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579B1 -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579B1
KR101988579B1 KR1020160127754A KR20160127754A KR101988579B1 KR 101988579 B1 KR101988579 B1 KR 101988579B1 KR 1020160127754 A KR1020160127754 A KR 1020160127754A KR 20160127754 A KR20160127754 A KR 20160127754A KR 101988579 B1 KR101988579 B1 KR 101988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irculation
extract
omija
related diseas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642A (ko
Inventor
김호경
김동선
성윤영
박선행
Original Assignee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한의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한의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2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579B1/ko
Priority to PCT/KR2017/011049 priority patent/WO2018066956A1/ko
Publication of KR2018003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치료 방법,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사료첨가제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 특히,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또는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은 혈전 생성을 억제하고 혈소판 응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로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extracts comprising Schisandra chinesis for preventing or treating blood circulation-related diseases}
본 발명은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치료 방법,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사료첨가제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적 발전과 식습관 등의 변화에 따라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또는 뇌경색 등의 다양한 질환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발병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질환들은 각각 발생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면서 여러 증상들을 동반하여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혈액순환 관련 질환 중 고지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과 같은 지질성분이 증가하면서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동맥벽에 지질성분들이 부착되면서 발병하는 질환으로, 만성적인 염증반응과 동맥내벽이 좁아지면서 혈관이 굳어지는 동맥경화가 유발되고, 장기적으로는 이로부터 생성된 혈전이 심장관상동맥이나 뇌혈관 등을 막아 심근경색, 뇌졸중이나 뇌경색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현재 고지혈증 치료제는 간에서의 콜레스테롤의 합성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HMG-CoA 환원효소(HMG-CoA reductase)에 대하여 억제활성을 갖고 있는 스타틴 계열의 약물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약물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간독성이나 근육독성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고혈압은 동맥의 혈압이 만성적으로 높은 상태를 의미하는 질환으로,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이상인 경우이고, 동맥경화는 콜레스테롤, 인지질, 칼슘 등을 함유한 지방성 물질(plaque)이 혈관 내막에 축적됨으로써, 동맥이 단단해지고 탄력성을 잃고 좁아지는 질환으로, 결국 혈액공급이 저해되거나 압력이 높아져 동맥이 파열, 박리 등이 일어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현재 고혈압 치료제로는 레닌 저해제 약물, 안지오텐신전환효소 활성 저해 약물, 또는 안지오텐신과 안지오텐신 수용체간의 결합을 저해하는 약물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동맥경화 치료제로는 HMG-CoA reductase 저해제인 다양한 스타틴 (statin)류 등이 개발되어 있으나, 상기 치료제 역시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여전히 보다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또는 뇌경색 등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에 부작용이 없고 효과적인 천연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 특히,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또는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이 혈전 생성을 억제하고, 혈소판 응집 억제능이 있어 혈액순환 관련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 구체적으로는,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또는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오미자(Schisandra chinesis)"는 지름이 약 1cm의 공 모양의 짙은 붉은 과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속에는 붉은 즙과 불그스레한 갈색 종자가 1~2개 들어있다. 종류로는 북오미자, 남오미자, 흑오미자 등이 있으며, 시잔드린, 고미신, 시트럴,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주어 강장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오미자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강황( Curcumae Longae Rhizoma)"은 울금(Tumeric)이라 불리기도 하며, 한방에서 한약재로 사용되어온 생강목 생강과의 다년생 초본을 의미한다. 강황은 매운 맛과 쓴 맛을 가지고, 뿌리줄기의 겉은 연한 노란색이며, 속은 주홍빛으로 장뇌 같은 향기가 난다. 또한, 꽃 이삭이 잎보다 먼저 나오며, 4~6월에 잎 겨드랑이에서 노란 꽃이 피운다고 알려져 있다. 강황 또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강황의 줄기, 잎 또는 뿌리 부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상엽(Mulberry leaf)"은 장미목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인 뽕나무(Morus alba L.)