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926A - 산국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 Google Patents

산국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926A
KR20200022926A KR1020180099154A KR20180099154A KR20200022926A KR 20200022926 A KR20200022926 A KR 20200022926A KR 1020180099154 A KR1020180099154 A KR 1020180099154A KR 20180099154 A KR20180099154 A KR 20180099154A KR 20200022926 A KR20200022926 A KR 20200022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inal
disease
eye
composition
ma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심재원
박재호
최윤상
곽한섭
김동희
최예림
유인선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9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926A/ko
Publication of KR2020002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국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에 관한 것으로, 망막색소상피세포 내 A2E 축적을 저해하고 세포사멸을 억제함으로써, 황반 변성과 같은 다양한 망막 질환을 예방, 개선, 완화 및 치료할 수 있고, 이러한 질환 또는 눈의 피로, 노화 등에 의한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 눈 건강의 유지 또는 증진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의약외품, 또는 사료첨가물 등 다양한 제품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산국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Use of Chrysanthemum boreale extract for eye health}
본 발명은 산국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로, 특히, 다양한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완화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사람들은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건강수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인구고령화 및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하여 만성질환이 증가하였고, 이와 같은 요인으로 눈에 관한 다양한 질환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 중 하나로, 황반변성은 선진국에서 발생하는 성인 실명 원인 1위의 질병으로, 이미 미국에서 노인 실명의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녹내장, 당뇨망막 병증 등과 함께 4대 망막질환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고령인구의 증가로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황반변성은 건성 황반변성과 습성 황반변성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황반변성 중에서 건성황반변성이 90%를 차지하고 습성황반변성이 10%정도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치료제는 습성황반변성을 타겟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는 건성황반변성이 자각증상이 없고 건성황반변성이 습성황반변성으로 더 진행되어 시야에 문제가 생기는 증상이 나타나야지만 치료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건성황반변성을 치료하는 치료제 개발 뿐만 아니라, 시력 보호, 눈의 건강을 위해서 예방까지 가능한 장기 복용할 수 있는 식품 소재들을 개발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1. 미국등록특허 US 8372450 2. 중국공개특허 CN 104958400
본 발명의 목적은 산국 추출물의 눈 건강 유지, 증진 또는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다양한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눈 건강 유지, 증진 또는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예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눈 건강 유지, 증진 또는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눈 건강 유지, 증진 또는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식품첨가물은 외관, 향미, 조직 또는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보통 적은 양이 식품에 의도적으로 첨가되는 것을 가리키며, 식품의 품질을 개량하여, 보존성 또는 기호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영양가 및 식품의 실질적인 가치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식품위생법 제2조 제2호에서 정의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식품을 제조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 혼합, 침윤, 기타의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류, 빵류, 쵸코렛류,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은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 등의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산국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산국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상기 산국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산국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산국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산국(Chrysanthemum boreale)은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본 발명에 따른 산국 추출물은 산국의 꽃, 잎, 줄기, 열매, 뿌리 등 다양한 부위로부터 얻은 식물을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따라 얻은 것으로, 일 예로, 식물 자체, 그 분쇄물에 추출용매를 가함으로써 제조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더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추출법 등 다양한 추출법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용매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으며, 예컨대, 에탄올, 메탄올 등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추출물들은 추출 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는 일예로,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 또한 감압농축기, 일예로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할 수 있으며, 건조는 동결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눈 건강 유지, 눈 건강 증진,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에 있어서, 특히 눈 손상은 눈의 피로, 눈의 기능 저하, 눈의 노화, 눈의 안구건조 증상, 다양한 망막질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눈 건강 유지, 눈 건강 증진,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에 있어서 망막은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이러한 망막의 황반변성을 예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황반변성, 특히 건성황반변성을 유발하는 원인에 대하여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일반적으로, 청색광, 나이, 담배, 유전 등이 알려져 있다. A2E (pyridinium bisretinoide)는 알데하이드와 에탄올아민 반응의 생성물로써, 망막색소상피세포에 축적되어 노화와 유전적 망막 질환을 일으키는 리포푸신(lipofuscin)의 주요 구성성분 중 하나로써 황반변성증 원인 중 하나이다. A2E가 광산화되면 망막상피세포에 독성을 유발하기 때문에, 저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A2E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국 추출물은 망막색소상피세포에 대해 우수한 A2E 축적 억제능 및 A2E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능을 가지고 있어, 눈 건강 유지, 증진 및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진다.
