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268B1 -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및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및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268B1
KR102547268B1 KR1020177034979A KR20177034979A KR102547268B1 KR 102547268 B1 KR102547268 B1 KR 102547268B1 KR 1020177034979 A KR1020177034979 A KR 1020177034979A KR 20177034979 A KR20177034979 A KR 20177034979A KR 102547268 B1 KR102547268 B1 KR 102547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arrier
door
module
molded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802A (ko
Inventor
마티아스 피셔
안드레 렌하트
노르만 휘머
미카엘 얀
한스 헤르조그
미카엘 티에넬
게르하트 호프만
라이문드 아슈무타트
베르너 스탬베르거
미카엘 버너트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180002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8Water or sound barrier, e.g. watershields or seals between dry/wet compartment, sound or vibration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5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essentially horizontal in the centre of the 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6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belt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5Reinforcement elements integrated in door structure or other door elements, e.g. beam-like shapes stamped in inner doo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3Conceptual assembling of door, i.e. how door frame parts should be fitted together to form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ybrid, i.e. plastic moulded onto met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T)을 위한 모듈 캐리어(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가소성 합성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사출 성형부가 모듈 캐리어(1)의 외부 가장자리에 제공되며, 외부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 캐리어(1)의 경계를 이루며 또한 모듈 캐리어(1)를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5)에 고정하고 그리고/또는 차량 도어의 추가 요소를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며 그리고/또는 가장자리측에 있는 모듈 캐리어(1)의 시일링 요소(2a, 2b)를 수용하거나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15)를 규정한다. 적어도 모듈 캐리어(1)의 중심 영역에서, 모듈 캐리어(1)에는 열가소성 합성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사출 성형부가 제공되어 있고, 이 제 2 사출 성형부는, 모듈 캐리어(1)에 고정되는 기능 요소(FS1, FS2, M, Z)를 위한 접속부(10a - 10f; 10aa, 10bb, 10cc, 14, 17a, 17b, 18a, 18b)를 규정하고/규정하거나 통로 개구(100a - 100h)를 규정하고/규정하거나 기능 요소(FS1*, FS2*)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규정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및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모듈 캐리어 및 청구항 29의 전제부에 따른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이러한 모듈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기능 요소, 예컨대, 차량 도어의 창 유리의 조절을 위한 창 조절기의 부품, 적어도 하나의 확성기 또는 도어 폐쇄 시스템의 부품을 지탱한다. 이러한 종류의 모듈 캐리어는 실질적으로 유기 시트(organo sheet)로 형성되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시일이 모듈 캐리어의 둘레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그 시일에 의해,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에 대한 모듈 캐리어의 시일링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모듈 캐리어는 실질적으로 유기 시트로 형성된다는 사실은, 이 경우, 유기 시트는 통상적인 작동 조건 하에서 작용하는 힘의 대부분을 받는 모듈 캐리어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는 특히, 창(window) 조절기의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이 제공되는 모듈 캐리어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유기 시트로 구성된 모듈 캐리어의 (결부된) 부분(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에 지탱됨) 또는 유기 시트로 구성된 모듈 캐리어의 복수의 부분(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에 지탱됨)은 모듈 캐리어의 영역의 예컨대 대략 30% 이상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특히, 유기 시트는 모듈 캐리어의 영역의 40% 이상, 일반적으로 적어도 40%에 걸쳐 연장될 수 있어, 유기 시트는 모듈 캐리어의 표면의 40% 이상, 또는 대략 50% 이상의 대응 부분을 차지한다. 유기 시트의 강도 이점을 충분히 이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유기 시트로 이루어지는 모듈 캐리어의 영역의 부분을 최대화하고자 한다. 모듈 캐리어에 있는 유기 시트의 다부분 형태가 여기서 배제되지 않는다.
모듈 캐리어의 주 구성품은 예컨대 패널형 반마무리 부품인데, 이는 유기 시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기 시트는 모듈 캐리어의 실질적으로 면 형태의 연장을 규정하지만, 추가 요소 또는 재료로 보충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 요소 및/또는 플라스틱 요소가 유기 시트에 포함되거나 그 유기 시트에 부착될 수 있다.
유기 시트는 무단 섬유로 보강되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고, 무단 섬유는 유리 섬유, 케블라 섬유, 탄소 섬유 또는 플라스틱 섬유로 구성된 레이(lay), 직물 또는 편직물의 형태로 열가소성 매트릭스 안에 매립된다. 매트릭스를 위한 적절한 열가소성 재료는 예컨대 폴리아미드인데, 이 폴리아미드는 섬유에 대한 양호한 부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단 섬유로 보강되는" 이라는 표현은,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섬유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패널형 유기 시트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유기 시트 내에서 불연속부를 갖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에는, 모듈 캐리어를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에 연결하고 또한 차량 도어의 기능 요소 및/또는 다른 요소를 모듈 캐리어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여러 종류의 접속부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부는 예컨대 모듈 캐리어를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개구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복수의 체결 개구, 스크류 보스(boss) 및/또는 베어링 점 및 표면이 모듈 캐리어에 형성되며, 이것들은 기능 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요소, 예컨대 도어 내부 라이닝을 의도 대로 모듈 캐리어에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능 요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 개구가 모듈 캐리어에 형성된다. 그리고 예컨대, 기능 요소 또는 기능 요소 자체의 일부분에 연결되는 부품이 모듈 캐리어를 통해 결합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종류의 통로 개구를 통해 모듈 캐리어를 통과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종류의 통로 개구는 작동 링크, 케이블 또는 (구동) 축을 통과시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유기 시트로 형성된 모듈 캐리어의 경우, 규정된 접속부 및/또는 통로 개구를 유기 시트 자체로 형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떤 한계 내에서만 가능한데, 왜냐하면, 유기 시트의 국부적인 변형은 인장력을 발생시키고 이 인장력은 섬유에 의해 모듈 캐리어를 통해 비교적 넓게 전파되기 때문이다. 또한, 유기 시트 자체로 형성된 통로 개구는 종종 원하는 정밀도 및 특히 산업적 대량 생산을 위해 자동차 분야에서 준수되어야 하는 좁은 허용 공차를 가지고 쉽게 제조될 수 없다.
DE 10 2010 053 381 A1에는, 유기 시트에서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몰디드-온 부분을 제공하는 것이 단순히 알려져 있다. 그러나,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의 주요 구성품으로 유기 시트를 사용할 때 생기는 어려움은 상기 문헌에서는 논의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실질적으로 유기 시트로 형성됨)를 더 개선하고 또한 특히 위에서 언급한 단점들을 줄이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모듈 캐리어 및 청구항 29에 따른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를 제안하며,
상기 모듈 캐리어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몰디드-온(molded-on) 부분이 제공되어 있고, 몰디드-온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 캐리어의 중심 영역의 경계를 이루고 또한 모듈 캐리어를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고/고정하거나 차량 도어의 다른 요소를 모듈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를 규정하고/규정하거나 상기 모듈 캐리어의 가장자리측 시일 요소를 수용하거나 형성하며,
적어도 상기 모듈 캐리어의 중심 영역에서, 모듈 캐리어에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몰디드-온 부분이 제공되어 있고,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모듈 캐리어에 고정되는 기능 요소를 위한 접속부를 규정하고/규정하거나 통로 개구를 규정하고/규정하거나 기능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먼저, 모듈 캐리어의 가장자리에서 또는 그 가장자리 근처에서 필요한 구조체를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하고, 이어서, 마찬가지로 모듈 캐리어의 중심 영역에서 접속부 및/또는 개구를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하고/형성하거나 기능 요소 자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상기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모듈 캐리어에 제공될 또는 요구되는 구조체, 특히, 상기 모듈 캐리어에 제공될 성형물, 오목부 및 개구가 그의 갯수 또는 공간적 변형의 정도 면에서 감소될 수 있고/있거나 큰 허용 공차로 형성될 수 있는데, 원하는 정밀도가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에 의해 보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로 모듈 캐리어의 대응하는 영역을 규정함에 있어, 유기 시트의 변형에 의해 가능한 경우 보다 더 쉽게 큰 위치가 얻어진다.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의 경우에, 열가소성 재료는 가장자리에 가까운 영역에 제공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모듈 캐리어의 가장자리의 일 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모듈 캐리어의 중심 영역에 있는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본 경우에, 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가 유기 시트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특히 그 자장자리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제 1(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 및 제 1 유형의 몰디드-온 부분을 위해 사용되는 열가소성 재료는 이 경우 제 2 내부 몰디드-온 부분 및 제 2 유형의 몰디드-온 부분을 위해 사용되는 열가소성 재료와 동일하다. 특히, 제조 방법, 사양 또는 발생 하중 및/또는 원하는 부품 특성에 따라, 제 1 및 2 몰디드-온 부분을 위한 플라스틱 재료는 다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설계 예에서, 일반적으로, 복수의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 및/또는 복수의 제 2 내부 몰디드-온 부분(각 경우 공간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음)이 모듈 캐리어에 제공된다. 예컨대, 모듈 캐리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접속부, 통로 개구 및/또는 기능 요소 또는 복수의 기능 요소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2 몰디드-온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설계 예에서,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은 상기 모듈 캐리어의 면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 예에서,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주 면을 따라 면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모듈 캐리어의 일 부분은 전체적으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다. 예컨대, 여기서,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은 완전히, 유기 시트가 없는 모듈 캐리어의 일 가장자리 영역을 형성한다. 여기서,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면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은 예컨대, 더 낮은 기계적 하중을 받거나 돌출된 공간적 구조체(유기 시트와 직접 관련하여 어렵게 제조될 수 있음)를 갖는 모듈 캐리어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순수하게 열가소성인 이러한 부분은 모듈 캐리어의 표면적의 심지어 1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은 모듈 캐리어의 전체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해서, 특히 모듈 캐리어의 둘레 시일 요소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개별적으로 장착되거나 몰딩되는 시일 요소를 위한 바람직하게는 채널형의 둘레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에는, 바람직하게, 모듈 캐리어를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인 적어도 하나의 체결 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 개구는 여기서 전체적으로, 이러한 목적으로 유기 시트 자체의 시트 가장자리가 형성될 접속부의 기능 표면의 일 부분을 형성함이 없이, 모듈 캐리어의 외부 가장자리의 영역에서 유기 시트 상에 몰딩되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유기 시트의 시트 가장자리에 개구가 제공될 수도 있는데, 상기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열가소성 재료가 유기 시트 상으로 또한 이를 통해 몰딩된다. 이 경우,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체결 개구의 치수는 유기 시트의 시트 가장자리에 있는 개구의 치수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더 좁은 허용 공차 범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접속부의 형성을 위해 유기 시트에 제공되어 있는 개구는, 열가소성 재료의 몰딩-온 전에, 접속부의 형성에 대해 그 접속부의 요구되는 위치 정밀도가 보장될 수 있기에 충분히 크도록 치수 결정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특히, 유기 시트의 변형으로 인한 예상 허용 공차가 나타난다.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에는, 도어 내부 라이닝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인 적어도 하나의 체결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은, 도어 구조체에의 고정 및 모듈 캐리어에 대한 도어 내부 라이닝의 고정 모두를 위한 체결 개구를 형성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은 확성기를 모듈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 및/또는 스크류 보스(boss)를 형성한다. 이러한 확성기용 접속부 및/또는 스크류 보스는 이 경우 특히,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고 면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에는, 케이블 또는 링크를 상기 모듈 캐리어를 통해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 개구 및/또는 창 조절기를 모듈 캐리어에 장착하기 위한 통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창 조절기의 장착을 위한 도구를 위한 통로 개구는, 도어 구조체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모듈 캐리어의 경우에, 그 도어 구조체 안으로 삽입된 창 유리가 창 조절기의 구동기에 연결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창 유리는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 내의 습식 공간 안으로 하강될 수 있고, 그 습식 공간은 일측에서 특히 도어 외부 패널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다른 측에서는 도어 내부 패널 및 도어 내부 패널에 장착되어 있는 모듈 캐리어의 외측면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그리고, 모듈 캐리어에 있는 폐쇄 가능한 설치 개구를 통해, 창 유리하게 연결될 구동기가 모듈 캐리어의 내측면(건식 공간 쪽을 향함)에서 접근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캐리어의 일 설계 예에서, 특히, 상기 유형의 통로 개구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모듈 캐리어 상에 형성된다.
