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315A -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108315A KR20010108315A KR1020017011292A KR20017011292A KR20010108315A KR 20010108315 A KR20010108315 A KR 20010108315A KR 1020017011292 A KR1020017011292 A KR 1020017011292A KR 20017011292 A KR20017011292 A KR 20017011292A KR 20010108315 A KR20010108315 A KR 200101083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wedge
- emergency stop
- stop device
- shaped bod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쐐기 형상체(3)를 사용하여 슬라이딩부(11)를 가이드 레일(1)에 압압함으로써, 슬라이딩부(11)와 가이드 레일(1)에 마찰력을 생기게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기(20)를 비상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에 있어서, 쐐기 형상체(3)는 가이드 레일(1)과 슬라이딩부(11)에 슬라이딩하는 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치수가 제동력에 따라서 변화된다.
이에 의해서 마찰계수가 변화하여도 제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에서는, 안전장치로서 일본국의 건축기준법 시행령의 제129조 제7호에 있어서, 하강하는 승강기의 속도가 규정된 값을 초과하면 승강기의 하강을 자동적으로 제지하는 장치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에는, 승강기(20)의 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4)에는 중간부가 승강기(20)의 세이프티 링크(17)에 접속된 조속기 로프(15)가 감기고, 승강기의 승강에 수반되어 조속기(14)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조속기 로프(15)의 하부는, 조속기 로프 텐셔닝 풀리(tensioning pulley)(16)에 감기고, 조속기 로프(15)에는 적당한 장력이 주어지고 있다.
조속기(14)는 사전에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면, 조속기(14)에 장치된 로프 파지부(19)가 동작하여, 조속기 로프(15)를 파지한다. 이에 의해서 세이프티링크(17)가 작동하여, 하강하는 승강기(20)의 인상(引上) 봉(2)의 하강을 멈추게 한다. 즉 승강기(20) 측에서 보면 인상 봉(2)은 상승하여, 인상 봉(2)의 하단에 연결된다. 자세하게는 도12 및 도13에 나타낸 쐐기 형상체(3)도 끌어올려져서, 쐐기 형상체(3)와 가이드 레일(1)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어, 승강기(20)를 비상 정지시킨다.
도1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13은 도12의 B-B단면도이다. 도12 및 도13에 있어서 이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18)는, 승강기(20)의 하부 빔에, 그 상면이 고정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평면도에서는, 대략 정사각형의 상부판(9A)과, 이 상부판(9A)과 거의 동형이고 또한 판 두께가 좀 얇은 하부판(9B)에 상하가 용접되는 앵글 스틸제의 도시하지 않은 한쌍의 기둥에 의해서, 이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18)의 골조가 구성되어 있다. 제1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판(9A)과 하부판(9B)의 전면 중앙부에는, 쇄선(鎖線)으로 나타낸 가이드 레일(1)의 머리 부분이 느슨하게 끼워지는 U자형의 홈(9a)이 형성되어 있다.
도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판(9A)의 하면에는 계단부(9d)가 형성되고, 하부판(9B)의 전단부 양측 산면에는, 대략 凸자형의 가이드 받이(9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받이(9b)의 외측 상면에는, 수평한 계단부(9c)가 전술한 상부판(9A)의 계단부(9d)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계단부(9c, 9d)에는 한쌍의 안내판(6)이 설치되어 있다. 즉 한쌍의 안내판(6)은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하단부의 대향측에는 걸어 멈춤부(6a,6b)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한쌍의 안내판(6)의 걸어 멈춤부(6a, 6b)는, 계단부(9c, 9d)의 외측에서 삽입되는 동시에 안내판(6)의 대향면은, 하측의 간격이 넓어져서 경사되어 있다.
