 이용하여 모터샤프트 상에 고정되는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조정스핀들(33b)(그리고 그에 따라 조정스핀들(33a)도 마찬가지로)은 바람직하게는 이른바 이동나사산(moving thread)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나사산이라고 하면 예컨대 사다리꼴 나사산으로 이해하면 된다.
조정너트(36b)는 조정스핀들(33b)을 둘러싸고 있으며, 동시에 조정너트(36b)는 다시금 요크(35b)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게 된다. 상기 요크(35b)의 우측 단부는 볼 엔드이다. 상기 요크의 좌측 단부에는 롤러(21b)와 축(32b)으로 이루어져 있는 베어링 유닛의 일부가 위치한다. 상기 롤러(31b)에는 본 실시예에서 원뿔형 구름면이 제공되어 있다. 케이스 바닥부(40)의 프로파일링과 결부되어, 추가의 롤러와 추가의 축이 속해있는 전체 베어링 유닛에 대한 가이드 효과가 생성된다. 상기 케이스 바닥부(40)의 중심에 있는 별모양 리세스는, 케이스(37) 내에 배치된 이중 레버시스템을 변속기 입력축 상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변속기 벽부에 접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캠이 위치해 있다면, 동시에 별모양으로 배치된 리세스를 이용하여 케이스(37)에 작용하는 반응모멘트 또한 차단할 수 있다.
도 32는 도 31을 기초로 하는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의미의 컴포넌트에 대한 언어적 반복을 회피하기 위해, 여기서 재차 도면부호는 전체 출원서에 걸쳐 유효성을 갖는다는 사실이 주지된다.
도 32의 도해에서 대체로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베어링(43, 14a, 14b)들은 절개되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들(14a, 14b)은 이 경우 이중클러치(2a, 2b)용으로 액시얼베어링 또는 릴리스베어링을 나타낸다. 클러치커버 베어링(43)은 간격조정볼트들(44)을 이용하여 케이스(37)와 연결되어 있는 링(48) 상에 놓여 있다. 상기 간격조정볼트들(44)(이 볼트 중 오직 2개만이 절개된 도면에서 볼 수 있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48) 및 케이스(37)와 리벳 접합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커버(4)를 향해있는 클러치커버 베어링(43)의 측면은 예컨대 베이어닛 조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클러치커버(4)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클러치커버 베어링(43)에 있어 차량의 작동 시에 회전하는 링에 상기 클러치커버(4)의 그루브 내로 스냅-인 방식으로 체결되는 섀클(shackle)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상기의 베이어닛 조인트가 설계되어 있다.
도 30a와 도 30b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조정은, 상기 링(48)과 클러치커버 베어링(43) 사이에 적합한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간격 링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경우는, 상기 간격 링이 대체로 한 위치에 반경방향의 슬릿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레버시스템의 최종 조립후 끼워맞춤고정(fitting) 될 수 있을 때이다.
또한 우측 접합부(39)가 명확한 도해의 이유에서 생략되었기 때문에, 특별한 구조를 식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호간에 끼워져 있는 2개의 나선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들 중 하나(이 경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b))를 볼 수 있다. 여러 스프링 특성들을 조합함으로써, 완전히 상이한 전체적인 스프링 특성들이 설계된다. 또한 반대되는 나선방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특성과 거동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나선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예컨대 스프링을 압착하고/하거나 이완시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나선형 코일스프링의 비틀림이 보상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스프링의 마찰모멘트는 자신의 지지면으로써 계속해서 억제되고, 그에 따라 스프링특성은 전체적으로 히스테리시스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33a와 도 33b는 롤러 또는 지지점(B)와 그에 따른 피봇점(8)을 변위시킴으로써 레버(7)에서의 길이비율이 변화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클러치(2)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 33a에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스프링 장력(FF)과 롤러 상에 작용하는 힘(FR) 사이의 힘의 균형이 지배하고 있다. 상기의 위치에서 지지점(C)으로부터 레버(7)에 결과적으로 야기되는 힘(FG)의 작용거리는 길이 "I"를 갖는데, 왜냐하면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작용선은 상기 위치에서 지지점들(A, B)과 일치하는 피봇점(8)을 통과하여 진행하기 때문이다.
클러치(2)의 접속된 상태는 도 33b로부터 알 수 있다. 상기 도에는 개략적으로 지점(B)의 변위 상태를 알 수 있으며, 그러므로 레버(7)의 길이 "I"는 길이 "a"와 길이 "b"로 분리되고, 그에 따라 동시에 힘의 분배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지지점(C)을 통해 전달되는, 결과에 따른 힘(작동력)은 하기의 방정식으로부터 구해진다:
.
상기와 같은,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배치의 원리는 도 3, 도 5, 도 36 및 도 40에서 실현된다.
도 34는, 레버(7)가 포크 모양으로 설계되어 원주방향으로 볼 램프(51; ball ramp)에 고정되고, 상기 레버(7)에는 레이스웨이(raceway)가 제공되어 있는 기계식 램프 릴리스실린더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의 레이스웨이는 포크 양측에 각각 쌍으로 배치되는 롤러(31)용으로 2곳의 최종위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서 상기 롤러가 이동하게 된다.
클러치(2)를 개방하거나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들(5c)은 기계식 램프 릴리스실린더를 이용하여 그에 상응하게 압착되거나 개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컨트롤 모터(21)로부터 출발하는 압축력은 조정스핀들(33)을 이용하여 롤러(31) 상에 전달되거나, 혹은 자신의 시작위치(A)로부터 생성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일측에서는 자신의 지지면으로써 롤러(3)에 인접하고, 타측에서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에 인접하여 이 에너지어큐뮬레이터와 힘의 균형을 이루는 포크 모양의 레버(7)는, 상기 롤러(31)와 로킹커브를 나타내는 레이스웨이의 연결부를 통해, 조정스핀들(21)과 이동과 압축스프링(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배압에 의해, 위치(B)로 이동되어 진다. 이러한 이동은 레버(7)에서의 길이비율의 변화를 야기한다.