제 2 내부 몰디드-온 부분, 즉 중심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몰디드-온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a) 창 조절기의 안내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그리/또는
b) 창 조절기의 구동기를 고정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c) 제어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d) 에어백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e)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한, 그리고/또는
f) 창 조절기의 견인 기구가 전환되는 전환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를 형성한다.
위에서 언급한 접속부는 이 경우 특히 체결 개구, 스크류 보스 및/또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베어링 표면을 포함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는 제 2 내부 몰디드-온 부분은 소리 절연 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소리 절연 벽은 바람직하게는, 창 조절기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해, 모듈 캐리어의 내측면(건식 공간 쪽을 향함)에 있는 창 조절기 구동기를 위한 베어링 점의 영역에 제공된다. 이러한 몰디드-온 소리 절연 벽은 예컨대 층 형태일 수 있는데, 따라서, 그렇게 실현되는 가요성 때문에, 미리 제작된 소리 절연 패드가 소리 절연 벽에 의해 규정되는 경계부의 내부에 쉽게 수용될 수 있다.
창 조절기의 전환 요소, 예컨대 창 조절기의 전환 요소 또는 전환될 견인 기구용 케이블 롤러를 위한 접속부의 경우, 일 설계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열가소성 재료가 유기 시트로 구성된 탄-아웃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턴-아웃 부분은 모듈 캐리어에서 슬리브형 돌출부르 형성할 수 있어, 그에 몰딩된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케이블 롤러를 위해 높은 하중 용량을 갖는 베어링 점이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케이블 전환력은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으로부터 유기 시트의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턴-아웃 부분에 직접 전달된다. 일 개량예에서, 유기 시트로 구성되는 탄-아웃 부분은 그의 자유 돌출 단부에서 불규칙한 윤곽을 갖는다. 예컨대, 자유 돌출 단부에는 톱니 및/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돌출 단부를 열가소성 재로로 내포하는 중에, 유기 시트와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 사이의 회전 고정된 연결이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는 접착 방식 뿐만 아니라 형상 잠금 방식으로도 턴-아웃 부분에 연결된다.
중심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케이블, (작동) 링크 및 /또는 창 조절기용 구동기의 구동축을 위한 통로 개구를 형성하며, 그래서 케이블,링크 및/또는 구동축은 그 통로 개구를 통해 모듈 캐리어를 통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창 조절기를 모듈 캐리어에 장착하기 위한 통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 및 제 2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은 각 경우 기능 요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 개구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를 형성한다. 일 설계 예에서, 예컨대, 창 조절기를 장착하기 위한 통로 개구는 유기 시트에 있는 개구(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가 있을 수 있음)에 의해 모듈 캐리어 상의 제 1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제 2 위치에서는, 상기 유형의 통로 개구가 전체적으로,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제 2 몰디드-온 부분으로 형성된다.
일 설계 예에서, 상기 중심 영역에 제공되어 있고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는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창 조절기의 안내 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 열가소성 재료가 유기 시트 상에 몰딩된 후에만 안내 레일이 완전히 제조된다. 여기서, 몰디드-온 플라스틱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안내 레일의 안내 프로파일을 형성하고, 안내 레일 상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구동기를 위한 트랙이 상기 안내 프로파일에 의해 미리 규정된다. 상기 유형의 안내 프로파일은 구동기가 주위에 결합되는 길이방향 연장 가장자리 웨브를 가지며, 이 웨브를 따라 구동기가 이 구동기에 연결되어 있는 창 유리의 조절을 위해, 즉 창 유리를 상승시키고 내리기 위해 변위 가능하게 안내된다. 예컨대, 안내 레일의 안내 프로파일은 소급적으로 몰딩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지만 안내 레일의 안정성 프로파일(창 조절기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힘을 수용함)은 유기 시트로 형성되므로, 안내 레일의 서로 다른 구성품이 기능적인 면에서 최적화된 방식으로 다른 재료로 모듈 캐리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설계 예에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연장 받침부가 모듈 캐리어에 형성되며, 이 받침부는 모듈 캐리어의 일 측면에서 융기된 방식으로 돌출해 있고 또한 예컨대 단일 케이블 또는 이중 케이블 창 조절기를 위한 안내 레일의 안정성 프로파일로서 이용된다. 그리고 열가소성 재료가 상기 길이방향 연장 받침부 상에 몰딩되며, 이 재료는 안내 레일의 안내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추가적으로, 받침부의 일 단부의 영역에 있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는 예컨대 강성 전환 요소 또는 케이블 롤러와 같은 전환 요소를 위한 베어링 점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는 베어링 점 뿐만 아니라 창 조절기의 가요성 견인 기구를 위한 강성 전환 요소를 형성한다.
전환 요소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를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하기 위해, 받침부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그 받침부에 인접하는 베어링부가 유기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그리고, 유기 시트의 베어링부(예컨대, 러그(lug)의 형태로 형성됨)에서, 전환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의 원하는 기하학적 형태 및 구조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설계 예에서, 형성된 베어링부 및 베어링부에 인접하는 유기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서로 오프셋된 면 내에 있고, 따라서 유기 시트에서 상기 영역과 베어링부 사이에 자유 공간이 있다. 따라서, 유기 시트는 유기 시트에 의해 걸쳐저 있는 주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베어링부의 형성을 위해 국부적으로 절단 개방되어 있는데, 예컨대 안으로 절단되어 있다. 베어링부의 형성의 결과, 절단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자유 공간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예컨대 차량 도어 내부에 있는 습식 공간과 건식 공간의 분리에 대해서는 불리하다. 베어링부와 인접 유기 시트 부분 사이의 오프셋이 모듈 캐리어의 가장자리 근처에 있는 영역에 존재하면, 도어 구조체에 대한 모듈 캐리어의 시일링 접촉을 위한 연속적인 시일 가장자리가 오프셋 때문에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일 설계 예에서, 유기 시트로 구성된 베어링부와 유기 시트로 구성되고 자유 공간에 인접하는 부분 사이에 존재하는 자유 공간은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폐쇄된다. 베어링부가 절단 개방 부분의 영역에서 유기 시트로부터 형성된 결과로 생기는 유기 시트에서의 오프셋은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보상된다.
일 가능한 개량예에서, 추가로, 접속부의 영역에서 모듈 캐리어의 강직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환 요소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를 형성하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강직화 구조체에 의해, 자유 공간을 폐쇄하는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유기 시트로 구성되고 자유 공간의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연결된다.
일 설계 예에서, 상기 받침부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받침부에 인접해 있는 유기 시트의 일 부분에는, 창 조절기 구동기의 조절 이동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스탑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설부의 형태로 또는 러그의 형태로 돌출해 있는 스탑 영역이 면 형태의 유기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스탑 영역에는, 구동기에 대한 스탑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몰디드-온 부분이 바람직하게 부착되고, 구동기에 연결된 창 유리가 최대한으로 하강 또는 상승되면 구동기가 스탑 요소에 접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유기 시트 및 이에 몰딩된 플라스틱 재료의 형성된 스탑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유형의 스탑 요소가 적어도 모듈 캐리어의 의도된 설치 상태에 대해 받침부의 하측 단부에 제공된다. 이렇게 해서, 창 유리의 최대 하강 위치가 규정된다.
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가 유기 시트로 구성된 돌출형 길이방향 연장 받침부에서 안내 레일의 안내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경우에, 열가소성 재료는 받침부의 유기 시트를 통해 몰딩될 수 있다. 여기서, 따라서 제조 공정 중에, 열가소성 재료는 모듈 캐리어의 일측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기 시트를 통해 몰딩되며, 따라서, 유기 시트의 일측면에는, 안내 프로파일을 위한 원하는 구조체가 형성되며, 동시에, 유기 시트의 반대 측면에도 열가소성 재료가 존재하게 된다. 유기 시트의 반대 측면에 존재에는 상기 열가소성 재료 상에, 안내 레일을 위한 강직화 구조체가 형성되도록 열가소성 재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강직화 구조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 몰딩된 안내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반대 측면에 몰딩된 강직화 구조체에 직접 연결된다.
모듈 캐리어의 양 측면에 형성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두 구조체를 유기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통과 몰딩에 의해 직접 연결하는 것에 대해 전술한 예는 안내 레일의 몰디드-온 부분과 관련해서만 자명하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모듈 캐리어의 제 1 측면에 있는) 사실상 어떤 원하는 접속부에서도, (모듈 캐리어의 반대 측면에 있는) 몰디드-온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가, 유기 시트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부적 통과 몰딩에 의해, 바로 그 접속부를 위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유기 시트를 열가소성 재료로 통과 몰딩히는 경우에, 플라스틱 재료가 관류할 수 있는 통로 개구가 이러한 목적으로 유기 시트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그러한 통로 개구가 없이도, 유기 시트는, 온도 및 압력이 대응적으로 선택된 경우에, 열가소성 재료가 유기 시트를 통해 몰딩될 수 있게 해준다.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가 유기 시트를 통과하게 될 영역이 의도 대로 유기 시트 상에 규정될 수 있도록, 감소된 벽 두께를 갖는 영역이 유기 시트에 제공될 수 있다.
