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193B1 -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193B1
KR100842193B1 KR1020037007766A KR20037007766A KR100842193B1 KR 100842193 B1 KR100842193 B1 KR 100842193B1 KR 1020037007766 A KR1020037007766 A KR 1020037007766A KR 20037007766 A KR20037007766 A KR 20037007766A KR 100842193 B1 KR100842193 B1 KR 100842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oup
weight
turmeric
lico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059A (ko
Inventor
마에다쯔마사
쯔까가와미스즈
기시다히데유끼
기따노미쯔아끼
기따하라미끼오
나까가와가꾸
Original Assignee
카네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네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네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7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6Ligusticum (licorice-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60Salad dressings; Mayonnaise; Ketch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Abstract

본 발명은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내장지방형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과 같은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MULTIPLE RISK FACTOR SYNDROMES}
본 발명은 내장지방형 비만, 진성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을 포함하는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영양과다 및 운동부족과 같은 생활습관의 악화로부터 발생하는 생활습관(lifestyle) 관련 질병은 오늘날 주요한 사회 문제이다. 생활습관 관련 질병은 비만, 진성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과 같은 다양한 상태의 질병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병태는, 동맥경화증의 기반이 되는 질병일 수 있는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으로서 상당한 주목을 끌고 있다. 또한, 이는 인간에서 뿐만 아니라, 개 및 고양이와 같은 애완 동물들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비만은 크게 피하지방의 축적으로 인한 피하지방형 비만 및 복강 내 지방의 축적으로 인한 내장지방형 비만으로 분류된다.
내장지방형 비만은 높은 비율로 고지혈증, 내당능 (glucose tolerance) 이상 및 고혈압을 수반하며, 강한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특징되어,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으로서 알려졌다. 또한, 내장지방 축적은 비만인 개인에게서 뿐만 아니라 정상 체중 범위 내의 사람들에게서도 관찰되며, 상기 언급된 다중 위험을 수반하기 쉽다 (BIO Clinica, 9 월, 2000 증대호, 16~55). 따라서, 내장지방의 축적은 인슐린 저항성, 진성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등을 촉발시킨다. Matsuzawa 등은 이 질병의 개념에 대해 "내장지방 증후군" 이라는 용어를 만들어내었다 (Diabetes/Metabolism Reviews, 13, 3~13, 1997). G. M. Reaven 에 의해 제안된 "증후군 X" (Diabetes, 37, 1595~1607, 1988), N. M. Kaplan 에 의해 제안된 "죽음의 사중주"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49, 1514~1520, 1989), 및 R. A. DeFronzo 에 의해 제안된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Diabetes Care, 14, 173~194, 1991)은 동일한 질병의 개념을 나타낸다.
비만에 대한 치료법은 일반적으로 식이 요법 및 운동 요법으로 이루어지며, 약물 요법은 심각한 비만의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치료법은 의료기관에 의해 환자에게 권장되거나 처방되는 것이지, 소위 예비의 환자 후보들에 대한 것은 아니다. 또한, 항비만제로서 식욕 억제제, 에너지 원으로서의 탄수화물 및 지방의 소화 및 흡수 저해제, 및 에너지 소비 촉진제가 언급될 수 있다. 그러나, 식욕 억제제 및 소화 흡수 저해제는 적극적으로 내장지방을 저감시키지 않으며, 에너지 소비 촉진제도 특별히 내장지방을 저감시키지는 않는다.
일본 공개공보 Hei-11-187843 호는 지방 흡수 저해 작용을 갖는 차풀 (Cassia nomame) 추출물 및 탄수화물 흡수 저해 작용을 갖는 산뽕나무 (Morus bombycis) 추출물을 조합하여 투여하면 체중 증가의 저해 및 피하지방 및 내장지방에서의 감소가 일어난다는 것을 개시한다. 기타 천연원의 물질과 관련하여, 어유 및 채소유, 예로서 아마인유 및 들깨유 (일본 공개공보 Hei-10-231495 호)와 같 은 고도 불포화 오일, 또는 공액 이성질화된 고도 불포화 지방산 (일본 공개공보 2000-144170 호)으로부터 유도된 물질들이 축적된 내장지방 저감 기능을 갖는다는 것과, 밀에서 유도된 아밀라아제 저해제 (일본 공개공보 Hei-09-194390 호)가 내장지방 축적을 저해하며, D-자일로오스 및/또는 L-아라비노오스 (일본 공개공보 Hei-07-309765 호 및 일본 공개공보 Hei-07-242551 호)가 체지방 (피하지방 및 내장지방)의 축적을 저해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진성 당뇨병은 인슐린 활성의 결핍으로 인한 만성 고혈당을 주요 징후로 하는 질병이며, 90 % 이상의 당뇨병이 II 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성 진성 당뇨병; NIDDM) 이다. 일본의 당뇨병 환자 수는 1993 년에 157 만명에서 1996 년에 218 만명으로 극적으로 증가해 왔다 (후생성의 환자 조사). 또한, 1997 년 11 월에 실시된 후생성의 당뇨병 실태조사에 의하면, 당뇨병으로 강하게 의심되는 사람들 (치료 중인 사람들 포함)의 수는 690 만명으로, 이 수와 당뇨병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사람들의 수를 합하여 1370 만명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 수의 급격한 증가에 더하여, 의료기관에 의해 치료받고 있지 않은 예비 환자들의 수도 상당히 많으며, 이는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다.
진성 당뇨병의 치료법은 식이 요법 및 운동 요법을 포함하며, 이들 치료법에 대한 반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약물 요법이 부가된다. 약물 요법은 인슐린 요법 및 경구 혈당 강하 약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경구 혈당 강하 약물로서, 톨부타미드 및 글리벤클라미드와 같은 술포닐우레아 유도체들; 부포르민 및 메트포르민과 같은 비구아니드 (biguanides); 아카르보스 (acarbose) 및 보글리보스 (voglibose)와 같은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및 트로글리타존 및 피오글리타존과 같은 인슐린 저항성 개선 약물을 언급할 수 있다.
식이 요법에서, 환자는 과식을 삼가하고, 합리적인 칼로리 섭취를 고수하는 것이 권장되며, 비만인 경우, 표준 체중으로 감량하도록 지도된다. 식이 요법에 사용되는 식품으로서, 당뇨병식 제조를 위해 분류된 음식들이 알려져 있으며, 이는 후생성에 의해 인가된 특정 용도의 식품이다. 그러나, 소위 저칼로리, 영양 균형 식품 외에, 당뇨병에 대한 고유의 치료 효능을 갖는 식품을 생각할 수 없다.
또한, 이들 치료법은 의료 기관에 의해 당뇨병 환자들에 대해 처방되는 것이지, 상기 당뇨병 환자의 수를 상당히 초과하는 소위 예비 당뇨병 환자들에 대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보건 기능 식품 (특정 보건 용도 및 영양 기능을 갖는 식품) 또는 건강식품과 같은 음식품 형태 또는 의료기관과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입수할 수 있는 약물 (의약부외품 (quasi-drug) 포함) 형태로서, 진성 당뇨병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유효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가축 또는 애완동물에서의 당뇨병의 발병도 역시 꾸준히 증가되어 왔으며, 가축 또는 애완동물에서의 당뇨병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유효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본 공개 공보 Hei-01-233217 호는 생강과 (Zingiberaceae)인 쿠르쿠마 아로마티카 (Curcuma aromatica) 추출물, 쿠르쿠메논 (curcumenone)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을 개시한다. 일본 특허 Hei-06-192086 호는 쿠르쿠 마 아로마티카 추출물인 (4S, 5S)-(+)-저마크론-4,5-에폭사이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을 개시한다. 쿠르쿠마 아로마티카는 생약으로 알려져 있으나, 식품 첨가물 용도로서는 인가되어 있지 않다.
감초 및 그의 수성 추출물은 진통제/진경제 및 거담작용을 갖는 생약 또는 식품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주성분인 글리시르하이진 (glycyrrhizin) (글리시르하이진산) 은 수크로오스보다 약 200 배 달기 때문에, 물 또는 알칼리 수성 매질로 감초를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는 "감초 추출물" 은 감미제 용도의 식품 첨가물이다 (기존 첨가물명 박수재 품목리스트 주석서, p.163, 일본 식품첨가물협회, 1999). 이제까지 알려진 이의 생리학적 작용으로는 부신피질의 전해질 또는 당질코르티코이드 유사 작용,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 테스토스테론 생산 저해 작용, 진해 작용, 소염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해독 작용, 고지혈증 개선 작용, 위점막세포내 환형-AMP 농도 증가 작용, 실험적 간 손상 예방 또는 개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인터페론 유도 작용, 항우식작용 (anticaries action), 발암 프로모터 저해 작용, 세포내 Ca2+ 저감 작용, 포스포리파제 A2 저해 작용, LTB4 및 PGE2 생산 저해 작용, 및 혈소판 활성인자 생산 저해 작용 등이 있다. 또한, 감초는 당뇨에 의한 강한 구갈, 다음 (polyposia), 및 다뇨에 대한 처방으로, 석고, 지모 (anemarrhena) 및 인삼이 배합되는 전통적인 중국 의약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參湯)의 한 성분으로, 감초의 수성 추출물은 혈당 강하 작용이 있다고 한다 (I. Kimura, 등: Phytotheraphy Research, 13, 484~488, 1999).