좌우의 안내판(6)의 외측에는 C자형의 홈(6c)이 형성되고, 이 홈에는 도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U자형으로 형성된 두꺼운 판제의 판 스프링(7)의 양단이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이 판 스프링(7)의 양단에는 한쌍의 압압(押壓)시트(8)가 내측으로부터 사전에 삽입되어 있다. 이 압압시트(8)의 머리 부분의 반구형(半球形) 부분의 대부분은, 안내판(6)의 홈(6c)의 상하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凹부에 감합(嵌合)되고, 이에 의해서 반구형 부분은, 판 스프링(7)의 복귀력에 의해서 凹부에 압압되고, 따라서 판 스프링(7)은 그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부호(2)는 전술한 인상 봉을 나타내고, 스트라이프(strip) 형상의 강재로 제작되어 있다. 이 인상 봉(2)의 하단에는, 핀을 통해서 대략 사다리꼴 모양의 쐐기 형상체(3)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쐐기 형상체(3)의 전후면의 외면측에는, 도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측 경사면과 평행한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각 안내판(6)의 대향측의 전후면에도, 도12에 나타낸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판(6)에 형성된 안내 홈과, 전술한 쐐기 형상체(3)에 형성된 안내 홈에는, 도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대략 통모양으로 형성된 보지판(4A)의 양측의 벤딩부가 감합되어 있다. 전후의 보지판(4A)의 중심선에 형성된 수개소의 축 구멍에는, 롤러(5A)의 양단에 돌출된 축부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보지판(4A)은, 안내판(6)에 형성된 홈에 한쪽이 감합된 벤딩부에 의해서, 롤러(5A)와 함께 위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18)는 승강기 외측에도 설치되어 있고, 또 균형 추에도 부착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18)에 있어서는, 도11에 나타낸 승강기(20) 또는, 도시하지 않은 균형 추의 하강속도가 규정된 값을 초과하면, 조속기 로프(15)가 조속기(14 )의 로프 파지부(19)에서 파지된다. 그리고 인상 봉(2)이 승강기(20) 보다 먼저 정지하여, 승강기(20) 및 안내판(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한다. 이에 의해서 이 인상 봉(2)의 하단에 걸려 멈추어진 쐐기 형상체(3)가 승강기(20) 또는 균형 추에 대하여 상승한다. 그러면 한쌍의 쐐기 형상체(3)의 대향면이 가이드 레일(1)의 머리 부분의 측면에 압압되어, 가이드 레일(1)을 양측에서 끼워, 승강기(20) 또는 균형 추는 정지된다.
쐐기 형상체(3)와 함께 상승하는 보지판(4A)에 삽입된 롤러(5A)는 쐐기 형상체(3)와 안내판(6) 사이의 마찰을 줄여서 쐐기 형상체(3)의 상승동작을 원활하게 하고, 가이드 레일(1)에의 압압력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 장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운동마찰계수는, 슬라이딩 속도에 관계없이 슬라이딩재의 재질이나 슬라이딩면의 상태 등으로 정해지는 일정한 값을 취하지만, 슬라이딩속도가 10m/s를 초과하는 영역에서는 속도의 증가에 수반되어 운동마찰계수가 저하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에서는, 사전에 설정된 용수철력으로 한쌍의 쐐기 형상체를 가이드 레일에 압압하는, 즉 항상 일정하게 미는 힘으로 쐐기 형상체와 가이드 레일간이 슬라이딩된다.
이 때문에 운동마찰계수의 변화는, 그대로 제동력의 변화로 되어, 10m/s를 초과하는 고속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에 의한 비상 제동은 도3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동 초기에는 속도가 빠르고, 또 마찰계수가 작다. 이 때문에 감속도가 작고, 또 정지하는 직전에는 속도가 느리고 또한 마찰계수가 크기 때문에 감속도가 커진다.
전술의 건축기준법 시행령에서는, 비상 제동시의 평균감속도는 0.35G∼1.0G로 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속도 15m/s 이상에서의 비상 제동에서는 정지 직전의 감속도가 아주 커져서 승객의 부담이 커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시의 감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안전하게 승강기를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속도가 법정속도를 초과했을 때, 승강기를 비상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10m/s를 초과하는 것과 같은 고속의 엘리베이터에 적절히 적용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쐐기 형상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3은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 특성을 나타낸 다면.