유기 시트로 구성되는 형성된 길이방향 연장 받침부는 창 조절기를 위한 안내 레일의 일부분을 형성할 필요는 없음은 자명하다. 일 경우에, 상기 유형의 받침부는 단지 개별적으로 제조되는 안내 레일을 위한 접속부를 미리 규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안내점은 받침부에서 모듈 캐리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중량 감소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유기 시트로 구성되는 돌출형 길이방향 연장 받침부는 유기 시트로 구성되는 중실체(solid body)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상기 종류의 받침부는 박벽 유기 시트의 대응적인 변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래서 받침부는 모듈 캐리어의 일측면에서 돌출하고 채널형 오목부가 모듈 캐리어의 반대 측면에 형성된다. 이에 기반한 일 개량예에서, 받침부 및 채널의 국부적인 강직화를 위해,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가 채널 안으로 주입되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여기서,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는 제 2 내부 몰디드-온 부분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형의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또는 강직화 리브 또는 복수의 이러한 리브를 갖는 리브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 및 채널의 강직화를 위한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침부 또는 채널의 길이 연장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져 있다. 복수의 보강 또는 강직화 리브를 갖는 리브 구조체에 의해, 채널의 상호 반대 내벽들이 서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국부적인 강직화를 이루기 위해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에 주입되는 열가소성 재료로 충전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모듈 캐리어의 외부 가장자리를 기능 요소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에 연결하여, 외부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링 요소의 영역에서 모듈 캐리어의 강직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기능 요소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에 의해 모듈 캐리어의 시일링 가장자리의 강직성이 의도 대로 증가된다.
일 설계 예에서, 몰디드-온 열가소성 제료로 구성된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의 (강직화 또는 보강) 리브를 가지고 형성되고 또한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에 제공된다. 여기서,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접속부에서, 접속부의 체결 개구(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됨)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를 갖는다. 따라서, 하나의 동일한 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 또는 다른 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도어 끌어당김 손잡이의 고정을 위한 체결 개구 뿐만 아니라 복수의 리브를 갖는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가 존재하게 되며, 이에 의해, 작용 하중을 수용하기 위한 체결 개구의 영역에서 강직성이 증가된다.
위에서 이미 부분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 캐리어의 유기 시트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국부적 통과 몰딩에 의해,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의 지지를 위한 열가소성 재료가 유기 시트의 반대 측면에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시트의 일 측면에 형성된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의 열가소성 재료는 유기 시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한다. 이렇게 해서, 유기 시트에 대한 몰디드-온 부분의 개선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개량예에서, 유기 시트를 통과하는 부분은 반대 측면에 몰딩된 열가소성 재료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예컨대 기능 요소 또는 기능 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을 위한 접속부가 형성된다. 일 설계 예에서, 예컨대,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가 모듈 캐리어의 내측면에서 유기 시트에 몰딩된다. 상기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는 모듈 캐리어의 유기 시트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 몰딩에 의해,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의 체결점을 위한 열가소성 재료(모듈 캐리어의 외측면에서 유기 시트 상에 몰딩됨) 및/또는 이렇게 해서 체결점에서 외측면에 형성된 강직화 구조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연결된다.
일 설계 예에서, 모듈 캐리어의 유기 시트는 확성기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됨)에 인접하는 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벽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 캐리어의 주 면으로부터 각진 부분의 형태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안내 레일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듈 캐리어는 상기 주 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면 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벽은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2개의 접속부를 서로에 연결하고, 주 면에 대해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어 있음으로 해서, 안내 레일의 접속부를 지지하는, 유기 시트로 구성된 구조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주 면에 수직한 힘이 주로 상기 접속부에 작용하게 된다. 이 힘은 유기 시트로 구성된 지지 벽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제 1 몰디드-온 부분이 유기 시트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 부분 주위에 결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 1 및/또는 제 2 몰디드-온 부분이 유기 시트에 있는 통로 개구의 가장자리 주위에 결합할 수 있어, 각각의 가장자리는 열가소성 재료로 내포된다. 따라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는 유기 시트의 양 측면에서 각각의 가장자리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그래서 유기 시트와 열가소성 재료 사이의 개선된 연결을 보장해 준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적어도,
몰디드-온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 캐리어의 중심 영역의 경계를 이루고 또한 모듈 캐리어를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고/고정하거나 차량 도어의 다른 요소를 모듈 캐리어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를 규정하고/규정하거나 상기 모듈 캐리어의 가장자리측 시일 요소를 수용하거나 형성하기 위해, 상기 모듈 캐리어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열가소성 재료가 몰딩되어 있고,
모듈 캐리어에 고정되는 기능 요소를 위한 접속부를 규정하고/규정하거나 통로 개구를 규정하고/규정하거나 기능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모듈 캐리어의 중심 영역에, 동일하거나 다른 열가소성 재료가 유기 시트 상에 추가로 몰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캐리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어,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언급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캐리어의 설계 예의 이점과 특징적 사항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도 해당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 및 모듈 캐리어의 중심 영역에 제공되는 제 2 내부 몰디드-온 부분은 하나의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다른 종류의 몰디드-온 부분을 제조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대안적인 설계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몰디드-온 부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그리고 시간적으로 서로 분리된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조된다.
모듈 캐리어의 원하는 설계 및 특히 모듈 캐리어의 가장자리 또는 중심 영역에서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는 접속부 및/또는 통로 개구의 수에 따라, 열가소성 재료로 된 복수의 제 1 및/또는 제 2 몰디드-온 부분이 유기 시트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 1 및/또는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시간적 및/또는 공간적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모듈 캐리어에 제조될 수 있다.
모듈 캐리어의 유기 시트에 접속부 및/또는 통로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일 설계 예에서, 유기 시트의 외부 윤곽을 규정하는 유기 시트의 외부 가장자리 및/또는 유기 시트에 있는 개구의 가장자리는 열가소성 재료로 내포될 수 있고, 이렇게 해서, 열가소성 재로로 구성된 제 1 및/또는 제 2 몰디드-온 부분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컨대 제조될 모듈 캐리어를 위한 유기 시트 상에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해, 유기 시트는 열가소성 재료로 적어도 국부적으로 통과 몰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 및 상세를 도면에 근거하여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 논의할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도어 구조체 및 관련 도어 모듈의 모듈 캐리어를 내측면을 향해 본 것을 나타낸다.
도 1b는 기능 요소가 모듈 캐리어에 추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도 1의 배치를 외측면을 향해 본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b의 도어 모듈의 외측면의 확대도이다.
도 3a 및 3b는 도 2의 모듈 캐리어를 내측면을 향해(도 3a) 또한 외측면을 향해(도 3b) 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모듈 캐리어에 제공되어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몰디드-온 부분이 강조되어 있다.
도 4a 및 4b는 도 3a 및 3b를 창 조절기의 안내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를 향해 본 확대 상세도이다.
도 5a 및 5b는 도 3a 및 3b를 확성기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를 향해 본 확대 상세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캐리어의 추가 예시적 실시 형태를 외측면을 향해(도 6a) 또한 내측면을 향해(도 6b) 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모듈 캐리어에 제공되어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다른 몰디드-온 부분을 갖는다.
도 6c는 모듈 캐리어를 외측면을 향해 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기 시트 및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그의 구성품이 강조되어 있다.
도 7a 및 7b는 도 6a 내지 도 6c에 있는 모듈 캐리어의 유기 시트의 확대 상세도이다.
도 7c 및 7d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몰디드-온 부분이 제공되어 있는, 도 7a 및 7b에 도시되어 있는 유기 시트의 영역을 일부 영역을 나타낸다.
도 8a 및 8b는 도 6a 및 6b의 모듈 캐리어의 확대 상세도로, 케이블 롤러 형태의 전환 요소 및 이의 관련된 (고정) 볼트가 분해도로 나타나 있다.
도 9a는 도 6c의 유기 시트를 모듈 캐리어에 제공되어 있는 안내 레일을 위한 하측 영역을 향해 본 확대 상세도이다.
도 9b는 열가소성 재료가 유기 시트 상에 몰딩되어 있는 모듈 캐리어를 도 9a와 유사한 도로 나타낸다.
도 1a 및 1b는 도어 모듈(T) 및 도어 구조체(5)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의 주 요소를 도시한다. 도어 모듈(T)은 도어 구조체(5)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어 모듈(T)은 모듈 캐리어(1)를 포함하며, 도 1a 및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도어 모듈(T)이 도어 구조체(5)에 고정되기 전에, 도어 모듈(T)의 기능 요소가 상기 모듈 캐리어에 장착될 수 있다.
차량 도어가 차량에 의도대로 설치된 상황에서, 차량의 도어의 구성품으로서 도어 구조체(5) 및 도어 모듈(T)과 같은 상기 차량 도어는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갖는다. 내측면은 차량의 내부 공간 쪽을 향하고, 외측면은 차량 외부 쪽으로 향한다.
차량 도어가 차량에 의도대로 설치된 상황과 관련하여, 차량 도어 및 이의 요소에 대한 좌표계를 규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은 차량의 후방측으로부터 그의 전방측으로, 즉 전진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차량 횡 축선(y)은 차량의 두 상호 반대편 차량 도어 사이에서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차량 수직 축선(z)은, 차량 길이 방향 축선(x) 및 차량 횡 축선(y) 모두에 대해 수직이도록 규정된다. 차량 수직 축선(z)은 차량의 바닥으로부터 지붕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경우 도 1a는 도어 구조체(5) 및 도어 모듈(T)의 내측면을 도시하고, 도 1b는 도 1a의 배치의 외측을 나타내는데, 도 1a에 나타나 있지 않은 추가적인 기능 요소가 나타나 있다.
도어 구조체(5)는 창틀 구조체(50) 및 도어 케이스(51)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테에서, 창틀 구조체(50) 및 도어 케이스(51)는 도어 내부 패널(52)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그것들은 예컨대 플라스틱 요소 또는 복합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중턱 경계부(52)가 창틀 구조체(50)와 도어 케이스(51)를 서로 분리시킨다. 중턱 경계부(52)는 도어 구조체(5)의 전방측과 후방측 사이에서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중턱 경계부(52)는 예컨대 스탬핑 가공된 시트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케이스(51) 및 중턱 경계부(52)는 도어 구조체(5)에 있는 절취부(A)를 둘러싼다. 도어 모듈(T)이 도어 구조체(5)에 의도대로 고정된 경우에, 절취부(A)는 도어 모듈(T)로 덮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도어 구조체(5)와 함께 도어 모듈(T)은 공지된 방식으로 차량 도어의 습식 공간과 건식 공간을 서로 분리한다.
건식 공간은 도어 모듈(T)의 내측면의 전방에 위치되고 습식 공간은 도어 모듈(T)의 외측면의 전방에 위치된다. 특히, 습기에 민감하지 않은 차량 도어의 요소들은 습식 공간의 영역에 배치된다. 이와는 달리, 특히, 습기에 민감한 차량 도어의 요소들은 건식 공간의 영역에 배치된다.
