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004B1 - 차량용 백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백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004B1
KR101539004B1 KR1020147004995A KR20147004995A KR101539004B1 KR 101539004 B1 KR101539004 B1 KR 101539004B1 KR 1020147004995 A KR1020147004995 A KR 1020147004995A KR 20147004995 A KR20147004995 A KR 20147004995A KR 101539004 B1 KR101539004 B1 KR 10153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back door
door
vehicle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234A (ko
Inventor
요시히로 이와노
고스케 에비나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4005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pivotable downwards about horizontal axis to ope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mprising door or part of door being moveable by a linkage system to open/clo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B60J5/10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constructional details, e.g. about door frame, panels, materials u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백 도어의 핏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백 도어 구조를 얻는다.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는, 가로 비드(44)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록 기구 배치부(38)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비드(46)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비드(46)의 상단부(46A)는, 가로 비드(44)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고리형 비드(42)에 연결되어 있고, 상단부(46A)의 측부에는 백 도어(30)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한 외측 측벽부(48A) 및 내측 측벽부(48B)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측벽부(48A) 및 내측 측벽부(48B)는, 모두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비드(44)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외측 측벽부(48A)는, 고리형 비드(42)의 내주벽부(42A)와 일체화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백 도어 구조{BACK DOOR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후부의 백 도어에 적용되는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관한 거것이다.
차량용의 백 도어는, 아우터 패널과 인너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백 도어를 폐지(閉止)한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 중간부가 댐퍼에 의해 대략 차량 후방측으로의 가압력을 받으면서, 도어 하단부가 차량 전방 측으로 인입되어 록(lock)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100684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인너 패널에 형성되는 작업 구멍 등에 의해 인너 패널의 강성이 저하되면, 백 도어의 핏팅(fitting)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백 도어의 핏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백 도어 구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는, 차량 후부의 백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고, 서로 대향 배치되어 접합된 아우터 패널 및 인너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단부가 도어 힌지에 의해 차체 상부에 장착됨과 함께, 하단부의 차량 폭 방향 중간부가 도어 록 기구에 의해 차체 하부에 걸어멈춰지고, 폐지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 중간부의 차량 폭 방향 양단부가 댐퍼에 의해 대략 차량 후방측으로 가압되는 백 도어와, 상기 인너 패널의 외주부를 일주하도록 형성된 고리형 비드와, 상기 인너 패널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형성되어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폭 방향 외측 단부가 상기 고리형 비드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 가로 비드와, 상기 인너 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 비드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상기 도어 록 기구가 배치되는 부위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가로 비드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단부가 상기 가로 비드 및 상기 고리형 비드의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단부의 측부에 상기 백 도어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한 측벽부를 구비하는 연결 비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의하면, 백 도어를 구성하는 인너 패널에는, 그 외주부를 일주하도록 고리형 비드가 형성됨과 함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에 의해 백 도어 전체의 비틀림 강성이 향상되어, 도어 개폐시의 도어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 백 도어는, 상단부가 도어 힌지에 의해 차체 상부에 장착되고, 하단부의 차량 폭 방향 중간부가 도어 록 기구에 의해 차체 하부에 걸어멈춰짐과 함께, 폐지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 중간부의 차량 폭 방향 양단부가 댐퍼에 의해 대략 차량 후방측으로 가압된다. 이 때문에, 백 도어의 폐지 상태에서는, 백 도어를 구성하는 인너 패널에는, 차량의 측면에서 보아 가로 V자 형상으로 굽힘 변형 시키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에 대하여, 인너 패널은, 가로 비드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 단부가 고리형 비드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로 비드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연결 비드의 상단부가 가로 비드 및 고리형 비드의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로 비드가 형성되어 있어도, 가로 비드를 굽힘 기점으로 한 굽힘 변형은 조장되지 않는다. 즉, 백 도어의 폐지 상태에서는, 가로 비드의 연장 위치에서 비드끼리의 사이의 비(非)비드 부위가 백 도어의 핏팅 강성에 기여한다.