도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2실시형태의 쐐기 형상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3실시형태의 쐐기 형상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의 모식도.
도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3 및 제4실시형태의 탄성체의 하중, 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4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4실시형태의 쐐기 형상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11은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설치환경을 나타낸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단면 개략도.
도1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13은 도12도의 정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는, 쐐기 형상체가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딩하는 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의 치수가 제동력에 따라서 변화하는 기구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서 쐐기 형상체를 가이드 레일에 압압하는 힘을 조정하여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는, 쐐기 형상체의 외측 경사면부를 갖는 고정부와 슬라이딩부재를 갖는 쐐기 형상가동부로 되고, 그 가동부는 고정부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또한 그 상부는 탄성체를 거쳐서 고정부와 맞물려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가동부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력에 따라서 고정부 내측 경사면을 이동하고, 쐐기 형상체 전체의 폭을 조절하여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는, 쐐기 형상체의 외측 사면부를 갖는 고정부와 슬라이딩부재를 갖는 쐐기 형상 가동부로 되고, 그 가동부는 고정부의 내측 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또한 그 상부가 탄성체를 끼우는 한쌍의 슬라이딩체를 거쳐서 고정부와 맞물려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서 가동부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력에 따라서 고정부 내측 사면을 원활하게 이동하고, 쐐기 형상체 전체의 폭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여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는, 쐐기 형상체의 외측 사면부를 갖는 고정부와 슬라이딩부재를 갖는 쐐기 형상 가동부로 되고, 이 가동부는 고정부의 내측 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또한 그 상부가 하중 및 휨의 관계가 2단계로 변화하는 탄성체를 거쳐서 고정부와 맞물려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의해서 가동부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과도한 제동력에 대하여 고정부 내측 사면을 이동하고, 쐐기 형상체 전체의 폭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여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는, 쐐기 형상체의 외측 사면부를 갖는 고정부와 슬라이딩부재를 갖는 쐐기 형상가동부로 되고, 그 가동부는 고정부의 내측 사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또한 그 상부가 초기압을 가한 피스톤을 통해서 고정부와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의해서 가동부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과도한 제동력에 대해서만 고정부 내측 사면을 이동하고, 쐐기 형상체 전체의 폭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여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의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래의 기술로 나타낸 도11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2a는 도1의 쐐기 형상체(3)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 도2a는 제동력이 적을 때의 모식도, 도2b는 제동력이 클 때의 모식도이다.
도1 및 도2a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로 나타낸 도11과 상이한 것은 쐐기 형상체(3)가, 가동부(3a)와 고정부(3b)로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정부(3b)는 도11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쐐기 형상체(3)와 똑같이 외측 사면부를 갖고, 그 외측 사면부에는 롤러(5A)가 배치되고, 안내판(6)의 사면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부(3b)의 외측 사면부와 대향하는 면은, 외측 사면과는 반대방향의 경사의 내측 사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b)의 내측 사면 가까이의 전후면에는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외측 사면측과 똑같이 내측 사면에 평행한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3a)는 상단이 폭이 넓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고, 가이드 레일(1)에 대향하는 면에는 슬라이딩부(11)를 갖고, 고정부(3b)에 대향하는 면은, 고정부(3b)의 내측 사면에 평행한 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가동부(3a)의 전후면에는 고정부(3b)의 내측 사면측의 안내 홈과 똑같이 사면에 평행한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b)와 가동부(3a)의 안내 홈은, 안내판(6)과 쐐기 형상체(3)를 연결하는 보지판(4A) 및 롤러(5A)와 같은 기구로써, 보지판(4B) 및 롤러(5B)에 의해서 가동부(3a)가 고정부(3b)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가동부(3a)의 상부측은,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금속편 등에 의한 탄성체(10)를 거쳐서 고정부(3b)와 접속되어 있고, 탄성체(10)의 상하 방향의 변형에 수반되어 고정부(3b)의 내측 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탄성체(10)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되는 위치규제체(13)에 의해서, 완만하게 고정부(3b)에 고정되어, 그 수평 방향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보지판(4C)에 의해서 쐐기 형상체(3)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보지되어 있다.
