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680A -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680A
KR20180002680A KR1020177032651A KR20177032651A KR20180002680A KR 20180002680 A KR20180002680 A KR 20180002680A KR 1020177032651 A KR1020177032651 A KR 1020177032651A KR 20177032651 A KR20177032651 A KR 20177032651A KR 20180002680 A KR20180002680 A KR 20180002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annel
module carrier
modu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173B1 (ko
Inventor
마티아스 피셔
안드레 렌하트
노르만 휘머
미카엘 얀
한스 헤르조그
미카엘 티에넬
게르하트 호프만
토마스 하우볼트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18000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8Water or sound barrier, e.g. watershields or seals between dry/wet compartment, sound or vibration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5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essentially horizontal in the centre of the 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6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belt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5Reinforcement elements integrated in door structure or other door elements, e.g. beam-like shapes stamped in inner doo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3Conceptual assembling of door, i.e. how door frame parts should be fitted together to form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ybrid, i.e. plastic moulded onto met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T)에 관한 것으며, 이 도어 모듈은, 실질적으로 유기 시트(sheet)로 형성되는 모듈 캐리어(1);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도어 모듈(T)이 의도 대로 차량 도에 설치되면)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을 따르는 방향 성분을 가지고 연장되어 있는 채널(10); 채널(10)의 길이방향 연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차량 도어의 보강 요소(2)가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채널(10) 안으로 삽입될 때 통과하는 삽입 개구(100); 및 모듈 캐리어(1)에 고정되는 특히, 차량 창 조절기(3)의 안내 레일(30a, 30b)의 형태로 있고, 채널(10)을 가로질러 길이 방향 삽입 개구(100)를 부분적으로 덮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를 포함한다. 추가로, 채널(10)의 적어도 일 부분이 기능 요소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도록,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11)이 형성되어 있고, 그래서 채널(10)의 삽입 개구(100)가 보강 요소(2)의 삽입을 위해 노출될 수 있고, 구부러져 개방되거나 멀어지게 구부러지는 운동 후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채널(10)이 복귀하도록 굽힘 영역(11)이 탄력적인 형태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청구항 13에 따른 차량 도어, 및 청구항 19에 따른,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도어의 상기한 종류의 도어 모듈은, 실질적으로 유기 시트(sheet)로 형성되는 모듈 캐리어, 및 상기 모듈 캐리어에 배치되고, 특히 차량 창 조절기의 안내 레일의 형태로 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 캐리어의 유기 시트에는 채널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차량 도어에서 도어 모듈의 의도된 설치 상태와 관련하여 상기 채널은 적어도 차량 길이방향 축선을 따르는 방향 성분을 가지고 연장된다. 채널은 그의 연장 방향으로 따르는 삽입 개구를 가지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는 채널 및 이 채널의 길이방향 연장 삽입 개구를 가로지르고 그래서 삽입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차량 도어의 보강 요소가 삽입 개구를 통해 채널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모듈 캐리어는 실질적으로 유기 시트로 형성된다는 사실은, 이 경우, 유기 시트는 통상적인 작동 조건 하에서 작용하는 힘의 대부분을 받는 모듈 캐리어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는 특히, 창(window) 조절기의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이 제공되는 모듈 캐리어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유기 시트로 구성된 모듈 캐리어의 (결부된) 부분(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에 지탱됨) 또는 유기 시트로 구성된 모듈 캐리어의 복수의 부분(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에 지탱됨)은 모듈 캐리어의 영역의 예컨대 대략 30% 이상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특히, 유기 시트는 모듈 캐리어의 영역의 40% 이상, 일반적으로 적어도 50%에 걸쳐 연장될 수 있어, 유기 시트는 모듈 캐리어의 표면의 40% 이상, 또는 대략 50% 이상의 대응 부분을 차지한다. 유기 시트의 강도 이점을 충분히 이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유기 시트로 이루어지는 모듈 캐리어의 영역의 부분을 최대화하고자 한다. 모듈 캐리어에 있는 유기 시트의 다부분 형태가 여기서 배제되지 않는다.
모듈 캐리어의 주 구성품은 예컨대 패널형 반마무리 부품인데, 이는 유기 시트로 구성된다. 유기 시트는 무단 섬유로 보강되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고, 무단 섬유는 유리 섬유, 케블라 섬유, 탄소 섬유 또는 플라스틱 섬유로 구성된 레이(lay), 직물 또는 편직물의 형태로 열가소성 매트릭스 안에 매립된다. 매트릭스를 위한 적절한 열가소성 재료는 예컨대 폴리아미드인데, 이 폴리아미드는 섬유에 대한 양호한 부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단 섬유로 보강되는" 이라는 표현은,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섬유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패널형 유기 시트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유기 시트 내에서 불연속부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유기 섬유는 추가 재료의 보완을 받을 수 있지만 모듈 캐리어의 주 구성품을 적절히 형성한다. 예컨대, 금속 요소 및/또는 다양한 플라스틱 요소가 유기 시트에 결합되거나 유기 시트에 부착될 수 있다.
DE 100 52 739 A1에, 보강 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구멍을 갖는 모듈 캐리어가 개시되어 있다. 이 모듈 캐리어는 이 경우 강성적인 형태이다. 보강 요소는 구멍에 수용되기 위해, 정확한 끼워맞춤 방식으로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야 한다. 차량 창 조절기의 안내 레일을 모듈 캐리어에 고정하는 것은 보강 요소가 구멍에 수용된 후에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강 요소가 채널에 더 쉽게 수용될 수 있는, 서두에서 언급한 종류의 도어 모듈을 제공하는 과제에 기반하고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적 사항을 갖는 도어 모듈로 해결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모듈 캐리어의 유기 시트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굽힘 영역에 의해, 상기 채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부러져 개방되고 그리고/또는 채널이 기능 요소로부터 멀어지게 구부러질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보강 요소의 삽입을 위해 채널의 삽입 개구가 접근 가능하게 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은, 채널이 초기 위치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향된 후에 그 채널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귀할 수 있도록 탄력적이다.
따라서, 보강 요소가 채널에 수용되록 예컨대 모터 차량 창 조절기의 하나 이상의 안내 레일(들)과 같은 각각의 기능 요소가 먼저 소급적으로 모듈 캐리어에 고정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이미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널의 삽입 개구를 덮고 있을 때에도 보강 요소가 모듈 캐리어의 채널에 수용될 수 있다.
탄성 복원력 때문에,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 및/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에 인접하는 모듈 캐리어는, 멀어지게 구부러진 후에, 도어 모듈의 추가 조립을 가능하게 해주는 조립 위치를 자동적으로 다시 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은, 채널이 복귀한 후에 그의 원래의 위치를 다시 취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모듈 캐리어는, 차량 도어에서 도어 모듈의 의도된 설치 상태에 대해 차량 길이방향 축선에 수직인 단면에서 볼때, 채널의 편향 전과 복귀 운동 후에 동일한 윤곽을 갖게 된다. 특히, 모듈 캐리어는 각 경우 보강 요소가 채널에 수용되기 전과 후에 동일한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은 복귀 운동이 부분적으로만 일어나도록, 다시 말해, 조립 위치가 초기 위치와 동일하지 않고 그럼에도 모듈 캐리어 또는 도어 모듈의 추가 조립을 가능하게 해주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강직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은 예컨대 유기 시트에 있는 스탬핑 가공된 장직화 돌출부로서 형성되거나 유기 시트에 강직화 구조체로서 배치되며 유기 시트와는 다른 재료로 구성된다.
일 개량예에서, 굽힘 영역 및 이 굽힘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은 균일한 재료 두께 및 균일한 재료 구조로 형성된다.
추가 개량예에서, 굽힘 영역은 복수의 굽힘 부분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들 굽힘 부분 영역은 이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강직화 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개별 굽힘 부분 영역 각각은 서로 다른 탄성 또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영역들이 서로에 이어져 있을 수 있고, 특히, 탄성이 연속적으로 변한느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굽힘 영역 또는 굽힘 부분 영역의 탄성은 예컨대 유기 시트의 곡률 반경 및/또는 재료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굽힘 영역 또는 굽힘 부분 영역의 복원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유기 시트의 곡률 반경 및/또는 재료 두께를 목표대로 선택함으로써, 규정된 힘의 작용 하에서 모듈 캐리어가 그의 초기 위치에서 벗어나는 편향의 양 및/또는 방향이 규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상기 굽힘 영역은 채널의 경계 벽의 일부분 및/또는 채널의 외부에 있는 유기 시트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굽힘 영역은 채널의 전체 경계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널의 경계 벽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스트립을 가질 수 있다. 이 보강 스트립은 채널의 유기 시트에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특히 유기 시트 자체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스트립은 유리하게 채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특히, 보강 스트립은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및/또는 두꺼운 재료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스트립은 모듈 캐리어에 고정되는 요소를 위한 체결점을 제공하는데에 적합하다.
일 개량예에서, 굽힘 영역은 채널의 경계 벽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역을 포함하고, 이 부분 영역에는 보강 스트립이 없다. 또한, 굽힘 영역은, 채널, 보다 구채적으로, 그의 경계 벽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형성된 굽힘 영역에 의해, 보강 요소가 의도 대로 채널에 더 쉽게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 요소는, 차량 도어에서 도어 모듈의 의도된 설치 상태에 대해, 차량 수직 축선으로 위쪽에서 모듈 캐리어와 기능 요소 사이에서 채널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채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로부터 멀어지게 구부러질 수 있다. 보강 요소가 채널에 수용된 후에, 모듈 캐리어는 굽힘 영역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조립 위치를 다시 취할 수 있다.
특히, 채널의 윤곽은 삽입될 보강 요소의 윤곽에 맞게 될 수 있다. 이를 이해 필요한 채널의 경계 벽의 편향은 이 경우 유리하게 미리 정해진 최소 편향 반경 아래로 되지 않는다.
추가 설계예에서, 모듈 캐리어에는 그의 에워싸는 윤곽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일 요소가 구비된다. 이 시일 요소는 이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라이딩 능력을 가지며, 이 슬라이딩 능력에 의해 모듈 캐리어가 차량 도어의 추가 부품, 특히 상기 보강 요소 및/또는 도어 구조체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리하여, 보강 요소가 채널에 더 쉽게 삽입될 수 있고 또한 특히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일 개량예에서, 상기 모듈 캐리어는 보강 요소에 대한 모듈 캐리어의 연결을 위해 연결 접속부의 영역에서 융기된 접촉점을 가지고 있다(모듈 캐리어를 보강 요소에 더 쉽게 연결하기 위해).
