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446B1 - 원편광판, 광대역 λ/4 판,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원편광판, 광대역 λ/4 판,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446B1
KR102571446B1 KR1020177007106A KR20177007106A KR102571446B1 KR 102571446 B1 KR102571446 B1 KR 102571446B1 KR 1020177007106 A KR1020177007106 A KR 1020177007106A KR 20177007106 A KR20177007106 A KR 20177007106A KR 102571446 B1 KR102571446 B1 KR 10257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lm
resin
stretching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968A (ko
Inventor
타쿠 하타노
카즈히로 오사토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attenuating light intensity, e.g. comprising rotatable 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Abstract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1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λ/2 판과,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λ/2 판의 파장 분산과 상기 λ/4 판의 파장 분산이 대략 일치하고 있고,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x,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nz 로 나타낸 경우,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일방의 굴절률이 nz ≥ nx > ny 이며,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타방의 굴절률이 nx > ny ≥ nz 인, 원편광판.

Description

원편광판, 광대역 λ/4 판,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CIRCULAR POLARIZING PLATE, WIDEBAND λ/4 PL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원편광판 및 광대역 λ/4 판, 그리고, 그것을 구비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이하, 임의로 「유기 EL 표시장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는, 표시면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를 저감하기 위해, 원편광판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원편광판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편광 필름 및 λ/4 판을 조합한 필름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λ/4 판은, 실제로는, 특정의 좁은 파장 범위의 광에서밖에 대략 1/4 파장의 위상차를 달성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 때문에, 원편광판에 의해 특정의 좁은 파장 범위의 외광의 반사는 저감할 수 있지만, 그 이외의 외광의 반사를 저감하는 것은 어려웠다.
이에 대해, 근년, λ/4 판과 λ/2 판을 조합한 광대역 λ/4 판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 6 참조).
국제 공개 제 2003/1026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840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841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00483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01493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95041호
특허문헌 1 ~ 6 에 기재된 것 같은 광대역 λ/4 판에 의하면, 넓은 파장 범위의 광으로 대략 1/4 파장의 위상차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를 저감할 수 있는 원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편광 필름과 광대역 λ/4 판을 조합한 원편광판에서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 λ/2 판의 지상축, 및, λ/4 판의 지상축이라는 광축의 방향을, 이들의 광축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정면 방향 이외의 경사 방향에서 원편광판을 보았을 때, 상기 광축이 이루는 외관상의 각도가, 소정의 각도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원편광판은, 정면 방향에 있어서는 외광의 반사를 저감할 수 있지만, 정면 방향 이외의 경사 방향에 있어서는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광대역 λ/4 판을 구비하는 원편광판은, λ/4 판 뿐만이 아니라 λ/2 판도 구비하므로, 광축의 수가 종래의 원편광판보다도 많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광대역 λ/4 판을 구비하는 원편광판에서는, 외관상의 광축의 차이가, λ/2 판을 구비하지 않은 종래의 원편광판보다도 커져,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를 저감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원편광판;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원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는 광대역 λ/4 판; 그리고, 상기의 원편광판 또는 광대역 λ/4 판을 구비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했다. 그 결과, 편광 필름, λ/2 판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에 있어서, 하기 (1) ~ (3)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1)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λ/2 판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게 하고, 또한,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λ/4 판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를 소정의 각도에 들어가게 한다.
(2) λ/2 판의 파장 분산과 λ/4 판의 파장 분산을 대략 일치시킨다.
(3) λ/2 판 및 λ/4 판의 일방의 굴절률을 nz ≥ nx > ny 로 하고, 또한, λ/2 판 및 λ/4 판의 타방의 굴절률을 nx > ny ≥ nz 로 한다.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1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λ/2 판과,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λ/2 판의 파장 분산과 상기 λ/4 판의 파장 분산이 대략 일치하고 있고,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x,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nz 로 나타낸 경우,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일방의 굴절률이 nz ≥ nx > ny 이며,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타방의 굴절률이 nx > ny ≥ nz 인, 원편광판.
파장 40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2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h(400),
파장 55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2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h(550),
파장 40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4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q(400), 및
파장 55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4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q(550)로 했을 때,
하기 식 (A):
|Reh(400)/Reh(550) - Req(400)/Req(550)| < 1.00
을 만족하는, 〔1〕에 기재된 원편광판.
〔3〕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일방의 NZ 계수가, -0.5 ~ 0.0 이고,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타방의 NZ 계수가, 1.0 ~ 1.3 인, 〔1〕또는〔2〕에 기재된 원편광판.
〔4〕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한쪽이,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신디오택틱 구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편광판.
〔5〕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와 상기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비가, 30/70 보다 크고, 40/60 보다 작은, 〔4〕에 기재된 원편광판.
〔6〕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한쪽이,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편광판.
〔7〕 상기 원편광판이, 장척의 필름이고,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이, 상기 원편광판의 길이 방향에 있는,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편광판.
〔8〕 기준 방향에 대해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λ/2 판과,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해 1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λ/4 판을 구비하고,
상기 λ/2 판의 파장 분산과 상기 λ/4 판의 파장 분산이 대략 일치하고 있고,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x,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nz 로 나타낸 경우,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일방의 굴절률이 nz ≥ nx > ny 이며,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타방의 굴절률이 nx > ny ≥ nz 인, 광대역 λ/4 판.
〔9〕 상기 광대역 λ/4 판이, 장척의 필름이고,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이, 경사 연신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8〕에 기재된 광대역 λ/4 판.
〔10〕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편광판, 또는, 〔8〕 혹은 〔9〕 에 기재된 광대역 λ/4 판을 구비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원편광판;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원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는 광대역 λ/4 판; 그리고, 상기 원편광판 또는 광대역 λ/4 판을 구비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원편광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형태 및 예시물을 나타내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낸 실시형태 및 예시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장척」의 필름이란, 폭에 대해, 5배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필름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10배 혹은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구체적으로는 롤상으로 권취되어 보관 또는 운반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필름을 말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필름의 굴절률 nx 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그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이 굴절률 nx 는, 통상, 필름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면내 방향)으로서 최대의 굴절률을 부여하는 방향의 굴절률이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필름의 굴절률 ny 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그 필름의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이 굴절률 ny 는, 통상, 필름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방향(면내 방향)으로서 상기 nx 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필름의 굴절률 nz 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그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이들 굴절률 nx, ny 및 nz 의 측정 파장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590nm이다.
필름의 면내 위상차 Re 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Re=(nx-ny)×d 로 나타내어지는 값이다. 또, 필름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 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Rth={(nx+ny)/2-nz}×d 로 나타내어지는 값이다. 또한, 필름의 NZ 계수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nx-nz)/(nx-ny) 로 나타내어지는 값이다. 여기서, d 는, 필름의 두께를 나타낸다. 측정 파장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590nm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고유 복굴절값이 양이라는 것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연신 방향의 굴절률이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보다도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 고유 복굴절값이 음이라는 것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연신 방향의 굴절률이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보다도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고유 복굴절값은 유전율 분포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 양방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장척의 필름의 경사 방향이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그 필름의 면내 방향으로서, 그 필름의 폭 방향에 평행도 아니고 수직도 아닌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필름의 정면 방향이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당해 필름의 주면의 법선 방향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면의 극각 0°또한 방위각 0°의 방향을 가리킨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필름의 경사 방향이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당해 필름의 주면에 평행도 수직도 아닌 방향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면의 극각이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범위의 방향을 가리킨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요소의 방향이 「평행」, 「수직」 및 「직교」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 예를 들어 ±5°의 범위 내에서의 오차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장척의 필름의 길이 방향은, 통상은 제조 라인에 있어서의 필름의 흐름 방향과 평행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편광판」, 「λ/2 판」 및 「λ/4 판」 이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강직한 부재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어 수지제의 필름과 같이 가요성을 가지는 부재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복수의 필름을 구비하는 부재에 있어서의 각 필름의 광축(흡수축 및 지상축 등)이 이루는 각도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상기 필름을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각도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필름의 지상축 및 진상축이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당해 필름의 면내에 있어서의 지상축 및 진상축을 나타낸다.
[1. 원편광판의 층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원편광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에서는, λ/2 판(120)의 표면에, 편광 필름(110)의 흡수축(111)을 투영한 축(112)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또, 도 1 에서는, λ/4 판(130)의 표면에, 편광 필름(110)의 흡수축(111)을 투영한 축(113)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원편광판(100)은, 편광 필름(110)과 λ/2 판(120)과 λ/4 판(130)을, 당해 원편광판(10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구비한다.
편광 필름(110)은, 흡수축(111)을 가지는 편광판으로, 흡수축(111)과 평행한 진동 방향을 가지는 직선 편광을 흡수하고, 이것 이외의 편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직선 편광의 진동 방향이란, 직선 편광의 전장(電場)의 진동 방향을 의미한다.
λ/2 판(120)은,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는 광학 부재이다. 이 λ/2 판(120)은, 편광 필름(110)의 흡수축(111)에 대해 소정의 각도(θh)를 이루는 방향으로, 당해 λ/2 판(120)의 면내 방향에 평행한 지상축(121)을 가진다.
λ/4 판(130)은, λ/2 판(120)과는 상이한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는 광학 부재이다. 이 λ/4 판(130)은, 편광 필름(110)의 흡수축(111)에 대해 소정의 각도(θq)를 이루는 방향으로, 당해 λ/4 판(130)의 면내 방향에 평행한 지상축(131)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원편광판(100)에서는, λ/2 판(120) 및 λ/4 판(130)을 포함하는 층 부분이,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당해 층 부분을 투과하는 광에 그 광의 파장의 대략 1/4 파장의 면내 위상차를 부여할 수 있는 광대역 λ/4 판(140)이 된다. 그 때문에, 원편광판(100)은,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우원편광 및 좌원편광 중 일방의 광을 흡수하고, 나머지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원편광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원편광판(100)은, 매엽(枚葉)의 필름이어도 되나, 제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척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편광판(100)이 장척의 필름인 경우, 편광 필름(110)의 흡수축(111)은, 통상, 당해 원편광판(100)의 길이 방향에 평행이다.
[2. 편광 필름]
편광 필름은, 통상은 편광자층을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편광자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층을 구비한다.