승강기(20)의 하강속도가 조속기(14)에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면 조속기(14)에 장치된 로프 파지부(19)가 동작하여 조속기 로프(15)를 파지한다.
이에 의해서 세이프티 링크(17)가 작동하여 하강하는 승강기(20)의 인상 봉(2)이 승강기(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끌어올려진다. 인상 봉(2)의 하단에 연결된 쐐기 형상체(3)는 승강기(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고, 쐐기 형상체(3)의 슬라이딩부 (11)과 가이드 레일(1) 사이에 마찰력 즉 제동력이 생긴다.
제동개시 직후는 슬라이딩부(11)와 가이드 레일(1)과의 슬라이딩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운동마찰계수가 작아 제동력은 작다. 따라서 가동부(3a)는 슬라이딩부(11)로부터 비교적 작은 상승력을 받고, 탄성체(10)의 휨도 비교적 작기 때문에, 가동부(3a)는 고정부(3b)의 내측 사면의 중간부 부근에서 균형이 잡혀져서 제동을 행한다.
제동이 진행 슬라이딩부(11)와 가이드 레일(1)과의 슬라이딩속도가 느려지면, 운동마찰계수가 커지고, 제동력이 커져서 탄성체(10)의 휨도 커지기 때문에, 가동부(3a)는 고정부(3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한다.
가동부(3a)는 고정부(3b)의 내측 사면을 따라 상승하기 때문에, 그 수평방향 위치가 고정부(3b) 측에 접근하는 (가이드 레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 즉 쐐기 형상체(3) 전체로서의 폭(도2a, b의 X치수)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서 스프링(7)의 휨이 작아지고, 쐐기 형상체(3)의 슬라이딩부(10)를 가이드 레일(1)에 대하여 압압하는 힘이 작아진다.
제동력(마찰력)은, 운동마찰계수와 압압력과의 곱(積)이므로, 슬라이딩속도가 작아지고 운동마찰계수가 커져도, 쐐기 형상체(3)를 가이드 레일(1)에 압압하는 힘이 감소되므로, 도3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력은 거의 일정하게 보지되어, 비상 제동의 후반에 가서 제동력이 상승되지 않고, 안전하게 승강기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도3a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3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에 도4, 도5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4, 도5는 각각 제1실시형태의 도1 및 도2a에 상당한다.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탄성체(10)의 상하에 슬라이딩체로서의 롤러(5C)를 배치하고 있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력은, 쐐기 형상체(3) 1개당 500kgf∼수tf이다. 이 하중은 그대로 가동부(3a)에서 탄성체(10)를 거쳐서 고정부(3b)에 전해지기 때문에, 탄성체(10)와 가동부(3a) 및 고정부(3b) 사이의 마찰력은 50∼수백kgf로 오른다.
이 때문에 제동 중의 운동마찰계수의 변화에 추종하여 가동부(3a)를 움직여서, 쐐기 형상체(3)의 폭을 정밀하게 조정하기 위해서, 가동부(3a)는 고정부(3b)와의 상대 변위를 원활하게 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도2실시 형태에서는, 롤러(5C)를 탄성체(10)의 상하에 탄성체(10)를 끼우도록 배치하는 것으로써, 가동부(3a)의 원활한 움직임을 실현하여, 제동력의 조정을 보다 미세하게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 롤러 대신으로 차륜을설치하거나, 또는 슬라이딩면에 실리콘이나 테플론(상표)을 코팅하여도 좋고, 또 롤러를 배치하지 않은 제1실시형태에서도, 제동력의 조정을 행하지 않는 종래의 실시형태에 비해서 비약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6,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이다. 도6, 도7은 각각 제1실시형태의 도1 및 도2a에 상당한다.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탄성체(10)에서 슈링키지 피팅(shrinkage fitting) 등에 의해서 초기압규제체(21)을 부착한 점이다. 탄성체(10)는 초기압규제체(21)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내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탄성체(10)의 하중 및 휨 특성은 도8의 꺾인 선(1)과 같아진다.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평균 제동력을, 쐐기 형상체(3) 1개당 1tf로 하면, 운동마찰계수의 변화에 의한 제동력의 변화는, 대체로 700kgf∼1300kgf 정도이다. 이 제동력의 변화에 의한 가동부(3a)의 변위는, 700kgf시로 고정부(3b) 내측 사면의 중간 부근, 1300kgf로 고정부(3b) 내측 사면부의 최상부 부근으로 된다. 즉 가동부(3a)의 이동가능 범위 중의 약 절반 정도밖에 제동력의 조정에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전술의 예의 700kgf까지는 초기압에 의해서 휨이 거의 없고, 즉 가동부(3a)는 고정부(3b)의 내측 사면부의 하부 부근에 머물고, 700kgf를 넘는 하중 당의 휨량이 증가하여, 가동부(3a)는 고정부(3b)의 내측 사면부를 상승하여 1300kgf시에는 내측 사면부의 최상부 부근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서 가동부(3a)의 이동 범위의 대부분을 사용해서 제동력의 조정을행하여, 보다 안정된 제동특성을 제공 할 수 있다.