도 1a의 도시에 대응적으로, 특히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서, 도어 내부 패널(510)에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접속부가 체결 개구(15)의 형태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체결 개구(15)는 본 경우에 모듈 캐리어(1)의 가장자리에서의 베이요넷 연결을 위해 설계되어 있다. 또한, 체결 개구(16)는 도어 내부 라이닝(여기서는 미도시)에의 연결을 위해 모듈 캐리어(1)의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있다. 도어 내부 라이닝에의 연결을 위한 체결 개구(16)는, 도어 내부 패널(510)에 대한 모듈 캐리어(1)의 연결을 위한 체결 개구(15)와 마찬가지로, 모듈 캐리어(1)의 가장자리 측 영역에 제공되어 있다.
모듈 캐리어(1)가 도어 구조체(5)에 시일링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시일 요소(2a, 2b)를 갖는 시일이 도듈 캐리어(1)의 가장자리를 따라 있다. 이 경우 시일(2a, 2b)은 2개의 시일 부분, 즉 모듈 캐리어(1)의 전방 가장자리, 하측 가장자리 및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의도된 설치 상태에 대해) 시일 요소(2a)의 U-형 부분, 및 모듈 캐리어(1)의 상측 가장자리(중턱부에 가까운)에 있는 시일 요소(2b)의 직선형 부분을 나누어져 있다. 또한, 모듈 캐리어에는, 도어 모듈(T)의 기능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부(13, 14, 17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접속부는 특히 확성기의 체결을 위한 접속부(13), 제어 유닛을 위해 복수의 체결 개구의 형태로 된 체결점(14), 및 에어백 센서를 위한 체결 개구를 갖는 체결점(17a)을 포함한다.
또한, 창(window) 조절기 구동기를 위한 베어링 점(19)이 모듈 캐리어(1)에 형성되어 있다. 이 베어링 점(19)은 창 조절기 구동기의 구동 모터를 의도 대로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 체결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그래서,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기(M1, M2)가 관련 안내 레일(FS1, FS2)을 따라 변위될 수 있고 또한 차량 도어의 창 유리가 외부 동력에 의해 하강 또는 상승될 수 있다. 도어 모듈(T)의 기능 요소인 상기 안내 레일(FS1, FS2)은 도 1b 및 2에 도시되어 있다.
구동기(M1, M2)는, 안내 레일(FS1, FS2)을 따르는 조절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케이블 풀(pull)(Z) 형태의 가요성 견인 기구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창 조절기 구동기의 구동 모터가, 십자형 케이블 풀(Z)을 감고 풀어 구동기(M1, M2)를 변위시키기 위해,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블 드럼을 구동시킨다. 창 조절기 구동기의 케이블 드럼은 베어링 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어링 판은, 구동 모터를 위한 베어링 점(19A)의 영역에서 모듈 캐리어(1)의 반대편 외측면에 고정되고, 본 경우에 실질적으로 삼각형 윤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어 유닛을 위한 체결점(14), 에어백 센서를 위한 체결점(17a) 및 베어링 판을 위한 체결점은 본 경우에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를 위한 체결점(17b)과 함께 모듈 캐리어(1)의 중심 영역에 제공된다.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의 고정을 위한 통로 개구 외에도, 체결점(17b)은, 체결 개구에 대해 방사형으로 있는 복수의 강직화 리브에 의해 강직화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렇게 해서, 모듈 캐리어(1)는 차량 도어가 닫히는 중에 발생되어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를 통해 모듈 캐리어(1)에 전달되는 힘을 충분히 견디기 위해 국부적으로 강직화된다.
특히 도 3a, 3b, 4a, 4b, 5a 및 5b의 추가 도시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듈 캐리어(1)는 실질적으로 면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유기 시트(organo sheet)(O)로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형 구조체 및 특히 통로 개구가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상기 유기 시트(O)에 형성되어 있다. 유기 시트(O)의 구조화 및 유기 시트(O)에 통로 개구의 제공은, 여기서 모듈 캐리어(1)를 도어 구조체(5)에 고정시키고 또한 도어 내부 라이닝을 고정시키며 또한 예컨대 안내 레일(FS1, FS2)과 같은 도어 모듈(T)의 기능 요소가 고정되는 모듈 캐리어(1)의 접속부를 규정하는 역할을 한다. 유기 시트(O)의 변형으로 인해 유기 시트(O) 내에 발생되는 응력을 줄이고 또한 모듈 캐리어(1)에 있는 개별 개구의 치수에 대한 더 좁은 허용 공차를 더 쉽게 얻고 또한 모듈 캐리어(1)의 제조를 최적화하기 위해, 열가소성 재료가 다양한 위치에서 유기 시트(O) 상에 몰딩된다. 그리고, 여기서 이는, 개별 접속부, 특히, 체결 개구, 지지 및 강직화 구조체 및 시일 요소(2a, 2b)가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대응하는 몰디드-온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이다.
여기서, 열가소성 재료는 에워싸는 형태로 일측에서 유기 시트(O)의 가장자리에 몰딩되며, 그래서 모듈 캐리어(1)의 가장자리는 상기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다. 다른 측에서, 또한 유기 시트(O)의 중심 영역, 즉 시트 가장자리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영역에,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복수의 추가적인 몰디드-온 부분이 제공되어 있는데, 이는 특히 제어 유닛을 위한 체결점(14), 에어백 센서를 위한 체결점(17a),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를 위한 체결점(17b), 다양한 목적을 위한 통로 개구(10a - 10f 및 100a - 100h), 및 지지 및 강직화 구조체(11)를 형성한다.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은 이 경우 시일 요소(2a, 2b)에 인접하는 표면 부분(A1 - A3)을 형성한다. 모듈 캐리어(1)의 상기 영역에는 유기 시트(O)가 없고, 대신에, 유기 시트(O)의 가장자리는 열가소성 재료로 내포되어, 유기 시트(O)를 보충하고 또한 모듈 캐리어(1)의 표면을 함께 규정하는 부분이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표면 부분(A1, A2, A3)에는, 각 경우 적어도 시일 요소(2a, 2b)의 일부분 뿐만 아니라, 도어 내부 패널(510)에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 부분(A1)에는, 확성기를 위한 접속부(13), 즉, 특히 확성기가 삽입되고 이 확성기가 고정되는 가장자리를 갖는 큰 면적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는, 가장자리 측에 몰딩되어 있는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추가 표면 부분(A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추가 표면 부분은 본 경우에 유기 시트 부분 위의 층으로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는 특히 도어 내부 패널(510)에의 연결을 위한 체결 개구(15)를 형성한다. 그러나, 여기서, 유기 시트(O) 상의 다른 위치에서 처럼, 플라스틱 재료가 유기 시트에 몰딩되기 전에 이미 통로 개구가 유기 시트(O)에 존재한다. 그러나, 여기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의 결과로서만, 각각의 체결 개구(15, 16)가 원하는 좁은 허용 공차 범위를 가지고 형성된다.
이는 접속부(17a)의 체결 개구 및 이에 인접하는 가장자리 영역과, 제어 유닛을 위한 체결점(14)에 있는 통로 개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이 경우, 모듈 캐리어(1)에 제공되고 예컨대 케이블 또는 연결 부품이 모듈 캐리어(1)를 통과해 안내되게 하는 추가 통로 개구(100a - 100c, 10d, 10e)가 또한 모듈 캐리어(1)의 가장자리에서 떨어져 몰딩되어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다.
베어링 점(19)의 영역에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창 조절기 구동기의 구동 모터의 구동축을 위한 통로 개구(100f) 뿐만 아니라, 베어링 판(M)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 개구(10f)가 상기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는 이 경우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서 연장되어 있어, 그에 의해, 구동축을 위한 중심 배치 통로 개구(100f)의 가장자리가 창 조절기 구동기의 베어링 판(M)을 위한 체결 개구(10f)의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또한, 베어링 점(19)에는, 소리 절연 벽(190)의 형태의 기능 오소가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소리 절연 벽(190)은, 창 조절기 구동기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해 베어링 점(19) 주위에 완전히 에워싸는 방식으로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 있다.
유기 시트(O) 상에 몰딩되는 예컨대, 폴리아미드와 같은 열가소성 재료는 이 경우 안내 레일(FS1, FS2)의 체결을 위한 접속부를 규정한다. 여기서, 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베어링 또는 지지 표면(10aa, 10bb, 10cc)이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모듈 캐리어(1)의 반대편 내측면에서, 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는 스크류 보스(boss)를 갖는 각각의 체결점(10a, 10b, 10c)을 형성하고, 동시에 이는 복수의 리브를 갖는 지지 및 강직화 구조체(11)에 이어져 있다.
상기 지지 및 강직화 구조체(11)는 또한 공구가 구동기(M1, M2)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통로 개구(100g, 100h)에 연결되어 있다. 이 통로 개구(100g, 100h)(이의 최종 치수는 마찬가지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미리 규정됨)는, 도어 모듈(T)이 도어 구조에(5)에 부착된 후에, 구동기(M1, M2)가 의도된 방식으로 건식 공간 측에서 조절 대상 창 유리에 연결될 수 있게 해준다. 이 경우 통로 개구(100g, 100h)는, 습식 공간과 건식 공간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해,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고 끼워질 수 있는 덮개 요소(여기서는 미도시)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체결 개구(15)에서 고정이 수행되기 전에, 도어 모듈(T)이 도어 구조체(5)에 부착되는 중에, 모듈 캐리어(1)를 원하는 상대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복수의 위치 잡기 페그(peg)(101)가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잡기 페그(101)는 도어 구조체(5)에 있는 관련 개구에 결합하여 도어 모듈(T)이 최종적으로 고정될 때까지 그 도어 모듈을 유지시킨다.
시일(2a, 2b)의 영역에서 모듈 캐리어(1)의 강직성을 증가시켜 모듈 캐리어(1)의 시일 가장자리의 강직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큰 면적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리브형 지지 및 강직화 구조체(11)에 의해, 몇몇 위치에서, 안내 레일(FS2)을 위한 체결점(10a - 10cc)의 형태로 된 접속부 및 제어 유닛을 위한 체결점(14)의 형태로 된 접속부 및 모듈 캐리어(1)의 내부 영역 형태의 접속부가 의도된 방식으로 모듈 캐리어(1)의 외부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도 4a 및 4b의 상세 도시는 예컨대 특히,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를 위한 체결점(17b)의 영역에 있는 몰디드-온 강직화 구조체(11)를 나타내며, 이 강직화 구조체는 체결 개구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리브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도, 베어링 또는 지지 표면(10bb, 10cc) 및 안내 레일(FS2)을 위한 체결점(10b, 10c)에 있는 스크류 보스가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예컨대, 체결점(17b)의 열가소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은 유기 시트(O)를 통해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 몰딩될 수 있다.