상기 레버(7)의 시작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점을 보장하기 위해, 램프 릴리스실린더에는 프리휠(54; freewheel)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프리휠은 재료의 피로, 마멸 등의 결과로 발생하는 마모를 재조정함으로써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결합과정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상기 레버(7)는 더 이상 도 33a와 도 33b에 도시한 위치에 수용되는 것이 아니라, 기울어지게 된다. 릴리스 과정의 경우, 상기의 현상은, 보다 높은 작동력이 조정스핀들(33)로부터 공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정의 한계값이 초과된다면, 상기 조정스핀들(33)은 지점(A)을 지나치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프라이휠은 상기 볼 램프(51)를 재조정하거나 재설정하게 된다. 요구되는 마모 재조정을 위한 시점은, 컨트롤 모터(21)에서의 증가된 전류소모량 또는 스핀들의 무전류 복귀 시 보다 길어진 복귀시간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와 같이 램프 릴리스실린더를 반경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은, 설치공간이 여타의 가능성을 허용하지 않을 때, 특히 바람직하다.
도 34a는 마찬가지로, 레버(7)가 원주방향으로 볼 램프(51)에 고정되어 있는 램프 릴리스실린더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특징은, 도 34에서 기술한단 하나의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스프링-타입 액추에이터(spring-type actuator)의 형태로, 원주방향으로 분배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에 의해 대체되었다는 점으로, 이는 클러치디스크에 대한 비틀림진동댐퍼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하다. 그로 인해, 보다 큰 저장용량을 유지하기 위해, 반경방향의 공간 내에 다수의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를 설치할 수 있다. 몇몇 에너지어큐뮬레이터들(9) 내에 저장된 에너지 또는 스프링장력은 토크암(torque arm)을 통해 레버(7)에 전달된다.
상기의 실시예에는 마찬가지로, 상기 레버(7)의 시작위치는 일정하게, 그에 따라 작동력(FG)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프라이휠(54)이 제공되어 있다.
도 35는 앞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릴리스 과정이 램프 릴리스실린더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레버들(7)을 이용하여, 이른바 로커암(rocker arm)을 통해 실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 외에도 이러한 해결방법은, 디스크스프링(10)이 동시에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기능을 담당하며, 그로 인해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는 생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해결방법과 구분된다.
그러므로 상기의 해결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스프링(10) 또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롤러들(31)을 이용하여 레버(7)를 따라 이동되어 진다. 상기 레버들(7)에는 각각 사전 지정된 곡선(로킹커브)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러한 곡선 상에서 상기 롤러들(31)이 강제 안내되는 방식으로 구름 운동하게 된다. 상기의 레이스웨이 상에서 상기 롤러들(31)은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롤러들(31)은 힘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동안 디스크스프링(10)에 고정된 하우징 박판(55)을 통해 지지된다.
상기 로킹커브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크팩(5c)과 디스크스프링(10) 사이의 힘과 에너지 균형이 제공된다. 상기 롤러들(31)의 축방향 이동 또는 지지점(B)의 축방향 변위는, 외부에서 하우징(49)에 지지되어 있는 스래드 박판(56; threaded sheet-metal)에 의해 유도된다.
도 36은 2개의 디스크스프링들(10)을 이용한 클러치 라이닝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변형예의 경우 전술한 해결방법에 반하여 상기 디스크스프링들(10) 중 하나는 마찬가지로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의 기능을 수행하여 프리스트레스(pre-stress) 되어있다(나선부는 곧바로 다이아프램 스프링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이아프램 스프링으로 명명할 수도 있는) 제2 디스크스프링(10)은 상기의 경우 레버(7)와 동일하다. 상기 디스크스프링(10) 또는 레버(7)는 프리스트레스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축방향으로 비교적 유연한 상태이다. 상기 두 디스크스프링들(10, 7) 또는 두 디스크스프링들(10, 9) 중 하나의 디스크스프링 상에는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나선형의 레이스웨이, 즉 이른바 볼 레이스웨이(53; ball raceway)가 통합되어 있다. 상기 볼 레이스웨이 상에서 다수 개의 볼들(31)(특히 롤러의 설계구조로서)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클러치(2)를 접속시키기 위해 2가지 작용이 이용된다. 한편으로는 디스크스프링의 지지점이 축소되고, 그에 따라 동시에 상기 디스크스프링의 장력은 증가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레버로서 작용하는 롤러의 길이비율이 변경되고, 그로 인해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디스크스프링들(예: 10, 9) 중 하나를 비틀어지게 함으로써, 볼들(31)은 상기 레이스웨이(53)를 따라 이동되어지며, 그로 인해 상기 디스크스프링(10, 9)의 외부 지지점과 그에 따른 디스크스프링 장력은 변경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반대편에 위치하는 디스크스프링(10/7)은 초과 압축되고, 클러치(2)는 접속된다. 힘과 에너지를 보상하기 위해, 출력축에 설치된 디스크스프링(10, 7)은 추가적으로 나선부 상에 권선되어 있는 로킹커브의 형태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상기 로킹커브는 제2 디스크스프링(10, 9) 상에도 제공될 수 있다. 나선부와 로킹커브의 형태는 각각의 클러치(2)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나선부는 실제로 보다 짧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선부는 오직 45°의 각도로만 위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되는 다수 개의 나선부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수 개의 나선부들을 이용할 시에 각각의 레이스웨이(53) 내에서는 하나의 볼(31)이 구름 운동한다. 레이스웨이(53)가 오직 하나라면, 다수의 볼들(31)이 곧바로 차례대로 연달아서 케이지를 통해 안내된다. 클러치측에 배치되는 디스크스프링(10)의 비틀림은, 예컨대 전방에 직렬로 연결된 베벨기어(bevel gear)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37의 변형예에 따라서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는, 존재하는 축방향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요크(35)를 이용하여 상호간에 연결되는 롤러들(31) 위쪽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크스프링(10)은 곧바로 레버(7)로부터 부하를 공급받는다. 롤러들(31)은, 컨트롤 모터(21)의 조정스핀들(33)이 작동함으로써, 그에 상응하게 자신들의 레이스웨이 상에서 이동하며, 동시에 레버(7)는 디스크스프링(10)을 작동시킨다.
