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162B1 - 입상 핵제,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입상 핵제,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162B1
KR102215162B1 KR1020207025387A KR20207025387A KR102215162B1 KR 102215162 B1 KR102215162 B1 KR 102215162B1 KR 1020207025387 A KR1020207025387 A KR 1020207025387A KR 20207025387 A KR20207025387 A KR 20207025387A KR 102215162 B1 KR102215162 B1 KR 102215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ating agent
granular nucleating
sample
granular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092A (ko
Inventor
다카히로 호리코시
유리 요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ublication of KR20200108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08K5/5333Esters of phosphonic acids
    • C08K5/5357Esters of phosphonic acids 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4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 C07F9/657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having phosphorus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74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65744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condensed with carbocyclic or heter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7Cyclic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6Additives defined by their aspect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입상 핵제는, 소정의 식으로 나타내는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을 포함하는 입상 핵제로서, 당해 입상 핵제의 최대 입자경을 Dmax 로 하고, 당해 입상 핵제의 분산도를 Dp 로 했을 때, 80 ㎛ ≤ Dmax ≤ 300 ㎛, 또한, 1.0 % ≤ Dp ≤ 27.0 % 를 만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입상 핵제,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입상 핵제,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재료의 개질 기술로서, 결정 핵제나 결정화 촉진제를 첨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결정성 폴리락트산에 평균 입자경이 0.001 ∼ 3.0 ㎛ 인 결정 핵제 (이하, 결정 핵제나 결정화 촉진제 등의 핵제를 총칭하여 「핵제」라고 호칭한다) 를 첨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청구항 1, 3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20399호
그러나, 본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핵제에 있어서, 분진 작업성 및 투명화성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자가 검토한 결과, 이하와 같은 지견이 얻어졌다.
일반적인 핵제는, 각 원료 성분을 혼합 (혼련) 하여 건조시킨 후, 필요에 따라 분쇄함으로써 얻어진 분립체 (입상 핵제) 이다. 입상 핵제는, 결정성 고분자 등의 열가소성 수지와 용융 혼련되어, 열가소성 수지의 가열 성형 가공에 사용된다.
입상 핵제의 양산화에 있어서, 레버러토리 스케일로부터의 스케일 업을 검토한 경우, 입상 핵제에 있어서, 반송ㆍ혼련ㆍ보관시 등의 각종 사용 환경에 있어서의 핸들링성 등의, 분진 작업성의 향상이 더욱 요구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분진 작업성은, 입상 핵제의 제조ㆍ반송ㆍ보관 과정뿐만 아니라, 당해 입상 핵제를 사용한 혼합품 (조성물) 이나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과정, 이들의 양산화에 있어서도 요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진 작업성은, 투명화성 향상의 관점에서, 입상 핵제의 입자경을 작게 할 정도로 큰 과제가 된다. 그래서, 소립자화를 위한 분쇄 조건을 비교적 마일드한 조건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입상 핵제 중에 대립자가 섞여 들어오는 경우가 있어, 그로 인해 투명화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개발 사정에 기초하여 연구한 결과, 마일드한 분쇄 조건에 의해 입상 핵제의 분진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분진 작업성을 향상시켜, 빗질 분리에 의해 조대 입자를 차단함으로써, 투명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더욱 예의 검토한 결과, 입상 핵제의 분산도 및 최대 입자경을 지표로 함으로써, 분진 작업성 및 투명화성을 안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분산도의 상한, 및 최대 입자경의 상한을 소정값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분진 작업성 및 투명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상 핵제로서,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법을 사용하여, 당해 입상 핵제의 입자경 분포를 건식 측정하고, 그 입상 핵제의 최대 입자경을 Dmax 로 하고,
하기의 순서에 따라 측정되는 당해 입상 핵제의 분산도를 Dp 로 했을 때,
Dmax 가 하기 식 (A) 를 만족하고, 또한 Dp 가 하기 식 (B) 를 만족하는, 입상 핵제가 제공된다.
80 ㎛ ≤ Dmax ≤ 300 ㎛ … 식 (A)
1.0 % ≤ Dp ≤ 27.0 % … 식 (B)
(순서)
소정량의 입상 핵제를 샘플로서 준비한다. 당해 샘플을 60 ㎝ 의 높이에서부터 원통 내에 투입하고, 원통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당해 샘플을 낙하시킨다. 그리고, 그 낙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시계 접시 상에 남은 샘플의 양을 측정한다. 투입한 샘플량 및 시계 접시에 남은 샘플량을 사용하여, 하기의 식에 기초하여 분산도 (%) 를 측정한다.
분산도 (%) = [(투입 샘플량 (g) - 시계 접시에 남은 샘플량 (g))/투입 샘플량 (g)] × 100
[화학식 1]
Figure 112020092893748-pct00001
(상기 일반식 (1) 중,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직사슬 또는 분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1 ∼ 9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5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 은 1 또는 2 를 나타내고, m 이 1 인 경우, M1 은, 수소 원자, Al(OH)2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m 이 2 인 경우, M1 은, 2 족 원소, Al(OH) 또는 Zn 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개발 사정에 기초하여 연구한 결과, 입상 핵제에 있어서의 입자경 프로파일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분진 특성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욱 예의 검토한 결과, 입자경 프로파일로서, 체적 평균 입자경 MV 의 소정 범위 내에 있어서, 최대 입자경 Dmax 의 상한과 하한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분진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것, 그리고 원하는 투명화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상 핵제로서,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법을 사용하여, 당해 입상 핵제의 입자경 분포를 건식 측정하고, 그 입상 핵제의 최대 입자경을 Dmax, 체적 평균 입자경을 MV 로 했을 때,
Dmax 가 하기 식 (A) 를 만족하고, 또한 MV 가 하기 식 (C) 를 만족하는, 입상 핵제가 제공된다.
