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320B1 -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320B1
KR101924320B1 KR1020160182088A KR20160182088A KR101924320B1 KR 101924320 B1 KR101924320 B1 KR 101924320B1 KR 1020160182088 A KR1020160182088 A KR 1020160182088A KR 20160182088 A KR20160182088 A KR 20160182088A KR 101924320 B1 KR101924320 B1 KR 10192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ess
flux
hollow structure
j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5432A (ko
Inventor
유타카 야나가와
노리히사 이소무라
유키 도타니
야스히로 야기타
데쓰로 하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에이씨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에이씨제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에이씨제이
Publication of KR20170085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8Soldering within a furn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19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sold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20Preliminary treatment of work or areas to be soldered, e.g. in respect of a galv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20Preliminary treatment of work or areas to be soldered, e.g. in respect of a galvanic coating
    • B23K1/203Fluxing, i.e. applying flux onto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01Interlayers, transition pieces for metallurgical bonding of workpieces
    • B23K35/002Interlayers, transition pieces for metallurgical bonding of workpieces at least one of the workpieces being of ligh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33Sheets,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33Sheets, foils
    • B23K35/0238Sheets, foils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44Powders, particles or spheres; Preforms made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soldering, brazing
    • B23K35/0244Powders, particles or spheres; Preforms made therefrom
    • B23K35/025Pastes, creams, slur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28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950 degrees C
    • B23K35/286Al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28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950 degrees C
    • B23K35/286Al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288Al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Sn or Z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01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with inorganic compounds as principal constituents
    • B23K35/3603Halide 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01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with inorganic compounds as principal constituents
    • B23K35/3603Halide salts
    • B23K35/3605Fluo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8Selection of media, e.g. special atmospheres for surrounding the working area
    • B23K35/383Selection of media, e.g. special atmospheres for surrounding the working area mainly containing noble gases or 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all layers being formed of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2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6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06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22C21/08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magnes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with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1/00Alloys based on aluminium
    • C22C21/10Alloys based on aluminium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206Heat exchangers immersed in a large body of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9Coatings, claddings or bonding layer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4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소형화, 경량화가 용이하고, 열팽창에 의한 변형이 작은 열교환기(1)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Mg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심재층(A)과, Si를 필수로 포함하고, Li, Be 및 Bi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Mg의 함유량이 규제 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납재층(B)을 갖는 클래드판(200)을 준비한다.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이너 핀(3)을 준비한다. 클래드판(200)으로 이루어지고, 납재층(B)이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납재층(B)끼리가 당접하는 당접부(201)를 갖는 중공 구조체(20)와,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 수용된 이너 핀(3)과, Cs를 함유하고, 당접부(201) 및 그 근방에 도포된 플럭스를 갖는 피처리물(10)을 조립한다.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피처리물(10)을 가열하여 납땜을 실시하고, 열교환기(1)를 제작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구동용 모터의 제어 등의 다양한 용도에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의 반도체 소자에 의해 스위칭을 실시하는 인버터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인버터 유닛은 반도체 소자나 반도체 소자와 함께 전력 변환 회로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 등의 발열체를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를 갖고 있다.
열교환기는 발열체가 탑재되는 발열체 탑재면을 외표면에 구비한 중공 구조체와,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이너 핀(inner fin)을 갖고 있다. 중공 구조체 및 이너 핀은 열전도율이 높고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 판이나 알루미늄 합금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너 핀은 중공 구조체의 내표면에 납땜됨으로써, 중공 구조체와 금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열교환기의 납땜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심재와, 심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클래드된 납재를 갖는 클래드판을 사용하여 실시된다. 또한 열교환기의 납땜은 일반적으로, 피접합부에 K-Al-F(칼륨-알루미늄-불소)계의 플럭스를 도포하여 실시하는, 이른바 노코록(Nocolok) 납땜법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최근, 열교환기의 소형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고, 특히 자동차용 열교환기에서 소형 경량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력 변환 장치의 고출력화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발열량이 증대하고 있기 때문에, 열팽창에 의한 중공 구조체나 이너 핀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그래서 열교환기를 소형화, 경량화하는 동시에 열팽창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중공 구조체나 이너 핀에 보다 강도가 높고 판 두께가 얇은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판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판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는, 판재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Mg(마그네슘)를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노코록 납땜법에 의해 Mg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납땜을 실시하려고 하면, 납땜 가열 중에 플럭스가 Mg와 반응하여 소비된다. 따라서, 플럭스에 의해 피접합부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을 충분히 파괴할 수 없다. 또한, K-Al-F계의 플럭스와 Mg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화합물은 납의 유동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와 같이, 노코록 납땜법은 플럭스의 소비나 납의 유동성의 저하 때문에, Mg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납땜을 실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Mg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납땜을 실시하기 위해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고, 납땜을 실시하는 기술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납재층 이외의 브레이징(brazing) 시트 구성층에 Mg가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제 브레이징 시트로 중공 구조체를 형성하고, 중공 구조체의 내측에 플럭스를 도포하지 않고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납땜을 실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Li(리튬)가 첨가된 Al-Si(알루미늄-실리콘) 합금으로 이루어진 납재와, Mg가 첨가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심재를 갖는 브레이징 시트를 사용하고,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고 납땜을 실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529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233552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중공 구조체의 외측에 K-Al-F계의 플럭스를 도포하기 때문에, 납땜 시의 가열에 의해 용융된 플럭스가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침입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침입한 플럭스에 의해, Mg에 의한 플럭스 없이 납땜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한편,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침입한 플럭스는 비교적 소량이기 때문에, 플럭스에 의해 산화 피막을 파괴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예를 들어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피접합부 등의,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피접합부의 납땜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은, 분위기 중의 산소 농도가 높아지면 납땜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양산 설비에 적용하려고 하면, 피처리물의 형상이나 구조, 및 납땜 접합을 형성하는 위치에 따라서는 납땜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즉, 중공 구조체의 내부는 중공 구조체의 외부의 분위기가 유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산소 농도가 낮은 상태를 비교적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피접합부 등의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피접합부에서는,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고 양호한 납땜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납땜로 내의 산소 농도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하기 때문에, 중공 구조체의 외부는 산소 농도가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예를 들어 중공 구조체의 외벽끼리의 피접합부 등의 중공 구조체의 외부에 노출된 피접합부에서의 납땜성이 악화되기 쉽다. 또한, 중공 구조체의 외벽끼리의 피접합부는 중공 구조체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납이 유통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납땜성이 우수한 중공부 내에 납이 모이기 쉽다. 그러므로, 납땜성이 떨어지는 중공 구조체의 외부측에서 납이 부족하고, 필렛 조각 등의 납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이, Mg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열교환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피접합부의 납땜성 및 중공 구조체의 외벽끼리의 피접합부의 납땜성의 양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 경량화가 용이하고, 열팽창에 의한 변형이 작은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Mg(마그네슘): 0.40 내지 1.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알루미늄)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는 심재층과, Si(실리콘): 4.0 내지 13.0질량%를 필수로 포함하고, Li(리튬): 0.0040 내지 0.10질량%, Be(베릴륨): 0.0040 내지 0.10질량% 및 Bi(비스무트): 0.010 내지 0.30질량%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고, Mg의 함유량이 0.10질량% 미만으로 규제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고, 상기 심재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클래드된 납재층을 갖는 클래드판을 준비하고,
Si: 0.30 내지 0.70질량% 및 Mg: 0.35 내지 0.8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알루미늄)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는 이너 핀을 준비하고,
상기 클래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납재층이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납재층끼리가 당접하는 당접부를 갖는 중공 구조체와, 상기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이너 핀과, Cs(세슘)를 함유하고, 상기 당접부 및 그 근방에 도포된 플럭스를 갖는 피처리물을 조립하고,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상기 피처리물을 가열하여 상기 플럭스 및 상기 납재층을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중공 구조체 및 상기 이너 핀을 일괄하여 납땜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Mg: 0.40 내지 1.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는 판재로 구성되고, 발열체를 탑재하는 발열체 탑재면을 외표면에 갖는 동시에, 냉매가 유통하는 냉매 유로를 내부에 구비한 재킷과,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 유로에 배치된 이너 핀과,
Al-Si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킷에서의 상기 판재끼리를 접합하는 재킷 접합부와,
Al-Si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킷과 상기 이너 핀을 접합하는 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재킷의 내표면에서의 상기 재킷 접합부로부터 상기 이너 핀까지의 사이에만 Cs가 존재하고 있는 열교환기에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재킷과, 상기 재킷에서의 상기 냉매 유로에 배치된 상기 이너 핀을 갖고 있다. 상기 재킷은 Mg를 함유하고 있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열교환기의 재킷에 비해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재킷의 소형화, 박육화(薄肉化)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킷의 강도를 높게 함으로써, 열팽창에 의한 상기 재킷의 변형을 억제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특정된 구성을 갖는 상기 피처리물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가열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피처리물에서의 상기 중공 구조체의 상기 당접부 및 그 근방에는 Cs를 함유하는 상기 플럭스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플럭스는 납땜 시의 가열에 의해 용융하고, 상기 당접부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을 파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플럭스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당접부의 납땜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 구조체를 구성하는 상기 클래드판은 Mg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상기 심재층과, Li, Be 및 Bi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상기 납재층을 갖고 있다. 상기 심재층 중의 Mg의 일부는 납땜 시의 가열에 의해 확산되어 상기 클래드판의 표면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클래드판의 표면으로 이동한 Mg와 상기 납재층 중의 Li 등이 납 중에 공존함으로써, 클래드판이나 상기 이너 핀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을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따라서,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상기 피처리물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을 파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중공 구조체와 상기 이너 핀의 납땜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는, 납땜 시의 가열에 의해 용융된 상기 플럭스가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상기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는 상기 이너 핀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침입한 상기 플럭스의 대부분을 상기 이너 핀에 의해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럭스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K-Al-F계의 플럭스에 비해, Mg와의 반응에 의한 납땜성의 악화가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중공 구조체와 상기 이너 핀의 납땜이 상기 플럭스에 의해 저해되는 경우는 없다.