도 38은 디스크스프링(10)의 2개의 상이한 위치가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법의 추가의 설계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도 37을 고려할 때 비상 릴리스장치(57)가 제공되어 있어서 전원고장 시에 클러치(2)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비상 릴리스 장치를 작동시키는 가능성은 롤러들(31)에 대한 로킹커브를 항시 복원력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설계하는 점에 있다. 즉, 롤러들(31)이 항상 자신의 시작위치에서 컨트롤 모터(21)의 방향으로 밀착될 정도의 힘이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최대 작동력이 상승할 수도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점을 피하기 위해, 일측에서는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49)에 지지되고, 타측에서는 토글레버시스템(63; toggle lever system) 위쪽에서 전자석(59)에 의해 고정되는 추가의 박판(58)이 삽입된다. 전원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전자석(59)은 자신의 인력을 잃게 되고, 상기 토크레버시스템(63)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롤러들(31)에 대한 지지력도 사라지고 클러치(2)는 개방된다. 상기 롤러들(31)이 복귀할 시에 시작점을 초과함으로써, 상기 추가의 박판(58)은 다시금 자신의 시작위치로 되돌아 갈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토글레버시스템은 다시금 신장되고, 전자석(59)에 의해 가볍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석(59)은 작동 시에 상기 토글레버시스템을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기능 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기 때문에, 상기 전자석은 비교적 소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도 39는 도 38에 따른 릴리스실린더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8과 비교하여 프로파일 박판(52; profiled sheet)이 하우징(49)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프로파일 박판 상에는 롤러들(31)에 대한 로킹커브가 각인되어 있다. 상기 롤러들(31)은 프로파일 박판(52)의 로킹커브를 따라 샤프트(1)의 방향으로 구름 운동하고, 이때 레버(7)를, 2개의 위치로 도시되어 있는 디스크스프링(10) 쪽에 압착시킨다. 로킹커브를 구비한 추가의 프로파일 박판(52)을 이용한 상기의 변형예에 따라, 에너지어큐뮬레이터(9)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로킹커브를 변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레버(7)의 압축라인도 변위되고, 상기 롤러들(31)의 각각의 위치에 대해, 상기 레버(7)의 표면의 또 다른 순간적인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완전한 압축력이 존재하는 영역 내에서는 항상 릴리스 힘의 완전한 보상이 달성될 수 있다. 오직 에어갭(air-gap)과 평평한 라이닝 스프링 특성의 영역 내에서만, 완전한 보상이 달성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상기 로킹커브의 변위에 의해 초기기울기(initial gradient)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의 해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오일윤활식 습식클러치에 적합하다. 건식클러치의 경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 하부에 가이드 롤러가 제공되어 있어야만 한다. 도 38의 해결방법에 대한 또 다른 차이점은, 로킹커브의 상승 시에 높이 보상(height compensation)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컨트롤 모터(21)에 있다.
도 40은 릴리스실린더의 설계구조에 대한 추가의 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다.본 실시예에서 컨트롤 모터(21)는 내부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조정스핀들(33)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힘전달의 또 다른 가능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컨트롤 모터(21)로부터 제공되는 힘은, 지금까지 외부로부터 릴리스실린더 내로 유도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내부로부터 유도된다. 이로부터 추가의 힘전달과 관련하여 그에 대응하는 변경이 이루어지는데, 왜냐하면 디스크스프링(10)은 유성기어를 통해 컨트롤 모터(21)의 샤프트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이다. 상기 샤프트는 릴리스 시에 디스크스프링(10)을 비틀리게 하며, 이는 도 7a와 도 7b에 상응하게 디스크스프링(10)의 비드(62) 상에서의 롤링몸체의 구름운동을 야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링몸체는 동시에 롤러들(31)이며 레버(7)의 일부분이다. 상기 디스크스프링(10)과 롤링몸체들(31) 사이의 지지점(B)의 변위는 한편으로는 디스크스프링 장력을 증가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압력판(3)을 이용하여 클러치(2)의 디스크팩(5c)을 압착시키는 롤링몸체들(31)을 기울어지게 한다. 그와 반대로 레버시스템을 통해 상기 컨트롤 모터(21)의 샤프트의 방향이 변경될 시에 상기 디스크 팩(5c)의 몇몇 디스크들은 상호간에 이격 되어진다. 상기 디스크스프링(10)의 비틀림 시에 계속해서 마찰(특히 보어 마찰; bore friction)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상기 롤러들(31)의 내부 지지점(C)에 추가의 구름베어링(14)을 직렬로 설치하여야 한다. 이로써 외부의 지지점(A)에서부터 내부의 지지점(C)까지 롤러들(31)의 추가의 이동경로가 보상된다. 또한 디스크스프링(10)은 하우징(49) 쪽에서 구름베어링(14)을 통해 지지되며, 이 경우 마찬가지로 마찰은 최소화된다.
마모 시에 디스크팩(5c)에 대한 디스크스프링(10)의 최적의 축방향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포트(60; pot)에는 나사산이 배치되어 있다. 마모가 발생하면, 상기 컨트롤 모터(21)를 통과하는, 디스크스프링(10) 내의 정지부를 통해, 상기 포트는 하우징 내부(49)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틀려지고, 그에 따라 상기 디스크팩(5c)과 관련하여 전체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은 차단된다. 그로 인해 클러치(2)의 사용수명에 걸쳐, 일정한 에어갭과 그에 따른 일정한 작동모멘트가 보장된다.
도 2에 따른 기본원리를 적용하는 추가의 가능성은 도 41에 따라 기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킹레버 릴리스실린더(rocking lever release cylinder)의 설계구조로 유압작동식 릴리스실린더가 기술된다. 도 41b에는 롤러들(31)이 유압실린더(33c)에 결합되어 있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33c)는 롤러축(32)과, 그리고 피스톤(33c')은 하우징(49)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릴리스실린더의 베이스는 박판성형부품으로서 설계되는 하우징(49)을 형성한다. 이 하우징은 차량 내에 있어 대개 변속기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49) 내에는 이중 비틀림코일스프링(double torsion spring)이 에너지어큐뮬레이터(9c)로서 걸려 있으며, 그 장력은 컨트롤 레버(7)의 자유단부에 작용한다. 상기 컨트롤 레버(7)는 비틀림코일스프링(9c)에 의해 가이드 된다. 하우징(49)에서의 측면 정지부는 상기의 가이드를 보조한다.