강직화 구조체(11)가 다음에 반대편 내측면에 추가로 몰딩될 수 있어, 체결점(17b)의 몰디드-쓰르우 열가소성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직화 구조체(11)의 열가소성 재료에 직접 연결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강직화 구조체(11)가 먼저 내측면에 몰딩되는 것도 기본적으로 가능한데, 이 경우, 이를 위해 몰딩되는 열가소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은 유기 시트(O)를 통해 몰딩된다. 다음에 반대편 외측면에서 체결점(17b)을 위해 열가소성 재로를 몰딩하는 중에, 마찬가지로, 2개의 몰디드-온 구조체(17b, 11)의 직접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유기 시트의 적어도 부분적인 쓰르우-몰딩과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한 두 예는 이 경우 다른 접속부에도 자명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a 및 5b의 상세 도시는 먼저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표면 부분(A1)을 더 상세히 나타내고, 이 표면 부분은 특히 확성기를 위한 접속부(13)를 형성한다. 여기에는 베어링 또는 지지 표면(10bb, 10cc) 및 안내 레일(FS1)을 위한 체결점(10c)의 스크류 보스가 또한 나타나 있다.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는, 유기 시트(O)에 의해, 안내 레일(FS1)을 위한 지지 표면(10cc)에 의해 규정되는 접속부를 위한 지지부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유기 시트(O)는, 유기 시트(O)에 의해 걸쳐져 있는 주면 밖으로(본 경우에는 그 주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각진 부분으로서 연장되어 있는 벽(102)을 가지며, 이 벽은 몰디드-온 표면 부분(A1)을 몰디드-온 베어링 또는 지지 표면(10cc)에 연결하고 그 몰디드-온 표면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도 6a - 6c, 7a - 7d, 8a - 8b 및 9a - 9b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캐리어(1)의 추가 설계 변형예를 나타낸다. 모듈 캐리어(1)의 동일한 요소는 이 경우 대응하는 참조 번호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도 6a 내지 9b의 모듈 캐리어(1)에서, 유기 시트(O)에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은 도어 내부 패널(510)에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 개구(15)를 형성한다. 본 경우,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용부(12)(예컨대 채널의 형태로 되어 있음)가 모듈 캐리어(1)의 가장자리(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됨)에 제공되어 있다. 개별적으로 만들어진 시일링 요소(2a)가 상기 수용부(12)에 삽입될 수 있고, 또는 시일링 요소(2a)가 다음 사출 성형 공정에서 그 수용부 안에 몰딩된다.
도 1a 내지 5b의 위에서 논의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여기서 또한, 복수의 통로 및 체결 개구와 스크류 보스(10d, 10f, 100b, 100f, 100g, 100h, 17a)가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O)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변형예에서, 구동기(M1)를 창 유리에 연결하기 위한 통로 개구(100h)가 유기 시트(O)에 있는 개구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다른 구동기(M2)를 창 유리에 연결하기 위한 추가 통로 개구(100g)는 전체적으로 유기 시트(O) 상에 몰딩되어 있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다.
통로 개구(100b, 100g), 스크류 보스(10d) 및 위치 잡기 페그(101)가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표면 부분(A5)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표면 부분(A5)은 가장자리 부분(R5)을 내포하도록 유기 시트(O)의 가장자리(R)의 가장자리 부분(R5)에 몰딩되어 있다. 여기서 표면 부분(A5)은 모듈 캐리어(1)의 표면이 1/10 이상, 본 경우에는 심지어 1/8 이상을 차지하고, 또한 완전히 모듈 캐리어(1)의 네 코너 중의 하나를 형성한다.
모듈 캐리어(1)의 반대편 코너 영역에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추가 표면 부분(A1)이 제공되어 있다. 이 표면 부분은 마찬가지로 가장자리 부분(R1)을 내포하도록 유기 시트(O)의 가장자리(R)의 가장자리 부분(R1)에 몰딩되어 있다. 이 경우, 추가 표면 부분(A1)은, 복수의 체결 개구(15), 위치 잡기 페그(101) 및 에워싸는 시일 요소(2a)를 위한 수용부(12)의 일부분 외에도, 확성기를 위한 체결점(13)을 형성한다.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표면 부분(A1, A2)에 의해, 모듈 캐리어의 표면의 상당 부분, 본 경우에는 그 표면의 적어도 1/8이 열가소성 재료 만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모듈 캐리어(1)는 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부여되는 최종 형상을 갖는다. 본 경우에도, 부분적으로, 다양한 면에서 유기 시트(O)에 의해 걸쳐지는 부분은 의도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는 특히 도 6c에 기초하여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몰디드-온 영역 및 미리 규정된 구조를 갖는 유기 시트(O)는 분해도로 나타나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특히, 유기 시트(O)의 가장자리(R)는 복수의 절개부 또는 절취부(3a),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부착 영역(3d) 및 나중에 내포되는 가장자리 부분(R1,R5)을 가지며, 그 결과 유기 시트(O)는 직사각 형상에서 크게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모듈 캐리어(1)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윤곽이 처음으로 몰디드-온 표면 부분(A1, A5)에 의해 얻어진다.
본 경우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2개의 받침부(S1, S2)가 도 6a 내지 9b의 유기 시트(O)에 형성된다. 이것들은 외측면에서 모듈 캐리어(1)에서 돌출해 있고, 모듈 캐리어(1)의 의도된 설치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z)을 따라 설치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돌출형 받침부(S1, S2)는 이 경우 한 안내 레일(FS1*, FS2*)의 안정성 프로파일을 형성한다. 창 조절기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횡방향 힘의 대부분은 상기 안정성 프로파일(S1, S2)에 의해 유기 시트(O)에 전달된다.
구동기(M1, M2)를 안내 레일(FS1*, FS2*) 상에서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한 안내 프로파일(FP1, FP2)이 제공되어 있다. 이 안내 프로파일(FP1, FP2)은 본 경우에 각각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두 안내 레일(FS1*, FS2*)의 안내 프로파일(FP1, FP2)은 받침부(S1, S2) 또는 그에 의해 형성된 안정성 프로파일에 의해 몰딩된다. 이렇게 해서, 안내 레일(FS1*, FS2*)에 의해 수행될 다른 기능들이 한편으로 유기 시트(O)으로 구성된 안정성 프로파일(S1, S2) 및 다른 한편으로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안내 프로파일(FP1, FP2)에 의해 다른 재료 및 영역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되는 재료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구조체에 의해 의도된 기능적 분리가 있게 된다.
특히 받침부(S1, S2)의 영역에서 모듈 캐리어(1)의 강직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6b에 대응하여, 강직화 구조체(11)가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 몰딩된다. 모듈 캐리어(1)의 반대편 외측면에 받침부(S1, S2)가 형성되어 있는 결과, 각 격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 채널(K1 또는 K2)이 모듈 캐리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십자형 리브를 갖는 강직화 구조체(11)는 상기 채널에 몰딩되며, 이렇게 해서, 특히 각각의 채널(K1, K2)의 상호 반대편 내벽들이 서로에 연결된다.
이 경우, 내측면에 있는 강직화 구조체(11)의 열가소성 재료의 일부분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O)를 통해 몰딩될 수 있다. 이어서 각각의 안내 프로파일(FP1 또는 FP2)이 관련 받침부(S1 또는 S2) 상에만 몰딩되면, 안내 프로파일(FP1, FP2)의 열가소성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직화 구조체(11)의 몰디드-쓰르우 열가소성 재료에 직접 연결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먼저 안내 프로파일(FP1, FP2)이 각각의 받침부(S1 또는 S2)에 몰딩되는 것도 기본적으로 가능한데, 이 경우, 이를 위해 몰딩되는 열가소성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은 유기 시트(O)를 통해 몰딩된다. 다음에 반대편 내측면에서 강직화 구조체(11)를 몰딩하는 중에, 마찬가지로, 두 몰디드-온 구조체(FP1, 11 또는 FP2, 11)의 직접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7a 내지 7d의 상세 도시는 모듈 캐리어(1)의 안내 레일(FS2*)의 상측 단부에 있는 영역을 더 상세히 도시한다. 여기서, 도 7a 및 7b는 먼저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 없이 이 경우에 존재하는 유기 시트(O)의 상세를 모듈 캐리어(1)의 외측 및 내측을 향해 본 것을 나타낸다. 받침부(S2)에 인접하는 유기 시트(O)로 구성된 부분에는, 베어링 러그(30) 형태의 베어링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나중에 창 조절기의 케이블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베어링 러그(30)에는, 베어링 러그(30)의 내측면에서 돌출해 있는 칼라(3cc)를 갖는 보어 또는 구멍(3c)이 형성되어 있고, 그 칼라는 유기 시트(O)로 형성된다. 상기 구멍(3c) 안에는 베어링 슬리브(H)가 삽입되고, 이 베어링 슬리브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구멍(3c)에 고정된다. 그래서 베어링 슬리브(H)는 케이블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c 및 7d의 확대도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베어링 러그(30)를 둘러싸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는 상기 영역에서 표면 부분(A5) 및 몰디드-온 안내 프로파일(FP2)의 플라스틱 재료 안으로 이음매 없이 이어져 있다. 또한, 상기 영역에서 유기 시트(O)에 형성되는 구조체들 사이의 오프셋은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보상된다. 따라서, 유기 시트(O)에는, 특히 베어링 러그(30) 및 이 베어링 러그에 인접하는 부착 영역(3d)의 영역에서, 유기 시트(O)의 복수의 영역들은 공통 면 내에 있지 않고, 특히, 유기 시트(O)에 의해 걸쳐져 있는 모듈 캐리어(1)의 주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다. 여기서, 이러한 유형의 오프셋은 가장자리 측에 몰딩되어 있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보상되고, 특히, 직선형 시일링 채널(시일링 면에 위치되어 있는 인접 부분에 인접함)이 수용부(12)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특히, 유기 시트(O)의 서로 인접하는 영역 사이의 자유 공간(유기 시트(O)의 국부적인 개방 절단 및 및 재료 영역(예컨대, 베어링 러그(30))의 추후 형성의 결과로 생김)이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폐쇄된다. 또한, 베어링 러그(30)의 영역에 몰딩되는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베어링 점(18a)이 형성되고, 복수의 강직화 웨브 또는 리브를 갖는 강직화 구조체(11)가 형성된다.
도 8a 및 8b의 상세 도시는, 안내 레일(FS1*)의 상측 단부의 영역에서 케이블 롤러(SR)를 베어링 점(18a)(열가소성 제료로 형성됨)에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베어링 러그(30)는 가장자리 가까이에 있는 안내 레일(FS1*)을 위한 받침부(S1)의 그 단부에서도 유기 시트(O)에 의해 형성된다. 케이블 롤러(SR)를 위한 베어링 점(18a)을 슬리브형 돌출부로 형성하기 위해, 열가소성 재료가 베어링 러그(30) 상에 몰딩된다. 강직화를 위해, 베어링 러그(30)는 강직화 구조체(11)의 복수의 리브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백 몰딩된다. 케이블 풀(Z)의 전환을 위한 케이블 롤러(SR)가 베어링 점(18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베어링 점은 도 7a 내지 7d에 따른 베어링 점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케이블 롤러(SR)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베어링 점(18a)의 슬리브형 돌출부에 장착되며, 클립-온 볼트(B)에 의해 축방향으로 그 돌출부에 고정된다.