의 잎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의학적으로는 뽕나무의 잎을 건조하여 수득한 약재를 말한다. 뽕나무의 잎은 매년 채취가 가능하고,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와 같은 2차 대사 산물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산업적으로 이용가치가 높은 약재이다. 상엽 또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부위는 상엽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뽕나무의 잎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상기 오미자를 함유하는 추출물로서, 오미자를 단독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어 "복합 추출물"은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오미자 외 다른 물질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추출한 추출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또는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오미자와 오미자 외 다른 물질을 혼합한 후 함께 추출한 추출물과 오미자와 오미자 외 다른 물질을 각각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그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물, 구체적으로는 오미자에 강황 또는 상엽을 혼합한 후 추출한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에 강황 또는 상엽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은 각 성분의 분쇄물을 건조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구체적으로는 약 3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C1) 내지 4(C4)의 저급 알콜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용출할 수 있으나, 그에 제한된 것은 아니며, 추출 온도는 20℃ 내지 100℃,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100℃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또한, 추출기간은 약 1시간 내지 4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추출물인 한,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 강황 추출물, 상엽 추출물은 천연, 잡종, 변종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문경 건오미자를 구매하여 분쇄한 후, 오미자 분쇄물 1kg을 15L의 70% 에탄올 수용액으로 80℃에서 3시간 추출 후 50℃에서 감압 농축하였고, 강황 및 상엽도 건조된 약재를 구매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 및 감압 농축하였다. 또한,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오미자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 각각 340g, 63g 및 179g을 획득한 후, 각각의 추출물을 설정된 비율에 따라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오미자 및 강황 복합 추출물은 오미자 추출물과 강황 추출물을 0.1 내지 1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2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오미자 및 상엽 복합 추출물은 오미자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을 0.1 내지 1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25 내지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혈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혈소판 응집 억제능이 있어 혈전증(thrombosis)을 포함하는 다수의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혈액순환 관련 질환"은 대사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거나, 혈전에 의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질환을 통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은 제한 없이 포함되나, 그 예로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및 뇌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고지혈증"은 중성 지방과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혈액 중에 지방량이 많아 유발되는 질환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혈액 내의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유리 지방산 등의 지질 성분이 증가된 상태로서 발생빈도가 높은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고중성지방혈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고혈압"은 동맥의 혈압이 만성적으로 높은 상태로서,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비만 등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동맥경화"는 콜레스테롤, 인지질, 칼슘 등을 함유한 지방성 물질 (plaque)이 혈관 내막에 축적되어 동맥이 단단해지고 탄력성을 잃고 좁아져 유발되는 질환으로, 혈액공급이 저해되거나 압력이 높아져 동맥이 파열 또는 박리 등이 일어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심근경색"은 심장혈관이 혈전, 연축 등의 원인으로 갑자기 막혀 심장 근육이 손상되는 질환을 의미하며, "뇌졸중"은 뇌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급속히 발생한 장애가 상당 기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뇌혈관의 병 이외에는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상태를 일컫는 질환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질환을 뇌경색 또는 허혈성 뇌졸중이라 하고, 뇌혈관의 파열로 인해 뇌 조직 내부로 혈액이 유출되어 발생하는 질환을 뇌출혈 또는 출혈성 뇌졸중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랫트의 혈액에서 수득한 혈소판에 상기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또는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을 비율을 달리하여 반응시킨 다음, 혈소판 응집 촉진물질인 콜라겐을 가하여 혈소판의 응집을 유도한 결과, 오미자-강황의 혼합비가 0.25 내지 4 : 1, 오미자-상엽의 혼합비가 0.25 내지 4 : 1인 복합 추출물에서 우수한 혈소판 응집 억제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득한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과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에서, 