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541B1 -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 Google Patents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541B1
KR101483541B1 KR20100108235A KR20100108235A KR101483541B1 KR 101483541 B1 KR101483541 B1 KR 101483541B1 KR 20100108235 A KR20100108235 A KR 20100108235A KR 20100108235 A KR20100108235 A KR 20100108235A KR 101483541 B1 KR101483541 B1 KR 101483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exhaust
robot cleaner
opening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0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943A (ko
Inventor
정현수
김동원
이준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1173747.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407075B1/en
Priority to US13/067,986 priority patent/US8756751B2/en
Priority to EP11173746.6A priority patent/EP2407074B1/en
Priority to EP12005268.3A priority patent/EP2517610B1/en
Priority to DE202011110010U priority patent/DE202011110010U1/de
Priority to EP11173894.4A priority patent/EP2407077B1/en
Priority to EP21177436.9A priority patent/EP3901944A1/en
Priority to EP11173893.6A priority patent/EP2407076B1/en
Priority to CN201110210157.3A priority patent/CN102334945B/zh
Priority to CN201110210121.5A priority patent/CN102342805B/zh
Priority to CN201110210112.6A priority patent/CN102334943B/zh
Priority to US13/183,723 priority patent/US9186030B2/en
Priority to CN201610647435.4A priority patent/CN106264335A/zh
Priority to US13/183,529 priority patent/US9027199B2/en
Publication of KR2012000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943A/ko
Priority to ATGM282/2012U priority patent/AT12830U3/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541B1/ko
Priority to US14/885,357 priority patent/US10028631B2/en
Priority to US16/018,836 priority patent/US2018029605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47L9/281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using optica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30Arrangement of 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8Refurbishing floor engaging tools, e.g. cleaning of be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 및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청소시스템은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는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부유된 후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메인터넌스의 제2개구부로 배출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AUTONOMOUS CLEANING DEVICE, MAINTENANC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M}
본 명세서는 자율 주행이 가능한 로봇을 이용하여 청소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율 주행 로봇은 사용자의 조작없이 임의의 영역을 주행하면서 소정의 임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로봇은 상당 부분 자율 주행이 가능하고, 이러한 자율 주행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로봇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없이 청소 영역을 주행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청소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가정에서 진공 청소와 걸레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먼지는 진공 청소기나 자동 또는 반자동 청소장치에 의해서 포집 가능한 (흙)먼지, 티끌, 가루, 파편 그리고 기타 먼지입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측은, 로봇청소기의 청소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시스템을 개시한다.
다른 일 측은, 로봇청소기의 먼지를 자동을 배출할 수 있는 청소시스템을 개시한다.
또 다른 일 측은, 로봇청소기의 유지 보수를 개선할 수 있는 청소시스템을 개시한다.
일 기술적 사상에 따른 로봇청소기는 개구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과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마련되어 상기 먼지통으로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는 브러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는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통하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부유된 후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사이드 영역을 통하여 상기 먼지통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먼지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앙 영역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유닛은 먼지가 밖으로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먼지 배출 시 상기 브러시유닛의 롤러는 적어도 한 번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먼지 배출 시 상기 브러시유닛의 롤러는 초기에 가벼운 먼지가 배출되는 시간 동안 천천히 회전하고, 이후에 빠르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유동과 상기 본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만들어내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개구부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은 브러시유닛이 설치되는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부유되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다시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 불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와 연통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로 배출되어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대부분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 단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먼지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유닛이 배출는 공기는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 상기 흡입덕트,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먼지통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펌프유닛으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는 제1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기덕트의 제1배기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중 큰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제1배기덕트의 제2배기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중 작은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기덕트의 상기 제1배기포트와 제2배기포트는 상기 제2개구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개구부의 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는 제2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기덕트의 제3배기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중 큰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제2배기덕트의 제4배기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중 작은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기덕트의 제3배기포트와 제4배기포트는 상기 제2개구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개구부의 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청소기의 센서로 공기를 불어주고 다시 흡입하는 흡/배기 이중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흡/배기 이중관의 흡기관과 연통되고,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흡/배기 이중관의 배기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를 분기시켜 제1흡입포트와 제2흡입포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포트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어셈블리는 상기 제1흡입포트와 제2흡입포트를 형성하는 흡입포트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입포트는 상기 제1흡입포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흡입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흡입포트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입포트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제1배기덕트와 제2배기덕트;와 상기 제1배기덕트를 분기시켜 제1배기포트와 제2배기포트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배기덕트를 분기시켜 제3배기포트와 제4배기포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포트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어셈블리는 상기 제1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1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2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2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3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3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4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4배기포트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입포트는 상기 제1배기포트와 제2배기포트, 제3배기포트, 제4배기포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 포트어셈블리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브러시유닛을 청소하는 복수 개의 브러시 청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브러시 청소부재 각각은,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측벽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어셈블리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어셈블리는 그 하측에 마련되는 제1이격부;와, 그 양측 각각에 마련되는 제2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른 청소시스템은 제1개구부와, 상기 제1개구부와 연통되는 제1먼지통을 가지는 로봇청소기;와 제2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와 연통되는 제2먼지통을 가지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부유된 후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메인터넌스의 제2개구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에서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로 공기를 불어 넣는 먼지제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로 들어 가는 공기가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을 순환한 후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로 빠져 나오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 사이드 영역에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대부분 영역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제1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기덕트의 제1배기포트는 상기 제1먼지통의 큰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제1배기덕트의 제2배기포트는 상기 제1먼지통의 작은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제2배기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배기덕트의 제3배기포트는 상기 제1먼지통의 큰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제2배기덕트의 제4배기포트는 상기 제1먼지통의 작은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제1배기덕트와 제2배기덕트;와 상기 흡입덕트를 분기시켜 제1흡입포트와 제2흡입포트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배기덕트와 분기시켜 제1배기포트와 제2배기포트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배기덕트를 분기시켜 제3배기포트와 제4배기포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포트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어셈블리는 상기 제1흡입포트와 제2흡입포트를 형성하는 흡입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1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1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2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2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3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3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4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4배기포트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흡입포트는 상기 제1흡입포트와 제1배기포트, 제2배기포트, 제3배기포트, 제4배기포트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대부분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 사이드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의 단면적과 배기덕트의 배기포트의 단면적의 비율은 7.5 : 1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제2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은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제2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은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제2개구부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에 마련되는 브러시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유닛은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제2개구부로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협조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먼지 배출 시 상기 브러시유닛의 롤러는 적어도 한 번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먼지 배출 시 상기 브러시유닛의 롤러는 초기에 가벼운 먼지가 배출되는 시간 동안 천천히 회전하고, 이후에 빠르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은 상기 브러시유닛을 청소하는 브러시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청소부재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제2개구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청소부재는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측벽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제1먼지통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감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제1먼지통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와, 상기 제1먼지통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센서에서 나오는 신호를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제1먼지통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감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먼지감지유닛이 상기 제1먼지통에 먼지가 일정량 이상 채워진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른 청소시스템은 로봇청소기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에 도킹하고, 도킹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도킹 완료 시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브러시유닛이 설치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배출되고, 먼지 배출 시 상기 로봇청소기의 브러시유닛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유닛은 적어도 한 번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유닛은 초기에 가벼운 먼지가 배출되는 시간 동안 천천히 회전하고, 이후에 빠르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에 먼지가 가득 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른 로봇청소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과 상기 먼지통에 저장되는 먼지 량을 측정하는 먼지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먼지통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먼지통 내부로 신호를 송출하는 발광센서와, 상기 먼지통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먼지통 내부에서 빠져 나오는 신호를 감지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센서가 송출하는 신호를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은 먼지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는 상기 먼지통의 유입구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일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먼지통의 유입구를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먼지감지유닛의 먼지감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에는 전기적 연결단자가 접속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른 로봇청소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과 상기 먼지통에 저장되는 먼지 량을 측정하는 먼지감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먼지통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센서에서 송출되는 신호는 상기 먼지통을 관통하여 상기 수광센서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은 신호가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센서와 상기 수광센서는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은 상기 발광센서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신호를 상기 먼지통 내부로 통과시키는 송출신호 통과부;와, 상기 수광센서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신호를 상기 먼지통 외부로 통과시키는 도달신호 통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출신호 통과부와 상기 도달신호 통과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통에는 전기적 연결단자가 접속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은 로봇청소기의 청소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간의 공기 유동을 순환시킴으로써 에너지와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먼지를 배출함으로써 자동 배출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동 배출 시 비산되는 먼지를 사전에 차단하여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주변이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환류를 이용하여 센서를 청소하고 주변으로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 배출 시 브러시유닛에 감긴 이물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감지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감지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감지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d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e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a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덕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a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측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도킹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청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청소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청소부재는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배기이중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청소시스템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덕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킹 시 제2개구부에서의 배기유동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킹 시 제2개구부에서의 흡입유동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트어셈블리를 나타낸 상부 사시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트어셈블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각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청소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시스템(10)은 로봇청소기(20)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20)는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여러 가지 청소 임무를 수행하는 장치이고,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은 일종의 유지보수 장치로써, 로봇청소기(20)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로봇청소기(20)의 먼지통을 비워 주는 장치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20)는 본체(21)와 구동장치(30), 클리닝장치(40), 각종 센서(5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21)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본체(2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21)는 회전하는 경우에도 회전 반경이 일정하여 주변 장애물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고 방향 전환을 매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중 주변 장애물에 걸려서 본체(21)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21)에는 청소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 즉, 구동장치(30)와 클리닝장치(40), 각종 센서(50), 디스플레이(23),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30)는 본체(21)가 청소 영역을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장치(30)는 좌우 구동바퀴(31a, 31b)와 캐스터(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좌우 구동바퀴(31a, 31b)는 본체(21) 하부의 중앙 영역에 장착되고 캐스터(32)는 본체(21) 하부의 전방 영역에 장착되어 로봇청소기(20)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좌우 구동바퀴(31a, 31b)는 로봇청소기(2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거나 방향 전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우 구동바퀴(31a, 31b)를 동일하게 제어하여 로봇청소기(2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고, 좌우 구동바퀴(31a, 31b)를 따로따로 제어하여 로봇청소기(20)가 방향을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좌우 구동바퀴(31a, 31b)와 캐스터(32) 각각은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본체(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클리닝장치(40)는 본체(21)의 바닥 및 그 주변을 청소하도록 할 수 있다. 브러시유닛(41)과 사이드브러시(42), 제1먼지통(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러시유닛(41)은 본체(21)의 저면에 형성된 제1개구부(21a)에 장착될 수 있다. 브러시유닛(41)은 본체(21)의 중앙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브러시유닛(41)은 구동바퀴(31a, 31b)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되, 구동바퀴(31a, 31b)보다 본체(21)의 후방(R)으로 치우쳐서 장착될 수 있다.
