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695A -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695A
KR20150026695A KR20130129515A KR20130129515A KR20150026695A KR 20150026695 A KR20150026695 A KR 20150026695A KR 20130129515 A KR20130129515 A KR 20130129515A KR 20130129515 A KR20130129515 A KR 20130129515A KR 20150026695 A KR20150026695 A KR 20150026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alcohol extract
extract
upper leaf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김호경
성윤영
양원경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PCT/KR2014/00812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30543A1/ko
Publication of KR2015002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및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혈소판 응집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은 상엽의 물추출물과는 달리 in vitro 뿐만 아니라 in vivo 조건에서도 혈소판 응집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혈전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또는 발생된 혈전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n vitro 조건에서 혈소판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응집성분의 응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혈전에 의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는 물론,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이식물의 제조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thrombosis comprising alcohol extract of mulberry leave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및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혈소판 응집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 내에서 혈액은 응고와 용해작용이 항상 평형을 이루고 있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출혈이나 혈전 등에 의해 흐름이 방해받지 않는다. 하지만 다양한 원인에 의해 혈관벽이 손상을 받게 되면 이러한 평형상태가 깨지고 혈액 중의 혈소판이 점착, 활성화, 응집되고 혈액 응고계를 활성화하여 급속하게 혈전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혈전은 동맥, 정맥, 모세혈관 또는 심장 등 순환기계 어느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어 생성이 되면 매우 위험하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의 선진화, 서구화가 됨에 따라 심혈관계질환으로 사망하는 인구수가 점차 증가추세에 있다.
약물요법에는 현재 아스피린, 디피리다몰, 티클로피딘 등의 혈소판응집 억제제와 스트렙토키나아제(streptokinase, SK), 유로키나아제(urokinase, UK), 아미노카프로익산(aminocaproic acid) 등의 혈전용해제 및 헤파린, 와파린, 디큐마롤 등의 항응고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생체 내에 혈전용해제를 투여시 과량으로 생성된 플라스민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혈전 용해 작용이 감소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약품들은 유로키나아제를 제외하고는 경구투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피브린만을 용해시키는 선택적인 용해작용이라기보다 다른 단백질도 분해하는 넓은 범위의 단백질 분해효소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혈전증 치료의 목적으로 장기간 또는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혈관벽이나 혈액성분 등 다른 단백질을 함께 용해하기 때문에 매우 심각한 부작용이 있으므로, 이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천연물에서 유래되어 혈전용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혈전용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종래부터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상엽의 알코올추출물이 혈전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매우 유효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혈소판 응집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혈전용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상엽에 주목하게 되었다. 뽕나무(Morus alba L.)의 잎을 건조하여 수득한 상엽은 예로부터 각기병, 부종, 당뇨 등의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민간요법에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 들어,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상엽이 항-비만 활성, 항-당뇨 활성, 항-고혈압 활성, 간보호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항균 활성 등의 효과를 나타냄이 규명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상엽의 항-혈소판응집억제활성 및 항-혈전활성에 대하여 보고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이처럼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상엽이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고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였다.