80 ㎛ ≤ Dmax ≤ 300 ㎛ … 식 (A)
5 ㎛ ≤ MV ≤ 100 ㎛ … 식 (C)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입상 핵제를 열가소성 수지 중에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진 작업성 및 투명화성이 우수한 입상 핵제 및 그것을 사용한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형태의 입상 핵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입상 핵제는,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을 함유하는 것이다. 당해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은, 하기 일반식 (1) 에 의해 나타내는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것들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20092893748-pct00002
상기 일반식 (1) 중,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직사슬 또는 분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1 ∼ 9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5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 은 1 또는 2 를 나타내고, m 이 1 인 경우, M1 은, 수소 원자, Al(OH)2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m 이 2 인 경우, M1 은, 2 족 원소, Al(OH) 또는 Zn 을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1) 중의, R1, R2, R3 및 R4 로 나타내는, 탄소 원자수 1 ∼ 9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이소부틸기, 아밀기, 이소아밀기, tert-아밀기, 헥실기, 시클로헥실기, 헵틸기, 이소헵틸기, tert-헵틸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 중, M1 로 나타내는 알칼리 금속으로는, 나트륨 (Na), 칼륨 (K), 리튬 (Li)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 중의 M1 로 나타내는 제 2 족 원소로는, 베릴륨 (Be), 마그네슘 (Mg), 칼슘 (Ca), 스트론튬 (Sr), 바륨 (Ba), 라듐 (Ra) 을 들 수 있고, 이것들 중에서도, 마그네슘, 칼슘인 것이, 핵제 성분의 핵제 효과가 현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중에서도, m 이 1 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R1, R2, R3 및 R4 가, 메틸기, 에틸기, sec-부틸기 및 tert-부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R5 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하기의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15)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1 또는 2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수지의 물성 향상의 관점에서,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화학식 (7) 내지 화학식 (15)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20092893748-pct00003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삼염화인 (또는 옥시염화인) 과 2,2'-알킬리덴페놀을 반응시킨 후, 필요에 따라 가수분해하여 고리형 산성 인산에스테르로 한다. 이어서, 고리형 산성 인산에스테르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금속 수산화물을 반응시키고, 얻어진 반응물을 적절히 정제 (여과 등) 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화합물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 이 얻어진다. 또, 종래 공지된 방법으로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을 합성하여, 상기 화합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얻어진 화합물을, 용제에 용해시켜, 수산화리튬 등의 다른 금속 수산화물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알루미늄ㆍ마그네슘ㆍ제 2 족 원소 중 어느 것의 염과 반응시키고, 얻어진 반응물을 정제, 건조시킴으로써 다른 상기 화합물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입상 핵제는, 필요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을 적절한 분쇄 수단으로 분쇄함으로써 얻어진다. 입상 핵제에 있어서, 소정 메시 사이즈의 체로 분급하여 조대 입자를 제외해도 된다. 또 상기 입상 핵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분말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자경 분포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화합물이나, 분급된 2 종 이상의 화합물을 적당한 비율로 조합하고 블렌드하여, 상기 입상 핵제를 얻어도 된다.
상기의 분쇄 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유발, 볼 밀, 로드 밀, 튜브 밀, 코니컬 밀, 진동 볼 밀, 하이스윙 볼 밀, 롤러 밀, 핀 밀, 해머 밀, 어트리션 밀, 제트 밀, 제트 마이저, 마이크로나이저, 나노마이저, 마작 밀, 마이크로 애토마이저, 콜로이드 밀, 프리미어 콜로이드 밀, 미크론 밀, 샤롯테 콜로이드 밀, 로터리 커터, 건식 매체 교반 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쇄기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분쇄하는 원료 분말의 종류, 분쇄 시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본 실시형태의 입상 핵제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외의 다른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 지방산 금속염, 규산계 무기 첨가제 성분, 하이드로탈사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지방산 금속염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16)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
Figure 112020092893748-pct00004
상기 일반식 (16) 중, R6 은 직사슬 또는 분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9 ∼ 30 의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M 은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n 은 1 ∼ 4 의 정수로서, M 의 금속 원자의 가수와 대응하는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16) 에 있어서, R6 은 직사슬 또는 분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9 ∼ 30 의 지방족기로는, 탄소 원자수 9 ∼ 30 의 알킬기 및 알케닐기를 들 수 있고, 이것들은 하이드록실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탄소 원자수 9 ∼ 30 의 지방족기로는, 예를 들어, 카프르산, 2-에틸헥산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 마르가르산, 스테아르산, 노나데실산, 아라키드산, 헥소실산, 베헨산, 트리코실산, 리그노세르산, 세로트산, 몬탄산, 멜리스산 등의 포화 지방산, 4-데센산, 4-도데센산, 팔미톨레산, α-리놀렌산, 리놀레산, γ-리놀렌산, 스테아리돈산, 페트로셀린산, 올레산, 엘라이드산, 박센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등의 직사슬 불포화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산 금속염은, R6 으로 나타내는 지방족기가, 탄소 원자수 10 ∼ 21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올레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M 으로 나타내는 금속 원자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티타늄, 망간, 철, 아연, 규소, 지르코늄, 이트륨, 바륨 또는 하프늄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나트륨, 리튬,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이 바람직하고, 특히, 나트륨 및 리튬이, 결정화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규산계 무기 첨가제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퓸드 실리카, 미립자 실리카, 규석, 규조토류,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겔, 규산칼슘, 세리사이트, 카올리나이트, 플린트, 장석 분말, 질석, 아타풀자이트, 탤크, 마이카, 미네소타이트, 파이로필라이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입자 구조가 층상 구조인 것, 규소 함유량이 1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의 바람직한 무기 첨가제로는, 세리사이트, 카올리나이트, 탤크, 마이카, 미네소타이트, 파이로필라이트를 들 수 있고, 탤크, 마이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류로는, 예를 들어, 천연물이어도 되고 합성품이어도 되며, 표면 처리의 유무나 결정수의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으로 나타내는 염기성 탄산염을 들 수 있다.
