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560A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560A
KR20020019560A KR1020027000961A KR20027000961A KR20020019560A KR 20020019560 A KR20020019560 A KR 20020019560A KR 1020027000961 A KR1020027000961 A KR 1020027000961A KR 20027000961 A KR20027000961 A KR 20027000961A KR 20020019560 A KR20020019560 A KR 20020019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miconductor layer
insulating film
type impurit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사이아키라
오니시데루히토
다카기다케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5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01L27/08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including bipolar component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234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01L29/66242Heterojunction transistors [HB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04Base region of bipola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7Hetero-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71Vertical transistors
    • H01L29/7378Vertical transistors comprising lattice mismatched active layers, e.g. SiGe strained laye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3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in the bulk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8/00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 Y10S438/936Graded energy gap

Abstract

실리콘기판의 콜렉터층(102) 상에, SiGe 스페이서층(151)과, 붕소를 함유하는 경사 SiGe 베이스층(152)과, 실리콘캡층(153)을 순차 에피택셜 성장시킨다. 실리콘캡층(153) 상에, 베이스 개구부(118)를 갖는 제 2 퇴적산화막(112)과, 베이스 개구부를 메우는 에미터 인출전극이 될 N+폴리실리콘층(129)을 형성하고, 실리콘캡층(153)에 인을 확산시켜 에미터 확산층(153a)을 형성한다. 실리콘캡층(153)을 성장시킬 때, in-situ도핑으로 상부에만 붕소를 함유시켜 둠으로써, 공핍층(154) 폭이 축소되고 재결합전류의 저감에 의하여, 전류특성의 선형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최근 실리콘기판 상에 형성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Si/SiGe, Si/SiC 등의 헤테로접합 구조를 포함시킴으로써, 보다 우수한 전도특성을 주어 더욱 고주파영역 동작을 실현시키는 헤테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HBT)의 개발이 급진전되고 있다. 이 HBT는 실리콘기판 상에 SiGe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키고, 이 Si/SiGe 헤테로접합 구조를 이용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GaAs 등의 화합물 반도체기판을 이용한 트랜지스터가 아니면 동작시킬 수 없었던 고주파수 영역에서도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를 실현할 수 있다. 이 HBT는 실리콘기판, SiGe층이라는 범용 실리콘 공정과 친화성 좋은 재료로 구성되므로, 고 집적도나 저원가라는 커다란 이점을 갖는다. 특히 HBT와 MOS 트랜지스터(MOSFET)를 공통 실리콘기판에 형성하여 집적화 함으로써, 고성능의 BiCMOS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BiCMOS 디바이스는 통신관계에 이용 가능한 시스템 LSI로서 유망하다.
도 10은 종래의 HBT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001)을 주면으로 하는 실리콘기판(500)의 상부는, 에피택셜 성장법, 이온주입법 등에 의하여 도입된 인 등의 N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깊이 1㎛의 역행 웰(retrograde well)(501)로 된다. 또 소자분리로서, 산화실리콘이 매입된 얕은 트렌치(503)와, 비도프 폴리실리콘막(505) 및 이를 둘러싸는 실리콘산화막(506)으로 구성되는 깊은 트렌치(504)가 형성된다. 각 트렌치(503, 504)의 깊이는 각각 0.35㎛, 2㎛ 정도이다.
또 실리콘기판(500) 내의 트렌치(503)로 둘러싸인 영역에 콜렉터층(502)이 형성되며, 실리콘기판(500) 내의 콜렉터층(502)과는 얕은 트렌치(503)로 분리된 영역에 역행 웰(501)을 개재하고, 콜렉터층(502)의 전극과 접촉하기 위한 N+콜렉터 인출층(507)이 형성된다.
또 실리콘기판(500) 상에는 콜렉터 개구부(510)를 갖는 두께 약 30㎚의 제 1 퇴적산화막(508)이 형성되어, 실리콘기판(500) 상면 중 콜렉터 개구부(510)에 노출되는 부분 위에는,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두께 약 60㎚의 Si1-xGex층과 두께 약 10㎚의 실리콘막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Si/Si1-xGex층(511)이 형성된다. 그리고 Si/Si1-xGex층(511) 중 중앙부(후술하는 베이스 개구부(518) 하방영역) 하부가 내부베이스(519)로 기능한다. 또 Si/Si1-xGex층(511) 중앙부 상부가 에미터층으로 기능한다.
Si/Si1-xGex층(511) 및 제 1 퇴적산화막(508) 상에는, 두께 약 30㎚의 에치스토퍼용의 제 2 퇴적산화막(512)이 형성되며, 제 2 퇴적산화막(512)에는 베이스 접합용 개구부(514) 및 베이스 개구부(518)가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접합용 개구부(514)를 메우고 제 2 퇴적산화막(512) 상으로 연장되는 두께 약 150㎚의 P+폴리실리콘층(515)과 제 3 퇴적산화막(517)이 형성된다. 상기 Si/Si1-xGex층(511) 중 베이스 개구부(518) 하방영역을 제외한 부분과 P+폴리실리콘층(515)에 의하여 외부 베이스(516)가 구성된다.
또 P+폴리실리콘층(515) 및 제 3 퇴적산화막(517) 중, 제 2 퇴적산화막(512)의 베이스 개구부(518)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개구되며, P+폴리실리콘층(515) 측면에는 두께 약 30㎚의 제 4 퇴적산화막(520)이 형성되고, 다시 제 4 퇴적산화막(520) 상에 두께 약 100㎚의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측벽(5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개구부(518)를 메우고 제 3 퇴적산화막(517) 상으로 연장되는 N+폴리실리콘층(529)이 형성되며, 이 N+폴리실리콘층(529)은 에미터 인출전극으로 기능한다. 상기 제 4 퇴적산화막(520)에 의하여 P+폴리실리콘층(515)과 N+폴리실리콘층(529)이 전기적으로 절연됨과 동시에, P+폴리실리콘층(515)으로부터 N+폴리실리콘층(529)으로의 불순물 확산이 저지된다. 또 제 3 퇴적산화막(517)에 의하여 P+폴리실리콘층(515) 상면과 N+폴리실리콘층(529)이 절연된다.
그리고 콜렉터 인출층(507), P+폴리실리콘층(515) 및 N+폴리실리콘층(529) 표면에는, 각각 Ti실리사이드층(524)이 형성되며, N+폴리실리콘층(529)과 P+폴리실리콘층(515)의 바깥 쪽 면은 측벽(523)으로 피복된다. 또 기판 전체는 층간절연막(525)으로 피복되며, 층간절연막(525)을 관통하여 N+콜렉터 인출층(507), 외부 베이스의 일부인 P+폴리실리콘층(515) 및 에미터 인출전극인 N+폴리실리콘층(529) 상의 Ti실리사이드층(524)에 도달하는 접속공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각 접속공을 메우는 W플러그(526)와, 각 W플러그(526)에 접속되어 층간절연막(525) 상으로 연장되는 금속배선(527)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HBT 또는 SiGe-BiCMOS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도 11의 (a)는 종래 HBT의 베이스전류, 콜렉터전류의 베이스·에미터전압에 대한 의존성, 이른바 감멜(gummel)특성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1의 (a)에 있어서, 가로축은 베이스·에미터 전압(V)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베이스전류 또는 콜렉터전류(A)(대수값)를 나타낸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에미터 전압이 낮은 영역에서, 콜렉터전류 특성선과 베이스전류 특성선의 평행관계가 깨져 베이스전류 과잉으로 된다. 즉 HBT의 저 바이어스 영역의 전류특성 선형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그 원인에 대하여 조사한 바, 그 한 가지로 실리콘층의 제 2 퇴적산화막(512) 바로 아래 영역의 재결합 전류가 과잉 발생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과잉된 재결합 전류가 발생하는 원인은, 실리콘층의 pn접합부에 생기는 공핍층 형상이 좋지 않은 것에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도 12의 (a), (b)는 종래 HBT의 에미터·베이스 접합부를 확대시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에미터·베이스 접합부 부근의 단면을 따른 붕소의 농도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Si1-xGex층(511)은, 게르마늄 함유율이 15%인 비도프 SiGe스페이서층(551)과, 게르마늄 함유율이 하단에서 15%, 상단에서 0이 되도록 거의 연속적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고농도 붕소를 함유하는 P형의 경사 SiGe베이스층(552)과, 비도프 Si캡층(553)을 순차 적층시켜 구성된다. 그리고 Si캡층(553) 중 베이스 개구부(518) 바로 아래에서 N+폴리실리콘층(529)(에미터 인출전극)과 접하는 영역에는, N+폴리실리콘층(529)으로부터 고농도 인의 확산으로 도입된 N형 에미터 확산층(553a)이 형성된다. 그리고 Si캡층(511) 중 에미터 확산층(553a)을 둘러싸는 주변층(553b)(특히 그 하부)에는 경사 SiGe베이스층(552)으로부터 확산된 붕소가 포함되어, 주변층(553b)은 P형으로 된다. 따라서 Si캡층(553)에 있어서, 에미터 확산층(553a)과 주변층(553b) 사이에 pn접합부가 있으며, 이 pn접합부의 야금학적 pn접합면 양측에 공핍층(554)이 확산된다. 이때 공핍층(554) 중 Si캡층(553)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이 넓어진다. 그 결과 공핍층(554) 내에서 재결합하는 캐리어에 의해 발생하는 재결합전류가 증대하기 때문에, 도 11의 (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전류특성의 선형성 악화가 발생하는 것으로생각된다.