먼저, 상엽의 물추출물, 상엽의 에탄올추출물 및 상기 상엽의 에탄올추출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고, 상기 각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콜라겐 유도성 혈소판 응집시에 처리한 결과, 상엽의 물추출물은 고용량으로 처리할 경우에도 혈소판 응집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반면, 상엽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콜라겐 유도성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며, 상기 분획물 중에서 부탄올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억제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혈소판의 응집반응을 유도하는 중간대사체인 세로토닌 분비 및 TXA2(thromboxane A2) 형성에 대하여도 상엽 에탄올추출물은 농도의존적인 억제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엽 에탄올추출물은 생체내에서도 전단응력(shear-stress)을 가하여 유발되는 혈전의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은 혈전성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n vitro 에서 혈소판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응집성분의 응집을 조절하여 피브린 섬유로 구성된 구조물을 제조하는데에도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상엽"이란, 뽕나무(Morus alba L.)의 잎을 의미하는데, 한의학적으로는 뽕나무의 잎을 건조하여 수득한 약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상엽 알코올 추출물"이란, 상기 상엽을 저급알코올인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저급알코올을 물과 혼합하여 수득한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은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상엽을 추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상엽을 추출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엽 또는 상엽의 건조물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10 내지 25℃의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4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열추출법, 환류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분획물"이란, 다양한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성분 또는 특정 그룹을 분리하는 분획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다양한 분획방법에 적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데, 상기 분획방법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용매 분획법에 사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술한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 분획법은 비극성 수준이 높은 용매로부터 낮은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이용하여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혈전성 질환"이란, 혈전 생성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의미하는데, 바람직하게는 고지혈증, 동맥죽양경화, 심근경사, 심교통, 동맥경화성 뇌경사, 뇌색전증, 정맥혈전의 형성, 폐색전증, 폐경사, 혈전폐색성 맥관염, 동맥경화성 폐색증, 파종성혈관내응고(DIC), 외과수술 병발한 혈전형성 및 혈전색전질환, 간경사, 신장경사, 담낭경사, 장간막경사, 지체괴저, 당뇨병성 말초신경 병변, 시망막 혈관 막힘, 돌발성 난청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엽의 물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상엽 에탄올추출물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로 분획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실시예 1). 이어, 상기 수득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효과를 in vitro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토끼의 혈액으로부터 수득한 혈소판에 상기 상엽 에탄올추출물(MAE)을 다양한 농도(100, 200 또는 400㎍/㎖)로 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혈소판 응집 촉진물질인 콜라겐을 가하여 혈소판의 응집을 유도한 결과, 400㎍/㎖의 상엽 에탄올추출물(MAE)을 가할 경우 53.5%의 수준으로 콜라겐 유도성 혈소판응집을 억제하였고(IC50: 0.42 mg/㎖), 상엽 에탄올추출물(MAE)이 용량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콜라겐 유도성 혈소판응집을 억제할 수 있었으나, 이에 반하여 상엽 물추출물(MAW)은 최대 용량으로 처리하여도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도 1의 A). 또한, 상기 수득한 각 분획물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부탄올 분획물을 각각 400㎍/㎖의 농도로 가할 경우 콜라겐 유도성 혈소판응집에 대하여 89.0%, 89.5% 및 96.5%의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특히 부탄올 분획물은 200㎍/㎖의 농도로 가할 경우에도 88.2%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도 1의 B).
다음으로, 상엽 에탄올추출물이 혈소판 응집반응과 관련된 세로토닌 분비와 TXA2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한 결과, 100, 200 및 400㎍/㎖의 농도로 처리된 상엽 에탄올추출물은, 각각 세로토닌 분비수준을 29.3±0.2%, 60.2±0.5% 및 86.7±0.5% 감소시켰고(도 2의 A), 각각 콜라겐 유도성 TXA2 형성수준을 12.6±3.6%, 19.2±8.4% 및 46.5±4.6% 감소시켰다(도 2의 B).
한편, 상기 수득한 상엽 에탄올추출물의 효과를 in vivo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랫트에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100, 200 또는 400mg/kg/day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1시간 후에 각 랫트에 동정맥문합술을 수행하였으며, 전단응력(shear-stress)을 가하여 혈전을 형성시키고, 형성된 혈전의 건조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각 용량으로 에탄올 추출물의 투여에 대하여 각각 52.3%, 28.3% 및 19.1%의 응혈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나, 이에 반하여 상엽 물추출물(MAW)은 최대 용량으로 처리하여도 거의 응혈을 억제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도 3).