이상과 같이, 상기 피처리물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가열함으로써, 비교적 산소 농도가 낮은 상기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서는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고 납땜을 실시하고, 비교적 산소 농도가 높은 상기 중공 구조체의 외부에서는 플럭스를 사용하여 납땜을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열교환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서의 열교환기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의 피처리물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당접부 및 그 근방의 확대도이다.
상기 열교환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은 클래드판, 이너 핀 및 플럭스를 갖고 있다. 이하, 이것들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클래드판]
클래드판은, 심재층과, 심재층의 적어도 한쪽 면에 클래드된 납재층을 갖고 있다. 또한, 심재층은 납땜을 실시한 후에, 상기 재킷을 구성하는 판재가 된다.
<심재층>
심재층은 Mg: 0.40 내지 1.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고 있다.
·Mg: 0.40 내지 1.0질량%
심재층 중의 Mg는 클래드판의 강도를 높이는 작용을 갖고 있다. 심재층 중의 Mg량을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클래드판의 박육화, 나아가서는 상기 열교환기에서의 재킷의 박육화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심재층 중의 Mg의 일부는 납땜 시의 가열에 의해 납 중에 확산하여 클래드판의 표면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클래드판의 표면에 도달한 Mg에 의해, 상기 클래드판이나 상기 이너 핀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 등의, 중공 구조체의 내측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이 파괴된다.
심재층 중의 Mg량을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심재층 중의 Mg의 함유량이 0.4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재킷의 박육화가 어려워진다. 또한, 이 경우에는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성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들 문제를 회피하는 관점에서, Mg의 함유량은 0.40질량% 이상으로 한다.
심재층 중의 Mg는, 납땜 시의 가열에 의해 납재층이 용융한 후에, 액체의 납 속에 신속하게 확산하여 클래드판의 표면에 도달한다. 이때, 표면에 도달한 Mg의 양이 과도하게 많아지면, 중공 구조체의 당접부(이하, 중공 구조체의 당접부를 「당접부」라고 약칭함)에 도포된 플럭스와 Mg의 반응 생성물이 다량으로 생긴다. 이 반응 생성물은 납의 유동성을 저하시킴으로써, 당접부의 납땜성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는 관점에서, Mg의 함유량은 1.0질량% 이하로 한다. 같은 관점에서, Mg의 함유량을 0.8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 0.050 내지 1.3질량%, Si: 1.0질량% 이하, Fe: 1.0질량% 이하, Cu: 0.90질량% 이하, Zn: 6.5질량% 이하, Ti: 0.20질량% 이하 및 Zr: 0.50질량% 이하
심재층은, Mn: 0.050 내지 1.3질량%, Si: 1.0질량% 이하, Fe: 1.0질량% 이하, Cu: 0.90질량% 이하, Zn: 6.5질량% 이하, Ti: 0.20질량% 이하, Zr: 0.50질량% 이하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 원소를 심재층에 첨가함으로써, 클래드판의 강도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원소의 함유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클래드판을 제작할 때의 압연 공정에서 균열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납재층>
납재층은 Si(실리콘): 4.0 내지 13.0질량%를 필수로 포함하고, Li(리튬): 0.0040 내지 0.10질량%, Be(베릴륨): 0.0040 내지 0.10질량% 및 Bi(비스무트): 0.010 내지 0.30질량%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고, Mg(마그네슘)의 함유량이 0.10질량% 미만으로 규제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고 있다.
·Si: 4.0 내지 13.0질량%
Si의 함유량을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납땜 시의 가열 중에 당접부 및 이너 핀과 중공 구조체의 피접합부에 충분한 납을 공급할 수 있다. 그 결과, 당접부의 납땜성 및 이너 핀과 중공 구조체의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의 함유량이 4.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납의 공급량이 부족한, 납의 유동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생겨서, 납땜성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납땜성의 악화를 회피하는 관점에서, Si의 함유량은 4.0질량% 이상으로 한다. 같은 관점에서, Si의 함유량을 7.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i의 함유량이 13.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납의 공급량이 과잉해지고, 심재층의 용해량이 과다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는 관점에서, Si의 함유량은 13.0질량% 이하로 한다. 같은 관점에서, Si의 함유량을 10.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 0.0040 내지 0.10질량%, Be: 0.0040 내지 0.10질량%
Li 및 Be는 중공 구조체나 이너 핀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을 파괴하는 작용을 갖는다. Li 및 Be가 산화 피막을 파괴하는 메커니즘은 현시점에서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하의 메커니즘에 의해 산화 피막이 파괴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Li 및 Be는 모두 Al에 비해 산화되기 쉬운 원소이기 때문에, 피처리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으로부터 산소를 빼앗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산소를 빼앗긴 산화 피막이 산소를 빼앗기기 전에 비해 취약화됨으로써, 산화 피막에 균열이 생기기 쉬워진다. 그 결과, 산화 피막이 파괴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Li 및 Be는 플럭스와 전혀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플럭스에 의한 당접부의 납땜을 거의 저해하지 않는다.
Li는, 함유량을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Li의 함유량이 0.004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산화 피막을 파괴하는 효과가 낮아지고,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Li의 함유량은 0.0040질량% 이상으로 한다. 같은 관점에서, Li의 함유량을 0.01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i의 함유량이 0.1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클래드판에서의 납재층의 표면에 Li의 산화물이 성장하고, 납땜성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는 관점에서, Li의 함유량은 0.10질량% 이하로 한다. 같은 관점에서, Li의 함유량을 0.05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e도 Li와 마찬가지로, 함유량을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e의 함유량이 0.004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산화 피막을 파괴하는 효과가 낮아지고,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Be의 함유량은 0.0040질량% 이상으로 한다. 같은 관점에서, Be의 함유량을 0.01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e의 함유량이 0.1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납재층의 표면에 Be의 산화물이 성장하고, 납땜성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는 관점에서, Be의 함유량은 0.10질량% 이하로 한다. 같은 관점에서, Be의 함유량을 0.05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i: 0.010 내지 0.30질량%
Bi는 알루미늄재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을 취약화하는 작용을 갖는다. Bi를 Li나 Be, Mg와 공존시킴으로써, 이들 원소에 의한 산화 피막의 파괴를 촉진시키고, 나아가서는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Bi는 납의 표면 장력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기 때문에, 피처리물의 좁은 틈새에 납이 유입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납땜 접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i의 함유량을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당접부의 납땜성,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성 및 이들의 개소에 형성되는 납땜 접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i의 함유량이 0.01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납땜성의 향상이나 납땜 접합의 신뢰성 향상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납땜성이나 납땜 접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Bi의 함유량은 0.010질량% 이상으로 한다. 한편, Bi의 함유량이 0.3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Bi의 양에 걸맞는 납땜성 향상의 효과를 얻는 것이 어렵다. 또한, Bi의 함유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납재층의 표면이 변색될 우려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납땜성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는 관점에서, Bi의 함유량은 0.30질량% 이하로 한다. 같은 관점에서, Bi의 함유량을 0.1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g: 0.10질량% 미만
납재층 중의 Mg는 플럭스와 반응함으로써 플럭스를 소비하고, 산화 피막을 파괴하는 효과를 저하시킨다. 또한, Mg와 플럭스의 반응 생성물은 납의 유동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납재층 중의 Mg의 함유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납땜성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납땜성의 악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납재층 중의 Mg의 함유량은 0.10질량% 미만으로 한다. 같은 관점에서, Mg의 함유량은 적을수록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하로 규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납재층에는, Sr(스트론튬): 0.0020 내지 0.050질량%, Sb(안티몬): 0.0030 내지 0.070질량%, Fe(철): 0.050 내지 0.80질량%, Mn(망간): 0.050 내지 0.20질량%, Ti(티탄): 0.010 내지 0.15질량%, Cu(구리): 0.50 내지 5.0질량% 및 Zn(아연): 0.90 내지 6.0질량%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Sr: 0.0020 내지 0.050질량%, Sb: 0.0030 내지 0.070질량%, Fe: 0.050 내지 0.80질량%, Mn: 0.050 내지 0.20질량% 및 Ti: 0.010 내지 0.15질량%
이들 원소는 납재층 중의 함유량을 상기 특정 범위 내로 함으로써, 납의 유동성을 조정하여, 납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Cu: 0.50 내지 5.0질량% 및 Zn: 0.90 내지 6.0질량%
이들 원소는, 납재층 중의 함유량을 상기 특정 범위 내로 함으로써, 납재층의 전위를 조정하고, 클래드판의 내식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너 핀]