도9,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이다. 도9, 도10은 각각 제3실시형태의 도6 및 도7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가 제3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탄성체(10) 및 초기 정규제체(21) 대신으로 기체를 봉입한 피스톤(22)를 설치한 점이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초기압규제체에 의해서 탄성체의 초기압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초기압은 부분적으로 밖에 가할 수 없으며, 도8의 꺾인 선(1)과 같이 대체로 2단계로 변화하는 하중 및 휨 특성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제4실시형태에서는 고압의 기체를 봉입한 피스톤(22)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그 하중·휨 특성을 도8의 직선(2) 과 같이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술의 예에서는 700kgf까지는 가동부(3a)는 고정부(3b)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가동부(3a)의 이동범위 전부를 제동력의 조정에 사용할 수 있어, 더 안정된 제동특성을 제공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쐐기 형상체의 폭을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력에 따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써, 쐐기 형상체를 가이드 레일에 압압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어, 마찰계수가 변화되어도 제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쐐기 형상체의 외측 사면부를 갖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내측 사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그 상부가 탄성체를 거쳐서 고정부와 맞물려 있는 슬라이딩부재를 가진 쐐기 형상으로 된 가동부로 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동부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의 제동력에 따라서 고정부 내측 사면을 이동하여, 쐐기 형상체 전체의 폭을 조절하여 제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를 한쌍의 슬라이딩체로 끼워서 가동부와 고정부를 맞물리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써, 가동부는 보다 원활하게 고정부 내측 사면을 이동하여, 쐐기 형상체 전체의 폭을 조절하여 제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의 하중·휨 특성을 어떤 하중까지는 휨이 적거나 0이고, 그 이후는 하중과 휨의 관계가 거의 비례관계로 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써 가동부의 이동범위의 대부분을 제동력의 조정에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제동력이 안정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체로서 초기압을 가한 기체를 봉입한 피스톤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동부의 이동범위의 전부를 제동력의 조정에 사용 할 수 있어, 더욱 제동력이 안정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Claims (5)
- 엘리베이터의 승강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이 가이드 레일에 그 슬라이딩부가 압압됨으로써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기를 비상 정지시키는 쐐기 형상체를 구비하고,상기 쐐기 형상체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슬라이딩하는 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치수가 제동력에 따라서 변화하는 기구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쐐기 형상체는,상기 쐐기 형상체의 외측 사면부를 갖는 고정부와,상기 슬라이딩부를 갖는 쐐기 형상 가동부로 되고,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 사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또한 그 상부가 탄성체를 거쳐서 상기 고정부와 맞물려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쐐기 형상체는,상기 탄성체와 상기 가동부, 및 상기 탄성체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각각 슬라이딩체를 거쳐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와 상기 가동부가맞물려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
- 제2 또는 3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체는,하중과 휨과의 관계가 소정 하중까지 휨이 적거나 또는 0이고, 상기 소정 하중 이상에서는 하중과 휨의 관계가 거의 비례관계에 있는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체는,초기압을 가한 기체를 봉입한 피스톤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0-00002793 | 2000-01-11 | ||
JP2000002793A JP2001192184A (ja) | 2000-01-11 | 2000-01-11 | エレベータ非常止め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8315A true KR20010108315A (ko) | 2001-12-07 |
KR100430116B1 KR100430116B1 (ko) | 2004-05-03 |
Family