MxMgyAlzCO3(OH)xp+2y+3z-2ㆍnH2O
(상기 일반식 중, M 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아연을 나타내고, X 는 0 ∼ 6 의 수를 나타내고, y 는 0 ∼ 6 의 수를 나타내고, z 는 0.1 ∼ 4 의 수를 나타내고, p 는 M 의 가수를 나타내고, n 은 0 ∼ 100 의 결정수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입상 핵제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상 핵제 조성물이며, 다른 방향족 인산에스테르 금속염, 지방산 금속염, 규산계 무기 첨가제 성분 및 하이드로탈사이트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금속염, 탤크, 마이카 및 하이드로탈사이트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함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상 핵제로는, 예를 들어,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다른 성분의 공존하에, 상기의 분쇄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에 의해 분쇄 처리함으로써 얻어진다. 또, 상기 서술한 분쇄 수단, 체 분급, 블렌드 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입상 핵제는, 결정성 고분자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 가공시에 첨가되는 조핵제ㆍ투명화제로서 기능한다. 결정성 고분자에 있어서, 결정화 온도, 열변성 온도, 굽힘 탄성률, 경도, 투명성 등의 향상 (개질 효과) 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성형 사이클성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입상 핵제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법을 사용하여, 당해 입상 핵제의 입자경 분포를 건식 측정하고, 그 입상 핵제의 최대 입자경을 Dmax 로 하고, 하기의 순서에 따라 측정되는 당해 입상 핵제의 분산도를 Dp 로 했을 때, Dmax 가 하기 식 (A) 를 만족하고, 또한 Dp 가 하기 식 (B) 를 만족하는 것이다.
80 ㎛ ≤ Dmax ≤ 300 ㎛ … 식 (A)
1.0 % ≤ Dp ≤ 27.0 % … 식 (B)
(순서)
소정량의 입상 핵제를 샘플로서 준비한다. 당해 샘플을 60 ㎝ 의 높이에서부터 원통 내에 투입하고, 원통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당해 샘플을 낙하시킨다. 그리고, 그 낙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시계 접시 상에 남은 샘플의 양을 측정한다. 투입한 샘플량 및 시계 접시에 남은 샘플량을 사용하여, 하기의 식에 기초하여 분산도 (%) 를 측정한다. 여기에서, 소정량은 약 5 g, 분산도는, 3 회의 측정값의 평균값으로 해도 된다.
분산도 (%) = [(투입 샘플량 (g) - 시계 접시에 남은 샘플량 (g))/투입 샘플량 (g)] × 100
본 발명자의 지견에 의하면, 다음의 사항이 판명되었다. 먼저, 투명화성 향상의 관점에서, 입상 핵제의 입자경이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입자경이 과잉으로 작은 입상 핵제를 사용하면, 분진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입상 핵제의 소립자화 처리에 있어서, 분쇄 조건을 비교적 마일드한 조건으로 변경하였다. 그 결과, 분진 작업성은 향상되기는 하지만, 입상 핵제 중에 대립자가 섞여 들어오는 경우가 있고, 그로 인해 투명화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개발 사정에 기초하여 연구한 결과, 마일드한 분쇄 조건에 의해 입상 핵제의 분진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분진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빗질 분리에 의해 조대 입자를 차단함으로써, 투명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나아가서는, 입상 핵제의 분산도 및 최대 입자경을 지표로 함으로써, 분진 작업성 및 투명화성을 안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지표인 분산도의 상한, 및 최대 입자경의 상한을 소정값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분진 작업성 및 투명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여기에서, 폭발 지수는, 통상적으로, 분체의 분진 폭발성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폭발 지수가 실용상 문제 없는 정도로 낮은 경우라 하더라도, 스케일 업시에 있어서의 입상 핵제의 핸들링성 등의 작업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폭발 지수나 최대 폭발 압력을 지침으로 하여, 그것을 보다 낮게 함으로써, 스케일 업시에 있어서의 분진 특성을 억제할 수 있어, 입상 핵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 건식 조건을 채용함으로써, 습식 조건과 비교하여, 기포 등 문제가 없기 때문에, 측정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대 입자경 Dmax 의 상한은, 3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9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0 ㎛ 이하이다. 이로써, 입상 핵제의 투명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Dmax 의 하한은, 예를 들어,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3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이다. 이로써, 여러 물성의 밸런스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산도 Dp 의 상한은, 예를 들어, 27.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6.8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6.5 % 이하이다. 이로써, 입상 핵제의 분진 작업성, 나아가서는, 스케일 업시에 있어서의 입상 핵제의 핸들링성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Dp 의 하한은, 예를 들어,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다. 여러 물성의 밸런스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입상 핵제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법을 사용하여, 당해 입상 핵제의 입자경 분포를 건식 측정하고, 그 입상 핵제의 최대 입자경을 Dmax, 체적 평균 입자경을 MV 로 했을 때, Dmax 가 하기 식 (A) 를 만족하고, 또한 MV 가 하기 식 (C) 를 만족하는 것이다.