이너 핀으로서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 핀, 핀 핀(pin fin), 콜게이트 핀 등의 다양한 형태의 핀을 채용할 수 있다. 이너 핀은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중공 구조체의 내표면과 면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침입한 플럭스를 막는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이너 핀과 중공 구조체의 납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너 핀과 중공 구조체가 선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면접촉의 경우에 비해, 이너 핀과 중공 구조체의 접촉 면적이 좁아진다. 따라서, 이너 핀이 플럭스를 막는 것이 어려워지고, 플럭스가 이너 핀보다도 내측으로 용이하게 침입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침입한 플럭스는 Mg 등의 작용을 저해하고, 이너 핀과 중공 구조체의 납땜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너 핀은 Si: 0.30 내지 0.70질량% 및 Mg: 0.35 내지 0.8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Si: 0.30 내지 0.70질량%
Si의 함유량을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납땜 시의 가열 중에서의, 납재층에서 이너 핀으로의 Si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납재층 중의 Si량의 저하를 억제하고,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Si의 함유량을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이너 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Si의 함유량이 0.30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납재층에서 이너 핀으로의 Si의 확산에 의해 납재층 중의 Si량이 저하되어, 납땜성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Si의 함유량이 0.7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너 핀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융점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납땜 시의 가열 중에 이너 핀이 용융하여, 납땜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Mg: 0.35 내지 0.80질량%
이너 핀 중의 Mg는, 플럭스가 중공 구조체의 내측에 침입한 경우에 플럭스와 반응하여 반응 생성물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 반응 생성물은 플럭스의 유동성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너 핀 중의 Mg의 함유량을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침입한 플럭스를 막는 효과를 높이고, 이너 핀과 중공 구조체의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 핀 중의 Mg의 함유량을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이너 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Mg의 함유량이 0.35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이너 핀의 강도 향상 효과 및 플럭스를 막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Mg의 함유량이 0.8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납땜 시의 가열 중에 이너 핀의 표면에 Mg의 산화물이 두껍게 퇴적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클래드판의 납재층 중에 포함되는 Li, Be, Bi 및 심재층으로부터 확산된 Mg에 의한 산화 피막의 파괴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성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Mn: 0.050 내지 1.30질량%, Fe: 1.0질량% 이하, Cu: 0.90질량% 이하, Zn: 6.5질량% 이하, Ti: 0.20질량% 이하 및 Zr: 0.50질량% 이하
이너 핀은, Mn: 0.050 내지 1.30질량%, Fe: 1.0질량% 이하, Cu: 0.90질량% 이하, Zn: 6.5질량% 이하, Ti: 0.20질량% 이하, Zr: 0.50질량% 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 원소를 첨가함으로써, 이너 핀의 강도나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원소의 함유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재료를 제작할 때의 압연 공정에서 균열이 발생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플럭스]
중공 구조체의 당접부에 도포하는 플럭스는 Cs를 함유하고 있다. 플럭스는 통상, 납재층이 용융하는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용융하고, 당접부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을 파괴하기 시작한다. 이때, 심재층 중의 Mg의 대부분은 클래드판의 표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플럭스는 심재층 중의 Mg와의 반응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당접부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을 파괴할 수 있다.
또한, 용융된 플럭스가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침입한 경우, 플럭스가 클래드판의 표면을 따라서 이너 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플럭스는 심재층으로부터 확산된 Mg와 서서히 반응하기 때문에, 유동성이 점차 저하된다. 따라서, 플럭스가 이너 핀까지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럭스가 이너 핀까지 도달한 경우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이너 핀에 의해 플럭스의 대부분은 멈춰진다. 이러한 결과,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플럭스가 침입한 경우에도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의 납땜을 실시할 수 있다.
플럭스로서는 예를 들면, 플루오로알루민산 세슘 등의 Cs-Al-F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럭스에는 납땜성을 악화시키지 않는 범위라면, 예를 들어 K-Al-F계 화합물 등의 Cs를 포함하지 않는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통상, 플럭스는 물이나 알코올 등의 액체 중에 분산되어 있다. 또한, 당해 액체 중에는, 바인더 등의 첨가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Cs를 포함하는 플럭스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K-Al-F계 플럭스에 비해, Mg와 접촉했을 때에 반응 생성물을 형성하기 어렵다. 또한, Cs를 포함한 플럭스와 Mg의 반응 생성물은 K-Al-F계의 플럭스와 Mg의 반응 생성물에 비해 납의 유동성을 저하시키기 어렵다. 그러므로, Cs를 포함하는 플럭스를 사용하여 납땜을 실시함으로써, 당접부의 납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플럭스는, 전 고형분을 100질량%로 했을 때에 13 내지 58질량%의 Cs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중공 구조체의 당접부에서의 납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플럭스 중의 Cs의 함유량이 13질량% 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플럭스와 Mg의 반응 생성물에 의해 납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당접부의 납땜성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납땜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Cs의 함유량을 13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접부의 납땜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플럭스 중의 Cs의 함유량을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Cs의 함유량이 58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상 Cs의 함유량을 늘려도, 함유량에 걸맞는 납땜성 개선의 효과를 얻는 것이 어렵다.
[납땜 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상기한 구성을 갖는 클래드판 및 이너 핀을 준비하여, 피처리물을 제작한다. 피처리물은 상기 클래드판으로 구성된 중공 구조체와, 이너 핀과, 플럭스를 갖고 있다. 피처리물을 조립하는 작업은, (1) 클래드판으로부터 중공 구조체를 제작하는 작업, (2)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이너 핀을 수용하는 작업, (3) 당접부에 플럭스를 도포하는 작업의 3공정을 갖고 있다. 이들 공정의 순서는 피처리물의 구조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1) 내지 (3)의 작업은, 상기한 순서로 실시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당접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미리 플럭스를 도포한 클래드판을 중공 구조체의 형상으로 성형하고, 그 후 이너 핀을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수용해도 좋다. 또한, 클래드판을 중공 구조체의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이너 핀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중공 구조체의 제작과 이너 핀의 수용을 병행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클래드판 및 이너 핀의 표면에는 통상, 자연 산화 피막이 존재하고 있다. 이 자연 산화 피막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피처리물을 제작하기 전에 미리 클래드판 및 이너 핀에 에칭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래드판 및 이너 핀에 미리 에칭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럭스나 Mg 등에 의해 산화 피막을 보다 용이하게 파괴할 수 있고, 납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에칭 처리에 의해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의 두께를 5㎚ 이하까지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칭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클래드판이나 이너 핀을 산 또는 알칼리에 침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으로서는 불산의 희석 용액, 불산과 질산의 혼합 희석 용액, 인산과 황산의 혼합 희석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칼리로서는 가성 소다의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에칭 처리 후에, 클래드판 및 이너 핀의 표면에 불활성 가스 중에서의 열분해 온도가 380℃ 이하인 유제(油劑)를 도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유제에 의해 클래드판 및 이너 핀의 표면의 자연 산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에칭 처리에 의한 양호한 납땜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제는 납땜 시의 가열 중에 용이하게 분해되기 때문에, 납땜 온도에서 피처리물의 표면에 잔류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피처리물의 표면에 상기 유제가 부착된 상태에서 납땜을 개시해도 납땜성을 해칠 우려가 작다. 따라서, 상기 유제를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납땜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얻으면서, 탈지 처리를 생략하여 납땜의 작업 공정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유제의 열분해 온도가 380℃를 넘는 경우에는, 납땜 중의 가열에 의해 유제가 클래드판 및 이너 핀의 표면에 소부(燒付)되어, 오히려 납땜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피처리물을 조립하는 작업에서의 플럭스의 도포량은, 당접부 1m당 0.05 내지 1.0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럭스의 도포량을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중공 구조체에서의 당접부의 납땜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플럭스 잔사에 의한 외관 품질의 저하나 표면 처리성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플럭스의 도포량은 일반적으로는 단위 면적당 도포된 플럭스의 질량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중공 구조체에서는 플럭스를 도포하는 폭이 좁기 때문에, 도포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플럭스의 도포량을 당접부 1m당 플럭스의 질량으로 규정하고 있다.