오미자-강황 또는 오미자-상엽의 비율을 달리한 복합 추출물을 랫트에 경구투여하고, 이 후 혈전 생성을 유도하는 카라기난(carageenan)을 랫트에 주사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나서 꼬리에 형성된 혈전을 비교해 본 결과,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과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에서 혈전 생성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이 혈액순환 관련 질환에 대하여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 구체적으로는,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또는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은 혈액순환 관련 질환, 특히 혈전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뇌경색 등의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들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최종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0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로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이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10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mg/kg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 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뇌경색 등의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는, 매일 투여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해도 좋고, 1일당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2~3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유효성분이 각각 단제인 경우의 투여횟수는 같은 횟수여도 좋고, 다른 횟수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이 이미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개, 소, 말, 토끼, 마우스, 랫트, 닭 또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전체를 의미하나, 상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포유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조성물의 개별적인 투약의 최적량 및 투약 간격은 치료되고 있는 병의 성질 및 정도, 투여 제형, 경로 및 부위, 그리고 치료되고 있는 특정 환자의 나이와 건강상태에 의해 결정될 것이고, 의사가 궁극적으로 사용될 적절한 투약을 결정할 것이라는 것은 당해 분야의 당업자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투약은 적절할 정도로 자주 반복될 수 있다. 부작용이 생긴다면, 보통의 임상 진료에 따라서 투여량 및 빈도를 변경하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복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에 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개선"은 본 발명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적용하여,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와 같은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을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또는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겔제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인위생용품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비누, 화장품, 물티슈, 휴지, 샴푸, 피부 크림, 얼굴 크림, 치약, 립스틱, 향수,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볼터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선스크린 로션,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겔 또는 세정 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외 품 조성물의 또 다른 예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충진제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 "혈액순환 관련 질환", "예방" 및 "개선"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사료첨가제 또는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첨가제"는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 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하며, 탄산수소나트륨, 벤토나이트(bentonite), 산화마그네슘, 복합광물질 등의 광물질제제, 아연, 구리, 코발트, 셀레늄 등의 미량 광물질인 미네랄제제, 케로틴, 비타민 E, 비타민 A, D, E, 니코틴산, 비타민 B 복합체 등의 비타민제, 메티오닌, 리이산 등의 보호아미노산제, 지방산 칼슘염 등의 보호지방산제, 생균제(유산균제), 효모배양물, 곰팡이 발효물 등의 생균, 효모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는 당업계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료로 제조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농후사료, 조사료 및/또는 특수사료가 포함될 수 있다.
농후사료에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液狀物)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fish soluble), 육분(肉粉),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제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사료에는 야초, 목초, 풋베기 등의 생초(生草)사료, 사료용 순무, 사료용 비트, 순무의 일종인 루터베어거 등의 뿌리채소류, 생초, 풋베기작물, 곡실(穀實) 등을 사일로에 채워 놓고 젖산발효시킨 저장사료인 사일리지(silage), 야초, 목초를 베어 건조시킨 건초, 종축용(種畜用) 작물의 짚, 콩과 식물의 나뭇잎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수사료에는 굴껍테기, 암염 등의 미네랄 사료, 요소나 그 유도체인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등의 요소사료, 천연사료원료만을 배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합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물질인 