브러시유닛(41)은 본체(21)의 바닥에 쌓인 먼지를 제1먼지통(43)에 쓸어 담을 수 있다. 브러시유닛(41)은 본체(21)의 제1개구부(21a)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롤러(41a)와, 이 롤러(41a)의 외주면에 박혀 있는 브러시(4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롤러(41a)가 회전하면,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브러시(41b)는 바닥에 쌓인 먼지를 휘저을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서 바닥에 쌓인 먼지는 제1개구부(21a)를 통과하여 제1먼지통(43)에 저장될 수 있다.
브러시유닛(41)은 청소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등속 제어될 수 있다. 브러시유닛(41)은 카펫과 같이 매끄럽지 않은 바닥 면을 청소하는 경우 매끄러운 바닥 면을 청소하는 경우에 비해서 회전 속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전류 등을 더 공급하여 브러시유닛(41)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사이드브러시(42)는 본체(21)의 저면의 테두리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브러시(42)는 본체(21)의 중앙 영역을 벗어나서 본체(21)의 전방(F) 사선 방향으로 치우쳐서 장착될 수 있다.
사이드브러시(42)는 본체(21)의 주변에 쌓인 먼지를 브러시유닛(4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이드브러시(42)는 로봇청소기(20)의 청소 범위를 본체(21)의 바닥 및 그 주변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브러시유닛(41)으로 이동된 먼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개구부(21a)를 통하여 제1먼지통(43)에 저장될 수 있다.
제1먼지통(43)은 본체(21)의 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제1먼지통(43)의 유입구(43')는 본체(21)의 제1개구부(21a)와 연통됨으로써 먼지가 제1먼지통(43)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먼지통(43)은 분리벽(43c)에 의해서 큰 먼지통(43a)과 작은 먼지통(43b)으로 분리될 수 있다. 브러시유닛(41)은 제1유입구(43a')를 통하여 큰 먼지통(43a)에 비교적 큰 먼지를 쓸어 담을 수 있고, 송풍유닛(22)는 제2유입구(43b')를 통하여 작은 먼지통(43b)에 머리카락 등 부유하는 작은 먼지를 흡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제2유입구(43b')의 인접한 곳에는 브러시청소부재(41c)가 마련되는데, 브러시 청소부재(41c)는 브러시유닛(41)에 감긴 머리카락을 걸러 낸 후 송풍유닛(22)의 흡입력에 의해서 제2유입구(43b')를 통하여 작은 먼지통(43b)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브러시유닛(41)과 사이드브러시(42), 제1먼지통(43) 각각은 하나의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본체(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감지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감지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감지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감지유닛(44)은 제1먼지통(43)의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1먼지통(4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먼지감지유닛(44)은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먼지통(43) 내부에서 발광센서(44a)에서 송출되는 신호는 수광센서(44b)에 직접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발광센서(44a)와 수신센서(44b)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에 감지되는 에너지량을 기준으로 제1먼지통(43)에 먼지가 가득 찼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먼지가 쌓이게 되면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에 감지되는 에너지량이 현격히 감소될 수 있고, 이 에너지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한 후 에너지량이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는 제1먼지통(43)에 먼지가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또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로 구성되는 발광센서(44a)와 수신센서(44b)는 외란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발광센서(44a)와 수신센서(44b)의 신호를 가이드하는 슬릿이나 광 가이드와 같은 구조물이 설치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먼지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센서(44a)와 수신센서(44b)는 리모컨 수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센서(44b)에 신호가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제1먼지통(43)에 먼지가 가득 찼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먼지가 쌓이게 되면 발광센서(44a)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수광센서(44b)가 수신하지 못하게 되고, 제어부는 제1먼지통(43)에 먼지량이 일정량 이상 채워져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리모컨 수신모듈로 구성되는 발광센서(44a)와 수신센서(44b)는 저주파를 필터링하고, 강도 및 수신감도가 높아서 슬릿이나 광 가이드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가 송수신하는 신호에는 가시광선, 적외선, 음파, 초음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감지유닛(44)은 발광센서(44a), 수광센서(44b) 그리고 반사부재(44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는 제1먼지통(43) 내부에 설치되지 않고 제1먼지통(43) 이외의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는 제1먼지통(43)과 마주보는 본체(21)의 일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는 제1먼지통(43)의 유입구(43')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센서(44a)는 제1먼지통(43)의 유입구(43')를 통하여 제1먼지통(43) 내부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고, 수광센서(44b)는 제1먼지통(43)의 유입구(43')를 통하여 제1먼지통(43) 바깥으로 빠져 나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반사부재(44c)는 제1먼지통(43)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반사부재(44c)는 발광센서(44a)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수광센서(44b)가 있는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제1먼지통(43)에 먼지가 가득 찬 경우 반사부재(44c)는 먼지에 의해서 가려지기 때문에 발광센서(44a)에서 발신하는 신호는 수광센서(44b)에 수신되지 않거나, 수광센서(44b)에 수신되는 에너지량이 현격히 감소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제1먼지통(43)에 먼지가 일정량 이상이 채워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가 리모컨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저주파를 필터링하고, 강도 및 수신감도가 높아서 슬릿이나 광가이드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먼지통(43) 내부에 반사부재(44c)와 같은 구조물이 없더라도 리모콘 모듈로 구성되는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는 먼지가 가득 찼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를 제1먼지통(43)의 내부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1먼지통(43) 내부에 전기적 연결단자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사용자는 제1먼지통(43)을 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감지유닛(44)는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는 제1먼지통(43) 내부에 설치되지 않고 제1먼지통(43) 이외의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는 본체(21)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센서(44a)는 제1먼지통(43)의 일측과 마주보는 본체(21)의 일 부분에 설치되고, 수광센서(44b)는 제1먼지통(43)의 타측과 마주보는 본체(21)의 타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먼지통(43)은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발광센서(44a)에서 송출하는 신호는 제1먼지통(43)을 관통하여 수광센서(44b)에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먼지통(43)은 전체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신호가 관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먼지통(43)에는 발광센서(44a)와 대응하는 위치에 신호가 통과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송출신호 통과부(43a")와 수광센서(44b)와 대응하는 위치에 신호가 통과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도달신호 통과부(43b")가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센서(44a)에서 송출되는 신호는 수신센서(44b)에 직접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제1먼지통(43)에 먼지가 가득 찬 경우 수신센서(44b)에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감지되는 에너지량이 현격히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1먼지통(43)에 먼지가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먼지통(43)에는 전기적 연결구조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먼지통(43)을 물로 세척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먼지감지유닛(44)이 일정량 이상의 먼지를 감지하는 경우 로봇청소기(20)는 디스플레이(23)에 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 제1먼지통(43)을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로봇청소기(20)는 자동으로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에 도킹하여 제1먼지통(43)에 저장된 먼지를 자동으로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종 센서(50)는 본체(21)에 장착되어 장애물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에는 접촉센서 또는 근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21)의 전방(F)에 설치되는 범퍼(51)는 벽 등의 전방 장애물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또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전방 장애물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체(21)의 저면에 설치되는 적외선 센서(52)(또는 초음파 센서)는 계단 등의 바닥 상태를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적외선 센서(52)가 본체(21)의 저면에 반원호형 둘레를 따라서 설치된다.
이 밖에도 다양한 센서들이 본체(21)에 설치되어 로봇청소기(20)의 상태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각종 센서(5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장치(30)와 클리닝장치(40)를 제어함으로서 로봇청소기(20)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5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5d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5e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측 단면도이고, 도 6는 도 5a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덕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a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20)는 여러 가지 상황에서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에 도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봇청소기(20)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는 경우 또는 로봇청소기(20)가 소정 시간 동안 청소 임무를 수행한 경우, 로봇청소기(20)가 청소를 끝낸 경우,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에 먼지가 가득 찬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은 하우징(61)과 도킹유도장치(70), 충전장치(80), 먼지제거장치(9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61)에는 플랫폼(62)이 마련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20)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에 도킹될 때 플랫폼(62)은 로봇청소기(20)를 지지할 수 있다.
플랫폼(62)은 비스듬히 마련되어 로봇청소기(20)가 플랫폼(62)에 쉽게 오르거나 내리도록 할 수 있다. 플랫폼(62)에는 로봇청소기(20)의 캐스터(32)를 가이드하는 캐스터 가이드부(63a)가 형성되고, 로봇청소기(20)의 좌우 구동바퀴(31a, 31b)를 가이드하는 구동바퀴 가이드부(63b, 63c)가 형성될 수 있다. 캐스터 가이드부(63a)와 구동바퀴 가이드부(63b, 63c) 각각은 주변보다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랫폼(62)에는 제2개구부(62a)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는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와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로 배출되는 먼지는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로 유입될 수 있다.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로 유입되는 먼지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먼지통(94)에 저장될 수 있다.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먼지통(94)은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과는 다른 것이다.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은 로봇청소기(20)가 이동하면서 바닥에서 모은 먼지를 저장하는 것이고,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먼지통(94)은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에서 배출되는 먼지를 모아서 저장하는 것이다. 이에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먼지통(94)의 용량은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의 용량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먼지감지유닛(44)은 제2먼지통(94)의 먼지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2먼지통(94) 내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먼지감지유닛(44)은 발광센서(44a)와 수광센서(4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센서(44a)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수광센서(44b)가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2먼지통(94)에 먼지량이 일정량 이상 채워져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는 도 5a에 나타낸 것처럼 개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에는 별도의 커버가 설치되지 않고 항상 개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플랫폼(62)은 소정 각도(θ) 이상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도 7참조) 로봇청소기(20)가 소정 각도(θ) 이상으로 기울어진 플랫폼(62)을 지나가는 경우 로봇청소기(20)의 무게가 후방으로 치우쳐지기 때문에 로봇청소기(20)의 전방은 약간 들려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로봇청소기(20)의 캐스터(32)는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에 빠지지 않고 건너갈 수 있다.
한편,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에는 도 5b에 나타낸 것처럼 커버(64)가 슬라이딩 왕복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20)의 도킹 완료 시 커버(64)는 열린 상태로 되어 로봇청소기(20)의 먼지가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로봇청소기(20)의 도킹 해제 시 커버(64)는 닫힌 상태로 되어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커버(64)는 로봇청소기(20)의 캐스터(32)가 지나가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64)는 로봇청소기(20)의 도킹과 연동되어 개폐될 수 있다. 즉, 로봇청소기(20)의 도킹 시 캐스터(32)가 커버(64)를 지나가는 도중 또는 지나간 후에 커버(64)는 열릴 수 있고, 도킹 해제 시 캐스터(32)가 커버(64)를 지나가거나 지나간 후에 커버(64)는 닫힐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커버(64)를 개폐시킬 수도 있다.