당접부 1m당 플럭스의 도포량이 0.05g 미만인 경우에는, 당접부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을 충분히 파괴할 수 없고, 납땜성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납땜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당접부 1m당 플럭스의 도포량을 0.05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5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5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납땜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플럭스의 도포량이 많을 수록 바람직하다. 그러나 플럭스의 도포량이 과잉이 되면, 도포량에 걸맞는 납땜성 향상의 효과를 얻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도포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납땜 후의 열교환기에 부착하는 플럭스 잔사의 양이 많아져서, 오히려 외관 품질의 저하나 표면 처리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들 과잉 플럭스에 기인하는 문제를 회피하는 관점에서, 당접부 1m당 플럭스의 도포량을 1.0g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처리물을 조립하는 작업에서의 플럭스의 도포 폭은 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처리물을 조립한 후,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피처리물을 가열하여 플럭스 및 납재층을 용융시킨다. 이로써, 중공 구조체 및 이너 핀을 일괄적으로 납땜할 수 있다.
불활성 가스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양산 설비로의 적용의 관점에서는, 불활성 가스로서 질소, 아르곤 또는 질소와 아르곤의 혼합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납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불활성 가스 중의 산소 농도가 낮은 편이 바람직하고, 산소 농도가 100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산소 농도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플럭스 납땜용 분위기 로(爐)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납땜 시의 가열 온도는 585 내지 6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90 내지 61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가 585℃ 미만인 경우에는, 납의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납땜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가열 온도가 6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클래드판의 심재층이나 이너 핀의 일부가 용융하는 침식이 발생하여, 납땜 불량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승온 중에서의 불필요한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소정의 가열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승온 속도가 빠른 편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실시예)
상기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열교환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체를 탑재하는 발열체 탑재면(21)을 외표면에 갖는 동시에, 냉매가 유통되는 냉매 유로(22)를 내부에 구비한 재킷(2)과, 냉매 유로(22)에 배치된 이너 핀(3)을 갖고 있다. 재킷(2)은 Mg: 0.40 내지 1.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는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너 핀(3)은 Si: 0.30 내지 0.70질량% 및 Mg: 0.35 내지 0.8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압출 형재로 구성되어 있다.
재킷(2)을 구성하는 판재끼리는 Al-Si 합금으로 이루어진 재킷 접합부(23)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재킷(2)과 이너 핀(3)은 Al-Si 합금으로 이루어진 핀 접합부(24)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본 예의 열교환기(1)에서는, 재킷(2)의 내표면에서의 재킷 접합부(23)로부터 이너 핀(3)의 단부, 즉 가장 외측의 핀 플레이트(313)(후술)까지의 사이에만 Cs가 존재하고 있다.
본 예의 재킷(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킷 상부(25)와, 재킷 하부(26)의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재킷 상부(25)와 재킷 하부(26) 사이에 통형상의 냉매 유로(22)가 형성되어 있다. 재킷 상부(25는 대략 직사각형상을 나타내는 정벽부(頂壁部)(251)와, 정벽부(251)의 폭 방향에서의 양단을 재킷 하부(26) 측에 굴곡하여 이루어진 측벽부(252)와, 측벽부(252)의 선단을 접어 이루어진 플랜지부(253)를 갖고 있다. 재킷 하부(26)와 플랜지부(253는 재킷 접합부(23)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재킷 하부(26)의 외표면에는 발열체 탑재면(21)이 마련되어 있다.
본 예의 이너 핀(3)은 Si: 0.30 내지 0.70질량% 및 Mg: 0.35 내지 0.80질량%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압출 형재이다. 이너 핀(3)은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서로 간격을 두고 판 두께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핀 플레이트(31)와, 인접한 핀 플레이트(31)를 연결하는 연결부(32)를 갖고 있다. 이너 핀(3)은 냉매 유로(22)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핀 접합부(24)를 통해 정벽부(251)의 내표면 및 재킷 하부(26)의 내표면의 양쪽에 접합되어 있다.
열교환기(1)는 예를 들어 이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우선, Mg: 0.40 내지 1.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는 심재층(A)과, Si: 4.0 내지 13.0질량%를 필수로 포함하고, Li: 0.0040 내지 0.10질량%, Be: 0.0040 내지 0.10질량% 및 Bi: 0.010 내지 0.30질량%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고, Mg의 함유량이 0.10질량% 미만으로 규제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고, 심재층(A)의 적어도 한쪽 면에 클래드된 납재층(B)을 갖는 클래드판(200)을 준비한다. 또한 클래드판(200)과는 별도로 이너 핀(3)을 준비한다. 본 예에서는, 납재층(B)이 심재층(A)의 한쪽의 면에 클래드된 편면 클래드판을 준비했다.
이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래드판(200)으로 구성되고, 납재층(B)이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납재층(B)끼리가 당접하는 당접부(201)를 갖는 중공 구조체(20)와,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 수용된 이너 핀(3)과, Cs를 함유하고, 당접부(201) 및 그 근방에 도포된 플럭스(도시 생략)를 갖는 피처리물(10)을 조립한다.
본 예의 중공 구조체(20)는 재킷 상부(25)에 상당하는 제1 클래드판(200a)과, 재킷 하부(26)에 대응하는 제2 클래드판(200b)의 2장의 클래드판(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클래드판(200a)은 중공 구조체(20)의 내표면측에 납재층(B)이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클래드판(200a) 및 제2 클래드판(200b)의 제작과는 별도로, Cs를 함유하는 플럭스를 준비했다. 본 예의 플럭스에는 Cs-Al-F계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플럭스는 분말상을 띠고 있고, 수중에 분산되어 있다.
제1 클래드판(200a) 및 제2 클래드판(200b)을 제작한 후, 이들 클래드판(200)의 납재층(B)에서의 당접부(201) 및 그 근방에 상당하는 부분에 플럭스를 도포했다. 플럭스를 건조시킨 후, 제2 클래드판(200b)의 중앙부에 이너 핀(3)을 재치(載置)하고, 납재층(B)과 핀 플레이트(31)의 판 폭 방향에서의 한쪽의 단면(311)을 면접촉시켰다. 그 후, 이너 핀(3)을 덮도록 하여 제1 클래드판(200a)을 제2 클래드판(200b)에 겹쳐서, 납재층(B)끼리를 당접시키는 동시에, 제1 클래드판(200a)의 납재층(B)과 핀 플레이트(31)의 판 폭 방향에서의 다른 쪽의 단면(312)을 면접촉시켰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1 클래드판(200a)과 제2 클래드판(200b)을 지그(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하고, 도 2에 도시한 피처리물(10)의 조립을 완료했다.
피처리물(10)을 조립한 후,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피처리물(10)을 가열하여 플럭스 및 납재층(B)을 용융시킴으로써, 중공 구조체(20) 및 이너 핀(3)을 일괄적으로 납땜했다. 이상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열교환기(1)를 제작했다.
납땜 시에 피처리물(10)을 가열하면, 납재층(B)보다도 먼저 플럭스가 용융하여, 당접부(201)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을 파괴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된 플럭스(F)가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 침입한 플럭스(F)는 납재층(B)을 따라 유동하면서, 심재층(A)으로부터 확산된 Mg와 반응한다. 이로써, 플럭스(F)의 유동성은 점차 저하된다. 이에 의해, 이너 핀(3)에서의 가장 외측의 핀 플레이트(313)에 도달하기 전에 플럭스(F)의 유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이너 핀(3)은 Mg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럭스(F)가 핀 플레이트(313)에 도달한 경우라도, 플럭스(F)와 Mg의 반응에 의해, 플럭스(F)를 핀 플레이트(313)에 의해 막을 수 있다.
플럭스(F)가 용융한 후, 가열을 계속하여 피처리물(10)을 승온시키면, 납재층(B)이 용융된다. 이때, 당접부(201)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은 이미 플럭스(F)에 의해 파괴되어 있다. 따라서, 당접부(201)에서는 플럭스(F)에 의한 납땜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클래드판(200)의 내표면 및 핀 플레이트(31)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은 심재층(A)으로부터 확산된 Mg 및 납재층(B)에 포함되는 Li나 Be, Bi에 의해 파괴된다. 이때,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 침입한 플럭스(F)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접부(201)에서 핀 플레이트(313)까지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플럭스(F)에 의해 저해되지 않고 핀 플레이트(313)보다도 내측의 핀 플레이트(314)와 중공 구조체(20)의 납땜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피처리물(10)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가열함으로써, 비교적 산소 농도가 낮은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서는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고 납땜을 실시하고, 비교적 산소 농도가 높은 중공 구조체(20)의 외부에서는 플럭스를 사용하여 납땜을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하는 열교환기(1)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열교환기(1)는 재킷(2)과, 재킷(2)에서의 냉매 유로(22)에 배치된 이너 핀(3)을 갖고 있다. 재킷(2)은 Mg를 함유하고 있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판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열교환기의 재킷(2)에 비해 강도가 높다. 그러므로, 재킷(2)의 소형화, 박육화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재킷(2)의 강도를 높임으로써, 열팽창에 의한 재킷(2)의 변형을 억제할 수도 있다.