일 구현예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용어 "예방"은, 예를 들어, 질환 원인에의 노출에 의해, 질병이 생길 위험이 있는 무증상 대상체에서, 질병 또는 질병과 관련된 증상의 출현을 차단함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치료"는 발병된 후에 질병 또는 병리학적 상태의 징후 또는 증상을 개선하는 치료적 개재를 지칭한다. 상기 질병 또는 병리학적 상태의 징후 또는 증상과 관련한 "개선" 및 “완화”는 치료의 관찰 가능한 이로운 효과를 지칭한다. 이로운 효과는 걸리기 쉬운 대상에서 질병의 임상적인 증상의 지연된 발병, 질병의 일부 또는 모든 임상 증상의 중증도의 감소, 질병의 보다 느린 진행, 대상의 전반적인 건강 또는 복지의 개선, 또는 특정 질병에 특이적인 것으로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다른 변수에 의해 증명될 수 있다. 망막 질환의 치료는, 예를 들어, 시력의 개선, 망막 질환으로 인한 임상 증상의 감소, 또는 안구의 건조 정도, 예를 들어 망막 질환에 특이적인 것으로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다른 변수에 의해 증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질병 또는 장애의 징후 또는 증상의 예방, 감소, 경감 또는 제거를 포함하나, 제한되지 않는 유익한 결과와 같은, 바람직한 생물학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 양을 “유효량”이라 한다. 따라서, 조성물 또는 방법의 각 활성 성분의 총량은 유의미한 개체의 이익을 나타내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유효량은 투여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유효양은 1 이상의 예방적 또는 치료적 투여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망막질환으로는 색소성 망막염 (RP), 레베르 선천 흑암시 (LCA), 스타가르트병, 어셔 증후군, 맥락막 결여, 로드-콘 또는 콘-로드 디스트로피, 섬모병증, 미토콘드리아 장애, 진행성 망막 위축증, 퇴행성 망막 질환, 노인성 황반 변성 (AMD), 습성 황반 변성, 건성 황반 변성, 지도상 위축증, 가족형 또는 획득 황반병증, 맥락막 흑색종, 겸상 적혈구 망막증, 망막하 혈관 신생, 맥락 막 혈관신생, 망막 광수용체 질환, 망막 색소 상피-계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 부종, 낭포성 황반 부종, 포도막염, 망막박리, 외상성 망막 손상, 의원성 망막 손상, 황반 원공, 황반 모세관 확장증, 신경절 세포 질환, 시신경 세포 질환, 녹내장, 시신경병증, 허혈성 망막 질환, 미숙아 망막증, 망막 혈관 폐색, 결절맥락막혈관병증, 망막저산소증,가족형 마크로아뉴리즘, 망막 혈관 질환, 안혈관 질환, 녹내장으로 인한 망막신경세포 퇴화 및 허혈성 시신경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 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사용된 성분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mg/kg 또는 0.001 내지 5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전신 또는 국소 적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경구 투여, 정맥 주사 (주입 포함), 안구 국소 투여 (예, 안구주위 (예, 하위장부 (subTenon's)), 결막하, 안구내, 유리체내, 전방내, 망막하, 맥락막위 및 안구뒤 투여) 등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부형제, 희석제, 충전제, 용해제, 윤활제, 보조제, 결합제, 붕괴제, 피복제, 캡슐화제, 연고 기제, 좌약 기제, 에어로졸화제, 유화제, 분산제, 현탁제, 증점제, 긴장제 (tonicity agent), 완충제, 진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교정제, 풍미제, 착색제, 시클로덱스트린 및 생분해성 중합체와 같은 기능성 물질, 안정화제와 같은, 본 발명의 산국 추출물과 함께 사용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당업계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약학문헌에 기재된 것들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고체 조성물의 예는 정제, 구중정, 설하정, 캡슐제, 환약, 분말제, 과립제 등을 포함한다. 고체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이외의 첨가제, 예를 들어 윤활제, 붕괴제 및 안정화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정제 및 환약은 필요에 따라 장용 또는 위장용 필름으로 피복할 수 있다. 