또, 인너 패널에 형성된 연결 비드는, 가로 비드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도어 록 기구가 배치되는 부위를 연결함과 함께, 연결 비드의 상단부의 측부로서의 측벽부가 백 도어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백 도어 전체의 비틀림 강성이 향상됨과 함께, 인너 패널에 대하여 가로 비드를 따라 굽힘 변형시키려는 힘이 작용해도, 연결 비드의 상단부의 단면 붕괴를 억제할 수 있어 인너 패널의 가로 비드를 따른 굽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백 도어의 하단부의 차량 전방측으로의 인입량을 억제한 위치에서 백 도어의 하단부를 차체 하부에 록 하여도, 백 도어 하단부의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어 백 도어의 핏팅이 양호하게 성립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제1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비드의 상단부는, 상기 가로 비드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고리형 비드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측벽부로서 상기 연결 비드의 상단부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상기 백 도어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한 외측 측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외측 측벽부는, 상기 고리형 비드의 내주측의 벽부와 일체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의하면, 연결 비드의 상단부는, 가로 비드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고리형 비드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 비드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가 고리형 비드에 의해 분담된다. 또, 연결 비드의 상단부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서 백 도어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한 외측 측벽부는, 고리형 비드의 내주측의 벽부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너 패널에 대하여 가로 비드를 따라 굽힘 변형 시키려는 힘이 작용한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외측 측벽부에 상당하는 벽부가 없는 구조에 비하여, 인너 패널의 굽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제1 태양 또는 제2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가로 비드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의하면, 연결 비드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측벽부는,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비드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인너 패널에 대하여 가로 비드를 따라 굽힘 변형 시키려는 힘이 작용한 경우, 측벽부는, 그 연장 방향에서 입력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측벽부의 붕괴(다시 말하면, 연결 비드의 상단부의 단면 붕괴)는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너 패널의 굽힘 변형이 측벽부에 의해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제1 태양 내지 제3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연결 비드의 상단부의 차량 폭 방향 양측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의하면, 측벽부는, 연결 비드의 상단부의 차량 폭 방향 양측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너 패널에 대하여 가로 비드를 따라 굽힘 변형 시키려는 힘이 작용한 경우, 한 쌍의 측벽부에서 하중을 받는다. 이 때문에, 차량 폭 방향의 일방 측의 측부에만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인너 패널이 굽힘 변형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은, 제1 태양 내지 제4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비드에는,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연결 비드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의하면, 연결 비드에는,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연결 비드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 비드에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 연결 비드의 단면 붕괴가 더욱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연결 비드에 의한 보강 효과가 적정하게 발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의하면, 백 도어의 핏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의하면, 연결 비드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를 고리형 비드에 분담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인너 패널의 굽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의하면, 연결 비드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측벽부를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비드의 연장선과 직교시킴으로써, 인너 패널에 대하여 가로 비드를 따라 굽힘 변형시키려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인너 패널의 굽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의하면, 연결 비드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양측의 측부에 측벽부를 형성함으로써, 인너 패널에 대하여 가로 비드를 따라 굽힘 변형시키려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인너 패널의 굽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의하면, 연결 비드에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인너 패널에 대하여 가로 비드를 따라 굽힘 변형시키려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는, 인너 패널의 굽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의 차량 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를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본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백 도어 아우터 패널은 2점 쇄선으로 또한 그 외형만을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를 도 2의 3A-3A 선을 따른 단면으로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를 도 2의 3B-3B 선을 따른 단면으로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와 대비 구조의 핏팅 상태를 비교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차량 전후 방향의 변위량을 나타낸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와 대비 구조의 핏팅 상태를 비교한 그래프이며, 가로축은 차량 상하 방향의 변위량을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는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W는 차량 폭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 백 도어(30)의 도어 폭 방향(도어 좌우 방향)은 차량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의 차량 후부(10)가 사시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후부(10)에는, 차량 전후 방향의 후 방향으로 개구하는 백 도어 개구부(12)(「리어 게이트」라고도 한다.)