도 9a 및 9b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표면 부분(A1) 및 안내 레일(FS1*)의 하측 단부의 확대 상세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9a 및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부(S1)에 인접하는 유기 시트(O)로 구성된 영역에는 유기 시트(O)의 형성된 재료 영역에 의해 스탑 영역(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탑 영역은 이 경우, U-형 절단에 의해 유기 시트(O) 안으로 절단되어 있고 유기 시트(O)에 걸쳐져 있는 주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스탑 러그(31)로서 형성되어 있다.
안내 레일(FS1* 또는 FS2*)을 따르는 구동기(M1 또는 M2)의 하한 조절 위치를 규정하는 스팁 요쇼(18c)를 형성하기 위해, 열가소성 재료가 스탑 러그(31) 상에 몰딩된다. 이 플라스틱 재료는, 구동기(M1, M2)의 조절 방향으로 있는 지지 구조체(18cc)를 형성하고 여기서, 스탑 러그(31)가 유기 시트(O)로부터 형성된 결과 형성되는 자유 공간을 채운다. 이렇게 해서, 유기 시트(O)에서 베어링 러그에 인접하는 영역에 연결되는 베어링 러그(31)가 그의 위치에서 안정화된다.
추가 케이블 롤러를 위한 추가 베어링 점(18b)을 규정하기 위한 턴-아웃 부분(103)이 유기 시트(O)에서 받침부(S1)의 길이 연장 방향에 대해 횡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턴-아웃 부분(103)은 그의 자유 돌출 단부에서 불규칙한 윤곽을 가지고 있다. 본 경우, 그 단부는 복수의 톱니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해서, 유기 시트(O)로 구성된 턴-아웃 부분(103)에 대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의 개선된 회전 고정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탄-아웃 부분(103)은 접착제 뿐만 아니라 형상 잠금 방식으로도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에 연결된다.
형성된 영역을 이미 적어도 부분적으로 갖는 유기 시트(O)와, 비교적 넓은 영역에 걸쳐 부분적으로 상기 유기 시트에 몰딩되는 열가소성 재료의 영역의 조합에 의해, 먼저 기능 요소 및 시일 가장자리를 위한 접속부와 통로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비교적 작은 중량을 가지며 로딩(loading)에 대해 더 용이하게 최적화될 수 있는 모듈 캐리어(1)를 만들 수 있다. 통로 개구 및/또는 체결 개구는 유기 시트(O) 자체에 의해 형성될 필요가 없거나 적어도 배타적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고 대신에 그에 몰딩되는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좁은 허용 공차를 갖는 통로 개구와 체결 개구가 열가소성 재료에 의해 더 쉽게 실현될 수 있다.
1 모듈 캐리어
100a - 100h 통로 개구
101 위치 잡기 페그(peg)(접속부)
102 벽
103 턴-아웃 부분
10a, 10b, 10c 안내 레일을 위한 체결점(접속부)
10aa, 10bb, 10cc 베어링/지지 표면(접속부)
10d, 10e 체결 개구/스크류 보스(접속부)
10f 창 조절기 구동기를 위한 체결 개구(접속부)
11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
12 시일 수용부
13 확성기를 위한 체결점(접속부)
14 제어 유닛을 위한 체결점(접속부)
15 도어 내부 패널에의 연결을 위한 체결 개구(접속부)
16 도어 내부 라이닝을 위한 체결 개구(접속부)
17a 에어백 센서를 체결점(접속부)
17b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를 위한 체결점(접속부)
18a, 18b 전환 요소를 위한 베어링점(접속부)
18c, 18d 스탑 요소
18cc 스탑 요소를 위한 몰디드-온 지지 구조체
19 창 조절기 구동기를 위한 베어링 점
190 소리 절연 벽(기능 요소)
2a, 2b 시일 요소
30 베어링 러그(베어링부)
31 스탑 러그(스탑 영역)
3a 절취부
3b 슬리브형 돌출부/테두리 구멍
3c 구멍
3cc 칼라
3d 부착 영역
5 도어 구조체
50 창틀 구조체
51 도어 케이스
510 도어 내부 패널
52 중턱 경계부
A 절취부
A1 - A5 몰디드-온 가장자리측 표면 부분
B 볼트
FP1, FP2 안내 프로파일
FS1, FS1*, FS2, FS2* 안내 레일
H 베어링 슬리브
K1, K2 체널
M 케이블 드럼을 갖는 베어링 판
M1, M2 구동기
O 유기 시트
R 유기 시트의 가장자리
R1, R2, R5 가장자리 부분
S1, S2 받침부/안정성 프로파일
SR 케이블 롤러(전환 요소)
T 도어 모듈
Z 케이블 풀(견인 기구)

Claims (30)

  1.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FS1, FS1*, FS2, FS2*, M, Z)가 모듈 캐리어(1)에 고정되고, 상기 모듈 캐리어(1)는 유기 시트(organic sheet)(O)로 형성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시일링 요소(2a, 2b)를 갖는 둘레 외부 가장자리에 의해 경계가 결정되며, 상기 모듈 캐리어(1)에는,
    모듈 캐리어(1)를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5)에 고정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FS1, FS1*, FS2, FS2*, M, Z) 또는 도어 모듈(T)의 다른 요소를 모듈 캐리어(1)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부(15; 10a - 10f, 13, 14, 16, 17a, 17b, 18a, 18b, 19, 101)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모듈 캐리어(1)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몰디드-온(molded-on) 부분이 제공되어 있고, 몰디드-온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 캐리어(1)의 중심 영역의 경계를 이루고 또한 모듈 캐리어(1)를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5)에 고정하거나 차량 도어의 다른 요소를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15)를 규정하거나 또는 상기 모듈 캐리어(1)의 가장자리측 시일 요소(2a, 2b)를 수용하거나 형성하며,
    적어도 상기 모듈 캐리어(1)의 중심 영역에서, 모듈 캐리어(1)에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몰디드-온 부분이 제공되어 있고,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모듈 캐리어(1)에 고정되는 기능 요소(FS1, FS2, M, Z)를 위한 접속부(10a - 10f; 10aa, 10bb, 10cc, 14, 17a, 17b, 18a, 18b)를 규정하거나 통로 개구(100a - 100h)를 규정하거나 또는 기능 요소(FS1*, FS2*)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형성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은 상기 모듈 캐리어(1)의 면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A1 - A5)을 형성하거나 모듈 캐리어(1)의 전체 외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에는,
    모듈 캐리어(1)를 도어 구조체(5)에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인 적어도 하나의 체결 개구(15), 또는
    도어 내부 라이닝을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인 적어도 하나의 체결 개구(16)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시일링 요소(2a, 2b)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2)를 형성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은 확성기를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13) 또는 스크류 보스(boss)(10d)를 형성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측 몰디드-온 부분에는, 케이블 또는 링크를 상기 모듈 캐리어(1)를 통해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로 개구(100b, 100g) 또는 창 (window) 조절기를 모듈 캐리어(1)에 장착하기 위한 통로 개구(100g)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창 조절기의 안내 레일(FS1, FS2)을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10a - 10c, 10aa, 10bb, 10cc),
    창 조절기의 구동기(M)를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10f),
    제어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14),
    에어백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17a),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17b),
    창 조절기의 견인 기구(Z)가 전환되는 전환 요소(SR)를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18a, 18b), 또는
    소리 절연 벽(190)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전환 요소(SR)를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18b)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유기 시트로 구성되고 자유 돌출 단부에서 불규칙한 윤곽을 가지고 있는 탄-아웃 부분(103)에 제공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케이블 또는 링크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 개구(100a - 100f)를 형성하거나, 창 조절기용 구동기(M)의 구동축을 모듈 캐리어(1)를 통해 형성하거나, 또는 창 조절기를 모듈 캐리어(1)에 장착하기 위한 도구를 위한 통로 개구(100g - 100h)를 형성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창 조절기의 안내 레일(FS1*, FS2*)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FP1, FP2)을 형성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안내 레일(FS1*, FS2*)의 안내 프로파일(FP1, FP2)을 형성하고, 안내 레일(FS1*, FS2*) 상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구동기(M1, M2)용 안내 트랙이 상기 안내 프로파일에 의해 미리 규정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로파일(FP1, FP2)은 상기 안내 레일(FS1*, FS2*)의 안정성 프로파일(S1, S2) 상에 몰딩되어 있고, 안정성 프로파일은 창 조절기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힘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또한 모듈 캐리어(1)에서 돌출해 있고 유기 시트(O)로 구성된 길이방향 연장 받침부(S1, S2)로 형성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로파일(FP1, FP2)을 위한 열가소성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돌출해 있는 길이방향 연장 받침부(S1, S2)의 유기 시트(O)를 통해 몰딩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받침부(S1, S2)에 인접하는 베어링부(30)가 상기 유기 시트(O)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30)에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몰디드-온 부분에 의해, 전환 요소(SR)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18a, 18b)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형성된 베어링부(30) 및 베어링부에 인접하는 유기 시트(O)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3d)은 서로 오프셋된 면 내에 있고, 따라서 유기 시트에서 상기 영역과 베어링부 사이에 자유 공간이 있으며, 자유 공간은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폐쇄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요소(SR)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18a, 18b)를 형성하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는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강직화 구조체(11)에 의해, 상기 자유 공간을 폐쇄하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자유 공간의 경계를 이루며 유기 시트(O)로 구성된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길이 연장 방향을 따라 받침부(S1, S2)에 인접해 있고 구동기(M1, M2)의 조절 이동의 범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하는 스탑 영역(31)이 상기 유기 시트(O)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탑 영역(31)에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구동기(M1, M2)에 대한 스탑 요소(18c)를 형성하기 위한 몰디드-온 부분이 제공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캐리어(1)의 기능 요소인 안내 레일(FS1*, FS2*)의 적어도 일 부분은, 모듈 캐리어(1)에서 돌출해 있고 유기 시트(O)로 구성되어 있는 길이방향 연장 받침부(S1, S2)로 형성되어 있고, 또는 모듈 캐리어(1)에서 돌출해 있고 유기 시트(O)로 구성되어 있는 길이방향 연장 받침부가 상기 안내 레일(FS1, FS2)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를 규정하며,
    상기 받침부(S1, S2)는 모듈 캐리어(1)의 제 1 측면에서 돌출해 있고 모듈 캐리어(1)의 반대편 제 2 측면에서는 길이방향 연장 채널(K1, K2)을 규정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하중 지지 용량 또는 강직성을 국부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11)를 형성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에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모듈 캐리어(1)의 제 2 측면에 있는 길이방향 연장 채널(K1, K2)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또는 강직화 규조체(11)를 형성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11)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링 요소(2a, 2b)의 영역에서 모듈 캐리어(1)의 장직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능 요소(FS1, FS2, M, Z)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를 상기 외부 가장자리에 연결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11)의 열가소성 재료의 적어도 일 부분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O)를 통해 몰딩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11)는,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O)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국부적 쓰르우-몰딩(through-molding)에 의해, 안내 레일(FS1*, FS2*)의 일 부분(FP1, FP2)을 위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24.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갖는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11)가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17b)에 제공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11)는,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17b)에서, 접속부(17b)의 몰디드-온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체결 개구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리브를 가지고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또는 강직화 구조체(11)는 모듈 캐리어(1)의 두 상호 반대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가지고 연장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2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 접속부에 인접하고 확성기의 고정을 위한 모듈 캐리어(1)의 벽(10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 캐리어(1)의 주 면으로부터 각진 부분의 형태로, 몰디드-온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안내 레일(FS1)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10cc)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듈 캐리어(1)는 상기 주 면을 따라 면 형태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모듈 캐리어(1)의 벽(102)은 안내 레일(FS1)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10cc)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2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또는 제 2 몰디드-온 부분이 적어도 일 부분에서 유기 시트(O)의 가장자리(R1, R2, R5) 또는 유기 시트(O)에 있는 통로 개구(100a - 100h)의 가장자리 주위에 결합하며, 그래서 각각의 가장자리가 상기 적어도 일 부분에서 열가소성 재료로 내포되어 있는,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29.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FS1, FS1*, FS2, FS2*, M, Z)가 모듈 캐리어(1)에 고정되고, 상기 모듈 캐리어(1)는 유기 시트(O)로 형성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시일링 요소(2a, 2b)를 갖는 둘레 외부 가장자리에 의해 경계가 결정되며, 상기 모듈 캐리어(1)에는,
