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685B1 -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Google Patents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685B1
KR101387685B1 KR1020120105630A KR20120105630A KR101387685B1 KR 101387685 B1 KR101387685 B1 KR 101387685B1 KR 1020120105630 A KR1020120105630 A KR 1020120105630A KR 20120105630 A KR20120105630 A KR 20120105630A KR 101387685 B1 KR101387685 B1 KR 101387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chizandra
fraction
ethyl acetate
thromb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534A (ko
Inventor
손호용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이철우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우,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철우
Priority to KR102012010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6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4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thrombos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미자의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오미자 추출물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통해 증명된 바와 같이, 오미자를 에탄올 등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조제한 후,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조제되며, 이 중 우수한 트롬빈 직접저해, 프로트롬빈 저해 및 혈액응고인자 저해효과에 의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는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은 혈전 생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혈행개선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과 같은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급성경구독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pH 2의 산성조건 및 혈장 내에서도 항혈전 효과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아, 추출액,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상시 복용이 가능한 형태로 조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제약산업 및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AS AN EFFECTIVE COMPON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THROMBOSIS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thrombos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미자의 에탄올 추출물, 특히 오미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체 구성성분으로 혈액은 산소, 영양분, 노폐물의 운반 기능과 완충작용, 체온유지, 삼투압 조절 및 이온 평형유지, 수분 일정유지, 액성 조절작용, 혈압의 유지 및 조절, 생체방어 등 다양한 중요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정상적인 혈액 순환은 체내에서의 혈액 응고 반응계와 혈전 용해 반응계가 상호 보완적으로 조절되면서 혈액 순환을 용이하게 하며, 이들 중 혈액 응고 반응계의 기작은 혈관벽에 혈소판이 점착, 응집하여 혈소판 혈전을 형성한 후, 혈액 응고계가 활성화되어 혈소판 응집괴를 중심으로 피브린 혈전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피브린 혈전의 생성은 수많은 혈액응고인자들의 여러 단계 반응을 거쳐 피브린 응고에 관여하는 트롬빈이 활성화되어, 최종적으로 피브리노겐으로부터 피브린 단량체를 생성하게 하며, 피브린 단량체들은 칼슘에 의해 중합되어, 혈소판과 내피세포에 결합하게 되며 XIII 인자에 의해 교차 결합된 피브린 폴리머를 형성하면서 영구적인 혈전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트롬빈은 혈소판, V 인자, VII 인자들을 활성화시켜 혈액 응고반응을 촉진시키는 등 혈전 생성에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트롬빈의 활성 저해물질은 과다한 혈액응고 이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혈전성 질환에 매우 유용한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내인성 혈전생성경로에는 12인자, 11인자, 9인자, 10인자의 순차적 활성화에 이은 프로트롬빈의 활성화가 최종적으로 트롬빈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혈액응고인자의 특이적 저해 역시 중요한 혈전성 질환 치료제의 개발 타겟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혈전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헤파린, 쿠마린, 아스피린, 유로키네이즈 등의 다양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혈전용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가격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출혈성 부작용과 위장장해 및 과민반응 등으로 그 사용이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는 목련과의 넝쿨성 식물인 오미자 나무의 완숙한 열매로서, 지름 약 1cm의 짙은 붉은 빛깔로 공 모양이며, 속에는 붉은 즙과 불그스레한 갈색 종자가 1~2개 들어 있다. 한국에서는 서리가 내린 후에 건조하여 사용하며 단맛, 신맛, 쓴맛, 매운맛, 짠맛의 5가지 맛을 나타내어 오미자라 한다. 민간에서는 말린 열매를 찬물에 담가 붉게 우러난 물에 꿀·설탕을 넣어 음료로 마시거나 화채나 녹말편을 만들어 먹으며, 밤, 대추, 미삼을 함께 넣고 끓여 차를 만들거나 술을 담그기도 한다. 유용성분으로 schizandrin, schizandrol, schizantherin, isoschizandrin, gomisin, angeloylgomisin, epigomisin, benzoylgomisin, tigloylgomisin, deoxygomisin, pregomisin 등의 lignans 및 정유 및 색소가 알려져 있어 강장제로 사용되며, 한방에서는 폐기능을 강하게 하는 정천, 진해 거담제로 이용되어 왔으며, 피를 맑게 하는 청혈 및 진지길 (갈증없앰), 보신제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오미자에 대한 주요 연구로는, 오미자 부위에 따른 지방산 조성(이정숙 외, 1991,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6: 147-153), 오미자 유래 리그난 성분분석(김관수 외, 2002, 생약학회지, 33: 272-276; 구동칠 외, 2011, 생약학회지, 42: 233-239) 및 오미자 건조와 저장에 관한 연구(정기태 외, 1998,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5: 217-223) 등의 오미자 건조와 성분분석이 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오미자의 생리활성 평가, 오미자를 이용한 다양한 식품개발 및 유통안전성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오미자의 유용생리활성으로는, 오미자의 항산화 및 아질산 소거 활성 (조혜은 외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9: 481-486), 항균활성 (권후자, 2008,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5: 587-592), 항유전독성 (김민정 외 2010,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9: 487-493), 대장암 및 간암 세포 증식억제효과 (유민주 외 2011. 산업식품공학회지, 15: 64-69; 노숙령 외, 한국영양학회, 2002, 35: 201-206), 당뇨예방과 치료 효과 (고병섭 외, 2004,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258-264), 항스트레스, 항염증, 항암 및 항산화활성 (Panossian 등, 2008. J. Ethnopharmacol. 118: 183-212), 오미자씨의 항산화 활성 (류일환 외, 2012. 한약작지, 20: 63-71)등이 질 알려져 있다.