재결합전류(Irec)는, pn접합면적을 S, 공핍층 폭을 W, 재결합 확률을 U, 소(素)전하량을 q로 하여, S.M.Sze: "Physics of Semiconductor Devices", John Wiley & Sons, Inc., 1981, pp.89-94에 의하면, 다음 관계식으로 나타난다.
Irec=∫q·U·dx(x=0~W) ...... 관계식
여기서 재결합 확률(U)은 공핍층 중에 포함되는 깊은 준위의 밀도, 준위 깊이나 포획 단면적 등의 파라미터에 의하여 정해진다. 이 식은 공핍층의 한쪽 공핍층단(도 12의 (a)에 나타내는 제 1 공핍층단)으로부터 다른 쪽 공핍층단(도 12의 (a)에 나타내는 제 2 공핍층단) 사이에 존재하는 깊은 불순물 준위가 재결합 중심이 되어 공핍층 폭(제 1 공핍층단에서 제 2 공핍층단까지의 거리)이 넓을수록 재결합 전류가 많아짐을 나타낸다.
즉 도 1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서는 pn접합부에 존재하는 공핍층(554) 중 Si캡층(553) 상부에 존재하는 부분이 특히 확대된 점에서, 재결합 전류(Irec)가 증대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고찰에 근거하여, HBT의 Si캡층 중의 불순물 농도분포를 개선하는 수단을 강구함으로써, 전류특성의 선형성 양호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도모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헤테로접합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며, 특히 전류특성의 선형성(linearity) 향상 대책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SiGe-HBT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의 (a), (b)는 도 1의 에미터·베이스 접합부를 확대시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및 에미터·베이스 접합부 부근의 단면을 따른 붕소의 농도 분포도.
도 3의 (a), (b)는 제 1 실시예의 반도체장치 제조공정 중 콜렉터 개구부에 Si/Si1-xGex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의 (a), (b)는 제 1 실시예의 반도체장치 제조공정 중 P+폴리실리콘층에 베이스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의 (a), (b)는 제 1 실시예의 반도체장치 제조공정 중 베이스 개구부에 N+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의 (a), (b)는 제 1 실시예의 반도체장치 제조공정 중 P+폴리실리콘 단부를 패터닝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의 (a), (b)는 제 1 실시예 제조공정 중의 도면으로, 도 3의 (b)에 나타내는 공정의 에미터·베이스 접합부 구조를 확대시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그 단면을 따른 붕소의 농도 분포도.
도 8의 (a), (b)는 제 2 실시예 제조공정 중의 도면으로, 도 4의 (a)에 나타내는 공정의 에미터·베이스 접합부 구조를 확대시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그 단면을 따른 붕소의 농도 분포도.
도 9의 (a), (b)는 제 3 실시예 제조공정 중의 도면으로, 도 4의 (a)에 나타내는 공정의 에미터·베이스 접합부 구조를 확대시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그 단면을 따른 붕소의 농도 분포도.
도 10은 종래의 HBT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의 (a), (b)는 종래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제 3 실시예에 의하여 형성된 본 발명의 HBT의 베이스 전류, 콜렉터 전류의 베이스·에미터 전압에 대한 의존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의 (a), (b)는 종래의 HBT 에미터·베이스 접합부를 확대시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및 에미터·베이스 접합부 부근의 단면을 따른 붕소의 농도 분포도.
도 13은 본 발명 기본구조 변형예의 반도체장치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공핍층 폭을 저감함으로써 재결합 전류(Irec)를 저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한다.
본 발명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콜렉터층이 될 제 1 반도체층과,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베이스층이 될 제 2 반도체층과,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반도체층과는 밴드갭이 다른 재료로 구성되는 제 3 반도체층과, 상기 제 3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반도체층에 달하는 개구부와, 도체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절연막 개구부를 메우고 상기 제 3 반도체층에 접촉하는 에미터 인출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반도체층은 상기 개구부 하방에 위치하는 제 1 도전형 에미터 확산층과, 이 에미터 확산층 측방에 위치하는 영역에서 적어도 상부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주변층을 구비한다.
이로써 제 3 반도체층 상부에서, 고농도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에미터 확산층과, 고농도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제 3 반도체층 사이에 pn접합부가 형성되므로, pn접합부에 형성되는 공핍층 폭이 좁아져 캐리어가 공핍층 내에서 재결합하는 양이 감소한다. 그리고 재결합 전류가 저감되는 결과, 헤테로 접합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전류특성의 선형성이 개선되게 된다.
상기 절연막을,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산화막으로 구성해 두고, 상기 제 3 반도체층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함유된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상기 절연막으로부터 확산시킨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반도체층 중 상기 밑받침 절연막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하고, 또 상기 절연막 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도핑된 베이스 인출전극으로 기능할 폴리실리콘막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반도체층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함유되는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상기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 상기 절연막을 통과하여 확산된 것으로도 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반도체층의 에미터 확산층 중 제 1 도전형 불순물은, 상기 에미터 인출전극으로부터 확산된 것으로 함으로써 제 3 반도체층 내 도전형의 반전을 이용한 에미터 확산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기판을 실리콘기판으로 하고, 상기 제 1 반도체층을 실리콘층으로 하며, 상기 제 2 반도체층을 SiGe 또는 SiGeC층으로 하고, 상기 제 3 반도체층을 실리콘층을 함으로써, 실리콘 공정을 이용한 형성이 용이한 SiGe-HBT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기판 상의,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콜렉터층으로 될 제 1 반도체층 상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베이스층으로 될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a)과,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상기 제 2 반도체층과는 밴드갭이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부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제 3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으로써 형성하는 공정(b)과, 상기 공정(b) 후에 기판 상에 절연막을 퇴적시키는 공정(c)과, 상기 절연막에 상기 제 3 반도체층에 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d)과, 상기 제 3 반도체층 중 상기 개구부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에미터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e)을 포함한다.