가압 시에 유압액은 고정식 피스톤(33c')에 의해 이동식 유압실린더(33c) 내로 압축된다. 상기 유압실린더(33c)는 3개 롤러 컨셉(도 41b)의 비대칭 구조에 의해 측면의 경사면(cant) 쪽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상기 유압실린더는 하우징(49)내에서 하우징 가이드(49.1)(도 41a)에 의해 가이드 된다. 가압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유압실린더(33c)의 변위는 마찬가지로 롤러들(31)(도 41a)의 변위를 야기하며, 동시에 두 개의 롤러들(31b)은 상기 하우징(49) 상에서 구름 운동하고, 롤러(31a)는 컨트롤 레버(7c)에 접하여 구름 운동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 레버(7c)가 자신의 곡선형 트랙(curved track)으로써 상기 롤러(31a) 상에 지지되면서, 상기 컨트롤 레버(7c)의 지지면 또는 지지점(B)도 마찬가지로 변위된다. 상기 롤러(31a)로부터 부하가 롤러축(32)을 통해 롤러들(31b) 상에, 그리고 하우징(49) 상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롤러(31a)와 롤러들(31b)(변위가능한 지지면)은 유압방식으로 변위된다. 상기 롤러들(31)이 자신의 시작위치를 다시금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 레버(7c)의 곡선형 트랙은, 컨트롤 레버(7c)의 각각의 위치에서 다시 밀리는 힘성분이 상기 유압실린더(33c)에 작용하고 그에 따라 상기 롤러들(31)은 다시 자신의 시작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44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기계식 릴리스실린더의 설계구조에 대한 추가의 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시금 본 발명의 사고(思考)의 기본원리에 따라서, 레버의 길이비율은 이 레버에 작용하는 롤러들(31)에 의해 변경되고, 그에 따라 릴리스스프링(10)(또는 나선형 플레이트(7d))의 지지점(B)도 변경된다. 도 45에는 상기와 같은 릴리스실린더의 기계식 해결방법에 따라 릴리스스프링(10, 7d)의 설계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와 도 7b에서 기술된 해결방법에 반하여 새로운 사항으로서, 나선형 모양의 케이지(61)의 단부에는 각각 정지캠(66; stop cam)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정지캠은 상기 릴리스스프링(10, 7d)이 초과하여 비틀려지고, 그에 따라 상기 롤러들(31)이 케이지(61)로부터 미끄러지는 점을 억제시킨다.
도 46과 도 47에서는 상기 릴리스스프링(10, 7d)은 박판으로 제조되어 있다. 상기 박판 내로는 각각 나선형 모양으로 배치되는 케이지(61)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릴리스스프링(10, 7d)의 설계구조에 따라서, 상기 케이지(61)가 삽입된 후에 상기 릴리스스프링이 표면경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그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허용 표면압력이 증가된다. 이는 헤르츠응력(hertz stress)의 압력타원(pressure ellipse)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보어마찰손실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릴리스스프링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 연성에 근거하여, 상기 릴리스스프링(10, 7d)은 대응하는 운동에 적응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지지점 변위의 효과 또한 상기 릴리스스프링(10, 7d)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릴리스스프링(10, 7d)의 축방향 탄력성은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의 특수한 설계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주요특징으로는 상기 케이지들(61)이 개별적인 패턴을 가지면서 오직 협폭의 웨브에 의해서만 박막의 외부 및 내부 링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상기 케이지들은 그 아래에 위치하는 디스크스프링의 변형에 이상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
추가의 가능성으로서, 비교적 강성인 표면경화 플레이트(디스크스프링(10)) 상에 롤러(31)로서 나선형캠(spiral cam)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에서는 (비드(62)를 포함하지 않은) 평면의 디스크스프링(7a)이 지지된다. 상기 나선형캠(케이지(61))을 마주보고 위치하는 측면(환상링) 또는 추가로 삽입된 와이어링의 형태에 의해, 디스크스프링(7a)의 외부 지지직경이 결정된다. 이러한 배치로, 상기 나선형캠(케이지(61))의 지지점(B)은 레버(디스크스프링(7a))의 지지점(A)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며, 그럼으로써 보다 적은 허용오차 영향이 기대된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상기 디스크스프링(7a)의 장력은 특성곡선의 범주에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된다(디스크스프링 특성곡선에서 비교적 평면인 영역에서의 작동).
상기의 변형예는 "포팅(potting)"(디스크스프링 운동)에 대한 플레이트(10)의 높은 강성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나선형캠[케이지(61)]의 대응하는 높이와 결부되는 두꺼운 박판두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의 변형예와 더불어 또한 기본적으로 다수 개의 레버들(7)(디스크스프링의 형태)을 연이어 배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이는 특히 축방향 힘이 크고 공간 직경은 작게 하는 적용예에서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기로는 몇몇 디스크스프링들 사이에 와이어 링이 설치되어, 디스크스프링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시킨다.
예컨대 추가의 박판을 사용함으로써 경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필요한 롤러(31)의 수는 감소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나선부로서 설계되어 있는 케이지(61)의 보다 큰 기울기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예: >30°). 그럼으로써 비틀림 각도도 확대되고, 결국 조정토크는 감소되고, 허용오차 민감도도 보다 적어진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형의 케이지(61)의 단부에 한계정지부(limitstop)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조 기술상 도 4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스프링(7) 상의 정지부들 대신에 에지 부분에 그루브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간단하다.
제어부재의 작동의 경우 적은 작동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8에는 전기작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대한 본 발명의 해결방법의 적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릴리스실린더의 나선형 플레이트(7d)는 강성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에너지어큐뮬레이터(9a)로서 다층으로 이루어진 디스크스프링 팩에 의해, 상기 나선형 플레이트(7d)는 압축된다. 마찰 최소화를 위해 상기 디스크스프링 팩(9a)의 몇몇 디스크스프링들은 원형링(round ring)을 통해 상호간에 지지된다. 전술한 레이스웨이(53)(로킹커브)가 제공되어 있는 나선형 플레이트(7d)에서는 롤러들(31)이 지지되며, 동시에 상기 나선형 플레이트(7d)가 비틀려질 시에 지지점(B)이 변위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롤러들(31)은 작동력을 니들베어링 상에, 그로 인해 계속해서 압력박판(3c) 상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의 작동력으로, 브레이크 슈(67; brake shoe)가 작동하게 된다. 디스크스프링 팩과 함께 나선형 플레이트의 비틀림은 중앙 샤프트(1)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1)와, 나선형 플레이트(7d) 및 디스크스프링들(9a)의 연결부 사이의 회전 이음부는 기어부를 통해 실현된다. 이때 중요한 점은 상기 연결부가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상기의 모든 컴포넌트들은 포트 모양의 하우징(49) 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미세피치 나사산(fine-pitch thread)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모든 컴포넌트들이 브레이크의 하우징 내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나사산이 비틀려짐으로써 대응하는 에어갭이 설정된다. 작동 시에 전동기(21)에 의해 나사산을 의도하는 바대로 비틀어지게 함으로써 마모재조정이 실현된다.
조정토크를 달성하기 위해, 중간변속기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중간변속기는 상기의 경우 결합된 유성기어세트에 의해 실현된다. 이러한 구조로써 비교적 짧은 축방향 길이에서도 콤팩트한 구조패턴이 설계될 수 있다.