편광자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적절한 비닐알코올계 중합체의 필름에, 요오드 및 이색성(二色性)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연신 처리, 가교 처리 등의 적절한 처리를 적절한 순서 및 방식으로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편광자 층을 제조하기 위한 연신 처리에서는, 연신 전의 장척의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므로, 얻어지는 편광자층에 있어서는 당해 편광자층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흡수축이 발현할 수 있다. 이 편광자층은, 흡수축과 평행한 진동 방향을 가지는 직선 편광을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편광도가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층의 두께는, 5μm ~ 80μm가 일반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자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층으로서는, 임의의 투명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등이 우수한 수지의 필름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수지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 에테르 술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고리형 올레핀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복굴절이 작은 점에서 아세테이트 수지, 고리형 올레핀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고, 투명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고리형 올레핀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으로서는, 원편광판의 형상에 맞추어, 매엽의 편광 필름 및 장척의 편광 필름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장척의 편광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그 편광 필름의 흡수축은, 당해 편광 필름의 길이 방향에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편광 필름은, 당해 편광 필름을 구비하는 장척의 원편광판의 길이 방향으로 흡수축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통상은, 장척의 편광 필름, 장척의 λ/2 판 및 장척의 λ/4 판을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첩합(貼合)하는 것에 의해 장척의 원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원편광판을 롤투롤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원편광판의 제조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자층과 보호 필름층을 첩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첩합시에는, 필요에 따라, 접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또, 특히 편광 필름을 장척의 필름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장척의 편광자층과 장척의 보호 필름층을, 그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롤투롤로 첩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매엽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장척의 편광 필름을 소정의 형상으로 컷하는 것에 의해, 매엽의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3. λ/2 판]
λ/2 판은, 측정 파장 590nm에 있어서, 통상 240nm 이상 통상 300nm 이하의 면내 위상차를 가지는 광학 부재이다. λ/2 판이 이와 같은 면내 위상차를 가지는 것에 의해, λ/2 판 및 λ/4 판을 조합하여 광대역 λ/4 판을 실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우원편광 및 좌원편광의 일방의 광을 흡수하고, 나머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 의해,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의 양방에 있어서, 넓은 파장 범위의 광의 반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중에서도,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를 특히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측정 파장 590nm에 있어서의 λ/2 판의 면내 위상차는, 바람직하게는 250n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8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65nm 이하이다.
λ/2 판은, λ/4 판의 파장 분산과 대략 일치하는 파장 분산을 가진다. 여기서, 어느 위상차 필름의 파장 분산이란, 파장 400nm에서의 면내 위상차를 파장 550nm에서의 면내 위상차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λ/2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h(400),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λ/2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h(550),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λ/4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q(400), 및,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λ/4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q(550) 로 했을 때, λ/2 판의 파장 분산은 「Reh(400)/Reh(550)」 로 나타내어지고, λ/4 판의 파장 분산은 「Req(400)/Req(550)」 로 나타내어진다. 또, λ/2 판의 파장 분산과 λ/4 판의 파장 분산이 대략 일치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A):
|Reh(400)/Reh(550)-Req(400)/Req(550)| < 1.00
을 만족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Reh(400)/Reh(550)-Req(400)/Req(550)| 은, 바람직하게는 0.6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6 이하이다. 이와 같이 대략 일치하는 파장 분산을 가지는 λ/2 판과 λ/4 판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원편광판이 정면 방향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서는, λ/2 판 및 λ/4 판의 일방의 굴절률이 nz ≥ nx > ny 이며, λ/2 판 및 λ/4 판의 타방의 굴절률이 nx > ny ≥ nz 이다. 따라서, λ/4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가 nz ≥ nx > ny 를 만족하는 경우, λ/2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는 nx > ny ≥ nz 를 만족한다. 또, λ/4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가 nx > ny ≥ nz 를 만족하는 경우, λ/2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는 nz ≥ nx > ny 를 만족한다. 이에 의해, 경사 방향에서 원편광판을 보았을 때의 λ/2 판의 지상축 및 λ/4 판의 지상축의 외관상의 각도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이,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서는, λ/2 판 및 λ/4 판의 일방의 NZ 계수가 -0.5 ~ 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타방의 NZ 계수가 1.0 ~ 1.3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λ/2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가 nx > ny ≥ nz 를 만족하는 경우, λ/2 판의 NZ 계수(NZh)는,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1 이하이다. 또, λ/2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가 nz ≥ nx > ny 를 만족하는 경우, λ/2 판의 NZ 계수(NZh)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다. 이에 의해, 경사 방향에서 원편광판을 보았을 때의 λ/2 판의 지상축 및 λ/4 판의 지상축의 외관상의 각도의 차이를 보다 적절히 보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이,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를 특히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λ/2 판은,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θh)를 이루는 방향으로, 당해 λ/2 판의 지상축을 가진다. 이 때, 상기의 각도(θh)의 범위는, 통상 15°±5°이다. λ/2 판의 지상축이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θh)를 상기 범위에 들어가게 하는 것에 의해, λ/2 판 및 λ/4 판을 조합하여 광대역 λ/4 판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의 양방에서,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 의해 넓은 파장 범위의 광의 반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λ/2 판의 지상축이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θh)는, 바람직하게는 15°±3°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이다. 이에 의해, 특히 경사 방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 의한 외광의 반사 저감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λ/2 판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광선 투과율은, JIS K0115 에 준거하여, 분광광도계(닛폰분코사제, 자외가시근적외 분광광도계「V-570」)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λ/2 판의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며, 이상적으로는 0% 이다. 여기서, 헤이즈는, JIS K7361-1997 에 준거하여, 닛폰덴쇼쿠고교사제「탁도계 NDH-300A」를 사용하여, 5 개소 측정하여, 그로부터 구한 평균값을 채용할 수 있다.
λ/2 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μ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μm 이하이다. 이에 의해, λ/2 판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가 있다.
[4. λ/4 판]
λ/4 판은, 측정 파장 590nm에 있어서, 통상 110nm 이상 통상 154nm 이하의 면내 위상차를 가지는 광학 부재이다. λ/4 판이 이와 같은 면내 위상차를 가지는 것에 의해, λ/2 판 및 λ/4 판을 조합하여 광대역 λ/4 판을 실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우원편광 및 좌원편광의 일방의 광을 흡수하고, 나머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 의해,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의 양방에 있어서, 넓은 파장 범위의 광의 반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중에서도,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를 특히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측정 파장 590nm에 있어서의 λ/4 판의 면내 위상차는, 바람직하게는 118n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38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8n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λ/2 판 및 λ/4 판의 일방의 굴절률이 nz ≥ nx > ny 이며, λ/2 판 및 λ/4 판의 타방의 굴절률이 nx > ny ≥ nz 이다. 따라서, λ/2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가 nz ≥ nx > ny 를 만족하는 경우, λ/4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는 nx > ny ≥ nz 를 만족한다. 또, λ/2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가 nx > ny ≥ nz 를 만족하는 경우, λ/4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는 nz ≥ nx > ny 를 만족한다. 이에 의해, 경사 방향에서 원편광판을 보았을 때의 λ/2 판의 지상축 및 λ/4 판의 지상축의 외관상의 각도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이,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λ/2 판 및 λ/4 판의 일방의 NZ 계수가 -0.5 ~ 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타방의 NZ 계수가 1.0 ~ 1.3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λ/4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가 nx > ny ≥ nz 를 만족하는 경우, λ/4 판의 NZ 계수(NZh)는,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1 이하이다. 또, λ/4 판의 굴절률 nx, ny 및 nz 가 nz ≥ nx > ny 를 만족하는 경우, λ/4 판의 NZ 계수(NZh)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0 이하이다. 이에 의해, 경사 방향에서 원편광판을 보았을 때의 λ/2 판의 지상축 및 λ/4 판의 지상축의 외관상의 각도의 차이를 보다 적절히 보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이,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를 특히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λ/4 판은,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θq)를 이루는 방향으로, 당해 λ/4 판의 지상축을 가진다. 이 때, 상기의 각도(θq)의 범위는, 통상 75°±5°이다. λ/4 판의 지상축이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θq)를 상기 범위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λ/2 판 및 λ/4 판을 조합하여 광대역 λ/4 판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의 양방에서,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 의해 넓은 파장 범위의 광의 반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λ/4 판의 지상축이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θq)는, 바람직하게는 75°±3°보다 바람직하게는 75°±1°이다. 이에 의해, 특히 경사 방향에 있어서,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 의한 외광의 반사 저감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여기서, λ/4 판의 지상축이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각도(θq)를 이루는 방향은, λ/2 판의 지상축이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각도(θh)를 이루는 방향과 같다. 따라서, 예를 들어, 원편광판을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시계방향으로 각도(θh)의 각도를 이루는 때에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은 시계방향으로 각도(θq)의 각도를 이룬다. 또, 예를 들어, 원편광판을 두께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방향으로 각도(θh)의 각도를 이루는 때에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은 반시계방향으로 각도(θq)의 각도를 이룬다.
λ/4 판의 전체 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λ/4 판의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며, 이상적으로는 0% 이다.
λ/4 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0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5μ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μ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0μm 이하이다. λ/4 판의 두께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함으로써, 원하는 위상차의 발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한치 이하로 함으로써, 원편광판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다.
[5. λ/2 판 및 λ/4 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위상차 필름]
상술한 광학 물성을 가지는 λ/2 판 및 λ/4 판으로서는, 통상, 수지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한다. 그 중에서도, 대면적화가 용이하고 효율적인 제조가 가능한 점에서, λ/2 판 및 λ/4 판으로서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으로서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신 전 필름을 연신해 얻어지는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 λ/2 판 및 λ/4 판은, 1층만 구비하는 단층 구조의 필름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층을 구비하는 복층 구조의 필름이어도 된다.
λ/2 판 및 λ/4 판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이들 수지는, 고유 복굴절값이 양인 수지여도 되고, 고유 복굴절값이 음인 수지여도 된다.
고유 복굴절값이 양인 수지는, 통상, 고유 복굴절값이 양인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 중합체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의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중합체,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아릴설폰; 폴리염화비닐; 노르보르넨 중합체 등의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 봉상 액정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고유 복굴절값이 음인 수지는, 통상, 고유 복굴절값이 음인 중합체를 포함한다. 이 중합체의 예를 들면, 스티렌류 화합물의 단독 중합체, 및 스티렌류 화합물과 임의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이들의 다원 공중합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스티렌류 화합물에 공중합시킬 수 있는 상기 임의의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무수 말레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상기의 중합체는,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 상기 중합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고유 복굴절값이 양인 중합체와 고유 복굴절값이 음인 중합체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λ/2 판 및 λ/4 판의 한쪽으로서 고유 복굴절값이 양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고, λ/2 판 및 λ/4 판의 다른 한쪽으로서 고유 복굴절값이 음인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λ/2 판 및 λ/4 판의 한쪽으로서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λ/2 판 및 λ/4 판의 다른 한쪽으로서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신디오택틱 구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임의로 「블렌드 수지 p1」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임의로 「고리형 올레핀 수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는, 파장 분산이 작다. 또, 블렌드 수지 p1 은, 폴리페닐렌에테르와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의 혼합 비율에 의해, 파장 분산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λ/2 판 및 λ/4 판의 한쪽으로서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고, λ/2 판 및 λ/4 판의 다른 한쪽으로서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λ/2 판 및 λ/4 판의 양자의 파장 분산을 용이하게 대략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편광판의 광학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5.1.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
블렌드 수지 p1 은, 당해 블렌드 수지 p1 이 포함하는 중합체의 종류 및 양에 따라, 그 고유 복굴절값의 부호(정 및 부)를 조정할 수 있다. 통상, 블렌드 수지 p1 로서 부의 고유 복굴절값을 가지는 것을 사용한다.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은, λ/2 판으로서 사용해도 되나, λ/4 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의 굴절률은, nz ≥ nx > ny 를 만족하고 있어도 되고, nx > ny ≥ nz 를 만족하고 있어도 된다. 블렌드 수지 p1 에서는, 폴리페닐렌에테르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양(量) 비를 조정함으로써, 당해 블렌드 수지 p1 의 파장 분산을 높은 자유도로 조정할 수 있다.