이 방법으로써, 제 3 반도체층 내에 in-situ도핑을 이용하여, 제 3 반도체층 상부에 도핑되는 제 2 도전형 불순물 농도를 비교적 고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은, 기판 상의,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콜렉터층으로 될 제 1 반도체층 상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베이스층으로 될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a)과,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상기 제 2 반도체층과는 밴드갭이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3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으로 형성하는 공정(b)과, 상기 공정(b) 후에 기판 상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절연막을 퇴적시키는 공정(c)과, 상기 절연막에 상기 제 3 반도체층에 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d)과, 상기 제 3 반도체층 중 상기 개구부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에미터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e)을 포함하며, 상기 공정(c) 후의 처리에 의하여 상기 제 3 반도체층 상부에 상기 절연막으로부터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도핑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써, 비교적 간소한 공정으로 제 3 반도체층 상부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도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은, 기판 상의,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콜렉터층으로 될 제 1 반도체층 상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베이스층으로 될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a)과,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상기 제 2 반도체층과는 밴드갭이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3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으로 형성하는 공정(b)과, 상기 공정(b) 후에 기판 상에 절연막을 퇴적시키는 공정(c)과, 기판 상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도체막을 퇴적시킨 후, 이 도체막에 상기 절연막에 도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d)과, 상기 제 1 도체막의 개구부 측면을 피복하는 절연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측벽을 형성하는공정(e)과, 상기 공정(e) 후, 상기 절연막에 상기 제 3 반도체층에 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f)과, 상기 제 3 반도체층 중 상기 개구부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에미터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g)을 포함하며, 상기 공정(d) 후의 처리에 의하여 상기 제 3 반도체층 상부에 상기 도체막으로부터 상기 절연막을 통과한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도핑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써, 제 3 반도체층 상부 중 에미터 확산층이 될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만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도핑할 수 있으므로, 에미터 확산층의 제 1 도전형 불순물 농도와는 별도로 제 2 도전형 불순물 농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공정(f) 후 상기 공정(g) 전에, 기판 상에 상기 도체막과는 별도의 도체막을 퇴적시킨 후, 이 별도의 도체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절연막 개구부를 메우고 상기 절연막 상으로 연장되는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에미터 인출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더블 폴리실리콘 공정을 이용하여 HBT 형성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SiGe-HBT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1)면을 주면으로 하는 실리콘기판(100) 상부는 에피택셜 성장법, 이온주입법 등으로 도입된 인 등의 N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깊이 1㎛의 역행 웰(101)로 된다. 실리콘기판(100)의 표면부근 영역의 N형 불순물 농도는, 1×1017atoms·㎝-3정도로 조정된다. 또 소자분리로서 산화실리콘이 매입된 얕은 트렌치(103)와, 비도프 폴리실리콘막(105) 및 이를 둘러싸는 실리콘산화막(106)으로 구성되는 깊은 트렌치(104)가 형성된다. 각 트렌치(103, 104)의 깊이는 각각 0.35㎛, 2㎛ 정도이다.
또 실리콘기판(100) 내의 얕은 트렌치(103) 사이에 끼이는 영역에 콜렉터층(102)이 형성되며, 실리콘기판(100) 내의 콜렉터층(102)과는 얕은 트렌치(103)로 분리된 영역에 역행 웰(101)을 개재하고, 콜렉터층(102) 전극과 접촉하기 위한 N+콜렉터 인출층(107)이 형성된다.
또 실리콘기판(100) 상에는, 콜렉터 개구부(110)를 갖는 두께 약 30㎚의 제 1 퇴적산화막(108)이 형성되며, 실리콘기판(100) 상면 중 콜렉터 개구부(110)에 노출되는 부분의 위에는,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두께 약 80㎚의 Si1-xGex층과 두께 약 40㎚의 실리콘막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Si/Si1-xGex층(111)이 형성된다. 이 Si/Si1-xGex층(111)은 선택성장에 의하여 실리콘기판(100) 중 콜렉터 개구부(110)에 노출된 부분 위에만 형성된다. 그리고 Si/Si1-xGex층(111) 중의 중앙부(후술하는 베이스 개구부(118)의 하방영역) 하부가 내부베이스(119)로서 기능한다. 또 Si/Si1-xGex층(111) 중앙부 상부가 에미터층으로서 기능한다. Si/Si1-xGex층(111)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Si/Si1-xGex층(111) 및 역행 웰(101) 표면부에 걸쳐, 붕소이온 주입에 의한 외부베이스 주입영역(Rii)이 형성되며, 외부베이스 주입영역(Rii)의 일부로서 역행 웰(101) 표면부에, 농도 3×1017atoms·㎝-3정도의 접합리크 방지층(113)이 형성된다.
Si/Si1-xGex층(111) 및 제 1 퇴적산화막(108) 상에는, 두께 약 30㎚의 에치스토퍼용 제 2 퇴적산화막(112)이 형성되며, 제 2 퇴적산화막(112)에는 베이스접합용 개구부(114) 및 베이스 개구부(118)가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접합용 개구부(114)를 메우고 제 2 퇴적산화막(112) 상으로 연장되는 두께 약 150㎚의 P+폴리실리콘층(115)과 제 3 퇴적산화막(117)이 형성된다. 상기 Si/Si1-xGex층(111) 중 베이스 개구부(118)의 하방영역을 제외한 부분과 P+폴리실리콘층(115)에 의하여 외부베이스(116)가 구성된다.
또 P+폴리실리콘층(115) 및 제 3 퇴적산화막(117) 중, 제 2 퇴적산화막(112)의 베이스 개구부(118)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개구되며, P+폴리실리콘층(115) 측면에는 두께 약 30㎚의 제 4 퇴적산화막(120)이 형성되고, 또 제 4 퇴적산화막(120) 상에 두께 약 100㎚의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측벽(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개구부(118)를 메우고 제 3 퇴적산화막(117) 상으로 연장되는 N+폴리실리콘층(129)이 형성되며, 이 N+폴리실리콘층(129)은 에미터 인출전극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 4 퇴적산화막(120)에 의하여 P+폴리실리콘층(115)과 N+폴리실리콘층(129)이 전기적으로 절연됨과 동시에, P+폴리실리콘층(115)으로부터 N+폴리실리콘층(129)으로의 불순물 확산이 저지된다. 또 제 3 퇴적산화막(117)에 의하여 P+폴리실리콘층(115) 상면과 N+폴리실리콘층(129)이 절연된다. 그리고 N+폴리실리콘층(129)과 P+폴리실리콘층(115)의 외측면은 측벽(123)으로 피복된다.
또한 콜렉터 인출층(107), P+폴리실리콘층(115) 및 N+폴리실리콘층(129) 표면에는, 각각 Ti실리사이드층(124)이 형성된다.
또 기판 전체는 층간절연막(125)으로 피복되며, 층간절연막(125)을 관통하여 N+콜렉터 인출층(107), 외부베이스 일부인 P+폴리실리콘층(115) 및 에미터 인출전극인 N+폴리실리콘층(129) 상의 Ti실리사이드층(124)에 도달하는 접속공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각 접속공을 메우는 W플러그(126)와, 각 W플러그(126)에 접속되어 층간절연막(125) 상으로 연장되는 금속 배선(127)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2의 (a), (b)는 도 1 중의 에미터·베이스 접합부를 확대시켜 나타낸 부분단면도, 및 에미터·베이스 접합부 부근의 단면을 따른 붕소의 농도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Si1-xGex층(111)은, 게르마늄 함유율이 15%인 두께 약 40㎚의 비도프 SiGe 스페이서층(151)과, 게르마늄 함유율이 하단에서 15%, 상단에서 0으로 되도록 거의 연속적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농도 약 4×1018atoms·㎝-3의 붕소를 함유하는 두께 약 40㎚의 경사SiGe 베이스층(152)과, 부분적으로 붕소가 도핑된 두께 약 40㎚의 실리콘 캡층(153)을 순차 적층시켜 형성된다. 그리고 실리콘 캡층(153) 중 N+폴리실리콘층(129)(에미터 인출전극)과 접하는 영역에는 N+폴리실리콘층(129)으로부터 고농도 인이 확산에 의해 도입되어 N형의 에미터 확산층(153a)이 형성된다. 에미터 확산층(153a)에는, 기판의 깊이방향을 향해 1×1020atoms·㎝-3에서 1×1017atoms·㎝-3정도까지의 분포를 갖고 인이 도핑된다.