한편,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에는 도 5c에 나타낸 것처럼 커버(65)가 슬라이딩 왕복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도 5c는 도 5b와 다르게 커버(65)가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의 중앙 영역만에 설치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20)의 캐스터(32)가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를 지나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버(65)의 개폐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에는 도 5d에 나타낸 것처럼 브릿지(66)가 설치될 수 있다. 브릿지(66)는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의 중앙 영역에만 설치되어 로봇청소기(20)의 캐스터(32)가 지나가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에는 도 5e에 나타낸 것처럼 브릿지(66)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20)가 플랫폼(62)에 진입하는 경우 브릿지(67a)는 상승하여 로봇청소기(20)의 캐스터(32)가 건너가도록 하고, 도킹 완료된 경우 브릿짓(67b)는 하강하여 플랫폼(62)의 제2개구부(62a)의 개구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도킹유도장치(70)는 하우징(6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킹유도장치(70)는 복수 개의 센서(7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복수 개의 센서(71)는 도킹 유도 영역과 도킹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로봇청소기(20)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에 정확하게 도킹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충전장치(80)는 플랫폼(62)에 설치될 수 있다. 충전장치(80)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81a, 8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들 접속단자(81a, 81b)는 로봇청소기(20)의 복수 개의 접속단자(23a, 23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20)의 도킹이 완료되면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복수 개의 접속단자(81a, 81b)를 통하여 로봇청소기(20)의 복수 개의 접속단자(23a, 23b)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충전장치(80)는 로봇청소기(20)의 복수 개의 접속단자(23a, 23b)의 접속 여부를 판단한 후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20)의 복수 개의 접속단자(23a, 23b) 이외에 다른 무언가가 접속되는 경우에는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61)에는 먼지제거장치(90)가 설치될 수 있다. 먼지제거장치(90)는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에 저장된 먼지를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먼지통(94)으로 비워 줌으로써 로봇청소기(20)의 청소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먼지제거장치(90)는 펌프유닛(91)과 흡입덕트(92), 배기덕트(93), 제2먼지통(9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지제거장치(90)는 배기덕트(93)에서 배기되는 유동이 다시 흡입덕트(92)로 흡입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환류를 이용하여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에 저장된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펌프유닛(91)은 공기를 흡입/배출하는 장치이다. 펌프유닛(91)은 팬과 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펌프유닛(91)의 공기 흡입 방향에는 흡입덕트(92)가 설치될 수 있다. 흡입덕트(92)의 흡입포트(92a)는 제2개구부(62a)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2개구부(62a)와는 별도로 제2개구부(62a)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포트(92a)는 제2개구부(6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2개구부(62a)에서 배기포트(93a, 93b)가 점유하는 면적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점유할 수 있다.
펌프유닛(91)의 공기 배출 방향에는 배기덕트(93)가 설치될 수 있다. 배기덕트(93)는 분기되어 2개의 배기포트(93a, 93b)를 형성하고, 이들 배기포트(93a, 93b)는 제2개구부(62a)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2개구부(62a)와는 별도로 제2개구부(62a)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배기포트(93a, 93b)는 제2개구부(62a)의 길이 방향 단부 측 즉, 양 사이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덕트(92)의 흡입포트(92a)의 단면적은 배기덕트(93)의 배기포트(93a, 93b)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입포트(92a)의 단면적과 배기포트(93a, 93b)의 단면적의 비율은 7.5 : 1 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배기포트(93a, 93b)에 대한 흡입포트(92a)의 단면적 비율을 조금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즉, 7 : 1 또는 6.5 : 1 또는 6 : 1 처럼 각 포트의 단면적 비율을 조금 작게 설정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결국 펌프유닛(91)의 흡입 유량과 배출 유량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각 포트의 단면적 차이에 의하여 배기덕트(93)의 배기포트(93a, 93b)에서의 공기 유속이 흡입덕트(92)의 흡입포트(92a)에서의 공기 유속보다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속 차이에 의해서 배기포트(93a, 93b)를 빠져 나온 공기가 바로 흡입포트(92a)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포트(93a, 93b)를 빠져 나온 공기는 유속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흡입포트(93a, 93b)에서의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포트(93a, 93b)측으로 바로 빨려 들어가지 않고 제1먼지통(43)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제1먼지통(43)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는 제1먼지통(43)를 순환한 후 제1먼지통(43)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고, 이후 흡입포트(92a)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도킹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20)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에 도킹될 때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개구부(62a)는 연통될 수 있다.
도킹 시 흡입덕트(92)의 흡입포트(92a)는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기덕트(93)의 배기포트(93a, 93b)도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의 길이 방향 단부 측 즉, 사이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도킹 시 먼지제거장치(90)에 의해서 순환(또는 환류)하는 공기는 하나의 폐회로(closed loop)를 형성할 수 있다. 펌프유닛(9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덕트(93)의 배기포트(93a, 93b)를 빠른 유속으로 빠져나가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의 사이드 영역을 통과하여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으로 유입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에 유입되는 공기는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의 중앙 영역로 배출된 후 흡입덕트(92)의 흡입포트(92a)를 통해서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먼지통(94)으로 유입된 후 다시 펌프유닛(91)으로 흡입될 수 있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청소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청소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브러시 청소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은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을 청소할 수 있는 브러시청소부재(95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청소부재(95a)는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청소부재(41c)와 다른 것이다.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청소부재(95a)는 제2개구부(62a)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청소부재(95a)는 하우징(61)의 바닥에서 제2개구부(62a)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개구부(6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킹 시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청소부재(95a)는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과 접촉할 수 있다.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청소부재(95a)는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다. 특히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청소부재(95a)는 흡입덕트(92)에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청소부재(95a)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질은 펌프유닛(91)의 흡입력에 의해서 제2먼지통(94)으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 청소부재(95b)는 제2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왕복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 청소부재(95b)가 슬라이딩하는 동안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에 감긴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 청소부재(95c)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의 도킹이 완료된 경우 브러시 청소부재(95c)는 상승하여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과 접촉할 수 있고, 도킹이 해제된 경우 브러시 청소부재(95c)는 다시 하강할 수 있다. 한편, 브러시 청소부재(95c)의 상하방향 왕복 운동은 로봇청소기(20)의 도킹과 연동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은 먼지제거장치(90)와 협조하여 먼지를 더욱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먼지제거장치(90)가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은 도 8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은 배기덕트(93)의 배기포트(93a, 93b)에서 배기되는 공기가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으로 더욱 쉽게 유입되도록 도울 수 있고,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에서 빠져 나온 공기가 흡입덕트(92)의 흡입포트(92a)로 더욱 쉽게 유입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은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여 먼지를 더욱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먼지제거장치(90)가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 초기에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회전하고, 그 이후에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는 임의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는데, 머리카락 등 가벼운 먼지가 배출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초기에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이 느리게 회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가벼운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브러시유닛(41)에 감기지 않고 먼지제거장치(90)의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덕트(92)의 흡입포트(92a)로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이후에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이 빠르게 회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무거운 먼지들이 브러시유닛(41)의 회전력의 도움을 받아서 흡입덕트(92)의 흡입포트(92a)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은 적어도 한 번 회전 방향을 바꾸면서 브러시유닛(41)에 감긴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다.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에 저장된 먼지는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을 거치면서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로 배출되기 때문에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에 감길 수 있다. 이때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은 회전 방향을 바꿔 줌으로써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에 감긴 이물질을 풀어 낼 수 있다. 이렇게 풀어진 이물질은 흡입덕트(92)의 흡입포트(92a)로 이동하여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먼지통(94)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은 다시 한 번 회전 방향을 바꾸어 원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은 이처럼 회전방향 변경하는 것을 수 차례 반복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20)는 도킹유도장치(70)의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에 정확하게 도킹될 수 있다. 도킹은 본체(21)의 전방부터 플랫폼(62)으로 진입하게 되고,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개구부(62a)가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서 완료될 수 있다.
도킹이 완료되면 먼지제거장치(90)는 로봇청소기(20)에 저장된 먼지를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유닛(91)이 배기덕트(93)의 배기포트(93a, 93b)를 통하여 공기를 빠른 유속으로 배출하고, 배기포트(93a, 93b)에서 빠져 나온 공기는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를 통과하여 제1먼지통(43)으로 유입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먼지통(43)의 사공간 없이 전체 공간을 휘저을 수 있다. 특히 배기포트(93a, 93b)는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0a)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그 사이드 영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기포트(93a, 93b)를 빠져 나온 공기는 제1먼지통(43)의 사이드 영역부터 전체적으로 먼지를 휘저을 수 있다. 이후 제1먼지통(43)의 저장된 먼지는 제1먼지통(43)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부유하면서 제1먼지통(43)으로 유입된 공기와 함께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로 빠져나갈 수 있다. 흡입덕트(92)의 흡입포트(92a)는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측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을 빠져 나오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이후 흡입덕트(92)의 흡입포트(92a)로 유입된 먼지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먼지통(94)에 저장될 수 있고, 공기는 필터(94a)를 거쳐서 펌프유닛(91)으로 다시 흡입될 수 있다.
이처럼 펌프유닛(91)의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덕트(93),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 흡입덕트(92),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먼지통(94)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다시 펌프유닛(9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공기를 순환(또는 환류)시킴에 따라 공기가 밖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94a)의 성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펌프유닛(91)을 하나만 사용하여 공기를 흡입/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기덕트(93)의 배기포트(93a, 93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 및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개구부(62a)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 사이드 영역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고, 흡입덕트(92)의 흡입덕트(92)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 및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개구부(6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대부분 영역에서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에 빠져 나온 먼지는 주로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 및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개구부(62a)의 중앙 영역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포트(92a)와 배기포트(93a, 93b)의 배치구조는 로봇청소기(20)의 제1먼지통(43)에 빠져 나온 먼지가 사이드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밖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흡입포트(92a)와 배기포트(93a, 93b)의 로봇청소기(20)의 제1개구부(21a) 및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제2개구부(62a)에 대한 위치는 로봇청소기(20)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 사이에 일종의 실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브러시유닛(41)은 먼지제거장치(90)가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안 초기에 천천히 회전하고, 이후에 빠르게 회전하도록 협조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러시유닛(41)이 초기에 천천히 회전하는 동안 먼지제거장치(90)는 머리카락 등 가벼운 먼지를 신속하게 흡입할 수 있다. 이후에 브러시유닛(41)은 빠르게 회전하면서 먼지제거장치(90)가 대체적으로 무거운 먼지를 흡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브러시유닛(41)은 먼지제거장치(90)가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안 적어도 한 번 회전 방향을 바꾸도록 협조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러시유닛(41)에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감길 수 있는데, 그 회전 방향을 바꿈으로써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풀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먼지제거장치(90)는 브러시유닛(41)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한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청소부재(95)는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다. 로봇청소기(20)의 브러시유닛(41)이 회전하는 동안 브러시유닛(41)에 감긴 이물질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청소부재(95)와 접촉함으로써 메인터넌스 스테이션(60)의 브러시청소부재(95)에 걸러질 수 있다. 이렇게 걸러진 이물질은 먼지제거장치(90)의 흡입력에 의해서 제2먼지통(94)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흡/배기이중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청소시스템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시스템(100)은 로봇청소기(120)의 제1먼지통(143)에 저장된 먼지를 메인터넌스 스테이션(160)의 제2먼지통(194)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터넌스 스테이션(160)은 흡기 유동과 배기 유동이 발생하는 흡/배기 이중관(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기 유동은 로봇청소기(120)의 제1먼지통(143)에서 빠져 나가는 공기 흐름이고, 배기 유동은 로봇청소기(120)의 제1먼지통(143)으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이다. 도킹 시 로봇청소기(120)의 제1먼지통(143)은 연통부(145)를 통하여 메인터넌스 스테이션(160)의 흡/배기 이중관(200)과 결합할 수 있다.