오미자를 이용한 제품개발 연구로는 오미자 추출액 첨가 식혜 (이준호, 2011. 산업식품공학회지, 15: 80-84), 오미자 첨가 식빵 (박나영 외, 2010,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7: 637-643), 오미자 첨가 정과 (권후자 외, 2010,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7: 457-465; 권후자 외, 2009,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6: 53-59), 오미자 첨가 두부 (김좌숙 외, 2008,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1: 43-50), 오미자 첨가 약선소스(김현덕, 2006, 한국조리학회지, 12: 119-133), 오미자 첨가 요쿠르트(홍경현 외, 2004,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7: 111-119), 오미자 첨가 물김치 (정태성 외,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37: 1301-1306)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일부 오미자의 유통안전성 연구(강인숙 외, 201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6: 100-106)와 추출효율에 대한 연구(김순임 외, 2009,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2: 41-47)가 보고되어 있다.
오미자와 관련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3174호 오미자 농축액 추출방법 및 오미자 농축액을 이용한 오미자 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8342호 오미자 효소가 함유된 고추장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오미자 고추장,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5949호 오미자 추출액을 이용한 물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2876호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7867호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77833호 항균활성을 갖는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7959호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대사질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염증성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약학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9492호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예방용 기능성 식품 등이 개시된 바 있으며, 오미자 차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55510호 및 제10-0704450호 오미자 차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4492호 생과즙을 이용한 오미자차 제조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오미자 추출물의 인간 트롬빈 효소, 프로트롬빈 효소, 혈액응고 관련인자들의 직접저해 및 혈소판 응집저해를 통한 혈전생성저해 효과는 보고된 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1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간 트롬빈 직접저해, 프로트롬빈 저해, 내인성 혈액응고인자 저해 및 혈소판 응집 저해에 따른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물은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헥센으로 분획 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 분획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오미자 추출물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통해 증명된 바와 같이, 오미자를 에탄올 등으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조제한 후,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조제되며, 이 중 우수한 혈액응고인자 저해효과에 의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혈전 생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혈행개선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과 같은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급성경구독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열 안정성이 우수하고, pH 2의 산성조건 및 혈장 내에서도 인간트롬빈 직접저해, 프로트롬빈 저해, 혈액응고인자 저해 효과의 손실이 나타나지 않아, 추출액, 분말, 환, 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상시 복용이 가능한 형태로 조제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제약 산업 및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인간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용매 대조구 (DMSO), 아스피린 (0.50 mg/ml), 아스피린 (0.25 mg/ml),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0.25 mg/ml), 오미자 헥센 분획물 (0.25 mg/ml),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0.25 mg/ml), 오미자 부탄올 분획물 (0.25 mg/ml) 및 오미자 물 잔류물 (0.25 mg/ml)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간 트롬빈 직접저해, 프로트롬빈 저해, 내인성 혈액응고인자 저해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갖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일정 방법으로 수득한 오미자 추출물로부터 항혈전 활성 성분을 회수하였고, 이러한 성분은 경구급성독성이 나타나지 않으면서, 열 안정성과 산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추출물을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오미자를 이용하여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오미자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를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하여 헥센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 등을 수득하고, 이를 각각 인간 혈장과 인간 트롬빈에 대한 트롬빈 직접저해(Thrombin Time), 프로트롬빈 저해(Prothrombin Time) 및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타임(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혈소판 응집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2.5mg/ml 농도에서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및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타임 모두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15배 이상 연장된 혈전생성 억제활성을 확인하였으며, 1.25 mg/ml 농도에서는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타임 (에이피티 타임)만이 15배 이상 연장되었다. 