80 ㎛ ≤ Dmax ≤ 300 ㎛ … 식 (A)
5 ㎛ ≤ MV ≤ 100 ㎛ … 식 (C)
또, 본 발명자의 지견에 의하면, 상기의 개발 사정에 기초하여 연구한 결과, 입상 핵제에 있어서의 입자경 프로파일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분진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나아가서는, 입자경 프로파일로서, 체적 평균 입자경 MV 의 소정 범위 내에 있어서, 최대 입자경 Dmax 의 상한과 하한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분진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것, 그리고 원하는 투명화성이 얻어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체적 평균 입자경 MV 는, 예를 들어, 5 ㎛ ∼ 100 ㎛, 바람직하게는 6 ㎛ ∼ 95 ㎛,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 90 ㎛ 이다.
본 명세서 중, 「∼」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상한값과 하한값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최대 입자경 Dmax 의 상한은, 3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9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0 ㎛ 이하이다. 한편, Dmax 의 하한은, 예를 들어,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3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이다.
제 2 실시형태의 입상 핵제에 있어서는, 체적 평균 입자경 MV 를 상기의 범위 내로 한 후에, 최대 입자경 Dmax 의 상한을 상기 이하로 함으로써, 입상 핵제의 투명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최대 입자경 Dmax 의 하한을 상기 이상으로 함으로써, 입상 핵제의 분진 작업성, 나아가서는, 스케일 업시에 있어서의 입상 핵제의 핸들링성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입상 핵제는, 침상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입상 핵제의 애스펙트비는, 예를 들어, 1.5 이상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8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6 이하이다. 이와 같은 수치 범위 내로 함으로써, 결정성 고분자의 성형 가공시에 있어서, 분진 특성을 억제할 수 있어, 분진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상 핵제의 애스펙트비는,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랜덤하게 100 개의 결정에 대하여 장축 및 단축의 길이를 측정하고, 장축/단축의 평균으로부터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입상 핵제 중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종류나 배합량, 입상 핵제의 조제 방법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기 입상 핵제의 최대 입자경, 분산도, 체적 평균 입자경, 및 애스펙트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예를 들어, 분쇄 방법이나 분쇄 시간 등의 분쇄 조건이나, 조대 입자의 차단 등의 분급 조건 등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 등을, 상기 입상 핵제의 최대 입자경, 분산도, 체적 평균 입자경, 및 애스펙트비를 원하는 수치 범위로 하기 위한 요소로서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입상 핵제를 열가소성 수지 중에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입상 핵제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의 분말물 혹은 펠릿과, 상기 입상 핵제의 분말물을 드라이 블렌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각종 형태로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펠릿상, 과립상, 분말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취급성의 관점에서, 펠릿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함할로겐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결정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예를 들면, 예를 들어, 석유 수지, 쿠마론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아크릴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우레탄, 섬유소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술폰, 액정 폴리머 등의 열가소성 수지 및 이들의 블렌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니트릴계 엘라스토머, 나일론계 엘라스토머, 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여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상기 결정성 고분자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사슬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부텐-1, 폴리3-메틸펜텐, 폴리4-메틸펜텐,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등의 α-올레핀 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직사슬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 폴리페닐렌술파이드 등의 폴리술파이드계 고분자 ;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폴리락트산계 고분자 ;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등의 직사슬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등의 결정성의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본 발명의 핵제의 사용 효과가 현저히 얻어지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가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프로필렌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이들의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다른 α-올레핀 중합체의 혼합물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결정성 고분자로서, 결정성 α-올레핀 중합체, 특히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프로필렌 중합체와 다른 α-올레핀 중합체의 혼합물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 유용하다. 