도어 모듈의 일 개량예에서, 보강 요소는 먼저 채널에 수용되고 이어서 모듈 캐리어에 연결된다. 그래서 모듈 캐리어 및 보강 요소는 미리 조립된 개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모듈 캐리어는,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에 장착되는 동안에 채널에 수용되는 보강 요소를 갖는다. 즉, 모듈 캐리어가 도어 구조체에 장착되기 전에, 모듈 캐리어가 보강 요소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어 구조체 및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도어 모듈을 갖는 차량 도어에 관한 것으로, 도어 모듈은 도어 구조체 고정된다. 여기서, 도어 모듈의 채널에 수용되는 보강 요소가 도어 구조체에 더 고정될 수 있다.
차량 도어의 일 실시 형태에서, 모듈 캐리어와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모듈 캐리어에 고정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널의 삽입 개구를 덮음) 사이에 틈이 존재한다. 기능 요소는 특히 차량 창 조절기의 안내 레일일 수 있다. 틈은 차량 도어에서 차량 모듈의 의도된 설치 상태에 대해 차량 수직 축선을 따라 채널의 위쪽에 있다. 이 경우, 차량 횡 축선을 따르는 틈의 연장은 차량 횡 축선을 따르는 보강 요소의 연장 보다 작다. 따라서, 도어 모듈에 대한 작용, 특히 기계적 작용의 결과로서만 보강 요소가 채널에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 요소가 채널에 삽입될 수 있을 때까지 틈을 확장시켜야 한다. 이는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모듈 캐리어에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가능하다.
보강 요소는 폐쇄 프로파일 요소, 특히 관, 또는 개방 프로파일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 요소는 도어 구조체의 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요소는 창틀 구조체 및/또는 도어 케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 요소는 스탬핑 가공된 시트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이의 단부는 도어 구조체의 도어 내부 패널에 연결된다. 한편, 보강 요소는 도어 구조체의 일체적인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모듈 캐리어는 복수의 연결 접속부에 의해, 도어 모듈의 채널에 수용되는 보강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모듈 캐리어 및 보강 요소는 스크류, 리벳 및/또는 접착제 연결에 의해 연결 접속부에 결합된다.
추가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모듈을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위치시키는 단계 - 차량 창 조절기의, 모듈 캐리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의 상측 헤드는 차량 수직 축선을 따라, 도어 구조체에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보강 요소의 상측 윤곽 아래에 배치되고(또한 여기서 예컨대 보강 요소의 하측 윤곽에 지탱됨), 모듈 캐리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량 횡 축선을 따라 보강 요소에 지탱됨 -;
상기 모듈 캐리어를 차량 수직 축선을 따라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 모듈 캐리어와 안내 레일 사이의 틈이 확장되고 보강 요소는 삽입 개구를 통해 모듈 캐리어의 채널 안으로 삽입됨 -; 및
상기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먼, 외력의 영향의 제거는 별도의 방법 단계를 구성하지 않는다. 오히려, 보강 요소가 의도대로 채널 안으로 삽입되었다는 사실로 인해, 외력의 영향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 및 상세를 도면에 근거하여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 논의할 것이다.
도 1a는 차량의 도어 구조체 및 관련 도어 모듈의 모듈 캐리어의 내부를 나타낸다.
도 1b는 도 1a의 구성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가적인 기능 요소가 모듈 캐리어에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도 1b의 도어 모돌의 외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3a ∼ 3c는 도 1a, 1b 및 2의 도어 구조체 및 도어 모듈의 조립 중의 단계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어 구조체의 보강 요소가 도어 모듈의 채널에 수용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도어 모듈의 외측면 및 보강 요소가 채널에 삽입되기 전과 후의 도 3a 내지 3c의 보강 요소를 추가로 나타낸다.
도 4a는 모듈 캐리어 및 특히 모듈 캐리어의 굽힘 영역의 예시적 실시 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b 및 4c는 모듈 캐리어 및 특히 각각의 굽힘 영역의 추가 예시적 실시 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도 1a에 따른 도에서 도어 구조체의 및 의도된 방식으로 도어 구조체에 고정된 도어 모듈의 내측면을 나타낸다.
도 5b는 도 1b에 따른 도에서 도 5a의 구성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가 기능 요소가 모듈 캐리어에 부착되어 있다.
도 6a는 도 1a의 도어 모듈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열가소성 인캡슐레이션 및 복수의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이 도시에 강조되어 있다.
도 6b는 도 6a의 도어 모듈의 외측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도에는 또한 인캡슐레이션 및 몰디드-온 부분이 도시에 강조되어 있다.
도 7a 및 7b는 각 경우 도 6a 및 6b의 도어 모듈의 일 영역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의 고정을 위한 몰디드-온 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도 8a 및 8b는 각 경우 도 6a 및 6b의 도어 모듈의 일 영역의 외측면과 내측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확성기의 고정을 위한 몰디드-온 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도 9a는 도 1a, 5a 및 6a에 따른 도에서 도어 모듈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창 조절기 구동기가 모듈 캐리어에 추가로 고정되어 있다.
도 9b는 도 9a의 도어 모듈의 일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창 조절기 구동기는 없다.
도 10은 도 9a에 도시되어 있는 도어 모듈의 실시 형태의 일 변형예의 내측면을 나타낸다.
도 1a 및 1b는 도어 모듈(T) 및 도어 구조체(5)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의 주 요소를 도시한다. 도어 모듈(T)은 도어 구조체(5)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어 모듈(T)은 모듈 캐리어(1)를 포함하며, 도 1a 및 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도어 모듈(T)이 도어 구조체(5)에 고정되기 전에, 도어 모듈(T)의 기능 요소가 상기 모듈 캐리어에 장착될 수 있다.
차량 도어가 차량에 의도대로 설치된 상황에서, 차량의 도어의 구성품으로서 도어 구조체(5) 및 도어 모듈(T)과 같은 상기 차량 도어는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갖는다. 내측면은 차량의 내부 공간 쪽을 향하고, 외측면은 차량 외부 쪽으로 향한다.
차량 도어가 차량에 의도대로 설치된 상황과 관련하여, 차량 도어 및 이의 요소에 대한 좌표계를 규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은 차량의 후방측으로부터 그의 전방측으로, 즉 전진 주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평) 차량 횡 축선(y)은 차량의 두 상호 반대편 차량 도어 사이에서 차량 길이 방향 축선(x)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차량 수직 축선(z)은, 차량 길이 방향 축선(x) 및 차량 횡 축선(y) 모두에 대해 수직이도록 규정된다. 차량 수직 축선(z)은 차량의 바닥으로부터 지붕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경우 도 1a는 도어 구조체(5) 및 도어 모듈(T)의 내측면을 도시하고, 도 1b는 도 1a의 배치의 외측을 나타내는데, 도 1a에 나타나 있지 않은 추가적인 기능 요소가 나타나 있다.
도어 구조체(5)는 창틀 구조체(50) 및 도어 케이스(51)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테에서, 창틀 구조체(50) 및 도어 케이스(51)는 도어 내부 패널(52)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그것들은 예컨대 플라스틱 요소 또는 복합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중턱 경계부(53)가 창틀 구조체(50)와 도어 케이스(51)를 서로 분리시킨다. 중턱 경계부(53)는 도어 구조체(5)의 전방측과 후방측 사이에서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중턱 경계부(53)는 예컨대 스탬핑 가공된 시트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케이스(51) 및 중턱 경계부(53)는 도어 구조체(5)에 있는 구멍(A)을 둘러싼다. 도어 모듈(T)이 도어 구조체(5)에 의도대로 고정된 경우에, 구멍(A)은 도어 모듈(T)로 덮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도어 구조체(5)와 함께 도어 모듈(T)은 공지된 방식으로 차량 도어의 습식 공간과 건식 공간을 서로 분리한다.
건식 공간은 도어 모듈(T)의 내측면의 전방에 위치되고 습식 공간은 도어 모듈(T)의 외측면의 전방에 위치된다. 특히, 습기에 민감하지 않은 차량 도어의 요소들은 습식 공간의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특히, 습기에 민감한 차량 도어의 요소들은 건식 공간의 영역에 배치된다.
도어 구조체(5)는 보강 요소(2)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보강 요소는 직선형 관(20)이다. 보강 요소(2)는 대안적으로 예컨대 스탬핑 가공된 시트 부품, 개방 프로파일 요소 또는 도어 내부 패널(52)의 일체적인 구성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요소(2)(관(20)의 형태임)는 도어 구조체(5)에서 실질적으로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보강 요소는 창틀 구조체(50)의 아래에서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배치되고, 여기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턱 경계부(53)에 인접한다. 차량 횡 축선(y)을 따라 보강 요소(2)는 도어 구조체(5)의 내측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턱 경계부(53) 앞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도어 구조체(5)의 외측면에서는 보강 요소(2)의 하측 가장자리만 볼 수 있는데, 대부분 중턱 경계부(53)에 의해 가려지게 때문이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보강 요소(2)는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직선형 프로파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보강 요소(2)는 예컨대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곡선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보강 요소(2)는 연결 접속부(21)를 갖는데, 이 연결 접속부는 모듈 캐리어(1)를 보강 요소(2)에 고정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보강 요소(2)의 실시 형태는 구체적으로 2개의 연결 접속부(21)를 가지며, 이 접속부는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다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도어 모듈(T)의 모듈 캐리어(1)는 실질적으로 유기 시트로 형성된다. 따라서 유기 시트는 모듈 캐리어(1)의 주 구성품을 형성한다. 여기서, 모듈 캐리어(1)는 실질적으로 x-z 면(도어 모듈(T)의 주 면임)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유기 시트는 무단 섬유로 보강되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는 판형 반마무리(semifinished) 부품을 말하며, 무단 섬유는 유리 섬유, 케블라 섬유, 탄소 섬유 또는 플라스틱 섬유로 구성된 레이(lay), 직물 또는 편직물의 형태로 열가소성 매트릭스 안에 매립된다. 매트릭스를 위한 적절한 열가소성 재료는 예컨대 폴리아미드인데, 이 폴리아미드는 섬유에 대한 양호한 부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단 섬유로 보강되는" 이라는 표현은,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섬유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패널형 유기 시트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유기 시트 내에서 불연속부를 갖지 않는다.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는 외측 가장자리(15)에 둘러싸인다. 외측 가장자리(15)는 열가소성 인캡슐레이션(7)에 의해 에워싸인다. 즉, 외측 가장자리(15)는 단면에서 볼 때 주위에서 인캡슐레이션(15)에 의해 결합된다. 인캡슐레이션(7)은 특히 시일 요소(14)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인캡슐레이션(7)은 시일 요소가 수용될 수 있는 시일 수용부를 형성한다. 시일 요소(14)는 예컨대 모듈 캐리어(1)의 상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거기서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시일 요소(14)는 유리하게는 슬라이딩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슬라이딩 특성으로 인해 모듈 캐리어(1)는 차량 도어의 다른 요소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모듈 캐리어(1)는 기능 요소, 예컨대 보강 요소, 강직화 요소, 시일 요소, 소음 절연 벽, 차량 창 조절기의 요소, 도어 구조체의 요소, 도어 제어 유닛,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 확성기, 도어 내부 라이닝, 도어 내부 패널 및/또는 도어 외부 패널을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를 더 포함한다.