폴리페닐렌에테르는, 통상, 정의 고유 복굴절값을 가지는 중합체이다. 이 폴리페닐렌에테르는, 페닐에테르 또는 페닐에테르 유도체를 중합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통상은, 페닐렌에테르 골격을 가지는 구조 단위를 주사슬에 가지는 중합체를, 폴리페닐렌에테르로서 사용한다. 이하, 「페닐렌에테르 골격을 가지는 구조 단위」를, 임의로 「페닐렌에테르 단위」라고 한다. 단, 페닐렌에테르 단위에 있어서의 벤젠고리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페닐렌에테르로서는, 하기 식 (I) 로 나타내어지는 페닐렌에테르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
식 (I) 에 있어서, Q1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예를 들어 탄소수 7개 이하의 알킬기), 페닐기, 할로알킬기, 아미노알킬기, 탄화수소옥시기, 또는, 할로탄화수소옥시기(단, 그 할로겐 원자와 산소 원자를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가 분리하고 있는 기)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Q1로서는 알킬기 및 페닐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의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I) 에 있어서, Q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저급 알킬기(예를 들어 탄소수 7개 이하의 알킬기), 페닐기, 할로알킬기, 탄화수소옥시기, 또는, 할로탄화수소옥시기(단, 그 할로겐 원자와 산소 원자를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가 분리하고 있는 기)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Q2로서는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폴리페닐렌에테르는, 1종류의 구조 단위를 가지는 단독 중합체(호모폴리머)이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의 구조 단위를 가지는 공중합체(코폴리머)이어도 된다.
식 (I) 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단독 중합체인 경우, 당해 단독 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를 들면, 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단위(「-(C6H2(CH3)2-O-)-」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를 가지는 단독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식 (I) 에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공중합체인 경우, 당해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를 들면, 2,6-디메틸-1,4-페닐렌에테르 단위와 2,3,6-트리메틸-1,4-페닐렌에테르 단위(「-(C6H(CH3)3-O-)-」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단위)를 조합하여 갖는 랜덤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 폴리페닐렌에테르는, 페닐렌에테르 단위 이외의 임의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폴리페닐렌에테르는, 페닐렌에테르 단위와 임의의 구조 단위를 가지는 공중합체가 된다. 단, 폴리페닐렌에테르에 있어서의 임의의 구조 단위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정도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페닐렌에테르에 있어서의 페닐렌에테르 단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이다.
폴리페닐렌에테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페닐렌에테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5,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5,0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0,000 이하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함으로써,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상한치 이하로 함으로써, 폴리페닐렌에테르의 분산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폴리페닐렌에테르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를 높은 레벨로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1,2,4-트리클로로벤젠을 용매로 하고 온도 135℃ 에서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값을 채용할 수 있다.
폴리페닐렌에테르의 제조 방법에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1-302529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신디오택틱 구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는, 통상, 부의 고유 복굴절값을 가지는 중합체이다. 이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는, 스티렌류 화합물을 중합해 형성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이하, 「스티렌류 화합물을 중합해 형성되는 구조 단위」를, 임의로 「스티렌류 단위」라고 한다. 스티렌류 화합물의 예로서는, 스티렌 및 스티렌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스티렌 유도체의 예로서는, 스티렌의 벤젠고리 또는 α위치에 치환기가 치환된 것을 들 수 있다.
스티렌류 화합물의 구체예를 들면, 스티렌; 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등의 할로겐화 스티렌; 클로로 메틸스티렌 등의 할로겐 치환 알킬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등의 알콕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류 화합물로서는, 치환기를 가지지 않은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또, 스티렌류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블렌드 수지 p1 이 포함하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로서는, 신디오택틱 구조를 가지는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폴리스티렌계 중합체가 신디오택틱 구조를 가진다는 것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입체화학 구조가 신디오택틱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또, 신디오택틱 구조란, 탄소-탄소 결합으로 형성되는 주사슬에 대해, 측사슬인 페닐기가, 피셔 투영식에 있어서, 교대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입체 구조를 말한다.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택티시티(tacticity: 입체 규칙성)는, 동위체 탄소에 의한 핵자기 공명법(13C-NMR법)에 따라 정량될 수 있다. 13C-NMR법에 의해 측정되는 택티시티는, 연속하는 복수개의 구조 단위의 존재 비율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연속하는 구조 단위가 2개인 경우에는 다이아드, 3개인 경우에는 트리아드, 5개인 경우에는 펜타드가 된다. 이 경우, 상기 신디오택틱 구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란, 라세미다이아드로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의 신디오택티시티를 가지는 것, 혹은, 라세미펜타드로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의 신디오택티시티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예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알킬스티렌), 폴리(할로겐화 스티렌), 폴리(할로겐화 알킬스티렌), 폴리(알콕시스티렌), 폴리(비닐벤조산에스테르), 및 이들의 수소화 중합체, 그리고 이들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알킬스티렌)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스티렌), 폴리(에틸스티렌), 폴리(이소필스티렌), 폴리(t-부틸스티렌), 폴리(페닐스티렌), 폴리(비닐나프탈렌), 폴리(비닐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할로겐화 스티렌)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클로로스티렌), 폴리(브로모스티렌), 폴리(플루오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할로겐화 알킬스티렌)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클로로 메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알콕시스티렌)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메톡시스티렌), 폴리(에톡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바람직한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m-메틸스티렌), 폴리(p-t-부틸스티렌), 폴리(p-클로로스티렌), 폴리(m-클로로스티렌), 폴리(p-플루오로스티렌), 수소화 폴리스티렌, 및 이들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는, 1종류의 구조 단위만을 가지는 단독 중합체여도 되고, 2종류 이상의 구조 단위를 가지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 폴리스티렌계 중합체가 공중합체인 경우, 2종류 이상의 스티렌류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되고, 스티렌류 단위와 스티렌류 단위 이외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단, 폴리스티렌계 중합체가 스티렌류 단위와 스티렌류 단위 이외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경우,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중의 스티렌류 단위 이외의 구조 단위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정도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에 있어서의 스티렌류 단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이다. 통상은, 스티렌류 단위의 양을 이와 같은 범위로 하는 것으로,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에 원하는 위상차를 용이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통상 13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4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0 이상이며, 통상 30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7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00 이하이다. 이러한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 하면,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높이고,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내열성을 안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이와 같이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높이는 것에 의해, 블렌드 수지 p1 의 유리전이온도를 효과적으로 높이고, 나아가서는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내열성을 안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 λ/2 판 또는 λ/4 판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를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하는 관점에서,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신디오택틱 구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는, 예를 들어,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 중 또는 용매의 부존재 하에서, 티탄 화합물 및 물과 트리알킬 알루미늄의 축합 생성물을 촉매로서, 스티렌류 화합물을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2-187708호 참조). 또, 폴리(할로겐화 알킬스티렌)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146912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이들의 수소화 중합체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178505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블렌드 수지 p1에 포함되는 폴리페닐렌에테르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는, (i) 서로 파장 분산이 상이하고, (ii) 고유 복굴절값의 부호가 상이하고, 또한, (iii) 상용(相溶) 가능하다. 그 때문에, 폴리페닐렌에테르의 양과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양의 중량비를 조정함으로써, 그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파장 분산을 조정할 수 있다.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의 양방에 있어서 원편광판이 외광의 반사를 저감하는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폴리페닐렌에테르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비(「폴리페닐렌에테르의 양」/「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양」)는, 소정의 범위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량비의 구체적인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30/70 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2/68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4/66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40/60 보다 작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6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7/63 이하이다. 본 발명의 원편광판이 λ/2 판 및 λ/4 판으로서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과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을 조합하여 구비하는 경우에는, 중량비(「폴리페닐렌에테르의 양」/「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양」)를 상기 범위에 들어가게 하는 것으로, 외광의 반사를 특히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파장 분산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는, 하기와 같다고 추찰된다. 단, 본 발명은 하기의 추측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페닐렌에테르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는, 상용 가능하다. 그 때문에,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연신했을 경우, 폴리페닐렌에테르의 배향에 의해 발현하는 위상차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배향에 의해 발현하는 위상차가 합성되어,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전체로서의 위상차가 생긴다. 여기서, 폴리페닐렌에테르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는, 그 고유 복굴절값의 부호가 상이하다. 그 때문에,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전체로서의 위상차 값은, 폴리페닐렌에테르의 배향에 의해 발현하는 위상차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배향에 의해 발현하는 위상차의 차로서 나타난다. 또,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연신했을 경우에 발현하는 위상차의 파장 분산에 대해서는, 폴리페닐렌에테르의 파장 분산과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파장 분산의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페닐렌에테르의 파장 분산이, 통상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파장 분산보다 크다. 그 때문에, 폴리페닐렌에테르의 양과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양의 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폴리페닐렌에테르의 배향에 의해 발현하는 위상차의 크기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배향에 의해 발현하는 위상차의 크기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전체로서 발현하는 위상차 값을, 파장마다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에 있어서 폴리페닐렌에테르와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비를 조정함으로써,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파장 분산을 조정할 수 있다고 추찰된다(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26996호 참조).
블렌드 수지 p1 에 있어서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합계가 차지하는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 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 1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 100중량%이다.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합계의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절한 광학 특성을 발현할 수 있다.
블렌드 수지 p1 은,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이외의 임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렌드 수지 p1 은, 상술한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이외에도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이외의 중합체의 양은,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합계량을 100 중량부로 하여, 15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중량부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블렌드 수지 p1 은, 배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배합제의 예를 들면, 층상 결정화합물; 미립자; 산화 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내후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근적외선 흡수제 등의 안정제; 가소제; 염료 및 안료 등의 착색제;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배합제는, 1종류를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배합제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전체 광선 투과율을 85%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이다.
상술한 중에서도, 배합제로서는,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시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계 화합물,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아크릴로니트릴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화합물, 니켈착염계 화합물, 무기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서는,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4-디-tert-부틸-6-(5-클로로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을 들 수 있고, 특히 호적한 것으로는,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을 들 수 있다.
블렌드 수지 p1 의 유리전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8℃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블렌드 수지 p1은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를 조합하여 포함하므로,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만을 포함하는 수지와 비교해, 유리전이온도를 높일 수가 있다. 유리전이온도가 이와 같이 높은 것에 의해, 블렌드 수지 p1 의 배향 완화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 뛰어난 λ/2 판 또는 λ/4 판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블렌드 수지 p1 의 유리전이온도의 상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200℃ 이하이다.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은,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에 조합하여, 임의의 층을 구비할 수 있다.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에 조합하는 임의의 층으로서는, 임의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은, (메트)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구비할 수 있다.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은 기계적 강도가 낮은 경향이 있지만, (메트)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므로,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과 보호층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성형시 및 연신시에 있어서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보호층에 의해, 통상은,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의 성분의 블리드아웃(bleed out)을 억제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메트)아크릴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 중합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과 알칸올 또는 시클로알칸올로부터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과 알칸올로부터 유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알칸올 또는 시클로알칸올의 1 분자당의 탄소 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1 ~ 15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8개이다. 알칸올 또는 시클로알칸올의 1 분자당의 탄소 원자수를 상기와 같이 작게 함으로써, 필름의 파단시 신장을 크게 할 수 있다.