한편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 중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부탄올 분획물에서는 아스피린(시판 항혈전제)에 필적하는 강력한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 연장효과 및 혈소판 응집저해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와 같은 오미자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오미자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의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등의 유용성분을 분석하고, 추출물 및 분획물의 인간트롬빈 직접저해 효과, 프로트롬빈 저해효과, 혈액응고인자(8인자, 9인자, 11 및 12인자) 저해에 의한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타임 연장효과, 농축 인간혈소판을 이용하여 혈소판 응집저해효과를 평가하여,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 등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항혈전제 아스피린(상품명: 프로텍트)과 유사한 항혈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으며, 상기 물질의 열 및 산 안정성을 조사한 다음, 상기 물질을 흰쥐에 경구투여하여 급성독성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추출물이 인체 독성이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과 부탄올 분획물은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헥센으로 분획후,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로 순차 분획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효능 실험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시판 건조 오미자로부터 활성 추출물을 조제하는 단계; 오미자 추출물로부터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의 유기용매 분획물 및 물 잔류물로 조정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혈전 효능 및 안정성 조사단계; 및 상기 분획물의 급성 독성검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의 열매를 세척한 후 건조하는 단계, 건조열매를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0.06 mm 이하의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이를 감압농축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물(냉수, 열수), 주정,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주정,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80~95 %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을 2.5 mg/ml의 농도로 하여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및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한 결과,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은 무첨가구에 비해 모두 15배 이상 연장된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1.25 mg/ml 농도에서는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및 에이피티 타임이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1.3 배, 1.4 배 및 15배 이상 연장된 혈전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항혈전제로 사용되는 아스피린이 2.5 mg/ml 농도에서 각각 8.6배, 1.8배, 1.9배 연장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아스피린 1.5 mg/ml 농도에서 각각 2.7배, 1.55배 및 1.37배 연장되는 효과를 나타내어, 오미자 추출물은 아스피린에 필적하는 우수한 항혈전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 중 헥센 분획물은 5 mg/ml 농도에서도 항혈전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부탄올 분획물은 에탄올 추출물보다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고, 물 잔류물은 에탄올 추출물보다 미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미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및 부탄올 분획은 트롬빈, 프로트롬빈, 혈액응고인자에 작용하여 혈전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짐을 의미하며, 위장장해와 같은 부작용이 보고된 아스피린과 같은 항응고제를 대치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 및 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부탄올 분획물은 감압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분말화 과정을 거쳐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100 ℃의 열처리와 pH 2의 인체 위 내의 pH에서도 활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혈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들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환들은, 예를 들어, 동맥 혈전증으로서, 급성 심근 경색증,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의식 소실, 허혈성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두통, 운동 이상, 감각 이상, 성격 변화, 시력 저하, 간질 발작, 폐 혈전증, 심부정맥 혈전증, 하지 부종, 통증 및 급성 말초 동맥 폐쇄증 등을 들 수 있고, 정맥 혈전증으로서, 심부정맥 혈전증, 간문맥 혈전증, 급성 신장정맥 폐쇄증, 뇌 정맥동 혈전증 및 중심 망막정맥 폐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오미자 추출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dmf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오미자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의 조제
2011년 경북 문경에서 생산된 건조 오미자를 구입하여 오미자에 대해 10 배 부피의 에탄올(95 %, 덕산, 한국)을 가하고 상온에서 8 시간씩 2 회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물은 건조 오미자에 5배 부피의 물을 가하고 100℃에서 1시간 가열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액은 필터기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회수하고, 이를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고 사용 전까지 저온 밀봉 보관하였다. 이후, 항혈전 활성이 우수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증류수에 현탁한 후,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 분획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물 잔류물을 얻었다.