이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그 극한 점도, 아이소메택틱 펜타드 분율, 밀도, 분자량 분포, 멜트 플로 레이트, 강성 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37148호, 동 63-37152호, 동 63-90552호, 동 63-210152호, 동 63-213547호, 동 63-243150호, 동 63-243152호, 동 63-260943호, 동 63-260944호, 동 63-2646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78541호, 동 2-49047호, 동 2-102242호, 동 2-251548호, 동 2-2797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95751호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입상 핵제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결정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통상적으로, 0.001 ∼ 1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005 ∼ 8 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부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열가소성 수지, 특히 결정성 고분자의 개질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충전제, 유기 주석 화합물, 가소제, 에폭시 화합물, 발포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활제, 중금속 불활성제, 하이드로탈사이트류, 유기 카르복실산, 착색제, 규산계 첨가제, 가공 보조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것들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항산화제로서, 인계 항산화제, 페놀계 항산화제, 티오에테르계 항산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로서,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 아니온계 계면 활성제, 논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서, 할로겐계 화합물,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인산아미드계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폴리인산의 멜라민염 화합물, 불소 수지 또는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제로서, 탄화수소계, 지방산계, 지방족 알코올계, 지방족 에스테르계, 지방족 아미드계, 금속 비누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규산계 첨가제로서, 퓸드 실리카, 미립자 실리카, 규석, 규조토류,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겔, 규산칼슘, 세리사이트, 카올리나이트, 플린트, 장석 분말, 질석, 애터펄자이트, 탤크, 마이카, 미네소타이트, 파이로필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첨가제의 함유량은, 결정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0.001 ∼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첨가제의 효과의 향상이 얻어진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사출 성형품, 섬유, 플랫 얀, 2 축 연신 필름, 1 축 연신 필름, 무연신 필름, 시트, 열성형품, 압출 블로 성형품, 사출 블로 성형품, 사출 연신 블로 성형품, 이형 압출 성형품, 회전 성형품 등의 성형품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성형품으로서, 사출 성형품, 필름, 시트, 열성형품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품의 제조 방법은, 각종 성형 방법에 기초하여,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이로써, 상기의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성형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블로 성형법, 회전 성형, 진공 성형법, 인플레이션 성형법, 캘린더 성형법, 슬래시 성형법, 딥 성형법, 발포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사출 성형법, 압출 성형법, 블로 성형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건축 자재, 농업용 자재, 자동차, 열차, 배, 항공기 등 차량용 부품, 포장용 자재, 잡화, 완구, 가전 제품, 의료품 등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범퍼, 대시 보드, 인스트루먼트 패널, 배터리 케이스, 러기지 케이스, 도어 패널, 도어 트림, 펜더 라이너 등의 자동차 부품 ;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등의 가전 제품용 수지 부품 ; 식기, 보틀 캡, 버킷, 입욕용품 등의 가정용품 ; 커넥터 등의 접속용 수지 부품 ; 완구, 수납 용기, 합성지 등의 잡화품 ; 의료용 팩, 주사기, 카테터, 의료용 튜브, 시린지 제제, 수액 백, 시약 용기, 내복약 용기, 내복약 낱개 포장 등의 의료용 성형품 ; 벽재, 플로어재, 창틀, 벽지, 창 등의 건재 ; 전선 피복재 ; 하우스, 터널, 플랫 얀 메시 백 등의 농업용 자재 ; 팔레트, 페일 캔, 백 그라인드 테이프, 액정 프로텍트용 테이프, 파이프, 실링재용 변성 실리콘 폴리머 등의 공업용 자재 ; 랩, 트레이, 컵, 필름, 보틀, 캡, 보존 용기 등의 식품 포장재, 그 외 3D 프린터 재료, 전지용 세퍼레이터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각종 후처리가 실시되는 경우의 용도, 예를 들어, 의료 용도, 식품 포장 용도 등의 방사선에 의한 멸균이 실시되는 용도, 혹은 도장성 등의 표면 특성의 개선을 위해서, 성형 후, 저온 플라즈마 처리 등이 실시되는 용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자동차 부품, 가정용품, 식품 포장재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이것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하, 참고 형태의 예를 부기한다.
1. 하기 일반식 (1) 에 의해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상 핵제로서,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한 당해 입상 핵제의, 체적 평균 입자경을 MV, 최대 입자경을 Dmax 로 했을 때,
당해 입상 핵제의 입자경 프로파일이, 이하의 식 (A) 및 식 (B) 를 만족하는, 입상 핵제.
5 ㎛ < MV < 100 ㎛ … 식 (A)
80 ㎛ < Dmax < 300 ㎛ … 식 (B)
[화학식 5]
Figure 112020092893748-pct00005
(상기 일반식 (1) 중,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직사슬 또는 분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1 ∼ 9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5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 은 1 또는 2 를 나타내고, m 이 1 인 경우, M1 은 수소 원자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m 이 2 인 경우, M1 은, 2 족 원소, Al(OH) 또는 Zn 을 나타낸다.)
2. 1. 에 기재된 입상 핵제로서,
당해 입상 핵제의 애스펙트비는, 1.5 이상 10 이하인, 입상 핵제.
3. 1. 또는 2. 에 기재된 입상 핵제로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의 식 No.1 내지 식 No.12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상 핵제.
[화학식 6]
Figure 112020092893748-pct00006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입상 핵제를 결정성 고분자 중에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결정성 고분자 조성물.
5. 4. 에 기재된 결정성 고분자 조성물로서,
상기 결정성 고분자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결정성 고분자 조성물.
6. 4. 또는 5. 에 기재된 결정성 고분자 조성물로서,
결정성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입상 핵제의 함유량이 0.0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인, 결정성 고분자 조성물.
7. 4.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결정성 고분자 조성물로서,
펠릿상인, 결정성 고분자 조성물.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의 기재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 No.1 의 합성)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 486 g (1 몰), 수산화나트륨 42 g (1.05 몰) 과 물 100 g 의 용액 및 메탄올 97 g 을 니더 중에 주입하고, 실온에서 1 시간 혼련하였다. 감압하에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421 g 의 백색 분말인 화합물 No.1 을 얻었다.