물 또는 수성 알칼리 매질을 사용하여 감초로부터 글리시르하이진을 추출한 후 잔류하는 감초 잔여물에는 간 강장제 (간 보호제) 작용 및/또는 항감염 작용 (일본 공개 공보 Hei-09-143085 호), 면역 증강작용 (일본 공개 공보 Hei-05-262658 호), 및 항바이러스 작용 (일본 공개 공보 Hei-01-175942) 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수성 세정한 후의 감초 잔여물을 에탄올, 아세톤, 또는 헥산으로 추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감초 유성 추출물" 은 식품 첨가물로서 산화방지제 용도로서 사용된다 (기존 첨가물명 박수재 품목리스트 주석서, p.164, 일본 식품첨가물협회, 1999). 감초 유성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Helicobacter pylori) 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 공보 Hei-10-130161 호, 일본 공개 공보 Hei-08-119872 호). 그러나, 글리시르하이진 추출 후의 상기 감초 잔여물 또는 감초 유성 추출물이 내장지방 저감 작용, 혈당 강하 작용, 지질 대사 개선 작용, 또는 혈압 상승 저해 작용이 있다는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감초의 과다한 섭취 또는 장기 복용은 고혈압, 부종, 및 저칼륨증 등을 포함하는 위알도스테론증 (pseudoaldosteronism)을 유도하는 것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태는 감초의 주성분인 글리시르하이진에 의해 일어난다. 고혈압은 글리시르하이진의 가수분해물인 글리시르헤틴산 (glycyrrhetinic acid)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도 보고되어 있다 (H. Siguruonsdottir, 등: Journal of Human Hypertension, 15, 549~552, 2001). 따라서, 감초의 친수성 분획을 함유하고, 주로 글리시르하이진으로 구성된 감초 수성 추출물은 고혈압을 유도한다.
열대 아시아를 원산으로 하는 생강과, 쿠르쿠마 (Curcuma) 속으로 분류되는 열대 식물로서, 울금 (Curcuma longa), 쿠르쿠마 아로마티카 (Curcuma aromatica ), 봉술 (Curcuma zedoaria) 및 쿠르쿠마 크산토르하이자 (Curcuma xanthorrhiza)가 알려져 있다. 이들 중, 울금은 일반적으로 "강황 (tumeric)" 이라고 하며, 카레의 향신료 성분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울금의 주성분인 쿠르쿠민은 황색 색소 (천연색)이기 때문에, 울금은 식품으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이 식물 또는 그의 추출물 (쿠르쿠마 색소)은 염료 또는 착색제 (식품 첨가물용)로서도 사용된다. 중국의 한방 (캄포(Kampo): 전통 중국 의학), 인도의 아이우르-베다 (Ayur-Veda), 및 인도네시아의 자무 (Jamu)와 같은 전통적인 치료법 중의 약초로서, 울금은 지혈 작용, 건위 작용, 항균 작용, 소염 작용이 있는 것으로서 오랫동안 알려져 왔으며, 실질적으로 이 식물은 약품으로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강황 (울금) 및 이의 주 성분인 쿠르쿠민의 효능이 주목되고 있으며, 항산화 작용, 담즙분비 촉진작용 (이담작용), 내장 (간장, 췌장) 기능 증강 작용, 발암억제작용, 지질대사 개선작용, 피부 미백작용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작용을 갖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
그러나, 강황 또는 그 추출물이 내장지방 저감 작용, 혈당 강하 작용, 또는 혈압 상승 저해 작용을 갖는다는 것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정향은 도금양과 (Myrtaceae)의 정향 (Syzygium aromaticum) 또는 정향나무 (Eugenia caryophyllata)의 꽃봉오리, 잎 또는 꽃이며, 향신료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의 항균/살균 작용 및 진통/마취 작용으로 인해, 정향은 구취제거제 또는 치통 중단제 (antiodontalgic) 뿐만 아니라 생약 및 약초 (한방의약) 영역에서 건위제로서도 수 세대 동안 사용되어 왔다. 또한, 정향 추출물은 식품 첨가물 용도에서 산화방지제로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정향 또는 그 추출물이 내장지방 저감 작용, 혈당 강하 작용, 지질 대사 개선 작용 또는 혈압 상승 저해 작용을 갖는다는 것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계피 또는 카시아 (cassia)는 녹나무과 (Lauraceae)의 신나모멈 카시아 (Cinnamomum cassia), 육계 (C. zeylanicum), 또는 육계나무 (C. loureirii)의 나무껍질이다. 계피는 항균 및 항산화 작용을 가지며, 향신료의 하나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이의 나무껍질은 의약 용도에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계피 또는 그의 추출물이 내장지방 저감 작용, 혈당 강하 작용, 지질 대사 개선 작용 또는 혈압 상승 저해 작용이 있다는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부작용 또는 다른 안전성 문제의 위험 없이, 내장지방형 비만, 진성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을 포함하는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원인이 내장지방형 비만이라는 가정 하에, 축적된 내장지방을 저감시킴으로써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능한 수단에 대해 진지 하게 탐구하여,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이 각각 축적된 내장지방 저감 작용, 혈당 상승 저해 작용, 혈당 강하 작용, 지질 대사 개선 작용 및 혈압 상승 저해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내장지방형 비만, 진성 당뇨병, 고지혈증, 또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울금)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인간, 가축 또는 애완동물에게 투여 또는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의,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에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이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한다. 이들 추출 물은 식품 아이템이며, 또한 식품 첨가물로서의 용도를 인가받은 것이므로, 부작용 및 기타 안전성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내장지방 저감 작용을 가지며, 그 자체로서,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 즉 내장지방형 비만, 진성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장지방 저감 작용에 부가하여, 이는 혈당 상승 저해 작용, 혈당 강하 작용, 지질 대사 개선 작용, 및 혈압 상승 저해 작용을 갖는다. 바로 위에서 언급된 지질 대사 개선 작용은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저감 작용, 트리글리세라이드 저감 작용, 또는 유리 지방산 저감 작용이다.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 중 진성 당뇨병은, 내당능 이상으로 인한 II 형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성 진성 당뇨병)이다. 또한,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 중의 고지혈증은 지질 대사 이상으로 인해,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유리 지방산의 상승에 의해 특징되는 병태이다.
내장지방 저감 효과는 실험 동물에서, 축적된 복강내 지방, 예로서, 성기 (부고환, 자궁) 주변 지방, 신장 주변 지방, 장간막 지방, 대복강막 지방 등의 중량을 칭량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실험 동물들은 바람직하게는 고지방식으로 사육된 식이성 비만 모델 동물 (M. Rebuffe-Scrive, 등, Metabolism, 42, 1405~1409, 1993) 또는 유전성 비만 모델 동물, 예로서 KK 마우스들, KK-Ay 마우스들, ob/ob 마우스들, db/db 마우스들, 주커 살찐 래트 (Zucker fatty rats), 및 OLETF 래트이다. 내장지방 저감 효과는 실험 동물들 (C. S. Hun 등: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59, 85~90, 1999) 및 인간 (K. Tokunaga, 등: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7, 437~445, 1983)에서 복부 CT 스캔 영상에서 내장지방 부분의 감소로 평가할 수 있으나, 간편하게는 몸통 둘레 치수에서의 감소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내장지방 저감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내장지방형 비만, 진성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을 포함하는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내장지방을 저감시킴으로써, 체지방율이 감소되어 비만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내장지방이 저감됨에 따라, 지방세포로부터 각종 생리활성물질들 (아디포시토카인 (adipocytokines)), 예로서 렙틴 (leptin), TNF-α(종양괴사인자-α), 유리 지방산, 아포단백질 E (apoprotein E), 안지오텐시노겐 (angiotensinogen), PAI-1 (플라스미노겐 (plasminogen) 활성화제 저해제-1) 등의 분비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내장지방이 감소됨에 따라, 인슐린 저항성에 관련된 TNF-α가 감소되고,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개선 및 내당능 손상이 완화되는 결과에 의해 혈당치가 저하되며, 따라서 진성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에 기여한다. 또한, 유리 지방산 및 지질 운반과 관련된 아포단백질 E 가 감소됨에 따라, 지질 이상이 개선되어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고, 이에 따라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기여한다. 혈압 조절에 관여하는 안지오텐시노겐 및 혈전 생성에 관여하는 PAI-1 도 감소되어, 혈압이 떨어져 고혈압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원료인 감초는 콩과 (Leguminosae) 의 감초 (Glycyrrhiza) 속인 유럽 감초 (Glycyrrhiza glabra), 만주 감초 (G. uralensis), 및 창과 감초 (G. inflata) 를 포함한다. 감초는 수 세기에 걸쳐서 섭취되어 온 식품으로, 식품 첨가물 및 생약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감초 소수성 추출물은 감초 또는 그의 분말의 유효 성분을 유기 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다른 제조 방법은 먼저 물 또는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감초의 친수성 성분을 추출하고, 감초 잔여물을 그대로 또는 건조 후에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의약품, 식품, 및 식품 첨가물의 생산 및 가공에의 사용에 인가된 것으로, 아세톤, 에탄올, 글리세롤, 에틸 아세테이트, 디에틸 에테르, 시클로헥산, 부탄올, 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헥산 및 메탄올 등을 포함한다. 식용 오일과 같은 오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의 두 종 이상의 혼합물 및 이러한 임의 용매와 물과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용매를 사용하여 감초의 소수성 분획을 좋은 효율로서 추출하기 위해서는,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감초 소수성 추출물은 감초의 소수성 분획을 추출함으로써 수득된 추출물 또는 추출 용매를 제거한 추출물로서 정의한다. 또한, 의약품 및 식품에 부적당한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라면, 조추출물 또는 반정제 추출물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황 추출물의 원료인 강황은 생강과의 쿠르쿠마 속 다년초인 울금의 뿌리 또는 뿌리줄기이다. 