(실험예)
본 예는, 심재층(A), 납재층(B) 및 이너 핀(3)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의 화학 성분을 다양하게 변경한 열교환기(1)의 예이다. 또한, 본 예에서 제작하는 열교환기(1)는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예에서 사용하는 부호 중, 도 1 내지 도 3에서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것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우선, 이하와 같이 하여 클래드판(200) 및 이너 핀(3)을 제작했다.
[클래드판(200)]
표 1에 나타낸 화학 성분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A1 내지 A7)을 주조하고, 수득된 주괴를 560℃로 가열하여 균질화 처리를 실시했다. 이어서, 주괴의 양 판면을 면삭하여 두께 45㎜의 판재(A)를 제작했다. 이와는 별도로, 표 2에 나타낸 화학 성분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합금 B1 내지 합금 B22)을 주조하고, 수득된 주괴를 500℃로 가열하여 균질화 처리를 실시했다. 이어서, 주괴에 열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5㎜의 판재(B)를 제작했다. 또한, 표 1 및 표 2 중의 「Bal」은 잔부인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이상에 의해 수득된 판재(A) 및 판재(B)를 표 4에 나타낸 조합으로 겹쳐서 500℃로 가열했다. 그 후, 클래드 압연을 실시하여 판재(A) 및 판재(B)를 접합하여, 두께 3㎜의 판재를 제작했다. 이 판재에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를 1.0㎜까지 압연한 후, 소둔을 실시했다. 이상에 의해, 표 4에 나타낸 클래드판(200)을 제작했다. 또한, 납재층(B)의 클래드율, 즉, 클래드판(200)의 판 두께에 대한 납재층(B)의 판 두께의 비율은 10%이다.
[이너 핀(3)]
표 3에 나타낸 화학 성분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C1 내지 C10)을 주조하고, 수득된 빌렛(billet)에 압출 가공을 실시하여, 이너 핀(3)을 제작했다. 또한, 표 3 중의 「Bal」은 잔부인 것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또한, 핀 플레이트(31) 및 연결부(32)의 두께는 0.8㎜로 했다.
이상과 같이하여 수득된 클래드판(200) 및 이너 핀(3)으로부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피처리물(10)을 조립했다. 클래드판(200)과 이너 핀(3)의 조합, 및 당접부 1m당 플럭스의 도포량(g/m)은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또한, 피처리물(10)의 길이는 100㎜, 폭은 100㎜로 했다. 또한, 플럭스의 도포 폭은 4㎜로 했다.
플럭스로서는 Cs-Al-F계 화합물과 K-Al-F계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했다. 플럭스를 포함하는 도포액은 이하와 같이 하여 조제했다. 우선, Cs-Al-F계 화합물과 K-Al-F계 화합물을 혼합하고, Cs의 함유량이 표 4에 나타낸 값인 플럭스를 준비했다. 이 플럭스와 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플럭스를 수중에 현탁시켰다. 이상에 의해, 플럭스의 도포액을 조제했다.
본 예에서 당접부 1m당 플럭스의 도포량은 이하와 같이 하여 산출했다. 우선, 플럭스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클래드판(200)에 도포하기 전에, 미리 제1 클래드판(200a), 제2 클래드판(200b) 및 이너 핀(3)의 질량을 측정했다. 이어서, 도포액을 각 클래드판(200)의 소정의 위치에 솔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피처리물(10)을 조립했다. 그 후, 도포액을 건조시킨 후의 피처리물(10)의 총 질량을 측정했다.
그리고 도포액을 건조시킨 상태의 피처리물(10)의 총 질량에서 제1 클래드판(200a), 제2 클래드판(200b) 및 이너 핀(3)의 질량을 빼서, 플럭스의 고형분의 총 질량을 산출했다. 이상에 의해 수득된 고형분의 총 질량을, 도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당접부(201)의 길이로 나눔으로써, 당접부 1m당 플럭스의 도포량을 산출했다.
피처리물(10)을 조립한 후, 질소 가스를 흘려 분위기 중의 산소 농도를 50ppm 이하로 조정한 가열로 내에서 피처리물(10)을 가열하여 납땜을 실시했다. 가열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 피처리물(10)의 온도를 계측하고, 온도가 600℃가 될 때까지의 도달 시간이 15분 정도가 되도록 피처리물(10)을 승온시켰다. 그리고, 피처리물(10)의 온도가 600℃에 도달한 후, 그 온도를 3분간 유지했다. 그 후, 가열로 내에서 피처리물(10)을 200℃까지 냉각하고나서 로 밖으로 꺼냈다. 이상에 의해, 표 4에 나타낸 열교환기(1)(시험체 1 내지 시험체 41)를 제작했다.
수득된 시험체의 길이 방향(냉매 유로(22)의 연신 방향)에서의 중앙부를 절단하고, 당해 단면에서의 재킷 접합부(23) 및 핀 접합부(24)의 각각에 대해 필렛의 형상을 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또한, 표 4에서의 「필렛 형상」란에 기재한 기호는 필렛의 형상이 하기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A+: 연속해서 균일한 사이즈의 필렛이 형성되어 있었다
A: 필렛의 사이즈에 변동은 있지만, 연속된 필렛이 형성되어 있었다
B: 필렛이 부분적으로 끊어져 있고, 연속된 필렛이 형성되지 않았다
C: 대부분 필렛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전혀 필렛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Figure 112016128959612-pat00001
Figure 112016128959612-pat00002
Figure 112016128959612-pat00003
Figure 112016128959612-pat00004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체 1 내지 시험체 27은, 상기 특정 범위의 화학 성분을 갖는 클래드판(200)과, 이너 핀(3)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따라서, 시험체 1 내지 시험체 27은 재킷 접합부(23) 및 핀 접합부(24) 중 어느 것에도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의 필렛을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시험체 1, 시험체 7 내지 시험체 10, 시험체 13, 시험체 15 내지 시험체 21, 시험체 23 내지 시험체 24 및 시험체 26 내지 시험체 27은, 심재층(A) 중의 Mg량, 납재층(B) 중의 Si량, Li량, Be량, Bi량 및 Mg량, 플럭스의 도포량 및 플럭스 중의 Cs의 함유량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였다. 따라서, 재킷 접합부(23) 및 핀 접합부(24) 중 어느 것에도 연속해서 균일한 사이즈의 필렛을 형성할 수 있었다.
시험체 28은 납재층(B) 중의 Li의 함유량이 적었기 때문에,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이 충분히 파괴되지 않았다. 따라서, 핀 접합부(24)에서의 필렛의 형성이 불안정했다.
시험체 29는 납재층(B) 중의 Li의 함유량이 많았기 때문에,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 Li의 산화물이 다량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핀 접합부(24)에서 필렛이 형성되지 않았다.
시험체 30은 납재층(B) 중의 Be의 함유량이 적었기 때문에,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이 충분히 파괴되지 않았다. 따라서, 핀 접합부(24)에서의 필렛의 형성이 불안정했다.
시험체 31은 납재층(B) 중의 Be의 함유량이 많았기 때문에,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 Li의 산화물이 다량으로 형성되었다. 따라서, 핀 접합부(24)에서 필렛이 형성되지 않았다.
시험체 32는 납재층(B) 중의 Bi의 함유량이 적었기 때문에,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이 충분히 파괴되지 않았다. 따라서, 핀 접합부(24)에서의 필렛의 형성이 불안정했다.
시험체 33은 납재층(B) 중의 Bi의 함유량이 많았기 때문에, 중공 구조체(20)의 내부가 변색되었다. 또한, 시험체 33은 핀 접합부(24)에서의 필렛이 형성되지 않았다.
시험체 34는 납재층(B) 중의 Si의 함유량이 적었기 때문에, 납의 공급량이 부족했다. 따라서, 재킷 접합부(23)에서의 필렛의 형성이 불안정한 동시에, 핀 접합부(24)에서 필렛이 형성되지 않았다.
시험체 35는 납재층(B) 중의 Si의 함유량이 많았기 때문에, 납의 공급량이 과잉이 되고, 심재의 용해량이 증가했다. 그 결과, 재킷 접합부(23) 및 핀 접합부(24) 중 어느 것에도 필렛이 형성되지 않았다.
시험체 36은 납재층(B) 중의 Mg의 함유량이 많았기 때문에, Mg와 플럭스의 반응에 의해 당접부(201)에서의 납의 유동성이 저하되었다. 그 결과, 재킷 접합부(23)에서의 필렛 형성이 불안정했다.