아크릴산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 n-프로필, 아크릴산 i-프로필,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i-부틸, 아크릴산 sec-부틸, 아크릴산 t-부틸, 아크릴산 n-헥실, 아크릴산 시클로헥실, 아크릴산 n-옥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n-데실, 아크릴산 n-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또,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 n-프로필, 메타크릴산 i-프로필,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i-부틸, 메타크릴산 sec-부틸, 메타크릴산 t-부틸, 메타크릴산 n-헥실, 메타크릴산 n-옥틸,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n-데실, 메타크릴산 n-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수산기, 할로겐 원자 등의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치환기를 가지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예로서는,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크릴산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 중합체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를 중합하여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구조 단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만의 중합체여도 되고, (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와 이에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의 공중합체여도 된다. 임의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카르복실산에스테르 단량체, 그리고, α,β-에틸렌성 불포화카르복실산 단량체, 알케닐방향족 단량체, 공액 디엔 단량체, 비공액 디엔 단량체, 카르복실산 불포화알코올에스테르, 및 올레핀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이외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카르복실산에스테르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푸마르산디메틸, 푸마르산디에틸, 말레산디메틸, 말레산디에틸, 이타콘산디메틸 등을 들 수 있다.
α,β-에틸렌성 불포화카르복실산 단량체는, 모노카르복실산, 다가 카르복실산, 다가 카르복실산의 부분 에스테르 및 다가 카르복실산 무수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 구체예로는,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말레산 모노에틸, 푸마르산 모노 n-부틸,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방향족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메틸 α-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및 디비닐 벤젠 등을 들 수 있다.
공액 디엔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1,3-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2-클로로-1,3-부타디엔, 시클로펜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비공액 디엔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1, 4-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에틸리덴 노르보르넨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산 불포화알코올에스테르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아세트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펜텐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 유도체에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메트)아크릴 중합체 중, 폴리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 수지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 중합체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 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 1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 100중량%이다. (메트)아크릴 중합체의 양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보호층의 기계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가 있다.
(메트)아크릴 수지는, 고무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고무 입자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메트)아크릴 수지의 가요성을 높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고무 입자에 의해 보호층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당해 보호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므로, 통상은, 보호층의 표면의 미끄러짐성을 높일 수가 있다.
고무 입자를 형성하는 고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 고무, 부타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고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 고무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량체 단위의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 고무 및 부타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 고무가 바람직하다.
또, 고무 입자에는, 2종류 이상의 고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그 고무는,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어도 되지만, 층상으로 된 것이어도 된다. 고무가 층상으로 된 고무 입자의 예로서는, 고무 탄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코어와 경질 수지층(쉘)이, 코어-쉘 구조로 층을 형성하고 있는 입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코어에 있어서, 고무 탄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스티렌을 그래프트화한 고무 탄성 성분을 들 수 있다. 또, 경질 수지층(쉘)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일방 또는 양방과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경질 수지층을 들 수 있다.
고무 입자는, 수평균 입자경이, 0.05μ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μ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 0.3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μ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평균 입자경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보호층의 표면에 적당한 요철을 형성해, 위상차 필름의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무 입자의 양은, (메트)아크릴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이다. 고무 입자의 양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의 내충격성을 높이고 핸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트)아크릴 수지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한, (메트)아크릴 중합체 및 고무 입자 이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 중합체 이외에 임의의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단, 본 발명의 이점을 현저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는, 임의의 중합체의 양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중합체의 구체적인 양은,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5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중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임의의 중합체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 수지는, 예를 들어 배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배합제의 예로서는, 블렌드 수지 p1 이 포함할 수 있는 배합제와 동일한 예를 들 수 있다. 배합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배합제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4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 이하이다. (메트)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지 펠릿을 고온에서 건조할 때의 블로킹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수분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상한치 이하로 함으로써, 용융 성형법으로 성형할 때의 온도를 낮게 할 수 있어, 위상차 필름에 이물질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λ/2 판 또는 λ/4 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은, 예를 들어, (a)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을 준비하는 제 1 공정과, (b) 준비된 연신 전 필름을 연신해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에 원하는 위상차를 발현시키는 제 2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a) 제 1 공정에서는,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을 준비한다. 연신 전 필름은, 예를 들어, 용융 성형법 또는 용액 유연 법 등의 필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용융 성형법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압출 성형법, 프레스 성형법, 인플레이션 성형법, 사출 성형법, 블로우 성형법, 및 연신 성형법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도, 기계 강도 및 표면 정밀도가 우수한 위상차 필름을 얻기 위해서, 압출 성형법, 인플레이션 성형법 또는 프레스 성형법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효율적으로 간단히 연신 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관점에서 압출 성형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어,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과 보호층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과 같이, 연신 전 필름을 2층 이상의 층을 구비하는 복층 필름으로서 제조하는 경우, 공압출 T다이법,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공압출 라미네이션법 등의 공압출 성형방법; 드라이 라미네이션 등의 필름 라미네이션 성형방법; 어떤 층에 대해 그 이외의 층을 구성하는 수지 용액을 코팅하는 것 같은 코팅 성형방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조 효율이 좋고, 연신 전 필름에 용매 등의 휘발성 성분을 잔류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공압출 성형방법이 바람직하다. 공압출 성형법 중에서도, 공압출 T다이법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공압출 T다이법에는 피드 블록 방식, 멀티 매니폴드 방식을 들 수 있지만, 층의 두께의 편차를 적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멀티 매니폴드 방식이 더욱 바람직하다.
통상, 연신 전 필름은, 장척의 수지 필름으로서 얻어진다. 연신 전 필름을 장척의 수지 필름으로 준비함으로써, 그것을 연신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λ/2 판 및 λ/4 판, 그리고, 제품인 원편광판을 장척의 필름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장척의 필름은 제조 라인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제조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각 공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인라인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조를 간편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a) 제 1 공정에서 연신 전 필름을 준비한 다음에, (b) 그 연신 전 필름을 연신하는 제 2 공정을 실시한다. 통상, (b) 제 2 공정에서의 연신에 의해,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에 원하는 위상차가 발현되므로, λ/2 판 또는 λ/4 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원하는 위상차 필름이 연신 필름으로서 얻어진다.
(b)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방법은, 연신에 의해 발현시키고 싶은 광학 특성에 따라 적절한 것을 임의로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 사이의 주속(周速)의 차이를 이용해 길이 방향으로 일축 연신하는 방법(세로 일축 연신); 텐터-연신기를 사용하여 폭 방향으로 일축 연신하는 방법(가로 일축 연신); 세로 일축 연신과 횡 일축 연신을 순서대로 실시하는 방법(축차 이축 연신); 연신 전 필름을 경사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경사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연신의 횟수는, 1회여도 되고, 2회 이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연신은,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이들 연신 방법 중에서도, 일방향으로만 연신하는 일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일축 연신에 의해, 위상차 필름의 일축성을 높일 수가 있다. 여기서 일축성이란, 일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지는 필름에 가까운 광학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성질을 나타낸다. 고유 복굴절값이 양인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연신했을 경우에 발현되는 NZ 계수는, 연신 후의 층의 일축성이 높을수록, 1.0 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 고유 복굴절값이 부인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연신했을 경우에 발현되는 NZ계수는, 연신 후의 층의 일축성이 높을수록, 0.0 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일축성이 높은 위상차 필름은, λ/2 판 및 λ/4 판에 있어 바람직한 NZ 계수를 얻기 쉽기 때문에, 당해 위상차 필름을 λ/2 판 또는 λ/4 판으로서 구비하는 원편광판의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를 저감하는 능력을 높이기 쉽다.
(b)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은, 연신에 의해 발현시키고 싶은 지상축의 방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연신 전 필름이 장척의 필름인 경우에는, 연신 방향은 경사 방향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15°±5°또는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신을 경사 방향으로 실시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의 경사 방향으로 지상축을 발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1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 및,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과 같은 경사 방향으로, 지상축을 용이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사 방향으로 연신을 실시함으로써, 원하는 λ/2 판 및 λ/4 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15°±5°또는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장척의 λ/2 판 및 λ/4 판은, 길이 방향으로 흡수축을 가지는 장척의 편광 필름과 첩합시킬 때, λ/2 판의 길이 방향, λ/4 판의 길이 방향 및 편광 필름의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하는 것으로, 각 층의 광축의 방향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배 이하이다. (b)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을 상기 범위에 들어가게 하는 것으로,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가지는 위상차 필름을 연신 필름으로서 얻을 수 있다.
(b) 제 2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gp1-2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Tgp1-5℃」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Tgp1+2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gp1+10℃」이하이다. 여기서 Tgp1은, 블렌드 수지 p1 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낸다. 연신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에 포함되는 분자를 안정적으로 배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가지는 위상차 필름을 연신 필름으로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b) 제 2 공정에서 연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원하는 위상차를 가지는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한 위상차 필름이 연신 필름으로서 얻어진다. 이 위상차 필름은 그대로 λ/2 판 또는 λ/4 판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위상차 필름이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 이외의 임의의 층(보호층 등)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당해 임의의 층을 박리하는 (c) 제 3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메트)아크릴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은, 통상, (b) 제 2 공정에서의 연신에 의해서는 위상차가 발현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으로부터 보호층을 격리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위상차를 해치는 일 없이, 위상차 필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공정 이외의 공정을 더욱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연신되기 전에 연신 전 필름에 대하여 예열 처리를 하는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연신 전 필름을 가열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오븐형 가열 장치, 라디에이션 가열 장치, 또는 액체 안에 담그기 위한 온욕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오븐형 가열 장치가 바람직하다. 예열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연신 온도-4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신 온도-30℃」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연신 온도+2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신 온도+15℃」이하이다. 여기서, 연신 온도란, 가열 장치의 설정 온도를 의미한다.
또, 예를 들어, 얻어진 연신 후의 위상차 필름에 대해 고정화 처리를 하는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고정처리에 있어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실온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신 온도-40℃」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연신 온도+3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신 온도+20℃」이하이다.