또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 캡층(153) 상부에는 농도 약 1×1018atoms·㎝-3의 붕소가 도핑되며, 실리콘 캡층(153) 하부에는 경사 SiGe 베이스층(152)으로부터의 확산에 의하여, 농도 약 2×1018atoms·㎝-3의 붕소가 도핑된다. 한편 실리콘 캡층(153)의 중간 부분에는 붕소가 거의 도핑되지 않는다. 그리고 에미터 확산층(153a)과 이를 둘러싸는 주변층(153b) 사이에는 pn접합부가 형성되며, 이 야금학적 pn접합면을 끼고, 제 1 공핍층 끝단에서 제 2 공핍층 끝단까지의 범위로 공핍층(154)이 형성된다. 이때, 공핍층(154) 중 제 2 퇴적산화막(112)에 근접하는 부분은, 종래 HBT의 공핍층(554)(도 12의 (a) 참조) 형상에 비하면 중앙쪽으로 시프트된 형상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SiGe-HBT에 의하면,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 캡층(153) 상부(제 2 퇴적산화막(112) 바로 아래 영역)에 고농도 붕소가 도핑되므로, 공핍층(154) 폭(제 1 공핍층 끝단에서 제 2 공핍층 끝단까지의 거리), 특히 실리콘 캡층(153) 상부에서 공핍층 폭이 축소되게 된다. 그 결과 공핍층(154)에서 캐리어 확산으로 재결합하는 양이 저감되어, 재결합전류가 저감되게 된다.
도 11의 (b)는 후술하는 제 3 실시예에 의하여 형성된 본 발명의 HBT 베이스전류, 콜렉터전류의 베이스·에미터 전압에 대한 의존성(감멜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b)에서 가로축은 베이스·에미터 전압(V)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베이스전류 또는 콜렉터전류(A)(대수값)를 나타낸다.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 바이어스 영역으로부터 고 바이어스 영역의 넓은 영역에 걸쳐 베이스전류 특성선과 콜렉터전류 특성선과의 평행관계가 비교적 양호하게 유지된다. 즉 선형성 양호한 HBT를 얻을 수 있음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 캡층(153) 상부에 비교적 고농도 붕소를 도핑함으로써, 공핍층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공핍층 내의 캐리어 재결합에 기인하는 재결합전류가 억제되고, 감멜특성 개선에 의하여 선형성 양호한 HBT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실리콘 캡층(153) 상단부에서, 제 2 퇴적산화막(112)과의 계면에서 계면준위가 붕소 도핑으로 저감될 가능성이 있어, 이 계면준위 감소가 HBT의 선형성 향상에 기여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을 수 있다. 호모실리콘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있어서는, 비교적 고온의 열처리(예를 들어 900℃ 정도)로 어닐링 함으로써 제 2 퇴적산화막(112)과 실리콘 캡(153)과의 계면준위를 저감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지만, SiGe-HBT에서는 이러한 고온 열처리가 어렵다는 점에서 붕소 도핑에 의한 계면준위의 저감이 실현된다면 이상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계면준위의 밀도를 저감함으로써 상술한 식의 재결합 확률(U)을 작게 할 수 있어, 더 한층 재결합 전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각층 두께는 전형적인 값을 나타내며, HBT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당한 두께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의 (a)에 나타내는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우선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HBT 제조공정의 기본적인 흐름에 대하여 도 3의 (a)∼도 6의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a)에 나타낸 공정에서 (001)면을 주면으로 하는 실리콘기판(100) 상부에, N형 불순물을 도핑하면서 실리콘 단결정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키거나, 또는 에피택셜 성장 후에 고 에너지 이온주입을 함으로써, 깊이 약 1 ㎛의 N형 역행 웰(101)을 형성한다. 단 에피택셜 성장을 하지 않고 실리콘기판(100) 일부에 이온주입을 함으로써 역행 웰(10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실리콘기판(100)의 표면부근 영역은, HBT의 콜렉터층으로 되므로 N형 불순물 농도를 1×1017atoms·㎝-3정도로 조정해둔다.
다음으로 소자분리로서, 산화실리콘이 매입된 얕은 트렌치(103)와, 비도프 폴리실리콘막(105) 및 이를 둘러싸는 실리콘산화막(106)으로 구성되는 깊은 트렌치(104)를 형성한다. 각 트렌치(103, 104)의 깊이는 각각 0.35㎛, 2㎛ 정도로 해둔다. 실리콘기판(100) 내의 얕은 트렌치(103)로 둘러싸이는 영역이 콜렉터층(102)으로 된다. 또 실리콘기판(100) 내의 콜렉터층(102)과는 얕은 트렌치(103)에 의하여 분리된 영역에, 콜렉터 전극과 접촉하기 위한 N+콜렉터 인출층(107)을 형성한다.
그 후 도시하지는 않지만, 표준적인 제조방법에 의하여 CMOS 디바이스의 각 MISFET 기본구조인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전극, 소스·드레인 영역 등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3의 (b)에 나타내는 공정에서, 테트라에톡시실란(TEOS)과 산소를 이용한 화학기상성장법(CVD)을 처리온도 680℃에서 실시하여, 웨이퍼 상에 두께 약 30㎚의 제 1 퇴적산화막(108)을 형성한 후, 불산 등의 습식에칭으로 제 1 퇴적산화막(108)에 활성영역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콜렉터 개구부(110)를 형성한다. 즉 얕은 트렌치(103)와 실리콘기판(100)의 표면부의 경계를 포함하도록 콜렉터 개구부(110)를 형성함으로써, 콜렉터 개구부(110) 폭을 활성영역 폭보다 넓게 해둔다. 콜렉터 개구부(110) 폭 자체는 종래 HBT와 거의 같은 정도이지만, 얕은 트렌치(103)끼리의 간격이 종래 HBT에 있어서보다 좁아진 결과, 콜렉터 개구부(110) 폭이 활성영역 폭보다 넓어진다.
