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497B1 - 차량용 개폐체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개폐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497B1
KR101666497B1 KR1020157009652A KR20157009652A KR101666497B1 KR 101666497 B1 KR101666497 B1 KR 101666497B1 KR 1020157009652 A KR1020157009652 A KR 1020157009652A KR 20157009652 A KR20157009652 A KR 20157009652A KR 101666497 B1 KR101666497 B1 KR 101666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bead
reinforcing
stopp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088A (ko
Inventor
요시히로 이와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056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05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for motor c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Abstract

차량용 개폐체의 맞음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개폐체 구조를 얻는다. 후드 인너 패널(34)에는, 스토퍼 맞닿음부(46)로부터 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비드(50, 52, 54)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보강 비드(50, 52, 54)는, 각각이 다른 어느 것과도 동일 직선상에 없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보강 비드(50)는, 스토퍼 맞닿음부(46)로부터 후드 전방 측으로 연장되어 외주 비드(42)에 접속되어 있다. 보강 비드(52, 54)는, 연결 비드(56, 58)에 의해 골격부(44)와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개폐체 구조{OPENING/CLOSING BODY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개폐체로서는, 예를 들면 차량용 후드가 알려져 있다. 차량용 후드에 있어서는, 후드 인너(inner) 패널의 일부가 차체 개구부 측의 스토퍼 고무에 맞닿는 스토퍼 맞닿음부로 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후드에서는, 후드를 닫아 후드 전단부(前端部)가 차량 하방 측으로 인입되어 로크(lock)되면, 스토퍼 맞닿음부는 스토퍼 고무로부터 차량 상방 측으로의 하중을 받게 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167884호 공보
그러나, 예를 들면 경량화 등에 수반하는 후드 인너 패널의 강성 저하에 기인하여 후드 닫힘 시에 스토퍼 맞닿음부가 함몰되어 버리면, 후드의 맞음새(fitting)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차량용 개폐체의 맞음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개폐체 구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는, 차체 전부(前部)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개폐체로서의 후드의 내판(內板)을 구성하는 후드 인너 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후드의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된 스토퍼에 맞닿는 스토퍼 맞닿음부와, 상기 후드 인너 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적어도 세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각각이 다른 어느 것과도 동일 직선상에 없는 위치에 설정된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와, 상기 후드 인너 패널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된 외주 비드를 갖고, 상기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 중 1개이며 상기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후드 전방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주 비드에 접속된 제 1 보강 비드와, 상기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 중 다른 1개이며 상기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후드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보강 비드와, 상기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 중 또 다른 1개이며 상기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후드 폭 방향 외측 비스듬하게 후방 측으로 연장되는 제 3 보강 비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의하면, 스토퍼 맞닿음부가 형성된 후드 인너 패널에는,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체로서의 후드가 닫혀 스토퍼 맞닿음부에 하중이 작용한 경우, 당해 하중이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에 의해 분산되므로, 스토퍼 맞닿음부의 함몰이 방지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여기서, 이들 보강 비드는,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적어도 세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각각이 다른 어느 것과도 동일 직선상에 없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제 1 보강 비드는,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후드 전방 측으로 연장되며, 제 2 보강 비드는,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후드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제 3 보강 비드는,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후드 폭 방향 외측 비스듬하게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도, 이들 보강 비드를 휨 기점으로 한 휨 변형은 조장되지 않는다.