〔5.2.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
고리형 올레핀 수지는, 통상, 양의 고유 복굴절값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은, λ/4 판으로서 사용해도 되나, λ/2 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의 굴절률은, nz ≥ nx > ny 를 만족하고 있어도 되고, nx > ny ≥ nz 를 만족하고 있어도 된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는, 기계 특성, 내열성, 투명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및 경량성이 우수하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는,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또,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는, 그 중합체의 구조 단위가 지환식 구조를 가지는 중합체이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는, 주사슬에 지환식 구조를 가지는 중합체, 측사슬에 지환식 구조를 가지는 중합체, 주사슬 및 측사슬에 지환식 구조를 가지는 중합체, 그리고, 이들의 2 이상의 임의의 비율의 혼합물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주사슬에 지환식 구조를 가지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의 예로서는, 포화 지환식 탄화수소(시클로알칸) 구조, 및 불포화 지환식 탄화수소(시클로알켄, 시클로알킨) 구조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 강도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시클로알칸 구조 및 시클로알켄 구조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시클로알칸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는, 하나의 지환식 구조당,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개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이다. 지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가 이 범위이면,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기계 강도, 내열성 및 성형성이 고도로 밸런스된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에 있어서, 지환식 구조를 가지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에 있어서의 지환식 구조를 가지는 구조 단위의 비율이 이 범위에 있으면,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투명성 및 내열성이 양호해진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 중에서도, 시클로올레핀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시클로올레핀 중합체란, 시클로올레핀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중합체이다. 또, 시클로올레핀 단량체는, 탄소 원자로 형성되는 고리구조를 가지고, 또한 그 고리구조 중에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이다.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예로서는, 고리 열림 중합 등의 중합이 가능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들 수 있다. 또, 시클로올레핀 단량체의 고리구조의 예로서는, 단고리, 다고리, 축합 다고리, 가교고리 및 이들을 조합한 다고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중합체의 유전특성 및 내열성 등의 특성을 고도로 밸런스시키는 관점에서, 다고리의 시클로올레핀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단고리의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 고리형 공액 디엔계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는,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노르보르넨계 중합체의 예로서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고리 열림 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및 그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또,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고리 열림 중합체의 예로서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1종류의 단량체의 고리 열림 단독 중합체,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고리 열림 공중합체, 그리고,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단량체와의 고리 열림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의 예로서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1종류의 단량체의 부가 단독 중합체,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2종류 이상의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 그리고,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 및 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다른 단량체와의 부가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고리 열림 중합체의 수소화물은, 성형성, 내열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비시클로[2.2.1]헵트-2-엔(관용명: 노르보르넨), 트리시클로[4.3.0.12,5]데카-3,7-디엔(관용명: 디시클로 펜타디엔), 7,8-벤조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관용명: 메타노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렌),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관용명: 테트라 시클로도데센), 및 이들의 화합물의 유도체(예를 들어, 고리에 치환기를 가지는 것)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치환기의 예로서는, 알킬기, 알킬렌기, 및 극성기를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하게, 복수개가 고리에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극성기의 예로서는, 헤테로 원자, 및 헤테로 원자를 가지는 원자단을 들 수 있다. 헤테로 원자의 예로서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규소 원자, 및 할로겐 원자를 들 수 있다. 극성기의 구체예로서는, 카르복실기, 카르보닐 옥시카르보닐기, 에폭시기, 하이드록실기, 옥시기, 에스테르기, 실란올기, 실릴기, 아미노기, 아미드기, 이미드기, 니트릴기, 및 설폰산기를 들 수 있다.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단량체와 고리 열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로서는, 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등의 모노 고리형 올레핀류 및 그 유도체; 시클로헥사디엔, 시클로헵타디엔 등의 고리형 공액 디엔 및 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진 단량체와 고리 열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고리 열림 중합체는, 예를 들어, 단량체를 고리 열림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 중합 또는 공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부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등의 탄소 원자수 2 ~ 20 의 α-올레핀 및 이들의 유도체;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등의 시클로올레핀 및 이들의 유도체; 그리고 1,4-헥사디엔, 4-메틸-1,4-헥사디엔, 5-메틸-1,4-헥사디엔 등의 비공액 디엔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부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는, 예를 들어, 단량체를 부가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 중합 또는 공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고리 열림 중합체 및 부가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은, 예를 들어, 이들의 고리 열림 중합체 및 부가 중합체의 용액에 있어서, 니켈, 팔라듐 등의 천이 금속을 포함하는 수소 첨가 촉매의 존재하에서,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수소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중에서도, 구조 단위로서 X: 비시클로[3.3.0]옥탄-2,4-디일-에틸렌 구조와 Y: 트리시클로[4.3.0.12,5]데칸-7,9-디일-에틸렌 구조를 가지고, 이들 구조 단위의 양이, 노르보르넨계 중합체의 구조 단위 전체에 대하여 90 중량% 이상이며, 또한, X의 비율과 Y의 비율의 비가, X:Y의 중량비로 100:0 ~ 40: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당해 노르보르넨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층을, 장기적으로 치수 변화가 없고, 광학 특성의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단고리의 고리형 올레핀계 중합체의 예로서는, 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등의 단고리를 가지는 고리형 올레핀계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를 들 수 있다.
고리형 공액 디엔계 중합체의 예로서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공액 디엔계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를 고리화 반응해 얻어지는 중합체;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등의 고리형 공액 디엔계 모노머의 1,2- 또는 1,4- 부가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 이하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을 때에,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기계적 강도 및 성형 가공성이 고도로 밸런스되어 호적하다. 여기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용매로서 시클로헥산을 사용하여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또, 상기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 시료가 시클로헥산에 용해되지 않는 경우에는, 용매로서 톨루엔을 사용해도 된다.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Mw)/수평균 분자량(Mn))는,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7 이하이다. 분자량 분포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함으로써, 중합체의 생산성을 높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으로, 저분자 성분의 양이 작아지므로, 고온 폭로시의 완화를 억제해,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안정성을 높일 수가 있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에 있어서의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 ~ 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 1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 100중량%이다. 중합체의 비율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 충분한 내열성 및 투명성을 얻을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는,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에 더하여, 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합제의 예를 들면, 블렌드 수지 p1 이 포함할 수 있는 배합제와 동일한 예를 들 수 있다. 또, 배합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9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함으로써,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으로, 연신 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는, 광 탄성 계수의 절대치가, 바람직하게는 10×10-12Pa-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0-12Pa-1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10-12Pa-1 이하이다. 이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면내 위상차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광 탄성 계수 C는, 복굴절을 Δn, 응력을 σ로 했을 때, C=Δn/σ로 나타내어지는 값이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이외에 임의의 층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 위상차 필름은,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만을 구비하는 단층 구조를 가진다.
λ/2 판 또는 λ/4 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은, 예를 들어, (d)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을 준비하는 제 4 공정과, (e) 준비된 연신 전 필름을 연신해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에 원하는 위상차를 발현시키는 제 5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d) 제 4 공정에서는,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을 준비한다. 연신 전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의 제조 방법의 설명에서 들었던 필름 제조 방법과 동일한 필름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통상, 연신 전 필름은, 장척의 수지 필름으로서 얻어진다. 연신 전 필름을 장척의 수지 필름으로 준비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각 공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인라인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조를 간편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d) 제 4 공정으로 연신 전 필름을 준비한 다음에, (e) 그 연신 전 필름을 연신하는 제 5 공정을 실시한다. 통상, (e) 제 5 공정에서의 연신에 의해,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에 원하는 위상차가 발현되므로, λ/2 판 또는 λ/4 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원하는 위상차 필름이 연신 필름으로서 얻어진다.
(e) 제 5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과 동일한 연신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연신의 횟수는, 1회여도 되고, 2회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연신 방법은, 2개 이상을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연신 방법으로서는, 일방향으로만 연신하는 일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일축성을 높일 수가 있기 때문에, λ/2 판 및 λ/4 판에 있어 바람직한 NZ 계수를 얻기 쉬우므로, 원편광판의 경사 방향에 있어서의 외광의 반사를 저감하는 능력을 높이기 쉽다.
(e) 제 5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은, 연신에 의해 발현시키고 싶은 지상축의 방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경사 방향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15°±5°또는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신을 경사 방향으로 실시함으로써,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과 마찬가지로, 원하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용이하게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원하는 λ/2 판 및 λ/4 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더욱이, 경사 방향으로의 연신에 의해 얻어지는 장척의 λ/2 판 및 λ/4 판은,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과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 흡수축을 가지는 장척의 편광 필름과 첩합시킬 때, λ/2 판의 길이 방향, λ/4 판의 길이 방향 및 편광 필름의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하는 것으로, 각 층의 광축의 방향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e) 제 5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배 이하이다. (e) 제 5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을 상기 범위에 들어가게 하는 것으로,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가지는 위상차 필름을 연신 필름으로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e) 제 5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Tgcop-2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Tgcop-10℃」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Tgcop+2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gcop+10℃」이하이다. 여기서, Tgcop는, 고리형 올레핀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낸다. (e) 제 5 공정에 있어서의 연신 온도를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에 포함되는 분자를 확실히 배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광학 특성을 가지는 위상차 필름을 연신 필름으로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e) 제 5 공정에서 연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원하는 위상차를 가지는 고리형 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이 연신 필름으로서 얻어진다. 이 위상차 필름은 그대로 λ/2 판 또는 λ/4 판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또 다른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5.3. 위상차 필름의 물성〕
상술한 위상차 필름이 포함하는 휘발성 성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하이며, 이상적으로는 제로이다. 휘발성 성분의 양을 적게 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하고,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휘발성 성분의 양을 적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연신 전 필름을 용융 성형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휘발성 성분이란, 필름 중에 미량 포함되는 분자량 200 이하의 물질이며, 예를 들어, 잔류 단량체 및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성분의 양은, 필름 중에 포함되는 분자량 200 이하의 물질의 합계로서 필름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하는 것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의 포화흡수율은, 바람직하게는 0.03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하이며, 이상적으로는 제로이다. 위상차 필름의 포화흡수율이 상기 범위이면, 위상차 등의 광학 특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포화흡수율은, 필름의 시험편을 23℃의 물 속에 24시간 침지하여, 증가한 질량을, 침지 전 필름 시험편의 질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는 값이다.
[6. 임의의 층]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편광 필름, λ/2 판 및 λ/4 판 이외에, 임의의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손상 방지를 위한 보호 필름층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편광 필름과 λ/2 판의 접착, 및 λ/2 판과 λ/4 판의 접착을 위해,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구비할 수 있다.
[7. 원편광판의 물성]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면에 설치한 경우에,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가시 영역이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어느 기준 방향에 대해 각도θ(λ/4)를 이루는 지상축을 가지는 λ/4 판과,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해 각도θ(λ/2)를 이루는 지상축을 가지는 λ/2 판을 조합한 복층 필름이 식 C: 「θ(λ/4)=2θ(λ/2)+45°」를 만족하는 경우, 이 복층 필름은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당해 복층 필름을 투과하는 광에 그 광의 파장의 대략 1/4 파장의 면내 위상차를 부여할 수 있는 광대역 λ/4 판이 된다(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04120호 참조).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서는 λ/2 판 및 λ/4 판이 식 C에 나타내어지는 것에 가까운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λ/2 판과 λ/4 판을 포함하는 부분이 광대역 λ/4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원편광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서는, λ/2 판 및 λ/4 판의 일방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큰 굴절률 nz이 발현하고 있다. 이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원편광판을 경사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λ/2 판의 지상축 및 λ/4 판의 지상축의 외관상의 각도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정면 방향뿐만 아니라 경사 방향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원편광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8. 원편광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원편광판은, 상술한 편광 필름, λ/2 판 및 λ/4 판을 첩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편광 필름, λ/2 판 및 λ/4 판은,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 및 λ/4 판의 지상축이 원하는 각도를 이루도록, 광축을 맞추어 첩합한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 λ/2 판 및 λ/4 판을 매엽의 필름으로 잘라, 자른 매엽의 편광 필름, λ/2 판 및 λ/4 판을 광축을 맞추어 첩합함으로써, 원편광판이 얻어진다.