흡/배기 이중관(200)은 동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배기 이중관(200)의 중심부에는 배기관(293)이 형성되고, 배기관(293)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흡기관(29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흡/배기 이중관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배기 이중관은 흡기관과 배기관이 앞뒤 또는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터넌스 스테이션(160)의 먼지제거장치(190)는 펌프유닛(191)과 펌프유닛(191)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고 흡/배기 이중관(200)의 흡기관(292)과 연결되는 흡입덕트(192), 펌프유닛(191)의 배출 방향에 마련되고 흡/배기 이중관(200)의 배기관(293)과 연결되는 배기덕트(193) 그리고 제2먼지통(19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20)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160)에 도킹되는 경우 펌프유닛(19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덕트(193)를 통하여 흡/배기 이중관(200)의 배기관(293)으로 유입된 후 로봇청소기(120)의 제1먼지통(14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제1먼지통(14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먼지통(143)에 저장된 먼지와 함께 흡/배기 이중관(200)의 흡기관(292)으로 흡입된 후 흡입덕트(192)를 통과할 수 있다. 흡입덕트(192)를 통과하는 먼지는 제2먼지통(194)에 저장되고, 공기는 다시 펌프유닛(191)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처럼 펌프유닛(19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덕트(193), 흡/배기 이중관(200)의 배기관(293), 로봇청소기(120)의 제1먼지통(143), 흡/배기 이중관(200)의 흡기관(292), 흡입덕트(192), 메인터넌스 스테이션(160)의 제2먼지통(19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펌프유닛(191)으로 다시 흡입될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시스템(300)은 로봇청소기(320)의 제1먼지통(343)에 저장된 먼지를 메인터넌스 스테이션(360)의 제2먼지통(394)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로봇청소기(320)의 제1먼지통(343)은 제1개구부(321a)와 연통하는 유입구(343')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360)과 직접 연통될 수 있는 연통부(3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터넌스 스테이션(360)의 먼지제거장치(390)는 펌프유닛(391)과, 펌프유닛(391)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392)와, 펌프유닛(391)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배기덕트(39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320)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360)에 도킹되는 경우 로봇청소기(320)의 제1개구부(321a)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360)의 흡입덕트(392)와 연결되고, 로봇청소기(320)의 제1먼지통(343)의 연통부(345)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360)의 배기덕트(393)와 연결될 수 있다.
펌프유닛(391)에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덕트(393)를 통하여 로봇청소기(320)의 제1먼지통(343)으로 유입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320)의 제1먼지통(343)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먼지통(343)에 저장된 먼지와 함께 제1먼지통(343)의 유입구(343') 및 로봇청소기(320)의 제1개구부(321a)를 통과하여 흡입덕트(392)로 이동할 수 있다. 흡입덕트(392)로 이동되는 먼지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360)의 제2먼지통(394)에 저장되고, 공기는 다시 펌프유닛(391)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처럼 펌프유닛(39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덕트(393)와 제1먼지통(343)의 연통부(345), 로봇청소기(320)의 제1먼지통(343), 제1먼지통(343)의 유입구(343'), 로봇청소기(320)의 제1개구부(321a), 흡입덕트(392), 메인터넌스 스테이션(360)의 제2먼지통(394)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다시 펌프유닛(391)으로 흡입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시스템(400)은 로봇청소기(420)의 제1먼지통(443)에 저장된 먼지를 메인터넌스 스테이션(460)의 제2먼지통(494)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로봇청소기(420)가 메인터넌스 스테이션(460)에 도킹되는 경우 로봇청소기(420)의 제1개구부(421a)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460)의 배기덕트(493)와 연결되고, 로봇청소기(420)의 제1먼지통(443)의 연통부(445)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460)의 흡입덕트(492)와 연결될 수 있다.
펌프유닛(491)에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덕트(493)를 통하여 로봇청소기(420)의 제1개구부(421a) 및 제1먼지통(443)의 유입구(443')를 통하여 로봇청소기(420)의 제1먼지통(443)으로 유입될 수 있다. 로봇청소기(420)의 제1먼지통(443)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먼지통(443)에 저장된 먼지와 함께 제1먼지통(443)의 연통부(443')를 통과하여 흡입덕트(492)로 이동할 수 있다. 흡입덕트(492)로 이동되는 먼지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460)의 제2먼지통(494)에 저장되고, 공기는 다시 펌프유닛(491)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처럼 펌프유닛(49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덕트(493)와 로봇청소기(420)의 제1개구부(421a), 제1먼지통(443)의 유입구(443'), 로봇청소기(420)의 제1먼지통(443), 제1먼지통(443)의 연통부(443'), 흡입덕트(492), 메인터넌스 스테이션(460)의 제2먼지통(494)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다시 펌프유닛(491)으로 흡입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덕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킹 시 제2개구부에서의 배기유동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킹 시 제2개구부에서의 흡입유동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트어셈블리를 나타낸 상부 사시도이고,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트어셈블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시스템(510)은 기본적인 구조가 앞에서 설명한 청소시스템(10)과 같으므로 이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되도록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메인터넌스 스테이션(560)은 하우징(561)과 도킹유도장치(570), 충전장치(580), 먼지제거장치(59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561)에는 플랫폼(562)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랫폼(562)에는 제2개구부(562a)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랫폼(562)의 제2개구부(562a)는 로봇청소기(520)의 제1개구부(521a)와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로봇청소기(520)의 제1개구부(521a)로 배출되는 먼지는 플랫폼(562)의 제2개구부(562a)로 유입되고, 이후 메인터넌스 스테이션(560)의 제2먼지통(594)에 저장된다. 여기서, 플랫폼(562)의 제2개구부(562a)는 로봇청소기(520)의 제1개구부(521a)보다 크게 형성된다.
하우징(561)에는 먼지제거장치(590)가 설치될 수 있다. 먼지제거장치(590)는 로봇청소기(520)의 제1먼지통(543)에 저장된 먼지를 메인터넌스 스테이션(560)의 제2먼지통(594)으로 비워 줌으로써 로봇청소기(520)의 청소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먼지제거장치(590)는 펌프유닛(591)과 흡입덕트(592), 제1배기덕트(593a), 제2배기덕트(593b), 포트어셈블리(600), 제2먼지통(594), 흡/배기 이중관(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지제거장치(590)는 제1배기덕트(593a)와 제2배기덕트(593b)에서 배기되는 유동이 다시 흡입덕트(592)로 흡입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환류를 이용하여 로봇청소기(520)의 제1먼지통(543)에 저장된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펌프유닛(591)의 공기 흡입 방향에는 흡입덕트(592)가 설치될 수 있고, 펌프유닛(591)의 공기 배출 방향에는 제1배기덕트(593a)와 제2배기덕트(593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개구부(562a)에는 흡입덕트(592)와 제1배기덕트(593a), 제2배기덕트(593b)와 연통되는 포트어셈블리(60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포트어셈블리(600)는 흡입포트 형성부(610)와 제1배기포트 형성부(621), 제2배기포트 형성부(622), 제3배기포트 형성부(623), 제4배기포트 형성부(624), 브러시 청소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입포트 형성부(610)는 흡입덕트(592)를 분기시켜 제1흡입포트(592a)와 제2흡입포트(592b)가 형성되도록 한다. 흡입포트 형성부(610)의 저면에는 제1이격부(610a, 610b)가 형성된다. 제1이격부(610a, 610b)는 흡입포트 형성부(610)가 하우징(561)의 바닥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제1흡입포트(592a)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먼지는 흡입포트 형성부(610)의 상면을 따라서 흡입덕트(592) 측으로 유동하고, 제2흡입포트(592b)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먼지는 흡입포트 형성부(610)의 저면을 따라서 흡입덕트(592) 측으로 유동한다. 이후 먼지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560)의 제2먼지통(594)에 저장된다.
제1배기포트 형성부(621)와 제2배기포트 형성부(622)는 제1배기덕트(593a)를 분기시켜 제1배기포트(593a')와 제2배기포트(593a")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제3배기포트 형성부(623)와 제4배기포트 형성부(624)는 제2배기덕트(593b)를 분기시켜 제3배기포트(593b')와 제4배기포트(593b")가 형성되도록 한다.
제1배기포트(593a')와 제3배기포트(593b')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로봇청소기(520)의 큰 먼지통(543a)으로 이동하고, 제2배기포트(593a")와 제4배기포트(593b")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작은 먼지통(543b)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배기포트(593a')와 제3배기포트(593b')는 큰 먼지통(543a)과 직접 마주하고 있으므로 제1배기포트(593a')와 제3배기포트(593a")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빠른 유속을 가지고 브러시(541b)들을 통과하면서 큰 먼지통(543a)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배기포트(593a")와 제4배기포트(593b")는 작은 먼지통(543b)과 직접 마주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2배기포트(593a")와 제4배기포트(593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브러시유닛(541)을 감싸는 브러시드럼부(540a)에 가이드되어 작은 먼지통(543b)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도 18에서 브러시유닛(54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배기포트(593a")와 제4배기포트(593b")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작은 먼지통(543b)으로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배기포트(593a')와 제3배기포트(593b')는 제2개구부(562a)의 길이 방향(또는 좌우방향)에 대해 양 단부 즉, 사이드 영역에 마련되고, 제2배기포트(593a")와 제4배기포트(593b")도 제2개구부(562a)의 길이 방향에 대해 양 단부 즉, 사이드 영역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배기포트(593a')와 제2배기포트(593a")는 제2개구부(562a)의 폭 방향(또는 전후 방향)에 대해 양 단부 즉, 사이드 영역에 각각 마련되고, 제3배기포트(593b')와 제4배기포트(593b")도 폭 방향에 대해 양 단부 즉, 사이드 영역에 각각 마련된다. 결국 제1배기포트(593a') 내지 제4배기포트(593b")는 제2개구부(562a)의 각 꼭지영역에 각각 마련된다.