도 8 내 압력박판(3c)의 특별한 설계구조에 의해, 즉 액시얼베어링에 대한 지지면은 구형(spherical)으로 형성되고, 액시얼베어링 링 상에는 대응하는 중공 볼(hollow ball)이 일체형으로 성형됨으로써, 상기 압력박판(3c)은 공간상 기울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브레이크 라이닝의 불균일한 마모에 적응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압력박판(3c)에 작용하는 횡방향 힘과 그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은 회피된다.

Claims (49)

  1.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2a, 2b) 또는 트랜스미션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그리고 동시에 피봇점(8, 8a, 8b)을 나타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점(B)을 구비한 레버(7a, 7b, 10)를 포함하고 있는 레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지점(B) 또는 피봇점(8, 8a, 8b)을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클러치(2, 2a, 2b) 또는 트랜스미션 브레이크용 작동력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에너지어큐뮬레이터(9a, 9b)가 레버암(7a, 7b, 7c)의 일측면 또는 상기 지지점(B) 상에 압착되고, 상기 레버암의 타측면은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기 클러치(2, 2a, 2b) 또는 트랜스미션 브레이크의 압력판(3a, 3b) 상에 작용하며, 그리고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a, 9b, 9c)는 디스크스프링, 나선형코일스프링 또는 비틀림코일스프링, 쇽옵서버(shock absorber)로서 설계되고, 탄성중합체 및/또는 금속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은 반경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은 원주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a, 8b)은 동시에 반경방향 뿐만 아니라 원주방향으로-다시 말해 대체로 나선형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은 케이지(61) 내부에서 나선형 세그먼트를 따라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은 적어도 하나의 솔리드나선부(solid spiral)를 따라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용 구름면(30, 53) 내에 트랙이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링크레버에 의해 형성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회전점(8, 8a, 8b)은 매끄러운 구름면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이 이동하는 상기 레버(7a, 7b)의 표면은 평면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을 향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7a, 7b, 7c)는 상기 압력판(3a, 3b, 3c)에 대한 자신의 작용으로 간접적으로 우선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제1 액시얼베어링(14)상에 작용하고, 그런 다음 상기 베어링(14)으로부터 (예컨대 디스크스프링으로서 설계되어 있는) 추가의 레버(10)를 이용하여 예컨대 클러치(2, 2a, 2b)의 압력판(3a, 3b) 상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은 볼(31) 형태의 롤링몸체들로 형성되며, 상기 롤링몸체들은 바람직하게는 자신들의 압착방향으로 쌍을 이루면서 상호간에 겹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a, 8b)은 원통형 롤러(31) 형태의 롤링몸체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롤링몸체들은 자신의 압착방향으로 쌍을 이루면서 상호간에 겹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몸체(31)는 곡류형 스프링(15a, 15b)의 리세스 내에서 가이드되며, 동시에 상기의 곡류형 스프링(15a, 15b)은 자신의 직경이 변경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형 스프링(15a, 15b)에서 반경방향의 내부영역에 환상의 스프링이 끼워맞춤 고정(fitting)되어 있으며, 이 환상 스프링은 자신의 내부 영역에 축방향이 힘이 작용할 시에 자신의 중립축(23)을 중심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형 스프링(15a, 15b)의 피봇점을 조정하기 위해, 스프링코일 액추에이터(16a, 16b)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18. 제14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을 조정하기 위해, 샤프트(1)에 편심되어 있지만, 그러나 그에 대해 동심으로 비틀림이 가능한 링크레버(28a, 28b)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형 스프링(15a, 15b)의 피봇점(8, 8a, 8b)을 조정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베어링에 의해 작동되는 동심성 콘(concentric cone)이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을 조정하기 위한 메카니즘에 원심조정부(centrifugal adjusting)가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적어도 하나의 레버(7a, 7b)는 웨브(19)를 이용하여 고정링(20)과 연결되어 있는 분할형 링(18)으로 구성되며, 동시에 레버 피봇점을 변경하기 위해, 롤링몸체(31)가 상기 레버(7a, 7b)의 원주면 상에서 구름 운동하고, 상기 레버(7a, 7b)에 대한 힘의 작용에 의해 상기 레버는 반경방향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위가능한 피봇점(8a, 8b)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31)와 이 롤러의 각각의 축(32)으로 형성되며, 동시에 상기 피봇점(8a, 8b)의 변위 시에, 상기 롤러(31) 및 축(32)의 원주면들 중 어느 한 원주면은 레버표면 상에서 이동하는 반면에, 또 다른 원주면은 지지부(34)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위가능한 피봇점(8a, 8b)은 컨트롤 모터(21a, 21b, 21c)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모터(21a, 21b, 21c)는 샤프트(1)에 대해 동심을 이루는 전동기로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모터(21a, 21b, 21c)는 짧은 구조패턴으로 샤프트(1)에 대해 동심을 이루는 전동기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기 전방에는 이중 유성기어세트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26.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모터(21a, 21b, 21c)는 릴리스실린더의 원주면에 혹은 상기 릴리스실린더 내부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제어되거나/되고 조절되며, 동시에 상기 제어장치는 자동변속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27.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위가능한 피봇점(8, 8a, 8b)은 유압실린더(33)를 이용하여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형타가공된 박판으로 구성되는 케이스(37)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40)는 지지부(34)로서, 그에 따라 상기 피봇점(8a, 8b)에 대한 2개의 구름면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레버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40)는 상기 피봇점(8, 8a, 8b)이 변위될 수 있는 방향의 종단면(longitudinal section)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부(40)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상기 케이스(37)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 내에 접합부(39)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 접합부에서 상기 레버(7a, 7b)의 반대방향으로 향해있는 에너지어큐뮬레이터(9a, 9b)의 단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39)는 상기 케이스(37)의 슬릿 내에 후크방식으로 걸려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a, 9b)가 지지되는 영역에 드래그베어링(drag bearing)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7a, 7b, 7c)는 형타가공된 박판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33. 제32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시스템의 피봇점(8, 8a, 8b) 또한 변위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프로파일링(38)이 상기 레버(7a, 7b, 7c)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7a, 7b, 7c)에는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a, 9b, 9c)용 지지부가 제공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지지부에는 바람직하게는 드래그베어링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35. 제2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은 각각 하나의 중공 축(32)을 구비한 2개의 롤러들(31)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중공 축 내에는 각각 하나의 요크(35)가 자신의 단부로써 삽입되어 맞물려 있으며, 그럼으로써 이중 피봇점들이 생성되고, 이 이중 피봇점들은 또한 운동학적으로 상호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35)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변위가능한 피봇점들 사이에 배치되는 조정너트(36)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너트(36)에는 암나사선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암나사선 내로는 전동기로 구동이 가능한 조정스핀들(33)이 치합되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35)의 단부들은 공모양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39.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너트(36a, 36b) 및 조정스핀들(33a, 33b)의 나사산들은 상호간 자동잠금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40.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너트(36a, 36b) 및 조정스핀들(33a, 33b)의 나사산들은 상호간에 자동잠금 기능이 없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모터(21a, 21b, 21c)의 고장 시에, 상기의 변위가능한 이중 피봇점은 선호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너트(36a, 36b) 및 조정스핀들(33a, 33b)의 나사산들은 상호간에 미끄러지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43.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너트(36a, 36b) 및 조정스핀들(33a, 33b)의 나사산들은 상호간에 구름 베어링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44. 제2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위가능한 이중 피봇점은 조향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45. 제2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위가능한 이중 피봇점은 자기조향(self-steering)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46. 제2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의 변위가능한 이중 피봇점은 제한되어 가이드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47.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시스템은 자동차 내에서 이중으로 설계되어 있으면서 이중 클러치를 작동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48.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시스템은 자동차 내에서 전기 작동식 디스크브레이크용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49. 제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점(8, 8a, 8b)으로써 상기 에너지어큐뮬레이터(9a, 9b, 9c)가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시스템.