이들은 2 이상의 층으로 피복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서방성 물질에 흡착될 수 있거나, 또는 마이크로캡슐화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조성물은 젤라틴과 같은 용이하게 분해 가능한 물질에 의해 캡슐화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지방산 또는 이의 모노, 디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적절한 용매에 용해되어 연질 캡슐제가 될 수 있다. 설하정은 급속 작용 성질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액체 조성물의 예는 유화액,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릭시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어 정제수 또는 에틸 알코올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 보조제, 예를 들어 습윤제 및 현탁제, 감미제, 풍미제, 향료 및 방부제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으며,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비경구 투여용의 주사용 조성물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주사용 조성물의 예는 멸균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현탁액 및 유화액을 포함한다. 수성 용액 또는 현탁액용 희석제는, 예를 들어 주사용 증류수, 생리학적 식염수 및 링거액을 포함할 수 있다. 용액 및 현탁액 용의 비수성 희석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오일, 에탄올 및 폴리소르베이트와 같은 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습윤제, 유화제, 분산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세균 보유 필터에 의한 여과, 멸균자와의 배합, 또는 기체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 조사 멸균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주사용 조성물은 또한 사용전에 주사용 멸균 용매에 용해되도록 멸균 분말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점안액 및 안 연고와 같은 안과용 조성물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형태는 안과 분야에서 사용되는 안구 국소 투여용의 모든 안과용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안액은 활성 성분을 식염수 및 완충액과 같은 멸균 수용액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점안액은 사용전에 용해되도록 분말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전에 용해되도록 분말 조성물과 배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안 연고는 활성 성분을 연고 기제에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다.
또한, 안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예를 들어 완충제 (예, 붕산, 인산일수소나트륨 및 인산이수소나트륨), 방부제 (예,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벤제토늄 클로라이드 및 클로로부탄올), 증점제 (예, 락토오스, 만니톨 및 말토오스와 같은 당류; 예, 히알루론산 또는 나트륨 히알루로네이트 및 칼륨 히알루로네이트와 같은 이의 염; 예,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같은 뮤코다당류; 예, 나트륨 폴리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및 가교 폴리아크릴레이트)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안 연고로서 제조하는 경우, 조성물은 상기 첨가제 이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 연고 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안 연고 기제는 바셀린, 유동 파라핀, 폴리에틸렌, 셀렌 50, 플라스티베이스, 마크로골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오일 기제; 계면활성제로 에멀젼화한 유상 및 수상을 갖는 에멀젼 기제;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수용성 기제를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점안액은 벤잘코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는 멸균 단위 투여형 제제 (1 일형 또는 단일 단위 투여형) 로서 제제화할 수 있다.