강황은 "강황" 향신료로서 수 세기에 걸쳐서 섭취되어 온 식품이며, 강황을 유기 용매, 예로서 에탄올, 헥산 또는 아세톤으로 추출함으로써 수득가능한 강황 색소는 착색용 식품 첨가물로서의 사용이 인 가되어 왔으며, 안전성이 높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황 추출물은 강황 또는 그의 분말의 유효 성분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의약품, 식품 및 식품 첨가물의 제조 및 가공 용도에 대해 인가된 용매로, 따라서 아세톤, 에탄올, 글리세롤, 에틸 아세테이트, 디에틸 에테르, 시클로헥산, 부탄올, 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헥산, 메탄올 등을 포함한다. 식용 오일과 같은 오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의 두 종 이상의 혼합물 및 임의 이러한 용매와 물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강황 추출물은 상기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추출 용매를 제거한 추출물로서 정의한다. 또한, 의약품 및 식품에 부적당한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라면, 조추출물 또는 반정제 추출물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향 추출물의 원료인 정향은 도금양과 (Myrtaceae)의 정향 (Syzygium aromaticum) 또는 정향나무 (Eugenia caryophyllata)의 꽃봉오리, 잎 또는 꽃이다. 정향은 수 세기에 걸쳐서 향신료로서 섭취되어 온 식품으로, 산화방지제로서 작용하는 식품 첨가물로서의 사용이 인가되어 왔으며, 안전성이 높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향 추출물은 정향 또는 그의 분말의 유효 성분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의약품, 식품, 및 식품 첨가물의 제조 및 가공 용도에 대해 인가된 용매로, 따라서 아세톤, 에탄올, 글리세롤, 에틸 아세테이트, 디에틸 에테르, 시클로헥산, 부탄올, 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헥산, 메탄올 등을 포함한다. 식용 오일과 같은 오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들 중, 두 종 이상을 혼합물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그의 물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정향 추출물은 상기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추출 용매를 제거한 추출물로서 정의한다. 또한, 의약품 및 식품에 부적당한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라면, 조추출물 또는 반정제 추출물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계피 추출물의 원료인 계피는 녹나무과 (Lauraceae) 신나모멈 (Cinnamomum) 속의 신나모멈 카시아 (Cinnamomum cassia), 육계 (C. zeylanicum), 또는 육계나무 (C. loureirii) 이다. 계피는 수 세기에 걸쳐서 향신료로서 섭취되어 온 식품으로, 부작용 및 기타 안전성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계피 추출물은 계피 또는 그의 분말의 유효 성분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의약품, 식품, 및 식품 첨가물의 제조 및 가공 용도에 대해 인가된 용매로, 따라서 아세톤, 에탄올, 글리세롤, 에틸 아세테이트, 디에틸 에테르, 시클로헥산, 부탄올, 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헥산, 메탄올 등을 포함한다. 식용 오일과 같은 오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들 중, 두 종 이상을 혼합물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그의 물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계피 추출물은 상기 추출 방법에 의해 수득된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추출 용매를 제거한 추출물로서 정의한다. 또한, 의약품 및 식품에 부적당한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는 경우라면, 조추출물 또는 반정제 추출물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상기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의 한 종 이상을 함유한다면,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로서 보건기능식품 (특정 보건용식품, 영양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과 같은 음식품, 또는 의약품, 화장품, 의약부외품 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음식품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이는 직접 섭취될 수 있거나, 또는 섭취를 위해 공지의 담체, 보조제 등을 사용하여 캡슐, 정제, 과립 등과 같이 섭취가 용이한 생성물로 성형될 수 있다 (formulated). 이러한 성형된 생성물에서 각 추출물의 양은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중량% 일 수 있다. 또한, 이는 모든 종류의 식품 및 음료, 예로서 츄잉검, 초콜렛, 캔디, 젤리, 비스킷, 크래커 등과 같은 과자류; 아이스크림, 아이스캔디 등과 같은 빙과류; 차, 비알코올성 음료, 영양 음료, 미용 음료 등과 같은 음료; 일본 소맥면, 중화면, 스파게티, 즉석면 등과 같은 면류; 저며서 찐 생선 (가마보코; kamaboko), 어육 소시지 (치쿠와; chikuwa), 저민 살 (한펜; hannpen) 등과 같은 어류 페이스트 식품; 드레싱, 마요네즈, 소스 등과 같은 조미료; 마가린, 버터, 샐러드유 등과 같은 유지류; 제빵류, 햄, 수프, 레토르트 식품, 냉동 식품 등의 원료 내에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의 섭취시, 성인에 대한 일일 섭취 권장량은 추출물 함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g/kg 이다. 이러한 조성물들은 가축 또는 애완동물용 사료 또는 애완동물용 식품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적용에서 일일 섭취 권장량은 추출물 함량을 기준으로 바람직 하게는 0.1 내지 1,000 mg/kg 이다.
의약품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투약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좌약 및 패치 (patches)를 포함한다. 이러한 투약 형태는 제조를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 예로서 부형제, 붕괴제, 활제, 결합제, 산화방지제, 착색제, 응집 저해제, 흡수 촉진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을 적절하게 배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성인용의 이러한 제제의 일일 투약량은 추출물 함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0 mg/kg 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g/kg 이고, 투약은 하루 1 회 또는 하루에 수 회로 나눈 복용량으로 투여된다. 이 조성물은 가축 및 애완동물용 의약품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적용시 일일 투약량은 추출물 함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0 mg/kg 이다.
화장품 또는 의약부외품으로서 사용시, 조성물은 특히, 연고, 리니먼트 (liniments), 에어로졸, 크림, 비누, 세안료, 전신세정료, 화장수, 로션, 및 입욕제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어류, 파충류, 양서류, 조류, 및 포유류를 포함한 모든 동물에게 투여 또는 적용될 수 있다. 바로 위에서 언급된 포유류 동물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인간, 원숭이, 개, 고양이, 소 종류, 말 종류, 돼지 종류, 양, 마우스, 래트, 및 기니피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주 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감초 소수성 추출물
(제조예 1)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제조-1
유리 용기를 사용하여, 500 g 의 감초 분말 (Kaneka Sun Spice Co., Ltd.)을 5 배 부피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때때로 교반하면서, 빛을 차단하여 1주일 동안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이 혼합물을 여과지 (ADVANTEC 2 호)로 2 회 여과하여 분말을 제거하고, 추출 용액을 회수하였다. 추출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이에 따라 33.91 g 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참고예 1)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글리시르하이진 함량
제조예 1 에서 제조된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글리시르하이진 함량을, M. A. Raggi, 등 (Boll. Chim. Farmaceutico., 133, 704~708, 1994)의 방법에 따라 HPLC 로 정량하였다. 분석 컬럼으로서 COSMOSIL 5C18-AR, 4.6 x 250 mm (Nacalai Tesque, Inc.)을 40 ℃ 에서 사용하였다. 아세토니트릴: 증류수: 아세트산 (35:65:0.5, v/v)을 이동상으로서 사용하여, 유속 1 ㎖/분으로 가동시켜 251 nm 에서 피크가 검출되었다. 암모늄 글리시르하이지네이트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식품 첨가물 시험등급)를 표준 글리시르하이진으로서 사용하여, 1 내지 20 ㎍/㎖ 의 농도 범위에 걸쳐 검량선을 작성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감초 소수성 추출물 1 mg/㎖ 중의 글리시르하이진의 양은 4 ㎍/㎖ 으로, 즉 추출물의 글리시르하이진 함량은 0.4 % 였다. 글리시르하이진 함량은 일반적으로 감초 분말 중에 2.5 % 이상, 수성 추출물 중에 4.5 % 이상, 또는 열수 추출물 중에 6.0 % 이상이기 때문에,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글리시르하이진 함량은 극히 낮은 것으로 발견되었다.
(시험예 1) 내장지방 감소 효과
C57BL/6J 마우스들 (암컷, 10 주령)에게 고지방, 고당분 식품 (Oriental Yeast Co. 제품; 표 1)을 임의로 4 내지 8 주 동안 부여하여 식이성 비만으로 만들었다. 그 후 마우스들을 6 내지 8 개의 군으로 나누고, 정상 식품 (Oriental Yeast Co. 제품; 표 1)을 기본식으로 사용하여, 비처리군 (대조군) 및 제조예 1 에서 수득된 감초 소수성 추출물로 보충 식이를 공급한 군으로 만들었다. 두 군 모두에서, 마우스들이 4 주 동안 자유 취식하도록 하였다. 하룻밤 동안 절식시킨 후, 에테르 마취 하에 개복하고,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방혈시켜 마우스를 도살하였다. 그 후, 자궁 주변 지방 및 신장 주변 지방을 적출하여 칭량하였다. 자궁 주변 지방 중량 및 신장 주변 지방 중량의 합을 복강내 지방량으로서 기록하였다. 데이타를 표 2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01
Figure 112003020712166-pct00002
취식량 또는 체중에서 차이가 없더라도, 감초 소수성 추출물 보충식이 주어진 군이 비처리군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적은 복강내 지방량을 나타내는 것이 표 2로부터 명백하다. 따라서, 고지방, 고당분 식품의 섭취에 의해 축적된 내 장지방이 감초 소수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의 섭취에 의해 감소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시험예 2) II 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 대한 진성 당뇨병 예방 효과-1
유전성 비만을 나타내고 II 형 당뇨병이 진행되는 모델 동물인 KK-Ay 마우스를 사용하여, 제조예 1 에서 제조된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당뇨병 예방 효과를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항당뇨제인 트로글리타존을 사용하였다.