[화학식 7]
Figure 112020092893748-pct00007
(시험예 1)
얻어진 화합물 No.1 을, 분쇄 처리 없이, 메시 사이즈 : 355 ㎛ 의 체로 분급하여 입상 핵제 A 를 얻었다.
(시험예 2)
얻어진 화합물 No.1 에 대해, 볼 밀로 30 분간 분쇄하고, 메시 사이즈 : 355 ㎛ 의 체로 분급하여 입상 핵제 B 를 얻었다.
(시험예 3)
얻어진 화합물 No.1 에 대해, 볼 밀로 4 시간 분쇄하고, 메시 사이즈 : 355 ㎛ 의 체로 분급하여 입상 핵제 C 를 얻었다.
(시험예 4)
얻어진 화합물 No.1 에 대해, 볼 밀로 4 시간 분쇄하고, 추가로 제트 밀로 분쇄하고, 메시 사이즈 : 355 ㎛ 의 체로 분급하여 입상 핵제 D 를 얻었다.
Figure 112020092893748-pct00008
얻어진 입상 핵제 A ∼ D 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하여 입자경 분포, 분산도, 애스펙트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상기의 입자경 분포나 분산도의 결과에 입각하여, 얻어진 시험예 1 ∼ 3 의 입상 핵제 A ∼ C 를, 실시예 1 ∼ 3 의 입상 핵제로서 사용하고, 얻어진 시험예 4 의 입상 핵제 D 를, 비교예 1 의 입상 핵제로서 사용하였다.
(체적 평균 입자경, 최대 입자경)
ㆍ체적 평균 입자경 MV 및 최대 입자경 Dmax 는, 건식 조건하에,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기 (Microtrac MT3000II)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산도)
분체 특성 평가 장치 (세이신 기업사 제조, 멀티테스터 MT-02) 를 사용하여, 얻어진 입상 핵제의 분산도 (%) 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샘플로서, 얻어진 입상 핵제를 약 5 g, 바닥에 자유롭게 개폐되는 셔터를 구비하는, 내경 3 ㎝ 의 투입 용기, 내경 10 ㎝, 높이 50.5 ㎝ 의 원통, 및 직경 10 ㎝ 의 시계 접시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투입 용기에 넣고, 바닥이 높이 60 ㎝ 가 되도록 투입 용기를 설치하였다.
계속해서, 원통 위에 투입 용기를 설치하고, 원통 아래에 시계 접시를 설치하였다. 원통의 하단과 시계 접시의 표면의 거리는 약 9 ㎝ 였다.
계속해서, 투입 용기의 바닥의 셔터를 개방함으로써, 샘플을 원통 내에 투입하고, 원통 내부의 상하 방향 (연직 방향) 으로 샘플을 단번에 낙하시켰다.
그 후, 샘플의 낙하 지점에 설치한 시계 접시에, 비산되지 않고 남은 샘플의 양을 계량하고, 하기의 식으로부터 분산도 (%) 를 산출하였다. 각각의 입상 핵제에 대하여, 분산도의 측정을 3 회 실시하고, 그 값의 평균값을 표 1 에 나타낸다.
분산도 (%) = [(투입 샘플량 (g) - 시계 접시에 남은 샘플량 (g))/투입 샘플량 (g)] × 100
(애스펙트비)
ㆍ애스펙트비는,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랜덤하게 100 개의 결정에 대하여 장축 및 단축의 길이를 측정하고, 장축/단축의 평균을 구하였다.
각 실시예, 비교예의 입상 핵제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 항목에 기초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092893748-pct00009
(최대 폭발 압력, 폭발 지수)
ㆍ폭발 지수 (Kst) 및 최대 폭발 압력은, JIS Z 8817 : 2002 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Kst[102 ㎪ㆍm/s] = (dp/dt)max × V1/3
(dp/dt)max : 최대 압력 상승 속도, V : 측정 용기 용적
실시예 1 ∼ 3 의 입상 핵제는, 비교예 1 의 입상 핵제와 비교하여, 스케일 업시에 있어서의 핸들링성이 우수하고, 분진 작업성이 우수한 것임이 판명되었다.
ㆍHaze : 폴리프로필렌의 100 중량부에, 얻어진 입상 핵제의 0.1 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헨셸 믹서로 1 분간 혼합하고, 230 ℃, 150 rpm 의 조건에서 압출 가공하여 펠릿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200 ℃ 에서 사출 성형하여 얻은 두께 1 ㎜ 의 시험편에 대하여, JIS K7105 에 준하여 Haze (헤이즈값 : %) 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2)
체 분급을 실시하지 않고, 최대 입자경 Dmax 가 355 ㎛ 를 초과하고, 화합물 No.1 로 나타내는 입상 핵제 E 를 준비하였다.
이 입상 핵제 E 를 사용하여,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Haze 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1 ∼ 3 의 경우와 비교하여, 헤이즈값이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 3 의 입상 핵제는, 비교예 2 의 입상 핵제와 비교하여, 실용상 문제 없는 범위에서 헤이즈값이 작고, 결정성 고분자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핵제ㆍ투명화제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출원은 2018년 2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025245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 전부를 여기에 도입한다.