안과용 조성물은 또한 눈의 뒷부분까지 유효성분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겔 제제, 리포솜 제제, 지질 마이크로에멀젼 제제, 마이크로스피어 제제, 나노스피어 제제 및 임플란트 제제와 같은 서방성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안액의 활성성분의 농도 및 투여 횟수는, 예를 들어 사용되는 산국 추출물, 피험자의 종류(예, 동물 또는 사람), 연령, 체중, 치료하고자 하는 증상, 원하는 치료 효과, 투여 방법, 투여량 및 치료 기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적합한 농도 및 투여 횟수는 필요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 활성성분 또는 2 종 이상의 활성 성분의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복수의 활성성분의 조합에 있어서, 이들의 각 함량은 이들의 치료 효과 및 안전성을 고려해서 적절히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기타 약리학적 활성 성분을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산국 추출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완화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될 적합한 개체는 포유동물 개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유동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간, 개(canine), 고양잇과동물(feline), 소(bovine), 염소(caprine), 말(equine), 양(ovine), 돼지(porcine), 설치류(rodents), 토끼목(lagomorphs), 영장류(primates) 등을 포함하고, 자궁 내의(in utero) 포유동물을 포함한다. 개체는 양쪽 성(性) 모두 일 수 있고 발생(development)의 임의의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방법의 투여 경로는, 정맥내, 복막내, 피하, 두개내, 진피내, 균육내, 안내, 척수강내, 뇌내, 비강내, 근육을 통하여, 흡입에 의해, 경구로, 직장으로, 점적, 패치 및 임플란트에 의한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경구 투여, 정맥 주사 (주입 포함), 안구 국소 투여 (예, 안구주위 (예, 하위장부 (subTenon's)), 결막하, 안구내, 유리체내, 전방내, 망막하, 맥락막위 및 안구뒤 투여) 등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게 투여된 산국 추출물의 투여량은 목적 반응을 초래하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이러한 반응은 치료가 요구되거나 바람직한 이익을 초래하는, 질병의 부작용의 예방 또는 반전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투여량이 다양한 인자, 예컨대 연령, 상태, 인간의 체중, 및 공급원, 질병의 구체적인 유형, 및 인간의 질병의 정도에 의존할 것임을 인식할 것이다. 투여량의 크기는 투여의 경로, 시기 및 빈도, 및 특정 유효성분의 투여 및 바람직한 생리학적 효과에 수반될 수 있는 임의의 부작용의 존재, 성질 및 정도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다양한 병태 또는 질병 상태가 다중 투여를 비롯한 연장된 치료를 필요로 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인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적합한 투여량 및 투여 섭생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범위-측정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유효성분의 최적 투여량보다 적은 보다 작은 투여량으로 개시된다. 이어서, 투여량은 환경 하에 최적 효과가 도달될 때까지 적은 증분만큼 증가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전형적으로 동물 또는 포유동물의 체중 1 kg 당 약 0.1 내지 약 300 mg의 하나 이상의 상기 추출물의 투여를 포함할 것이다.
투여된 유효성분의 치료 효과량은 목적 효과 및 상기 제시된 인자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투여량은 대상의 체중을 기준으로 0.01 내지 250 ㎎/㎏, 더욱 전형적으로 약 0.05 내지 100 ㎎/㎏, 예컨대 약 0.2 내지 약 80 ㎎/㎏, 약 5 내지 약 40 ㎎/㎏ 또는 약 10 내지 약 30 ㎎/㎏일 것이다. 따라서, 단위 투여 형태는 상기 인용된 적합한 범위 및 대사의 체중을 기준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단위 투여 형태"는 치료될 대상에게 적절한 치료제의 물리적으로 별개의 단위를 지칭한다.