또, 예를 들어, 당해 편광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흡수축을 가지는 장척의 편광 필름과, 당해 λ/2 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1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장척의 λ/2 판과, 당해 λ/4 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장척의 λ/4 판을 첩합하여 원편광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이들 편광 필름, λ/2 판 및 λ/4 판을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첩합하는 것에 의해, 원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편광판을 롤투롤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원편광판은, 매엽의 편광 필름, λ/2 판 및 λ/4 판을 첩합하는 방법과 상이하게, 복잡한 광축 맞춤의 공정이 불요하므로, 효율이 좋은 제조를 실현할 수 있다.
첩합시, 필요에 따라,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 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고무계 등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 및 투명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 편광 필름, λ/2 판 및 λ/4 판을 첩합하기 전이나, 편광 필름, λ/2 판 및 λ/4 판을 첩합한 후에, 보호층 등의 임의의 층을 떼어 내도 된다.
[9. 광대역 λ/4 판]
본 발명의 광대역 λ/4 판은, 상술한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 필름 이외의 부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광학 부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대역 λ/4 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일치하는 파장 분산을 가지는 λ/2 판 및 λ/4 판을 구비하고, 이들의 λ/2 판 및 λ/4 판의 일방의 굴절률이 nz ≥ nx > ny이며, λ/2 판 및 λ/4 판의 타방의 굴절률이 nx > ny ≥ nz이다. 그리고, λ/2 판은, 어느 기준 방향에 대해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며, 또한, λ/4 판은,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해 1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진다. 상기 기준 방향은,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 있어서의 편광 필름의 흡수축의 방향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광대역 λ/4 판은, 적어도 하기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대역 λ/4 판은,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당해 광대역 λ/4 판을 정면 방향으로 투과하는 광에, 그 광의 파장의 대략 1/4 파장의 면내 위상차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대역 λ/4 판은,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당해 광대역 λ/4 판을 경사 방향으로 투과하는 광에, 그 광의 파장의 대략 1/4 파장의 면내 위상차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대역 λ/4 판은, 편광 필름과 조합함으로써,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의 양방에 있어서 넓은 파장 범위의 광의 반사를 저감할 수 있는 원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대역 λ/4 판은, 장척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장척의 광대역 λ/4 판은, 장척의 λ/2 판 및 장척의 λ/4 판을,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하여 첩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롤투롤법에 의한 제조가 가능하고, 효율이 좋은 제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장척의 광대역 λ/4 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장척의 λ/2 판 및 장척의 λ/4 판이, 경사 연신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연신은, 연신 전 필름을 경사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경사 연신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척의 λ/2 판은, 그 λ/2 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1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발현시키기 쉽다. 또, 경사 연신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장척의 λ/4 판은, 그 λ/4 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발현시키기 쉽다. 그 때문에, 광대역 λ/4 판을 제조할 때에 복잡한 광축 맞춤의 공정이 불요하므로, 효율이 좋은 제조를 실현할 수 있다.
[10.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장치]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원편광판, 또는, 본 발명의 광대역 λ/4 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장치가 원편광판을 구비하는 경우, 통상, 유기 EL 표시장치는 표시면에 원편광판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원편광판은 유기 EL 표시장치의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유기 EL 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원편광판을, 편광 필름측의 면이 시인측을 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장치 외부로부터 입사한 광이 장치 내에서 반사하여 장치 외부로 출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표시장치의 표시면의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외부로부터 입사한 광은, 그 일부의 직선편광만이 편광 필름을 통과하고, 계속해서 그것이 λ/2 판 및 λ/4 판을 통과함으로써 원편광이 된다. 원편광은, 표시장치 내의 광을 반사하는 구성 요소(유기 EL 소자 중의 반사 전극 등)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λ/4 판 및 λ/2 판을 통과 함으로써, 입사한 직선편광의 편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광축을 가지는 직선편광이 되어, 편광 필름을 통과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반사 방지 기능이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유기 EL 표시장치가 광대역 λ/4 판을 구비하는 경우, 유기 EL 표시장치는 임의의 위치에 광대역 λ/4 판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조작은,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 한, 상온 및 상압의 조건에서 실시했다.
[평가방법]
(위상차의 측정 방법)
위상차계(오우지케이소쿠사제「KOBRA-21ADH」)를 사용하여, 필름의 폭 방향으로 50mm 간격의 복수의 지점에서,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의 위상차를 측정했다. 이들 지점에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계산하고, 이 평균치를 당해 필름의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의 위상차로 했다. 이 때, 측정은, 400nm, 550nm 및 590nm의 파장으로 각각 실시했다.
(NZ 계수의 측정 방법)
위상차계(오우지케이소쿠사제「KOBRA-21ADH」)를 사용하여, 필름의 폭 방향으로 50mm 간격의 복수의 지점에서, 당해 필름의 NZ 계수를 측정했다. 이들 지점에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계산하여, 이 평균치를 당해 필름의 NZ 계수로 했다. 이 때, 측정 파장은 590nm로 했다.
(목시에 의한 평가방법)
평면상의 반사면을 가지는 미러를 준비했다. 이 미러를, 반사면이 수평으로 또한 상향이 되도록 두었다. 이 미러의 반사면 상에, 편광 필름측이 상향이 되도록 원편광판을 첩부했다.
그 후, 맑은 날에 일광으로 원편광판을 비춘 상태에서, 미러 위의 원편광판을 목시로 관찰했다. 관찰은, 원편광판의,
(i) 극각 0°, 방위각 0°의 정면 방향과
(ii) 극각 45°, 방위각 0°~ 360°의 경사 방향
의 양방에서 실시했다.
(i) 정면 방향에서의 관찰에서는, 일광의 반사가 거의 신경 쓰이지 않고, 원편광판이 검게 보이는지 어떤지를 평가했다.
또한, (ii) 경사 방향에서의 관찰에서는, 방위각에 따라서 반사율 및 색미(色味)가 변화하는지 어떤지를 평가했다.
상기 목시 평가를, 5명의 관찰자가 실시하여,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순위를 매겼다. 순위를 매긴 결과를 득점순으로 나열하고, 그 점수의 레인지 중에서 상위 그룹부터 A, B, C, D 및 E의 순으로 평가했다.
(시뮬레이션에 의한 반사율의 계산방법)
시뮬레이션용 소프트웨어로서 신텍크사제 「LCD Master」를 사용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원편광판을 모델화하여, 반사율을 계산했다.
시뮬레이션용의 모델에서는, 평면상의 반사면을 가지는 미러의 상기 반사면에, λ/4 판측에서 미러에 접하도록 원편광판을 첩부한 구조를 설정했다. 따라서, 이 모델에서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편광 필름, λ/2 판, λ/4 판 및 미러가 이 순서로 설치된 구조가 설정되었다.
그리고, 상기 모델에 있어서, D65 광원으로부터 원편광판에 광을 조사했을 때의 반사율을, 상기 원편광판의 (i) 정면 방향 및 (ii) 경사 방향에서 계산했다. 여기서, (i) 정면 방향에서는, 극각 0°, 방위각 0°의 방향의 반사율을 계산했다. 또한, (ii) 경사 방향에서는 극각 45°에 대하여, 방위각 0°~ 360°의 범위에서 방위각 방향으로 5°씩 계산을 실시하고, 그 계산치의 평균을 당해 모델화된 원편광판의 경사 방향에서의 반사율로서 채용했다.
[제조예 1. 시클로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연신 전 필름의 제조]
단층의 필름 성형 장치를 준비했다. 시클로올레핀 수지 R1(닛폰제온사제 「ZEONOR1420」, 유리전이온도 140℃)의 펠릿을, 필름 성형 장치의 더블 플라이트형 스크루를 구비한 일축 압출기에 투입해 260℃에서 용융하고, 필터 눈 크기 10μm의 리프 디스크 형상의 폴리머 필터를 통해, 260℃로 온도 조절된 다이(다이스 립의 표면 조도 Ra: 0.1μm)로부터 압출해, 필름 형상으로 성형했다. 성형된 필름 형상의 용융 수지를, 표면 온도 110℃로 조정된 캐스트 롤에 캐스트하고, 계속해서 표면 온도 50℃로 조정된 2개의 냉각 롤 사이로 통과시켰다. 수지를 캐스트 롤 상에서 냉각 고화하여, 연신 전 필름을 얻었다. 이 때, 캐스트 롤의 회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두께 50μm의 연신 전 필름 PF-1, 두께 100μm의 연신 전 필름 PF-2, 및, 두께 200μm의 연신 전 필름 PF-3을 제조했다.
[제조예 2. 블렌드 수지 p1 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한 연신 전 필름의 제조]
(블렌드 수지의 제조)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이데미츠고산사제 「130-ZC」, 유리전이온도 98℃, 결정화 온도 140℃) 70중량부와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옥사이드)(알도리치사 카탈로그 No.18242-7) 30중량부를, 2축 압출기로 혼련해, 투명한 수지 R2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R2의 유리전이온도는 125℃였다.
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과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옥사이드)의 혼합 비율을 64중량부와 36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수지 R2와 동일한 제조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수지 펠릿 R3(유리전이온도 134℃)를 얻었다.
또한,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과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옥사이드)의 혼합 비율을 60중량부와 4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수지 R2와 동일한 제조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수지 펠릿 R4(유리전이온도 141℃)를 얻었다.
또,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과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옥사이드)의 혼합 비율을 58중량부와 42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수지 R2와 동일한 제조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수지 펠릿 R5(유리전이온도 145℃)를 얻었다.
(연신 전 필름의 제조)
더블 플라이트형의 스크루를 구비한 일축 압출기를 구비하는, 2종 2층의 공압출 성형용의 필름 성형 장치(2종류의 수지로 2층 구조의 필름을 성형할 수 있는 타입의 성형 장치)를 준비했다. 수지 R3의 펠릿을, 상기의 필름 성형 장치의 일방의 일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시켰다. 또, 내충격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R6(스미토모화학사제 「스미펙스 HT55X」)의 펠릿을, 상기의 필름 성형 장치의 다른 일방의 일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시켰다.
용융된 290℃의 수지 R3를, 필터 눈 크기 10μm의 리프 디스크 형상의 폴리머 필터를 통해, 멀티 매니폴드 다이(다이스 립의 표면 조도 Ra: 0.1μm)의 일방의 매니폴드에 공급했다. 또, 용융된 260℃의 수지 R6를, 눈금간격 10μm의 리프 디스크 형상의 폴리머 필터를 통해, 상기 멀티 매니폴드 다이의 다른 일방의 매니폴드에 공급했다.