Claims (11)

  1.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상 핵제로서,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법을 사용하여, 당해 입상 핵제의 입자경 분포를 건식 측정하고, 그 입상 핵제의 최대 입자경을 Dmax 로 하고,
    하기의 순서에 따라 측정되는 당해 입상 핵제의 분산도를 Dp 로 했을 때,
    Dmax 가 하기 식 (A) 를 만족하고, 또한 Dp 가 하기 식 (B) 를 만족하는, 입상 핵제.
    80 ㎛ ≤ Dmax ≤ 300 ㎛ … 식 (A)
    1.0 % ≤ Dp ≤ 27.0 % … 식 (B)
    (순서)
    소정량의 입상 핵제를 샘플로서 준비한다. 당해 샘플을 60 ㎝ 의 높이에서부터 원통 내에 투입하고, 원통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당해 샘플을 낙하시킨다. 그리고, 그 낙하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시계 접시 상에 남은 샘플의 양을 측정한다. 투입한 샘플량 및 시계 접시에 남은 샘플량을 사용하여, 하기의 식에 기초하여 분산도 (%) 를 측정한다.
    분산도 (%) = [(투입 샘플량 (g) - 시계 접시에 남은 샘플량 (g))/투입 샘플량 (g)] × 100
    Figure 112020092893748-pct00010

    (상기 일반식 (1) 중,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직사슬 또는 분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1 ∼ 9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5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 은 1 또는 2 를 나타내고, m 이 1 인 경우, M1 은, 수소 원자, Al(OH)2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m 이 2 인 경우, M1 은, 2 족 원소, Al(OH) 또는 Zn 을 나타낸다.)
  2.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상 핵제로서,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법을 사용하여, 당해 입상 핵제의 입자경 분포를 건식 측정하고, 그 입상 핵제의 최대 입자경을 Dmax, 체적 평균 입자경을 MV 로 했을 때,
    Dmax 가 하기 식 (A) 를 만족하고, 또한 MV 가 하기 식 (C) 를 만족하는, 입상 핵제.
    80 ㎛ ≤ Dmax ≤ 300 ㎛ … 식 (A)
    5 ㎛ ≤ MV ≤ 100 ㎛ … 식 (C)
    Figure 112020092893748-pct00011

    (상기 일반식 (1) 중, R1 ∼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직사슬 또는 분기를 갖는 탄소 원자수 1 ∼ 9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5 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 은 1 또는 2 를 나타내고, m 이 1 인 경우, M1 은, 수소 원자, Al(OH)2 또는 알칼리 금속 원자를 나타내고, m 이 2 인 경우, M1 은, 2 족 원소, Al(OH) 또는 Zn 을 나타낸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당해 입상 핵제의 애스펙트비는, 1.5 이상 10 이하인, 입상 핵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의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15) 로 나타내는 1 또는 2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상 핵제.
    Figure 112020093034331-pct00012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입상 핵제를 열가소성 수지 중에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결정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고분자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입상 핵제의 함유량이 0.00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인, 수지 조성물.
  9. 제 5 항에 있어서,
    펠릿상인, 수지 조성물.
  10. 제 5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성형품.
  11. 제 5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
KR1020207025387A 2018-02-15 2019-02-07 입상 핵제,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5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25245 2018-02-15
JP2018025245 2018-02-15
PCT/JP2019/004405 WO2019159804A1 (ja) 2018-02-15 2019-02-07 粒状核剤、樹脂組成物、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092A KR20200108092A (ko) 2020-09-16
KR102215162B1 true KR102215162B1 (ko) 2021-02-10

Family

ID=6761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387A KR102215162B1 (ko) 2018-02-15 2019-02-07 입상 핵제,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130851B2 (ko)
EP (1) EP3753979B1 (ko)
JP (1) JP6767600B2 (ko)
KR (1) KR102215162B1 (ko)
CN (1) CN111727216B (ko)
BR (1) BR112020015491B1 (ko)
RU (1) RU2764580C1 (ko)
SA (1) SA520412642B1 (ko)
TW (1) TWI778225B (ko)
WO (1) WO2019159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4053A (zh) * 2018-02-13 2018-08-10 株式会社Adeka 成核剂、使用其的聚烯烃系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CN113845698B (zh) * 2021-04-27 2022-09-23 朴蓝聚烯烃科技发展(上海)有限公司 一种聚合物复合成核剂及聚合物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7319A1 (en) 2004-02-20 2005-08-2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7152A (ja) 1986-08-01 1988-02-17 Chisso Corp 高剛性エチレン−プロピレンブロツク共重合体組成物
JPS6337148A (ja) 1986-08-01 1988-02-17 Chisso Corp 高剛性プロピレン単独重合体組成物
JPS6390552A (ja) 1986-10-06 1988-04-21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S6395252A (ja) * 1986-10-13 1988-04-26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0670161B2 (ja) 1987-03-02 1994-09-07 チッソ株式会社 高剛性高溶融粘弾性エチレン−プロピレンブロツク共重合体組成物
JPS63210152A (ja) 1987-02-26 1988-08-31 Chisso Corp 高剛性高溶融粘弾性プロピレン単独重合体組成物
JPS63243150A (ja) 1987-03-30 1988-10-11 Idemitsu Petrochem Co Ltd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JPS63243152A (ja) 1987-03-31 1988-10-11 Idemitsu Petrochem Co Ltd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JPS63264650A (ja) 1987-04-21 1988-11-01 Chisso Corp 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S63260944A (ja) 1987-04-20 1988-10-27 Chisso Corp 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S63260943A (ja) 1987-04-20 1988-10-27 Chisso Corp 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2528443B2 (ja) 1987-12-30 1996-08-28 三菱化学株式会社 低溶出性の医薬液剤・輸液・輸血用器具