시험체 37은 이너 핀(3) 중의 Si의 함유량이 적었기 때문에, 납땜 시의 가열 중에 납재층(B)으로부터 이너 핀(3)으로 확산되는 Si의 양이 많아졌다. 그 때문에, 납재층(B) 중의 Si량이 저하되었다. 또한, 시험체 37은 이너 핀(3) 중의 Mg의 함유량이 적었기 때문에, 가장 외측의 핀 플레이트(313)에 의해 플럭스를 막을 수 없었다. 그 때문에, 핀 플레이트(313)보다도 내측의 핀 플레이트(314)까지 플럭스가 침입했다. 이러한 결과, 시험체 37은 핀 접합부(24)에서의 필렛 형성이 불안정했다.
시험체 38은, 이너 핀(3) 중의 Mg의 함유량이 많았기 때문에, 이너 핀(3)의 표면에 Mg의 산화물이 다량으로 형성되었다. 그 결과, 핀 접합부(24)에서의 필렛 형성이 불안정했다.
시험체 39는, 이너 핀(3) 중의 Si의 함유량이 많았기 때문에, 이너 핀(3) 융점이 저하되고, 납땜 시의 가열 중에 이너 핀(3)의 일부가 용해했다. 그 결과, 핀 접합부(24)에서의 필렛 형성이 불안정했다.
시험체 40은, 심재층(A) 중의 Mg의 함유량이 적었기 때문에, 중공 구조체(20)의 내부에 존재하는 산화 피막이 충분히 파괴되지 않았다. 따라서, 핀 접합부(24)에서의 필렛의 형성이 불안정했다.
시험체 41은, 심재층(A) 중의 Mg의 함유량이 많았기 때문에, Mg와 플럭스의 반응에 의해 당접부(201)에서의 납의 유동성이 저하되었다. 그 결과, 재킷 접합부(23)에서의 필렛의 형성이 불안정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는, 2장의 클래드판(200)으로 중공 구조체(20)를 조립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중공 구조체(20)는 1장의 클래드판(200)을 통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작해도 좋다.

Claims (9)

  1. Mg: 0.40 내지 1.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는 심재층과, Si: 4.0 내지 13.0질량%를 필수로 포함하고, Li: 0.0040 내지 0.10질량%, Be: 0.0040 내지 0.10질량% 및 Bi: 0.01 내지 0.30질량%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고, Mg의 함유량이 0.10질량% 미만으로 규제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고, 상기 심재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클래드된 납재층을 갖는 클래드판을 준비하고,
    Si: 0.30 내지 0.70질량% 및 Mg: 0.35 내지 0.8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는 이너 핀(inner fin)을 준비하고,
    상기 클래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납재층이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납재층끼리가 당접하는 당접부를 갖는 중공 구조체와, 상기 중공 구조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이너 핀과, Cs를 함유하고, 상기 당접부 및 그 근방에 도포된 플럭스를 갖는 피처리물을 조립하고,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서 상기 피처리물을 가열하여 상기 플럭스 및 상기 납재층을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플럭스를 이용하여 상기 당접부의 납땜을 실시하는 것과 동시에 플럭스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중공 구조체와 상기 이너핀과의 납땜을 실시하는 것으로, 상기 중공 구조체 및 상기 이너 핀을 일괄하여 납땜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층은 Mn: 0.050 내지 1.3질량%, Si: 1.0질량% 이하, Fe: 1.0질량% 이하, Cu: 0.90질량% 이하, Zn: 6.5질량% 이하, Ti: 0.20질량% 이하 및 Zr: 0.50질량% 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핀은 Mn: 0.050 내지 1.3질량%, Fe: 1.0질량% 이하, Cu: 0.90질량% 이하, Zn: 6.5질량% 이하, Ti: 0.20질량% 이하 및 Zr: 0.50질량% 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의 도포량은 상기 당접부 1m당 0.05 내지 1.0g인,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는 13 내지 58질량%의 Cs를 함유하는,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6. Mg: 0.40 내지 1.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는 판재로 구성되고, 발열체를 탑재하는 발열체 탑재면을 외표면에 갖는 동시에, 냉매가 유통되는 냉매 유로를 내부에 구비한 재킷과,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 유로에 배치된 이너 핀과,
    Al-Si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킷에서의 상기 판재끼리를 접합하는 재킷 접합부와,
    Al-Si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킷과 상기 이너 핀을 접합하는 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재킷의 내표면에서의, 상기 재킷 접합부로부터 상기 이너 핀까지의 사이에만 Cs가 존재하는, 열교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Mn: 0.050 내지 1.3질량%, Si: 1.0질량% 이하, Fe: 1.0질량% 이하, Cu: 0.90질량% 이하, Zn: 6.5질량% 이하, Ti: 0.20질량% 이하, Zr: 0.50질량% 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열교환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핀은 Si: 0.30 내지 0.70질량% 및 Mg: 0.35 내지 0.80질량%를 함유하고, 잔부가 Al 및 불가피적 불순물로 이루어진 화학 성분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는, 열교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핀은 Mn: 0.050 내지 1.3질량%, Fe: 1.0질량% 이하, Cu: 0.90질량% 이하, Zn: 6.5질량% 이하, Ti: 0.20질량% 이하 및 Zr: 0.50질량% 이하로 이루어진 그룹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열교환기.
KR1020160182088A 2016-01-14 2016-12-29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4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5554A JP6186455B2 (ja) 2016-01-14 2016-01-14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6-005554 2016-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432A KR20170085432A (ko) 2017-07-24
KR101924320B1 true KR101924320B1 (ko) 2018-12-03

Family

ID=57758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088A KR101924320B1 (ko) 2016-01-14 2016-12-29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70205160A1 (ko)
EP (1) EP3195972B1 (ko)
JP (1) JP6186455B2 (ko)
KR (1) KR101924320B1 (ko)
CN (1) CN106881511B (ko)
WO (1) WO2017122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1677B (zh) 2014-07-30 2018-09-21 株式会社Uacj 铝合金钎焊板
CN107073618B (zh) 2014-12-11 2019-05-28 株式会社Uacj 钎焊方法
JP6312968B1 (ja) 2016-11-29 2018-04-18 株式会社Uacj 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053281B2 (ja) 2017-03-30 2022-04-12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033984B2 (ja) * 2018-03-28 2022-03-11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082567B (zh) * 2018-09-26 2020-04-24 银邦金属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铝合金复合板材的制备方法
CN110691857B (zh) * 2019-01-23 2020-12-18 三菱铝株式会社 钎焊用铝合金及铝钎焊板
US10842043B1 (en) * 2019-11-11 2020-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bricating coolant-cooled heat sinks with internal thermally-conductive fins
CN112222789A (zh) * 2020-08-23 2021-01-15 蚌埠市神舟机械有限公司 一种船用散热器制造工艺
CN112143946A (zh) * 2020-09-11 2020-12-29 湖南海铝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导热高强度铝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和在散热器的应用
CN115011848B (zh) * 2022-05-11 2023-03-28 北京理工大学 一种高纯铝合金导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620A (ja) * 1999-01-13 2000-07-25 Denso Corp ろう付け用アルミニウム板材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11000614A (ja) * 2009-06-18 2011-01-06 Showa Denko Kk 熱交換器のろう付方法
JP2013233552A (ja) * 2012-05-07 2013-11-21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1177A (en) 1969-12-15 1974-05-21 Vaw Ver Aluminium Werke Ag Process for brazing workpieces of aluminum containing material
US4905887A (en) 1969-12-15 1990-03-06 Heinz Schoer Process for soldering aluminum containing workpieces
US4173302A (en) 1969-12-15 1979-11-06 Vereinigte Aluminium-Werke Aktiengesellschaft Process and alloy for brazing aluminum-containing articles
DE2143965C3 (de) 1971-09-02 1981-11-26 Vereinigte Aluminium-Werke Ag, 5300 Bonn Verwendung eines Lotes zum flußmittelfreien Hartlöten von Aluminiumwerkstoffen in Schutzgas, Inertgas oder Vakuum
US4121750A (en) 1969-12-15 1978-10-24 Vereinigte Aluminium-Werke Aktiengesellschaft Processes for soldering aluminum-containing workpieces
BE758884A (fr) 1969-12-15 1971-04-16 Vaw Ver Aluminium Werke Ag Procede de brasage de l'aluminium et de ses alliages
US3807033A (en) 1970-12-14 1974-04-30 Vaw Ver Aluminium Werke Ag Joining process
US3900151A (en) 1971-09-02 1975-08-19 Vaw Ver Aluminium Werke Ag Joining process
US3853547A (en) 1973-05-25 1974-12-10 Reynolds Metals Co Brazing materials
JPS58156197A (ja) * 1982-03-10 1983-09-17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超高圧用プレ−トフイン型熱交換器
JPS6015064A (ja) 1983-07-06 1985-01-25 Hitachi Ltd 熱交換器
JPS60228657A (ja) 1984-04-26 1985-11-13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アルミニウム合金構造物の製造方法
JPS6182992A (ja) 1984-09-28 1986-04-26 Furukawa Alum Co Ltd Al合金ブレ−ジングシ−ト
JPS61293699A (ja) 1985-06-20 1986-12-24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ろう付け用フラツク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906307A (en) 1987-10-16 1990-03-06 Calsonic Corporation Flux used for brazing aluminum-based alloy
JPH01225736A (ja) 1988-03-07 1989-09-08 Mitsubishi Alum Co Ltd Al熱交換器の管継手用高強度Al合金
JPH0320594A (ja) 1989-06-19 1991-01-29 Honda Motor Co Ltd 熱交換器
JP2685927B2 (ja) 1989-10-05 1997-12-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A▲l▼製熱交換器の冷媒通路用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H0763866B2 (ja) * 1989-12-01 1995-07-1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ろう付け用フラックス
NO174455C (no) 1991-06-14 1994-05-11 Norsk Hydro As Fremgangsmåte for sammenföyning av aluminiumkomponenter