이때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수득율은 28.27±1.1% 및 15.82±0.54%로 나타나 열수 추출보다 에탄올 추출이 효율적이었다. 오미자 식용부분의 에탄올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의 수득율은 각각 28.39%, 8.20%, 52.84% 및 8.21%였다.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양이 매우 적게 나타났으며, 이는 시판 건조 오미자 (수분함량 8.57±0.32%) 100 g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약 2.31g을 얻게 됨을 의미하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상당히 정제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부탄올 분획물은 추출물의 50% 이상을 차지하여 부탄올 분획을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라고 판단된다.
실시예 2: 오미자 추출물의 성분 분석 및 항혈전 활성 평가
조제된 오미자 추출물들의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각각의 시료를 18 시간 메탄올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 μl에 90 % diethylene glycol 4 ml를 첨가하고 다시 1 N NaOH 40 μl를 넣고 37℃에서 1 시간 반응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rutin을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 μl에 50 μl의 Folin-ciocalteau, 100 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 시간 방치한 후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환원당은 DNS법으로, 총당은 phenol-sulfuric acid법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수율 및 이들의 성분 분석
추출물 추출효율(%) 함량 (mg/g)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당 환원당
에탄올 추출물 28.27±1.10 8.81±0.01 0.76±0.05 233.34±1.22 143.32±10.35
열수 추출물 15.82±0.54 16.16±0.07 2.06±0.01 235.92±3.04 173.76±4.01
오미자 에탄올 추출은 추출효율은 열수 추출에 비해 2배 정도 우수하였으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4% 및 37% 수준을 나타내었다. 한편 총당 함량은 유사하였으며, 환원당 함량은 83% 수준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오미자 추출물들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항혈전 활성은 기존에 보고된 방법에 준해 평가하였으며(Sohn et al., 2004. Kor . J. Pharmacogn 35. 52-61; Kwon et al., 2004. J. Life Science, 14. 509-513; 류 등 2010. J. Life Science, 20. 922-928),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티 타임을 측정하였다. 혈장은 지원자의 전혈로부터 조제하였으며, 채혈 후 즉시 4 ℃에서 5,000 g로 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냉동한 상태로 보관하였으며(신선동결혈장), 필요시 상온에서 해동하여 사용하였다.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티 측정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트롬빈 타임( Thrombin Time )
37 ℃에서 0.5 U 트롬빈 (Sigma Co., USA) 50 μl와 20 mM CaCl2 50 μl,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10 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혼합하여 2 분간 반응시킨 후, 혈장 100 μl를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DMSO의 경우 32.1 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열 안정성 측정의 경우에는 다양한 농도의 시료용액을 100 ℃에서 30 분간 열처리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방냉한 후, 잔존활성을 측정하였다. 트롬빈 저해 효과는 3 회 이상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으며, 시료 첨가시의 응고시간을 용매 대조구의 응고시간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로 나타내었다.