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백 도어 개구부(12)를 개폐하기 위한 백 도어(30)가 설치되어 있다. 백 도어 개구부(12)의 양 사이드에는 리어 필러(14)가 세워 설치되고, 백 도어 개구부(12)의 상부 가장자리측에는 리어 루프 헤더부(16)가 대략 차량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백 도어 개구부(12)의 하부 가장자리측에는 로어 백부(18)가 대략 차량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백 도어(30)는, 도어의 하부가 백 도어 본체부(30A)로 이루어져 있고, 도어의 상부가 백 도어 프레임부(30B)로 이루어져 있다. 백 도어 프레임부(30B)에는 리어 글래스(20)(「백 도어 글래스」라고도 한다.)가 장착되어 있다. 백 도어(30)의 상단부는, 도어 힌지(22)에 의해 차체 상부의 리어 루프 헤더부(16)에 장착되어 있다. 도어 힌지(22)는, 차량 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힌지 축(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고, 백 도어(30)는, 도어 힌지(22)의 힌지 축 주변으로 회전 이동됨으로써, 백 도어 개구부(12)를 개폐하게 되어 있다. 즉, 백 도어(30)는, 백 도어 개구부(12)를 폐지하는 폐지 위치(도 1의 상태)와, 백 도어 개구부(12)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시 생략)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백 도어(30)의 하단부의 차량 폭 방향 중간부는, 도어 록 기구(24)에 의해 차체 하부에 걸어멈춰지게 되어 있다. 도어 록 기구(24)는, 백 도어(30) 측에 장착되는 록 기구부(24A)와, 로어 백부(18) 측에 장착되는 스트라이커(24B)를 구비하고 있다. 록 기구부(24A)는, 스트라이커(24B)에 걸어멈춤 가능하게 되어, 록 기구부(24A)가 스트라이커(24B)에 걸어멈춰짐으로써, 백 도어(30)가 폐지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 백 도어(30)의 상하 방향 중간부의 차량 폭 방향 양단부에는, 댐퍼(26)가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댐퍼(26)는, 백 도어 본체부(30A)의 상단 양사이드부측에 장착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에 끼웠다 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백 도어 개구부(12)의 양 사이드부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간부측에 장착된 피스톤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댐퍼(26)는, 백 도어(30)의 폐지 상태에서는 백 도어(30)의 상하 방향 중간부의 차량 폭 방향 양단부를 대략 차량 후방측으로 가압함과 함께, 백 도어(30)의 개도에 따라 회전 이동하면서 신장된다. 그리고, 댐퍼(26)가 신장됨으로써, 백 도어(30)의 개방 조작력이 저감됨과 함께,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도 2에는, 차량용 백 도어 구조가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본 상태의 정면도로 나타내어지고, 도 3a에는, 도 2의 3A-3A 선을 따른 단면도가 나타내어지며, 도 3b에는, 도 2의 3B-3B 선에 따른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도어(30)는, 도어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패널로서의 백 도어 아우터 패널(32)과, 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인너 패널로서의 백 도어 인너 패널(3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백 도어 아우터 패널(32)을 2점 쇄선으로 또한 그 외형만을 도시함과 함께, 백 도어 아우터 패널(32)을 투시한 상태에서 백 도어 인너 패널(34)을 도시하고 있다.
백 도어 아우터 패널(32) 및 백 도어 인너 패널(34)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두 수지제로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 배치되어 접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도어 아우터 패널(32)은, 백 도어 본체부(30A)의 외판을 구성하는 백 도어 아우터 패널 본체부(32A)와, 백 도어 아우터 패널 본체부(32A)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백 도어 프레임부(30B)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연장 돌출편(32B)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백 도어 인너 패널(34)은, 백 도어 본체부(30A)의 내판을 구성하는 백 도어 인너 패널 본체부(34A)와, 백 도어 프레임부(30B)를 구성하는 백 도어 인너 패널 프레임부(34B)를 구비하고 있다. 백 도어 인너 패널 본체부(34A)와 백 도어 아우터 패널 본체부(32A)는 외주연부가 매스틱 등의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폐단면 구조의 백 도어 본체부(30A)를 구성하고 있다.
백 도어 인너 패널(34)[백 도어 인너 패널 프레임부(34B)]의 상단부는, 차량 폭 방향 양단부 부근의 부위가 도어 힌지 장착부(36)로 이루어져 있다. 도어 힌지 장착부(36)에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36A)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 삽입 통과 구멍(36A)에 삽입 통과된 볼트(도시 생략) 등에 의해 도어 힌지(22)가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 체결된다.
이에 대하여, 백 도어 인너 패널(34)[백 도어 인너 패널 본체부(34A)]의 하단부의 차량 폭 방향 중간부에는, 록 기구부(24A)가 배치되는 록 기구 배치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록 기구 배치부(38)에는, 배선용의 구멍(38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백 도어 인너 패널(34)의 상하 방향 중간부의 차량 폭 방향 양단부에는, 차실 내측을 향하는 면(도 2에 나타낸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댐퍼 장착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댐퍼 장착부(40)에는, 댐퍼(26)(도 1 참조)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는, 그 외주부를 일주하도록 고리형 비드(42)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비드(42)는, 도어 외측에 오목 형상(차실 내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도 3 참조), 내주측의 벽부로서 내주벽부(42A)를 구비함과 함께 외주측의 벽부로서 외주벽부(4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리형 비드(42)에 있어서 내주벽부(42A)와 외주벽부(42B)를 연결시키는 저벽부(42C)에는, 도어 두께 방향(도 2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단(段) 형상의 고저차(단차부)가 몇 개 설치되어 있고(도 3 참조), 도 2에서는 이들 단차부의 능선도 도시하고 있다.
또, 백 도어 인너 패널(34)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리어 글래스(20)의 하방측에는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비드(44)가 형성되어 있다. 가로 비드(44)는, 도어 외측으로 오목 형상(차실 내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도 3a 참조), 상측의 부위를 구성하는 상벽부(44A)와, 하측의 부위를 구성하는 하벽부(44B)와, 차량 폭 방향 외측 단부를 구성하는 가로벽부(44C)를 구비하고 있다. 또, 가로 비드(44)의 가로벽부(44C)는, 고리형 비드(42)의 내주벽부(42A)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가로 비드(44)에는,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가로 비드(44)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도 2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44D)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44D)는, 가로 비드(44)의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상벽부(44A)와 하벽부(44B)를 연결하고 있다.