다르게는, 투여량의 신체 표면적을 기준으로 계산되고, 약 1 내지 약 200 ㎎/m2, 예컨대 약 5 내지 약 100 ㎎/m2이 매일 대상에게 투여될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 효과량의 추출물의 투여는 매일 약 5 내지 약 50 ㎎/m2, 예컨대 약 10 내지 약 40 ㎎/m2를 대상에게 투여함을 포함한다. 현재, 추출물의 단일 투여량이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치료 효과적인 투여량은 연장된 기간에 걸쳐 또는 매일 다중 투여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투여 형태는 또한 상기 인용된 적합한 범위 및 바람직한 투여 계획을 기준으로 대상의 신체 표면적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망막 질환을 예방, 완화,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색소성 망막염 (RP), 레베르 선천 흑암시 (LCA), 스타가르트병, 어셔 증후군, 맥락막 결여, 로드-콘 또는 콘-로드 디스트로피, 섬모병증, 미토콘드리아 장애, 진행성 망막 위축증, 퇴행성 망막 질환, 노인성 황반 변성 (AMD), 습성 황반 변성, 건성 황반 변성, 지도상 위축증, 가족형 또는 획득 황반병증, 망막 광수용체 질환, 망막 색소 상피-계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 낭포성 황반 부종, 포도막염, 망막박리, 외상성 망막 손상, 의원성 망막 손상, 황반 원공, 황반 모세관 확장증, 신경절 세포 질환, 시신경 세포 질환, 녹내장, 시신경병증, 허혈성 망막 질환, 미숙아 망막증, 망막 혈관 폐색, 가족형 마크로아뉴리즘, 망막 혈관 질환, 안혈관 질환, 녹내장으로 인한 망막신경세포 퇴화 및 허혈성 시신경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질환을 예방, 완화,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않으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하며, 피부 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도 포함한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치제, 크림제, 산제, 현탁제, 젤제 또는 젤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인위생용품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비누, 화장품, 물티슈, 휴지, 샴푸, 피부 크림, 얼굴 크림, 치약, 립스틱, 향수,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볼터치,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선크림 로션, 모발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젤 또는 세정 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안구 세정액, 물티슈, 핸드워시, 가습기 세정제, 연고제 및 필터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품의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로, 상기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은 동물의 눈 건강 유지, 증진 또는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것일 수 있고, 이러한 사료 첨가제는 분말, 과립 또는 정제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첨가제"는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하며, 탄산수소나트륨, 벤토나이트(bentonite), 산화마그네슘, 복합광물질 등의 광물질제제, 아연, 구리, 코발트, 셀레늄 등의 미량 광물질인 미네랄제제, 케로틴, 비타민 A D, E, 니코틴산, 비타민 B 복합체 등의 비타민제, 메티오닌, 라이신 등의 보호아미노산제, 지방산 칼슘염 등의 보호지방산제, 생균제(유산균제), 효모배양물, 곰팡이 발효물 등의 생균, 효모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료로 제조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농후 사료, 조사료 및/또는 특수사료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농후사료에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fish soluble), 육분,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제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사료에는 야초, 목초, 풋베기 등의 생초 사료, 사료용 순무, 사료용 비트, 순무의 일종인 루터베어거 등의 뿌리채소류, 생초, 풋베기작물, 곡실 등을 사일로에 채워 놓고 젖산발효시킨 저장사료인 사일리지(silage), 야초, 목초를 베어 건조시킨 건초, 종축용 작물의 짚, 콩과 식물의 나뭇잎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수사료에는 