KK-Ay 마우스들 (암컷, 6 주령)을 3 군으로 나누고 (군 당 5 마리), 정상 식품 (Oriental Yeast Co.; 표 1)을 기본식으로 사용하여, 비처리군 (대조군), 트로글리타존군 및 감초 소수성 추출물군을 만들었다. 모든 군에서, 마우스들이 4 주 동안 자유 취식하도록 하였다. 트로글리타존인 노스칼 (Noscal) 정 200 (각 정제 당 트로글리타존 200 mg; Sankyo Co., Ltd.)을 마노 모르타르에서 분쇄하여 최종 농도 0.2 % 로 정상 식품에 첨가하였다. 감초 소수성 추출물로서, 제조예 1 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최종 농도 0.15 % 로 정상 식품에 첨가하였다.
급식 기간 동안, 마우스의 꼬리 정맥으로부터 소량의 혈액을 매주 채취하여, 간이 혈당 시험기인 Novo Assist Plus (Novo Nordisk Pharma Ltd.)로 혈당을 측정하였다.
급식기간 종료 후, 마우스들을 하룻밤 동안 절식시킨 후 에테르 마취 하에 개복하였다.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고 간을 적출하여 칭량하였다. 또한,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T-CHO), 트리글리세라이드 (TG), 유리 지방산 (NEFA), GOT, GPT, LAP, 콜린에스테라제 (ChoE), 총 단백질 (TP-S), 알부민 (ALB-S), 및 A/G 비를 소고 의화학 연구소 (Sogo Ikagaku Kenkyusho Co., Ltd.)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03
표 3 에 마우스 체중을 나타내었다. 트로글리타존 군의 마우스들의 평균 체중은 비처리군 (대조군)에 대해 약간 증가되었으며, 4 주 후에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감초 소수성 추출물 군은 비처리군 (대조군)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04
혈당치 데이타를 표 4 에 나타내었다. 급식 개시시에 혈당치는 145 내지 157 mg/dl 이었으며; 어떤 군도 고혈당이 아니었다. 1 주 후, 비처리군 (대조군)의 혈당치가 390 mg/dl 을 초과하여 당뇨병의 개시를 나타내었다. 이 비처리군 (대조군)과는 반대로, 트로글리타존군은 현저한 혈당 상승 저해를 나타내어, 약물이 혈당 상승을 저해한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마우스 체중 및 취식량으로부터 계산된 이 시점에서의 트로글리타존의 투약량은 약 270 mg/kg/일 이었다. 한편, 감초 소수성 추출물 군은 2 주 후 현저한 혈당 상승 저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추출물이 혈당 상승을 저해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마우스 체중 및 취식량으로부터 계산된 이 시점에서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투약량은 약 190 mg/kg/일 이었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05
간 중량 데이타 및 혈액 시험 데이타를 표 5 에 나타내었다. 비처리군 (대조군)에 비해, 트로글리타존군은 TG 및 NEFA 에서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약물의 지질 대사 개선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트로글리타존 군은 간 중량의 현저한 증가 및 GPT 의 현저한 상승, 및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GOT 에서 13 % 의 상승을 나타내어, 간 손상을 암시하였다. 한편, 감초 소수성 추출물 군은 T-CHO 및 NEFA 의 현저한 감소 및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TG 에서 35 % 의 감소를 나타내어, 추출물의 지질 대사 개선 작용을 나타내었 다. 또한, 감초 소수성 추출물 군은 간 중량, GOT 및 GPT 와 같은 간 기능 지표에서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추출물이 간 독성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로부터, 양성 대조군 트로글리타존과 유사하게, 감초 소수성 추출물은 혈당 상승 저해 작용 및 지질 대사 개선 작용을 모두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제조예 2)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제조-2
유리 용기를 사용하여, 300 g 의 감초 분말 (Kaneka Sun Spice Co., Ltd.)을 10 배 부피의 미지근한 (약 40 ℃) 물에 침지시키고, 빛을 차단하여, 하룻밤 동안(약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이 혼합물을 여과지 (ADVANTEC 2 호)로 여과하고, 수득된 잔여물을 건조하여 (약 60 ℃), 265 g 의 수성 추출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이 잔여물을 5 배 부피의 에탄올에 침지시키고, 때때로 교반하면서, 빛을 차단하여 1 주일 동안 실온에 방치하였다. 이 혼합물을 여과지 (ADVANTEC 2 호) 로 2 회 여과하여 분말을 제거하고, 추출 용액을 회수하였다. 이 추출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23.62 g 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3) II 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 대한 진성 당뇨병 예방 효과-2
제조예 2 에서 수득된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당뇨병 예방 효과를 시험예 2 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감초 소수성 추출물 군에서, 제조예 2 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최종 농도 0.2 % 로 정상 식품에 첨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항당뇨제인 피오글리타존을 사용하였다. 피오글리타존으로서, 액토스 (Actos) 정 30 (각 정제 당 피오글리타존 30 mg 함유;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을 마노 모르타르에서 분쇄하여, 피오글리타존으로서 최종 농도 0.04 % 로 정상 식품에 첨가하였다. 혈당 측정을 위해, 간이 혈당 시험기인 Glutest Ace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06
마우스 체중 데이타를 표 6 에 나타내었다. 피오글리타존군 및 감초 소수성 추출물군에서 마우스 중량의 시간에 따른 추이는 모두 비처리군 (대조군)과 비슷하여,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07
혈당 데이타를 표 7 에 나타내었다. 비처리군 (대조군)에서, 혈당치는 1 주 후 상승되어, 당뇨병의 개시를 나타내었다. 이와 반대로, 피오글리타존군에서는 혈당 상승이 현저하게 저해되어, 약물의 혈당 상승에 대한 저해 작용을 나타내었다. 마우스 체중 및 취식량으로부터 계산된 이 시점에서의 피오글리타존의 투약량은 약 50 mg/kg/일 이었다. 감초 소수성 추출물 군에서도 혈당 상승이 현저하게 저해되어, 추출물의 혈당 상승 저해 작용을 나타내었다. 마우스 체중 및 취식량으로부터 계산된 이 시점에서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투약량은 약 260 mg/kg/일 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감초 소수성 추출물이 양성 대조군인 피오글리타존과 같이 혈당 상승을 저해하여, 추출물이 당뇨병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명백하다.
(시험예 4) II 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 대한 진성 당뇨병 개선 효과
KK-Ay 마우스들을 사용하여, 제조예 2 에서 제조된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당뇨병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항당뇨제인 피오글리타존을 사용하였다.
KK-Ay 마우스들 (암컷, 15 주령)을 3 군 (군 당 4 마리)으로 나누고, 정상 식품을 기본식으로서 사용하고, 비처리군 (대조군), 피오글리타존군, 및 감초 소수성 추출물군으로 만들었다. 마우스들이 7 일 동안 자유 취식하도록 하였다. 피오글리타존을 최종 농도 0.02 % 로 정상 식품에 첨가하였다. 감초 소수성 추출물로서, 제조예 2 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최종 농도 0.2 % 로 정상 식품에 첨가하였다. 혈당 측정을 위해, 간이 혈당 시험기 Glutest Ace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08
혈당 데이타를 표 8 에 나타내었다. 급식 개시시 혈당치는 378 내지 391 mg/dl 로, 모든 군에서의 마우스들이 고혈당을 나타내었다. 비처리군 (대조군)에서는, 4 일 및 7 일의 혈당치가 약 530 mg/dl 을 기록하여, 악화를 나타내었다. 이와 반대로, 피오글리타존군 및 감초 소수성 추출물군 모두에서는, 4 일 및 7 일 모두에서 혈당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약물 및 추출물의 혈당 강하 작용을 가짐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로부터, 양성 대조군 피오글리타존에서와 같이, 감초 소수성 추출물이 혈당 강하 작용을 가져, 당뇨병 개선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 명백하였다.
(제조예 3)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제조-3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를 사용하여, 1.5 kg 의 감초 분말 (Kaneka Sun Spice Co., Ltd.)을 10 배 부피의 물에 침지시키고,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약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원심분리하고 (5,000 g, 20 분), 수득된 잔여물을 건조하여 (약 55 ℃), 수성 추출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이 잔여물을 5 배 부피의 에탄올에 침지시키고, 때때로 교반하면서,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1 주일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이 혼합물을 여과지 (ADVANTEC 2 호) 로 2 회 여과하여 분말을 제거하고, 추출 용액을 회수하였다. 이 추출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141.5 g 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5) 자발성 고혈압 래트에 대한 효능
노화에 따라 고혈압이 발증되는 본능성 고혈압의 모델 동물인 자발성 고혈압 래트 (SHR)를 사용하여, 제조예 3 에서 제조된 감초 소수성 추출물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항고혈압제인 에날라프릴 말레에이트 (enalapril maleate)를 사용하였다.