또,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는, 가로 비드(44)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록 기구 배치부(38)[도어 록 기구(24)의 록 기구부(24A)가 배치되는 부위)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비드(46)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비드(46)는, 가로 비드(44)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단부(46A)가 가로 비드(44)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고리형 비드(42)에 연결되어 있다.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 있어서 가로 비드(44)의 연장 위치에서 가로 비드(44)와 연결 비드(46) 사이의 비 비드 부위는, 백 도어(30)의 핏팅 강성에 기여시키기 위한 부위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 비드(46)는, 도어 외측으로 오목 형상(차실 내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도 3 참조),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로서 제1 벽부(46B)를 구비함과 함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부로서 제2 벽부(46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벽부(46B) 및 제2 벽부(46C)는,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하 방향의 중간부 및 하부는 대체로 차량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하방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 연결 비드(46)는, 제1 벽부(46B)의 일부를 구성하여 상단부(46A)의 차량폭 방향 외측의 측부로 이루어진 측벽부로서의 외측 측벽부(48A)와, 제2 벽부(46C)의 일부를 구성하여 상단부(46A)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부로 이루어진 측벽부로서의 내측 측벽부(48B)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측벽부(48A) 및 내측 측벽부(48B)는, 모두 백 도어(30)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함과 함께, 모두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비드(44)의 연장선[가로 비드(44)의 차량 폭 방향의 연장 위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외측 측벽부(48A)는, 고리형 비드(42)의 내주벽부(42A)(내주측의 벽부)와 일체화되어 있다(도 3a 참조).
연결 비드(46)에는,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연결 비드(46)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46D)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46D)는, 연결 비드(46)의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제1 벽부(46B)와 제2 벽부(46C)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의 수평 단면도에도 일부 나타낸 바와 같이, 백 도어 인너 패널(34)은, 단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고리형 비드(42), 가로 비드(44), 및 연결 비드(46)를 제외하는 부위는, 대체로 백 도어 아우터 패널(32)에 대하여 근접 배치되어 있다.
(작용·효과)
다음으로, 상기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서는, 백 도어(30)를 구성하는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는, 그 외주부를 일주하도록 고리형 비드(42)가 형성됨과 함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비드(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들에 의해 백 도어(30)의 전체의 비틀림 강성이 향상되고, 백 도어(30)의 도어 개폐시의 도어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 백 도어(30)는, 상단부가 도어 힌지(22)에 의해 차체 상부에 장착되고, 하단부의 차량 폭 방향 중간부가 도어 록 기구(24)에 의해 차체 하부에 걸어멈춰짐과 함께, 폐지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 중간부의 차량 폭 방향 양단부가 댐퍼(26)에 의해 대략 차량 후방측으로 가압된다. 이 때문에, 백 도어(30)의 폐지 상태에서는, 백 도어(30)를 구성하는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는,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V자 형상으로 굽힘 변형시키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에 대하여, 백 도어 인너 패널(34)은, 가로 비드(44)의 차량 폭 방향 외측 단부인 가로벽부(44C)가 고리형 비드(42)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로 비드(44)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연결 비드(46)의 상단부(46A)가 가로 비드(44)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로 비드(44)가 형성되어 있어도, 가로 비드(44)를 휨 기점으로 한 굽힘 변형은 조장되지 않는다. 즉, 백 도어(30)의 폐지 상태에서는, 가로 비드(44)의 연장 위치에서 가로 비드(44)와 연결 비드(46) 사이의 비 비드 부위가 백 도어(30)의 핏팅 강성에 기여한다.
또, 연결 비드(46)는, 가로 비드(44)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록 기구 배치부(38)를 연결함과 함께, 연결 비드(46)의 상단부(46A)의 측부로서의 외측 측벽부(48A) 및 내측 측벽부(48B)가 백 도어(30)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백 도어(30)의 전체의 비틀림 강성이 향상됨과 함께,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 대하여 가로 비드(44)를 따라 굽힘 변형 시키려는 힘이 작용하여도, 연결 비드(46)의 상단부(46A)의 단면 붕괴를 억제할 수 있어 백 도어 인너 패널(34)의 가로 비드(44)에 따른 굽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여기서, 연결 비드(46)의 상단부(46A)로의 작용에 착목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 비드(46)의 상단부(46A)에 형성된 외측 측벽부(48A) 및 내측 측벽부(48B)는,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비드(44)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 대하여 가로 비드(44)를 따라 굽힘 변형시키려는 힘이 작용한 경우, 외측 측벽부(48A) 및 내측 측벽부(48B)는, 그 연장 방향에서 입력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측 측벽부(48A) 및 내측 측벽부(48B)의 붕괴[다시 말하면, 연결 비드(46)의 상단부(46A)의 단면 붕괴]는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백 도어 인너 패널(34)의 굽힘 변형은, 연결 비드(46)의 상단부(46A)의 외측 측벽부(48A) 및 내측 측벽부(48B)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 외측 측벽부(48A) 및 내측 측벽부(48B)는, 연결 비드(46)의 상단부(46A)의 차량 폭 방향 양측의 측부에 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 비드(46)의 상단부(46A)는, 차량 폭 방향 일방측의 측부의 측벽부[외측 측벽부(48A) 및 내측 측벽부(48B)의 일방]뿐만 아니라, 쌍으로 이루어진 외측 측벽부(48A) 및 내측 측벽부(48B)에서 입력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또, 연결 비드(46)의 상단부(46A)는, 가로 비드(44)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고리형 비드(4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 비드(46)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가 고리형 비드(42)에 의해 분담된다. 또, 상단부(46A)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있어서 백 도어(30)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한 외측 측벽부(48A)는, 고리형 비드(42)의 내주벽부(42A)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 대하여 가로 비드(44)를 따라 굽힘 변형 시키려는 힘이 작용한 경우, 예를 들면, 외측 측벽부(48A)에 상당하는 벽부가 없는 구조에 비하여, 백 도어 인너 패널(34)의 굽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연결 비드(46)에는,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당해 연결 비드(46)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46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 비드(46)에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 연결 비드(46)의 단면 붕괴가 더욱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연결 비드(46)에 의한 보강 효과가 적정하게 발휘된다.