JPH0525576A (ja) 1991-07-16 1993-02-02 Mitsubishi Alum Co Ltd 耐孔食性にすぐれたAl 熱交換器用高強度Al 合金管材
US5232788A (en) 1992-02-12 1993-08-03 Alcan International Limited Aluminum brazing sheet
JP3160099B2 (ja) 1992-12-11 2001-04-23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方法
US5418072A (en) 1993-09-20 1995-05-23 Alcan International Limited Totally consumable brazing encapsulate for use in joining aluminum surfaces
JP3674053B2 (ja) 1993-12-24 2005-07-20 株式会社デンソー ロウ付け用フラックス、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法
US5450666A (en) 1994-02-28 1995-09-19 S.A. Day Mfg. Co., Inc. Flux composition for aluminum brazing
JPH07303858A (ja) 1994-05-13 1995-11-21 Nippon Light Metal Co Ltd ろう付け用スラリーの塗布方法
JP3534450B2 (ja) 1994-08-10 2004-06-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H0985433A (ja) 1995-09-19 1997-03-31 Sky Alum Co Ltd フラックスレス非酸化性雰囲気ろう付け方法
JP3351249B2 (ja) 1996-07-23 2002-11-25 日本軽金属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のろう付方法
JP3601197B2 (ja) 1996-07-29 2004-12-15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長期にわたって優れた耐食性および接合強度を維持することができるろう付け構造
JP3212927B2 (ja) 1996-12-14 2001-09-25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粉末ろう材および該粉末ろう材を用いたろう付方法
JPH1180870A (ja) 1997-09-08 1999-03-26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強度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
DE19744734A1 (de) 1997-10-10 1999-04-15 Erbsloeh Ag Verfahren zur partiellen oder vollständigen Beschichtung von Metalloberflächen mit Lot und Bindemittel
JP3704632B2 (ja) 1997-12-24 2005-10-12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用フィン材および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H11221696A (ja) 1998-02-02 1999-08-17 Mitsubishi Alum Co Ltd ろう付用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の塗布方法ならびにろう付用品
JP3556827B2 (ja) 1998-04-01 2004-08-25 古河スカイ株式会社 非酸化性ガス雰囲気無フラックスろう付け用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ろう付け方法
JP3865933B2 (ja) 1998-05-25 2007-01-10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熱交換器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の製造方法
JPH11347783A (ja) 1998-06-09 1999-12-21 Nippon Light Metal Co Ltd アルミニウム又はアルミニウム合金接合用線状ろ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63970A (ja) 1998-08-21 2000-02-29 Nippon Light Metal Co Ltd 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用押出管
JP2000167688A (ja) 1998-12-03 2000-06-20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ろう付け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
JP4023760B2 (ja) 1999-01-11 2007-12-19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ろう付け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
JP2000225461A (ja) 1999-02-04 2000-08-15 Sky Alum Co Ltd ドロンカップ積層型熱交換器およびろう付け方法
ATE243268T1 (de) 1999-05-21 2003-07-15 Corus Aluminium Walzprod Gmbh Hartlotblech-produk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4355412B2 (ja) * 1999-11-26 2009-11-04 昭和電工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34243B1 (en) * 1999-12-14 2001-05-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eat exchanger assembly with magnesium barrier
US6497770B2 (en) 2000-02-17 2002-12-24 Toyo Aluminium Kabushiki Kaisha Flux-containing compositions for brazing aluminum, films and brazing method thereby
ATE367238T1 (de) 2000-03-10 2007-08-15 Aleris Aluminum Koblenz Gmbh Hartlötblech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ugruppe unter verwendung dieses produkts
MXPA02010705A (es) 2000-05-18 2005-08-26 Corus Aluminium Walzprod Gmbh Metodo para fabricar un producto de aluminio.
US6503640B2 (en) 2000-05-19 2003-01-07 Corus Aluminium Walzeprodukte Gmbh Method of manufacturing an assembly of brazed dissimilar metal components
US20020086179A1 (en) 2000-05-19 2002-07-04 Wittebrood Adrianus Jacobus Composite metal panel
JP4577634B2 (ja) 2000-09-07 2010-11-10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熱交換器用ろう材被覆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チューブ
JP3847077B2 (ja) 2000-11-17 2006-11-15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成形性及びろう付け性に優れた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フィン材
JP2002267382A (ja) 2001-03-08 2002-09-18 Sky Alum Co Ltd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用ろう付け構造体の製造方法
JP4636520B2 (ja) 2001-07-30 2011-02-23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ろう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53523A (ja) 2001-08-14 2003-02-26 Mitsubishi Alum Co Ltd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94165A (ja) 2001-09-20 2003-04-02 Denso Corp ろう付け用アルミニウム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ろう付け方法
EP1430988B1 (en) * 2001-09-28 2013-11-20 Furukawa-Sky Aluminum Corporation Method for brazing of aluminum or aluminum alloy material and aluminum alloy brazing sheet
JP4107931B2 (ja) * 2001-09-28 2008-06-25 古河スカイ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又はアルミニウム合金材のろう付け方法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製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4491478B2 (ja) 2001-09-28 2010-06-30 古河スカイ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又はアルミニウム合金材のろう付け方法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製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3780380B2 (ja) 2001-10-23 2006-05-31 古河スカイ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ジングシ−ト、それを用いたろう付け方法、およびろう付け製品
US20030183376A1 (en) * 2002-04-02 2003-10-02 Abell Bradley David High strength CAB brazed heat exchangers using high strength fin materials
US7337941B2 (en) 2002-04-22 2008-03-04 Alcoa Inc. Flux coated brazing sheet
WO2003106102A1 (ja) 2002-06-17 2003-12-24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水系アルミニウムろう付け用組成物、及びろう付け方法
JP4166613B2 (ja) 2002-06-24 2008-10-15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フィン材および該フィン材を組付けてなる熱交換器
JP2004042086A (ja) 2002-07-11 2004-02-12 Denso Corp アルミニウム材をろう付けするためのろう材粉末および該ろう材粉末を用いるアルミニウム材のろう付け方法
JP3910506B2 (ja) 2002-08-13 2007-04-25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56597B2 (en) 2002-12-13 2006-06-06 Corus Aluminium Walzprodukte Gmbh Brazing sheet produc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WO2004057261A1 (en) 2002-12-23 2004-07-08 Alcan International Limited Aluminum alloy tube and fin assembly for heat exchangers having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after brazing
US9283633B2 (en) 2003-05-06 2016-03-15 Mitsubishi Aluminum Co. Ltd. Heat exchanger tube precurs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413526B2 (ja) 2003-05-06 2010-02-10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熱交換器用チューブ
US8640766B2 (en) 2003-05-06 2014-02-04 Mitsubishi Aluminum Co., Ltd. Heat exchanger tube
JP2005016937A (ja) 2003-06-06 2005-01-20 Denso Corp 耐食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
DE102004029090A1 (de) * 2003-06-20 2005-01-27 Denso Corp., Kariya Herstellungsverfahren eines Wärmetauschers und Aufbau desselben
JP2005060790A (ja) 2003-08-18 2005-03-10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フィン材
JP2005111527A (ja) 2003-10-08 2005-04-28 Denso Corp アルミニュウム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20060094965A (ko) 2003-10-20 2006-08-30 후루카와 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늄 합금제 열교환기용 부재의 도장장치와 열교환기용부재의 제조방법, 및 알루미늄 합금제 열교환기용 부재
FR2862984B1 (fr) 2003-11-28 2006-11-03 Pechiney Rhenalu Bande en alliage d'aluminium pour brasage
DE112004002524T5 (de) 2003-12-24 2006-11-02 Showa Denko K.K. Wärmetausch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4563204B2 (ja) 2004-02-13 2010-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045667A (ja) 2004-06-28 2006-02-16 Showa Denko Kk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74228B2 (ja) 2004-08-05 2010-06-02 株式会社デンソー ろう付け方法
JP4634789B2 (ja) 2004-12-24 2011-02-16 古河スカイ株式会社 ロウ付け方法
JP4700359B2 (ja) 2005-02-01 2011-06-15 昭和電工株式会社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2006255755A (ja) 2005-03-17 2006-09-28 Mitsubishi Alum Co Ltd ろう付用アルミニウム合金材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材のろう付方法