특히, 차량 창 조절기(3)의 요소는 도어 모듈(T)의 외측면(도 1b 및 2에 도시되어 있음)에 있는 모듈 캐리어(1)에 고정된다. 이들은 2개의 안내 레일(30a, 30b), 창 조절기 구동기(31), 및 가요성 견인 기구(32)를 포함하고, 이 견인기는 창 조절기 구동기(31)에 연결된다. 안내 레일(30a, 30b)은 실질적으로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안내 레일(30a, 30b)은 대략 모듈 캐리어(1)의 전체 연장을 따라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 레일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길이방향 연장 채널(10)을 가로지른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예컨대, 단지 하나의 안내 레일(30a, 30b)이 채널(10)을 가로지르는 것도 가능하다. 안내 레일(30a, 30b)은 각 경우 헤드(300a, 300b)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 헤드는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채널(10) 위쪽에 배치된다.
두 안내 레일(30a, 30b) 사이에, 창 조절기 구동기(31)가 배치되는데, 이는 가요성 견인 기구(32)에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창 조절기 구동기(31)로부터 시작하는 가요성 견인 기구(32)의 일 부분의 국부적 연장 방향(s)이 규정된다. 가요성 견인 기구(32)는 예컨대 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다.
창 조절기 구동기(31)는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부착 영역(17)에 배치된다. 부착 영역(17)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스탬핑 가공된 돌출부(18)에 의해 둘러싸인다.
안내 레일(30a, 30b)이 가로지르는 채널(10)은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그리고 수직으로 모듈 캐리어(1)의 전체 연장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볼 때, 채널(10)은 모듈 캐리어(1)의 위쪽 삼분의 일 지점에 배치된다.
이 경우, 채널(10)은, 관련된 보강 요소(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한편으로 채널(10) 및 다른 한편으로 보강 요소(2)의 형상과 연장 방향은 서로에 맞도록 되어 있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보강 요소(2)와 유사하게, 채널(10)은 직선형 프로파일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채널은 예컨대 그의 연장 방향을 따라 곡선형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채널(10)은 삽입 개구(100)를 가지고 있는데, 본 경우에 이 개구는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 위치된다. 삽입 개구(100)는 예컨대 채널(10)의 전체 연장을 따라 이 채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있다. 보강 요소가 채널(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삽입 개구(100)는 보강 요소(2)가 채널(10)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2개의 안내 레일(30a, 30b)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개구(100)를 덮도록 삽입 개구(100)에는 2개의 안내 레일이 가로질러 있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단지 하나의 안내 레일(30a, 30b)이 (부분적으로) 삽입 개구(100)를 덮는다.
본 경우에, 채널의 경계 벽(101)은 도어 모듈(T)의 주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또한 그래서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차량 횡 축선(y)을 따라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채널(10)에는, 2개의 연결 접속부(102)가 더 배치되는데, 이 접속부는 모듈 캐리어(1)를 보강 요소(2)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모듈 캐리어(1)가 의도된 방식으로 도어 구조체(5)에 고정되면, 모듈 캐리어(1)의 연결 접속부(102)는 보강 요소(2)의 연결 접속부(21)에 중첩된다.
채널(10)의 삽입 개구(1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일(30a, 30b)에 의해 덮히므로, 본 경우에, 도어 모듈(T)의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가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힙 영역(11)을 가지므로, 보강 요소(2)는 채널(10) 안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굽힘 명역(11)은 채널(10)에 형성된다. 경계 벽(101)은 굽힘 영역(11)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굽힙 영역(100)은 또한 채널(10)의 외부에, 특히 채널(10)의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굽힘 영역(11)은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실질적으로 모듈 캐리어(1)의 전체 연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굽힘 영역(11)은 이 경우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채널(10)의 적어도 전체 연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굽힘 영역(11)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서 2개의 추가 영역(12, 13)을 규정한다.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한 영역(12)은 굽힘 영역(11)의 위쪽에 위치되고, 다른 영역(13)(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영역(12) 보다 수배 더 큼)은 굽힘 영역(11)의 아래쪽에 위치된다.
굽힘 영역(11)에 의해,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상기 영역(12)이 차량 횡방향 축선(y)에 반대로 안내 레일(30a, 30b)로부터 멀어지게 구부러질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보강 요소(2)가 채널(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채널(10)의 삽입 개구(1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이는 도 3a 내지 3c 및 도 4와 관련하여 다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또한, 열가소성 몰디드-온(molded-on) 부분(8)이 모듈 캐리어(1)에 부착되어 있다. 몰디드-온 부분(8)은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 캐리어(1)에 있는 구멍을 채울 수 있다. 이 경우 그 구멍 및 관련 몰디드-온 부분(8)은 기능 요소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를 형성한다. 이는 특정한 몰디드-온 부분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그 특정한 몰디드-온 부분에는, 일반적인 참조 번호 "8"의 더 정확한 표현으로서 참조 번호 81 내지 89가 할당되어 있다. 이는 예컨대 도면에 있는 일부 참조 번호에 대해 도시된다.
여기서,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및 "열가소성 인캡슐레이션" 이라는 표현은, 각 경우 대응하는 몰디드-온 부분 또는 인캡슐레이션이 열가소성 재료, 특히, 열가소성 폴리머로 제조되는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재료는 유기 시트의 재료와 다를 수 있다. 본 경우에, 이 목적으로, "몰디드-온 부분" 및 "인캡슐레이션" 이라는 표현은, "열가소성"의 추가 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확성기를 고정하기 위한 몰디드-온 부분(88)을 모듈 캐리어(1)의 하측 전방 영역에서 볼 수 있다. 모듈 캐리어(1)의 전방 영역에서 중앙에는 몰디드-온 부분(86)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도어 제어 유닛을 고정하도록 설계되어있다. 도어 끌어당김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 몰디드-온 부분(87)이 안내 레일(30a, 30b) 사이에서 창 조절기 구동기(31)의 뒤에서 부분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도 3a 내지 3c는 보강 요소(2)가 도어 모듈(T)에 어떻게 연결되고 또한 이를 위해 모듈 캐리어(1)의 채널(10) 안으로 어떻게 삽입되는지를 도시한다. 이들 도에는 단면도로, 도 1b 및 2의 도어 모듈(T) 및 관(20)의 형태인 보강 요소(2)가 나타나 있고, 보강 요소는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단면은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있으며, 그래서 모듈 캐리어(1)는 전방 안내 레일(30a)의 영역에서 절단되어 있고, 따라서 도 3a 내지 3c에 관한 이하의 진술은 특히 상기 (전방) 안내 레일(30a)에 해당되지만, 그에 따라 다른 (후방) 안내 레일(30b)에도 해당되는 것이다.
도 3a는 보강 요소(2)가 채널(10)에 수용되기 전의 상황을 나타내고, 도 3b는 보강 요소(2)가 채널(10)에 수용되는 상황을 나타내고, 도 3c는 보강 요소(2)가 채널(10)에 성공적으로 수용된 후의 상황을 나타낸다. 이들 모든 3개의 도에서,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은 도면의 밖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즉, 도어 모듈(T)의 내측면은 도면의 좌측에 있고, 도어 모듈(T)의 외측면은 도면의 우측에 있다.
도 3a에서, 도어 모듈(T)은 보강 요소(2)에 대해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위치되며, 그래서 안내 레일(30a)의 헤드(300a)는 보강 오소(2)의 아래에 위치된다. 차량 횡 축선(y)을 따라, 도어 모듈(T)은, 모듈 캐리어(1)의 시일 요소(14)가 옆에서 보강 오소(2)에 지탱되도록 위치된다. 시일 요소(14)는 보강 요소(2)의 내측면과 접촉한다.
안내 레일(30a)의 헤드(300a)와 시일 요소(14) 사이에는 틈(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틈(4)의 연장은 보강 오소(2)의 연장 보다 작다. 그러므로, 보강 요소(2)는 틈(4)을 통해 채널(10)의 삽입 개구(100) 안으로 삽입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강 요소(2)가 채널(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강 요소(2)가 틈(4)을 통해 채널(10)의 삽입 개구(100) 안으로 삽입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예컨대 틈(4)을 확장시켜 실현될 수 있다.