한편, 제2배기포트 형성부(622)와 제4배기포트 형성부(624) 측벽에는 제2이격부(622a, 624a)가 형성된다. 제2이격부(622a, 624a)는 포트어셈블리(600)가 제2개구부(562a)의 어느 일 측으로 치우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결국 제2흡입포트(592b)는 제1흡입포트(592a)와 제1배기포트(593a'), 제2배기포트(593a"), 제3배기포트(593b'), 제4배기포트(593b")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흡입포트(592a)와 제1배기포트 내지 제4배기포트(593a', 593a", 593b', 593b")가 차지하는 면적은 로봇청소기(520)의 제1개구부(521a)의 면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흡입포트(592b)는 로봇청소기(520)의 제1개구부(521a)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로봇청소기(520)의 제1개구부(521a)의 바깥쪽으로 비산되는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제2흡입포트(592b)에는 복수 개의 통공(640a)이 형성되는 커버(6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청소기(520)의 제1개구부(521a)의 바깥쪽으로 비산되는 먼지는 복수 개의 통공(640a)을 통하여 제2흡입포트(592b)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640)는 평상 시 제2흡입포트(592a)로 입자가 큰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브러시 청소부재(630)는 흡입포트 형성부(610)에 브러시유닛(541)의 브러시(541b)와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브러시 청소부재(630)는 흡입포트 형성부(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 설치된다. 복수 개의 브러시 청소부재(630)는 흡입포트 형성부(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설치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복수 개의 브러시 청소부재(630)는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브러시 청소부재(630)는 가이드부(631)와 후크부(6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631)는 브러시유닛(541)의 회전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후크부(632)는 가이드부(631)의 단부 측벽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브러시유닛(541)이 회전함에 따라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브러시(541b)는 가이드부(631)와 접촉하면서 가이드부(631)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브러시(541b)에 감겨진 머리카락 등 이물질은 후크부(632)에 걸려서 브러시(541b)에서 이탈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복수 개의 후크부(632)가 가이드부(6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부(631)의 측벽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포트 형성부(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631)는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흡/배기 이중관(200)은 플랫폼(562)에 복수 개 마련된다. 복수 개의 흡/배기 이중관(200)은 로봇청소기(520)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적외선 센서(552)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흡/배기 이중관(2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흡/배기 이중관(200)은 흡기 유동과 배기 유동을 발생시키는데, 흡기 유동은 흡입덕트(592)와 연통되는 흡기관(292)을 통하여 공기가 하우징(56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이고, 배기 유동은 제1배기덕트(593a) 또는 제2배기덕트(593b)와 연통되는 배기관(293)을 통하여 공기가 하우징(561) 밖으로 빠져나가는 공기 흐름이다.
로봇청소기(520)의 적외선 센서(552)는 흡/배기 이중관(200)을 통하여 깨끗하게 청소될 수 있다. 흡/배기 이중관(200)의 배기관(293)을 통하여 로봇청소기(520)의 적외선 센서(552)에 공기를 불어주고, 이후 흡기관(292)을 통하여 적외선 센서(552)에서 제거되는 먼지를 다시 빨아들인다. 흡기관(292)으로 유입되는 먼지는 흡입덕트(592)를 통하여 메인터넌스 스테이션(560)의 제2먼지통(594)에 저장된다.
결국 적외선 센서(552)에 묻어 있는 먼지는 제거되어 센서 성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적외선 센서(552)에서 제거된 먼지는 비산하지 않고 다시 흡입되므로 메인터넌스 스테이션(560) 주변이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다.
10: 청소시스템 20: 로봇청소기
21a: 제1개구부 43: 제1먼지통
44: 먼지감지유닛 60: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62: 제2개구부 90: 먼지제거장치
91: 펌프유닛 92: 흡입덕트
93: 배기덕트 94: 제2먼지통

Claims (74)

  1. 개구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과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마련되어 상기 먼지통으로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는 브러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는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때에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통하여 안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부유된 후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사이드 영역을 통하여 상기 먼지통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먼지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본체의 개구부의 중앙 영역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유닛은 먼지가 밖으로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먼지 배출 시 상기 브러시유닛의 롤러는 적어도 한 번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5. 제3항에 있어서,
    먼지 배출 시 상기 브러시유닛의 롤러는 초기에 가벼운 먼지가 배출되는 시간 동안 천천히 회전하고, 이후에 빠르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측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유동과 상기 본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만들어내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개구부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청소기.
  7. 로봇청소기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 시에, 브러시유닛이 설치되는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부유되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다시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으로 불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와 연통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로 배출되어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10. 제9항에 있어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11. 제9항에 있어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대부분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 단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먼지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유닛이 배출는 공기는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 상기 흡입덕트,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먼지통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펌프유닛으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는 제1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기덕트의 제1배기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중 큰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제1배기덕트의 제2배기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중 작은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덕트의 상기 제1배기포트와 제2배기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의 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17.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는 제2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배기덕트의 제3배기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중 큰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제2배기덕트의 제4배기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중 작은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기덕트의 제3배기포트와 제4배기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의 단부 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의 센서로 공기를 불어주고 다시 흡입하는 흡/배기 이중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20. 제19항에 있어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흡/배기 이중관의 흡기관과 연통되고,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흡/배기 이중관의 배기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21. 제9항에 있어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를 분기시켜 제1흡입포트와 제2흡입포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포트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어셈블리는 상기 제1흡입포트와 제2흡입포트를 형성하는 흡입포트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포트는 상기 제1흡입포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흡입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흡입포트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포트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26. 제9항에 있어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제1배기덕트와 제2배기덕트;와
    상기 제1배기덕트를 분기시켜 제1배기포트와 제2배기포트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배기덕트를 분기시켜 제3배기포트와 제4배기포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포트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어셈블리는 상기 제1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1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2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2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3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3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4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4배기포트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 덕트;와 상기 흡입 덕트를 분기시켜 제1흡입포트와 제2흡입포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포트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흡입포트는 상기 제1배기포트와 제2배기포트, 제3배기포트, 제4배기포트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29. 제21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어셈블리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브러시유닛을 청소하는 복수 개의 브러시 청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브러시 청소부재 각각은,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측벽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31. 제21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어셈블리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32. 제21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어셈블리는 그 하측에 마련되는 제1이격부;와, 그 양측 각각에 마련되는 제2이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3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개구부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34. 제33항에 있어서,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35. 제1개구부와, 상기 제1개구부와 연통되는 제1먼지통을 가지는 로봇청소기;와
    제2개구부와, 상기 제2개구부와 연통되는 제2먼지통을 가지는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에 저장된 먼지는 상기 로봇청소기에서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배출하는 때에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부유된 후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메인터넌스의 제2개구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에서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로 공기를 불어 넣는 먼지제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로 들어 가는 공기가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을 순환한 후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로 빠져 나오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 사이드 영역에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대부분 영역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제1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배기덕트의 제1배기포트는 상기 제1먼지통의 큰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제1배기덕트의 제2배기포트는 상기 제1먼지통의 작은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제2배기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배기덕트의 제3배기포트는 상기 제1먼지통의 큰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고, 상기 제2배기덕트의 제4배기포트는 상기 제1먼지통의 작은 먼지통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개구부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제1배기덕트와 제2배기덕트;와
    상기 흡입덕트를 분기시켜 제1흡입포트와 제2흡입포트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1배기덕트와 분기시켜 제1배기포트와 제2배기포트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배기덕트를 분기시켜 제3배기포트와 제4배기포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포트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어셈블리는 상기 제1흡입포트와 제2흡입포트를 형성하는 흡입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1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1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2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2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3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3배기포트 형성부;와, 상기 제4배기포트를 형성하는 제4배기포트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포트는 상기 제1흡입포트와 제1배기포트, 제2배기포트, 제3배기포트, 제4배기포트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46.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제거장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의 흡입 방향에 마련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펌프유닛의 배기 방향에 마련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대부분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그 사이드 영역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의 단면적은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의 단면적과 배기덕트의 배기포트의 단면적의 비율은 7.5 : 1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의 흡입포트와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포트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제2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5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은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제2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5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은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제2개구부의 중앙 부분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5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개구부에 마련되는 브러시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유닛은 상기 로봇청소기의 제1먼지통에 저장된 먼지가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제2개구부로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협조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53. 제52항에 있어서,