프로트롬빈 타임( prothrombin time )
표준혈장(MD Pacific Co., China) 70 μl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액 10 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37 ℃에서 3 분간 가온 후, 130 μl의 PT reagent를 첨가하고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3 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DMSO의 경우 18.1 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aPTT (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
혈장 100 μl와 다양한 농도의 시료 추출액 10 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37 ℃에서 3 분간 가온한 후, 50 μl의 aPTT reagent(Sigma, ALEXINTM)를 첨가하고 다시 37 ℃에서 3 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50 μl CaCl2(35 mM)을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55.1 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aPTT의 결과는 3 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으며, 시료 첨가시의 응고시간을 용매 대조구의 응고시간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로 나타내었다.
상기 설명된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 타임 측정법에 따른 항혈전 측정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최종
농도
(mg/mL)
트롬빈 타임(초) 프로트롬빈 타임(초) 에이피티 타임 (초)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아스피린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아스피린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아스피린
0 32.1±0.5 32.1
±0.5
32.1±0.5 18.1±0.3 18.1±0.3 18.1±0.3 55.1±1.4 55.1±1.4 55.1±1.4
1.25 41.7±2.1 41.7
±2.1
- 25.3±1.6 23.5±0.5 - > 800 71.6±8.9 -
1.5 - - 86.3±6.6 - - 28.1±2.4 - - 75.5±5.1
2.5 > 480 115.5±15.1 277.1±11.9 > 270 > 270 32.8±3.8 > 800 292.0±7.6 104.3±7.2
5.0 > 480 > 480 > 480 > 270 > 270 > 270 > 800 > 800 > 800
대조구로 사용된 아스피린은 5 mg/ml 농도에서 우수한 항혈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오미자의 에탄올 추출물은 2.5 mg/ml 농도까지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무첨가구에 비해 15배 이상 연장시켰다. 한편 열수 추출물의 경우에는 5mg/ml 농도에서 15 이상 연장된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나타내어 에탄올 추출물이 더욱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오미자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의 성분 분석 및 항혈전 활성 평가
항혈전 활성이 우수한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의 성분 및 항혈전 활성을 조사하였다.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 3과 같으며, 항혈전 활성은 표 4에 나타내었다.
오미자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의 분획효율 및 이들의 성분 분석
추출물 분획
효율(%)
함량 (mg/g)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당 환원당
헥센 분획 28.39 9.29±0.63 1.09±0.01 35.60±0.18 29.89±0.47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8.20 28.75±0.05 2.02±0.10 70.63±0.06 19.60±1.00
부탄올 분획 52.84 8.08±0.09 1.12±0.06 122.06±0.73 111.91±4.67
물 잔류물 8.21 39.77±0.23 6.23±0.09 444.48±1.22 130.09±4.01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시 부탄올 분획물이 대부분(52.84%)을 차지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8.2% 에 불과하였다. 특이하게 물 잔류물은 44.2%가 당류로 구성된 것 이외에도 상당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었으며(39.77mg/g), 이는 분획물 중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물 잔류물>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헥센 분획물=부탄올 분획물의 순서로 나타나, 오미자 분획물은 기타의 식물체 추출물의 분획물과는 달리 수용성 폴리페놀 및 수용성 플라보노이드를 매우 많이 함유함을 알 수 있었다.