ID=1853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1292A KR100430116B1 (ko) | 2000-01-11 | 2001-01-10 |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997287B2 (ko) |
EP (1) | EP1167269B1 (ko) |
JP (1) | JP2001192184A (ko) |
KR (1) | KR100430116B1 (ko) |
CN (1) | CN1167596C (ko) |
TW (1) | TW568878B (ko) |
WO (1) | WO200105139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70295B2 (ja) * | 2002-12-04 | 2008-10-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制動装置 |
KR100643526B1 (ko) | 2005-10-07 | 2006-11-10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엘리베이터용 캠형 비상정지장치의 슬라이딩 깁 모듈구조 |
EP1808398B1 (en) * | 2005-12-21 | 2016-05-04 | Inventio AG | Brake shoe for use in elevator safety gear |
US20070240941A1 (en) * | 2005-12-21 | 2007-10-18 | Daniel Fischer | Brake shoe for use in elevator safety gear |
KR100731198B1 (ko) | 2006-03-16 | 2007-06-22 | 세이프테크 (주) |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 |
KR100731196B1 (ko) | 2006-03-16 | 2007-06-22 | 세이프테크 (주) | 엘리베이터용 비상 제동장치 |
EP1870369B1 (de) * | 2006-06-19 | 2018-01-10 | Inventio AG | Verfahren zur Prüfung einer Aufzugsbremseinrichtung, ein Verfahren zur Inbetriebnahme einer Aufzugsanlage und eine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einer Inbetriebnahme |
SG138531A1 (en) * | 2006-06-19 | 2008-01-28 | Inventio Ag | Method of checking lift braking equipment, a method for placing a lift installation in operation and equipment for carrying out placing in operation |
BRPI0820992A2 (pt) * | 2007-12-14 | 2015-06-16 | Inventio Ag | Freio de ascensão para dois corpos de elevadores se movendo independentemente um do outro |
JP4646153B2 (ja) * | 2008-06-11 | 2011-03-09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
DE202009002076U1 (de) * | 2009-04-17 | 2009-06-25 | Rk Rose + Krieger Gmbh Verbindungs- Und Positioniersysteme | Linearachse |
EP2332872A1 (en) * | 2009-12-11 | 2011-06-15 | Inventio AG | Selective elevator braking during emergency stop |
CN102712448B (zh) | 2009-12-23 | 2015-01-07 | 奥的斯电梯公司 | 电梯制动装置 |
FI20100129A (fi) * | 2010-03-24 | 2011-09-25 | Kone Corp | Hissin johde ja hissi |
JPWO2012053073A1 (ja) * | 2010-10-20 | 2014-02-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US9321611B2 (en) | 2011-04-19 | 2016-04-26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brake having a brake release feature |
ES2584176T3 (es) | 2011-07-29 | 2016-09-26 | Otis Elevator Company | Freno de seguridad ajustable |
KR101827068B1 (ko) * | 2012-08-02 | 2018-02-07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
WO2014049387A1 (en) * | 2012-09-25 | 2014-04-03 | Otis Elevator Company | Compensatory measure for low overhead or low pit elevator |
JP2014065591A (ja) * | 2012-09-27 | 2014-04-17 | Hitachi Ltd | 非常止め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 |
JP5973316B2 (ja) * | 2012-10-23 | 2016-08-2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
JP2015009981A (ja) * | 2013-07-02 | 2015-01-19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ー |
JP6129662B2 (ja) * | 2013-07-03 | 2017-05-1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
DE102014004356A1 (de) * | 2014-03-27 | 2015-10-01 | Thyssenkrupp Elevator Ag | Bremseinrichtung für einen Fahrkorb einer Aufzuganlage |
JP2016064893A (ja) * | 2014-09-25 | 2016-04-2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
JP6395922B2 (ja) | 2015-03-18 | 2018-09-26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
US10377606B2 (en) | 2015-04-10 | 2019-08-13 | Otis Elevator Company | Elevator safety gear guiding assembly and method |