다음으로, 실리콘기판(100)의 콜렉터 개구부(110)에 노출된 부분을 암모니아수와 과산화수소수의 혼합액으로 처리하고, 그 부분에 두께 1㎚ 정도의 보호산화막을 형성한 상태에서, 웨이퍼를 UHV-CVD장치의 챔버 내로 도입한다. 그리고 도입 후,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보호산화막을 제거한 후, 550℃로 가열하면서 디실란(Si2H6), 게르만(GeH4), 도핑용 디볼란(B2H6) 등을 함유하는 가스를 적절히 이용하여, 후술하는 각 실시예의 방법으로 실리콘기판(100)의 콜렉터 개구부(110)에 노출된 표면상에, 두께 약 80㎚의 Si1-xGex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킨다. 그리고 Si1-xGex층을 형성한 후, 연속적으로 챔버 내에 공급하는 가스 중 게르만 공급을 정지하고 또 적절히 디볼란을 이용함으로써, Si1-xGex층상에 두께 약 40㎚의 실리콘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킨다. 이 Si1-xGex층과 실리콘층에 의하여 Si/Si1-xGex층(11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4의 (a)에 나타낸 공정에서 웨이퍼 상에, 에치스토퍼가 될 막두께 30㎚의 제 2 퇴적산화막(112)을 형성한 후, 제 2 퇴적산화막(112) 상에 형성한 레지스트마스크(Re1)를 이용하여 제 2 퇴적산화막(112)을 드라이에칭으로 패터닝하고, 베이스접합용 개구부(114)를 형성한다. 이때 Si/Si1-xGex층(111) 중앙부는 제 2 퇴적산화막으로 피복되며, 베이스접합용 개구부(114)에는 Si/Si1-xGex층(111) 주변부와 제 1 퇴적산화막(108) 일부가 노출된다. 다음에 베이스접합용 개구부(114) 형성에 이용한 레지스트마스크(Re1)를 이용하여, 붕소(B) 등의 P형 불순물을 이온주입 하여 Si/Si1-xGex층(111) 및 역행 웰(101) 표면부에 걸쳐 외부베이스 주입영역(Rii)을 형성한다. 이때 외부베이스 주입영역(Rii) 일부로서, 역행 웰(101) 표면부에 농도 3×1017atoms·㎝-3정도의 접합리크 방지층(113)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4의 (b)에 나타낸 공정에서 CVD에 의하여, 웨이퍼상에 1×1020atoms·㎝-3이상의 고농도로 도핑된 두께 약 150㎚의 P+폴리실리콘층(115)을 퇴적시키고, 이어서 두께 약 100㎚의 제 3 퇴적산화막(117)을 퇴적시킨다. 다음 드라이에칭으로, 제 3 퇴적산화막(117)과 P+폴리실리콘층(115)을 패터닝하여, 제 3 퇴적산화막(117)과 P+폴리실리콘층(115) 중앙부에 제 2 퇴적산화막(112)에 달하는 베이스 개구부(118)를 형성한다. 이 베이스 개구부(118)는 제 2 퇴적산화막(112) 중앙부보다 작으며, 베이스 개구부(118)가 베이스접합용 개구부(114)에 걸쳐지는일은 없다. 이 공정으로써 P+폴리실리콘층(115)과 Si/Si1-xGex층(111)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으로 구성되는 외부베이스(116)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의 (a)에 나타낸 공정에서 CVD에 의하여, 웨이퍼 전면상에 두께 약 30㎚의 퇴적산화막과 두께 약 150㎚의 폴리실리콘막을 퇴적시킨다. 그리고 이방성 드라이에칭으로 퇴적산화막 및 폴리실리콘막을 에치백 하여, P+폴리실리콘층(115)과 제 3 퇴적산화막(117)의 측면상에 제 4 퇴적산화막(120)을 사이에 두고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측벽(121)을 형성한다. 다음에 불산 등에 의한 습식에칭을 실행하여 제 2 퇴적산화막(112) 및 제 4 퇴적산화막(120) 중 노출된 부분을 제거한다. 이때 베이스 개구부(118)에서는 Si/Si1-xGex층(111) 상부의 실리콘층이 노출된다. 또 습식에칭은 등방성이므로, 제 2 퇴적산화막(112) 및 제 4 퇴적산화막(120)이 횡방향으로도 에칭되어 베이스 개구부(118) 크기가 확대된다. 즉 이때의 습식에칭 양에 의하여 베이스 개구 폭이 정해진다. 이 습식에칭 시, 제 1 퇴적산화막(108)에 SiGe 아일랜드(111)가 부착했다 하더라도, 실리콘기판(100) 중 N+콜렉터 인출층(107) 등은, P+폴리실리콘층(115) 등에 의하여 피복되므로 실리콘기판(100) 표면이 노출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도 5의 (b)에 나타내는 공정에서, 두께가 약 250㎚의 N+폴리실리콘층(129)을 퇴적시킨 후, 드라이에칭으로 N+폴리실리콘층(129)을 패터닝함으로써 에미터 인출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P+폴리실리콘층(115) 외측은 패터닝되지 않으므로, 측방에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측벽이 형성되는 일은 없다. 또 N+콜렉터 인출층(107) 등의 표면이 N+폴리실리콘층(129)의 오버에칭에 의하여 에칭되는 일이 없으므로, 실리콘기판(100)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일도 없다.
다음, 도 6의 (a)에 나타낸 공정에서 드라이에칭으로, 제 3 퇴적산화막(117), P+폴리실리콘층(115) 및 제 2 퇴적산화막(112)을 패터닝하여 외부베이스(116)의 형상을 결정한다.
그 다음 도 6의 (b)에 나타낸 공정에서, 웨이퍼 상에 두께 약 120㎚의 퇴적산화막을 형성한 후, 드라이에칭으로 N+폴리실리콘층(129)과 P+폴리실리콘층(115) 측면에 측벽(123)을 형성한다. 이때의 드라이에칭(오버에칭)으로, 제 1 퇴적산화막(108)이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N+폴리실리콘층(129)과 P+폴리실리콘층(115) 및 N+콜렉터 인출층(107) 표면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구조를 얻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한다. 우선 스퍼터링으로 웨이퍼 전면 상에 두께 약 40㎚의 티탄막을 퇴적시킨 후, 675℃, 30sec의 RTA(단시간 어닐링)를 실시함으로써, N+폴리실리콘층(129)과 P+폴리실리콘층(115) 및 N+콜렉터 인출층(107)이 노출된 표면에 티탄실리사이드층(124)을 형성한다. 그 후, 티탄막의 미반응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나서, 티탄실리사이드층(124)의 결정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한 어닐링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웨이퍼 전면 상에 층간절연막(125)을 형성하고, 층간절연막(125)을 관통하여 N+폴리실리콘층(129)과 P+폴리실리콘층(115) 및 N+콜렉터 인출층(107) 상의 티탄실리사이드층(124)에 도달하는 접속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 접속공 내에 텅스텐(W)막을 매입시켜 텅스텐플러그(126)를 형성한 후, 웨이퍼 전면 상에 알루미늄 합금막을 퇴적시키고, 이를 패터닝하여 각 텅스텐플러그(126)에 접속되고 층간절연막(125) 상으로 연장되는 금속배선(127)을 형성한다.
이상의 공정으로 도 1에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HBT, 즉 N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콜렉터와, P+형 Si1-xGex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와, N+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에미터를 구비한 HBT가 형성된다. 여기서 Si/Si1-xGex층(111) 중 실리콘층에는 N+폴리실리콘층(129)으로부터 고농도의 N형 불순물(인 등)이 확산되어 N+형 실리콘층으로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특징점인 Si/Si1-xGex층(111)을 형성하는 공정에 대하여, 도 7의 (a),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의 (a), (b)는 상술한 제조공정 중의 도 3의 (b)에 나타낸 공정에서의 에미터·베이스 접합부 구조를 확대시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및 그 단면을 따른 붕소의 농도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실리콘기판(100)의 콜렉터 개구부(110)에 노출된 부분을 암모니아수와과산화수소수의 혼합액으로 처리하고, 그 부분에 두께 1㎚ 정도의 보호산화막을 형성한 상태에서, 웨이퍼를 UHV-CVD장치의 챔버 내로 도입한다. 그리고 챔버로의 웨이퍼 도입 후, 진공 분위기에서 웨이퍼를 850℃로 2 분간 가열함으로써 보호산화막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챔버 내에서, 웨이퍼 온도를 550℃로 내려 디실란과 게르만 유량을 각각 0.02 l/min, 0.03 l/min로 하고 압력을 약 0.067㎩로 하여, 이 상태를 2 분 40 초간 유지함으로써 웨이퍼 상에 두께 약 40㎚의 비도프 SiGe 스페이서층(151)을 형성한다. 이때 SiGe 스페이서층(151) 성장속도는 약 15㎚/min이다.
이어서 챔버 내의 온도와 압력 및 디실란(Si2H6) 유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농도 5%의 수소희석 디볼란(B2H6)을 유량 4sccm으로 챔버 내로 도입한다. 그리고 4 분간 게르만(GeH4) 유량을 0.03 l/min에서 0 l/min로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혼합결정 Si1-xGex중의 게르마늄 함유율(x)이 15%에서 0%로 변화되는, 두께 약 40㎚의 경사 SiGe 베이스층(152)을 에피택셜 성장시킨다. 이때 경사 SiGe 베이스층(152)의 평균적인 성장속도는 약 10㎚/min이며, 붕소 농도가 약 4×1018atoms·㎝-3이다.
다음에 챔버 내의 온도, 압력 및 디실란(Si2H6) 유량을 바꾸지 않고 게르만(GeH4)을 공급하는 일없이, 수소희석 디볼란(B2H6) 공급을 정지시키고, 이 상태를 15 분간 유지함으로써, 두께 약 30㎚의 비도프 실리콘층(161)을 에피택셜 성장시킨다. 이때 비도프 실리콘층(161)의 성장속도는 약 2 ㎚/min이다.