    모듈 캐리어(1)를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5)에 고정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FS1, FS1*, FS2, FS2*, M, Z) 또는 도어 모듈(T)의 다른 요소를 모듈 캐리어(1)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접속부(15; 10a - 10f, 10aa, 10bb, 10cc, 13, 14, 16, 17a, 17b, 18a, 18b, 19, 101)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모듈 캐리어(1)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몰디드-온 부분이 제공되어 있고, 몰디드-온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 캐리어(1)의 중심 영역의 경계를 이루고 또한 모듈 캐리어(1)를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5)에 고정하거나 차량 도어의 다른 요소를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15)를 규정하거나 또는 상기 모듈 캐리어(1)의 가장자리측 시일 요소(2a, 2b)를 수용하거나 형성하며,
    적어도 상기 모듈 캐리어(1)의 중심 영역에서, 모듈 캐리어(1)에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몰디드-온 부분이 제공되어 있고,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모듈 캐리어(1)에 고정되는 기능 요소(FS1, FS2, M, Z)를 위한 접속부(10a - 10f; 10aa, 10bb, 10cc, 14, 17a, 17b, 18a, 18b)를 규정하거나 통로 개구(100a - 100h)를 규정하거나 또는 기능 요소(FS1*, FS2*)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형성하는,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몰디드-온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몰디드-온 부분은 단일의 사출 성형 공정 또는 적어도 2개의 연속적인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조되거나 복수의 제 1 몰디드-온 부분 또는 복수의 제 2 몰디드-온 부분이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모듈 캐리어에 제조되는,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
KR1020177034979A 2015-05-05 2016-05-03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및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 KR102547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5885.1 2015-05-05
DE102015005885 2015-05-05
DE102015217348.8 2015-09-10
DE102015217348.8A DE102015217348A1 (de) 2015-05-05 2015-09-10 Modulträger für ein Türmodul einer Kraftfahrzeugtür und Herstellungsverfahren
PCT/EP2016/059871 WO2016177716A1 (de) 2015-05-05 2016-05-03 Modulträger für ein türmodul einer kraftfahrzeugtür und herstellungsverfa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02A KR20180002802A (ko) 2018-01-08
KR102547268B1 true KR102547268B1 (ko) 2023-06-22

Family

ID=5680046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651A KR102546173B1 (ko) 2015-05-05 2016-05-03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177034979A KR102547268B1 (ko) 2015-05-05 2016-05-03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및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
KR1020177032652A KR102547269B1 (ko) 2015-05-05 2016-05-03 차량용 캐리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651A KR102546173B1 (ko) 2015-05-05 2016-05-03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652A KR102547269B1 (ko) 2015-05-05 2016-05-03 차량용 캐리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10723206B2 (ko)
EP (3) EP3292010B1 (ko)
JP (3) JP6527246B2 (ko)
KR (3) KR102546173B1 (ko)
CN (3) CN107635807B (ko)
DE (6) DE102015217353A1 (ko)
ES (1) ES2767652T3 (ko)
MX (3) MX2017014071A (ko)
WO (5) WO2016177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7982B2 (ja) * 2016-02-19 2018-09-1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構造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DE102017204464A1 (de) * 2017-03-17 2018-09-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werkskomponente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Fahrwerkskomponente
US11187017B2 (en) * 2018-04-06 2021-11-30 Hi-Lex Controls, Inc. Door lock cable and trim panel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FR3081132B1 (fr) * 2018-05-18 2020-04-24 Psa Automobiles Sa Garnissage de porte de vehicule dote de moyens de soutenement de la partie inferieure du panneau principal porteur
US20190375278A1 (en) * 2018-06-06 2019-12-12 Divergent Technologies, Inc. Additively manufactured structures for vehicle doors
US11124051B2 (en) 2018-06-29 2021-09-21 Magna Closures Inc. Hybrid door module
CN109203937A (zh) * 2018-09-21 2019-01-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车辆侧门总成及其制造方法
US11511610B2 (en) 2018-11-12 2022-11-29 Shape Corp. Vehicle door carrier with integrated edge sea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001127B2 (en) 2018-11-26 2021-05-11 Hi-Lex Controls, Inc. Automotive door module for window regulator
DE102019200977A1 (de) 2019-01-25 2020-07-3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ahrzeugtürbaugruppe mit einem einen Brüstungsbereich versteifendem Organoblech-Türmodulträger
DE102019203906A1 (de) * 2019-03-21 2020-09-2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Trägerbauteil mit Befestigungsbereich aus einem Faserverbundwerkstoff und mindestens einem ein Befestigungselement arretierenden Stützelement
US20220153098A1 (en) * 2019-04-03 2022-05-19 Magna Closures Inc. Secondary sealing on a carrier for a door module
CN110509501B (zh) * 2019-08-29 2024-05-10 广东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对插式滑动侧凹模具机构和控制方法
KR20210087589A (ko) * 2020-01-02 2021-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DE102021106947A1 (de) * 2020-03-31 2021-09-30 Magna Closures Inc. Fahrzeugtür mit trägermodul mit nachhaltigem träger
US11525297B2 (en) 2020-06-30 2022-12-13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Integrated window regula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02020209145A1 (de) * 2020-07-21 2022-01-2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ahrzeugtür eines Kraftfahrzeugs
DE102022119414A1 (de) * 2021-08-06 2023-02-09 Magna Closures Inc. Verbundstruktur für hochfestes türmodul und verfahr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7424A1 (de) 2006-04-13 2007-10-25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Einstellbare Befestigungsvorrichtung
JP2012520198A (ja) 2009-03-10 2012-09-06 ブローゼ 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ハルシュタット 自動車ドア装着用ドアモジュール
DE202012104145U1 (de) 2012-10-29 2014-02-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Schlossträgers mit einem Funktionsträger einer Kraftfahrzeugtür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8642A (en) * 1980-06-09 1982-05-11 The Budd Company Plastic door for an automobile
US4364591A (en) * 1981-04-24 1982-12-21 Chrysler Corporation Eyelet trim strip fastening arrangement
DE3217640A1 (de) * 1982-03-12 1983-11-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8630 Coburg Fahrzeugtuere
DE3839855A1 (de) 1988-11-25 1990-05-31 Bayer Ag Leichtbauteil
US5190803A (en) 1988-11-25 1993-03-02 Bayer Aktiengesellschaft Structural shell with reinforcing ribs connected via perforations
US4923542A (en) * 1988-12-27 1990-05-08 Monarch Marking Systems, Inc.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car door panel
FR2643859B1 (fr) * 1989-03-03 1991-05-10 Peugeot Element ouvrant de carrosserie de vehicules automobiles
US5251403A (en) * 1992-03-16 1993-10-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Tubular plastic mounting panel for door hardware
US5298694A (en) * 1993-01-21 1994-03-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coustical insulating web
JPH0713535A (ja) 1993-06-23 1995-01-17 Nec Niigata Ltd 表示のドット抜け検出回路
JPH0713535U (ja) * 1993-08-10 1995-03-07 河西工業株式会社 ドアトリムにおけるインナ−シ−ルの取付構造
US5482343A (en) * 1994-07-25 1996-01-09 The Excello Specialty Company Vehicle door and water deflector
JP3067092B2 (ja) * 1995-12-08 2000-07-17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
CA2256735A1 (en) 1996-05-31 1997-12-04 Gerald O. Morrison Motor vehicle door module
US5904002A (en) 1996-05-31 1999-05-18 Lear Corporation Motor vehicle door module
US5927020A (en) * 1996-06-19 1999-07-27 Excel Industries, Inc. Modular insert trim unit for motor vehicle door
DE19709835B4 (de) * 1997-02-26 2004-05-27 Sommer Allibert-Lignotock Gmbh Fahrzeugtür
US6123385A (en) * 1997-12-18 2000-09-26 Ford Motor Company Trim panel mounting assembly
DE19804781A1 (de) 1998-02-06 1999-08-19 Illbruck Automotive Internatio Türinnenelement
DE19819632A1 (de) 1998-05-05 1999-11-11 Ticona Gmbh Einstückiger Türmodul für Kraftfahrzeuge
DE29808833U1 (de) 1998-05-15 1998-08-13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Modul für eine Fahrzeugtür
CN1243076A (zh) 1998-07-23 2000-02-02 提克纳有限公司 带塑料功能件的汽车门模件
FR2787068B1 (fr) * 1998-12-15 2001-02-23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Porte de vehicule avec module d'equipements etanche et medaillon amovible dans le panneau de garnissage
DE19944916A1 (de) 1999-09-14 2001-03-15 Brose Fahrzeugteile Seil- oder Bowdenfensterheber
DE19958316C1 (de) 1999-12-03 2001-02-22 Hans H Schmitz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Kunststoffformteils, welches mehrere Felder umfaßt
US6493919B2 (en) * 1999-12-09 2002-12-17 Lear Corporation Modular vehicle door and method of assembly
JP3882448B2 (ja) * 2000-02-29 2007-02-14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用ドアの組立方法
GB0018103D0 (en) * 2000-07-25 2000-09-13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oor inner panel assembly
IT1320720B1 (it) * 2000-10-20 2003-12-10 Atoma Roltra Spa Portiera per un autoveicolo.