JP4611797B2 (ja) 2005-04-28 2011-01-12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ろう付性に優れたラジエータチューブ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材、及びそれを備えたラジエータチューブと熱交換器
JP2006348372A (ja) 2005-06-20 2006-12-28 Mitsubishi Alum Co Ltd 自動車熱交換器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材
JP4824358B2 (ja) 2005-07-22 2011-11-30 株式会社デンソー 表面性状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器用多孔管ならびに該多孔管を組み込んだ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4807826B2 (ja) 2005-08-04 2011-11-02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犠牲陽極材面のろう付けによる面接合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
JP2007044713A (ja) 2005-08-08 2007-02-22 Mitsubishi Alum Co Ltd ろう付方法およびろう付装置
JP4698416B2 (ja) 2005-12-28 2011-06-08 株式会社デンソー ドロンカップ型熱交換器の製造方法、アルミニウムクラッド板材およびドロンカップ型熱交換器
JP4702797B2 (ja) 2006-02-20 2011-06-15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犠牲陽極材面のろう付けによる面接合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の製造方法
JP2007260733A (ja) 2006-03-29 2007-10-11 Mitsubishi Alum Co Ltd ろう付用混合物およびろう付方法
JP5026726B2 (ja) 2006-04-03 2012-09-19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ろう付用ペースト状組成物、それが塗布されたアルミニウム含有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含有部材のろう付方法
JP2008006480A (ja) 2006-06-30 2008-01-17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熱交換器用ブレージングフィン材並びに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21108A (ja) 2006-10-16 2008-05-29 Showa Denko Kk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11456B1 (ja) 2006-12-27 2008-07-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4955418B2 (ja) 2007-02-26 2012-06-20 古河スカイ株式会社 自然冷媒用熱交換器に用いられるアルミニウム合金押出材
DE102008009695B4 (de) 2007-03-02 2023-10-12 Mahle International Gmbh Halbzeug
JP5057439B2 (ja) 2007-04-13 2012-10-24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耐久性に優れた高強度、高融点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
JP2009058139A (ja) 2007-08-30 2009-03-19 Mitsubishi Alum Co Ltd 耐食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用部材
JP2009058167A (ja) 2007-08-31 2009-03-19 Mitsubishi Alum Co Ltd 耐食性に優れたチューブを用いたアルミニウム熱交換器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5115963B2 (ja) 2007-09-14 2013-01-09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用部材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09106947A (ja) 2007-10-26 2009-05-21 Mitsubishi Alum Co Ltd アルミニウム合金チューブ
JP5030758B2 (ja) 2007-12-14 2012-09-19 ハリマ化成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ろう付け用組成物、その塗布方法及びろう付け方法
JP5152727B2 (ja) 2007-12-21 2013-02-27 ハリマ化成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ろう付け用ペースト組成物
JP5548411B2 (ja) 2008-09-02 2014-07-1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75965A (ja) 2008-09-25 2010-04-08 Mitsubishi Alum Co Ltd ろう付用複合材
JP2010075966A (ja) 2008-09-25 2010-04-08 Mitsubishi Alum Co Ltd ろう付用複合材
JP4980390B2 (ja) 2009-03-27 2012-07-18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熱交換器用チューブ
JP4547032B1 (ja) 2009-04-17 2010-09-22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材のフラックスレスろう付け方法およびフラックスレスろう付け用アルミニウムクラッド材
JP5302751B2 (ja) 2009-04-21 2013-10-02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クラッド材
JP5476029B2 (ja) 2009-04-21 2014-04-23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の溶接チューブ用クラッド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10714B2 (ja) 2009-06-24 2014-10-22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
SE534689C2 (sv) 2009-09-17 2011-11-15 Sapa Heat Transfer Ab Lodpläterad aluminiumplåt
JP5417160B2 (ja) 2009-12-28 2014-02-12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る粉末ろう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熱交換器用アルミニウム合金チューブ及び熱交換器
US20110240280A1 (en) 2010-03-31 2011-10-0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Aluminum alloy brazing sheet and heat exchanger
JP5670100B2 (ja) 2010-05-25 2015-02-18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5750237B2 (ja) 2010-05-25 2015-07-15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
US20130299564A1 (en) 2010-08-23 2013-11-14 Dagmar Steiner Brazing pre-flux coating
JP5557157B2 (ja) 2010-09-27 2014-07-23 日本軽金属株式会社 複数列熱交換装置
JP6154611B2 (ja) * 2010-09-27 2017-06-28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製内面溝付き伝熱管
CN102003841A (zh) * 2010-09-30 2011-04-06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热交换器及其制造方法以及具备该热交换器的房间空调器
EP2418042A1 (en) 2011-01-17 2012-02-15 Aleris Aluminum Koblenz GmbH Aluminium brazing sheet material for tubes
HUE025709T2 (en) 2011-01-31 2016-04-28 Aleris Rolled Prod Germany Gmbh Aluminum brazing sheet material for brazing without flux
FR2975402B1 (fr) * 2011-05-20 2013-05-10 Constellium France Alliages pour tube d'echangeur thermique a placage interne protecteur et a perturbateur brase
IN2014MN01030A (ko) * 2011-12-02 2015-05-01 Uacj Corp
IN2014MN01665A (ko) * 2012-01-27 2015-05-29 Uacj Corp
JP5893450B2 (ja) 2012-03-12 2016-03-23 株式会社Uacj 熱交換器のヘッダ用アルミニウム合金製ブレージング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WO2013143665A1 (de) 2012-03-26 2013-10-03 Erbslöh Aluminium Gmbh Lotpulver
DE202012003090U1 (de) * 2012-03-26 2012-04-20 Erbslöh Aluminium Gmbh Lotpulver
JP2014050861A (ja) 2012-09-07 2014-03-20 Uacj Corp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5628266B2 (ja) 2012-10-24 2014-11-19 ハリマ化成株式会社 熱交換器用チューブ、熱交換器および塗膜の製造方法
JP6090736B2 (ja) 2012-10-26 2017-03-08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のろう付方法及びフラックス成分被覆アルミニウム合金部材
JP2014226704A (ja) 2013-05-23 2014-12-08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合金材料のろう付方法
US20170205159A1 (en) 2014-05-26 2017-07-20 Uacj Corporation Heat exchanger tube, heat exchanger, and brazing paste
CN106661677B (zh) 2014-07-30 2018-09-21 株式会社Uacj 铝合金钎焊板
CN107073618B (zh) 2014-12-11 2019-05-28 株式会社Uacj 钎焊方法
JP2016215248A (ja) 2015-05-22 2016-12-22 株式会社Uacj アルミニウム構造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620A (ja) * 1999-01-13 2000-07-25 Denso Corp ろう付け用アルミニウム板材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11000614A (ja) * 2009-06-18 2011-01-06 Showa Denko Kk 熱交換器のろう付方法
JP2013233552A (ja) * 2012-05-07 2013-11-21 Sumitomo Light Metal Ind Ltd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81511B (zh) 2019-04-30
US11320217B2 (en) 2022-05-03
KR20170085432A (ko) 2017-07-24
JP2017124429A (ja) 2017-07-20
CN106881511A (zh) 2017-06-23
US20170205160A1 (en) 2017-07-20
WO2017122384A1 (ja) 2017-07-20
EP3195972A3 (en) 2017-09-06
EP3195972A2 (en) 2017-07-26
EP3195972B1 (en) 2020-10-14
US20200370847A1 (en) 2020-11-26
JP6186455B2 (ja)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320B1 (ko)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6649889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US10150186B2 (en) Brazing method
JP6216964B2 (ja) 冷却器用クラッド材および発熱素子用冷却器
WO2016190199A1 (ja) アルミニウム構造体の製造方法
JP6263574B2 (ja) 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アルミニウム構造体のろう付方法
JP6431789B2 (ja) 中空構造体のろう付方法
WO2014097820A1 (ja) アルミニウム材のろう付方法およびろう付構造体
EP3363582A1 (en) Aluminum alloy brazin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uminum alloy sheet, and heat exchanger
JP2013123749A (ja) アルミニウム材のフラックスレスろう付け方法および該ろう付け方法に用いるブレージングシート
WO2017018030A1 (ja) アルミニウム構造体の製造方法
WO2018216773A1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CN112672845B (zh) 硬钎焊片材及其制造方法
JP6363555B2 (ja)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
WO2018216771A1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ろう付方法、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7291714B2 (ja) 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JP5695490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5687849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2023066678A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019679A (ja) フラックスフリーろう付用アルミニウム合金ブレージングシート
JP2013123720A (ja) 無フラックスろう付け用ブレージン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