SHR (수컷, 5 주령)들을 3 군 (군 당 8 마리)으로 나누고, 용매 대조군, 감초 소수성 추출물군, 및 에날라프릴 말레에이트 군으로 만들었다. 용매 대조군은 3 ㎖/kg/일 의 투약량으로 프로필렌 글리콜 처리하고, 감초 소수성 추출물군은 300 mg/3 ㎖/kg/일 의 투약량으로 프로필렌 글리콜 중의 감초 소수성 추출물 용액으로 처리하였으며, 에날라프릴 말레에이트 군은 20 mg/10 ㎖/kg/일 의 투약량으로 0.5 % 메틸셀룰로오스 (수성 용액) 중의 에날라프릴 말레에이트 용액으로 처리하였으며, 모두 3 주 연속 경구투여하였다. 이 기간 동안, 마우스들은 자유로이 취식 (CRF-1, Oriental Yeast Co.) 및 물을 마시도록 하였다.
처리 개시일 바로 전날 및 처리 후 7 일, 14 일, 및 21 일에, 비관혈식 (non-invasive) 자동 혈압 측정장치 (BP-97A, Softron Co., Ltd.)를 사용하여 꼬리 동맥에서 혈압을 측정하였다. 혈압 측정은 각 시료 투여 전에 수행하였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09
SHR 들의 체중을 표 9 에 나타내었다. 모든 군에서 체중의 시간에 따른 추이는 거의 비슷하여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10
혈압 데이타를 표 10 에 나타내었다. 투여 개시전 혈압은 111 내지 113 mmHg 으로 어떤 군도 고혈압 상태를 나타내지 않았다. 용매 대조군에서는, 7 일에 혈압이 상승되기 시작하여, 고혈압의 개시를 나타내었다. 용매 대조군에 비해, 감초 소수성 추출물 군에서는 혈압 상승이 저해되어, 7 일 및 21 일에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항고혈압제인 에날라프릴 말레에이트 군에서는, 혈압 상승이 7 일 이후 현저히 저해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감초 소수성 추출물이 고혈압 예방 및 개선에 유효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실시예 1)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정제의 제조
감초 소수성 추출물 45 중량부
락토오스 35 중량부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중량부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5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음식용 또는 의약용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정제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연질 캡슐의 제조
감초 소수성 추출물 40 중량부
참깨유 55 중량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5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음식용 또는 의약용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연질 캡슐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크래커의 제조
감초 소수성 추출물 1 중량부
박력분 120 중량부
식염 1 중량부
베이킹 파우더 2 중량부
버터 30 중량부
물 40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크래커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면의 제조
감초 소수성 추출물 1 중량부
강력분 100 중량부
박력분 100 중량부
식염 10 중량부
물 100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면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드레싱의 제조
감초 소수성 추출물 10 중량부
올리브유 80 중량부
식초 60 중량부
식염 3 중량부
후추 1 중량부
레몬쥬스 5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감초 소수성 추출물 함유 드레싱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강황 추출물
(제조예 4) 강황 추출물의 제조-1
유리 용기를 사용하여, 400 g 의 강황 분말(Kaneka Sun Spice Co., Ltd.)을 5 배 부피의 에탄올에 침지시키고, 때때로 교반하면서,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1 주일 동안 방치하였다. 이 혼합물을 여과지 (ADVANTEC 2 호) 로 2 회 여과하여 분말을 제거하고, 추출 용액을 회수하였다. 이 추출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43.71 g 의 강황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시험예 6) 내장지방 감소 효과
C57BL/6J 마우스들 (암컷, 10 주령)에 고지방, 고당분 식품 (Oriental Yeast Co. 제품; 표 1)을 임의로 4 내지 8 주 동안 공급하여 식이성 비만으로 만들었다. 그 후, 마우스들을 6 내지 8 개의 군으로 나누고, 정상 식품 (Oriental Yeast Co. 제품; 표 1)을 기본식으로 사용하여, 비처리군 (대조군) 및 제조예 4 에서 제조된 강황 추출물로 보충식이를 공급한 군으로 만들었다. 두 군 모두에서 마우스들은 4 주 동안 자유 취식하였다. 하룻밤 동안 절식 후, 에테르 마취 하에 개복하고,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방혈시켜 마우스들을 도살하였다. 그 후, 자궁 주변 지방 및 신장 주변 지방을 적출하고 칭량하였다. 자궁 주변 지방 중량 및 신장 주변 지방 중량의 합을 복강 내 지방량으로서 기록하였다. 데이타를 표 11 및 표 12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11
Figure 112003020712166-pct00012
비처리군 (대조군)에 비해, 강황 추출물군이 취식량 또는 체중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지만, 복강내 지방량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는 것이 표 11 및 표 12 로부터 명백하다. 고지방, 고당분 식품의 섭취에 의해 축적된 내장지방이 강황 추출물 보충 식품의 섭취에 의해 감소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제조예 5) 강황 추출물의 제조-2
유리 용기를 사용하여, 793 g 의 강황 분말 (Kaneka Sun Spice Co., Ltd.)을 4,000 ㎖ 의 에탄올 중에 침지시키고, 때때로 교반하면서,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1 주일 동안 방치하였다. 이 혼합물을 여과지 (ADVANTEC 2 호) 로 2 회 여과하여 분말을 제거하고, 추출 용액을 회수하였다. 이 추출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79.48 g 의 강황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시험예 7) II 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 대한 효능
유전성 비만을 나타내고 및 II 형 당뇨병이 발증되는 동물 모델인 KK-Ay 마우스들을 사용하여, 강황 추출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항당뇨제인 피오글리타존을 사용하였다.
KK-Ay 마우스들 (암컷, 6 주령)을 3 개의 군 (군 당 5 마리)으로 나누고, 정상 식품 (Oriental Yeast Co.; 표 1)을 기본식으로서 사용하여, 비처리군 (대조군), 피오글리타존군, 및 강황 추출물군의 동물들을 4 주 동안 임의로 취식시켰다. 피오글리타존으로서, 액토스 정 30 (각 정제 당 피오글리타존 30 mg 함유;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을 마노 모르타르 중에서 분쇄하고, 피오글리타존으로서 최종 농도 0.04 % 로 정상 식품에 첨가하였다. 강황 추출물로서, 제조예 5 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최종 농도 0.5 % 로 정상 식품에 첨가하였다.
급식 기간 동안, 마우스 꼬리 정맥으로부터 소량의 혈액 샘플을 매주 채취하여, 간이 혈당 시험기 Glutest Ace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로 혈당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13
마우스들의 체중을 표 13 에 나타내었다. 피오글리타존군 및 강황 추출물군 모두 비처리군 (대조군)과 거의 동일한 시간에 따른 체중 추이를 나타내어, 유의차가 없었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14
혈당 데이타를 표 14 에 나타내었다. 급식 개시시 혈당치는 142 내지 151 mg/dl 으로, 어떤 군도 고혈당이 아니었다. 비처리군 (대조군)에서, 혈당치는 1 주 후 상승되었으며, 이는 당뇨병의 개시를 나타낸다. 비처리군 (대조군)에 비하여, 강황 추출물군은 항당뇨성 피오글리타존군과 같이 혈당 상승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이는 추출물이 혈당 저감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마우스 체중 및 취식량으로부터 계산한 이 시점에서의 강황 추출물의 투약량은 약 670 mg/kg/일 이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강황 추출물이 진성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효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실시예 6) 강황 추출물 함량 정제의 제조
강황 추출물 45 중량부
락토오스 35 중량부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중량부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5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음식용 또는 의약용의 강황 추출물 함유 정제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강황 추출물 함유 연질 캡슐의 제조
강황 추출물 40 중량부
참깨유 55 중량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5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음식용 또는 의약용의 강황 추출물 함유 연질 캡슐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강황 추출물 함유 크래커의 제조
강황 추출물 1 중량부
박력분 120 중량부
식염 1 중량부
베이킹파우더 2 중량부
버터 30 중량부
물 40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강황 추출물 함유 크래커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9) 강황 추출물 함유 면의 제조
강황 추출물 1 중량부
강력분 100 중량부
박력분 100 중량부
식염 10 중량부
물 100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강황 추출물 함유 면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강황 추출물 함유 드레싱의 제조
강황 추출물 10 중량부
올리브유 80 중량부
식초 60 중량부
식염 3 중량부
후추 1 중량부
레몬 쥬스 5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강황 추출물 함유 드레싱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정향 추출물
(제조예 6) 정향 추출물의 제조-1
유리 용기를 사용하여, 600 g 의 정향 분말(Kaneka Sun Spice Co., Ltd.)을 5 배 부피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침지시키고, 때때로 교반하면서, 빛을 차단하여 실 온에서 1 주일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이 혼합물을 여과지 (ADVANTEC 2 호) 로 2 회 여과하여 분말을 제거하고, 추출 용액을 회수하였다. 이 추출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47.59 g 의 정향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시험예 8) 내장지방 감소 효과
C57BL/6J 마우스들 (암컷, 10 주령)에 고지방, 고당분 식품 (Oriental Yeast Co. 제품; 표 1)을 임의로 4 내지 8 주 동안 제공하여 식이성 비만으로 만들었다. 그 후, 마우스들을 6 내지 8 개의 군으로 나누고, 정상 식품 (Oriental Yeast Co. 제품; 표 1)을 기본식으로서 사용하여, 비처리군 (대조군) 및 제조예 6 에서 수득된 정향 추출물로 보충 식이를 공급한 군으로 만들었다. 두 군 모두에서, 마우스들이 4 주 동안 자유 취식하도록 하였다. 하룻밤 동안 절식시킨 후, 에테르 마취 하에 개복하여,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방혈시켜 마우스들을 도살하였다. 그 후, 자궁 주변 지방 및 신장 주변 지방을 적출하여 칭량하였다. 자궁 주변 지방 중량 및 신장 주변 지방 중량의 합을 복강내 지방량으로서 기록하였다. 이 데이타를 표 15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15
표 15 로부터, 비처리군 (대조군)에 비하여, 정향 추출물군이 취식량 또는 체중에서 현저한 차이가 없으나, 복강내 지방량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이 명백하다. 고지방, 고당분 식품의 섭취에 의해 축적된 내장지방이 정향 추출물 보충식의 섭취에 의해 감소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제조예 7) 정향 추출물의 제조-2
유리 용기를 사용하여, 2 kg 의 정향 분말 (Kaneka Sun Spice Co., Ltd.)을 10 L 의 에탄올에 침지시키고, 때때로 교반하면서,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1 주일 동안 방치하였다. 이 혼합물을 여과지 (ADVANTEC 2 호) 로 2 회 여과하여 분말을 제거하고, 추출 용액을 회수하였다. 이 추출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217 g 의 정향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시험예 9) II 형 당뇨병 모델 마우스에 대한 효능
유전성 비만을 나타내고, II 형 당뇨병을 발증하는 모델 동물인 KK-Ay 마우스를 사용하여, 정향 추출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항당뇨제인 피오글리타존을 사용하였다.