DE10052739A1 (de) 2000-10-25 2002-05-16 Brose Fahrzeugteile Kraftfahrzeugtür
AU2002241745A1 (en) * 2000-12-28 2002-07-16 Banks Bros. Corporation Multi-functional passenger compartment shield
DE10133421B4 (de) 2001-07-10 2012-02-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
US7125067B2 (en) 2002-04-09 2006-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gnesium door assembly for automobiles
DE10217831A1 (de) 2002-04-16 2003-11-06 Sai Automotive Sal Gmbh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111894B2 (en) 2003-06-13 2006-09-26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bile door structure
DE20317708U1 (de) * 2003-11-14 2005-03-24 Carcoustics Tech Ct Gmbh Aggregateträger mit integrierter Schloßbefestig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US7992347B2 (en) * 2004-06-23 2011-08-09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Structural door module
US20060000149A1 (en) * 2004-06-30 2006-01-05 Bogdan Radu Modular vehicle door construction
US20070006536A1 (en) * 2005-01-13 2007-01-11 Lear Corporation Vehicle door with blind load trim/hardware module
US20070296245A1 (en) * 2005-01-14 2007-12-27 Olaf Kriese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EP1685993A1 (en) * 2005-01-28 2006-08-02 Grupo Antolin-Ingenieria, S.A. Supporting module for vehicle doors and mounting procedure for said module
DE102005011075A1 (de) * 2005-03-10 2006-09-14 Acts Advanced Car Technology Systems Gmbh & Co.Kg Bauteilintegration in eine Fahrzeugtür mit Kunststoffträgerteil
DE102005017615A1 (de) * 2005-04-15 2006-10-19 Arvinmeritor Gmbh Baugruppe bestehend aus Türinnenblech und Trägerelement
US20060264554A1 (en) * 2005-05-17 2006-11-23 Arnold Lustiger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e door core modules
US20070046064A1 (en) * 2005-08-29 2007-03-01 Jay Winborn Multi-sheet barrier panel for automobile door assemblies
US20060265963A1 (en) * 2005-05-23 2006-11-30 Jay Winborn Manipulable engagement assemblies for barrier panels
ATE392329T1 (de) * 2005-06-16 2008-05-15 Antolin Grupo Ing Sa Modulträger für fahrzeugtüren, tür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 modulträgers auf einem türrahmen
DE102005033115A1 (de) 2005-07-11 2007-01-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Aggregateträger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006037157B4 (de) 2005-09-12 2018-04-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unststoff-Türmodul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006002436B4 (de) * 2006-01-12 2010-08-19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Gruppe von Türen für Kraftfahrzeuge
US7610720B2 (en) * 2006-04-26 2009-11-03 Magna Closures Inc Railless window regulator
DE202006018071U1 (de) 2006-11-24 2008-04-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fensterheber zum Verstellen einer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JP4416807B2 (ja) 2007-03-30 2010-02-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側面衝突性能を強化させた自動車用ドア
EP2123496B1 (en) 2007-03-30 2013-09-11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Automotive door with enhanced side collision performance
JP2009154580A (ja) 2007-12-25 2009-07-1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ドア構造
DE102008024742A1 (de) 2008-05-21 2009-11-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Lagerstelle für ein Umlenkelement
WO2010135562A2 (en) 2009-05-20 2010-11-25 Inteva Products Llc. Integrated module carrier plate
DE102009039498A1 (de) 2009-07-06 2011-01-13 Volkswagen Ag Sitzschale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itzschal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9040901B4 (de) 2009-09-11 2022-02-2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Tragstrukturen in Kraftfahrzeugen
DE102010014510A1 (de) 2010-04-10 2011-10-13 Daimler Ag Tür für einen Kraftwa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0053381A1 (de) 2010-12-03 2012-06-06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Organoblech zu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Kunststoff-Formteilen
DE102011115594A1 (de) * 2011-10-11 2013-04-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JP2013107521A (ja) * 2011-11-22 2013-06-06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ドアのウェ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DE102011056233A1 (de) * 2011-12-09 2013-06-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Trägerbauteil für einen Kraftfahrzeug-Fensterheber mit Versteifungsstruktur
EP2604457B1 (en) 2011-12-14 2014-02-19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Motor-vehicle door
JP5813565B2 (ja) 2012-04-25 2015-11-17 東海興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
DE102013001943A1 (de) * 2012-09-04 2014-03-06 Friedrich-Alexander-Universität Erlangen-Nürnberg Aus Organoblech und metallischer Komponente verbundene Mischbaugruppe,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012023588A1 (de) 2012-12-01 2013-07-18 Daimler Ag Verbindungsanordnung eines Türmoduls an einem Rohbauteil einer Tür eines Kraftwagens
US9731581B2 (en) * 2013-01-29 2017-08-15 Magna Closures Inc. Vehicle door and door module with multi-portion door carrier
JP2014184765A (ja) * 2013-03-22 2014-10-02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ドアのシール構造
DE102013210094A1 (de) * 2013-04-12 2014-10-16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bauteil
DE102013213711A1 (de) 2013-07-12 2015-01-1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rukturbauteils für Kraftfahrzeuge aus einem Organoblech
FR3010351B1 (fr) * 2013-09-06 2017-07-14 Plastic Omnium Cie Caisson interieur pour hayon de vehicule, avec panneau technique rapporte
JP6353690B2 (ja) * 2014-04-28 2018-07-04 河西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材
DE102014215608B3 (de) * 2014-08-06 2015-11-1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Fensterheberbaugruppe mit unterschiedlichen Befestigungsstellen für eine Führungsschiene
JP6156291B2 (ja) * 2014-09-01 2017-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構造
EP3000637B1 (de) * 2014-09-24 2018-08-15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Fahrzeugtür
JP6384292B2 (ja) * 2014-11-26 2018-09-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ドアモジュール
KR101628949B1 (ko) * 2015-02-11 2016-06-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도어모듈
EP3305567B1 (en) * 2015-05-27 2019-03-13 Nissan Motor Co., Ltd. Vehicle door structure
US10406893B2 (en) * 2016-06-29 2019-09-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ner support panel for mounting a hardware module of a vehicle door assembly
US20190001902A1 (en) * 2016-08-31 2019-01-03 Faraday&Future Inc. Flex button system
EP3476657B1 (en) * 2017-10-30 2020-08-19 Volvo Car Corporation A vehicle ceiling connecting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7424A1 (de) 2006-04-13 2007-10-25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Einstellbare Befestigungsvorrichtung
JP2012520198A (ja) 2009-03-10 2012-09-06 ブローゼ 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ハルシュタット 自動車ドア装着用ドアモジュール
DE202012104145U1 (de) 2012-10-29 2014-02-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Schlossträgers mit einem Funktionsträger einer Kraftfahrzeugt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6002039A5 (de) 2018-03-08
EP3292009B1 (de) 2019-07-10
KR20180002680A (ko) 2018-01-08
US10773574B2 (en) 2020-09-15
CN107567394B (zh) 2020-11-06
KR102546173B1 (ko) 2023-06-20
DE102015217346A1 (de) 2016-11-10
CN107635807A (zh) 2018-01-26
WO2016177734A1 (de) 2016-11-10
MX2017014067A (es) 2018-04-10
JP2018514445A (ja) 2018-06-07
WO2016177716A1 (de) 2016-11-10
JP2018514444A (ja) 2018-06-07
DE102015217348A1 (de) 2016-11-10
DE202015104812U1 (de) 2016-08-08
EP3292009A1 (de) 2018-03-14
US10723206B2 (en) 2020-07-28
WO2016177738A1 (de) 2016-11-10
DE102015217349A1 (de) 2016-11-10
EP3292010B1 (de) 2019-07-10
US20180072142A1 (en) 2018-03-15
EP3292011A1 (de) 2018-03-14
EP3292011B1 (de) 2019-11-06
CN107635806B (zh) 2021-05-28
WO2016177742A1 (de) 2016-11-10
JP6525485B2 (ja) 2019-06-05
MX2017014068A (es) 2018-04-10
CN107635807B (zh) 2020-07-31
JP2018520036A (ja) 2018-07-26
MX2017014071A (es) 2018-03-01
JP6527246B2 (ja) 2019-06-05
KR20180002802A (ko) 2018-01-08
WO2016177711A1 (de) 2016-11-10
US20180117998A1 (en) 2018-05-03
EP3292010A1 (de) 2018-03-14
JP6527245B2 (ja) 2019-06-05
KR102547269B1 (ko) 2023-06-22
US10723207B2 (en) 2020-07-28
DE102015217353A1 (de) 2016-11-10
CN107635806A (zh) 2018-01-26
US10603990B2 (en) 2020-03-31
US20180117999A1 (en) 2018-05-03
CN107567394A (zh) 2018-01-09
ES2767652T3 (es) 2020-06-18
US20180056760A1 (en) 2018-03-01
KR20180002681A (ko)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7268B1 (ko)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및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
KR101209499B1 (ko) 차량 도어용 유닛 서포트
US7073293B2 (en) Horizontal slider window assembly
KR20120016653A (ko) 일체형 모듈 캐리어 플레이트
US6086139A (en) Motor vehicle door with a detachably mounted outside door panel
EP3183134B1 (en) Window assembly and vehicle door and vehicle featuring the window assembly
US7189450B2 (en) Foamed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of producing a foamed vehicle component
MXPA06002133A (es) Modulo portante estructural para puertas de vehiculo.
KR101371515B1 (ko) 자동차 도어 배열체 및 그 조립 방법
JP2018514445A5 (ko)
US6192632B1 (en) Interior paneling element for a motor vehicle door
KR20110126710A (ko) 자동차 문 설치용 도어 모듈
WO2006090851A1 (ja) 車両のガラスガイド構造
JPH03271026A (ja) 車両の固定ルーフ面上に設置できるフレーム・スポイラーユニット
GB2208831A (en) Frame assembly for a vehicle roof
KR19990007423A (ko) 차량용 썬루프 패널의 제어구조
US6663172B2 (en) Frame for a vehicle sliding sunroof or slide-and-tilt sunroof
US5065545A (en) Panel assembly for vehicles with molded regulator attachment
KR102440731B1 (ko) 자동차 루프 지지구조
KR20040047597A (ko) 차량용 도어
JP2006177147A (ja) ウィンドーレギュレーターシステムのためのガイドレール
CN219856756U (zh) 用于车门的门模块和门模块系统及用于机动车辆的车门
JP2020079520A (ja) 車両ドアの開閉体支持構造
US20240010058A1 (en) Assembly and cover system for a vehicle roof, and vehicle roof for a motor vehicle
JP7225717B2 (ja) 車両ドアの開閉体アッセンブリ、開閉体駆動装置及びドアフレームアッ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