또, 후드 인너 패널의 외주부를 따라 외주 비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드 전체의 비틀림 강성이 향상되고, 후드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외주 비드에는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후드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보강 비드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드가 닫힌 경우에 스토퍼 맞닿음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가 제 1 보강 비드를 개재하여 외주 비드에 의해 분담된다. 따라서, 후드 인너 패널의 스토퍼 맞닿음부에서의 국부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제 1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3 보강 비드가 상기 외주 비드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의하면, 외주 비드에는 제 3 보강 비드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드가 닫힌 경우에 스토퍼 맞닿음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가 제 3 보강 비드를 개재하여 외주 비드에 의해 분담된다. 따라서, 후드 인너 패널의 스토퍼 맞닿음부에서의 국부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은,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강 비드 및 상기 제 3 보강 비드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단말부가 상기 패널의 평면부에 대하여 당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단차 없이 연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의하면, 제 2 보강 비드 및 제 3 보강 비드 중 적어도 1개는,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단말부가 후드 인너 패널의 평면부에 대하여 당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단차 없이 연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드가 닫힌 경우에 스토퍼 맞닿음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는 당해 적어도 1개의 보강 비드를 개재하여 후드 인너 패널의 평면부에 의해 분담된다. 즉, 스토퍼 맞닿음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를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떨어진 후드 인너 패널의 평면부에서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은, 제 1 태양 내지 제 3 태양 중 어느 일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드 인너 패널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골격부와, 상기 골격부와, 상기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 중 적어도 1개를 연결하는 연결 비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의하면, 후드 인너 패널의 중앙 영역에는 골격부가 형성되고, 이 골격부와 상기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 중 적어도 1개가 연결 비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토퍼 맞닿음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는, 당해 적어도 1개의 보강 비드 및 연결 비드를 개재하여 골격부에 의해 분담된다. 따라서, 후드 인너 패널의 스토퍼 맞닿음부에서의 국부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의하면, 차량용 개폐체로서의 후드의 맞음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의하면, 후드를 닫은 경우에 스토퍼 맞닿음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가 제 3 보강 비드를 개재하여 외주 비드에 의해 분담됨으로써, 후드 인너 패널의 국부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의하면, 후드를 닫은 경우에 스토퍼 맞닿음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가 후드 인너 패널의 평면부에 의해 분담됨으로써,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떨어진 부위로 하중을 넓게 분산시킨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의하면, 후드를 닫은 경우에 스토퍼 맞닿음부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가 연결 비드를 개재하여 골격부에 의해 분담됨으로써, 후드 인너 패널의 국부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가 적용된 후드를 구비하는 차량 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후드를 하면 측에서 본 상태에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와 대비 구조의 후드 좌단(左端)의 맞음새 상태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와 대비 구조의 후드 우단(右端)의 맞음새 상태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실시형태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대하여 도 1∼도 4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 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은 차량 상방 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W는 차량 폭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 후드 닫힘 상태에서는, 후드 전방 측은 차량 전방 측과 동일한 방향이고, 후드 상방 측은 차량 상방 측과 동일한 방향이다.