굴껍데기, 암염 등의 미네랄 사료, 요소나 그 유도체인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등의 요소사료, 천연사료원료만을 배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합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물질인 사료첨가물, 식이보조제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사료 제조방법에 따라 적절한 유효 농도 범위에서 퓨코스테롤, 모자반, 모자반 분쇄물, 모자반 추출물, 톳, 톳 분쇄물 또는 톳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예를 들면, 개, 고양이, 원숭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개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국 추출물은 눈의 건강 유지, 개선, 눈 손상 방지, 또는,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치 또는 분무제 등을 포함하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산국 추출물 외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국 추출물은 망막색소상피세포 내 A2E 축적을 저해하고 세포사멸을 억제함으로써, 황반 변성과 같은 다양한 망막 질환을 예방, 개선, 완화 및 치료할 수 있고, 이러한 질환 또는 눈의 피로, 노화 등에 의한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 눈 건강의 유지 또는 증진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국 추출물의 A2E 축적 저해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국 추출물의 A2E 세포사멸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산국 추출물의 제조
건조 산국을 시료로하여, 건조시료 : 100% 주정을 1: 10의 부피비율로 하여 4시간 동안 sonication 하였다. 추출 완료 후 Evaporator 또는 vacuum을 통해서 주정을 날리고 -70℃에서 보관하였다. 비건조인 경우, 먼저 동결건조기를 통해서 시료를 건조시킨 후 믹서기로 균일하게 갈고 건조시료와 동일하게 한 후 앞선 건조 시료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stock solution은 동결건조된 시료를 DMSO에 녹여서 100mg/mL의 stock solution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산국 추출물에 의한 A2E 축적 억제능 확인
산국 추출물을 처리 후 ARPE-19 세포에서의 A2E 축적 억제능 및 세포사멸 억제능을 살펴보았다. 추출물 처리 후, 다음날 A2E를 축적시키는 방법으로 아래 순서대로 3회 반복실험하였다:
ARPE-19 세포 씨딩 (24-well plate, 2x10⁴ cells/well) → 산국추출물 처리(24h incubation, 2 day, 5 day, 8 day) → A2E 축적(24h incubation, 3 day, 6 day, 9 day, 10 μM 각각 처리) → 세포 수확(cell scrap&harvest)하여, A2E 추출 후 정량(10 day)(HPLC)
Figure pat00001
[그림 1] 산국추출물 처리 일정.
ARPE-19의 세포배양은 100 mm culture dish에 confluence(70-80 %) 정도로 증식시켜 사용하였다. 세포배지는 DMEM(Dulbecco Minimal Essential Medium)/F12 배지와 송아지의 태반 혈장(Fetal bovine serum), 항생제를 섞어 (DMEM/F12:FBS:항생제(penicillin/streptomycin)= 90:10:1) 기본 배지로 사용하였다. 세포배양 dish에 80 % confluence가 되었을 때 24well plate에 2x10⁴ cells/well로 분주하여 익일 추출물을 준비한 후 각 well에 처리하였다(final concentration 30 μg/mL, 24h incubation, 2 day, 5 day, 8 day).
A2E stock solution (10 mM in DMSO)을 희석하여 10x인 100 μM을 만든 후 final concentration 10 μM이 되도록 처리하였다(DMEM/F12:10x A2E=9:1, 24h incubation, 3 day, 6 day, 9 day). PBS로 washing 후 triton x-100을 PBS에 넣어주어 0.5 %를 만들어주어 200 μL를 처리하였다. Ice 위에서 각 well을 스크랩핑 및 수확(scraping&harvest)하여 1.5 mL tube에 넣고, 모아 놓은 세포를 sonication 시켰다(1분). BCA assay를 실시하여 protein level을 측정하고, 남은 protein과 함께 동량의 클로로포름을 넣어 흔들고 5-10min 가량 놔둔 후 클로로포름 층만을 따서 모았다(3회 반복). 모은 클로로포름을 유기용매용 시린지(syringe)를 사용하여 PTFE용 filter를 이용해 filteration하여 1.5 mL tube에 담았다. 질소 가스로 클로로포름을 완전히 날린 후 EtOH 50 μL로 남은 물질을 녹여 차광 바이알에 넣은 후 HPLC로 분석하였다.
HPLC 조건.