굽힘 영역(11)의 위쪽에 있는 상기 영역(12)에 실질적으로 차량 횡 축선(y)을 따라 힘을 가하여 틈(4)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그 힘은 시일 요소(14)의 영역에서 모듈 캐리어(1)에 작용할 수 있다. 그러한 힘이 작용하면, 굽힘 영역(11)의 탄성 변형에 의해 틈(4)이 확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역(12)은 굽힘 영역(11) 위쪽에서 또한 그래서 특히 채널(10)에서 힘의 작용으로 안내 레일(30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요구되는 힘은, 도어 모듈(T)이 먼저 차량 횡 축선(y)을 따라 변위됨으로써 모듈 캐리어(1)에 가해질 수 있다. 이 결과, 보강 요소(2)는 시일 요소(14)를 누르게 된다. 안내 레일(30a)의 헤드(300a)가 관(20)과 접촉할 때까지,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르는 도어 모듈(T)의 변위가 상기 운동에 중첩된다.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르는 운동으로 인해, 시일 요소(14)는 보강 요소(2)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동시에, 안내 레일(30a)은 차량 횡 축선(y)을 따라 모듈 캐리어(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하는데, 적어도 상기 방향을 따르는 모듈 캐리어(1)의 상기 영역(12)의 운동이 보강 요소(2)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운동 중에,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11)으로 인해, 채널(10)은 안내 레일(30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부러지며, 틈(4)이 확장된다. 멀어지게 구부러지는 것은, 보강 요소(2)가 모듈 캐리어(1)와 안내 레일(30a) 사이에서 삽입 개구(100) 안으로 삽입되기에 충분한 정도로 틈(4)이 확장될 때까지 계속된다. 보강 요소(2)가 삽입 개구(100) 안으로 삽입되기에 충분한 정도로 틈(4)이 확장되자 마자, 도어 모듈(T)은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위쪽으로 더 변위된다. 이러한 상황이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르는 도어 모듈(T)의 변위는, 보강 요소(2)가 채널(10)에 수용될 때까지 계속된다. 굽힘 영역(11)은 탄성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굽힘 영역(11) 위쪽의 상기 영역(12)은 외력의 작용이 해제되면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힘의 작용이 해제된 후에, 틈(4)의 크기는 예컨대 원래의 정도로 다시 감소된다. 따라서, 보강 요소(2)는 경계 벽(101)과 안내 레일(30a) 사이에 에워싸인다. 이는 도 3c에 도시되어 있다.
일 개량예에서, 모듈 캐리어(1)는 모듈 캐리어의 연결 접속부(102)에 의해, 보강 요소의 연결 접속부(21)에 의해 채널(10)에 수용되는 보강 오소(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1b 및 2에 대응하여 도어 모듈(T)의 외측면 및 관(20) 형태의 보강 요소(2)를 도시한다. 보강 요소(2)는 이 경우 채널(10)에 수용되기 전에 그리고 채널(10)에 수용된 후에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채널(10)에 수용되기 전에, 보강 요소(2)는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어 모듈(T) 위쪽에서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배치된다. 이는 도 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상황에 대응한다.
보강 요소(2)가 채널(10)에 수용된 후의 상태가, 보강 요소(2)가 대시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는 대략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상황에 대응한다. 보강 오소(2)가 채널(10)에 수용된 후에, 보강 오소는 채널(10)에서 도어 모듈(T)의 외측면에서 2개의 안내 레일(30a, 30b) 및 가요성 견인 기구(32)에 의해 가로질러져 있다. 안내 레일(30a, 30b)의 두 헤드(300a, 300b)는 이 경우 보강 요소(2) 위쪽에서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배치된다.
도 4a 내지 4c는 모듈 캐리어(1), 특히 굽힘 영역(11)의 추가 예시적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데, 이는 도 1a 내지 4의 예시적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대조적으로, 이하의 도 5a 내지 10은 다시 도 1a 내지 4의 예시적 실시 형태에 관한 것이다.
도 4a는 모듈 캐리어(1)의 추가 예시적 실시 형태의 상세를 사시도로 도시한것이다. 모듈 캐리어(1)의 도시된 상세는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을 나타내고, 채널(10)을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 실시 형태에서, 길이방향 연장 보강 스트립(103)은 채널(10)에 배치된다. 상기 보강 스트립은 따라서 채널(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있다.
보강 스트립(103)은 예컨대 특히 섬유 보강부를 갖는 몰디드-온 부분으로서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스트립(103)은 접착 및/또는 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연결될 수 있다. 보강 스트립(103)은 채널(10)에 있는 유기 시트의 두꺼운 재료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 실시 형태에서, 보강 스트립(103)은 보강 요소(2)를 위한 연결 접속부(102)를 포함하고, 이 보강 요소는 그의 연결 접속부(21)에 의해 보강 스트립(103)의 연결 접속부(10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b는 보강 스트립(103)이 채널(10)에 배치되어 있는 모듈 캐리어(1)의 일 실시 형태를 단면도(차량 길이방향 축선(x)에 수직)로 나타낸 것이다.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삽입 개구(100)는 이 경우 이미지의 우측에 있다. (관형) 보강 요소(2)는 채널(10)에 수용된다. 보강 요소(2)는 연결 접속부(21) 및 보강 스트립(103)의 연결 접속부(102)에 의해 체결 수단(22)으로 보강 스트립(103)에 연결된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모듈 캐리어(1)의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11)은 탄성 변형 가능한 2개의 굽힘 부분 영역(11a, 11b)을 가지며, 이들 부분 영역은 보강 스트립(103)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제 1 굽힘 부분 영역(11a)은 보강 스트립(103) 위쪽에서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배치된다. 제 1 굽힘 부분 영역(11a)은 보강 스트립(103)에 인접하고, 시일 요소(14)까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일 요소(14)는 모듈 캐리어(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외측면에 배치된다. 제 2 굽힘 부분 영역(11b)은 보강 스트립(103)의 아래쪽에서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배치된다. 제 2 굽힘 부분 영역은 제 1 강직화 영역(13a)까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를 포함한다.
제 1 강직화 영역(13a)은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서 채널(10)을 형성하는 모듈 캐리어의 유기 시트의 영역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강직화 영역(13a)은 채널(10) 아래의 영역을 채널(10)의 영역에 연결하는 강직화 리브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강직화 영역(13a)은 예컨대 몰디드-온 부분일 수 있다. 이는 모듈 캐리어에 고정되는 기능 요소(13b)에 대한 보호 영역을 형성하며, 그 기능 요소는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강직화 영역(13a) 아래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2개의 굽힘 부분 영역(11a, 11b)은 채널(10)의 경계 벽(101)의 부분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그러나, 특히 제 1 강직화 영역(13a) 및 보강 스트립(103)과 같은 강직화 요소 때문에, 채널(10)의 전체 경계 벽(101)이 굽힘 영역(11)으로서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 요소(여기서는 미도시)에 대해 채널(10)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그리고/또는 구부러져 개방되는 것은, 특히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부분 영역(11a, 11b)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초기 위치에 대한 모듈 캐리어(1)의 휘어짐의 양은 두 굽힘 부분 영역(11a, 11b)의 탄성에 의해 함께 결정될 수 있다. 두 굽힘 부분 영역(11a, 11b)의 탄성은 다를 수 있다.
도 4c는 차량 수직 축선(x)에 수직한 단면으로 나타낸 모듈 캐리어(1)의 추가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보강 스트립(103)은 채널(10)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채널(10)의 삽입 개구(100)를 통해, 관형인 보강 요소(2, 20)가 채널(10)에 수용되어 있다. 제 2 강직화 영역(12a)이 채널(10)의 영역 안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강직화 영역(12a)은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 있는 강직화 리브로서 형성되고, 본 경우에는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위로부터 채널(10)의 영역 안으로 연장되어 있다. 강직화 영역(12a)은 채널(10) 위쪽에 있는 유기 시트의 영역을 채널(10)의 영역에 연결한다.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는, 채널(10) 위쪽에서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시일 요소(14)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강직화 영역(13a)은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서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강직화 영역(13a)은 이 경우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채널(10)의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11)은, 채널(10)의 정상측에 있는 작은 영역을 제외하고, 채널(10)을 형성하는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영역의 실질적으로 전체를 에워싸고, 제 2 강직화 영역(12a)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배치된다.
굽힘 영역(11)은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모듈 캐리어 아래에서 채널(10)에 인접하는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 영역은 제 1 강직화 영역(13a)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굽힘 영역(11)은 제 1 및 2 강직화 영역(13a, 12a)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굽힘 영역(11)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굽힘 부분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들 부분 영역은 (단지)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도 5a 및 5b는 도어 모듈(T) 및 도어 구조체(5)를 다시 도시하는데, 도어 모듈(T)은 도어 구조체(5)에 고정되어 구멍(A)을 가리고 있다. 도 5a는 도 1a와 유사하게 도어 구조체(5) 및 도어 모듈(T)의 내측면을 도시한다. 도 5b의 도시는 도어 구조체(5) 및 도어 모듈(T)의 외측면의 도시이다.
조립된 상태에서, 내측면에서, 중턱 경계부(53) 및 보강 요소(2)는 보이지 않는데, 이것들은 도어 모듈(T)에 의해 완전히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외측면에서는, 중턱 경계부(53) 및 보강 요소(2)의 하측 가장자리를 볼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안내 레일(30a, 30b)의 두 헤드(300a, 300b)는 중턱 경계부(53)에 고정된다.
도 6a 및 6b는 추가 상세를 도시하기 위해 도어 모듈(T)의 모듈 캐리어(1)를 확대도로 도시한다. 내측면은 도 6a에 나타나 있고 외측면은 도 6b에 나타나 있다. 특히, 열가소성 인갭슐레이션(7) 및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8)(역시 열가소성 관통 몰딩을 포함할 수 있음)이 햇칭으로 부각되어 있다. 인갭슐레이션(7)은 사선 햇칭으로 나타나 있고, 단면에서, 모듈 캐리어(1)의 가장자리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거나 그와 결합한다. 몰디드-온 부분(8)은 체크 패턴을 갖는 햇칭으로 나타나 있다. 여기서,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또는 인갭슐레이션" 이라는 표현은, 대응하는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또는 인갭슐레이션이 열가소성 재료로 사출 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그 열가소성 재료는 사출 성형 공정을 위해 성형 가능한(즉, 점성적인) 상태로 될 수 있다.
몰디드-온 부분(8)은 유기 시트에 직접 가해질 수 있고, 유기 시트에 형성된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며, 그리고/또는 유기 시트의 관통 몰딩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인갭슐레이션(7)의 경우에, 특히 외측 가장자리에 있는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일부분은 단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재료로 에워싸인다. 몰디드-온 부분(8)의 경우, 예컨대 유기 시트의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기 위해 열가소성 재료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가해진다. 몰디드-온 부분의 특수한 형태인 관통 몰딩의 경우, 열가소성 재료는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를 통해 몰딩된다. 몰딩 공정의 경우,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머가 사용된다.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있는 구멍은 예컨대 유기 시트에 있는 오목부일 수 있고 또는 유기 시트를 관통하는 개구일 수 있다. 몰디드-온 부분(8)은 구멍을 완전히 또는 단지 부분적으로 채울 수 있다. 또한, 몰디드-온 부분(8)은 모듈 캐리어(1)의 주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구조를 규정할 수 있다.