따라서, 본 발명의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은 혈전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반하여 상엽의 물추출물은 혈전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사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혈전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최종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의 투여량은 예를 들어,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하루 동안 1 내지 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으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혈전성 질환이 발병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발병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은 혈전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성물은 혈전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혈전성 질환이 발병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발병된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혈전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다. 다만, 경구 투여시에는 위산에 의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변성될 수 있기 때문에 경구용 조성물은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은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된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크륨(Cr)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혈전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혈전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는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가공식품에는 예들 들어, 과자,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륙가공식품, 국수 등을 포함한다. 과자는 비스킷, 파이, 케익, 빵, 캔디, 젤리, 껌, 시리얼(곡물푸레이크 등의 식사대용품류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음료는 탄산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쥬스(예들 들어, 사과, 배, 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 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주류는 청주, 위스키, 소주, 맥주, 양주, 과실주 등을 포함한다. 발효식품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포함한다. 통조림은 수산물 통조림(예들 들어, 참치, 고등어, 꽁치, 소라 통조림 등), 축산물 통조림(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통조림 등), 농산물 통조림(옥수수, 복숭아, 파일애플 통조림 등)을 포함한다. 우유가공식품은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을 포함한다. 육류가공식품은 돈까스, 비프까스, 치킨까스, 소세지. 탕수육, 너겟류, 너비아니 등을 포함한다. 밀봉포장생면 등의 국수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조성물은 레토르트식품, 스프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혈소판 응집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혈소판 응집 조절방법은 (a) 혈소판 또는 혈소판 유래의 응집성분에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를 가하고 전처리 반응을 수행하여 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반응물에 응집촉진제를 가하여 응집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응집성분은 피브리노겐 또는 그를 포함하는 혈소판 추출물이 될 수 있고,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상기 응집촉진제로는 ADP(adenosine 5'-diphosphate), 콜라겐, 트롬빈, 아라키돈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은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의 처리조건에 따라 혈소판의 응집수준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처럼 혈소판의 응집수준을 조절하는 방법은 새로운 소재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소판의 응집을 수행하는 주요성분은 혈소판에 존재하는 피브리노겐으로서 트롬빈의 처리에 의하여 자가 응집되어 피브린 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브린 섬유는 생체내에서 조직적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생체 조직이식물에 포함될 수 있으나, 자연상태에서는 피브린이 신속하게 응집되고, 이의 응집속도가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목적하는 조직이식물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혈소판 응집 조절방법을 이용하여, 피브리노겐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혈소판 추출물의 응집반응을 수행할 때, 본 발명의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상기 응집반응의 속도 또는 응집수준을 조절하면, 목적하는 형태, 크기, 강도 등의 조건에 부합하는 피브린 섬유로 구성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생체 조직이식물의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은 in vitro 뿐만 아니라 in vivo 조건에서도 혈소판 응집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혈전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또는 발생된 혈전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in vitro 조건에서 혈소판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응집성분의 응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혈전에 의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는 물론,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이식물의 제조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토끼 혈소판에 다양한 농도의 상엽 알코올추출물, 그의 분획물 및 아스피린(50 mg/kg, ASA50)을 3분동안 가한 다음, 콜라겐(5㎍/㎖)을 6분동안 처리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콜라겐 유도성 혈소판 응집반응에 대한 상엽 알코올추출물(A) 및 그의 분획물(B)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SA50는 대조군인 아스피린을 나타내고, Hex는 헥산 분획물을 나타내며, EA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나타내고, BuOH는 부탄올 분획물을 나타낸다.
도 2는 토끼 혈소판에 다양한 농도의 상엽 알코올추출물과 아스피린(50 mg/kg, ASA50)을 3분동안 가한 다음, 콜라겐(5㎍/㎖)을 6분동안 처리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세로토닌 분비(A) 및 TXA2 형성(B)에 대한 상엽 알코올추출물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AV-shunt 혈전동물모델에서 상엽 알코올추출물(MAE) 400, 200, 100 mg/kg/day 용량 및 양성대조군인 리바록사반(RVX) 50 mg/kg/day 용량 투여에 의한 응혈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엽 에탄올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의 제조
상엽(1kg)을 15 L의 물과 70% EtOH로 5시간씩 각각 환류추출한 후 여과한 액을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상엽 물추출물(MAW, 102g)과 상엽 에탄올추출물(MAE, 87g)을 제조하였다.
한편, 용매분배를 통한 분획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상엽 에탄올추출물(40g)을 증류수(1.2 L)에 분산한 후, 헥산(1.2 L)을 가하고 2회 분배하여 헥산 층을 모으고, 남은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1.2 L)를 가하고 2회 분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모으고, 남은 수층에 부탄올 (0.8 L)를 가하고 2회 분배하여 부탄올 층을 모았다. 각각을 건조하여 헥산 가용성 분획물(3.9g),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1.8g),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6.7g) 및 물 분획물 (27.6 g)을 얻었다.