도 1에는, 자동차(차량)(10)의 차량 전부(12)가 사시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 전부(12)에는, 차량 폭 방향 양단(兩端) 측의 상부에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에이프런 어퍼(upper) 멤버(14)가 배치되어 있다. 또,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전단부는,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18)의 후단부(後端部)에 결합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18)는, 그 후단부로부터 차량 전방 측으로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18)의 전단부는,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의 차량 폭 방향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는, 차체 전단 측의 상부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고, 라디에이터(도시 생략)의 상부를 지지하고 있다. 도 1의 2-2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인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는, 차량 하방 측이 개방된 단면이 대략 해트(hat)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18)와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를 구비한 라디에이터 서포트(16)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도시를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의 차량 폭 방향 양단 측의 상부에는, 완충용의 스토퍼로서의 스토퍼 고무(24)(후드 스토퍼, 쿠션 고무라고도 하고, 넓은 의미로는 「완충체」로서 파악되는 요소임.)가 장착되어 있다. 즉, 스토퍼는, 차체 전부의 개구부(차체 개구부)(22A)(도 1 참조)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에는, 스토퍼 고무(24)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멍(20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장착 구멍(20A)의 구멍 가장자리부의 일부에는, 장착 구멍(20A)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컷아웃된 컷아웃(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 구멍(20A)의 구멍 가장자리부는, 상기 컷아웃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일방의 구멍 가장자리부로부터, 타방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걸쳐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장착 구멍(20A)의 구멍 가장자리부에는 암나사의 둘레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스토퍼 고무(24)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 고무(24)의 외주부에는, 나선 형상의 나선홈(2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 고무(24)는, 상기 컷아웃 측으로부터 통과시켜진 나선홈(24A)이 장착 구멍(20A)의 구멍 가장자리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장착 구멍(20A)에 비틀어 박아져 있다.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에 지지되는 스토퍼 고무(24)는, 대략 차량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에이프런 어퍼 멤버(14),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18) 및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는, 엔진 룸(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룸(22)은, 개폐체로서의 후드(30)(엔진 후드)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여 있다. 즉, 후드(30)는, 후단부에 배치된 힌지(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힌지의 차량 폭 방향의 힌지 축 주변으로 회전 이동하여 엔진 룸(22)(차체 전부의 개구부(22A))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후드(30)의 닫힘 상태에서는, 에이프런 어퍼 멤버(14),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 사이드(18) 및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는, 후드(30)의 차량 하방 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후드(30)는, 후드(30)의 외판(닫힘 상태에서 상부가 되는 외측부)을 구성하는 후드 아우터(outer) 패널(32)을 구비하고 있다. 또, 후드(30)는, 후드 아우터 패널(32)에 대하여 후드 하방 측으로 배치되어 후드(30)의 내판(닫힘 상태에서 하부가 되는 내측부)을 구성하는 패널로서의 후드 인너 패널(34)을 구비하고 있다. 후드 아우터 패널(32)의 외주연부(32A)와 후드 인너 패널(34)의 외주연부(34A)는, 헤밍(hemming) 가공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또, 후드 아우터 패널(32)과 후드 인너 패널(34)이 맞붙여진 상태에서는, 양자는 폐쇄 단면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양자의 사이에는 후드 상하 방향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닫힘 상태의 후드(30)에 있어서의 전단부(30A)의 후드 폭 방향의 중앙부에 대응하여 후드 로크부(25)가 배치되어 있다. 후드 로크부(25)는, 엔진 룸(22) 내에서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에 배치된 후드 로크 장치(26)(도면 중에서는 블록화하여 도시)와, 후드(30)에 배치된 스트라이커(2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트라이커(28)는, 차량 측면에서 보아 후드 상방 측이 개방된 굴곡 형상(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스트라이커(28)에는, 후드 로크 장치(26)의 일부를 구성하는 래치(도시 생략)가 계지(係止)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라이커(28)에 상기 래치가 계지된 상태에서는, 후드(30)의 전단부가 후드 하방 측으로 인입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는, 후드(30)가 저면도(후드 하방 측에서 본 상태의 도면)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후드 인너 패널(34)의 전단부의 중앙부에는, 스트라이커(28)를 후드 상방 측으로부터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 구멍(4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스트라이커(28)는, 전후 한 쌍의 장착 기단부(基端部)가 차량 폭 방향의 일방 측 및 타방 측으로 구부려져 있고(도시 생략), 후드 인너 패널(34)의 후드 상방 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6)로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6)는, 후드 로크 리인포스먼트(reinforcement)(38)(넓은 의미로는 「후드 전단부의 보강 부재」로서 파악되는 요소임.)에 고정되어 있다.
후드 로크 리인포스먼트(38)는, 판 형상으로 되고, 후드(30)의 전단부(30A)에 있어서의 보강용으로서 후드 아우터 패널(32)(도 2 참조)과 후드 인너 패널(34)의 사이에 배치되어 후드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후드 로크 리인포스먼트(38)에는, 후드 인너 패널(34)의 삽입 통과 구멍(40)에 대응하는 삽입 통과 구멍(도시 생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후드 로크 리인포스먼트(38)는, 후드 인너 패널(34)에 대하여 삽입 통과 구멍(40)의 주위부에서 용접되어 있고, 후드(30)에 있어서의 스트라이커 장착부 주변을 보강하고 있다.