KR1020040014086A 2003-03-03 2004-03-02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KR200400785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9066.5 2003-03-03
DE10309066 2003-03-03
DE10340528.3 2003-09-03
DE10340528 2003-09-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568A true KR20040078568A (ko) 2004-09-10

Family

ID=3282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086A KR20040078568A (ko) 2003-03-03 2004-03-02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24871B2 (ko)
EP (1) EP1455106B1 (ko)
JP (1) JP2004263874A (ko)
KR (1) KR20040078568A (ko)
CN (1) CN100482965C (ko)
AT (1) ATE343736T1 (ko)
DE (2) DE1020040098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223A (ko) * 2008-05-20 2009-11-25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레버 액추에이터
US8640845B2 (en) 2010-05-17 2014-02-04 Hyundai Motor Company Clutch driving device
KR20190013776A (ko) * 2016-05-31 2019-02-11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마찰 클러치용 작동 장치 및 이와 같은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48313B2 (de) 2003-12-23 2016-09-2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EP1610017A1 (de) 2004-06-21 2005-12-2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und Antriebstrang mit dieser
EP1645769A3 (de) * 2004-10-07 2006-04-2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Kupplung
EP1650458B1 (de) * 2004-10-23 2007-10-1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usrück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Kupplung
DE112006000422A5 (de) * 2005-03-10 2007-11-2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Kupplung
DE502006005823D1 (de) 2005-04-28 2010-02-25 Luk Lamellen & Kupplungsbau Wipphebelaktor, insbesondere zur Betätigung einer Kupplung
ATE452301T1 (de) 2005-04-28 2010-01-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Wipphebelaktor, insbesondere zur betätigung einer kupplung
ATE391857T1 (de) * 2005-04-28 2008-04-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Wipphebelaktor, insbesondere zur betätigung einer kupplung
DE102006015886B4 (de) * 2005-04-28 2016-12-1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ipphebelaktor, insbesondere zur Betätigung einer Kupplung
DE102005021633A1 (de) * 2005-05-06 2006-11-09 Ina-Schaeffler Kg Verstelleinrichtung für Kupplungen oder Motorbrems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zum Verstellen eines einen Auflage- und Drehpunkt eines gebogenen Hebels bildenden Auflagerelements
JP2006312993A (ja) * 2005-05-09 2006-11-16 Exedy Corp モータサイクル用クラッチ装置
DE102005021460A1 (de) * 2005-05-10 2006-11-16 Schaeffler Kg Verstelleinrichtung für Kupplungen und Getriebebrems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zum Verstellen eines einen Auflage- und Drehpunkt eines gebogenen Hebels bildenden Auflagerelements
EP1726840A3 (de) 2005-05-25 2009-07-0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sbetätigungsvorrichtung
EP1734273A3 (de) * 2005-06-15 2009-11-1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Kupplung
EP1734274A3 (de) 2005-06-15 2010-02-2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sbetätigungsvorrichtung
DE102005028844B4 (de) * 2005-06-22 2007-07-05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nicht selbsthaltenden Kupplung
EP1770299B1 (de) * 2005-09-29 2013-03-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ebelsystem
DE502006003068D1 (de) * 2005-10-15 2009-04-23 Luk Lamellen & Kupplungsbau Bremsbetätigungsvorrichtung
EP1790870A3 (de) * 2005-11-24 2009-06-1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sbetätigungsvorrichtung
PL1798123T3 (pl) * 2005-12-14 2009-02-27 Fondazione Torino Wireless Elektromechaniczne urządzenie uruchamiające do układu hamulcowego pojazdu samochodowego i układ hamulcowy wyposażony w takie urządzenie uruchamiające
DE102006006640B3 (de) * 2006-02-14 2007-04-26 Zf Friedrichshafen Ag Umlenkgetriebe zur Betätigung einer Lamellenkupplung
DE502007000306D1 (de) * 2006-02-16 2009-02-05 Luk Lamellen & Kupplungsb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Nachstellen einer in einem Fahrzeugantriebsstrang befindlichen, von einem Aktor betätigten Reibungskupplung
ATE530787T1 (de) * 2006-02-24 2011-11-1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Wipphebelaktor mit nachstellvorrichtung
EP1832771A1 (de) * 2006-03-07 2007-09-1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Wipphebelaktor mit Nachstellvorrichtung
DE502007001939D1 (de) * 2006-04-12 2009-12-24 Luk Lamellen & Kupplungsbau Wipphebelaktor mit Nachstellvorrichtung
DE112007001178B4 (de) * 2006-05-20 2020-06-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ebelsystem zur Betätigung einer Kupplung
EP1870610B1 (de) 2006-06-20 2013-01-1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ebelsystem sowie Verfahren zu dessen Montage
DE102006035059A1 (de) * 2006-07-28 2008-01-31 Robert Bosch Gmbh Kupplungsaktor
DE102006037338A1 (de) * 2006-08-10 2008-02-14 Schaeffler Kg Verstelleinrichtung für Kupplungen oder Getriebebrems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DE102008021865A1 (de) 2007-05-29 2008-12-04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orrichtung zum Dämpfen von Torsionsschwingungen
DE102008026425A1 (de) 2007-06-08 2008-12-1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usrückvorrichtung
EP2000691B1 (de) 2007-06-08 2009-12-0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usrückvorrichtung
FR2917795B1 (fr) * 2007-06-20 2009-11-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ommande d'embrayage assistee par un levier a point d'appui variable.