실시예 2: 상엽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들의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
실험에 사용한 8주령의 수컷 Spague-Dewley(SD) 랫트는 (주)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1주 이상 본 실험 사육장 환경에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사육장 실내의 온도는 22±2℃, 습도는 50±10%, 조명은 12시간 명/암 주기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각각의 상엽추출물 및 분획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동물 사육실에서 1주일간 순화시킨 8주령의 수컷 SD 랫트를 마취시킨 다음 복강 안쪽에 있는 동맥 혈액을 천천히 채혈하여 3.2% 쇼듐시트레이트 항응고제가 들어 있는 튜브에 혈액을 담았다. 채혈한 혈액을 1,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분리된 혈소판 풍부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은 다시 3,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얻은 무혈소판혈장(platelet poor plasma)으로 희석하여 혈소판 수 4.0×108를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토끼(New Zealand rabbit)를 고정시키고 이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항응고제를 혈액과 1:9 (v/v)의 비율이 되도록 하였다. PRP는 1,3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의 PRP를 얻었고, 계속하여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침전된 혈소판을 0.35% BSA와 0.4 mM EGTA를 포함하는 HEPES 완충액(137 mM NaCl, 2.7 mM KCl, 1 mM MgCl2, 5.6 mM glucose, 3.8 mM HEPES, pH 6.5)로 2회 세척한 후 HEPES 완충액(pH 7.4)에 현탁시켜서 혈소판 분획을 수득하였다. 혈소판 응집 억제능에 사용한 혈소판 분획을 coulter counter (Coulter Electronics, Hialeah, FL)를 이용하여 혈소판 수를 계측하고 HEPES 완충액(pH 7.4)으로 희석하여 혈소판이 4×108 개/㎖의 농도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혈소판 응집 억제 활성은 PRP를 통해 혈소판 응집을 확인하는 optical 방법으로, 혈소판의 응집에 따른 전기저항 변화와 광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혈액 245 ㎕를 cuvette에 넣고 혈소판 응집기 700-2 (Chrono-Log. Havertown, PA)를 사용하여 37℃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정해진 농도의 시료를 2.5 ㎕를 가하여 반응시켰다. 그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baseline을 확인 후, 혈소판 응집 촉진물질인 ADP(adenosine 5'-diphosphate) 10 uM, 콜라겐 5 ㎍/㎖, 트롬빈(thrombin, 0.05 U/㎖),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100 uM)을 넣어 1200 rpm으로 교반하면서 37℃에서 최대 10분 동안 측정하였다(도 1).
먼저, 도 1의 A에서 보듯이, 상엽 에탄올추출물(MAE)은 콜라겐으로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였을 때, 100, 200, 400 ㎍/㎖ 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응집을 억제하여, 최고 농도인 400 ㎍/㎖에서 53.5%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때 IC50은 415 ㎍/㎖인 것으로 산출되었다. 이에 반하여, 상엽 물추출물(MAW)은 최고 용량인 400 ㎍/㎖ 에서도 응집억제 효과를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다음으로, 도 1의 B에서 보듯이, 상엽 에탄올추출물의 용매 분획물들은 물 (Water) 분획물을 제외하고, 매우 높은 혈소판 응집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헥산(Hex), 에틸아세테이트(EA), 부탄올(BuOH) 분획물들은 400 ㎍/㎖에서 각각 89.0%, 89.5% 및 96.5%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부탄올 분획물은 저농도인 200 ㎍/㎖에서도 88.2%의 억제율로 15% 이하의 억제율을 나타낸 다른 용매 분획물들에 비하여 월등한 억제율을 보여 주었다.
실시예 3: 세로토닌 분비 및 TXA2 형성에 대한 상엽 에탄올추출물의 효과
콜라겐 유도성 활성화 과정중에, 혈소판은 혈관조직 및 염증성 세포와 반응하여, 세로토닌 분비 및 TXA2(thromboxane A2) 형성을 통해 혈전의 형성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상엽 에탄올추출물이 콜라겐 유도성 혈소판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로토닌 분비와 TXA2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도 2).
먼저, 도 2의 A에서 보듯이, 상엽 에탄올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세로토닌의 분비를 억제하였는데, 100, 200 및 400㎍/㎖의 농도에서 각각 29.3±0.2%, 60.2±0.5% 및 86.7±0.5%를 억제하였다.
또한, 도 2의 B에서 보듯이, 콜라겐 유도성 TXA2 형성 역시 상엽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는데, 100, 200 및 400㎍/㎖의 농도에서 각각 12.6±3.6%, 19.2±8.4% 및 46.5±4.6%를 억제하였다.