한편, 후드(30)의 내면을 구성하는 후드 인너 패널(34)에는, 그 외주부를 따라 외주 비드(42)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 비드(42)는, 후드 하방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드 인너 패널(34)의 외주부를 일주하고 있다. 또, 후드 인너 패널(34)의 중앙 영역에는, 골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골격부(44)는, 후드 인너 패널(34)에 있어서 외주 비드(42)의 내측에서 스트라이커(28)의 장착부보다 후드 후방 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골격부(44)는, 그 주위부에 비해 대체로 후드 상방 측이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골격부(44)의 후드 전방 측의 단부(端部)에는, 전(前)벽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골격부(44)에는, 전벽부(44A)의 후드 후방 측에 후드 바닥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플랫부(44B)가 형성되어 있다. 플랫부(44B)는, 그 일반면이 후드 폭 방향을 포함하는 면을 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골격부(44)에는, 후드 바닥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플랫부(44B)의 내측에 복수의 융기부(44C)가 형성되어 있다. 융기부(44C)는, 후드 인너 패널(34)의 중앙 영역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후드 상방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후드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각 융기부(44C)의 정상부에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융기부(44C)에 있어서의 정상부의 일부는, 후드 아우터 패널(32)(도 2 참조)의 이면에 접착제(매스틱(mastic))를 개재하여 접합되어 있다.
또, 후드 인너 패널(34)에는, 골격부(44)보다 후드 전방 측에서 후드 폭 방향의 좌우 양측에 스토퍼 맞닿음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맞닿음부(46)는, 후드(30)의 닫힘 상태에서는 상술한 스토퍼 고무(24)(도 1 참조)에 맞닿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토퍼 고무(24)는, 후드(30)의 닫힘 시에는, 후드(30)의 스토퍼 맞닿음부(46)와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의 사이에 개재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스토퍼 맞닿음부(46)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드 인너 패널(34)의 하면의 일부가 후드 상방 측으로 조금 움푹 패인 부위가 되고, 바닥면에서 보아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부분 확대도 등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후드 인너 패널(34)에는, 스토퍼 맞닿음부(46)로부터 복수의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세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비드(50, 52, 54)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보강 비드(50, 52, 54)는, 각각이 다른 어느 것과도 동일 직선상에 없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3개의 보강 비드(50, 52, 54)는, 각각의 연장되는 방향이 다른 어느 보강 비드의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도 반대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 보강 비드(50, 52, 54)는, 모두 후드 상방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서로 이웃하는 보강 비드(50, 52, 54)의 정상부끼리는, 스토퍼 맞닿음부(46)의 외주 측에 있어서 단차 없이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보강 비드(50, 52, 54)의 측부끼리는 스토퍼 맞닿음부(46)의 외주 측에 있어서 완만하게 연속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좌측의 보강 비드(50, 52, 54)와 차량 우측의 보강 비드(50, 52, 54)는, 대체로 좌우 대칭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대칭의 관계에 있는 보강 비드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복수의 보강 비드(50, 52, 54) 중 1개인 제 1 보강 비드(50)는, 스토퍼 맞닿음부(46)로부터 후드 전방 측으로 연장되어 외주 비드(42)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나머지의 2개인 제 2 보강 비드(52) 및 제 3 보강 비드(54)는, 외주 비드(42)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제 2 보강 비드(52)는, 스토퍼 맞닿음부(46)로부터 후드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보강 비드(52)의 후드 폭 방향 내측의 단말부(52A)(스토퍼 맞닿음부(46)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단말부)는, 후드 인너 패널(34)의 평면부(34B)에 대하여 후드 폭 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당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단차 없이 연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보강 비드(52)의 연장 돌출 길이는, 제 1 보강 비드(50)의 연장 돌출 길이와 비교하여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좌측의 제 2 보강 비드(52)의 후드 폭 방향 내측의 단말부(52A)는, 후드 로크 리인포스먼트(38)와 후드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차량 우측의 제 2 보강 비드(52)의 후드 폭 방향 내측의 단말부(52A)는, 후드 로크 리인포스먼트(38)와 후드 상하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겹치는 위치에 설정되어도 된다.