CN105035907B (zh) * | 2015-08-28 | 2018-10-23 | 杭州沪宁电梯部件股份有限公司 | 一种自动调整制动力的装置 |
WO2017094102A1 (ja) * | 2015-12-01 | 2017-06-08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装置 |
CN105923497B (zh) * | 2016-06-25 | 2018-06-15 | 潘国强 | 一种防爆电梯 |
CN105905740B (zh) * | 2016-06-25 | 2018-06-05 | 潘国强 | 一种电梯安全钳 |
CN106351988B (zh) * | 2016-11-03 | 2018-08-21 | 石家庄五龙制动器股份有限公司 | 夹绳器专用摩擦片 |
CN108147254B (zh) * | 2016-12-02 | 2020-12-01 | 奥的斯电梯公司 | 具有改进的压力分布的电梯系统悬挂构件端接部 |
US11111105B2 (en) * | 2017-01-26 | 2021-09-07 | Otis Elevator Company | Compliant shear layer for elevator termination |
US10597257B2 (en) * | 2017-03-06 | 2020-03-24 | Thyssenkrupp Elevator Ag | High speed bearing assembly for elevator safety ge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US10309475B2 (en) * | 2017-03-06 | 2019-06-04 | Thyssenkrupp Elevator Ag | Elevator brake pad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
CN110650913B (zh) * | 2017-04-04 | 2022-04-05 | Fl史密斯公司 | 矿井运输工具安全制动器 |
CN109279474B (zh) * | 2017-07-21 | 2021-05-07 | 奥的斯电梯公司 | 安全装置,电梯安全系统及电梯系统 |
KR102301990B1 (ko) | 2017-10-06 | 2021-09-15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엘리베이터의 비상 멈춤 장치 |
CN109693987B (zh) * | 2017-10-23 | 2020-12-22 |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 电梯双向安全制动装置 |
ES2922492T3 (es) * | 2017-12-07 | 2022-09-15 | Inventio Ag | Dispositivo paracaídas para un cuerpo móvil, instalación de ascensor con un dispositivo paracaídas y procedimiento para el desbloqueo de un dispositivo paracaídas |
EP3725725B1 (en) * | 2019-04-17 | 2022-02-09 | KONE Corporation | Rope gripping member of a hoisting apparatus, rope gripping device, terminal arrangement and hoisting apparatus |
US11215263B2 (en) * | 2019-07-15 | 2022-01-04 | Niraj Patel | Bidirectional wedge clamp |
DE112019007951T5 (de) | 2019-12-09 | 2022-09-22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Fahrstuhl und fangvorrichtung für diesen |
CN110963388B (zh) * | 2019-12-26 | 2022-01-11 | 上海汉神机电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电梯紧急制动的电梯安全钳 |
JP7001981B1 (ja) * | 2020-09-11 | 2022-01-20 | フジテック株式会社 | エレベータ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 |
WO2023127032A1 (ja) * | 2021-12-27 | 2023-07-0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つり合い錘及びエレベーター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5584C (ko) * | ||||
DE433217C (de) * | 1925-11-10 | 1926-08-25 | Willy Engelbert | Keilfangvorrichtung fuer Aufzuege |
DE498917C (de) * | 1928-09-20 | 1930-05-30 | Adolf Zaiser Maschf | Gleitfangvorrichtung fuer Aufzuege |
US2555041A (en) * | 1947-04-24 | 1951-05-29 | King Clifford John | Automatic safety device for mine cages |
SU659503A1 (ru) * | 1977-04-11 | 1979-04-30 |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СКБ-Мосстрой" |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орможени кабины лифта |
SU1121225A1 (ru) * | 1980-08-22 | 1984-10-30 | Ордена Октябрьской Революции Карачаровский 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 | Ловитель кабины лифта |
SU1039848A2 (ru) * | 1982-05-06 | 1983-09-07 | Централь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 Лифтам Всесоюзного Промышл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Союзлифтмаш" |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становки кабины лифта |
FI74686C (fi) | 1986-05-06 | 1988-03-10 | Kone Oy | Faongapparat, till exempel foer hisskorg eller motvikt. |
FI85129C (fi) | 1989-12-14 | 1992-03-10 | Kone Oy | Faongapparat. |