이들에 의해, 백 도어(30)의 하단부의 차량 전방 측으로의 인입량을 억제한 위치에서 백 도어(30)의 하단부를 차체 하부에 록 하여도, 백 도어(30)의 하단부의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어 백 도어(30)의 핏팅이 양호하게 성립한다.
여기서, 도 4의 그래프를 참조하면서 더 보충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그래프는, 백 도어 아우터 패널, 백 도어 인너 패널, 및 리어 글래스로 구성되는 ASSY가 도어 힌지 및 도어 록 기구에 의해 차체 후부에 장착된 경우의 기준 위치에 대하여, 상기 ASSY에 내장품 및 댐퍼 등을 풀 장비하여 백 도어를 폐지한 경우의 위치가 어느 정도 변위하고 있는 것인지 나타내고 있다.
도 4a 및 도 4b의 세로축은 차량 상하 방향의 높이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A의 가로축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량(편차량)을 나타내고, 도 4b의 가로축은 차량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량(편차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 그래프 중의 실선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가 적용된 수지제의 백 도어(30)의 결과를 나타내고, 그래프 중의 2점 쇄선은, 대비 구조가 적용된 수지제의 백 도어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대비 구조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의 연결 비드(46)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가로 비드(44)에 상당하는 비드의 양단부가 고리형 비드(42)에 상당하는 비드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비 구조는, 다른 점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비 구조(2점 쇄선 참조)의 백 도어에서는, 상측 부위(G1)와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G2)가 절곡 부위가 되고, 백 도어가 차량 후방향 측에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측 부위(G1)와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G2)에서 절곡되는 소위 「2단 꺾임」이 현저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가 적용된 백 도어(30)에서는, 그래프 중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후방측으로의 변위량 및 소위 「2단 꺾임」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대비 구조(2점 쇄선 참조)의 백 도어에 있어서, 상측 부위(G1)(상측의 절곡 부위)는, 도어 힌지 장착부(36)에 대응하는 부위이고,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G2)(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에서의 절곡 부위)는, 댐퍼 장착부(40)에 대응하는 부위이다.
또, 대비 구조(2점 쇄선 참조)의 백 도어에서는, 강성 부족에 기인한 핏팅 불량을 억제하기 위하여, 도어 하단부(G3)의 차량 전방 측으로의 인입량이 크게 설정된다. 다시 말하면, 대비 구조(2점 쇄선 참조)의 백 도어의 경우에는, 도어 하단부(G3)의 차량 전방 측으로의 인입량을 억제하면, 강성 부족에 기인한 핏팅 불량이 발생하므로, 도어 하단부(G3)를 차량 전방측으로 크게 인입된 상태에서 록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이처럼 도어 하단부(G3)의 인입량이 크면, 댐퍼 장착부(40)에 대응하는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G2)에 작용하는 힘도 커지므로, 백 도어는 소위 「2단 꺾임」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가 적용된 백 도어(30)에서는, 대비 구조에 비하여 강성이 높기 때문에, 백 도어(30)의 하단부의 차량 전방측으로의 인입량을 억제하여 백 도어(30)의 하단부를 차체 하부에 록 해도, 백 도어(30)의 핏팅이 양호하게 성립한다. 따라서, 백 도어(30)의 소위 「2단 꺾임」의 억제에 유리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량에 대해서도, 대비 구조(2점 쇄선 참조)의 경우보다, 본 실시 형태(실선 참조)의 경우의 쪽이 변위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의하면, 도 1에 나타내는 백 도어(30)의 핏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백 도어(30)를 폐지한 경우에 백 도어(30)가 양호한 정밀도로 소정의 핏팅 위치에서 유지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백 도어 인너 패널(34)의 강성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백 도어 인너 패널(34)을 록 리인스포스먼트 등으로 별도 보강하지 않아도,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 부재를 장착 가공하는 것이나, 백 도어 인너 패널(34)에 구멍부(작업 구멍이나 질량 저감 구멍)를 추가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하면, 백 도어(30)의 상품성의 향상이 용이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서는, 백 도어 인너 패널을 록 리인포스먼트 등으로 별도 보강하는 구조에 비하여 질량 및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대하여, 도 5a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a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가 적용된 백 도어(50)가 모식적인 정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도어(50)에 있어서, 백 도어 인너 패널(52)에 형성되는 연결 비드(54)는, 가로 비드(44)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단부(54A)가 고리형 비드(42)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가로 비드(44)에 연결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연결 비드(46)(도 2 참조)와는 다르다. 다른 구성[연결 비드(54)의 다른 구성부를 포함한다]은,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비드(54)는, 제1 벽부(46B)의 일부를 구성하여 상단부(54A)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가 된 측벽부로서의 외측 측벽부(56A)와, 제2 벽부(46C)의 일부를 구성하여 상단부(54A)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부로 된 측벽부로서의 내측 측벽부(56B)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측벽부(56A) 및 내측 측벽부(56B)는, 모두 백 도어(50)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함과 함께, 모두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비드(44)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내측 측벽부(56B)는, 가로 비드(44)의 가로벽부(44C)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해서도, 백 도어(50)의 핏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 도어 인너 패널(52)에 대하여 가로 비드(44)를 따라 굽힘 변형시키려는 힘이 작용한 경우, 예를 들면, 내측 측벽부(56B)에 상당하는 벽부가 없는 구조에 비하여, 백 도어 인너 패널(52)의 굽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대하여, 도 5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b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가 적용된 백 도어(60)가 모식적인 정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도어(60)에 있어서, 백 도어 인너 패널(62)에 형성되는 연결 비드(64)는, 가로 비드(44)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단부(64A)가 가로 비드(44) 및 고리형 비드(42)의 양방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연결 비드(46)(도 2 참조)와는 다르다. 