사료첨가물, 식이보조제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사료제조방법에 따라 적절한 유효 농도 범위에서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용 조성물은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조류 및 어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어느 개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은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고인슐린 혈증, 당뇨병, 간질환 등의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 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여,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은 원료 조성물 중 0.0001~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0.1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구체적으로는 약 0.02~0.03 g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과육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들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 특히,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또는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은 혈전 생성을 억제하고 혈소판 응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사료 첨가제로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비율의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의 혈전생성 억제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다양한 비율의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의 혈전생성 억제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오미자, 강황의 단독 추출물 및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의 혈전생성 억제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오미자, 상엽의 단독 추출물 및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의 혈전생성 억제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다양한 비율의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다양한 비율의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공지의 오미자 함유 19종 복합 추출물과 본 발명의 오미자 복합 추출물의 혈전 생성 억제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공지의 오미자 함유 19종 복합 추출물과 본 발명의 오미자 복합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
1-1. 오미자- 강황 복합 추출물의 제조
문경산 건오미자(1kg) 및 건조된 강황(1kg)을 각각 15L의 70% 에탄올(EtOH)을 사용하여 80℃에서 3시간 환류추출한 후 여과한 액을 5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오미자 추출물(340g) 및 강황 추출물(63g)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된 각각의 오미자 추출물 및 강황 추출물을 무게 비율로 혼합하여 오미자와 강황의 비가 각각 4:1, 2:1, 1:1, 1:2 및 1:4인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2. 오미자- 상엽 복합 추출물의 제조
문경산 건오미자(1kg) 및 건조된 상엽(1kg)을 각각 15L의 70% 에탄올(EtOH)을 사용하여 80℃에서 3시간 환류추출한 후 여과한 액을 5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오미자 추출물(340g) 및 상엽 추출물(179g)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된 각각의 오미자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무게 비율로 혼합하여 오미자와 상엽의 비가 각각 4:1, 2:1, 1:1, 1:2 및 1:4인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카라기난 ( carageenan ) 유도 혈전 동물모델에서 오미자 함유 복합 추출물들의 혈전억제 효능 평가
2-1: 오미자- 강황 복합 추출물의 혈전억제 효능 평가
8주령 ICR 생쥐(mice)에 1%의 카라기난(carrageenan)(type I)을 생리식염수에 녹인 후, 약 40 ㎕를 생쥐 오른쪽 뒷다리 발가락 사이에 주사하고, 24시간, 48시간, 72시간이 지난 후 꼬리 혈전 형성길이(tail thrombosis)를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Mitutoyo, japan)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200mg/kg을 오미자 및 강황의 비율을 달리하여 카라기난 주사 3일전부터 매일 경구투여하고, 혈전 유도 당일에는 카라기난 주사 1시간 전에 경구투여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카라기난 주사 후 23시간, 47시간 또는 71시간째에 경구투여하였다. 카라기난 주사 후 72시간이 지난 후의 꼬리 혈전 형성길이를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라기난만을 랫트에 주사한 후 72시간째에 관찰한 꼬리 혈전 생성길이는 평균 2.85cm이었으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주사한 경우에는 그 억제율이 각각 4:1인 경우 52%, 2:1인 경우 47%, 1:1인 경우 77%, 및 1:2인 경우 63%로 꼬리 혈전 생성길이가 그보다 훨씬 짧았으며, 특히, 오미자:강황의 비율이 1:1인 복합 추출물의 경우 평균 약 1.10cm로(p<0.01), 가장 우수한 혈전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혈전 생성 억제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의 경우 비율이 1:1인 경우가 가장 우수한 혈전 생성 억제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2-2: 오미자- 상엽 복합 추출물의 혈전억제 효능 평가
8주령 ICR 생쥐(mice)에 1%의 카라기난(carrageenan)(type I)을 생리식염수에 녹인 후, 약 40 ㎕를 생쥐 오른쪽 뒷다리 발가락 사이에 주사하고, 24시간, 48시간, 72시간이 지난 후 꼬리 혈전 형성길이(tail thrombosis)를 디지털 버니어 캘리퍼스(Mitutoyo, japan)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 200mg/kg을 오미자와 상엽의 비율을 달리하여 카라기난 주사 3일전부터 매일 경구투여하고, 혈전 유도 당일에는 카라기난 주사 1시간 전에 경구투여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카라기난 주사 후 23시간, 47시간, 71시간째에 경구 투여하였다. 카라기난 주사 후 72시간이 지난 후의 꼬리 혈전 형성길이를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도 2).