KK-Ay 마우스들 (암컷, 6 주령)을 3 개 군 (군 당 5 마리)으로 나누고, 정상 식품 (Oriental Yeast Co.; 표 1)을 기본식으로서 사용하여, 비처리군 (대조군), 피오글리타존군, 및 정향 추출물 군의 동물들이 3 주 동안 임의 취식하도록 하였다. 피오글리타존으로서, 액토스 정 30 (각 정제 당 피오글리타존 30 mg 함유;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을 마노 모르타르에서 분쇄하여, 피오글리타존으로서 최종 농도 0.02 % 로 정상 식품에 첨가하였다. 정향 추출물로서, 제조예 7 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최종 농도 0.5 % 로 정상 식품에 첨가하였다.
급식 기간 동안, 마우스 꼬리 정맥으로부터 소량의 혈액 샘플을 매주 채취하여 혈당을 간이 혈당 시험기 Glutest Ace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로 측정하였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16
마우스들의 체중을 표 16 에 나타내었다. 피오글리타존군 및 정향 추출물군 모두는 비처리군 (대조군)과 거의 동일한, 시간에 따른 체중 추이를 나타내어, 유의차가 없었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17
혈당 데이타를 표 17 에 나타내었다. 급식 개시시 혈당치는 156 내지 171 mg/dl 으로, 어떤 군도 고혈당이 아니었다. 비처리군 (대조군)에서, 혈당치는 1 주 후 상승되었으며, 이는 당뇨병의 개시를 나타낸다. 비처리군 (대조 군)에 비하여, 정향 추출물군은 항당뇨성 피오글리타존군과 같이 혈당 상승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이는 추출물이 혈당 저감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마우스 체중 및 취식량으로부터 계산한 이 시점에서의 정향 추출물의 투약량은 약 660 mg/kg/일 이었다.
(실시예 11) 정향 추출물 함유 정제의 제조
정향 추출물 45 중량부
락토오스 35 중량부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중량부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5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음식용 또는 의약 용도의 정향 추출물 함유 정제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정향 추출물 함유 연질 캡슐의 제조
정향 추출물 40 중량부
참깨유 55 중량부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5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음식용 또는 의약 용도의 정향 추출물 함유 연질 캡슐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정향 추출물 함유 크래커의 제조
정향 추출물 1 중량부
박력분 120 중량부
식염 1 중량부
베이킹파우더 2 중량부
버터 30 중량부
물 40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정향 추출물 함유 크래커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정향 추출물 함유 면의 제조
정향 추출물 1 중량부
강력분 100 중량부
박력분 100 중량부
식염 10 중량부
물 100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정향 추출물 함유 면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정향 추출물 함유 드레싱의 제조
정향 추출물 10 중량부
올리브유 80 중량부
식초 60 중량부
식염 3 중량부
후추 1 중량부
레몬 쥬스 5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정향 추출물 함유 드레싱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계피 추출물
(제조예 8) 계피 추출물의 제조
유리 용기를 사용하여, 1,000 g 의 계피 분말 (Kaneka Sun Spice Co., Ltd.)을 5 배 부피의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침지시키고, 때때로 교반하면서,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1 주일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이 혼합물을 여과지 (ADVANTEC 2 호) 로 2 회 여과하여 분말을 제거하고, 추출 용액을 회수하였다. 이 추출 용액을 감압 하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59.57 g 의 계피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시험예 10) 내장지방 감소 효과
C57BL/6J 마우스 (암컷, 10 주령)들에게 고지방, 고당분 식품 (Oriental Yeast Co. 제품; 표 1)을 4 내지 8 주 동안 임의로 공급하여 식이성 비만으로 만들었다. 그 후, 마우스들을 6 내지 8 군으로 나누고, 정상 식품 (Oriental Yeast Co. 제품; 표 1)을 기본식으로서 사용하여, 비처리군 (대조군) 및 제조예 8 에서 수득된 계피 추출물로 보충 식이를 공급한 군으로 만들었다. 두 군 모두에서, 마우스들이 4 주 동안 자유 취식하도록 하였다. 하룻밤 동안 절식시키고, 에테르 마취 하에 개복하여,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방혈시켜 마우스들을 도살하였다. 그 후, 자궁 주변 지방 및 신장 주변 지방을 적출하여 칭량하였다. 자궁 주변 지방 중량 및 신장 주변 지방 중량의 합을 복강내 지방량으로서 기록하였다. 이 데이타를 표 18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3020712166-pct00018
표 18 로부터, 비처리군 (대조군)에 비하여, 계피 추출물군이 취식량 또는 체중에서 현저한 차이가 없으나, 복강내 지방량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이 명백하다. 고지방, 고당분 식품의 섭취에 의해 축적된 내장지방이 계피 추출물 보충식의 섭취에 의해 감소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실시예 16) 계피 추출물 함유 정제의 제조
계피 추출물 45 중량부
락토오스 35 중량부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중량부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5 중량부
상기 조성에 따라, 음식용 또는 의약 용도의 계피 추출물 함유 정제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내장지방형 비만, 진성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을 포함하는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섭취는 축적된 내장지방을 감소시켜, 내장지방의 축적으로 인해 일어나는 생활습관 관련 질병, 예로서 비만, 진성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Claims (25)

  1.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내장지방형 비만이 합병된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의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내장지방형 비만이 합병된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개선을 위한 식품용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내장지방형 비만이 합병된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수의용 조성물.
  11.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과 내장지방형 비만이 합병된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개선을 위한 화장품용 또는 의약부외품용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지방형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의약 조성물.
  18.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지방형 비만의 개선을 위한 식품용 조성물.
  19.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지방형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수의용 조성물.
  20. 감초 소수성 추출물, 강황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지방형 비만의 개선을 위한 화장품용 또는 의약부외품용 조성물.