그 후 다시, 농도 5%의 수소희석 디볼란(B2H6)을 유량 0.001 l/min로 하여 챔버 내로 보내고, 이 상태를 5 분간 유지함으로써 두께 약 10㎚의 도프드실리콘층(162)을 에피택셜 성장시킨다. 이때 도프드실리콘층(162)의 성장속도는 2 ㎚/min이고 붕소농도가 약 1×1018atoms·㎝-3이다.
상기 공정이 종료한 결과, 비도프 실리콘층(161), 도프드실리콘층(162)에 의하여 실리콘캡층(153)이 형성된다. 또 SiGe 스페이서층(151), 경사 SiGe 베이스층(152) 및 실리콘캡층(153)으로써, Si/Si1-xGex층(111)이 형성된다.
도 7의 (b)는 Si/Si1-xGex층(111)의 형성 직후로서 열처리 전 붕소의 농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경사 SiGe 베이스층(152)이나 실리콘캡층(153) 중의 도프드실리콘층(162)에만 고농도 붕소가 존재하는 매우 준급한 농도 프로파일이 나타난다.
그리고 그 후 각 공정의 가열처리가 실시됨에 따라, 경사 SiGe 베이스층(152)이나 실리콘캡층(153) 중의 도프드실리콘층(162)에 도핑된 붕소가 확산되고, 최종적으로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붕소농도 프로파일이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리콘캡층 형성 시 붕소를 도핑하는, 즉 in-situ 도핑에 의한 CVD를 실시하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in-situ 도핑에 의하여, 실리콘캡층(153) 상부에 도핑된 붕소농도를 비교적 고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기본적인 HBT 제조공정의 흐름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2의 (a)∼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의 (a)에 나타낸 공정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는 점이 특징이다. 도 8의 (a), (b)는 상술한 제조공정 중 도 4의 (a)에 나타낸 공정에서 에미터·베이스 접합부 구조를 확대시켜 나타낸 부분단면도, 및 그 단면을 따른 붕소의 농도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대로의 처리를 실시하여, 콜렉터층(102) 상에 두께 약 40㎚의 비도프 SiGe 스페이서층(151)과, 두께가 약 40㎚이고 농도가 약 4×1018atoms·㎝-3인 붕소를 함유하는 경사 SiGe 베이스층(15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챔버 내의 온도, 압력 및 디실란(Si2H6) 유량을 경사 SiGe 베이스층(152) 형성 시와 변함없이 하고 게르만(GeH4)을 유입시키는 일없이, 수소희석 디볼란(B2H6) 공급을 정지시키고, 이 상태를 20 분간 유지함으로써 두께 약 40㎚의 실리콘캡층(153)을 에피택셜 성장시킨다.
다음, 제 1 실시예에서의 제 2 퇴적산화막(112) 대신에, 붕소가 도핑된 실리콘산화막(BSG막)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퇴적산화막(171)을 실리콘캡층(153) 상에 퇴적시킨다. 이때 상압 CVD장치의 챔버 내에서 웨이퍼를 400℃로 승온시킨 후 상압 하에서,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유량 1.5 l/min, 트리에톡시보론(TEB) 유량 1.5l/min, 농도 85g/Nm3의 오존을 함유하는 산소(O2) 유량 7.5 l/min, 질소(N2) 유량 18.0 l/min로 유입시키고, 이 상태를 15 초간 유지함으로써, 3 wt%의 붕소를 함유하는 두께 약 30㎚의 제 2 퇴적산화막(171)을 형성한다.
도 8의 (b)는 이때의 종단면에서 붕소의 농도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실리콘캡층(153) 내에는 붕소가 도핑되지 않지만 그 후 공정의 가열처리에 의하여 제 2 퇴적산화막(171) 중의 붕소가 실리콘캡층(153) 상부로 확산되므로, 최종적으로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붕소농도 프로파일이 얻어진다.
그 후 도 4의 (a)에 나타낸 공정과 마찬가지로, 제 2 퇴적산화막(171)에 베이스접합용 개구부(114)를 형성한 후, 도 4의 (b)∼도 6의 (b)에 나타낸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HBT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PNP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서 제 2 퇴적산화막(171)으로서 PSG막을 이용함은 말할 것도 없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비교적 간소한 공정으로 실리콘캡층(153)에 붕소를 도핑할 수 있다. 특히 실리콘캡층(153) 상단부 중 제 2 퇴적산화막(112)과의 계면에서 계면준위를 저감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기본적인 HBT 제조공정의 흐름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2의 (a)∼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4의 (a), (b)에 나타낸 공정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는 점이 특징이다. 도 9의 (a), (b)는 상술한 제조공정 중 도 4의 (a), (b)에 나타낸 공정에서 에미터·베이스 접합부 구조를 확대시켜 나타낸 부분단면도, 및 그 단면을 따른 붕소의 농도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대로의 처리를 실시하여, 콜렉터층(102) 상에 두께 약 40㎚의 비도프 SiGe 스페이서층(151)과, 두께가 약 40㎚이고 농도가 약 4×1018atoms·㎝-3인 붕소를 함유하는 경사 SiGe 베이스층(15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챔버 내의 온도, 압력 및 디실란(Si2H6) 유량을 경사 SiGe 베이스층(152) 형성 시와 변함없이 하고 게르만(GeH4)을 유입시키는 일없이, 수소희석 디볼란(B2H6) 공급을 정지시키고, 이 상태를 20 분간 유지함으로써 두께 약 40㎚의 실리콘캡층(153)을 에피택셜 성장시킨다.
다음에 제 1 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 처리를 실시하여, 웨이퍼 상에 에치스토퍼가 될 제 2 퇴적산화막(112)을 형성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퇴적산화막(112) 두께를 10㎚로 해둔다.
다음으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에 의하여, 제 2 퇴적산화막(112)의 패터닝에 의한 베이스접합용 개구부(114) 형성과, 베이스접합용 개구부(114) 형성에 이용한 레지스트마스크를 이용한 붕소(B)의 이온주입을 실행한다.
다음, 도 4의 (b)에 나타낸 공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VD에 의하여 웨이퍼 상에 두께 약 150㎚의 P+폴리실리콘층(115)을 퇴적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P+폴리실리콘층(115) 중의 붕소농도를 2×1020atoms·㎝-3이상으로 한다. 이 붕소농도는 비도프 폴리실리콘막을 퇴적시킨 후, 폴리실리콘막에, 가속전압 8 keV, 도즈량이 약 5×1015atoms s·㎝-2의 조건으로 붕소이온을 주입함으로써 실현시킬 수 있다. 단 폴리실리콘막 퇴적 시에 in-situ도핑을 실시해도 된다. 이어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하여, 제 3 퇴적산화막(117)(도 4의 (b) 참조) 퇴적과, 제 3 퇴적산화막(117)과 P+폴리실리콘층(115)의 패터닝에 의한 베이스 개구부(118) 형성을 실시하여, P+폴리실리콘층(115)과 Si/Si1-xGex층(111) 중앙부를 제외한 부분으로 구성되는 외부베이스(116)(도 4의 (b) 참조)를 형성한다.
도 9의 (b)는 이때의 종단면에서 붕소농도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는 실리콘캡층(153) 내에 붕소가 도핑되지 않고, 제 2 퇴적산화막(112)을 가르고 형성된 P+폴리실리콘층(115)(외부베이스층(116) 일부)에 고농도 붕소가 도핑된 것뿐이지만, 그 후 공정에서의 가열처리에 의하여 P+폴리실리콘층(115) 중의 붕소가 제 2 퇴적산화막(112)을 통과하여 실리콘캡층(153) 상부로 확산되므로, 최종적으로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붕소농도의 프로파일이 얻어진다.