    먼지 배출 시 상기 브러시유닛의 롤러는 적어도 한 번 회전 방향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54. 제52항에 있어서,
    먼지 배출 시 상기 브러시유닛의 롤러는 초기에 가벼운 먼지가 배출되는 시간 동안 천천히 회전하고, 이후에 빠르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은 상기 브러시유닛을 청소하는 브러시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청소부재는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의 제2개구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청소부재는 상기 브러시유닛의 회전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측벽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5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제1먼지통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감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감지유닛은 상기 제1먼지통 이외의 부분에 설치되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와, 상기 제1먼지통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센서에서 나오는 신호를 상기 수광센서로 반사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5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제1먼지통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감지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먼지감지유닛이 상기 제1먼지통에 먼지가 일정량 이상 채워진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시스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KR20100108235A 2010-07-15 2010-11-02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KR101483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73747.4A EP2407075B1 (en) 2010-07-15 2011-07-13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station
US13/067,986 US8756751B2 (en) 2010-07-15 2011-07-13 Robot cleaner, maintenanc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EP11173746.6A EP2407074B1 (en) 2010-07-15 2011-07-13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station
DE202011110010U DE202011110010U1 (de) 2010-07-15 2011-07-14 Reinigungsroboter, Wartungsstation und damit ausgerüstetes Reinigungssystem
EP11173894.4A EP2407077B1 (en) 2010-07-15 2011-07-14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station
EP21177436.9A EP3901944A1 (en) 2010-07-15 2011-07-14 Robot cleaner, maintenanc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EP11173893.6A EP2407076B1 (en) 2010-07-15 2011-07-14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station
EP12005268.3A EP2517610B1 (en) 2010-07-15 2011-07-14 Robot cleaner, maintenanc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CN201110210157.3A CN102334945B (zh) 2010-07-15 2011-07-15 维护站
CN201110210121.5A CN102342805B (zh) 2010-07-15 2011-07-15 机器人吸尘器
CN201110210112.6A CN102334943B (zh) 2010-07-15 2011-07-15 机器人吸尘器及具有该机器人吸尘器的清洁系统
US13/183,723 US9186030B2 (en) 2010-07-15 2011-07-15 Robot cleaner, maintenanc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CN201610647435.4A CN106264335A (zh) 2010-07-15 2011-07-15 机器人吸尘器
US13/183,529 US9027199B2 (en) 2010-07-15 2011-07-15 Robot cleaner, maintenanc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 same
ATGM282/2012U AT12830U3 (de) 2010-07-15 2012-07-06 Roboterreiniger und Wartungsstation
US14/885,357 US10028631B2 (en) 2010-07-15 2015-10-16 Robot cleaner having dust sensing unit
US16/018,836 US20180296051A1 (en) 2010-07-15 2018-06-26 Robot cleaner having dust sens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670 2010-07-15
KR20100068670 2010-07-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193A Division KR101648880B1 (ko) 2010-07-15 2014-08-27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943A KR20120007943A (ko) 2012-01-25
KR101483541B1 true KR101483541B1 (ko) 2015-01-19

Family

ID=4561312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08235A KR101483541B1 (ko) 2010-07-15 2010-11-02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KR1020140112193A KR101648880B1 (ko) 2010-07-15 2014-08-27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KR1020160094501A KR101680884B1 (ko) 2010-07-15 2016-07-26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KR1020160156757A KR20160137494A (ko) 2010-07-15 2016-11-23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193A KR101648880B1 (ko) 2010-07-15 2014-08-27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KR1020160094501A KR101680884B1 (ko) 2010-07-15 2016-07-26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KR1020160156757A KR20160137494A (ko) 2010-07-15 2016-11-23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8756751B2 (ko)
EP (6) EP2407074B1 (ko)
KR (4) KR101483541B1 (ko)
CN (4) CN102334945B (ko)
AT (1) AT12830U3 (ko)
DE (1) DE202011110010U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385A (ko) * 2018-05-16 201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충전 데크
KR20210110427A (ko) 2020-02-28 2021-09-08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탑재 가능 도킹스테이션 및 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US11963647B2 (en) 2019-12-03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llution source determination robot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5362B2 (en) 2008-03-17 2016-03-29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agitator cleaner with power control
US9820626B2 (en) 2008-03-17 2017-11-21 Aktiebolaget Electrolux Actuator mechanism for a brushroll cleaner
CN103637746B (zh) 2008-03-17 2016-06-08 伊莱克斯家用产品有限公司 具有清洁部件的搅拌器
US10117553B2 (en) 2008-03-17 2018-11-06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nozzle for a vacuum cleaner
US9192272B2 (en) * 2011-08-01 2015-11-24 Life Labo Corp. Robot cleaner and dust discharge station
EP2770892B1 (en) 2011-10-26 2015-09-23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nozzle for a vacuum cleaner
CN104080384B (zh) * 2012-02-02 2016-10-12 伊莱克斯公司 用于真空吸尘器吸嘴的清洁装置
KR101878142B1 (ko) * 2012-03-21 2018-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침구용 청소기
JP6202544B2 (ja) 2012-08-27 2017-09-27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ラックス ロボット位置決めシステム
CN103844996B (zh) * 2012-12-05 2017-02-15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清洁系统和吸灰装置
KR101428877B1 (ko) * 2012-12-05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N103006153A (zh) * 2012-12-14 2013-04-03 向桂南 智能擦地机
CN104703526B (zh) 2012-12-21 2018-01-30 伊莱克斯公司 用于真空吸尘器的可旋转构件的清洁设备、吸尘器吸嘴、真空吸尘器以及清洁单元
US9903130B2 (en) * 2012-12-22 2018-02-27 Maytronics Ltd. Autonomous pool cleaning robot with an external docking station
US10703589B2 (en) * 2012-12-22 2020-07-07 Maytronics Ltd. Dry docking station
JP6047406B2 (ja) * 2013-01-09 2016-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および自走式掃除装置
US9072416B2 (en) 2013-03-15 2015-07-07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agitator cleaner with brushroll lifting mechanism
US10448794B2 (en) 2013-04-15 2019-10-22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vacuum cleaner
CN105101855A (zh) 2013-04-15 2015-11-25 伊莱克斯公司 具有伸出的侧刷的机器人真空吸尘器
WO2014177216A1 (en) * 2013-05-02 2014-11-06 Aktiebolaget Electrolux Cleaning nozzle for a vacuum cleaner
KR101437778B1 (ko) * 2013-05-06 2014-09-11 (주)마미로봇 도킹스테이션의 유도신호발신기
DE102014112313A1 (de) * 2013-08-30 2015-03-05 Wessel-Werk Gmbh Selbstfahrendes Saugreinigungsgerät
PL3076843T3 (pl) 2013-12-06 2018-03-30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amojezdne i samokierujące urządzenie do czyszczenia podłoża i system czyszczący
US10149589B2 (en) 2013-12-19 2018-12-11 Aktiebolaget Electrolux Sensing climb of obstacle of a robotic cleaning device
WO2015090397A1 (en) 2013-12-19 2015-06-25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US9946263B2 (en) 2013-12-19 2018-04-17 Aktiebolaget Electrolux Prioritizing cleaning areas
KR102124235B1 (ko) 2013-12-19 2020-06-24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주변 기록 기능을 갖는 로봇 청소 디바이스
KR102137857B1 (ko) 2013-12-19 2020-07-24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로봇 청소 장치 및 랜드마크 인식 방법
US10045675B2 (en) 2013-12-19 2018-08-14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vacuum cleaner with side brush moving in spiral pattern
US10433697B2 (en) 2013-12-19 2019-10-08 Aktiebolaget Electrolux Adaptive speed control of rotating side brush
EP3082539B1 (en) 2013-12-20 2019-02-20 Aktiebolaget Electrolux Dust container
CN104739324A (zh) * 2013-12-26 2015-07-01 戴洪平 自动拖地机
DE102014100358B4 (de) 2014-01-14 2023-01-05 Miele & Cie. Kg Selbstfahrendes Reinigungsgerät
DE102014108217A1 (de) 2014-06-12 2015-12-17 Miele & Cie. Kg Reinigungssystem
JP6167316B2 (ja) * 2014-06-30 2017-07-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自律走行型掃除機
JP6335050B2 (ja) * 2014-07-04 2018-05-3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EP3167341B1 (en) 2014-07-10 2018-05-09 Aktiebolaget Electrolux Method for detecting a measurement error in a robotic cleaning device
DE102014110025A1 (de) * 2014-07-17 2016-01-21 Miele & Cie. Kg Saugroboter mit rotierender Borstwalze und Reinigungsverfahren für eine Borstwalze eines Saugroboters
JP6522905B2 (ja) * 2014-08-20 2019-05-2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10499778B2 (en) 2014-09-08 2019-12-10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vacuum cleaner
EP3190938A1 (en) 2014-09-08 2017-07-19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vacuum cleaner
CN105640440B (zh) * 2014-11-10 2018-01-3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扫地机器人
US10877484B2 (en) 2014-12-10 2020-12-29 Aktiebolaget Electrolux Using laser sensor for floor type detection
US9788698B2 (en) * 2014-12-10 2017-10-17 Irobot Corporation Debris evacuation for cleaning robots
WO2016091320A1 (en) 2014-12-12 2016-06-16 Aktiebolaget Electrolux Side brush and robotic cleaner
CN107003669B (zh) 2014-12-16 2023-01-31 伊莱克斯公司 用于机器人清洁设备的基于经验的路标
JP6532530B2 (ja) 2014-12-16 2019-06-19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掃除機の掃除方法
DE102014119191A1 (de)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DE102014119192A1 (de) * 2014-12-19 2016-06-2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EP3795048A1 (en) * 2014-12-24 2021-03-24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JP6552856B2 (ja) * 2015-03-26 2019-07-3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掃除装置
JP6489893B2 (ja) * 2015-03-27 2019-03-2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6743828B2 (ja) 2015-04-17 2020-08-19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掃除機およびロボット掃除機を制御する方法
DE102015108462A1 (de) * 2015-05-28 2016-12-0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taubsauger sowie Basisstation für einen Staubsauger
DE102015108534A1 (de) * 2015-05-29 2016-12-0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Reinigungsgerät mit einer Reinigungswalze
JP6496612B2 (ja) * 2015-06-05 2019-04-03 株式会社マキタ 自走式集塵ロボット
DE102015109775B3 (de) 2015-06-18 2016-09-22 RobArt GmbH Optischer Triangulationssensor zur Entfernungsmessung
US9462920B1 (en) * 2015-06-25 2016-10-11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KR102445064B1 (ko) 2015-09-03 2022-09-19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로봇 청소 장치의 시스템
DE102015114883A1 (de) 2015-09-04 2017-03-09 RobArt GmbH Identifizierung und Lokalisierung einer Basisstation eines autonomen mobilen Roboters
TWI631924B (zh) * 2015-09-14 2018-08-11 東芝生活電器股份有限公司 Electrical sweeping device
US10702108B2 (en) 2015-09-28 2020-07-07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for vacuum cleaner
TWM520874U (zh) * 2015-10-13 2016-05-01 Lumiplus Technology Suzhou Co Ltd 吸塵裝置
EP3364844B1 (en) 2015-10-21 2021-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with dual rotating agitators
US11647881B2 (en) 2015-10-21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apparatus with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DE102015119501A1 (de) 2015-11-11 2017-05-11 RobArt GmbH Unterteilung von Karten für die Roboternavigation
DE102015119865B4 (de) 2015-11-17 2023-12-21 RobArt GmbH Robotergestützte Bearbeitung einer Oberfläche mittels eines Roboters
DE102015121666B3 (de) 2015-12-11 2017-05-24 RobArt GmbH Fernsteuerung eines mobilen, autonomen Roboters
NL2015967B1 (nl) * 2015-12-16 2017-06-30 Viku B V Combinatie van een autonome reinigingsinrichting en een afvalbak.