예컨대, 몰디드-온 부분(8)에 의해, 높은 정밀도를 갖는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몰디드-온 부분(8)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시 제거되는(공구에 의해) 잉여 재료가 발생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미리 규정된 구조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형성될 수 있다.
몰디드-온 부분(8)은 기능 요소를 위한 접속부 뿐만 아니라 예컨대 증가된(인접 영역에 비해) 강직성을 갖는 영역을 규정할 수 있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몰디드-온 부분은 벽, 시일 또는 페그(peg)(예컨대, 위치 잡기 목적의), 고정 영역 및/또는 재료의 양이 증가된 영역(체결 수단을 수용하기 위한)과 같은 경계부를 규정할 수 있다.
도 6a 및 6b에 따르면, 인캡슐레이션(7)은 단면에서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15) 주위와 결합한다. 동시에, 모듈 캐리어(1)의 중심 영역은 이 경우 링형으로 인캡슐레이션(7)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는 설계예에서, 인캡슐레이션(7)은 시일 가장자리를 규정할 수 있다. 도어 모듈(T)이 의도된 방식으로 도어 구조체(5)에 설치되면, 시일 가장자리에 의해,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15)는 시일 방식으로 도어 구조체(5)로 끝나게 된다.
창 조절기 구동기(31)가 배치될 수 있는 부착 영역(17)은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소리 절연 벽(16)이 부착 영역(17)에 배치된다. 소리 절연 벽(16)은 몰디드-온 부분으로 형성된다. 창 조절기 구동기(31)가 의도된 방식으로 부착 영역(17)에 고정되면,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310)가 소리 절연 벽(16)으로 둘러싸인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소리 절연 벽(16)은 예컨대 소리 절연 벽(16)에 절연재를 수용하기 위해 층 형태일 수 있다. 부착 영역(17)은 덮개로 덮힐 수 있다. 소리 절연 벽(16)이 제공되면, 덮개는 소리 절연 벽(16)에 가해질 수 있다. 소리 절연 벽(16)은 구동 모터(310)의 구동 소음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강직화 영역(9)이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서 부착 영역(17) 내부에위치한다. 강직화 영역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성형된 부분으로 형성된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강직화 영역은 또한 몰디드-온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부착 영역(17)에는, 차량 창 조절기(3)의 구동축을 위한 개구(311)가 형성되어 있고, 이는 모듈 캐리어(1)를 통해 연장된다.
복수의 몰디드-온 부분(89a)이 모듈 캐리어(1)의 전체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모듈 캐리어(1)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몰디드-온 부분(89a)은 도어 모듈(T)을 도어 구조체(5)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상기 몰디드-온 부분은 베이요넷 연결점이다. 또한, 복수의 몰디드-온 부분(89b)이 모듈 캐리어(1)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이 몰디드-온 부분은 도어 내부 라이닝을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몰디드-온 부분(89a, 89b) 각각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있는 구멍(개구의 형태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운다.
또한, 실질적으로 차량 수직 축선(z)을 다라 수직으로 있는 몰디드-온 부분(8)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안내 레일(30a, 30b)을 고정하기 위해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몰디드-온 부분(8)이 각 경우 3개의 스크류 보스(83)를 갖는다. 이들은 모듈 캐리어(1)에 있는 잉여 재료를 규정하고, 예컨대 스크류와 같은 체결 수단이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으로부터 그 잉여 재료 안으로 삽입된다.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는, (6개의) 스르뷰 보스(boss)(83)에 대응하여, 안내 레일(30a, 30b)을 고정하기 위한 (6개)의 몰디드-온 부분(84)이 형성되어 있다. 몰디드-온 부분(83, 84)은 모듈 캐리어(1)를 통해 연결된다. 안내 레일(30a, 30b)을 고정하기 위한 몰디드-온 부분(83, 84) 사이에서 그리고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르는 소리 절연 벽(16) 위쪽에는, 에어백 센서를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도록 설계된 몰디드-온 부분(89c)이 있다. 이 몰디드-온 부분(89c)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있는 구멍을 부분적으로 채우며, 이때, 모듈 캐리어(1)에 있는 구멍 보다 작은 개구를 자체적으로 규정한다.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제어 유닛을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한 (3개의) 몰디드-온 부분(86)이 도어 모듈(T)의 전방 영역에서 그리고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대략 중심에 배치된다. 상기 몰디드-온 부분은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 및 외측면 모두에서 보일 수 있다.
확성기를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한 몰디드-온 부분(86)이 마찬가지로 도 2와 관련하여 언급되었다. 몰디드-온 부분은 도어 모듈(1)의 전방 하측 코너에 형성된다. 여기서, 몰디드-온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확성기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대략 중심부에 있다. 몰디드-온 부분(88)에 대한 추가 상세는 도 8a 및 8b와 관련하여 논의될 것이고,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한 몰디드-온 부분(87)은 도 7a 및 7b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후방 영역에서 그리고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하측 영역세서, 강직화 리브(82)가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이 강직화 리브는 실질적으로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강직화 리브(82)는,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직접 배치되는 몰디드-온 부분으로 형성된다. 강직화 리브(82)는, 도어 모듈(T)을 도어 구조체(5)에 고정하기 위한 몰디드-온 부분(89a)을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15)의 인캡슐레이션(7)에 연결한다. 강직화 리브(82)는 외측 가장자리(15)의 강도/장직성을 증가시킨다.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에서, 몰디드-온 부분(85)이 부착 영역(17)에 더 배치되어 있는데, 이 몰디드-온 부분은 창 조절기 구동기(31)를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몰디드-온 부분(85)의 중심부에는 개구(311)가 위치되어 있는데, 이 개구를 통해 차량 창 조절기(3)의 구동축이 통과할 수 있다. (3개의) 웨브가 원형 개구(31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웨브는 단부에서, 창 조절기 구동기(31)를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접속부(312a, 312b, 312c)를 포함한다.
또한, 모돌 캐리어(1)의 외측면에는, 도어 모듈(T)을 도어 구조체(5)에 위치시키도록 설계된 2개의 몰디드-온 부분(89d)이 위치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몰디드-온 부분(89d)은 페그(peg) 형태이다. 제 1 페그는 외측 가장자리(15)에 인접하여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중심에서 또한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모듈 캐리어(1)의 전방 단부에서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배치된다. 제 2 패그는 차량 수직축선(z)을 따라 제 1 페그 보다 약간 낮게 배치되고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모듈 캐리어(1)의 외측 단부, 즉 후방 단부에 배치된다.
도 7a 및 7b는,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한 몰디드-온 부분(87)을 포함하는 모듈 캐리어(1)의 일 영역을 확대도로 도시한다. 도 7a는 모듈 캐리어(1)의 상기 영역의 외측면을 나타내고, 도 7b는 내측면을 나타낸다. 몰디드-온 부분(87)은 복수의 리브(81)를 갖는 방사상 리브 구조체를 가지며, 리브는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의 원통형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리브(81) 중의 2개는 관통 연장 리브(81a)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리브와는 달리, 이들은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과 내측면 모두에 배치된다.
관통 연장 리브(81a)는 각 경우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관통 몰딩의 형태로 몰디드-온 부분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 몰딩 고정 전에 유기 시트에 개구는 형성되지 않았다. 오히려, 필요한 개구는 유기 시트의 관통 몰딩 과정에서 열가소성 재료 자체에 의해 만들어졌다. 다른 경우에, 유기 시트에 먼저 구멍을 만들고, 이 구멍을 통해 리브(81a)가 유기 시트를 통해 안내된다. 리브(81a)가 모듈 캐리어(1)의 외측면과 내측면 모두에 배치됨으로써,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를 위한 몰디드-온 부분(87)의 강직성과 안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확성기를 고정하기 위한 몰디드-온 부분(88)을 포함하는 모듈 캐리어(1)의 일 영역을 확대도로 나타낸다. 도 8a는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을 나타내고, 도 8b는 외측면을 나타낸다. 몰디드-온 부분(88)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스탬핑 가공된 돌출부로 형성되는 벽(6)이 인접해 있다. 따라서 이 벽(6)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있는 구멍을 규정하고, 이 구멍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몰디드-온 부분(88)으로 채워진다.
여기서, 벽(6)은 전방 안내 레일(30a)을 고정하기 위한 접속부에 (직접) 인접한다. 이 접속부는 유기 시트의 구멍으로 규정되고, 이 구멍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몰디드-온 부분(8)으로 채워진다. 모듈 캐리어(1)의 내측면에서, 상기 몰디드-온 부분(8)은 스크류 보스(83)를 규정하고, 외측면에서 상기 몰디드-온 부분(8)은 안내 레일(30a)의 고정을 위한 관련 몰디드-온 부분(84)을 규정한다.
벽(6)은 모듈 캐리어(1)의 주 면 밖으로, 이 경우에는 확성기의 고정을 위한 몰디드-온 부분(88)으로부터 멀어지게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벽(6)과 모듈 캐리어(1)의 주 면 사이의 각은 100°내지 140°이고, 특히 실질적으로 120°일 수 있다. 따라서 벽(6)은 확성기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안내 레일(30a)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를 지지한다.
도 9a는 도어 모듈(T)의 내측면을 도시하고, 창 조절기 구동기(31)는 부착 영역(17)에서 모듈 캐리어(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추가 상세를 도시하기 위해 모듈 캐리어(1)의 상기 영역은, 특히 창 조절기 구동기(31) 없이, 도 9b에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부착 영역(17)은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스탬핑 가공된 돌출부(18)에 의해 둘러싸인다. 청 조절기 구동기(31)를 둘러싸는 소리 절연 벽(16)은 부착 영역(17)에 장착된다. 소리 절연 벽(16)은 창 조절기 구동기(31)의 구동 소음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
강직화 영역(9)은 부착 영역(17)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가요성 견인 기구(32)의 연장 방향(s)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강직화 영역(9)은 스탬핑 가공된 돌출부(18)의 두 상호 반대편 부분을 연결한다. 강직화 영역(9)은 또한 그의 윤곽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311) 주위에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강직화 영역(9)은 부착 영역(17)에서 2개의 면(170, 171)을 규정한다. 제 1 면(170)은 차량 횡 축선(y)을 따라,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서 제 2 면(171) 보다 낮은 높이에, 즉 보는 사람 측에서 더 멀리 형성되어 있다. 제 1 면(170)은 차량 횡 축선(y)을 따라 제 2 면(171)과 간격을 두고 있다. 따라서 두 면(170, 171)은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다.