제 2 보강 비드(52)는, 제 1 연결 비드(56)에 의해 상술한 골격부(44)와 연결되어 있다. 이 제 1 연결 비드(56)는, 후드 상방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2 보강 비드(52)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후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연결 비드(56)의 전단부는, 제 2 보강 비드(52)에 있어서의 후드 폭 방향 외측의 측부(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 연결 비드(56)의 후단부는, 골격부(44)에 있어서의 전벽부(44A) 및 플랫부(44B)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보강 비드(54)는, 스토퍼 맞닿음부(46)로부터 후드 폭 방향 외측 비스듬하게 후방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보강 비드(54)의 후드 폭 방향 외측 비스듬하게 후방 측의 단말부(54A)(스토퍼 맞닿음부(46)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단말부)는, 후드 인너 패널(34)의 평면부(34C)에 대하여 후드 폭 방향 외측 비스듬하게 후방 측을 향한 방향으로(당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단차 없이 연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보강 비드(54)의 연장 돌출 길이는, 제 1 보강 비드(50)의 연장 돌출 길이와 비교하여 길게 설정되어 있다.
제 3 보강 비드(54)는, 제 2 연결 비드(58)에 의해 상술한 골격부(44)와 연결되어 있다. 이 제 2 연결 비드(58)는, 후드 상방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 3 보강 비드(54)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후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연결 비드(58)의 전단부는, 제 3 보강 비드(54)에 있어서의 후드 폭 방향 외측의 측부(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연결 비드(58)의 후단부는, 골격부(44)에 있어서의 전벽부(44A) 및 플랫부(44B)에 접속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토퍼 맞닿음부(46)가 형성된 후드 인너 패널(34)에는, 복수의 보강 비드(50, 52, 5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드(30)가 닫혀 스토퍼 고무(24)(도 2 참조)로부터 스토퍼 맞닿음부(46)에 하중이 작용한 경우, 당해 하중이 복수의 보강 비드(50, 52, 54)에 의해 분산되므로, 스토퍼 맞닿음부(46)의 함몰이 방지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여기서, 이들 보강 비드(50, 52, 54)는, 스토퍼 맞닿음부(46)로부터 복수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각각이 다른 어느 것과도 동일 직선상에 없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보강 비드(50, 52, 54)가 형성되어도, 복수의 보강 비드(50, 52, 54)를 휨 기점으로 한 휨 변형은 조장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드 인너 패널(34)의 외주부를 따라 외주 비드(4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드(30)에 있어서의 전체의 비틀림 강성이 향상되고, 후드(30)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 외주 비드(42)에는 복수의 보강 비드(50, 52, 54) 중 1개인 제 1 보강 비드(50)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드(30)가 닫힌 경우에 스토퍼 맞닿음부(46)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가 제 1 보강 비드(50)를 개재하여 외주 비드(42)에 의해 분담된다. 따라서, 후드 인너 패널(34)의 스토퍼 맞닿음부(46)에서의 국부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보강 비드(50, 52, 54)에는, 외주 비드(42)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제 2 보강 비드(52) 및 제 3 보강 비드(54)가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드(30)가 닫힌 경우에 스토퍼 맞닿음부(46)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는, 제 2 보강 비드(52) 및 제 3 보강 비드(54)를 개재하여 외주 비드(42) 이외의 부위에 의해서도 분담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보강 비드(52) 및 제 3 보강 비드(54)는, 스토퍼 맞닿음부(46)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단말부(52A, 54A)가 후드 인너 패널(34)의 평면부(34B, 34C)에 대하여 당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단차 없이 연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드(30)가 닫힌 경우에 스토퍼 맞닿음부(46)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는, 제 2 보강 비드(52) 및 제 3 보강 비드(54)를 개재하여 후드 인너 패널(34)의 평면부(34B, 34C)에 의해 분담된다. 