그 결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라기난만을 랫트에 주사한 후 72시간째에 관찰한 꼬리 혈전 생성길이는 평균 2.73cm이었으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주사한 경우에는 그 억제율이 4:1인 경우 39%, 2:1인 경우 37%, 1:1인 경우 69%, 1:2인 경우 72%, 1:4인 경우 53%로, 꼬리 혈전 생성길이가 그보다 훨씬 짧았으며, 특히, 오미자:강황의 비율이 1:2인 복합 추출물의 경우 꼬리 혈전 생성길이의 평균값이 평균 약 1.06cm로(p<0.001), 가장 우수한 혈전 억제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혈전 생성 억제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혈전 생성 억제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2-3: 오미자, 강황 단독 추출물의 혈전억제 효능 평가 및 복합 추출물의 상승 효과 분석
본원발명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 구체적으로는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이 오미자 또는 강황 단독 추출물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1과 동일한 실험을 오미자 또는 강황 단독 추출물에 대해 실시한 후 복합 추출물의 효과와 비교해보았다. 또한,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효과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실시예 2-1에서 실험한 농도 200mg/kg 보다 낮은 농도 100mg/kg에서도 실험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그 결과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미자 및 강황 단독 추출물 각각의 꼬리 혈전 생성 억제율은 각각 36% 및 21%였으나,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100mg/kg의 경우에는 억제율이 45%이었으며, 특히, 실시예 2-1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한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200mg/kg의 억제율은 84%로 나타나,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ASA 및 Ticlopidine의 억제율에 거의 필적하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이 각각의 단독 추출물보다 상승 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콜비식으로 계산해 본 결과, 각각의 억제율인 36%, 및 21%를 이용하여 계산한 콜비식 E의 값은 49%((36+21)-(36x21/100))인데 반해,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의 실제 억제율은 84%라는 점에서, 본 발명의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은 단독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효과보다 훨씬 큰 상승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2-4: 오미자, 상엽 단독 추출물의 혈전억제 효능 평가 및 복합 추출물의 상승 효과 분석
본원발명의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 구체적으로는,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이 오미자 또는 상엽 단독 추출물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2와 동일한 실험을 오미자 또는 상엽 단독 추출물에 대해서도 실시한 후 복합 추출물의 효과와 비교해 보았다. 또한,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효과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실시예 2-2에서 실험한 농도 200mg/kg보다 낮은 농도 100mg/kg에서도 실험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그 결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미자 및 상엽 단독 추출물 각각의 꼬리 혈전 생성 억제율은 각각 36% 및 41%였으나,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 100mg/kg의 경우에는 억제율이 46%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2-2와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한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200mg/kg의 억제율은 92%로 나타나,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ASA 및 Ticlopidine의 억제율을 능가하는 혈전 생성 억제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이 각각의 단독 추출물보다 상승 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콜비식으로 계산해 본 결과, 각각의 억제율인 36% 및 41%를 이용하여 계산한 콜비식 E의 값은 62%((36+41)-(36x41/100))인데 반해,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의 실제 억제율은 92%라는 점에서, 본 발명의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은 단독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효과보다 훨씬 큰 상승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오미자 함유 복합 추출물들의 ex - vivo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3-1: 오미자- 강황 복합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의 ex-vivo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 예 2-2에서 꼬리의 혈전길이를 측정 한 SD rat를 마취한 후, 복강 안쪽에 있는 동맥 혈액을 천천히 채혈하여 3.2% 쇼듐시트레이트 항응고제가 들어 있는 튜브에 혈액을 담은 후, 채혈한 혈액을 1,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분리된 혈소판 풍부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은 다시 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얻은 무혈소판혈장(platelet poor plasma)으로 희석하여 혈소판 수 4.0×108을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혈소판 응집 억제 활성은 PRP를 통해 혈소판 응집을 확인하는 빛을 이용한(optical) 방법으로, 혈소판의 응집에 따른 전기저항 변화와 광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혈액 245 ㎕를 큐벳(cuvette)에 넣고 혈소판 응집기 700-2 (Chrono-Log. Havertown, PA)를 사용하여 37℃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오미자와 강황의 비율을 달리한 오미자-강황 복합 추출물 시료들을 각각 2.5 ㎕ 가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베이스라인(baseline)을 확인한 후, 혈소판 응집 촉진물질인 콜라겐 10 ㎍/㎖을 넣어 1,200 rpm으로 교반하면서 37℃에서 최대 10분 동안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혈소판과 콜라겐만을 반응시켰을 때의 혈소판의 응집율이 100인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해보면,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 특히, 오미자-강황의 복합 추출물의 경우 80.94 내지 92.44의 범위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모두 대조군 대비 우수한 혈소판 응집 억제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도 5).