창 조절기 구동기(31)가 의도된 방식으로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또는 더 구체적으로는 부착 영역(17)에 고정되면, 창 조절기 구동기(31)의 구동축은, 제 2 면(171)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개구(311)를 통해 유기 시트를 통과한다. 창 조절기 구동기(31)의 구동 모터(170)는 제 1 면(170)의 영역에 배치된다. 구동 모터(310)는 이 경우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의 표면 보다 약간 높게 위치된다. 이는 일종의 (가상의) "부유(floating) 상태"에 있다.
창 조절기 구동기(31)를 모듈 캐리어(1)에 고정하기 위한 (3개의) 연결 접속부(312a, 312b, 312c)는, 두 연결 접속부(312a, 312b)가 제 1 면(170)에 배치되도록 부착 영역(17)에 배치된다. 제 3 연결 접속부(312c)는 제 2 면(171)에 배치된다.
강직화 영역(9)은 경사 축(k)을 규정한다. 이 경사 축(k)은 실질적으로 가요성 견인 기구(32)의 국부적 연장 방향(s)을 따라, 더 구체적으로는 창 조절기 구동기(31)로부터 시작하는 견인 기구 부분의 연장 방향(s)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강직화 영역(9)에 의해, 경사 축(k)을 따른 창 조절기 구동기(31)의 경사는 경사 축(k) 둘레의 경사에 비해 억제된다. 따라서 창 조절기 구동기(31)는 경사 축(k) 둘레의 경사를 수행할 수 있고, 경사 축(k) 둘레의 구동 모터(31)의 진동이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창 조절기 구동기(31)의 구동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동시에, 가요성 견인 기구(32)에서의 힘의 전달이 강직화 영역(9)의 도움을 받는다.
진동의 진폭은 창 조절기 구동기(31), 연결 접속부(312a, 312b, 312c) 및 강직화 영역(9)의 재료 특성 및 강직화 영역(9)에 대한 연결 접속부(312a, 312b, 312c)와 구동 모터(310)의 배치에 의해 결정된다.
강직화 영역(9)은 부착 영역(17)의 외부로 계속될 수 있다. 예컨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강직화 영역(9)은 부착 영역(17)의 양 측에서 가요성 견인 기구(32)의 연장 방향(s)을 따라 계속된다.
부착 영역(17)의 하측에서, 강직화 영역(9)은, Y-형 강직화 영역(9)의 제 1 림(limb)(91)을 형성하도록 계속된다. Y-형 강직화 영역(9)의 기부(90)는 실질적으로 가요성 견인 기구(32)의 국부적 연장 방향(s)을 따라 연장된다. 기부(90)는 전체적으로 부착 영역(17)의 외부에 배치된다. 강직화 영역(9)의 제 2 림(92)은 부분적으로 부착 영역(17)의 외부에 그리고 부분적으로 부착 영역(17)의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 2 림(92)이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라 제 1 림(91) 보다 모듈 캐리어(1)의 전방면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도 10은 도 9a의 도어 모듈(T)을 다시 한번 도시하지만, 부착 영역(17)에는 소리 절연 벽(16)이 없다.
1 모듈 캐리어
10 채널
100 삽입 개구
101 경계 벽
102 보강 요소를 위한 연결 접속부
103 보강 스트립
11 굽힘 영역
11a 제 1 굽힘 부분 영역
11b 제 2 굽힘 부분 영역
12 차량 수직 축선(z)으로 굽힘 영역 위쪽에 있는 영역
12a 제 2 장직화 영역
13 차량 수직 축선(z)으로 굽힘 영역 아래쪽에 있는 영역
13a 제 1 장직화 영역
13b 모듈 캐리어에 고정되는 기능 요소
14 시일 요소
15 모듈 캐리어의 유기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
16 소리 절연 벽
17 부착 영역
170 부착 영역의 제 1 면
171 부착 영역의 제 2 면
18 모듈 캐리어의 유기 시트의 스탬핑 가공된 돌출부
2 보강 요소
20 관
21 모듈 캐리어를 위한 연결 접속부
22 체결 수단
3 차량 창 조절기
30a 전방 안내 레일
30b 후방 안내 레일
300a 전방 안내 레일의 헤드
300b 후방 안내 레일의 헤드
31 창 조절기 구동기
310 구동 모터
311 구동축용 개구
312a 창 조절기 구동기를 위한 제 1 연결 접속부
312b 창 조절기 구동기를 위한 제 2 연결 접속부
312c 창 조절기 구동기를 위한 제 3 연결 접속부
32 가요성 견인 기구
4 틈
5 도어 구조체
50 창틀 구조체
51 도어 케이스
52 도어 내부 패널
53 중턱 경계부
6 확성기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와 안내 레일의 고정을 위한 접속부
사이의 벽
7 열가소성 인캡슐레이션
8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81 방사상 리브 구조체의 리브
81a 방사상 리브 구조체의 관통 연장 리브
82 강직화 리브
83 스크류 보스
84 안내 레일의 고정을 위한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85 창 조절기 구동기의 고정을 위한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86 도어 제어 유닛의 고정을 위한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87 도어 끌어당김 폐쇄 손잡이의 고정을 위한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88 확성기의 고정을 위한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89a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89b 도어 내부 라이닝을 도어 모듈에 고정하기 위한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89c 에어백 센서의 고정을 위한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89d 모듈 캐리어의 위치 잡기를 위한 열가소성 몰디드-온 부분
9 강직화 영역
90 강직화 영역의 기부
91 강직화 영역의 제 1 림(limb)
92 강직화 영역의 제 2 림
A 구멍
T 도어 모듈
k 경사 축
s 가요성 견인 기구의 연장 방향
x 차량 길이방향 축선
y 차량 횡 축선
z 차량 수직 축선

Claims (20)

  1.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로서,
    실질적으로 유기 시트(organic sheet)로 형성되는 모듈 캐리어(1),
    상기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연장 채널(10),
    상기 채널(10)의 길이방향 연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차량 도어의 보강 요소(2)가 상기 채널(10) 안으로 삽입될 때 통과하는 삽입 개구(100), 및
    상기 모듈 캐리어(1)에 고정되고, 채널(10)을 가로질러 채널의 길이방향 연장 삽입 개구(100)를 부분적으로 덮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30a, 30b)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캐리어(1)의 유기 시트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영역(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 요소(2)의 삽입을 위해 채널(10)의 삽입 개구(100)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굽힘 영역에 의해, 상기 채널(1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부러져 개방되고 그리고/또는 채널(10)이 기능 요소(30a, 30b)로부터 멀어지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져 개방되거나 멀어지게 구부러지는 운동 후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채널(10)이 복귀하도록 상기 굽힘 영역(11)이 탄력적인 형태로 되어 있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캐리어(1)는 유기 시트에 있는 스탬핑 가공된 장직화 돌출부, 또는 상기 굽힘 영역(11) 안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는, 유기 시트에 부착되는 다른 재료로 구성된 강직화 구조체를 갖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힙 영역(11) 및 굽힘 영역에 인접하는 모듈 캐리어(1)의 영역(12, 13)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동일한 재료 두께를 갖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영역(11)은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적어도 2개의 굽힘 부분 영역(11a, 11b)을 갖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에서 도어 모듈(T)의 의도된 설치 상태와 관련하여 상기 채널은 적어도 차량 길이방향 축선(x)을 따르는 방향 성분을 가지고 연장되어 있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영역(11)은 채널(10)의 경계 벽(101)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0)의 경계 벽(101)은 특히 몰디드-온(molded-on) 부분 또는 두꺼운 재료부의 형태로 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 스트립(103)을 가지며, 보강 스트립은 상기 채널(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굽힘 영역(11)은 상기 보강 스트립(103)을 구비하지 않는 경계 벽(101)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영역(11)은 채널(10)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캐리어(1)에 고정되고 상기 채널(10)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는 창 조절기의 안내 레일(30a, 30b)로서 설계되어 있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캐리어(1)은 자신의 에워싸는 외측 가장자리 영역에서 시일 요소(14)를 가지며, 시일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라이딩 능력을 가지며, 슬라이딩 능력에 의해 모듈 캐리어(1)가 차량 도어의 추가 부품, 특히 상기 보강 요소(2) 및 도어 구조체(5)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캐리어(1)는 보강 요소(2)에 대한 모듈 캐리어(1)의 연결을 위해 연결 접속부(102)의 영역에서 융기된 접촉점을 가지고 있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모듈(T)의 채널(10)에 수용되는 보강 요소(2)는 모듈 캐리어(1)에 연결되고 모듈 캐리어와 함께 미리 조립된 유닛을 형성하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13. 차량 도어로서, 도어 구조체(5) 및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모듈(T)을 가지며, 상기 도어 모듈(T)은 도어 구조체(5)에 고정되는, 차량 도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2)는 상기 도어 구조체(5)에 고정되고 또한 도어 모듈(T)의 채널(10)에 수용되는, 차량 도어.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2)는 상기 도어 구조체(5)의 일 부품, 특히 창틀 구조체(50) 및/또는 도어 케이스(51)에 연결되는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차량 도어.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2)는 도어 구조체(5)의 도어 내부 패널(52)의 일체적인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차량 도어.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2)는 폐쇄 프로파일 요소, 특히 관 또는 개방 프로파일 요소로서 형성되어 있는, 차량 도어.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0)의 위쪽에서 도어 모듈(T)의 모듈 캐리어(1)와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30a, 30b) 사이에 있는 틈(4)은 보강 요소(2) 보다 작은, 차량 횡 축선(y)을 따른 연장을 가지며, 상기 틈(4)은 상기 굽힘 영역(11)에 대한 작용에 의해 확장될 수 있는, 차량 도어.