즉, 스토퍼 맞닿음부(46)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를 스토퍼 맞닿음부(46)로부터 떨어진 후드 인너 패널(34)의 평면부(34B, 34C)에서 받는 것이 가능해져, 하중을 평면부(34B, 34C)로 넓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후드 인너 패널(34)에서는, 중앙 영역의 골격부(44)와 제 2 보강 비드(52)가 제 1 연결 비드(56)에 의해 연결됨과 함께, 골격부(44)와 제 3 보강 비드(54)가 제 2 연결 비드(5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토퍼 맞닿음부(46)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는, 제 2 보강 비드(52) 및 제 1 연결 비드(56)를 개재하여 골격부(44)에 의해 분담됨과 함께, 제 3 보강 비드(54) 및 제 2 연결 비드(58)를 개재하여 골격부(44)에 의해 분담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서도, 후드 인너 패널(34)의 스토퍼 맞닿음부(46)에서의 국부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여기서, 맞음새 상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 4a 및 도 4b의 그래프를 참조하면서 추가로 보충 설명한다. 도 4a는, 후드 좌단의 맞음새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후드 우단의 맞음새 상태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의 세로축은,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후드 로크하고 있지 않은 상태(후드 전단을 인입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후드 전단의 높이 위치를 기준으로 한 차량 상하 방향으로의 어긋남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 그래프 중의 실선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가 적용된 후드(30)의 결과를 나타내고, 그래프 중의 점선은, 대비 구조가 적용된 후드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대비 구조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의 보강 비드(50, 52, 5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비 구조는, 다른 점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그래프 중의 이점쇄선은, 바람직한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을 나타내고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대비 구조(점선 참조)의 후드에서는, 좌우 모두 전측(前側) 부위가 국부적으로 차량 하방 측으로 움푹 패여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가 적용된 후드(30)에서는, 그래프 중의 실선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좌우 모두 전측 부위의 국부적인 패임이 억제되어 있고, 후드(30)의 맞음새가 양호하게 성립하고 있다.
보충하면, 예를 들면, 후드 인너 패널(후드)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단순하게 판 두께를 얇게 하거나, 또는, 재료를 강재(鋼材)로부터 알루미늄 합금이나 수지 재료 등으로 변경한다는 대처를 해도, 상기 대비 구조와 같이 소정의 강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대비 구조와 동일한 판 두께이고 동일한 재료여도 소정의 강성이 확보되므로, 후드의 경량화 및 비용 저감을 도모하면서 맞음새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스토퍼 맞닿음부(46) 및 그 주위부에 있어서 소정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 보강 부재를 장착하거나, 후드 로크 리인포스먼트(38)를 스토퍼 맞닿음부(46)의 폭 방향 위치까지 확대하거나 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개폐체 구조에 의하면, 도 1에 나타내어지는 후드(30)의 맞음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삭제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스토퍼 맞닿음부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에이프런 어퍼 멤버(14) 등과 같은 다른(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20) 이외의) 차체 측의 부재에 설치된 스토퍼에 맞닿는 스토퍼 맞닿음부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1개의 스토퍼 맞닿음부(46)에 대하여 3개의 보강 비드(50, 52, 54)가 설치되어 있지만, 1개의 스토퍼 맞닿음부에 대하여 4개 이상의 보강 비드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복수의 보강 비드도,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복수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각각이 다른 어느 것과도 동일 직선상에 없는 위치에 설정되게 된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비드(50, 52, 54)가 후드 상방 측(외판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보강 비드는, 후드 하방 측(외판 측과는 반대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주 비드(42)가 후드 인너 패널(34)의 외주부를 따라 일주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외주 비드는, 패널의 외주부를 따라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된 외주 비드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주 비드(42)는, 후드 하방 측(외판 측과는 