JP2535595B2 (ja) 1988-08-11 1996-09-18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JPH0627226B2 (ja) 1988-10-11 1994-04-13 チッソ株式会社 結晶性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容器
JPH0655870B2 (ja) * 1988-12-28 1994-07-27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社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JPH0655871B2 (ja) 1989-03-25 1994-07-27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JP2841319B2 (ja) 1989-04-20 1998-12-24 三菱化学株式会社 結晶性プロピレン重合体組成物
JPH039939A (ja) * 1989-06-08 1991-01-17 Chisso Corp 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JPH0618946B2 (ja) 1989-12-22 1994-03-16 チッソ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3989098B2 (ja) * 1998-08-21 2007-10-10 株式会社Adeka 結晶性高分子材料組成物
WO2000077086A1 (fr) 1999-06-15 2000-12-21 Asahi Denka Kogyo K.K. Agent nucleant
JP4420417B2 (ja) 1999-06-15 2010-02-24 株式会社Adeka 造核剤
KR100791193B1 (ko) 2000-11-02 2008-01-02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폴리올레핀의 가공성 개선을 위한 과립상 복합첨가제,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조성물
KR20020055865A (ko) * 2000-12-29 2002-07-10 유현식 투명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2332359A (ja) * 2001-05-10 2002-11-22 New Japan Chem Co Ltd 粒状ポリオレフィン用添加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組成物を含む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型体
DE60231548D1 (de) * 2001-12-28 2009-04-23 Adeka Corp N; formkörper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4014202B2 (ja) 2002-05-22 2007-11-28 株式会社Adeka 結晶核剤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してなる結晶性高分子組成物
JP2004083852A (ja) * 2002-06-24 2004-03-18 Asahi Denka Kogyo Kk 造核剤及び該造核剤を含有してなる結晶性高分子組成物
JP2005320399A (ja) 2004-05-07 2005-11-17 Asahi Kasei Chemicals Corp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成形体
EP2402326A1 (en) 2005-06-21 2012-01-04 Ajinomoto Co., Inc. Crystals of hydrochloride salts of a Phenylalanine Derivativ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as alpha4 integrin Inhibitors
KR101272744B1 (ko) 2005-09-30 2013-06-10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결정핵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결정성 고분자 조성물
JP2008150571A (ja) * 2006-04-26 2008-07-03 Japan Polypropylene Corp 射出成形品
JP5191102B2 (ja) * 2006-04-28 2013-04-24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高性能造核剤の製造方法
JP4867593B2 (ja) * 2006-11-10 2012-02-01 住友化学株式会社 亜リン酸エステ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217226B2 (ja) * 2007-04-03 2013-06-19 住友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2020291A1 (en) 2007-07-31 2009-02-04 Borealis Technology Oy Use of nucleated propylene butene random copolymers or terpolymers for the production of sterilizable blown films
JP5388263B2 (ja) * 2007-09-04 2014-01-15 株式会社Adek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用造核剤マスターバッチ
EP2862883B1 (en) * 2012-06-14 2019-09-25 Adeka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nucleator masterbatch
JP6885667B2 (ja) * 2015-08-20 2021-06-16 株式会社Adeka 樹脂添加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合成樹脂組成物
KR102326800B1 (ko) * 2016-03-02 2021-11-15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수지 첨가제 조성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JP6845524B2 (ja) 2016-08-10 2021-03-17 明和工業株式会社 管長調整継手
EP3677629A4 (en) * 2017-08-31 2021-06-09 Adeka Corporation COMPOSITION, COMPOSITION OF THERMOPLASTIC RESIN USING IT AND ARTICLE MOLDED THEREOF
JP6397153B1 (ja) * 2018-05-18 2018-09-26 株式会社Adeka 粒状核剤、樹脂組成物、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7319A1 (en) 2004-02-20 2005-08-2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4632A (zh) 2019-09-01
JP6767600B2 (ja) 2020-10-14
CN111727216B (zh) 2021-09-03
SA520412642B1 (ar) 2023-02-21
US11130851B2 (en) 2021-09-28
BR112020015491B1 (pt) 2022-10-25
BR112020015491A2 (pt) 2020-12-08
KR20200108092A (ko) 2020-09-16
US20210032436A1 (en) 2021-02-04
EP3753979A1 (en) 2020-12-23
EP3753979A4 (en) 2021-10-27
CN111727216A (zh) 2020-09-29
WO2019159804A1 (ja) 2019-08-22
TWI778225B (zh) 2022-09-21
RU2764580C1 (ru) 2022-01-18
EP3753979B1 (en) 2022-12-28
JPWO2019159804A1 (ja)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46901B2 (en) Particulate nucleating agent, resin composition, molded produ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215162B1 (ko) 입상 핵제,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4128B1 (ko) 입상 핵제,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2472825B1 (ko) 입상 핵제,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성형품
KR102031524B1 (ko) 입상 핵제,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JP2022173217A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2019199460A (ja) 粒状核剤、樹脂組成物、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007521A (ja) 粒状核剤、樹脂組成物、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