그 후 도 5의 (a)∼도 6의 (b)에 나타내는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HBT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 개구부(118)가 형성된 상태에서 P+폴리실리콘층(115)으로부터 실리콘캡층(153) 상부에 붕소를 도핑하도록 하므로, 실리콘캡층(153) 중 베이스 개구부(118) 바로 아래 영역인 에미터 확산층(153a)을 제외한 영역에만 붕소를 도입할 수 있어, 에미터 확산층(153a)에 도핑하는 인과의 농도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실리콘캡층(153) 상부의 붕소농도를 가장 바람직한 농도로 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여기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더블 폴리실리콘형의 HBT에 본 발명을 적용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 1, 제 2 실시예는 싱글 폴리실리콘형 HBT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P+폴리실리콘층(115)을 형성하지 않고, Si/Si1-xGex층(111)을 제 1 퇴적산화막(108) 상까지 연장되는 구조로 하여, 제 2 퇴적산화막(112) 중 베이스 개구부(118)를 둘러싸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제거해두면 된다. 이때 Si/Si1-xGex층(111) 중 제 1 퇴적산화막(108) 상에 위치하는 부분은 단결정이 아닌 다결정 구조가 되지만, 이 부분은 외부베이스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므로 단순히 저항체로서 기능하면 되며, HBT로서의 동작이나 특성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다.
상기 각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캡층(153) 하부에도 붕소가 확산에 의하여 도핑되지만, 각 실시예에서실리콘캡층(153) 하부에도 in-situ 도핑으로 붕소를 도핑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NPN형 HBT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PNP형 HBT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HBT 각부의 도전형이나, HBT 각부에 도핑하는 불순물의 도전형은 상기 각 실시예와는 반대의 도전형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SiGe-HBT와 Si-CMOSFET를 공통 실리콘기판 상에 형성하여 구성되는 이른바 BiCMOS 디바이스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SiGe 스페이서층이나 경사 SiGe 베이스층 대신에 SiGeC 스페이서층이나 경사 SiGeC 베이스층을 형성해도 된다.
제 1~제 3 실시예의 Si/Si1-xGex층(111)이 제 1 퇴적산화막(108) 상으로 연장돼도 된다.
(구조의 변형예)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는, 베이스층을 Si1-xGex층(0≤x<1)으로 구성하지만, 베이스층을 Si1-xGex층 대신 Si1-x-yGexCy층(0≤x, y<1)이나 Si1-yCy층(0≤y<1)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 에미터, 콜렉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Si1-xGex층, Si1-x-yGexCy층, 또는 Si1-yCy층으로 구성해도 된다.
도 13은 기본 구조에 있어서의 Si1-xGex층 대신에 Si1-x-yGexCy층을 형성한 변형예에 관한 헤테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HBT)의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에서의 HBT구조는 상기 도 1에 나타내는 HBT 구조와 거의 같지만, 다음과 같은 점만이 다르다.
실리콘기판(100) 상면 중 콜렉터 개구부(110)에 노출되는 부분 상에는,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두께 약 80㎚의 Si1-x-yGexCy층과 두께 약 40㎚의 실리콘막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Si/Si1-x-yGexCy층(211)이 형성된다. 이 Si/Si1-x-yGexCy층(211)은 선택성장으로 실리콘기판(100) 중 콜렉터 개구부(110)에 노출되는 부분 위에만 형성된다. 그리고 Si/Si1-x-yGexCy층(211) 중 중앙부(후술하는 베이스 개구부(118)의 하방영역) 하부가 내부베이스(219)로서 기능한다. 또 Si/Si1-x-yGexCy층(211) 중앙부 상부가 에미터층으로 기능한다. Si/Si1-x-yGexCy층(211)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제 1~제 3 실시예와 같은 불순물 프로파일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Si/Si1-x-yGexCy층(211) 및 역행 웰(101) 표면부에 걸쳐 붕소이온 주입에 의한 외부베이스 주입영역(Rii)이 형성된다. Si/Si1-x-yGexCy층(211) 및 제 1 퇴적산화막(108) 상에는, 두께 약 30㎚의 에치스토퍼용 제 2 퇴적산화막(112)이 형성되며, 제 2 퇴적산화막(112)에는 베이스접합용 개구부(114) 및 베이스 개구부(118)가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접합용 개구부(114)를 메우고 제 2 퇴적산화막(112) 상으로 연장되는 두께 약 150㎚의 P+폴리실리콘층(115)과 제 3 퇴적산화막(117)이 형성된다. 상기 Si/Si1-x-yGexCy층(211) 중 베이스 개구부(118) 하방영역을 제외한 부분과 P+폴리실리콘층(115)에 의하여 외부베이스(216)가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되는 그 밖의 부재는 도 1에 나타난 구조와 마찬가지이므로, 도 1과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제 1∼제 3 실시예에서의 Si1-xGex층의 에피택셜성장 대신에 Si1-x-yGexCy층의 에피택셜성장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등의 디바이스, 특히 고주파신호를 취급하는 디바이스에 이용된다.

Claims (9)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콜렉터층이 될 제 1 반도체층과,
    상기 제 1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베이스층이 될 제 2 반도체층과,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반도체층과는 밴드갭이 다른 재료로 구성되는 제 3 반도체층과,
    상기 제 3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반도체층에 달하는 개구부와,
    도체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절연막 개구부를 메우고 상기 제 3 반도체층에 접촉하는 에미터 인출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반도체층은 상기 개구부 하방에 위치하는 제 1 도전형 에미터 확산층과, 이 에미터 확산층 측방에 위치하는 영역에서 적어도 상부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주변층을 구비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산화막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3 반도체층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함유되는 제 2 도전형 불순물은 상기 절연막으로부터 확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반도체층 중 상기 밑받침 절연막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접하고, 또 상기 절연막 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도핑된 베이스 인출전극으로 기능하는 폴리실리콘막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반도체층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함유되는 제 2 도전형 불순물은, 상기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 상기 절연막을 통과하여 확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반도체층의 에미터 확산층 중 제 1 도전형 불순물은, 상기 에미터 인출전극으로부터 확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실리콘기판이며,
    상기 제 1 반도체층은 실리콘층이고,
    상기 제 2 반도체층은 SiGe층 또는 SiGeC층이며,
    상기 제 3 반도체층은 실리콘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6. 기판 상의,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콜렉터층으로 될 제 1 반도체층상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베이스층으로 될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a)과,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상기 제 2 반도체층과는 밴드갭이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부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제 3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으로써 형성하는 공정(b)과,
    상기 공정(b) 후에, 기판 상에 절연막을 퇴적시키는 공정(c)과,
    상기 절연막에 상기 제 3 반도체층에 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d)과,
    상기 제 3 반도체층 중 상기 개구부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에미터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e)을 포함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7. 기판 상의,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콜렉터층으로 될 제 1 반도체층 상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베이스층으로 될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a)과,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상기 제 2 반도체층과는 밴드갭이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3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으로써 형성하는 공정(b)과,
    상기 공정(b) 후에, 기판 상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절연막을 퇴적시키는 공정(c)과,
    상기 절연막에 상기 제 3 반도체층에 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d)과,
    상기 제 3 반도체층 중 상기 개구부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에미터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e)을 포함하며,
    상기 공정(c) 후의 처리에 의하여, 상기 제 3 반도체층 상부에 상기 절연막으로부터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도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8. 기판 상의,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콜렉터층으로 될 제 1 반도체층 상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베이스층으로 될 제 2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a)과,
    상기 제 2 반도체층 상에, 상기 제 2 반도체층과는 밴드갭이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3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으로 형성하는 공정(b)과,
    상기 공정(b) 후에, 기판 상에 절연막을 퇴적시키는 공정(c)과,
    기판 상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도체막을 퇴적시킨 후, 이 도체막에 상기 절연막에 도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d)과,
    상기 제 1 도체막의 개구부 측면을 피복하는 절연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측벽을 형성하는 공정(e)과,
    상기 공정(e) 후, 상기 절연막에 상기 제 3 반도체층에 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공정(f)과,
    상기 제 3 반도체층 중 상기 개구부 하방에 위치하는 영역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도입하여 에미터 확산층을 형성하는 공정(g)을 포함하며,
    상기 공정(d) 후의 처리에 의하여, 상기 제 3 반도체층 상부에 상기 도체막으로부터 상기 절연막을 통과한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도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f) 후 상기 공정(g) 전에, 기판 상에 상기 도체막과는 별도의 도체막을 퇴적시킨 후, 이 별도의 도체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절연막 개구부를 메우고 상기 절연막 상으로 연장되는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함유하는 에미터 인출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20027000961A 2000-05-23 2001-05-23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195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51044 2000-05-23
JP2000151044A JP2001332563A (ja) 2000-05-23 2000-05-23 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01/004344 WO2001091162A2 (fr) 2000-05-23 2001-05-23 Transistor bipolai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560A true KR20020019560A (ko) 2002-03-12