CN105496308B (zh) * 2016-01-20 2019-02-15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切毛装置、用于吸尘器的充电座和吸尘器
CA2971174A1 (en) 2016-01-20 2017-07-20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Charging stand for vacuum cleaner
CA2971179A1 (en) * 2016-01-20 2017-07-20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Charging stand for vacuum cleaner
DE102016102644A1 (de) 2016-02-15 2017-08-17 RobArt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tonomen mobilen Roboters
JP7035300B2 (ja) 2016-03-15 2022-03-15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清掃デバイス、ロボット清掃デバイスにおける、断崖検出を遂行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DE102016105171A1 (de) * 2016-03-21 2017-09-21 Miele & Cie. Kg Verfahren zum Fahrbetrieb eines selbstfahrenden Bodenreinigungsgeräts
WO2017194102A1 (en) 2016-05-11 2017-11-16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US10575696B2 (en) * 2016-07-13 2020-03-03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robot auto-docking and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1979760B1 (ko) * 2016-07-14 2019-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FR3055789B1 (fr) * 2016-09-13 2018-09-07 Seb S.A. Dispositif de nettoyage d’une brosse rotative de robot d’aspiration et procede correspondant
DE102016124684A1 (de) * 2016-12-16 2018-06-2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erviceein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WO2018107465A1 (zh) * 2016-12-16 2018-06-21 云鲸智能科技(东莞)有限公司 基站和清洁机器人系统
WO2018114209A2 (de) * 2016-12-21 2018-06-28 Service-Konzepte MM AG Autonomes haushaltsgerät und sitz- oder liegemöbel hierzu sowie haushaltsgerät
US11794141B2 (en) * 2021-01-25 2023-10-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use home station
KR101897730B1 (ko) * 2016-12-30 2018-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충전 스테이션
JP6852456B2 (ja) * 2017-02-23 2021-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スタンド及び電気掃除機システム
EP3974934A1 (de) 2017-03-02 2022-03-30 Robart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tonomen, mobilen roboters
US10675982B2 (en) * 2017-03-27 2020-06-0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charging with improved efficiency
CA3061022C (en) * 2017-04-20 2022-01-11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apparatus with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US11202542B2 (en) 2017-05-25 2021-12-21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with dual cleaning rollers
WO2018219473A1 (en) 2017-06-02 2018-12-06 Aktiebolaget Electrolux Method of detecting a difference in level of a surface in front of a robotic cleaning device
JP6910864B2 (ja) * 2017-06-22 2021-07-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JP6933924B2 (ja) * 2017-06-23 2021-09-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US10918252B2 (en) * 2017-07-27 2021-02-16 Neato Robotics, Inc. Dirt detection layer and laser backscatter dirt detection
DE102017119590A1 (de) * 2017-08-25 2019-02-2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odenbearbeitungsgerät mit einem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n Bodenbearbeitungselement
US10383499B2 (en) * 2017-08-31 2019-08-20 Irobot Corporation Wet robot docking station
US10921250B2 (en) 2017-09-05 2021-02-16 Baker Engineering & Risk Consultants, Inc. Dust accumulation monitor
USD867987S1 (en) * 2017-09-15 2019-11-26 Beijing Rockrobo Technology Co., Ltd. Base station
CN208973678U (zh) 2017-09-19 2019-06-14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防潮垫和智能清洁系统
WO2019063066A1 (en) 2017-09-26 2019-04-04 Aktiebolaget Electrolux CONTROL FOR MOVING A ROBOTIC CLEANING DEVICE
JP7137851B2 (ja) * 2017-10-23 2022-09-15 Groove X株式会社 ロボット用充電ステーション
WO2019104668A1 (zh) * 2017-11-30 2019-06-06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垃圾回收装置及扫地系统
CN107997686A (zh) * 2017-11-30 2018-05-08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垃圾回收装置及扫地系统
US10737395B2 (en) * 2017-12-29 2020-08-11 Irobot Corporation Mobile robot docking systems and methods
US11144066B1 (en) * 2018-01-31 2021-10-12 AI Incorporated Autonomous refuse bag replacement system
US20190314863A1 (en) * 2018-04-16 2019-10-17 Dirk Matthew VandenBergh Beater bar cleaner
CN113197526A (zh) 2018-05-01 2021-08-03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自动清洁系统及用于机器人清洁器的对接站
USD893561S1 (en) 2018-05-04 2020-08-18 Irobot Corporation Debris container
USD908993S1 (en) 2018-05-04 2021-01-26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USD930053S1 (en) 2018-05-04 2021-09-07 Irobot Corporation Debris container
USD908992S1 (en) 2018-05-04 2021-01-26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USD924522S1 (en) 2018-05-04 2021-07-06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USD893562S1 (en) 2018-05-04 2020-08-18 Irobot Corporation Debris container
USD890231S1 (en) 2018-05-04 2020-07-14 Irobot Corporation Debris container
US10842334B2 (en) 2018-05-04 2020-11-24 Irobot Corporation Filtering devices for evacuation stations
CN108553047A (zh) * 2018-05-10 2018-09-21 深圳市宇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卸载垃圾的垃圾盒
CN108403022A (zh) * 2018-05-10 2018-08-17 深圳市宇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拖布清洁工作站
CN108378776A (zh) * 2018-05-10 2018-08-10 深圳市宇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可自行清洗的垃圾盒
KR102515485B1 (ko) * 2018-06-14 202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충전 스테이션
TWI668591B (zh) * 2018-06-28 2019-08-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機器人系統
CN111246786B (zh) 2018-07-20 2022-07-29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机器人清洁器杂物移除对接站
CN211933894U (zh) 2018-08-01 2020-11-17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机器人真空清洁器
EP3843599B1 (en) 2018-08-30 2023-06-14 iRobot Corporation Control of evacuation stations
JP7147428B2 (ja) * 2018-09-27 2022-10-05 オムロン株式会社 自律走行型清掃装置
CA3114587C (en) * 2018-10-02 2022-06-21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apparatus illumination system
JP7152837B2 (ja) 2018-10-19 2022-10-13 シャークニンジャ オペレーティング エルエルシー 表面処理装置ための攪拌器及びそれを有する表面処理装置
WO2020117766A1 (en) * 2018-12-03 2020-06-11 Sharkninja Operating Llc Optical indiciu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utonomous devices
CN111317405B (zh) * 2018-12-13 2023-07-07 美智纵横科技有限责任公司 充电站
KR102620360B1 (ko) 2018-12-14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시스템
CN109528100A (zh) * 2018-12-21 2019-03-29 宁波富佳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清洗拖地机器人中擦布的清洗座
CN109480714B (zh) * 2018-12-25 2023-10-03 北京享捷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吸尘充电装置以及吸尘充电方法
CN109394076A (zh) * 2018-12-28 2019-03-01 云鲸智能科技(东莞)有限公司 基站
CN109528111A (zh) * 2018-12-28 2019-03-29 云鲸智能科技(东莞)有限公司 基站
KR102656583B1 (ko) 2019-01-21 2024-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TWD203966S (zh) * 2019-03-18 2020-04-11 大陸商北京小米移動軟件有限公司 掃地機充電座
CN111743459A (zh) * 2019-03-29 2020-10-09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清洁系统、自主机器人和基站
CN109846418A (zh) * 2019-03-30 2019-06-07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系统
EP3725206B1 (de) * 2019-04-18 2023-06-2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inigungssystems, basisstation und filtereinrichtung
CN111973065A (zh) * 2019-05-22 2020-11-24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机器人、机器人系统、尘盒及控制方法
CN110238101A (zh) * 2019-05-27 2019-09-17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储罐检测机器人清洗装置
KR20210000397A (ko) * 2019-06-25 2021-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시스템
AU2020322423B2 (en) * 2019-07-31 2023-09-28 Lg Electronics Inc. Charging stand for moving robot
KR20210015596A (ko) * 2019-07-31 202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충전대
EP3771394B1 (en) * 2019-07-31 2023-09-27 LG Electronics Inc. Mobile robot and method of calculating moving distance of the same
EP3771392B1 (en) 2019-07-31 2023-11-22 LG Electronics Inc.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robot
USD951859S1 (en) * 2019-08-15 2022-05-1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Charging base for robot vacuum cleaner
CN110466918B (zh) * 2019-08-21 2022-08-05 深圳市无限动力发展有限公司 垃圾回收站及清洁系统
DE102019213088B3 (de) * 2019-08-30 2021-02-18 BSH Hausgeräte GmbH Reinigungseinrichtung, Basisstation und Betriebsverfahren einer solchen Reinigungseinrichtung
KR102208334B1 (ko) * 2019-09-05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29583A (ko) * 2019-09-06 202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청소기의 제어 방법
CN110840334B (zh) * 2019-11-05 2021-05-28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器清洁系统及其维护方法
CN110859550A (zh) * 2019-11-07 2020-03-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集尘方法、装置、集尘系统及可读存储介质
DE102019131662A1 (de) * 2019-11-22 2021-05-2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für ein Bodenbearbeitungsgerät, Antriebsrad für ein Bodenbearbeitungsgerät sowie System aus einer Basisstation und einem Bodenbearbeitungsgerät
US11382473B2 (en) * 2019-12-11 2022-07-12 Irobot Corporation Predictive maintenance of mobile cleaning robot
CN110974090B (zh) * 2019-12-24 2021-11-16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排空站及具有此排空站的清洁机器人系统
CN113116227B (zh) * 2019-12-31 2023-12-05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清洁机器人维护方法、清洁机器人、清洁系统及存储介质
CN113303735A (zh) * 2020-02-27 2021-08-27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维护站及扫地机器人
CN113303708A (zh) * 2020-02-27 2021-08-27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维护设备的控制方法、维护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28786A (ko) 2020-04-17 202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
US11889962B2 (en) 2020-04-22 2024-02-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Robotic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for a robotic vacuum cleaner
CN111266954B (zh) * 2020-05-08 2020-09-22 苏州高之仙自动化科技有限公司 工作站和具有其的除尘系统
CN111671362B (zh) * 2020-06-18 2021-11-30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清洁机器人以及清洁机器人系统
CN113827132B (zh) * 2020-06-23 2023-08-01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回收装置和回收方法
CN114052555A (zh) * 2020-07-31 2022-02-1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吸尘器的充电装置及其控制方法、吸尘设备
EP4195990A1 (en) * 2020-08-14 2023-06-21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dock with fluid management
CN216569815U (zh) * 2020-09-02 2022-05-24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用于机器人清洁器的对接站、机器人清洁器以及系统
KR20230058671A (ko) * 2020-09-07 2023-05-03 드림 이노베이션 테크놀로지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지능형 청소 시스템
CN112022007B (zh) * 2020-09-07 2022-10-21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扫地机器人的尘盒清洁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424905A (zh) * 2020-10-29 2022-05-03 深圳市普森斯科技有限公司 多功能服务站、扫地机器人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617684B (zh) * 2020-12-16 2022-11-11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基座及清洁设备
CN112974338B (zh) * 2021-02-01 2022-06-17 深圳市无限动力发展有限公司 扫地机外部清洁装置
CN113017489B (zh) * 2021-02-07 2022-02-15 黄晔 扫地机器人充电桩、扫地机器人及房屋清扫系统
CN112998602B (zh) * 2021-02-22 2022-11-18 上海高仙自动化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滚刷除毛发装置及清洁机器人用工作站
GB2604340B (en) * 2021-02-26 2023-10-11 Dyson Technology Ltd Floor Cleaner Dock
CN112914448A (zh) * 2021-03-15 2021-06-08 深圳市杰深科技有限公司 清洁收纳座和自清洁的清洁机
WO2022211324A1 (ko) * 2021-03-30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집진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CN112956965A (zh) * 2021-03-31 2021-06-15 深圳市银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维护基站和清洁机器人系统
US20220326185A1 (en) * 2021-04-09 2022-10-13 Invensense, Inc. Surface type detection
CN113180548B (zh) * 2021-04-29 2022-08-16 深圳市云视机器人有限公司 清洁系统
BE1029361B1 (de) * 2021-05-03 2022-12-05 Miele & Cie Wagen und Verfahren zum Ein- und Ausbringen von Reinigungsrobotern in und aus einem Wagen
USD1021784S1 (en) * 2021-05-05 2024-04-09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Charging unit
CN113208514B (zh) * 2021-05-31 2024-02-02 深圳市云视机器人有限公司 清洁系统
CN113261881B (zh) * 2021-05-31 2022-08-16 深圳市云视机器人有限公司 自动更换电池方法
CN116869412A (zh) * 2021-08-05 2023-10-13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自清洁系统、自移动设备、工作站及其工作方法
CN113576320A (zh) * 2021-08-10 2021-11-02 苏州日新电器科技有限公司 吸尘器充电底座及吸尘器组件
KR102370649B1 (ko) 2021-08-30 2022-03-07 이에스산업 주식회사 로봇 청소시스템
KR20230040552A (ko) * 2021-09-16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EP4216783B1 (en) * 2021-09-17 2024-01-31 Yunjing Intelligence Innovation (Shenzhen) Co., Ltd. Cleaning robot
USD1016009S1 (en) 2021-11-10 2024-02-27 Husqvarna Charging station
DE102021006683A1 (de) 2021-12-01 2023-06-01 Miele & Cie. Kg Reinigungssystem mit Saugroboter und Reinigungsstation
DE102021131524A1 (de) 2021-12-01 2023-06-01 Miele & Cie. Kg Reinigungssystem mit Saugroboter und Reinigungsstation
CN114305263B (zh) * 2021-12-30 2022-12-16 深圳银星智能集团股份有限公司 清洁基站以及清洁机器系统
CN114343500A (zh) * 2021-12-31 2022-04-15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工作基站
CN114617485A (zh) * 2022-01-11 2022-06-14 北京石头世纪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清洁设备及系统
KR20240019600A (ko) * 2022-08-04 202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도킹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한 청소 시스템
USD1017543S1 (en) * 2022-11-24 2024-03-12 WeHome Technology Company Limited Charging station for robo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060A (ja) * 2000-11-13 2002-05-21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100442388B1 (ko) * 2001-11-28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자동 먼지수거 장치
KR20070074146A (ko) * 2006-01-06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1164A1 (de) * 1984-02-08 1985-08-14 Gerhard 7262 Althengstett Kurz Staubsauger
KR910006887B1 (ko) * 1988-06-15 1991-09-1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전기소제기의 쓰레기 검지장치
JPH0815470B2 (ja) * 1988-07-22 1996-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5182833A (en) * 1989-05-11 1993-0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acuum cleaner
DE4014442A1 (de) * 1990-05-05 1991-11-07 Duepro Ag Vorrichtung zur anzeige des verschmutzungsgrades von luftfiltern in saugreinigungsgeraeten, raumfiltern o. dgl.