분획물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 다음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헥센 분획은 5 mg/ml 농도에서도 아스피린 1.5 mg/ml 농도의 항혈전 효과보다 미약하였으며, 물 잔류물의 경우도 이스피린보다는 미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에서는 1.25 mg/ml 농도에서도 아스피린 1.5 mg/ml 농도의 효과보다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1.25 mg/ml 농도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15배 이상 연장된 프로트롬빈 타임 및 에이피티 타임을 나타내어 오미자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아스피린보다 우수한 혈전생성 억제 조성물로 개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결과는 에틸아세테이트 순차적 용매 분획이 분획 수득율은 낮지만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어, 오미자의 항혈전 활성물질을 정제하는 방법으로 매우 효율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오미자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의 항혈전 활성
시료 농도 (mg/ml) 혈전생성 시간 (초)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
디엠에스오(용매) - 32.1±0.5 18.1±0.3 55.1±1.4
아스피린 1.5 86.3±6.6 28.1±2.4 75.5±5.1
헥센 분획 5.0 60.9±3.2 18.5±1.3 57.6±4.4
2.5 35.3±0.8 18.0±0.4 57.6±3.2
1.25 32.5±0.4 18.4±0.5 54.2±2.7 
0.5 31.9±1.1 18.2±0.5 54.5±4.3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5.0 >480 >280 >800
2.5 >480 >280 >800
1.25 57.8±5.8 >280 >800
0.5 32.5±3.0 20.3±1.9  71.6±5.5
부탄올 분획 5.0 >480 >280 >800
2.5 >480 >280 >800
1.25 48.2±3.8 34.5±1.9 >800
0.5 40.0±2.2 24.7±2.5 44.1±3.9
물 잔류물 5.0 >480 >280 >800
2.5 51.4±5.2 30.2±3.1 126.7±6.8
1.25 31.5±1.4 18.5±1.3 44.0±3.4
0.5 32.3±3.2 18.9±0.7 47.8±2.9
실시예 4: 오미자 추출물,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의 인간 혈소판 응집 저해활성
오미자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혈전 활성 평가의 일환으로 인간 혈소판에 대한 응집저해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먼저 아스피린은 우수한 인간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의존적인 응집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은 0.25 mg/ml 농도에서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의 헥센 분획물도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혈소판 응집 연장시간 및 하강면적에서 아스피린 0.25 mg/ml 농도가 나타내는 응집저해활성을, 그리고 부탄올 분획물은 혈소판 응집 연장시간 및 하강면적에서 아스피린 0.5 mg/ml 농도가 나타내는 응집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물 잔류물은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의 중간정도의 응집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오미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은 항혈전제로 아스피린을 대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은 다음의 방법에 준해 평가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Platelet aggregation inhibition activity )
혈소판은 건강한 인간의 전혈로부터 3.2% sodium citrate 용액과 1:9의 비율로 혼합한 후, 1,1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의 PRP (platelet rich plasma)를 취하고, 이를 washing buffer (138 mM NaCl, 2.7 mM KCl, 12 mM NaHCO3, 0.36 mM NaH2PO4, 5.5 mM Glucose, 1 mM EDTA, pH 6.5)로 1회 세척하였다. 이후, suspending buffer (138 mM NaCl, 2.7 mM KCl, 12 mM NaHCO3, 0.36 mM NaH2PO4, 5.5 mM Glucose, 0.49 mM MgCl2, 025% gelatin, pH 7.4)에 재 현탁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다시 suspending buffer에 재현탁하였으며, 이때 혈소판 수는 4x109/ml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후 1 ml 현탁액에 2.5 ul collagen을 가해 5분간 반응시키고, whole-blood aggregometer (Chrono-log, USA)를 사용하여 37℃에서 혈소판 응집을 측정하였다.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인간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시료/대조구 강도
(Amplitude:ohm)
기울기
(Slope)
연장시간
(Lag time:초)
하강면적
(Area under)
디엠에스오 (용매:DMSO) 19 3 42 133.2
아스피린 (0.50 mg/mL) 4 1 67 25.3
아스피린 (0.25 mg/mL) 13 1 62 70.0
에탄올 추출물 (0.25 mg/mL) 24 3 22 160.0
헥센 분획물 (0.25 mg/mL) 18 3 12 129.7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0.25 mg/mL) 14 2 61 74.3
부탄올 분획물 (0.25 mg/mL) 6 1 76 31.6
물 잔류물 (0.25 mg/mL) 10 1 97 56.3
*하강면적이 작을수록 응집저해가 강력함.
실시예 5: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성물질의 화학적 특성 및 안정성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오미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을 갑압건조하여 분말 조제한 후, 회수된 활성물질을 대상으로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혈장 안정성, 열 안정성 및 산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조정제된 활성물질은 100 ℃에서 2 시간 처리, pH 2(0.01 M HCl)에서의 2 시간 처리, 혈장에서 2 시간 처리시에도 항혈전 활성의 저해 및 혈소판 응집 저해활성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아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표 6).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을 대상으로 탄수화물 정성 검색을 위한 안트론 반응, 아미노산 비색정량을 위한 닌하이드린 반응, 폴리페놀 검출을 위한 다이에틸렌글리콜 반응, 플라보노이드 검출반응을 실시한 결과, 각각의 분획물의 활성물질은 단백질, 아미노산을 포함하지 않은 탄수화물 복합체의 형태로 부분적으로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로 확인되었다.