Contents Value
Gradient of acetonitrile + water
(containing 0.1% trifluoroacetic acid)
-5~0min (85 %)
0~10min (96 %)
10~15min (96 %)
15~17min (100 %)
17~30min (100 %)
Flow rate 1 mL/min
column ZORBAX Eclipse XDB-C18(4.6 x 250 mm, 5 μm)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A2E만을 처리한 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산국 추출물은 확연히 우수한 축적 억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산국추출물에 의한 A2E 세포사멸 억제능 확인
세포배양은 100 mm culture dish에 confluence(70-80 %) 정도로 증식시켜 사용하였다. 세포배지는 DMEM(Dulbecco Minimal Essential Medium)/F12 배지와 송아지의 태반 혈장(Fetal bovine serum), 항생제를 섞어 (DMEM/F12:FBS:항생제(penicillin/streptomycin)= 90:10:1) 기본 배지로 사용하였다. 세포배양 dish에 80 % confluence가 되었을 때 96well plate에 2x10⁴ cells/well로 분주하여 익일 추출물을 준비한 후 각 well에 처리하였다(24h incubation, final concentration 30 μg/mL). A2E stock solution (10 mM in DMSO)을 희석하여 10x인 250 μM을 만든 후 final concentration 25 μM이 되도록 처리하였다(DMEM/F12:10x A2E=9:1, 24h incubation). 24h 후 각 well에 CCK-8 (Cell counting kit-8) 용액 10 μL를 넣고 3시간 뒤 spectramax를 이용(Excitation 450nm-Emission 650nm)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뒤 normalization(각 시간 실험군 흡광도/각 시간 대조군 흡광도)하여 cell viability를 확인했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A2E만을 처리한 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루테인이나 비타민을 처리한 군에 비해서도 세포 생존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A2E에 의한 세포 사멸이 산국추출물에 의해 억제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눈 건강 유지, 증진 또는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 손상은 눈의 피로, 눈의 기능 저하, 눈의 노화, 눈의 안구건조증상, 망막질환에 의해 발생되는 눈 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건강 유지, 증진 또는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건강 유지, 증진 또는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 질환은 색소성 망막염 (RP), 레베르 선천 흑암시 (LCA), 스타가르트병, 어셔 증후군, 맥락막 결여, 로드-콘 또는 콘-로드 디스트로피, 섬모병증, 미토콘드리아 장애, 진행성 망막 위축증, 퇴행성 망막 질환, 노인성 황반 변성 (AMD), 습성 황반 변성, 건성 황반 변성, 지도상 위축증, 가족형 또는 획득 황반병증, 맥락막 흑색종, 겸상 적혈구 망막증, 망막하 혈관 신생, 맥락 막 혈관신생, 망막 광수용체 질환, 망막 색소 상피-계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 부종, 낭포성 황반 부종, 포도막염, 망막박리, 외상성 망막 손상, 의원성 망막 손상, 황반 원공, 황반 모세관 확장증, 신경절 세포 질환, 시신경 세포 질환, 녹내장, 시신경병증, 허혈성 망막 질환, 미숙아 망막증, 망막 혈관 폐색, 결절맥락막혈관병증, 망막저산소증,가족형 마크로아뉴리즘, 망막 혈관 질환, 안혈관 질환, 녹내장으로 인한 망막신경세포 퇴화 및 허혈성 시신경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건강 유지, 증진 또는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 질환은 색소성 망막염 (RP), 레베르 선천 흑암시 (LCA), 스타가르트병, 어셔 증후군, 맥락막 결여, 로드-콘 또는 콘-로드 디스트로피, 섬모병증, 미토콘드리아 장애, 진행성 망막 위축증, 퇴행성 망막 질환, 노인성 황반 변성 (AMD), 습성 황반 변성, 건성 황반 변성, 지도상 위축증, 가족형 또는 획득 황반병증, 맥락막 흑색종, 겸상 적혈구 망막증, 망막하 혈관 신생, 맥락 막 혈관신생, 망막 광수용체 질환, 망막 색소 상피-계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 황반 부종, 낭포성 황반 부종, 포도막염, 망막박리, 외상성 망막 손상, 의원성 망막 손상, 황반 원공, 황반 모세관 확장증, 신경절 세포 질환, 시신경 세포 질환, 녹내장, 시신경병증, 허혈성 망막 질환, 미숙아 망막증, 망막 혈관 폐색, 결절맥락막혈관병증, 망막저산소증, 가족형 마크로아뉴리즘, 망막 혈관 질환, 안혈관 질환, 녹내장으로 인한 망막신경세포 퇴화 및 허혈성 시신경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안구 국소 투여를 위한 안과용 조성물로써, 점안액 또는 안연고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의약외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 질환은 색소성 망막염 (RP), 레베르 선천 흑암시 (LCA), 스타가르트병, 어셔 증후군, 맥락막 결여, 로드-콘 또는 콘-로드 디스트로피, 섬모병증, 미토콘드리아 장애, 진행성 망막 위축증, 퇴행성 망막 질환, 노인성 황반 변성 (AMD), 습성 황반 변성, 건성 황반 변성, 지도상 위축증, 가족형 또는 획득 황반병증, 망막 광수용체 질환, 망막 색소 상피-계 질환, 당뇨병성 망막증, 낭포성 황반 부종, 포도막염, 망막박리, 외상성 망막 손상, 의원성 망막 손상, 황반 원공, 황반 모세관 확장증, 신경절 세포 질환, 시신경 세포 질환, 녹내장, 시신경병증, 허혈성 망막 질환, 미숙아 망막증, 망막 혈관 폐색, 가족형 마크로아뉴리즘, 망막 혈관 질환, 안혈관 질환, 녹내장으로 인한 망막신경세포 퇴화 및 허혈성 시신경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막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완화용 의약외품 조성물.
  12. 산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동물의 눈 건강 유지, 증진 또는 눈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첨가제는 분말, 과립, 또는 정제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15. 제12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동물 사료 조성물.