반대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외주 비드는, 후드 상방 측(외판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3개의 보강 비드 중 2개가 외주 비드에 접속되는 구성도 채택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복수의 보강 비드 중에,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단말부가 패널의 평면부에 대하여 당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단차 없이 연속되어 있는 보강 비드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3개의 보강 비드 중 제 1 보강 비드를 제외한 2개 중 1개에 대해서,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단말부가 패널의 평면부에 대하여 당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단차 없이 연속되는 구성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골격부와 복수의 보강 비드 중 어느 1개가 연결 비드에 의해 연결되어도 된다. 또, 골격부와 복수의 보강 비드의 전체가 연결 비드에 의해 연결되어도 된다. 또한, 골격부와 보강 비드를 연결하는 연결 비드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도 채택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비드(56, 58)는, 후드 상방 측(외판 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후드 하방 측(외판 측과는 반대측)으로 볼록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기재된 「동일 직선상에 없는 위치」의 개념에는, 예를 들면, 제 2 보강 비드(52)에 대한 제 1 보강 비드(50)와 같이 제 2 보강 비드(52)의 연장선상에 전혀 존재하지 않도록 한 위치가 포함되는 것 외에, 제 2 보강 비드(52)에 대한 제 3 보강 비드(54)와 같이 스토퍼 맞닿음부(46)에 근접한 위치의 매우 일부에서는 제 2 보강 비드(52)의 연장선상에 존재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제 2 보강 비드(52)의 연장선상에는 없는 것으로서 파악되고, 또한, 연장선상에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져서,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상에 없는 위치」로서 인식되도록 한 위치도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상술의 복수의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외에도,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No.2012-232035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Claims (4)

  1. 차체 전부의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개폐체로서의 후드의 내판을 구성하는 후드 인너 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후드의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에 설치된 스토퍼에 맞닿는 스토퍼 맞닿음부와,
    상기 후드 인너 패널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적어도 세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각각이 다른 어느 것과도 동일 직선상에 없는 위치에 설정된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와,
    상기 후드 인너 패널의 외주부를 따라 형성된 외주 비드를 갖고,
    상기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 중 1개이며 상기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후드 전방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주 비드에 접속된 제 1 보강 비드와,
    상기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 중 다른 1개이며 상기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후드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보강 비드와,
    상기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 중 또 다른 1개이며 상기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후드 폭 방향 외측 비스듬하게 후방 측으로 연장되는 제 3 보강 비드를 구비하는 차량용 개폐체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보강 비드가 상기 외주 비드에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개폐체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강 비드 및 상기 제 3 보강 비드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스토퍼 맞닿음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의 단말부가 상기 후드 인너 패널의 평면부에 대하여 당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완만하게 단차 없이 연속되어 있는, 차량용 개폐체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인너 패널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골격부와,
    상기 골격부와, 상기 적어도 3개의 보강 비드 중 적어도 1개를 연결하는 연결 비드를 갖는, 차량용 개폐체 구조.