다른 구성[연결 비드(64)의 다른 구성부를 포함한다]은,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비드(64)는, 제1 벽부(46B)의 일부를 구성하여 상단부(64A)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로 이루어진 측벽부로서의 외측 측벽부(66A)와, 제2 벽부(46C)의 일부를 구성하여 상단부(64A)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측부로 이루어진 측벽부로서의 내측 측벽부(66B)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측벽부(66A) 및 내측 측벽부(66B)는, 모두 백 도어(60)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함과 함께, 모두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비드(44)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해서도, 백 도어(60)의 핏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연결 비드(46, 54, 64)의 상단부(46A, 54A, 64A)에 내측 측벽부(48B, 56B, 66B)가 형성되지 않고 외측 측벽부(48A, 56A, 66A)만이 형성되는 구성이나, 연결 비드(46, 54, 64)의 상단부(46A, 54A, 64A)에 외측 측벽부(48A, 56A, 66A)가 형성되지 않고 내측 측벽부(48B, 56B, 66B)만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연결 비드(46, 54, 64)의 상단부(46A, 54A, 64A)에 있어서의 외측 측벽부(48A, 56A, 66A) 및 내측 측벽부(48B, 56B, 66B)의 적어도 일방이,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 비드(44)의 연장선에 대하여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하방측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비드(46, 54, 64)에는 리브(46D)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리브(46D)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가로 비드(44)의 리브(44D)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고리형 비드(42)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고리형 비드(42)의 오목부 내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백 도어 인너 패널(34, 52, 62)이 수지제로 되어 있지만, 금속제의 인너 패널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1 태양 및 제2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있어서의 「백 도어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하였다」는 개념에는, 백 도어의 도어 두께 방향과 완전히 일치한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는 경우 이외에,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엄밀하게는, 백 도어의 도어 두께 방향과 완전히 일치한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백 도어의 도어 두께 방향을 거의 따른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고, 또한, 백 도어의 도어 두께 방향과 완전히 일치한 방향으로 기립한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져 실질적으로 백 도어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있어서의 「가로 비드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개념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가로 비드(44)의 연장선과 완전히 직교하는 방향 이외에, 가로 비드의 연장선과 완전히 직교하는 방향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가로 비드의 연장선과 완전히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져 실질적으로 가로 비드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악되는 방향도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백 도어 구조에 있어서의 「연결 비드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개념에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연결 비드(46, 54, 64)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완전히 직교하는 방향 이외에, 연결 비드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완전히 직교하는 방향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연결 비드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완전하게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져 실질적으로 연결 비드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파악되는 방향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및 상기 서술한 복수의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또한, 일본국 특허 출원 No. 2011-168832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Claims (5)

  1. 차량 후부의 백 도어 개구부를 개폐하고, 서로 대향 배치되어 접합된 아우터 패널 및 인너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단부가 도어 힌지에 의해 차체 상부에 장착됨과 함께, 하단부의 차량 폭 방향 중간부가 도어 록 기구에 의해 차체 하부에 걸어멈춰지고, 폐지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 중간부의 차량 폭 방향 양단부가 댐퍼에 의해 대략 차량 후방측으로 가압되는 백 도어와,
    상기 인너 패널의 외주부를 일주하도록 형성된 고리형 비드와,
    상기 인너 패널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형성되어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차량 폭 방향 외측 단부가 상기 고리형 비드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 가로 비드와,