수지 R3 및 수지 R6을 멀티 매니폴드 다이로부터 280℃에서 동시에 압출하여, 필름 형상으로 성형했다. 성형된 필름 형상의 용융 수지를, 표면 온도 110℃로 조정된 캐스트 롤에 캐스트하고, 계속해서 표면 온도 50℃로 조정된 2개의 냉각 롤 사이에 통과시켰다. 수지를 캐스트 롤 상에서 냉각 고화하여, 수지 R3으로 이루어지는 층 및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을 얻었다. 이 때, 캐스트 롤의 회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수지 R3으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50μm)과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50μm)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 PF-4(두께 100μm), 및, 수지 R3으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100μm)과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100μm)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 PF-5(두께 200μm)를 제조했다.
또, 수지 R3 대신에 수지 R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연신 전 필름 PF-4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R2 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50μm)과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50μm)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 PF-6(두께 100μm)을 제조했다.
수지 R3 대신에 수지 R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연신 전 필름 PF-4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R4 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100μm)과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100μm)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 PF-7(두께 200μm)을 얻었다.
수지 R3 대신에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R7(노바·케미컬사제 「DylarkD332」, 유리전이온도 130℃)의 펠릿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연신 전 필름 PF-5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수지 R7 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50μm)과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50μm)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 PF-8(두께 100μm)을 얻었다.
수지 R3 대신에 수지 R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연신 전 필름 PF-5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지 R5 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200μm)과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두께 100μm)을 구비하는 연신 전 필름 PF-9(두께 300μm)를 얻었다.
[실시예 1]
(1-i. 편광 필름의 제조)
요오드로 염색한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제의 장척의 연신 전 필름을 준비했다. 이 연신 전 필름을 당해 연신 전 필름의 폭 방향에 대해 90°의 각도를 이루는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여, 장척의 편광 필름을 얻었다. 이 편광 필름은 당해 편광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흡수축을 가지고, 당해 편광 필름의 폭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고 있었다.
(1-ii. λ/2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2를, 당해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 일축 연신해, λ/2 판 HF-1을 제조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1.6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40℃ ~ 150℃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260nm가 되도록 조정했다.
(1-iii. λ/4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4를, 당해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 일축 연신하고, 그 후,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박리하여, 수지 R3으로 이루어지는 λ/4 판 QF-1을 제조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1.6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34℃~144℃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130nm가 되도록 조정했다.
(1-iv. 첩합)
점착제의 층으로서 광학용 투명 점착 시트(닛토덴코사제 「LUCIACS CS9621T」)를 준비했다. 이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상기 편광 필름, λ/2 판 HF-1, 및, λ/4 판 QF-1을, 이 순서로 첩합했다. 이에 의해,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1을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1을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또한, λ/2 판 및 λ/4 판을, 편광 필름이나 점착 시트와 첩합할 때에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의 방향 및 λ/4 판의 지상축의 방향이 각각 θh, θq가 되도록, λ/2 판 HF-1 및 λ/4 판 QF―1을 매엽의 필름으로 잘라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도 동일하게 매엽의 필름으로 잘라냈다.
원편광판 POL-1 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2]
(2-i. λ/2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3을, 횡 연신기로, 길이 방향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는 폭 방향으로 연신해, λ/2 판 HF-2를 제조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4.0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40℃ ~ 150℃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260nm가 되도록 조정했다.
(2-ii. λ/4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5를, 횡 연신기로, 길이 방향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는 폭 방향으로 연신하고, 그 후,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박리하여, 수지 R3으로 이루어지는 λ/4 판 QF-2를 제조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2.5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34℃ ~ 144℃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130nm가 되도록 조정했다.
(2-iii. 첩합)
λ/2 판 HF-1 대신에 λ/2 판 HF-2 를 사용하고, 또, λ/4 판 QF-1 대신에 λ/4 판 QF-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2를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2를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2 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3]
(3-i. λ/2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5를, 당해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 일축 연신하고, 그 후,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박리하여, 수지 R3으로 이루어지는 λ/2 판 HF-3을 제조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1.6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34℃ ~ 144℃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260nm가 되도록 조정했다.
(3-ii. λ/4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1을, 당해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 일축 연신해, λ/4 판 QF-3을 제조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1.6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40℃ ~ 150℃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130nm가 되도록 조정했다.
(3-iii. 첩합)
λ/2 판 HF-1 대신에 λ/2 판 HF-3을 사용하고, 또, λ/4 판 QF-1 대신에 λ/4 판 QF-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3을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3을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3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4]
(4-i. λ/4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6을, 당해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 일축 연신하고, 그 후,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박리하여, 수지 R2 로 이루어지는 λ/4 판 QF-4를 제조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1.6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25℃ ~ 135℃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129nm가 되도록 조정했다.
(4-ii. 첩합)
λ/4 판 QF-1 대신에 λ/4 판 QF-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4를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4를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4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5]
(5-i. λ/4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7을, 당해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 일축 연신하고, 그 후,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박리하여, 수지 R4 로 이루어지는 λ/4 판 QF-5를 제조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1.6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41℃ ~ 151℃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132nm가 되도록 조정했다.
(5-ii. 첩합)
λ/4 판 QF-1 대신에 λ/4 판 QF-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5를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5를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5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6]
(6-i. 첩합)
λ/2 판 HF-1 대신에 λ/2 판 HF-2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6을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6을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6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7]
(7-i. λ/2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3을, 횡 연신기로, 길이 방향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는 폭 방향으로 연신해, λ/2 판 HF-4를 얻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3.0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40℃ ~ 150℃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260nm가 되도록 조정했다.
(7-ii. 첩합)
λ/2 판 HF-1 대신에 λ/2 판 HF-4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7을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7을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7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8]
(8-i. 첩합)
λ/4 판 QF-1 대신에 λ/4 판 QF-2 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8을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8을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8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실시예 9]
(9-i. λ/4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5를, 횡연신기로 길이 방향에 대하여 90°의 각도를 이루는 폭 방향으로 연신하고, 그 후,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박리하여, 수지 R3으로 이루어지는 λ/4 판 QF-6을 얻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2.0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34℃ ~ 144℃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130nm가 되도록 조정했다.
(9-ii. 첩합)
λ/4 판 QF-1 대신에 λ/4 판 QF-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9를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9를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9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비교예 1]
(10-i. 첩합)
λ/4 판 QF-1 대신에 λ/4 판 QF-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10을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10을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10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비교예 2]
(11-i. λ/4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8을, 당해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 일축 연신하고, 그 후,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박리하여, 수지 R7 로 이루어지는 λ/4 판 QF-7을 제조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1.6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30℃ ~ 140℃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128nm가 되도록 조정했다.
(11-ii. 첩합)
λ/4 판 QF-1 대신에 λ/4 판 QF-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11을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11을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11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비교예 3]
(12-i. λ/4 판)
두께 25μm, 폭 500mm, 길이 500m의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롤 형상 시클로올레핀 수지 필름을, 투명 지지체로서 준비했다.
스테로이드 변성 폴리아믹산의 희석액을, 투명 지지체 상에 연속 도포해, 두께 0.5μm의 수직 배향막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투명 지지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수직 배향막의 러빙 처리를 실시했다.
상기 수직 배향막 위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을 가지는 도포액을, 바 코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도포해, 도포액의 막을 형성했다. 이 도포액의 막을 건조하고, 가열에 의해 디스코틱 액정성 분자를 배향시킨 후에, 자외선을 조사해 디스코틱 액정성 분자를 고정시켜, 두께 1.7μm의 광학 이방성층을 얻었다. 이에 의해, 투명 지지체 및 광학 이방성층을 구비하는 λ/4 판 QF-8을 얻었다. 이 때, 디스코틱 액정성 분자는, 투명 지지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광축(디렉터)을 가지도록 호모지니어스 배향을 하고 있었다. 또, λ/4 판 QF-8은, 광축(디렉터)에 직교하는 방향(즉, 투명 지지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고 있었다.
[표 1] 액정 조성물의 조성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화학식 5]
(12-ii. 첩합)
λ/4 판 QF-1 대신에 λ/4 판 QF-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12를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12를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12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비교예 4]
(13-i. λ/4 판의 제조)
연신 전 필름 PF-9를, 당해 연신 전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 일축 연신하고, 그 후, 수지 R6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박리하여, 수지 R5 로 이루어지는 λ/4 판 QF-9를 제조했다. 이 때, 연신 온도 및 연신 배율은, 연신 배율 1.6배에 있어서, 연신 온도 145℃ ~ 155℃의 범위 내에서,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e가 134nm가 되도록 조정했다.
(13-ii. 첩합)
λ/4 판 QF-1 대신에 λ/4 판 QF-9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13을 얻었다. 이 원편광판 POL-13을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13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비교예 5]
(14-i. 첩합)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를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14를 얻었다. 이 원편광판의 θh,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14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비교예 6]
(15-i. 첩합)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h, 및,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를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의 공정(1-iv. 첩합)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점착 시트, λ/2 판, 점착 시트 및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원편광판 POL-15를 얻었다. 이 원편광판의 θh, θq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원편광판 POL-15에 대해, 상술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
상술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성을 하기의 표 2에 나타내고,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하기의 표에 있어서, 약칭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COP: 고리형 올레핀 수지
PPE: 폴리(2,6-디메틸-1,4-페닐렌옥사이드)
SPS: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SMA: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수지
Discotic LC: 디스코틱 액정성 분자
Re: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면내 위상차
Rth: 측정 파장 590nm에서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θh: 편광 필름측에서 원편광판을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2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θq: 편광 필름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λ/4 판의 지상축이 반시계 회전을 이루는 각도
NZh: λ/2 판의 NZ 계수
NZq: λ/4 판의 NZ 계수
[표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성
[표 3]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원편광판
110: 편광 필름
111: 편광 필름의 흡수축
112: 편광 필름의 흡수축을 λ/2 판의 표면에 투영한 축
113: 편광 필름의 흡수축을 λ/4 판의 표면에 투영한 축
120: λ/2 판
121: λ/2 판의 지상축
130: λ/4 판
131: λ/4 판의 지상축
140: 광대역 λ/4 판

Claims (10)

  1.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1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λ/2 판과,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에 대해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λ/4 판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x,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nz 로 나타낸 경우,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일방의 굴절률이 nz ≥ nx > ny 이며,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타방의 굴절률이 nx > ny ≥ nz 이며,
    파장 40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2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h(400),
    파장 55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2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h(550),
    파장 40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4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q(400), 및
    파장 55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4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q(550)로 했을 때,
    하기 식 (A):
    |Reh(400)/Reh(550) - Req(400)/Req(550)| ≤ 0.06
    을 만족하는, 원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일방의 NZ 계수가, -0.5 ~ 0.0 이고,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타방의 NZ 계수가, 1.0 ~ 1.3 인, 원편광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한쪽이, 폴리페닐렌에테르 및 신디오택틱 구조를 가지는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원편광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닐렌에테르와 상기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의 중량비가, 30/70 보다 크고, 40/60 보다 작은, 원편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한쪽이, 고리형 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원편광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이, 장척의 필름이고,
    상기 편광 필름의 흡수축이, 상기 원편광판의 길이 방향으로 있는, 원편광판.