KR930003937Y1 (ko) * 1991-08-14 1993-06-25 주식회사 금성사 진공청소기의 오물흡입감지장치
US5613269A (en) * 1992-10-26 1997-03-25 Miwa Science Laboratory Inc. Recirculating type cleaner
US6076226A (en) * 1997-01-27 2000-06-20 Robert J. Schaap Controlled self operated vacuum cleaning system
US5819367A (en) * 1997-02-25 1998-10-13 Yashima Electric Co., Ltd. Vacuum cleaner with optical sensor
KR19990048500A (ko) 1997-12-10 1999-07-05 전주범 진공청소기의 먼지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6446302B1 (en) * 1999-06-14 2002-09-10 Bissell Homecare, Inc. Extraction cleaning machine with cleaning control
GB9917922D0 (en) * 1999-07-31 1999-09-29 Notetry Ltd Vacuum cleaner
US20050217065A1 (en) * 2001-05-03 2005-10-06 Allen Donavan J Air recirculating surface cleaning device
DE10242257C5 (de) * 2001-09-14 2017-05-1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elbsttätig verfahrbares Bodenstaub-Aufsammelgerät, sowie Kombination eines derartigen Aufsammelgerätes und einer Basisstation
IL145680A0 (en) * 2001-09-26 2002-06-30 Friendly Robotics Ltd Robotic vacuum cleaner
JP2003144363A (ja) 2001-11-09 2003-05-20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3986310B2 (ja) * 2001-12-19 2007-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親子型電気掃除機
JP3641618B2 (ja) * 2002-05-02 2005-04-27 山崎産業株式会社 清掃器具
KR100483548B1 (ko) * 2002-07-26 2005-04-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와 그 시스템 및 제어 방법
DE10231388A1 (de) * 2002-07-08 2004-02-05 Alfred Kärcher Gmbh & Co. Kg Bodenbearbeitungssystem
US20050150519A1 (en) * 2002-07-08 2005-07-14 Alfred Kaercher Gmbh & Co. Kg Method for operating a floor cleaning system, and floor cleaning system for use of the method
US6779220B1 (en) * 2002-11-25 2004-08-24 Caroline Raffa Cylindrical hair brush cleaner
KR100533829B1 (ko) * 2003-07-29 2005-12-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로봇 및 그 시스템
DE10357637A1 (de) 2003-12-10 2005-07-0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elbstfahrendes oder zu verfahrendes Kehrgerät sowie Kombination eines Kehrgeräts mit einer Basisstation
JP2005211493A (ja)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自走式掃除機
US20050183230A1 (en) 2004-01-30 2005-08-25 Funai Electric Co., Ltd. Self-propelling cleaner
JP2005211365A (ja) * 2004-01-30 2005-08-11 Funai Electric Co Ltd 自律走行ロボットクリーナー
CN100361615C (zh) 2004-03-18 2008-01-16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自动吸尘器
DE102004041021B3 (de) 2004-08-17 2005-08-25 Alfred Kärcher Gmbh & Co. Kg Bodenreinigungssystem
KR100565254B1 (ko) 2004-09-13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센서 보호창 청소장치
KR100595571B1 (ko) * 2004-09-13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ES2346343T3 (es) * 2005-02-18 2010-10-14 Irobot Corporation Robot autonomo de limpieza de superficies para una limpieza en seco y en mojado.
CN2843326Y (zh) * 2005-06-22 2006-12-06 王冬雷 机器人吸尘器
KR100738890B1 (ko) * 2005-07-22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을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101223478B1 (ko) * 2005-08-10 201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먼지통 착탈 감지 장치
JP2007097984A (ja) 2005-10-07 2007-04-19 Funai Electric Co Ltd 自走式掃除機
JP4779568B2 (ja) 2005-10-25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報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070074147A (ko) * 2006-01-06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KR20070074145A (ko) * 2006-01-06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KR100761667B1 (ko) 2006-03-06 2007-10-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무배기 로봇 청소기
JP4342526B2 (ja) * 2006-03-14 2009-10-14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EP1836941B1 (en) * 2006-03-14 2014-02-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lectric vacuum cleaner
EP2027806A1 (en) * 2006-04-04 2009-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system having robot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20070101002A (ko) * 2006-04-10 2007-10-16 이바도 위성 방식의 청소로봇 시스템
CN1833594A (zh) 2006-04-10 2006-09-20 东莞市博思电子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吸尘器
US8087117B2 (en) * 2006-05-19 2012-01-03 Irobot Corporation Cleaning robot roller processing
US7441305B2 (en) * 2006-08-04 2008-10-28 Cascio Gregory R Floor cleaner
KR20090018287A (ko) 2007-08-17 2009-02-20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배기환류형 청소로봇
KR101204440B1 (ko) * 2007-02-26 2012-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도킹스테이션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시스템
KR20080087596A (ko) * 2007-03-27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JP5006091B2 (ja) * 2007-03-30 2012-08-22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KR20080092063A (ko) * 2007-04-11 2008-10-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 유닛
US7627927B2 (en) * 2007-06-08 2009-12-08 Tacony Corporation Vacuum cleaner with sensing system
KR100849554B1 (ko) 2007-07-12 2008-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먼지 비움 시스템
WO2009011542A1 (en) * 2007-07-18 2009-01-22 Lg Electronics Inc. Mobile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E102007036170B4 (de) * 2007-08-02 2012-01-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stimmen der Menge von Staubpartikeln, insbesondere in einem Staubsammelroboter, sowie Staubsammelgerät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KR101330734B1 (ko) * 2007-08-24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US20100125968A1 (en) * 2008-11-26 2010-05-27 Howard Ho Automated apparatus and equipped trashcan
KR101103910B1 (ko) 2009-07-24 2012-01-12 주식회사 모뉴엘 로봇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 구조
CN201641878U (zh) 2009-12-31 2010-11-24 燕成祥 具集尘感测装置的自动清洁器
EP2494900B1 (en) * 2011-03-04 2014-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bris detecting unit and robot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060A (ja) * 2000-11-13 2002-05-21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100442388B1 (ko) * 2001-11-28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자동 먼지수거 장치
KR20070074146A (ko) * 2006-01-06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385A (ko) * 2018-05-16 201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충전 데크
KR102071959B1 (ko) * 2018-05-16 2020-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충전 데크
US11963647B2 (en) 2019-12-03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llution source determination robot clea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110427A (ko) 2020-02-28 2021-09-08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탑재 가능 도킹스테이션 및 이를 가지는 로봇청소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13907A1 (en) 2012-01-19
EP2407075A3 (en) 2012-11-14
EP2517610B1 (en) 2021-06-30
KR101648880B1 (ko) 2016-08-17
KR20160091312A (ko) 2016-08-02
EP2407077A3 (en) 2012-11-07
DE202011110010U1 (de) 2012-08-08
EP2407077A2 (en) 2012-01-18
KR20140119674A (ko) 2014-10-10
KR20120007943A (ko) 2012-01-25
CN102342805B (zh) 2017-03-01
AT12830U2 (de) 2012-12-15
EP2407076A2 (en) 2012-01-18
EP2407075B1 (en) 2015-09-09
EP2407074B1 (en) 2017-06-14
EP2407074A2 (en) 2012-01-18
KR101680884B1 (ko) 2016-12-12
EP2407075A2 (en) 2012-01-18
CN102342805A (zh) 2012-02-08
EP3901944A1 (en) 2021-10-27
US9027199B2 (en) 2015-05-12
CN106264335A (zh) 2017-01-04
US10028631B2 (en) 2018-07-24
CN102334943B (zh) 2017-03-01
US9186030B2 (en) 2015-11-17
US20160029865A1 (en) 2016-02-04
US8756751B2 (en) 2014-06-24
EP2407076A3 (en) 2012-11-14
EP2407077B1 (en) 2020-09-02
KR20160137494A (ko) 2016-11-30
US20120011676A1 (en) 2012-01-19
AT12830U3 (de) 2013-05-15
US20180296051A1 (en) 2018-10-18
EP2517610A1 (en) 2012-10-31
US20120011677A1 (en) 2012-01-19
CN102334945B (zh) 2016-03-16
CN102334943A (zh) 2012-02-01
EP2407076B1 (en) 2020-10-21
EP2407074A3 (en) 2012-11-07
CN102334945A (zh)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884B1 (ko) 로봇청소기,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그리고 이들을 가지는 청소시스템
US10244913B2 (en) Debris monitoring
US20220022709A1 (en) Autonomous vacuum
CN102440718B (zh) 机器人清洁器
KR101880089B1 (ko) 로봇 청소기와 그 제어 방법
JP2013052238A (ja) ロボット掃除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30127903A (ko) 메인터넌스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청소시스템
KR102070064B1 (ko) 집진 장치
KR20150096641A (ko) 먼지 유입 감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
SK50562012U1 (sk) Robot na čistenie a údržbu a spôsob samočiste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