오미자 추출물 및 분획물의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시료 (5 mg/ml)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
에탄올 추출물 2.40±1.10
헥센 분획물 0.10±1.15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4.92±3.81
부탄올 분획물 2.01±0.20
물 잔류물 3.05±0.6
트리톤 X-100 (triton X-100) 0.1% 100.00±0.00
엠포테리신 B (amphotericin B) 125 μg/ml 75.30±8.50
실시예 6: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의 단회경구독성 시험
4 주령의 흰쥐(Slc, ICR Mouse)를 (주)중앙실험동물로부터 공급받아 온도 23±3 ℃, 상대습도 50±10 %, 150~300 Lux의 조도로 12 시간 간격(오전 8 시~오후 8 시)으로 조절되는 동물실험실에서 14 일간 순화시킨 후, 실시예 1로부터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부탄올 분획물의 단회경구독성을 평가하였다. 동물실험은 안동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사전승인을 받아 진행되었으며 (산학연구지원과-2132, 2012. 5. 18), 시료를 DMSO 및 물에 녹인 후, 400, 800, 1500, 2000 mg/kg 농도로 각각 3마리씩 경구투여 후, 일주일 간 생존 여부와 병적 이상 증후를 관찰하였다. 대조구로는 DMSO만을 경구투여하였다. 그 결과 생존율은 100 %였으며, 병적 이상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 온 오미자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은 저독성 또는 무독성으로 구분되며, 이의 낮은 농도의 사용은 부가적인 문제점을 야기하지 않으리라 판단되었다.

Claims (5)

  1.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를 상온에서 에탄올로 추출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상기 부탄올 분획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부탄올 분획물은 오미자를 상온에서 에탄올로 추출하고,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 분획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를 상온에서 에탄올로 추출하고,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분획하여 얻어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상기 부탄올 분획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20120105630A 2012-09-24 2012-09-24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387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630A KR101387685B1 (ko) 2012-09-24 2012-09-24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630A KR101387685B1 (ko) 2012-09-24 2012-09-24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534A KR20140043534A (ko) 2014-04-10
KR101387685B1 true KR101387685B1 (ko) 2014-04-21

Family

ID=5065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630A KR101387685B1 (ko) 2012-09-24 2012-09-24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6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852B1 (ko) 2016-02-02 2017-04-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소판 응집 저해제
WO2018066956A1 (ko) * 2016-10-04 2018-04-12 한국한의학연구원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196B1 (ko) * 2014-05-27 2022-10-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160147132A (ko) * 2015-06-11 2016-12-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파킨슨 질환 또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J. Food Preserv. Vol. 15, No. 4. pp. 587-592, 2008 *
Korean J. Food Preserv. Vol. 15, No. 4. pp. 587-592, 200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852B1 (ko) 2016-02-02 2017-04-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소판 응집 저해제
WO2018066956A1 (ko) * 2016-10-04 2018-04-12 한국한의학연구원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534A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351B1 (ko) 무청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04168B1 (ko)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02190B1 (ko) 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387685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58674B1 (ko) 다래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78301B1 (ko) 블랙커런트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358203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6092B1 (ko) 도토리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21502A (ko) 생강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40574B1 (ko) 감송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71850B1 (ko) 치자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소판 응집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583910B1 (ko) 산수유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20889A (ko)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16340B1 (ko) 상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522457B1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22250B1 (ko) 눈개승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04165B1 (ko) 일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79816B1 (ko)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25623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40829B1 (ko) 아이스플란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45878B1 (ko) 도라지 또는 홍도라지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24538B1 (ko) 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26066B1 (ko) 다시마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09929A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66491A (ko) 패션후르츠 과육과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