Family

ID=1865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961A KR20020019560A (ko) 2000-05-23 2001-05-23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828602B2 (ko)
EP (1) EP1263052A2 (ko)
JP (1) JP2001332563A (ko)
KR (1) KR20020019560A (ko)
CN (1) CN1224109C (ko)
WO (1) WO20010911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0511A1 (de) * 2001-11-30 2003-06-12 Ihp Gmbh Bipolarer Transistor
DE10164176B4 (de) * 2001-12-27 2007-12-27 Austriamicrosystems Ag Bipolartransistor
US6670654B2 (en) 2002-01-09 2003-12-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germanium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with carbon incorporation
KR100460201B1 (ko) * 2002-04-08 2004-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iGe/Si 이종 접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제조용 기판의 형성 방법
JP4391069B2 (ja) * 2002-04-30 2009-12-24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ヘテロ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99765B1 (en) 2002-08-29 2004-03-02 Micrel, Inc. Method of fabricating a bipolar transistor using selective epitaxially grown SiGe base layer
JP2004111852A (ja) * 2002-09-20 2004-04-08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643100B2 (ja) 2002-10-04 2005-04-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507830B1 (ja) 2002-10-04 2004-03-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891299B2 (ja) * 2003-05-06 2007-03-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半導体デバイス、電子機器
KR100546332B1 (ko) * 2003-06-13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7038298B2 (en) * 2003-06-24 2006-05-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fT and fmax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960820B2 (en) 2003-07-01 2005-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ipolar transistor self-alignment with raised extrinsic base extension and methods of forming same
US7262484B2 (en) * 2005-05-09 2007-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in vertical bipolar transistors
US7342293B2 (en) * 2005-12-05 2008-03-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S) with second shallow trench isolation (STI) reg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US7585740B2 (en) * 2006-03-14 2009-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ully silicided extrinsic base transistor
JP2007250903A (ja) 2006-03-16 2007-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ヘテロ接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78667B2 (en) * 2007-06-20 2010-03-16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bonding MEMS integrated circuits
CN101459076B (zh) * 2007-12-13 2011-02-02 上海华虹Nec电子有限公司 SiGe HBT晶体管的制备方法
CN102064190B (zh) * 2009-11-18 2012-07-11 上海华虹Nec电子有限公司 SiGe BiCMOS工艺中的SiGe PNP双极晶体管
CN102087977B (zh) 2009-12-04 2012-04-18 无锡华润上华半导体有限公司 垂直npn晶体管及其制造方法
CN102097465B (zh) * 2009-12-15 2012-11-07 上海华虹Nec电子有限公司 BiCMOS工艺中的寄生垂直型PNP三极管及其制造方法
CN102110709B (zh) * 2009-12-24 2012-08-01 上海华虹Nec电子有限公司 BiCMOS工艺中的寄生垂直型PNP三极管及其制造方法
IT1401754B1 (it) 2010-08-30 2013-08-02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elettronico integrato e relativo metodo di fabbricazione.
IT1401756B1 (it) 2010-08-30 2013-08-02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elettronico integrato con struttura di terminazione di bordo e relativo metodo di fabbricazione.
IT1401755B1 (it) 2010-08-30 2013-08-02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elettronico integrato a conduzione verticale e relativo metodo di fabbricazione.
CN102403344B (zh) * 2010-09-10 2013-09-11 上海华虹Nec电子有限公司 锗硅BiCMOS工艺中的寄生PNP双极晶体管
US8492794B2 (en) * 2011-03-15 2013-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tical polysilicon-germanium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DE102011108334B4 (de) * 2011-07-25 2016-05-25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Elektron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höhen der Zuverlässigkeit von Bipolartransistoren unter Hochspannungsbedingungen
CN103107087B (zh) * 2011-11-09 2015-10-14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与锗硅异质结npn三极管集成的pnp三极管的制造方法
US8716096B2 (en) 2011-12-13 2014-05-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aligned emitter-base in advanced BiCMOS technology
CN102766908B (zh) * 2012-07-25 2016-02-24 苏州阿特斯阳光电力科技有限公司 晶体硅太阳能电池的硼扩散方法
US10006365B2 (en) 2015-06-30 2018-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Air supply and conditioning system for a gas turbine
CN107887430A (zh) * 2017-11-09 2018-04-06 重庆邮电大学 衬底施加单轴应力的硅锗异质结双极晶体管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1641A (en) * 1983-01-21 1988-08-02 Vidcom Rentservice B.V.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2600485B2 (ja) * 1990-11-28 1997-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H05102177A (ja) * 1991-10-02 1993-04-23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計算機
JPH05182980A (ja) 1992-01-07 1993-07-23 Toshiba Corp ヘテロ接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JP2582519B2 (ja) * 1992-07-13 1997-02-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9315448D0 (en) * 1993-07-26 1993-09-08 Rank Xerox Ltd Recording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relevant to the activities of a user
JP2551364B2 (ja) * 1993-11-26 1996-11-0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746225B2 (ja) 1995-10-16 1998-05-0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0818829A1 (en) * 1996-07-12 1998-01-14 Hitachi, Ltd.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it
JPH11102177A (ja) 1997-09-25 1999-04-13 Canon Inc 書体データ作成装置と書体データの作成方法、及び記憶媒体
JP3301390B2 (ja) * 1998-08-13 2002-07-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ヘテロ接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を備えた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54859B1 (en) * 1999-10-08 2005-10-11 Axcess, Inc. Networked digital security system and methods
US20030058111A1 (en) * 2001-09-27 2003-03-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puter vision based elderly care monitoring system
US7436887B2 (en) * 2002-02-06 2008-10-14 Playtex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frame sequence-based object tracking
US20080129495A1 (en) * 2002-10-28 2008-06-05 Hitt Dale K Wireless sensor system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ntrol
US20060018516A1 (en) * 2004-07-22 2006-01-26 Masoud Osama T Monitoring activity using video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06484A1 (en) 2003-01-09
WO2001091162A3 (fr) 2002-07-04
WO2001091162A2 (fr) 2001-11-29
US6828602B2 (en) 2004-12-07
CN1398432A (zh) 2003-02-19
EP1263052A2 (en) 2002-12-04
JP2001332563A (ja) 2001-11-30
CN1224109C (zh) 2005-10-19
US20040251473A1 (en) 2004-12-16
US6939772B2 (en) 2005-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9560A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30110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465969B2 (en)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105415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bipolar transistor
KR100486304B1 (ko) 자기정렬을 이용한 바이씨모스 제조방법
KR20020039319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5798277A (en) Method for fabricating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US20040227213A1 (en)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nd fabricating method
KR100554465B1 (ko) SOI 기판 위에 구현된 SiGe BiCMOS 소자 및그 제조 방법
KR20030047274A (ko) 초자기정렬 이종접합 바이폴라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554174B2 (en) Bipolar transistor having semiconductor patterns filling contact windows of an insulating layer
JP2001035858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803548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523614A (en) Bipolar transistor having enhanced high speed operation through reduced base leakage current
JP3732814B2 (ja) 半導体装置
JPH05283520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202011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18145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75539B1 (ko) 자기정렬 쌍극자 트랜지스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60170074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02016160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62107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073992A (ja) 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