    상기 인너 패널에 형성되어 상기 가로 비드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상기 도어 록 기구가 배치되는 부위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가로 비드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단부가 상기 가로 비드 및 상기 고리형 비드의 적어도 일방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단부의 측부에 상기 백 도어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한 측벽부를 구비하는 연결 비드를 가지는 차량용 백 도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비드의 상단부는, 상기 가로 비드에 대하여 이간된 위치에 배치 됨과 함께, 상기 고리형 비드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측벽부로서 상기 연결 비드의 상단부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상기 백 도어의 도어 두께 방향으로 기립한 외측 측벽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외측 측벽부는, 상기 고리형 비드의 내주측의 벽부와 일체화되어 있는 차량용 백 도어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도어의 정면에서 보아 상기 가로 비드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차량용 백 도어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연결 비드의 상단부의 차량 폭 방향 양측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백 도어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비드에는, 도어의 정면에서 보아 당해 연결 비드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백 도어 구조.
KR1020147004995A 2011-08-01 2012-06-26 차량용 백 도어 구조 KR101539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8832A JP5360156B2 (ja) 2011-08-01 2011-08-01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JP-P-2011-168832 2011-08-01
PCT/JP2012/066273 WO2013018470A1 (ja) 2011-08-01 2012-06-26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234A KR20140053234A (ko) 2014-05-07
KR101539004B1 true KR101539004B1 (ko) 2015-07-23

Family

ID=4762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995A KR101539004B1 (ko) 2011-08-01 2012-06-26 차량용 백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62554B2 (ko)
EP (1) EP2740621B1 (ko)
JP (1) JP5360156B2 (ko)
KR (1) KR101539004B1 (ko)
CN (1) CN103648811B (ko)
WO (1) WO20130184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915A (ko) 2022-10-07 2024-04-16 국방과학연구소 해시체인 기반 일회용 패스워드 통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1420B2 (ja) * 2011-12-19 2015-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6049390B2 (ja) * 2012-10-17 2016-12-21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
CN104276215A (zh) * 2013-07-04 2015-01-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乘用车背门内板总成
JP6150696B2 (ja) * 2013-09-19 2017-06-21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
JP6225609B2 (ja) * 2013-09-27 2017-11-08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ドア
JP6225610B2 (ja) * 2013-09-27 2017-11-08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ドア
JP6550208B2 (ja) * 2013-11-13 2019-07-24 スズキ株式会社 樹脂製バックドアのラッチ周辺構造
JP5942973B2 (ja) 2013-12-18 2016-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部材の接着構造及びバックドアの接着構造
US10189337B2 (en) * 2014-02-11 2019-01-29 Magna International Inc. Composite liftgate
JP6296343B2 (ja) * 2014-04-11 2018-03-20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前部構造
JP2016030586A (ja) * 2014-07-30 2016-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樹脂バックドア構造
JP6066976B2 (ja) * 2014-10-23 2017-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テールゲート付き車体構造
JP6428195B2 (ja) * 2014-11-25 2018-11-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バックドア構造
JP6135651B2 (ja) * 2014-12-02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6323417B2 (ja) * 2015-09-04 2018-05-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6587547B2 (ja) * 2016-01-27 2019-10-0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樹脂製バックドアの補強構造
CN105751866A (zh) * 2016-04-09 2016-07-13 合肥亿恒机械有限公司 一种适用于mpv车型的后背门外板总成
JP6547716B2 (ja) * 2016-09-26 2019-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装置
CN107487163B (zh) * 2016-10-28 2020-04-14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尾门内板、尾门结构及具有其的车辆
JP6950124B2 (ja) * 2016-11-29 2021-10-1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インナパネル
MY202465A (en) * 2016-11-29 2024-04-30 Daihatsu Motor Co Ltd Vehicle back door inner panel
JP6884463B2 (ja) * 2017-01-31 2021-06-09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ドア
JP2018144702A (ja) * 2017-03-07 2018-09-20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6903845B2 (ja) * 2017-09-21 2021-07-1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インナパネル
JP6495416B2 (ja) * 2017-10-27 2019-04-0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樹脂製バックドアの補強構造
JP6495417B2 (ja) * 2017-10-30 2019-04-0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樹脂製バックドアの補強構造