  21. 제 1 항, 제 7 항,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초 소수성 추출물, 정향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한 종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
  22. 제 1 항, 제 7 항,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초 소수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23. 제 1 항, 제 7 항,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24. 제 1 항, 제 7 항,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25. 제 1 항, 제 7 항,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037007766A 2000-12-12 2001-12-12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842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76930 2000-12-12
JP2000376930 2000-12-12
JP2001106216 2001-04-04
JPJP-P-2001-00106216 2001-04-04
JP2001191628 2001-06-25
JPJP-P-2001-00191628 2001-06-25
PCT/JP2001/010869 WO2002047699A1 (fr) 2000-12-12 2001-12-12 Compositions de prévention ou d'amélioration de syndromes multifactori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059A KR20030070059A (ko) 2003-08-27
KR100842193B1 true KR100842193B1 (ko) 2008-06-30

Family

ID=2734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766A KR100842193B1 (ko) 2000-12-12 2001-12-12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20040028751A1 (ko)
EP (1) EP1350516B1 (ko)
JP (3) JPWO2002047699A1 (ko)
KR (1) KR100842193B1 (ko)
CN (1) CN100479831C (ko)
AT (1) ATE309815T1 (ko)
AU (2) AU2260302A (ko)
CA (1) CA2429839C (ko)
DE (1) DE60115094T2 (ko)
DK (1) DK1350516T3 (ko)
ES (1) ES2252152T3 (ko)
NO (1) NO20032611L (ko)
TW (1) TWI329516B (ko)
WO (1) WO20020476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916B1 (ko) * 2008-12-05 2011-11-04 동화약품주식회사 비만 증상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육두구 추출물 함유 기능성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5355B2 (ja) * 2002-04-04 2011-05-18 株式会社カネカ 甘草疎水性成分含有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0447668B1 (ko) * 2002-06-28 2004-09-08 현대약품공업주식회사 불용성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분산성 조각 젤리타입입자혼입 기능성음료 제조방법
TW200427410A (en) * 2003-01-24 2004-12-16 Kaneka Corp Processed fat compositions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lifestyle-related diseases
US7504118B2 (en) * 2003-04-11 2009-03-17 Fhg Corporation Dietary supplements containing extracts of cinnamon and methods of using same to enhance creatine transport
US7160561B2 (en) * 2003-05-19 2007-01-09 Amazon Biotech Inc. Herbal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HIV infection
KR20060018219A (ko) * 2003-05-19 2006-02-28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치료제
TW200513194A (en) * 2003-07-31 2005-04-16 Kaneka Corp Fat and oil processed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or amelioration of life-style related disease
US9700590B2 (en) 2004-03-01 2017-07-11 In Ingredients, Inc. Methods and material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yndrome X
JPWO2005097152A1 (ja) * 2004-03-31 2008-02-28 株式会社カネカ 粘結性が改善されたウコン抽出物含有組成物
TW200612902A (en) * 2004-05-13 2006-05-01 Kaneka Corp Inhibiting agents for lipase or cholesterol esterase, and absorption suppressing agents for neutral fat, cholesterol, or cholesterol ester
US20050267221A1 (en) * 2004-05-14 2005-12-01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Use of curcumin and analogues thereof as inhibitors of ACC2
AU2005247251A1 (en) * 2004-05-31 2005-12-08 Kaneka Corporation Agent for preventing/amelioratig life style-relaetd diseases containing turmeric essential oil component
JP4742204B2 (ja) * 2005-01-21 2011-08-10 財団法人ヒューマンサイエンス振興財団 脂肪細胞分化制御剤
US20060204599A1 (en) * 2005-03-14 2006-09-14 Wheat Jared R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919323B1 (ko) * 2005-03-19 2009-09-25 정세영 혈중 지질 개선과 항비만 효과를 갖는 신규한 해국지상부위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WO2006106705A1 (ja) 2005-03-30 2006-10-12 Kaneka Corporation 発癌抑制用油脂含有組成物
EP1874285B1 (en) * 2005-04-07 2009-10-07 Astrum Therapeutics Pty, Ltd. Complementary compositions to reduce blood glucose levels and treat diabetes
AU2006275491A1 (en) * 2005-07-29 2007-02-08 Bioactives, Inc. Prenylflavonoid formulations
JP2007063161A (ja) * 2005-08-30 2007-03-15 Kaneka Corp 急性相反応タンパク質転写抑制活性剤。
CN101437503A (zh) * 2006-02-21 2009-05-20 阿斯特鲁姆医疗有限公司 用于降低血糖水平和治疗糖尿病的组合物
US20090061031A1 (en) * 2006-07-07 2009-03-05 Sylvia Lee-Hua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besity, obesity related disorders and for inhibiting the infectivity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WO2008143182A1 (ja) 2007-05-17 2008-11-27 Kaneka Corporation 甘草ポリフェノールを含有する組成物
IL184312A0 (en) * 2007-06-28 2008-01-20 Ascarit Ltd Herb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or conditions associated therewith
US20110123505A1 (en) 2007-08-22 2011-05-26 Kaneka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reduced coenzyme q10 and method of stabilizing the same
ES2655487T3 (es) * 2008-03-31 2018-02-20 Shiseido Company, Ltd. Extracto de canela para tratar el fotoenvejecimiento
US20100215782A1 (en) * 2008-10-22 2010-08-26 Metaproteomics, Llc Novel mitochondrial uncoupling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adipocyte thermogenesis
WO2010053949A1 (en) * 2008-11-04 2010-05-14 Metaproteomics, Llc Phytochem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ctivating amp-kinase
KR101134176B1 (ko) * 2008-12-05 2012-04-24 동화약품주식회사 고지혈증 치료시 유발되는 간 손상 예방 및 간 기능 개선을위한 정향 추출물 함유 기능성식품
US20100178413A1 (en) * 2008-12-17 2010-07-15 Mark Gorris Food-based Supplement Delivery System
US9918489B2 (en) * 2008-12-17 2018-03-20 Mark Gorris Food-based supplement delivery system
JP5325727B2 (ja) * 2009-09-24 2013-10-23 株式会社武蔵野免疫研究所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WO2011060305A1 (en) * 2009-11-12 2011-05-19 Nox Technologies, Inc. Potato skin compositions that lower cytosolic nadh level to mimic calorie restriction
JP2012087068A (ja) * 2010-10-15 2012-05-10 Shiseido Co Ltd 細胞寿命延長剤及びテロメアーゼ活性剤
WO2012085266A2 (en) 2010-12-23 2012-06-28 Dialpha Composition comprising cinnamon extract
JP6010281B2 (ja) * 2011-03-03 2016-10-19 株式会社カネカ 筋肉増量剤
KR20140054066A (ko) 2011-07-15 2014-05-08 뉴서트 사이언시스, 인크. 대사 경로 조절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JP2014031330A (ja) * 2012-08-03 2014-02-20 Nippon Supplement Kk 高血糖等改善剤
SG10201709195TA (en) 2012-11-13 2017-12-28 Nusirt 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energy metabolism
WO2014149280A1 (en) * 2013-03-15 2014-09-25 Nusirt Sciences, Inc. Treatment of pets with sirtuin activators
CN103751712A (zh) * 2014-01-05 2014-04-30 赵相英 一种治疗心血瘀阻型高脂血症的中药制备方法
CN103751677A (zh) * 2014-01-05 2014-04-30 张波 一种治疗气血不足型高脂血症的中药制备方法
CN103751539A (zh) * 2014-01-05 2014-04-30 郭帅 一种治疗过食熏鸡型高脂血症的中药制备方法
CN103751536A (zh) * 2014-01-05 2014-04-30 王涛 一种治疗嗜食猪脸型高脂血症的中药制备方法
CN103751651A (zh) * 2014-01-05 2014-04-30 王正丽 一种治疗阳虚水泛型高脂血症的中药制备方法
CN103751590A (zh) * 2014-01-05 2014-04-30 李玉芝 一种治疗饮食停滞型高脂血症的中药制备方法
CN103751652A (zh) * 2014-01-05 2014-04-30 王涛 一种治疗溲赤型高脂血症的中药制备方法
CN103751678A (zh) * 2014-01-05 2014-04-30 董帅 一种治疗脾肾阳虚型高脂血症的中药制备方法
CN103751535A (zh) * 2014-01-05 2014-04-30 王涛 一种治疗痰热郁肺型高脂血症的中药制备方法
JP6047545B2 (ja) * 2014-12-09 2016-12-21 コリア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オリエンタル メディシン サンパクソウ、キョウオウ及びオンジの複合抽出物を含む、肥満の予防又は治療用薬学組成物
US11179433B2 (en) * 2014-12-12 2021-11-23 Ari Healthcare Pvt. Ltd. Mouth freshener
CN105770710A (zh) * 2014-12-15 2016-07-20 张培祥 一种防治他汀类降脂药所致新发糖尿病的天然组合物
WO2016122234A1 (ko) * 2015-01-28 2016-08-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천연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뇨의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음수제 및 사료용 조성물
BR112017023493B1 (pt) * 2015-06-05 2023-04-18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Usos de cinamaldeído e zinco na preparação de composições para prevenir ou tratar hipertensão
BE1023544B1 (fr) * 2015-10-28 2017-04-28 Dyna + Sarl Composition anticellulite
WO2017094892A1 (ja) * 2015-12-03 2017-06-08 エムジーファーマ株式会社 健康肥満維持剤
KR101988579B1 (ko) * 2016-10-04 2019-06-14 한국한의학연구원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04050A1 (en) * 2017-11-27 2019-05-31 Lodaat Pharmaceuticals Methods for preparing curcuminoid compositions
CN108056337A (zh) * 2018-01-10 2018-05-22 广东日可威食品原料有限公司 一种适合青少年健康减肥的饮料
JP7463058B2 (ja) * 2019-02-08 2024-04-08 アリナミン製薬株式会社 Ace阻害活性を有する組成物