ATE477429T1 (de) 2007-06-21 2010-08-15 Luk Lamellen & Kupplungsbau 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DE112008001490B4 (de) * 2007-06-21 2019-12-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system mit Hebeleinrücker
EP2042765B1 (de) 2007-09-27 2013-07-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EP2051353B1 (de) 2007-10-15 2019-02-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einheit
DE102007049562A1 (de) * 2007-10-16 2009-04-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remse mit reversiblem Kraftspeicher
EP2056430B1 (de) 2007-10-29 2017-09-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Motor-Getriebemodul
DE102008052448B4 (de) 2007-11-15 2018-12-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oppelkupplungsgetriebe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DE102008053387A1 (de) 2007-11-15 2009-05-2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tomatisierten Reibungskupplung
DE102008053385B4 (de) 2007-11-19 2019-12-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aktor
DE102008058688A1 (de) * 2007-12-13 2009-06-25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usrückvorrichtung für eine Kupplung
US20090152782A1 (en) * 2007-12-17 2009-06-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User interface with controllable dual spring rate return to null cantilever springs
DE102008061568A1 (de) 2008-01-02 2009-07-0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DE102009004718B4 (de) * 2008-01-28 2015-10-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aggregat mit einer gegenüber einem Gehäuse zentrierten Tellerfeder
DE102009010136B4 (de) 2008-03-06 2018-11-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system mit einer Nachstelleinrichtung
DE102008013054B4 (de) * 2008-03-06 2010-04-22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Stellmechanismus zum Ein- und Ausrücken einer Trennkupplung mit drehbarem Kurvensegment
DE102009014473A1 (de) 2008-04-07 2009-10-08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saggregat
DE102009015148A1 (de) 2008-04-10 2009-10-15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DE102009014466B4 (de) 2008-04-17 2018-09-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DE102009015147A1 (de) 2008-04-17 2009-10-2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Lagerung einer Antriebseinheit
FR2931522B1 (fr) * 2008-05-26 2013-03-29 Snecma Actionneur lineaire a levier.
DE102009034810A1 (de) 2008-08-22 2010-02-25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GB0817503D0 (en) * 2008-09-24 2008-10-29 Ricardo Uk Ltd Actuation system
DE102009042224A1 (de) 2008-10-16 2010-04-2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oppelkupplung
DE102009048725A1 (de) 2008-10-27 2010-04-29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DE102009042829A1 (de) 2008-10-30 2010-05-0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usrücksystem für Kupplungen
DE102009055907A1 (de) 2008-12-08 2010-06-1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Elektromotorische Antriebseinheit
DE102010025408A1 (de) 2009-07-06 2011-01-1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Doppelkupplung
DE102010024924A1 (de) 2009-07-16 2011-01-2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DE102009029004A1 (de) * 2009-08-31 2011-03-10 Zf Friedrichshafen Ag Elektromechanische Betätigungsanordnung
DE102009029005A1 (de) * 2009-08-31 2011-03-03 Zf Friedrichshafen Ag Elektromechanische Betätigungsanordnung
DE102009029007A1 (de) * 2009-08-31 2011-03-03 Zf Friedrichshafen Ag Elektromechanische Betätigungsanordnung
DE102010034823B4 (de) 2009-09-03 2019-12-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mit Nachstelleinrichtung
DE102010052391A1 (de) 2009-12-03 2011-06-0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Doppelkupplungsgetriebes
DE102011102329A1 (de) * 2010-06-07 2011-12-0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Doppelkupplung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JP4921576B2 (ja) * 2010-06-30 2012-04-25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操作装置
FR2966216B1 (fr) * 2010-10-14 2012-10-12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actionnement a coin pour un systeme d'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US8991579B2 (en) * 2010-10-22 2015-03-31 Exedy Corporation Clutch device
DE102011088326A1 (de) 2010-12-24 2012-06-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iementrieb mit von einem Hebelaktor geschalteter Übersetzung
DE112011104577A5 (de) * 2010-12-24 2013-09-1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trieb mit schaltbarem Planetengetriebe
JP5149975B2 (ja) * 2011-02-28 2013-02-20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装置
DE102011017055A1 (de) * 2011-04-04 2012-10-04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Kupplungsanordnung für einen KFZ-Antriebsstrang
CN103597234B (zh) * 2011-06-09 2016-02-17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摩擦离合器的杠杆致动器
WO2013004207A1 (de) * 2011-07-07 2013-01-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ebelsystem
DE102012211833A1 (de) 2011-08-03 2013-02-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DE102013201660A1 (de) 2012-02-22 2013-08-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system
DE102012004905B4 (de) * 2012-03-09 2014-10-16 Audi A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schwenkbar an einer Fahrzeugkomponente eines Fahrzeugs angeordnetes Verstellteil
KR102014571B1 (ko) * 2012-05-02 2019-08-26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마찰 클러치의 레버형 작동기 및 상기 레버형 작동기의 설계 방법
DE102013206454A1 (de) 2012-05-02 2013-11-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Plausibilisierung eines Hebelaktors einer zugedrückten Reibungskupplung und Hebelaktor
KR102117634B1 (ko) 2012-07-03 2020-06-01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레버 시스템
DE102012211487A1 (de) 2012-07-03 2014-01-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ebelsystem
DE102012213780A1 (de) 2012-08-03 2014-02-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ebelaktor
DE102012213886B4 (de) 2012-08-06 2021-12-3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utomatisierten trockenen Kupplung
KR101417417B1 (ko) * 2012-11-20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KR101822204B1 (ko) * 2012-12-17 2018-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클러치 액추에이터
CN103062237A (zh) * 2013-01-11 2013-04-24 黄石神州行离合器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拉式离合器承载盘总成
DE102014207006A1 (de) 2013-04-19 2014-10-2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Kupplungsaktor
DE102014206985A1 (de) 2013-04-19 2014-10-2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Kupplungsaktor