JP6966316B2 (ja) * 2017-12-21 2021-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樹脂バックドア
EP3778057A4 (en) * 2018-03-28 2021-05-19 JFE Steel Corporation STIFFNESS IMPROVEMENT METHODS FOR PRESS FORMED ARTICLES, PRESS FORM DIE, PRESS FORMED 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PRESSED FORM ARTICLES
KR102227136B1 (ko) * 2019-10-28 2021-03-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테일게이트의 이너패널구조
JP7418267B2 (ja) 2020-01-28 2024-01-19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およびインナパネルの成形方法
JP7421167B2 (ja) 2020-03-31 2024-01-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バックドア構造
US11492051B2 (en) 2020-07-09 2022-11-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sin panel spacer block for energy absorption, load support, and gap prevention
JP2023161279A (ja) * 2022-04-25 2023-11-0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バックドア構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6826A (ja) * 2006-01-26 2007-08-09 Honda Motor Co Ltd 車両の後部ドア構造
JP2008037161A (ja) * 2006-08-02 2008-02-21 Honda Motor Co Ltd 車両の後部ドア構造
JP2010274688A (ja) * 2009-05-26 2010-12-09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のバックドア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1995Y2 (ja) * 1993-12-28 1999-03-1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バックドア補強構造
JP3231945B2 (ja) * 1994-06-08 2001-11-2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ックドア構造
IT239754Y1 (it) * 1996-05-29 2001-03-13 Fioravanti Srl Autoveicolo a tre porte
JP3253864B2 (ja) 1996-10-02 2002-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テールゲート補強構造
CN2740735Y (zh) 2004-06-09 2005-11-16 王祖雷 铰链门缓冲闭门器
JP4442554B2 (ja) 2005-11-25 2010-03-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構造
EP1813454B1 (en) 2006-01-26 2012-04-18 Honda Motor Co., Ltd. Hatchback door structure for vehicles
EP2293953B1 (en) * 2008-05-30 2013-02-13 Magna International Inc. Composite liftgate system
JP2010254276A (ja) 2008-09-08 2010-11-11 Mitsubishi Chemicals Corp 自動車外装用の積層体、及び自動車水平外板部品
JP5251891B2 (ja) * 2010-01-13 2013-07-3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クドア
JP5370202B2 (ja) 2010-02-18 2013-12-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蓋体及び蓋体構造
JP5604900B2 (ja) 2010-02-18 2014-10-15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融金属浴用の浸漬部材、溶融金属めっき装置、及び溶融金属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5669260B2 (ja) 2010-12-21 2015-02-1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バックドア装置
JP5669566B2 (ja) 2010-12-21 2015-02-1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バックドア装置
JP5760926B2 (ja) 2011-10-05 2015-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構造
JP5708428B2 (ja) 2011-10-11 2015-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6826A (ja) * 2006-01-26 2007-08-09 Honda Motor Co Ltd 車両の後部ドア構造
JP2008037161A (ja) * 2006-08-02 2008-02-21 Honda Motor Co Ltd 車両の後部ドア構造
JP2010274688A (ja) * 2009-05-26 2010-12-09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のバックド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915A (ko) 2022-10-07 2024-04-16 국방과학연구소 해시체인 기반 일회용 패스워드 통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67446A1 (en) 2014-06-19
US9162554B2 (en) 2015-10-20
KR20140053234A (ko) 2014-05-07
EP2740621A1 (en) 2014-06-11
CN103648811B (zh) 2016-09-21
CN103648811A (zh) 2014-03-19
WO2013018470A1 (ja) 2013-02-07
EP2740621A4 (en) 2015-07-22
JP5360156B2 (ja) 2013-12-04
EP2740621B1 (en) 2018-08-22
JP2013032088A (ja)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004B1 (ko) 차량용 백 도어 구조
US8991898B2 (en) Opening/closing body structure for vehicle
WO2010092737A1 (ja) 車両用ドア構造体
KR101666497B1 (ko) 차량용 개폐체 구조
JP2016107653A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5761212B2 (ja) 車両用フード構造
US9365095B2 (en) Vehicle door
JP6075272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5708428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CN110087926B (zh) 车辆用后尾门内板
JP7009690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インナパネル
US11085210B2 (en) Vehicle door structure
JP6903845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インナパネル
CN108146195B (zh) 车门构造
JP6657726B2 (ja) 車両のドアロアサッシュ
JP7110841B2 (ja) 車両のフロントドア構造
JP6957796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インナパネル
CN112041181B (zh) 车辆的侧门构造
JP2009234380A (ja) 車両のフードストッパ部構造及び車両前部構造
JP6875113B2 (ja) 車両用ドア
JP2018052371A (ja) 車体後部の補強構造
JP2008110720A (ja) 車両のドア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