KR1020180099154A 2018-08-24 2018-08-24 산국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KR20200022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154A KR20200022926A (ko) 2018-08-24 2018-08-24 산국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154A KR20200022926A (ko) 2018-08-24 2018-08-24 산국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926A true KR20200022926A (ko) 2020-03-04

Family

ID=6978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154A KR20200022926A (ko) 2018-08-24 2018-08-24 산국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9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557B1 (ko) * 2022-10-26 2024-01-04 김아연 동물 사료용 기호성 증진 조성물
KR20240041169A (ko) 2022-09-22 2024-03-29 이대환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 약 보관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2450B2 (en) 2011-05-06 2013-02-12 Jerry Yourui Wu Chinese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macular degeneration and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958400A (zh) 2015-07-31 2015-10-07 青岛海之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急性结膜炎的眼膏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2450B2 (en) 2011-05-06 2013-02-12 Jerry Yourui Wu Chinese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macular degeneration and the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958400A (zh) 2015-07-31 2015-10-07 青岛海之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急性结膜炎的眼膏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169A (ko) 2022-09-22 2024-03-29 이대환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 약 보관함
KR102620557B1 (ko) * 2022-10-26 2024-01-04 김아연 동물 사료용 기호성 증진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TWI239245B (en) Medical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for a disease requiring enhancement of nerve growth factor production for treatment or prevention
KR20200022926A (ko) 산국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KR102050506B1 (ko) 망막 질환 예방, 개선,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40749A (ko)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00022930A (ko) 우엉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KR101988579B1 (ko)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2929A (ko) 독활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KR20200022927A (ko) 고추나무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KR20200022928A (ko) 연화바위솔 추출물의 눈의 건강 증진 또는 눈 손상 예방을 위한 용도
KR101838142B1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각막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17662B1 (ko) 차가버섯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620997B1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력 보호용 또는 망막 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90118961A (ko) 구꼬아민 a 및 구꼬아민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격근 위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52636B1 (ko) 팔각회향 추출물 또는 시킴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22008810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e as effective component for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ar diseases, or improving muscule functions
KR20190084732A (ko)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3055A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5548A (ko) 구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0510B1 (ko) 지치 추출물을 이용한 망막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40055549A (ko) 골담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5550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9547A (ko) 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40055552A (ko) 호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