  7. 기준 방향에 대해 7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λ/2 판과,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해 15°±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가지는 λ/4 판을 구비하고,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x,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nz 로 나타낸 경우,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일방의 굴절률이 nz ≥ nx > ny 이며,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의 타방의 굴절률이 nx > ny ≥ nz 이며,
    파장 40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2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h(400),
    파장 55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2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h(550),
    파장 40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4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q(400), 및
    파장 550nm 에 있어서의 상기 λ/4 판의 면내 위상차를 Req(550)로 했을 때,
    하기 식 (A):
    |Reh(400)/Reh(550) - Req(400)/Req(550)| ≤ 0.06
    을 만족하는, 광대역 λ/4 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λ/4 판이, 장척의 필름이고,
    상기 λ/2 판 및 상기 λ/4 판이, 경사 연신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인, 광대역 λ/4 판.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편광판,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광대역 λ/4 판을 구비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장치.
  10. 삭제
KR1020177007106A 2014-09-17 2015-09-10 원편광판, 광대역 λ/4 판,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KR102571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89301 2014-09-17
JPJP-P-2014-189301 2014-09-17
PCT/JP2015/075757 WO2016043124A1 (ja) 2014-09-17 2015-09-10 円偏光板、広帯域λ/4板、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968A KR20170055968A (ko) 2017-05-22
KR102571446B1 true KR102571446B1 (ko) 2023-08-25

Family

ID=5553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106A KR102571446B1 (ko) 2014-09-17 2015-09-10 원편광판, 광대역 λ/4 판,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54459B2 (ko)
JP (3) JP6805827B2 (ko)
KR (1) KR102571446B1 (ko)
CN (1) CN107076904B (ko)
TW (1) TWI682197B (ko)
WO (1) WO2016043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0286B2 (en) * 2014-09-26 2019-06-04 Zeon Corporatio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same, broadband lambda/4 pla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7430238B (zh) * 2015-03-31 2020-03-03 富士胶片株式会社 圆偏振片以及可弯曲的显示装置
JP6640847B2 (ja) * 2015-05-29 2020-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6927198B2 (ja) * 2016-03-30 2021-08-2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異方性積層体、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US10521062B2 (en) * 2016-04-27 2019-12-31 Zeon Corporation Film sensor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8079745A1 (ja) * 2016-10-31 2018-05-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広帯域波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円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10705385B2 (en) * 2016-11-30 2020-07-07 Zeon Corporation Optical laminat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touch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80063418A (ko) * 2016-12-01 2018-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WO2018159297A1 (ja) * 2017-02-28 2019-12-1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異方性積層体、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EP3686635A4 (en) * 2017-09-22 2021-06-02 Zeon Corporation VIEWER FOR DETERMINATION
CN111448496B (zh) * 2017-12-20 2022-05-13 日本瑞翁株式会社 圆偏振片、长条状的宽频带λ/4波片、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及液晶显示装置
JP2019158953A (ja) * 2018-03-08 2019-09-19 シャープ株式会社 円偏光板、表示装置、及び、積層型位相差板
JPWO2019188205A1 (ja) * 2018-03-30 2021-04-1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異方性積層体、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210004985A (ko) * 2018-04-27 2021-01-13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광대역 파장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원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TWI690414B (zh) * 2018-06-05 2020-04-1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層壓板及含彼之液晶顯示器
KR102435573B1 (ko) * 2018-06-20 2022-08-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3196876A (zh) * 2018-12-27 2021-07-30 日本瑞翁株式会社 光学各向异性层叠体及其制造方法、圆偏振片以及图像显示装置
CN112433286A (zh) * 2019-08-26 2021-03-02 陕西坤同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偏光片、显示装置
CN111308603A (zh) * 2020-04-09 2020-06-19 四川龙华光电薄膜股份有限公司 一种斜向光轴相位差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701A (ja) * 2002-06-13 2004-01-22 Nippon Zeon Co Ltd 光学積層体
JP2007187741A (ja) * 2006-01-11 2007-07-26 Dainippon Printing Co Ltd 位相差板
JP2009237533A (ja) * 2007-11-30 2009-10-15 Jsr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09251442A (ja) * 2008-04-09 2009-10-29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3190757A (ja) * 2012-03-15 2013-09-26 Nippon Zeon Co Ltd 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4054769A1 (ja) * 2012-10-04 2014-04-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7708A (ja) 1985-11-11 1987-08-17 Idemitsu Kosan Co Ltd スチレン系重合体の製造法
JPH0784503B2 (ja) 1987-12-04 1995-09-13 出光興産株式会社 新規スチレン系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97375B2 (ja) 1987-12-29 1997-04-02 出光興産株式会社 ビニルシクロヘキサン系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34565A (en) 1996-11-12 1998-11-10 General Electric Company Curable polyphenylene ether-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JP2000206331A (ja) * 1999-01-14 2000-07-28 Fuji Photo Film Co Ltd 位相差板および楕円偏光板
US6853423B2 (en) 1998-11-06 2005-02-08 Fuji Photo Film Co., Ltd. Quarter wave plate comprising two optically anisotropic layers
JP3734211B2 (ja) 1999-01-27 2006-01-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位相差板、円偏光板およ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6400433B1 (en) 1998-11-06 2002-06-04 Fuji Photo Film Co., Ltd. Circularly polarizing plate comprising linearly polarizing membrane and quarter wave plate
JP2001004837A (ja) 1999-06-22 2001-01-12 Fuji Photo Film Co Ltd 位相差板および円偏光板
JP2001249222A (ja) * 2000-03-02 2001-09-14 Teijin Ltd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発光表示素子
JP2002151251A (ja) * 2000-11-09 2002-05-24 Sharp Corp 発光素子
JP2003014931A (ja) 2001-06-29 2003-01-15 Fuji Photo Film Co Ltd 広帯域1/4波長板及び円偏光板
JP3916950B2 (ja) 2001-12-25 2007-05-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円偏光板
DE60333092D1 (de) 2002-05-30 2010-08-05 Zeon Corp Optisches laminat
US6922221B2 (en) * 2002-10-17 2005-07-26 Research Foundation Of The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Broadband quarter-wave film device including in combination a chromatic half-wave film and a TN-LC polymeric film
JP4225042B2 (ja) * 2002-12-02 2009-02-18 住友化学株式会社 半透過半反射性偏光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50060847A (ko) * 2003-12-17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광학 필름 어셈블리
JP4449533B2 (ja) 2004-03-30 2010-04-1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広帯域1/4波長板の長尺巻状体、広帯域円偏光素子の長尺巻状体
JP2006178389A (ja) * 2004-07-05 2006-07-06 Nitto Denko Corp 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楕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834332B1 (ko) * 2004-12-02 2008-06-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070008534A (ko) * 2004-12-14 2007-01-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타원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사용한 화상표시 장치
JP2006201746A (ja) * 2004-12-22 2006-08-03 Nitto Denko Corp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01419305A (zh) * 2004-12-22 2009-04-29 日东电工株式会社 椭圆偏光板及使用该椭圆偏光板的图像显示装置
WO2006090520A1 (ja) * 2005-02-25 2006-08-31 Nitto Denko Corporation 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楕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3974631B2 (ja) 2005-03-02 2007-09-12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6285208A (ja) * 2005-03-07 2006-10-19 Nitto Denko Corp 液晶パネル、液晶テレビ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7738065B2 (en) * 2005-05-11 2010-06-15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1292180B (zh) * 2005-10-21 2011-12-07 日东电工株式会社 附有光学补偿层的偏振板及使用其的图像显示装置
WO2007061027A1 (ja) * 2005-11-28 2007-05-31 Nitto Denko Corporation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998941B2 (ja) * 2006-11-20 2012-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002808A (ja) * 2008-06-23 2010-01-07 Sumitomo Chemical Co Ltd 楕円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楕円偏光板チップ、液晶表示装置
WO2010087058A1 (ja) 2009-01-27 2010-08-0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2422206A (zh) * 2009-03-09 2012-04-18 奇像素公司 寻常黑透反式液晶显示器
CN102472919B (zh) * 2009-07-30 2014-10-15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JP2011248045A (ja) 2010-05-26 2011-12-08 Sumitomo Chemical Co Ltd 楕円偏光板セ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パネル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5923864B2 (ja) 2011-04-20 2016-05-2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WO2013137464A1 (ja) * 2012-03-15 2013-09-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積層体を有する有機elディスプレイ素子
CN104169757B (zh) * 2012-03-15 2017-08-18 日本瑞翁株式会社 相位差膜叠层体、相位差膜叠层体的制造方法以及相位差膜的制造方法
JP5528606B2 (ja) * 2012-06-21 2014-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WO2014196637A1 (ja) * 2013-06-06 2014-12-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シート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701A (ja) * 2002-06-13 2004-01-22 Nippon Zeon Co Ltd 光学積層体
JP2007187741A (ja) * 2006-01-11 2007-07-26 Dainippon Printing Co Ltd 位相差板
JP2009237533A (ja) * 2007-11-30 2009-10-15 Jsr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09251442A (ja) * 2008-04-09 2009-10-29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3190757A (ja) * 2012-03-15 2013-09-26 Nippon Zeon Co Ltd 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4054769A1 (ja) * 2012-10-04 2014-04-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3124A1 (ja) 2016-03-24
TW201614285A (en) 2016-04-16
CN107076904B (zh) 2019-11-12
JP6885500B2 (ja) 2021-06-16
KR20170055968A (ko) 2017-05-22
US10254459B2 (en) 2019-04-09
TWI682197B (zh) 2020-01-11
US20170261668A1 (en) 2017-09-14
JP6805827B2 (ja) 2020-12-23
JP7067600B2 (ja) 2022-05-16
JP2021005098A (ja) 2021-01-14
JPWO2016043124A1 (ja) 2017-06-29
CN107076904A (zh) 2017-08-18
JP2021051316A (ja)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1446B1 (ko) 원편광판, 광대역 λ/4 판,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JP5273775B2 (ja)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168045B2 (ja) 位相差フィルム積層体、位相差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並びに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0428042A (en) Optical element, polarization element, and illumina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TWI777051B (zh) 光學各向異性堆疊體、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US11391876B2 (en) Optically anisotropic laminat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9139242A (ja) 円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広帯域λ/4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
TWI719042B (zh) 液晶顯示裝置
KR20150079630A (ko)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ips 액정 패널
JP2004004474A (ja) 光学補償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6303275B2 (ja) 位相差フィルム積層体、位相差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位相差フィルム、製造方法、及び用途
JP6485348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複合体、液晶表示装置、及び製造方法
JP7405013B2 (ja) 長尺の円偏光板、長尺の広帯域λ/4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WO2024004605A1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円偏光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