상기 도 2의 결과는 상엽 에탄올추출물이 혈소판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혈관조직과 반응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실시예 4: 상엽추출물의 In vivo 혈액응고 억제효과
10주령 (250g) 숫컷 SD 흰쥐 동물은 대한바이오링크(주)에서 분양받아 1주 이상 적응시킨 후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시험당일까지 고형사료 (조단백질 22.1%이상, 조지방 8.0%이하, 조섬유 5.0%이라, 조회분 8.0%이하, 칼슘 0.6%이상, 인 0.4%이상, 삼양사 Co. Korea)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실온 22±2℃를 계속 유지하고 2주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상엽 물추출물(MAW) 또는 상엽 에탄올추출물(MAE)을 0.15%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와 혼합하여 100, 200 또는 400 mg/kg/day로 SD 랫트에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리바록사반(RVX)을 5 mg/kg/day로 경우 투여하였다. 1시간 후 SD 랫트,의 복강에 2 ㎖씩 우레탄 1.25g/kg을 주사하여 마취시키고, 마취가 끝나면 좌측경동맥(Left carotid artery)과 우측경정맥(Right jugular vein)에 각각 폴리에틸렌 카테터(PE50; Becton Dickinson, MD, USA)를 삽입시켰다. 그런 다음, 5cm 실리콘 튜브에 목화솜을 넣고 생리식염수를 채운 후 상기 동맥과 정맥에 연결된 튜브로 혈액을 흐르게 하여 전단응력(shear-stress)을 유도하여 15분간 혈전을 생성시켰다. 생성된 혈전을 건조시켜 무게를 측정하여 항응혈효과를 평가하였다(도 3). 도 3에서 보듯이, 상엽 에탄올추출물(MAE)은 100, 200, 및 400 mg/kg/day 에서 각각 52.3% (p<0.001), 28.3% (p<0.01), 19.1% (p<0.05)의 응혈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므로, 상기 상엽 에탄올추출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응혈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상엽 물추출물(MAW)은 최대 용량인 400 mg/kg/day 에서도 응혈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상엽(Morus alba leaves)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은 상엽을 에탄올, 메탄올 또는 이들과 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엽 알코올추출물은 상엽의 에탄올 추출물인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용매 분획법, 한외여과 분획법,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적용하여 수득한 분획물인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로 분획하여 수득한 것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엽 알코올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인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전성 질환은 고지혈증, 동맥죽양경화, 심근경사, 심교통, 동맥경화성 뇌경사, 뇌색전증, 정맥혈전의 형성, 폐색전증, 폐경사, 혈전폐색성 맥관염, 동맥경화성 폐색증, 파종성혈관내응고(DIC), 외과수술 병발한 혈전형성 및 혈전색전질환, 간경사, 신장경사, 담낭경사, 장간막경사, 지체괴저, 당뇨병성 말초신경 병변, 시망막 혈관 막힘, 돌발성 난청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9.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a) 혈소판, 피브리노겐 또는 피브리노겐을 포함하는 혈소판 추출물에 상엽 알코올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가하고, 전처리 반응을 수행하여 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반응물에, ADP(adenosine 5'-diphosphate), 콜라겐, 트롬빈, 아라키돈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응집촉진제를 가하여 응집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소판 응집 조절방법.



KR20130129515A 2013-08-30 2013-10-29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26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8128 WO2015030543A1 (ko) 2013-08-30 2014-09-01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310 2013-08-30
KR1020130104310 2013-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695A true KR20150026695A (ko) 2015-03-11

Family

ID=5302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9515A KR20150026695A (ko) 2013-08-30 2013-10-29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66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55A (ko) 2015-09-08 2017-03-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전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및 혈전 생성 억제제
KR20180037642A (ko) * 2016-10-04 2018-04-13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755A (ko) 2015-09-08 2017-03-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전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및 혈전 생성 억제제
KR20180037642A (ko) * 2016-10-04 2018-04-13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351B1 (ko) 무청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02190B1 (ko) 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JP4986413B2 (ja) 血液循環改善用組成物
KR101733665B1 (ko)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Rg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글리벡 내성 백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45855B1 (ko) 마카 지하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78301B1 (ko) 블랙커런트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50026695A (ko)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21506B1 (ko) 돌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KR102158674B1 (ko) 다래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60137808A (ko) 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암보조제
KR101883181B1 (ko) 모링가 올레이페라 지하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75799B1 (ko) 풋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210047781A (ko) 푸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25623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24538B1 (ko) 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05162684A (ja) 抗血栓組成物
KR20230103404A (ko) 비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53254A (ko) 작약 또는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2628997B1 (ko) 세나 알라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노화 예방 또는 억제용 조성물
KR101479816B1 (ko)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00675B1 (ko) 테르펜 락톤의 함량이 증가된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류 개선용 조성물
WO2015030543A1 (ko) 상엽 알코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114895A (ko) 흰목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0490B1 (ko) 표고버섯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70049922A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전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9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17

Effective date: 20170420