  19.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모듈(T)을 차량 도어의 도어 구조체(5)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듈 캐리어(1)에 고정되고 채널(10)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는 창 조절기의 안내 레일(30a, 30b)로서 설계되어 있고, 상기 채널(10)에 삽입될 수 있는 보강 요소(2)는 도어 구조체(5)에 배치되며, 상기 채널(10)의 위쪽에서 모듈 캐리어(1)와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30a, 30b) 사이에 있는 틈(4)은, 보강 요소(2) 보다 작은, 차량 횡 축선(y)을 따른 연장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보강 요소(2)가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일(30a, 30b)의 상측 헤드(300a, 300b)를 넘어 돌출하도록 상기 도어 모듈(T)을 도어 구조체(5)에 대해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모듈 캐리어(1)를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단계 - 상기 보강 요소(2)는, 모듈 캐리어(1)와 안내 레일(30a, 30b) 사이의 상기 틈(4)이 확장되도록 모듈 캐리어(1)의 굽힘 영역(11)에 작용하고, 보강 요소(2)는 삽입 개구(100)를 통해 모듈 캐리어(1)의 채널(10) 안으로 삽입됨 -; 및
    상기 도어 모듈(T)을 도어 구조체(5)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캐리어(1)는 차량 횡 축선(y)을 따라 측면에서 보강 요소(2)에 지탱되고, 상기 틈(4)의 확장을 위해 차량 수직 축선(z)을 따라 변위되는 중에, 상기 모듈 캐리어(1)는 차량 횡 축선(y)을 따라 더 움직이는,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
KR1020177032651A 2015-05-05 2016-05-03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KR102546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5885.1 2015-05-05
DE102015005885 2015-05-05
DE102015217346.1 2015-09-10
DE102015217346.1A DE102015217346A1 (de) 2015-05-05 2015-09-10 Türmodul, Kraftfahrzeugtür und Verfahren zur Festlegung eines Türmoduls an einer Türstruktur
PCT/EP2016/059863 WO2016177711A1 (de) 2015-05-05 2016-05-03 Türmodul, kraftfahrzeugtür und verfahren zur festlegung eines türmoduls an einer türstrukt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680A true KR20180002680A (ko) 2018-01-08
KR102546173B1 KR102546173B1 (ko) 2023-06-20

Family

ID=5680046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651A KR102546173B1 (ko) 2015-05-05 2016-05-03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177032652A KR102547269B1 (ko) 2015-05-05 2016-05-03 차량용 캐리어 장치
KR1020177034979A KR102547268B1 (ko) 2015-05-05 2016-05-03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및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652A KR102547269B1 (ko) 2015-05-05 2016-05-03 차량용 캐리어 장치
KR1020177034979A KR102547268B1 (ko) 2015-05-05 2016-05-03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을 위한 모듈 캐리어 및 모듈 캐리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10603990B2 (ko)
EP (3) EP3292010B1 (ko)
JP (3) JP6527245B2 (ko)
KR (3) KR102546173B1 (ko)
CN (3) CN107635807B (ko)
DE (6) DE102015217348A1 (ko)
ES (1) ES2767652T3 (ko)
MX (3) MX2017014068A (ko)
WO (5) WO2016177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7982B2 (ja) * 2016-02-19 2018-09-1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構造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DE102017204464A1 (de) * 2017-03-17 2018-09-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werkskomponente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Fahrwerkskomponente
US11187017B2 (en) * 2018-04-06 2021-11-30 Hi-Lex Controls, Inc. Door lock cable and trim panel assembly for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FR3081132B1 (fr) * 2018-05-18 2020-04-24 Psa Automobiles Sa Garnissage de porte de vehicule dote de moyens de soutenement de la partie inferieure du panneau principal porteur
US20190375278A1 (en) * 2018-06-06 2019-12-12 Divergent Technologies, Inc. Additively manufactured structures for vehicle doors
US11124051B2 (en) 2018-06-29 2021-09-21 Magna Closures Inc. Hybrid door module
CN109203937A (zh) * 2018-09-21 2019-01-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车辆侧门总成及其制造方法
US11511610B2 (en) 2018-11-12 2022-11-29 Shape Corp. Vehicle door carrier with integrated edge sea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001127B2 (en) 2018-11-26 2021-05-11 Hi-Lex Controls, Inc. Automotive door module for window regulator
DE102019200977A1 (de) 2019-01-25 2020-07-3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ahrzeugtürbaugruppe mit einem einen Brüstungsbereich versteifendem Organoblech-Türmodulträger
DE102019203906A1 (de) * 2019-03-21 2020-09-2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Trägerbauteil mit Befestigungsbereich aus einem Faserverbundwerkstoff und mindestens einem ein Befestigungselement arretierenden Stützelement
DE112020001731T5 (de) * 2019-04-03 2021-12-30 Magna Closures Inc. Sekundärdichtung an einem träger für ein türmodul
CN110509501B (zh) * 2019-08-29 2024-05-10 广东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对插式滑动侧凹模具机构和控制方法
KR20210087589A (ko) * 2020-01-02 2021-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DE102021106947A1 (de) * 2020-03-31 2021-09-30 Magna Closures Inc. Fahrzeugtür mit trägermodul mit nachhaltigem träger
US11525297B2 (en) 2020-06-30 2022-12-13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Integrated window regula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02020209145A1 (de) * 2020-07-21 2022-01-2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ahrzeugtür eines Kraftfahrzeugs
DE102022119414A1 (de) * 2021-08-06 2023-02-09 Magna Closures Inc. Verbundstruktur für hochfestes türmodul und verfahr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8208A (en) * 1982-03-12 1987-03-10 Brose Fahr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Door unit for motor vehicles
DE29808833U1 (de) * 1998-05-15 1998-08-13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Modul für eine Fahrzeugtür
US5927020A (en) * 1996-06-19 1999-07-27 Excel Industries, Inc. Modular insert trim unit for motor vehicle door
US6571515B1 (en) * 1997-02-26 2003-06-03 Sommer Allibert-Lignotock Gmbh Motor vehicle door having a module carrier for mounting a window lift to the door
JP2008254471A (ja) * 2007-03-30 2008-10-23 Kobe Steel Ltd 側面衝突性能を強化させた自動車用ドア
JP2009154580A (ja) * 2007-12-25 2009-07-1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ドア構造
DE102008024742A1 (de) * 2008-05-21 2009-11-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Lagerstelle für ein Umlenkelement
WO2010135562A2 (en) * 2009-05-20 2010-11-25 Inteva Products Llc. Integrated module carrier plate
JP2016153235A (ja) * 2013-07-12 2016-08-25 ブローゼ 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ハルシュタット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オルガノシートから自動車の構造部品を製造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8642A (en) * 1980-06-09 1982-05-11 The Budd Company Plastic door for an automobile
US4364591A (en) * 1981-04-24 1982-12-21 Chrysler Corporation Eyelet trim strip fastening arrangement
US5190803A (en) 1988-11-25 1993-03-02 Bayer Aktiengesellschaft Structural shell with reinforcing ribs connected via perforations
DE3839855A1 (de) 1988-11-25 1990-05-31 Bayer Ag Leichtbauteil
US4923542A (en) * 1988-12-27 1990-05-08 Monarch Marking Systems, Inc.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car door panel
KR970005779B1 (ko) * 1989-03-03 1997-04-21 아우토모빌 뿌조 차체의 문짝
US5251403A (en) * 1992-03-16 1993-10-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Tubular plastic mounting panel for door hardware
US5298694A (en) * 1993-01-21 1994-03-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coustical insulating web
JPH0713535A (ja) 1993-06-23 1995-01-17 Nec Niigata Ltd 表示のドット抜け検出回路
JPH0713535U (ja) * 1993-08-10 1995-03-07 河西工業株式会社 ドアトリムにおけるインナ−シ−ルの取付構造
US5482343A (en) * 1994-07-25 1996-01-09 The Excello Specialty Company Vehicle door and water deflector
JP3067092B2 (ja) * 1995-12-08 2000-07-17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
US5904002A (en) 1996-05-31 1999-05-18 Lear Corporation Motor vehicle door module
CA2256735A1 (en) 1996-05-31 1997-12-04 Gerald O. Morrison Motor vehicle door module
US6123385A (en) * 1997-12-18 2000-09-26 Ford Motor Company Trim panel mounting assembly
DE19804781A1 (de) * 1998-02-06 1999-08-19 Illbruck Automotive Internatio Türinnenelement
DE19819632A1 (de) * 1998-05-05 1999-11-11 Ticona Gmbh Einstückiger Türmodul für Kraftfahrzeuge
CN1243076A (zh) * 1998-07-23 2000-02-02 提克纳有限公司 带塑料功能件的汽车门模件
FR2787068B1 (fr) * 1998-12-15 2001-02-23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Porte de vehicule avec module d'equipements etanche et medaillon amovible dans le panneau de garnissage
DE19944916A1 (de) 1999-09-14 2001-03-15 Brose Fahrzeugteile Seil- oder Bowdenfensterheber
DE19958316C1 (de) 1999-12-03 2001-02-22 Hans H Schmitz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Kunststoffformteils, welches mehrere Felder umfaßt
US6493919B2 (en) * 1999-12-09 2002-12-17 Lear Corporation Modular vehicle door and method of assembly
JP3882448B2 (ja) * 2000-02-29 2007-02-14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及び自動車用ドアの組立方法
GB0018103D0 (en) * 2000-07-25 2000-09-13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oor inner panel assembly
IT1320720B1 (it) * 2000-10-20 2003-12-10 Atoma Roltra Spa Portiera per un autoveicolo.