3-2: 오미자- 상엽 복합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의 ex-vivo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 예 2-3에서 꼬리의 혈전길이를 측정 한 SD rat를 마취한 다음 복강 안쪽에 있는 동맥 혈액을 천천히 채혈하여 3.2% 쇼듐시트레이트 항응고제가 들어 있는 튜브에 혈액을 담았다. 채혈한 혈액을 1,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분리된 혈소판 풍부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은 다시 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얻은 무혈소판혈장(platelet poor plasma)으로 희석하여 혈소판 수 4.0×108을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혈소판 응집 억제 활성은 PRP를 통해 혈소판 응집을 확인하는 빛을 이용한(optical) 방법으로, 혈소판의 응집에 따른 전기저항 변화와 광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혈액 245 ㎕를 큐벳(cuvette)에 넣고 혈소판 응집기 700-2 (Chrono-Log. Havertown, PA)를 사용하여 37℃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오미자와 상엽의 비율을 달리한 오미자-상엽 복합 추출물 시료들을 각각 2.5 ㎕ 가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베이스라인(baseline)을 확인한 후, 혈소판 응집 촉진물질인 콜라겐 10 ㎍/㎖을 넣어 1,200 rpm으로 교반하면서 37℃에서 최대 10분 동안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혈소판과 콜라겐만을 반응시켰을 때의 혈소판의 응집율이 100인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해보면,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 특히, 오미자-상엽의 복합 추출물의 경우 86.85 내지 97.65 의 범위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모두 대조군 대비 우수한 혈소판 응집 억제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공지된 오미자 함유 19종 복합 추출물과의 혈액순환 관련 질환에 대한 효과 비교
4-1: 혈전 생성 억제능 비교
본 발명의 오미자 함유 복합 추출물이 공지의 복합 추출물보다 혈액 순환 관련 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 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미자 함유 복합 추출물과 오미자, 강황, 상엽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오미자 함유 19종 복합 추출물(대한민국 특허 제2012-0095504호, 이하 ‘공지의 복합물’이라 함)의 혈전 생성 억제능을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보았다. 상기 공지의 복합물은 오미자, 메밀, 보리, 생지황, 비름나물, 쥐눈이콩, 돼지감자, 팥, 홍개, 강황, 뽕잎, 진피, 구절초, 차가버섯, 오가피, 하수오, 대추, 문어, 도토리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로, 혈액 내 콜레스테롤을 억제하고 혈관 정화 기능을 가진다고 알려진 복합 추출물이다.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카라기난(carageenan) 유도 혈전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공지의 복합물(200mg/kg, 400mg/kg)의 혈전 생성 억제능을 실험한 후,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지의 복합물은 카라기난만 주사한 경우의 혈전 생성 길이와 큰 차이가 없어 혈전 생성 억제능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오미자-강황(1:1) 복합 추출물 및 오미자-상엽(1:2) 복합 추출물의 경우에는 실시예 2를 통해 확인한 바와 같이, 꼬리 혈전 생성 길이 평균값이 각각 1.10cm 및 1.06cm으로 카라기난만 주사한 경우보다 혈전 생성 억제능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나 상기 공지의 복합물과 비교할 때, 현저히 우수한 혈전 생성 억제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4-2: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비교
본 발명의 오미자 함유 복합 추출물이 공지의 복합물보다 혈액 순환 관련 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 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미자 함유 복합 추출물과 공지의 복합물을 실시예 3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비교해보았다. 구체적으로, 공지의 복합물은 200mg/kg 및 400mg/kg의 2가지 농도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아스피린(25mg/kg)을, 혈소판 응집 자극 물질로는 콜라겐(10㎍/m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지의 복합물은 콜라겐으로 혈소판이 응집된 경우를 100%로 할 때 오미자-강황 및 오미자-상엽 복합물은 200 mg/kg 저용량에서 88.8% 및 86.8%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고 감소한 반면, 공지의 복합물(선행기술)은 200 mg/kg 용량에서 105.8% 나타내어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가지지 않았으며 400 mg/kg의 고용량에서도 92.5%의 약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별다른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가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는바, 공지의 복합물은 오미자에 강황과 상엽 외에도 17종의 기타 활성 성분으로 모두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추출물보다 그 효과가 유의미하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혈액순환 관련 질환은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및 뇌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이고,
    상기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은 오미자; 및 강황 또는 상엽 추출물인 것인,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및 강황은 0.25 내지 4 :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및 상엽은 0.25 내지 4 : 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것인,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 치료 방법으로서,
    상기 혈액순환 관련 질환은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및 뇌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인, 치료방법.