FI84253C (fi) * | 1989-12-18 | 1991-11-11 | Kone Oy | Faongsapparat foer en hiss. |
US5197571A (en) * | 1991-06-03 | 1993-03-30 | Burrell Michael P | Self centering elevator cable safety brake |
FI98295C (fi) * | 1991-11-18 | 1997-05-26 | Kone Oy | Tarraaja |
JPH05147856A (ja) * | 1991-11-27 | 1993-06-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 |
JPH061560A (ja) * | 1992-06-16 | 1994-01-11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及びその非常停止装置、及びそのアキュムレータ及び圧力流体ボンベ |
JPH06191759A (ja) * | 1992-12-25 | 1994-07-12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JP3090809B2 (ja) | 1993-03-05 | 2000-09-25 | 株式会社東芝 | 自走式エレベータ |
JPH0717676A (ja) | 1993-07-05 | 1995-01-20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JPH09229106A (ja) * | 1996-02-23 | 1997-09-02 | Ishikawajima Transport Mach Co Ltd | ケーブルカーの非常ブレーキ装置 |
ES2146167B1 (es) * | 1998-05-13 | 2001-04-01 | Orona S Coop | Freno de seguridad para una cabina de ascensor. |
JP4285834B2 (ja) | 1999-04-19 | 2009-06-24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
JP2001002342A (ja) | 1999-06-21 | 2001-01-09 | Toshiba Elevator Co Ltd | エレベーター用非常止め装置 |
-
2000
- 2000-01-11 JP JP2000002793A patent/JP2001192184A/ja active Pending
-
2001
- 2001-01-10 TW TW090100555A patent/TW56887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1-10 EP EP01900637A patent/EP1167269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1-01-10 WO PCT/JP2001/000059 patent/WO2001051399A1/ja active IP Right Grant
- 2001-01-10 US US09/890,407 patent/US699728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1-10 KR KR10-2001-7011292A patent/KR1004301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1-10 CN CNB018000193A patent/CN116759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364138A (zh) | 2002-08-14 |
WO2001051399A1 (fr) | 2001-07-19 |
US6997287B2 (en) | 2006-02-14 |
EP1167269A1 (en) | 2002-01-02 |
EP1167269A4 (en) | 2003-03-19 |
US20020134624A1 (en) | 2002-09-26 |
CN1167596C (zh) | 2004-09-22 |
KR100430116B1 (ko) | 2004-05-03 |
EP1167269B1 (en) | 2012-03-28 |
JP2001192184A (ja) | 2001-07-17 |
TW568878B (en) | 2004-0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30116B1 (ko) |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 | |
US5230406A (en) | Safety brake arrangement for elevators | |
JP4966740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
KR910004456A (ko) | 탑승케이지 진동방지용 가이드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장치 | |
US9764927B2 (en) | Elevator | |
JP6723472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
JP6485664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13151356A (ja) | エレベーター用非常止め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 |
JP2001002342A (ja) | エレベーター用非常止め装置 | |
JP4854954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
JPH1111818A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
KR101012254B1 (ko) |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 |
GB2296487A (en) | Elevator Apparatus | |
JP2707941B2 (ja) | エレベーターの補償ロープ張り車装置 | |
CN110171760B (zh) | 调速器张紧机构、调速器装置及电梯 | |
JP5186771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
JP4659193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
JP4610095B2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
JPH0248390A (ja) |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 |
JPH11222367A (ja) |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 |
JPH08282950A (ja) | 昇降装置の制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