DE10052739A1 (de) 2000-10-25 2002-05-16 Brose Fahrzeugteile Kraftfahrzeugtür
WO2002053415A2 (en) * 2000-12-28 2002-07-11 Banks Bros. Corporation Multi-functional passenger compartment shield
DE10133421B4 (de) 2001-07-10 2012-02-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
US7125067B2 (en) 2002-04-09 2006-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agnesium door assembly for automobiles
DE10217831A1 (de) 2002-04-16 2003-11-06 Sai Automotive Sal Gmbh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111894B2 (en) 2003-06-13 2006-09-26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bile door structure
DE20317708U1 (de) * 2003-11-14 2005-03-24 Carcoustics Tech Ct Gmbh Aggregateträger mit integrierter Schloßbefestig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
JP2008503383A (ja) * 2004-06-23 2008-02-07 インティアー オートモーティヴ クロージャ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構造的ドアモジュール
US20060000149A1 (en) * 2004-06-30 2006-01-05 Bogdan Radu Modular vehicle door construction
US20070006536A1 (en) * 2005-01-13 2007-01-11 Lear Corporation Vehicle door with blind load trim/hardware module
US20070296245A1 (en) * 2005-01-14 2007-12-27 Olaf Kriese Sliding Door For A Motor Vehicle
EP1685993A1 (en) * 2005-01-28 2006-08-02 Grupo Antolin-Ingenieria, S.A. Supporting module for vehicle doors and mounting procedure for said module
DE102005011075A1 (de) * 2005-03-10 2006-09-14 Acts Advanced Car Technology Systems Gmbh & Co.Kg Bauteilintegration in eine Fahrzeugtür mit Kunststoffträgerteil
DE102005017615A1 (de) * 2005-04-15 2006-10-19 Arvinmeritor Gmbh Baugruppe bestehend aus Türinnenblech und Trägerelement
US20060264554A1 (en) * 2005-05-17 2006-11-23 Arnold Lustiger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e door core modules
US20060265963A1 (en) * 2005-05-23 2006-11-30 Jay Winborn Manipulable engagement assemblies for barrier panels
US20070046064A1 (en) * 2005-08-29 2007-03-01 Jay Winborn Multi-sheet barrier panel for automobile door assemblies
ATE392329T1 (de) * 2005-06-16 2008-05-15 Antolin Grupo Ing Sa Modulträger für fahrzeugtüren, tür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und verfahren zur montage des modulträgers auf einem türrahmen
DE102005033115A1 (de) 2005-07-11 2007-01-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Aggregateträger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006037157B4 (de) 2005-09-12 2018-04-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unststoff-Türmodul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006002436B4 (de) * 2006-01-12 2010-08-19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Gruppe von Türen für Kraftfahrzeuge
DE102006017424B4 (de) * 2006-04-13 2009-10-29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Einstellbare Befestigungsvorrichtung
US7610720B2 (en) * 2006-04-26 2009-11-03 Magna Closures Inc Railless window regulator
DE202006018071U1 (de) 2006-11-24 2008-04-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fensterheber zum Verstellen einer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EP2123496B1 (en) 2007-03-30 2013-09-11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Automotive door with enhanced side collision performance
WO2010112305A1 (de) 2009-03-10 2010-10-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Türmodul zum einbau in eine kraftfahrzeugtür
DE102009039498A1 (de) 2009-07-06 2011-01-13 Volkswagen Ag Sitzschale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itzschale eines Kraftfahrzeugs
DE102009040901B4 (de) 2009-09-11 2022-02-2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Tragstrukturen in Kraftfahrzeugen
DE102010014510A1 (de) 2010-04-10 2011-10-13 Daimler Ag Tür für einen Kraftwa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0053381A1 (de) 2010-12-03 2012-06-06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Organoblech zu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Kunststoff-Formteilen
DE102011115594A1 (de) * 2011-10-11 2013-04-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JP2013107521A (ja) 2011-11-22 2013-06-06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ドアのウェ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DE102011056233A1 (de) * 2011-12-09 2013-06-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Trägerbauteil für einen Kraftfahrzeug-Fensterheber mit Versteifungsstruktur
EP2604457B1 (en) 2011-12-14 2014-02-19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Motor-vehicle door
JP5813565B2 (ja) 2012-04-25 2015-11-17 東海興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
DE102013001943A1 (de) * 2012-09-04 2014-03-06 Friedrich-Alexander-Universität Erlangen-Nürnberg Aus Organoblech und metallischer Komponente verbundene Mischbaugruppe,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202012104145U1 (de) * 2012-10-29 2014-02-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Schlossträgers mit einem Funktionsträger einer Kraftfahrzeugtür
DE102012023588A1 (de) 2012-12-01 2013-07-18 Daimler Ag Verbindungsanordnung eines Türmoduls an einem Rohbauteil einer Tür eines Kraftwagens
US9731581B2 (en) * 2013-01-29 2017-08-15 Magna Closures Inc. Vehicle door and door module with multi-portion door carrier
JP2014184765A (ja) 2013-03-22 2014-10-02 Daihatsu Motor Co Ltd 車両用ドアのシール構造
DE102013210094A1 (de) 2013-04-12 2014-10-16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bauteil
FR3010351B1 (fr) * 2013-09-06 2017-07-14 Plastic Omnium Cie Caisson interieur pour hayon de vehicule, avec panneau technique rapporte
JP6353690B2 (ja) 2014-04-28 2018-07-04 河西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装材
DE102014215608B3 (de) * 2014-08-06 2015-11-1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Fensterheberbaugruppe mit unterschiedlichen Befestigungsstellen für eine Führungsschiene
JP6156291B2 (ja) * 2014-09-01 2017-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構造
EP3000637B1 (de) * 2014-09-24 2018-08-15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Fahrzeugtür
JP6384292B2 (ja) * 2014-11-26 2018-09-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ドアモジュール
KR101628949B1 (ko) * 2015-02-11 2016-06-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도어모듈
EP3305567B1 (en) * 2015-05-27 2019-03-13 Nissan Motor Co., Ltd. Vehicle door structure
US10406893B2 (en) * 2016-06-29 2019-09-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ner support panel for mounting a hardware module of a vehicle door assembly
US20190001902A1 (en) * 2016-08-31 2019-01-03 Faraday&Future Inc. Flex button system
EP3476657B1 (en) * 2017-10-30 2020-08-19 Volvo Car Corporation A vehicle ceiling connecting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8208A (en) * 1982-03-12 1987-03-10 Brose Fahr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Door unit for motor vehicles
US5927020A (en) * 1996-06-19 1999-07-27 Excel Industries, Inc. Modular insert trim unit for motor vehicle door
US6571515B1 (en) * 1997-02-26 2003-06-03 Sommer Allibert-Lignotock Gmbh Motor vehicle door having a module carrier for mounting a window lift to the door
DE29808833U1 (de) * 1998-05-15 1998-08-13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Modul für eine Fahrzeugtür
JP2008254471A (ja) * 2007-03-30 2008-10-23 Kobe Steel Ltd 側面衝突性能を強化させた自動車用ドア
JP2009154580A (ja) * 2007-12-25 2009-07-16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ドア構造
DE102008024742A1 (de) * 2008-05-21 2009-11-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Lagerstelle für ein Umlenkelement
WO2010135562A2 (en) * 2009-05-20 2010-11-25 Inteva Products Llc. Integrated module carrier plate
JP2016153235A (ja) * 2013-07-12 2016-08-25 ブローゼ 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ハルシュタット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オルガノシートから自動車の構造部品を製造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2011B1 (de) 2019-11-06
WO2016177734A1 (de) 2016-11-10
KR20180002802A (ko) 2018-01-08
KR102546173B1 (ko) 2023-06-20
US10723207B2 (en) 2020-07-28
KR102547268B1 (ko) 2023-06-22
US20180056760A1 (en) 2018-03-01
MX2017014071A (es) 2018-03-01
EP3292011A1 (de) 2018-03-14
KR102547269B1 (ko) 2023-06-22
CN107635807B (zh) 2020-07-31
DE102015217353A1 (de) 2016-11-10
DE102015217346A1 (de) 2016-11-10
JP6527245B2 (ja) 2019-06-05
WO2016177711A1 (de) 2016-11-10
US20180072142A1 (en) 2018-03-15
US10603990B2 (en) 2020-03-31
DE112016002039A5 (de) 2018-03-08
MX2017014068A (es) 2018-04-10
WO2016177738A1 (de) 2016-11-10
DE102015217348A1 (de) 2016-11-10
EP3292009B1 (de) 2019-07-10
ES2767652T3 (es) 2020-06-18
WO2016177742A1 (de) 2016-11-10
EP3292010A1 (de) 2018-03-14
CN107635806A (zh) 2018-01-26
EP3292010B1 (de) 2019-07-10
WO2016177716A1 (de) 2016-11-10
DE202015104812U1 (de) 2016-08-08
US10723206B2 (en) 2020-07-28
JP2018514444A (ja) 2018-06-07
US20180117999A1 (en) 2018-05-03
CN107635806B (zh) 2021-05-28
JP6527246B2 (ja) 2019-06-05
EP3292009A1 (de) 2018-03-14
US20180117998A1 (en) 2018-05-03
US10773574B2 (en) 2020-09-15
JP2018514445A (ja) 2018-06-07
KR20180002681A (ko) 2018-01-08
CN107567394B (zh) 2020-11-06
DE102015217349A1 (de) 2016-11-10
MX2017014067A (es) 2018-04-10
CN107567394A (zh) 2018-01-09
JP2018520036A (ja) 2018-07-26
JP6525485B2 (ja) 2019-06-05
CN107635807A (zh)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2680A (ko)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도어 모듈을 도어 구조체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US8109039B2 (en) Unit support for a motor vehicle door
US7909392B2 (en) Fender protector structure
CN107089122B (zh) 用于车辆的开放式车顶构造
KR20120016653A (ko) 일체형 모듈 캐리어 플레이트
JP5994398B2 (ja) ドアトリム上部構造
US6257658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9822571B2 (en) Window clamp and assembly for window regulator
MX2007011004A (es) Bastidor para el techo de un vehiculo.
AU2005329318A1 (en) Weatherstrip with ventilation openings
JP2009542509A (ja) シール構造材
US10457238B2 (en) Impact absorber
US11247547B2 (en) Vehicle roof cover having a frame part
JP4320728B2 (ja) 車両パネルアッセンブリのシール構造及びシーリングストリップ
US11919372B2 (en) Module assembly for a vehicle having sealing component for a sill region of a window opening
CN111845299B (zh) 具有密封组件的车辆
US10442383B2 (en) Impact absorber
JP7441111B2 (ja) 自動車ドア用シール材
US20100107506A1 (en) Double Sealing Lip for Door Module of a Motor Vehicle Door
JP6661484B2 (ja) カウルルーバ
US11318823B2 (en) Roof system for a vehicle, vehicle with such a roof system, roof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CN109987157B (zh) 车身侧部构造
JP7460956B2 (ja) 車両後部構造
KR200142363Y1 (ko) 차량의 외장커버 흡음재 부착구조
CN114670957A (zh) 树脂车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