  11.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상기 혈액순환 관련 질환은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및 뇌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이고, 상기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은 오미자; 및 강황 또는 상엽 추출물인 것인, 의약외품 조성물.
  12.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첨가제로서,
    상기 혈액순환 관련 질환은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및 뇌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이고, 상기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은 오미자; 및 강황 또는 상엽 추출물인 것인, 사료첨가제.
  13.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혈액순환 관련 질환은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심근경색, 뇌졸중 및 뇌경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이고, 상기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은 오미자; 및 강황 또는 상엽 추출물인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KR1020160127754A 2016-10-04 2016-10-04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8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54A KR101988579B1 (ko) 2016-10-04 2016-10-04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7/011049 WO2018066956A1 (ko) 2016-10-04 2017-09-29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754A KR101988579B1 (ko) 2016-10-04 2016-10-04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642A KR20180037642A (ko) 2018-04-13
KR101988579B1 true KR101988579B1 (ko) 2019-06-14

Family

ID=6183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754A KR101988579B1 (ko) 2016-10-04 2016-10-04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8579B1 (ko)
WO (1) WO2018066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548B1 (ko) * 2020-07-02 2022-11-30 한두레축산 영농조합법인 오미자 사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오미자 사료 조성물을 이용한 한우 사육방법
KR102365311B1 (ko) * 2021-11-12 2022-02-23 이하양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령견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9516B (en) * 2000-12-12 2010-09-01 Kaneka Corp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multiple risk factor syndromes and visceral fat-type obesity
KR20040057278A (ko) * 2002-12-26 2004-07-02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오미자 추출물을 이용한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733984B1 (ko) * 2004-07-19 2007-06-29 이동웅 한약재와 곤약을 이용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793204B1 (ko) * 2006-05-18 2008-01-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87685B1 (ko) * 2012-09-24 2014-04-21 이철우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50026695A (ko) * 2013-08-30 2015-03-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0385B1 (ko) * 2014-07-25 2017-03-2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956A1 (ko) 2018-04-12
KR20180037642A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EP1913943B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composition for hemoglobinuria or myoglobinuria
KR101610466B1 (ko) 포도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2233A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8579B1 (ko)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27545B2 (ja) ガレート型カテキンとタンパク質との複合体およびカフェインを含む抗肥満組成物の製造方法
KR20200140749A (ko)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00022926A (ko) 산국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KR101516764B1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2408B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18404B1 (ko)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20110122961A (ko) 헴프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66852B1 (ko) 비타민나무잎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내 지질 개선 조성물
KR20200022930A (ko) 우엉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KR102352636B1 (ko)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시킴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80290B1 (ko) 아메리카왕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6806B1 (ko) 오에노테인 b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 감량용 조성물
KR102380291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2255B1 (ko) 목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741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6612A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08810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e as effective component for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ar diseases, or improving muscule functions
KR20210157502A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10158444A (ko) 자바투메릭 또는 잔소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