JP6835396B2 (ja) * 2019-07-01 2021-02-24 ハウスウェルネスフーズ株式会社 血中グルコース濃度低減用、血中ヘモグロビンA1c量低減用又は血中HDL−コレステロール量増加用組成物
GB202008135D0 (en) * 2020-05-29 2020-07-15 Neolife Int Llc Dietary supplements
KR102556621B1 (ko) * 2020-11-09 2023-07-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울금 및 정향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25984A1 (en) * 2021-04-19 2022-10-27 Spruce Health Sciences Inc. Nutritional supplement for regulating blood sugar
CN113974001A (zh) * 2021-11-12 2022-01-28 河南科技大学 一种围产期奶牛饲料和甘草酸单铵盐的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264A (ja) * 1995-09-01 1997-03-11 Pola Chem Ind Inc 3−ヒドロキシ−3−メチルグルタリルコエンザイムaリダクターゼ活性阻害剤
JPH11246399A (ja) * 1998-03-03 1999-09-14 Lion Corp 脂質代謝改善組成物
JP2000072682A (ja) * 1998-08-26 2000-03-0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物質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2926A (ja) * 1984-02-15 1985-09-06 Osaka Chem Lab 健康食品
JPS6259214A (ja) * 1985-09-09 1987-03-14 Kyowa Yakuhin Kk 水生動物感染症起因菌の抗菌剤
US4747417A (en) * 1985-09-10 1988-05-31 Besco Laboratory Inc. Sprayable composition to prevent smoking
US4808365A (en) * 1986-10-24 1989-0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edge curl on green sheets
US5422136A (en) * 1987-04-20 1995-06-06 Fuisz Technologies Ltd. Starch-based food enhancing ingredient
US5225203C1 (en) * 1987-07-01 2001-05-15 Kim Won Kyq Son Pharmaceutical liquid composition containing bezoar bovis
US4806365A (en) * 1987-09-01 1989-02-21 Todomu Nakashima Health vinegar
JP2746371B2 (ja) * 1987-12-21 1998-05-06 サントリー株式会社 ビスホモ−γ−リノレン酸及びこれを含有する脂質の製造方法
JPH01175942A (ja) 1987-12-28 1989-07-12 Sanyo Kokusaku Pulp Co Ltd 抗ウイルス性医薬用組成物
JPH01233217A (ja) * 1988-03-15 1989-09-19 Tsumura & Co 糖尿病治療剤
HU202743B (en) * 1988-06-24 1991-04-29 Richter Gedeon Vegyeszet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comprising medicinal herb extracts, cosmetics comprising such active ingredi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medicinal and veterinary compositions
JPH02204495A (ja) * 1989-02-02 1990-08-14 Maruzen Kasei Co Ltd 甘草疎水性フラボノイドの抽出法
JPH0381227A (ja) 1989-08-22 1991-04-05 Maruzen Kasei Co Ltd スーパーオキサイド消去剤
JPH0449244A (ja) * 1990-06-15 1992-02-18 Chiba Seifun Kk 抗糖尿病剤、動物用抗糖尿病剤
JP3081227B2 (ja) * 1990-10-31 2000-08-28 株式会社アルファ 自動車用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の製造法
JPH04297418A (ja) * 1991-02-07 1992-10-21 Sumitomo Metal Ind Ltd 血小板凝集抑制剤および白血球活性化抑制剤
JP2715216B2 (ja) 1992-03-23 1998-02-18 日本製紙株式会社 水畜産用免疫増強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92086A (ja) 1992-12-15 1994-07-12 Tsumura & Co 糖尿病治療剤
JP3421071B2 (ja) * 1993-03-11 2003-06-30 持田製薬株式会社 油溶性甘草エキス配合外用剤
CN1048405C (zh) * 1993-04-07 2000-01-19 广西北海市华侨鸿发有限公司 速溶金花茶
JPH0717857A (ja) * 1993-06-30 1995-01-20 Tsumura & Co 循環器疾患治療薬
KR950002776A (ko) 1993-07-23 1995-02-16 이상화 혈당 강하조성물
JP3204348B2 (ja) * 1993-08-20 2001-09-04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動脈硬化抑制剤及びこれを含む食品又は医薬
JPH07132050A (ja) * 1993-11-12 1995-05-23 Sunooden Kk 家畜用飼料添加剤
JPH07149628A (ja) * 1993-11-30 1995-06-13 Suntory Ltd 脂質代謝改善剤
CN1102993A (zh) * 1993-12-21 1995-05-31 吴文才 多酶体系加工中草药的制剂方法
JPH07242551A (ja) 1994-03-08 1995-09-19 Fujisawa Pharmaceut Co Ltd 体脂肪蓄積抑制剤
JPH07309765A (ja) 1994-05-17 1995-11-28 Fujisawa Pharmaceut Co Ltd 体脂肪蓄積抑制剤
JPH08119872A (ja) 1994-10-18 1996-05-14 Otsuka Pharmaceut Co Ltd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に対する生薬組成物
JPH08187066A (ja) * 1995-01-09 1996-07-23 Yamada Houseki:Goushi 粒状ウコン茶およびこれの製造方法
CN1056287C (zh) * 1995-07-05 2000-09-13 高培雄 降脂中药及其制备工艺
US5693327A (en) * 1995-07-12 1997-12-02 Shah; Eladevi Herbal compositions
JPH0940572A (ja) * 1995-08-01 1997-02-10 Lion Corp アミラーゼ阻害剤及びアミラーゼ阻害用組成物
JPH09143085A (ja) 1995-11-17 1997-06-03 Eisai Co Ltd 甘草成分含有強肝剤
JP3999825B2 (ja) 1996-01-18 2007-10-31 日清ファルマ株式会社 内臓脂肪蓄積抑制剤
FR2748659B1 (fr) * 1996-05-14 1998-07-24 Lvmh Rech Composition topique amincissante
JPH10130161A (ja) 1996-09-06 1998-05-19 Otsuka Pharmaceut Co Ltd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に対する組成物
JPH10231495A (ja) 1996-12-20 1998-09-02 Jiyanifu Tec:Kk 抗肥満および内臓蓄積脂肪低減化機能を有する物質、およびその用途
JPH10265328A (ja) * 1997-03-27 1998-10-06 Nippon Flour Mills Co Ltd 化粧料、ペットフード、リパ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含む食品
JPH11130686A (ja) * 1997-10-28 1999-05-18 Yutaka Araki 肥満症の予防、治療法および抗肥満剤
US6200569B1 (en) * 1997-11-05 2001-03-13 Tang-An Medical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creasing insulin activity
JPH11187843A (ja) 1997-12-25 1999-07-13 Lotte Co Ltd 肥満改善用の飲食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物
JPH11246398A (ja) * 1998-03-02 1999-09-14 Kyowa Hakko Kogyo Co Ltd 生体内過酸化脂質増加に起因する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剤
JPH11243913A (ja) 1998-03-03 1999-09-14 Otsuka Yakuhin Kogyo Kk 薬膳調味栄養食品
JP3648587B2 (ja) * 1998-03-04 2005-05-1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周病予防又は歯周病進行予防食品組成物
JP4657396B2 (ja) * 1998-07-31 2011-03-23 ヒガシマル醤油株式会社 アミラーゼ阻害活性物質及びその用途
JP2000144170A (ja) 1998-09-01 2000-05-26 Janifu Tekku:Kk 抗肥満及び内臓蓄積脂肪低減化機能を有する物質、及びその用途
JP2001139466A (ja) * 1999-11-11 2001-05-22 Shiseido Co Ltd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抗老化用化粧料
JP2000319191A (ja) * 1999-03-05 2000-11-21 Takeda Chem Ind Ltd サイクリックgmp特異的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および性的機能障害改善薬
CN1269157A (zh) * 1999-03-25 2000-10-11 陈江辉 一种健美减肥挂面制品及其制备方法
JP3441395B2 (ja) * 1999-04-16 2003-09-02 花王株式会社 エンドセリン変換酵素阻害剤
JP2001064192A (ja) * 1999-08-25 2001-03-13 Sunstar Inc ランゲルハンス細胞の遊走抑制剤及び抗原提示抑制剤
JP3559482B2 (ja) * 1999-10-21 2004-09-02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リパーゼ阻害剤
IL138603A0 (en) * 2000-09-21 2001-10-31 Ready Made 37 1999 Ltd Licorice extract for use as a medica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7264A (ja) * 1995-09-01 1997-03-11 Pola Chem Ind Inc 3−ヒドロキシ−3−メチルグルタリルコエンザイムaリダクターゼ活性阻害剤
JPH11246399A (ja) * 1998-03-03 1999-09-14 Lion Corp 脂質代謝改善組成物
JP2000072682A (ja) * 1998-08-26 2000-03-0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物質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Pharm.Bull. 1984, 32(9), 3615-361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916B1 (ko) * 2008-12-05 2011-11-04 동화약품주식회사 비만 증상의 개선 및 예방을 위한 육두구 추출물 함유 기능성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79626A (zh) 2004-03-03
DE60115094D1 (de) 2005-12-22
CN100479831C (zh) 2009-04-22
KR20030070059A (ko) 2003-08-27
NO20032611D0 (no) 2003-06-10
US8071141B2 (en) 2011-12-06
ATE309815T1 (de) 2005-12-15
CA2429839A1 (en) 2002-06-20
NO20032611L (no) 2003-08-11
DE60115094T2 (de) 2006-08-17
DK1350516T3 (da) 2006-01-09
CA2429839C (en) 2013-11-26
EP1350516A4 (en) 2004-05-19
AU2260302A (en) 2002-06-24
JP5607397B2 (ja) 2014-10-15
AU2002222603B2 (en) 2006-10-19
US20050287233A1 (en) 2005-12-29
TWI329516B (en) 2010-09-01
WO2002047699A1 (fr) 2002-06-20
JP2010159282A (ja) 2010-07-22
ES2252152T3 (es) 2006-05-16
JP5878954B2 (ja) 2016-03-08
EP1350516B1 (en) 2005-11-16
JP2014177497A (ja) 2014-09-25
JPWO2002047699A1 (ja) 2004-04-15
EP1350516A1 (en) 2003-10-08
US20040028751A1 (en) 200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193B1 (ko)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05008572A (ja) リパーゼ阻害剤
JP2002179586A (ja) リパーゼ阻害剤
CN101755872A (zh) 适用于糖尿病人食用的糕点组分
CN107580496B (zh) 绞股蓝皂苷75的抗糖尿效果
KR101672274B1 (ko) 자화지정 추출물 또는 자화지정, 도인, 계지, 및 감초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9249320A (ja) 肥満・糖尿病改善剤
JP2008161077A (ja) 血液流動性改善作用をもたらす機能性食品
Razzaq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antidiabetic properties of turmeric
JP5981088B2 (ja) エネルギー消費促進剤
RU2291707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облегчения синдромов множественных факторов риска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00132261A (ko) 싸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79698B1 (ko) 혈당강하기능을 갖는 청전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기능성 식품
KR101293032B1 (ko) 다시마 및 부티르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JP2002255839A (ja) 抗肥満剤
Tkacheva et al. Cardamom: 8 Proven Benefits research
JP2023035438A (ja) 血糖値上昇抑制剤
MEGHWAL et al. FUNCTIONAL AND MEDICINAL VALUES OF FENUGREEK—A REVIEW
JP2005176770A (ja)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健康食品
JP4415063B1 (ja) 脂肪低減剤
JP4469406B1 (ja) 血中コレステロール低下剤
JP2003286182A (ja) IgE産生抑制剤
JP2008056604A (ja) 海苔を用いた糖尿病治療剤
Santich Herbs and Spices Review: Fenugree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