KR1020157009652A 2012-10-19 2013-09-12 차량용 개폐체 구조 KR101666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2035A JP5742816B2 (ja) 2012-10-19 2012-10-19 車両用開閉体構造
JPJP-P-2012-232035 2012-10-19
PCT/JP2013/074761 WO2014061383A1 (ja) 2012-10-19 2013-09-12 車両用開閉体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088A KR20150056088A (ko) 2015-05-22
KR101666497B1 true KR101666497B1 (ko) 2016-10-14

Family

ID=50487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652A KR101666497B1 (ko) 2012-10-19 2013-09-12 차량용 개폐체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72735B2 (ko)
EP (1) EP2910456B1 (ko)
JP (1) JP5742816B2 (ko)
KR (1) KR101666497B1 (ko)
CN (1) CN104736421B (ko)
CA (1) CA2888319C (ko)
WO (1) WO2014061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1212B2 (ja) * 2013-01-15 2015-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JP6263074B2 (ja) * 2014-04-18 2018-01-1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のクッション構造
CN106379419A (zh) * 2015-07-28 2017-02-0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发动机罩内板抵接结构及发动机罩和车辆
JP6629544B2 (ja) 2015-08-10 2020-01-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ネル構造
JP7008589B2 (ja) * 2018-07-17 2022-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JP7070365B2 (ja) * 2018-11-21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US10821933B2 (en) * 2019-01-30 2020-11-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eformable automotive noise and vibration seal for pedestrian protection
JP7260377B2 (ja) * 2019-04-10 2023-04-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車両用フー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5577A (ja) 2004-05-27 2005-12-08 Mazda Motor Corp 車体のフロアパネル構造
JP2011131702A (ja) 2009-12-24 2011-07-0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フード構造
JP2012071623A (ja) 2010-09-27 2012-04-1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開閉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7Y2 (ja) * 1988-12-26 1995-0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ストツパ当接部構造
JPH04372475A (ja) * 1991-06-19 1992-12-25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フード構造
US5682667A (en) * 1996-04-10 1997-11-04 The Budd Company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to an overslam bumper pocket
KR19980027994A (ko) * 1996-10-18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후드 오버슬램범퍼 완충장치
DE19644236C2 (de) * 1996-10-24 2002-05-29 Daimler Chrysler Ag Vorbaustruktur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JP3814983B2 (ja) * 1997-09-20 2006-08-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フード構造
JP2005112140A (ja) * 2003-10-07 2005-04-28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フード構造
JP4645132B2 (ja) * 2004-09-30 2011-03-0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ードストッパ構造
US7354101B2 (en) * 2005-12-08 2008-04-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ood structure with crush initiators
JP4575939B2 (ja) * 2007-07-27 2010-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トランクリッド骨格構造
JP2010167884A (ja) 2009-01-22 2010-08-05 Toyota Motor Corp 車両のストッパゴム回転抑止構造
WO2012001799A1 (ja) * 2010-06-30 2012-01-0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フードの支持構造
CN202029906U (zh) * 2011-01-14 2011-11-0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发动机的机舱盖及汽车
JP2012232035A (ja) 2011-05-07 2012-11-29 Nidek Co Ltd 眼科装置
CN202439761U (zh) * 2012-02-20 2012-09-19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汽车发动机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5577A (ja) 2004-05-27 2005-12-08 Mazda Motor Corp 車体のフロアパネル構造
JP2011131702A (ja) 2009-12-24 2011-07-0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フード構造
JP2012071623A (ja) 2010-09-27 2012-04-1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開閉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1383A1 (ja) 2014-04-24
US20150266514A1 (en) 2015-09-24
JP2014083879A (ja) 2014-05-12
CN104736421A (zh) 2015-06-24
CN104736421B (zh) 2016-08-17
CA2888319A1 (en) 2014-04-24
CA2888319C (en) 2017-02-28
US9272735B2 (en) 2016-03-01
EP2910456A1 (en) 2015-08-26
EP2910456B1 (en) 2017-10-25
KR20150056088A (ko) 2015-05-22
EP2910456A4 (en) 2016-07-13
JP5742816B2 (ja)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497B1 (ko) 차량용 개폐체 구조
KR101539004B1 (ko) 차량용 백 도어 구조
JP6135651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US7963588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JP7222816B2 (ja) 車両用フード
US10556626B2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JP5761212B2 (ja) 車両用フード構造
JP4612711B2 (ja) 車両のドアサッシュ部構造
US11077883B2 (en) Front vehicle-body structure
JP6788788B2 (ja) ドアサッシュ構造
JP6406504B2 (ja) 車体後部の構造
JP6094764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6536154B2 (ja)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JP2014148254A (ja) リアピラー
JP6107209B2 (ja) ルーフサイドレール構造
JP6715881B2 (ja) 車体後部構造
JP7009690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インナパネル
JP2007308111A (ja) フード構造
JP5880392B2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
JP7355257B2 (ja)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JP6128053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24008189A (ja) 車両後部構造
JP2012006448A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CN116648401A (zh) 机动车用机罩构造
WO2013015270A1 (ja) 車両のドア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