DE102014207080A1 (de) 2013-05-07 2014-11-1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Kupplungsaktor
DE102013219911A1 (de) 2013-10-01 2015-04-0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ebelsystem
CN105593576B (zh) 2013-10-04 2017-08-25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一种用于控制具有双离合变速器的动力传动系的方法
DE102013222015A1 (de) 2013-10-30 2015-04-3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ebelsystem
DE102015201883A1 (de) 2015-02-04 2016-08-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ebelaktuator
DE102015202526A1 (de) * 2015-02-12 2016-08-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einrichtung sowie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15207184A1 (de) 2015-04-21 2016-10-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einrichtung
DE102015207390B3 (de) * 2015-04-23 2016-08-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oppelkupplung
DE102016206928A1 (de) * 2015-05-28 2016-12-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raftfahrzeugantriebsstrang mit zuzudrückender Einfachkupplung
DE102015216354A1 (de) * 2015-08-27 2017-03-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etätigungseinrichtung und Kupplungssystem mit der Betätigungseinrichtung
DE112016004411A5 (de) 2015-09-29 2018-06-2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luidanordnung
DE102016206890A1 (de) * 2016-04-22 2017-10-26 Zf Friedrichshafen Ag Kupplungsaktuator,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r Inbetriebnahme eines Kupplungsaktuators
DE102017111862A1 (de) 2017-05-31 2018-12-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ktuator und Verfahren zum Referenzieren einer Nullposition
CN108015800B (zh) * 2017-12-29 2023-09-29 苏州大学 一种关节锁紧机构
CN108081953B (zh) * 2018-01-22 2023-07-21 吉林大学 一种拉式膜片弹簧离合器踏板自由行程自适应调节机构及调节方法
DE102019109429A1 (de) 2018-06-04 2019-1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strangeinheit für ein Hybridfahrzeug; Getriebeeinheit sowie Antriebsstrang
DE102019109432A1 (de) * 2018-06-04 2019-1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strangeinheit für ein Hybridfahrzeug, Getriebeeinheit sowie Antriebsstrang
DE102019109436A1 (de) 2018-06-04 2019-1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Montage einer Getriebeeinheit sowie Antriebsstrang
DE102019109424A1 (de) 2018-06-04 2019-1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ein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antriebsstrang; Getriebeeinheit sowie Antriebsstrang
DE102019109430A1 (de) 2018-06-04 2019-1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Antriebsstrangeinheit für ein Hybridfahrzeug sowie Antriebsstrang
JP7156189B2 (ja) * 2019-07-05 2022-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ッチ
DE102019133804B3 (de) * 2019-12-10 2020-11-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charnieraktor für eine Drehmomentkupplung
DE102019133906B3 (de) * 2019-12-11 2021-01-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charnieraktor für eine Drehmomentkupplung
DE102020101862B3 (de) * 2020-01-27 2021-02-2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ebelaktor mit einem Segmentgelenk
CN115163691B (zh) * 2022-07-08 2024-02-06 北京理工大学 线控离合器系统及其控制系统和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7742A (en) 1926-10-06 1929-09-10 Athimon Francis Servo brake
US2658396A (en) * 1950-05-01 1953-11-10 Harry C Christiance Cam and lever actuating mechanism
FR1353241A (fr) * 1963-03-23 1964-02-21 Roulement à billes pour actionner les éléments mobiles d'embrayages à friction, spécialement pour véhicules automobiles
DE3019377A1 (de) * 1980-05-21 1981-11-2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GmbH, 7580 Bühl Einrichtung zum starten einer brennkraftmaschine
JPH0182335U (ko) * 1987-11-24 1989-06-01
SE8902054D0 (sv) 1989-06-06 1989-06-06 Sab Nife Ab An actuator for delivering a variable mechanical force
DE4330440A1 (de) 1993-09-08 1995-03-09 Knorr Bremse Ag Krafterzeugungseinrichtung zum Erzeugen eines reversiblen Arbeitshubs
US5911296A (en) * 1997-07-01 1999-06-15 Eaton Corporation Clutch with roller fork
DE10190517D2 (de) 2000-02-15 2003-02-27 Luk Lamellen & Kupplungsbau Drehmomentübertragungsvorrichtung mit Ausrückeinrichtung
DE10046981A1 (de) 2000-09-22 2002-04-25 Bosch Gmbh Robert Radbremsvorrichtung
EP1421293B2 (de) 2001-08-16 2015-11-04 WABCO GmbH Zuspanneinrichtung für eine bremse
US6655517B2 (en) * 2001-12-11 2003-12-02 Eaton Corporation Clutch fork with externally removable shaft and indicator washer
US7147093B2 (en) * 2003-06-30 2006-12-12 Zf Sachs Ag Centrifugal clut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1223A (ko) * 2008-05-20 2009-11-25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프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레버 액추에이터
US8640845B2 (en) 2010-05-17 2014-02-04 Hyundai Motor Company Clutch driving device
KR20190013776A (ko) * 2016-05-31 2019-02-11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마찰 클러치용 작동 장치 및 이와 같은 작동 장치를 포함하는 클러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2965C (zh) 2009-04-29
EP1455106A1 (de) 2004-09-08
CN1526969A (zh) 2004-09-08
JP2004263874A (ja) 2004-09-24
US20040173429A1 (en) 2004-09-09
US7124871B2 (en) 2006-10-24
EP1455106B1 (de) 2006-10-25
ATE343736T1 (de) 2006-11-15
DE102004009832A1 (de) 2004-09-16
DE502004001833D1 (de)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78568A (ko)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JP7380552B2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及びアクチュエータ
US11780419B2 (en) Electric park brake with electromagnetic brake
CN106460976B (zh) 用于盘式制动器的衬块组件
US20050205376A1 (en) Ramp actuator
CN102016337A (zh) 安装组件
US9915309B2 (en) Drum brake module which can be operated by electric motor
US20070181399A1 (en) Wrap spring clutch
JP2020060236A (ja) ボールねじ装置
AU2014274303B2 (en) Hinged table brake shoe
US5645153A (en) Friction clutch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n automobile
CA2965822C (en) Brake shoe for a drum brake having offset cam followers
CN109477528A (zh) 双重抱簧、旋转装置和待执行系统
WO2014115384A1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CA2965837C (en) Drum brake s-cam having offset cam followers
CN104343843A (zh) 用于摩擦离合装置的操纵装置和具有操纵装置的摩擦离合装置
US4791827A (en) Cam device for pressure regulating valve
WO2019171459A1 (ja) テーパローラを備えた低ヒステリシスのカム機構
AU2015339655B2 (en) Drum brake S-cam having offset cam followers
JP5803433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WO2015019168A2 (en) Release mechanism
JP2015113934A (ja) トルクカム装置
JP4813049B2 (ja) 巻掛け伝動式無段変速機
JP2005226842A (ja) トラクションドライブ式無段変速機
JP2005233429A (ja) トラクションドライブ式無段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